KR20200094737A -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및 에어로졸 제품 - Google Patents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및 에어로졸 제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94737A
KR20200094737A KR1020207012599A KR20207012599A KR20200094737A KR 20200094737 A KR20200094737 A KR 20200094737A KR 1020207012599 A KR1020207012599 A KR 1020207012599A KR 20207012599 A KR20207012599 A KR 20207012599A KR 20200094737 A KR20200094737 A KR 20200094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ischarge
opening
passage
e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2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 가시네
도모유키 다카하시
에리카 마츠호
가즈히로 마츠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32668A external-priority patent/JP706094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7234725A external-priority patent/JP69706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8077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7042680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다이조
Publication of KR20200094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47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28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5D83/30Nozzles, nozzle fitt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guiding the flow of spray, e.g. funnels, ho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1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 B65D83/16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 B65D83/2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elivery of liquid or semi-liquid contents by internal gaseous pressure, i.e. aerosol containers comprising propellant for a product delivered by a propellant characterised by the actuating means operated by manual action, e.g. button-type actuator or actuator caps
    • B65D83/205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 B65D83/206Actuator caps, or peripheral actuator skirts, attachable to the aerosol container comprising a cantilevered actuator element, e.g. a lever pivoting about a living hin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출 시의 거품에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는 토출 노즐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을 제공한다. 발포성 내용물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110)에 부착되는 토출 노즐로서, 토출 노즐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통로(3a)와, 내부 통로(3a)의 선단을 폐쇄하는 폐지부(3b)와, 내부 통로(3a)의 측방에서 개구하는 개구부(3c)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개구부(3c)를 구성하는 개구 내주면(3e)이, 내부 통로(3a)로부터 개구부(3c)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한 쌍의 측면(3e1, 3e2)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및 에어로졸 제품
본 발명은 발포성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토출 노즐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입체적인 장식성을 갖는 발포 토출물을 형성하는 토출 노즐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복수의 성형 구멍 및 성형 구멍이 개구되는 조형면(造形面)을 갖고, 복수의 성형 구멍을 통과하여 성형된 복수의 조형편(造形片)을, 조형면 상에서 조합하여 조형물을 형성하는 조형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1에서는, 조형 헤드로부터 토출된 거품에 의해 겹꽃(장미)을 조형하는 것이 예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0919호 공보
특허문헌 1의 조형 헤드는, 토출 후의 거품의 형상에 주안을 둔 것으로, 토출 시에 있어서의 거품의 움직임이 단조롭다.
그래서 본 발명은 토출 시의 거품에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는 토출 노즐 및 그것을 이용한 에어로졸 제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은, 발포성 내용물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110)[(111)(102, 102A)]에 부착되는 토출 노즐로서, 토출 노즐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통로(3a)[(27a)(320)]와, 내부 통로(3a)[(27a)(320)]의 선단을 폐쇄하는 폐지부(3b)와, 내부 통로(3a)[(27a)(320)]의 측방에서 개구하는 개구부(3c)[(28, 131, 141)(323)]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구부(3c)[(28, 131, 141)(323)]를 구성하는 개구 내주면(3e)[(36A)]이, 내부 통로(3a)[(27a)(320)]로부터 개구부(3c)[(28, 131, 141)(323)]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한 쌍의 측면(3e1, 3e2)[(28a, 28b, 31a, 31b, 41a, 41b)(36a, 36b)]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측면(3e1, 3e2)[(28a, 28b, 31a, 31b, 41a, 41b)(36a, 36b)]이 각각, 내부 통로(3a)[(27a)(320)]로부터 외부를 향해 호를 그리고 있고, 각 호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측면 중, 만곡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측면(3e2)[(41b)(36a)]의 곡률보다, 만곡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측면(3e1)[(41a)(36b)]의 곡률 쪽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측면(3e1, 3e2)[(41a, 41b)(36a, 36b)] 사이의 간격이 외측을 향해 확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3c)[(141)(323)]가 앙각을 갖고 개구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131)(323)]가 토출 노즐의 축 주위로 비틀어져 있어도 좋다.
토출 노즐의 외관이 대략 원뿔형이어도 좋다. 또한, 개구부(3c)[(28)]의 형상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토출 노즐의 외관이 대략 포탄형이어도 좋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100)[(10)(101, 101A, 101B)]은, 에어로졸 용기(110)[(111)(102, 102A)]와, 그 에어로졸 용기(110)[(111)(102, 102A)]에 충전되는 발포성 내용물과, 그 에어로졸 용기(110)[(111)(102, 102A)]에 설치되는 상기한 토출 노즐 중 어느 하나의 토출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토출 노즐은, 토출 노즐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통로와, 내부 통로의 선단을 폐쇄하는 폐지부와, 내부 통로의 측방에서 개구하는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공급된 거품은, 내부 통로를 통해 토출 노즐의 축 방향으로 진행되고, 폐지부에 의해 측방으로 방향을 변경하여,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토출되게 되어, 토출 시의 거품에 임의의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구성하는 개구 내주면이, 한 쌍의 측면을 구비하고 있으면, 에어로졸 용기로부터 도출된 발포성 내용물 및/혹은 발포 후의 발포성 내용물(이하, 간단히 거품이라고 함)은, 내부 통로의 선단을 폐쇄하는 폐지부에 의해 내부 통로의 측방에서 개구하는 개구부를 향해 흐르고, 개구부의 개구 내주면의 한 쌍의 측면을 따라 토출되게 되어, 토출 시의 거품에 임의의 움직임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측면이 내부 통로로부터 외부를 향해 호를 그리고 있으면, 거품은 선회하면서 토출되게 된다. 또한, 측면이 똑바른 경우에 비해 거품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길이(제어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거품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기 쉽다. 또한, 제어 거리를 변경하지 않는 경우에는, 토출 노즐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토출 노즐을 소형화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이 각각, 내부 통로로부터 외부를 향해 호를 그리고 있고, 각 호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으면, 거품을 보다 확실히 선회시키면서 토출시킬 수 있다. 한 쌍의 측면 중, 만곡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곡률보다, 만곡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곡률 쪽이 큰 경우에는, 거품을 토출 노즐의 외주면에 휘감도록 선회시키면서 토출시킬 수 있고, 토출 후의 거품이 토출 노즐로부터 흘러 떨어지기 어렵다.
측면 사이의 간격이 외측을 향해 확대되어 있으면, 거품을 원활하게 토출시킬 수 있다. 개구부가 앙각을 갖고 개구되어 있으면, 거품이 상방을 향해 토출되기 때문에, 선행하는 거품의 하부와 후속의 거품의 상부가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소프트크림형의 양태를 이룬다. 개구부가 토출 노즐의 축 주위로 비틀어져 있으면, 보다 거품을 선회시키기 쉬워진다.
토출 노즐의 외관이 대략 원뿔형이면, 토출 노즐 주위에 부착된 거품을 아래로부터 걷어 내기 쉽다. 개구부의 형상이 역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아래로 감에 따라 서로 근접하는 측면에 의해 거품이 지지되게 되어, 거품을 토출 노즐 주위에 유지시키기 쉬워진다. 토출 노즐의 외관이 대략 포탄형이어도, 거품을 토출 노즐 주위에 유지시키기 쉽다.
도 1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을 도시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2는 조작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a가 정면도, 도 2b가 평면도, 도 2c가 사시도이다.
도 3은 다른 조작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a는 다른 토출 부재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4b는 노즐부를 생략한 평면도이며, 도 4c는 노즐부 및 축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노즐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5a가 정면도, 도 5b가 단면도, 도 5c가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주요부 정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각각 도 6에 있어서의 토출 부재의 일부 단면 평면도 및 일부 단면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에어로졸 제품의 사용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지는 사용 방법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이어지는 사용 방법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노즐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a는 본 발명의 토출 부재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12b는 그 토출 부재의 평면도, 도 12c는 그 토출 부재의 노즐과 축부의 사시도이다.
도 13a는 본 발명의 노즐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한 정면도, 도 13b는 그 노즐의 단면도, 도 13c는 그 노즐의 평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2액 토출 제품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는 2액 토출 제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2액 토출 노즐을 도시한, 도 16a가 정면도, 도 16b가 평면도, 도 16c가 측면도, 도 16d가 A-A선 단면도, 도 16e가 B-B선 단면도, 도 16f가 C-C선 단면도이다.
도 17a는 2액 토출 노즐의 본체부의 사시도, 도 17b는 본체부 내의 통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7c는 도 17b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a는 노즐부의 정면도, 도 18b는 노즐부의 측면도, 도 18c는 D-D선 단면도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2액 토출 노즐을 도시한 사시도, 도 19b, 도 19c는 그 2액 토출 노즐을 이용한 2액 토출 제품의 사시도로서, 도 19b는 비조작 시, 도 19c는 조작 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0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2액 토출 제품을 도시한 단면도, 도 20b는 도 20a의 토출 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다른 노즐부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21a가 정면도, 도 21b가 노즐부의 측면도, 도 21c가 E-E선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100)에 대해,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해 간다. 본 발명의 에어로졸 제품(100)은, 에어로졸 용기(110)와, 그 에어로졸 용기(110)에 충전되는 발포성 내용물과, 그 에어로졸 용기(110)에 부착되는 토출 부재(1)를 구비하고 있다.
에어로졸 용기(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본체(120)와, 용기 본체(120) 내부와 외부와의 연통, 비연통을 전환하는 에어로졸 밸브(130)와, 에어로졸 밸브(130)를 용기 본체(120)의 개구에 부착하는 마운팅 컵(140)을 포함하는 종래 공지의 것이다. 용기 본체(120)는, 원통형의 몸통부(120a)와, 몸통부(120a)의 상단으로부터 서서히 직경이 축소되어 대략 돔형이 된 어깨부(120b)와, 몸통부(120a)의 바닥을 막는 바닥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한다. 또한, 용기 본체(120)에는, 몸통부(120a)와 어깨부(120b)의 경계 부분에,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는 홈부(120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홈부(120c)에, 에어로졸 용기(110)의 상단과 토출 부재(1)를 둘러싸는 대략 돔형의 캡(150)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한, 용기 본체(120)의 개구에 마운팅 컵(140)을 부착함으로써 형성된 환형의 볼록부(140a)에는, 어깨 커버(160)가 장착되어 있다. 어깨 커버(160)의 상단부는 개구되어 있고, 이 개구(160a)로부터, 에어로졸 밸브(130)의 스템(130a)이 노출되어 있다. 이 스템(130a)을 토출 부재(1)를 통해 밀어내리거나, 또는 옆으로 기울이면, 에어로졸 용기(110) 내부와 외부가 연통되어, 스템(130a)으로부터 발포성 내용물이 토출 부재(1)에 공급된다. 한편, 토출 부재(1)[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조작부(4)]를 밀어내려 토출 조작하는 경우에는, 어깨 커버(160)의 개구(160a)의 내주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의 안내부(160b)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내부(160b)에 의해, 후술하는 조작부(4)의 통형체(4d)의 외주를 둘러쌈으로써, 밀어내림 시에서의 조작부(4)의 좌우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편안히 밀어내려지게 된다.
발포성 내용물은, 예컨대 세안제, 세정제, 입욕제, 보습제, 클렌징제, 선스크린제, 화장수, 셰이빙제, 탈모제, 제한제, 살균 소독제, 해충 기피제 등의 스킨 케어제, 트리트먼트제, 스타일링제, 염모제 등의 헤어 케어제 등의 인체 용품, 휩 크림 등의 식품, 소취제, 방향제, 방충제, 살균제 등의 가정 용품 등이다. 단, 이들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발포성 내용물은, 상기 용도의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원액과, 원액을 발포시키는 분사제를 포함하고, 분사제로서는, 예컨대 프로판, 부탄, 펜탄 등의 탄소수가 3~5인 지방족 탄화수소,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디메틸에테르 등의 액화 가스, 탄산 가스, 질소 등의 압축 가스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거품의 성형성, 보형성이 우수하고, 거품을 원하는 형상으로 하기 쉬운 점에서, 지방산 비누 등의 계면 활성제나, 고급 알코올, 고급 지방산 등의 고형 유분 등을 원액 중에 함유한 것을 이용하고, 또한 분사제로서 액화 가스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 부재(1)는, 스템(130a)에 장착되고, 발포성 내용물 및/혹은 발포한 발포성 내용물(이하, 간단히 거품이라고 함)을 토출해서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여, 일시적으로 유지하는 것이다. 이 토출 부재(1)는, 스템(130a)에 장착되는 축부(2)와, 축부(2)를 통해 스템(130a)과 연결되는 노즐부(토출 노즐)(3)와, 스템(130a)을 밀어내리거나, 또는 기울이기 위한 조작부(4)를 구비하고 있다.
축부(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로형이고, 축 방향의 한쪽 단부(도면에 있어서 하단)가 스템(130a)에 장착되고, 다른쪽 단부(도면에 있어서 상단)에 노즐부(3)가 장착되어 있다.
노즐부(3)의 외관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로부터 위를 향해 직경이 확대된 대략 원뿔형이다. 이 노즐부(3)는, 축 방향(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통로(3a)와, 내부 통로(3a)의 선단을 폐쇄하는 폐지부(3b)와, 내부 통로(3a)의 측방에서 개구하는 복수의 토출구(개구부)(3c)를 구비하고 있다. 내부 통로(3a)는, 에어로졸 용기(110)로부터 공급되는 거품을 개구부(3c)로 유도하기 위한 통로이다. 그 때문에, 축 방향의 한쪽 단부(도면에 있어서 하단)는 개구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부(3)의 하단에 마련된 장착부(3d)를 축부(2)에 삽입함으로써, 내부 통로(3a)와 축부(2)의 연통로(2a)가 연통되어 있다. 개구부(3c)는, 노즐부(3)의 중심축 주위에 대략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3c)는, 노즐부(3)의 축 방향으로 긴 역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단, 역삼각형 형상에 한하지 않고, 직사각형 형상이나 타원형 등 여러 가지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폐지부(3b)를 별체(別體)로 마련하고, 둘레 방향으로 노치를 복수 형성한 통체에 폐지부(3b)를 씌움으로써, 개구부(3c)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노즐부(3)는, 예컨대 인간의 악력(握力) 정도의 힘을 받아도 거의 변형하지 않는 경질 재료, 예컨대 경질의 합성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 간단히 변형하는 것과 같은 연질 재료를 이용하여 제조해도 좋다. 연질 재료의 경우, 노즐부(3) 내에 머문 거품을 짜낼 수 있다.
조작부(4)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의 축 방향의 중간부로부터 직경 외측 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노즐부(3)측의 면[상면: 에어로졸 용기(110)측과는 반대측의 면]이, 압박 조작(내용물의 토출 조작)을 하기 위한 압박면(4a)으로 되어 있다. 즉, 조작부(4)는, 노즐부(3)의 외주에 있어서, 노즐부(3)보다 에어로졸 용기(110)측에 압박면(4a)을 갖고 있다. 압박면(4a)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이고, 노즐부(3)[축부(2)] 주위를 둘러싸고 있다. 또한, 측면에서 보면, 도 2a나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축부(2)]를 중심으로 둘레 방향으로 기복하고 있다. 기복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고, 압박면(4a)에는, 소정의 간격으로 오목부(4b)와 볼록부(4c)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작부(4)에서는, 45도마다 볼록부(4c)와 오목부(4b)가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1개의 오목부(4b)와 1개의 볼록부(4c)로 1개의 기복으로 한 경우, 4개의 기복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 또한, 평면도에서 보아, 노즐부(3)를 중심으로 하여, 어느 오목부(4b)로부터 180도 회전한 위치에 오목부(4b)가 위치하고, 어느 볼록부(4c)로부터 180도 회전한 위치에 볼록부(4c)가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즉, 노즐부(3)를 중심으로 하여, 오목부(4b, 4b)끼리 및 볼록부(4c, 4c)끼리가 대칭이 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c)의 정점으로부터 오목부(4b)의 최하점까지의 차[오목부(4b)와 볼록부(4c)의 고저차](H1)는, 예컨대 3 ㎜~15 ㎜이다. 압박면(4a)의 이면에 해당하는 면(하면)으로부터는, 축부(2)의 하단을 둘러싸도록 하여, 통형체(4d)가 하방을 향해 연장되어 있다. 이 통형체(4d)는, 손으로 압박면(4a)이 토출 조작되었을[에어로졸 용기(110)측으로 압입되었을] 때에, 어깨 커버(160)의 안내부(160b)의 내주면과 미끄럼 이동하여 상하 방향으로 작동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가이드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구성의 에어로졸 제품(100)은, 캡(150)을 떼어낸 후에, 도 1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의 개구부(3c)가 손바닥측에 위치하도록, 또한 조작부(4)가 손등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노즐부(3)와 조작부(4) 사이에 손을 집어넣고, 손가락(F, F) 사이의 밑동(예컨대 중지와 약지 사이)에 축부(2)를 위치시키면서, 손가락(F)의 등과 손등을 조작부(4)의 압박면(4a)에 접촉시키고, 적절히, 손가락(F)의 등과 손등으로 압박면(4a)을 누름으로써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것을 상정하고 있다. 손가락(F)의 등측은, 각 손가락(F)의 굵기의 차이나 관절 등에 의해, 자연스러운 상태에서는 손가락(F, F)끼리의 높이가 상이하지만, 압박면(4a)에 오목부(4b)나 볼록부(4c)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F, F)끼리의 높이의 차이를 흡수 또는 경감할 수 있고, 손가락(F)의 등이나 손등이어도 조작부(4)를 압입하기 쉽다.
또한, 본 발명의 토출 부재(1)에서는, 조작부(4)를 눌러 거품을 토출시킨 후, 손을 노즐부(3)의 선단측을 향해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노즐부(3)의 외주에 부착되어 있는 거품을 손바닥으로 취할 수 있다. 노즐부(3)의 축 방향이 위를 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아래로부터 거품을 떠올리도록 하여 손바닥에 취할 수 있기 때문에, 거품의 형상을 무너뜨리기 어렵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노즐부(3)의 경우, 에어로졸 용기(110)로부터 공급된 거품이, 축부(2) 내의 연통로(2a) 및 노즐부(3)의 내부 통로(3a)를 통해 노즐부(3)의 축 방향으로 진행되고, 폐지부(3b)에 의해 측방으로 방향을 변경하여, 복수의 개구부(3c)로부터 외부로 토출된다(도 1의 화살표 참조). 이때, 가늘고 긴 개구부(3c)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거품은, 불규칙하게 기복하면서 토출되게 되어, 카네이션이나 맨드라미의 꽃과 같은 형태를 이루는데, 이 형상을 무너뜨리지 않고, 손바닥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특히, 손을 노즐부(3)의 선단까지 슬라이드시켜 위[노즐부(3)의 축 방향]로 빼내도록 하면, 노즐부(3)에 의해 거품이 무너질 염려도 적다. 또한, 거품을 토출하는 동안, 항상 개구부(3c) 아래에 손을 더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거품이 노즐부(3)로부터 늘어져 떨어졌다고 해도 확실히 손에 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조작부(4)와는 다른 조작부에 대해 설명한다. 도 3a는 기복의 수가 3개인 조작부(41), 도 3b는 기복의 수가 5개인 조작부(42), 도 3c는 기복의 수가 6개인 조작부(43)를 도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기복의 수를 증감시켜도, 상기 실시형태의 것과 대략 동일한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한편, 기복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적어도 외주측에 있어서 손가락의 폭의 절반 정도의 폭을 가진 오목부(4b)가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다른 토출 부재(11)를 도시하고 있다. 앞의 토출 부재(1)는, 축부(2)와 노즐부(3)와 조작부(4)가 일체로 되어 있었으나, 이 토출 부재(11)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44)가, 축부(21)나 노즐부(3)와는 별체로 되어 있다. 또한, 조작부(44)가 힌지(5)를 통해 어깨 커버(260)에 연결되어 있다. 어깨 커버(260)는, 용기 본체(120)의 홈부(120c)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어깨 커버(260)는, 상방부가 직경이 축소됨으로써 이루어지는 단차부(260a)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이 단차부(260a)는 캡(150)을 어깨 커버(260)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도 4a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21)의 하단은 스템 장착부(21a)로 되어 있는데, 이 스템 장착부(21a)의 상방에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플랜지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21b)의 상면에는, 축부(21)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리브(21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리브(21c, 21c)끼리는 평면도에서 보아, 일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리브(21c)는, 노즐부(3)와 조작부(44) 사이에 손을 집어넣을 때, 집어넣는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즉, 압박면(4a)에 손을 배치하고자 하면,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리브(21c)를 위치시키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자연히 손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플랜지부(21b)의 상면에는, 평면도에서 보아, 리브(21c)와 대략 평행하게 반원형의 핀 지점(支點)(21d)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이 핀 지점(21d)은, 힌지(5)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가력(加力) 방향이 항상 변화하는 조작부(44)로부터의 압박력을, 연직력[에어로졸 용기(110)로 향하는 힘]으로 변환하여 스템(130a)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부(44)의 상면[노즐부(3)측]에 위치하는 압박면(4a)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5)측이 가장 높고 거기로부터 완만히 내려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전체로서 큰 오목부(4b)를 형성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완만한 볼록면을 형성하는 손등의 형태를 따르도록 되어 있다. 압박면(4a)의 중심에는, 축부(21)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44a)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44a)는 힌지(5)를 향해 연장된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구(44a)의 내주면을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축부(21)의 핀 지점(21d)을 압입하기 위한 압입편(44b)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21)는, 한쪽의 리브(21c)가 힌지(5)측으로 향하고, 다른쪽의 리브(21c)가 힌지(5)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하여, 개구(44a)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토출 부재(11)에서는, 손바닥을 위[노즐부(3)측]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압박면(4a)의 낮은 측으로부터 노즐부(3)와 조작부(44) 사이에 손을 집어넣어,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리브(21c)나 축부(21)를 위치시키고, 손가락의 등이나 손등과 압박면(4a)을 접촉시키며, 적절히, 압박면(4a)을 밀어내림으로써, 에어로졸 용기(110)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이 토출 부재(11)에서는, 주로 손등으로 압박면(4a)을 누르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의 등으로 누르는 경우에 비해 토출 조작이 편하다.
한편, 압박면(4a)은, 힌지(5)측이 가장 낮고 거기로부터 완만히 올라간 형상으로 해도 좋다. 즉, 도 4a와 반대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세면대 등에 놓은 에어로졸 제품을 선 상태에서 사용하는 등, 압박면(4a)에 대해 높은 위치로부터 조작할 때에, 압박면(4a)을 따라 손을 집어넣기 쉽고, 또한 손등으로 토출 조작하기 쉽다.
도 5는 도 1의 노즐부(3)와는 다른 노즐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 노즐부(토출 노즐)(31)는, 개구부(3c)를 구성하는 개구 내주면(3e)이, 내부 통로(3a)로부터 개구부(3c)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물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한 쌍의 측면(3e1, 3e2)을 구비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부(31)가 두껍고, 개구부(3c)의 입구[개구부(3c)와 내부 통로(3a)의 경계](3f)로부터 출구[개구부(3c)와 노즐부(31)의 외면의 경계](3g)까지 이어지는 한 쌍의 측면(3e1, 3e2)에 의해, 토출물인 거품의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의 제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어 통로의 수평 방향의 길이(L1)는, 개구부(3c)의 입구(3f)의 수평 방향의 폭(W1)보다 길다. 또한, 한 쌍의 측면(3e1, 3e2)은, 내부 통로(3a)로부터 외부를 향해 호를 그리고 있고, 각 호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어 통로가 만곡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노즐부(31)의 경우, 거품이 만곡된 제어 통로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기 때문에, 노즐부(31)의 축 주위로 선회하면서 토출된다(도 5c의 화살표 참조). 동시에, 분사제의 기세에 의해 상향으로도 진행되기 때문에, 먼저 토출된 거품의 하방에 뒤에서부터 토출된 거품이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나선형(소프트크림형)의 거품이 얻어진다. 이 나선형의 거품은 토출될 때에는 주위로 비산하기 어렵고, 또한, 노즐부(31) 주위에 부착되어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손바닥으로 걷어 내기 쉽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토출 부재에서는, 압박면(4a)의 기복[오목부(4b)나 볼록부(4c)]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반드시 등간격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불규칙하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오목부(4b)의 폭과 볼록부(4c)의 폭을 동일하게 할 필요도 없고, 오목부(4b)의 폭을 볼록부(4c)의 폭보다 크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해도 좋다. 오목부(4b)의 홈의 깊이나 볼록부(4c)의 산의 높이에 대해서도, 전부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고, 각각 상이하게 해도 좋다. 또한, 손가락의 등의 형태를 따른 압박면(4a)으로 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토출 부재(11)의 방향 안내부로서는, 리브(21c)에 한하지 않고, 판형이나 원기둥형의 돌기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여도 좋다. 예컨대, 도 4b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관절에 위치하는 개소에 오목부(44c)를 형성해 두면, 손을 삽입하는 방향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안내부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토출 부재(1)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이상적인 각도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향 안내부를 축부(2, 21)가 아니라, 노즐부(3, 31)나 조작부(4, 41, 42, 43, 44), 압박면(4a)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1에서는, 에어로졸 제품(100)이 캡(150)이나 어깨 커버(160)를 구비하고 있었으나,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도 6에 도시된 에어로졸 제품(10)은, 발포성 내용물을 충전한 에어로졸 용기(111)와, 그 에어로졸 용기(111)의 상단에 장착되는 어깨 커버(12)와, 토출 부재(13)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용기(111)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용기 본체(14)와, 용기 본체(14)의 상단 개구에 고착되는 에어로졸 밸브(15)를 포함한다. 용기 본체(14)는 금속제 또는 합성 수지제이고, 어깨부(16)에는 오버 캡(17)을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단차부(18)가 형성되어 있다. 단차부(18)의 세로벽(18a)의 하부에는, 오버 캡(17)을 걸기 위한 걸림 홈(18b)이 형성되어 있다.
에어로졸 밸브(15)는, 밸브 하우징(19)과, 그 밸브 하우징을 용기 본체(14)의 개구에 고착하기 위한 마운팅 캡(20)과, 밸브 하우징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고, 밀어내림 조작에 의해 내용물을 토출하는 스템(121)과, 그 스템을 상향으로 압박하는 스프링과, 스템의 스템 구멍을 시일하는 스템 러버와, 마운팅 캡과 용기 본체 사이를 시일하는 개스킷 등을 구비한 공지의 것이다.
어깨 커버(12)는, 용기 본체(14)의 비드부(14a)에 씌운 마운팅 캡(20)의 둘레 가장자리부(20a)에 장착되고, 토출 부재(13)를 통과시키는 개구를 갖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부재이다. 어깨 커버(12)는 합성 수지 등으로 형성된다. 어깨 커버(12)는 에어로졸 밸브(15)를 숨겨 미관을 좋게 하는 것이며, 생략할 수도 있다. 어깨 커버(12)에 토출 부재(13)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설치할 수도 있다. 어깨 커버(12)와 토출 부재(13)의 하부를 힌지로 연결할 수도 있다. 용기 본체(14)가 합성 수지제인 경우에는, 어깨 커버를 나사로 고정할 수도 있다.
토출 부재(13)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의 조작부(122)와, 상방의 노즐(토출 노즐)(23)을 포함한다. 도 7a의 노즐(23)의 우측은, 도 7b의 Ⅱa-Ⅱa선에 의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7b의 우측은 도 7a의 Ⅱb-Ⅱb선에 의한 단면을 도시한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22)는, 내부에 중심을 따라 연장되는 통로(24)를 갖는 통체(22a)를 갖고, 통체(22a)의 외주에는 상하 방향의 도중에 반경 방향으로 확대되는 누름편(25)이 조작편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누름편(25)의 하부에, 통체(22a)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기부(基部; 25c)를 구비한다.
누름편(25)은 얇은 원판형이고, 사용자의 손가락(F)의 등과 피트하기 쉽도록 둘레 방향으로 물결치고 있다. 물결의 산(25a)과 골(25b)은, 예컨대 3개~5개 정도, 방사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누름편(25)은 평탄한 원판으로 할 수도 있다. 통로(24)의 하단은 스템(121)과 감합(嵌合)하는 감합 구멍으로서 작용하고, 상단은 노즐(23)과의 감합부이다. 조작부(122)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폴리아세탈 등의 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등의 경질의 합성 수지의 성형품을 사용할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23)은 전체적으로 상단이 폐쇄된 통형을 나타낸다. 노즐(23)의 상부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된 럭비볼형의 토출부(26)이며, 그 내부에 내용물의 발포를 재촉하고, 거품을 유지하는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노즐(23)의 하부는 원통형의 장착부(27)이다. 장착부(27)의 내부에는 공간(S)과 연통되는 통로(내부 통로)(27a)가 형성되고, 그 하단은 개구되어 있다. 장착부(27)의 하단 외주는 조작부(122)의 통로(24)의 상단에 감합하도록 가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토출부(26)의 측면에는 내부의 공간(S)과 외부를 연통하는 토출구(개구부)(28)가 4개,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토출구(28)는 복수 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2개~6개, 바람직하게는 3개~5개, 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토출구(28)는, 세로로 긴 방추형 등으로 되어 있고, 토출부의 공간(S)으로부터 표면에 걸친 단면(두께에 대응하는 면)이 측벽(측면)(28a, 28b)을 구성하며, 토출구(28)는 한 쌍의 측벽(28a, 28b)으로 방추형으로 되고,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개구되어 있다. 도 7a에서는, 측벽(28a, 28b)은 노즐(23)의 중심을 지나는 면을 따르고 있고, 반경 방향 외향으로 벌어져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노즐(23) 전체가 고무, 엘라스토머 등의 찌부러뜨림 가능한 탄성 재료로 성형된 것이다. 한편, 손가락에 의한 찌부러뜨림이 가능하고, 외력을 제거하면 복귀하는 것이면, 폴리에틸렌, 폴리젖산 등의 합성 수지로 탄성을 갖도록 성형해도 좋다. 한편, 토출부(26)만, 혹은 토출부의 일부만 탄성 변형 가능하게 구성해도 좋다. 또한 찌부러뜨림 가능한 재료이면 탄성 재료가 아니어도 좋고, 그 경우에는 다음 토출 시에 내압에 의해 원래의 형상으로 되돌아간다. 또한, 조작부(122)에 대해서도, 조작 및 제조에 지장이 없는 범위에서 노즐(23)과 동일한 탄성 재료로 형성해도 좋다. 탄성 재료인 경우도, 탄성 재료가 아닌 경우도, 노즐(23)과 조작부(122)를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 도 8~도 10을 참조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에어로졸 제품(10)의 사용 방법을 설명한다. 에어로졸 제품(10)은 테이블 등의 위에 배치해 둔다. 사용자는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예컨대 중지와 약지 사이에 조작부(122)의 통체(22a)나 노즐(23)을 끼우도록 하여 손가락(F)의 등과 손등을 누름편(25)에 밀어붙이고(도 6 참조),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내린다. 그에 의해 스템(121)이 밀어내려지고, 에어로졸 밸브(15)가 개방되어, 발포성 내용물이 스템(121)의 상단으로부터 토출된다. 또한 내용물은 발포하면서 통로(24, 27a)를 통해 상승하여, 공간(S)에 들어간다. 내용물은 스템(121)으로부터 나왔을 때에 발포하거나, 혹은 대기압인 공간(S) 내에서 발포한다.
공간(S) 내의 거품(Fo)은,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토출구(28)로부터 토출된다. 이때 최초로 토출된 거품은 토출구(28)의 상단에서 상방으로의 이동이 억제되고, 새롭게 나오는 거품이 먼저 나와 있었던 거품 아래에 겹쳐져, 카네이션 등의 꽃과 같은 입체적인 거품체(Aw)가 토출부(26)를 중심으로 하여 4방향으로 형성된다. 원하는 양이 토출되면, 사용자는 누름편(25)을 누르는 것을 중지하면 된다. 그에 의해 에어로졸 밸브(15)가 폐쇄되고, 거품이 나오지 않게 된다.
계속해서 사용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바닥을 상승시켜, 거품체(Aw)를 손바닥으로 걷어 낸다. 그때, 장착부(27)보다 직경이 큰 토출부(26)는, 손가락의 진행에 맞춰 압축된다. 그 때문에, 사용자는 손가락으로 토출부(26)를 훑어 올림으로써, 거품체의 손바닥으로의 이동을 시키면서 토출부(26)의 내부의 공간(S)에 남아 있는 거품을 짜낼 수 있다. 그 때문에, 노즐(23) 내에는 거품이 거의 남지 않아, 위생적이다.
사용자의 손가락(F)이 노즐(23)에서 떨어졌을 때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품체(Aw)는 거의 전량이 손바닥에 옮겨져 있다. 그리고 토출부(26)는 탄력에 의해 원래의 럭비볼형으로 되돌아간다. 그때, 통로(24, 27a) 내에 남아 있는 소량의 거품(Fo)은, 토출부(26) 내에 흡인되어, 사용 후도 잠시 거품이 토출되는 애프터 드로우가 억제된다. 그 때문에, 미관이 좋다.
상기한 바와 같이 도 6의 에어로졸 제품(10)은, 입체적인 거품체(Aw)를 노즐 주위에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형태를 무너뜨리지 않고 손바닥에 옮길 수 있고, 노즐 내부의 거품 잔류가 적어 애프터 드로우가 발생하기 어려운 이점이 있다.
다음으로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노즐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1의 노즐(토출 노즐)(30)은, 토출부(26)에 형성하는 토출구(개구부)(131)를 비스듬한 방향으로 커트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토출구(131)를 형성하는 한 쌍의 측벽(측면)(31a, 31b)은 비스듬히 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토출구(131)로부터 나오는 거품은, 노즐(30) 주위를 선회하도록 토출되어, 소프트크림과 같은 입체적인 소용돌이형의 거품체가 얻어진다. 그리고 사용자는, 소용돌이치면서 토출되는 모습을 바라 보고 즐길 수 있다. 한편, 토출구(131)의 기울기나 폭의 크기를 일치시키지 않고 토출구마다 변화시켜도 좋다. 또한 기울기의 방향이 엇갈리도록 변화시켜도 좋다.
도 12는 다른 토출 부재(132)를 도시하고 있다. 앞의 토출 부재(13)는, 조작부(122)의 통체(22a)와 누름편(25)이 일체로 되어 있었으나, 이 토출 부재(132)는,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토출 노즐)(133)을 유지하는 축부(통체)(134)와 누름부(조작편)(135)가 별체로 되어 있고, 누름부(135)는 힌지(136)를 통해 어깨 커버(137)에 연결되어 있다. 어깨 커버(137)는, 용기 본체(14)의 걸림 홈(18b)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이 어깨 커버(137)는, 상방부가 직경이 축소됨으로써 이루어지는 단차부(37a)를 구비하고 있다. 이 단차부(37a)는 오버 캡(도 6의 부호 17 참조)을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노즐(133)은 럭비볼형이 아니라, 위를 향해 점차로 직경이 확대되는 역원뿔형을 나타내고 있다. 토출구(28)는 위를 향해 점차로 확대되는 역삼각형의 형상이다.
도 12a나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부(134)의 하단은 스템 장착부(34a)로 되어 있는데, 이 스템 장착부(34a)의 상방에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의 플랜지부(34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플랜지부(34b)의 상면에는, 축부(134)의 상단까지 이어지는 리브(34c)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리브(34c, 34c)끼리는 평면도에서 보아, 일직선 상에 늘어서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들 리브(34c, 34c)는, 노즐(133)과 누름부(135) 사이에 손을 집어넣을 때, 집어넣는 방향을 안내하는 방향 안내부로서 기능한다. 즉, 압박면(35a)에 손을 배치하고자 하면,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리브(34c)를 위치시키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자연히 손의 방향이 결정되는 것이다.
또한, 플랜지부(34b)의 상면에는, 평면도에서 보아, 리브(34c)와 대략 평행하게 반원형의 핀 지점(3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핀 지점(34d)은, 힌지(136)를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가력 방향이 항상 변화하는 누름부(135)로부터의 압박력을, 연직력[에어로졸 용기(111)로 향하는 힘]으로 변환하여 스템(121)에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누름부(135)의 상면[노즐(133)측]에 위치하는 압박면(35a)은,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에서 보아 대략 원형이지만, 측면에서 보면,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136)측이 가장 높고 거기로부터 완만히 내려간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전체로서 큰 오목부(35b)를 형성하고 있어, 자연스러운 상태에서 완만한 볼록면을 형성하는 손등으로부터 손가락의 등의 형태를 따르도록 되어 있다. 압박면(35a)의 중심에는, 축부(134)를 관통시키기 위한 개구(35c)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5c)는 힌지(136)를 향해 연장된 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개구(35c)의 내주면을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축부(134)의 핀 지점(34d)을 압입하기 위한 압입편(35d)이 설치되어 있다. 축부(134)는, 한쪽의 리브(34c)가 힌지(136)측으로 향하고, 다른쪽의 리브(34c)가 힌지(136)와 반대측을 향하도록 하여, 개구(35c)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토출 부재(132)에서는, 손바닥을 위[노즐(133)측]로 향하게 한 상태에서, 압박면(35a)의 낮은 측으로부터 노즐(133)과 누름부(135) 사이에 손을 집어넣어,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에 리브(34c)나 축부(134)를 위치시키고, 손가락의 등이나 손등과 압박면(35a)을 접촉시키며, 적절히, 누름부(135)를 밀어내림으로써, 에어로졸 용기(111)로부터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이 토출 부재(132)에서는, 주로 손등으로 압박면(35a)을 누르게 되기 때문에, 손가락의 등으로 누르는 경우에 비해 토출 조작이 편하다.
한편, 압박면(35a)은, 힌지(136)측이 가장 낮고 거기로부터 완만히 올라간 형상으로 해도 좋다. 즉, 도 12a와 반대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예컨대 세면대 등에 놓은 에어로졸 제품을 선 상태에서 사용하는 등, 압박면(35a)에 대해 높은 위치로부터 조작할 때에, 압박면(35a)을 따라 손을 집어넣기 쉽고, 또한 손등으로 토출 조작하기 쉽다.
도 13c는 도 6의 노즐(23)과는 다른 노즐을 도시한 것이다. 이 노즐(토출 노즐)(40)은, 상하로 긴 토출구(개구부)(141)를 구성하는 개구의 좌우의 내연(內緣)이, 통로 내부의 공간(S)으로부터 토출구(14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토출물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한 쌍의 측벽(측면)(41a, 41b)으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40)이 두껍고, 토출구(141)의 입구[토출구(141)와 공간(S)의 경계](41c)로부터 출구[토출구(141)와 노즐(40)의 외면의 경계](41d)까지 이어지는 한 쌍의 측벽(41a, 41b)에 의해, 토출물인 거품의 토출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의 제어 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예컨대, 제어 통로의 수평 방향의 길이(L1)는, 토출구(141)의 입구(41c)의 수평 방향의 폭(W1)보다 길다. 또한, 한 쌍의 측벽(41a, 41b)은, 공간(S)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호를 그리고 있고, 각 호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환언하면, 제어 통로가 만곡되어 있다(도 13c 참조). 그리고 노즐(40)은 위를 향해 가늘어지고 있기 때문에, 도 13c의 평면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노즐(40)을 위에서 보았을 때, 제어 통로의 길이가 아래로 갈수록 길어진다. 그 때문에, 토출구(141)의 출구(41d)의 위치는 아래로 갈수록 제어 통로의 만곡에 맞춰 반시계 방향으로 어긋나 있다. 또한, 토출구(141)의 출구(41d)는 위를 향해 점차로 좁아지고 있다.
상기 구성의 노즐(40)의 경우, 거품이 만곡된 제어 통로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기 때문에, 노즐(40)의 축 주위로 선회하면서 토출된다(도 13c의 화살표 참조). 동시에, 분사제의 기세에 의해 상향으로도 진행되기 때문에, 먼저 토출된 거품의 하방에 뒤에서부터 토출된 거품이 부분적으로 중첩되어, 나선형(소프트크림형)의 거품이 얻어진다. 이 나선형의 거품은 토출될 때에는 주위로 비산하기 어렵고, 또한, 노즐(40) 주위에 부착되어 늘어져 떨어지기 어렵기 때문에, 손바닥으로 걷어 내기 쉽다.
한편, 상기한 노즐(40)은, 도 13b와 같이 두꺼우나, 토출구(141)의 부분에서는 절곡시키기 쉽기 때문에, 비교적 용이하게 손가락으로 찌부러뜨릴 수 있다. 한편, 근원부에 미리 부분적으로 얇게 한 접음선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연질의 찌부러뜨림 가능한 재료, 예컨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엘라스토머, 합성 고무, 천연 고무나 합성 수지의 발포체를 이용해도 좋다. 발포체의 경우에는 내면 및 외면에 평활한 스킨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도 6~도 8에 도시된 토출 부재에서는, 누름편(25)의 상면(압박면)의 기복[물결의 산(25a)이나 골(25b)]이 등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었으나, 반드시 등간격으로 형성할 필요는 없고, 불규칙하게 형성해도 좋다. 또한, 골(25b)의 폭과 산(25a)의 폭을 동일하게 할 필요도 없고, 골(25b)의 폭을 산(25a)의 폭보다 크게 하거나, 작게 하거나 해도 좋다. 골(25b)의 깊이나 산(25a)의 높이에 대해서도, 전부 동일하게 할 필요는 없고, 각각 상이하게 해도 좋다. 또한, 손가락의 등의 형태를 따른 압박면으로 해도 좋다. 누름편을 대신하여, 당김 조작 혹은 경도(傾倒) 조작하는 조작편이어도 좋다.
또한, 도 12a~도 12c에 도시된 토출 부재(132)의 방향 안내부로서는, 리브(34c)에 한하지 않고, 판형이나 원기둥형의 돌기여도 좋다. 또한, 오목부여도 좋다. 예컨대, 도 12b의 일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손가락의 관절에 위치하는 개소에 오목부(35e)를 형성해 두면, 손을 삽입하는 방향을 미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방향 안내부는, 도 6~도 8에 도시된 토출 부재(13)의 누름편(25)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이상적인 각도로 손을 집어넣을 수 있게 된다. 또한, 방향 안내부를 축부(134)가 아니라, 노즐(13, 30, 133)이나 누름편(25)이나 누름부(135)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도 6에서는, 에어로졸 제품(10)이 오버 캡(17)이나 어깨 커버(12)를 구비하고 있었으나, 반드시 설치할 필요는 없다.
또한, 도 6의 실시형태에서는 노즐(23) 전체를 고무 등으로 형성하고 있으나, 장착부(27)를 경질의 합성 수지로 하고, 고무, 엘라스토머 혹은 연질 수지를 포함하는 토출부(26)와 조합하여 인서트 성형해도 좋다. 또한, 누름편(25)으로서 통체(22a)를 둘러싸는 원판형의 것을 채용하고 있으나, 1개소~4개소 정도, 반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판편(板片)을 채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도 21에 기재된 에어로졸 제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도 21은 일본 특허 출원 제2018-077767호에 기재된 에어로졸 제품에 관한 것이다. 먼저, 도 14부터 설명해 가면, 도 14에 도시된 2액 토출 제품(에어로졸 제품)(101)은, 토출 용기(에어로졸 용기)(102)와, 토출 용기(102)에 충전된 2종류의 원액(C1, C2)(도 20b 참조)과, 2액 토출 노즐(3B)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액 토출 노즐(3B)을 조작하기 위한 조작 부재(4B)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 용기(102)는, 제1 원액(C1)이 충전된 제1 토출 용기(21A)와, 제2 원액(C2)이 충전된 제2 토출 용기(22A)를 포함하고, 도시하지 않은 결속 부재에 의해 병설 상태로 서로 고정되어 있다.
토출 용기(102)는, 제1 토출 용기(21A)와 제2 토출 용기(22A) 모두, 바닥이 있는 통형의 용기 본체(200)와, 용기 본체(200)의 상단에 형성된 개구부에 부착되는 밸브 어셈블리(201)를 포함하는, 이른바 에어로졸 용기이다. 용기 본체(200)는, 원액(C1, C2)을 토출하기 위해서 내부에 충전되는 분사제(P)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내압성을 갖고 있다. 재질로서는, 예컨대 알루미늄이나 생철 등의 금속,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합성 수지나 유리 등을 들 수 있으나, 다른 소재를 이용해도 좋다. 밸브 어셈블리(201)는, 원액(C1, C2)이나, 원액과 분사제(P)의 혼합물의 분사구가 되는 스템(202)과, 스템(202)의 스템 구멍을 막는 스템 러버(203)와, 스템(202)을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하는 하우징(204)과, 스템(202)을 압박하여, 비조작 시에 스템 러버(203)에 의한 스템 구멍의 폐색을 유지하는 스프링(205)을 포함하는 밸브 기구(206)와, 이 밸브 기구(206)를 용기 본체(200)의 개구부에 부착하는 마운틴 커버(207)를 구비한 종래 공지의 것이다(도 20a, 도 20b 참조). 단, 이것에 한하지 않고 다른 구성의 밸브 어셈블리를 이용해도 좋다.
토출 용기(102)에 충전되는 원액(C1, C2)은 예컨대 2액 반응 제제이며, 제1 토출 용기(21A)에 한쪽의 원액[제1 원액(C1)]이 충전되고, 제2 토출 용기(22A)에 다른쪽의 원액[제2 원액(C2)]이 충전되어 있다. 원액(C1, C2)이 2액 반응형의 염모제인 경우, 예컨대, 제1 토출 용기(21A)에, 산화에 의해 발색하는 염료(파라페닐렌디아민 등)를 함유하는 제1 제(劑)가 충전되고, 제2 토출 용기(22A)에, 염료를 산화시키는 산화제(과산화수소)를 함유하는 제2 제가 충전된다.
토출 용기(102)에 충전되는 분사제(P)는, 예컨대 질소, 이산화탄소, 공기 등의 압축 가스, 액화 석유 가스, 디메틸에테르, 하이드로플루오로올레핀 등의 액화 가스를 들 수 있다. 단, 이것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 공지의 분사제를 이용할 수 있다.
원액(C1, C2)과 분사제(P)가 충전된 토출 용기(102)는, 스템(202)을 압입[스템(202)을 조작]함으로써, 스템 러버(203)에 의한 스템 구멍의 폐색이 해제되어, 스템(202)으로부터 원액(C1, C2)이나, 원액과 분사제(P)의 혼합물이 토출된다.
2액 토출 노즐(3B)은,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토출 노즐)(32B)와, 노즐부(32B)와 토출 용기(102)를 연결하는 본체부(31B)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본체부(31B)에 대해 설명하면, 본체부(31B)는, 평면도에서 보아 타원형의 기부(33A)와, 기부(33A)의 길이 방향의 중앙으로부터 전향(前向)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A)를 구비하고 있다. 기부(33A)는, 제1 토출 용기(21A)의 스템(202)과 제2 토출 용기(22A)의 스템(202)에 걸치는 것이 가능한 길이로 되어 있고, 하면측에, 토출 용기(102)의 스템(202)을 장착하기 위한 스템 장착부(3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스템 장착부(331)는, 스템(202)을 끼워 넣을 수 있는 구멍이고, 제1 토출 용기(21A)의 스템(202)에 장착되는 제1 스템 장착부(332)와, 제2 토출 용기(22A)의 스템(202)에 장착되는 제2 스템 장착부(333)를 포함한다. 연장부(34A)는 대략 원기둥형이고, 그 선단에 노즐부(32B)를 장착하기 위한 노즐 장착부(134a)를 구비하고 있다.
그런데 본체부(31B)는, 도 16d~도 16f나 도 17b,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템 장착부(331)로부터 노즐 장착부(134a)에 걸쳐 연통되는 통로(310)를 구비하고 있다. 통로(310)는, 제1 원액(C1)을 통과시키는 제1 통로(311)와, 제2 원액(C2)을 통과시키는 제2 통로(312)를 포함한다. 이 제1 통로(311)와 제2 통로(312)는 접속되지 않고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이 본체부(31B) 내에서 서로 혼합되는 일은 없다.
제1 통로(311)는, 기부(33A)와 연장부(34A)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1 통로(311) 중, 기부(33A)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1 스템 장착부(332)에서 개구되고, 거기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종로(縱路; 311a)와, 종로(311a)의 상단으로부터 우향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로(橫路; 311b)와, 횡로(311b)를 상하 방향으로 분기하는 분기로(311c)를 포함한다. 제1 통로(311) 중, 연장부(34A)에 위치하는 부분은, 연장부(34A)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횡로(311d)를 포함한다. 2개의 횡로(311d)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연장부(34A)의 기단에서 각각 상하 방향으로 분기된 분기로(311c)와 접속되어 있다.
제2 통로(312)에 대해서도, 기부(33A)와 연장부(34A)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제2 통로(312) 중, 기부(33A)에 위치하는 부분은, 제2 스템 장착부(333)에서 개구되고, 거기로부터 위로 연장되는 종로(312a)와, 종로(312a)의 상단으로부터 좌향 수평 방향(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횡로(312b)를 포함한다. 이 횡로(312b)는, 제1 통로(311)의 분기로(311c)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도중에서 후방으로 폭이 확장되어 있다. 또한 선단에 더하여 중간부에도 개구를 구비하고 있다. 제2 통로(312) 중, 연장부(34A)에 위치하는 부분은, 연장부(34A)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횡로(312c)를 포함한다. 2개의 횡로(312c)는, 도 1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늘어서 있고, 연장부(34A)의 기단에서 각각 횡로(312b)의 개구와 접속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체부(31B)는, 연장부(34A)의 선단에 있어서, 제1 통로(311)가 상하 방향으로 2개, 제2 통로(312)가 수평 방향으로 2개 개구되어 있다. 이 상태는, 제1 통로(311)의 노즐부(32B)측의 개구(311e)와, 제2 통로(312)의 노즐부(32B)측의 개구(312d)가, 십자형의 구획부(313)에 의해 노즐부(32B)의 축 주위[중심축(A) 주위]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도 17a 참조). 그리고, 연장부(34A)에는 각 통로와 연통되도록 하여 노즐부(32B)가 부착되어 있다.
노즐부(32B)는, 도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을 향해 뾰족해지는 대략 포탄형의 외관을 이루고 있다. 또한, 노즐부(32B)는, 도 18a나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2B)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선단이 폐쇄된 내부 통로(320)와, 내부 통로(320)의 측방[노즐부(32B)의 측면]에서 개구되는 토출구(개구부)(323)를 구비하고 있다.
토출구(323)는, 노즐부(32B)의 축 방향으로 긴 슬릿형이고, 노즐부(32B)의 축 주위에 등간격으로 4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노즐부(32B)의 축 주위로 비틀어지도록 하여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부(32B)의 근원으로부터 선단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비틀어져 있다. 이 토출구(323)는, 제1 토출구(324)와, 제2 토출구(325)를 포함하고, 제1 토출구(324)와 제2 토출구(325)는 노즐부(32B)의 축 주위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제1 토출구(324)는, 주로 제1 통로(311)의 횡로(311d)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제2 토출구(325)는, 주로 제2 통로(312)의 횡로(312c)의 연장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제1 토출구(324)와 제2 토출구(325) 사이에 위치하는 오목부는, 두께 감소부(35A)이고 내부 통로(320)와는 연통되어 있지 않다. 이 두께 감소부(35A)는 생략해도 좋다.
토출구(323)를 구성하는 개구 내주면(36A)은, 상단끼리가 서로 연결된 한 쌍의 측면부(측면)(36a, 36b)와, 측면부(36a, 36b)의 하단 사이를 연결하는 하면부(36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내부 통로(320)를 구성하는 내면(320a)과, 개구 내주면(36A)의 경계를 토출구(323)의 입구(323a)로 하고, 노즐부(32B)의 외면(32a)과, 개구 내주면(36A)의 경계를 토출구(323)의 출구(323b)로 한 경우, 토출구(323)의 입구(323a)의 노즐부(32B) 축 방향의 길이(L3)는 3 ㎜~50 ㎜, 바람직하게는 5 ㎜~40 ㎜이다. 또한, 입구(323a)의 폭(W1)은 0.3 ㎜~3 ㎜, 바람직하게는 0.5 ㎜~2 ㎜로 되어 있다.
한 쌍의 측면부(36a, 36b)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2B)의 중심축(A)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호를 그리도록 만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측면부(36a, 36b)가 토출구(323)의 입구(323a)[내부 통로(320)]로부터 출구(323b)[노즐부(32B)의 외면(32a): 외부]를 향해 호를 그리도록 하여 만곡되어 있다. 한편, 이 상태는, 각 측면부(36a, 36b)가 노즐부(32B)의 축 주위에 만곡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다. 각 측면부(36a, 36b)는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노즐부(32B)의 중심축(A)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반시계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이것은, 토출구(323)의 노즐부(32B)의 축 방향에 있어서의 비틀어짐의 방향과 동일하다. 또한, 4개의 토출구(323)는 전부 동일한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다. 만곡의 정도, 즉 측면부(36a, 36b)의 곡률은, 한 쌍의 측면부(36a, 36b) 사이에서 서로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절대값으로 비교한 경우, 만곡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측면부(볼록면)(36a)의 곡률보다, 만곡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측면부(오목면)(36b)의 곡률 쪽이 커지고 있다(곡률 반경은 소). 또한, 한 쌍의 측면부(36a, 36b) 사이의 간격은 외측을 향해 확대되어 있다. 내부 통로(320)의 폭은, 노즐부(32B)의 축 방향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다. 한편, 노즐부(32B)의 외형은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이다. 그 때문에, 한 쌍의 측면부(36a, 36b)에 의해 형성되는 제어 통로(37A)의 수평 방향의 길이(L2)는, 선단(상방)으로 향함에 따라 짧아지고 있다. 제어 통로(37A)의 길이(L2)는 1 ㎜~6 ㎜, 바람직하게는 2 ㎜~5 ㎜이다.
하면부(36c)는, 도 1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2B)의 축 방향에 대해 비스듬하다. 구체적으로는, 노즐부(32B)의 선단을 향해 벌어지도록 하여 각도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부재(4B)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즐부(32B)를 제외하는 2액 토출 노즐(3B)과 토출 용기(102)의 상부를 덮는 커버부(41A)와, 스템(202)을 조작하기 위한 누름 버튼부(42A)를 구비하고 있다. 커버부(41A)는, 평면 형상이 대략 타원으로 된 통형 부재이다. 상단측은 누름 버튼부(42A)를 설치하는 부분을 제외하고 막혀져 있다. 한편, 하단측은 개구되어 있고, 2액 토출 노즐(3B)과 토출 용기(102)의 상부를 내포한 상태로, 토출 용기(102)에 직접 또는 제1 토출 용기(21A)와 제2 토출 용기(22A)를 묶는 결속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간접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누름 버튼부(42A)는, 평면도에서 보아, 커버부(41A)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누름 버튼부(42A)는 커버부(41A)와 힌지(43A)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2액 토출 제품(101)은, 누름 버튼부(42A)를 압입하면, 누름 버튼부(42A)의 하방에 위치하는 2액 토출 노즐(3B)이 압입되고, 스템(202)이 압입된다. 그러면, 토출 용기(102)로부터 각각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이 분사되고, 2액 토출 노즐(3B) 내에 형성된 통로를 지나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제1 통로(311)의 노즐부(32B)측의 개구(311e)와, 제2 통로(312)의 노즐부(32B)측의 개구(312d)가, 노즐부(32B)의 축 주위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 통로(320) 내에서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이 합류하지만, 주로 제1 토출구(324)로부터 제1 원액(C1)이 토출되고, 주로 제2 토출구(325)로부터 제2 원액(C2)이 토출된다. 또한, 제1 토출구(324)와 제2 토출구(325)가 노즐부(32B)의 축 주위에 교대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은 인접한 상태로 토출된다. 또한, 개구 내주면(36A)의 한 쌍의 측면부(36a, 36b)가 만곡되어 있거나, 토출구(323)가 노즐부(32B)의 축 주위로 비틀어져 있기 때문에, 이들이 원액(C1, C2)을 노즐부(32B)의 축 주위로 선회시키는 선회 수단(R)으로서 기능하여, 원액(C1, C2)이 노즐부(32B) 주위에 휘감기도록 하여 토출된다. 그 결과, 원액(C1, C2)이 노즐부(32B) 주위를 선회하는 동안에, 내측으로부터 차례차례로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이 교대로 중첩되게 되고, 층형의 토출물이 얻어진다. 층의 두께는, 토출구(323)가 슬릿형이기 때문에, 원형 형상이나 정사각형 형상의 구멍으로부터 토출시키는 경우에 비해 얇다. 그 때문에, 가볍게 섞는 것만으로,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을 간단히 서로 혼합시킬 수 있다. 한편, 토출물은 어느 정도, 노즐부(32B) 주위를 선회하면 후속의 토출물에 밀려 노즐부(32B)의 전방으로 송출된다. 따라서, 토출물은 소프트크림형을 나타낸다.
도 19는 본 발명의 2액 토출 제품(에어로졸 제품)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2액 토출 노즐(3A)의 노즐부(32B)가 위를 향하고 있다. 또한, 조작 부재(4A)가 노즐부(32B)의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조작 부재(4A)는, 스프링 등의 압박 수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측으로 압박되어 있고, 비조작 시에는 노즐부(32B)도 조작 부재(4A) 내에 격납되어 있다. 사용 시에는, 조작 부재(4A)를 아래로 압입하여, 상면에 형성된 구멍(44A)으로부터 노즐부(32B)를 돌출시킨다. 이 상태에서 조작 부재(4A)를 더욱 아래로 압입함으로써, 2액 토출 노즐(3A)을 통해 스템(202)을 압입하여, 원액(C1, C2)을 토출시킨다. 압입 조작을 멈추면, 압박 수단에 의해 조작 부재(4A)가 들어올려지고, 다시 노즐부(32B)가 조작 부재(4A) 내에 격납된다. 이러한 구성이면, 조작 부재(4A) 위에 손을 놓고, 손가락과 손가락 사이로부터 노즐부(32B)를 돌출시키도록 하여 조작 부재(4A)를 압입하면, 손의 상방에 원액(C1, C2)이 토출되기 때문에, 손을 위로 끌어올리는 것만으로 토출물을 손에 취할 수 있다. 따라서, 한 손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고, 반드시 2액 토출 제품(101A)을 들어올려 사용할 필요가 없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2액 토출 제품(10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2액 토출 제품(에어로졸 제품)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의 2액 토출 제품(101B)에서는, 하나의 용기 본체(200) 내에 2개의 내부 주머니(5A)가 설치되어 있고, 하나의 토출 용기(에어로졸 제품)(102A)가 2개의 스템(202, 202)을 갖고 있다. 내부 주머니(5A)는, 가요성을 갖는 예컨대 파우치이고, 한쪽의 내부 주머니(51)에 제1 원액(C1)이 충전되고, 다른쪽의 내부 주머니(52)에 제2 원액(C2)이 충전되어 있다. 분사제(P)는, 용기 본체(200)와 내부 주머니(5A) 사이에 충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경우, 원액(C1, C2)과 분사제(P)가 서로 혼합되지 않기 때문에, 원액(C1, C2) 그 자체를 토출할 수 있다. 즉, 원액(C1, C2)이 크림형이면, 크림형인 채로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원액(C1, C2)이 크림형이어도, 분사제(P)와 혼합 상태로 토출되면 거품형이 되기 쉽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서는 조작 부재(4B, 4A)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직접, 2액 토출 노즐(3B)을 압입하도록 되어 있다. 부호 6은 어깨 커버이다. 다른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2액 토출 제품(101)과 동일하기 때문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상기 노즐부(32B)와는 상이한 구성의 노즐부(토출 노즐)(32A)를 도시하고 있다. 이 노즐부(32A)는, 내부 통로(320)가, 십자형의 구획부(38)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본체부(31B)의 제1 통로(311)와 연통되는 제1 내부 통로(321)와, 제2 통로(312)와 연통되는 제2 내부 통로(32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내부 통로(321)와 제2 내부 통로(322)는, 각각 2개씩 형성되어 있고, 노즐부(32A)의 선단에서 보아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배치되어 있다(도 21c 참조). 이들 내부 통로(321, 322)는 접속되지 않고 독립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이 노즐부(32A) 내에서 서로 혼합되는 일은 없고, 제1 내부 통로(321)를 통과하는 제1 원액(C1)은 제1 토출구(324)로부터 토출되고, 제2 내부 통로(322)를 통과하는 제2 원액(C2)은 제2 토출구(325)로부터 토출된다. 이 노즐부(32A)는, 도 18에 도시된 노즐부(32B)를 대신하여 적용 가능하다. 한편, 도 18에 도시된 노즐부(32B)는, 내부 통로(320)에서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이 합류하기 때문에, 각 원액(C1, C2)의 유속의 차이가 시정되어, 토출 시의 원액(C1, C2)의 비산이 억제되는 경향이 보여진다. 노즐부(32A)에 대해서는, 2액 토출 노즐(3B) 내에서 원액(C1, C2)끼리가 서로 혼합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반응물이 내부에 잔류하는 일이 없고, 사용 후의 세정의 수고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선회 수단(R)으로서 2개의 구성[개구 내주면(36A)의 한 쌍의 측면부(36a, 36b)를, 노즐부(32B, 32A)의 중심축(A)으로부터 외측을 향해 호를 그리도록 만곡시키는 구성, 토출구(323)를 노즐부(32B, 32A)의 축 주위로 비트는 구성]을 도입하고 있었으나, 어느 한쪽만이어도 좋다. 또한, 개구 내주면(36A)의 한 쌍의 측면부(36a, 36b) 중, 어느 한쪽만을 만곡시키는 것만으로도 좋다. 선회 수단(R)으로서는, 그 외에, 토출구(323)의 외측에, 개구 내주면(36A)의 측면부(36a, 36b)를 연장하도록 베인을 설치하고, 그 베인을 만곡시키거나, 노즐부(32B)의 축 주위로 비틀도록 해도 좋다. 토출구(323)나 개구(311e, 312d)의 수는 적절히 증감 가능하고,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개구(311e, 312d)와 제1, 제2 토출구(324, 325)의 수나 배치 위치(배치 각도)는 일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개구(311e, 312d)와 토출구(323)를 각각 4개씩 형성하여, 90도마다 배치하고 있었으나, 6개 형성하여, 60도마다 배치해도 좋다.
원액(C1, C2)으로서는, 2액 반응 제제에 한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원액(C1)과 제2 원액(C2)에서 색을 상이하게 하면, 줄무늬형의 외관이 얻어진다. 한쪽을 거품형으로 토출하고, 다른쪽을 액형(크림형)으로 토출하는 등, 토출되는 상태를 상이하게 하도록 해도 좋다.
1, 11: 토출 부재 2, 21: 축부
2a: 연통로 21a: 스템 장착부
21b: 플랜지부 21c: 리브(방향 안내부)
21d: 핀 지점 3, 31: 노즐부(토출 노즐)
3a: 내부 통로 3b: 폐지부
3c: 개구부 3d: 장착부
3e: 개구 내주면 3e1: 한쪽의 측면
3e2: 다른쪽의 측면 3f: 개구부의 입구
3g: 개구부의 출구 4, 41, 42, 43, 44: 조작부
4a: 압박면 4b: 오목부
4c: 볼록부 4d: 통형체
44a: 개구 44b: 압입편
44c: 오목부 5: 힌지
100: 에어로졸 제품 110: 에어로졸 용기
120: 용기 본체 120a: 몸통부
120b: 어깨부 120c: 홈부
130: 에어로졸 밸브 130a: 스템
140: 마운팅 컵 140a: 볼록부
150: 캡 160, 260: 어깨 커버
160a: 개구 160b: 안내부
260a: 단차 F: 손가락
H1: 오목부와 볼록부의 고저차
L1: 제어 통로의 수평 방향의 길이
W1: 개구부의 입구의 수평 방향의 폭
10: 에어로졸 제품 111: 에어로졸 용기
12: 어깨 커버 13: 토출 부재
14: 용기 본체 14a: 비드부
15: 에어로졸 밸브 16: 어깨부
17: 오버 캡 18: 단차부
18a: 세로벽 18b: 걸림 홈
19: 밸브 하우징 20: 마운팅 캡
20a: 둘레 가장자리부 121: 스템
122: 조작부 22a: 통체
23: 노즐(토출 노즐) 24: 통로
25: 누름편(조작편) 25a: 물결의 산
25b: 물결의 골 25c: 기부
26: 토출부 27: 장착부
27a: 통로(내부 통로) 28: 토출구(개구부)
28a, 28b: 측벽(측면) 30: 노즐(토출 노즐)
131: 토출구(개구부) 31a, 31b: 측벽(측면)
132: 토출 부재 133: 노즐(토출 노즐)
134: 축부 34a: 스템 장착부
34b: 플랜지부 34c: 리브
34d: 핀 지점 135: 누름부
35a: 압박면 35b: 오목부
35c: 개구 35d: 압입편
35e: 오목부 136: 힌지
137: 어깨 커버 40: 노즐(토출 노즐)
141: 토출구(개구부) 41a, 41b: 측벽(측면)
41c: 입구 41d: 출구
L1: 제어 통로의 수평 방향의 길이
W1: 제어 통로의 수평 방향의 폭
S: 공간 Aw: 거품체
Fo: 거품
*
101, 101A, 101B: 2액 토출 제품(에어로졸 제품)
102, 102A: 토출 용기(에어로졸 용기) 21A: 제1 토출 용기
22A: 제2 토출 용기 200: 용기 본체
201: 밸브 어셈블리 202: 스템
203: 스템 러버 204: 하우징
205: 스프링 206: 밸브 기구
207: 마운틴 커버 3A, 3B: 2액 토출 노즐
31B: 본체부 310: 통로
311: 제1 통로 311a: 종로
311b: 횡로 311c: 분기로
311d: 횡로 311e: 노즐부측의 개구
312: 제2 통로 312a: 종로
312b: 횡로 312c: 횡로
312d: 노즐부측의 개구 313: 구획부
32A, 32B: 노즐부(토출 노즐) 32a: 노즐부의 외면
320: 내부 통로
320a: 내부 통로를 구성하는 내면 321: 제1 내부 통로
322: 제2 내부 통로 323: 토출구(개구부)
323a: 토출구의 입구 323b: 토출구의 출구
324: 제1 토출구 325: 제2 토출구
33A: 기부 331: 스템 장착부
332: 제1 스템 장착부 333: 제2 스템 장착부
34A: 연장부 134a: 노즐 장착부
35A: 두께 감소부 36A: 개구 내주면
36a: 한 쌍의 측면부의 한쪽의 측면부(측면)
36b: 한 쌍의 측면부의 다른쪽의 측면부(측면)
36c: 하면부 37A: 제어 통로
38: 구획부 4A, 4B: 조작 부재
41A: 커버부 42A: 누름 버튼부
43A: 힌지 44A: 상면의 구멍
C1: 제1 원액 C2: 제2 원액
P: 분사제 5A: 내부 주머니(파우치)
51: 한쪽의 파우치 52: 다른쪽의 파우치
6: 어깨 커버
L3: 토출부의 입구의 노즐부 축 방향의 길이
W1: 토출부의 입구의 폭 L2: 제어 통로의 길이
R: 선회 수단 A: 노즐부의 중심축

Claims (11)

  1. 발포성 내용물이 충전된 에어로졸 용기에 부착되는 토출 노즐로서,
    토출 노즐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부 통로와,
    상기 내부 통로의 선단을 폐쇄하는 폐지부와,
    상기 내부 통로의 측방에서 개구하는 개구부
    를 포함하는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를 구성하는 개구 내주면이, 상기 내부 통로로부터 상기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방향을 제어하는 한 쌍의 측면을 포함하는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이 각각, 상기 내부 통로로부터 외부를 향해 호를 그리고 있고, 각 호가 동일 방향으로 만곡되어 있는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측면 중, 만곡의 내주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곡률보다, 만곡의 외주측에 위치하는 측면의 곡률 쪽이 큰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 사이의 간격은 외측을 향해 확대되어 있는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앙각(仰角)을 갖고 개구되어 있는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7. 제2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토출 노즐의 축 주위로 비틀어져 있는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8. 제1항에 있어서, 외관이 대략 원뿔형인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형상은 역삼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10. 제2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관이 대략 포탄형인 것인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11. 에어로졸 용기와,
    상기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되는 발포성 내용물과,
    상기 에어로졸 용기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토출 노즐
    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제품.
KR1020207012599A 2017-12-04 2018-11-30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및 에어로졸 제품 KR202000947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2668A JP7060947B2 (ja) 2017-12-04 2017-12-04 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JP-P-2017-232668 2017-12-04
JP2017234725A JP6970602B2 (ja) 2017-12-06 2017-12-06 泡吐出用のノズル、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JP-P-2017-234725 2017-12-06
JP2018077767A JP7042680B2 (ja) 2018-04-13 2018-04-13 2液吐出ノズルおよび2液吐出製品
JPJP-P-2018-077767 2018-04-13
PCT/JP2018/044283 WO2019111823A1 (ja) 2017-12-04 2018-11-30 発泡性内容物の吐出ノズル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4737A true KR20200094737A (ko) 2020-08-07

Family

ID=66751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2599A KR20200094737A (ko) 2017-12-04 2018-11-30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및 에어로졸 제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53067B2 (ko)
EP (1) EP3722227B1 (ko)
KR (1) KR20200094737A (ko)
CN (1) CN111372868B (ko)
WO (1) WO201911182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0919A (ja)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に装着される造形ヘッド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90441A (en) * 1931-06-15 1932-12-06 Charles V Hickman Closures for collapsible tubes
US5232127A (en) 1991-10-30 1993-08-03 The Gillette Company Actuator and hood for dispensing device
JPH06100062A (ja) 1992-09-25 1994-04-12 Inax Corp フォーム状水石鹸供給器
JP3061296U (ja) 1999-02-08 1999-09-17 美佐子 山下 スプレ―容器の偏平噴出キャップ
US20010050293A1 (en) * 2000-06-13 2001-12-13 Phinn Alex J. Microwavable foodstuffs dispenser
US7934667B2 (en) * 2005-12-08 2011-05-03 L'oreal Diffuser and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foaming product
DK2174881T3 (da) * 2008-10-13 2012-10-01 Ideas Denmark As Hældeindsats
US20120104113A1 (en) * 2009-02-25 2012-05-03 Digital Innovations, Llc Vented Dispensing Device
US8905264B2 (en) * 2010-02-18 2014-12-09 Starborn Industries, Inc. Nozzle assembly
US9038866B2 (en) * 2013-03-12 2015-05-26 Orbital Atk, Inc. Application tips including a dispensing nozzle with one or more dispensing passages extending along a length thereof and related methods
JP6467299B2 (ja) 2015-06-22 2019-02-13 花王株式会社 泡吐出容器
CN107921448B (zh) * 2015-09-04 2021-02-09 欧莱雅 用于喷射产品的装置
CN109394551B (zh) * 2015-12-28 2022-08-02 花王株式会社 气溶胶化妆品
JP6914199B2 (ja) 2016-01-29 2021-08-04 株式会社ダイゾー 吐出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製品
JP2017137070A (ja) 2016-02-01 2017-08-10 花王株式会社 エアゾール用ノズル
CN205597008U (zh) * 2016-05-16 2016-09-28 桑方仁 花嘴
JP6960768B2 (ja) 2016-05-30 2021-11-05 株式会社ダイゾー 発泡性内容物の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2018077767A (ja) 2016-11-11 2018-05-17 ローランドディー.ジー.株式会社 投影システム及び造形装置
USD848856S1 (en) * 2017-03-28 2019-05-21 Digital Innovations Llc Liquid dispenser
CN208837184U (zh) * 2018-07-18 2019-05-10 美诺(深圳)商贸有限公司 一种美甲裱花工具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0919A (ja) 2014-06-30 2016-01-21 株式会社吉野工業所 吐出容器に装着される造形ヘッ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90065A1 (en) 2020-09-17
EP3722227B1 (en) 2023-10-18
CN111372868B (zh) 2022-09-27
WO2019111823A1 (ja) 2019-06-13
US11053067B2 (en) 2021-07-06
CN111372868A (zh) 2020-07-03
EP3722227A1 (en) 2020-10-14
EP3722227A4 (en)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602612B (zh) 喷出部件及使用喷出部件的喷雾产品
JP6779281B2 (ja) 製品を吹き付けるためのデバイス
US7934667B2 (en) Diffuser and device for packaging and dispensing a foaming product
US20140054328A1 (en) Aerosol container
JP2006043470A (ja) 可変量が供給されるのを可能にする包装及びディスペンサ装置
CN103842033B (zh) 用于在分送促动器中使用的扇形喷雾结构
JP2017214147A (ja) 発泡性内容物の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US6971557B2 (en) Actuator for a pressurized material dispenser
KR20200094737A (ko) 발포성 내용물의 토출 노즐 및 에어로졸 제품
JP7060947B2 (ja) 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7013229B2 (ja) 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6994883B2 (ja) 発泡性内容物の吐出ノズル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7157562B2 (ja) 吐出部材および吐出製品
JP6970602B2 (ja) 泡吐出用のノズル、吐出部材およびエアゾール製品
JP4523811B2 (ja) エアゾール容器の内容物排出装置
JP2023170493A (ja) 2液吐出部材および2液吐出製品
JP7042680B2 (ja) 2液吐出ノズルおよび2液吐出製品
JP4861768B2 (ja) エアゾール装置用の噴射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アゾール装置
JP3551563B2 (ja) 毛髪化粧料
JPH04112075U (ja) 発泡性エヤゾール製品用吐出スパウト
JP2002240872A (ja) エアゾール製品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