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697A - 엘리베이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697A
KR20180104697A KR1020187024155A KR20187024155A KR20180104697A KR 20180104697 A KR20180104697 A KR 20180104697A KR 1020187024155 A KR1020187024155 A KR 1020187024155A KR 20187024155 A KR20187024155 A KR 20187024155A KR 20180104697 A KR20180104697 A KR 201801046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ss point
terminal
communication device
signal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4856B1 (ko
Inventor
유야 기타구치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덴키 빌딩 테크노 서비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4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4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48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0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with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mounted in the car or cage or in the lift well or hoist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46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66B1/3461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between the elevator control system and remote or mobile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Door Apparatuses (AREA)

Abstract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제어 장치(3), 통신 장치(4) 및 조작 단말(5)을 구비한다. 제어 장치(3)는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을 제어한다. 통신 장치(4)는 제어 장치(3)에 접속된다. 조작 단말(5)은 엘리베이터 칸(2)에 마련된다. 조작 단말(5)은 제어 장치(3)에 대한 호출의 신호를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통신 장치(4)에 무선 송신한다. 또한, 조작 단말(5)은 표시기(6)를 구비한다. 조작 단말(5)은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통신 장치(4)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기(6)의 표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시스템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 홈 엘리베이터가 기재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통신용 케이블이 접속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의 조작 단말로부터 호출을 등록하는 경우는, 호출의 신호가 이 통신용 케이블을 통해서 제어 장치로 송신된다.
일본 특개평 4-173677호 공보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엘리베이터 칸에 통신용 케이블을 접속하고, 엘리베이터 칸의 조작 단말로부터의 신호를 이 통신용 케이블을 통해서 송신하고 있었다. 그러나, 통신용 케이블을 조작 단말에 접속하기 위한 구성 및 수고 때문에, 엘리베이터의 가격이 고가로 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용 케이블을 엘리베이터 칸의 조작 단말에 접속할 필요가 없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제어 장치에 접속된 통신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고, 제어 장치에 대한 호출의 신호를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통신 장치로 무선 송신하는 조작 단말을 구비한다. 조작 단말은 표시기를 구비하고,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기의 표시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면, 통신용 케이블을 엘리베이터 칸의 조작 단말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조작 단말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간략화 혹은 생략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분 또는 상당하는 부분을 나타낸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개인 주택(1)에 구비되어 있는 예를 나타낸다.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구비되는 건물은, 개인 주택(1)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상업용의 비교적 큰 건물에 구비해도 된다. 엘리베이터 시스템은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 제어 장치(3), 통신 장치(4) 및 조작 단말(5)을 구비한다.
엘리베이터 칸(2)은 승강로를 상하로 이동한다. 제어 장치(3)는 엘리베이터의 운전을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 장치(3)는 엘리베이터 칸(2)의 동작을 제어한다. 즉, 엘리베이터 칸(2)의 상하의 이동은 제어 장치(3)에 의해서 제어된다. 통신 장치(4)는 제어 장치(3)에 접속된다.
조작 단말(5)은 엘리베이터 칸(2)에 탄 사람이 조작하기 위한 단말이다. 조작 단말(5)은 엘리베이터 칸(2)에 마련된다. 조작 단말(5)은 예를 들면 표시기(6) 및 입력 장치(7)를 구비한다. 도 1은 조작 단말(5)이 터치 패널식의 입력 장치(7)를 구비하는 예를 나타낸다. 입력 장치(7)는 복수의 버튼 등을 구비해도 된다.
주택(1)에는, 무선 통신을 행하기 위한 액세스포인트(8)가 구비된다. 액세스포인트(8)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전용일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주택(1)에 구비된 기기는,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외부의 네트워크(9)에 접속된다. 네트워크(9)는 예를 들면 인터넷 회선이다.
조작 단말(5)과 통신 장치(4) 사이의 신호의 송수신은,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행해진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에 탄 사람은, 입력 장치(7)로부터 행선지 호출을 입력한다. 조작 단말(5)은, 입력 장치(7)로부터 입력된 호출의 신호를,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통신 장치(4)로 송신한다. 통신 장치(4)는 수신한 호출의 신호를 제어 장치(3)로 송신한다. 제어 장치(3)는, 통신 장치(4)로부터 수신한 호출의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제어하여 엘리베이터 칸(2)을 이동시킨다.
엘리베이터 칸(2)은 승강로를 이동하기 때문에, 엘리베이터 칸(2)과 액세스포인트(8)의 통신은 무선으로 행해진다. 통신 장치(4)와 액세스포인트(8)의 상대적인 위치는 변하지 않기 때문에, 통신 장치(4)와 액세스포인트(8)의 통신은 유선으로 행해도 된다.
통신 장치(4)는 제어 장치(3)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장치(4)는, 제어 장치(3)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엘리베이터 칸(2) 및 조작 단말(5)로 송신한다. 엘리베이터 칸(2)은 통신 장치(4)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은 통신 장치(4)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조명을 제어한다. 조작 단말(5)은 통신 장치(4)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조작 단말(5)은, 통신 장치(4)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기(6)의 표시를 제어한다.
통신 장치(4)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를 감시하는 기능을 가진다. 예를 들면, 통신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칸(2)에 사람이 갇힌 것을 검출한다. 통신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칸(2)에 사람이 갇힌 것을 검출하면,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조작 단말(5)에 갇힘 신호를 송신한다. 조작 단말(5)은, 통신 장치(4)로부터 갇힘 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갇힘 신호에 기초하여 필요한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조작 단말(5)은, 통신 장치(4)로부터 수신한 갇힘 신호에 기초하여, 표시기(6)의 표시를 제어한다. 이하에, 도 2도 참조하여,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이 행하는 동작의 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있어서의 엘리베이터 시스템의 동작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는 갇힘 발생시의 동작 흐름을 나타낸다.
통신 장치(4)는, 일정한 조건이 성립되면, 엘리베이터 칸(2)에 사람이 갇힌 것을 검출한다(S101의 Yes). 통신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칸(2)에 사람이 갇힌 것을 검출하면, 본 엘리베이터 시스템을 관리하는 관리 센터(10)에 통보를 행한다(S102). 통신 장치(4)로부터 관리 센터(10)로의 통보는,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행해도 되고, 전용의 통신회선(11)을 통해서 행해도 된다. 통보를 받은 관리 센터(10)에서는, 주택(1)에 파견하는 구조자의 선택, 및 필요에 따라서 화상 전화 등에 의한 호출을 행한다. 또한, 화상 전화 등에 의한 호출은, 조작 단말(5)에 카메라(12)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 행해진다.
또한, 관리 센터(10)에서는, 주택(1)에 파견하는 구조자를 선택하면, 구조자에 관한 정보를 조작 단말(5)로 송신한다. 구조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은, 통신회선(11)을 통해서 행해도 되고, 네트워크(9)를 통해서 행해도 된다. 다만, 조작 단말(5)은 액세스포인트(8)로부터 상기 정보를 수신한다. 조작 단말(5)은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구조자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면(S103의 Yes), 구조자의 도착 예상 시각에 관한 정보를 표시기(6)에 표시시킨다(S104). 예를 들면, 「구조자가 약 15분 후에 도착합니다.」와 같은 내용이 표시기(6)에 표시된다. 조작 단말(5)은 구조자의 현재 위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기(6)에 표시시켜도 된다. 또한, 구조자에 관한 정보의 송신은, 구조자 본인이, 소유하는 단말로부터 행해도 된다.
통신 장치(4)는, 엘리베이터 칸(2)에 사람이 갇힌 것을 검출하면(S101의 Yes),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조작 단말(5)에 갇힘 신호를 송신한다(S105). 조작 단말(5)은, 갇힘 신호를 수신하면, 구출 프로그램을 기동시킨다(S106). 구출 프로그램은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외부로 연락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구출 프로그램은 조작 단말(5)에 기억되고, 통신 장치(4)로부터의 갇힘 신호를 수신함으로써 기동 되도록 미리 설정된다. 또한, 구출 프로그램에 의한 외부로의 연락은, 통신 장치(4)를 통하지 않고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작 단말(5)에는, 갇힘 발생시의 연락처로서, 메일 어드레스가 미리 등록된다. 예를 들면, 조작 단말(5)에, 가족의 휴대 단말(13)의 메일 어드레스가 연락처로서 등록된다. 휴대 단말(13)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이다. 조작 단말(5)은, 구출 프로그램이 기동 됨으로써, 미리 등록되어 있는 메일 어드레스에 대해서 갇힘이 발생한 것을 알리기 위한 메일을 송신한다(S107). 이때, 조작 단말(5)은 등록되어 있는 메일 어드레스로 메일을 송신하는 취지 및 송신한 취지를 표시기(6)에 표시시켜도 된다. 조작 단말(5)로부터의 메일을 받은 휴대 단말(13)에는,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에 갇힘이 발생했습니다. 자택으로 향하는 것은 가능합니까? 이하의 선택지로부터 선택하여 회신해 주세요. 1) 가능, 2) 불가능」과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조작 단말(5)은, 휴대 단말(13) 등의 기기에 대해서 S107에서 메일을 송신하면, 그 기기로부터 회신을 받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S108). 조작 단말(5)은, 메일의 송신처인 기기로부터 회신을 받으면, 회신을 받은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기(6)에 표시시킨다(S109). 또한, 위치에 관한 정보의 표시는, 휴대 단말(13)등의 기기로부터 GPS에 의한 위치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조작 단말(5)은 회신을 받은 기기의 소유자의 도착 예상 시각에 관한 정보를 표시기(6)에 표시시켜도 된다. 예를 들면, 「가족 A가 약 15분 후에 도착합니다.」와 같은 내용이 표시기(6)에 표시된다.
도 1은 주택(1)에 전기자물쇠(14)를 구비한 도어(15)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다. 도어(15)는 사람이 주택(1)에 들어가기 위한 도어이다. 전기자물쇠(14)는 통상은 도어(15)가 열리지 않게 잠금 된다. 전기자물쇠(14)는 주택(1)의 현관 앞 등에 마련된 조작 패널(16)로 잠금 해제 조작이 행해지면 잠금 해제된다. 조작 패널(16)에는, 예를 들면 인터폰이 구비된다. 전기자물쇠(14)의 잠금 및 잠금 해제는, 제어 장치(17)에 의해서 제어된다.
조작 단말(5)은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제어 장치(17)와 통신을 행한다. 예를 들면, 갇힘의 연락을 받은 구조자가 주택(1)에 도착해서 조작 패널(16)의 인터폰을 누르면(S110의 Yes), 인터폰의 카메라에 의해서 촬영된 영상이 조작 단말(5)의 표시기(6)에 표시된다(S111). 엘리베이터 칸(2)에 갇힌 사람은, 조작 단말(5)의 표시기(6)을 보고, 인터폰을 조작한 사람이 구조자인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엘리베이터 칸(2)에 갇힌 사람은, 조작 단말(5)로부터 전기자물쇠(14)를 잠금 해제하기 위한 잠금 해제 신호를 송신한다(S112). 조작 단말(5)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는,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제어 장치(17)로 송신된다. 제어 장치(17)는 조작 단말(5)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를 수신하면 전기자물쇠(14)를 잠금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구조자가 주택(1)에 들어가, 구조 활동을 행한다.
실시 형태 1에 나타내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서는, 조작 단말(5)은, 주택(1)에 구비된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통신 장치(4)와 통신한다. 이 때문에, 종래 이용되고 있던 통신용 케이블을 조작 단말(5)에 접속할 필요가 없다. 통신용 케이블을 조작 단말(5)에 접속하기 위한 구성 및 수고가 없게 되어, 시스템을 염가로 제공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나타내는 예이면, 엘리베이터 칸(2)과 제어 장치(3)의 사이에 통신용 케이블을 전혀 접속하지 않아도 각종 동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엘리베이터 칸(2)과 제어 장치(3)의 사이에 통신용 케이블을 접속할 필요가 없으면, 엘리베이터 칸(2) 등의 설치 작업을 큰 폭으로 간소화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1에 나타내는 예이면, 태블릿형 PC와 같은 범용 기기를 조작 단말(5)로서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용자는, 자기 취향의 태블릿형 PC를 구입해서, 그 구입한 것을 조작 단말(5)로서 이용할 수 있다. 조작 단말(5)을 엘리베이터 칸(2)으로부터 분리해서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용자가 구입해 온 태블릿형 PC 등을 조작 단말(5)로서 이용하는 경우는, 각종 동작을 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조작 단말(5)에 인스톨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조작 단말(5)이 통신 장치(4)에 호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호출 등록 프로그램을 조작 단말(5)에 인스톨 해야 한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비하여, 예를 들면, 관리 센터(10)의 기억 장치(18)에 호출 등록 프로그램 등을 미리 기억시켜 놓는다. 이용자는 조작 단말(5)을 액세스포인트(8)를 통해서 관리 센터(10)에 접속하고, 기억 장치(18)로부터 호출 등록 프로그램 등을 다운로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시스템의 가격을 더욱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호출 등록 프로그램 등을 미리 준비해 놓는 장소는, 관리 센터(10)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조작 단말(5)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조작 단말(5)은,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19)와 메모리(20)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조작 단말(5)은, 메모리(20)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19)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각 기능을 실현한다. 조작 단말(5)이 가지는 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통신 장치(4)의 하드웨어 구성은 도 3에 나타내는 예와 마찬가지이다. 통신 장치(4)는, 하드웨어 자원으로서, 예를 들면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는 처리 회로를 구비한다. 통신 장치(4)는, 메모리에 기억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에 의해서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각 기능을 실현한다. 통신 장치(4)가 가지는 각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드웨어에 의해서 실현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된 조작 단말을 구비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에 적용할 수 있다.
1 주택
2 엘리베이터 칸
3 제어 장치
4 통신 장치
5 조작 단말
6 표시기
7 입력 장치
8 액세스포인트
9 네트워크
10 관리 센터
11 통신회선
12 카메라
13 휴대 단말
14 전기자물쇠
15 도어
16 조작 패널
17 제어 장치
18 기억 장치
19 프로세서
20 메모리

Claims (9)

  1.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와,
    상기 제어 장치에 접속된 통신 장치와,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마련되고, 상기 제어 장치에 대한 호출의 신호를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로 무선 송신하는 조작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조작 단말은 표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기의 표시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엘리베이터 칸에 사람이 갇힌 것이 검출되면,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갇힘 신호를 상기 조작 단말로 송신하고,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갇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외부로 연락하기 위한 구출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통신 장치로부터 갇힘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통신 장치를 통하지 않고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외부로 연락하기 위한 상기 구출 프로그램을 기동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구출 프로그램을 기동시킴으로써, 미리 등록된 메일 어드레스에 대해서 갇힘이 발생한 것을 알리기 위한 메일을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갇힘이 발생한 것을 알리기 위한 메일을 송신한 후, 당해 메일의 송신처가 되는 기기의 위치에 관한 정보 또는 당해 기기의 소유자의 도착 예상 시각에 관한 정보를 상기 표시기에 표시시키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7.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구비된 건물에 들어가기 위한 도어의 전기자물쇠를 잠금 해제시키기 위한 신호를,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전기자물쇠를 제어하는 장치로 송신하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제어 장치의 사이에, 통신용 케이블이 접속되어 있지 않는 엘리베이터 시스템.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단말이 상기 통신 장치에 호출의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필요한 호출 등록 프로그램이 기억된 기억 장치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 단말은 상기 액세스포인트를 통해서 상기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호출 등록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가능한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0187024155A 2016-04-05 2017-03-31 엘리베이터 시스템 KR102144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75782A JP6249039B2 (ja) 2016-04-05 2016-04-05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JP-P-2016-075782 2016-04-05
PCT/JP2017/013617 WO2017175677A1 (ja) 2016-04-05 2017-03-31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697A true KR20180104697A (ko) 2018-09-21
KR102144856B1 KR102144856B1 (ko) 2020-08-14

Family

ID=60000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155A KR102144856B1 (ko) 2016-04-05 2017-03-31 엘리베이터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249039B2 (ko)
KR (1) KR102144856B1 (ko)
CN (1) CN109071158B (ko)
DE (1) DE112017001933B4 (ko)
WO (1) WO20171756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57743B2 (ja) * 2018-04-24 2023-04-14 ジャパンエレベーターサービ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用インターフォン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ー
JP7130787B2 (ja) * 2021-01-26 2022-09-05 ジャパンエレベーターサービス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
JP2021073150A (ja) * 2021-01-30 2021-05-13 株式会社東京 表示装置および防犯支援プログラム
WO2024079868A1 (ja) * 2022-10-14 2024-04-18 三菱電機ビ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3677A (ja) 1990-11-02 1992-06-22 Toshiba Corp ホーム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
JP2007008648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内交信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内交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9274801A (ja) * 2008-05-14 2009-11-26 Nec Infrontia Corp エレベータケージの運行制御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14162635A (ja) * 2013-02-28 2014-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制御方法
JP2015202916A (ja) * 2014-04-11 2015-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2199B (fi) * 1994-10-21 2003-11-14 Kone Corp Vapaasti ohjelmoitava hissikorin käyttöpaneeli
JP2003201073A (ja) * 2002-01-08 2003-07-15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制御方法及び装置
JP2005272101A (ja) * 2004-03-25 2005-10-06 Hitachi Building Systems Co Ltd エレベーター用遠隔監視システム
JP2007261758A (ja) * 2006-03-29 2007-10-1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無線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2008063084A (ja) * 2006-09-07 2008-03-21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ーの遠隔監視システムならびに遠隔監視方法
JP2009040589A (ja) * 2007-08-10 2009-02-26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システム
CN102471022B (zh) * 2009-07-02 2015-07-15 奥的斯电梯公司 电梯救援系统
CN202808098U (zh) * 2012-06-04 2013-03-20 广东珠江中富电梯有限公司 基于无线局域网控制器的电梯控制系统
EP3077318A4 (en) * 2013-12-06 2017-07-05 Otis Elevator Company Service request using wireless programmabl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73677A (ja) 1990-11-02 1992-06-22 Toshiba Corp ホームエレベータの救出装置
JP2007008648A (ja) * 2005-06-30 2007-01-18 Mitsubishi Electric Building Techno Service Co Ltd エレベータ内交信制御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内交信制御プログラム
JP2009274801A (ja) * 2008-05-14 2009-11-26 Nec Infrontia Corp エレベータケージの運行制御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JP2014162635A (ja) * 2013-02-28 2014-09-08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システム及びメッセージ制御方法
JP2015202916A (ja) * 2014-04-11 2015-11-1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の非常通報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249039B2 (ja) 2017-12-20
CN109071158A (zh) 2018-12-21
WO2017175677A1 (ja) 2017-10-12
KR102144856B1 (ko) 2020-08-14
DE112017001933B4 (de) 2021-07-01
DE112017001933T5 (de) 2019-01-10
JP2017186124A (ja) 2017-10-12
CN109071158B (zh) 2020-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4697A (ko) 엘리베이터 시스템
JP6439021B2 (ja) エレベーター監視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ー監視方法
JP4676248B2 (ja) エレベーターの遠隔映像監視システム
JP2022023034A (ja) 遠隔制御装置及び遠隔制御システム
JP3933976B2 (ja) 携帯電話を用いた警備システム
JP2023032042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5074938A (ja) 集合用インターホン装置及びオートロック扉用の無線認証装置
JP4311215B2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JP2023162263A (ja) 警備システム、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JP6306110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JP6412434B2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WO2019093285A1 (ja) ロビーインターホン、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09146449A (ja) 戸締まり確認システム
JP5587813B2 (ja) 集合住宅用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16207080A (ja) 所在管理システム、及び安否確認システム
JP6776167B2 (ja) 警備システム、携帯端末、警備装置、警備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149076A (ja) ナースコールシステム
JP7117633B2 (ja) 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プラットフォ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355897B2 (ja) 携帯端末、警備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表示方法
KR20170084448A (ko) 무선원격 방범 시스템
JP6594233B2 (ja) 情報通知システム
KR10054665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06101328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20167559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JP2008079107A (ja) 集合住宅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