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6235A - 플로팅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6235A
KR20180086235A KR1020187017855A KR20187017855A KR20180086235A KR 20180086235 A KR20180086235 A KR 20180086235A KR 1020187017855 A KR1020187017855 A KR 1020187017855A KR 20187017855 A KR20187017855 A KR 20187017855A KR 20180086235 A KR20180086235 A KR 201800862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ubstrate
contact
fixed
movable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3426B1 (ko
Inventor
무네노부 요시다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862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62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3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34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가동측 하우징을 기판 평행 방향, 압입 방향으로 가동으로 하고,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에서도 압입 발거 방향으로의 플로팅이 가능하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얻는다. 고정 하우징(11)은, 관통 긴 구멍과, 기판에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 대향 판부를 가지고, 가동 하우징(12)은, 관통 긴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방부와, 기판 대향 판부와 평면에서 봤을 때 오버랩되는 빠짐 방지 돌기를 가지며, 콘택트군은, 기판에 실장되는 테일부와, 고정 하우징(11)에 지지되는 고정부와, 가동 하우징(12)의 외방부에 형성한 콘택트 지지홈에 지지되는 U자 형상부와, 어느 홈에도 지지되지 않는 자유 상태의 탄성 변형부를 가지고, 탄성 변형부는, 자신의 탄성에 의해, 가동 하우징(12)의 기판 방향으로의 가라앉음을 가능하게 하고, 가라앉은 상태에서, 긴 쪽 방향, 당해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틸팅 방향으로의 탄성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 장치
(관련 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12월 28일에 일본국에 특허 출원된 특원2015-256101의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러한 선출원의 개시 전체를 여기에 참조를 위해 포함한다.
본 발명은, 주로 기판 대 기판(BOARD TO BOARD) 타입의 커넥터로서 이용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한 쌍의 기판에 각각 고정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와의 위치 오차를 흡수하여 양자의 감합을 용이하게 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 중 어느 일방은,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고정 인슐레이터)과, 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可動)인 가동 하우징(가동 인슐레이터)으로 구성된다. 기판에 일단부가 고정된 콘택트군의 타단부는, 가동 하우징에 고정된다. 즉, 가동 하우징은, 콘택트군을 개재하여 고정 하우징에 접속되어 있고, 콘택트군의 탄성에 의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 수 있다(특허문헌 1, 2).
이와 같은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특허문헌 2는, 가동 하우징이 과잉으로 이동하여 콘택트군이 소성 변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동 하우징의 이동 범위(가동 영역)를 이동 규제 금구에 의해 제한하는 기술을 제안하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7-265742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특개2013-16363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2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고정 하우징 상에, 가동 하우징을 끼우는 위치 관계에서, 한 쌍의 이동 규제 금구를 고정함으로써, 가동 하우징의 콘택트의 정렬 방향의 이동 범위를 규제함과 함께, 가동 하우징의 빠짐 방지를 도모하는 것이다. 그러나, 특허문헌 2에서는, 기판과 평행한 방향(XY 방향)으로 가동 하우징을 가동으로 하는 것을 주안점으로 하고 있어, 가동 하우징을 상대측 커넥터에 탈착할 때의 압입 방향(Z 방향)의 자유도가 낮다. 또한,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상태에서의 플로팅이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가동측 하우징의 기판 평행 방향으로의 가동 영역뿐만 아니라, 압입 방향의 가동 영역을 크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후의 감합 상태에서도 콘택트군의 접촉부가 슬라이딩(상대 이동)하지 않고 압입 발거(拔去) 방향으로의 플로팅이 가능하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 상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기판에 열 형상으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동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고정되는 콘택트군을 가지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은, 관통 긴 구멍과, 상기 관통 긴 구멍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 대향 판부를 가지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관통 긴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방부와, 상기 기판 대향 판부보다 기판측에 위치하는, 상기 기판 대향 판부와 평면에서 봤을 때 오버랩되는 빠짐 방지 돌기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군은, 기판에 실장되는 테일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의 수납 고정홈에 지지되는 고정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의 상기 외방부에 형성한 콘택트 지지홈에 지지되는 U자 형상부와, 상기 고정부와 U자 형상부를 접속하는, 어느 홈에도 지지되지 않는 자유 상태의 탄성 변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자신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동 하우징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간시키고 있어, 있어, 당해 탄성 변형부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동 하우징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간시키고 있고, 상기 탄성 변성부는, 상기 가동 하우징의 기판 방향으로의 가라앉음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가라앉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 하우징의 상기 긴 쪽 방향, 당해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틸팅 방향으로의 탄성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고정 하우징 상에는, 상기 기판 대향 판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 금구가 위치하고 있고, 당해 빠짐 방지 금구는, 기판 상에 실장되는 한 쌍의 테일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당해 한 쌍의 고정부를 접속하는, 상기 가동 하우징의 빠짐 방지 돌기와 평면에서 봤을 때 오버랩되는 빠짐 방지 판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택트군에 접속되는 콘택트군을 가지는 상대측 커넥터는, 상기 콘택트군의 U자 형상부의 양측에 상이한 높이 위치에서 탄성 접촉하는 선단 접촉부를 가지는 쌍을 이루는 탄성 변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콘택트군의 상기 탄성 변형부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의 고정부측부터 순서대로, 역 U자 형상부, 사선 하방 연장부, U자 형상 반환부 및 사선 상방 연장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군은, 또한,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의 고정부와 상기 역 U자 형상부의 사이에, 상기 고정 하우징의 수납 고정홈의 바닥부로부터 이간하는 부상(浮上) 변형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동측 하우징의 기판 평행 방향으로의 가동 영역뿐만 아니라, 압입 발거 방향의 가동 영역을 크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상대측 커넥터와의 감합 후의 감합 상태에서도 압입 발거 방향으로의 플로팅이 가능하고, 접촉 신뢰성이 높은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 단체(單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동(同) 플러그 커넥터 단체를 반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플러그 커넥터의 가동 하우징을 반대 방향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Ⅳ-Ⅳ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Ⅵ-Ⅵ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 내지 도 6의 플러그 커넥터에 결합되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Ⅶ-Ⅶ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1 내지 도 6의 플러그 커넥터와 도 7 및 도 8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접속 상태를 나타내는, 도 6 및 도 8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는, 도 1 내지 도 6 및 도 9에 나타내는 커넥터(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커넥터(동 리셉터클 커넥터)(20)를 감합 접속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를 플로팅 커넥터 장치로 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기판(B1)(회로 기판, 제어 기판)과 제 2 기판(B2)(회로 기판, 제어 기판)은, 정규 상태(설계 상태)에서 평행을 이룬다. 제 1 기판(B1) 상의 배선 회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플러그 콘택트(13)군에 미리 실장 결합되어 있다. 제 2 기판(B2) 상의 배선 회로는, 리셉터클 커넥터(20)의 리셉터클 콘택트(23)군에 미리 실장 결합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0)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B1) 상에 실장되는 고정(가이드) 하우징(고정 인슐레이터)(11)과, 이 고정 하우징(11)에 가동으로 지지되는 가동 하우징(가동 인슐레이터)(12)과, 가동 하우징(12)과 제 1 기판(B1)의 사이에 실장되는 플러그 콘택트(13)군을 가지고 있다. 플러그 콘택트(13)군의 정렬 방향을 플러그 커넥터(10)(고정 하우징(11) 및 가동 하우징(12))의 긴 쪽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는, 그 긴 쪽 방향을 따른 상하 방향의 중심선(면)(X)(도 6)에 관하여, 좌우 대칭 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기판(B1)(제 2 기판(B2))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상방으로 한다.
고정 하우징(11)은, 제 1 기판(B1)으로부터 기립하는 긴 쪽 방향의 한 쌍의 서로 평행을 이루는 긴 쪽 벽(11a)과, 이 한 쌍의 긴 쪽 벽(11a)의 양단부를 접속하는 짧은 쪽 방향의 한 쌍의 서로 평행을 이루는 짧은 쪽 벽(11b)을 가지는 평면 직사각형의 프레임 형상을 이루고 있다. 긴 쪽 벽(11a) 및 짧은 쪽 벽(11b)의 높이는 동일하다. 이 긴 쪽 벽(11a)의 상단 근방에는, 내방을 향하는 개구 규제 가장자리부(돌기)(11a1)가 형성된다(도 1, 도 6). 짧은 쪽 벽(11b)의 상단부에는, 내방을 향하는 기판 대향 판부(기판 평행 판부)(11b1)가 형성된다. 이러한 개구 규제 가장자리부(돌기)(11a1)와 기판 대향 판부(11b1)에 의해, 관통 긴 구멍(11c)(도 1)이 형성되어 있다. 긴 쪽 벽(11a)에는, 긴 쪽 방향의 중앙부의 제 1 기판(B1)을 따르는 부분에, 플러그 콘택트(13)의 테일부(13a)를 노출시키는 절제부(11a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짧은 쪽 벽(11b)의 제 1 기판(B1)측의 중앙부에는 개구(11b2)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하우징(11)의 긴 쪽 벽(11a)의 하단부의 일부에는, 제 1 기판(B1)과의 위치 결정 돌기(11d)가 형성되어 있다(도 2, 도 6).
고정 하우징(11)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긴 쪽 벽(11a)과 짧은 쪽 벽(11b)의 기판 대향 판부(11b1)와의 내면에 위치시켜, 대략 コ자 형상을 한 빠짐 방지 금구(14)가 위치하고 있다. 이 빠짐 방지 금구(14)는, 제 1 기판(B1)에 실장(납땜)되는 한 쌍의 테일부(14a)와, 각 테일부(14a)로부터 상승하여, 긴 쪽 벽(11a)의 내면의 수납 고정홈(11a3)(도 5)에 맞는 고정부(14b)와, 한 쌍의 고정부(14b)의 상단부간을 접속하는 빠짐 방지 판부(14c)를 가지고 있다. 빠짐 방지 판부(14c)는, 기판 대향 판부(11b1)의 내면을 따르고 있다. 긴 쪽 벽(11a)에는, 테일부(14a)를 노출시키는 절제부(11a4)가 형성되어 있다.
가동 하우징(12)은, 고정 하우징(11)의 외방에 위치(돌출)하는 외방부(12a)와, 외방부(12a)로부터 관통 긴 구멍(11c) 내로 연장되는 내방부(12b)를 가지고 있다. 내방부(12b)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에는, 고정 하우징(11)의 기판 대향 판부(11b1)(관통 긴 구멍(11c)의 내면)와 대향하여, 가동 하우징(12)의 긴 쪽 방향의 이동단(移動端)을 규제하는 스토퍼면(12b1)이 형성되어 있다.
내방부(12b)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에는, 고정 하우징(11)의 기판 대향 판부(11b1) 및 빠짐 방지 금구(14)의 빠짐 방지 판부(14c)의 하방에 위치하는(정규 상태에서 선단 일부가 기판 대향 판부(11b1) 및 빠짐 방지 판부(14c)와 평면에서 봤을 때 오버랩됨) 한 쌍의 빠짐 방지 돌기(12c)가 형성되어 있다. 외방부(12a)와 빠짐 방지 돌기(12c)의 사이는, 기판 대향 판부(11b1)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탈출 공간(12d)을 형성하고 있다. 빠짐 방지 돌기(12c)의 상면은, 정규 상태에서, 빠짐 방지 금구(14)의 빠짐 방지 판부(14c)와 클리어런스(c)(도 5)를 두고 대향한다. 이 클리어런스(c)의 크기는 예를 들면 0.15㎜이다. 빠짐 방지 돌기(12c)의 하단부에는, 제 1 기판(B1)과 대향하여, 가동 하우징(12)의 하방 이동단을 규제하는 스토퍼 돌기(12c1)가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돌기(12c1)와 제 1 기판(B1)의 사이의 간극(C)은, 예를 들면 0.6㎜이다(도 5, 도 6). 간극(C)은 클리어런스(c)보다 큰 편이 바람직하지만, 동일 또는 작아도 된다.
즉, 가동 하우징(12)의 긴 쪽 방향의 이동량(이동단)은, 스토퍼면(12b1)과 기판 대향 판부(11b1)의 내면과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좌우 방향의 이동량(이동단)은, 내방부(12b)의 외면과 개구 규제 가장자리부(돌기)(11a1)와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상방으로의 이동량(이동단)은, 빠짐 방지 돌기(12c)의 상면과 빠짐 방지 금구(14)의 빠짐 방지 판부(14c)와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하방으로의 이동량(이동단)은, 빠짐 방지 돌기(12c)의 스토퍼 돌기(12c1)와 제 1 기판(B1)과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외방부(12a)에는, 짧은 쪽 방향 중앙부에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된 바닥이 있는 긴 구멍(12a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바닥이 있는 긴 구멍(12a1)의 양측의 긴 쪽 방향 판부가 한 쌍의 삽입 판부(12a2)를 구성하고 있다. 삽입 판부(12a2)의 내외에는, 열 형상의 플러그 콘택트(13)를 삽입 고정하는 콘택트 지지홈(12a4)이 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지지홈(12a4)에, 플러그 콘택트(13)의 U자 형상부(13b)가 삽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외방부(12a)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에는, 상방 및 측방으로 돌출하는 유도 돌기(12a6)가 형성된다. 상단부 외면에는 유도 경사면(12a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하우징(12)의 외방부(12a)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 하방의 탈출 공간(12d)에는, 유도 돌기(12a6)의 하방에 위치시켜, 내방부(12b)를 향해 긴 쪽 방향 폭(길이)을 줄이는 테이퍼면(12a3)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고정 하우징(11)의 짧은 쪽 벽(11b)에는, 테이퍼면(12a3)과 대향하는 기판 대향 판부(11b1)의 내측 에지에, 테이퍼면(12a3)과 대향하는 챔퍼링부(11b3)가 형성되어 있다. 테이퍼면(12a3)과 챔퍼링부(11b3)는 통상은 접촉하지 않지만, 가동 하우징(12)이 과도하게 상대 이동, 요동했을 때에, 면 접촉하여 요동을 규제할 수 있다.
플러그 콘택트(13)는, 한 쌍의 삽입 판부(12a2)를 따르게 하여(고정 하우징(11)의 한 쌍의 긴 쪽 벽(11a)에 대응시켜) 2열이 마련되어 있다. 각 플러그 콘택트(13)는, 제 1 기판(B1)에 실장되는 상술한 테일부(13a)(도 6)와, 고정 하우징(11)의 긴 쪽 벽(11a)의 내면에 열 형상으로 형성한 수납 고정홈(11a5)에 맞는 고정부(13c)와, 상술한 U자 형상부(13b)에 연결되는 탄성 변형부(13d)를 구비하고 있다. 고정부(13c)의 상단부에는, 수납 고정홈(11a5)의 바닥부로부터 이간하여, 고정부(13c)의 상단부를 매끄럽게 탄성 변형부(13d)에 접속하는 부상 변형부(13c1)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 변형부(13d)는, 고정 하우징(11)의 수납 고정홈(11a5)과 가동 하우징(12)의 콘택트 지지홈(12a4)을 포함하는 어느 지지홈(변형 억제홈)에도 계합(engaging)하지 않고(삽입되지 않고), 자유롭게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이다. 이 탄성 변형부(13d)는, 고정부(13c)(부상 변형부(13c1))측부터 순서대로, 역 U자 형상부(13d1), 사선 하방 연장부(13d2), U자 형상 반환부(13d3) 및 사선 상방 연장부(13d4)를 가지고 있다. 이 탄성 변형부(13d)의 탄성 변형(특히 역 U자 형상부(13d1), U자 형상 반환부(13d3) 및 사선 상방 연장부(13d4))에 의해, 가동 하우징(12)의 상하 방향, 긴 쪽 방향 및 좌우 방향, 나아가서는, 가동 하우징(12)의 평면 중심(근방)을 중심으로 하는 회동(回動) 방향의 플로팅이 가능해진다.
또한, 가동 하우징(12)에는, 열 형상으로 위치하는 플러그 콘택트(13)의 양단부에,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의 광폭의 U자 형상부(13Wb)가 위치하고 있다. 이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는, 어스 단자 또는 전원 단자로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삽입 판부(12a2)에는, U자 형상부(13Wb)를 삽입하는 광폭 콘택트 지지홈(12a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의 테일부(13Wa)도 광폭이다. 그러나, 이 테일부(13Wa)와 U자 형상부(13Wb)의 사이에 위치하는 탄성 변형부(13Wd)는, 다른 플러그 콘택트(신호용 콘택트)(13)의 탄성 변형부(13d)와 동폭인 소폭부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하우징(12)의 탄성 변형을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가 방해하는 경우는 없다.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10)는, 가동 하우징(12)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상태에서는, 중심면(X)에 관하여 대칭으로 위치하는 플러그 콘택트(13, 13W)군의 탄성력에 의해, 당해 가동 하우징(12)이 고정 하우징(11)의 중심에 바르게 위치한다. 그 양단부의 한 쌍의 빠짐 방지 돌기(12c)는, 고정 하우징(11)의 기판 대향 판부(11b1)의 하방에 대칭으로 위치한다. 그 빠짐 방지 돌기(12c)의 상면은, 빠짐 방지 금구(14)의 빠짐 방지 판부(14c)와 클리어런스(c)(도 5)를 두고 대향한다.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도 7 내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봤을 때 가동 하우징(12)의 외방부(12a)보다 약간 큰 평면 형상을 가지는 직방체 형상의 인슐레이터 하우징(21)을 가진다. 이 하우징(21)에, 가동 하우징(12)의 한 쌍의 삽입 판부(12a2)를 수납하는 한 쌍의 리셉터클 오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오목부(22) 내에는, 각 리셉터클 콘택트(23)를 수납하는 수납홈(24)이 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오목부(22)의 입구부에는, 가동 하우징(12)의 외방부(12a)의 상단부의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유도 돌기(12a6) 및 유도 경사면(12a7)에 대응하는, 유도 경사면(22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21)의 제 2 기판(B2)측의 단부에는 위치 결정 돌기(21a)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리셉터클 오목부(22) 내에 수납되는 리셉터클 콘택트(23)는, 동일(좌우 반전) 형상이다. 리셉터클 콘택트(23)는, 리셉터클 오목부(22)의 대향 내면으로부터 각각 돌출하는 탄성 변형부(23a, 23b)와, 제 2 기판(B2)에 납땜되는 테일부(23c)와, 탄성 변형부(23a, 23b)와 테일부(23c)를 접속하는 접속 고정부(23d)를 가지고 있다. 탄성 변형부(23a, 23b)와 접속 고정부(23d)는, 잘록한 형상(협폭)의 연결부(23e)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탄성 변형부(23a, 23b)는, 리셉터클 오목부(22)의 대향 내면에 면하는 변형 허용홈(24a) 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 선단 접촉부(23a1, 23b1)의 리셉터클 오목부(22)의 깊이 방향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다. 탄성 변형부(23a)(선단 접촉부(23a1))와 탄성 변형부(23b)(선단 접촉부(23b1))는, 가동 하우징(12)의 삽입 판부(12a2)가 리셉터클 오목부(22) 내에 삽입되었을 때, 플러그 콘택트(13)의 U자 형상부(13b)의 양측에 탄성 접촉하는 것이다. 선단 접촉부(23a1, 23b1)의 리셉터클 오목부(22)의 깊이 방향의 위치를 상이하게 함으로써, 플러그 콘택트(13)에 삽입 감합할 때, 선단 접촉부(23a1, 23b1)는 U자 형상부(13b)에 시간차로 접촉한다(맞닿는다). 이에 의해, 삽입력이 완화된다. 또한, 플러그 콘택트(13)의 U자 형상부(13b)를 양측으로부터 협지함으로써 U자 형상부(13b)에 이물이 부착되었을 때의 접촉 불량의 가능성을 줄이고 있다. 선단 접촉부(23a1, 23b1)의 리셉터클 오목부(22)의 깊이 방향의 위치는 어느 쪽이 얕아도 되지만, 감합의 유도의 관점으로부터 외측의 선단 접촉부(23a1)의 위치가 얕은 편이 바람직하다.
탄성 변형부(23a, 23b)는, 단독으로 접리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부(23e)의 탄성 변형에 의해, 일체로서 접리 방향을 포함하는 면 내에 있어서 탄성 이동할 수 있다.
접속 고정부(23d)는, 긴 쪽 방향(상하 방향)으로 이반한 2개의 슬릿(23d4)을 가지고 있다. 슬릿(23d4)에 의해 접속 고정부(23d)가 긴 쪽 방향으로 연장된 2개의 도전부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고주파 특성이 향상한다. 슬릿(23d4)은 1개여도 되고 직선 형상으로 3개 이상 가져도 되나, 슬릿(23d4)과 슬릿(23d4)의 사이에 접속부(23d5)를 가짐으로써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하우징(21)(수납홈(24))과 리셉터클 콘택트(23)에는, 리셉터클 콘택트(23)의 탄성 변형부(23a, 23b)의 상기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는 반면에, 접속 고정부(23d)를 확실하게 하우징(21)에 고정하는 서로 계합하는 고정 구조가 구비되어 있다. 즉, 테일부(23c)측에는, 고정 돌기(24b)와 고정 오목부(23d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탄성 변형부(23a, 23b)측에는, 고정 오목부(24c) 및 고정 돌기(23d2), 및 격리벽(24d) 및 이동 규제부(23d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콘택트(23)군에는, 가동 하우징(12)측의 플러그 콘택트(13)군에 있어서의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에 대응하는 광폭 콘택트는 구비되어 있지 않다. 리셉터클 콘택트(23)군 중의 양단의 특정수(이 실시형태에서는 3열)의 리셉터클 콘택트(23)가,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에 접촉한다. 리셉터클 콘택트(23)군의 양단부에,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에 대응하는 광폭 콘택트를 마련해도 된다.
이상의 플러그 커넥터(10)(제 1 기판(B1))와 리셉터클 커넥터(20)(제 2 기판(B2))를 접속할 때에는, 가동 하우징(12)의 한 쌍의 삽입 판부(12a2)를, 하우징(21)의 한 쌍의 리셉터클 오목부(22)에 감합시킨다. 이 때에는, 리셉터클 오목부(22)의 입구부의 유도 경사면(22a)과, 가동 하우징(12)의 외방부(12a)의 유도 돌기(12a6) 및 유도 경사면(12a7)이 계합하여, 매끄럽게 삽입 판부(12a2)를 리셉터클 오목부(22) 내에 도입할 수 있다. 그러면, 삽입 판부(12a2)에 지지되어 있는 플러그 콘택트(13)군이, 리셉터클 오목부(22) 내에 노출되어 있는 리셉터클 콘택트(23)의 탄성 변형부(23a, 23b)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도통한다. 그 결과, 제 1 기판(B1) 상의 회로와 제 2 기판(B2) 상의 회로가 접속된다. 또한, 도 9에서는, 리셉터클 콘택트(23)의 탄성 변형부(23a, 23b)가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은 자유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삽입 접속 작업에 있어서는, 가동 하우징(12)에 하방 및 다른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져, 플러그 콘택트(13)의 탄성 변형부(13d)가 탄성 변형한다. 특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하우징(12)이 가라앉음 방향으로 가동이므로, 가라앉은 상태에 있어서, 경사 또는 회전 동작이 가능하여, 원활한 접속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술과 같이, 탄성 변형부(13d)는, 고정 하우징(11)의 수납 고정홈(11a5)과 가동 하우징(12)의 콘택트 지지홈(12a4)을 포함하는 어느 지지홈(변형 억제홈)에도 계합하지 않고(삽입되지 않고), 자유롭게 탄성 변형 가능한 부분이다. 가동 하우징(12)의 긴 쪽 방향으로의 플로팅은, 플러그 콘택트(13)의 탄성 변형부(13d)의 도 6의 지면(묘화면)과 수직한 방향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생긴다. 가라앉음 방향(압입 방향, 제 1 기판(B1)에 접근하는 방향), 좌우 방향(비틀기 운동을 포함) 및 회전 방향으로의 플로팅은, 역 U자 형상부(13d1)의 좌우 방향으로의 탄성 변형과, 사선 하방 연장부(13d2), U자 형상 반환부(13d3) 및 사선 상방 연장부(13d4)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생긴다. 그 때, 사선 상방 연장부(13d4)가 U자 형상 반환부(13d3)의 탄성 변형과 좌우 방향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기능을 높인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6에 나타낸 U자 형상부(13b)의 하단부와 사선 상방 연장부(13d4)와의 접속부(13d5)(또는 사선 상방 연장부(13d4) 내의 어딘가)가 지지점이 되고, 동 사선 상방 연장부(13d4)와 U자 형상 반환부(13d3)와의 접속부(굴곡부)(13d6)의 각도가 변화한다. 이에 의해, 응력을 분산함과 함께 탄성 변형부(13d)의 요동을 돕는다. 사선 상방 연장부(13d4) 내의 어딘가, 또는 U자 형상 반환부(13d3) 내의 어딘가에 굴곡부(13d6)가 생기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부상 변형부(13c1)가 긴 쪽 벽(11a)으로부터 이간되어 있으므로, 역 U자 형상부(13d1) 자체의 좌우 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지 않는다. 따라서, 탄성 변형부(13d)는 특히 가동 하우징(12)의 상하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유연하게 한다.
이상의 탄성 변형부(13d) 및 부상 변형부(13c1)의 탄성 변형에 의해, U자 형상 반환부(13d3)와 선단 접촉부(23a1, 23b1)의 접촉 상태를 유지하고, 접촉부가 상대 이동하지 않는 상태(접촉부가 슬라이딩하지 않는 상태)에서, 가동 하우징(12)과 고정 하우징(11)의 플로팅을 가능하게 한다. 도 4 및 도 6에는, 플로팅한 가동 하우징(12)이, 플러그 콘택트(13) 등을 제외하고 2점 쇄선에 의해 나타내어져 있다.
가동 하우징(12)의 하방으로의 이동단은, 빠짐 방지 돌기(12c)의 스토퍼 돌기(12c1)와 제 1 기판(B1)과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가동 하우징(12)의 긴 쪽 방향 및 좌우 방향의 이동단은, 스토퍼면(12b1)과 기판 대향 판부(11b1)의 내면과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좌우 방향의 이동량은, 내방부(12b)의 외면과 개구 규제 가장자리부(돌기)(11a1)와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그러나, 플러그 콘택트(13)의 탄성 변형부(13d)의 탄성력은,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감합시킬 때에, 빠짐 방지 돌기(12c)가 제 1 기판(B1)에 맞닿는 위치(규제 위치)에 이르지 않는 곳에서 완전히 감합할 수 있도록 조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가동 하우징(12)을 압입 발거 방향으로 가동으로 하면, 제 1 기판(B1)과 제 2 기판(B2)의 위치 어긋남에 대한 허용도가 커진다. 또한, 감합 시의 충돌력에 의해 커넥터가 파손될 우려를 회피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10)를 리셉터클 커넥터(20)로부터 발거할 때에는, 가동 하우징(12)은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상방으로 이동한다. 이 상방으로의 이동단은, 빠짐 방지 돌기(12c)의 상면과 빠짐 방지 금구(14)의 빠짐 방지 판부(14c)와의 맞닿음 위치로 규제된다. 고정 하우징(11)은 소형화가 요구되고, 기판 대향 판부(11b1)도 박육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이, 가동 하우징(12)의 빠짐 방지 돌기(12c)의 빠짐 방지를 빠짐 방지 금구(14)의 빠짐 방지 판부(14c)로 도모함으로써, 고정 하우징(11)(기판 대향 판부(11b1))의 파손의 우려 없이, 확실하게 빠짐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가동 하우징(12)이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플로팅시키면서 감합할 때, 플로팅량이 큰(본 예에서는 피치 0.5㎜에 대하여 긴 쪽 방향 편측으로 약 1㎜ 가동함) 경우에 가동 하우징(12)을 평면적으로 봤을 때의 네 모퉁이의 플러그 콘택트(13)는, 그 탄성 변형부(13d)의 변형량이 커져, 인접하는 플러그 콘택트(13)간의 거리가 극히 짧아질 가능성이 있다. 복수의 탄성 변형부(13Wd)를 가지는 1개의 플러그 콘택트로서의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는, 가동 하우징(12)의 네 모퉁이에 배치함으로써, 중간부의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의 보호를 위해 사용할 수 있다. 즉,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의 하나의 U자 형상부(13Wb)에 대하여, 복수(도시 실시형태에서는 3개)의 탄성 변형부(13Wd)를 마련함으로써, 플로팅성을 희생하지 않고, 중간부의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일방의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는, 어스 단자 또는 전원 단자로서 1 회로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는, 감합 방향의 선단부의 위치를 플러그 콘택트(13)의 선단부의 위치로부터 어긋나게 해도 된다. 예를 들면,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를 어스 단자로서 이용할 때에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접속할 때에, 나머지의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보다 먼저 리셉터클 콘택트(23)에 접촉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문에, 도 2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U자 형상부(13Wb)의 상방으로의 돌출량을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의 U자 형상부(13b)의 상방으로의 돌출량보다 크게 형성함으로써,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는, 리셉터클 콘택트(23) 중의 대응하는 어스 단자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의 순서로 리셉터클 콘택트(23)에 접촉시킴으로써,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에 신호가 흐를 때에는, 이미 어스(그라운드)가 이루어져 있다.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를 전원 단자로서 이용할 때는, 플러그 커넥터(10)와 리셉터클 커넥터(20)를 접속할 때에, 먼저 나머지의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가 리셉터클 콘택트(23)에 접촉하고, 나중에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가 리셉터클 콘택트(23)에 접촉하는 접촉 순서로 한다. 이에 의해,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가 리셉터클 콘택트(23)에 접촉한 후에, 전원이 흐르도록 할 수 있다. 즉, 전원이 흐를 때에는, 모든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가 통전할 수 있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경우,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의 U자 형상부(13Wb)의 상방으로의 돌출량을 협폭 (신호 전달용)플러그 콘택트(13)의 U자 형상부(13b)의 상방으로의 돌출량보다 작게 형성함으로써,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는, 리셉터클 콘택트(23) 중의 대응하는 전원 단자와 나중에 접촉할 수 있다.
한 쌍의 광폭 플러그 콘택트(13W)는, 일방을 상기 어스 단자로 하고, 타방을 상기 전원 단자로 해도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의 리셉터클 콘택트(23)의 하우징(21)(수납홈(24))에 대한 고정 구조는 일례를 나타내는 것이고, 변형이 가능하다. 특히, 도시예는, 제 2 기판(B2)이 제 1 기판(B1)과 평행을 이루는 경우의 예이다. 그러나, 제 2 기판(B2)은 제 1 기판(B1)과 직교하는 위치 관계가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는, 접속 고정부(23d)(및 하우징(21), 수납홈(24))의 형상은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경해도 된다.
이상의 실시형태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를 고정 하우징(11)과 가동 하우징(12)으로 구성하였지만, 리셉터클 커넥터(20)측을 고정 하우징과 가동 하우징으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B1 : 제 1 기판(기판)
B2 : 제 2 기판(기판)
10 : 플러그 커넥터(플로팅 커넥터 장치)
11 : 고정 하우징
11a : 긴 쪽 벽
11a1 : 개구 규제 가장자리부(돌기)
11a2 : 절제부
11a3 : 수납 고정홈
11a4 : 절제부
11a5 : 수납 고정홈
11b : 짧은 쪽 벽
11b1 : 기판 대향 판부
11b2 : 개구
11b3 : 챔퍼링부
11c : 관통 긴 구멍
11d : 위치 결정 돌기
12 : 가동 하우징
12a : 외방부
12a1 : 바닥이 있는 긴 구멍
12a2 : 삽입 판부
12a3 : 테이퍼면
12a4 : 콘택트 지지홈
12a5 : 광폭 콘택트 지지홈
12a6 : 유도 돌기
12a7 : 유도 경사면
12b : 내방부
12b1 : 스토퍼면
12c : 빠짐 방지 돌기
12c1 : 스토퍼 돌기
13 : 플러그 콘택트(콘택트군)
13W : 광폭 플러그 콘택트
13a, 13Wa : 테일부
13b, 13Wb : U자 형상부
13c : 고정부
13c1 : 부상 변형부
13d : 탄성 변형부
13d1 : 역 U자 형상부
13d2 : 사선 하방 연장부
13d3 : U자 형상 반환부
13d4 : 사선 상방 연장부
14 : 빠짐 방지 금구
14a : 테일부
14b : 고정부
14c : 빠짐 방지 판부
20 : 리셉터클 커넥터
21 : 하우징
22 : 리셉터클 오목부
23 : 리셉터클 콘택트(콘택트군)
23a, 23b : 탄성 변형부
23a1, 23b1 : 선단 접촉부
23c : 테일부
23d : 접속 고정부
23d1 : 고정 오목부
23d2 : 고정 돌기
23d3 : 이동 규제부
23d4 : 슬릿
23d5 : 접속부
23e : 연결부
24 : 수납홈
24a : 변형 허용홈
24b : 고정 돌기
24c : 고정 오목부
24d : 이격벽

Claims (5)

  1. 기판 상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가동인 가동 하우징과, 일단부가 상기 기판에 열 형상으로 고정되고 타단부가 가동 하우징의 긴 쪽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고정되는 콘택트군을 가지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은, 관통 긴 구멍과, 상기 관통 긴 구멍의 긴 쪽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기판에 대향하는 한 쌍의 기판 대향 판부를 가지고,
    상기 가동 하우징은, 상기 고정 하우징의 관통 긴 구멍으로부터 돌출하는 외방부와, 상기 기판 대향 판부보다 기판측에 위치하는, 상기 기판 대향 판부와 평면에서 봤을 때 오버랩되는 빠짐 방지 돌기를 가지며,
    상기 콘택트군은, 기판에 실장되는 테일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의 수납 고정홈에 지지되는 고정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의 상기 외방부에 형성한 콘택트 지지홈에 지지되는 U자 형상부와, 상기 고정부와 U자 형상부를 접속하는, 어느 홈에도 지지되지 않는 자유 상태의 탄성 변형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탄성 변형부는, 자유 상태에 있어서 자신의 탄성에 의해, 상기 가동 하우징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이간시키고 있어, 상기 가동 하우징의 기판 방향으로의 가라앉음을 가능하게 하고, 또한, 가라앉은 상태에서, 상기 가동 하우징의 상기 긴 쪽 방향, 당해 긴 쪽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및 틸팅 방향으로의 탄성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하우징 상에는, 상기 기판 대향 판부의 내측에 위치하는 빠짐 방지 금구가 위치하고 있고, 당해 빠짐 방지 금구는, 기판 상에 실장되는 한 쌍의 테일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한 쌍의 고정부와, 당해 한 쌍의 고정부를 접속하는, 상기 가동 하우징의 빠짐 방지 돌기와 평면에서 봤을 때 오버랩되는 빠짐 방지 판부를 가지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군에 접속되는 콘택트군을 가지는 상대측 커넥터는, 상기 콘택트군의 U자 형상부의 양측에 상이한 높이 위치에서 탄성 접촉하는 선단 접촉부를 가지는 쌍을 이루는 탄성 변형부를 구비하고 있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군의 상기 탄성 변형부는,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의 고정부측부터 순서대로, 역 U자 형상부, 사선 하방 연장부, U자 형상 반환부 및 사선 상방 연장부를 가지고 있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군은, 상기 고정 하우징으로의 고정부와 상기 역 U자 형상부의 사이에, 상기 고정 하우징의 수납 고정홈의 바닥부로부터 이간하는 부상 변형부를 가지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KR1020187017855A 2015-12-28 2016-12-20 플로팅 커넥터 장치 KR1021334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6101 2015-12-28
JP2015256101A JP6662633B2 (ja) 2015-12-28 2015-12-28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PCT/JP2016/087977 WO2017115693A1 (ja) 2015-12-28 2016-12-20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6235A true KR20180086235A (ko) 2018-07-30
KR102133426B1 KR102133426B1 (ko) 2020-07-14

Family

ID=5922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855A KR102133426B1 (ko) 2015-12-28 2016-12-20 플로팅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522927B2 (ko)
EP (1) EP3399596B1 (ko)
JP (1) JP6662633B2 (ko)
KR (1) KR102133426B1 (ko)
CN (1) CN108604748B (ko)
PT (1) PT3399596T (ko)
WO (1) WO201711569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28A (ko) 2019-10-15 2021-04-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알에프 커넥터
KR20230102295A (ko) 2021-12-30 2023-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51937B2 (ja) * 2017-08-09 2021-03-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54683B2 (ja) * 2017-08-09 2022-10-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446109B1 (ja) 2017-10-10 2018-12-2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9687206A (zh) * 2017-10-18 2019-04-26 格棱电子科技(赣州)有限公司 信号传输组件、及浮动式连接器与其焊接件
JP6582082B2 (ja) * 2018-03-09 2019-09-25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9160489A (ja) * 2018-03-09 2019-09-19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19192527A (ja) 2018-04-26 2019-10-3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023789B2 (ja) * 2018-05-21 2022-02-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109303B2 (ja) * 2018-08-07 2022-07-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JP7239593B2 (ja) * 2018-08-31 2023-03-14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7093283B2 (ja) 2018-10-04 2022-06-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7002432B2 (ja) * 2018-10-23 2022-01-2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7207975B2 (ja) 2018-11-29 2023-01-1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CN109950716B (zh) * 2019-04-25 2024-02-06 苏州祥龙嘉业电子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浮动式btb连接器
JP6687790B1 (ja) * 2019-07-26 2020-04-28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7164503B2 (ja) * 2019-09-18 2022-11-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7321878B2 (ja) * 2019-10-15 2023-08-0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21068545A (ja) * 2019-10-21 2021-04-3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接続装置
TWI753658B (zh) * 2020-11-16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電源電極結構之浮動連接器
JP7377187B2 (ja) * 2020-12-02 2023-11-09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9960A2 (en) * 1991-12-30 1993-07-07 Molex Incorporated A floating two part electric connector
JP2007265742A (ja) 2006-03-28 2007-10-11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20120003875A1 (en) * 2010-06-30 2012-01-05 Kyocera Elco Corporation Connector
JP2013016363A (ja) 2011-07-04 2013-01-24 Kel Corp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CN103972696A (zh) * 2013-01-28 2014-08-06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4732A (en) * 1979-04-12 1982-06-15 Nixdorf Computer Ag Electrical connector unit
US4591230A (en) 1984-06-29 1986-05-27 Frank Roldan Electrical connector receptacle
JP3016164B2 (ja) * 1991-06-19 2000-03-0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可動型コネクタ
JP3074538B2 (ja) * 1991-07-20 2000-08-07 株式会社ソフィア カード式遊技装置
JP2562970Y2 (ja) * 1991-08-30 1998-02-16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表面実装型コネクタ
JP2552225B2 (ja) * 1992-07-16 1996-11-06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の電気コネクタ
JP4365949B2 (ja) * 1999-08-25 2009-11-18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基板接続用コネクタ
JP2004134156A (ja) * 2002-10-09 2004-04-30 Fujitsu Access Ltd 電気コネクタ
JP2006216298A (ja) * 2005-02-02 2006-08-17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フローティング型電気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4969838B2 (ja) * 2005-11-28 2012-07-04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フローティングタイプコネクタ
JP2007165128A (ja) * 2005-12-14 2007-06-28 Smk Corp プリント基板相互の電気的接続構造
JP2007220542A (ja) 2006-02-17 2007-08-30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5023545B2 (ja) * 2006-04-27 2012-09-12 富士通株式会社 端子接続機構、プリント基板及び電子装置
JP5000560B2 (ja) * 2008-03-21 2012-08-15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135015B2 (ja) * 2008-03-21 2013-01-30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5185731B2 (ja) * 2008-08-27 2013-04-17 第一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用固定具及び該固定具を用いる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5313805B2 (ja) * 2009-08-07 2013-10-09 スリーエム イノベイティブ プロパティズ カンパニー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2011249076A (ja) * 2010-05-25 2011-12-08 Fujitsu Component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CN104584331B (zh) 2012-09-05 2017-02-22 意力速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US9735521B2 (en) * 2013-01-09 2017-08-15 Amphenol Corporation Float adapter for electrical connector
CN203445293U (zh) * 2013-07-25 2014-02-1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浮动式电连接器
JP5946804B2 (ja) * 2013-08-09 2016-07-0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コネクタ
JP5481594B1 (ja) * 2013-08-09 2014-04-2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及び電気コネクタ
EP2874238A1 (en) * 2013-11-13 2015-05-20 Iriso Electronics Co., Ltd. Connector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6553843B2 (ja) * 2014-03-18 2019-07-3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49166B1 (ja) * 2014-12-12 2016-01-27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間接続構造
JP6446392B2 (ja) * 2016-05-23 2018-12-2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と相手接続部材との接続構造
JP6780975B2 (ja) * 2016-07-25 2020-11-0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6727103B2 (ja) * 2016-11-11 2020-07-2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6345287B1 (ja) * 2017-02-17 2018-06-20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可動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549960A2 (en) * 1991-12-30 1993-07-07 Molex Incorporated A floating two part electric connector
JP2007265742A (ja) 2006-03-28 2007-10-11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US20120003875A1 (en) * 2010-06-30 2012-01-05 Kyocera Elco Corporation Connector
JP2013016363A (ja) 2011-07-04 2013-01-24 Kel Corp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CN103972696A (zh) * 2013-01-28 2014-08-06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28A (ko) 2019-10-15 2021-04-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알에프 커넥터
KR20230102295A (ko) 2021-12-30 2023-07-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커넥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22927B2 (en) 2019-12-31
KR102133426B1 (ko) 2020-07-14
EP3399596A4 (en) 2019-08-07
JP2017120696A (ja) 2017-07-06
CN108604748A (zh) 2018-09-28
EP3399596B1 (en) 2022-03-09
CN108604748B (zh) 2020-11-03
US20190013608A1 (en) 2019-01-10
WO2017115693A1 (ja) 2017-07-06
JP6662633B2 (ja) 2020-03-11
EP3399596A1 (en) 2018-11-07
PT3399596T (pt) 2022-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86235A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JP5090432B2 (ja) 電気コネクタの嵌合案内部品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装置
KR101514373B1 (ko) 커넥터
KR20150051997A (ko) 커넥터
US9240653B2 (en) Wire-to-board connector
US10128614B2 (en) Movable connector
JP6058355B2 (ja) コネクタ
JP4162142B2 (ja) 中間電気コネクタ装置及びその接続構造
JP2007220542A (ja) コネクタ
KR101514372B1 (ko) 커넥터
US11223148B2 (en) Floating connector
EP2765655A1 (en) Connector
JP5587807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JP3804830B2 (ja) コネクタ
JP2018073747A (ja) コネクタ装置
US9705215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two movable parts
JP5459233B2 (ja) 電子装置
US7534123B2 (en) Movable connector
US20020045373A1 (en) Movable connector
US1127134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alignment and protection plate
JP7211131B2 (ja)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JP2002093499A (ja) 自動調心型の対基板用コネクタ
KR20090043336A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