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4372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4372B1
KR101514372B1 KR1020140115935A KR20140115935A KR101514372B1 KR 101514372 B1 KR101514372 B1 KR 101514372B1 KR 1020140115935 A KR1020140115935 A KR 1020140115935A KR 20140115935 A KR20140115935 A KR 20140115935A KR 101514372 B1 KR101514372 B1 KR 10151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terminal
housing
contac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5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8202A (ko
Inventor
다이스케 후나야마
시게루 미츠즈카
도미사부로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184389A external-priority patent/JP5422776B1/ja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28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8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bstract

본 발명은 접촉부와 탄성편부를 복수 개 갖는 복수 컨택트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에서 커넥터 치수가 대형화되지 않는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으로서,
제 2 탄성편부(23d)에 있어서의 제 1 고정편부(23e)와 연결되는 일단측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의 선단측부터 측면의 형상을 따라 우회하여 신장하는 굴곡부(23d1)를 설치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예를 들면 한 쌍의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커넥터로는 서로 한쪽 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기판 중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한쪽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다른쪽 커넥터를 구비하고, 각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상기 커넥터 중 한쪽 커넥터는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된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을 가동 하우징에 홀딩하고, 타단측을 고정 하우징에 홀딩한 복수의 단자를 가지며, 각 단자의 일단측과 타단측의 사이에 설치된 가동부의 탄성 변형에 의해 가동 하우징이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함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의한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한쪽 커넥터」가 되는 소켓 커넥터에 대해서는, 단자에 상기 「다른쪽 커넥터」가 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설치하고,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서로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함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제 1 접촉부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후에 제 2 접촉부를 접촉시킬 수 있어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 소켓 커넥터의 단자를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는 것이 있다.
상기 소켓 커넥터의 단자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와,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탄성편부 및 제 2 탄성편부와, 상기 가동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와, 상기 고정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부와,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를 갖는다.
상기 제 1 탄성편부는 제 1 고정편부의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1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탄성편부는 제 1 고정편부의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2 접촉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탄성편부는, 제 2 탄성편부가 제 1 탄성편부보다 커넥터의 전후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일본국 특개 2007-18785호 공보
그런데, 상기 소켓 커넥터의 제 2 탄성편부를 직선 형상으로 한 경우,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단자를 지지하는 하우징의 돌출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 고정편부와 연결되는 기단을 커넥터의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전(前)방향 또는 후(後)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야 하고, 그에 수반하여 상기 가동 하우징의 전후 방향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소켓 커넥터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까지도 전후 방향에서 커넥터 치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접촉부와 탄성편부를 복수 개 갖는 복수 컨택트의 단자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에서의 커넥터 치수가 대형화되지 않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하우징과, 상대 단자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와, 상대 단자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탄성편부 및 제 2 탄성편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를 갖는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대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접촉 방향을 따르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 중앙에,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대 단자를 홀딩하는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의 돌출부와 대향하는 중앙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 1 고정편부가 상기 중앙 격벽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탄성편부는 상기 제 1 고정편부의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제 2 탄성편부가 제 1 탄성편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 2 탄성편부는, 상기 제 1 고정편부와 연결되는 일단측에,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부터 측면의 형상을 따라 우회하여 신장하는 굴곡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제 2 탄성편부를 직선 형상으로 한 경우, 상기 돌출부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 고정편부와 연결되는 기단을 중앙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야 하고, 그에 수반하여 하우징의 전후 방향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으며, 그 결과 본 발명의 커넥터뿐만 아니라 상대 커넥터까지도 전후 방향에서 커넥터 치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러나 굴곡부를 갖는 제 2 탄성편부라면, 전술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굴곡부에 의해 제 2 탄성편부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으므로, 삽발이 견고해져서 스프링 탄성이 나빠져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이라면, 상대 커넥터의 단자의 접촉부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제 1 접촉부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후에 제 2 접촉부를 접촉시킬 수 있어 이 점에서도 상대 커넥터와 확실하게 도통할 수 있다.
상기 굴곡부는, 상기 중앙 격벽의 측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그 기단이 상기 제 1 고정편부와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중앙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다시 상기 전후 방향 중앙측으로 만곡하는 굴곡 형상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전술한 간섭을 회피하여 커넥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 굴곡부에 의해 제 2 탄성편부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으므로, 삽발이 견고해져서 스프링 탄성이 나빠져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상기 본 발명에 관해서는, 한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와,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고, 제 1 커넥터와 제 2 커넥터를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대해,
상기 제 1 커넥터가, 한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과, 제 1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1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1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제 1 단자를 가지며,
제 1 단자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
해당 가동부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커넥터가, 다른쪽 기판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과, 제 2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제 2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제 2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제 2 단자를 가지며,
제 2 단자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
해당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는 가동부의 폭 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는 가동부의 두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쉬우므로,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제 1 단자의 가동부가 탄성 변형하고, 각 기판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제 2 단자의 가동부가 탄성 변형한다.
즉, 제 1 커넥터의 제 1 단자의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하도록 폭 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의 치수가 보다 크게 형성되고, 제 2 커넥터의 제 2 단자의 가동부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두께 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되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한 것에 비해, 제 1 및 제 2 단자의 가동부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상기 본 발명에 대해서는 한쪽 기판에 부착되어 있고, 다른쪽 기판에 부착되는 다른 커넥터와 끼워 맞춤으로써 기판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에 대해, 기판에 고정되는 고정 하우징과, 고정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가동 하우징과, 일단측이 가동 하우징에 홀딩되고, 타단측이 고정 하우징에 홀딩되는 단자를 가지며,
단자가, 상기 다른 커넥터의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촉부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를 갖고 있고,
해당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자는, 가동부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응하는 두께 치수가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응하는 폭 치수보다 크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고, 가동부의 단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단자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 단자는 상기 다른 커넥터의 단자에 대하여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에서 간격을 두고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접촉부를 가진다. 이에 따르면, 다른 커넥터와 끼워 맞출 때에, 제 1 접촉부가 다른 커넥터의 단자와 슬라이딩 접촉한 후, 그 슬라이딩 궤적을 추종하여 제 2 접촉부를 접촉시킴으로써, 다른 커넥터의 단자에 이물이 부착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 1 접촉부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후에 제 2 접촉부를 접촉시킬 수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단자는 제 1 및 제 2 접촉부에서 상대 단자와 접촉하여, 하나의 접촉부에서 접촉하는 경우보다 상대 단자를 누르는 접촉력이 강하기 때문에, 커넥터가 사용 환경하에서 진동을 받아도 제 1 및 제 2 접촉부가 상대 단자와 미(微)슬라이딩하여 도금을 깎아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버리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접촉부와 탄성편부를 복수 개 갖는 복수 컨택트의 단자를 가지는 커넥터에 있어서도, 전후 방향에서 커넥터 치수가 대형화되지 않는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제 1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제 1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제 1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A-A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5는 제 1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6은 제 1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7은 제 2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제 2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 9는 제 2 커넥터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B-B선 화살표 방향 단면도이다.
도 11은 제 2 커넥터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제 2 커넥터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제 1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제 2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커넥터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커넥터의 접속 공정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한쌍의 프린트 기판끼리를 접속하기 위해 이용되는 커넥터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도면 중 X방향은 커넥터의 폭 방향, Y방향은 커넥터의 전후 방향, Z방향은 커넥터의 상하 방향을 나타낸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는 서로 한쪽 면을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쌍의 기판(1, 2) 중 한쪽 기판(1)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10)와, 다른쪽 기판(2)에 부착되는 제 2 커넥터(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제 2 커넥터(20)는 도 15 및 도 16에서는 도 7 내지 도 12에 대하여 상하 반대 방향으로 되어 있지만,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은 도 7 내지 도 12의 상하 방향으로서 나타낸다.
[제 1 커넥터(10)의 구성]
제 1 커넥터(10)는 한쪽 기판(1)에 고정되는 제 1 고정 하우징(11)과, 제 1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이동 자유로운 제 1 가동 하우징(12)과, 제 1 고정 하우징(11) 및 제 1 가동 하우징(12)에 홀딩된 복수의 제 1 단자(13)와, 제 1 고정 하우징(11)을 한쪽 기판(1)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제 1 고정 부재(14)로 구성되고, 각 제 1 단자(13)는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동시에,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 하우징(11)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depth)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고정 하우징(11)은 전면부(11a), 배면부(11b) 및 좌우 측면부(11c)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전면부(11a) 및 배면부(11b)의 내면측에는 각 제 1 단자(13)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홈(11d)이 설치되고, 각 측면부(11c)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노치부(11e)가 전후 2개소씩 설치되어 있다. 또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11e)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돌기부(12c)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12c)와 노치부(11e)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돌기부(12c)의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동대로 되기 때문에, 돌기부(12c)는 노치부(11e)의 내부에서 이동 자유롭다. 또, 돌기부(12c)의 전후 방향의 과도한 이동은 노치부(11e)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규제된다.
제 1 가동 하우징(12)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가동 하우징(12)은 상면을 개구한 중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는 저면의 전후 방향 중앙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돌출부(12a)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폭 방향으로 긴 편평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면 및 배면에는 각 제 1 단자(13)를 홀딩하는 복수의 홀딩홈(12b)이 설치되어 있다.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끼워 맞추면, 돌출부(12a)는 그 선단이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삽입부(22c)의 저부 및 제 1 고정편부(23e)에 굴곡하여 이어지는 제 2 탄성편부(23d)의 일단측과 접근하여 위치한다.
제 1 가동 하우징(12)은 제 1 고정 하우징(11)의 내형(內形)보다 작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 내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12c)가 노치부(11e)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제 1 가동 하우징(12)도 또 전후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상단은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상단과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양 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2c)가 전후 2개소씩 설치되고, 각 돌기부(12c)는 각각 제 1 고정 하우징(11)의 각 노치 부(11e) 내에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저면과 기판(1)의 사이에는 도 4, 1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간극이 설치되어 있고, 간극은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아래쪽 방향(기판 방향)으로의 가동대(可動代)로 되어 있다.
각 제 1 단자(13)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상기 금속판의 일부를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판 두께보다 커지도록 형성하고, 이것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가동부(13c)가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는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13)는 제 2 커넥터(20)의 단자에 접촉하는 접촉부(13a)와, 제 1 가동 하우징(12)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13b)와,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13c)와, 제 1 고정 하우징(1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부(13d)와, 한쪽 기판(1)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3e)로 이루어진다.
접촉부(13a)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형상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홀딩홈(12b)에 홀딩되어 있다.
제 1 고정편부(13b)는 접촉부(13a)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13c)는 제 1 고정편부(13b)로부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외면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상단 부근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역 U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을 기점으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편부(13d)는 가동부(13c) 한쪽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고정홈(11d)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13e)는 제 2 고정편부(13d)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전면부(11a) 또는 배면부(11b)의 아래쪽으로부터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다.
즉,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가동부(13c)가 배치되어 있다.
각 제 1 고정 부재(14)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 1 고정 하우징(11)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1 고정 부재(14)는 제 1 고정 하우징(11)의 측면부(11c)의 상면에서부터 전면측 및 배면측에 걸치도록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양단측이 측면부(11c)의 전면 및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고정 부재(14)의 양단에는 기판(1)에 납땜되는 고정편부(14a)가 각각 설치되고, 각 고정편부(1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1 고정 부재(14)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elongated protrusion)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커넥터(20)의 구성]
제 2 커넥터(20)는 한쪽 기판(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 하우징(21)과, 제 2 고정 하우징(21)에 대하여 이동 자유로운 제 2 가동 하우징(22)과, 제 2 고정 하우징(21) 및 제 2 가동 하우징(22)에 홀딩된 복수의 제 2 단자(23)와, 제 2 고정 하우징(21)을 다른쪽 기판(2)에 고정하기 위한 한쌍의 제 2 고정 부재(24)로 구성되고, 각 제 2 단자(23)는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동시에,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하우징(21)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작은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 하우징(21)은 전면부(21a), 배면부(21b) 및 좌우 측면부(21c)로 이루어지고, 그 상면 및 하면은 각각 위쪽 및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전면부(21a) 및 배면부(21b)의 하단측에는 각 제 2 단자(23)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멍(21d)이 설치되고, 각 측면부(21c)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노치부(21e)가 설치되어 있다. 또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치부(21e)의 내부에는 후술하는 돌기부(22d)가 배치되어 있고, 이 돌기부(22d)와 노치부(21e)의 내측 가장자리와의 사이에는 전후 방향으로 간극이 형성된다. 이 간극은 돌기부(22d)의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전후 방향으로의 가동대로 되기 때문에, 돌기부(22d)는 노치부(21e)의 내부에서 이동 자유롭다. 또, 돌기부(22d)의 전후 방향의 과도한 이동은 노치부(21e)의 내측 가장자리에 의해 규제된다.
제 2 가동 하우징(22)은 합성 수지의 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폭 치수 및 안길이 치수에 대하여 높이 치수가 큰 대략 직방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상면에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삽입되는 삽입구(22a)가 설치되고, 삽입구(22a)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가로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에는 각 제 2 단자(23)가 배치되는 복수의 단자구멍(22b)이 서로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각 단자구멍(22b)은 전후 2열로 배치되어 있다. 각 단자구멍(22b)은 상부측이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의 전후 방향 중앙을 향하여 개구하고 있고, 전열(前列)과 후열(後列)의 각 단자구멍(22b)의 상부측 사이에는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삽입구(22a)를 통하여 삽입되는 삽입부(22c)가 형성되어 있다. 각 단자구멍(22b)의 하부측에는 제 2 단자(23)가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각 단자구멍(22b)의 하단은 아래쪽으로 개구하고 있다.
제 2 가동 하우징(22)은 제 2 고정 하우징(21)의 내형보다 작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 내에 폭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부(22d)가 노치부(21e)의 내부를 이동할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제 2 가동 하우징(22)도 또 전후 방향에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가동 하우징(22)은 대략 위쪽 절반분이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양측면에는 측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부(22d)가 설치되고, 각 돌기부(22d)는 제 2 고정 하우징(21)의 각 노치부(21e) 내로 전후 방향, 폭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단자(23)는 도전성의 금속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된다. 또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는 폭 치수(X방향)의 치수보다 커지도록, 상기 금속판을 펀칭 가공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하여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는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가 판 두께 폭 치수(X방향)의 치수보다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23)는 제 1 커넥터(10)의 제 1 단자(13)에 접촉하는 제 1 접촉부(23a) 및 제 2 접촉부(23b)와, 제 1 단자(13)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탄성편부(23c) 및 제 2 탄성편부(23d)와, 제 2 가동 하우징(22)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23e)와, 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가동부(23f)와, 제 2 고정 하우징(21)에 고정되는 제 2 고정편부(23g)와, 다른쪽 기판(2)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23h)로 이루어진다.
제 1 접촉부(23a) 및 제 2 접촉부(23b)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각각 단자구멍(22b)의 상부측으로부터 삽입부(22c) 내로 돌출하고 있다. 이 경우, 각 접촉부(23a, 23b)는 제 1 접촉부(23a)가 제 2 접촉부(23b)의 위쪽에 위치하도록 서로 상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 2 단자(23)는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에서 제 1 단자(13)와 접촉하며, 1개의 접촉부에서 접촉하는 경우보다 제 1 단자(13)를 누르는 접촉력이 강하기 때문에, 끼워 맞춤 상태의 커넥터가 사용 환경하에서 진동을 받아도,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가 제 1 단자(13)와 미(微)슬라이딩하여 도금을 깎아 접촉 저항을 증가시켜 버리는 좋지 않은 상황을 억제할 수 있어,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제 1 탄성편부(23c)는 제 1 고정편부(23e)의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1 접촉부(23a)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탄성편부(23d)는 제 1 고정편부(23e)의 상단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그 상단에는 제 2 접촉부(2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각 탄성편부(23c, 23d)는 제 2 탄성편부(23d)가 제 1 탄성편부(23c)보다 커넥터의 전후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제 2 탄성편부(23d)는, 제 1 고정편부(23e)와 연결되는 일단측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의 선단측부터 측면의 형상을 따라 우회하여 신장하는 굴곡부(23d1)를 갖는다. 이 굴곡부(23d1)는 제 2 단자(23)를 전후 2열로 구분하는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중앙 격벽(22e)의 측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그 기단이 제 1 고정편부(23e)와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중앙 격벽(22e)으로부터 멀어지는 전(前)방향 또는 후(後)방향의 각 방향으로 만곡하는 바깥쪽 방향 만곡부(23d2)를 가지며, 거기에서 다시 전후 방향 중앙측으로 만곡하는 안쪽 방향 만곡부(23d3)를갖는 굴곡 형상으로 되어 있다.
여기에서 예를 들면 제 2 탄성편부(23d)를 직선 형상으로 한 경우,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제 1 고정편부(23e)와 연결되는 기단을 중앙 격벽(22e)으로부터 멀어지는 전방향 또는 후방향으로 어긋나게 해야 하며, 그에 수반하여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전후 방향의 폭을 크게 할 필요가 있고, 그 결과 제 2 커넥터(20)뿐만 아니라 제 1 커넥터(10)까지도 전후 방향에서 커넥터 치수가 대형화되어 버린다. 그러나 굴곡부(23d1)를 갖는 제 2 탄성편부(23d)이면 전술한 간섭을 회피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를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굴곡부(23d1)에 의해 제 2 탄성편부(23d)의 스프링 길이를 길게 취할 수 있으므로, 삽발(揷拔)이 견고해져서 스프링 탄성이 나빠져 커넥터의 접속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도 있다.
제 1 고정편부(23e)는 각 탄성편부(23c, 23d)의 하단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단자구멍(22b)의 하부측에 고정되어 있다.
가동부(23f)는 제 1 고정편부(23e)의 하단측으로부터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외면을 따라 위쪽으로 연장되는 동시에,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상하 방향 대략 중앙 부근에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역 U자 형상으로 굴곡하도록 형성되며, 그 상단을 기점으로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제 2 고정편부(23g)는 가동부(23f) 한쪽의 하단측으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고정구멍(21d) 내에 고정되어 있다.
기판 접속부(23h)는 제 2 고정편부(23g)의 하단으로부터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전면부(21a) 또는 배면부(21b)의 아래쪽으로부터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외측으로 연장 돌출하고 있다.
즉,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사이에 가동부(23f)가 배치되어 있다.
각 제 2 고정 부재(24)는 금속판을 굽힘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제 2 고정 하우징(21)의 폭 방향 양측으로 배치되어 있다. 제 2 고정 부재(24)는 제 2 고정 하우징(21)의 측면부(21c)의 상면에서부터 전면측 및 배면측에 걸치도록 대략 コ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전후 양단측이 측면부(21c)의 전면 및 배면에 고정되어 있다. 제 2 고정 부재(24)의 양단에는 기판(2)에 납땜되는 고정편부(24a)가 각각 설치되고, 각 고정편부(24a)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 2 고정 부재(24)의 상면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조부(24b)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에의 실장 방법]
이상과 같이 구성된 커넥터에 있어서는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고정 부재(14)의 고정편부(14a)와 각 제 1 단자(13)의 기판 접속부(13e)를 한쪽 기판(1)에 납땜함으로써, 제 1 커넥터(10)의 제 1 고정 하우징(11)이 기판(1)에 고정된다. 또,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고정 부재(24)의 고정편부(24a)와 각 제 2 단자(23)의 기판 접속부(23h)를 다른쪽 기판(2)에 납땜함으로써, 제 2 커넥터(20)의 제 2 고정 하우징(21)이 기판(2)에 고정된다.
[커넥터끼리의 접속과 작용]
다음으로, 제 1 커넥터(10)와 제 2 커넥터(20)를 접속하는 경우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커넥터(20) 및 기판(2)을 상하 반대방향으로 하여 제 1 커넥터(10)의 제 1 가동 하우징(12)과 제 2 커넥터(20)의 제 2 가동 하우징(22)을 서로 끼워 맞춘다.
그때, 제 1 가동 하우징(12) 내에 제 2 가동 하우징(22)이 삽입되는 동시에, 제 1 가동 하우징(12)의 돌출부(12a)가 제 2 가동 하우징(22)의 삽입구(22a)로부터 제 2 가동 하우징(22) 내의 삽입부(22c)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 제 1 단자(13)의 각 접촉부(13a)가 제 2 단자(23)의 각 제 1 접촉부(23a) 및 각 제 2 접촉부(23b) 사이에 압입되는 동시에, 제 1 단자(13)의 각 접촉부(13a)와 제 2 단자(23)의 각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가 서로 접촉하고, 각 제 1 단자(13)와 각 제 2 단자(23)가 접속된다.
그때,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는 제 2 단자(23)의 제 1 접촉부(23a)가 접촉한 후, 제 2 단자(23)의 제 2 접촉부(23b)가 접촉하기 때문에,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제 1 접촉부(23a)에 의해 이물이 제거된 후에 제 2 접촉부(23b)가 접촉한다.
상기 접속 상태에 있어서, 각 기판(1, 2)끼리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을 일으키면, 제 1 커넥터(10)의 제 1 가동 하우징(12)이 제 1 고정 하우징(11)에 대하여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넥터의 전후 방향 또는 상하 방향에 대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또, 각 기판(1, 2)끼리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상대적인 위치 어긋남를 일으키면, 제 2 커넥터(20)의 제 2 가동 하우징(22)이 제 2 고정 하우징(21)에 대하여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커넥터의 폭 방향에 대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흡수된다.
즉,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는 가동부(13c)의 폭 방향(X방향)의 치수가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 또는 상하 방향(Z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
또,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는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Y방향 또는 Z방향)의 치수가 폭 방향(X방향)의 치수보다 커져 있기 때문에,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보다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크게 탄성 변형하고,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생겼을 때는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보다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크게 탄성 변형한다.
또,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는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1 단자(13)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도 제 1 단자(13)의 상하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다.
마찬가지로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는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의 사이에 배치되는 동시에, 제 2 단자(23)의 일단측과 타단측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해도 제 2 단자(23)의 상하 치수가 커지는 일은 없다.
[본 실시 형태의 작용·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제 1 커넥터(10)의 각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가 커넥터의 전후 방향(Y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13c)의 폭 방향의 치수를 두께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하고, 제 2 커넥터(20)의 각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가 커넥터의 폭 방향(X방향)으로 탄성 변형하도록 가동부(23f)의 두께 방향의 치수를 폭 방향의 치수보다 크게 형성했다. 따라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어느 방향으로도 충분히 탄성 변형 가능하게 하기 위해 예를 들면 가동부를 단면이 단자의 판 두께와 같은 길이를 한 변의 길이로 하는 정방형이 되도록 설치한 것에 비해, 각 가동부(13c, 23f)의 단면적을 각각 크게 할 수 있어 각 단자(13, 23)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커넥터(10, 20)가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이동 자유로운 구성에서도 각 단자(13, 23)의 허용 전류치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대전류용 커넥터로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용도에 따라 대전류용이 아닌 커넥터로서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제 1 단자(1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13b)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13d)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1 단자(13)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또, 제 2 단자(23)의 일단측(제 1 고정편부(23e)측)과 타단측(제 2 고정편부(23g)측)을 서로 커넥터의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배치하도록 했으므로, 제 2 단자(23)의 상하 치수를 크게 하는 일 없이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커넥터(10, 20)를 상하 방향으로 대형화시키는 일 없이 제 1 및 제 2 가동 하우징(12, 22)의 이동량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각 기판(1, 2)의 간격이 좁아 각 기판(1, 2)끼리의 위치 어긋남이 큰 경우에도 유리하다.
이 경우, 제 1 단자(13)의 가동부(13c)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굴곡부를 기점으로, 폭 방향보다 치수가 작은 두께 방향으로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어 제 1 단자(13)를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또, 제 2 단자(23)의 가동부(23f)를 상하 방향으로 굴곡하도록 형성했으므로, 굴곡부를 기점으로, 두께 방향보다 치수가 작은 폭 방향으로 굽힘 변형을 일으키게 할 수 있어 제 2 단자(23)를 용이하게 탄성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단자(13)에 제 2 단자(23)에 접촉하는 접촉부(13a)를 설치하는 동시에, 제 2 단자(23)에는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접촉하는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를 설치하고, 제 2 단자(23)의 제 1 및 제 2 접촉부(23a, 23b)를 서로 커넥터 끼워 맞춤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했으므로, 제 1 단자(13)의 접촉부(13a)에 먼지나 때 등의 이물이 부착하고 있었던 경우라도 제 1 접촉부(23a)에 의해 이물을 제거한 후에 제 2 접촉부(23b)를 접촉시킬 수 있어 제 1 단자(13)와 제 2 단자(23)를 확실하게 도통시킬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10)의 접속 대상으로서, 탄성편부와 접촉부를 복수 개 갖는 복수 컨택트의 제 2 커넥터(20)를 예시했지만, 탄성편부와 접촉부가 1개뿐인 싱글 컨택트의 커넥터를 접속 대상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 1 커넥터(10)의 접속 대상으로서 가동부(23)를 갖는 제 2 커넥터(20)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가동부(23)가 없고 고정 하우징(21)과 가동 하우징(22)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은 플로팅 기능을 갖지 않는 커넥터를 접속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제 2 커넥터(20)의 접속 대상으로서 가동부(13)를 갖는 제 1 커넥터(10)로 하는 예를 나타냈지만, 가동부(13)가 없고 고정 하우징(11)과 가동 하우징(12)으로 나누어져 있지 않은 플로팅 기능을 갖지 않는 커넥터를 접속 대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각 기판(1, 2)의 대향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서 각 커넥터(10, 20)의 구성을 설명했지만, 각 기판이 상하 방향 이외의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기판의 대향 방향이 본 발명의 상하 방향에 대응한다.
1, 2: 기판 10: 제 1 커넥터
11: 제 1 고정 하우징 12: 제 1 가동 하우징
12a: 돌출부 13: 제 1 단자
13c: 가동부 20: 제 2 커넥터
21: 제 2 고정 하우징 22: 제 2 가동 하우징
22e: 중앙 격벽 23: 제 2 단자
23a: 제 1 접촉부 23b: 제 2 접촉부
23c: 제 1 탄성편부 23d: 제 2 탄성편부
23d1: 굴곡부 23d2: 바깥쪽 방향 만곡부
23d3: 안쪽 방향 만곡부 23f: 가동부

Claims (2)

  1. 하우징과,
    상대 단자와 접촉하는 제 1 접촉부 및 제 2 접촉부와, 상대 단자와의 접촉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제 1 탄성편부 및 제 2 탄성편부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제 1 고정편부를 갖는 단자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접촉 방향을 따르는 커넥터의 전후 방향 중앙에,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대 단자를 홀딩하는 상대 커넥터의 하우징의 돌출부와 대향하는 중앙 격벽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단자는 상기 제 1 고정편부가 상기 중앙 격벽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탄성편부는 상기 제 1 고정편부의 상단에서부터 위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제 2 탄성편부가 제 1 탄성편부보다 상기 전후 방향 중앙측에 위치하도록 서로 전후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가 배치되는 단자구멍과,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제 2 탄성편부는, 상기 제 1 고정편부와 연결되는 일단측에, 커넥터 끼워 맞춤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의 상기 돌출부의 선단측부터 측면의 형상을 따라 우회하여 신장하는 굴곡부를 갖고,
    추가로 상기 제 2 탄성편부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도록 상기 단자구멍의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는, 상기 중앙 격벽의 측면과 접하는 위치에서, 그 기단이 상기 제 1 고정편부와 연결되어 있고, 그리고 중앙 격벽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하고, 다시 상기 전후 방향 중앙측으로 만곡하는 굴곡 형상으로 되어 있는 커넥터.


KR1020140115935A 2013-09-05 2014-09-02 커넥터 KR1015143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4389 2013-09-05
JP2013184389A JP5422776B1 (ja) 2012-09-05 2013-09-05 コネクタ
JP2013243072A JP5481599B2 (ja) 2012-09-05 2013-11-25 コネクタ
JPJP-P-2013-243072 2013-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8202A KR20150028202A (ko) 2015-03-13
KR101514372B1 true KR101514372B1 (ko) 2015-04-22

Family

ID=52462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5935A KR101514372B1 (ko) 2013-09-05 2014-09-02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846414A1 (ko)
KR (1) KR101514372B1 (ko)
CN (1) CN104425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637019B1 (en) * 2003-06-11 2019-01-02 Neoconix, Inc. Land grid array connector
JP6693750B2 (ja) * 2016-01-08 2020-05-13 Koa株式会社 抵抗器用のブラケット、ブラケット付き抵抗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739297B2 (ja) * 2016-09-09 2020-08-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6806529B2 (ja) * 2016-11-02 2021-01-0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CN109103696A (zh) * 2017-06-21 2018-12-28 达昌电子科技(苏州)有限公司 浮动式连接器
JP7297622B2 (ja) * 2019-09-20 2023-06-26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JP7091008B2 (ja) * 2020-04-24 2022-06-27 矢崎総業株式会社 嵌合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06841A (en) * 1977-03-11 1978-08-15 Bunker Ramo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030245A (en) * 1998-03-13 2000-02-29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onnector with hybrid latch device
JP3117439B1 (ja) * 1999-07-06 2000-12-11 山一電機株式会社 挟接形ソケット
JP2005322470A (ja) * 2004-05-07 2005-11-17 Iriso Denshi Kogyo Kk コネクタ
JP4044937B2 (ja) * 2005-03-11 2008-02-06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2007018785A (ja) 2005-07-06 2007-01-25 D D K Ltd コネクタ
JP5006610B2 (ja) * 2006-10-05 2012-08-2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5919B (zh) 2018-06-08
KR20150028202A (ko) 2015-03-13
EP2846414A1 (en) 2015-03-11
CN104425919A (zh)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4373B1 (ko) 커넥터
KR101514372B1 (ko) 커넥터
JP5422776B1 (ja) コネクタ
US9698508B2 (en) Connector and substrate interconnection structure
JP5606588B1 (ja) コネクタ
JP5946804B2 (ja) コネクタ
KR101364231B1 (ko) 커넥터
JP5603790B2 (ja) フローティング型コネクタ
US20080296133A1 (en) Connector
US10128614B2 (en) Movable connector
CN104347995B (zh) 电连接器
CN107910676B (zh) 电连接器及其组合
JP4034801B2 (ja) 電気コネクタ
JP2015065147A (ja) 電子部品用ソケット
JP2016096152A (ja) コネクタ
JP7266464B2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コネクタ、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5261608B1 (ja) コネクタ
JP5833486B2 (ja) 基板接続コネクタ
JP2013008500A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