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2295A - 플로팅 커넥터 장치 - Google Patents

플로팅 커넥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2295A
KR20230102295A KR1020210192302A KR20210192302A KR20230102295A KR 20230102295 A KR20230102295 A KR 20230102295A KR 1020210192302 A KR1020210192302 A KR 1020210192302A KR 20210192302 A KR20210192302 A KR 20210192302A KR 20230102295 A KR20230102295 A KR 202301022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shell
shell
terminal
connector
insu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민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2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2295A/ko
Publication of KR20230102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22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91Coupling devices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or self align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각 커넥터가 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터쉘과 이너쉘을 각각 갖도록 형성하고, 각 이너쉘 내에 각각의 터미널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그라운드 접속 부위가 유동 가능하면서도 그라운드의 연속성을 가질 수 있고, 시그널 접속 부위가 유동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인 통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Description

플로팅 커넥터 장치{floating connector apparatus}
본 발명은 플로팅 기능의 수행이 가능하여 항상 안정적인 그라운드(ground)가 가능한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로팅 커넥터는 대응되는 두 커넥터가 서로 결합된 후 다양한 방향(예컨대, X축과 Y축 및 Z축 방향)으로의 유동이 허용되도록 이루어진 커넥터 장치이다.
이러한 플로팅 커넥터의 두 커넥터는 각각의 회로기판에 고정된 상태로 제공되며, 이로써 상기 두 커넥터의 접속시 유동을 위해서는 적어도 어느 한 커넥터의 터미널을 유동 가능하게 형성하거나 혹은, 두 커넥터 간의 접속 부위에 별도의 유동 가능한 플로팅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8-0086235호, 공개특허 제10-2020-0059992호, 공개특허 제10-2021-0044528호 등에 공개된 바와 같다.
즉, 전술된 플로팅 커넥터 구조에 의해 각각의 회로기판에 고정된 두 커넥터 간의 위치 오차가 발생되더라도 해당 오차를 흡수하여 양자의 감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는 각 커넥터가 고정되는 적어도 어느 한 회로기판에 유동이 발생될 경우 부분적인 접촉만 이루어지면서 통전되기 때문에 그라운드(ground)의 연속성이 끊어져 차폐 성능의 저하가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18-0086235호 공개특허 제10-2020-0059992호 공개특허 제10-2021-0044528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플로팅 기능의 수행시 그라운드(ground)의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외부로 노출되는 구간을 없애 차폐 성능이 하락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1터미널을 가지는 제1커넥터;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에 맞물려 통전되는 제2터미널을 가지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의 제1터미널은 제1이너쉘 내에서 선택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치됨과 더불어 상단은 방사 방향으로 유동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커넥터의 제2터미널은 제2이너쉘 내에서 선택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1커넥터는, 제1아웃터쉘과,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아웃터쉘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기울어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너쉘과, 상기 제1이너쉘 내에 구비되는 제1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인슐레이터 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어느 한 부위는 상기 제1인슐레이터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기울어짐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메일 구조의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의 상단이 결합되고, 중앙으로는 상기 제1터미널의 상단 내부로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공이 관통되며, 일부가 상기 제1아웃터쉘의 상단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의 상부로 노출되는 아웃터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1아웃터쉘에는 제1이너쉘의 외주면을 향해 내향 돌출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접촉편이 해당 제1아웃터쉘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이너쉘은 상기 각 제1접촉편과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1이너쉘에는 제2이너쉘의 내주면을 향해 외향 돌출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접촉편이 해당 제1이너쉘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이너쉘은 상기 각 제2접촉편과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1인슐레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접촉되는 접촉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은 상기 접촉돌부와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1아웃터쉘의 상단 내부에 위치되는 아웃터인슐레이터의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의 상단 내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제1아웃터쉘에 대하여 방사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2커넥터는, 제2아웃터쉘과, 상기 제2아웃터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아웃터쉘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아웃터쉘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기울어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너쉘과, 상기 제2이너쉘 내에 구비되는 제2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 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를 이루는 제1터미널 내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메일 구조의 제2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따르면, 제2인슐레이터는 상기 제2이너쉘 내주면에 압입 설치되는 외부단과, 상기 외부단 내에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터미널이 관통되는 내부단과, 상기 외부단과 내부단을 연결하면서 압축 가능한 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결국,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각 커넥터가 아웃터쉘과 이너쉘의 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라운드(ground)의 연속성을 가지며, 특히 외부로의 노출 구간이 없기 때문에 우수한 차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아웃터쉘과 이너쉘 간이 복수 개소의 접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편측으로 과도한 쏠림이 발생되거나 일부의 좌굴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인 접점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그라운드와 시그널의 별도 플로팅으로 어느 한 동심의 어긋남이 발생되더라도 항상 안정적인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제1커넥터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제1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제1커넥터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제2커넥터에 대한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제2커넥터에 대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제2커넥터에 대한 분해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크게 피메일형의 터미널(이하, “제1터미널”이라 함)(101)을 가지는 피메일 커넥터(이하, “제1커넥터”라 함)(100)와 메일형의 터미널(이하, “제2터미널”이라 함)(201)을 가지는 메일 커넥터(이하, “제2커넥터”라 함)(200)로 구성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그라운드 접속 부위가 유동 가능하면서도 그라운드의 연속성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되고, 시그널 접속 부위가 유동 가능하면서도 안정적인 통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이루는 제1커넥터(100)는 어느 한 회로(전원선 혹은, 기판)에 연결되는 부위이다.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아웃터쉘(1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아웃터쉘(110)은 그라운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아웃터쉘(110)은 내부가 비고 상하로 개방된 금속재질의 원통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111)은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하단 둘레를 따라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111)은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저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외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112)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112)은 후술될 제1이너쉘(120)과의 결합을 위한 부위이다.
상기 제1아웃터쉘(110)에는 내향 돌출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1접촉편(11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접촉편(113)은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둘 이상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내주면보다 더욱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접촉편(113)은 제1아웃터쉘(110)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중앙 부위로 갈수록 내향 돌출되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접촉편(113)은 적어도 셋 이상 제공됨과 더불어 서로는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이로써 제1아웃터쉘(110) 내의 제1이너쉘(120)이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어느 한 측으로 과도한 쏠림(직선 또는, 경사 유동)이 발생되거나 일부가 좌굴되더라도 서로의 안정적인 접점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이너쉘(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이너쉘(120)은 후술될 제2커넥터(200)와 결합되면서 후술될 각 인슐레이터(130,140) 및 제1터미널(101)이 설치되는 부위이다.
상기 제1이너쉘(120)은 일부가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외부로 노출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110) 내에 위치되면서 상하로 개방된 금속재질의 원통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너쉘(120)의 외주면 중 상기 제1아웃터쉘(110) 내에 위치되는 부위는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아웃터쉘(110)에 형성된 제1접촉편(113)이 접촉될 수 있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의 구조로 인해 상기 제1이너쉘(120)은 제1접촉편(113)과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이너쉘(120)의 외주면에는 여타 부위보다 요입되게 형성된 접촉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편(113)은 상기 접촉홈(121)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1접촉편(113)이 최대한 크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탄성 변형율을 높임으로써 상기 제1이너쉘(120)의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1이너쉘(120)의 저면에는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저면에 형성되는 결합홈(112)에 안착되는 안착단(122)이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단(122)의 제공에 의해 상기 제1이너쉘(120)이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상측으로 분리되거나 혹은, 제1아웃터쉘(110)로부터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너쉘(120)의 외주면 중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위에는 제1이너쉘(120)의 외부로 돌출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속돌기(123)가 형성된다. 상기 접속돌기(123)는 상기 제1이너쉘(12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둘 이상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너쉘(120)의 외주면보다 더욱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접촉돌기(123)는 제1이너쉘(120)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중앙 부위로 갈수록 외향 돌출되도록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인슐레이터(1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인슐레이터(130)는 제1터미널(101)과 제1이너쉘(120) 간의 단열과 방지 및 절연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인슐레이터(130)는 상기 제1이너쉘(120)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인슐레이터(130)는 중앙측 부위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1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31)의 내주면에는 제1터미널(101)이 접촉되는 접촉돌부(132)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31)은 상부로 갈수록 점차 내경이 커지는 구조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터미널(101)은 상기 경사 부위만큼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즉, 제1터미널(101)은 상기 접촉돌부(132)와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상하로 기울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0)는 제1터미널(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101)의 상단은 메일형의 터미널(제2터미널)(201)이 수용될 수 있도록 피메일(female)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101)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인슐레이터(130) 내를 상하로 관통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접촉돌부(132)와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첨부된 도 4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제1커넥터(100)는 아웃터인슐레이터(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아웃터인슐레이터(140)는 상기 제1터미널(101)의 상단이 유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면서 여타 부위와의 절연이나 단열을 위해 제공되는 구성이다.
상기 아웃터인슐레이터(140)의 상단은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상부로 노출되고, 나머지 부위는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상단 내부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아웃터인슐레이터(140)의 상단은 제1아웃터쉘(110)의 상단 외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아웃터인슐레이터(140)의 나머지 부위는 상기 제1아웃터쉘(110)의 상단 내주면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아웃터인슐레이터(140)는 상기 제1아웃터쉘(110)에 대하여 방사 방향으로 유동(수평 이동 혹은,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아웃터인슐레이터(140)의 중앙으로는 상기 제1터미널(101)의 상단 내부로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공(141)이 상하로 관통된다. 상기 삽입공(141)은 입구로 갈수록 점차 확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101)의 상단은 상기 아웃터인슐레이터(140)의 저면 중 상기 삽입공(141)의 둘레 부위에 압입 고정된다. 이로써, 상기 삽입공(141)을 관통하는 제2터미널(201)은 상기 제1터미널(101) 내로 삽입되면서 통전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를 이루는 제2커넥터(200)는 또 다른 한 회로(전원선 혹은, 기판)에 연결되는 부위이다.
상기 제2커넥터(200)는 상기 제1커넥터(100)에 접속되어 통전되면서 두 회로 혹은, 두 전원선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역할을 한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아웃터쉘(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아웃터쉘(210)은 그라운드를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접속단(2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아웃터쉘(210)은 내부가 비고 상하로 개방된 금속재질의 원통형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접속단(211)은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상단 둘레를 따라 하나 혹은, 둘 이상 복수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211)은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상면으로부터 연장되면서 외향 절곡되게 형성된다.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홈(212)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합홈(212)은 후술될 제2이너쉘(220)과의 결합을 위한 부위이다.
상기 제2아웃터쉘(210)에는 내향 돌출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제2접촉편(213)이 형성된다. 상기 제2접촉편(213)은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원주 방향을 따라 둘 이상 복수가 서로 이격되게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내주면보다 더욱 내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접촉편(213)은 제2아웃터쉘(210)의 일부를 절개 및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2접촉편(213)은 적어도 셋 이상 제공됨과 더불어 서로는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된다. 이로써 제2아웃터쉘(210) 내의 제2이너쉘(220)이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어느 한 측으로 과도한 쏠림(직선 또는, 경사 유동)이 발생되거나 일부가 좌굴되더라도 서로의 안정적인 접점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이너쉘(2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이너쉘(220)은 제1커넥터(100)와의 접속을 위해 제공됨과 더불어 제2인슐레이터(230) 및 제2터미널(201)이 설치되는 부위로 제공된다.
상기 제2이너쉘(220)은 일부가 상기 제2아웃터쉘(210)에 결합되어 접속됨과 더불어 다른 일부는 제1커넥터(100)의 제1이너쉘(120)에 접속된다. 이때, 상기 제2이너쉘(220)의 일부는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 접속되고, 상기 제2이너쉘(220)의 다른 일부에는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이너쉘(120) 상단이 삽입되어 결합 접속된다.
상기 제2이너쉘(220)의 외주면 중 상기 제2아웃터쉘(210) 내에 위치되는 상단측 부위는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아웃터쉘(210)에 형성된 제2접촉편(213)이 접촉될 수 있는 내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의 구조로 인해 상기 제2이너쉘(220)은 제2접촉편(213)과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2이너쉘(220)의 외주면에는 여타 부위보다 요입되게 형성된 접촉홈(221)이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편(213)은 상기 접촉홈(221)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기 제2접촉편(213)이 최대한 크게 돌출될 수 있도록 하여 탄성 변형율을 높임으로써 상기 제2이너쉘(220)의 충분한 유동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제2이너쉘(220)의 상면에는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결합홈(212)에 안착되도록 안착단(222)이 절곡 형성된다. 즉, 상기 안착단(222)의 제공에 의해 상기 제2이너쉘(220)이 상기 제2아웃터쉘(210)의 하측으로 분리되거나 혹은, 제2아웃터쉘(210)로부터 시계 방향이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됨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인슐레이터(2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인슐레이터(230)는 제2터미널(201)과 제2이너쉘(220) 간의 단열과 방지 및 절연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2인슐레이터(230)는 상기 제2이너쉘(220) 내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인슐레이터(230)는 중앙측 부위에 상하를 관통하는 관통공(2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231)의 내부로 제2터미털(201)이 관통 설치된다.
특히, 상기 제2인슐레이터(230)는 상기 제2이너쉘(220) 내주면에 압입 설치되는 외부단(230a)과, 상기 외부단(230a) 내에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터미널(201)이 관통되는 내부단(230b)과, 상기 외부단(230a)과 내부단(230b)을 연결하면서 압축 가능한 연결단(230c)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한 제2인슐레이티의 구조에 의해 제2터미널은 수평 방향으로의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첨부된 도 7 내지 도 9와 같이 상기 제2커넥터(200)는 제2터미널(2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터미널(201)은 피메일형의 제1터미널(101)에 수용될 수 있는 메일(male) 구조로 형성되면서 상기 제2인슐레이터(230) 내를 상하로 관통하여 제1터미널(101)에 삽입 접속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팅 커넥터 장치의 두 커넥터(100,200) 간 접속 과정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가 각각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1커넥터(100)의 제1이너쉘(120)은 제1아웃터쉘(110) 내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제1터미널(101)이 관통 설치된 제1인슐레이터(130)는 상기 제1이너쉘(120) 내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제1이너쉘(120)과 제1아웃터쉘(110)은 제1아웃터쉘(110)에 형성된 제1접촉편(113)에 의해 서로 그라운드된 상태를 이룬다. 이와 함께, 상기 제1터미널(101)의 상단에는 아웃터인슐레이터(140)가 결합되면서 상기 제1이너쉘(120)의 상단 내부에 일부가 삽입된 상태로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2커넥터(200)의 제2이너쉘(220)은 제2아웃터쉘(210) 내를 관통하도록 결합되고, 제2터미널(201)이 관통 설치된 제2인슐레이터(230)는 상기 제2이너쉘(220) 내에 삽입 결합된다. 이때, 제2이너쉘(220)과 제2아웃터쉘(210)은 제2아웃터쉘(210)에 형성된 제2접촉편(213)에 의해 서로 그라운드된 상태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제공되는 두 커넥터(100,200)를 통전시키고자 할 경우 첨부된 도 2와 같이 제1커넥터(100)의 제1이너쉘(120)과 제2커넥터(200)의 제2이너쉘(220)을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제1이너쉘(120)을 제2이너쉘(220) 내부로 삽입한다.
예컨대, 도시된 바와 같은 배치 상태의 경우 제1이너쉘(120)의 상단을 제2이너쉘(220)의 하단 내부에 삽입하여 서로를 결합한다.
이로써, 제1이너쉘(120)은 제1접촉편(113)에 의해 제1아웃터쉘(110)에 그라운드되고, 제2이너쉘(220)은 접속돌기(123)에 의해 상기 제1이너쉘(120)에 그라운드되며, 제2아웃터쉘(210)은 제2접촉편(213)에 의해 상기 제2이너쉘(220)에 그라운드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는 첨부된 도 10과 같다.
특히, 제1커넥터(100) 혹은, 제2커넥터(200)의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상기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200)의 각 쉘(110,120,2210,220)들은 서로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연속적인 그라운드를 이룰 수 있다.
또한, 상기 두 커넥터(100,200)가 서로 결합되면 제2커넥터(200)에 구비된 제2터미널(201)이 제1커넥터(100)에 구비된 제1터미널(101)에 삽입되면서 서로 통전된다. 이로써 두 커넥터(100,200) 간의 전기적 신호(signal)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1터미널(101)은 제1인슐레이터(130)와의 접속 구조에 의해 기울어짐(틸팅) 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터미널(201)은 제2인슐레이터(230)의 구조에 의해 기울어짐(틸팅)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로써, 어느 한 커넥터(100,200)의 유동이 발생되더라도 서로 간의 전기적 신호는 안정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유지된다.
결국,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각 커넥터(100,200)가 아웃터쉘(110,210)과 이너쉘(120,220)의 조합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그라운드(ground)의 연속성을 가지며, 특히 외부로의 노출 구간이 없기 때문에 우수한 차폐 성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아웃터쉘(110,210)과 이너쉘(120,220) 간이 복수 개소의 접점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편측으로 과도한 쏠림이 발생되거나 일부의 좌굴이 발생되더라도 안정적인 접점 유지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플로팅 커넥터 장치는 그라운드와 시그널의 별도 플로팅으로 어느 한 동심의 어긋남이 발생되더라도 항상 안정적인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다.
100. 제1커넥터 101. 제1터미널
110. 제1아웃터쉘 111. 접속단
112. 결합홈 113. 제1접촉편
120. 제1이너쉘 121. 접촉홈
122. 안착단 123. 접속돌기
130. 제1인슐레이터 131. 관통공
132. 접촉돌부 140. 아웃터인슐레이터
141. 삽입공
200. 제2커넥터 201. 제2터미널
210. 제2아웃터쉘 211. 접속단
212. 결합홈 213. 제2접촉편
220. 제2이너쉘 221. 접촉홈
222. 안착단 230. 제2인슐레이터
231. 관통공 230a. 내부단
230b. 외부단 230c. 연결단

Claims (10)

  1. 제1터미널을 가지는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와 맞물리면서 통전되는 제2터미널을 가지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그라운드를 위한 제1아웃터쉘과,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아웃터쉘의 내주면에 접촉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너쉘과,
    상기 제1이너쉘 내에 구비되는 제1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인슐레이터 내를 관통하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 내의 어느 한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메일 구조의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의 상단이 결합되고, 중앙으로는 상기 제1터미널의 상단 내부로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공이 관통되며, 일부가 상기 제1아웃터쉘의 상단 내부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의 상부로 노출되는 아웃터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웃터쉘에는 제1이너쉘의 외주면을 향해 내향 돌출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1접촉편이 해당 제1아웃터쉘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1이너쉘은 상기 각 제1접촉편과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터미널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접촉되는 접촉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은 상기 접촉돌부와의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아웃터쉘의 상단 내부에 위치되는 아웃터인슐레이터의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의 상단 내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제1아웃터쉘에 대하여 방사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아웃터쉘과,
    일부는 상기 제2아웃터쉘 외부로 노출되면서 제1이너쉘이 삽입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아웃터쉘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아웃터쉘의 내주면에 접촉되며, 상기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너쉘과,
    상기 제2이너쉘 내에 구비되는 제2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 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를 이루는 제1터미널 내로 삽입되어 접속되는 메일 구조의 제2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너쉘 중 상기 제2이너쉘이 삽입되는 부위에 상기 제2이너쉘의 내주면을 향해 외향 돌출되면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된 복수의 제2접촉편이 해당 제1이너쉘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슐레이터는
    상기 제2이너쉘 내주면에 압입 설치되는 외부단과,
    상기 외부단 내에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터미널이 관통되는 내부단과,
    상기 외부단과 내부단을 연결하면서 압축 가능한 연결단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8. 제1터미널을 가지는 제1커넥터와, 상기 제1커넥터와 맞물리면서 통전되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2커넥터는,
    그라운드를 위한 제2아웃터쉘과,
    일부는 상기 제2아웃터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2아웃터쉘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2아웃터쉘의 내주면 일부에 접촉되면서 해당 접촉 부위를 기준으로 기울어짐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너쉘과,
    상기 제2이너쉘 내에 구비되는 제2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 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커넥터를 이루는 제1터미널 내로 삽입되어 통전되는 메일 구조의 제2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아웃터쉘과,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 외부로 노출되도록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1아웃터쉘 내에 위치되어 상기 제1아웃터쉘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제1이너쉘과,
    상기 제1이너쉘 내에 구비되고, 상기 제1터미널의 상단이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아웃터쉘의 내부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면서 제1아웃터쉘에 대하여 방사 방향으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10. 제1터미널을 가지는 제1커넥터와, 제1커넥터와 맞물리면서 통전되는 제2터미널을 가지는 제2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커넥터는, 제1아웃터쉘과, 상기 제1아웃터쉘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이너쉘과, 상기 제1이너쉘 내에 구비되는 제1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인슐레이터 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1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피메일 구조의 제1터미널과, 상기 제1터미널의 상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1아웃터쉘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아웃터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커넥터는, 제2아웃터쉘과, 상기 제2아웃터쉘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이너쉘과, 상기 제2이너쉘 내에 구비되는 제2인슐레이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인슐레이터 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면서 상기 제2인슐레이터에 대하여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메일 구조의 제2터미널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팅 커넥터 장치.
KR1020210192302A 2021-12-30 2021-12-30 플로팅 커넥터 장치 KR202301022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302A KR20230102295A (ko) 2021-12-30 2021-12-30 플로팅 커넥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302A KR20230102295A (ko) 2021-12-30 2021-12-30 플로팅 커넥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2295A true KR20230102295A (ko) 2023-07-07

Family

ID=87153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302A KR20230102295A (ko) 2021-12-30 2021-12-30 플로팅 커넥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10229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235A (ko) 2015-12-28 2018-07-3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플로팅 커넥터 장치
KR20200059992A (ko) 2018-11-22 2020-05-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KR20210044528A (ko) 2019-10-15 2021-04-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알에프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86235A (ko) 2015-12-28 2018-07-30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플로팅 커넥터 장치
KR20200059992A (ko) 2018-11-22 2020-05-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고주파 커넥터
KR20210044528A (ko) 2019-10-15 2021-04-2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플로팅 알에프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8143B1 (en) Connector socket
US5685739A (en)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10243305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TWI540795B (zh) 具有直接連接終端之電氣連接器組件
JP5647434B2 (ja) 嵌合完了検知スイッチ付きコネクタ
US20080038963A1 (en) Receptacle connector and apparatus having the same
JP2006066384A (ja) 基板対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US5330372A (en) High-density connector
TWM647732U (zh) 插座連接器及用於其之金屬外殼
JP2020181818A (ja) コネクタ
US5470243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norting switch
WO2014047547A1 (en) Floating low profile modular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7181769B2 (ja) コネクタ
EP326119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224390B1 (en) Coaxial connector
US4451103A (en) Connector assembly
CN115224521A (zh) 浮动连接器及其组合
KR20230102295A (ko) 플로팅 커넥터 장치
US6179626B1 (e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US20220085530A1 (en) Connector and Connector Housing
KR102471886B1 (ko) 커넥터 및 단자
JP4225942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これ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EP4336662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050124225A1 (en) Modular jack
KR20040082972A (ko) 전기커넥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