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1369A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1369A
KR20180061369A KR1020187013589A KR20187013589A KR20180061369A KR 20180061369 A KR20180061369 A KR 20180061369A KR 1020187013589 A KR1020187013589 A KR 1020187013589A KR 20187013589 A KR20187013589 A KR 20187013589A KR 20180061369 A KR20180061369 A KR 20180061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uator
connection object
open
closed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647B1 (ko
Inventor
후미히토 이케가미
마사후미 세키
료이치 마나베
Original Assignee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1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1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1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incorrect coupling; by indicating correct or full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액추에이터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 액추에이터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된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하기 쉽고, 또한, 액추에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다. 액추에이터(50)는 오픈면(56O)과, 클로즈면(56C)과, 경사 접속면(56S)과, 선단 하중 전달부(56L)를 가진다. 오픈면(56O)은, 개방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20)의 삽입부(31)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클로즈면(56C)은, 폐쇄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20)과 대략 평행을 이룬다. 경사 접속면(56S)은, 오픈면(56O)과 클로즈면(56C)을 접속한다. 선단 하중 전달부(56L)는, 클로즈면(56C)과 경사 접속면(56S)의 교차부에 위치하고, 또한, 탄성 가압부(43a)에 의한 가압 하중의 피크 시에 접속 대상물(20)과 탄성 접촉한다.

Description

커넥터
본 발명은,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에 접속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커넥터는, 기본 구성으로서,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인슐레이터와, 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또한 당해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콘택트와, 인슐레이터에 회동(回動)(개폐) 가능하게 지지된 액추에이터와, 액추에이터의 회동축에 작용하여 당해 액추에이터를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가지고 있다.
일본공개특허 특개2002-124331호 공보
이와 같은 커넥터에서는, 액추에이터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에 액추에이터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된 것을 시각적이나 청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운 것이 시장 요구로서 존재한다. 시각적으로는 액추에이터의 위치나 각도로 완전히 폐쇄 상태가 되었는지 판단하지만, 근래의 경박단소화(輕薄短小化)된 커넥터에서는 판단이 곤란해지고 있다. 그러나, 소음이 많은 공장 내에서도 액추에이터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된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으면, 작업 공정상의 메리트가 크다. 이에 대하여, 액추에이터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된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하기 쉬운 커넥터는 종래품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또한, 종래품의 커넥터는, 액추에이터를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시키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액추에이터를 밀어넣지 않으면 안 되어, 액추에이터의 조작성이 나쁘다는 문제가 있다. 이 때문에, 커넥터의 기본 성능을 유지하면서, 액추에이터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액추에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상의 문제 의식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액추에이터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 액추에이터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된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하기 쉽고, 또한, 액추에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커넥터는,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콘택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삽입부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오픈면과,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클로즈면을 가지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동축에 작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오픈면과 상기 클로즈면을 접속하는 경사 접속면과, 상기 클로즈면과 상기 경사 접속면의 교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탄성 가압부에 의한 가압 하중의 피크 시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탄성 접촉하는 선단 하중 전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 상기 오픈면이 상기 접속 대상물과 대략 직교하는 중간 개폐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회동축의 하방에 위치 할 수 있다.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탄성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면과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사이에 쐐기 형상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 접속면은, 상기 오픈면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고, 상기 클로즈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접속면은, 상기 오픈면과 상기 클로즈면의 쌍방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할 수 있다.
상기 콘택트는, 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오픈면, 상기 클로즈면, 상기 경사 접속면 및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인접하는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극간벽(極間壁)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오픈면, 상기 클로즈면, 상기 경사 접속면 및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극간벽의 전부(全部)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오픈면, 상기 클로즈면, 상기 경사 접속면 및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극간벽의 일부에 마련할 수 있다.
상기 오픈면은,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삽입부로의 제로 삽입력(ZIF:Zero Insertion Force)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액추에이터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 액추에이터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된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하기 쉽고, 또한, 액추에이터의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커넥터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 및 접속 대상물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액추에이터가 완전 개방 상태인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액추에이터가 완전 개방 상태인 커넥터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액추에이터가 완전 폐쇄 상태인 커넥터를 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액추에이터가 완전 폐쇄 상태인 커넥터를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Ⅵ-Ⅵ선을 따르는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Ⅶ-Ⅶ선을 따르는 화살표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8은, 액추에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제 1 도이다.
도 9는, 액추에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제 2 도이다.
도 10은, 액추에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제 3 도이다.
도 11은, 액추에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제 4 도이다.
도 12는, 액추에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제 5 도이다.
도 13은, 액추에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제 6 도이다.
도 14는, 액추에이터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나타내는 제 7 도이다.
도 1∼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형태에 의한 커넥터(10)에 대하여 설명한다. 커넥터(10)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나 FFC(Flexible Flat Cable) 등의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20)에 접속되는 것이다. 이하의 설명 중의 방향(전, 후, 상, 하, 좌, 우)은, 도면 중에 기재한 화살선의 각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면 중에 있어서, 후방이 커넥터(10)로의 접속 대상물(20)의 「삽입 방향」에 상당하고, 전방이 커넥터(10)로부터의 접속 대상물(20)의 「발거 방향」에 상당하며, 좌우 방향이 커넥터(10)에 대한 접속 대상물(20)의 「삽입·발거 방향과 직교하는 소정 방향」에 상당한다.
접속 대상물(20)은, 전후 방향으로 짧고 좌우 방향으로 긴 평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시트 부재(필름 부재)로 이루어진다. 접속 대상물(20)은, 전방 상면만을 그 밖의 부분보다 얇은 두께로 한 얇은 두께부(21)를 가지고 있다. 접속 대상물(20)은, 후방 근처의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한 쌍의 계합편(engaging pieces)(22)을 가지고 있다. 접속 대상물(20)은, 후방 근처의 하면에,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100개의 회로 패턴(도시 생략)을 가지고 있다.
커넥터(10)는, 인슐레이터(30)와,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100개의 콘택트(40)와, 액추에이터(50)와, 좌우 방향의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고정 금구(60)를 가지고 있다.
인슐레이터(30)는, 절연성이면서 내열성의 수지 재료(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다. 인슐레이터(30)의 전방 상면에는, 접속 대상물(20)이 전방으로부터 삽입되는 삽입부(31)가 오목하게 마련되어 있다. 삽입부(31)의 좌우 방향의 길이는, 접속 대상물(20)의 좌우 방향의 길이와 대략 동일하다. 인슐레이터(30)에는, 인슐레이터(30)의 후벽 상단(上端)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여 삽입부(31)의 후부에 대향하는 지붕부(32)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31)의 상면에는,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00개의 콘택트 지지홈(31X)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지지홈(31X)은, 그 전부(前部)가 삽입부(31)의 전단부(前端部)에 개방되어 있고, 그 후부가 인슐레이터(30)의 후면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지붕부(32)의 하면에는, 100개의 콘택트 지지홈(31X)에 대응시켜,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100개의 콘택트 지지홈(32X)이 형성되어 있다. 각 콘택트 지지홈(32X)은, 그 전부(前部)가 지붕부(32)의 전단부에 개방되어 있고, 그 후부가 인슐레이터(30)의 후면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단부에는, 삽입부(31)와 지붕부(32)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측벽(33)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33)의 전방 내면에는, 한 쌍의 계합 볼록부(34)가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측벽(33)보다 내방에는, 한 쌍의 액추에이터 지지부(35)가 형성되어 있다. 각 액추에이터 지지부(35)는, 전후 방향으로 이간한 한 쌍의 상방 돌출부(35a)와, 이 한 쌍의 상방 돌출부(35a)의 사이에 형성된 계합부(35b)를 가지고 있다. 좌우 양측의 측벽(33)과 액추에이터 지지부(35)의 사이에는, 한 쌍의 고정 금구 지지홈(36)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액추에이터 지지부(35)의 후방에는, 후부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경사면(37)이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40)는, 스프링 탄성을 구비한 구리 합금(예를 들면 인청동, 베릴륨구리, 티탄구리)이나 코르손계 구리 합금의 박판을 순송(順送) 금형(스탬핑)을 이용하여 도시 형상으로 성형 가공한 것이고, 표면에 니켈 도금으로 베이스를 형성한 후에, 금도금을 실시하고 있다.
도 6,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택트(40)는, 후단부(後端部)를 구성하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기편(基片)(41)과, 기편(41)의 하단부(下端部)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접속 대상물 지지 아암(이하 간단히 「지지 아암」이라고 함)(42)과, 기편(41)의 상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한 누름 아암(스태빌라이저)(43)으로 이루어지는 단면 대략 コ자 형상을 가지고 있다. 콘택트(40)의 단면 대략 コ자 형상의 공간 내에 접속 대상물(20)의 전방이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 아암(42)의 전단부에는, 비스듬히 상방으로 연장되는 접촉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7 등에서는, 접촉부(42a)의 상단면이 대략 평탄 형상으로 그려져 있지만, 접촉부(42a)의 상단면은, 엄밀하게는 전방으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전방 경사면과, 후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하방으로 경사지는 후방 경사면과,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을 전후 방향의 중앙부 근방에서 연결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골짜기형 형상을 가지고 있다. 누름 아암(43)의 전단부에는, 하방이 개방된 대략 반원호 형상의 회동축 지지부(탄성 가압부)(43a)가 형성되어 있다. 누름 아암(43)의 약간 후방 근처에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2개의 계합 돌기(43b)가 형성되어 있다. 기편(41)의 하단부에는, 지지 아암(42)의 반대측에 위치시켜, 하방으로 돌출하고 나서 후방으로 연장 돌출하는 테일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40)는, 인슐레이터(30)의 콘택트 지지홈(31X)과 콘택트 지지홈(32X)에 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지지된다. 이 지지 상태에서는, 지지 아암(42)이 삽입부(31)의 콘택트 지지홈(31X)을 따라 지지되고, 누름 아암(43)이 지붕부(32)의 콘택트 지지홈(32X)을 따라 지지된다. 이 때, 누름 아암(43)에 형성된 2개의 계합 돌기(43b)가 지붕부(32)의 콘택트 지지홈(32X)에 파고들어 걸어 멈춰진다. 또한, 지지 아암(42)의 전단부에 형성된 접촉부(42a)는, 삽입부(31)의 콘택트 지지홈(31X)보다 상방으로 돌출하고, 누름 아암(43)의 전단부에 형성된 회동축 지지부(43a)는, 지붕부(32)의 콘택트 지지홈(32X)보다 전방으로 돌출한다. 또한, 테일부(44)는, 커넥터(10)의 실장 대상인 회로 기판(도시 생략)에 대하여 납땜된다.
액추에이터(50)는, 절연성이면서 내열성의 수지 재료(합성 수지 재료)를 사출 성형한 것이고,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진다. 액추에이터(50)의 좌우 양단부에는,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한 쌍의 액추에이터 지지부(35)에 지지되는 한 쌍의 피지지부(51)가 형성되어 있다. 각 피지지부(51)에는, 좌우 양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하는 계합 볼록부(51a)와, 후부 상방을 향하여 둥그스름한 R 형상부(51b)가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50)는, 그 전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손잡이부(52)를 가지고 있다. 액추에이터(50)는, 그 상면과 하면의 대응 위치(동일 위치)에,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7개의 직사각형 오목부(53a)와, 이 7개의 직사각형 오목부(53a)의 양측에 위치하는 2개의 사다리꼴 오목부(53b)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직사각형 오목부(53a)와 사다리꼴 오목부(53b)는, 액추에이터(50)의 성형 시의 휨이나 비틀어짐을 억제하기 위한 기능을 가진다.
액추에이터(50)는, 그 하면의 좌우 양단부에 위치시켜, 전단부가 개방된 한 쌍의 상방 돌출부 수용 오목부(이하 간단히 「수용 오목부」라고 함)(53c)를 가지고 있다(도 2 참조). 액추에이터(50)의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방 돌출부(35a) 중의 전방의 상방 돌출부(35a)가 액추에이터(50)의 한 쌍의 수용 오목부(53c)에 수용되어 양자가 맞닿음으로써, 액추에이터(50)가 위치 규제된다(불필요한 회전(완전 폐쇄 위치 이상의 회전이 억제됨)).
액추에이터(50)는, 그 후단부에, 당해 액추에이터(50)를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하고 또한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100개의 누름 아암 삽입홈(스태빌라이저 삽입홈)(54)을 가지고 있다. 이 100개의 누름 아암 삽입홈(54)의 내부에는,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100개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이 형성되어 있다. 100개의 누름 아암 삽입홈(54)에 100개의 콘택트(40)의 누름 아암(43)을 삽입하고, 또한, 100개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100개의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를 각각 걸어 걸어 멈춤으로써, 액추에이터(50)가 인슐레이터(30)에 회동(개폐) 가능하게 지지된다. 또한, 100개의 누름 아암 삽입홈(54)의 내부에는, 액추에이터(50)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의 개방각을 규제하는 100개의 개방각 규제부(54a)가 형성되어 있다.
액추에이터(50)는, 각 100개의 누름 아암 삽입홈(54)과 걸어 멈춤 회동축(55) 및 그곳에 삽입 지지된 100개의 콘택트(40)의 사이에 위치시켜, 극간벽(56)을 가지고 있다. 즉 극간벽(56)은, 100개의 콘택트(40) 중 인접하는 콘택트(40)의 사이에 위치하여 이들을 구획하고 있다.
도 6, 도 7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극간벽(56)은 오픈면(56O)과, 클로즈면(56C)과, 오픈면(56O)과 클로즈면(56C)을 접속하는 경사 접속면(56S)과, 클로즈면(56C)과 경사 접속면(56S)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선단 하중 전달부(56L)를 가지고 있다. 클로즈면(56C)과 경사 접속면(56S)의 교차부는 미소한 R 형상부로 되어 있고, 이 R 형상부의 선단부가 선단 하중 전달부(56L)로 되어 있다. 경사 접속면(56S)은, 오픈면(56O)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고, 클로즈면(56C)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교차한다.
한 쌍의 고정 금구(60)는 금속판의 프레스 성형품이고, 인슐레이터(30)의 한 쌍의 고정 금구 지지홈(36)에 하방으로부터 압입 지지되는 압입 지지부(61)와, 커넥터(10)의 실장 대상인 회로 기판(도시 생략)에 대하여 납땜되는 테일부(62)를 가지고 있다.
도 8∼도 14를 참조하여, 액추에이터(50)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커넥터(10)에 접속 대상물(20)을 삽입하여 액추에이터(50)를 완전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의 거동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액추에이터(50)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는, 액추에이터(50)의 한 쌍의 R 형상부(51b)가 인슐레이터(30)의 한 쌍의 경사면(37)을 따르도록 위치하고, 또한, 액추에이터(50)의 100개의 개방각 규제부(54a)가 인슐레이터(30)의 지붕부(32)의 상면에 맞닿아져, 액추에이터(50)의 개방각이 90°를 넘는다(예를 들면 약 110°). 액추에이터(50)의 완전 개방 상태에서, 접속 대상물(20)을 인슐레이터(30)의 삽입부(31)에 삽입하여, 접속 대상물(20)의 한 쌍의 계합편(22)을 인슐레이터(30)의 한 쌍의 계합부(35b)에 계합시킴으로써, 접속 대상물(20)이 인슐레이터(30)로부터 빠짐 방지된다. 이 때 극간벽(56)의 오픈면(56O)은, 접속 대상물(20)에 간섭하지 않고, 접속 대상물(20)의 인슐레이터(30)의 삽입부(31)로의 제로 삽입력(ZIF:Zero Insertion Force)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접속 대상물(20)을 인슐레이터(30)의 삽입부(31)에 삽입하면, 극간벽(56)의 오픈면(56O)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과 대향한다. 또한, 콘택트(40)의 지지 아암(42)은 탄성 변형하고 있지 않은 자유 상태이고, 그 접촉부(42a)의 상단면에 접속 대상물(20)의 하면이 지지되어 있다(태워져 있다).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의 바로 위에는 액추에이터(50)의 오픈면(56O)과 경사 접속면(56S)의 교차부가 위치하고 있고, 이 교차부와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은 비접촉이다. 접속 대상물(20)을 인슐레이터(30)의 삽입부(31)에 삽입하면, 전용의 지그 또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손잡이부(52)를 개재하여 액추에이터(50)에 도면 중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을 가하여 액추에이터(50)를 닫아 간다.
도 9는 액추에이터(50)를 한 단계 닫아 그 개방 각도가 약 90°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극간벽(56)의 경사 접속면(56S)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여 올라앉음으로써,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 및 이에 지지된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결과,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작용하여, 액추에이터(50)를 인슐레이터(30)의 삽입부(31)에 삽입된 접속 대상물(20)을 향하여 가압하는 가압 하중이 발생한다. 이에 의해, 접속 대상물(20)의 하면에 형성된 100개의 회로 패턴(도시 생략)이 100개의 콘택트(40)의 접촉부(42a)를 향하여 가압되어 양자의 전기적인 접속이 확보(보증)됨과 함께, 콘택트(40)의 지지 아암(42)(접촉부(42a))이 하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때,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는,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에 의해, 액추에이터(50)를 여는 방향으로의 반력이 가해지고 있다.
도 10은 액추에이터(50)를 한 단계 더 닫아 그 개방 각도가 약 80°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극간벽(56)의 경사 접속면(56S) 중 선단 하중 전달부(56L) 근처의 부분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여 더 올라앉음으로써,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 및 이에 지지된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더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결과,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부여하는 가압 하중, 또한 액추에이터(50)로부터 접속 대상물(20)을 경유하여 콘택트(40)의 접촉부(42a)에 가해지는 가압 하중이 더 커져, 콘택트(40)의 지지 아암(42)(접촉부(42a))이 더 하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때,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는,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에 의해, 액추에이터(50)를 여는 방향으로의 반력이 가해지고 있다.
도 11은 액추에이터(50)를 추가로 한 단계 닫아 그 개방 각도가 약 60°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극간벽(56)의 경사 접속면(56S) 중 보다 선단 하중 전달부(56L) 근처의 부분(클로즈면(56C)과 경사 접속면(56S)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R 형상부 중 경사 접속면(56S) 근처의 부분)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여 추가로 올라앉음으로써,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 및 이에 지지된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추가로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 그 결과,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부여하는 가압 하중, 또한 액추에이터(50)로부터 접속 대상물(20)을 경유하여 콘택트(40)의 접촉부(42a)에 가해지는 가압 하중이 추가로 커져, 콘택트(40)의 지지 아암(42)(접촉부(42a))이 추가로 하방으로 탄성 변형한다. 이 상태에서는,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로부터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가해지고 있던 액추에이터(50)를 여는 방향으로의 반력이 순간적으로 제로가 된다.
도 12는 액추에이터(50)를 추가로 한 단계 닫아 그 개방 각도가 약 38°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극간벽(56)의 선단 하중 전달부(56L)가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여 추가로 올라앉음(최대 올라앉음량)으로써,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 및 이에 지지된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추가로 상방으로 들어올려진다(최대 들어올림량). 그 결과,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부여하는 가압 하중, 또한 액추에이터(50)로부터 접속 대상물(20)을 경유하여 콘택트(40)의 접촉부(42a)에 가해지는 가압 하중이 피크가 되어, 콘택트(40)의 지지 아암(42)(접촉부(42a))이 추가로 하방으로 탄성 변형한다(최대 변형량).
그리고,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는,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에 의해, 액추에이터(50)를 닫는 방향의 힘이 작용하기 시작한다. 즉,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부여하는 가압 하중의 피크 시를 경계로 하여,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부여하는 회전력의 방향이, 액추에이터(50)를 여는 방향으로부터 액추에이터(50)를 닫는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전환된다. 극간벽(56)의 선단 하중 전달부(56L)가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극간벽(56)의 클로즈면(56C)과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의 사이에 쐐기 형상 공간(B)이 형성되고, 이 쐐기 형상 공간(B)은, 액추에이터(50)를 여는 방향으로부터 액추에이터(50)를 닫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의 전환을 저해(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도 13은 액추에이터(50)를 추가로 한 단계 닫아 그 개방 각도가 약 30°가 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극간벽(56)의 클로즈면(56C) 중 선단 하중 전달부(56L) 근처의 부분(클로즈면(56C)과 경사 접속면(56S)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R 형상부 중 클로즈면(56C) 근처의 부분)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여 올라앉는다. 이 때,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대한 극간벽(56)의 클로즈면(56C)의 올라앉음량, 및,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 및 이에 지지된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의 상방으로의 들어올림량은, 모두 도 12의 피크 시보다 약간 감소한다. 또한, 극간벽(56)의 오픈면(56O)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과 대략 직교하는 중간 개폐 상태가 되어, 극간벽(56)의 선단 하중 전달부(56L)가 걸어 멈춤 회동축(55)의 하방(바로 아래)에 위치한다. 이 때,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는,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에 의해, 액추에이터(50)를 닫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용하고 있다.
도 14는 액추에이터(50)의 완전 폐쇄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완전 폐쇄 상태의 직전에서는, 콘택트(40)의 접촉부(42a)의 상단면이, 전방 경사면과 후방 경사면과 이들을 연결하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골짜기형 형상을 가지고 있음으로써, 콘택트(40)의 접촉부(42a)의 후단 상승부가 액추에이터(50)를 밀어 올려 그 폐성(閉成) 속도를 추가로 크게 하는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액추에이터(50)의 완전 폐쇄 상태에서는, 극간벽(56)의 클로즈면(56C)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과 대략 평행을 이루고 있다. 또한, 인슐레이터(30)의 한 쌍의 액추에이터 지지부(35)에 액추에이터(50)의 한 쌍의 피지지부(51)가 지지되고, 또한, 액추에이터(50)의 한 쌍의 계합 볼록부(51a)가 인슐레이터(30)의 한 쌍의 계합 볼록부(34)에 계합함으로써 액추에이터(50)의 완전 폐쇄 상태가 유지된다. 콘택트(40)의 지지 아암(42)(접촉부(42a))의 탄성 변형량은, 도 12의 피크 시보다 약간 감소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커넥터(10)는, 액추에이터(50)의 극간벽(56)에, 오픈면(56O)과 클로즈면(56C)을 접속하는 경사 접속면(56S)과, 클로즈면(56C)과 경사 접속면(56S)의 교차부에 위치하는 선단 하중 전달부(56L)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의해, 액추에이터(50)를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완전 개방 상태로 이행시킬 때, 극간벽(56)의 선단부가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접촉하지 않고 가압 하중이 가해지지 않는 구간이 길어, 극간벽(56)의 선단부와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의 슬라이딩 거리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극간벽(56)의 선단부가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여 올라앉는 구간 및 양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커넥터(10)의 기본 성능을 유지하면서, 액추에이터(50)의 조작성의 향상이나 조작력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액추에이터(50)를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완전 개방 상태로 이행시킬 때,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부여하는 가압 하중의 피크 시를 경계로 하여, 콘택트(40)의 회동축 지지부(43a)가 액추에이터(50)의 걸어 멈춤 회동축(55)에 부여하는 회전력의 방향이, 액추에이터(50)를 여는 방향으로부터 액추에이터(50)를 닫는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전환된다. 게다가, 극간벽(56)의 클로즈면(56C)과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의 사이에 형성된 쐐기 형상 공간(B)이, 액추에이터(50)를 여는 방향으로부터 액추에이터(50)를 닫는 방향으로의 회전력의 전환을 저해(방해)하는 경우가 없다. 그 결과, 액추에이터(50)가 가압 하중의 피크 시의 개방 각도(도 12)로부터 완전 폐쇄 상태(도 14)까지 닫힐 때의 속도(가속도)를 크게 할 수 있어, 액추에이터(50)를 가압 하중의 피크 시의 개방 각도(도 12)까지 닫기만 하면, 그 후에는 확실하게 액추에이터(50)가 단숨에 완전 폐쇄 상태까지 자동 폐성(자동 클로즈) 및 자동 보지(保持)된다.
여기서, 액추에이터(50)가 자동 폐성(자동 클로즈)될 때의 속도(가속도)가 크기 때문에, 액추에이터(50)의 하면이 접속 대상물(20)의 상면에 충돌하고, 또한/또는, 인슐레이터(30)의 좌우 양단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상방 돌출부(35a) 중의 전방의 상방 돌출부(35a)가 액추에이터(50)의 한 쌍의 수용 오목부(53c)에 충돌했을 때에, 매우 크고 또한 높은 자동 폐성 완료음(충돌음, 클릭음)이 발생한다. 이 자동 폐성 완료음(충돌음, 클릭음)에 의해, 예를 들면 소음이 많은 공장 내라도, 액추에이터(50)가 완전한 폐쇄 상태로 이행된 것을 청각적으로 인식할 수 있어, 작업 공정상의 메리트를 크게 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종래품의 액추에이터의 극간벽의 선단부는, 오픈면과 클로즈면이 이루는 각도가 본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또한, 오픈면과 클로즈면의 교차부에 선단 하중 전달부가 형성되어 있고(경사 접속면이 존재하지 않고), 걸어 멈춤 회동축으로부터 극간벽의 선단부까지의 거리가 커져 있다. 이 때문에,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부터 완전 개방 상태로 이행시킬 때, 조기의 단계에서 극간벽의 선단부가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접촉하여 가압 하중이 가해지고 게다가 그 구간이 길게 계속된다. 즉 극간벽의 선단부와 접속 대상물의 상면의 슬라이딩 거리가 길어져 버린다. 또한, 극간벽이 접속 대상물의 상면에 탄성 접촉하여 올라앉는 구간 및 양이 증대해 버린다. 그 결과, 극간벽과 접속 대상물의 사이에 작용하는 저항이 지나치게 커져, 액추에이터가 자동 폐성(자동 클로즈)되지 않으므로, 액추에이터를 완전 폐쇄 상태로 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액추에이터의 손잡이부를 밀어넣지 않으면 안 되어, 액추에이터의 조작성이 나빠져 버린다. 또한 액추에이터의 자동 폐성 완료음(충돌음, 클릭음)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극간벽(56)의 전부(全部)에 오픈면(56O), 클로즈면(56C), 경사 접속면(56S) 및 선단 하중 전달부(56L)를 마련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복수의 극간벽(56)의 일부에 오픈면(56O), 클로즈면(56C), 경사 접속면(56S) 및 선단 하중 전달부(56L)를 마련하는 양태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복수의 극간벽(56)에 1개 간격으로, 2개 간격으로, 3개 간격으로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오픈면(56O), 클로즈면(56C), 경사 접속면(56S) 및 선단 하중 전달부(56L)를 마련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하면, 콘택트(40)가 다극의 경우라도, 액추에이터(50)의 조작력을 저감하여, 자동 폐성 완료음(충돌음, 클릭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는, 복수의 극간벽(56)의 일부를 생략하는 양태도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대상물(20)의 회로 패턴(도시 생략), 인슐레이터(30)의 콘택트 지지홈(31X) 및 콘택트 지지홈(32X), 콘택트(40), 및, 액추에이터(50)의 누름 아암 삽입홈(54) 및 걸어 멈춤 회동축(55)을, 좌우 방향(소정 방향)으로 나열하여 각 100개 마련한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들의 수는 100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경사 접속면(56S)이 오픈면(56O)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고 클로즈면(56C)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경우를 예시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경사 접속면(56S)이 오픈면(56O)과 클로즈면(56C)의 쌍방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는 양태도 가능하다.
10 : 커넥터
20 : 접속 대상물
21 : 얇은 두께부
22 : 계합편
30 : 인슐레이터
31 : 삽입부
31X : 콘택트 지지홈
32 : 지붕부
32X : 콘택트 지지홈
33 : 측벽
34 : 계합 볼록부
35 : 액추에이터 지지부
35a : 상방 돌출부
35b : 계합부
36 : 고정 금구 지지홈
37 : 경사면
40 : 콘택트
41 : 기편
42 : 접속 대상물 지지 아암(지지 아암)
42a : 접촉부
43 : 누름 아암(스태빌라이저)
43a : 회동축 지지부(탄성 가압부)
43b : 계합 돌기
44 : 테일부
50 : 액추에이터
51 : 피지지부
51a : 계합 볼록부
51b : R 형상부
52 : 손잡이부
53a : 직사각형 오목부
53b : 사다리꼴 오목부
53c : 상방 돌출부 수용 오목부(수용 오목부)
54 : 누름 아암 삽입홈(스태빌라이저 삽입홈)
54a : 개방각 규제부
55 : 걸어 멈춤 회동축
56 : 극간벽
56O : 오픈면
56C : 클로즈면
56S : 경사 접속면
56L : 선단 하중 전달부
60 : 고정 금구
61 : 압입 지지부
62 : 테일부
B : 쐐기 형상 공간

Claims (9)

  1. 평판 형상의 접속 대상물이 삽입되는 삽입부를 가지는 인슐레이터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지지되고,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콘택트와,
    상기 인슐레이터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삽입부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오픈면과, 폐쇄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과 대략 평행을 이루는 클로즈면을 가지는 액추에이터와,
    상기 액추에이터의 회동축에 작용하여,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삽입부에 삽입된 상기 접속 대상물을 향하여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구비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오픈면과 상기 클로즈면을 접속하는 경사 접속면과,
    상기 클로즈면과 상기 경사 접속면의 교차부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탄성 가압부에 의한 가압 하중의 피크 시에 상기 접속 대상물과 탄성 접촉하는 선단 하중 전달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액추에이터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이행시킬 때, 상기 오픈면이 상기 접속 대상물과 대략 직교하는 중간 개폐 상태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회동축의 하방에 위치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가 상기 접속 대상물과 탄성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상기 클로즈면과 상기 접속 대상물의 사이에 쐐기 형상 공간이 형성되는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접속면은, 상기 오픈면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고, 상기 클로즈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는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접속면은, 상기 오픈면과 상기 클로즈면의 쌍방에 대하여 둔각으로 교차하는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소정 방향으로 나열되어 배치된 복수의 콘택트를 가지고,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오픈면, 상기 클로즈면, 상기 경사 접속면 및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콘택트 중 인접하는 콘택트의 사이에 위치하는 복수의 극간벽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오픈면, 상기 클로즈면, 상기 경사 접속면 및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극간벽의 전부(全部)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의 상기 오픈면, 상기 클로즈면, 상기 경사 접속면 및 상기 선단 하중 전달부는, 상기 복수의 극간벽의 일부에 마련되어 있는 커넥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오픈면은, 개방 상태에서 상기 접속 대상물의 상기 삽입부로의 제로 삽입력(ZIF:Zero Insertion Force)으로의 삽입을 가능하게 하는 커넥터.
KR1020187013589A 2015-11-19 2016-11-18 커넥터 KR102086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26677 2015-11-19
JP2015226677A JP6655364B2 (ja) 2015-11-19 2015-11-19 コネクタ
PCT/JP2016/084363 WO2017086475A1 (ja) 2015-11-19 2016-11-18 コネク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1369A true KR20180061369A (ko) 2018-06-07
KR102086647B1 KR102086647B1 (ko) 2020-03-09

Family

ID=58719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589A KR102086647B1 (ko) 2015-11-19 2016-11-18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594084B2 (ko)
JP (1) JP6655364B2 (ko)
KR (1) KR102086647B1 (ko)
CN (1) CN108475866B (ko)
WO (1) WO20170864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98835B2 (ja) 2017-11-01 2019-10-30 京セラ株式会社 コネクタ及び電子機器
US10355385B1 (en) * 2018-07-27 2019-07-16 Miraco, Inc. High reliability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and assembly
USD941244S1 (en) * 2019-06-25 2022-01-18 Kyocera Corporation Electric connector
JP7123213B1 (ja) * 2021-04-21 2022-08-22 三菱電機株式会社 基板実装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331A (ja) 2000-10-17 2002-04-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20080087707A (ko) * 2007-03-27 2008-10-01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커넥터
JP2011222270A (ja) * 2010-04-08 2011-11-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
JP2011233487A (ja) * 2010-04-30 2011-11-17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86400B2 (ja) * 2001-03-23 2006-06-1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4388879B2 (ja) * 2004-10-26 2009-12-24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17852B2 (ja) * 2007-03-27 2011-07-06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4837711B2 (ja) * 2008-09-02 2011-12-1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電気コネクタ
JP5016635B2 (ja) * 2009-06-02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792518B2 (ja) * 2009-07-27 2011-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847569B2 (ja) * 2009-10-01 2011-12-28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391104B2 (ja) * 2010-02-12 2014-01-15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コネクタ
JP5016695B2 (ja) * 2010-03-03 2012-09-05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993788B2 (ja) * 2010-03-26 2012-08-0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123975B2 (ja) * 2010-04-08 2013-01-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コネクタ
US8636531B2 (en) * 2011-07-22 2014-01-28 Hosiden Corporation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US8651888B2 (en) * 2011-09-13 2014-02-18 Dai-Ichi Seiko Co., Ltd. Electrical connector
JP6002636B2 (ja) * 2013-06-17 2016-10-05 矢崎総業株式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端末接続具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24331A (ja) 2000-10-17 2002-04-26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KR20080087707A (ko) * 2007-03-27 2008-10-01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케이블 커넥터
JP2011222270A (ja) * 2010-04-08 2011-11-04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コネクタ
JP2011233487A (ja) * 2010-04-30 2011-11-17 Hirose Electric Co Ltd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475866A (zh) 2018-08-31
US20180323546A1 (en) 2018-11-08
CN108475866B (zh) 2020-05-19
WO2017086475A1 (ja) 2017-05-26
US10594084B2 (en) 2020-03-17
JP2017097996A (ja) 2017-06-01
KR102086647B1 (ko) 2020-03-09
JP6655364B2 (ja) 2020-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1369A (ko) 커넥터
JP6786356B2 (ja) コネクタ
US20040097118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JP5515352B2 (ja) 電気コネクタ
US10069229B2 (en) Electric connector
JP5498733B2 (ja) コネクタ
JP5227379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KR20090054904A (ko) 편평한 단자용 커넥터
KR100885862B1 (ko) 전기 커넥터
US9004940B2 (en) Connector
KR101425063B1 (ko) 커넥터
KR20130018115A (ko) 기판 커넥터
CN108352642B (zh) 端子零件以及连接器
JP2013182786A (ja) コネクタ
KR101450736B1 (ko) 커넥터
JP2022066522A (ja) リ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JP5322772B2 (ja) コネクタ
WO2009093566A1 (ja) 電気コネクタ
WO2017138575A1 (ja) コネクタ装置
JP2008269984A (ja) 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5826568B2 (ja) コネクタ
JP4651501B2 (ja) ケーブル接続用コネクタ
KR101821900B1 (ko) 전기 커넥터
JP6533151B2 (ja) コネクタ
JPH09134763A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