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87707A - 케이블 커넥터 - Google Patents
케이블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80087707A KR20080087707A KR1020080027376A KR20080027376A KR20080087707A KR 20080087707 A KR20080087707 A KR 20080087707A KR 1020080027376 A KR1020080027376 A KR 1020080027376A KR 20080027376 A KR20080027376 A KR 20080027376A KR 20080087707 A KR20080087707 A KR 2008008770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able
- cover
- contact
-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8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4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80 pu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8—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케이블 커넥터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제공된 제1 접촉자를 포함한다. 제1 접촉자는 케이블의 이면과 마주하는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는 하우징 내에 제공되는 제2 접촉자를 포함하며 제2 접촉자는 케이블의 이면과 마주하는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을 포함한다.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은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의 밑동부보다 더 두꺼운 밑동부(root)를 구비한다. 또한, 케이블 커넥터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는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이 삽입되는 제1 관통공, 제1 결합 및 피봇유닛과 결합되는 제1 캠유닛,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이 삽입되는 제2 관통공, 그리고 제2 결합 및 피봇유닛과 결합되는 제2 캠유닛을 포함한다.
케이블, 커넥터, 제1 접촉유닛, 제2 접촉유닛
Description
본 발명은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에 관한 것으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플랫 리본 케이블(flat ribbon cable) 및 FPC와 같은 케이블을 연결하는데 적합한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 출원은 2007.03.27.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P2007-081569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또한 일본특허출원에 의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한다. 그래서 일본특허출원 P2007-081569의 전체 내용은 참조에 의해 여기에 통합된다.
종래 케이블 커넥터로서, 일본공개특허 No.2001-110483(이하, 특허문헌 1)에는, FPC 케이블을 수용하는 하우징, 이 하우징에 소정 피치로 끼워져 고정된 제1 접촉자 및 제2 접촉자, 그리고 압력 하에 상기 FPC 케이블을 상기 제1 접촉자 및 제2 접촉자와 접촉하게 하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제1 접촉자 및 제2 접촉자는 FPC 케이블의 표면 중 하나와 마주하는 제1 접촉유닛 및 제2 접촉유닛과, 이 FPC 케이블의 반대쪽 면과 마주하는 제1 결합 및 피봇유닛과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을 각각 필수구성요소로 가지 고 있다.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의 외주면(outer periphery)은 호(arc)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액츄에이터에 형성된 호 형상의 제1 캠유닛과 호 형상의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이 제1 캠유닛 주위를 돌도록 상기 제1 캠유닛에 인접해 있는 관통공을 가진 형태이다. 이 구성에 의해, 액츄에이터가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에 지지되므로 액츄에이터가 선회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결합캠 그루브(engaging cam groove)를 가지고 있으며, 또한 결합캠 그루브와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은 서로 결합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 따르면, 제2 접촉자의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이 액츄에이터의 결합캠 그루브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액츄에이터의 개방작동시 결합캠 그루브와 제2 결합 및 피봇유닛 사이의 결합에 의해서 액츄에이터의 개방작동이 제한되어 액츄에이터의 개방각도가 충분히 확보될 수 없다. 따라서 케이블이 고정되면 액츄에이터의 이동량이 줄어, 운용도(operability)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을 때 운용도가 향상되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우징(housing);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안으로 시트형 케이블(sheet-like cable)이 삽입되며, 또한 케이블의 전면(front surface)과 마주하는 제1 접촉유닛(first contact unit)과 케이블의 이 면(back surface)과 마주하는 제1 결합 및 피봇유닛(first engaging and pivoting unit)을 포함하는 제1 접촉자(first contact); 제1 접촉자와 나란히(side-by-side relation)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안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며, 또한 케이블의 전면과 마주하는 제2 접촉유닛(second contact unit)과, 케이블의 이면과 마주하는 제2 결합 및 피봇유닛(second engaging and pivoting unit)을 구비하며 또한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의 밑동부보다 더 두꺼운 밑동부를 구비하는 제2 접촉자(second contact); 그리고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이 삽입되는 제1 관통공(first through hole), 제1 결합 및 피봇유닛과 결합되는 제1 캠유닛(first cam unit),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이 삽입되는 제2 관통공(second through hole)과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과 결합되는 제2 캠유닛(second cam unit)을 포함하는 커버로서, 제1 관통공과 제1 캠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고, 제2 관통공과 제2 캠유닛에 의해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되며, 압력 하에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접촉유닛들과 접촉하게 하는 커버(cover);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가 케이블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이 제1 캠유닛과 결합되어서,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이 케이블의 삽입방향에서 커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1 접촉자가 케이블의 분리방향을 따라 하우징 안으로 삽입되고, 제2 접촉자가 케이블의 삽입방향을 따라 하우징 안으로 삽입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버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거의 호 형상으로 된 돌출부가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의 단부에 제공되는 형태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고정시의 운용도가 향상된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가 이하에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하우징의 평면도이며, 도 3은 커버의 정면도이고, 도 4는 제1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5는 상기 제1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상기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6은 제2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며, 도 7은 상기 제2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상기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케이블 커넥터(1)는, 전면(front surface)과 이면(back surface)을 구비하고 있는, 예컨대 FPC나 FFC와 같은 시트(sheet) 케이블(2)(cable)이 삽입되는 절연성의(insulative) 하우징(3)(housing)을 포함한다. 이 케이블 커넥터(1)는 상기 하우징(3) 내에 소정 피치(pitch)로 일렬로 배치되게 끼워져서 고정되는, 절연성의 다수의 제1 접촉자(4)(first contact)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접촉자(4)는 상기 케이블(2)의 전면과 마주하는 제1 접촉유닛(4a)(first contact unit), 그리고 상기 케 이블(2)의 이면과 마주하는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first engaging and pivoting unit)을 포함한다. 이 케이블 커넥터(1)는 또한 제1 접촉자(4)에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1) 내에 고정된, 절연성의 다수의 제2 접촉자(5)(second contact)를 포함한다. 상기 제2 접촉자(5)는, 케이블(2)의 전면과 마주하는 제2 접촉유닛(5a), 그리고 상기 케이블(2)의 이면과 마주하는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블 커넥터(1)는, 또한 케이블(2)이 하우징(3) 내에 삽입될 수 있는 개방위치(open position)와, 하우징(3) 내에 삽입된 케이블(2)이 상기 제1 접촉유닛(4a) 및 제2 접촉유닛(5a)을 향해 밀려 들어갈 수 있는 폐쇄위치(close position)와의 사이에서 선회할 수 있는, 절연성의 커버(6)(cover)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3)은 합성수지(synthetic resin)와 같은 절연재(insulative material)로 구성된다. 이 하우징(3)은, 수직으로 거의 중간 부분(intermediate portion)에 케이블(2)이 앞(도 4의 좌측)으로부터 삽입되는 주머니 형태(bag-like)의 케이블 수용유닛(3a)(cable receiving unit)을 갖춘 것으로 형성된다.
케이블(2)의 삽입단부(insertion end)의 표면(도 4의 하면(lower surface))에서 보면, 다수의 도선(conductor)(도시하지 않음)이 2열로 파상배치된 형태로 길이방향으로 노출되어 있다.
이 하우징(3)의 상벽(3g)(upper wall)의 입구측(앞쪽)의 대략 절반은 제거되어 있어, 그 부분에 커버(6)를 수용하기 위한 상부개구(3b)(upper opening)가 형성된다.
베어링(3c)들은 이 하우징(3)의 상부개구(3b)의 양끝에 형성된다. 이들 베어 링(3c)의 상부측(upper side)은 개방되어 있다. 이 베어링(3c)들은 하우징(3)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마주하고 있다.
커버(6)는 하우징(3)의 상부개구(3b)에 수용될 수 있는 판상부재(plate-like member)로서, 이 커버(6)도 합성수지와 같은 절연재로 구성된다. 피봇축(6a)(pivot shaft)들은 이 커버(6)의 좌우 단면(end surface)의 기단(base end)으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6)의 좌우 피봇축(6a)은 상기 하우징(3)의 상부로부터 이 하우징(3)의 좌우 베어링(3c) 위에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상기 커버(6)가 하우징(3)의 상부개구(3b) 위에 장착되므로 커버(3)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선회).
이 커버(6)는 도 4 및 6에 도시된 개방위치로부터 도 5 및 7에 도시된 폐쇄위치로 선회한다. 커버(6)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커버(6)는 거의 수평자세로 상부개구(3b)에 수용되어 있어 이 커버(6)가 접촉유닛(4a, 5a)을 향해(도 4의 아래쪽으로) 케이블(2)을 민다. 한편, 커버(6)가 개방위치에 있을 때, 이 커버(6)는, 뒤쪽을 향해 경사진 기립자세로 이 하우징(3)의 상부개구(3b)로부터 세워져서, 상기 케이블 수용유닛(3a)의 입구측 절반 정도가 하우징(3) 위로 개방되므로, 케이블(2)이 하우징(3)의 케이블 수용유닛(3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커버(6)에는 커버(6)를 개방하기 위한 손잡이(6i)(knob)가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3)의 상벽(3g)은, 상기 커버(6)가 개방되는 방향으로의 선회운동(turning motion)을 제한하는 스토퍼(stopper)로도 쓰인다.
제1 접촉자(4)와 제2 접촉자(5)는 하우징(3)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배치 되어 있다. 제1 접촉자(4)와 제2 접촉자(5)는 금속박판을 펀칭함으로써 형성된다.
제1 접촉자(4) 및 제2 접촉자(5)는 마주보는 두 방향으로부터 하우징(3) 내에 삽입된다. 더 구체적으로, 이 하우징(3)에는 상기 하우징(3)의 뒤쪽(심부측)에서 앞쪽(입구측)으로, 다시 말해 케이블(2)을 분리하는 방향으로(도 4의 우측에서 좌측으로) 상기 제1 접촉자(4)들이 하나씩 삽입되는 다수의 제1 삽입공(3f)(first hole)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 하우징(3)의 앞쪽(입구측)에서 뒤쪽(심부측(deep side))으로, 즉 케이블(2)을 삽입하는 방향으로(도 6의 좌측에서 우측으로) 상기 제2 접촉자(5)들이 하나씩 삽입되는 다수의 제2 삽입공(3e)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촉자(4)와 제2 접촉자(5)는 상기 제1 삽입공(3f)과 제2 삽입공(3e)(second hole)을 통해 소정 피치(pitch)로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상기 하우징(3) 내에 교대로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하우징(3) 내에 삽입되는 제1 접촉자(4)와 제2 접촉자(5)의 삽입량(insertion amounts)은 조정될 수 있다.
제1 접촉자(4)는 상기 하우징(3)의 케이블 수용유닛(3a)보다 더 심부쪽에서 상벽(3g)과 하벽(3h) 사이에 끼워지는 기부(4f)(base portion)와, 하우징(3)의 하벽(3h)을 따라 기부(4f)의 하단(lower end)으로부터 돌출해 있으면서도 케이블 수용유닛(3a)의 아래에 배치되는 하부아암유닛(4g)(lower arm unit), 그리고 기부(4f)의 상단(upper end)으로부터 하우징(3)의 상벽(3g)을 따라 상부개구(3b) 쪽으로 뻗어 있으면서도 상기 케이블 수용유닛(3a) 위쪽에 배치되는 상부아암유닛(4h)(upper arm unit)을 포함한다.
기부(4f)의 상부 에지(upper edge)에는 돌기(projection)가 제공된다. 상기 돌기가 제1 삽입공(3f) 내에서 상기 하우징(3)의 상벽(3g)에 물려 있다면, 제1 접촉자(4)가 이 하우징(3)에 고정될 수 있다. 기부(4f)의 하부 에지(lower edge)로부터 스토퍼(4c)가 하향 돌출한다. 이 스토퍼(4c)는 제1 접촉자(4)가 하우징(3)의 제1 삽입공(3f) 안으로 삽입될 때, 상기 하우징(3) 안으로 삽입되는 제1 접촉자(4)의 최대 삽입량을 제한한다. 이 스토퍼(4c)는 또한 케이블 커넥터(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표면설치납땜유닛(surface mounting soldering unit)의 역할을 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4c)는 하부아암유닛(4g)의 단부(tip end)로부터 아래로 돌출해 있다.
하부아암유닛(4g)의 단부에는 제1 접촉유닛(4a)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아암유닛(4g)은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케이블(2)이 삽입되면, 하부아암유닛(4g)이 아래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상부 바이어스력(upper biasing force)이 작용된다.
대체로 갈고리 모양(hook-like)인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은 상부아암유닛(4h)의 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또한 이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은 상부개구(3b) 쪽으로 돌출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은 제1 접촉유닛(4a)의 위치보다 케이블(2)의 삽입방향(도 4의 우측) 쪽으로 더 돌출해 있다.
제2 접촉자(5)는 상기 하우징(3)의 케이블 수용유닛(3a)보다 더 심부쪽에서 상벽(3g)과 하벽(3h) 사이에 끼워지는 기부(5f)와, 하우징(3)의 하벽(3h)을 따라 이 기부(5f)의 하단에서부터 입구측 정면(inlet side front surface)까지 뻗어 있 으면서도 케이블 수용유닛(3a)의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하부아암유닛(5g), 그리고 기부(5f)의 상단에서부터 하우징(3)의 상벽(3g)을 따라 상부개구(3b)까지 뻗어 있으면서도 상기 케이블 수용유닛(3a)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상부아암유닛(5h)을 포함한다.
이 기부(5f)의 상부 에지(upper edge)에는 돌기(projection)가 제공되어 있다. 이 돌기가 제2 삽입공(3e) 내에서 하우징(3)의 상벽(3g)에 물려 있다면, 이 제2 접촉자(5)는 하우징(3)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아암유닛(5g)의 대략 중간 부분에는 제2 접촉유닛(5a)이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하부아암유닛(5g)의 단부(tip end)의 하부 에지(lower edge)로부터 스토퍼(5c)가 아래로 돌출해 있다. 이 스토퍼(5c)는, 제2 접촉자(5)가 상기 하우징(3)의 제2 삽입공(3e) 안으로 삽입될 때, 이 하우징(3) 안으로 삽입되는 제2 접촉자(5)의 최대 삽입량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5c)는 또한 케이블 커넥터(1)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해 있는 표면설치납땜유닛의 역할을 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5c)는 하부아암유닛(5g)의 단부로부터 아래로 돌출해 있다.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상부개구(3b)를 향해 상부아암유닛(5h)의 단부로부터 돌출해 있다.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의 밑동부(4i)보다 더 두꺼운 밑동부(5i)를 갖고 있다. 밑동부(5i)가 두꺼우므로,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에 비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기가 더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 도 6 및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거의 호형으로 된 돌출부(5e)(arc projection)가 상기 제2 접촉자(5)의 제2 결합 및 피봇 유닛(5b)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어, 커버(6)가 개방된 상태로 상기 돌출부(5e)가 이 커버(6)를 고정한다. 계단형(step-like) 결합면(5d)(engaging surface)이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의 단부(tip end)의 하부(lower portion), 다시 말해 상기 돌출부(5e)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계단형 맞댐면(5j)(abutting surface)이 상기 결합면(5d)의 우측(케이블(2)의 삽입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과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상기 제2 접촉유닛(5a)의 위치보다 케이블(2)의 분리방향(도 4 및 6의 좌측)에 더 가까이 돌출해 있다.
제1 접촉자(4)와 제2 접촉자(5)가 하우징(3) 안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접촉자(4)의 제1 접촉유닛(4a)과 제2 접촉자(5)의 제2 접촉유닛(5a)은 이 하우징(3) 내에 일렬로 배치된다. 그 결과, 제1 접촉유닛(4a)과 제2 접촉유닛(5a) 전체는, 케이블(2)의 분리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제1 접촉자(4)의 제1 접촉유닛(4a)과, 케이블(2)의 삽입방향으로 일렬로 배치된 제2 접촉자(5)의 제2 접촉유닛(5a)이 서로 엇갈리는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제1 접촉유닛과 제2 접촉유닛은 상기 케이블(2)의 표면에 제공된, 서로 엇갈리는 방식으로 노출되어 있는 다수의 도선(conductor)과 접촉을 이룰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과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상기 제1 접촉자(4)의 제1 접촉유닛(4a)의 열(row)과, 상기 제2 접촉자(5)의 제2 접촉유닛(5a)의 열 사이의 장소보다 높은 위치에서 하우징(3)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커버(6)에는 제1 접촉자(4)에 제공되어 있는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 에 대응하는 제1 관통공(6b)(first through hole)이 제공된다. 커버(6)가 선회할 때 회전하는 제1 캠유닛(6c)(first cam unit)은, 상기 제1 관통공(6b)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커버(6)에 형성되어 있다. 제1 접촉자(4)의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이 상기 제1 캠유닛(6c)과 결합되면, 커버(6)가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에 의해서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접촉자(4)의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은 그들 사이에서 원활히 움직이도록 제1 캠유닛(6c)과 결합되므로, 제1 캠유닛(6c)이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케이블(2)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캠유닛(6c)이 케이블(2)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releasing direction)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제1 접촉자(4)의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이 그들 사이에서 원활히 움직이게 상기 제1 캠유닛(6c)과 결합되므로,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과 제1 캠유닛(6c) 사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이 감소한다.
커버가 개방될 때 커버의 말단(end)이 케이블(2)의 삽입동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커버(6)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케이블(2)과 마주보는 방면으로 향해지는 커버(6)의 외면(outer surface)은 경사면(6d)(inclined surface)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경사면(6d)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제1 캠유닛(6c)에도 경사면이 제공되어 있어, 상기 커버(6)의 경사면(6d)과 제1 캠유닛(6c)의 경사면이 서로 접촉해 있다.
커버(6)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 상기 케이블(2)과 마주하는 커버(6)의 내면에는 케이블 가압유닛(6h)(cable pressing unit)이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가압유 닛(6h)은 케이블(2)을 아래로 누른다. 이 케이블 가압유닛(6h)은 상기 커버(6)의 내면(inner surface)에서 상기 제1 관통공(6b)들 사이로 돌출해 있다.
또한, 이 커버(6)에는 제2 접촉자(5)에 제공된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에 대응되는 제2 관통공(6e)이 제공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2 관통공(6e)은 상기 케이블 가압유닛(6h)을 도려낸 것처럼 형성된다. 커버(6)가 선회할 때 회전하는 제2 캠유닛(6f)은 제2 관통공(6e)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커버(6)에 형성되어 있다. 제2 접촉자(5)의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이 제2 캠유닛(6f)과 결합되면, 상기 커버(6)는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에 선회 가능하게 지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커버(6)가 개방될 때 이 결합면(5d)에 접촉되는 결합캠면(6g)(engaging cam surface)은 제2 캠유닛(6f)에 형성되고, 또한 커버(6)가 폐쇄될 때 상기 맞댐면(5j)에 기대는 맞댐면(6j)이 제2 캠유닛(6f)에 형성되어 있다. 커버(6)가 개방되거나 폐쇄됨에 따라, 상기 결합캠면(6g)이 결합면(5d)과 접촉되는 위치에서부터 상기 맞댐면(6j)이 상기 맞댐면(5j)에 기대는 위치로, 제2 캠유닛(6f)이 선회한다.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에 제공된 계단형 맞댐면(5j)은, 케이블(2)의 삽입방향에서의 커버(6)의 동작과 이 커버의 상승동작(upward movement)을 제한한다.
상술한 구조를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6)가 개방되어 있을 때, 상기 케이블(2)이 케이블 수용유닛(3a) 안으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케이블(2)이 삽입된 후 상기 커버(6)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폐쇄위치로 선회하면, 이 커버(6)의 하면에 형성된 케이블 가압유닛(6h)이 제1 접촉유닛(4a)과 제2 접촉유닛(5a) 쪽으로 케이블(2)을 가압하여, 상기 제1 접촉유닛(4a), 상기 제2 접촉유닛(5a) 그리고 상기 케이블(2)의 전기접점(contact)이 적당한 압력 하에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 케이블(2)은 제1 접촉유닛(4a)과 제2 접촉유닛(5a) 사이에 끼워지며, 하부아암유닛(4g)이 상기 케이블(2)의 두께에 해당하는 양만큼 아래쪽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적당한 접촉압력이 탄성력에 의해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커버(6)는 제1 관통공(6b)과 제1 캠유닛(6c)을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이 제1 관통공(6b) 안으로 삽입되어 제1 캠유닛(6c)과 결합되며, 상기 커버(6)는 제2 관통공(6e)과 제2 캠유닛(6f)을 구비한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이 제2 관통공(6e) 안으로 삽입되어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이 제2 캠유닛(6f)과 결합된다. 그러므로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과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커버(6)의 개방동작시 커버(6)의 개방을 제한하지 않아 개방각도(opening angle)가 증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2)이 고정되어 있을 때 상기 커버(6)의 운용도(operability)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6)의 제1 캠유닛(6c)이 상기 케이블(2)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제1 접촉자(4)의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이 원활히 움직이도록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은 케이블(2)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삽입방향과 분리방향)에서 상기 제1 캠유닛(6c)의 동작을 제한하지 않고, 또한 커버(6)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과 제1 캠유닛(6c) 사이에서 큰 마찰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서, 커버(6)가 아주 훌륭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접촉자(5)의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케이블(2)의 삽입방향에서 상기 커버(6)의 동작을 제한한다. 그러므로 이 커버(6)의 제1 캠유닛(6c)이 케이블(2)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6)의 제1 캠유닛(6c)이 원활히 움직이도록 결합되더라도, 케이블(2)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에서 상기 커버(6)의 동작이 억제되므로 커버(6)가 개방되거나 폐쇄될 때 순간적인 동작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버(6)의 제1 캠유닛(6c)과 제1 접촉자(4)의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 사이에서 결합에 의해 형성된 선회중심(turning center)은, 상기 제1 접촉자(4)의 제1 접촉유닛(4a)의 열과, 제2 접촉자(5)의 제2 접촉유닛(5a)의 열 사이의 장소보다 위쪽에 위치되어 있다. 그러므로 제1 접촉자(4)의 제1 접촉유닛(4a)과 제2 접촉자(5)의 제2 접촉유닛(5a) 사이에서 상기 케이블(2)이 변형하기 쉬운 위치로 상기 커버(6)가 선회할 수 있고, 그래서 커버(6)가 더 훌륭하게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3) 안으로 삽입하는 제1 접촉자(4)와 제2 접촉자(5)의 삽입량이 알맞게 설정되면, 상기 커버(6)의 선회중심, 그리고 제1 접촉유닛(4a)과 제2 접촉유닛(5a) 사이의 상대위치(relative position)가 변하여 더 우수한 운용도를 갖는 케이블 커넥터(1)가 얻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접촉자(5)의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은 계단형 맞댐면(5j)을 가지고 있고, 또한 상기 커버(6)는 이 커버(6)가 폐쇄될 때 상기 맞댐면(5j)에 기대는 맞댐면(6j)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케이블(2)이 고정되어 있을 때 커버(6)가 폐쇄되면, 이들 맞댐면(5j, 6j)이, 케이블(2)의 삽입방향에서의 커버(6)의 작동과 이 커버의 상승운동을 억제한다. 그 결과,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을 때, 폐쇄된 커버(6)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케이블 커넥터(1)의 결합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의 밑동부(5i)의 두께가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의 밑동부(4i)보다 더 두꺼운 제2 접촉자가 사용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이 수직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하기가 더 어려워, 케이블이 고정되어 있을 때, 폐쇄된 커버(6)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케이블 커넥터(1)의 결합 신뢰도가 더 향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의 분리방향을 따라 제1 접촉자(4)가 하우징(3) 안으로 삽입되고, 또한 케이블(2)의 삽입방향을 따라 제2 접촉자(5)가 하우징(3) 안으로 삽입된다. 이 구성에 따라, 상기 제1 접촉자(4)가 케이블(2)의 분리방향에서 상기 커버(6)의 동작을 제한하고, 상기 제2 접촉자(5)가 케이블(2)의 삽입방향에서 상기 커버(6)의 동작을 제한할 수 있다. 즉, 제1 접촉자(4)와 제2 접촉자(5)가 서로 반대방향에서 커버(6)의 동작을 제한하므로, 커버(6)가 덜걱거리며 움직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커버(6)가 쉽게 빠지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접촉자(4)는,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4b)이 커버(6)의 동작을 제한하는 방향(케이블(2)의 분리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어 있고, 또한 제2 접 촉자(5)는,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이 커버(6)의 동작을 제한하는 방향(케이블(2)의 삽입방향)과 같은 방향을 따라서 삽입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버(6)가 빠지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6)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버(6)를 고정하는 거의 호형으로 된 돌출부(5e)가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5b)의 단부에 제공되어 있다. 그러므로 커버(6)가 개방되어 있을 때 이 커버(6)에 케이블(2)의 분리방향으로 힘이 작용되더라도, 거의 호형으로 된 돌출부(5e)가 커버(6)를 고정하고 있어, 커버(6)가 케이블(2)의 분리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래서 커버(6)가 떨어져 나가는 것을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상기 돌출부(5e)가 거의 호형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6)가 선회할 때, 상기 커버(6)가 돌출부(5e)를 따라 부드럽게 작동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가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으며 또한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없이 다양한 여러 실시예를 채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커넥터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커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제1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제1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상기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6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제2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7은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케이블 커넥터의 상기 제2 접촉자의 단면도로서 상기 커버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다.
Claims (5)
- 하우징(housing);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안으로 시트형 케이블(sheet-like cable)이 삽입되며, 또한 상기 케이블의 전면(front surface)과 마주하는 제1 접촉유닛(first contact unit)과, 상기 케이블의 이면(back surface)과 마주하는 제1 결합 및 피봇유닛(first engaging and pivoting unit)을 포함하는 제1 접촉자(first contact);상기 제1 접촉자와 나란한 관계로 상기 하우징 내에 제공되어, 안으로 케이블이 삽입되며, 또한 상기 케이블의 전면과 마주하는 제2 접촉유닛(second contact unit)과, 상기 케이블의 이면과 마주하는 제2 결합 및 피봇유닛(second engaging and pivoting unit)을 구비하며,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의 밑동부보다 더 두꺼운 밑동부(root)를 구비하는 제2 접촉자(second contact); 및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이 삽입되는 제1 관통공(first through hole),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과 결합되는 제1 캠유닛(first cam unit),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이 삽입되는 제2 관통공(second through hole), 및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과 결합되는 제2 캠유닛(second cam unit)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관통공과 상기 제1 캠유닛에 의해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제2 관통공과 상기 제2 캠유닛에 의해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에 선회가능하게 지지되며, 압력 하에 상기 케이블을 상기 접촉유닛들과 접촉하게 하는 커버(cover);를 포함하는 케이블 커넥터(cable connector).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버가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과 해제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결합 및 피봇유닛이 상기 제1 캠유닛과 결합되며, 또한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이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에서 상기 커버의 동작을 제한하는 케이블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접촉자가 상기 케이블의 분리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제2 접촉자가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접촉자가 상기 케이블의 분리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며, 상기 제2 접촉자가 상기 케이블의 삽입방향을 따라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되는 케이블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상기 커버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를 고정하는 거의 호형으로 된 돌출부(arc projection)가 상기 제2 결합 및 피봇유닛의 단부(tip end)에 제공되어 있 는 케이블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7081569A JP4492631B2 (ja) | 2007-03-27 | 2007-03-27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JP-P-2007-00081569 | 2007-03-27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80087707A true KR20080087707A (ko) | 2008-10-01 |
KR100957666B1 KR100957666B1 (ko) | 2010-05-12 |
Family
ID=39535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7376A KR100957666B1 (ko) | 2007-03-27 | 2008-03-25 | 케이블 커넥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2) | US7695299B2 (ko) |
EP (1) | EP1976068B1 (ko) |
JP (1) | JP4492631B2 (ko) |
KR (1) | KR100957666B1 (ko) |
CN (1) | CN101276964B (ko) |
TW (1) | TWI361521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1369A (ko) * | 2015-11-19 | 2018-06-07 |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92631B2 (ja) * | 2007-03-27 | 2010-06-30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4809816B2 (ja) * | 2007-08-31 | 2011-11-09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386129B2 (ja) | 2007-11-27 | 2009-12-16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995861B2 (ja) * | 2009-03-31 | 2012-08-0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4847569B2 (ja) * | 2009-10-01 | 2011-12-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568791B1 (ja) * | 2009-12-16 | 2010-10-27 |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KR200461700Y1 (ko) | 2011-06-08 | 2012-07-31 | 야-핑 린 | 전기 커넥터 |
US8636531B2 (en) | 2011-07-22 | 2014-01-28 | Hosiden Corporation | Connector for connection with flat connecting objects |
US8672698B2 (en) | 2011-07-22 | 2014-03-18 | Hosiden Corporation | Card connector |
JP5862387B2 (ja) * | 2012-03-15 | 2016-02-16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ES2558164B1 (es) * | 2015-07-29 | 2016-11-02 | Amadeo F. ZAMORA GIL | Sistema de conexionado para instalaciones eléctricas, de señales y/o de datos. |
DE202015005722U1 (de) * | 2015-08-13 | 2015-09-02 |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 Board-to-Board-Verbinder zum signalübertragenden Verbinden von zwei Leiterplatten |
JP2018097979A (ja) * | 2016-12-09 | 2018-06-21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6976230B2 (ja) * | 2018-07-27 | 2021-12-08 | 京セラ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76327B2 (ja) * | 1995-09-29 | 1999-11-1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3356265B2 (ja) * | 1997-07-29 | 2002-12-1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3295808B2 (ja) | 1999-10-06 | 2002-06-24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3754869B2 (ja) * | 2000-04-17 | 2006-03-15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3741619B2 (ja) * | 2001-03-23 | 2006-02-01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フラット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3666445B2 (ja) * | 2001-11-13 | 2005-06-29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 |
JP3823900B2 (ja) * | 2002-08-28 | 2006-09-20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 |
JP3619822B2 (ja) * | 2002-11-26 | 2005-02-16 | エフシーアイ アジア テクノロジー ピーティーイー リミテッド | 平形柔軟ケーブル用電気コネクタ |
JP2005116495A (ja) * | 2003-09-19 | 2005-04-28 | Sony Corp |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
CN2682624Y (zh) * | 2003-11-28 | 2005-03-0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 |
JP2005294035A (ja) * | 2004-03-31 | 2005-10-2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 |
JP2005294036A (ja) * | 2004-03-31 | 2005-10-20 |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 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
JP4168986B2 (ja) * | 2004-07-06 | 2008-10-22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 Fpc用コネクタ |
KR20070023823A (ko) | 2004-07-06 | 2007-02-28 | 몰렉스 인코포레이티드 | 피벗식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플랫 회로 커넥터 |
JP4039408B2 (ja) * | 2004-08-18 | 2008-01-30 | 松下電工株式会社 | カード用コネクタ装置 |
JP4090059B2 (ja) * | 2004-11-01 | 2008-05-2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498948B2 (ja) * | 2005-02-24 | 2010-07-07 | ホシデン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コネクタ |
JP4072863B2 (ja) * | 2005-05-30 | 2008-04-0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2006338955A (ja) * | 2005-05-31 | 2006-12-14 | Tyco Electronics Amp Kk |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
JP4360364B2 (ja) * | 2005-08-26 | 2009-11-11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240495B2 (ja) * | 2005-09-20 | 2009-03-18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4938303B2 (ja) * | 2005-12-16 | 2012-05-23 |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7835978B2 (en) * | 2005-12-23 | 2010-11-16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ethod and system for linking an anonymous electronic trade order to an identity of a trader |
JP4492631B2 (ja) * | 2007-03-27 | 2010-06-30 |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2007
- 2007-03-27 JP JP2007081569A patent/JP4492631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
- 2008-03-18 EP EP08005051.1A patent/EP1976068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8-03-20 US US12/052,062 patent/US7695299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3-21 TW TW097110085A patent/TWI361521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8-03-24 CN CN2008100862510A patent/CN101276964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8-03-25 KR KR1020080027376A patent/KR10095766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10
- 2010-01-26 US US12/693,963 patent/US8177570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80061369A (ko) * | 2015-11-19 | 2018-06-07 | 교세라 가부시키가이샤 |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177570B2 (en) | 2012-05-15 |
US20100197158A1 (en) | 2010-08-05 |
JP2008243554A (ja) | 2008-10-09 |
EP1976068A2 (en) | 2008-10-01 |
CN101276964A (zh) | 2008-10-01 |
KR100957666B1 (ko) | 2010-05-12 |
EP1976068B1 (en) | 2013-08-14 |
TWI361521B (en) | 2012-04-01 |
TW200845496A (en) | 2008-11-16 |
EP1976068A3 (en) | 2010-11-03 |
JP4492631B2 (ja) | 2010-06-30 |
US20080242131A1 (en) | 2008-10-02 |
US7695299B2 (en) | 2010-04-13 |
CN101276964B (zh) | 2010-12-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57666B1 (ko) | 케이블 커넥터 | |
US6726497B2 (en) | Connector for flat flexible cable | |
US7261589B2 (en) |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 |
JP4208130B2 (ja) | プラグ型電気コネクタ | |
KR100373597B1 (ko) | 커넥터에 접속되어 있는 박판형 물체와 평행한 방향의접촉편에 결합된 회전식 액추에이터를 가지는 커넥터 | |
US7530831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US7534130B2 (en) | Cable connector | |
JP5233662B2 (ja) | 電気コネクタ | |
US20130059476A1 (en) | Electrical connector | |
JP2009064577A (ja) | コネクタ | |
US6524124B2 (en) | Electrical connector | |
KR101302844B1 (ko) | 커넥터 | |
JP2005108465A (ja) | 低背型fpc用zifコネクタ | |
US7390213B2 (en) | Connector with improved electrical contacts | |
KR101169507B1 (ko) | 케이블용 커넥터 | |
US8597035B1 (en) |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cost loading mechanism | |
JP3889627B2 (ja) | フレキシブル基板接続用コネクタ | |
JP2001143827A (ja) | 板状物用コネクタ | |
JP2006147157A (ja) | ケーブル用コネクタ | |
WO2009017699A1 (en) | Cable connec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J201 |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 ||
AMND | Amendment | ||
B701 | Decision to gr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