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11341A - 발진 제어 장치 및 발진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발진 제어 장치 및 발진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11341A
KR20180011341A KR1020187001805A KR20187001805A KR20180011341A KR 20180011341 A KR20180011341 A KR 20180011341A KR 1020187001805 A KR1020187001805 A KR 1020187001805A KR 20187001805 A KR20187001805 A KR 20187001805A KR 20180011341 A KR20180011341 A KR 20180011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scillation
vehicle
request
period
permission peri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874B1 (ko
Inventor
다케시 스가노
야스히코 다카에
Original Assignee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산 지도우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11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13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60W30/16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 B60W30/17Control of distance between vehicles, e.g. keeping a distance to preceding vehicle with provision for special action when the preceding vehicle comes to a halt, e.g. stop and 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1/00Vehicle fittings, acting on a single sub-unit only,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vehicle speed, i.e. preventing speed from exceeding an arbitrarily established velocity or maintaining speed at a particular velocity, as selected by the vehicle ope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4Adaptive cruis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01Details of the control system
    • B60W2050/0002Automatic control, details of type of controller or control system architecture
    • B60W2050/0014Adaptive cont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2050/0062Adapting control system settings
    • B60W2050/0075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 B60W2050/0082Automatic parameter input, automatic initialising or calibrating means for initialising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50/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process diagnostic or vehicle driver interfaces
    • B60W50/08Interaction between the driver and the control system
    • B60W50/14Means for informing the driver, warning the driver or prompting a driver intervention
    • B60W2050/143Alarm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10Accelerator ped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4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ccupants
    • B60W2540/215Selection or confirmation of options
    • B60W2550/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1Later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4/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554/8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554/804Relative longitudinal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54/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754/1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54/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754/1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754/30Longitudinal di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754/00Output or target parameters relating to objects
    • B60W2754/10Spatial relation or speed relative to objects
    • B60W2754/50Relative longitudinal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Driving Devices And Active Controlling Of Vehicl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Controls For Constant Speed Travelling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발진 제어 장치는,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를 검출하고, 선행차와 자차량의 사이의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를 취득하고, 자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발진 요구를 검출하여, 자차량이 정차한 후의 발진 요구가 검출된 횟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발진 요구의 횟수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하고, 발진 요구가 검출되고 나서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발진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의 기간인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하고,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는 발진을 억제한다.

Description

발진 제어 장치 및 발진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에 추종하여 자차량을 발진시키는 발진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차량이 추종하는 선행차를 설정하여 추종 주행 제어를 행하는 추종 주행 제어 장치로서, 특허문헌 1이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추종 주행 제어 장치에서는, 신호 대기나 정체 도로에서의 정차 중에 있어서, 운전자에 의한 발진 요구가 기억되어 있을 때, 선행차의 발진을 검지하면, 추종 주행 제어를 개시하고 있었다. 한편, 발진 요구가 기억되고 나서 소정 시간 내에 선행차의 발진이 검지되지 않는 경우에는, 기억한 발진 요구를 소거하고 있었다.
일본 특허 제4230385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추종 주행 제어 장치에서는, 정차 중에 운전자가 발진 요구를 행한 횟수를 고려하고 있지 않았다. 그 때문에, 선행차가 좀처럼 발진하지 않는 경우에는, 선행차로의 추종을 재개하기 위해 운전자는 몇 번이나 발진 요구를 행할 필요가 있어, 운전자에게 위화감을 주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정에 감안하여 제안된 것이며, 운전자가 발진 요구를 행한 이력을 고려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는 발진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 및 그의 방법은,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선행차와 자차량의 사이의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를 취득하고, 자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발진 요구를 검출한다. 그리고,
자차량이 정차한 후의 발진 요구가 검출된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발진 요구의 횟수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한다. 이후, 발진 요구가 검출되고 나서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발진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의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한다. 또한,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는 발진을 억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진 요구의 횟수를 고려하여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하므로, 운전자의 발진을 요구하는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추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추종 제어 시스템의 스위치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추종 제어 시스템에 의한 표시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에 의한 발진 제어 처리의 처리 수순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에 의한 발진 허가 기간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에 의한 발진 허가 기간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에 의한 발진 허가 기간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적용한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를 통하여,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
[추종 제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를 구비한 추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추종 제어 시스템(100)은, 발진 스위치(1)와, 캔슬 스위치(2)와, 차간 설정 스위치(3)와, 차간 거리ㆍ상대 속도 센서(4)와, 자차속 센서(5)와, 액셀러레이터 페달 센서(6)와, 브레이크 페달 센서(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추종 제어 시스템(100)은, 추종 제어 컨트롤러(10)와, 표시 장치(11)와, 스피커(12)와, 엔진 제어 컨트롤러(13)와, 브레이크 제어 컨트롤러(14)와, 전동 파킹 브레이크 컨트롤러(15)를 구비하고 있다.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는, 발진 제어 장치(30)를 구비하고 있다.
추종 제어 시스템(100)은, 저속 추종 기능을 구비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자차속이 예를 들어 40 내지 100km/h의 범위에 있어서, 자차선 상에 선행차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선행차까지의 차간 시간(=차간 거리/상대 속도)이 미리 설정된 값이 되도록 차간 제어를 행하여 선행차에 추종 주행한다. 이때, 미리 설정한 차속(설정 차속)을 상한으로 한다. 한편, 자차선 상에 선행차가 검출되지 않았을 때에는, 차속 제어를 행하여 설정 차속으로 정속 주행한다.
또한, 저속 추종 기능에서는, 자차속이 예를 들어 0 내지 40km/h의 범위에 있어서, 자차선 상에 선행차를 검출하였을 때에는, 40km/h를 상한으로 하여 차간 거리가 자차속에 따른 차간 거리가 되도록 차간 거리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선행차가 검출되지 않은 상태가 되면, 차간 거리 제어를 해제한다. 또한, 선행차가 정차하였을 때에는 자차량을 정차시킨 후에 전동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정지 유지 제어를 행하고, 선행차가 발진하였을 때에는 소정의 자동 발진 조작 부재가 조작되면, 자동 발진 제어를 행한다.
단, 선행차 추종 제어에 대해서는, 상술한 제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선행차 추종 제어는, 적어도 차속 0으로부터 제어를 행함과 함께, 선행차가 정차하였을 때에는 자차량을 정차시킨 후에 정지 유지 제어를 행하고, 선행차가 발진하였을 때에는 소정의 자동 발진 조작 부재가 조작되면 자동 발진 제어를 행하는 것이면 된다.
발진 스위치(1)는, 정지 유지 상태에 있어서 선행차가 발진하였을 때 자동 발진 제어를 개시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이다. 발진 스위치(1)가 정지 유지 제어 중에 조작되면, 그 조작은 운전자에 의한 발진 요구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스위치(1)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진 요구의 유무, 발진 요구의 횟수, 전회의 발진 요구로부터의 시간이 검출되고, 발진 허가 기간이 설정된다. 이 발진 스위치(1)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9)의 센터 패드부(19a)에 설치된다.
캔슬 스위치(2)는, 자동 발진 제어 및 선행차 추종 제어를 해제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며,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9)의 센터 패드부(19a)에 설치된다. 차간 설정 스위치(3)는, 선행차와의 목표 차간(차간 시간 또는 차간 거리)을 설정하기 위한 조작 부재이며, 조작할 때마다 목표 차간이 장, 중, 단의 순서로 전환된다. 이 차간 설정 스위치(3)도,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19)의 센터 패드부(19a)에 설치된다.
차간 거리ㆍ상대 속도 센서(4)는, 자차량과 선행차의 사이의 차간 거리를 계측하고, 이 계측값을 미분하여 상대 속도를 연산한다. 차간 거리ㆍ상대 속도 센서(4)에는 레이저 레이더나 밀리미터파 레이더 등의 다양한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자차속 센서(5)는 차륜속으로부터 자차량의 주행 속도를 계측한다.
액셀러레이터 페달 센서(6)는, 액셀러레이터 페달(7)의 답입량(조작량)에 따른 신호를 출력한다. 액셀러레이터 페달(7)은, 상술한 발진 스위치(1)와 마찬가지로, 정지 유지 상태에 있어서 선행차가 발진하였을 때 자동 발진 제어를 개시시키기 위해 조작되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이다. 액셀러레이터 페달(7)이 정지 유지 제어 중에 조작되면, 그 조작은 운전자에 의한 발진 요구로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 센서(6)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진 요구의 유무, 발진 요구의 횟수, 전회의 발진 요구로부터의 시간이 검출되고, 발진 허가 기간이 설정된다.
브레이크 페달 센서(8)는, 브레이크 페달(9)의 답입을 검출한다. 브레이크 페달(9)의 답입이 검출된 경우에는 자동 발진 제어 및 선행차 추종 제어가 해제된다.
표시 장치(11)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에 설치되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자동 발진 제어 및 선행차 추종 제어의 상태, 차간 설정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도 3의 (a)는, 정지 유지 중의 표시예이다. 도 3의 (a)의 부호 20은 차간 설정 상태를 나타내고, 막대 1개는 "단", 막대 2개는 "중", 막대 3개는 "장"을 나타낸다. 부호 21은 자차 마크이다. 부호 22는 제어 상태 표시 창이며, 정지 유지 상태나 선행차 추종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한다. 도 3의 (b)는, 발진 제어 중의 표시예이다. 부호 23은 자동 발진 제어 중 및 선행차 추종 제어 중에 표시하는 선행차 마크이다. 도 3의 (c)는, 선행차 추종 제어 중의 표시예이며, 도 3의 (d)는 선행차를 로스트한 직후의 표시예이다.
스피커(12)는, 각종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음성을 출력함과 함께, 필요에 따라 경보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정지 유지 제어를 개시할 때에는 「정지 유지 중입니다」, 발진 제어를 개시할 때에는 「발진합니다」, 선행차를 놓쳤을 때에는 「선행차를 로스트하였습니다」라고 각각 음성 안내한다. 또한, 운전자가 발진 스위치(1), 캔슬 스위치(2), 차간 설정 스위치(3) 중 어느 것을 조작하면, 조작 확인의 비프음을 울린다.
엔진 제어 컨트롤러(13)는,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로부터의 가속 명령에 따라 엔진 출력을 제어하고, 브레이크 제어 컨트롤러(14)는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로부터의 감속 명령에 따라 엔진 브레이크나 유압 브레이크의 감속력을 제어한다. 전동 파킹 브레이크 컨트롤러(15)는,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로부터의 정지 유지 명령에 따라 전동 파킹 브레이크를 작동시킨다.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는, CPU(10a)나 메모리(10b) 등을 구비하고, 스위치(1 내지 3)로부터의 조작 신호와 각종 센서(4 내지 6, 8)로부터의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정지 유지 제어, 자동 발진 제어, 선행차 추종 제어, 표시 제어 등을 행한다. 또한,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는, 표시 장치(11), 스피커(12), 엔진 제어 컨트롤러(13), 브레이크 제어 컨트롤러(14) 및 전동 파킹 브레이크 컨트롤러(15)를 제어한다. 메모리(10b)에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인 발진 스위치(1)와 액셀러레이터 페달(7)의 조작 기록이나 발진 요구의 횟수, 각종 제어 연산의 결과인 가속 명령값이나 가속 명령의 계속 기간 등을 기억한다. 그리고,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는, 발진 제어 장치(30)를 구비한다.
발진 제어 장치(30)는,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에 추종하여 자차량을 발진시키는 제어를 행하고, 선행차 검출부(32)와, 선행차 정보 취득부(34)와, 발진 요구 검출부(35)와,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와,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와, 발진 허가부(40)를 구비하고 있다.
선행차 검출부(32)는, 자차량에 장비된 선행차 추종 제어를 실행함으로써, 자차량의 전방을 주행하고 있는 선행차나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를 검출한다.
선행차 정보 취득부(34)는, 선행차 검출부(32)에 의해 검출된 선행차에 관한 정보를 선행차 정보로서 취득한다. 구체적으로, 선행차 정보 취득부(34)는, 차간 거리ㆍ상대 속도 센서(4)로부터 선행차와 자차량의 사이의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를 취득하여 메모리(10b)에 기억한다.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자차량의 정지 제어 중에, 자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발진 요구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인 발진 스위치(1)가 조작되면, 발진 스위치(1)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진 요구의 유무, 발진 요구의 횟수, 전회의 발진 요구로부터의 시간을 검출한다. 마찬가지로,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인 액셀러레이터 페달(7)이 조작되면, 액셀러레이터 페달 센서(6)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발진 요구의 유무, 발진 요구의 횟수, 전회의 발진 요구로부터의 시간을 검출한다. 또한,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발진 요구를 취득하였을 때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는, 자차량이 정차한 후의 발진 요구가 검출된 횟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는, 메모리(10b)에 액세스하여, 자차량이 정차하고 나서 현재까지의 동안에 검출된 발진 요구를 취득함으로써, 그 횟수를 검출한다.
또한,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발진 요구를 취득하였을 때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후술하는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발진 허가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자차량의 발진을 억제하는 발진 억제 신호를 출력한다. 그래서,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는, 발진 억제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발진 요구 검출 신호만이 출력된 경우에는, 발진 요구가 1회째라고 판정한다. 한편, 발진 요구 검출 신호와 발진 억제 신호의 양쪽이 출력된 경우에는, 발진 요구가 2회째 이후라고 판정한다.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에서 검출된 발진 요구의 횟수에 따라, 발진 요구가 입력되고 나서 자차량의 발진을 억제할 때까지의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요구가 1회째일 때와 2회째 이후일 때에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또한,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발진 허가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자차량의 발진을 억제하는 발진 억제 신호를 출력하고, 다음의 발진 요구가 입력되면 발진 억제 신호를 정지한다.
발진 허가부(40)는, 발진 요구가 검출되고 나서 선행차 정보 취득부(34)에서 취득한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발진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의 기간인 대기 기간의 길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대기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인 발진 허가 기간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하고,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는 발진을 억제한다. 또한, 발진 허가부(40)는,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에서 설정된 발진 허가 기간 내에, 선행차 정보 취득부(34)에서 취득한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발진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해도 된다.
또한, 발진 제어 장치(30)는, 마이크로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CPU를 포함하는 범용의 전자 회로와 메모리 등의 주변 기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특정한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상술한 선행차 검출부(32), 선행차 정보 취득부(34), 발진 요구 검출부(35),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 발진 허가부(40)로서 동작한다.
[발진 제어 처리의 수순]
이어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30)에 의한 발진 제어 처리의 수순을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에서는, 정지 유지 제어 상태로부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텝 S10에 있어서 자차량이 정지 유지 제어 상태로 되면, 스텝 S20에 있어서,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발진 트리거로 되는 발진 요구가 운전자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발진 요구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인 발진 스위치(1) 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7)을 운전자가 조작함으로써 입력된다. 그리고, 발진 요구가 입력되지 않았을 때에는, 스텝 S10으로 복귀하여 정지 유지 제어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발진 요구가 입력되었을 때에는,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입력된 발진 요구를 취득하고,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출력하여 스텝 S30으로 진행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1에 있어서, 발진 스위치(1)가 조작되면,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OFF로부터 ON으로 구동하여 출력한다. 이 발진 요구 검출 신호는, 자차량이 발진할 때까지 계속해서 출력된다.
스텝 S30에 있어서, 선행차 검출부(32)는, 차간 거리ㆍ상대 속도 센서(4)를 작동시켜 선행차의 존재를 검색하고,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를 검출한다. 이때, 레이저 레이더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보행자에게 레이저광이 조사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정차 중에는 레이저 레이더를 정지해 두고, 선행차의 존재를 확인할 때 작동시킨다. 그리고, 선행차를 검출하지 못한 경우에는 스텝 S40으로 진행하고, 선행차를 검출한 경우에는 스텝 S60으로 진행한다.
스텝 S40에 있어서,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발진 요구가 발진 스위치(1)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것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발진 요구가 발진 스위치(1)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경우에는, 「선행차가 없기 때문에 발진할 수 없습니다」라는 경고를, 표시 장치(11)와 스피커(12)에 의해 행하고, 스텝 S10으로 복귀하여 정지 유지 제어를 계속한다. 한편, 발진 요구가 발진 스위치(1)가 아니라 액셀러레이터 페달(7)의 조작에 의해 입력된 경우에는 스텝 S50으로 진행한다.
스텝 S50에 있어서,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는, 선행차가 없어도 운전자에게 발진할 의지가 있다고 판단하여 정지 유지 제어를 해제하고, 매뉴얼 발진하여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스텝 S60에 있어서, 선행차 정보 취득부(34)는, 차간 거리ㆍ상대 속도 센서(4)로부터 선행차 정보로서 선행차와 자차량의 사이의 차간 거리와 상대 속도를 취득한다.
스텝 S70에 있어서,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는, 발진 요구의 횟수를 검출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는, 후술하는 발진 억제 신호와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사용하여, 발진 요구가 1회째인지, 2회째 이후인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각 t1의 시점에서는, 발진 요구 검출 신호만이 출력되고, 발진 억제 신호는 OFF인 채로 출력되지 않았으므로, 시각 t1의 발진 요구는 1회째라고 판정한다. 또한, 시각 t3의 시점에서는, 발진 요구 검출 신호와 발진 억제 신호의 양쪽이 출력되었으므로, 시각 t3의 발진 요구는 2회째 이후라고 판정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진 요구 검출 신호는, 1회째 발진 요구가 입력되고 나서 자차량이 발진할 때까지 계속해서 출력된다. 또한, 발진 억제 신호는 발진 허가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출력된다. 따라서, 발진 요구가 입력되었을 때 발진 요구 검출 신호와 발진 억제 신호의 양쪽이 출력되었으면, 2회째 이후의 발진 요구라고 판정할 수 있다.
스텝 S80에 있어서,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스텝 S70에서 검출된 발진 요구의 횟수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한다. 발진 허가 기간은, 발진 요구가 입력되고 나서 자차량의 발진을 억제할 때까지의 기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요구가 1회째일 때와 2회째 이후일 때에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진 요구가 1회째인 경우에는 발진 허가 기간(t1 내지 t2)을 3초로 설정하고, 발진 요구가 2회째 이후인 경우에는 발진 허가 기간(t3 내지 t4 등)을 3+α초로 설정한다. 발진 요구가 3회째, 4회째인 경우에도 2회째와 마찬가지로 발진 허가 기간은 3+α초로 설정된다. 운전자는, 1회째 발진 요구를 입력하였을 때보다 2회째 이후에 발진 요구를 입력하였을 때 쪽이, 자차량을 발진시킬 의사가 강하므로, 그 의사를 반영시켜, 2회째 이후의 발진 허가 기간을 길게 설정한다.
스텝 S90에 있어서,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스텝 S80에서 설정된 발진 허가 기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예를 들어 도 5의 시각 t1 내지 t2 동안과 같이 발진 허가 기간을 경과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100으로 진행한다.
한편, 도 5의 시각 t2를 지나 발진 허가 기간을 경과한 경우에는,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자차량의 발진을 억제하기 위한 발진 억제 신호를 발진 금지 플래그로서 출력하고, 스텝 S10으로 복귀하여 정지 유지 제어를 계속한다. 또한, 출력된 발진 억제 신호는, 도 5의 시각 t3으로 되어 다음의 발진 요구가 입력되면 정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억제 신호를 출력함으로써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억제하고 있지만,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정지함으로써 자차량의 발진을 억제해도 된다. 예를 들어, 도 5의 시각 t2에 있어서, 발진 억제 신호를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정지해도 된다.
스텝 S100에 있어서, 발진 허가부(40)는, 발진 조건을 충족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구체적으로, 발진 허가부(40)는, 스텝 S60에서 취득한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발진 조건을 충족하였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그리고, 발진 조건을 충족한 경우에는 스텝 S110으로 진행하고, 발진 조건을 충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S90으로 복귀하여 발진 허가 기간의 경과를 판정한다.
스텝 S105에 있어서, 발진 허가부(40)는, 발진 요구가 검출되고 나서 발진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의 기간인 대기 기간의 길이를 산출한다. 그리고, 이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에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하여 스텝 S110으로 진행한다. 한편,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는 발진을 억제하여 스텝 S10으로 복귀한다.
스텝 S110에 있어서, 추종 제어 컨트롤러(10)는, 선행차 추종 제어를 실행하고, 자차량을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시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처리를 종료한다.
[제1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30)에서는, 발진 요구의 횟수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하고,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한다. 또한, 대기 기간이 발진 허가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는 발진을 억제한다. 이에 의해, 발진 요구의 횟수를 고려하여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하므로, 운전자의 발진을 요구하는 의사를 반영시킬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30)에서는, 발진 요구가 1회째인지, 2회째 이후인지를 판정하고, 발진 요구가 1회째일 때와 2회째 이후일 때에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발진을 요구하는 의사를 구체적으로 반영시켜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30)에서는, 발진 요구를 검출하였을 때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발진 허가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발진 억제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발진 요구 검출 신호만이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 발진 요구가 1회째라고 판정하고, 발진 요구 검출 신호와 발진 억제 신호의 양쪽이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 발진 요구가 2회째 이후라고 판정한다. 이에 의해, 발진 요구가 1회째인지 2회째 이후인지를 구체적으로 판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의 발진을 요구하는 의사를 반영시켜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할 수 있고, 운전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추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요구가 1회째일 때와 2회째 이후일 때에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하였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요구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본 실시 형태의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인 발진 스위치(1) 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7)이 조작되면, 발진 요구를 검출하여 메모리(10b)에 기억한다. 그리고,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36)는, 메모리(10b)에 액세스하여, 금회의 발진 요구가 몇회째 발진 요구인지를 카운트하여 발진 요구의 횟수를 검출한다. 그리고,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카운트된 발진 요구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진 요구가 1회째일 때에는 발진 허가 기간을 3초로 설정하고, 발진 요구가 2회째일 때에는 발진 허가 기간을 3+α초로 설정하고, 발진 요구가 3회째일 때에는 발진 허가 기간을 3+β초로 설정한다. 이후에도 발진 요구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서서히 길게 해 간다. 이때, 발진 허가 기간은, 예를 들어 10초를 상한으로서 설정하도록 해도 된다. 운전자는, 발진 요구를 입력한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자차량을 발진시킬 의사가 강하다고 생각되므로, 그 의사를 반영시켜, 발진 요구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길게 설정한다.
[제2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30)에서는, 발진 요구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카운트된 발진 요구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발진을 요구하는 의사를 구체적으로 반영시켜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이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추종 제어 시스템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발진 요구가 입력된 간격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하도록 한 것이, 상술한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의 발진 요구 검출부(35)는, 자동 발진 조작 부재인 발진 스위치(1) 또는 액셀러레이터 페달(7)이 조작되면, 발진 요구를 검출하여 메모리(10b)에 기억되어 있는 전회의 발진 요구와 비교하여, 전회의 발진 요구와 금회의 발진 요구의 사이의 간격을 검출한다. 그리고,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38)는, 발진 요구가 입력된 간격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발진 요구의 간격이 클 때에는 발진 허가 기간을 짧게 설정하고, 발진 요구의 간격이 작아짐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한다. 운전자는, 발진 요구의 간격이 작은 경우, 즉 빈번하게 발진 요구를 입력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차량을 발진시킬 의사가 강하다고 생각되므로, 그 의사를 반영시켜, 발진 요구의 간격이 작아짐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이 길어지도록 설정한다.
[제3 실시 형태의 효과]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발진 제어 장치(30)에서는, 자차량의 운전자가 발진 요구를 입력한 간격을 검출하고, 발진 요구가 입력된 간격에 따라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한다. 이에 의해, 운전자의 발진을 요구하는 의사를 구체적으로 반영시켜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운전자에게 주는 위화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일례이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이 실시 형태 이외의 형태라도, 본 발명에 관한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라면, 설계 등에 따라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물론이다.
1: 발진 스위치
2: 캔슬 스위치
3: 차간 설정 스위치
4: 차간 거리ㆍ상대 속도 센서
5: 자차속 센서
6: 액셀러레이터 페달 센서
7: 액셀러레이터 페달
8: 브레이크 페달 센서
9: 브레이크 페달
10: 추종 제어 컨트롤러
11: 표시 장치
12: 스피커
13: 엔진 제어 컨트롤러
14: 브레이크 제어 컨트롤러
15: 전동 파킹 브레이크 컨트롤러
30: 발진 제어 장치
32: 선행차 검출부
34: 선행차 정보 취득부
35: 발진 요구 검출부
36: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
38: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
40: 발진 허가부
100: 추종 제어 시스템

Claims (6)

  1.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에 추종하여 자차량을 발진시키는 발진 제어 장치이며,
    상기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를 검출하는 선행차 검출부와,
    상기 선행차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선행차와 상기 자차량의 사이의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를 취득하는 선행차 정보 취득부와,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발진 요구를 검출하는 발진 요구 검출부와,
    상기 발진 요구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선행차 정보 취득부에서 취득한 상기 차간 거리 및 상기 상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발진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의 기간인 대기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인 발진 허가 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대기 기간이 상기 발진 허가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는 발진을 억제하는 발진 허가부와,
    상기 자차량이 정차한 후의 상기 발진 요구가 검출된 횟수를 검출하는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와,
    상기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발진 요구의 횟수에 따라, 상기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하는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는, 상기 발진 요구가 1회째인지, 2회째 이후인지를 판정하고,
    상기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는, 상기 발진 요구가 1회째일 때와 2회째 이후일 때에 상기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요구 검출부는, 상기 발진 요구를 검출하였을 때 발진 요구 검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는, 상기 발진 허가 기간이 경과하였을 때 상기 자차량의 발진을 억제하는 발진 억제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는, 상기 발진 요구 검출 신호만이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발진 요구가 1회째라고 판정하고, 상기 발진 요구 검출 신호와 상기 발진 억제 신호의 양쪽이 출력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발진 요구가 2회째 이후라고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요구 횟수 검출부는, 상기 발진 요구의 횟수를 카운트하고,
    상기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는, 카운트된 상기 발진 요구의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상기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진 요구 검출부는,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발진 요구를 입력한 간격을 검출하고,
    상기 발진 허가 기간 설정부는, 상기 발진 요구가 입력된 간격에 따라 상기 발진 허가 기간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장치.
  6.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에 추종하여 자차량을 발진시키는 발진 제어 장치의 발진 제어 방법이며,
    상기 발진 제어 장치는,
    상기 자차량의 전방에 정차하고 있는 선행차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선행차와 상기 자차량의 사이의 차간 거리 및 상대 속도를 취득하고,
    상기 자차량의 운전자로부터 입력된 발진 요구를 검출하고,
    상기 발진 요구가 검출되고 나서 상기 차간 거리 및 상기 상대 속도 중 적어도 하나가 미리 설정된 발진 조건을 충족할 때까지의 기간인 대기 기간이, 미리 설정된 기간인 발진 허가 기간보다 짧은 경우에 상기 자차량이 선행차에 추종하여 발진하는 것을 허가하고, 상기 대기 기간이 상기 발진 허가 기간 이상의 길이인 경우에는 발진을 억제하고,
    상기 자차량이 정차한 후의 상기 발진 요구가 검출된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된 상기 발진 요구의 횟수에 따라, 상기 발진 허가 기간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진 제어 방법.
KR1020187001805A 2015-07-14 2015-07-14 발진 제어 장치 및 발진 제어 방법 KR1019218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70098 WO2017009940A1 (ja) 2015-07-14 2015-07-14 発進制御装置及び発進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1341A true KR20180011341A (ko) 2018-01-31
KR101921874B1 KR101921874B1 (ko) 2018-11-23

Family

ID=577571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1805A KR101921874B1 (ko) 2015-07-14 2015-07-14 발진 제어 장치 및 발진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059340B2 (ko)
EP (1) EP3323688B1 (ko)
JP (1) JP6388079B2 (ko)
KR (1) KR101921874B1 (ko)
CN (1) CN107848535B (ko)
BR (1) BR112018000737A2 (ko)
CA (1) CA2992399C (ko)
MX (1) MX364628B (ko)
RU (1) RU2664028C1 (ko)
WO (1) WO20170099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66770A (zh) * 2019-02-28 2019-06-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自适应巡航控制方法、装置、系统及汽车
JP7151566B2 (ja) 2019-03-14 2022-10-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走行制御装置
JP7012693B2 (ja) * 2019-09-24 2022-01-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車両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259778B2 (ja) * 2020-01-31 2023-04-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及び自動運転システム
JP7413842B2 (ja) * 2020-02-28 2024-01-16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及び運転支援方法
MX2023002335A (es) 2020-08-28 2023-03-22 Nissan Motor Metodo de asistencia a la conduccion y dispositivo de asistencia a la conduccion.
WO2022044266A1 (ja) 2020-08-28 2022-03-03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方法及び運転支援装置
EP4206053A4 (en) 2020-08-28 2023-07-26 Nissan Motor Co., Ltd. DRIVING ASSISTANCE METHOD AND DRIVING ASSISTANC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2656B2 (ja) 1989-04-29 1998-03-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JPH0459449A (ja) * 1990-06-27 1992-02-26 A C Ii:Kk 自動車の前車確認警報装置
EP0841648B1 (en) * 1992-09-30 2004-06-02 Hitachi, Ltd. Vehicle driving support system and vehicle therewith
JP2003260957A (ja) * 2002-03-11 2003-09-16 Hitachi Ltd 車間制御システム
JP2005231491A (ja) * 2004-02-19 2005-09-02 Honda Motor Co Ltd 追従走行制御装置
JP4230385B2 (ja) * 2004-03-05 2009-02-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追従走行制御装置
JP2007069729A (ja) * 2005-09-07 2007-03-22 Nissan Motor Co Ltd 走行制御装置
RU2431577C2 (ru) * 2007-04-20 2011-10-20 Вольво Ластвагнар Аб Способ увеличения продолжительности действия автоматической функции свободного ход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US8615352B2 (en) 2010-03-30 2013-12-24 Fuji Jukogyo Kabushiki Kaisha Driving support apparatus for vehicle
JP5273110B2 (ja) * 2010-09-08 2013-08-28 株式会社デンソー 発進制御装置
JP5545243B2 (ja) * 2011-02-28 2014-07-09 株式会社デンソー アクセルペダル誤操作対応装置およびアクセルペダル誤操作対応装置用のプログラム
JP5939130B2 (ja) 2012-10-31 2016-06-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支援装置
CN106321259B (zh) * 2016-11-24 2019-03-15 安徽江淮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控制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388079B2 (ja) 2018-09-12
EP3323688B1 (en) 2022-02-23
JPWO2017009940A1 (ja) 2018-04-12
KR101921874B1 (ko) 2018-11-23
MX2018000439A (es) 2018-05-17
CA2992399A1 (en) 2017-01-19
RU2664028C1 (ru) 2018-08-14
CN107848535A (zh) 2018-03-27
US10059340B2 (en) 2018-08-28
EP3323688A1 (en) 2018-05-23
US20180141551A1 (en) 2018-05-24
WO2017009940A1 (ja) 2017-01-19
EP3323688A4 (en) 2018-08-15
BR112018000737A2 (pt) 2018-09-04
CA2992399C (en) 2018-06-05
MX364628B (es) 2019-05-03
CN107848535B (zh) 2019-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21874B1 (ko) 발진 제어 장치 및 발진 제어 방법
JP6611085B2 (ja) 車両制御装置
JP2008245268A (ja) 車両通信装置及び車両通信方法
US10202121B2 (en) Stop control device
WO2018116619A1 (ja) 車両用運転者状態判定装置
JP2006163828A (ja) 車両用警報装置、車両周囲状況の警報方法
CN112601689B (zh) 车辆的行驶控制方法及行驶控制装置
JP2016181032A (ja) 自動走行制御装置及び自動走行制御システム
JP6814706B2 (ja) 走行支援装置及び走行支援方法
JP2006076568A (ja) 走行支援装置
JP2018122647A (ja) 車両用警報装置
JP5782793B2 (ja) 車載機器制御装置
JP6611083B2 (ja) 車両制御装置
JP2011221758A (ja) 運転支援装置
JP4543581B2 (ja) 走行支援装置
JP6604368B2 (ja) 車両制御装置
CN107985306B (zh) 驾驶员辅助系统
JP2017054441A (ja) 警報制御装置
JP5217265B2 (ja) 車両走行制御手段
JP5109495B2 (ja) 車両走行制御装置
JP2005231381A (ja) 車両用情報提示装置および方法
JP2018090006A (ja) 運転支援装置
JP6611082B2 (ja) 車両制御装置
JP7381545B2 (ja) 車両制御装置、車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8069765A (ja) 適正状態判定方法及び適正状態判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