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177A -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 - Google Patents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177A
KR20170120177A KR1020177027536A KR20177027536A KR20170120177A KR 20170120177 A KR20170120177 A KR 20170120177A KR 1020177027536 A KR1020177027536 A KR 1020177027536A KR 20177027536 A KR20177027536 A KR 20177027536A KR 20170120177 A KR20170120177 A KR 20170120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liquid
tank
unit
liquid conta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미 기무라
무네히데 가나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0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17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06Refilling of the cartridge
    • B41J2/17509Whilst mounted 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13Inn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2Mounting within the printer
    • B41J2/17523Ink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53Oute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02Frame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12Guards, shields or dust excluders
    • B41J29/13Cases or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3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using optical means for ink level ind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9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for ink level indication

Landscapes

  • Ink Jet (AREA)

Abstract

탱크 유닛에 있어서의 액체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프린터(10)는, 탱크 유닛(40A)을 구비한다. 탱크 유닛(40A)은, 복수의 잉크 탱크(43A)와 복수의 잉크통부(46A)를 구비한다. 복수의 잉크통부(46A)는,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유입 가능하도록, 해당 잉크 탱크(43A)에 튜브(47)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각 잉크통부(46A)에는, 잉크의 검출에 이용되는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이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이 설치되어 있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잉크통부(46A)의 수평 단면적은,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43A)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다.

Description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
본 발명은,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체 소비 장치의 일 태양으로서는, 잉크를 토출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잉크젯 프린터(이하, 간단히 「프린터」라 함)가 공지되어 있다. 프린터는, 통상, 액체 공급 장치의 일 태양인 탱크 유닛을 구비하며, 탱크 유닛이 가지는 잉크 탱크로부터 잉크의 공급을 받는다. 프린터에 대해서는, 잉크의 잔량을 검출하는 검출부를 잉크 탱크에 마련하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평9-145451호 공보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탱크 내에 배치되어 있는 한 쌍의 전극에 대해서 전류를 흘리고, 그 저항의 변화에 근거하여 잉크의 잔량을 검출하고 있다. 그렇지만, 특허문헌 1의 기술에서는, 탱크가 통상의 상정되고 있는 배치 각도에 대해서 경사해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탱크 내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 위치가 변동해 버려, 탱크 내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해 버릴 가능성이 있다.
프린터에 있어서는, 잉크 고갈 등에 기인해서 인쇄 불량이나 인쇄 헤드의 열화 등이 생겨 버리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도, 검출부에 의한 잉크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잉크 용량을 증대시키기 위해서, 잉크 탱크를 대형화시켰을 경우에도, 잉크의 검출 정밀도가 저하해 버리는 일이나, 검출부가 대형화해 버리는 일이 억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검출부를 이용하는 경우에 한정하지 않고, 잉크 탱크에 있어서의 잉크의 잔량의 확인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프린터나 프린터가 구비하는 탱크 유닛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그 소형화나, 저비용화, 자원 절약화, 제조의 용이화, 사용편의의 향상 등이 소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액체 소비 장치에 액체를 공급 가능한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상술의 과제의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이하의 형태로 해서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1] 본 발명의 제1 형태에 의하면, 액체 공급 장치가 제공된다. 이 액체 공급 장치는, 제1 액체 수용부와 제2 액체 수용부와 검출부를 갖추어도 괜찮다. 상기 제1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함과 동시에, 대기를 도입 가능해도 괜찮다.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액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에 연통하는 것과 동시에, 대기를 도입 가능해도 괜찮다.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액체를 검출 가능해도 괜찮다. 상기 검출부가 상기 액체를 검출하는 검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수평 단면의 단면적은, 상기 검출 부위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의 수평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아서 좋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액체의 검출 정밀도에 대한 액체 공급 장치의 배치 각도의 격차의 영향이 억제되어, 액체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2] 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위는, 중력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상단보다 하단에 가까운 하단 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부위에서 상기 액체의 유무를 검출해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탱크에 있어서의 액체 잔량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3]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유저가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의 액면의 위치를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가져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유저가 제2 액체 수용부를 거쳐서 제1 액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액체량을 시인할 수 있다.
[4]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와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의 사이에,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대기를 유통시키는 대기 유통로가 설치되어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1 액체 수용부와 제2 액체 수용부에서 내부의 대기 상태가 공통화되기 위해, 제2 액체 수용부를 거쳐서 제1 액체 수용부에 수용되는 액체량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제2 액체 수용부에 내부의 액체의 증발을 억제하기 위한 구조를 마련하는 것을 생략 할 수 있기 때문에, 그러한 구조를 마련하는 것에 의한 제2 액체 수용부의 대형화를 억제할 수도 있다.
[5]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고, 상기 대기가 수용되는 대기 수용실을 가지며, 상기 대기 유통로는, 상기 대기 수용실에 접속되어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1 액체 수용부의 대기 수용실에 수용되어 있는 대기를 제2 액체 수용실에 도입할 수 있다.
[6]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실과 외부로 향해 개구하는 대기 개방구와, 상기 대기 개방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액체 수용실에 도입되는 상기 대기가 유통하는 대기 연통로를 갖추어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2 액체 수용부가 대기 연통로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대기 개방구를 거친 제2 액체 수용부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이나 증발이 억제된다.
[7]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주입구를 가지는 액체 주입부를 갖추어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유저가 시인부를 가지는 제2 액체 수용부를 거쳐서 액체의 보충이 가능하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8]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 주입부의 상기 주입구를 봉지 가능한 봉지 부재를 갖추어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주입구를 거친 제2 액체 수용부로부터의 액체의 누설이나 증발, 제2 액체 수용실에의 이물질의 혼입 등이 억제된다.
[9]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는, 복수의 조의 한 쌍의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와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를 구비하고, 복수의 상기 제1 액체 수용부가, 제1 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 액체 수용부 열과 복수의 상기 제2 액체 수용 부가, 상기 제1 의 방향으로 교차하는 제2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 액체 수용부열이 구성되어도 괜찮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1 액체 수용부와 제2 액체 수용부가 각각 정리해서 배치되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2 액체 수용부가 정리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검출부를 소형화할 수도 있다.
[10]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 열은, 상기 제1 액체 수용부 열에 대해서, 상기 제1 의 방향에서,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액체 수용부 열의 상기 제2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제2 액체 수용부 열의 상기 제2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아서 좋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1 액체 수용부열과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열을 컴팩트하게 정리하여 배치할 수 있어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11]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검출 소자와,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 소자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교환하는 접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열과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열의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에 의하면, 제1 액체 수용부열과 제2 액체 수용부 열 사이의 공간을 유효 이용 가능해서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12]본 발명의 제2 형태에 의하면, 액체 소비 장치가 제공된다. 이 액체 소비 장치는, 액체 공급 장치와 액체 소비부를 갖추어도 좋다. 상기 액체 공급 장치는, 상기 형태의 액체 공급 장치여도 좋다. 상기 액체 소비부는, 상기 액체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소비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소비 장치에 의하면,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의 액체의 검출 정밀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소비되는 액체의 관리성을 높일 수 있다.
[13]상기 형태의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의 정면 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형태의 액체 소비 장치에 의하면, 제2 액체 수용부에 대한 유저의 접근성을 높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각 형태가 가지는 복수의 구성요소는 모든 것이 필수의 것이 아니고,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절히,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의 일부의 구성요소에 대해서, 그 변경, 삭제,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와의 교환, 한정 내용의 일부 삭제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상술한 본 발명의 한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포함되는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와 조합해서, 본 발명의 독립한 한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액체 공급 장치나 액체 소비 장치 이외의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체 용기나, 액체 용기의 유닛, 액체 검출 장치, 액체 공급 장치 또는 액체 소비 장치의 제어 방법, 액체 공급 장치 또는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의 액체량의 관리 방법, 그러한 방법을 실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그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일시적이 아닌 기록 매체 등의 형태로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장치」란, 하나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해서, 복수의 구성요소가, 각각의 기능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관되도록, 일체적, 혹은, 분산한 상태로, 복합적으로 조합되어 있는 집합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장치」의 구성 태양에는, 복수의 구성요소가 일체적으로 조합되어 있는 구성 태양이나, 복수의 구성요소 중 일부 또는 복수의 구성요소의 각각이 복수의 개소에 분산해서 배치되어 있는 구성 태양이 포함된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내부 유닛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프린터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의 정면측 개략 사시도.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의 배면측 개략 사시도.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를 도시하는 개략 분해 사시도.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를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9는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통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0은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통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11은 제1 실시형태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잉크의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2는 제1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와 인디케이터부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3은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14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5a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부에 있어서의 잉크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1의 개략도.
도 15b는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부에 있어서의 잉크 검출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제2의 개략도.
도 16은 제4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17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통부의 개략 분해 사시도.
도 18은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통부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
도 19는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이 구비하는 잉크 탱크와 잉크통부의 접속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
도 20은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이 구비하는 잉크 탱크와 잉크통부의 접속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
A. 제1 실시형태:
[프린터의 개략 구성]
도 1~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잉크젯 프린터(10)(이하, 간단히 「프린터(10)」라 함)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은, 프린터(10)의 외관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프린터(10)의 내부 유닛(20)을 도시하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2에는, 프린터(10)로부터 케이싱부(12) 및 상자체부(41b)가 제거되어 프린터(10)의 내부 유닛(20)이 노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덧붙여 도 2에서는, 편의상, 인디케이터부(45)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도 3은, 프린터(10)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는,인쇄부(11)로부터 탱크 유닛(40A)이 분리되는 것과 동시에, 탱크 유닛(40A)으로부터 케이싱부(41)가 제거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도 3에는, 프린터(10)를 기준으로 하는 화살표 X, Y, Z가 도시되어 있다. 화살표 X, Y, Z는, 서로 직교하는 삼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X는, 프린터(10)의 횡방향(폭방향)에 평행한 좌우 방향을 나타내고 있어 프린터(10)에 정면으로 맞섰을 때에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화살표 Y는, 프린터(10)의 전후 방향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고 있어 후방(배면측)으로부터 전방(정면측)을 향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프린터(10)의 전면측, 혹은, 정면측이란, 많은 유저가, 통상의 인쇄시에 프린터(10)의 조작을 위해서 서로 마주 보는 것이 상정되는 면측이다. 화살표 Z는, 프린터(10)의 높이 방향을 나타내고 있어 프린터(10)가 탑재되는 탑재면에 대해서 수직 상방을 나타내고 있다. 프린터(10)가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을 때는, 화살표 X, Y는 수평면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고, 화살표 Z는 중력 방향(연직 방향)의 역방향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의 설명에 이용되는 다른 각 도면에 있어서도, 화살표 X, Y, Z가, 적절히, 도 1~도 3에 대응하도록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위」혹은 「아래」라고 부를 때는, 화살표 Z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마찬가지로, 「전」 혹은 「후」라고 부를 때에는, 화살표 Y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있고, 「좌」 혹은 「우」라고 부를 때에는 각각, 화살표 X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있다.
프린터(10)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체 소비 장치의 일 실시형태에 상당한다. 프린터(10)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데이터에 따라 인쇄 매체인 인쇄용지(PP)에 잉크방울을 토출하는 것에 의해서 화상을 형성한다. 도 1 및 도 3에서는, 인쇄용지(PP)는 편의상, 2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프린터(10)는,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A)을 구비한다(도 1). 인쇄부(11)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체 소비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하고, 인쇄용지(PP)에 잉크를 토출하는 것에 의해서 인쇄 화상을 형성 가능하다. 탱크 유닛(40A)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체 공급 장치의 하위 개념에 상당하고, 인쇄부(11)에 대해서 잉크를 공급 가능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A)은 별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A)을 각각 별개로 유지관리하는 것이 가능해서, 프린터(10)의 메인테넌스성을 높일 수 있다. 또, 통상의 사용 상태에서는,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A)은 연결된 상태이다(상세는 후술). 그 때문에,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A)을 정리해서 운반할 수 있어 프린터(10)의 이동이나 설치가 용이화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인쇄부(11)의 구성을 설명한 후에, 탱크 유닛(40A)의 구성 등을 설명한다.
[인쇄부의 구성]
인쇄부(11)는, 케이싱부(12)와 내부 유닛(20)을 구비한다. 케이싱부(1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상자체로서 구성되어 있고(도 1), 내부에 내부 유닛(20)(도 2)을 수용하고 있다. 인쇄부(11)의 배면 측에는, 인쇄용지(PP)를 내부 유닛(20)에 공급하기 위한 급지구(13)가 설치되어 있다(도 1). 또, 정면 측에는, 내부 유닛(20)으로부터 송출된 인쇄용지(PP)가 배출되는 배지구(14)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부(41)에 있어서 상방을 향하고 있는 상면부에는, 인터페이스부(15)가 설치되어 있다. 인터페이스부(15)는, 예를 들면, 전원 버튼이나 인쇄 처리의 개시를 지령하는 버튼 등, 유저의 조작을 받아들이기 위한 조작 스위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내부 유닛(20)(도 2)은, 제어부(21)와 신호 처리부(22)와 화상 형성부(23)를 구비한다. 제어부(21)는 중앙 처리 장치와 주 기억 장치를 구비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어부(21)는, 인터페이스부(15)를 거친 유저의 조작이나 외부의 컴퓨터로부터의 지령에 따라 인쇄부(11)의 각 구성부를 제어하고, 인쇄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21)는, 신호 처리부(22)를 제어하고,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의 잉크량의 관리 처리를 실행한다. 신호 처리부(22)는, 잉크의 검출을 위한 전기 신호의 생성이나, 송신, 수신이 가능한 회로 유닛이다. 제어부(21)에 의한 잉크량의 관리 처리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화상 형성부(23)는, 제어부(21)의 제어하에서, 인쇄용지(PP)를 반송하면서, 인쇄용지(PP)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부(23)는, 용지 반송 기구(24)와 인쇄 헤드부(25)를 구비한다. 용지 반송 기구(24)는, 급지구(13)로부터 끌어겨진 인쇄용지(PP)를, 반송 롤러의 회전 구동에 의해서 배지구(14)로 반송한다.
인쇄 헤드부(25)는, 인쇄용지(PP)의 반송로 상에 설치되어 있고, 인쇄 처리에 있어서, 주 주사방향(SD)으로 왕복 이동하면서, 탱크 유닛(40A)으로부터 공급되는 잉크를 토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 주사 방향(SD)은, 용지 반송 기구(24)에 있어서의 인쇄용지(PP)의 반송 방향인 부 주사방향(TD)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화살표 X의 방향에 평행한 방향이다. 인쇄 헤드부(25)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체 소비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인쇄 헤드부(25)는, 캐리지(30)와 잉크 토출 헤드(31)와 복수의 중계 유닛(32)를 구비한다. 캐리지(30)는, 모터(35)의 회전 구동력이 무단 벨트(36)에 의해서 전달되는 것에 의해서, 주 주사방향(SD)인 화살표 X의 방향으로 가설되어 있는 가이드 레일(37)에 따라서 왕복 이동한다.
잉크 토출 헤드(31)는, 캐리지(30)의 하면에 설치되어 있고, 캐리지(30)에 의해서 반송된다. 잉크 토출 헤드(31)는, 인쇄용지(PP)와 대향하는 면에, 잉크방울을 토출하기 위한 복수의 노즐을 구비하고, 제어부(21)의 제어 하에서, 용지 반송 기구(24)에 의해서 반송되어 가는 인쇄용지(PP)의 인쇄면을 향해 잉크방울을 토출한다.
각 중계 유닛(32)은, 잉크 토출 헤드(31) 위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잉크 탱크(43A) 중 대응하는 하나와 튜브(44)를 개입시켜 접속되어 있다. 각 중계 유닛(32)은, 흡인 펌프를 구비하고 있어, 튜브(44)를 거쳐서,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로부터 잉크를 흡인해서, 잉크 토출 헤드(31)에 공급한다.
[탱크 유닛의 구성]
도 1~도 3에 덧붙여, 도 4~도 5를 참조해서 탱크 유닛(40A)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케이싱부(41)을 제거했을 때의 탱크 유닛(40A)의 정면측을 도시하는 정면측 개략 사시도이다. 도 5는, 케이싱부(41)를 제거했을 때의 탱크 유닛(40A)의 배면측을 도시하는 배면측 개략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에는, 프린터(10)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해서 도 1~도 3)에 대응하도록 화살표 X, Y, Z가 도시되어 있다.
탱크 유닛(40A)은, 인쇄부(11)의 케이싱부(12)에 있어서의 좌측의 측면부(16)에 고정되어 있다(도 1).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살표 Y의 방향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40A)의 폭은, 화살표 Y의 방향에 있어서의 프린터(10)의 측면부(16)의 폭과 거의 같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유닛(40A)은, 복수의 나사(19)에 의해서 인쇄부(11)의 케이싱부(12)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도 3).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는, 프린터(10)에 연결되어 있을 때, 인쇄부(11)에 대면하는 측이 배면측이며, 인쇄부(11)와는 반대쪽을 향하는 측이 정면측이다. 즉, 화살표 X의 역방향을 향하는 측이 배면측이며, 화살표 X의 방향을 향하는 측이 정면측이다.
탱크 유닛(40A)은, 케이싱부(41)와 복수의 잉크 탱크(43A)와 복수의 튜브(44)와 인디케이터부(45)를 구비한다(도 1 및 도 3). 케이싱부(41)는, 저판부(41a)와 상자체부(41b)로 구성되어 있다(도 3). 저판부(41a)는, 탱크 유닛(40A)의 저면부를 구성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판상 부재이다. 상자체부(41b)는, 저판부(41a)의 상방에 배치되고, 하측 전체가 개구하고 있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상자체로 구성되어 있는 부재이다. 케이싱부(41)의 내부에는, 각 잉크 탱크(43A)와 인디케이터부(45)가 수용되어 있다.
케이싱부(41)의 상자체부(41b)에는, 잉크 탱크(43A)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인 복수의 제1 윈도우부(42a)와 복수의 제2 윈도우부(42b)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제1 윈도우부(42a) 및 제2 윈도우부(42b)는 각기, 각 잉크 탱크(43A)에 대해서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또, 케이싱부(41)에는, 인디케이터부(45)의 일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인 제3 윈도우부(42c) 및 제4 윈도우부(42d)가 하나씩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부(41)에 있어서 4 종류의 윈도우부(42a~42d)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복수의 잉크 탱크(43A)는, 잉크를 수용하는 용기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액체 수용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도 3~도 5). 각 잉크 탱크(43A)에는 각각 다른 색의 잉크가 수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유닛(40A)은, 4개의 잉크 탱크(43A)를 구비하여 각각, 시안, 마젠다(진홍색), 옐 로우, 블랙의 잉크를 수용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각 잉크 탱크(43A)는, 화살표 Y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화살표 Y의 방향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의 방향에 상당한다. 각 잉크 탱크(43A)에는,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제의 튜브(44)가 한 개씩 접속되어 있다(도 3). 각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는, 튜브(44)를 거쳐서, 인쇄부(11)의 인쇄 헤드부(25)가 가지는 복수의 중계 유닛(32) 중 대응하는 하나에 공급된다(도 2). 잉크 탱크(43A)의 구성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인디케이터부(45)는, 프린터(10)의 정면 측에 설치되어 있고,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 화살표 Y의 방향측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도 3). 인디케이터부(45)는, 복수의 잉크통부(46A)와 복수의 튜브(47)와 단자 접속부(48)를 구비한다(도 3~도 5). 복수의 잉크통부(46A)는, 각 잉크 탱크(43A)에 대해서 하나씩 대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디케이터부(45)는, 4개의 잉크 탱크(43)에 대응하는 4개의 잉크통부(46A)를 가지고 있다.
각 잉크통부(46A)는 잉크를 수용 가능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용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각 잉크통부(46A)는, 복수의 잉크 탱크(43A) 중 대응하는 하나로부터 잉크가 유입 가능하도록, 튜브(47)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도 4). 잉크통부(46A)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액체 수용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잉크통부(46A)가 배열되어 있는 화살표 X의 방향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의 방향에 상당한다. 각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는, 각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양을 나타내고 있고, 각 잉크통부(46A)는 외부로부터 당해 액면의 위치가 시인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잉크통부(46A)의 구성의 상세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탱크 유닛(40A)에서는, 각 잉크통부(46A)와 잉크 탱크(43A) 사이의 간극에 단자 접속부(48)가 설치되어 있다(도 3~도 5). 잉크통부(46A)에는 각각,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검출에 이용되는 한 쌍의 단자 핀이 장착되어 있다(후술). 단자 접속부(48)는, 각 잉크통부(46A)의 한 쌍의 단자 핀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단자 접속부(48)는, 기판부(50)와 케이블 접속부(53)와 배선 케이블(55)을 구비한다.
기판부(50)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프린트 기판에 의해서 구성된다(도 4, 도 5). 기판부(50)는, 가요성을 가지는 플렉서블 프린트 기판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괜찮다. 기판부(50)는, 제1 기판면(51)이 각 잉크통부(46A)에 대향하고, 장변을 따른 방향이 화살표 X의 방향에 일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판부(50)는, 잉크통부(46A)의 상단부보다 하단부에 가까운 하단 측에 배치되어 있다. 기판부(50)의 제1 기판면(51)에는, 각 잉크통부(46A)의 단자 핀에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복수의 단자가 설치되어 있다. 도 4, 도 5에서는, 기판부(50)가 가지는 복수의 단자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53)는, 기판부(50)의 제1 기판면(51)과는 반대측의 제2 기판면(52)에 설치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53)는, 기판부(50)의 화살표 X의 역방향측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케이블 접속부(53)는, 기판부(50)에 형성되어 있는 배선 패턴을 거쳐서, 각 잉크통부(46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배선 패턴의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배선 케이블(55)은, 케이블 접속부(53)에 접속되어 있다. 배선 케이블(55)은, 가요성을 가지고 있고, 탱크 유닛(40A)의 케이싱부(41)로부터 연장하도록 배치되고(도 3), 인쇄부(11)의 신호 처리부(22)(도 2)에 접속되어 있다. 각 잉크통부(46A)의 단자 핀은, 단자 접속부(48)를 거쳐서, 신호 처리부(22)에 의해, 잉크의 검출을 위한 전류가 흐른다(상세는 후술).
[잉크 탱크의 구성]
도 6~도 8을 주로 참조하여, 잉크 탱크(43A)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6은, 잉크 탱크(43A)를 도시하는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잉크 탱크(43A)를 경사 하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8은, 잉크 탱크(43A)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에는, 필름 부재의 접합면을 절단면으로 하는 잉크 탱크(43A)의 개략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6~도 8에는, 잉크 탱크(43A)가, 프린터(10)에 연결되어 있는 탱크 유닛(40A)에 고정되어 있는 배치 자세를 기준으로 해서 도 1~도 3에 대응하도록 화살표 X, Y, Z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방향의 기재는, 특별히 거부되지 않는 한 상기의 배치 자세에 있을 때의 잉크 탱크(43A)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잉크 탱크(43A)는, 6개의 면부(61~66)를 가지는 중공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도 6, 도 7). 제1 면부(61)(도 7)는 하방을 향하는 저면부를 구성하고, 제2면부(62)(도 6)는 상방을 향하는 상면부를 구성한다. 제3 면부(63)(도 6)는, 제1 면부(61)와 제2 면부(62)에 교차하고,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 정면측을 향하는 정면부를 구성한다. 제4 면부(64)(도 7)는, 제1 면부(61)와 제2 면부(62)에 교차하고, 제3 면부(63)와는 반대의 방향을 향하는 배면부를 구성한다. 제5 면부(65)(도 7)는, 상기의 4개의 면부(61~64)의 각각에 교차하고, 제3 면부(63)에 정면으로 맞섰을 때에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면부를 구성한다. 제6 면부(66)(도 6)는, 4개의 면부(61~64)의 각각에 교차하고, 제3 면부(63)에 정면으로 맞섰을 때에, 제3 면부(63)와는 반대측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면부를 구성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면부」는, 소정의 방향을 향하는 면을 가지도록 연신하고 있는 부위를 의미하고 있다. 「면부」는, 평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고, 곡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오목부나 볼록부, 단차, 홈, 굴곡부, 경사면 등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또, 2개의 면부가 「교차한다」는 것은, 2개의 면부가 서로 실제로 교차하는 상태와, 한쪽의 면부의 연장면이 다른 쪽의 면부에 교차하는 상태와, 2개의 면부의 연장면 끼리가 교차하는 상태중 어느 하나의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로 이웃이 되는 각 면부의 사이에, 만곡면을 구성하는 모따기부 등이 개재하고 있어도 괜찮다.
잉크 탱크(43A)는, 케이스 부재(68)와 필름 부재(69)로 구성되어 있다(도 6). 케이스 부재(68)는, 화살표 Y의 역방향 측의 면 전체가 개구하고 있는 중공의 상자체로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 부재(68)는, 화살표 Y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이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다. 케이스 부재(68)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서 제작된다.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제6면부(66) 이외의 5개의 면부(61~65)는, 케이스 부재(68)의 외벽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필름 부재(69)는, 가요성을 가지는 박막 형상의 부재이며, 케이스 부재(68)에 있어서의 화살표 Y의 역방향측의 개구 전체를 봉지하도록 접합된다(도 6). 필름 부재(69)는, 잉크 탱크(43A)의 제6 면부(66)를 구성한다. 필름 부재(69)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시트상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필름 부재(69)는, 케이스 부재(68)에 대해서, 예를 들면 용착에 의해서 접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는, 케이스 부재(68)와 필름 부재(69)에 의해서 간단하고 경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잉크 탱크(43A)의 제5 면부(65)측이나 제6 면부(66)측과 마찬가지로, 케이스 부재(68)에 접합되는 필름 부재(69)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괜찮다.
케이스 부재(68)와 필름 부재(69) 사이의 내부 공간은, 케이스 부재(68)의 내부 공간에 입설되어 있는 내벽부에 의해서, 하단의 잉크 수용실(70)과 상단의 대기 수용실(71)로 나누어져 있다(도 6, 도 8). 잉크 수용실(70)은, 잉크를 저장 가능한 중공 부위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체 수용실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대기 수용실(71)은, 잉크 탱크(43A)의 외부로부터 도입된 대기(공기)를 수용 가능한 중공 부위이며,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기실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수용실(70)과 대기 수용실(71)은 함께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 대기 수용실(71)의 용적은 잉크 수용실(70)의 용적보다 작다.
잉크 수용실(70)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대기 수용실(71)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길다(도 8). 대기 수용실(71)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위치는, 잉크 수용실(70)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단부의 위치보다 화살표 X의 역방향 측에 위치하고 있다. 대기 수용실(71)의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는 위치에서, 잉크 수용실(70)의 상방의 위치에는, 잉크 주입부(72)가 설치되어 있다(도 6, 도 8).
잉크 주입부(72)는, 잉크 수용실(70)에 잉크를 주입 가능하도록, 외부로부터 잉크 수용실(70)에 연통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주입부(72)는, 잉크 수용실(70)에 연통하는 관통공(72h)을 가지는 원통형의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고 제2 면부(62)에 있어서 상방을 향해서 돌출하고 있다. 잉크 주입부(72)의 상단에는, 잉크를 받아들이기 위한 주입구(72o)(도 8)가 개구하고 있다. 주입구(72o)는, 대기 수용실(71)의 상단에 위치하는 상벽부(62a)보다 낮은 위치에 있다. 잉크 주입부(72)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체 주입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하고, 주입구(72o)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입구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탱크 유닛(40A)에서는, 각 잉크 탱크(43A)는, 각 잉크 주입부(72)가 화살표 Y의 방향으로 일렬에 배열되도록 배열되어 있다(도 4). 각 잉크 탱크(43A)의 잉크 주입부(72)의 상단부는, 케이싱부(41)의 제1 윈도우부(42a)로부터 연장하고 있다(도 1). 잉크 주입부(72)의 주입구(72o)에는, 통상, 주입구(72o)를 기밀로 봉지 가능한 캡 부재(79)가 장착되어 있다(도 1~도 3). 캡 부재(79)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서 제작된다. 유저는, 캡 부재(79)를 잉크 주입부(72)로부터 제거하고, 주입구(72o)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에 의해서, 잉크 수용실(70)에 잉크를 보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잉크 주입부(72)가 탱크 유닛(40A)의 정면 측에 위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유저에 의한 잉크 주입부(72)에 대한 접근이 용이해져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 수용실(70)의 하단에는, 국소적으로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하단 부위(70b)가 설치되어 있다(도 6~도 8). 하단 부위(70b)에는, 잉크 공급부(73)와 잉크 유통부(75)가 설치되어 있다. 잉크 공급부(73)는, 잉크 수용실(70)의 잉크를, 튜브(44)를 거쳐서 인쇄 헤드부(25)(도 2)로 공급 가능하도록, 외부로부터 잉크 수용실(70)에 연통하는 부위이다. 잉크 공급부(73)는, 잉크 수용실(70)의 하단 부위(70b)로부터 화살표 X의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고, 잉크 수용실(70)에 연통하는 관통공(73h)을 가지고 있다(도 6, 도 7). 잉크 공급부(73)에는, 튜브(44)가 화살표 X의 방향을 장착 방향으로 해서 기밀로 장착된다.
잉크 유통부(75)(도 6~도 8)는, 잉크 수용실(70)의 잉크를, 대응하는 잉크통부(46A)와의 사이에서, 튜브(47)(도 4)를 거쳐서 잉크를 유통시키기 위해서, 외부로부터 잉크 수용실(70)에 연통하는 부위이다. 잉크 유통부(75)는, 잉크 수용실(70)의 하단 부위(70b)로부터, 잉크 공급부(73)와 병렬로 화살표 X의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고, 잉크 수용실(70)에 연통하는 관통공(75h)을 가지고 있다(도 7). 잉크 유통부(75)에는, 튜브(47)가 화살표 X의 방향을 장착 방향으로 해서 기밀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에서는, 잉크 공급부(73)와 잉크 유통부(75)는 같은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잉크 탱크(43A)가 잉크 부족 상태가 되는 타이밍과, 인디케이터부(45)에 있어서 잉크 부족 상태가 검출되는 타이밍을 일치시킬 수 있다(상세는 후술). 또,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에서는, 잉크 공급부(73)와 잉크 유통부(75)의 각각의 튜브(44, 47)가 같은 방향으로부터 병렬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서,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 튜브(44, 47)를 보다 컴팩트하게 배설할 수 있다.
대기 수용실(71)의 상방에는, 대기 도입부(76)가 설치되어 있다(도 6~도 8). 대기 도입부(76)는, 대기 수용실(71)에 대해서 대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외부로부터 대기 수용실(71)에 연통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도입부(76)는 제2 면부(62)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고, 대기 수용실(71)에 연통하는 관통공(76h)을 가지고 있다. 대기 도입부(76)의 상단부에 있어서는, 대기 개방구(76o)가 외부로 향해 개구하고 있다. 덧붙여 대기 도입부(76)는, 제2 면부(62)에 설치되지 않아도 괜찮고, 예를 들면, 제4 면부(64)에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잉크 수용실(70)과 대기 수용실(71)은, 대기 수용실(71)의 대기가 잉크 수용실(70)로 유입 가능하도록, 대기 연통로(74)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도 8).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연통로(74)는, 케이스 부재(68)에 있어서, 화살표 Y의 역방향측이 개구하고, 필름 부재(69)의 접합면에 있어서, 잉크 수용실(70)과 대기 수용실(71)의 외주를 따라서 연장되는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연통로(74)는, 복수회 절곡되어서 연장되어 있다.
잉크 수용실(70) 내의 잉크가 잉크 공급부(73)를 거쳐서 인쇄부(11)에 공급되고, 소비되면, 잉크 수용실(70) 내가 부압이 되어, 대기 연통로(74)를 거쳐서, 대기 수용실(71)로부터 잉크 수용실(70)로 대기가 도입된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에서는, 대기 연통로(74)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대기 수용실(71)에 잉크 수용실(70)의 잉크가 유입해 버리는 일이나, 잉크 수용실(70)의 잉크가, 대기 개방구(76o)를 거쳐서 외부로 증발해 버리는 일이 억제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에서는, 잉크 탱크(43A)에 잉크가 충전된 상태에서 프린터(10)가 운반되는 경우 등에, 대기 연통로(74)로부터 대기 수용실(71)에 잉크가 유입해 버려도, 대기 수용실(71)에, 그 잉크가 저장된다. 따라서, 대기 도입부(76)를 거친 잉크의 누설이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에서는, 제3 면부(63)을 구성하고 있는 케이스 부재(68)의 벽부가, 잉크 수용실(7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액면을 유저가 시인 가능하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유저는, 잉크 탱크(43A)에 잉크를 보충할 때 등에,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을 시인할 수 있다. 덧붙여 잉크 탱크(43A)에서는, 제3 면부(63)를 구성하고 있는 벽부만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케이스 부재(68)의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각 잉크 탱크(43A)의 제3 면부(63)가 탱크 유닛(40A)의 정면 측에서, 화살표 Y의 방향에 따라서 일렬로 늘어서도록 배열되어 있다(도 4). 또, 탱크 유닛(40A)의 케이싱부(41)에는, 각 잉크 탱크(43A)의 제3 면부(63)가 외부에 노출하도록, 제2 윈도우부(42b)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이것에 의해서, 잉크 탱크(43A)의 잉크 주입부(72)로부터 잉크를 보충할 때의 유저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에서는, 제3 면부(63)의 벽면에, 제1 마크부(78a)와 제2 마크부(78b)가 설치되어 있다(도 4, 도 6). 제1 마크부(78a)는, 잉크 수용실(70)에 수용되는 잉크의 액면의 상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마크부(78a)는, 잉크 수용실(70)의 상단의 높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마크부(78b)는, 잉크 수용실(70)에 수용되는 잉크의 액면의 하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2 마크부(78b)는, 잉크 수용실(70)의 하단 부위(70b)의 상단보다 높은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각 마크부(78a, 78b)는, 예를 들면, 제3 면부(63)의 벽면에 있어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또, 인쇄나 시일의 부착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케이싱부(41)의 제2 윈도우부(42b)는, 각 잉크 탱크(43A)의 마크부(78a, 78b)가 2개 모두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개구하고 있다(도 1).
이와 같이, 각 잉크 탱크(43A)에 제1 마크부(78a)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잉크 탱크(43A)에 과잉 양의 잉크가 보충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제2 마크부(78b)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유저에게 잉크 탱크(43A)의 잉크량이 부족한지 아닌지를 인식시킬 수 있어 잉크 탱크(43A)의 잉크가 부족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잉크통부의 구성]
도 9, 도 10을 주로 참조해서, 잉크통부(46A)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9는, 잉크통부(46A)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잉크통부(46A)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에는, 필름 부재(89)의 접합면을 절단면으로 하는 잉크통부(46A)의 개략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도 10에는, 잉크통부(46A)가 프린터(10)에 연결되어 있는 탱크 유닛(40A)에 고정되어 있는 배치 자세를 기준으로 해서 도 1~도 3에 대응하도록 화살표 X, Y, Z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의 방향의 기재는, 특별히 거부하지 않는 한 상기의 배치 자세에 있을 때의 잉크통부(46A)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
잉크통부(46A)는, 6개의 면부(81~86)를 가지는 중공 용기로서 구성되어 있다(도 9). 잉크통부(46A)의 제1 면부(81)는 하방을 향하는 저면부를 구성하고, 제2 면부(82)는 상방을 향하는 상면부를 구성한다. 제3 면부(83)는, 제1 면부(81)와 제2 면부(82)에 교차하고,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 화살표 Y의 방향을 향해, 프린터(10)의 정면측을 향한다. 제4 면부(84)는, 제1 면부(81)와 제2면부(82)에 교차하고, 제3 면부(83)와는 반대의 방향을 향한다. 제5 면부(85)는, 상기의 4개의 면부(81~84)의 각각에 교차하고, 제3 면부(83)에 정면으로 맞섰을 때에 좌측에 위치하는 좌측면부를 구성한다. 제6 면부(86)는, 4개의 면부(81~84)의 각각에 교차하고, 제3 면부(83)에 정면으로 맞섰을 때에, 제3 면부(83)와는 반대측의 우측에 위치하는 우측면부를 구성한다. 잉크통부(46A)에 있어서도, 잉크 탱크(43A)와 마찬가지로, 서로 인접하는 각 면부의 사이에 만곡면을 구성하는 모따기부 등이 개재되어 있어도 괜찮다.
잉크통부(46A)는, 케이스 부재(88)와 필름 부재(89)로 구성되어 있다(도 9). 케이스 부재(88)는, 화살표 X의 역방향측의 면 전체가 개구하고 있는 중공의 상자체로 구성되어 있고, 화살표 Z의 방향이 긴 방향이 되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케이스 부재(88)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의 일체 성형에 의해서 제작된다.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제6 면부(86) 이외의 5개의 면부(81~85)는, 케이스 부재(88)의 외벽부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필름 부재(89)는, 가요성을 가지는 박막 상태의 부재이며, 케이스 부재(88)에 있어서의 화살표 X의 역방향측의 개구 전체를 봉지하도록 접합된다(도 9). 필름 부재(89)는, 잉크통부(46A)의 제6 면부(86)를 구성한다. 필름 부재(89)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서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필름 부재(89)는, 케이스 부재(88)에 대해서, 예를 들면 용착에 의해서 접합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잉크통부(46A)는, 케이스 부재(88)와 필름 부재(89)에 의해서 간단하고 경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잉크통부(46A)의 측면을 구성하는 제5 면부(85)도 제6 면부(86)와 마찬가지로, 케이스 부재(88)에 접합되는 필름 부재(89)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괜찮다.
잉크통부(46A)에서는, 잉크를 수용 가능한 잉크 수용실(90)이, 높이 방향으로 긴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공간을 가지는 중공 부위로서 형성되어 있다(도 10).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에 있어서의 상단과 하단 사이의 화살표 Z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는,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에 있어서의 상단과 하단 부위(70b)의 상단 사이의 화살표 Z의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와 거의 동일하다. 또,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의 단면적(이하, 「수평 단면적」이라 함)은, 높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다.
잉크 수용실(90)의 하단에는, 잉크 유통부(91)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유통부(91)는, 제1 면부(81)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고, 잉크 수용실(90)에 연통하는 관통공(91h)을 가지고 있다. 잉크 유통부(91)에는, 튜브(47)(도 4)가, 화살표 Z을 장착 방향으로 해서 기밀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서,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가, 튜브(47)를 거쳐서,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에 유입 가능하게 된다. 또,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로부터도,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로, 튜브(47)를 거쳐서, 잉크가 유입 가능하다. 덧붙여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각 튜브(47)는, 각 잉크 탱크(43A)의 하방에서, 화살표 Y의 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잉크 수용실(90)의 하단보다 상단에 가까운 상단측의 부위에는, 대기 도입부(92)가 설치되어 있다(도 10). 대기 도입부(92)는, 잉크 수용실(90)에 대해서 대기가 유입 가능하도록, 외부로부터 잉크 수용실(90)로 연통하는 부위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대기 도입부(92)는, 제4 면부(84)에 있어서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고, 잉크 수용실(90)에 연통하는 관통공(92h)을 가지고 있다. 대기 도입부(92)의 선단부에 있어서는, 대기 개방구(92o)가 외부로 향해 개구하고 있다. 덧붙여 대기 도입부(76)는, 제4 면부(84)에 설치되지 않아도 괜찮고, 예를 들면, 제2 면부(82)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잉크통부(46A)에서는, 잉크 수용실(90)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액면의 위치가 시인 가능하도록, 제3 면부(83)를 구성하는 벽부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는,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와 대응하고 있다. 유저는,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에 의해서,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을 시인할 수 있다. 덧붙여 잉크통부(46A)에서는, 제3 면부(83)를 구성하고 있는 벽부만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케이스 부재(88)의 전체가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통부(46A)의 제3 면부(83)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시인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복수의 잉크통부(46A)는, 프린터(10)의 정면 측에서, 제3 면부(83)가 화살표 X의 방향을 따라서 일렬에 늘어서도록 배열되어 있다(도 4). 또, 탱크 유닛(40A)의 케이싱부(41)에는, 각 잉크통부(46A)의 제3 면부(83)가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노출하도록, 제3 윈도우부(42c)가 설치되어 있다(도 1).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에서는, 각 잉크 탱크(43A)의 잉크량을 도시하는 잉크통부(46A)가, 프린터(10)의 통상의 사용 상태에 있어서 유저가 정면으로 맞서는 정면 측에 정리해서 배치되어 있어,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잉크통부(46A)에서는, 유저에 의한 잉크 수용실(90)에의 잉크의 보충이 가능하도록, 제2 면부(82)에 잉크 주입부(93)가 설치되어 있다(도 9, 도 10). 잉크통부(46A)의 잉크 주입부(93)로부터 잉크 수용실(90)에 주입된 잉크는, 잉크 유통부(91)에 접속되어 있는 튜브(47)를 거쳐서,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로 유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주입부(93)는, 상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 구성되어 있고, 잉크 수용실(90)에 연통하는 관통공(93h)을 가지고 있다. 잉크 주입부(93)의 상단에는, 잉크를 받아 들이기 위한 주입구(93o)가 외부를 향해 개구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 주입부(93)는, 관통공(93h)의 개구 직경이 상방일수록 커지도록 대략 테이퍼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서, 잉크의 보충 시에 잉크가 넘쳐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탱크 유닛(40A)에서는, 각 잉크통부(46A)는, 프린터(10)의 정면 측에서, 각 잉크 주입부(93)가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일렬에 배열되도록 배열되어 있다(도 4). 각 잉크통부(46A)의 잉크 주입부(93)의 상단부는, 케이싱부(41)의 제4 윈도우부(42d)로부터 연장하고 있다(도 1).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에서는, 각 잉크 탱크(43A)에 잉크를 보충할 수 있는 잉크 주입부(93)가, 프린터(10)의 정면 측에 정리해서 배치되어 있어,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유저는, 각 잉크통부(46A)의 제3 면부(83)에 있어서,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확인하면서 잉크의 보충을 실시할 수 있기 때문에,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는 잉크량의 적성화가 촉구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 주입부(93)의 주입구(93o)에는, 통상, 주입구(93o)를 기밀로 봉지 가능한 캡 부재(94)가 장착되어 있다(도 9). 캡 부재(94)는, 예를 들면, 나일론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서 제작된다. 유저는, 캡 부재(94)를 잉크 주입부(93)로부터 떼어내는 것에 의해서, 잉크 수용실(90)에 잉크를 보충할 수 있다. 캡 부재(94)에 의해서, 잉크 수용실(90)로부터의 잉크의 증발이나, 잉크 수용실(90)에 대한 이물질의 혼입 등이 억제된다. 캡 부재(94)는, 본원 발명에 있어서의 봉지 부재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본 실시형태의 잉크통부(46A)의 제3 면부(83)의 벽면에는, 제1 마크부(95a)와 제2 마크부(95b)가 설치되어 있다(도 9, 도 10). 제1 마크부(95a)는,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90)에 수용되는 잉크의 액면의 상한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제1 마크부(95a)는, 잉크 탱크(43A)의 제1 마크부(78a)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제2 마크부(95b)는, 잉크 탱크(43A)의 제2 마크부(78b)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 「거의 같다」 혹은 「거의 동일하다」라고 할 때는, 실질적으로 같을,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의미하고 있고, 공차를 고려해서,±5% 정도의 오차 범위가 포함된다.
각 마크부(95a, 95b)는, 예를 들면, 제3 면부(83)의 벽면에 있어서의 볼록부 또는 오목부로서 형성되고 있어도 괜찮다. 또, 인쇄나 시일의 부착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케이싱부(41)의 제3 윈도우부(42c)는, 각 잉크통부(46A)의 마크부(95a, 95b)가 2개 모두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하게 개구하고 있다(도 1).
각 잉크통부(46A)에 제1 마크부(95a)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유저가 잉크통부(46A)를 거쳐서 잉크를 보충할 경우에,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에 과잉 양의 잉크가 보충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각 잉크통부(46A)에 제2 마크부(95b)가 설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유저가 프린터(10)에 정면으로 맞서는 방향으로부터,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의 잉크량이 부족한지 아닌지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잉크 탱크(43A)에 대해 잉크 부족 상태가 생겨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각 잉크통부(46A)의 하단측의 부위에는, 잉크의 검출에 이용되는 검출 소자인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이 장착된다(도 9). 각 단자 핀(96a, 96b)은,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 등의 금속 핀에 의해서 구성된다. 각 단자 핀(96a, 96b)은, 잉크와 접촉해도 산화 피막이 생기기 어려운 부재나, 그러한 산화 피막의 발생이 억제되는 표면 처리가 실시되어 있는 부재에 의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면부(84)를 구성하는 케이스 부재(88)의 벽부에는,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을 장착하기 위한 한 쌍의 관통공(97a, 97b)이 설치되어 있다. 제1 단자 핀(96a)은 제1 관통공(97a)이 삽입되고, 제2 단자 핀(96b)은 제2 관통공(97b)에 삽입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자 핀(96a)과 제2 단자 핀(96b)은,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있고, 화살표 Y의 방향이 긴 방향이 되는 상태로 수평으로 보지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은, 제2 마크부(95b)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단자 핀(96a)과 제1 관통공(97a)의 내주면 사이 및 제2 단자 핀(96b)과 제2 관통공(97b)의 내주면 사이에는 잉크의 누설을 억제하기 위한 시일 부재 등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덧붙여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은, 화살표 Z의 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고 있어도 괜찮다.
도 10에는, 각 단자 핀(96a, 96b)에 단자 접속부(48)가 접속되어 있는 상태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탱크 유닛(40A)에서는, 단자 접속부(48)는, 단자 핀(96a, 96b)의 각각이, 기판부(50)의 제1 기판면(51)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의 단자(56)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도록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서,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은, 인쇄부(11)의 신호 처리부(22)(도 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탱크 유닛에 있어서의 잉크의 검출]
도 11은, 프린터(10)에 있어서의 잉크의 검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에는,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의 1조의 잉크 탱크(43A)와 잉크통부(46A)가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1에서는, 편의상,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대기 수용실(71)과 대기 연통로(74)의 도시가 생략되고, 잉크 공급부(73)와 잉크 유통부(75)가 화살표 Z의 방향으로 배열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 도 11에서는, 인쇄부(11)의 제어부(21)와 신호 처리부(22)가 도시되고, 배선 케이블(55)이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과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은, 잉크(IN)가 저장되는 하방의 부위에서, 튜브(47)를 거쳐서 서로 접속되어 있다. 또,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 내에는 대기 도입부(76)를 거쳐서 대기가 도입되고 있고,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에는, 대기 도입부(92)를 거친 대기가 도입되고 있다. 그 때문에,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IN)의 액면의 높이 위치는,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잉크(IN)의 액면의 높이 위치에 대응해서 거의 동일해진다. 이것에 의해서, 유저는, 잉크통부(46A)의 제3 면부(83)를 거쳐서,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에서는, 제어부(21)(도 2)가, 탱크 유닛(40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의 관리 처리를 이하와 같이 실행한다. 제어부(21)는, 인쇄 처리의 실행중이나 인쇄 처리의 휴지 중에, 신호 처리부(22)에 의해서, 각 잉크통부(46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IN)를 검출하기 위한 전류를, 제1 단자 핀(96a)에 주기적으로 흘린다. 신호 처리부(22)는, 제1 단자 핀(96a)과 제2 단자 핀(96b) 사이의 저항의 변화를 검출해서, 제어부(21)에 출력한다.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 잉크(IN)가 소비되면, 대응하는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잉크(IN)의 액면의 위치가 저하한다.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잉크(IN)의 액면의 위치가, 각 단자 핀(96a, 96b)의 위치보다 낮아지면, 단자 핀(96a, 96b) 끼리의 사이의 전기적 도통이 차단되어 단자 핀(96a, 96b) 사이의 저항이 증대한다. 제어부(21)는, 신호 처리부(22)에 의해서 검출되는 저항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으로 증대했을 때에,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 잔량이 부족한 것을 검출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핀(96a, 96b)이 설치되어 있는 부위에 있어서의 잉크(IN)의 유무가 검출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이 설치되어 있는 높이 위치의 부위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 부위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덧붙여 상술한 바와 같이,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이 화살표 Z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측에 배치되어 있는 단자 핀의 높이 위치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 부위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제어부(21)는,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 잔량의 부족을 검출했을 경우에는, 유저에게 잉크의 보충 시기의 도래를 알리는 알림 처리를 실행한다. 또, 제어부(21)은, 인쇄 헤드부(25)에 의한 잉크방울의 토출이 가능한 나머지 회수의 계측을 개시하고, 그 회수가 제로가 되었을 때에는, 인쇄 처리를 중단해서,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 고갈을 유저에게 알린다.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에서는, 제어부(21)와 신호 처리부(22)와 단자 접속부(48)와 검출 소자인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에 의해서, 잉크통부(46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의 검출이 가능한 검출부가 구성되어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잉크통부(46A)의 외부에 배치되고,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의 사이에서 전기 신호의 교환을 행하는 단자 접속부(48)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속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적은, 단자 핀(96a, 96b)의 설치 부위를 포함하여 높이 방향의 전역에 걸쳐서,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다. 그 때문에, 탱크 유닛(40A)이 수평면에 대해서 경사해서 배치되었을 경우에도, 잉크통부(46A)에서는, 단자 핀(96a, 96b)이 설치되어 있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잉크(IN)의 액면의 위치의 변동이, 잉크 탱크(43A)보다 억제되고 있다. 따라서, 탱크 유닛(40A)의 배치 각도의 경사에 기인하는 잉크 부족의 오검출이, 잉크 탱크(43A)에 단자 핀(96a, 96b)이 설치되고, 잉크 탱크(43A)에서 잉크의 검출이 행해지는 구성보다 억제된다. 이것은, 탱크 유닛(40A)이 경사 배치되어 있는 경우 뿐만이 아니라, 탱크 유닛(40A)이 요동해 버리는 것과 같은 불안정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탱크 유닛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 및 잉크통부의 배치 구성]
도 12는, 탱크 유닛(40A)을 화살표 Z의 역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잉크 탱크(43A)와 인디케이터부(45)의 배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복수의 잉크 탱크(43A)가 화살표 Y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고, 인디케이터부(45)를 구성하는 복수의 잉크통부(46A)가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잉크 탱크(43A)의 열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액체 수용부 열의 하위 개념에 상당하고, 잉크통부(46A)의 열이, 제2 액체 수용부 열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잉크 탱크(43A)와 잉크통부(46A)가 별개로 정리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인디케이터부(45)를 구성하는 잉크통부(46A)의 열이 프린터(10)의 정면 측에 배치되고, 잉크 탱크(43A)의 열이 그 속에 배치되어 있다. 이 배치 구성이면, 유저가 인디케이터부(45)에 접근하기 쉽기 때문에, 유저가 각 잉크 탱크(43A)의 잉크량의 관리를 하기 쉬워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인디케이터부(45)를 구성하고 있는 잉크통부(46A)에 대해서, 잉크의 잔량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부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잉크 탱크(43A)의 잉크 용량을 크게 하기 위해서, 각 잉크 탱크(43A)를 대형화했을 경우에도, 검출부가 그에 맞춰 대형화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 잉크통부(46A)가 정리해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잉크통부(46A)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단자 접속부(48)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잉크 탱크(43A)의 열의 폭(Wa)보다,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잉크통부(46A)의 열의 폭(Wb)이 작다. 이와 같이, 단자 접속부(48) 뿐만이 아니라, 인디케이터부(45) 자체가 소형화되고 있어, 탱크 유닛(40A) 및 프린터(10)의 소형화에 기여하고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잉크통부(46A)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Wc)은, 각 잉크 탱크(43A)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Wa)의 1/4 이하이다. 탱크 유닛(40A)이 잉크 탱크(43A) 및 잉크통부(46A)를 n(n은 1 이상의 자연수)개씩 갖추고 있는 경우에는, 각 잉크통부(46A)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Wc)은, 각 잉크 탱크(43A)의 화살표 X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Wa)의 1/n 이하이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이와 같이 각 잉크통부(46A)가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보다 소형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술한 잉크(IN)의 액면의 위치의 변동에 기인하는 잉크 부족의 오검출의 억제 효과를 보다 높은 레벨로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잉크 탱크(43A)의 열의 단부와 각 잉크통부(46A) 사이의 간극에 단자 접속부(48)가 배치되어 있어, 탱크 유닛(40A)에 있어서의 공간의 이용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있다. 또, 단자 접속부(48)가 그러한 후미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에 의해서, 유저가 잘못해서 단자 접속부(48)에 접촉해 버리는 것 등이 억제되어 단자 접속부(48)의 보호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에,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유저가 잉크 탱크(43A)에 대해서, 잉크량을 시인하면서 잉크의 보충을 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잉크통부(46A)에 대해서도, 잉크량을 시인하면서 잉크의 보충을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점에 있어서도, 유저에게 있어서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잉크 탱크(43A)와 잉크통부(46A)의 양방으로부터 인쇄부(11)에 대해서 잉크가 공급되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서는, 용적이 큰 잉크 탱크(43A)가 주 탱크로서 기능하고, 용적이 작은 잉크통부(46A)가 주 탱크를 보조하는 부 탱크로서 기능하고 있다.
[정리]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에 의하면, 탱크 유닛(40A)의 배치 상태에 기인하는 잉크 부족의 오검출이 억제되어, 잉크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에 의하면, 탱크 유닛(40A)를 구비하고 있는 것에 의해,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량의 관리성을 높일 수 있다. 그 외에, 본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프린터(10)에 의하면, 상술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B. 제2 실시형태: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40B)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3에는, 탱크 유닛(40B)을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케이싱부(41) 내의 일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2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B)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과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린터(10)(도 1, 도 2)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린터에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 및 참조도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또는, 대응하는 각 구성부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공통되는 명칭이나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탱크 유닛(40B)이 구비하는 잉크 탱크(43B)는, 대기 수용실(71)에 연통하는 대기 유통부(101)가 설치되어 있는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잉크 탱크(43A)와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다. 대기 유통부(101)는, 잉크 탱크(43B)의 제5 면부(65)에서 화살표 X의 역방향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서 구성되어 있고, 대기 수용실(71)에 연통하는 관통공(102)을 가지고 있다.
탱크 유닛(40B)은 복수의 튜브(103)를 구비한다. 각 튜브(103)는, 예를 들면,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제의 부재에 의해서 구성된다. 튜브(103)의 일단은, 각 잉크 탱크(43B)의 대기 유통부(101)에 기밀로 접속되고, 그 타단은 대응하는 잉크통부(46A)의 대기 도입부(92)에 기밀로 접속된다. 탱크 유닛(40B)에서는, 각 잉크 탱크(43B)의 대기 수용실(71)과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이, 튜브(103)를 거쳐서 서로의 사이에서 대기를 유통 가능하게 접속된다. 본 실시형태의 튜브(103)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대기 유통로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제2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B)에 의하면,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에는, 대응하는 잉크 탱크(43B)의 대기 수용실(71)을 거쳐서 대기가 도입된다. 이것에 의해,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 내에 있어서의 기압이나 온도 등의 대기 상태가, 잉크 탱크(43B)의 잉크 수용실(70) 내와 거의 같게 된다. 따라서, 잉크통부(46A)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와, 대응하는 잉크 탱크(43B)에 있어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보다 높은 정밀도로 일치시킬 수 있어, 프린터에 있어서의 잉크의 검출 정밀도나 잉크의 관리성을 높일 수 있다.
또, 제2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B)에서는,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70)이 직접적으로 외부와 연통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 잉크통부(46A)로부터 잉크가 증발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더불어, 튜브(103)는, 잉크 탱크(43B)의 대기 수용실(71)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탱크(43B)의 잉크 수용실(70)의 잉크가, 튜브(103)를 거쳐서 잉크통부(46A)로 유입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그 외에, 제2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B)이나, 그것을 구비하는 프린터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C. 제3 실시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40C)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에는, 탱크 유닛(40C)의 케이싱부(41) 내에 수용되어 있는 인디케이터부(45)를 구성하는 복수의 잉크통부(40C) 중 하나로부터 필름 부재(89)가 분리시킨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에서는, 편의상, 배선 케이블(55)의 도시는 생략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C)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린터(10)(도 1, 도 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프린터에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 및 참조도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각 구성부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공통되는 명칭이나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제3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C)에서는, 광학적 수단에 의해서, 각 잉크통부(46C)에 있어서의 잉크의 검출이 가능한 검출부가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C)에서는, 각 잉크통부(46C)에 있어서의 잉크 수용실(70)에, 한 쌍의 단자 핀(96a, 96b) 대신에, 잉크의 검출에 이용되는 검출 소자로서 삼각 프리즘(105)이 설치되어 있다. 삼각 프리즘(105)은, 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에 의해서 구성된다. 또, 탱크 유닛(40C)에서는, 잉크통부(46C)의 열과 잉크 탱크(43A)의 열의 사이에, 단자 접속부(48) 대신에, 광센서부(106)가 설치되어 있다. 광센서부(106)는, 기판부(50)의 기판면에, 복수의 단자(56) 대신에, 발광 소자(107)와 수광 소자(108)의 조가 복수 설치되어 있는 점 이외는, 단자 접속부(48)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제3 실시형태의 인디케이터부(45)에 있어서의 잉크 검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5A란 및 도 15B에는 각각, 도 14에 나타나 있는 A-A절단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부(45)의 개략 단면이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5a에는, 잉크통부(46C)의 잉크 수용실(70)에 잉크가 충분히 수용되어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5b에는, 잉크통부(46C)의 잉크 수용실(70)에서 잉크가 부족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는 각각, 인쇄부(11)의 제어부(21)와 신호 처리부(22)가 도시되고, 배선 케이블(55)이 일점 쇄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각 잉크통부(46C)에서는, 잉크 수용실(70)의 하단측의 부위에서, 삼각 프리즘(105)이, 그 제1의 면(105a)이 화살표 X의 방향에 따른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의 인디케이터부(45)에서는, 복수의 잉크통부(46C)의 각각에 대하여, 발광 소자(107)와 수광 소자(108)의 조가, 1 조씩 설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107)와 수광 소자(108)는, 기판부(50)상에서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107)와 수광 소자(108)는, 함께 삼각 프리즘(105)의 제1 의 면(105a)에 정면으로 맞서도록 배치되어 있다. 발광 소자(107)는 제1의 면(105a)을 사이에 두고 제2의 면(105b)과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수광 소자(108)는 제1의 면(105a)을 사이에 두고 제3의 면(105c)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인디케이터부(45)에서는, 이하와 같이, 잉크통부(46C)내의 잉크가 검출된다. 제어부(21)는, 신호 처리부(22)에 의해서, 광센서부(106)에 주기적으로 전류를 흘려, 광센서부(106)의 발광 소자(107)를 주기적으로 발광시킨다. 발광 소자(107)로부터 삼각 프리즘(105)에 입사한 빛은, 삼각 프리즘(105)의 주위가 잉크(IN)로 채워져 있는 경우에는, 삼각 프리즘(105)의 굴절률이 잉크(IN)의 굴절률에 가깝기 때문에, 잉크(IN) 내에 확산되어 간다(도 15A). 이 경우에는, 수광 소자(108)로부터 신호 처리부(22)에는 수광 신호가 출력되지 않고, 제어부(21)는, 잉크통부(46C)에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 잉크 부족은 생기지 않았다고 판정한다.
한편, 삼각 프리즘(105)의 주위에 잉크(IN)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발광 소자(107)로부터 삼각 프리즘(105)에 입사한 빛은, 제2의 면(105b) 및 제3의 면(105c)의 각각에서 반사해서, 제1의 면(105a)로부터 사출된다(도 15B). 이 경우에는, 제1의 면(105a)으로부터 사출된 빛을 수광 소자(108)가 수광해서, 신호 처리부(22)에 수광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21)는, 신호 처리부(22)로부터 수광 신호를 수신했을 때에, 잉크통부(46C)에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에서 잉크 부족이 생겼다고 판정한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프린터(10)에서는, 제어부(21)와 신호 처리부(22)와 검출 소자인 삼각 프리즘(105)과 광센서부(106)에 의해서, 광학적 수단에 의해 잉크의 검출이 가능한 검출부가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형태에서는, 발광 소자(107)로부터의 빛이 삼각 프리즘(105)에 입사하는 높이 위치의 부위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 부위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또, 제3 실시형태에서는, 잉크통부(46C)의 외부에 배치되고 검출 소자인 삼각 프리즘(105)과의 사이에서 광 신호를 교환하는 광센서부(106)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접속부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이상과 같이, 제3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C)에 의하면, 광학적 수단에 의해서, 각 잉크통부(46C)에서의 잉크가 검출된다. 그 외에, 제3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C)이나, 그것을 구비하는 프린터이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D. 제4 실시형태:
도 16은, 본 발명에서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40D)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6에는, 탱크 유닛(40D)을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케이싱부(41) 내의 일부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D)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린터(10)(도 1, 도 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프린터에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 및 참조도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각 구성부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공통되는 명칭이나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제4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D)이 구비하는 잉크통부(46D)에는, 수평 방향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 핀(96a, 96b) 대신에, 연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 핀(110a, 110b)이 검출 소자로서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단자 핀(110a, 110b)은, 잉크통부(46D)의 제2 면부(82)에서, 화살표 X의 방향으로 배열되고 설치되어 있는 한 쌍의 관통공(111a, 111b)을 거쳐서, 연직 방향으로 삽입된다. 제1 단자 핀(110a)은 제1 관통공(111a)에 삽입되고, 제2 단자 핀(110b)은 제2 관통공(111b)에 삽입된다. 덧붙여 제1 단자 핀(110a)과 제1 관통공(111a)의 내주면의 사이 및 제2 단자 핀(110b)과 제2 관통공(111b)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잉크 수용실(70)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한 시일 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단자 핀(110a, 110b)은, 각각의 하단부(110t)가 잉크 수용실(70)의 하단측의 위치에서, 하단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도록, 잉크 수용실(70) 내에 보지되어 있다. 각 단자 핀(110a, 110b)의 하단부(110t)는, 제2 마크부(95b)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해도 괜찮다. 탱크 유닛(40D)에서는, 단자 접속부(48)는, 제1 기판면(51)의 각 단자(56)가, 각 잉크통부(46D)의 대응하는 단자 핀(110a, 110b)에 전기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각 잉크통부(46D)의 상방에 가설되어 있다.
제4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D)을 구비하는 프린터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로, 제어부(21)는, 신호 처리부(22)에 의해서, 각 잉크통부(46D)의 제1 단자 핀(110a)에 주기적으로 전류를 흘린다. 제어부(21)는, 신호 처리부(22)에 의해서 검출되는 2개의 단자 핀(110a, 110b) 사이의 저항이 소정의 문턱값 이상이었을 때에, 대응하는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 부족을 검출한다. 제4 실시형태에서는, 제1 단자 핀(110a)의 하단부(110t)의 높이 위치의 부위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 부위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제4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D)에 있어서도, 제1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과 마찬가지로 이온의 검출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그 외에, 제4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D) 및 그것을 구비하는 프린터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E. 제5 실시형태:
도 17, 도 18을 참조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이 구비하는 잉크통부(46E)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7은, 잉크통부(46E)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잉크통부(46E)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18에는, 필름 부재(89)의 접합면을 절단면으로 하는 잉크통부(46E)의 개략 단면가 도시되어 있다. 제5 실시형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은, 잉크통부(46E)의 구성이 상이한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린터(10)와 동일한 같은 구성을 가지는 프린터에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 및 참조도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각 구성부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공통되는 명칭이나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잉크통부(46E)에서는, 그 내부에, 대기 수용실(115)과 대기 연통로(116)가 설치되어 있다. 대기 수용실(115)은, 대기를 수용 가능한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중공 부위이며, 잉크 수용실(90)의 상방에서, 내벽부(117)에 의해서 구획되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잉크통부(46E)에서는, 대기 도입부(92)는, 대기 수용실(115)에 연통하고 있다.
대기 연통로(116)는, 내벽부(117)의 단면에서, 화살표 Y의 역방향측이 개구 하고 있는 홈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대기 연통로(116)는, 대기 수용실(115)과 잉크 수용실(90)을 연통하도록, 대기 수용실(115)과 잉크 수용실(90)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대기 연통로(116)는, 화살표 Y의 방향에서 일왕복하도록 되풀이되고 있다.
제5 실시형태의 잉크통부(46E)에 의하면, 잉크 수용실(90)과 대기 도입부(92)의 사이에, 대기 수용실(115)과 대기 연통로(116)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잉크 수용실(90)로부터의 잉크의 누설이나, 잉크의 증발이 억제된다. 그 외에, 잉크통부(46E)를 구비하는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이나, 그 탱크 유닛을 구비하는 프린터에 의하면,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F. 제6 실시형태: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40F)이 구비하는 잉크 탱크(43F)와 잉크통부(46A)의 접속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이다.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F)은,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A)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린터(10)(도 1, 도 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프린터에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 및 참조도에서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각 구성부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공통되는 명칭이나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F)이 구비하는 잉크 탱크(43F)는, 잉크 유통부(75)가 설치되지 않은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F)에서는, 잉크 탱크(43F)의 잉크 공급부(73)와, 거기에 대응하는 잉크통부(46A)의 잉크 유통부(91)에는, 튜브(120)가 접속되어 있다.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F)에서는, 잉크 탱크(43F)와 잉크통부(46A)는, 튜브(120)를 거쳐서, 인쇄부(11)의 인쇄 헤드부(25)에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F)에서도, 제1 실시형태로 설명한 것과 같은 여러 가지의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탱크 유닛(40F)을 갖는 프린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G. 제7 실시형태:
도 2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40G)이 구비하는 잉크 탱크(43F)와 잉크통부(46G)의 접속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 블럭도이다. 제7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G)는, 이하에 설명하는 점 이외는,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F)과 거의 같은 구성을 가지고 있고,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프린터(10)(도 1, 도 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프린터에 장착된다. 이하의 설명 및 참조도에서는, 제1 실시형태 및 제6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각 구성부에 대해서, 제1 실시형태 및 제6 실시형태에서 이용한 것과 공통되는 명칭이나 부호가 이용되고 있다.
제7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G)이 구비하는 잉크통부(46G)는, 잉크 공급부(98)가 추가되고 있는 점 이외는, 제1 실시형태의 잉크 탱크(43A)와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잉크통부(46G)의 잉크 공급부(98)는, 제1 면부(81)에서 하방으로 돌출하는 원통형의 부위로서 형성되고 있고, 잉크 수용실(90)에 연통하는 관통공(도시는 생략)을 가지고 있다. 잉크 공급부(98)는, 제1 면부(81)에 설치되지 않아도 괜찮고, 예를 들면, 제3 면부(83)이나 제4 면부(84)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제7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G)에서는, 잉크 탱크(43F)의 잉크 공급부(73)와 거기에 대응하는 잉크통부(46G)의 잉크 유통부(91)가 튜브(47)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해당 잉크통부(46G)의 잉크 공급부(98)는, 튜브(44)를 거쳐서 인쇄 헤드부(25)에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6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F)에서는, 잉크 탱크(43F)를 상류측으로 하고, 잉크통부(46G)를 하류측으로 해서 양자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구성을 가지고 있는 제7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G)에서도, 제1 실시형태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여러 가지 작용 효과를 낼 수 있다. 탱크 유닛(40G)을 구비하는 프린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H. 변형예: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은,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적절히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탱크 유닛(40A~40D, 40F, 40G), 잉크 탱크(43A, 43B, 43F), 잉크통부(46A, 46C~46E, 46G)는, 특별히 거부하지 않는 한, 구별하는 일 없이 탱크 유닛(40), 잉크 탱크(43), 잉크통부(46)라 한다.
H1. 변형예 1:
상기의 각 실시형태의 구성은 적절히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의 제3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있어서, 제2 실시형태(도 13)와 마찬가지로, 잉크 탱크(43)를 거쳐서 잉크통부(46)에 대기가 도입되도록, 튜브(103)를 거쳐서, 잉크 탱크(43)와 잉크통부(46)가 접속되어도 괜찮다. 또, 상기의 제3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광학적 수단에 의해서 잉크를 검출하는 검출부의 구성을(도 14, 도 15A, 도 15B), 제4 실시형태 내지 제7 실시형태 중 어느 하나의 실시형태의 구성에 적용해도 괜찮다. 그 외에, 제5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잉크통부(46E)에 있어서의 대기 수용실(115) 및 대기 연통로(116)의 구성을(도 17, 도 18), 다른 실시형태의 잉크통부(46)에 적용해도 괜찮다.
H2. 변형예 2:
상기의 각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은, 복수의 잉크 탱크(43)와 거기에 대응하는 개수의 잉크통부(46)를 구비한다. 이것에 대해서, 탱크 유닛(40)은, 잉크 탱크(43)와 잉크통부(46)를 1개씩 구비하고만 있어도 괜찮다. 또, 잉크통부(46)는, 복수의 잉크 탱크(43) 중 일부에만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H3. 변형예 3: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과는 각각 다른 케이싱부(12, 41)을 구비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은 공통의 케이싱부에 일체적으로 수용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에서는, 케이싱부(41) 내에, 복수의 잉크 탱크(43)와 인디케이터부(45)가 수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인디케이터부(45)는, 케이싱부(4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인디케이터부(45)는, 복수의 잉크 탱크(43)로부터 먼 장소에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 각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에 있어서, 케이싱부(41)는 생략되어도 괜찮다. 각 잉크 탱크(43)나, 인디케이터부(45)는 외부에 노출한 상태로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이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인쇄부(11)와 탱크 유닛(40)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고, 분리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H4. 변형예 4: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잉크통부(46)는, 프린터(10)의 정면 측에서, 화살표 X의 방향으로 일렬로 인접해서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복수의 잉크통부(46)는, 프린터(10)의 정면 측에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고, 예를 들면, 프린터(10)의 우측면측에 배열되고 있어도 괜찮다. 또, 복수의 잉크통부(46)는,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고, 각각이 인접해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다. 복수의 잉크통부(46)는, 예를 들면, 2열로 배열되고 있어도 괜찮고, 각각이 분산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H5. 변형예 5: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잉크통부(46)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통부(46)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 이외의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잉크통부(46)는, 예를 들면, 대략 원기둥 형상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또,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잉크통부(46)의 본체부는, 케이스 부재(88)와 필름 부재(89)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통부(46)의 본체부는, 케이스 부재(88)와 필름 부재(89)로 구성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으며, 예를 들면, 통 형상의 부재와 당해 통 형상의 부재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고, 일체 성형된 용기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괜찮다.
H6. 변형예 6: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통부(46)의 잉크 수용실(90)은, 높이 방향에 걸쳐서 수평 단면적이 거의 일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통부(46)의 잉크 수용실(90)은, 높이 방향에 걸쳐서 수평 단면적이 거의 일정하지 않아도 괜찮고, 일부에 수평 단면적이 다른 부위를 포함한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혹은, 잉크통부(46)의 잉크 수용실(90)은, 일부 또는 전체에 있어서, 수평 단면적이 높이 방향으로 감소 또는 증대해 가는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잉크통부(46)는, 적어도, 잉크가 검출되는 검출 부위의 높이 위치에서,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서의 잉크 탱크(43)의 잉크 수용실(70)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으면 된다.
H7. 변형예 7: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통부(46)는 잉크 주입부(93)를 갖추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통부(46)는, 잉크 주입부(93)를 갖추지 않아도 괜찮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통부(46)의 잉크 주입부(93)에는 캡 부재(94)가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 주입부(93)의 캡 부재(94)는 생략되어도 괜찮다.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통부(46)의 제3 면부(83)는, 잉크 수용실(90)에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외부로부터 시인 가능한 시인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통부(46)는, 제3 면부(83)와 같이,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외부로부터 시인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부위를 가지지 않아도 괜찮다. 또, 잉크통부(46)에서는, 시인부인 제3 면부(83)에, 2개의 마크부(95a, 95b)가 설치되어 있다. 2개의 마크부(95a, 95b)는, 양쪽 모두 생략되어도 괜찮고, 어느 한쪽만 생략되어도 괜찮다. 또, 잉크의 액면의 상한 위치 또는 하한 위치를 도시하는 마크부(95a, 95b) 대신에, 잉크량을 도시하는 눈금이 형성되고 있어도 괜찮다.
H8. 변형예 8: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 잉크통부(46)의 잉크 유통부(91)는, 잉크통부(46)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 유통부(91)는, 잉크통부(46)의 하단에 설치되지 않아도 괜찮다. 잉크 유통부(91)는 대응하는 잉크 탱크(43)로부터의 잉크를 잉크 수용실(90)로 유입 가능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면 되고, 잉크 수용실(90)의 잉크가, 잉크 탱크(43) 쪽으로 유출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H9. 변형예 9:
상기의 각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접속부(48) 및 광센서부(106)는, 복수의 잉크통부(46)의 각각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기판부(50)를 구비한다. 이것에 대해서, 단자 접속부(48) 및 광센서부(106)는, 기판부(50)를 갖추지 않아도 괜찮다. 단자 접속부(48)는, 각 잉크통부(46)가 구비하는 한 쌍의 단자 핀(96a, 96b)의 각각에 대해 한개씩 분리해서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마찬가지로, 광센서부(106)의 발광 소자(107) 및 수광 소자(108)의 조는, 복수의 잉크통부(46)의 각각에 대해 한개씩 분리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H10. 변형예 10:
상기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에 있어서, 잉크 탱크(43)는, 다른 구성을 가지고 있어도 괜찮다. 잉크 탱크(43)는, 잉크 주입부(72)를 구비하지 않아도 괜찮다. 잉크 탱크(43)는, 대기 수용실(71)을 구비하지 않아도 괜찮고, 대기 연통로(74)를 구비하지 않아도 괜찮다. 잉크 탱크(43)는, 대기 수용실(71) 및 대기 연통로(74)의 어느 한쪽만을 구비하는 구성이어도 괜찮고, 대기 도입부(76)가 바로 잉크 수용실(70)에 접속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괜찮다. 잉크 탱크(43)는, 잉크 수용실(70)의 하단 부위(70b)를 가지지 않아도 괜찮다. 잉크 탱크(43)에 있어서, 잉크 공급부(73)와 잉크 유통부(75)는 병렬로 설치되지 않아도 괜찮고, 각각이 다른 방향으로 돌출하여도 괜찮다. 또, 잉크 공급부(73)와 잉크 유통부(75)가 다른 높이 위치에 설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H11. 변형예 11:
상기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은, 같은 용적의 같은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잉크 탱크(43)를 구비한다. 이것에 대해서, 탱크 유닛(40)은, 용적이 다른 복수의 잉크 탱크(43)를 구비하여도 괜찮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에서는, 복수의 잉크 탱크(43)는 일렬로 배열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잉크 탱크(43)는 일렬로 배열되어 있지 않아도 괜찮다. 복수의 잉크 탱크(43)는, 예를 들면, 2열로 배열되고 있어도 괜찮고, 각각이 분산해서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H12. 변형예 12:
상기 제4 실시형태(도 16)에서는, 제어부(21)는, 제1 단자 핀(110a)의 하단부(110t)보다 잉크의 액면이 저하해서, 신호 처리부(22)가 문턱값 이상의 저항의 증대를 검출했을 때에, 잉크 탱크(43A)에 있어서의 잉크 부족을 검출하고 있다. 이것에 대해서, 제어부(21)는, 제4 실시형태의 탱크 유닛(40D)의 구성에 있어서, 제1 단자 핀(110a)과 제2 단자 핀(110b) 사이의 저항의 변화에 근거해서,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을 검출해도 괜찮다. 이 잉크량의 검출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은 구성에 의해서 가능하다. 제어부(21)는, 제1 단자 핀(110a)과 제2 단자 핀(110b) 사이의 저항, 및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에서의 잉크의 액면의 위치 사이의 일의의 관계가 설정된 맵을 비불휘발성 기억 장치 등에서 미리 읽어들여 둔다. 제어부(21)는, 신호 처리부(22)에 의해서 제1 단자 핀(110a)과 제2 단자 핀(110b) 사이의 저항을 검출했을 때에, 상기 맵을 참조하여, 검출된 현재의 저항에 대한 잉크의 액면의 위치를 취득한다. 이러한 구성이면, 잉크 탱크(43A)에 수용되어 있는 잉크량을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이러한 잉크량을 검출하는 구성의 경우에는, 잉크 수용실(70)에서 각 단자 핀(110a, 110b)이 배치되어 있는 범위 전체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검출 부위의 하위 개념에 상당한다. 잉크의 검출부에 의해서 잉크량이 검출되는 구성인 경우에는, 잉크통부(46)의 잉크 수용실(90)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적은, 잉크의 액면의 위치가 검출되고 있는 범위에 걸쳐서, 대응하는 잉크 탱크(43)의 잉크 수용실(70)에 있어서의 수평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H13. 변형예 13:
상기의 제2 실시형태에서는,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은, 튜브(103)를 거쳐서 잉크 탱크(43B)의 대기 수용실(71)에 접속되어 있다(도 13). 이것에 대해서, 잉크통부(46A)의 잉크 수용실(90)은, 튜브(103)를 거쳐서 잉크 탱크(43B)의 잉크 수용실(70)의 상방의 영역에 접속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유저가 잉크 주입부(93)로부터 잉크통부(46A)에 잉크를 보충하는 경우에, 상한을 넘어 과잉으로 주입된 잉크를, 튜브(103)를 거쳐서 잉크 탱크(43A)의 잉크 수용실(70)로 유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H14. 변형예 14: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탱크 유닛(40)은, 복수의 잉크 탱크(43)를 구비하며, 잉크를 소비할 수 있는 프린터(10)에 해당 잉크를 공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서, 상기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탱크 유닛(40)의 구성은, 잉크 이외의 다른 액체를 소비할 수 있는 액체 소비 장치에 해당 액체를 공급할 수 있는탱크 유닛에 적용되어도 괜찮다. 예를 들면, 액체 세제를 분사하는 세제 분사 장치에 세제를 공급하는 세제 탱크를 구비하는 탱크 유닛에 적용되어도 괜찮다. 덧붙여 프린터(10)와 같이, 액체를 토출 혹은 분사해서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는, 액체 분사 장치의 일 실시형태이기도 하다.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형태나 실시예, 변형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구성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명의 개요 란에 기재한 각 형태 중의 기술적 특징에 대응하는 실시형태, 실시예, 변형례 중의 기술적 특징은, 상술의 과제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혹은, 상술의 효과의 일부 또는 전부를 달성하기 위해서, 적절히 교환이나, 조합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그 기술적 특징이 본 명세서 중에 필수적인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 않으면, 적절히 삭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원은, 2015년 3월 31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5-70897호의 일본 특허 출원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부가 참조에 의해서 본원에 통합된다.
10…프린터, 11…인쇄부, 12…케이싱부, 13…급지구, 14…배지구, 15… 인터페이스부, 16…측면부, 19…나사, 20… 내부 유닛, 21… 제어부, 22… 신호 처리부, 23… 화상 형성부, 24…용지 반송 기구, 25…인쇄 헤드부, 26…헤드 구동부, 30…캐리지, 31…잉크 토출 헤드, 32…중계 유닛, 35…모터, 36…무단 벨트, 37… 가이드 레일, 40, 40A~40D, 40F, 40G…탱크 유닛, 41…케이싱부, 41a…저판부, 41b…상자체부, 42a~42d…윈도우부, 43, 43A, 43B, 43F…잉크 탱크, 44…튜브, 45…인케이터부, 46, 46A, 46C~46E, 46G…잉크통부, 47…튜브, 48… 단자 접속부, 50… 기판부, 51, 52… 기판면, 53…케이블 접속부, 55… 배선 케이블, 56… 단자, 61~66…잉크 탱크의 면부, 68…케이스 부재, 69…필름 부재, 70…잉크 수용실, 70b…하단 부위, 71…대기 수용실, 72…잉크 주입부, 72h…관통공, 72o…주입구, 73…잉크 공급부, 73h…관통공, 74…대기 연통로, 75…잉크 유통부, 75h…관통공, 76…대기 도입부, 76h…관통공, 76o…대기 개방구, 78a, 78b…마크부, 79…캡 부재, 81~86…잉크통부의 면부, 88…케이스 부재, 89…필름 부재, 90…잉크 수용실, 91…잉크 유통부, 91h…관통공, 92…대기 도입부, 92h…관통공, 92o…대기 개방구, 93…잉크 주입부, 93h…관통공, 93o…주입구, 94…캡 부재, 95a, 95b…마크부, 96a, 96b… 단자 핀, 97a, 97b…관통공, 98…잉크 공급부, 101…대기 유통부, 102…관통공, 103…튜브, 105…삼각 프리즘, 105a~105c…면, 106…광센서부, 107…발광 소자, 108…수광 소자, 110a, 110b… 단자 핀, 110t…하단부, 111a, 111b…관통공, 115…대기 수용실, 116…대기연통로, 117…내벽부, 120…튜브

Claims (13)

  1. 액체 소비 장치에 액체를 공급 가능한 액체 공급 장치에 있어서,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함과 동시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제1 액체 수용부와,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하고, 상기 제1 액체 수용부로부터 상기 액체가 유입 가능하도록,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에 연통하는 것과 동시에, 대기를 도입 가능한 제2 액체 수용부와,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에 수용되어 있는 상기 액체를 검출 가능한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검출부가 상기 액체를 검출하는 검출 부위에 있어서의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수평 단면의 단면적은, 상기 검출 부위의 위치에 대응하는 높이 위치에 있어서의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의 수평 단면의 단면적보다 작은,
    액체 공급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검출 부위는, 중력 방향에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상단보다 하단에 가까운 하단 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검출부는 상기 검출 부위에서 상기 액체의 유무를 검출하는,
    액체 공급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유저가 외부로부터 상기 액체의 액면의 위치를 시인 가능한 시인부를 가지는,
    액체 공급 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와 상기 제1 액체 수용부 사이에, 서로의 사이에서 상기 대기를 유통시키는 대기 유통로가 설치되어 있는,
    액체 공급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가 수용되는 액체 수용실과, 상기 액체 수용실에 연통하고 상기 대기가 수용되는 대기 수용실을 가지며,
    상기 대기 유통로는 상기 대기 수용실에 접속되어 있는,
    액체 공급 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를 수용 가능한 액체 수용실과, 외부를 향해 개구하는 대기 개방구와, 상기 대기 개방구로부터 상기 액체 수용실을 향해 연장되고, 상기 액체 수용실에 도입되는 상기 대기가 유통하는 대기 연통로를 구비하는,
    액체 공급 장치.
  7.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3에 종속하는 청구항 4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외부로부터 액체를 주입 가능한 주입구를 가지는 액체 주입부를 구비하는,
    액체 공급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 주입부의 상기 주입구를 봉지 가능한 봉지 부재를 구비하는,
    액체 공급 장치.
  9.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조의 한 쌍의 상기 제1 액체 수용부와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를 구비하며,
    복수의 상기 제1 액체 수용부가, 제1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1 액체 수용부 열과, 복수의 상기 제2 액체 수용부가, 상기 제1의 방향에 교차하는 제2의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제2 액체 수용부 열이 구성되어 있는,
    액체 공급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 열은, 상기 제1 액체 수용부 열에 대해서, 상기 제1의 방향에서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상기 제1 액체 수용부 열의 상기 제2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상기 제2 액체 수용부 열의 상기 제2의 방향에 있어서의 폭보다 작은,
    액체 공급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검출 소자와, 상기 제2 액체 수용부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검출 소자와의 사이에서 신호를 교환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부는, 상기 제1 액체 수용부 열과 상기 제2 액체 수용부 열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공급 장치.
  12. 액체 소비 장치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액체 공급 장치와,
    상기 액체 공급 장치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액체를 소비하는 액체 소비부를 구비하는,
    액체 소비 장치.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2 액체 수용부는, 상기 액체 소비 장치의 정면 측에 배치되어 있는,
    액체 소비 장치.
KR1020177027536A 2015-03-31 2016-03-30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 KR2017012017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70897 2015-03-31
JP2015070897A JP6657583B2 (ja) 2015-03-31 2015-03-31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消費装置
PCT/JP2016/001845 WO2016157901A1 (ja) 2015-03-31 2016-03-30 液体供給装置および液体消費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177A true KR20170120177A (ko) 2017-10-30

Family

ID=57004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536A KR20170120177A (ko) 2015-03-31 2016-03-30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195860B2 (ko)
JP (1) JP6657583B2 (ko)
KR (1) KR20170120177A (ko)
CN (2) CN107405927A (ko)
BR (1) BR112017020829A2 (ko)
PH (1) PH12017501709A1 (ko)
TW (1) TW201637885A (ko)
WO (1) WO2016157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61946B2 (ja) * 2017-01-31 2021-11-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供給装置
US10493765B2 (en) 2017-03-27 2019-12-03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capable of reducing leakage of liquid from liquid storage chamber
JP6825445B2 (ja) * 2017-03-27 2021-02-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収容ユニットおよび収容ユニットの液体量管理方法
JP6942988B2 (ja) 2017-03-27 2021-09-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6950228B2 (ja) 2017-03-27 2021-10-1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JP2018161874A (ja) 2017-03-27 2018-10-1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
JP7031132B2 (ja) 2017-03-27 2022-03-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カートリッジ及びシステム
WO2019012786A1 (ja) * 2017-07-12 2019-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
EP3437877B1 (en) * 2017-07-31 2021-03-17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Liquid cartridge and system therefor
JP7077612B2 (ja) * 2017-12-27 2022-05-31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排出装置
JP7035647B2 (ja) * 2018-03-12 2022-03-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ステム
JP7063065B2 (ja) * 2018-03-30 2022-05-0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システム
JP7164455B2 (ja) * 2019-01-31 2022-11-01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容器
JP7236280B2 (ja) * 2019-01-31 2023-03-09 理想科学工業株式会社 タンク
JP7247624B2 (ja) * 2019-02-12 2023-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7305973B2 (ja) * 2019-02-12 2023-07-1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7298173B2 (ja) * 2019-02-12 2023-06-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
JP7363333B2 (ja) 2019-10-10 2023-10-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及び液体噴射装置
JP2022179914A (ja) * 2021-05-24 2022-12-0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および液体収容体
JP2023083127A (ja) * 2021-12-03 2023-06-1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タンクユニット、ヘッドシステム、インク供給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及び印刷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4676A (ja) * 1982-07-31 1984-02-08 Sharp Corp 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気泡除去装置
DE3428434C2 (de) * 1983-08-02 1995-09-14 Canon Kk Druckvorrichtung
JPH07106637B2 (ja) * 1983-08-02 1995-11-15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S61195848A (ja) * 1985-02-25 1986-08-30 Ricoh Co Ltd インクジエツト記録装置
JPS62156963A (ja) * 1985-12-28 1987-07-11 Canon Inc 記録装置
JPH05340791A (ja) * 1992-06-11 1993-12-21 Canon Inc 液面検知手段およ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JPH08281966A (ja) * 1995-04-13 1996-10-2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及びそのインク残量検知方法
JPH09145451A (ja) 1995-11-16 1997-06-06 Brother Ind Ltd 残量検出装置
JPH10230623A (ja) * 1997-02-21 1998-09-02 Hitachi Koki Co Ltd 加熱溶融形インクを用いた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の気泡除去装置およびその方法
JPH11192720A (ja) * 1998-01-05 1999-07-21 Seiko Epson Corp インクジェット式記録装置、インク充填方法、及びインク補給方法
US6293662B1 (en) * 1998-01-19 2001-09-25 Canon Kabushiki Kaisha Ink tank coupling metho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and ink tank
DE29915256U1 (de) * 1999-08-31 2000-03-09 Sailer Johann Vorrichtung zum Messen des Flüssigkeitsstandes
US6431672B1 (en) * 2001-03-01 2002-08-13 Hewlett-Packard Company Ink container having dual capillary members with differing capillary pressures for precise ink level sensing
JP2004090432A (ja) * 2002-08-30 2004-03-25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液体噴射装置の液体排出用タンク及び液体噴射装置の液体排出方法
JP2005161637A (ja) * 2003-12-02 2005-06-23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のインク供給機構およびヘッドカートリッジ
US7210771B2 (en) * 2004-01-08 2007-05-01 Eastman Kodak Company Ink delivery system with print cartridge, container and reservoir apparatus and method
JP4384067B2 (ja) * 2004-03-23 2009-12-16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および液体処理方法
JP2007160850A (ja) * 2005-12-16 2007-06-28 Sony Corp 液体供給装置
JP2007237552A (ja) * 2006-03-08 2007-09-20 Fuji Xerox Co Ltd 液滴吐出ユニット、及び液滴吐出装置
JP5014006B2 (ja) * 2006-07-19 2012-08-29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カートリッジ
CN101559674A (zh) * 2008-04-18 2009-10-21 株式会社御牧工程 墨供给器及搭载有该墨供给器的喷墨打印机
CN201317161Y (zh) 2008-12-04 2009-09-30 珠海纳思达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喷墨打印机的墨盒
JP5352902B2 (ja) 2009-09-09 2013-11-27 株式会社ミマキエンジニアリング インク残量監視方法
CN202368067U (zh) * 2011-11-14 2012-08-08 常州纳捷机电科技有限公司 便捷墨盒
JP2013151100A (ja) * 2012-01-25 2013-08-08 Seiko Epson Corp 液体供給システムおよび液体噴射装置
JP5834951B2 (ja) * 2012-01-25 2015-1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および液体消費装置
JP6115029B2 (ja) 2012-05-31 2017-04-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収容容器の製造方法
JP2014058087A (ja) * 2012-09-14 2014-04-03 Seiko Epson Corp 液体収容体、液体収容体ユニット、液体消費装置、及び液体収容体の製造方法
JP6075097B2 (ja) * 2013-02-07 2017-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容器、液体供給システム
JP6102596B2 (ja) * 2013-07-19 2017-03-2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タンクユニット、インクジェットプリンター、インクタンク
JP2014184594A (ja) * 2013-03-22 2014-10-02 Seiko Epson Corp インク供給システム
JP2014195974A (ja) * 2013-03-29 2014-10-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液体貯留装置
JP2015044379A (ja) * 2013-08-29 2015-03-12 キヤノン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6260212B2 (ja) * 2013-11-12 2018-01-1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57901A1 (ja) 2016-10-06
PH12017501709A1 (en) 2018-03-19
TW201637885A (zh) 2016-11-01
BR112017020829A2 (pt) 2018-07-03
CN107405927A (zh) 2017-11-28
US20180111377A1 (en) 2018-04-26
CN111546777B (zh) 2021-12-14
JP6657583B2 (ja) 2020-03-04
US10195860B2 (en) 2019-02-05
CN111546777A (zh) 2020-08-18
JP2016190354A (ja) 2016-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0177A (ko) 액체 공급 장치 및 액체 소비 장치
US9649846B2 (en) Tank, tank unit, liquid ejection system, and liquid ejection apparatus
US8529036B2 (en) Liquid accommodating container and liquid ejecting apparatus
JP5962144B2 (ja) 印刷流体収容装置及び印刷流体供給装置
US9061512B2 (en) Cover and liquid container
JP6387694B2 (ja) タンク
JP2023076576A (ja) システム
JP6922235B2 (ja) 画像記録装置
JP6926493B2 (ja) 画像記録装置
JP6922216B2 (ja) 画像記録装置
JP2012206370A (ja) 流体カートリッジ
JP2018122513A (ja) 画像記録装置
JP6923020B2 (ja) プリンター
JP6922234B2 (ja) 画像記録装置
JP7338156B2 (ja) システム
JP6665922B2 (ja) 液体吐出装置
JP2020111034A (ja) システム
US11123992B2 (en) System including first and second tanks with respective first and second reservoirs
JP6938963B2 (ja) 画像記録装置
US10286669B2 (en) Liquid cartridge having air communication pipe and liquid-consuming device using the same
JP6848529B2 (ja) 画像記録装置
JP6859751B2 (ja) 画像記録装置
JP6938962B2 (ja) 画像記録装置
JP6915272B2 (ja) 画像記録装置
JP2023000518A (ja) 廃液収容体及び液体噴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