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519A - 공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조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7519A KR20170117519A KR1020177025767A KR20177025767A KR20170117519A KR 20170117519 A KR20170117519 A KR 20170117519A KR 1020177025767 A KR1020177025767 A KR 1020177025767A KR 20177025767 A KR20177025767 A KR 20177025767A KR 20170117519 A KR20170117519 A KR 201701175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ventilator
- ventilation
- air conditioning
- refrigera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6—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leakage of heat-exchange flui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8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 F24F11/8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the supplied air by controlling the supply of heat-exchange fluids to heat-exchang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 F24F11/0017—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B49/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compression type machines, plants or system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6—Remote control
- F24F11/58—Remote control using Internet communication
-
- F24F2011/0068—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2—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venting human errors during the installation, use or maintenance, e.g. goofy pro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500/00—Problems to be solved
- F25B2500/22—Preventing, detecting or repairing leaks of refrigeration fluids
- F25B2500/222—Detecting refrigerant leak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조 시스템(100)은, 냉매 회로(RC)를 구성하는 실외 유닛(20) 및 실내 유닛(30)을 포함하는 공조 장치(10)와, 공조 장치(1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를 갖고 있다. 컨트롤러(70)는 환기용의 환기 팬(43, 44)을 포함해 대상 공간(SP)의 환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40) 또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을 검지하는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는다. 상기에 의해,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 장치가 운전되는 등의 대책이 확실하게 확립된 상태에서 공조 장치의 운전을 행할 수 있어, 냉매 누설에 대한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운전 시에 냉매 회로에 있어서 냉매를 순환시켜서 대상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하는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특허 문헌 1(일본 특허 공개 제2001-74283호 공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소성의 냉매가 순환하는 냉매 회로를 갖는 공조 장치의 실내 유닛과, 환기 팬(환기 장치)과, 연소성의 가스를 검지하는 센서(냉매 누설 센서)를 실내(대상 공간)에 설치하고, 그리고 연소성의 냉매 누설을 검지했을 때에, 환기 장치를 운전함으로써 연소성의 냉매를 대상 공간으로부터 배출하도록 한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를 빌딩 등의 건물에 설치함으로써, 대상 공간의 냉난방 및 환기를 행하도록 하는 경우에는, 실제로는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서로 독립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즉, 환기 장치로서는 환기 팬과 같은 팬을 갖는 것이나, 배열 회수를 위한 전열 교환기를 갖는 것, 제습이나 가습을 위한 제가습기를 갖는 것 등, 여러 종류의 것이 존재하고 있으며, 공조 장치와는 독립하여 유저의 요구에 따라서 선정되므로, 설치 현장에 있어서, 다른 업자에 의해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선정 및 설치되는 경우에도, 공조 장치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에 의해, 대상 공간에 있어서의 산소 부족 사고, 착화 사고(냉매가 미연소성 또는 연소성을 갖는 경우) 또는 중독 사고(냉매가 독성을 갖는 경우)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를 행하고, 대상 공간에 있어서 산소 부족 농도, 가연 농도 또는 독성 한계 농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데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선정 및 설치되면, 다른 업자에 의해 설치 작업이 행하여지는 경우도 있고, 냉매 누설 센서를 포함한 각 장치 간의 전기 통신 계통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도 상정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의 환기가 확실하게 행하여지지 않는다.
즉,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 장치가 운전되는 등의 대책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조 장치의 운전이 행하여질 우려가 있으며, 공조 장치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보안성이 우수한 공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공조 장치와, 공조 제어부를 구비한다. 공조 장치는 실외 유닛과 실내 유닛을 포함한다. 실내 유닛은, 실외 유닛과 함께 냉매 회로를 구성한다. 실내 유닛은 대상 공간에 설치된다. 공조 장치는, 운전 시에 냉매 회로에 있어서 냉매를 순환시켜서, 대상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한다. 공조 제어부는 공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공조 제어부는 환기용의 환기 팬을 포함해 대상 공간의 환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 또는 대상 공간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을 검지하는 냉매 누설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조 장치의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서는, 환기 장치나 냉매 누설 센서로부터의 신호가 공조 제어부에 입력되는 상태를 확립함으로써, 설치 현장에 있어서, 냉매 누설 센서를 포함한 각 장치 간의 전기 통신 계통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 장치가 운전되는 등의 대책이 확실하게 확립된 상태에서 공조 장치의 운전을 행할 수 있어, 냉매 누설에 대한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된다.
또한, 여기에서의「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라 함은, 환기 장치측이나 냉매 누설 센서측에서 통신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환기 장치측과 공조 제어부 사이나 냉매 누설 센서측과 공조 제어부 사이에서 통신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환기 장치와 공조 제어부 사이나 냉매 누설 센서와 공조 제어부 사이에서 단선이 발생하는 경우가 포함된다.
또한, 여기에서의「냉매 회로」에 있어서 사용되는 냉매로서는, 예를 들어 R32와 같은 미연소성의 냉매, 또는 프로판과 같은 연소성을 갖는 냉매,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독성을 갖는 냉매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1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환기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환기 제어부는, 환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환기 제어부는,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환기 제어부는,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공조 제어부로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 공조 제어부는,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기 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인 것으로서, 공조 장치의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서는, 환기 제어부는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공조 제어부로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공조 제어부는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조 장치의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는다. 이에 의해, 대상 공간에 있어서 환기 장치가 적정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환기 장치와 환기 제어부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또는 환기 장치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조 제어부로 통지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다. 그 결과, 대상 공간에 있어서 환기 장치가 공조 장치와는 독립하여 설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환기 제어부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경우에 한해서 공조 장치의 운전이 이루어진다. 즉,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 확실하게 환기가 행하여졌다고 상정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는, 공조 장치의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냉매 누설에 대한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된다.
또한, 여기에서의「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환기 제어부로부터 통지 신호가 송신되지 않음으로써 공조 제어부가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및 환기 제어부로부터 통지 신호가 송신되고 있음에도 공조 제어부가 통지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2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환기 장치는 구동부와 프레임을 더 포함한다. 구동부는 환기 팬을 구동시킨다. 프레임은 환기 팬을 보유 지지한다. 환기 제어부는, 환기 장치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도, 용이하게 적용 가능해진다. 즉, 환기 제어부가 환기 장치와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환기 제어부를 새롭게 부가함으로써, 제3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 구축된다. 즉, 범용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2 관점 또는 제3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환기 장치는 구동 전압 공급부와 접속 단자를 더 포함한다. 구동 전압 공급부는, 환기 팬의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접속 단자는, 환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환기 제어부는, 환기 장치로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구동 전압 공급부는, 접속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본 발명의 제4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또한 용이하게 적용 가능해진다. 즉, 환기 장치가 구동 전압 공급부와 접속 단자를 포함함으로써,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환기 제어부를 새롭게 부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범용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2 관점 또는 제3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환기 장치는 상용 전원으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된다. 환기 제어부는 전환부를 포함한다. 전환부는 전원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된다. 전원 공급 라인은 환기 장치와 상용 전원을 연결한다. 전환부는 전원 공급 라인의 도통 및 차단을 전환한다.
본 발명의 제5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또한 용이하게 적용 가능해진다. 즉,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환기 장치의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환기 제어부를 새롭게 부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범용성이 더욱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6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2 관점 내지 제5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공조 제어부는 환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송신한다. 환기 제어부는, 수신한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기존의 공조 장치의 전송로(예를 들어 실내 유닛과 리모컨을 연결하는 통신선)를 사용해서 원격적으로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비용을 억제하면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7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6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공조 제어부는 전기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환기 장치의 동작을, 환기 장치에 관련지어진 실내 유닛의 동작에 연동하도록 제어한다.
이에 의해, 상황에 따라, 환기 장치를, 공조 장치의 동작에 연동해서 운전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리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제8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7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실내 유닛 및/또는 환기 장치를 복수 구비함과 함께, 통괄 제어부를 더 구비한다. 통괄 제어부는, 복수의 실내 유닛 및/또는 복수의 환기 장치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한다. 각 환기 장치는, 어느 실내 유닛과 동일한 대상 공간에 설치된다. 통괄 제어부는, 복수의 실내 유닛 및/또는 복수의 환기 장치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눈다. 통괄 제어부는, 그룹마다 실내 유닛 및 환기 장치를 일괄 제어한다.
이에 의해, 실내 유닛과 환기 장치를 통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편리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복수의 실내 유닛을 갖는 실내 멀티형의 공조 장치에서는, 대상 공간의 소정의 영역마다 실내 유닛 및 환기 장치를 설치하여, 환기 장치와 연동시켜서 운전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오피스에 있어서 근무 시간 외에 노동자가 재실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 공조 장치 및 환기 장치를 연동시켜서 정지시키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실내 멀티형의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를 연동시키는 구성에 있어서도, 공조 장치 및 환기 장치 자체는, 독립하여 설치해서 운전하는 것이 가능한 장치이다. 즉, 양 장치 간의 전기 통신 계통의 접속이 행해지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양 장치를 연동시켜서 운전할 수 있게 되어 있지만, 양 장치 간의 전기 통신 계통의 접속이 행하여지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서로 연동하는 일은 없어, 양 장치를 독립하여 운전할 수만 있다. 이와 같이, 실내 멀티형의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선정 및 설치되는 것을 고려하면, 공조 장치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을 검지했을 때에, 환기 장치를 운전함으로써 냉매를 대상 공간으로부터 배출하는 구성을 채용하려고 해도, 설치 현장에 있어서, 냉매 누설 센서를 포함한 각 장치 간의 전기 통신 계통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실내 멀티형의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는,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 장치가 운전되는 등의 대책이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조 장치의 운전이 행하여질 우려가 있으며, 공조 장치로부터의 냉매의 누설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반해, 제8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서는, 복수의 실내 유닛을 갖는 실내 멀티형의 공조 장치와, 환기 장치가 독립하여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된다.
본 발명의 제9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2 관점 내지 제8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환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에 의해 통지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대상 공간에 있어서 통신 네트워크를 용이하게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0 관점에 관한 공조 시스템은, 제2 관점 내지 제9 관점 중 어느 하나에 관한 공조 시스템이며, 공조 제어부와 환기 제어부는, 통신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통신선은 통지 신호의 전송로를 구성한다.
이에 의해, 대상 공간에 있어서, 기존의 공조 장치의 통신선(예를 들어 실내 유닛과 리모컨을 연결하는 통신선)을 사용해서 통신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비용을 억제하면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 시스템의 개략 구성도.
도 2는,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환기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각 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상태 판정부(어댑터 유닛)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그루핑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컨트롤러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컨트롤러, 어댑터 유닛 및 환기 장치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시퀀스도.
도 9는, 변형예 D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변형예 E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11은, 변형예 N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12는, 변형예 P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3은, 환기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4는, 컨트롤러와, 컨트롤러에 접속되는 각 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
도 5는, 상태 판정부(어댑터 유닛)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그루핑 테이블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컨트롤러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컨트롤러, 어댑터 유닛 및 환기 장치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시퀀스도.
도 9는, 변형예 D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10은, 변형예 E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11은, 변형예 N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
도 12는, 변형예 P에 관한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의 컨트롤러의 처리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 시스템(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의 구체예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닌,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1) 공조 시스템(100)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공조 시스템(100)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공조 시스템(100)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RC)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공조 시스템(100)은, 빌딩이나 공장 등에 설치되어서, 대상 공간의 냉방, 난방 및 환기 등의 공기 조화를 실현하는 시스템이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공조 시스템(100)은, 복수의 대상 공간[SP(SP1 및 SP2)]의 공기 조화를 행한다.
공조 시스템(100)은, 주로 대상 공간(SP)의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하는 공조 장치(10)와, 복수의 환기 장치(40)를 갖고 있다. 또한, 공조 시스템(100)은 복수의 어댑터 유닛(50)(환기 제어부)과, 복수의 냉매 누설 센서(60)와, 공조 시스템(10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컨트롤러(70)(공조 제어부, 통괄 제어부)를 갖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이미 설치되어 있는 공조 장치(10)와 환기 장치(40)를 사용하여, 공조 시스템(100)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조 장치(10)와 환기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어댑터 유닛(50)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공조 시스템(100)을 구성한다.
(1-1) 공조 장치(10)
공조 장치(10)는 냉매 회로(RC)를 포함하고, 냉매 회로(RC)에 있어서 냉매를 순환시켜서 증기 압축 방식의 냉동 사이클을 행함으로써, 각 대상 공간[SP(SP1 및 SP2)]의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한다.
공조 장치(10)는, 주로 열원 유닛으로서의 1대의 실외 유닛(20)과, 이용 유닛으로서의 복수(여기서는 4대)의 실내 유닛(30)과, 커맨드를 입력하는 입력 장치로서의 복수(여기서는 2개)의 리모컨(35)과, 실외 유닛(20) 및 각 실내 유닛(3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집중 관리 기기(38)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각 대상 공간(SP)에 2대의 실내 유닛(30)과 1개의 리모컨(35)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대상 공간(SP1)에 실내 유닛(30a, 30b) 및 리모컨(35a)이 배치되고, 대상 공간(SP2)에는 실내 유닛(30c, 30d) 및 리모컨(35b)이 배치되어 있다.
공조 장치(10)에서는, 실외 유닛(20)과, 각 실내 유닛(30)이 가스 연락 배관(GP) 및 액 연락 배관(LP)에 의해 접속됨으로써 냉매 회로(RC)가 구성되어 있다.
냉매 회로(RC)에는, 냉매로서, 예를 들어 R32와 같은 미연소성을 갖는 냉매 또는 프로판과 같은 연소성을 갖는 냉매 또는 암모니아와 같은 독성을 갖는 냉매가 봉입되어 있다.
(1-1-1) 실외 유닛(20)
실외 유닛(20)은 실외에 설치된다. 실외 유닛(20)은, 주로 복수의 냉매 배관[제1 배관(P1) 내지 제6 배관(P6)]과, 압축기(21)와, 사방 전환 밸브(22)와, 실외 열 교환기(23)와, 실외 팽창 밸브(24)와, 실외 팬(25)과, 실외 유닛 제어부(26)를 갖고 있다.
제1 배관(P1)은, 가스 연락 배관(GP)과 사방 전환 밸브(22)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이다. 제2 배관(P2)은, 사방 전환 밸브(22)와 압축기(21)의 흡입 포트(도시 생략)를 접속하는 흡입 배관이다. 제3 배관(P3)은, 압축기(21)의 토출 포트(도시 생략)와 사방 전환 밸브(22)를 접속하는 토출 배관이다. 제4 배관(P4)은, 사방 전환 밸브(22)와 실외 열 교환기(23)의 가스측을 접속하는 냉매 배관이다. 제5 배관(P5)은, 실외 열 교환기(23)의 액측과 실외 팽창 밸브(24)를 접속하는 냉매 배관이다. 제6 배관(P6)은, 실외 팽창 밸브(24)와 액 연락 배관(LP)을 접속하는 냉매 배관이다.
압축기(21)는 저압의 가스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해서 토출하는 기구이다. 압축기(21)는 압축기 모터(21a)가 내장된 밀폐식 구조를 갖고 있다. 압축기(21)에서는, 압축기 케이싱(도시 생략) 내에 수용된 로터리식이나 스크롤식 등의 압축 요소(도시 생략)가 압축기 모터(21a)를 구동원으로 하여 구동된다. 압축기 모터(21a)는, 운전 중, 인버터 제어되고, 상황에 따라서 회전수가 조정된다. 압축기(21)는, 구동 시에, 흡입 포트로부터 냉매를 흡입하고, 압축 후, 토출 포트로부터 토출한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냉매 회로(RC)에 있어서 냉매가 흐르는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전환 밸브이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제1 배관(P1), 제2 배관(P2), 제3 배관(P3) 및 제4 배관(P4)과 개별로 접속되어 있다. 사방 전환 밸브(22)는, 냉방 운전 시에는 제1 배관(P1)과 제2 배관(P2)이 접속됨과 함께, 제3 배관(P3)과 제4 배관(P4)이 접속되도록, 유로를 전환한다[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실선을 참조]. 또한, 사방 전환 밸브(22)는, 난방 운전 시에는 제1 배관(P1)과 제3 배관(P3)이 접속됨과 함께, 제2 배관(P2)과 제4 배관(P4)이 접속되도록, 유로를 전환한다[도 1의 사방 전환 밸브(22)의 파선을 참조].
실외 열 교환기(23)는,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 또는 방열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는 열 교환기이다. 실외 열 교환기(23)는, 냉매가 흐르는 전열관(도시 생략)과, 전열 면적을 증대하는 전열 핀(도시 생략)을 포함한다. 실외 열 교환기(23)는, 운전 시에 있어서, 전열관 내의 냉매와, 실외 팬(25)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가 열 교환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외 팽창 밸브(24)는,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전동 밸브이다. 실외 팽창 밸브(24)는, 냉방 운전 시에는 완전 개방이 되고, 난방 운전 시에는 개방도에 따라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 밸브로서 기능한다.
실외 팬(25)은, 예를 들어 프로펠러 팬이다. 각 실외 팬(25)은, 실외 팬 모터(25a)의 출력축에 접속되어 있고, 실외 팬 모터(25a)에 연동해서 구동한다. 실외 팬(25)은 구동하면, 외부로부터 실외 유닛(20) 내로 유입해 실외 열 교환기(23)를 통과하고 나서 실외 유닛(20) 밖으로 유출하는 공기류를 생성한다.
실외 유닛 제어부(26)는, CPU나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실외 유닛 제어부(26)는, 실외 유닛(20)에 있어서의 각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실외 유닛 제어부(26)는, 각 실내 유닛(30)의 실내 유닛 제어부(34)(후술)와, 통신선을 통하여 접속되어 있고, 서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실외 유닛 제어부(26)는 집중 관리 기기(38)와, WAN이나 LAN 등의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되어 있고, 서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실외 유닛 제어부(26)는, 각 실내 유닛 제어부(34), 각 리모컨(35) 또는 각 어댑터 유닛(50)과, 집중 관리 기기(38)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중계한다.
(1-1-2) 실내 유닛(30)
실내 유닛(30)은, 예를 들어 소위 천장 매립형, 천장 현수형 또는 벽걸이형의 실내기이다. 실내 유닛(30)은, 실외 유닛(20)과 함께 냉매 회로(RC)를 구성하고 있다. 실내 유닛(30)은, 주로 실내 열 교환기(31)와, 실내 팽창 밸브(32)와, 실내 팬(33)과, 실내 유닛 제어부(34)를 갖고 있다.
실내 열 교환기(31)는, 냉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증발기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냉매의 응축기 또는 방열기로서 기능하는 열 교환기이다. 실내 열 교환기(31)는, 소위 크로스·핀·튜브 열 교환기이다. 실내 열 교환기(31)는, 일단부가 실내 팽창 밸브(32)까지 연장하는 냉매 배관에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가스 연락 배관(GP)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열 교환기(31)는, 운전 시에 있어서, 전열관(도시 생략) 내의 냉매와, 실내 팬(33)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가 열 교환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실내 팽창 밸브(32)는, 개방도 조정이 가능한 전동 밸브이다. 실내 팽창 밸브(32)는, 실내 유닛(30)의 운전 정지 시에는 최소 개방도로 제어된다. 실내 팽창 밸브(32)는, 냉방 운전 시에는 개방도에 따라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 밸브로서 기능하고, 난방 운전 시에는 완전 개방이 된다.
실내 팬(33)은, 예를 들어 프로펠러 팬이나 다익 팬이며, 실내 팬 모터(33a)의 출력축에 접속되어 있다. 실내 팬(33)은, 실내 팬 모터(33a)에 연동해서 구동한다. 실내 팬(33)은 구동하면, 실내 유닛(30) 내로 유입해서 실내 열 교환기(31)를 통과한 후에 실내 유닛(30) 밖으로 유출하는 공기류를 생성한다.
실내 유닛 제어부(34)는, CPU나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다. 실내 유닛 제어부(34)는, 실내 유닛(30)에 있어서의 각 액추에이터의 동작을 제어한다. 각 실내 유닛 제어부(34)는, 실외 유닛 제어부(26) 또는 집중 관리 기기(38)와,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각 실내 유닛 제어부(34)는, 대응하는 리모컨(35) 및 어댑터 유닛(50)과, 네트워크(NW)를 통해 통신한다. 또한, 각 실내 유닛 제어부(34)는, 대응하는 리모컨(35) 또는 어댑터 유닛(50)과, 실외 유닛 제어부(26) 또는 집중 관리 기기(38)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송수신되는 신호를 중계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네트워크(NW)는 통신선으로 구성되는 소위 유선 네트워크이며, 전기 신호의 전송로로서 기능한다. 구체적으로, 대상 공간(SP1)에 있어서는 통신선(CB1)에 의해 네트워크(NW)가 구축되고, 대상 공간(SP2)에 있어서는 통신선(CB2)에 의해 네트워크(NW)가 구축되고 있다.
(1-1-3) 리모컨(35)
리모컨(35)은, 공조 장치(10)로의 커맨드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키(도시 생략)와, 운전 상태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도시 생략)를 갖는 유저 인터페이스이다. 리모컨(35)은, 동일한 대상 공간(SP)에 배치되는 실내 유닛(30)의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네트워크(NW)를 통하여 서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리모컨(35a)은 실내 유닛(30b)의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통신선(CB1)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35b)은 실내 유닛(30d)의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통신선(CB2)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또한, 리모컨(35)은 실내 유닛 제어부(34)에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실외 유닛 제어부(26), 집중 관리 기기(38), 또는 어댑터 유닛(50)과 통신을 행한다.
(1-1-4) 집중 관리 기기(38)
집중 관리 기기(38)는, 공조 장치(10) 및 복수의 환기 장치(40)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10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컴퓨터이다. 집중 관리 기기(38)는, CPU와, ROM, RAM이나 플래시 메모리 등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집중 관리 기기(38)는 유저가 커맨드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유저에게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있다.
집중 관리 기기(38)는, 예를 들어 각 대상 공간(SP)과는 이격된 감시실이나 집중 관리실 등에 배치되는 서버이다. 집중 관리 기기(38)는, 실외 유닛 제어부(26)와, 서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집중 관리 기기(38)는 실외 유닛 제어부(26)에 신호를 중계함으로써, 실내 유닛 제어부(34), 리모컨(35), 또는 어댑터 유닛(50)과 통신을 행한다.
(1-2) 환기 장치(40)
도 3은, 환기 장치(40)의 개략 구성도이다. 환기 장치(40)는 대상 공간(SP)의 환기를 행한다. 환기 장치(40)는, 대상 공간(SP)[보다 상세하게는 대상 공간(SP)의 천장 이면 공간]에 있어서, 공조 장치(10)와는 독립하여 설치되어 있다. 환기 장치(40)는, 상용 전원(5)으로부터 전원이 공급되고 있다.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여기서는 2대)의 환기 장치(40)[환기 장치(40a 및 40b)]를 갖고 있다. 환기 장치(40a)는 대상 공간(SP1)에 배치되고, 환기 장치(40b)는 대상 공간(SP2)에 배치되어 있다.
각 환기 장치(40)는, 복수의 덕트[도입 덕트(401), 급기 덕트(402), 취출 덕트(403) 및 배기 덕트(404)]를 갖고 있다. 도입 덕트(401)는, 실외 공기(OA)를 대상 공간(SP)에 도입하기 위한 도입구에 접속된다. 급기 덕트(402)는, 실외 공기(OA)를 공급 공기(SA)로서 공급하는 급기구에 접속된다. 취출 덕트(403)는, 실내 공기(RA)를 대상 공간(SP)으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취출구에 접속된다. 배기 덕트(404)는, 실내 공기(RA)를 배출 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에 접속된다.
또한, 각 환기 장치(40)는 본체 프레임(41)(프레임)과, 열 교환기(42)와, 환기용 급기 팬(43)(환기 팬) 및 배기 팬(44)(환기 팬)과, 팬 구동 제어부(45)(구동부, 구동 전압 공급부)를 갖고 있다.
본체 프레임(41)은,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을 수용하고 있다(보유 지지하고 있음). 본체 프레임(41) 내에는, 서로 구획된 2개의 공기 유로[급기 유로(41a) 및 배기 유로(41b)]가 형성되어 있다. 급기 유로(41a) 및 배기 유로(41b)는, 각각 열 교환기(42)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급기 유로(41a)는, 그의 일단부가 도입 덕트(401)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급기 덕트(402)에 접속되어 있다. 급기 유로(41a)는, 실외로부터 대상 공간(SP)을 향해 공기를 흐르게 하기 위한 공기 유로이다. 배기 유로(41b)는, 그의 일단부가 취출 덕트(403)에 접속되고, 타단부가 배기 덕트(404)에 접속되어 있다. 배기 유로(41b)는 대상 공간(SP)으로부터 실외를 향해 공기를 흐르게 하기 위한 공기 유로이다.
열 교환기(42)는, 2개의 공기류[여기서는, 실내 공기(RA)와 실외 공기(OA)] 사이에서 현열과 잠열을 동시에 열 교환하는 전체 열 교환기이다. 열 교환기(42)는, 본체 프레임(41) 내에 배치되어, 2개의 급기 유로(41a) 상에 위치하고 있다.
급기 팬(43)은, 실외로부터 대상 공간(SP)을 향하는 공기류를 생성한다. 급기 팬(43)은 시로코 팬이며, 구동부인 급기 팬 모터(43a)를 포함한다. 급기 팬(43)은 본체 프레임(41) 내에 배치되어, 급기 유로(41a) 상에 위치하고 있다.
배기 팬(44)은, 대상 공간(SP)으로부터 실외를 향하는 공기류를 생성한다. 배기 팬(44)은 시로코 팬이며, 구동부인 배기 팬 모터(44a)를 포함한다. 배기 팬(44)은 배기 유로(41b) 상에 위치하고 있다.
팬 구동 제어부(45)는, 급기 팬(43)[급기 팬 모터(43a)] 및 배기 팬(44)[배기 팬 모터(44a)]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이다. 팬 구동 제어부(45)는, 본체 프레임(41)에 설치된 전장품 상자(411) 내에 수용되어 있다. 팬 구동 제어부(45)는 급기 팬 모터(43a) 및 배기 팬 모터(44a)에 대하여 회전수에 따른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인버터(도시 생략)와, 공급하는 전압을 회전수(풍량)에 기초하여 결정하는 전압 결정부(도시 생략)를 포함한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환기 장치(40)는,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회전수를 조정 가능하다.
팬 구동 제어부(45)는, 외부 기기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접속 단자(451)(도 4 참조)를 갖고 있다. 팬 구동 제어부(45)는, 접속 단자(451)에 통신선의 일단부측을 접속함으로써, 통신선의 타단부측에 접속되어 있는 기기[여기서는 어댑터 유닛(5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서 통신 가능하게 된다.
팬 구동 제어부(45)는, 접속 단자(451) 및 통신선을 통해 접속된 어댑터 유닛(50)으로부터, 제어 신호(후술하는 회전수 제어 신호)가 송신되면[즉, 접속 단자(451)를 통하여 제어 신호가 입력됨], 당해 회전수 제어 신호에 기초한 회전수로 급기 팬 모터(43a) 또는 배기 팬 모터(44a)가 구동하도록, 급기 팬 모터(43a) 또는 배기 팬 모터(44a)에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1-3) 어댑터 유닛(50)
어댑터 유닛(50)은, 팬 구동 제어부(45)에 제어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대응하는 환기 장치(40)[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동작을 제어하는 유닛이다. 공조 시스템(100)은, 복수(여기서는 2개)의 어댑터 유닛(50)[제1 어댑터 유닛(50a) 및 제2 어댑터 유닛(50b)]을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어댑터 유닛(50a)은 대상 공간(SP1)에 배치되어 환기 장치(40a)에 대응하고 있다. 제2 어댑터 유닛(50b)은 대상 공간(SP2)에 배치되어 환기 장치(40b)에 대응하고 있다.
어댑터 유닛(50)은, 대응하는 환기 장치(40)[본체 프레임(41)]와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독립해서 배치되어 있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어댑터 유닛(50)은, 이미 공조 장치(10) 및 환기 장치(40)가 설치되어 있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배치된다.
어댑터 유닛(50)은, ROM 및 RAM 등의 메모리나 CPU 등으로 구성되는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또한, 어댑터 유닛(50)은 팬 구동 제어부(45) 및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어댑터 유닛(50)은,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팬 구동 제어부(45)에 대하여 급기 팬(43)[급기 팬 모터(43a)] 및/또는 배기 팬(44)[배기 팬 모터(44a)]의 발진 정지 및 회전수를 전환하는 지령을 포함하는 신호(이하,「회전수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즉, 어댑터 유닛(50)은 수신하는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한다.
어댑터 유닛(50)은, 전원이 투입되면, 정기적(소정 시간 t1이 경과할 때마다)으로 팬 구동 제어부(45)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의 판정(이하,「상태 판정」이라 기재)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정 시간 t1은 1min으로 설정되어 있다.
어댑터 유닛(50)은, 상태 판정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가 정상적인[즉, 어댑터 유닛(50)과 환기 장치(40) 사이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것을 확인하면, 전송 신호(이하,「상태 통지 신호」)를 실내 유닛 제어부(34)로 송신한다. 즉, 어댑터 유닛(50)은 팬 구동 제어부(45)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정기적으로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에 대하여 상태 통지 신호(통지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정에 있어서, 어댑터 유닛(50)은 구동 지령 또는 회전수 제어 신호에 대한 환기 장치(40)의 동작이 정상일 경우[구체적으로는, 정지 상태에 있는 환기 장치(40)가 구동 지령을 받아서 정상적으로 구동하는 경우, 또는 구동하고 있는 급기 팬(43) 또는 배기 팬(44)의 회전수가 송신한 최근의 회전수 제어 신호와 합치하는 경우]에는,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으로 가능하고,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한다. 한편, 어댑터 유닛(50)은 구동 지령 또는 회전수 제어 신호에 대한 환기 장치(40)의 동작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구체적으로는, 정지 상태에 있는 환기 장치(40)가 구동 지령을 받아서 정상적으로 구동하지 않을 경우, 또는 구동 중일 급기 팬(43) 또는 배기 팬(44)의 회전수가 송신한 최근의 회전수 제어 신호와 합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거나, 또는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고 판정한다.
또한, 어댑터 유닛(50)은 급기 팬 모터(43a)나 배기 팬 모터(44a)를 흐르는 모터 전류나 자속의 변화 등에 기초하여, 공지된 방법에 의해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발진 정지 상태 및 회전수를 검지한다.
여기서, 상태 통지 신호는 어댑터 유닛(50)과 팬 구동 제어부(45)[환기 장치(40)]와의 통신, 및 어댑터 유닛(50)과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와의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있는 상태에 있고,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는 것을,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로 통지하기 위한 신호이다. 즉, 어댑터 유닛(50)은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정기적(소정 시간 t1이 경과할 때마다)으로 상태 통지 신호를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로 송신한다.
어댑터 유닛(5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3) 어댑터 유닛(50)의 상세」에 있어서 설명한다.
(1-4) 냉매 누설 센서(60)
냉매 누설 센서(60)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냉매 누설 센서(60)는 공지된 범용품이 사용된다.
냉매 누설 센서(60)는, 대응하는 대상 공간(SP)에 배치되어 있다.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복수(2개)의 냉매 누설 센서(60)[제1 냉매 누설 센서(60a) 및 제2 냉매 누설 센서(60b)]를 갖고 있다.
제1 냉매 누설 센서(60a)는, 대상 공간(SP1)에 설치되어 있다. 제2 냉매 누설 센서(60b)는, 대상 공간(SP2)에 설치되어 있다.
각 냉매 누설 센서(60)는, 동일한 대상 공간(SP1)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유닛(30)의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 냉매 누설 센서(60a)는, 실내 유닛(30b)의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 냉매 누설 센서(60b)는, 실내 유닛(30d)의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냉매 누설 센서(60)는, 냉매 누설을 검출하면,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다는 취지를 나타내는 전기 신호(이하,「냉매 누설 신호」라고 기재)를 접속되어 있는 실내 유닛 제어부(34)에 출력한다.
(1-5) 컨트롤러(70)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실외 유닛 제어부(26)와, 각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각 리모컨(35)과, 집중 관리 기기(38)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속됨으로써, 공조 시스템(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70)가 구성되어 있다. 컨트롤러(70)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는「(4) 컨트롤러(70)의 상세」에 있어서 설명한다.
(2) 공조 시스템(100)의 운전
(2-1) 냉방 운전
리모컨(35)에 냉방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되는 등 하여, 컨트롤러(70)에 의해 냉방 운전에 관한 제어가 실행되면, 사방 전환 밸브(22)가 냉방 운전 상태[도 2의 사방 전환 밸브(22)가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상태]로 전환되어, 압축기(21) 및 실외 팬(25)이 기동한다. 또한, 냉방 운전을 행하는 대상 공간(SP)에 설치된 실내 유닛(30)(이하,「냉방 실내 유닛(30)」이라 기재)의 실내 팬(33)이 기동함과 함께 실내 팽창 밸브(32)가 적절한 개방도로 열린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냉방 실내 유닛(30)의 실내 열 교환기(31)로 유입된 냉매가, 실내 팬(33)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와 열 교환해서 증발한다. 실내 열 교환기(31)를 유출한 냉매는, 가스 연락 배관(GP), 제1 배관(P1), 사방 전환 밸브(22) 및 제2 배관(P2)을 통과해서 압축기(21)에 흡입되어서 압축된다.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3 배관(P3), 사방 전환 밸브(22) 및 제4 배관(P4)을 통과해서 실외 열 교환기(23)로 유입된다.
실외 열 교환기(23)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팬(25)이 생성하는 공기류와 열 교환해서 응축한다. 실외 열 교환기(23)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제5 배관(P5), 실외 팽창 밸브(24), 제6 배관(P6) 및 액 연락 배관(LP)을 통과해서 냉방 실내 유닛(30)의 실내 팽창 밸브(32)로 유입된다. 실내 팽창 밸브(32)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32)의 개방도에 따라서 감압된다. 실내 팽창 밸브(32)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다시 실내 열 교환기(31)로 유입된다.
(2-2) 난방 운전
리모컨(35)에 난방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되는 등 하여, 컨트롤러(70)에 의해 난방 운전에 관한 제어가 실행되면, 사방 전환 밸브(22)가 난방 운전 상태[도 2의 사방 전환 밸브(22)가 파선으로 나타내어진 상태]로 전환되어, 압축기(21) 및 실외 팬(25)이 기동한다. 또한, 실외 팽창 밸브(24)가 적절한 개방도로 열린다. 또한, 난방 운전을 행하는 대상 공간(SP)에 설치된 실내 유닛(30)(이하,「난방 실내 유닛(30)」이라 기재)의 실내 팬(33)이 기동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실외 열 교환기(23)로 유입된 냉매가, 실외 팬(25)에 의해 생성되는 공기류와 열 교환해서 증발한다. 실외 열 교환기(23)를 유출한 냉매는, 제4 배관(P4), 사방 전환 밸브(22) 및 제2 배관(P2)을 통과해서 압축기(21)에 흡입되어서 압축된다. 압축기(21)로부터 토출된 냉매는, 제3 배관(P3), 사방 전환 밸브(22) 및 제1 배관(P1) 및 가스 연락 배관(GP)을 통과해서 난방 실내 유닛(30)의 실내 열 교환기(31)로 유입된다.
실내 열 교환기(31)로 유입된 냉매는, 실내 팬(33)이 생성하는 공기류와 열 교환해서 응축한다. 실내 열 교환기(31)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실내 팽창 밸브(32), 액 연락 배관(LP) 및 제6 배관(P6)을 통과해서 실외 팽창 밸브(24)로 유입된다. 실외 팽창 밸브(24)로 유입된 냉매는, 실외 팽창 밸브(24)의 개방도에 따라서 감압된다. 실외 팽창 밸브(24)로부터 유출된 냉매는, 다시 실외 열 교환기(23)로 유입된다.
(2-3) 환기 운전
환기 장치(40)에 환기 운전의 개시 지시가 이루어지면,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이 기동한다. 또한, 환기 운전의 지시에는 어댑터 유닛(50)으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경우와, 컨트롤러(70)로부터의 요구에 의한 경우가 있다.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이 구동 상태가 되면, 도입 덕트(401)를 통해서 실외로부터 환기 장치(40) 내로 유입된 실외 공기(OA)와, 취출 덕트(403)를 통해서 대상 공간(SP)으로부터 환기 장치(40) 내로 유입된 실내 공기(RA)가, 열 교환기(42)에 있어서, 열 교환을 행한다. 그 후, 열 교환기(42)에 있어서 열 교환을 행한 실외 공기(OA)는, 급기 덕트(402)를 통해서 공급 공기(SA)로서 대상 공간(SP)에 공급된다. 또한, 열 교환기(42)에 있어서 열 교환을 행한 실내 공기(RA)는, 배기 덕트(404)를 통해서 배출 공기(EA)로서 실외로 배출된다.
(2-4) 강제 환기 운전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냉매가 누설되었을 경우에, 누설된 냉매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해 강제 환기 운전이 행하여진다.
구체적으로는, 냉매 회로(RC)로부터 냉매가 누설되고, 누설된 냉매가 대상 공간(SP)으로 유입되면, 냉매 누설 센서(60)에 의해 이러한 냉매 누설이 검출된다. 컨트롤러(70)는,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검지하고, 냉매 누설 센서(60)가 냉매 누설을 검출한 대상 공간(SP)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40)를 기동하기 위해, 대응하는 어댑터 유닛(50)으로 강제 환기 운전 개시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이 기동한다. 이러한 강제 환기 운전에서는,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은, 예를 들어 회전수(풍량)가 최대인 상태에서 구동을 계속한다.
또한, 이때, 컨트롤러(70)는, 각 실내 유닛(30)의 실내 팽창 밸브(32)를 최소 개방도(완전 폐쇄 상태)로 제어함과 함께 실내 팬(33)을 정지시켜, 압축기(21) 및 실외 팬(25)을 정지시킨다. 이에 의해, 냉매 회로(RC)에 있어서 냉매의 순환이 정지해, 한층 더 냉매 누설이 억제된다.
또한, 컨트롤러(70)는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하기 위해,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와,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대상 공간(SP)을 특정하는 정보를 리모컨(35)에 표시시킨다.
(3) 어댑터 유닛(50)의 상세
도 4는, 컨트롤러(70)와 컨트롤러(70)에 접속되는 각 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어댑터 유닛(50)은, 주로 어댑터 유닛 기억부(51)와, 어댑터 유닛 통신부(52)와, 어댑터 유닛 입력부(53)와, 어댑터 유닛 제어부(54)와, 상태 판정부(55)를 갖고 있다.
(3-1) 어댑터 유닛 기억부(51)
어댑터 유닛 기억부(51)는, ROM, RA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어댑터 유닛 기억부(51)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휘발성 및 불휘발성의 기억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어댑터 유닛 기억부(51)에는, 어댑터 유닛(50)에 있어서의 각 부의 처리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또한, 어댑터 유닛 기억부(51)는 유저나 컨트롤러(70)로부터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51a)를 포함하고 있다.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51a)는, 환기 장치(40)에 운전 개시 지시가 입력된 경우에 세워지고, 환기 장치(40)가 정지될 경우에 해제된다.
또한, 어댑터 유닛 기억부(51)는 유저나 컨트롤러(70)로부터 입력된 회전수(풍량)를 판별하는 풍량 판별 플래그(51b)를 포함하고 있다. 풍량 판별 플래그(51b)는,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각각의 회전수(풍량)를 단계적으로 판별 가능하도록, 소정의 비트수를 포함하고 있다.
(3-2) 어댑터 유닛 통신부(52)
어댑터 유닛 통신부(52)는, 컨트롤러(70) 및 팬 구동 제어부(45)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어댑터 유닛 기억부(51)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어댑터 유닛 통신부(52)는, 컨트롤러(70)로부터 송신된 운전 개시 신호나 강제 환기 운전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51a)를 세운다.
또한, 어댑터 유닛 통신부(52)는, 컨트롤러(70) 등으로부터 송신된 회전수를 지시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당해 회전수에 대응하도록 풍량 판별 플래그(51b)를 설정한다.
또한, 어댑터 유닛 통신부(52)는, 컨트롤러(70)로부터 송신된 강제 환기 운전 개시 신호를 수신하면,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최대 회전수(최대 풍량)에 대응하도록, 풍량 판별 플래그(51b)를 설정한다.
어댑터 유닛 통신부(52)는, 다른 각 부로부터의 의뢰를 받아, 소정의 신호를 송신한다. 예를 들어, 어댑터 유닛 통신부(52)는 어댑터 유닛 제어부(54)로부터의 의뢰를 받아, 회전수 제어 신호를 팬 구동 제어부(45)로 송신한다.
(3-3) 어댑터 유닛 입력부(53)
어댑터 유닛 입력부(53)는, 입력 키(도시 생략) 등을 거쳐 유저가 입력한 커맨드를 접수하는 부분이다. 어댑터 유닛 입력부(53)는, 유저가 입력한 운전 개시 지시를 접수하면,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51a)를 세운다. 또한, 어댑터 유닛 입력부(53)는 유저가 입력한 회전수(풍량) 지정 지시를 접수하면, 지정된 회전수(풍량)에 대응하도록 풍량 판별 플래그(51b)를 설정한다.
(3-4) 어댑터 유닛 제어부(54)
어댑터 유닛 제어부(54)는,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발진 정지 및 풍량을 조정하기 위해, 팬 구동 제어부(45)로 소정의 신호를 송신한다.
어댑터 유닛 제어부(54)는,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51a)가 세워지면, 풍량 판별 플래그(51b)를 참조하고, 팬 구동 제어부(45)로 회전수 제어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이 지정된 회전수(풍량)로 구동한다.
또한, 어댑터 유닛 제어부(54)는,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51a)가 해제되면, 팬 구동 제어부(45)로 운전 정지 신호를 송신한다. 이에 의해,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이 정지한다.
(3-5) 상태 판정부(55)
도 5는, 상태 판정부(55)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태 판정부(55)는,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는 기능부이다. 상태 판정부(55)는, 타이머 기능을 갖고 있으며, 시간을 계측 가능하다.
상태 판정부(55)는, 전원이 투입되면, 팬 구동 제어부(45)에 대하여 소정 시간 t1(10sec)이 경과할 때마다 상태 판정을 행한다(도 5의 스텝 S101 및 스텝 S102를 참조).
상태 판정부(55)는, 상태 판정의 결과,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며,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다[즉, 환기 장치(40)가 정상적으로 동작한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태 통지 신호를 생성하고, 어댑터 유닛 통신부(52)에 컨트롤러(70)를 향해 송신시킨다(도 5의 스텝 S103 및 S104를 참조). 이때, 상태 판정부(55)는 검지한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회전수(풍량)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해서 상태 통지 신호를 생성한다.
(4) 컨트롤러(70)의 상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트롤러(70)는, 각 어댑터 유닛(50)[제1 어댑터 유닛(50a) 및 제2 어댑터 유닛(50b)]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70)는, 각 냉매 누설 센서(60)[제1 냉매 누설 센서(60a) 및 제2 냉매 누설 센서(60b)]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컨트롤러(70)는 공조 장치(10)의 각 액추에이터[압축기(21), 사방 전환 밸브(22), 실외 팽창 밸브(24), 실외 팬(25), 실내 팽창 밸브(32) 및 실내 팬(33) 등]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컨트롤러(70)는, 주로 기억부(71)와, 통신부(72)와, 입력 제어부(73)와, 그룹 설정부(74)와, 액추에이터 제어부(75)와, 운전 허가부(76)와, 강제 환기 제어부(77)와, 표시 제어부(78)를 갖고 있다.
(4-1) 기억부(71)
기억부(71)는, ROM, RAM 및 플래시 메모리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억부(71)는, 각종 정보를 기억하기 위한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의 기억 영역을 포함하고 있다. 기억부(71)에는, 컨트롤러(70)에 있어서의 각 부의 처리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기억부(71)에는, 유저에 의해, 입력된 운전 개시, 운전 정지, 운전 모드, 설정 온도, 설정 풍량, 풍향 등의 설정 항목 등을 특정하는 정보인 커맨드 정보가 적절히 저장된다.
또한, 기억부(71)에는 그룹 제어(후술)에 사용되는 그루핑 테이블 TB1(후술)이 저장된다.
또한, 기억부(71)는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즉, 환기 장치(40)가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지 여부]를 환기 장치(40)마다 판별하기 위한 상태 판별 플래그(71a 및 71b)를 포함하고 있다. 상태 판별 플래그(71a 및 71b)는, 어느 어댑터 유닛(50)[즉, 어느 환기 장치(40)]에 1 : 1로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상태 판별 플래그(71a)는, 제1 어댑터 유닛(50a)[즉, 환기 장치(40a)]에 대응하고 있으며, 환기 장치(40a)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환기 장치(40a)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상태 판별 플래그(71b)는, 제2 어댑터 유닛(50b)[즉, 환기 장치(40b)]에 대응하고 있으며, 환기 장치(40b)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고, 또한 환기 장치(40b)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플래그이다.
상태 판별 플래그(71a 및 71b)는, 컨트롤러(70)가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세워지고, 전회의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t2 이상, 새로운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제된다. 즉, 컨트롤러(70)는 어댑터 유닛(50)으로부터의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전회의 상태 통지 신호로부터 소정 시간 t2 이상 새로운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어댑터 유닛(50) 및 환기 장치(40) 사이의 통신, 또는 컨트롤러(70) 및 어댑터 유닛(50) 사이의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는 상태에 있거나, 또는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상태에 있다고 판단하여, 상태 판별 플래그를 세우지 않거나 또는 해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소정 시간 t2는 3min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기억부(71)는, 각 냉매 누설 센서(60)의 검출 결과[즉, 각 대상 공간(SP)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의 유무]를 개별로 판별하기 위한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및 Fb)를 포함하고 있다.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및 Fb)는, 어느 냉매 누설 센서(60)에 1 : 1로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는, 제1 냉매 누설 센서(60a)에 대응하고 있다.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b)는 제2 냉매 누설 센서(60b)에 대응하고 있다.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및 Fb)는, 대응하는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 냉매 누설 신호를 수신한 경우[즉, 대응하는 냉매 누설 센서(60)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한 경우]에 세워진다.
또한, 기억부(71)는 실내 유닛(30)의 운전이 운전 허가부(76)에 의해 허가되고 있는지 여부를, 후술하는 그룹마다 식별하는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G1 및 G2)가 그룹의 수(여기서는 2개)에 대응해서 설치되어 있다.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은 그룹 1(후술)에 대응하고 있으며,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2는 그룹 2(후술)에 대응하고 있다.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이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1에 소속된 실내 유닛[30(30a 및 30b)]의 운전이 금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세워져 있을 때에는 당해 실내 유닛(30)의 운전이 허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2가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2에 소속된 실내 유닛[30(30c 및 30d)]의 운전이 금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세워져 있을 때에는 당해 실내 유닛(30)의 운전이 허가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4-2) 통신부(72)
통신부(72)는, 다른 각 부[어댑터 유닛(50), 리모컨(35), 또는 액추에이터나 센서 등]로부터 송신된 신호를 수신하여, 기억부(71)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저장한다. 또한, 통신부(72)는 팬 구동 제어부(45)로부터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면, 송신원의 어댑터 유닛(50)에 대응하는 상태 판별 플래그(71a 또는 71b)를 세운다. 또한, 통신부(72)는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 냉매 누설 신호를 수신한 경우, 대응하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또는 Fb)를 세운다.
(4-3) 입력 제어부(73)
입력 제어부(73)는 유저의 커맨드를 접수하여,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처리 결과를 기억부(71)의 소정의 기억 영역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입력 제어부(73)는 유저에 의해, 운전 개시, 운전 정지, 운전 모드, 설정 온도, 설정 풍량, 풍향 등의 설정 항목 등이 새롭게 입력되었을 때는, 입력된 지시를 특정하는 커맨드 정보를 기억부(71)에 저장한다.
(4-4) 그룹 설정부(74)
또한, 그룹 설정부(74)는 유저에 의해 그루핑 설정이 행하여졌을 때는, 당해 그루핑 설정에 기초한 테이블(이하,「그루핑 테이블 TB1」이라 기재)을 작성해서 기억부(71)에 저장한다.
또한, 그루핑 설정이란, 공조 시스템(100)에 포함되어 있는 기기[구체적으로는 실내 유닛(30), 환기 장치(40), 냉매 누설 센서(60)]를 그룹을 나누어서 등록하는 처리이다. 이러한 그루핑 설정은, 그룹마다 운전 상태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를 실행하기 위해서 행하여진다.
도 6은, 그루핑 테이블 TB1의 일례를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6에서는, 기기마다, 고유의 식별 정보인 변수「유닛 번호」와, 소속된 그룹을 특정하는 정보인 변수「그룹 번호」와, 기기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인 변수「기종 코드」가 개별로 정의되고 있다.
예를 들어, 실내 유닛(30a)은 유닛 번호의 값이「1」이라 정의되어 있다. 또한, 다른 기기의 유닛 번호의 값에 대해서는, 실내 유닛(30b)은「2」, 실내 유닛(30c)은「3」, 실내 유닛(30d)은「4」, 환기 장치(40a)는「5」, 환기 장치(40b)는「6」, 제1 냉매 누설 센서(60a)는「7」, 제2 냉매 누설 센서(60b)는「8」로 각각 정의되고 있다.
또한, 실내 유닛(30a)은 그룹 번호의 값이「1」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다른 기기의 그룹 번호의 값에 대해서는, 실내 유닛(30b)은「1」, 실내 유닛(30c)은「2」, 실내 유닛(30d)은「2」, 환기 장치(40a)는「1」, 환기 장치(40b)는「2」, 제1 냉매 누설 센서(60a)는「1」, 제2 냉매 누설 센서(60b)는「2」로 각각 정의되고 있다. 즉, 도 6에 나타내는 그루핑 테이블 TB1에 있어서는, 대상 공간(SP1)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유닛(30a), 실내 유닛(30b), 환기 장치(40a) 및 제1 냉매 누설 센서(60a)가, 동일 그룹(그룹 1)에 소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상 공간(SP2)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유닛(30c), 실내 유닛(30d), 환기 장치(40b) 및 제2 냉매 누설 센서(60b)가 동일 그룹(그룹 2)에 소속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실내 유닛(30a), 실내 유닛(30b), 실내 유닛(30c) 및 실내 유닛(30d)에 대해서는, 기종 코드의 값이 실내 유닛인 것을 나타내는「1」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환기 장치(40a 및 40b)에 대해서는, 기종 코드의 값이 환기 장치(40)인 것을 나타내는「2」로 정의되고 있다. 또한, 제1 냉매 누설 센서(60a) 및 제2 냉매 누설 센서(60b)에 대해서는, 기종 코드의 값이 냉매 누설 센서(60)인 것을 나타내는「3」으로 정의되고 있다.
입력 제어부(73)는, 유저에 의해 새롭게 그루핑 설정이 행하여졌을 때에는, 그루핑 테이블 TB1을 적절히 갱신한다. 이에 의해,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복수의 실내 유닛(30) 및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고, 동일한 대상 공간(SP)에 설치된 실내 유닛(30)과 환기 장치(40)를 연동시키는 것(즉, 그룹 제어)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유닛(30a)이 그룹 1의 본체에 설정되어 있고, 실내 유닛(30c)이 그룹 2의 본체에 설정되어 있다.
(4-5) 액추에이터 제어부(75)
액추에이터 제어부(75)는, 제어 프로그램에 따라, 공조 장치(10)에 포함되는 각 액추에이터[예를 들어 압축기(21), 사방 전환 밸브(22), 실외 팽창 밸브(24), 실외 팬(25), 실내 팽창 밸브(32) 및 실내 팬(33) 등]의 동작을, 상황에 따라서 개별로 제어한다.
또한, 액추에이터 제어부(75)는 그룹 제어가 요구될 경우에는, 기억부(71)에 저장되어 있는 그루핑 테이블 TB1에 기초하여, 공조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기기의 운전 상태를 그룹마다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그룹 제어를 실행한다. 그룹 제어가 요구되는 경우라 함은, 유저에 의해 그룹마다 운전 상태의 전환 커맨드가 입력되는 경우 등이다.
액추에이터 제어부(75)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및 Fb)를 적절히 참조하고,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또는 Fb)가 세워진 상태에 있을 때에는, 실내 팬(33)을 최대 회전수로 구동시킴과 함께, 공조 장치(10)에 포함되는 그 밖의 액추에이터를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액추에이터 제어부(75)는 실내 팽창 밸브(32)를 최소 개방도(완전 폐쇄)로 제어함과 함께, 압축기(21) 및 실외 팬(25)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이렇게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 실내 팬(33)을 최대 회전수로 구동시키는 것은,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누설된 냉매를 교반하여, 냉매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실내 팽창 밸브(32)를 최소 개방도(완전 폐쇄)로 제어함과 함께, 압축기(21) 및 실외 팬(25)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것은, 한층 더 냉매 회로(RC)에 있어서의 냉매의 순환을 정지시켜서, 한층 더 냉매 누설을 억제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액추에이터 제어부(75)는,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 및 G2를 적절히 참조하고,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 또는 G2가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대응하는 그룹에 소속된 실내 유닛(30)을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예를 들어,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이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1에 소속된 실내 유닛(30a 및 30b)을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2가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2에 소속된 실내 유닛(30c 및 30d)을 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실내 유닛(30)의「운전 정지 상태」라 함은, 실내 팽창 밸브(32)가 최소 개방도(완전 폐쇄)로 제어되는 동시에, 실내 팬(33)의 구동이 정지된 상태이다. 또한, 실내 유닛(30)을「운전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에는, 실내 유닛(30)이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운전 개시 신호가 입력되어도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는 것이나, 실내 유닛(30)이 운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 운전 정지 신호가 입력되어 있지 않아도 운전을 정지시키는 것이 포함된다.
(4-6) 운전 허가부(76)
운전 허가부(76)는, 그룹마다 실내 유닛(30)의 운전을 허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기능부이다. 운전 허가부(76)는, 기억부(71)의 상태 판별 플래그(71a 및 71b)를 참조하고, 상태 판별 플래그(71a 및 71b)의 상태에 기초하여 실내 유닛(30)의 운전을 허가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황에 따라서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 또는 G2를 세운다.
예를 들어, 운전 허가부(76)는 상태 판별 플래그(71a)가 세워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룹 1에 소속된 실내 유닛(30a 및 30b)의 운전을 금지하기 위해,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을 세우지 않거나 또는 해제한다. 또한, 운전 허가부(76)는 상태 판별 플래그(71b)가 세워져 있지 않을 경우에는, 그룹 2에 소속된 실내 유닛(30c 및 30d)의 운전을 금지하기 위해,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2를 세우지 않거나 또는 해제한다.
(4-7) 강제 환기 제어부(77)
강제 환기 제어부(77)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 당해 대상 공간(SP)에 설치되어 있는 환기 장치(40)를 강제적으로 구동시키는 기능부이다.
강제 환기 제어부(77)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및 Fb)를 적절히 참조하여,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또는 Fb)가 세워지면, 대응하는 어댑터 유닛(50)에 대하여 강제 환기 신호를 송신한다.
구체적으로는, 강제 환기 제어부(77)의 처리에 있어서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와 제1 어댑터 유닛(50a)이 대응지어져 있으며,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가 세워지면, 강제 환기 제어부(77)는 제1 어댑터 유닛(50a)으로 강제 환기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대상 공간(SP1)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환기 장치(40a)의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이 최대 회전수(최대 풍량)로 구동한다(즉, 강제 환기 운전이 행하여짐).
또한, 강제 환기 제어부(77)의 처리에 있어서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b)와 제2 어댑터 유닛(50b)이 대응지어져 있으며,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b)가 세워지면, 강제 환기 제어부(77)는 제2 어댑터 유닛(50b)으로 강제 환기 신호를 송신한다. 그 결과, 대상 공간(SP2)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는, 환기 장치(40b)의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이 최대 회전수(최대 풍량)로 구동한다(즉, 강제 환기 운전이 행하여짐).
(4-8) 표시 제어부(78)
표시 제어부(78)는, 상황에 따라, 유저에 대하여 표시하는 표시 정보를 생성하여, 대응하는 기기[리모컨(35) 또는 집중 관리 기기(38)]에 있어서 표시시킨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78)는 공조 장치(10)가 운전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구동하고 있는 실내 유닛(30)의 운전 정보(설정 온도, 설정 풍량, 또는 풍향 등)를 표시시키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대응하는 리모컨(35)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78)는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 및 G2를 적절히 참조하여,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 및 G2의 상태에 따른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78)는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1이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1의 실내 유닛(30)의 운전이 금지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리모컨(35a)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78)는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2가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2의 실내 유닛(30)의 운전이 금지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리모컨(35b)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78)는 상태 판별 플래그(71a 및 71b)를 적절히 참조하여, 상태 판별 플래그(71a 및 71b)의 상태에 따른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78)는 상태 판별 플래그(71a)가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1[대상 공간(SP1)]에 있어서 환기 장치(40a)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즉, 환기 장치(40a)와의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거나, 또는 환기 장치(40a)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리모컨(35a)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78)는 상태 판별 플래그(71b)가 세워져 있지 않을 때에는, 그룹 2[대상 공간(SP2)]에 있어서 환기 장치(40b)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즉, 환기 장치(40b)와의 통신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 없거나, 또는 환기 장치(40b)가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리모컨(35b)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78)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및 Fb)를 적절히 참조하여,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또는 Fb)의 상태에 따른 표시 정보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표시 제어부(78)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가 세워졌을 때에는, 대상 공간(SP1)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리모컨(35a)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킨다. 또한, 표시 제어부(78)는,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b)가 세워졌을 때에는, 대상 공간(SP2)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취지를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생성해서 리모컨(35b)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킨다.
(5) 컨트롤러(70)의 처리의 흐름
도 7은, 컨트롤러(70)의 처리 흐름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컨트롤러(70)는, 예를 들어 이하와 같은 흐름으로 제어를 실행한다. 또한, 이하의 처리 흐름은, 일례이며,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스텝 S201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유저에 의해 그루핑 설정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즉 유저에 의해 그루핑 설정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한편, 당해 판정이 "예"인 경우(즉 유저에 의해 그루핑 설정이 입력된 경우), 스텝 S202로 진행한다.
스텝 S202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입력된 유저의 그루핑 설정에 기초하여, 그루핑 테이블 TB1을 생성(또는 갱신)한다. 그 후 스텝 S203으로 진행한다.
스텝 S203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즉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을 경우), 스텝 S204로 진행한다. 한편, 당해 판정이 "예"인 경우(즉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지 않을 경우), 스텝 S205로 진행한다.
스텝 S204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냉매 누설이 발생한 대상 공간(SP)의 실내 유닛(30)의 실내 팬(33)을 최대 회전수(최대 풍량)로 운전시킨다. 또한, 컨트롤러(70)는 공조 장치(10)의 그 밖의 액추에이터를 정지 상태로 제어한다. 또한, 컨트롤러(70)는 강제 환기 운전 개시 신호를 대응하는 어댑터 유닛(50)으로 송신하여,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설치되어 있는 환기 장치(40)를 최대 회전수(최대 풍량)로 운전시킨다. 또한, 컨트롤러(70)는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취지를 리모컨(35)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킨다. 그 후, 유저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당해 상태를 계속한다.
스텝 S205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상태 통지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즉 상태 통지 신호를 1번도 수신하고 있지 않는 경우, 또는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t2 이상 새로운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 스텝 S206으로 진행한다. 한편, 당해 판정이 "예"인 경우(즉 상태 통지 신호를 정상적으로 수신한 경우),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스텝 S206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상태 통지 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신하고 있지 않은 어댑터 유닛(50)이 설치되어 있는 대상 공간(SP)[즉,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대상 공간(SP)]의, 실내 유닛(30)의 운전을 금지한다[즉, 정지 상태에 있는 실내 유닛(30)에 대해서는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고, 운전 상태에 있는 실내 유닛(30)에 대해서는 운전을 정지시킴]. 또한, 컨트롤러(70)는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대상 공간(SP)을 특정하는 정보 및 당해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실내 유닛(30)의 운전이 금지되는 취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리모컨(35)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킨다. 그 후, 스텝 S207로 진행한다.
스텝 S207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운전 커맨드가 입력되었는지 여부(즉, 운전 개시 지시, 운전 정지 지시, 설정 온도 지정, 설정 풍량 지정 및 풍향 지정 등의 설정 항목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즉 운전 커맨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스텝 S201로 복귀된다. 한편, 당해 판정이 "예"인 경우(즉 운전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 스텝 S208로 진행한다.
스텝 S208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입력된 운전 커맨드가,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대상 공간(SP)에 설치되어 있는 실내 유닛(30)에 관한 운전 커맨드인지 여부[즉,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한 대상 공간(SP)에 관한 운전 커맨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당해 판정이 "아니오"인 경우[즉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는 대상 공간(SP)에 관한 운전 커맨드일 경우], 스텝 S201로 복귀된다. 한편, 당해 판정이 "예"인 경우[즉,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상태에 있는 대상 공간(SP)에 관한 운전 커맨드일 경우], 스텝 S209로 진행한다.
스텝 S209에 있어서, 컨트롤러(70)는 입력된 운전 커맨드에 대응하는 처리를 실행한다. 그 후, 스텝 S201로 복귀된다.
(6) 공조 시스템(100)에 있어서의 처리
도 8은, 컨트롤러(70), 어댑터 유닛[50(50a 또는 50b] 및 환기 장치[40(40a 또는 40b)]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처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시퀀스도이다.
도 8의 S1의 기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어댑터 유닛(50)은, 정기적(소정 시간 t1 경과마다)으로 상태 판정을 행한다. 어댑터 유닛(50)은, 상태 판정의 결과,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상태 통지 신호를 컨트롤러(70)로 송신한다. 컨트롤러(70)는 상태 통지 신호를 받아, 송신원의 어댑터 유닛(50)이 설치되는 대상 공간(SP)은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파악하고, 당해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실내 유닛(30)의 운전을 허가한다[즉, 당해 실내 유닛(30)이 소속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를 세움].
도 8의 S2의 기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컨트롤러(70)가 어댑터 유닛(50)으로부터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나서, 새로운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상태가 소정 시간 t2[여기에서는 30sec] 이상 계속되었을 경우, 새로운 상태 통지 신호가 송신되고 있지 않은 어댑터 유닛(50)이 설치되어 있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의 실내 유닛(30)의 운전을 금지한다[즉, 당해 실내 유닛(30)이 소속된 그룹에 대응하는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를 세우지 않거나 또는 해제함]. 도 8의 S2에서는,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 상태가 아닌[환기 장치(40)가 어댑터 유닛(50)의 지령에 대하여 정상적으로 응답하지 않는] 것에 수반하여, 상태 통지 신호가 컨트롤러(70)로 송신되지 않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8의 S3의 기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냉매 누설 센서[60(60a 또는 60b)]로부터 냉매 누설 신호가 컨트롤러(70)로 송신되면, 컨트롤러(70)는 냉매 누설 신호의 송신원의 냉매 누설 센서(60)가 설치되어 있는 대상 공간(SP)[즉,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실내 팬(33)을 최대 회전수로 구동시킨다. 또한, 공조 장치(10)의 그 밖의 액추에이터의 구동을 정지시켜, 냉매의 순환을 정지시킨다. 또한, 컨트롤러(70)는 강제 환기 신호를 어댑터 유닛(50)으로 송신한다. 강제 환기 신호를 수신한 어댑터 유닛(50)은, (회전수를 최대로 지정한) 회전수 제어 신호를 환기 장치(40)로 송신한다. 그 결과, 환기 장치(40)가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양쪽이 회전수 최대(최대 풍량)로 구동하고,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환기가 행하여진다. 또한, 컨트롤러(70)는 리모컨(35) 및 집중 관리 기기(38)에 표시시켜서, 냉매 누설이 발생하고 있는 취지를 유저에게 통지한다. 이러한 상태가 유저나 서비스맨에 의해 해제될 때까지 계속된다.
(7) 공조 시스템(100)의 특징
(7-1)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어댑터 유닛(50)은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통지 신호를, 컨트롤러(70)로 정기적으로 송신하고 있다. 즉, 어댑터 유닛(50)은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정기적으로 컨트롤러(70)로 상태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70)는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태 통지 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신되고 있지 않은 어댑터 유닛(50)이 설치된 대상 공간(SP)[즉,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금지하고 있다(즉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거나 또는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있음). 즉, 컨트롤러(70)는 환기용의 환기 팬(43, 44)을 포함해 대상 공간(SP)의 환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4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여기서는, 컨트롤러(70)가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의해,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환기 장치(40)가 적정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나,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행하여지지 않는 경우, 또한 환기 장치(40)가 기계적으로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경우에는, 컨트롤러(70)로 상태 통지 신호가 송신되지 않는다. 즉, 환기 장치(40)로부터의 신호가 컨트롤러(70)에 입력되는 상태를 확립함으로써, 설치 현장에 있어서, 공조 장치(10)와 환기 장치(40) 사이의 전기 통신 계통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 결과,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환기 장치(40)가 공조 장치(10)와는 독립하여 설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경우에 한해서 공조 장치(10)의 운전이 이루어지게 되어 있다. 즉,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 확실하게 환기가 행하여지면 상정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는, 공조 장치(10)의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따라서,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 장치(40)가 운전되는 등의 대책이 확실하게 확립된 상태에서 공조 장치(10)의 운전을 행할 수 있어, 냉매 누설에 대한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되고 있다.
특히, 여기에서는, 냉매 회로(RC)에 봉입되는 냉매가 미연소성, 연소성 또는 독성을 갖기 때문에, 냉매가 대상 공간(SP)에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 장치(40)가 운전되는 등의 대책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가연 농도 또는 독성 한계 농도를 초과해버려, 착화 사고나 중독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실내 멀티형의 공조 장치(10)를 설치하는데 있어서, 설치 현장에 있어서, 냉매가 누설되었을 때에 환기 장치(40)의 운전에 의해 환기가 행하여지는 것이 확실한 상태에 한해서 공조 장치(10)의 운전이 행해지므로, 냉매의 누설에 의한 착화 사고나 중독 사고의 발생을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7-2)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어댑터 유닛(50)은 급기 팬(43), 배기 팬(44), 구동부[급기 팬 모터(43a) 및 배기 팬 모터(44a)] 및 본체 프레임(41)을 포함하는 환기 장치(40)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 어댑터 유닛(50)이 환기 장치(40)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도, 어댑터 유닛(50)을 새롭게 부가함으로써, 적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범용성이 향상되고 있어,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도 보안성을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7-3)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환기 장치(40)는 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팬 구동 제어부(45)와, 어댑터 유닛(5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451)를 갖고, 팬 구동 제어부(45)는 접속 단자(451)를 통하여 입력된 제어 신호(회전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 전압을 공급한다. 이에 의해,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용이하게 어댑터 유닛(50)을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7-4)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컨트롤러(70)는 어댑터 유닛(50)으로 신호(예를 들어 강제 환기 운전 개시 신호 등)를 송신하고, 어댑터 유닛(50)은 수신한 신호에 기초하여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기존의 공조 장치(10)의 전송로를 사용해서 원격적으로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되고 있어, 비용을 억제하면서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어 있다.
(7-5)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컨트롤러(70)는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환기 장치(40)에 관련지어진 실내 유닛(30)의 동작과 연동하도록 제어(그룹 제어)하고 있다. 이에 의해, 상황에 따라, 환기 장치(40)를, 공조 장치(10)의 동작에 연동해서 운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고 있다.
(7-6)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컨트롤러(70)가, 복수의 실내 유닛(30) 및 복수의 환기 장치(40)를, 각 기기가 설치되는 대상 공간(SP)에 기초하여, 그룹으로 나누고, 그룹마다 실내 유닛(30) 및 환기 장치(40)를 일괄 제어(그룹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실내 유닛(30)과 환기 장치(40)를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어, 편리성이 향상되고 있다.
또한, 복수의 실내 유닛(30)을 갖는 실내 멀티형의 공조 장치(10)와, 환기 장치(40)가 독립되어 설치되는 구성에 있어서도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되도록 되어 있다.
(7-7)
공조 시스템(100)에서는, 컨트롤러(70)와 어댑터 유닛(50)이, 통신선(CB1 또는 CB2)[즉, 실내 유닛(30)과 리모컨(35)을 연결하는 통신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상태 통지 신호의 전송로[즉, 네트워크(NW)]가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기존의 공조 장치(10)의 통신선을 사용해서 통신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있어, 통신 네트워크의 구축에 관한 비용이 억제되고 있다.
(8) 변형예
상기 실시 형태는, 이하의 변형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절히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각 변형예는 모순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변형예와 조합해서 적용되어도 된다.
(8-1) 변형예 A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대상 공간(SP)이 2개(SP1 및 SP2)인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대상 공간(SP)은 3개 이상이어도 되고, 하나라도 된다.
또한, 대상 공간(SP)에는 2대의 실내 유닛(30)과 1대의 환기 장치(40)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대상 공간(SP)에 설치되는 실내 유닛(30)의 대수는 1대라도 되고, 3대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대상 공간(SP)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40)의 대수는, 2대 이상이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어댑터 유닛(50)은 환기 장치(40)의 대수에 따라서 적절히 설치되면 된다.
(8-2) 변형예 B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환기 장치(40)는 2개의 환기 팬[급기 팬(43) 및 배기 팬(44)]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환기 장치(40)는, 반드시 2개의 환기 팬을 갖고 있을 필요는 없다. 즉, 환기 장치(40)는 하나의 환기 팬만을 갖는 것이라도 된다. 이러한 경우, 본체 프레임(41) 내의 공기 유로[급기 유로(41a) 및 배기 유로(41b)]에 대해서는, 한쪽을 생략하면 된다.
또한, 환기 장치(40)는 열 교환기(42)를 포함하고 있었지만, 열 교환기(42)에 대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 않으며, 적절히 생략 가능하다.
또한, 환기 팬으로서 시로코 팬이 채용되었지만, 예를 들어 프로펠러 팬 등의 다른 팬이 환기 팬으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또한, 환기 장치(40)는 반드시 대상 공간(SP)의 천장 이면 공간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대상 공간(SP)의 환기가 가능한 한, 설치 형태에 대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환기 장치(40)는 대상 공간(SP)의 벽 뒤나 바닥 하부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환기 장치(40)는 대상 공간(SP)과 덕트 등으로 연통하는 기계실 등에 설치되어도 된다.
(8-3) 변형예 C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환기 장치(40)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팬 구동 제어부(45)를 갖고 있었다. 그러나 환기 장치(40)에 있어서, 팬 구동 제어부(45)는 인버터를 반드시 포함할 필요는 없다. 즉, 환기 팬의 회전수를 조정 불가한 것이, 환기 장치(40)로서 채용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회전수 제어 신호는 환기 장치(40)의 발정(發停)을 전환하는 신호가 된다.
(8-4) 변형예 D
상기 실시 형태의 공조 시스템(100)은, 도 9에 나타내는 공조 시스템(200)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하, 공조 시스템(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공조 시스템(100)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공조 시스템(200)에서는, 환기 장치[40(40a 및 40b)] 대신에 환기 장치[80(80a 및 80b)]가 배치되고, 어댑터 유닛[50(50a 및 50b)] 대신에 어댑터 유닛[90(90a 및 90b)]이 배치되어 있다.
환기 장치(80)는, 하나의 환기 팬(81)과, 환기 팬(81)의 구동부에 상당하는 환기 팬 모터(81a)를 갖고 있다. 또한, 환기 팬(81)은 환기 팬 모터(81a)의 구동 회로(82)(팬 구동 제어부)를 갖고 있다.
어댑터 유닛(90)은, 상용 전원(5) 및 환기 장치(80) 사이에 배치되고, 상용 전원(5) 및 환기 장치(80)와 직렬로 접속되어 있다. 즉, 어댑터 유닛(90)은 상용 전원(5)과 환기 장치(80)를 연결하는 전원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어 있다.
어댑터 유닛(90)은, 상용 전원(5)으로부터 환기 팬 모터(81a)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환부(91)를 갖고 있다. 전환부(91)는, 트랜지스터 등의 반도체 스위치나, 전자 릴레이 등이다. 또한, 어댑터 유닛(90)은 전환부(91)로 구동 전압을 공급해서 전환부(91)의 개폐를 전환하는 전환 제어부(92)를 갖고 있다.
공조 시스템(200)에서는, 어댑터 유닛(90)에 있어서 전환부(91)의 상태가 전환됨으로써, 환기 장치(80)로의 전원 공급 라인의 도통 및 차단이 전환되는 동시에 환기 팬(81)의 발진 정지가 전환된다. 구체적으로, 어댑터 유닛(90)은 유저 또는 컨트롤러(70)로부터 환기 운전을 개시하는 커맨드가 입력된 경우 및 컨트롤러(70)로부터 강제 환기 운전 개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전환부(91)를 폐쇄 상태로 제어해서 환기 팬(81)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200)에 의한 경우,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환기 제어부로서의 어댑터 유닛(90)을 새롭게 부가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진다. 즉, 환기 장치(40)와 같은 접속 단자(451)를 갖고 있지 않은 환기 장치(80)에 있어서도 적용 가능해지고, 시공 후의 공조 시스템에 있어서, 환기 장치의 형식에 한정되지 않고 환기 제어부로서의 어댑터 유닛(90)을 새롭게 부가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따라서, 범용성이 더욱 향상된다.
또한, 공조 시스템(200)에서는 어댑터 유닛(90)의 전환부(91)가, 상용 전원(5) 및 구동 회로(82) 사이에 배치되어 있지만, 구동 회로(82) 및 환기 팬 모터(81a) 사이에 있어서 구동 회로(82) 및 환기 팬 모터(81a)와 직렬로 배치되어도 된다.
(8-5) 변형예 E
상기 실시 형태의 공조 시스템(100)은, 도 10에 도시하는 공조 시스템(300)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공조 시스템(300)에서는,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와, 어댑터 유닛(50)이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고, 전파 또는 적외선을 사용한 소위 무선 통신에 의해 신호의 송수신을 행하고 있다.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공조 시스템(100)과 대략 동일하다.
이러한 공조 시스템(300)에 의한 경우,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어댑터 유닛(50)을 접속하는 통신선을 처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네트워크(NW)를 구축하는 것이 용이하다.
(8-6) 변형예 F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소정 시간 t1은 1min으로 설정되고, 소정 시간 t2는 3min으로 설정되어 있었다. 그러나 소정 시간 t1 및 t2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소정 시간 t1은 30sec로 설정되어도 되고 10min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소정 시간 t2는 1.5min으로 설정되어도 되고 30min으로 설정되어도 된다.
(8-7) 변형예 G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환기 장치(40)의 발진 정지나 회전수를 전환하는 독립된 리모컨은 설치되어 있지 않았지만, 이러한 리모컨을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또한, 이러한 리모컨에 관한 기능을 어댑터 유닛(50)에 설치해도 된다.
(8-8) 변형예 H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하나의 냉매 누설 센서(60)가 설치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상 공간(SP)에 2개 이상의 냉매 누설 센서(60)를 배치해도 된다.
또한, 냉매 누설 센서(60)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을 검출 가능한 위치에 배치되는 한,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냉매 누설 센서(60)는 실내 유닛(30)에 배치되어도 되고, 리모컨(35)에 배치되어도 되고, 환기 장치(40)에 배치되어도 되고, 또한 어댑터 유닛(50)에 배치되어도 된다.
(8-9) 변형예 I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어댑터 유닛(50)은 대상 공간(SP)에 독립해서 배치되었다. 그러나 어댑터 유닛(50)은, 환기 장치(40) 및 컨트롤러(70)와 통신 가능한 한, 배치 형태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어댑터 유닛(50)은 실외 유닛(20) 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실내 유닛(30) 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리모컨(35) 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집중 관리 기기(38) 내에 배치되어도 되고, 또한 환기 장치(40) 내에 배치되어도 된다.
또한, 어댑터 유닛(50)은 대상 공간(SP)으로부터 이격된 원격지에 있어서 독립해서 배치되어도 된다. 이러한 경우, 어댑터 유닛(50)은 환기 장치(40) 및 컨트롤러(70)와 LAN이나 WAN 등의 네트워크로 접속되면 된다.
(8-10) 변형예 J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그루핑 테이블 TB1에 있어서, 2개의 그룹[그룹 1 및 그룹 2]이 구성되고, 각 그룹에, 2대의 실내 유닛(30)과, 1대의 환기 장치(40)와, 1개의 냉매 누설 센서(60)가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그루핑 테이블 TB1에 있어서 구성되는 그룹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하나이어도 되고, 3개 이상이어도 된다. 또한, 그룹에 포함되는 실내 유닛(30), 환기 장치(40), 냉매 누설 센서(60)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8-11) 변형예 K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공조 장치(10) 및 환기 장치(40)가 이미 설치되어 있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어댑터 유닛(50)을 추가적으로 설치함으로써, 공조 시스템(100)이 구성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대상 공간(SP)에 공조 장치(10) 및 환기 장치(40)를 신규로 설치할 때에, 어댑터 유닛(50)도 아울러 설치하여, 공조 시스템(100)을 구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8-12) 변형예 L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어댑터 유닛(50)은 상태 판정에 있어서, 구동 지령 또는 회전수 제어 신호에 대한 환기 장치(40)의 동작이 정상인지 여부[즉, 정지 상태에 있는 경우에 구동 지령을 받아서 정상적으로 구동하는지 여부, 또는 급기 팬(43) 또는 배기 팬(44)의 회전수가 송신한 최근의 회전수 제어 신호와 합치하는지 여부]에 의해,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지 여부를 판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어댑터 유닛(50)은 상태 판정에 관한 처리로서, 정기적으로 환기 장치(40)로 전송 신호를 송신하고, 당해 전송 신호에 대한 환기 장치(40)의 응답이 있는 경우에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전송 신호를 소정 횟수(예를 들어 3회) 송신해도 당해 전송 신호에 대한 환기 장치(40)의 응답이 없는 경우에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지 않은[즉,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한, 환기 장치(40)에 온도 센서(도시 생략) 등의 센서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어댑터 유닛(50)이 당해 센서의 검출 결과를 정상적으로 수신 가능한 경우에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다고 판정하고, 정상적으로 수신할 수 없는 경우에 환기 장치(40)와의 통신이 정상적으로 가능하지 않은[즉,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8-13) 변형예 M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70)는 그룹 설정부(74)를 포함하고, 공조 시스템(100)에 포함되는 기기[실내 유닛(30) 및 환기 장치(40) 등]에 관하여, 그룹 제어를 행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공조 시스템(100)에 있어서는, 그룹 제어는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그룹 설정부(74)에 대해서는 생략 가능하다.
(8-14) 변형예 N
상기 실시 형태의 공조 시스템(100)은, 도 11에 도시하는 공조 시스템(500)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 이하, 공조 시스템(5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공조 시스템(100)과 공통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은, 공조 시스템(500)에 있어서 구성되는 냉매 회로(RC) 및 전송로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공조 시스템(500)에 있어서는, 어댑터 유닛[50(50a 및 50b)] 대신에 어댑터 유닛[95(95a 및 95b)]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공조 시스템(500)에서는,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와, 어댑터 유닛(95)이 통신선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아, 전파 또는 적외선을 사용한 소위 무선 통신을 행하고 있다.
공조 시스템(500)에서는, 어댑터 유닛(95)이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로 신호(상태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는 어댑터 유닛(95)이 송신한 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어댑터 유닛(95)에 대하여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다. 즉, 공조 시스템(500)에서는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 및 어댑터 유닛(95) 사이의 통신은, 공조 시스템(100)과 같이 쌍방향이 아닌, 일방향이다.
공조 시스템(500)에서는, 냉매 누설 센서(60)가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와는 접속되어 있지 않고, 어댑터 유닛(9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되는 공조 시스템(500)에 의해서도, 본 발명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어댑터 유닛(95)이 환기 장치(40)를 정상적으로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어서, 정기적으로 상태 통지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컨트롤러(70)는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태 통지 신호를 정상적으로 송신되고 있지 않은 어댑터 유닛(95)이 설치된 대상 공간(SP)[즉,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정상적으로 제어할 수 없는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금지한다(즉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거나 또는 운전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함).
그 결과,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환기 장치(40)가 공조 장치(10)와는 독립하여 설치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환기 장치(40)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경우에 한해서 공조 장치(10)의 운전이 행하여진다. 즉,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 확실하게 환기가 행하여지면 상정되지 않은 상황에 있어서는, 공조 장치(10)의 운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냉매 누설에 대한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된다.
또한, 공조 시스템(500)에 있어서는, 컨트롤러(70)의 강제 환기 제어부(77) 및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Fa 및 Fb)에 상당하는 기능부가 어댑터 유닛(95)에 설치되고, 어댑터 유닛(95)이,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의 강제 환기에 관한 제어를 행한다.
즉, 공조 시스템(500)에서는, 냉매 누설 센서(60)는 냉매 누설을 검지했을 때, 냉매 누설 신호를, 컨트롤러(70)에 대해서가 아닌, 접속되어 있는 어댑터 유닛(95)에 대하여 송신한다. 어댑터 유닛(95)은 냉매 누설 신호를 수신하면, 대응하는 환기 장치(40)를 최대 회전수(최대 풍량)로 구동시킨다. 그 결과, 공조 시스템(500)에 의해서도, 대상 공간(SP)에 있어서 냉매 누설이 발생되었을 때에, 강제 환기 운전이 행하여진다.
또한, 공조 시스템(500)에 있어서, 실내 유닛 제어부(34)[컨트롤러(70)] 및 어댑터 유닛(95) 사이를 통신선으로 접속하고, 무선 통신이 아닌 유선 통신이 행해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8-15) 변형예 O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어댑터 유닛(50)은 실내 유닛 제어부(34)와 통신선(CB1 또는 CB2)으로 접속됨으로써, 컨트롤러(70)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었다. 그러나 어댑터 유닛(50)은, 컨트롤러(70)의 다른 요소[리모컨(35), 실외 유닛 제어부(26), 또는 집중 관리 기기(38) 등]와, 유선 또는 무선 네트워크로 접속됨으로써, 컨트롤러(70)와 통신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8-16) 변형예 P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01, S202의 그루핑 설정 및 그룹 테이블의 생성(또는 갱신)이 이루어진 후는 스텝 S205, ST206에 있어서, 환기 장치(40)의 상태에 의해,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개시할지 금지할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즉,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컨트롤러(70)에 환기 장치(4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가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여기서는, 컨트롤러(70)가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고, 컨트롤러(70)가 상태 통지 신호를 수신하고 있을 경우에는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개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개시할지 금지할지에 대해서서는, 냉매 누설 센서(60)의 상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기 장치(40)의 강제 환기 운전을 포함한 공조 장치(10)의 운전 시에, 냉매 누설 센서(60)가 정상적으로 냉매 누설의 유무를 검출하고 있는 것이 전제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텝 S201, S202의 그루핑 설정 및 그룹 테이블의 생성(또는 갱신)이 이루어진 후에, 스텝 S210에 있어서, 컨트롤러(70)에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가 확립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 판정으로서는, 냉매 누설 센서(60)와 컨트롤러(70) 사이에서 단선이 발생하고 있는지 여부를 이용해도 되고, 또한 냉매 누설 센서(60)가 환기 장치(40)측과 마찬가지인 통신 기능을 갖는 경우에는, 냉매 누설 센서(60)가 정상적으로 동작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상태 통지 신호를 컨트롤러(70)가 수신하고 있는지 여부를 이용해도 된다. 그리고 컨트롤러(70)에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는 상태가 확립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S211에 있어서,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개시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실내 유닛(30)[공조 장치(10)]의 운전을 금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 후, 환기 장치(40)의 상태 통지 신호의 유무 판정을 포함하는 스텝 S203 내지 S209의 처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의 신호가 컨트롤러(70)에 입력되는 상태를 확립함으로써, 설치 현장에 있어서, 공조 장치(10)와 냉매 누설 센서(60) 사이의 전기 통신 계통의 접속이 확실하게 이루어져, 냉매 누설에 대한 보안성이 확실하게 담보된다.
본 발명은, 운전 시에 냉매 회로에 있어서 냉매를 순환시켜서 대상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하는 공조 장치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에 적용 가능하다.
5 : 상용 전원
10 : 공조 장치
20 : 실외 유닛
26 : 실외 유닛 제어부
30(30a-30d) : 실내 유닛
34 : 실내 유닛 제어부
35 (35a, 35b) : 리모컨
38 : 집중 관리 기기
40(40a, 40b), 80 : 환기 장치
41 : 본체 프레임(프레임)
41a : 급기 유로
41b : 배기 유로
42 : 열 교환기
43 : 급기 팬(환기 팬)
43a : 급기 팬 모터
44 : 배기 팬(환기 팬)
44a : 배기 팬 모터
45 : 환기 팬 제어부(구동부, 구동 전압 공급부)
50, 90 : 어댑터 유닛(환기 제어부)
50a : 제1 어댑터 유닛
50b : 제2 어댑터 유닛
51 : 어댑터 유닛 기억부
51a :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
51b : 풍량 판별 플래그
52 : 어댑터 유닛 통신부
53 : 어댑터 유닛 입력부
54 : 어댑터 유닛 제어부
55 : 상태 판정부
60 : 냉매 누설 센서
60a : 제1 냉매 누설 센서
60b : 제2 냉매 누설 센서
70 : 컨트롤러(공조 제어부, 통괄 제어부)
71 : 기억부
71a, 71b : 상태 판별 플래그
72 : 통신부
73 : 입력 제어부
74 : 그룹 설정부
75 : 액추에이터 제어부
76 : 운전 허가부
77 : 강제 환기 제어부
78 : 표시 제어부
81 : 환기 팬
81a : 환기 팬 모터
82 : 구동 회로(구동부)
91 : 전환부
92 : 전환 제어부
100, 200, 300, 500 : 공조 시스템
401 : 도입 덕트
402 : 급기 덕트
403 : 취출 덕트
404 : 배기 덕트
411 : 전장품 상자
451 : 접속 단자
CB1, CB2 : 통신선
EA : 배출 공기
Fa, Fb :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
G1, G2 :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P : 가스 연락 배관
LP : 액 연락 배관
NW : 네트워크(전송로)
OA : 실외 공기
RA : 실내 공기
RC : 냉매 회로
SA : 공급 공기
SP(SP1, SP2) : 대상 공간
TB1 : 그루핑 테이블
10 : 공조 장치
20 : 실외 유닛
26 : 실외 유닛 제어부
30(30a-30d) : 실내 유닛
34 : 실내 유닛 제어부
35 (35a, 35b) : 리모컨
38 : 집중 관리 기기
40(40a, 40b), 80 : 환기 장치
41 : 본체 프레임(프레임)
41a : 급기 유로
41b : 배기 유로
42 : 열 교환기
43 : 급기 팬(환기 팬)
43a : 급기 팬 모터
44 : 배기 팬(환기 팬)
44a : 배기 팬 모터
45 : 환기 팬 제어부(구동부, 구동 전압 공급부)
50, 90 : 어댑터 유닛(환기 제어부)
50a : 제1 어댑터 유닛
50b : 제2 어댑터 유닛
51 : 어댑터 유닛 기억부
51a : 운전 커맨드 판별 플래그
51b : 풍량 판별 플래그
52 : 어댑터 유닛 통신부
53 : 어댑터 유닛 입력부
54 : 어댑터 유닛 제어부
55 : 상태 판정부
60 : 냉매 누설 센서
60a : 제1 냉매 누설 센서
60b : 제2 냉매 누설 센서
70 : 컨트롤러(공조 제어부, 통괄 제어부)
71 : 기억부
71a, 71b : 상태 판별 플래그
72 : 통신부
73 : 입력 제어부
74 : 그룹 설정부
75 : 액추에이터 제어부
76 : 운전 허가부
77 : 강제 환기 제어부
78 : 표시 제어부
81 : 환기 팬
81a : 환기 팬 모터
82 : 구동 회로(구동부)
91 : 전환부
92 : 전환 제어부
100, 200, 300, 500 : 공조 시스템
401 : 도입 덕트
402 : 급기 덕트
403 : 취출 덕트
404 : 배기 덕트
411 : 전장품 상자
451 : 접속 단자
CB1, CB2 : 통신선
EA : 배출 공기
Fa, Fb : 냉매 누설 판별 플래그
G1, G2 : 운전 가부 판별 플래그
GP : 가스 연락 배관
LP : 액 연락 배관
NW : 네트워크(전송로)
OA : 실외 공기
RA : 실내 공기
RC : 냉매 회로
SA : 공급 공기
SP(SP1, SP2) : 대상 공간
TB1 : 그루핑 테이블
Claims (10)
- 실외 유닛(20)과, 상기 실외 유닛과 함께 냉매 회로(RC)를 구성해 대상 공간(SP)에 설치되는 실내 유닛(30)을 포함하고, 운전 시에 상기 냉매 회로에 있어서 냉매를 순환시켜서 상기 대상 공간의 냉방 또는 난방을 행하는 공조 장치(10)와,
환기용의 환기 팬(43, 44, 81)을 포함하고, 상기 대상 공간에 설치되는 환기 장치(40)와,
상기 공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 제어부(70)와,
상기 환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기 제어부(50, 90)
를 구비하고,
상기 공조 제어부는, 환기용의 환기 팬(43, 44, 81)을 포함해 상기 대상 공간의 환기를 행하는 환기 장치(40) 또는 상기 대상 공간에 있어서의 냉매 누설을 검지하는 냉매 누설 센서(60)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공조 장치의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는, 공조 시스템(100, 200, 300, 500).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환기 제어부(50, 9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환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 가능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공조 제어부로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공조 제어부는, 상기 통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환기 장치로부터의 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인 것으로서, 상기 공조 장치의 운전을 개시시키지 않는, 공조 시스템(100, 200, 300, 500).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환기 팬을 구동시키는 구동부(45, 82)와, 상기 환기 팬을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41)을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 장치와는 별개의 부재로서 구성되는, 공조 시스템(100, 200, 300, 500).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기 환기 팬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구동 전압 공급부(45)와, 상기 환기 제어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 단자(451)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환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 장치로 제어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구동 전압 공급부는, 상기 접속 단자를 통하여 입력된 상기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공조 시스템(100, 300). -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장치는, 상용 전원(5)으로부터 구동 전원이 공급되고,
상기 환기 제어부는, 상기 환기 장치와 상기 상용 전원을 연결하는 전원 공급 라인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전원 공급 라인의 도통 및 차단을 전환하는 전환부(91)를 포함하는, 공조 시스템(200). -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제어부는, 상기 환기 제어부로 전기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환기 제어부는, 수신한 상기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공조 시스템(100, 200, 300).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제어부는, 상기 전기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상기 환기 장치에 관련지어진 상기 실내 유닛의 동작에 연동 하도록 제어하는, 공조 시스템(100, 200, 300).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실내 유닛 및/또는 상기 환기 장치를 복수 구비함과 함께,
복수의 상기 실내 유닛 및/또는 복수의 상기 환기 장치의 동작을 통괄적으로 제어하는 통괄 제어부(70)를 더 구비하고,
각 상기 환기 장치는, 어느 상기 실내 유닛과 동일한 상기 대상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통괄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실내 유닛 및/또는 복수의 상기 환기 장치를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상기 그룹마다 상기 실내 유닛 및 상기 환기 장치를 일괄 제어하는, 공조 시스템(100, 200, 300). - 제2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 제어부는, 무선 통신에 의해 상기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공조 시스템(300, 500).
- 제2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조 제어부와 상기 환기 제어부는, 상기 통지 신호의 전송로(NW)를 구성하는 통신선(CB1, CB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공조 시스템(100, 20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029983 | 2015-02-18 | ||
JP2015029983A JP6528446B2 (ja) | 2015-02-18 | 2015-02-18 | 空気調和装置 |
JPJP-P-2015-093550 | 2015-04-30 | ||
JP2015093550A JP6708369B2 (ja) | 2015-04-30 | 2015-04-30 | 空調換気システム |
PCT/JP2016/053232 WO2016132906A1 (ja) | 2015-02-18 | 2016-02-03 | 空調システ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7519A true KR20170117519A (ko) | 2017-10-23 |
KR102095757B1 KR102095757B1 (ko) | 2020-04-01 |
Family
ID=56692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5767A KR102095757B1 (ko) | 2015-02-18 | 2016-02-03 | 공조 시스템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10488072B2 (ko) |
EP (1) | EP3260791B1 (ko) |
KR (1) | KR102095757B1 (ko) |
CN (1) | CN107250683B (ko) |
AU (1) | AU2016221001B2 (ko) |
ES (1) | ES2733800T3 (ko) |
WO (1) | WO20161329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119738B2 (en) | 2014-09-26 | 2018-11-06 | Waterfurnace International Inc. |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vapor injection compressor |
JP6168113B2 (ja) * | 2015-08-11 | 2017-07-26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調室内機 |
JP6613734B2 (ja) * | 2015-09-04 | 2019-12-0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調システム |
AU2016393002B2 (en) * | 2016-02-19 | 2019-05-1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Wireless control system |
AU2016397074B2 (en) * | 2016-03-10 | 2019-09-26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JP6250236B1 (ja) * | 2016-03-23 | 2017-12-20 | 三菱電機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装置 |
AU2016404975B2 (en) * | 2016-04-27 | 2019-06-13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JP6428717B2 (ja) * | 2016-07-15 | 2018-11-2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システム |
JP6636173B2 (ja) * | 2016-11-22 | 2020-01-29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及び空気調和システム |
EP3572744B1 (en) * | 2017-01-19 | 2022-06-22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Refrigeration cycle apparatus |
CN110291338B (zh) * | 2017-01-20 | 2022-01-18 | 三菱电机株式会社 | 空气调节装置 |
ES2968240T3 (es) * | 2017-05-24 | 2024-05-08 | Mitsubishi Electric Corp | Sistema de acondicionamiento de aire |
US10712041B2 (en) | 2017-06-15 | 2020-07-14 | Sanyo Denki Co., Ltd. | Cooling fan automatic control system and cooling fan automatic control device |
US11060746B2 (en) * | 2017-12-01 | 2021-07-13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and responding to refrigerant leaks i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systems |
US11592215B2 (en) | 2018-08-29 | 2023-02-28 | Waterfurnace International, Inc. | Integrated demand water heating using a capacity modulated heat pump with desuperheater |
JP7178550B2 (ja) * | 2018-09-27 | 2022-11-28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換気空調システム及び外気導入ファン |
JP2020051736A (ja) * | 2018-09-28 | 2020-04-02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熱負荷処理システム |
US10941953B2 (en) | 2018-10-17 | 2021-03-09 | Lennox Industries Inc. | HVAC system and method of circulating flammable refrigerant |
US10767882B2 (en) * | 2018-10-17 | 2020-09-08 | Lennox Industries Inc. | Refrigerant pump down for an HVAC system |
EP3889514A4 (en) * | 2018-11-30 | 2022-08-24 | Hitachi-Johnson Controls Air Conditioning, Inc. | LEAK DETECTION DEVICE AND LEAK DETECTION SYSTEM |
US11143428B2 (en) * | 2019-01-24 | 2021-10-12 |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 HVAC unit fan control systems and methods |
CN113728203B (zh) | 2019-04-15 | 2022-10-11 | 大金工业株式会社 | 空调系统 |
JP6860106B2 (ja) * | 2019-04-15 | 2021-04-1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JP6761890B1 (ja) * | 2019-04-15 | 2020-09-3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CN110044033A (zh) * | 2019-04-29 | 2019-07-23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空调的制冷剂泄漏检测方法、系统及空调 |
JP6753486B1 (ja) * | 2019-05-10 | 2020-09-0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US11662109B2 (en) | 2019-06-05 | 2023-05-30 | Carrier Corporation | Enclosure for gas detector |
JP6849021B2 (ja) * | 2019-07-12 | 2021-03-2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冷凍サイクルシステム |
US11231198B2 (en) | 2019-09-05 | 2022-01-25 | Trane International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refrigerant leak detection in a climate control system |
JP7157722B2 (ja) * | 2019-09-30 | 2022-10-2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調換気システム |
JP6978696B2 (ja) | 2019-09-30 | 2021-12-08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調換気システム |
FR3102237A1 (fr) * | 2019-10-16 | 2021-04-23 | Systemair AC | Dispositif d'évacuation d’un gaz inflammable à l'intérieur d'un climatiseur ou d'une pompe à chaleur |
JP6997392B2 (ja) * | 2020-02-05 | 2022-02-0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JP7057519B2 (ja) | 2020-02-05 | 2022-04-20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US11512867B2 (en) | 2020-03-12 | 2022-11-29 |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 Refrigerant detection and control of HVAC system |
GB2610983C (en) * | 2020-07-13 | 2024-04-17 | Mitsubishi Electric Corp | Air-conditioning apparatus |
US11125457B1 (en) * | 2020-07-16 | 2021-09-21 |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 Refrigerant leak sensor and mitigation device and methods |
US11885516B2 (en) * | 2020-08-07 | 2024-01-30 | Copeland Lp | Refrigeration leak detection |
US20220065474A1 (en) * | 2020-08-28 | 2022-03-03 | Crosby & Belle Yoga, LLC | Environment management system |
EP4008975A1 (en) * | 2020-12-01 | 2022-06-08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Air conditioning system |
JP7260806B2 (ja) * | 2021-04-27 | 2023-04-19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調システム、その運転制御方法、及び空調システムの運転制御装置 |
JP7177366B2 (ja) | 2021-04-28 | 2022-11-24 |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 空気調和装置の据え付け支援システム、据え付け支援装置、及び据え付け支援方法 |
US11739962B2 (en) * | 2021-07-09 | 2023-08-29 |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 Systems and methods for leak detection and management in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systems |
US12117191B2 (en) | 2022-06-24 | 2024-10-15 | Trane International Inc. | Climate control system with improved leak detector |
JP7229450B1 (ja) * | 2022-08-24 | 2023-02-27 |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 空気調和機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4283A (ja) | 1999-09-07 | 2001-03-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換気システム |
JP2003227662A (ja) * | 2002-02-06 | 2003-08-15 |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 安全確認機能を有する三重効用吸収冷温水機 |
JP2005049001A (ja) * | 2003-07-28 | 2005-0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 |
JP2014173815A (ja) * | 2013-03-12 | 2014-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07538U (ja) | 1983-06-29 | 1985-01-19 | 矢崎総業株式会社 | 換気扇の制御装置 |
JPH04309744A (ja) | 1991-04-04 | 1992-11-02 | Kubota Corp | 換気空調設備 |
CN2233533Y (zh) | 1995-07-07 | 1996-08-21 | 张定成 | 空调房节能换气装置 |
JPH09318208A (ja) * | 1996-06-03 | 1997-12-12 | Daikin Ind Ltd | 可燃性冷媒を用いた冷凍装置 |
CN100455933C (zh) | 2005-02-24 | 2009-01-28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
JP2008267795A (ja) * | 2007-03-27 | 2008-11-06 | Daikin Ind Ltd | 空調管理システム |
JP5478108B2 (ja) * | 2009-04-23 | 2014-04-23 | 三菱電機株式会社 | 空気調和システム |
JPWO2011141959A1 (ja) | 2010-05-12 | 2013-07-22 | 三菱電機株式会社 | 切換装置及び空気調和装置 |
JP2012013348A (ja) * | 2010-07-02 | 2012-01-19 | Panasonic Corp | 空気調和機 |
CN202119010U (zh) | 2011-05-26 | 2012-01-18 |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 空调器 |
CN202188563U (zh) | 2011-07-14 | 2012-04-11 | 广东美的电器股份有限公司 | 一种使用可燃冷媒的空调器 |
US9875810B2 (en) * | 2013-07-24 | 2018-01-23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Self-identifying memory errors |
-
2016
- 2016-02-03 AU AU2016221001A patent/AU2016221001B2/en active Active
- 2016-02-03 US US15/551,527 patent/US10488072B2/en active Active
- 2016-02-03 ES ES16752293T patent/ES2733800T3/es active Active
- 2016-02-03 WO PCT/JP2016/053232 patent/WO2016132906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6-02-03 EP EP16752293.7A patent/EP3260791B1/en active Active
- 2016-02-03 KR KR1020177025767A patent/KR1020957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02-03 CN CN201680010208.9A patent/CN107250683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074283A (ja) | 1999-09-07 | 2001-03-23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換気システム |
JP3810960B2 (ja) * | 1999-09-07 | 2006-08-16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換気システム |
JP2003227662A (ja) * | 2002-02-06 | 2003-08-15 | Kawasaki Thermal Engineering Co Ltd | 安全確認機能を有する三重効用吸収冷温水機 |
JP2005049001A (ja) * | 2003-07-28 | 2005-02-24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空気調和機 |
JP2014173815A (ja) * | 2013-03-12 | 2014-09-22 | Mitsubishi Electric Corp | 空気調和機のサポートシステ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180045424A1 (en) | 2018-02-15 |
AU2016221001B2 (en) | 2018-11-01 |
EP3260791A4 (en) | 2018-03-28 |
WO2016132906A1 (ja) | 2016-08-25 |
KR102095757B1 (ko) | 2020-04-01 |
EP3260791B1 (en) | 2019-04-10 |
CN107250683B (zh) | 2020-04-07 |
CN107250683A (zh) | 2017-10-13 |
ES2733800T3 (es) | 2019-12-03 |
EP3260791A1 (en) | 2017-12-27 |
US10488072B2 (en) | 2019-11-26 |
AU2016221001A1 (en)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95757B1 (ko) | 공조 시스템 | |
JP6708369B2 (ja) | 空調換気システム | |
JP6572622B2 (ja) | 空調換気システム | |
US10655884B2 (en) | Air conditioner | |
US10605479B2 (en) | Air-conditioning system | |
JP6168113B2 (ja) | 空調室内機 | |
KR101591886B1 (ko) | 공기조화기 시스템 | |
JP6572628B2 (ja) | 空調換気システム | |
EP3447406A1 (en) | Fan drive circuit for heat pump device | |
EP3792565B1 (en) | Air conditioning system | |
JP6558066B2 (ja) | 空調換気システム | |
CN110603412A (zh) | 空调系统及其制冷剂量设定方法 | |
EP2853824B1 (en) | Air-conditioning system | |
JP2019174110A (ja) | 空調換気システム | |
JP5474016B2 (ja) | 空調システム | |
WO2019097604A1 (ja) | ダクト式空気調和機 | |
JP6558065B2 (ja) | 空調換気システム | |
KR101657559B1 (ko) | 공기조화기 시스템 | |
KR20170094593A (ko) | 공기조화기 및 공기조화기 용 제어기 | |
JP2014231945A (ja) | 空調システム | |
JP2005265340A (ja) | プラント建屋内空調システム | |
JP2010243026A (ja) | 換気空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