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85947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85947A KR20170085947A KR1020160166675A KR20160166675A KR20170085947A KR 20170085947 A KR20170085947 A KR 20170085947A KR 1020160166675 A KR1020160166675 A KR 1020160166675A KR 20160166675 A KR20160166675 A KR 20160166675A KR 20170085947 A KR20170085947 A KR 2017008594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tor
- frame
- flange
- stator core
- accommoda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2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for measuring, monitoring, testing, protecting or switching
- H02K11/21—Devices for sensing speed or position, or actuated thereby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12—Stationary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18—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 H02K1/185—Means for mounting or fastening magnetic stationary parts on to, or to, the stator structures to outer stator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2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solid heat conducting material embedded in, or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or rotor, e.g. heat bridges
- H02K9/223—Heat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모터는 고정자 철심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통형으로 형성된 통형부를 갖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모터의 회전축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고정자 수용부 및 상기 플랜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부는 상기 고정자 수용부의,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다.
Description
본 개시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비교적 소형 모터는, 일반적으로 상기 모터의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케이스(프레임이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음)와, 케이스의 적어도 일단을 덮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있다. 케이스 단부의, 모터의 회전력을 출력하는 측에 설치된 플랜지는, 출력측 플랜지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케이스의 반대측을 덮는 부재는 반출력측 브라켓이라고 불리는 경우도 있다.
일본특허 제5316469호 공보에는, 모터 및 그 주변의 플랜지 및 브라켓 등의 부재의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 문헌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구조에서는, 고정자 철심(15)을 수용하는 모터 케이스(11)의 프레임 엔드(14)(출력측 플랜지에 상당)가 모터 케이스(11)의 일단을 덮고 있다.
모터의 고정자 철심 및 그 내부의 코일은 열을 발한다. 이 열에 의해 모터 온도가 상승하면, 여러 가지 결함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발생한 열을 방열하는 구조가 요구된다.
상기 일본특허 제5316469호 공보의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모터에서는, 고정자 철심(15)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은, 모터 케이스(11)~프레임 엔드(14)에 이르는 경로를 방열 경로로 하여 방열된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이 구성에서는 열 발생원으로부터 프레임 엔드(14)까지의 거리가 비교적 길다. 이 때문에, 모터 케이스(11)에서의 온도 포화가 일어나기 쉬운 경향이 있다고 상정된다. 그렇다면, 열 저항이 상승하여 열류가 흐르기 어려워져서 방열 성능이 불충분해질 가능성이 염려된다.
본 개시에서의 하나의 목적은, 방열 효과가 높은 모터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개시의 일 태양에 관한 모터에서는, 출력측 플랜지는 모터 프레임의,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부분을, 이 부분의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절반 이상을 덮는다.
이 태양에 관한 모터에 의하면, 방열 경로를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것 및 충분한 방열 효과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모터는 고정자 철심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통형으로 형성된 통형부를 갖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모터의 회전축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고정자 수용부 및 상기 플랜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부는 상기 고정자 수용부의,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다.
도 1은 실시형태 1에 관한 모터의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서는 모터의 구성 부품이 분해되어 있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모터의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서는 모터의 구성 부품이 조립되어 있다.
도 3은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형태 2에 관한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에 관한 모터의 사시도로서, 이 도면에서는 모터의 구성 부품이 조립되어 있다.
도 3은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실시형태 2에 관한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변형예에 관한 모터의 측단면도이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하여 많은 구체적인 사례들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실시예들이 그러한 구체적인 사례들이 적용되지 않은 상태로 실시될 수도 있는 것임은 분명하다. 다른 예에서, 잘 알려진 구조나 장치는 도면의 단순화를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모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서는, 모터(100)의 구성 부품이 분해되어 있다. 모터(100)는 프레임(110), 출력측 플랜지(120), 반출력측 브라켓(130), 회전 검출부(140) 및 장착 나사(150)를 구비한다.
프레임(110)은, 후술하는 도 3에서 설명하는 고정자 철심(161)을 수용하는 케이스이다. 출력측 플랜지(120)는, 프레임(110)의, 모터 출력측 단부를 덮는 부재이다. 출력측 플랜지(120)는, 원통부(통형부)(121) 및 플랜지부(122)를 가진다. 원통부(121)는, 프레임(110)의 일단을 수용하고 있다. 플랜지부(122)는, 원통부(121)의 중심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교(혹은 대략 직교)하는 면 내에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22)는, 플랜지부(122)를 관통하는 구멍(예를 들어, 후술하는 나사공(124))을 구비하고 있다.
반출력측 브라켓(130)은, 프레임(110)의 타단을 덮는 부재이다. 즉, 반출력측 브라켓(130)은 프레임(110)의 타단에 장착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140)는, 예를 들어 인코더 등의 회전 위치 검출 소자를 구비한다. 회전 검출부(140)는, 반출력측 브라켓(130)의, 프레임(110)과 접하지 않는 쪽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장착되어 있다). 회전 검출부(140)는, 모터(100)의 회전 위치를 검출한다. 회전 검출부(140)는, 모터(100)의 회전 위치의 검출 결과를, 예를 들어, 모터(100)의 외부 장치에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장착 나사(장착 부재)(150)는, 플랜지부(122)에 구비되는 나사공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출력측 플랜지(120)를, 예를 들어 반출력측 브라켓(130)에 고정하기 위한 부재이다.
도 2는, 모터(1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모터(100)의 구성 부품이 조립되어 있다. 프레임(110)은 원통 형상을 가진다. 프레임(110)은, 원통부(121)에 끼워맞춰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110)이 원통부(121)에 끼워맞춰짐으로써, 원통부(121)는 프레임(110)의 외벽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프레임(110)을 수용한다.
도 3은, 모터(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3에서는, 부품의 구조를 보기 쉽게 하기 위해 일부 구성요소의 표시가 생략되어 있다. 프레임(110)의 내부에는, 모터(100)의 고정자 철심(161)이 배치되어 있다. 프레임(110)은, 그 선단부(도 3에서 좌단)에 출력측 플랜지(120)에 끼워맞춰지는 부위인 끼워맞춤부(112)를 가진다. 또, 프레임(110)은 고정자 철심(161)을 수용하는 부위인 고정자 수용부(114)를 가진다. 즉, 프레임(110)은, 모터(100)의 회전축의 연신 방향을 따라, 고정자 철심(161)을 수용하는 고정자 수용부(114) 및 출력측 플랜지(120)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112)를 갖고 있다. 고정자 철심(161) 및 그 내부의 코일로부터 발생한 열은, 프레임(110)으로부터 원통부(121)에 이르는 전열 경로를 통해 출력측 플랜지(120)(플랜지부(122))로 향하여 전파된다.
또, 끼워맞춤부(112)는 예를 들어 프레임(110) 좌단의 가늘게 되어 있는 부분이다. 또한, 고정자 수용부(114)는 예를 들어 고정자 철심(161)을 덮는, 프레임(110)의 내면을 포함하고 있다.
원통부(121)는, 그 통형 공동(空洞) 내에 프레임(110)(프레임(110)의 일단)을 수용한다. 프레임(110)의 대부분은 원통부(121)에 의해 덮인다. 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원통부(121)는 프레임(110)의 고정자 수용부(114)의, 고정자 철심(161)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다. 따라서, 고정자 철심(161)의, 축방향(길이방향)에 따른 절반 이상의 부분이 원통부(121)에 의해 덮여 있다. 즉, 고정자 철심(161)의 축방향(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자 철심(161)의 절반 이상의 부분이 원통부(121)에 의해 덮여 있다. 이에 의해, 전열 경로가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방열 성능을 높일 수 있다.
또, 고정자 철심(161)의 보다 많은 부분이 원통부(121)에 의해 덮여도 된다. 예를 들어, 원통부(121)는 프레임(110)의 고정자 수용부(114)의, 고정자 철심(161)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의 전부를 덮어도 된다. 즉, 고정자 철심(161)이 그 전체길이에 걸쳐 원통부(121)에 의해 덮여도 된다. 즉, 고정자 철심(161)의 축방향(길이방향)을 따라, 고정자 철심(161)의 전체가 원통부(121)에 의해 덮여도 된다. 이에 의해, 전열 경로가 보다 효과적으로 형성된다. 그 결과, 방열 성능을 보다 높일 수 있다.
회전 검출부(140)는 그 내부에 검출 소자(141)를 수용하고 있다. 원통부(121)는, 반출력측 브라켓(130)과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원통부(121) 및 반출력측 브라켓(130)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 프레임(110)에 장착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정자 철심(161)으로부터 발생한 열이 원통부(121)로 향하여 전파된 경우에도, 원통부(121)로부터 다시 반출력측 브라켓(130)에 전파되는 열의 양은 적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특히 검출 소자(141)와 같은 열에 의한 영향을 받기 쉬운 부품이 반출력측 브라켓(130)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회전 검출부(140)(검출 소자(141))의 열에 의한 결함을 억제할 수 있다.
도 4는, 모터(100)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원통부(121) 부근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원통부(121)와 프레임(110)의 사이는, 프레임(110)과 출력측 플랜지(120)의 끼워맞춤 강도가 충분히 강한 경우에는 공동(空洞)이어도 된다. 혹은, 프레임(110)과 출력측 플랜지(120)를 강고하게 접착하기 위해, 원통부(121)와 프레임(110) 사이의 공간은 접착제(123)에 의해 메워져도 된다. 원통부(121)와 프레임(110)의 사이에 접착제(123)를 충전하는 경우, 접착제(123)의 재료로서, 열전도성이 좋은 것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의 후보로서 예를 들어 고열전도성 수지를 이용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접착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 1: 정리>
본 실시형태 1에 관한 모터(100)에서는, 출력측 플랜지(120)는 원통부(121)를 구비하고, 원통부(121)는 프레임(110)의, 고정자 철심(161)을 수용하고 있는 부위의 적어도 절반 이상을 덮는다. 이에 의해, 고정자 철심(161)으로부터 발생하는 열을 출력측 플랜지(120)를 통해 효과적으로 전파시킬 수 있다. 실제 기기 평가에서는, 모터의 연속 정격 출력을 종래의 20W에서 28W로 높일 수 있었다.
<실시형태 2>
도 5a 및 도 5b는, 종래의 모터(200)의 사시도이다. 모터(200)는 프레임(210) 및 출력측 플랜지(220)를 구비한다. 단, 출력측 플랜지(220)는 실시형태 1에 관한 모터(100)와는 달리 원통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모터(200)를 장착판(251)에 장착하기 위해 이하의 수법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251)이 모터축을 관통시키기 위한 구멍 및 나사공을 구비한다. 이 장착판(251)의 나사공을 통해 장착 나사(252)를 출력측 플랜지(220)의 단부(나사공)에 삽입한다. 이에 의해, 출력측 플랜지(220)가 장착판(251)에 고정된다. 그러나, 이 장착 수법에서는, 장착판(251)에서 보아 모터(200)의 반대측 공간(장착판(251)의, 모터(200)의 반대측 공간)에 작업 공간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특히 작업 장소가 좁은 경우에는 장착 작업을 실시하기 어렵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판(251)에서 보아 모터(200)와 동일한 쪽(장착판(251)의 모터(200)가 있는 쪽)으로부터 장착 나사(252)를 삽입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수법에서는, 특히, 모터(200)가 비교적 소형인 경우, 장착 나사(252)의 머리부가 프레임(210)에 접촉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장착 나사(252)를 나사공에 수직으로 삽입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왜냐하면, 일반적으로 나사의 머리부 지름은 나사의 축 지름보다 크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모터(200)를 장착하는 현실적인 수법은 도 5a에 도시된 수법이 된다. 이는 모터(200)를 포함하는 주변 기계 재료의 공간절약화를 저해하는 요인이 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개시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모터(10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모터(100)는 대체로 실시형태 1에 관한 모터(100)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구비한다. 실시형태 2에 관한 모터(100)는, 장착 나사(252)를 이용하여 출력측 플랜지(120)를 장착판(251)에 장착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하는 구성을 구비한다.
도 6a는, 모터(100)를 출력측 플랜지(120)의 단부측(플랜지부(122)의 장착판(251) 측)으로부터 장착판(251)에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랜지부(122)는, 장착 나사(252)를 삽입하기 위한 나사공(124)을 구비한다. 나사공(124)의 표면(내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124)은, 예를 들어 플랜지부(122)의 표면의 대각 상에 2개 마련될 수 있다. 나사공(124)의 개수 및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장착판(251)을 플랜지부(122)와 장착 나사(252) 사이에 두고 나사공(124)에 장착 나사(252)를 끼워맞춤시킴으로서, 반출력측 브라켓(130)의 반대측으로부터 모터(100)를 장착판(251)에 장착할 수 있다. 즉, 장착판(251)의 모터(100)가 있는 쪽과는 반대측(플랜지부(122)의 장착판(251) 측)으로부터 장착 나사(252)를 장착판(251)을 통해 나사공(124)에 삽입 및 끼워맞춤으로써, 모터(100)(플랜지부(122))를 장착판(251)에 장착할 수 있다.
도 6b는, 모터(100)를 반출력측 브라켓(130) 측(플랜지부(122)의 반출력측 브라켓(130) 측)으로부터 장착판(251)에 장착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플랜지부(122)의 평면 크기는 원통부(121)의 평면 크기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나사공(124)은, 장착 나사(252)를 나사공(124)에 삽입하였을 때에, 장착 나사(252)의 머리부가 원통부(121)에 접촉하지 않을 정도로 원통부(121)의 측면으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즉, 나사공(124)은, 나사공(124)에 대해 장착 나사(252)를 삽입하였을 때에, 장착 나사(252)가 원통부(121)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5b에 도시된 수법과는 달리 반출력측 브라켓(130) 측으로부터 모터(100)를 장착판(251)에 장착할 수 있다. 즉, 플랜지부(122)의 반출력측 브라켓(130) 측으로부터 장착 나사(252)를 나사공(124)을 통해 장착판(251)의 나사공에 삽입 및 끼워맞춤으로써, 모터(100)(플랜지부(122))를 장착판(251)에 장착할 수 있다. 이 경우, 장착판(251)의 나사공의 내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나사공(124)의 내면에는 나사 홈이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본 개시의 변형예에 대해>
본 개시의 태양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예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한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태양을 알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상기한 실시형태는 반드시 설명한 모든 부재(구성)를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어떤 실시형태의 구성에 다른 실시형태의 구성을 더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에 다른 구성을 추가하는 것,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삭제하는 것 및 각 실시형태의 구성의 일부를 다른 구성으로 치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출력측 플랜지(120)는 프레임(110)을 수용하는 구조로서 원통부(121)를 구비하고 있다. 단, 프레임(110)을 수용하는 부분은 반드시 원통이 아니어도 되고, 어떠한 통형상이라도 된다. 프레임(110)을 수용하는 부분은, 예를 들어 사각기둥 형상의 통형상이어도 된다. 프레임(110)의 형상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즉, 프레임(110)의 형상은 원통이 아니어도 되고, 어떠한 통형상이라도 된다. 프레임(110)의 외측 형상은, 출력측 플랜지(120)의, 프레임(110)을 수용하는 부분의 내측 형상과 유사한 형상(상사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프레임(110)과 출력측 플랜지(120)의 사이에 접착제(123)를 충전해도 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구체적인 제품 사양에 따라서는, 프레임(110)과 출력측 플랜지(120)의 사이에 접착제 이외의 충전재를 충전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과 출력측 플랜지(120)의 사이에 고열전도성 그리스(grease)를 충전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모터(100)는 원통부(121)와 프레임(110)의 사이에 충전된 충전재를 구비해도 된다. 혹은, 접착제 등의 충전재는 출력측 플랜지(120)의, 원통부(121) 이외의 부분과 프레임(110)의 사이에 충전되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장착판(251)에 장착 나사(252)를 삽입함으로써 모터(100)가 장착판(251)에 장착된다. 그러나, 장착 나사(252) 이외의 장착 부재를 이용하여 모터(100)를 장착판(251)에 장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봉상(棒狀)의 장착 부재를 이용하여 모터(100)를 장착판(251)에 장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봉상의 장착 부재를 삽입하기 위한 관통공을 장착판(251) 상에 마련해도 된다. 어떤 경우든지 장착 부재의 머리부(가장 굵은 부분)가 원통부(121)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예를 들어, 플랜지부(122)에서의 위치)에 구멍(나사공 혹은 관통공)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플랜지부(122)의 구멍은 이 구멍에 대해 장착 부재를 삽입하였을 때에, 장착 부재가 원통부(121)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프레임(110)은 다른 부분보다 가늘게 되어 있는 좌단부(도 4 등 참조)를 가지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10)은, 프레임(110)의 좌단부가 프레임(110)의 다른 부분과 마찬가지의 외경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도, 프레임(110)의 끼워맞춤부(112)는 프레임(110)의 좌단부(좌단으로부터 소정 범위 내의 부위)가 된다.
또, 본 개시의 일 태양에 관한 모터에 있어서, 출력측 플랜지는 모터 프레임 중에서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부분을 그 길이 방향에서의 적어도 절반 이상 덮어도 된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는, 고정자 철심(161)의 축 방향을 따르는 길이 중 절반 이상이 원통부(121)에 의해 덮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모터는 이하의 제1~제7 모터이어도 된다.
제1 모터는 고정자 철심을 갖는 모터로서,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프레임, 통형으로 형성된 통형부를 갖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주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신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고정자 수용부 및 상기 플랜지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부는 상기 고정자 수용부가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다.
제2 모터는, 제1 모터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는 상기 고정자 수용부가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를 전부 덮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모터는, 제1 모터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장착된 브라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형부와 상기 브라켓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 상기 프레임에 대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모터는, 제3 모터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 검출부는 상기 브라켓 중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는 쪽의 단부에 대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모터는, 제1 모터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와 상기 프레임이 끼워맞춤하는 개소에 충전된 충전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모터는, 제1 모터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통형부의 중심축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면 내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은, 상기 구멍에 대해 장착 부재를 삽입하였을 때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통형부에 대해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 모터는 고정자 철심을 갖는 모터로서,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프레임, 통형으로 형성된 통형부를 갖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의 외주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이 연신하는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고정자 수용부 및 상기 플랜지와 끼워맞춤하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부는 상기 고정자 수용부가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부분 중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고, 상기 통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며, 상기 모터는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장착된 브라켓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형부와 상기 브라켓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 상기 프레임에 대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서 언급된 상세한 설명들은, 설명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해 제공된 것이며, 많은 변형예나 수정예가 실현될 수도 있다. 위의 상세한 설명들은, 주제를 완벽하게 설명하거나 서술된 정밀한 형태로 제한하려는 의도가 있는 것이 아니다. 비록 구조적 특징 및/또는 방법론적인 행위들에 대하여 구체적인 언어로 설명되었다고 하더라도, 첨부된 청구범위에 한정된 주제는 위와 같은 구체적인 특징이나 행위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위와 같은 구체적인 특징이나 행위들은 여기에 첨부된 청구범위의 주제를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형태의 예시로서 개시된 것이다.
100: 모터, 110: 프레임, 120: 출력측 플랜지, 121: 원통부, 122: 플랜지부, 123: 접착제, 124: 나사공, 130: 반출력측 브라켓, 140: 회전 검출부, 161: 고정자 철심.
Claims (6)
- 고정자 철심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프레임과,
통형으로 형성된 통형부를 갖는 플랜지를 구비하고,
상기 프레임은, 모터의 회전축의 연신 방향을 따라,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는 고정자 수용부 및 상기 플랜지에 끼워맞춰지는 끼워맞춤부를 가지며,
상기 통형부는, 상기 고정자 수용부의,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의 적어도 절반을 덮고 있는 모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는, 상기 고정자 수용부의, 상기 고정자 철심을 수용하고 있는 범위의 전부를 덮고 있는 모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형부는 상기 프레임의 일단을 수용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프레임의 타단에 장착된 브라켓을 더 구비하며,
상기 통형부 및 상기 브라켓은 서로 직접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모터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회전 검출부는, 상기 브라켓의, 상기 프레임과 접촉하지 않는 쪽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는 모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터는, 상기 통형부와 상기 프레임의 사이에 충전된 충전재를 더 구비하는 모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는, 상기 통형부의 중심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직교하는 면 내에 형성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를 관통하는 구멍을 구비하며,
상기 구멍은, 상기 구멍에 대해 장착 부재를 삽입하였을 때에, 상기 장착 부재가 상기 통형부에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6-006424 | 2016-01-15 | ||
JP2016006424A JP5990346B1 (ja) | 2016-01-15 | 2016-01-15 | モー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85947A true KR20170085947A (ko) | 2017-07-25 |
KR102192221B1 KR102192221B1 (ko) | 2020-12-16 |
Family
ID=5692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6675A KR102192221B1 (ko) | 2016-01-15 | 2016-12-08 | 모터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10879755B2 (ko) |
JP (1) | JP5990346B1 (ko) |
KR (1) | KR102192221B1 (ko) |
CN (1) | CN106981951B (ko) |
DE (1) | DE102017000103A1 (ko) |
TW (1) | TWI738694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830996B1 (ja) * | 2019-12-26 | 2021-02-17 | 山洋電気株式会社 | 同期電動機のフレーム構造並びにフレーム及び電機子の製造方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0053U (ko) * | 1987-07-21 | 1989-01-31 | ||
JPH08111966A (ja) * | 1994-10-07 | 1996-04-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液冷式回転機の冷却装置 |
JPH09261935A (ja) * | 1996-03-19 | 1997-10-03 | Shibaura Eng Works Co Ltd | ブラシレスdcモータ |
JP2015106970A (ja) * | 2013-11-29 | 2015-06-08 | 株式会社デンソー | 駆動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2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16469B2 (ko) | 1973-03-07 | 1978-06-01 | ||
JPS6420053A (en) | 1987-07-14 | 1989-01-24 | Ribu Int Kk | Preparation of frozen food to be heated and cooked with microwave oven |
DE112005000752T5 (de) * | 2004-04-09 | 2007-04-26 | Mitsuba Corp., Kiryu | Bürstenloser Motor |
US8026847B2 (en) | 2006-09-14 | 2011-09-27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 and/or method for acquisition of GNSS signals |
JP5287787B2 (ja) * | 2010-04-16 | 2013-09-11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動装置 |
JP5316469B2 (ja) | 2010-04-16 | 2013-10-16 | 株式会社デンソー | 電動機の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電動装置 |
CN102545460B (zh) * | 2010-12-29 | 2015-10-07 | 日本电产高科电机控股公司 | 模塑电机 |
EP2712065B1 (en) * | 2011-05-20 | 2017-01-04 |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 Motor driving apparatus for electric-powered power steering apparatus |
JP2013009571A (ja) * | 2011-06-27 | 2013-01-10 | Nidec Sankyo Corp | モータ |
CN107196453B (zh) * | 2012-02-08 | 2019-06-28 | 日本精工株式会社 | 驱动器、定子、马达、旋转直线运动转换机构以及线性运动驱动器 |
CN202798409U (zh) * | 2012-08-30 | 2013-03-13 | 中山大洋电机制造有限公司 | 一种新型直流无刷电机结构 |
JP5718391B2 (ja) * | 2013-02-22 | 2015-05-13 | 三菱電機株式会社 | 回転電機 |
US9356493B2 (en) * | 2013-02-26 | 2016-05-31 |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 Method of making a motor housing assembly |
JP5861660B2 (ja) * | 2013-04-23 | 2016-02-16 | 株式会社デンソー | 回転電機 |
US9111656B2 (en) | 2013-08-21 | 2015-08-18 | Uchicago Argonne, Llc | Radiation beam collimation system and method |
CN103745716A (zh) * | 2013-12-30 | 2014-04-23 | 江苏凯灵汽车电器有限公司 | 一种内外压力平衡防水型汽车电喇叭 |
JP6316035B2 (ja) * | 2014-03-14 | 2018-04-25 | 山洋電気株式会社 | モータ構造 |
JP6476623B2 (ja) * | 2014-07-14 | 2019-03-06 | 日本電産株式会社 | モータ |
TWI551010B (zh) * | 2014-10-09 | 2016-09-21 |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 內轉子馬達 |
EA030874B1 (ru) * | 2015-05-08 | 2018-10-31 |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Диаконт" | Линейный электромеханический привод |
-
2016
- 2016-01-15 JP JP2016006424A patent/JP5990346B1/ja active Active
- 2016-12-08 KR KR1020160166675A patent/KR10219222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12-13 TW TW105141225A patent/TWI738694B/zh active
- 2016-12-19 CN CN201611177833.0A patent/CN106981951B/zh active Active
-
2017
- 2017-01-05 US US15/399,260 patent/US10879755B2/en active Active
- 2017-01-09 DE DE102017000103.0A patent/DE102017000103A1/de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6420053U (ko) * | 1987-07-21 | 1989-01-31 | ||
JPH08111966A (ja) * | 1994-10-07 | 1996-04-30 | Mitsubishi Electric Corp | 液冷式回転機の冷却装置 |
JPH09261935A (ja) * | 1996-03-19 | 1997-10-03 | Shibaura Eng Works Co Ltd | ブラシレスdcモータ |
JP2015106970A (ja) * | 2013-11-29 | 2015-06-08 | 株式会社デンソー | 駆動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17127165A (ja) | 2017-07-20 |
DE102017000103A1 (de) | 2017-07-20 |
US20170207676A1 (en) | 2017-07-20 |
JP5990346B1 (ja) | 2016-09-14 |
US10879755B2 (en) | 2020-12-29 |
CN106981951A (zh) | 2017-07-25 |
TWI738694B (zh) | 2021-09-11 |
KR102192221B1 (ko) | 2020-12-16 |
CN106981951B (zh) | 2020-07-31 |
TW201728058A (zh) | 2017-08-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928615B2 (en) | Molded motor | |
WO2018096708A1 (ja) |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US9369010B2 (en) | Stator of electric motor including resin injected by injection molding | |
JP6462313B2 (ja) | 駆動装置 | |
JP5268845B2 (ja) | Dcブラシレスモータ及び換気扇 | |
WO2016103605A1 (ja) | モ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動工具 | |
JP7002904B2 (ja) | モータ | |
KR20180034287A (ko) | 모터 | |
JP2017026521A (ja) | 温度検出装置 | |
JP5940276B2 (ja) | モータ | |
JP2017216759A (ja) |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 |
KR20210120985A (ko) | 모터 샤프트 베어링을 위한 방열을 가진 전기 모터 | |
KR20170085947A (ko) | 모터 | |
JP2018082553A (ja) | モータ | |
WO2017034013A1 (ja) | 端子台 | |
JP2016059200A (ja) | 電動オイルポンプ用モータ | |
US9553490B2 (en) | Motor | |
JPWO2019064767A1 (ja) | モータ及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 |
JP2017524330A (ja) | リニアモータ | |
JPWO2019198514A1 (ja) |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 |
TWI487250B (zh) | 軸式線性馬達 | |
WO2019198517A1 (ja) | モータ、およびポンプ装置 | |
US10291095B2 (en) | Moto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motor | |
JP2011078286A (ja) | モールドモータ | |
WO2017152944A1 (en) | Electric motor with improved heat dissipation and assemblag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