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6617A -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6617A
KR20170076617A KR1020167019623A KR20167019623A KR20170076617A KR 20170076617 A KR20170076617 A KR 20170076617A KR 1020167019623 A KR1020167019623 A KR 1020167019623A KR 20167019623 A KR20167019623 A KR 20167019623A KR 20170076617 A KR20170076617 A KR 20170076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outlet
opening
container
sealing she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9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6785B1 (ko
Inventor
요시노리 오쿠보
다카유키 몬덴
Original Assignee
메로디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로디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메로디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76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6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67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67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8Stiffening or reinforcing
    • B31B29/8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14Cutting, e.g. perforating, punching, slitting or trimming
    • B31B70/16Cutting webs
    • B31B70/18Cutting webs longitudin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74Auxiliary operations
    • B31B70/81Forming or attaching accessories, e.g. opening devices, closures or tear strings
    • B31B70/84Forming or attaching means for filling or dispensing contents, e.g. valves or spouts
    • B31B70/844Applying rigid valves, spouts, or fill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9/00Closures arranged within necks or pouring openings or in discharge apertures, e.g. stoppers
    • B65D39/08Threaded or like closure members secured by rotation; Bus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36Closures with frangible parts adapted to be pierced, torn, or removed, to provide discharge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4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successive articles, or increments of material, in webs, e.g. folded or tubular webs, or by subdividing tubes filled with liquid, semi-liquid, or plastic materials
    • B65D75/44Individual packages cut from web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5/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 B31B2155/002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by joining superimposed webs, e.g. with separate bottom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2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with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Bag Frames (AREA)
  • Cartons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밀봉성이 우수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주출구 부착 용기는, 용기(10)와 주출구(12)를 구비하고, 주출구(12)가 주출구 본체(20)와,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수납된 개봉체(50)와,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기동체(80)와, 주출구 본체에서의, 수용부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를 덮는 밀봉 시트(14)를 포함하고, 개봉체(50)는, 주출구 본체(2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형성되고, 또한 밀봉 시트(14)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그 중앙에 주출 관통공(56)이 형성되고, 밀봉 시트(14)는, 개봉체(50)에 의해, 그 일부가 잘려 갈라져, 용기(10)의 수용부(200)와 주출구 본체(20)의 외측 개구부(28)가 개봉체(50)의 주출 관통공(56)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수용물을 외부에 주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CONTAINER WITH SPOU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주출구(注出口)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며, 특히, 예를 들면, 수소수를 주입하는, 적층 필름 등으로 형성한 파우치(pouch)에 주출구를 부착한 주출구 부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수소수를 수납하여 밀봉하고, 수소가 용기로부터 유출되기 어려운 주출구 부착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수소수를 주입하기 위해, 적층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각종 파우치가 넓게 사용되고 있고, 또한, 그 파우치에 주출구를 부착한 것도 알려져 있다.
이 주출구 부착 파우치는, 먼저, 필름을 중첩시키고, 3변의 주위 에지부를 가열 밀봉(heat seal)하여, 1변의 개구부를 가지는 파우치를 만들고, 이어서, 그 개구부에 주출구를 끼워넣고, 이어서, 그 개구의 양측에 위치하는 필름의 외측으로부터, 필름간과, 필름과 주출구를 가열 밀봉하여 제조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주출구 부착 파우치에, 수소수, 주스, 스프, 스튜, 젤리 등의 식품 등 액체의 내용물이 수납되고, 사용자가 주출구로부터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기본적인 파우치의 재질 구성으로서는, 기재층, 가스 배리어성이나 차광성을 가지는 필름 등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 및, 실란트층을 접착제, 앵커코트(anchor coat)제, 열접착성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접착층을 통하여 순차적으로 적층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또한, 주출구의 재질 구성으로서는, 폴리에틸렌 수지, 폴리프로필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일본공개특허 제2004-315067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공개특허 제2007-161254호 공보
그러나, 통상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주출구에서는, 수소수를 수용한 용기로부터 수소가 빠져나온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밀봉성이 우수한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수소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용기와, 용기의 끝에지에 장착되고, 수용부에 임하는 주출구를 포함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로서, 주출구에는, 수소수를 용기의 수용부에 밀봉하기 위한 밀봉 시트가 설치되고, 밀봉 시트의 알루미늄 영역과, 용기의 수용부의 알루미늄 영역이 밀접한 것에 의해, 수소수에 포함되는 수소가 용기의 수용부로부터 빠져나오기 어렵기 때문에, 밀봉성이 우수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주출구는,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수납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된 개봉체(開封體)와,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기동체(起動體)를 포함하고, 밀봉 시트는 주출구 본체의,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개봉체는 주출구 본체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형성되고, 또한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기동체는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 측에 장착되고, 개봉체를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형성되고, 밀봉 시트는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는 개봉체에 그 일부가 잘려 갈라지고,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가 개봉체의 주출 관통공을 통하여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용기의 수용부 내의 수용물이 외측 개구부로부터 외부로 흘러나가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사용 전에는 밀봉성이 우수하고, 사용 시에는 밀봉 시트에 구멍을 내어, 흡입구로부터 내용물을 꺼낼 수 있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주출구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端部)에 나사결합되는 기동체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개봉체를 포함하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 기동체 및 개봉체는, 각각 서로 평면에서 볼 때 동심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밀봉 시트는 주출구 본체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고착되고, 주출구 본체는 축 방향의 한쪽 단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기동체가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을 연통하기 위한 주위 방향을 따른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雄)나사부와, 관통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의 내벽에 형성된 나선형의 안내 경사면을 가지고, 기동체는 정상부(頂部)와, 정상부의 끝에지로부터 수하(垂下)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수하부를 가지고, 정상부의 내면에는, 수하부와 같은 방향으로 수하되는 작동부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수하부의 내면에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雌)나사부가 형성되고, 개봉체는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날부(刃部)와, 날부의 천정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된 수동(受動)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 수동 축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통하여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되고, 날부의 외면에는, 주출구 본체의 안내 경사면에 대응한 나선형의 피(被)안내 경사면이 형성되고, 개봉체는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피안내 경사면이 주출구의 안내 경사면에 접촉하여 안내됨으로써, 용기의 수용부에 가까워지는 축 방향을 따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동 축부의 외면에는, 기동체가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기동체의 작동부에 눌러지는 수동부가 돌출되고, 기동체는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작동부가 개봉체의 수동부를 연통 회전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게 하고, 또한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지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봉체는, 수동부가 기동체의 작동부에 연통 회전 방향으로 나가고,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피안내 경사면이 주출구 본체의 안내 경사면에 접촉하여 안내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날부가 회전하면서 주출구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돌출하고, 밀봉 시트는, 날부가 회전하면서 주출구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돌출될 때, 날부가 중심각 360° 미만의 원호를 그리듯이 그 일부가 잘려 갈라짐으로써,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주출구 본체는, 안내 경사면의 종단(終端)의 근방에 형성된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를 더 가지고, 개봉체는 피안내 경사면의 종단의 근방에 형성된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를 더 가지고, 개봉체는 주출구 본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와 개봉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개봉체의 연통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중심각이 360° 미만의 각도로 되도록 규제되어 정지하는, 청구항 3에 기재된 주출구 부착 용기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측면에서 볼 때, 날부는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날 선단부와, 날 선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切缺部)를 가지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측면에서 볼 때, 날 선단부는 밀봉 시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절결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밀봉 시트를 향하여 날 돌출부가 형성되고, 날 돌출부는, 연통 회전 방향에서의 선두부(先頭部)가 밀봉 시트에 들어가 자르기 위한 예리한 날끝을 포함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개봉체는, 밀봉 시트의 일부를 잘라 가른 후에 밀봉 시트의 상면에 맞닿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기 때문에, 밀봉 시트를 일부 잘라 가른 후에 개봉체가 용기의 수용부로 낙하해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날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는, 개봉체 중 날부의 상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의 하부에는, 개봉체의 날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봉체 수용부가 형성되고, 개봉체 수용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관통공 중의 개봉체 수용부의 상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큰 것에 의해, 개봉체 수용부와 관통공 중의 개봉체 수용부의 상부와의 접속부에는 단차(段差)가 형성되고, 개봉체는, 날부의 상단(上端)부가 주출구 본체의 단차에 맞닿음으로써,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주출구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기동체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개봉체를 포함하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 기동체 및 개봉체는, 각각 서로 평면에서 볼 때 동심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주출구 본체는 축 방향의 한쪽 단부 근방의 외면에 형성되고, 기동체가,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을 연통하기 위한 주위 방향을 따른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가지고, 기동체는, 정상부와 정상부의 끝에지로부터 수하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수하부를 가지고, 수하부의 내면에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개봉체는, 축 방향으로 연통하여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되고, 축 방향의 한쪽 단부가 기동체의 정상부의 내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가 밀봉 시트에 고착되고, 기동체가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고,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지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개봉체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봉 시트의 일부가 비틀려 잘리고,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기 때문에, 간단한 구조이며, 그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주수구(注水口) 본체는,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통부와, 용기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의 끝에지와 제2 용기 시트의 끝에지 사이에 협지되는 장착부와, 통부의 관통공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체를,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통부의 용기의 수용부 측에 설치된 장착부는, 개봉체의 주출 관통공과 연통하는 입구를 가지고, 기동체는 캡과 스토퍼를 가지고, 스토퍼를 캡으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냄으로써 이동 공극부를 형성하고, 캡이 개봉체를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개봉체를 누르도록 형성되고, 개봉체는 밀봉 시트 측에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를 가지고, 또한 그 날부에 주출 관통공을 가지고, 밀봉 시트는, 장착부의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부의 용기의 수용부 측면에 부착되고, 용기의 수용부와 밀접하고, 또한, 개봉체에 의해 잘려 갈라져,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과 용기의 수용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개봉체는 통형의 슬라이딩 축부와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를 가지고, 날부는 슬라이딩 축부의 끝에서 플랜지형으로 내밀도록 슬라이딩 축부에 연결되고, 날부는,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의 주위에 설치된 단차부 또는 걸어맞춤부와 서로 접하여, 개봉체가 관통공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형성되고, 기동체는 캡의 내측에 개봉체를 누르기 위한 압압부(押壓部)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캡의 내측에 암나사부가 설치되고, 캡의 하단에 간헐적으로 설치된 연결부에 의해 스토퍼가 연결되고, 캡을 돌려 및/또는 주위 방향으로 스토퍼를 돌려, 캡으로부터 스토퍼를 분리하여 이동 공극부가 형성되고, 주출구 본체의 통부의 주위 방향으로 열린 이동 공극부를 향하여 캡을 이동시켜, 압압부가 개봉체를 누르도록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1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주출구 본체는,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시트에 장착되는 배 형상(舟形)의 장착부와, 장착부의 상부에 연결된 통부를 포함하고, 장착부 및 통부에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관통공은 장착부의 상부에 외측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장착부의 하부에 내측 개구부를 가지고, 외측 개구부는, 용기의 외측에 개구되고, 내측 개구부는 용기의 수용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으므로, 사용 전에는 밀봉성이 우수하고, 사용 시에는 용이하게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2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주출구 본체는, 통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설치되고, 또한 수나사부의 아래쪽에 있어서, 기동체를 정지시키는 위한 기동체 정지부가, 통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기동체는 주출구 본체의 통부에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과, 캡의 아래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를 떼어냈을 때 형성되는 이동 공극부의 높이의 범위 내에서, 기동체의 캡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이동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3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개봉체는,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는 날부와 날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슬라이딩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 날부의 상부에 연결된 슬라이딩 축부는, 원기둥형 및/또는 기둥형이며, 날부와 슬라이딩 축부에는, 주출 관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주출 관통공은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에 임하는 출구와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입구를 가지고, 슬라이딩 축부는 주출구 본체의 통부의 관통공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기동체에 눌러져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4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개봉체는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는 날부와, 날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슬라이딩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또는 슬라이딩 축부는 회전 정지부가 형성되고, 주출구 본체는, 용기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통부를 가지고, 장착부 및/또는 통부는, 개봉체의 회전 정지부를 걸어맞춤 또는 삽입하기 위한 개봉체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회전 정지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개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5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의 제조 방법은, 주출구를 용기의 주출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통형의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수납된 개봉체와,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기동체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제조할 때, 개봉체를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삽입하고, 주출구 본체로부터 개봉체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상태로 하여, 주출구 본체에서의, 수용부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를 덮는 밀봉 시트를, 주출구 본체의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영역에 있는 내측 개구부의 주변에 접착하여, 주출구를 형성하고, 주출구의 장착부의 주위에, 용기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와 제2 용기 시트를 용착하므로, 밀봉성이 우수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소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용기와, 용기의 끝에지에 장착되고, 수용부에 임하는 주출구를 포함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로서, 주출구에는 수소수를 용기의 수용부에 밀봉하기 위한 밀봉 시트가 설치되고, 밀봉 시트의 알루미늄 영역과, 용기의 수용부의 알루미늄 영역이 밀접한 것에 의해, 수소수에 포함되는 수소가 용기의 수용부로부터 빠져나오기 어렵기 때문에, 밀봉성이 우수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주출구는,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수납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된 개봉체와,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기동체를 포함하고, 밀봉 시트는 주출구 본체의,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개봉체는 주출구 본체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형성되고, 또한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기동체는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 측에 장착되고, 개봉체를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형성되고, 밀봉 시트는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된 개봉체에 그 일부가 잘려 갈라지고,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가 개봉체의 주출 관통공을 통하여 연통하도록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주출구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기동체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개봉체를 포함하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 기동체 및 개봉체는 각각, 서로 평면에서 볼 때 동심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밀봉 시트는 주출구 본체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고착되고, 주출구 본체는 축 방향의 한쪽 단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기동체가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을 연통하기 위한 주위 방향을 따른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나사부와, 관통공의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의 내벽에 형성된 나선형의 안내 경사면을 가지고, 기동체는 정상부와, 정상부의 끝에지로부터 수하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수하부를 가지고, 정상부의 내면에는, 수하부와 같은 방향으로 수하되는 작동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수하부의 내면에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개봉체는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날부와, 날부의 천정부로부터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수동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 수동 축부에는, 축 방향으로 연통하여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되고, 날부의 외면에는, 주출구 본체의 안내 경사면에 대응한 나선형의 피안내 경사면이 형성되고, 개봉체는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피안내 경사면이 주출구의 안내 경사면에 접촉하여 안내됨으로써, 용기의 수용부에 가까워지는 축 방향을 따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수동 축부의 외면에는, 기동체가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기동체의 작동부에 눌러지는 수동부가 돌출되고, 기동체는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작동부가 개봉체의 수동부를 연통 회전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게 하고, 또한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지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개봉체는, 수동부가 기동체의 작동부에 연통 회전 방향으로 나가고,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피안내 경사면이 주출구 본체의 안내 경사면에 접촉하여 안내되어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날부가 회전하면서 주출구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돌출하고, 밀봉 시트는, 날부가 회전하면서 주출구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돌출될 때, 날부가 중심각 360° 미만의 원호를 그리듯이 그 일부가 잘려 갈라짐으로써,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주출구 본체는 안내 경사면의 종단의 근방에 형성된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를 더 가지고, 개봉체는 피안내 경사면의 종단의 근방에 형성된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를 더 가지고, 개봉체는, 주출구 본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와 개봉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짐으로써, 개봉체의 연통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중심각이 360° 미만의 각도로 되도록 규제되어 정지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날부는 측면에서 볼 때,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날 선단부와, 날 선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를 가지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날 선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밀봉 시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절결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밀봉 시트를 향하여 날 돌출부가 설치되고, 날 돌출부는, 연통 회전 방향에서의 선두부가 밀봉 시트에 들어가 자르기 위한 예리한 날끝을 포함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개봉체는, 밀봉 시트의 일부를 잘라 가른 후에 밀봉 시트의 상면에 맞닿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날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는, 개봉체 중 날부의 상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의 하부에는, 개봉체의 날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봉체 수용부가 형성되고, 개봉체 수용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관통공 중의 개봉체 수용부의 상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큰 것에 의해, 개봉체 수용부와 관통공 중의 개봉체 수용부의 상부와의 접속부에는 단차가 형성되고, 개봉체는, 날부의 상단부가 주출구 본체의 단차에 맞닿음으로써,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9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주출구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기동체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에 삽입된 개봉체를 포함하고,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 기동체 및 개봉체는 각각, 서로 평면에서 볼 때 동심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주출구 본체는 축 방향의 한쪽 단부 근방의 외면에 형성되고, 기동체가,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을 연통하기 위한 주위 방향을 따른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축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가지고, 기동체는, 정상부와 정상부의 끝에지로부터 수하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수하부를 가지고, 수하부의 내면에는,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개봉체는, 축 방향으로 연통하여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되고, 축 방향의 한쪽 단부가 기동체의 정상부의 내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가 밀봉 시트에 고착되고, 기동체가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져,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내어지도록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개봉체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밀봉 시트의 일부가 비틀려 잘리고, 용기의 수용부와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이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 의하면, 주수구 본체는,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통부와, 용기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의 끝에지와 제2 용기 시트의 끝에지 사이에 협지되는 장착부와, 통부의 관통공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체를,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포함하고, 통부의 용기의 수용부 측에 설치된 장착부는, 개봉체의 주출 관통공과 연통하는 입구를 가지고, 기동체는 캡과 스토퍼를 가지고, 스토퍼를 캡으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냄으로써 이동 공극부를 형성하고, 캡이 개봉체를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개봉체를 누르도록 형성되고, 개봉체는 밀봉 시트 측에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를 가지고, 또한 그 날부에 주출 관통공을 가지고, 밀봉 시트는, 장착부의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부의 용기의 수용부 측면에 부착되고, 용기의 수용부와 밀접하고, 또한 개봉체에 의해 잘려 갈라져,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과 용기의 수용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개봉체는 통형의 슬라이딩 축부와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를 가지고, 날부는 슬라이딩 축부의 끝에서 플랜지형으로 내밀도록 슬라이딩 축부에 연결되고, 날부는,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의 주위에 설치된 단차부 또는 걸어맞춤부와 서로 접하여, 개봉체가 관통공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형성되고, 기동체는, 캡의 내측에 개봉체를 누르기 위한 압압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캡의 내측에 암나사부가 설치되고, 캡의 하단에 간헐적으로 설치된 연결부에 의해 스토퍼가 연결되고, 캡을 돌려 및/또는 주위 방향으로 스토퍼를 돌려, 캡으로부터 스토퍼를 떼어내어 이동 공극부를 형성하고, 주출구 본체의 통부의 주위 방향으로 열린 이동 공극부를 향하여 캡을 이동시켜, 압압부가 개봉체를 누르도록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 의하면, 주출구 본체는,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시트에 장착되는 배 형상의 장착부와, 장착부의 상부에 연결된 통부를 포함하고, 장착부 및 통부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관통공은 장착부의 상부에 외측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장착부의 하부에 내측 개구부를 가지고, 외측 개구부는 용기의 외측에 개구되고, 내측 개구부는 용기의 수용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2의 발명에 의하면, 통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설치되고, 또한 수나사부의 아래쪽에 있어서, 기동체를 정지시키는 위한 기동체 정지부가, 통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기동체는 주출구 본체의 통부에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과 캡의 아래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를 떼어냈을 때 형성되는 이동 공극부의 높이의 범위 내에서, 기동체의 캡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이동 규제부가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3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개봉체는,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는 날부와 날부의 상부에 돌출된 슬라이딩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 날부의 상부에 연결된 슬라이딩 축부는, 원기둥형 및/또는 기둥형이며, 날부와 슬라이딩 축부는, 주출 관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주출 관통공은,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에 임하는 출구와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입구를 가지고, 슬라이딩 축부는, 주출구 본체의 통부의 관통공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기동체에 눌러져 아래쪽으로 이동하는 같게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4의 발명에 의하면, 개봉체는,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는 날부와, 날부의 상부에 돌출된 슬라이딩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또는 슬라이딩 축부는 회전 정지부가 형성되고, 주출구 본체는 용기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의 상부에 돌출된 통부를 가지고, 장착부 및/또는 통부는, 개봉체의 회전 정지부를 걸어맞춤 또는 삽입하기 위한 개봉체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회전 정지부가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15에 관한 발명에 의하면, 주출구를 용기의 주출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통형의 주출구 본체와,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수납된 개봉체와,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기동체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제조할 때, 개봉체를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삽입하고, 주출구 본체로부터 개봉체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상태로 하여, 주출구 본체에서의, 수용부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를 덮는 밀봉 시트를, 주출구 본체의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영역에 있는 내측 개구부의 주변에 접착하여, 주출구를 형성하고, 주출구의 장착부의 주위에, 용기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와 제2 용기 시트를 용착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의 개략 사시 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의 개략 사시 도해도이다.
도 4a는 캡의 도해도이며, 도 4a의 (a)는 평면 도해도, 도 4a의 (b)는 측면 도해도, 도 4a의 (c)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4b는 캡의 도해도이며, 도 4b의 (a)는 종단면 도해도이며, 도 4b의 (b)는 정상부 부근의 단면도이며, 도 4b의 (c)는 저면도이다.
도 5a는 주출구 본체의 도해도이며, 도 5a의 (a)는 평면 도해도, 도 5a의 (b)는 측면 도해도, 도 5a의 (c)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5b는 주출구 본체의 도해도이며, 도 5b의 (a)는 종단면 도해도이며, 도 5b의 (b)는 저면 도해도이다.
도 6a는 개봉체의 도해도이며, 도 6a의 (a)는 평면 도해도, 도 6a의 (b)는 측면 도해도, 도 6a의 (c)는 정면 도해도이다.
도 6b는 개봉체의 도해도이며, 도 6b의 (a)는 종단면 도해도이며, 도 6b의 (b)는 저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 도해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의 조립 방법을 나타내는 종단면 도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에 주출구를 부착한 후의 도해도이며, 도 8의 (a)는 정면 도해도, 도 8의 (b)는 확대 측면 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에 주출구를 장착한 후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9의 (a)는 측면 도해도, 도 9의 (b)는 (a)의 H부의 확대 단면 도해도, 도 9의 (c)는 (a)의 I부 확대 단면 도해도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는 일부를 확대한 단면 도해도이며, 도 10a의 (a)는 스토퍼를 잡는 도해도이며, 도 10a의 (b)는 캡을 조이는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이며, 도 10a의 (c)는 밀봉 시트가 잘려 갈라진 상태를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0b의 (a)는 밀봉 시트의 저면 도해도이며, 도 10b의 (b)는 밀봉 시트가 잘려 갈라진 상태를 나타낸 저면 도해도이며, 도 10b의 (c)는 스토퍼 및 주출구 본체의 횡단면 도해도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해도이며, 도 11a의 (1)은 제1 스텝, 도 11a의 (2)는 제2 스텝, 도 11a의 (3)은 제3 스텝을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해도이며, 도 11b의 (4)는 제4 스텝, 도 11b의 (5)는 제5 스텝을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도해도이며, 도 11c의 (6)은 제6 스텝, 도 11c의 (7)은 제7 스텝을 나타낸 도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내는 그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의 (A)가 도 15a의 XVIA-XVIA 단면도, 도 16의 (B)가 도 15a의 XVIB-XVIB 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 18a의 XIX-XIX 단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의 (A)가 평면도, 도 21의 (B)가 저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2의 (A)가 도 21의 (A)의 XXIIA-XXIIA 단면도, 도 22의 (B)가 도 22의 (A)의 XXIIB-XXIIB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의 템퍼 에비덴스(Tamper evidence)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 개봉체 및 기동체를 조립하는 순서로 배열하여 바닥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에 밀봉 시트를 고착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바닥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내는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7의 (A)가 도 26의 XXVII-XXVII 단면도, 도 27의 (B)가 기동체를 좌회전시켰을 때의 날개 가압부와 날개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의 좌측 암나사부와 개봉체의 좌측 수나사부가 나사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 전개도이며, 도 28의 (A)가 개봉체의 회전각 0°, 도 28의 (B)가 개봉체의 회전각 150°, 도 28의 (C)가 개봉체의 회전각 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의 회전 정지 웅부(雄部)의 높이에서의 폭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29의 (A)가 도 26의 XXIXA-XXIXA 단면도, 도 29의 (B)가 도 31의 XXIXB-XXIXB 단면도, 도 29의 (C)가 도 32의 XXIXC-XXIXC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가 잘려 갈라지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 평면도이며, 도 30의 (A)가 개봉체의 회전각 0°, 도 30의 (B)가 개봉체의 회전각 150°, 도 30의 (C)가 개봉체의 회전각 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가 잘려 갈라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개봉체의 회전각이 150°일 때의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를 잘라 가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개봉체의 회전각이 300°일 때의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본체를 나타낸 도 32의 플랜지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를 잘라 가른 상태를 바닥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낸 후, 다시 장착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5의 (A)가 날개 가압부와 날개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5의 (B)가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에 주출구를 장착한 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9의 (A)가 평면도, 도 39의 (B)가 측면도, 도 39의 (C)가 저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0의 (A)가 도 39의 (C)의 XXXXA-XXXXA 단면도, 도 40의 (B)가 도 39의 (C)의 XXXXB-XXXXB 단면도이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3의 (A)가 평면도, 도 43의 (B)가 도 43의 (C)의 XXXXIIIB-XXXXIIIB 단면도, 도 43의 (C)가 저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 및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 및 개봉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기동체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7의 (A)가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 도 47의 (B)가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기동체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8의 (A)가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 도 48의 (B)가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며, 도 50의 (A)가 바닥면을 볼 때 대략 원형상인 밀봉 시트 고착부, 도 50의 (B)가 바닥면을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인 밀봉 시트 고착부를 포함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1은 본 발명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의 사시 도해도이다.
도 52는 본 발명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의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스탠딩 파우치형의 주출구 부착 용기에 대하여, 도면 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銳意) 검토한 결과, 용기의 수용부 내에 삽입한 주출구의 내측 개구부의 주변 영역을 덮는 밀봉 시트의 알루미늄 영역과 수용부의 내부의 알루미늄 영역이 밀접하도록 고안함으로써,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했다.
주출구 부착 용기(10)는, 물에 수소를 혼입한 수소수를 주입하는 것이며, 수소수를 주입하는 용기(10)와, 용기(10)에 장착된 주출구(12)를 포함하고, 주출구(12)의 주출구 본체(20)에서의 수용부(200)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30)를 덮는 밀봉 시트(14)를 포함한다.
밀봉 시트(14)의 알루미늄 영역과 용기(10)의 수용부(200)의 내면의 알루미늄 영역은 밀접해 있고, 그 때문에 용기(10)의 수용부(200)가 밀봉되어, 수소수 중의 수소가 용기(10) 및 주출구 본체(20)로부터 빠져나오기 어렵다.
그리고, 주출구 부착 용기(10)가 수용할 수 있는 수소수의 용량은 150ml, 300ml 또는 500ml 등으로 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주출구(12)는, 통형의 주출구 본체(20)와, 주출구 본체(20)의 통 내에 수납된 개봉체(50)와, 개봉체(50)를 이동시키는 기동체(80)와, 주출구 본체(20)에서의, 수용부(200)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30)를 덮는 밀봉 시트(14)를 포함한다. 밀봉 시트(14)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시트는, 주출구 본체(20)의 바닥면과 거의 같은 크기이다.
상기 개봉체(50)는, 주출구 본체(20)의 통 내를 이동하여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는 것으로서, 주출구 본체(2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형성되고 또한 밀봉 시트(14)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그 중앙에 주출 관통공(5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동체(80)는, 주출구 본체(20)의 외측 개구부(28) 측에 장착되고, 밀봉 시트(14) 측에 있는 개봉체(50)를 밀봉 시트(14)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봉체(50)는 통부(24)의 통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바로 아래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밀봉 시트(14)는, 개봉체(50)에 의해, 그 일부가 잘려 갈라져, 용기(10)의 수용부(200)와 주출구 본체(20)의 외측 개구부(28)가 개봉체(50)의 주출 관통공(56)을 통하여 외부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용기(10)의 수용부(200) 내의 수용물이 외측 개구부(28)로부터 외부로 흘러나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통형의 주출구 본체(20)는,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공(26)을 가지는 통부(24)와, 용기(10)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210)의 끝에지와 제2 용기 시트(220)의 끝에지 사이에 협지되는 장착부(22)와, 통부(24)의 관통공(26)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봉체(50)를 이동시키는 기동체(80)를,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나사부(32)를 포함한다.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는, 길이 방향을 가지는 원통형이다. 통부(24)에 형성된 관통공(26)은, 가로 단면이 원형이며, 통부(2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외측 개구부(28)로부터 장착부(22) 측에 이르기까지 동일한 형상이다.
상기 통부(24)의 용기(10)의 수용부(200) 측에 설치된 장착부(22)는, 개봉체(50)의 주출 관통공(56)과 연통하는 입구(58)을 가지고 있다. 장착부(22)는, 통부(24)의 직경 방향에 있어서, 통부(2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폭 방향으로, 통부(24)의 주위에 돌출되어 있다.
기동체(80)는 캡(82)과 스토퍼(84)를 가지고, 스토퍼(84)를 캡(82)으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냄으로써 이동 공극부(100)를 형성하고, 개봉체(50)를 밀봉 시트(14)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개봉체(50)를 누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동체(80)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흡입구에, 시계 방향(뚜껑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켜, 나사결합시켜 장착된다.
기동체(80)는, 캡(82)의 내측에 개봉체(50)를 누르기 위한 압압부(86)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캡(82)의 내측에 암나사부(88)가 설치되고, 캡(82)의 하단에 간헐적으로 설치된 연결부(96)에 의해 스토퍼(84)가 연결되어 있다.
기동체(80)는, 주위 방향으로 캡(82)을 개봉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돌려 캡(82)으로부터 스토퍼(84)를 떼어내어 이동 공극부(100)를 형성하고,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주위 방향으로 열린 이동 공극부(100)를 향하여 캡(82)을 이동시켜, 압압부(86)가 개봉체(50)를 누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봉체(50)는, 밀봉 시트(14) 측에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52)를 가지고, 또한 그 날부(52)에 주출 관통공(56)을 가지고 있다.
개봉체(50)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통 내를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고, 바로 아래에 있는 밀봉 시트(14)를 날부(52)로 잘려 갈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봉체(50)는, 통형의 슬라이딩 축부(54)와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52)를 가지고 있다.
날부(52)는, 슬라이딩 축부(54)의 끝에서 플랜지형으로 내밀도록 슬라이딩 축부(54)에 연결되어 있다.
날부(52)는, 주출구 본체(20)의 관통공(26)의 주위에 설치된 단차부(34) 또는 걸어맞춤부와 서로 접하고, 개봉체(50)가 외측 개구부(28)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개봉체(50)는, 슬라이딩 축부(54)가 단차부(34)에 부딪혀,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통 내를 이동하여 외측 개구부(28) 측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하여 튀어나오지 않는다.
밀봉 시트(14)는, 장착부(22)의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부(22)의 용기(10)의 수용부(200) 측면에 부착되고, 용기(10)의 수용부(200)와 밀접하고, 또한 개봉체(50)에 의해 잘려 갈라져, 주출구 본체(20)의 관통공(26)과 용기(10)의 수용부(200)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20)는, 용기(10)를 구성하는 용기 시트[제1 용기 시트(210) 및 제2 용기 시트(220)]에 장착되는 배(舟) 형상의 장착부(22)와, 장착부(22)의 상부에 연결된 통부(24)를 포함한다.
장착부(22) 및 통부(24)는, 관통공(26)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관통공(26)은, 장착부(22)의 상부에 외측 개구부(28)를 가지고, 또한 장착부(22)의 하부에 내측 개구부(30)를 가지고 있다.
외측 개구부(28)는, 용기(10)의 외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내측 개구부(30)는, 용기(10)의 수용부(200)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20)는, 통부(24)의 외주면에 수나사부(32)가 설치되고, 또한 수나사부(32)의 아래쪽에 있어서, 기동체(80)를 정지시키는 위한 기동체 정지부(36)가, 통부(24)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있다. 수나사부(32)는, 기동체(80)의 캡(82)의 높이 방향[기동체(80)의 수하부(92)의 높이]의 길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외측 개구부(28)로부터 아래쪽으로 내려간 위치로부터 위쪽으로 형성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20)의 기동체 정지부(36)는, 기동체(80)의 캡(82) 및 스토퍼(84)가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흡입구에 장착될 때, 뚜껑을 닫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선이동하여 하강한 기동체(80)의 스토퍼(84)의 하단과 걸어맞추어져 정지시키기 위해 돌출된, 기동체(80)의 캡(82)보다 약간 긴 직경을 가지는, 원주의 플랜지형이다.
기동체(80)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에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82)과, 캡(82)의 아래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84)를 포함한다.
기동체(80)는, 주출구 본체(20)의 외측 개구부(28) 측에 씌워 뚜껑을 닫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나선이동시켜 하강시켰을 때, 스토퍼(84)의 하단이 기동체 정지부(36)의 상면에 부딪혀 정지한다.
주출구 본체(20)는, 스토퍼(84)를 떼어냈을 때 형성되는 이동 공극부(100)의 높이의 범위에서, 기동체(80)의 캡(82)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이동 규제부(102)가 형성되어 있다.
캡(82)은, 평면에서 볼 때 원형상인 정상부(90)와, 정상부(90)의 주위 에지로부터 수하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수하부(92)를 포함한다.
캡(82)은, 정상부(90)의 내측면으로부터, 수하부(92)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고, 수하부(92)와 평행하게 수하된 압압부(86)를 포함한다.
수하부(92)의 내주면에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2)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88)가 형성되어 있다.
압압부(86)는, 스토퍼(84)를 떼어내어 형성되는 이동 공극부(100)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고, 이동 공극부(100)의 높이보다 짧은 길이만큼 개봉체(50)의 슬라이딩 축부(54)를 눌러, 그 이동을 정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하부(92)는 원통형이며,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외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다.
캡(82)은, 스토퍼(84)를 떼어내어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기 위해서 누를 때, 정상부(90)의 내면(하면)이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상부에 부딪히고, 기동체(80)를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기 위해서 최적의 위치에서 정지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이동 규제부(102)를 구성하고 있다.
이동 규제부(102)는, 기동체(80)의 압압부(86) 및 정상부(90)에 의해 구성되며, 캡(82)의 압압부(86)의 길이만큼, 개봉체(50)를 누르고, 캡(82)의 정상부(90)의 하면(내면)이,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상부[외측 개구부(28)의 측]에 맞닿아, 개봉체(50)의 이동량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스토퍼(84)는, 캡(82)의 나선이동 하강 폭을 규제하기 위한 것이며, 제거함으로써 캡(82)을 소정 위치까지 나선이동하여 하강시킬 수 있다.
도시한 예에 있어서, 스토퍼(84)는, 캡(82)의 주위벽의 하면에 절단 용이성의 연결부(96)를 통하여 상단을 연결하고, 원환 띠형을 이루고 있다.
캡(82)은, 통부(24)의 외주에 스토퍼(84)에 의해 나선이동 하강 폭을 규제하여 장착시키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수하부(92)의 상단 에지로부터 정상부(90)를 연장한 하단 개구의 정상부를 가진 통형을 이루고, 수하부(92)의 내주에 설치한 암나사부(88)를 상기 나사부(32)에 나사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또한, 정상부(90)의 내면의 주변으로부터 개봉체(50)를 누르기 위한 압압부(86)을 수직으로 설치하고 있다.
스토퍼(84)의 상하 방향(폭 방향)의 길이(높이)는, 압압부(86)의 상하 방향(길이 방향)의 길이(높이)와 대략 같거나 그보다 약간 길다.
스토퍼(84)의 상하 방향(폭 방향)의 길이(높이)는, 개봉체(50)의 날부(52)에 의해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기 위해서 하강할 때의 날부(52)의 이동 간격과 대략 같거나 그보다 약간 길다.
압압부(86)의 상하 방향(길이 방향)의 길이(높이)는, 개봉체(50)의 날부(52)에 의해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기 위해서 하강할 때의 날부(52)의 이동 간격과 대략 들 같거나 그보다 약간 길다.
개봉체(50)는, 밀봉 시트(14)를 잘라 가르는 날부(52)와, 날부(52)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슬라이딩 축부(54)를 가지고 있다.
날부(52) 및 날부(52)의 상부에 연결된 슬라이딩 축부(54)는 원기둥형이다.
날부(52)와 슬라이딩 축부(54)는, 주출 관통공(56)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주출 관통공(56)은, 주출구 본체(20)의 외측 개구부(28)에 임하는 출구(60)와 용기(10)의 수용부(200)에 임하는 입구(58)을 가지고 있다.
슬라이딩 축부(54)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관통공(26)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기동체(80)에 눌려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축부(54)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직경보다 약간 짧은 직경을 가지는 원통형이다. 슬라이딩 축부(54)는, 가로 단면이 원형이며, 출구(60)로부터 날부(52)의 상단에 이르기까지 슬라이딩 축부(54)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형상이다.
개봉체(50)의 슬라이딩 축부(54)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와 동심원의 이중 원통형으로 중첩되어 있고, 상하로 슬라이딩하도록 슬라이딩 가능하게, 통부(24)의 통 내에 설치되어 있다.
기동체(80)의 캡(82)의 수하부(92)는,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와 원의 중심이 원인 이중 원통형으로 설치되어 있고, 상하로 나선이동하도록, 나선이동 가능하게 통부(24)의 통 밖에 설치된다.
날부(52)는, 슬라이딩 축부(54)의 길이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축부(54)로부터 밀려나와 있고, 그 외형은, 주출구 본체(20)의 장착부(22) 내에 수용되는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날부(52)는, 원기둥형의 기초부(62)와, 기초부(62)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절단날부(64)와, 절단날부(64) 사이에 설치된 유동구(66)와 기초부(62)의 주위에 설치된 회전 정지부(68)를 포함한다.
기초부(62)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가로로 원환형으로 배열되어 있고, 배열되어 있는 기초부(62)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기초부(62)는 좌우의 기초부(62)가 가장 짧고, 좌우의 기초부(62)로부터 바로 앞쪽 및 향하는 쪽을 향하여 감에 따라 그 길이가 서서히 길어지고 있다.
절단날부(64)는, 기초부(62)의 하단에 연결된 원환형이며, 가로로 배열된 기초부(62)를 연결하고 있다.
날부(52)는, 기초부(62)의 높이와 절단날부(64)의 높이의 합이 주출구 본체(20)의 단차부(34)와 내측 개구부(30) 사이의 길이와 같거나 그보다도 약간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다.
절단날부(64)는, 전후로 나뉘어 있고, 앞의 제1 절단날부(70)와, 뒤의 제2 절단날부(72)를 포함하고 있다.
제1 절단날부(70)은, 바닥면에서 볼 때 원호형이며, 또한, 제2 절단날부(72)는, 바닥면에서 볼 때 원호형이며, 제1 절단날부(70)와 제2 절단날부(72)는 대향하고 있다.
제1 절단날부(70) 및 제2 절단날부(72)는, 밀봉 시트(14)를 자를 때 가장 처음에 밀봉 시트(14)에 접하는 중앙부로부터 좌우의 날의 일부가, 밀봉 시트(14)를 자르도록 좌우로 감에 따라 서서히 그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밀폐 시트(14)에, 제1 절단날부(70)로 잘린 영역(반원호형)과, 제2 절단날부(72)로 잘린 영역(반원호형)이 대향하고, 제1 절단날부(70)로 잘린 영역으로 둘러싸인 반원형의 구멍 및 제2 절단날부(72)로 잘린 영역으로 둘러싸인 반원형의 구멍이 뚫린다.
그러나, 제1 절단날부(70)으로 잘린 영역과, 제2 절단날부(72)로 잘린 영역 사이에는, 잘리지 않은 잔존 영역이 남아, 날부(52)로 잘린 밀봉 시트(14)는, 잘린 주변이 가동 영역으로 되어, 내용물이 유동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는, 기동체 정지부(36)의 위쪽에 있어서, 기동체(80)의 캡(82) 및 스토퍼(84)의 이동을 규제하고, 보호하기 위한 융기부(ridge)(40)가 설치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는, 기동체 정지부(36)의 약간 위쪽에서, 기동체(80)의 캡(82)과 스토퍼(84)를 연결하는 연결부(96)를 분리할 때, 캡(82)만을 회전시켜 스토퍼(8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위한 회전 정지부(42)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회전 정지부(42)는, 캡(82)을 닫기 위해서 뚜껑을 닫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부딪혀, 스토퍼(84)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기동체(80)의 스토퍼(84)는 원통형이며, 그 내주면에, 기동체(80)의 캡(82)과 스토퍼(84)를 연결하는 연결부(96)를 분리할 때, 캡(82)만을 회전시켜 스토퍼(84)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위한 회전 정지부(98)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기동체(80)의 회전 정지부(98)는, 캡(82)을 느슨하게 하기 위해 개봉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주출구 본체(20)의 회전 정지부(42)에 부딪히고, 스토퍼(84)의 회전을 정지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다.
주출구 본체(20)의 장착부(22)는, 횡단면이 배 형상인 기둥형체이며, 그 중앙에, 개봉체(50)의 날부(52)를 수용하기 위한 개봉체 수용부(44)를 뚫어 설치하고 있다.
개봉체 수용부(44)는, 내측 개구부(30) 및 관통공(26)과 동심원인 원통형 구멍이다. 개봉체 수용부(44)는, 그 위쪽의 통부(24)와의 경계 부분의 근방에 있어서 단차부(34)가 형성되어 있다.
개봉체 수용부(44)는, 개봉체(50)의 날부(52)의 전체를 넣는 용적을 가지고 있고, 그 깊이가 기초부(62)의 높이와 절단날부(64)의 높이의 합과 같거나 그보다도 약간 긴 길이를 갖는다.
개봉체 수용부(44)는, 통부(24)의 관통공(26)의 직경보다, 약간 긴 직경을 갖는다.
개봉체 수용부(44)는, 개봉체(50)의 날부(52)가 상하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장착부(22) 및/또는 통부(24)는, 개봉체(50)의 회전 정지부(68)를 걸어맞춤 또는 삽입하여 개봉체(5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68)가 형성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20)의 회전 정지부 삽입공(38)은, 개봉체(5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회전 정지부(68)를 구성하고 있고, 장착부(22)의 개봉체 수용부(44)에 연결된 슬릿형의 긴 홈이다.
회전 정지부 삽입공(38)은 장착부(22)의 높이 방향, 즉 통부(24)의 길이 방향으로, 내측 개구부(30)로부터 통부(24)를 향하여 연장된다.
주출구 본체(20)의 회전 정지부 삽입공(38)에는, 개봉체(50)가 주출구 본체(20)에 끼워넣어지고 또한 주출구 본체(20)의 개봉체 수용부(44)에 개봉체(50)의 날부(52)가 끼워넣어졌을 때, 개봉체(50)의 회전 정지부(68)가 삽입된다.
회전 정지부(42)는, 도 10b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82)을 개봉할 때의 회전 방향(반시계 방향)에 관한 것이며, 회전 정지부(42)의 앞쪽에 가이드면(42a)이 형성되고, 회전 정지부(42)의 뒤쪽에 스토퍼면(42b)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면(42a)은, 캡(82)을 뚜껑을 닫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후술하는 회전 정지부(98)가 가이드면(42a)을 미끄러지면서, 캡(82)이 뚜껑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진 형상이다.
회전 정지부(42)의 스토퍼면(42b)은, 주출구(12)의 통부(24)의 직경 방향으로 일어서는 형상이다. 스토퍼면(42b)은, 캡(82)을 개봉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후술하는 회전 정지부(98)의 선단이 스토퍼면(42b)에 부딪히도록 되어 있다.
스토퍼(84)는 외력이 가해졌을 때, 어느 정도 휘는 것이 가능한 가요성(可撓性)을 가지고 있다.
캡(82)과 스토퍼(84)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스토퍼(84)는 브리지형의 연결부(96)를 통하여, 캡(82)의 하단과 이어져 있다.
스토퍼(84)는, 뚜껑을 열 때 파단시키는, 폭이 좁은 파단 예정부를 통하여 원환형으로 이어져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캡(82)을 개봉하기 전에는 파단 예정부가 파단되어 있지 않다. 캡(82)이 개봉될 때, 파단 예정부가 파단된다.
스토퍼(84)는, 캡(82)의 주위 방향으로 분할 가능한 복수의 밴드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면 되므로, 예를 들면 3 이상의 밴드 요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0b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84)의 내면에는, 주위 방향으로 중심각 180° 대향하는 부위에, 각각 한쌍의 회전 정지부(98)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회전 정지부(98)는, 캡(82)을 뚜껑을 닫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상기 회전 정지부(42)의 외면을 미끄러지면서 뚜껑을 닫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반대로, 캡(82)을 개봉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회전 정지부(98)의 선단이 회전 정지부(42)의 스토퍼면(42b)에 부딪힐 수 있도록, 비스듬히 일어서는 형상을 이루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토퍼(84)에 걸림부(94)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 부(94)의 주위는, 캡(82)을 닫을 때에는 파단하지 않고, 개봉 시에 파단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걸림 부재(94)의 주변은, 파단 예정부를 구성하고 있다.
용기(10)의 수용부(200)에 수용물을 수용하고, 캡(82)을 주출구(12)의 통부(24)의 수나사부(32)에 비틀어 넣음으로써, 주출구(12)의 개구단[주출구 본체(20)의 외측 개구부(28) 및 개봉체(50)의 출구(60)]이 닫힌다.
캡(82)을 닫는 방향(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스토퍼(84)의 회전 정지부(98)가 주출구 본체(20)의 회전 정지부(42)의 가이드면(42a)을 미끄러지면서, 회전 정지부(42)를 타고넘기 때문에, 캡(82)이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이 때문에, 뚜껑을 닫을 때에는, 파단 예정부는 파단되지 않고, 캡(82)과 스토퍼(84)가 일체로 되어, 캡(82)을 소정의 뚜껑이 닫히는 위치까지 비틀어 넣을 수 있다.
캡(82)을 스토퍼(84)로부터 떼어내기 위해서는, 캡(82)을 개봉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도 10b의 (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82)을 개봉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회전 정지부(98)의 선단이 회전 정지부(42)의 스토퍼면(42b)에 부딪힘으로써, 스토퍼(84)의 회전 정지가 행해진다.
이 상태에서, 스토퍼(84)를 개봉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정지하고 있는 스토퍼(84)에 대해서, 캡(82)이 개봉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회전한다.
회전 정지부(98)의 선단이 스토퍼면(42b)에 부딪힌 채로, 캡(82)이 개봉 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부(96)가 분리된다.
다음에, 걸림부(94)에, 손가락(클로우, claw)을 걸어, 걸림부(94)의 주변의 파단 예정부를 파단시키면, 원환형의 걸림부(94)가 분리되어,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로부터 떼어내어진다.
개봉체(50)는, 얇은 파단선을 가압하여 파단한 후, 파단한 밀봉 시트(14)를 장착부(22)의 내측 개구부(30)의 주변에 고착하고 있기 때문에, 잘려 갈라진 밀봉 시트(14)가 너덜너덜하여 수납물의 흡인 등의 방해가 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새로이 밀봉 시트(14)를 폐기하는 수고를 덜 수 있다. 제거 가능한 스토퍼(84)에 의해 나선이동 하강 폭을 규제하여 캡(82)을 나사장착시키고 있기 때문에, 스토퍼(84)를 제거하지 않는 한 개봉할 수 없고, 뜻하지 않은 개봉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주출구의 조립 방법에 대하여, 주로 도 7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개봉체(50)는, 주출구 본체(20)의 장착부(22)의 회전 정지부 삽입공(38)에 회전 정지부(68)를 맞추어, 장착부(22)의 내측 개구부(30) 측으로부터, 장착부(22) 및 통부(24)의 관통공(26)의 내부에 삽입한다.
주출구 본체(20)의 관통공(26)의 내부에 삽입된 개봉체(50)는, 그 최하부인 절단날부(64)가 장착부(22)의 내측 개구부(30)로부터 밖으로 나오지 않는 상태로 한다.
그리고, 밀봉 시트(14)를 장착부(22)의 내측 개구부(30)의 주위에 접착한다.
다음에, 기동체(80)의 캡(8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출구 본체(20)의 통부(24)의 흡입구에 나선이동하여 장착한다.
기동체(80)의 스토퍼(84)는 기동체 정지부(36)에 부딪히고, 기동체(80)가 주출구 본체(20)의 소정 위치에서 정지한다.
이어서, 주출구(12)를 용기(10)에 장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주로 도 11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용기(10)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와,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 사이에 연결된 바닥부 시트(230)를 가지는 원단(시트형 부재)을 준비한다.
원단(시트형 부재)은, 롤형으로 감겨 겹쳐져 있다.
상기 롤형 원단(시트형 부재)을 인출하고, 바닥부 시트(230)를 스탠딩 파우치의 바닥부(204)로 되도록 절곡하고, 성형하여,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를 대향시킨다.
다음에, 대향하는 제1 용기 시트(210)의 좌측 에지(212)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좌측 에지(222)를 열 용착하여 좌측부(206)을 형성한다.
제1 용기 시트(210) 및 제2 용기 시트(220)는, 그 한쪽의 측부[좌측부(206)]와 바닥부(204)가 접속되어 있다.
바닥부(204)와는 반대측인 상부의 제1 용기 시트(210)의 상측 에지(216)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상측 에지(226) 사이에, 주출구(12)의 장착부(22)를 삽입한다.
다음에, 제1 용기 시트(210)의 상측 에지(216)의 내측면과 제2 용기 시트(220)의 상측 에지(226)의 내측면 사이에 장착부(22)를 끼워넣는다.
제1 용기 시트(210)의 상측 에지(216)의 내측면과 제2 용기 시트(220)의 상측 에지(226)과 내측면 사이에 장착부(22)를 끼워넣는다.
그리고, 제1 용기 시트(210)의 상측 에지(2162)의 내측면과 제2 용기 시트(220)의 상측 에지(226)의 내측면은, 그 주변 영역에서 용착하고, 또한 제1 용기 시트(210)의 상측 에지(216)의 내측면과 제2 용기 시트(220)의 상측 에지(226)의 내측면 사이에 끼워넣어진 장착부(22)의 외주면에도 용착한다.
다음에, 용착된 한쪽의 측부[용기(10)의 좌측부(206)]를 아래로 하고, 용착되지 않은 쪽의 측부[용기(10)의 우측부(208)]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210)의 우측 에지(214)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우측 에지(224)를 위로 하여,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 사이에 수용물(수소수)을 주입하는 주입기의 노즐을 삽입하여, 수용물(수소수)을 용기(10)의 주출부(202)에 충전한다.
다음에, 제1 용기 시트(210)의 다른 쪽 측부를 구성하는 우측 에지(214)의 내측면과 제2 용기 시트(220)의 다른 쪽 측부를 구성하는 우측 에지(224)의 내측면을 주변에서 용착하여, 우측부(208)을 형성한다.
상부인 주출부(202), 좌측부(206), 우측부(208) 및 바닥부(204)로 둘러싸인 수용부(200)에 수소수가 봉입된다.
이로써, 수용물은, 용기(10)에 충전되어 밀폐된다.
복수의 용기(10)가 병렬로 제조된 용기(10)의 연결체는, 위쪽의 용기(10)의 좌측부(206)와 인접하는 아래쪽의 용기(10)의 우측부(208)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병렬된 각 용기(10)를 분리할 때는, 위쪽의 용기(10)의 좌측부(206)와 아래쪽의 용기(10)의 우측부(208) 사이에서 적절히 절단하여, 개별 용기(10)를 제조한다.
본 발명의 주출구(12)를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용기(10)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과 가열 밀봉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가 사용된다.
이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결정성 폴리부텐-1, 결정성 폴리-4-메틸펜텐-1, 저밀도, 중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EEA), 이온 가교 올레핀 공중합체(아이오노머)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수지 등의 할로겐화 비닐 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니트릴 중합체; 나일론6, 나일론66, 파라 또는 메타크실렌아디프아미드와 같은 폴리아미드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옥시 메틸렌 등의 폴리아세탈류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주출구 본체(20), 개봉체(50) 및 기동체(80)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 압축 성형 등의 공지의 방법에 의해 성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주출구 본체(20), 개봉체(50) 및 기동체(80) 내에 형성하는 가스 배리어층은,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EVA 검화물, 나일론 또는 환형 올레핀코폴리머 등의 가스 배리어성 수지층, 알루미늄이나 산화규소 등의 금속 산화물 증착막을 가지는 수지층,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수지층,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 등에 의해 구성된다.
가스 배리어층은, 예를 들면 공사출(共射出) 성형, 다층 압축 성형, 다색 성형, 증착 등,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주출구(12)를 고착하는 용기(10)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는, 가열 밀봉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단층 필름, 이들 가열 밀봉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파우치의 내층으로 하고, 다른 필름을 적층한 2층 이상의 층 구성을 가지는 적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가열 밀봉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결정성 폴리부텐-1, 결정성 폴리-4-메틸펜텐-1, 저밀도, 중밀도 또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EVA),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EAA), 에틸렌-아크릴산 에틸 공중합체(EEA), 이온 가교 올레핀 공중합체(아이오노머) 등의 폴리올레핀류; 폴리스티렌,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의 방향족 비닐 공중합체;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수지 등의 할로겐화 비닐 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체,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와 같은 니트릴 중합체; 나일론6, 나일론66, 파라 또는 메타크실렌아디프아미드와 같은 폴리아미드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테트라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산 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류; 각종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옥시메틸렌 등의 폴리아세탈류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들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재료로서는, 예를 들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에틸렌계 불포화 카르본산 또는 그 무수물로 그라프트 변성된 올레핀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비교적 저융점이거나 저연화점인 폴리아미드 또는 코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에스테르 또는 코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이 사용된다.
용기(10)를 구성하는 플라스틱 필름으로서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가열 밀봉성을 가지는 열가소성 수지 필름을 용기(10)의 내층으로 하고, 필요에 따라 접착제층을 통하여, 다른 필름을 적층한 적층 필름을 사용한다.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이민 수지, 알킬 티타네이트 수지, 폴리에스테르-이소시아네이트계 수지,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폴리에테르 계 수지, 극성기를 도입한 올레핀계 수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접착성 수지를 사용한다.
가열 밀봉성 수지와 적층하는 필름으로서는 특별히 제한은 없고, 통상 포장 주머니에 사용되는 것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와 같은 필름에 적절한 재료로서는, 상기한 가열 밀봉성 수지로서 사용되는 재료는 모두 사용할 수 있지만, 내층에 사용하는 수지보다도 융점이 높은 수지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용기(10)의 수용부(200)의 영역을 구성하는 필름으로서,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과 상기한 플라스틱 필름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접합한 것을 사용한다. 특히, 수소수의 경우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박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 폴리염화비닐리덴 수지, EVA 검화물, 나일론 또는 환형 올레핀코폴리머 등의 수지층, 알루미늄이나 산화규소 등의 금속 산화물 증착막을 가지는 수지층, 점토 광물을 함유하는 수지층도 가능하다.
알루미늄 영역은 알루미늄층 또는 알루미늄박으로 형성되고, 알루미늄층 또는 알루미늄박은, 알루미늄층 또는 알루미늄박을 유지하는 유지층의 전체면에 걸쳐 간극없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용기 시트(210) 및 제2 용기 시트(220), 및 밀봉 시트(14)의 알루미늄 영역은 알루미늄의 한쪽 주면(主面) 측에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또한, 알루미늄의 다른 쪽 주면 측에 유지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용기의 알루미늄 영역은, 알루미늄의 한쪽 주면 측에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또한, 알루미늄의 다른 쪽 주면 측에 유지층을 포함하고, 용기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210)의 접착제층과 용기를 구성하는 제2 용기 시트(220)의 접착제는 접합하여 접착되어 있다.
상기 주출구에 접착된 밀봉 시트(14)의 알루미늄 영역은, 알루미늄의 한쪽 주면 측에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또한, 알루미늄의 다른 쪽 주면 측에 유지층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용기의 알루미늄과 주출구의 밀봉 시트(14)의 알루미늄의 주위 끝에지는, 수소수에 포함되는 수소가 빠져나오지 않도록 근접하여 있다.
상기 주출구(12)는, 주출구 본체(20)에서의 수용부(200)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30)의 근방에, 내측 개구부(30)를 덮는 밀봉 시트(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주출구 부착 용기는 수소수, 주스, 과즙, 스프, 스튜, 젤리, 커피 등의 식품 등의 액체의 내용물이 수납되고, 사용자가 주출구로부터 내용물을 꺼낼 수 있다.
특히, 주스, 과즙 등의 산화되기 쉬운 것이라도, 수소를 가하는 것에 의해 수소 농도를 유지하고, 수소의 환원 작용에 의해 산화되기 어려워진다.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
이하에,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에 대하여, 도 12∼도 3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내는 그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는, 수소수를 주입하는 용기(10)와, 용기(10)에 장착된 주출구 본체(1020)를 구비하고, 주출구 본체(1020)에서의 수용부(200)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1030)을 덮는 밀봉 시트(1014)를 더 포함한다.
밀봉 시트(1014)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시트는,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과 거의 같은 크기이다.
밀봉 시트(1014)의 알루미늄 영역과 용기(10)의 수용부(200)의 내면의 알루미늄 영역은 밀접하여, 수소수 중의 수소가 용기(10) 및 주출구 본체(1020)로부터 빠져나오기 어렵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는, 용기(10)에 수용된 수소수를 외부로 주출하기 위한 주출구(1012)를 구비한다.
그리고, 주출구 부착 용기(10)가 수용할 수 있는 수소수의 용량은 150ml, 300ml 또는 500ml 등으로 할 수 있지만,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주출구(1012)]
주출구(1012)는 주출구 본체(1020)와, 개봉체(1050)와, 기동체(1080)를 포함한다.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에는, 밀봉 시트(1014)가 고착된다. 개봉체(1050)는,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관통공(1026)에 삽입되고, 상하 방향(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밀봉 시트(1014)의 일부를 잘려 갈라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기동체(1080)는,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관통공(1026)의 외측 개구부(1028)에 나사장착되어 용기(10)를 밀폐하고, 또한 주출할 때 개봉되고, 또한 개봉체(1050)를 밀봉 시트(1014)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1020)]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가 구비하는 주출구 본체에 대하여, 도 14∼도 1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5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6의 (A)가 도 15a의 XVIA-XVIA 단면도, 도 16의 (B)가 도 15a의 XVIB-XVIB 단면도이다.
주출구 본체(1020)는, 용기(10)에 장착되는 장착부(1022)와, 장착부(1022)의 천정부 상면의 대략 중앙에 있어서 위쪽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되고, 수소수를 주출 할 때의 흡입구에 개봉체(1050)를 삽입하는 부위로 되는 통부(1024)를 갖는다.
장착부(1022)와 통부(1024)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주출구 본체(1020)에는, 그 대략 중앙을 상하 방향을 걸쳐 관통하는, 즉, 장착부(1020)의 바닥면으로부터 통부(1024)의 상면까지 걸쳐 관통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인 관통공(1026)이 형성된다. 관통공(1026)은, 장착부(1022)의 바닥면에 형성된 내측 개구부(1030)과 통부(1024)의 상면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1028)를 갖는다.
장착부(1022)는, 용기(10)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1210)의 끝에지와, 제2 용기 시트(1220)의 끝에지 사이에 협지되도록 용기(10)에 장착된다. 장착부(1022)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마름모꼴 형상의 바닥부와, 바닥부의 끝에지로부터 일어서는 측부와, 바닥부와 대략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천정부를 갖는다.
장착부(1022)의 한쪽의 측부에는, 3개의 가로 리브부(1330a, 1330b, 1330c)와 3개의 세로 리브부(1340a, 1340b, 1340c)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3개의 가로 리브부(1330a, 1330b, 1330c)는, 좌우 방향(가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3개의 가로 리브부(1330a, 1330b, 1330c)는, 서로 평행하며, 상하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가로 리브부(1330b)의 대략 중앙에는, 폭 방향을 향하여, 상기한 관통공(1026)까지 관통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인 시험용 구멍(1332)이 형성되는.
3개의 세로 리브부(1340a, 1340b, 1340c)는, 상하 방향(세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3개의 세로 리브부(1340a, 1340b, 1340c)는, 서로 평행하며, 좌우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장착부(1022)의 다른 쪽의 측부는, 시험용 구멍(1332)이 형성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한쪽의 측부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여기서는 동일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시험용 구멍(1332)은, 주출구(1012)를 조립한 후, 주출구 부착 용기의 밀봉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된다. 시험용 구멍(1332)은, 시험용 구멍(1332)으로부터 전용의 노즐을 찔러 공기를 주입하고, 주출구 본체(1020) 내부의 기압 변화를 측정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밀봉 시트(1014)에 의해 개봉체(1050)에 형성된 주출 관통공(1056)의 입구(1058)[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관통공(1026)의 내측 개구부(1030)]가 확실하게 밀폐되어 있는지, 및 기동체(1080)에 의해 주출 관통공(1056)의 출구(1060)[관통공(1026)의 외측 개구부(1028)]가 확실하게 밀폐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착부(1022)의 대략 중앙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인 관통공(1026)이 형성된다. 장착부(1022)에 형성된 관통공(1026)은, 개봉체(1050)의 날부(1052)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으로 되는 개봉체 수용부(1044)가 형성된다. 개봉체 수용부(1044)는, 직경 및 높이가 개봉체(1050)의 날부(1052)의 직경 및 높이와 거의 같거나 또는 약간 크다. 개봉체 수용부(1044)의 내벽[즉, 관통공(1026)의 측벽 하부]에는, 나선형의 경사면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1310d)이 형성된다. 안내 경사면(1310d)의 하단부[즉, 안내 경사면(1310d)의 종단부]는, 관통공(1026)의 내측 개구부(1030)보다도 약간 위쪽에 위치한다.
그리고, 이 종단부의 근방에는, 개봉체(1050)의 평면에서 볼 때의 회전 운동(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 및 우회전)을 정지시키고, 개봉체(1050)가 회전하면서 상하 이동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인 회전 정지 웅부(1312)(주출구 본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아래쪽(제2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게 설치된다. 회전 정지 웅부(1312)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이다.
통부(1024)는, 흡입구로 되는 직경 및 기동체(1080)를 나사결합할 수 있는 길이를 구비하는 대략 원통형상이다. 통부(1024)의 외면에는, 우측 수나사부(1032)(제1 수나사부)와, 융기부(1040)와, 회전 정지부(104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우측 수나사부(1032)는, 통부(1024)의 외면 상부에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나사를 선회했을 때 진행하는 나사(이하, 「오른나사」라고 함)의 웅부를 구성한다.
융기부(1040)는, 우측 수나사부(1032)의 하부에 있어서, 통부(1024)의 외면 전체에 걸쳐 설치된다. 융기부(1040)는, 그 직경 방향의 치수가,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커지는 형상이다. 즉, 융기부(1040)는, 상단으로부터 하단을 향하여 경사진 형상을 갖는다. 회전 정지부(1042)는, 융기부(1040)의 하부에 있어서, 주위 방향에 대하여 등간격으로 4개 설치된다.
회전 정지부(1042) 각각은, 가이드면(1042a)과, 스토퍼면(1042b)를 갖는다. 통부(1024)를 평면에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볼 때, 가이드면(1042a)이 먼저 나타나는 면이 되고, 스토퍼면(1042b)이 나중에 나타나는 면이 된다. 그리고, 평면에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볼 때 먼저 나타난다는 것은, 평면에서 우회전으로 볼 때 상류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평면에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볼 때 나중에 나타난다는 것은, 평면에서 우회전으로 볼 때 하류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한다. 가이드면(1042a)은, 평면에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볼 때, 먼저 나타나는 끝에지(상류 측에 위치하는 끝에지)로부터 나중에 나타나는 끝에지(하류 측에 위치하는 끝에지)를 향하여 직경 방향의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한편, 스토퍼면(1042b)은, 통부(1024)의 직경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이다. 즉, 회전 정지부(1042)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각 삼각형상이다.
[개봉체(1050)]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가 포함하는 개봉체에 대하여, 도17∼도 1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8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8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18의 A의 XIX-XIX 단면도이다.
개봉체(1050)는, 주출구 본체(1020)로부터 빠져나오지 않게,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의 내부를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다. 개봉체(1050)는,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 축부(1054)와, 수동 축부(1054)의 하단부의 외벽을 덮도록 형성된 날부(1052)를 갖는다. 날부(1052)와 수동 축부(1054)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 등의 재료로 일체로 성형된다. 개봉체(1050)의 상하 방향의 치수[수동 축부(1054)의 상하 방향의 치수]는, 주출구 본체(1020)의 치수보다도 약간 작다. 개봉체(1050)에는, 그 대략 중앙을 상하 방향으로 걸쳐 관통하는, 즉, 날부(1052)의 바닥면으로부터 수동 축부(1054)의 상면까지 걸쳐 관통하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인 주출 관통공(1056)이 형성된다. 주출 관통공(1056)은, 날부(1052)의 바닥면에 형성된 입구(1058)과, 수동 축부(1054)의 상면에 형성된 출구(1060)를 갖는다.
날부(1052)는, 그 외경이,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개봉체 수용부(1044)의 내경(內徑)과 거의 같거나 약간 작다. 또한, 날부(1052)는, 그 상하 방향의 치수가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개봉체 수용부(1044)의 치수와 거의 같거나 약간 작다. 날부(1052)는,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 근방까지의 기초부(1062)와, 그 하단부의 절단날부(1064)를 갖는다. 기초부(1062)의 외면에는, 왼나사의 웅부를 구성하는 피안내 경사면(1360c)이 형성된다. 이 피안내 경사면(1360c)은, 상기한 주출구 본체(1020)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1310d)에 대응한 나선형의 경사면을 갖는다. 개봉체(1050)는, 연통 회전 방향(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으로 돌려집으로써, 그 피안내 경사면(1360c)이 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에 접촉하여 하방(제2 방향)으로 안내된다. 피안내 경사면(1360c)의 시단부(始端部)의 근방에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으로 오목하게 회전 정지 자부(雌部)(1362)(개봉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형성된다. 이 회전 정지 자부(1362)는, 상기한 안내 경사면(1310d)의 종단부에 형성된 회전 정지 웅부(1312)와 함께 작동하여 작용한다. 이 함께 작동하는 태양(態樣)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초부(1062)에 있어서의 피안내 경사면(1360c)의 하부에는, 직경 방향으로 오목하게 하여 직경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단차로서 플랜지부(1370)가 전체 주위에 걸쳐 형성된다.
절단날부(1064)는, 그 상단부[기초부(1062)와의 접속부]로부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원통형상의 절단날 근원부(1066)와, 절단날 근원부(1066)의 하단부로부터 서서히 직경 방향의 치수가 작아지는 절단날 바닥부(1068)를 갖는다. 절단날 바닥부(1068)는, 그 바닥면에, 측면에서 볼 때, 축 방향으로 직행한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날 선단부(1070)를 갖는다. 날 선단부(1070)는, 바닥면에서 볼 때, 거의 완전한 원형상의 외형을 가진 대략 원환형이다. 또한, 절단날 바닥부(1068)는, 날 선단부(1070)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절결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의 절결부(1380)를 갖는다. 절결부(1380)는, 평면에서 볼 때, 상기한 피안내 경사면(1360c)의 시단부의 근방에 형성된 회전 정지 자부(1362)와 중심각이 약 300°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절결부(1380)는, 아랫변의 길이 치수가 윗변의 치수보다도 약간 크고, 또한 아랫변의 양단의 내각(및 상단의 양단의 내각)이 서로 같은 사다리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동 축부(1054)는, 그 상하 방향의 치수가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치수보다도 약간 작은 대략 원통형상이다. 수동 축부(1054)의 외면에는,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동부로서의 3개의 날개부(1390)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날개부(1390)는 각각,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수동 축부(1054)의 주위 방향으로 등간격으로 형성된다. 수동 축부(1054)는, 평면에서 볼 때, 3개의 날개부(1390)의 선단을 연결했을 때에 그려지는 원의 직경[즉, 수동 축부(1054)의 날개부(1390)를 포함하는 외경]이,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내경에 거의 같거나 약간 작다. 날개부(1390)는, 기동체(1080)가 좌회전(반시계 방향)하는 데에 연동하여 개봉체(1050)도 좌회전하기 위한 구성을 갖는다. 날개부(1390)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볼 때 먼저 나타나는 면(상류 측에 위치하는 면)이 돌출하는 방향과 수동 축부(1054)의 외면의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좌회전으로 볼 때 나중에 나타나는 면(하류 측에 위치하는 면)이 돌출하는 방향과 수동 축부(1054)의 외면의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즉, 날개부(1390) 각각은,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으로 보면, 그 근원[즉, 수동 축부(1054)의 외면과의 접속부]으로부터 그 선단을 향하여 후퇴하도록 경사져 있다. 그리고, 수동 축부(1054)의 외면은,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를 향하여 직경 방향의 치수가 약간 작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동체(1080)]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가 포함하는 기동체에 대하여, 도 20∼도 2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의 (A)가 평면도, 도 21의 (B)가 저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2의 (A)가 도 21의 (A)의 XXIIA-XXIIA 단면도, 도 22의 (B)가 도 22의 (A)의 XXIIB-XXIIB 단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의 템퍼 에비덴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기동체(1080)는, 주출구 본체(1020)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결합할 수 있도록, 또한 개봉체(1050)를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의 내부를 아래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된다. 기동체(1080)는, 캡(1082)과, 초기 상태의 캡(1082)에 손이 가해진 것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템퍼 에비덴스(1084)를 포함한다.
캡(1082)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인 정상부(1090)와, 정상부(1090)의 끝에지로부터 수하된 측벽인 수하부(1092)를 포함한다. 즉, 캡(1082)은, 그 바닥면에 개구를 가지는 대략 원기둥형상이다. 정상부(1090)와 수하부(1092)는,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된다. 캡(1082)의 내경은,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외경과 거의 같거나 약간 크다. 또한, 캡(1082)은, 그 상하 방향의 치수가 주출구 본체(1020)의 상단부로부터 융기부(1040)까지의 치수와 거의 같다. 정상부(1090)의 내면에는, 수하부(1092)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하되는 3개의 작동부로서의 날개 가압부(1086)가 설치된다. 수하부(1092)의 내면에는, 오른나사의 자부를 구성하는 우측 암나사부(1088)(제1 암나사부)가 형성된다. 3개의 날개 가압부(1086)는 각각,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3개의 날개 가압부(1086)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호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3개의 날개 가압부(1086)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서로 연결했을 때 하나의 원을 그리도록 설치된다. 또한, 3개의 날개 가압부(1086)는 각각, 평면에서 좌회전으로 볼 때, 나중에 나타나는 단부(하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먼저 나타나는 단부(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우측 암나사부(1088)는, 상기한 주출구 본체(1020)의 외면에 형성된 우측 수나사부(1032)에 나사결합한다.
템퍼 에비덴스(1084)는, 그 내경 및 외경이 캡(1082)의 내경 및 외경과 거의 동일한 원환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템퍼 에비덴스(1084)는, 그 높이 방향의 치수가,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부(1042)의 치수와 거의 같다. 템퍼 에비덴스(1084)는, 그 상면에 2개의 연결부(1410) 및 4개의 상면 임시(假) 연결부(1412)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측벽의 외면에 4개의 측면 임시 연결부(1414)가 돌출되게 형성되고, 그 측벽의 내면에 회전 정지부(1098)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기동체(1080)는, 출하 시의 초기 상태[즉, 주출구 본체(1020), 개봉체(1050) 및 기동체(1080)가 조립되어 이루어지는 주출구(1012)의 바닥면에 밀봉 시트(1014)를 고착한 상태에서, 주출구(1012)를 그 수용부(200)에 수소수를 수용한 용기(10)의 끝에지에 장착하여 밀봉한 상태]에 있어서, 그 캡(1082)의 하단부와, 그 템퍼 에비덴스(1084)의 2개의 연결부(1410) 각각의 선단부 및 4개의 상면 임시 연결부(1412) 각각의 선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템퍼 에비덴스(1084)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4개의 측면 임시 연결부(1414)에 의해, 그 전체 주위에 걸쳐 연결되어 있다. 2개의 연결부(1410)는, 측면에서 볼 때 대략 L자형이다. 또한, 4개의 상면 임시 연결부(1412) 및 4개의 측면 임시 연결부(1414)의 연결은, 용이하게 파단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회전 정지부(1098)는, 상기한 회전 정지부(1042)와 함께 작동하여 작용한다. 이 함께 작동하는 태양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주출구(1012)의 조립 순서]
이어서, 주출구(1012)를 조립하는 순서의 일례에 대하여, 도 24∼도 26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 개봉체 및 기동체를 조립하는 순서로 배열하여 바닥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에 밀봉 시트를 고착하는 방향으로 배열하여 바닥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내는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먼저, 평면에서 볼 때, 기동체(1080)의 중심과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중심이 동심으로 되도록, 기동체(1080)를 주출구 본체(1020)의 상면측[통부(1024)의 상면측]으로부터 끼워넣어 간다.
그러면, 기동체(1080)의 내면에 형성된 우측 암나사부(1088)의 하단부[즉, 우측 암나사부(1088)의 시단부]에, 주출구 본체(1020)의 상부[통부(1024)]의 외면에 형성된 우측 수나사부(1032)의 상단부[즉, 우측 수나사부(1032)의 종단부]가 부딪힌다.
여기부터, 기동체(1080)를 평면에서 볼 때 우회전(시계 방향)시킴으로써, 우측 암나사부(1088)와 우측 수나사부(1032)를 나사결합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기동체(1080)는, 주출구 본체(1020)의 아래쪽으로 진행한다.
우측 암나사부(1088)와 우측 수나사부(1032)를 나사결합시켜 가고, 기동체(1080)를 아래쪽으로 진행시켜 가면, 템퍼 에비덴스(1084)의 측벽의 내면에 돌출된 회전 정지부(1098)가, 주출구 본체(1020)의 외면에 돌출된 회전 정지부(1042)의 가이드면(1042a)에 맞닿는다. 여기서, 상기한 바와 같이, 가이드면(1042a)은, 주출구 본체(1020)를 평면에서 우회전(시계 방향)으로 볼 때, 먼저 나타나는 끝에지(상류 측에 위치하는 끝에지)로부터 나중에 나타나는 끝에지(하류 측에 위치하는 끝에지)를 향하여 직경 방향의 치수가 커지도록 경사져 있다.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부(1042)가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템퍼 에비덴스(1084)의 회전 정지부(1098)는,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부(1042)의 가이드면(1042a)를 용이하게 타고넘는다. 따라서, 템퍼 에비덴스(1084)[기동체(1080)]가 계속해서 우회전(시계 방향)할 수 있다.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의 내면과, 주출구 본체(1020)의 상단이 접촉 또는 거의 맞닿을 때까지, 기동체(1080)를 우회전(시계 방향)시키고, 아래쪽으로 진행시킨다. 기동체(1080)를 최후까지 나사결합하면, 캡(1082)의 하단부가 주출구 본체(1020)의 융기부(1040)의 상부 근방에 위치하고, 템퍼 에비덴스(1084)가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부(1042)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즉, 캡(1082)의 수하부(1092)의 내면이 주출구 본체(1020)의 융기부(1040)로부터 상부의 외면에 대향하고, 또한 템퍼 에비덴스(1084)의 내면이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부(1042)의 외면에 대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기동체(1080)를 주출구 본체(1020)의 상부에 나사결합시킨다.
다음에, 평면에서 볼 때, 주출구 본체(1020)의 개봉체 수용부(1044)의 중심과 개봉체(1050)의 중심이 동심으로 되도록,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의 내측 개구부(1030) 측[즉,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개봉체(1050)를 끼워넣는다. 이 때, 개봉체(1050)를 그 수동 축부(1054)의 상단부로부터 관통공(1026)에 끼워넣는다.
이 때,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회전 정지 웅부(1312)가, 평면에서 볼 때, 개봉체(1050)에 형성된 회전 정지 자부(1362)와 중심각이 약 300°어긋난 위치로 되도록,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에 개봉체(1050)를 삽입한다. 이 때,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회전 정지 웅부(1312)는, 개봉체(1050)에 형성된 절결부(1380)와 거의 같은 위치로 된다.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 웅부(1312)의 선단부에 개봉체(1050)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1310d)이 부딪힐 때까지,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에 개봉체(1050)를 삽입하면, 개봉체(1050)의 날부(1052)가 주출구 본체(1020)의 개봉체 수용부(1044)에 완전히 수용된다. 이 때, 날부(1052)의 상면과 개봉체 수용부(1044)의 상벽이 접하거나 서로 근방에 위치하고, 또한 날부(1052)의 바닥면과, 개봉체 수용부(1044)의 바닥면이 거의 같은 높이로 된다. 즉, 개봉체(1050)의 바닥면과,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이 거의 같은 높이로 된다. 또한, 이 때, 개봉체(1050)는, 그 수동 축부(1054)가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내부를 연장한다. 즉, 개봉체(1050)는, 그 수동 축부(1054)가 관통공(1026)의 개봉체 수용부(1044)보다도 상부를 연장한다. 그리고, 평면에서 볼 때, 개봉체(1050)의 수동 축부(1054)의 중심과,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중심은 동심이다. 또한, 이 때, 개봉체(1050)의 수동 축부(1054)의 외면에 돌출된 3개의 날개부(1390)의 평면에서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볼 때 먼저 나타나는 면(상류 측에 위치하는 면)이,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3개의 날개 가압부(1086) 각각의 평면에서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볼 때 먼저 나타나는 단부(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대향한다.
상기와 같이 하여, 주출구 본체(1020)의 상부에 기동체(1080)를 나사결합하고,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에 개봉체(1050)를 삽입함으로써, 주출구(1012)를 조립한다. 그리고, 주출구(1012)의 바닥면[즉,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에 밀봉 시트(1014)를 고착한다. 이 때, 관통공(1026)의 내측 개구부(1030)를 밀폐하도록, 밀봉 시트(1014)를 고착한다. 그리고, 밀봉 시트(1014)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동일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그리고, 그 바닥면에 밀봉 시트(1014)가 고착된 주출구(1012)를 용기(10)에 장착한다. 이 장착에 대해서도, 상기한 실시형태와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동일한 설명을 반복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주출구 부착 용기(10)는 밀봉 시트(1014)에 의해, 용기(10)의 수용부(200)와, 주출구(1012)에 형성된 관통공(1026)이 차폐되어 있다. 따라서, 용기(10)의 수용부(200)에 수용된 수소가, 장착부(1022) 및 주출구(1012)의 관통공(1026)으로부터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캡(1082), 주출구 본체(1020) 및 개봉체(1050)는,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축(C)이 공통이다. 즉, 캡(1082),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 및 개봉체(1050)는, 서로 동심의 대략 원통형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된 주출구(1012)의 초기 상태[조립 직후의 주출구 본체(1020), 개봉체(1050), 기동체(1080) 및 밀봉 시트(1014)의 위치 관계]는, 다음과 같다.
주출구 본체(1020)의 대략 원통형의 통부(1024) 및 관통공(1026), 개봉체(1050)의 대략 원통형의 수동 축부(1054) 및 날부(1052), 및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 및 대략 원통형의 수하부(1092)는, 각각, 중심축(C)이 동심으로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1020)의 상단부(한쪽 단부)에 나사결합된 기동체(1080)는, 그 정상부(1090)의 내면이,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상단부에 접촉한다.
주출구 본체(1020)의 상단부(한쪽 단부)에 나사결합된 기동체(1080)는, 그 수하부(1092)의 내면이,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외면을 따라,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상단부나 또는 수하부(1092)의 내면에 형성된 우측 암나사부(1088)가,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외면에 형성된 우측 수나사부(1032)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주출구 본체(1020)의 상단부(한쪽 단부)에 나사결합된다.
또한, 기동체(1080)의 하단부에 형성된 대략 원환형의 템퍼 에비덴스(1084)가, 축 방향에 있어서,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의 외면의 융기부(1040)의 하부에 형성된 회전 정지부(1098)와 같은 위치로 된다. 그리고, 템퍼 에비덴스(1084)의 내면과, 회전 정지부(1098)의 외면이 대향한다.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에 삽입된 개봉체(1050)는,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의 상단부의 근방으로부터 하단부까지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개봉체(1050)의 상단부[즉, 그 수동 축부(1054)의 상단부]는, 주출구 본체(1020)의 상단부[즉, 그 통부(1024)의 상단부]보다도 약간 아래쪽에 위치한다.
한편, 개봉체(1050)의 하단부[즉, 그 날부(1052)의 하단부]는, 주출구 본체(1020)의 하단부[즉, 그 장착부(1022)의 바닥면]와 거의 같은 높이에 위치한다.
날부(1052)의 상단부[즉, 수동 축부(1054)의 외면으로부터 직경 방향으로 돌출하는 상단면]는,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의 내벽에 형성된 단차부(1034)의 하면에 접촉한다.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에 고착된 밀봉 시트(1014)는, 그 상면[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에 고착되는 측의 면]의 대략 중앙에, 개봉체(1050)의 하단부, 즉, 그 날부(1052)의 하단부가 접촉한다.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로부터 수하되는 날개 가압부(1086)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보아 선단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개봉체(1050)의 날개부(1390)의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보아 나중에 나타나는 면(하류 측에 위치하는 면)의 직경 방향에서라고 하는 선단측에 접촉한다.
또한, 수동 축부(1054)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게 설치된 날개부(1390)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보아 나중에 나타나는 면(하류 측에 위치하는 면)의 직경 방향에서라고 하는 선단측이,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로부터 수하되는 날개 가압부(1086)의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보아 선단측에 위치하는 단부에 접촉한다.
주출구 본체(1020)의 내벽에 형성된 회전 정지 웅부(1312)와, 개봉체(1050)의 외벽에 형성된 회전 정지 자부(1362)는,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보아, 서로 주위 방향에 있어서 회전각 300°만큼 이격되어 있다.
개봉체(1050)의 피안내 경사면(1360c)은, 초기 상태로부터 왼쪽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는 상향의 작은 길이며, 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은, 초기 상태로부터 왼쪽을 향함에 따라 상승하는 하향의 작은 길이다.
개봉체(1050)의 피안내 경사면(1360c)은, 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피안내 경사면(1360c)의 하부 영역이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 웅부(1312)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개봉체(1050)의 피안내 경사면(1360c)은, 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에 대향하고 있다.
개봉체(1050)의 회전 정지 자부(1362)는, 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의 위쪽 영역과 대략 같은 높이의 위치에 있어서, 약간 좌측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개봉체(1050)의 날부(1052)의 기초부(1062)는, 직경 방향의 치수가 플랜지부(1370)의 치수와 동일하며, 플랜지부(1370)의 위쪽으로 연장되는 대경부(1352)와, 직경 방향의 치수가 플랜지부(1370)의 치수보다 약간 작은 소경부(1354)와, 대경부(1352)와 소경부(1354)의 접속부에 형성된 단차(1360)를 갖는다.
상기 단차(1360)는, 플랜지부(1370)의 근방에 있어서, 플랜지부(1370)와 평행하게(즉, 주위 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 연장부(1360a)와, 좌우 방향 연장부(1360a)의 한쪽 단부로부터 위쪽으로 약간 일어서는 입상부(立上部)(1360b)와, 입상부(1360b)의 상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 왼쪽으로 상승하게 경사지고, 주위 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어 기초부(1062)의 상단까지 도달하는 피안내 경사면(1360c)와, 좌우 방향 연장부(1360a)의 다른 쪽 단부로부터 약간 오른쪽으로 상승하게 경사져 위쪽으로 연장되어, 기초부(1062)의 상단까지 도달하는 상하 방향 연장부(1360e)를 갖는다.
피안내 경사면(1360c)의 상단부와 상하 방향 연장부(1360e)의 상단부는, 주위 방향에 있어서 이격되어 있다. 즉, 기초부(1062)의 상단부의 일부는, 대경부(1352)의 상단부에 의해 구성된다. 대경부(1352)의 상단부의 주위 방향의 한쪽 단부가 피안내 경사면(1360c)의 상단부이며, 다른 쪽 단부가 상하 방향 연장부(1360e)의 상단부이다. 회전 정지 자부(1362)는, 기초부(1062)의 상단부의 일부를 구성하는 대경부(1352)의 상단부의 주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의 오목부이다.
회전 정지 자부(1362)는, 좌우 방향 연장부(1360a)의(평면에서 볼 때) 우측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절결부(1380)는 좌우 방향 연장부(1360a)의 아래쪽으로서, 회전 정지 자부(1362)의(평면에서 볼 때) 좌측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다.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의 하부를 구성하는 개봉체 수용부(1044)는, 상기한 개봉체(1050)의 대경부에 대응한 직경 방향의 치수를 가지는 개봉체 수용 대경부(1302)와, 상기한 개봉체(1050)의 소경부에 대응한 직경 방향의 치수를 가지는 개봉체 수용 소경부(1304)와, 개봉체 대경부(1302)와 개봉체 소경부(1304)의 접속부에 형성된 단차(1310)를 갖는다.
개봉체 수용 대경부(1302)는, 내측 개구부(1030)의 위쪽으로 연장하고, 개봉체 수용 소경부(1304)는, 개봉체 수용 대경부(1302)의 위쪽으로 연장한다.
즉, 개봉체 수용 대경부(1302)의 측벽은, 개봉체 수용 소경부(1304)의 측벽 보다도 관통공(1026)의 외경 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단차는, 관통공(1026)의 벽면의 주위 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좌우 방향 연장부(1310a)와, 좌우 방향 연장부(1310a)의 주위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 단부(좌단부)로부터 관통공(1026)의 벽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상하 방향 연장부(1310b)와, 상하 방향 연장부(1310b)의 하단부로부터 관통공(1026)의 벽면의 주위 방향을 따라 측면에서 볼 때 좌측으로 연장되는 하단부(1310c)와, 하단부(1310c)의 좌단부로부터 측면에서 볼 때 왼쪽으로 상승하게 경사져 관통공(1026)의 벽면의 주위 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경사면(1310d)을 갖는다.
회전 정지 웅부(1312)는, 상기 단차(1310)의 하단부의 주위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측면에서 볼 때 사각형상의 볼록부이다. 회전 정지 웅부(1312)는 단차(1310)를 구성하는 하단부(1310c)에 있어서, 하향으로 돌출된 볼록부이다.
[밀봉 시트(1014)의 일부를 잘라 가르기 위한 순서]
이어서, 밀봉 시트(1014)의 일부를 잘라 가름으로써잘라 가름으로써의 수용부(200)와, 주출구(1012)에 형성된 관통공(1026)을 연통하고, 수소수를 마실 수가 있는 상태로 하는 태양의 일례에 대하여, 도 27∼도 3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7의 (A)가 도 26의 XXVII-XXVII 단면도, 도 27의 (B)가 기동체를 좌회전시켰을 때의 날개 가압부와 날개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도 2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의 좌측 암나사부와, 개봉체의 좌측 수나사부가 나사결합하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 전개도이며, 도 28의 (A)가 개봉체의 회전각 0°, 도 28의 (B)가 개봉체의 회전각 150°, 도 28의 (C)가 개봉체의 회전각 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 본체의 회전 정지 웅부(1312)의 높이에서의 폭 방향을 따른 단면도(도 26의 XXIX-XXIX 단면도)이며, 도 28의 (A)가 개봉체의 회전각 0°, 도 28의 (B)가 개봉체의 회전각 150°, 도 28의 (C)가 개봉체의 회전각 300°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가 잘려 갈라지는 상태를 나타낸 모식 평면도이며, 도 30의 (A)가 개봉체의 회전각 0°, 도 30의 (B)가 개봉체의 회전각 150°, 도 30의 (C)가 개봉체의 회전각 300°를 나타낸 도면이다.도 3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가 잘려 갈라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개봉체의 회전각이 150°일 때의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를 잘라 가른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개봉체의 회전각이 300°일 때의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본체를 나타낸 도 32의 플랜지부 근방의 단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밀봉 시트의 일부를 잘라 가른 상태를 바닥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사시도이다.
기동체(1080)를 그 수하부(1092)를 파지하여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시켜(연통 회전 방향으로 회전시켜), 기동체(1080)를 위쪽(제1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로써, 템퍼 에비덴스(1084)의 4개의 상면 임시 연결부(1412)와 캡(1082)의 하단부의 연결이 파단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템퍼 에비덴스(1084)의 측벽의 내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회전 정지부(1098)가, 주출구 본체(1020)의 외면에 돌출된 회전 정지부(1042)의 스토퍼면(1042b)에 부딪히고, 이것을 타고넘으려고 한다. 이 때, 템퍼 에비덴스(1084)의 내경이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부(1042)에 의해 확대되기 때문에, 템퍼 에비덴스(1084)를 주위 방향으로 임시 연결하는 4개의 측면 임시 연결부(1414)도 파단된다. 그리고, 템퍼 에비덴스(1084)의 평면에서 볼 때 대략 L자 형상의 2개의 연결부(1410)는, 템퍼 에비덴스(1084)의 내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휘어, 캡(1082)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템퍼 에비덴스(1084)의 상면 임시 연결부(1412) 및 측면 임시 연결부(1414)의 연결이 파단되면, 밀폐된 캡(1082)에 손을 가해진 것이 명확해진다. 이로써,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템퍼 에비덴스(1084)는, 상면 임시 연결부(1412) 및 측면 임시 연결부(1414)의 연결이 파단되어도, 연결부(1410)가 캡(1082)의 하단부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한다. 즉, 캡(1082)과 템퍼 에비덴스(1084)가 전결(轉結)부(1410)에 의해 항상 연결된 상태이므로, 주출구(1012)를 열고 닫을 때의 사용의 편리성이 양호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동체(1080)를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시키고, 위쪽(제1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템퍼 에비덴스(1084)의 상면 임시 연결부(1412) 및 측면 임시 연결부(1414)의 연결이 파단된다. 이와 동시에,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3개의 날개 가압부(1086) 각각의 평면에서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볼 때 먼저 나타나는 단부(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가, 개봉체(1050)의 수동 축부(1054)의 외면에 돌출되게 설치된 3개의 날개부(1390)의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보아 먼저 나타나는 면(상류 측에 위치하는 면)에 맞닿고, 이것을 슬라이딩하면서 밀어 움직이게 한다. 이로써, 주출구 본체(1020)에 삽입된 개봉체(1050)도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시킨다.
개봉체(1050)는,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하면, 그 외면 하부에 형성된 피안내 경사면(1360c)가, 주출구 본체(1020)의 내벽에 형성된 안내 경사면(1310d)에 가이드되어 안내되고, 아래쪽(제2 방향)으로 진행한다. 즉, 개봉체(1050)는, 기동체(1080)가 이동하는 윗방향(제1 방향)과는 반대의 아래방향( 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개봉체(1050)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그 바닥면의 높이가,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의 높이[즉, 관통공(1026)중 개구부(1030)의 높이]와 같거나 또는 거의 같다. 개봉체(1050)는, 이 초기 상태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됨으로써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가면, 그 하단에 형성된 날부(1052)가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으로부터 회전하면서 돌출되어 온다. 이 때, 날부(1052)의 하단부에 형성된 절결부(1380)의 도 28 중 좌측 아래에 위치하는 에지부(1380a)가, 회전하면서 원을 그리듯이,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에 고착된 밀봉 시트(1014)를 잘라 갈라간다. 즉, 도 30의 (B)[개봉체(1050)가 중심각 150° 좌회전한 상태의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시트(1014)를 잘라 가르고, 시단부(1017)로부터 원호를 그리듯이 잘라 갈라간다. 에지부(1380a)는 초기 상태일 때, 밀봉 시트(1014)의 상면과 접하거나 또는 거의 접하고, 또한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완전한 원형인 날부(1052)의 하단부의 가장 정면측으로부터 60° 우회전한 위치에 있다. 그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하여 원호를 그리듯이 밀봉 시트(1014)를 잘라 갈라간다.
개봉체(1050)[에지부(1380a)]는, 중심각 300° 좌회전(반시계 방향)함으로써, 도 30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밀봉 시트(1014)를 컷팅(cutting) 시단부(1017)로부터 컷팅 종단부(1018)까지 원호를 그리듯이 잘라 가르는다. 이 때, 에지부(1380a)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완전한 원형인 날부(1052)의 하단부의 가장 배면 측으로부터 60° 좌회전한 위치에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중심각 300°인 원호형의 컷팅 끝에지(1019)를 가지는 수하부(1016)가 형성된다. 개봉체(1050)는, 초기 상태로부터 중심각을 300° 좌회전하면, 개봉체(1050)가 아래쪽으로 이동함으로써 날개 가압부(1086)와 날개부(1390)가 접하지 않게 되어, 개봉체(1050)의 회전이 멈추고, 또한 그 피안내 경사면(1360c)의 종단부 근방에 형성된 회전 정지 자부(1362)에, 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의 시단부 근방에 형성된 회전 정지 웅부(1312)가 맞물린다. 이로써, 개봉체(1050)는, 초기 상태로부터 중심각을 300° 좌회전(반시계 방향)한 상태에서 그 회전이 규제되고, 상하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기동체(1080)는, 캡(1082)을 손으로 잡아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시킴으로써, 주출구 본체(1020)의 외벽을 따라 위쪽[제1 방향, 즉, 밀봉 시트(1014)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기동체(1080)는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각을 300° 좌회전(반시계 방향)했을 때, 그 수하부(1092)의 내면에 형성된 우측 암나사부(1088)의 하단부로부터 5/6 감은 양(중심각을 300° 감은 양)만큼 위쪽으로 이동한다.
개봉체(1050)는, 기동체(1080)의 회전에 따라 날개부(1390)에 의해 눌러지고,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함으로써,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의 내부를 아래쪽[제2 방향, 즉, 밀봉 시트(1014)의 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개봉체(1050)는, 초기 상태로부터,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각을 300° 좌회전(반시계 방향)했을 때, 개봉체(1050)의 피안내 경사면(1360c)이 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을 슬라이딩하여, 그 하단부[즉, 날부(1052)의 하단부]로부터 플랜지부(1370)까지의 거리만큼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즉, 개봉체(1050)는, 초기 상태로부터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각을 300° 좌회전(반시계 방향)했을 때, 그 하단부로부터 플랜지부(1370)까지의 부분이, 밀봉 시트(1014)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된다.
이 때, 플랜지부(1370)의 하단면이, 만곡된 밀봉 시트(1014)의 상면에 탑재된 상태로 된다.
또한,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로부터 수하되는 날개 가압부(1086)의 하단부와, 개봉체(1050)의 상단부[즉, 그 수동 축부(1054)의 상단부]가, 축 방향에 있어서, 거의 같은 위치로 된다.
그리고, 주출구 본체(1020)의 내벽에 형성된 회전 정지 웅부(1312)와, 개봉체(1050)의 외벽에 형성된 회전 정지 자부(1362)가 서로 걸어맞추어진다.
기동체(1080) 및 개봉체(1050)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하면서 축 방향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 개봉체(1050) 및 기동체(1080)는, 기동체(1080) 및 개봉체(1050)가 회전각을 300°좌회전(반시계 방향)한 상태에서도, 각각, 중심축(C)이 동심인 대략 원통형이다.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 개봉체(1050) 및 기동체(1080)는, 각각, 중심축(C)이 동심인 대략 원통형이다. 따라서,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 개봉체(1050) 및 기동체(1080)는, 평면에서 볼 때, 각각, 중심축(C)(중심점)이 동심인 대략 완전한 원형이다.
주출구(1012)는, 중심축(C)이, 통부(1024) 및 관통공(1026)을 평면에서 볼 때의, 통부(1024) 및 관통공(1026)의 중심, 및 통부(1024) 및 관통공(1026)을 정면에서 볼 때의, 주출구(1012) 및 관통공(1026)의 폭 방향의 중앙을 축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또한, 주출구(1012)는, 중심축(C)이, 평면에서 볼 때, 각각이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완전한 원형인 주출구 본체(1020)의 통부(1024), 개봉체(1050) 및 기동체(1080)의 중심점으로 된다.
기동체(1080)는, 대략 원통형이므로, 정상부(90) 및 수하부(92)를 평면에서 볼 때, 이들이 대략 완전한 원형이다. 그리고, 기동체(1080)는 그 외면이 파지되고, 정상부(90) 및 수하부(92)의 중심 및 수하부(92)의 폭 방향의 중앙을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축(C)을 가상 회전축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됨으로써, 축 방향을 따라 위쪽(제1 방향)으로 이동한다.
개봉체(1050)는, 대략 원통형이므로, 슬라이딩 축부(54) 및 날부(52)를 평면에서 볼 때, 이들이 대략 완전한 원형이다. 그리고, 개봉체(1050)는, 기동체(1080)의 날개 가압부(1086)에 그 날개부(1390)가 눌리고, 날부(52) 및 슬라이딩 축부(54)의 중심 및 날부(52) 및 슬라이딩 축부(54)에 폭 방향의 중앙을 따라 연장되는 중심축(C)을 가상 회전축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됨으로써, 축 방향을 따라 아래쪽(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기동체(1080)가 초기 상태로부터 중심축(C)을 가상 회전축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되면, 기동체(1080)의 날개 가압부(1086)가 개봉체(1050)의 날개부(1390)를 가압하여 밀어 움직이게 하고, 개봉체(1050)도 초기 상태로부터 중심축(C)을 가상 회전축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된다.
개봉체(1050)는, 초기 상태로부터 중심축(C)을 가상 회전축으로 하여 평면에서 볼 때 회전각 300°로 좌회전(반시계 방향)되면, 그 회전 정지 자부(1362)에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 웅부(1312)가 걸어맞추어지고, 중심축(C)을 가상 회전축으로 한 좌회전(및 우회전)이 정지된다.
개봉체(1050)는, 초기 상태로부터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됨으로써, 아래쪽(제2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개봉체(1050)는, 바닥면 측으로부터 보면, 우회전(시계 방향)하고 있다.
즉, 주출구(1012)의 초기 상태를 바닥면에서 보았을 때, 개봉체(1050)의 회전 정지 자부(1362)는,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 웅부(1312)보다도 우회전으로 보아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각이 300° 후퇴한 위치, 즉, 개봉체 수용 대경부(1302)와 개봉체 수용 소경부(1304)의 접속부에 형성된 단차(1310)의 좌우 방향 연장부(1310a)에 대향하는 위치에 있고, 그로부터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바닥면에서 볼 때 중심각이 300° 우회전[평면에서 볼 때 중심축(C)을 중심으로 하여 중심각을 300° 좌회전]됨으로써, 개봉체 수용부(1044)에 형성된 단차(1310)를 구성하는 안내 경사면(1310d), 하단부(1310c)를 거쳐, 회전 정지 웅부(1312)에 걸어맞추어진다.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에 형성된 회전 정지 웅부(1312)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개봉체(1050)의 날부(1052)에 형성된 단차(1360)의 좌우 방향 연장부에 접촉 또는 거의 접촉한다. 그리고,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정지 웅부(1312)는, 개봉체(1050)가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되면, 개봉체(1050)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회전하고, 개봉체(1050)의 날부(1052)에 형성된 단차(1360)의 좌우 방향 연장부(130a), 입상부(1360b), 안내 경사면(1360c) 및 상단부(1360d)를 거쳐, 회전 정지 자부(1362)에 걸어맞추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개봉체(1050)를, 중심각 300°로 좌회전(반시계 방향)시킴으로써, 밀봉 시트(1014)의 일부가 잘려 갈라져, 용기(10)의 수용부(200)와, 개봉체(1050)의 주출 관통공(1056) 및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이 연통한다. 그리고, 밀봉 시트(1014)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절결부(1380)에 의해, 중심각 300°밖에 잘려 갈라지지잘려 갈라지지 즉, 밀봉 시트(1014)의 나머지 60°의 부분이, 그 외의 부분에 연결된 채로 있으므로, 원호형의 수하부(1016)가 밀봉 시트(1014)의 그 외의 부분에 수하된 상태로 된다. 따라서, 밀봉 시트(1014)를 잘라 가르는 것에 의해 절삭 찌꺼기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 결과, 용기(10)의 수용부(200)에 낙하하지 않기 때문에, 절삭 찌꺼기를 잘못하여 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개봉체(1050)가 중심각 300°로 좌회전된다고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중심각이 360° 미만의 그 외의 각도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밀봉 시트(1014)의 잘려 갈라진 부분과, 그 외의 부분이 연결된 상태가 되도록 해도 된다.
날부(1052)는, 하단부로부터 위쪽으로 향할수록 그 직경 방향의 치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밀봉 시트(1014)는, 그 원형으로 잘려 갈라진 부분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개봉체(1050)가 아래쪽으로 나아갈수록, 날부(1052)의 외면으로 확장되어 서서히 커져 간다. 그리고, 개봉체(1050)가 중심각 300°로 좌회전(반시계 방향)한 후, 개봉체(1050)의 플랜지부(1370)의 바닥면이 밀봉 시트(1014)의 상면(내면)의 원형으로 잘려 갈라진 부분의 외측 에지부에 탑재된 상태로 된다. 밀봉 시트(1014)는, 충분한 팽팽함(tention)을 갖는다. 따라서, 날부(1052)에 잘려 갈라지면잘려 갈라지면1016)는 그 외의 부분으로부터 수하되지만, 수하부(1016)을 제외한 그 외의 부분[특히, 컷팅 끝에지(1019)의 근방]은, 이른바 팽팽하게 펴진 상태를 유지한다. 개봉체(1050)는, 이와 같은 밀봉 시트(1014)의 수하부(1016)을 제외한 그 외의 부분에 그 플랜지부(1370)가 맞닿기 때문에, 밀봉 시트(1014)의 일부를 잘라 가른 후에 용기(10)의 수용부(200)에 낙하하여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동체(1080)를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시킴으로써, 기동체(1080)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템퍼 에비덴스(1084)의 임시 연결이 파단되고, 밀폐된 캡(1082)에 손이 가해진 것이 명확해진다. 또한, 이와 동시에, 개봉체(1050)가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하면서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밀봉 시트(1014)의 일부가 잘려 갈라져, 용기(10)의 수용부(200)와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이 연통한다. 그리고, 용기(10)의 수용부(200)와 개봉체(1050)의 주출 관통공(1056)이 연통한다. 이 때, 기동체(1080)를 중심각 약 300°로 좌회전(반시계 방향)시킨 상태이다. 여기서부터 기동체(1080)를 평면에서 볼 때 더 좌회전(반시계 방향)시킴으로써, 기동체(1080)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고, 기동체(1080)의 내면에 형성된 우측 암나사부(1088)와, 주출구 본체(1020)의 외면에 형성된 우측 수나사부(1032)와의 나사결합 상태를 개방하여, 기동체(1080)를 주출구 본체(1020)로부터 떼어낸다. 이와 같이 하여, 개봉체(1050)에 형성된 주출 관통공(1056)의 출구(1060) 및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외측 개구부(1028)가 개방된다.
[기동체(1080)를 주출구 본체(1020)에 다시 장착할 때의 태양에 대하여]
그리고, 기동체(1080)를 주출구 본체(1020)로부터 떼어낸 후, 다시 장착함으로써, 주출구 본체(1020)에 형성된 관통공(1026)의 외측 개구부(1028), 및 수동 축부(1054)에 형성된 주출 관통공(1056)의 출구(1060)을 막아, 수소수가 용기(10)의 수용부(200)으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동체(1080)를 주출구 본체(1020)에 장착하기 위해, 주출구 본체(1020)의 상단부에 씌우고, 평면에서 볼 때 우회전시킴으로써 나사결합시켜 가면, 기동체(1080)에 형성된 3개의 날개부(1390)의 하단부가, 관통공(1026)에 삽입된 수동 축부(1054)의 날개 가압부(1086)의 상단부에 부딪히게 된다.
도 3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를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낸 후, 다시 장착했을 때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5의 (A)가 날개 가압부와 날개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5의 (B)가 높이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여기서, 날개 가압부(1086)의 하단부(선단부)는, 그 상단부(근원부)보다도 폭 치수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기동체(1080)를 초기 상태로부터 떼어내어 다시 장착했을 때, 그 날개 가압부(1086)가 개봉체(150)의 날개부(1390)에 접촉하기 어려워진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기동체(1080)에 형성된 3개의 날개부(1390)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으로 보아 먼저 나타나는 면(상류 측에 위치하는 면)이 돌출하는 방향과 수동 축부(1054)의 외면의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좌회전으로 보아 나중에 나타나는 면이 돌출하는 방향과 수동 축부(1054)의 외면의 접선 방향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아지도록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동체(1080)에 형성된 3개의 날개 가압부(1086)는 각각,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으로 보아, 나중에 나타나는 단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먼저 나타나는 단부(상류 측에 위치하는 단부)의 치수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날개부(1390) 및 날개 가압부(1086)는, 이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기동체(1080)의 장착 종료 직전에 만일 서로 간섭했다고 해도, 서로 변형되어 힘이 가해지는 것을 피할 수 있다.
(효과)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초기 상태로부터 기동체(1080)를 평면에서 볼 때 좌회전(반시계 방향)시켜 주출구 본체(1020)로부터 떼어내는 것만으로, 밀폐된 캡(1082)에 손이 가해진 것이 명확해지고, 또한 용기(10)의 수용부(200)와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 및 개봉체(1050)의 주출 관통공(1056)이 연통하여, 수소수를 마실 수가 있는 상태로 된다. 따라서, 밀봉 시트(1014)를 잘라 가르기 위한 특별한 순서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편리한 양호한 주출구 부착 용기(10)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에 주출구를 용착한 후의 확대 단면도이다. 주출구 부착 용기는, 용기(10)에 주출구(12)를 장착한, 흡입구가 붙은 스탠딩 파우치이다.
용기(10)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제1 용기 시트(210)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제2 용기 시트(220)를, 배 형상의 바닥 시트와 주위 에지에서 용착하고, 또한 바닥부(204)와 직교하는 좌측부(206)에서 용착한 것에, 바닥부(204)와 반대측 흡입구 측의 위쪽 에지인 제1 용기 시트(210)의 상측 에지(216)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상측 에지(226) 사이에 주출구(12)를 장착하고, 상측 에지를 용착한 것을 준비한다.
다음에, 용기(10)는, 바닥부(204)와 직교하는 제1 용기 시트(210)의 우측 에지(214)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우측 에지(224) 사이, 즉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가 분리된 사이로부터, 수소수(물에 수소를 혼입시킨 것)를 그 수용부(200)에 흘려 넣은 후, 제1 용기 시트(210)의 우측 에지(214)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우측 에지(224)를 용착하고, 수용부(200) 내에 수소수를 봉입하였다.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는, 동일한 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며, 외측의 제1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그 내측의 제2층이 나일론(NY), 그 내측의 제3층이 알루미늄 호일(AL), 그 내측의 제4층이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인, 4층 구조이다.
가장 내측인 제4층의 리니어 저밀층 폴리에틸렌(LLDPE)이 수용부(200) 내의 수소수와 접한다.
밀봉 시트(14)(두께 0.0006mm 이상 0.2mm 이하)는, 제1층 측에서 주출구(12)의 주출구 본체(20)에 열 용착되어 있고, 밀봉 시트(14)의 제1층과 제1 용기 시트(210) 및 제2 용기 시트(220)가 용착되어 밀착한다.
주출구(12)는,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주출구(12)의 주출구 본체(20)에 접착된 밀봉 시트(14)는, 가장 주출구 본체(20) 측인 제1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그 위의 제2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PE), 그 위의 제3층이 알루미늄 호일(AL), 그 위의 제4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PE)인 4층 구조이다.
밀봉 시트(14)는, 제1층이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열 용착층을 형성하고, 제2층이 중간층으로 제3층의 알루미늄 호일을 보호하는 층이며, 제3층이 수소수의 수소 등이 용기(10)로부터 주출구(12)를 통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등, 배리어성을 가지는 층이며, 제4층이 밀봉 시트(14)를 잘라 갈랐을 때에 잘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밀봉 시트(14)로부터 분리되어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층이다.
밀봉 시트(14)는, 용기(10)의 제1 용기 시트(210)의 제4층 및 제2 용기 시트(220)의 제4층과 밀접해 있다.
가장 하측인 제4층이, 수용부(200)의 수소수와 접한다.
용기의 크기는 높이 210mm, 폭 120mm, 바닥부의 두께 40mm이다. 밀봉 시트(14)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시트는,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과 거의 같은 크기 크기이다. 용기(10)에 수용된 수소수는 300ml이다.
상기 용기(10)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시트가 부착되지 않는 비교예에서는 수소 농도가 저하되는 데에 대하여, 장기간 수소수가 빠져나오지 않았다.
[표 1]
Figure pct00001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6은,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용기에 주출구를 장착한 후의 확대 단면도이다.
주출구 부착 용기는 용기(10)에 주출구(1012)를 장착한, 흡입구가 붙은 스탠딩 파우치이다.
용기(10)는,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제1 용기 시트(210)와 평면에서 볼 때 대략 직사각형의 제2 용기 시트(220)를, 배 형상의 바닥 시트와 주위 에지에서 용착하고, 또한 바닥부(204)와 직교하는 좌측부(206)에서 용착한 것에, 바닥부(204)와 반대측 흡입구 측의 위쪽 에지인 제1 용기 시트(210)의 상측 에지(216)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상측 에지(226) 사이에 주출구(1012)를 장착하고, 상측 에지를 용착한 것을 준비한다.
다음에, 용기(10)는, 바닥부(204)와 직교하는 제1 용기 시트(210)의 우측 에지(214)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우측 에지(224)의 사이, 즉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가 분리된 사이로부터, 수소수(물에 수소를 혼입시킨 것)를 그 수용부(200)에 흘려 넣은 후, 제1 용기 시트(210)의 우측 에지(214)와 제2 용기 시트(220)의 우측 에지(224)를 용착하고, 수용부(200) 내에 수소수를 봉입한다.
제1 용기 시트(210)와 제2 용기 시트(220)는, 동일한 층 구조를 포함하는 것이며, 외측의 제1층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그 내측의 제2층이 알루미늄(AL), 그 내측의 제3층이 나일론(NY), 그 내측의 제4층이 리니어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인, 4층 구조이다.
가장 내측인 제4층의 리니어 저밀층 폴리에틸렌(LLDPE)이 수용부(200) 내의 수소수와 접한다.
주출구(1012)의 주출구 본체(1020)에 접착된 밀봉 시트(1014)(두께 0.0006mm 이상 0.2mm 이하)는, 가장 주출구 본체(1020) 측인 제1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PE), 그 위의 제2층이 알루미늄 호일(AL), 그 위의 제3층이 저밀도 폴리에틸렌(PE), 그 위의 제4층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인 4층 구조이다.
밀봉 시트(1014)는, 제1층 측에서 주출구(1012)의 주출구 본체(1020)에 열 용착되어 있고, 밀봉 시트(1014)의 제1층과 제1 용기 시트(210) 및 제2 용기 시트(220)가 용착되어 밀착된다.
주출구(1012)는 폴리에틸렌으로 성형되어 이루어진다.
밀봉 시트(1014)는, 제1층이 접착제층을 구성하는 열 용착층을 형성하고, 제2층이 수소수의 수소 등이 용기(10)로부터 주출구(1012)를 통해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등, 배리어성을 가지는 층이며, 제3층 및 제4층이 밀봉 시트(1014)를 잘라 갈랐을 때 잘린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부분이 밀봉 시트(1014)로부터 분리되어 탈락하지 않도록 유지하기 위한 층이다.
밀봉 시트(1014)는, 용기(10)의 제1 용기 시트(210)의 제4층 및 제2 용기 시트(220)의 제4층과 밀접해 있다.
가장 하측인 제4층이 수용부(200)의 수소수와 접한다.
용기의 크기는 높이 210mm, 폭 120mm, 바닥부의 두께 40mm이다. 밀봉 시트(1014)를 구성하는 알루미늄 시트는,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과 거의 같은 크기이다. 용기(10)에 수용된 수소수는 300ml이다.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
다음에,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에 대하여, 도 37∼도 4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개봉체의 날부를 제외하고,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즉, 용기(10), 주출구 본체(1020), 캡(1082) 및 밀봉 시트(1014), 및 개봉체(1050)의 날부(1052)로부터 상부는, 상기한 제2 실시형태의 상부와 같음]. 따라서, 동일 부분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3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9의 (A)가 평면도, 도 39의 (B)가 측면도, 도 39의 (C)가 저면도이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0의 (A)가 도 36의 (C)의 XXXXA-XXXXA 단면도, 도 40의 (B)가 도 36의 (C)의 XXXXB-XXXXB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날부(1052)는, 그 하단인 날 선단부(1070)의 절결부(1380)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돌출된 측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의 날 돌출부(1072)를 갖는다.
즉, 날부(1052)는, 날 선단부(1070)의 연통 회전 방향에서의 선두부가 밀봉 시트(1014)에 깊이 들어가기 위한 예리한 날끝을 갖는다. 날 돌출부(1072)의 우단(右端) 변은, 절결부(1380)의 좌단(左端) 변과 연속하여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 상에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날 돌출부(1072)의 하단(下端) 변은, 측면에서 볼 때, 날 선단부(1070)와 평행하다.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날부(1052)와 마찬가지로, 개봉체(1050)가 아래쪽[밀봉 시트(1014)의 측]으로 회전하면서 이동함으로써, 날 돌출부(1072)의 우단 변과 하단 변으로 형성되는 코너부에 의해, 밀봉 시트(1014)가 잘려 갈라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날부(1052)는, 이와 같은 날 돌출부(1072)를 가지는 것에 의해 날카로움이 양호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는, 밀봉 시트(1014)를 잘라 가르기 용이해지고, 또한 밀봉 시트(1014)의 수하부(1016)가 용기(10)의 수용부(200)에 낙하하기 어려워진다.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에 대하여, 도 41∼도 44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는, 개봉체를 제외하고,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즉, 용기(10), 주출구 본체(1020), 캡(1082) 및 밀봉 시트(1014)는, 상기한 제2 및 제3 실시형태의 구성과 같음]. 따라서, 동일 부분에는 같은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동일한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4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2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3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개봉체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3의 (A)가 평면도, 도 43의 (B)가 도 43의 (C)의 XXXXIIIB-XXXXIIIB 단면도, 도 43의 (C)가 저면도이다. 도 4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개봉체(1050)의 수동 축부(1054)는, 축 방향을 따른 형상이 그 상단부로부터 하단부까지 대략 동일한 형상이었다. 즉,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수동 축부(1054)는, 축 방향의 어디에서도, 축 방향에 직교한 평면, 즉, 주출구 본체(1020)의 바닥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평면을 따른 단면의 형상이 거의 동일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동 축부(1054)는, 그 하단부의 형상이 그 외의 부분의 형상과 상이하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수동 축부(1054)는, 그 상단부로부터 날부(1052)의 축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 근처까지가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수동 축부(1054)와 같은 형상이며, 날부(1052)의 축 방향에서의 대략 중앙부 근처로부터 하단부까지가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십자로 형성된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1074)이다.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1074)는,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형의 제1 판형부(1076)와,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평판형이며, 바닥면에서 보았을 때, 제1 판형부(1076)와 직교하는 제2의 판형부(1077)를 갖는다. 제1 판형부(1076)와 제2의 판형부(1077)는, 서로 같은 형상이다. 제1 판형부(1076) 및 제2의 판형부(1077)는, 바닥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의 대략 중앙부끼리 교차하고, 그 교차 부분에 있어서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1074)의 하단부[즉, 제1 판형부(1076) 및 제2의 판형부(1077)의 하단면]는, 초기 상태에 있어서, 밀봉 시트(1014)의 상면에 맞닿는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용기(10)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1074)를 포함함으로써, 초기 상태에 있어서, 밀봉 시트(1014)를 그 상면으로부터 지지할 수 있으므로, 뜻하지 않게 밀봉 시트(1014)가 갈라져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1074)가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십자 형상을 가지는 것에 의해,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1074)의 주변[제1 판형부(1076)와 제2 판형부(1077)가 교차하는 부분의 주변 등]에 충분한 크기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로써, 개봉체(1050)의 주출 관통공(1056)을 포함하는 축 방향의 관통이 확보되기 때문에,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1074)가, 용기(10)의 수용부(200)로부터 수소수를 주출할 때 방해가 되지도 않는다.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
다음에,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에 대하여, 도 45∼ 도 49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 및 개봉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기동체 및 개봉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4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기동체를 위쪽으로 이동시키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7의 (A)가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 도 47의 (B)가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기동체를 위쪽으로 이동시킨 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8의 (A)가 바닥면이 보이는 상태의 사시도, 도 48의 (B)가 축 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10)는 기동체(1080)와, 개봉체(1050)가 일체로 형성된다. 구체적으로는, 기동체(1080)의 정상부(1090)의 내면(바닥면)과, 개봉체(1050)의 상단부(축 방향의 한쪽 단부)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개봉체(1050)의 하단부(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가, 초기 상태에 있어서, 밀봉 시트(1014)의 상면에 고착된다. 그리고, 개봉체(1050)의 상단부로부터 하단부의 근방까지는, 대략 원기둥 형상의 개봉체 본축(本軸)부(1078)가 형성되고, 개봉체(1050)의 하단부에는,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십자 형상의 밀봉 시트 고착부(1079)가 형성된다. 즉, 밀봉 시트 고착부(1079)의 하단면에 밀봉 시트(1014)의 상면이 고착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용기(10)는, 기동체(1080)가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고, 기동체(1080) 및 개봉체(1050)가 주출구 본체(1020)로부터 떼어지도록 위쪽(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기동체(1080)에 그 상면이 고착된 밀봉 시트(1014)의 일부가 비틀려 잘리고, 용기(10)의 수용부(200)와 주출구 본체(1020)의 관통공(1026)이 연통한다.
상기한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1012)는, 개봉체(1050)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주출구 본체(1020)의 안내 경사면(1310d), 기동체(1080)의 날개 가압부(1086), 및 개봉체(1050)의 피안내 경사면(1360c) 및 날개부(1390)]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한 실시형태에 관한 기동체(1080)는,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1056)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1012)는, 이들 구성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가질 필요가 없음), 간단한 구조이며, 그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도 5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부착 용기가 포함하는 주출구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상기한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주출구 용기(10)가 포함하는 개봉체(1050)의 밀봉 시트 고착부(1079)는,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십자로 한정되지 않는다. 즉, 도 50의 (A)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원형상인 밀봉 시트 고착부(1079)이어도 되고, 도 50의 (B) 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닥면에서 볼 때 대략 사각형상인 밀봉 시트 고착부(1079)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형상의 밀봉 시트 고착부(1079)는, 밀봉 시트(1014)에 고착되는 면적이 보다 커지기 때문에, 밀봉 시트(1014)를 깨끗하게 자를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가 우측 수나사부(1032), 우측 암나사부(1088)이며, 안내 경사면 및 피안내 경사면이 왼쪽으로 감는 안내 경사면(1310d) 및 피안내 경사면(1360c)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수나사부 및 암나사부가 왼나사이며, 안내 경사면 및 피안내 경사면이 오른쪽으로 감겨도 된다.
그리고, 상기한 실시형태에서는,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웅부로서의 회전 정지 웅부(1312)이며, 또한 개봉체(1050)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자부로서의 회전 정지 자부(1362)인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주출구 본체(1020)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자부로서의 회전 정지 웅부(1312)이며, 또한 개봉체(1050)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웅부로서의 회전 정지 자부(1362)이어도 된다.
10 : 용기
200 : 수용부
202 : 주출부
204 : 바닥부
206 : 좌측부
208 : 우측부
210 : 제1 용기 시트
212 : 좌측 에지
214 : 우측 에지
216 : 상측 에지
220 : 제2 용기 시트
222 : 좌측 에지
224 : 우측 에지
226 : 상측 에지
230 : 바닥부 시트
12 : 주출구
14 : 밀봉 시트
20 : 주출구 본체
22 : 장착부
24 : 통부
26 : 관통공
28 : 외측 개구부
30 : 내측 개구부
32 : 수나사부
34 : 단차부
36 : 기동체 정지부
38 : 회전 정지부 삽입공
40 : 융기부
42a : 가이드면
42b : 스토퍼면
42 : 회전 정지부
44 : 개봉체 수용부
102 : 이동 규제부
50 : 개봉체
52 : 날부
54 : 슬라이딩 축부
56 : 주출 관통공
58 : 입구
60 : 출구
62 : 기초부
64 : 절단날부
66 : 유동구
68 : 회전 정지부
70 : 제1 절단날부
72 : 제2 절단날부
80 : 기동체
82 : 캡
84 : 스토퍼
86 : 압압부
88 : 암나사부
90 : 정상부
92 : 수하부
94 : 걸림 부재
96 : 연결부
98 : 회전 정지부
100 : 이동 공극부
1012 : 주출구
1014 : 밀봉 시트
1016 : 수하부
1017 : 컷팅 시단부
1018 : 컷팅 종단부
1019 : 컷팅 끝에지
1020 : 주출구 본체
1022 : 장착부
1024 : 통부
1026 : 관통공
1028 : 외측 개구부
1030 : 내측 개구부
1032 : 우측 수나사부
1034 : 단차부
1040 : 융기부
1042 : 회전 정지부
1042a : 가이드면
1042b : 스토퍼면
1044 : 개봉체 수용부
1050 : 개봉체
1052 : 날부
1054 : 수동 축부
1056 : 주출 관통공
1058 : 입구
1060 : 출구
1062 : 기초부
1064 : 절단날부
1066 : 절단날 근원부
1068 : 절단날 바닥부
1070 : 날 선단부
1072 : 날 돌출부
1074 : 밀봉 시트 접촉 지지부
1076 : 제1 판형부
1077 : 제2 판형부
1078 : 개봉체 본축부
1079 : 밀봉 시트 고착부
1080 : 기동체
1082 : 캡
1084 : 템퍼 에비덴스
1086 : 날개 가압부
1088 : 우측 암나사부
1090 : 정상부
1092 : 수하부
1098 : 회전 정지부
1302 : 개봉체 수용 대경부
1304 : 개봉체 수용 소경부
1310 : 단차
1310a : 좌우 방향 연장부
1310b : 상하 방향 연장부
1310c : 하단부
1310d : 안내 경사면
1312 : 회전 정지 웅부
1330 : 가로 리브부
1332 : 시험용 구멍
1340 : 세로 리브부
1352 : 대경부
1354 : 소경부
1360 : 단차
1360a : 좌우 방향 연장부
1360b : 상승부
1360c : 피안내 경사면
1360d : 상단부
1360e : 상하 방향 연장부
1362 : 회전 정지 자부
1370 : 플랜지부
1380 : 절결부
1380a : 에지부
1390 : 날개부
1410 : 연결부
1412 : 상면 임시 연결부
1414 : 측면 임시 연결부
C : 중심축

Claims (15)

  1. 수소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를 포함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의 끝에지에 장착되고, 상기 수용부에 임하는 주출구를 포함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로서,
    상기 주출구에는, 상기 수소수를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밀봉하기 위한 밀봉 시트가 설치되고,
    상기 밀봉 시트의 알루미늄 영역과, 상기 용기의 수용부의 알루미늄 영역이 밀접한 것에 의해, 상기 수소수에 포함되는 수소가 상기 용기의 수용부로부터 빠져나오기 어려운,
    주출구(注出口) 부착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주출구 본체,
    상기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수납되고, 축 방향으로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된 개봉체, 및
    상기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기동체
    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시트는, 상기 주출구 본체에서의,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를 덮도록 설치되고,
    상기 개봉체는, 상기 주출구 본체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도록 형성되고, 또한 상기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기동체는, 상기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 측에 장착되고, 상기 개봉체를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밀봉 시트는, 상기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킨 개봉체에 그 일부가 잘려 갈라져, 상기 용기의 수용부와 상기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가 상기 개봉체의 주출 관통공을 통하여 연통하도록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주출구 본체, 상기 주출구 본체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端部)에 나사결합되는 기동체, 및 상기 주출구 본체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개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 상기 기동체 및 상기 개봉체는, 각각, 서로 평면에서 볼 때 동심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밀봉 시트는, 상기 주출구 본체의 다른 쪽 단부에 위치하는 바닥면에 고착되고,
    상기 주출구 본체는,
    상기 축 방향의 한쪽 단부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동체가, 상기 용기의 수용부와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을 연통하기 위한 주위 방향을 따른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상기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나사부와,
    상기 관통공의 상기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의 내벽에 형성된 나선형의 안내 경사면
    을 가지고,
    상기 기동체는,
    정상부(頂部)와, 상기 정상부의 끝에지로부터 수하(垂下)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수하부를 가지고,
    상기 정상부의 내면에는, 상기 수하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수하되는 작동부가 돌출되고,
    상기 수하부의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체는,
    상기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에 형성된 대략 원통형의 날부(刃部)와, 상기 날부의 천정부로부터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게 설치된 수동(受動) 축부를 가지고, 상기 날부 및 상기 수동 축부에는, 상기 축 방향으로 연통하여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날부의 외면에는, 상기 주출구 본체의 안내 경사면에 대응한 나선형의 피안내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봉체는,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상기 피안내 경사면이 상기 주출구의 안내 경사면에 접촉하여 안내됨으로써, 상기 용기의 수용부에 가까워지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수동 축부의 외면에는, 상기 기동체가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상기 기동체의 작동부에 눌리는 수동부(受動部)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기동체는,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면, 상기 작동부가 상기 개봉체의 수동부를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 밀어 움직이게 하고, 또한 상기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지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개봉체는, 상기 수동부가 상기 기동체의 작동부에 의해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 밀려 움직여서,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상기 피안내 경사면이 상기 주출구 본체의 안내 경사면에 접촉하여 안내되는 것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고, 또한 상기 날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주출구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밀봉 시트는, 상기 날부가 회전하면서 상기 주출구 본체에 형성된 관통공의 바닥면 측으로부터 돌출될 때, 상기 날부가 중심각 360° 미만의 원호를 그리도록 그 일부가 잘려 갈라짐으로써, 상기 용기의 수용부와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이 연통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 본체는, 상기 안내 경사면의 종단(終端)의 근방에 형성된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를 더 가지고,
    상기 개봉체는, 상기 피안내 경사면의 종단의 근방에 형성된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를 더 가지고,
    상기 개봉체는, 상기 주출구 본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와 상기 개봉체의 회전 규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추어짐으로써, 상기 개봉체의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 중심각이 360° 미만의 각도로 되도록 규제되어 정지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는, 측면에서 볼 때,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날 선단부와, 상기 날 선단부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절결된 절결부(切缺部)를 가지는, 주출구 부착 용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 선단부는, 측면에서 볼 때, 상기 밀봉 시트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게 직선형으로 연장되고, 상기 절결부에 인접한 위치로부터 상기 밀봉 시트를 향하여 날 돌출부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기 날 돌출부는, 연통 회전 방향에서의 선두부가 상기 밀봉 시트에 들어가 자르기 위한 예리한 날끝을 포함한, 주출구 부착 용기.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체는, 상기 밀봉 시트의 일부를 잘라 가른 후에 상기 밀봉 시트의 상면에 맞닿는 플랜지부를 더 포함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는, 상기 개봉체 중 상기 날부의 상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크고,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의 하부에는, 상기 개봉체의 날부를 수용하기 위한 개봉체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체 수용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가 상기 관통공 중의 상기 개봉체 수용부의 상부의 직경 방향의 치수보다 큰 것에 의해, 상기 개봉체 수용부와 상기 관통공 중의 상기 개봉체 수용부의 상부와의 접속부에는 단차(段差)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체는, 상기 날부의 상단부가 상기 주출구 본체의 단차에 맞닿음으로써, 상기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으로부터 빠져나오지 않는, 주출구 부착 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출구는, 축 방향의 관통공이 형성된 주출구 본체, 상기 주출구 본체의 축 방향의 한쪽 단부에 나사결합되는 기동체, 및 상기 주출구 본체의 상기 관통공에 삽입된 개봉체를 포함하고,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 상기 기동체 및 상기 개봉체는, 각각, 서로 평면에서 볼 때 동심의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출구 본체는,
    상기 축 방향의 한쪽 단부 근방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기동체가, 상기 용기의 수용부와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을 연통하기 위한 주위 방향을 따른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짐으로써, 상기 밀봉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상기 축 방향을 따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수나사부를 가지고,
    상기 기동체는,
    정상부와, 상기 정상부의 끝에지로부터 수하되어 측벽을 형성하는 수하부를 가지고,
    상기 수하부의 내면에는, 상기 수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체는,
    축 방향으로 연통하여 관통하는 주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축 방향의 한쪽 단부가 상기 기동체의 정상부의 내면과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축 방향의 다른 쪽 단부가 상기 밀봉 시트에 고착되고,
    상기 기동체가 상기 연통 회전 방향으로 돌려지고, 상기 주출구 본체로부터 떼어지도록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개봉체도 제1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밀봉 시트의 일부가 비틀려 잘리고, 상기 용기의 수용부와 상기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이 연통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주출구 본체는,
    외부와 연통하는 관통공을 가지는 통부,
    용기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의 끝에지와 제2 용기 시트의 끝에지 사이에 협지되는 장착부, 및
    통부의 관통공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이동체를,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하기 위한 수나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통부의 용기의 수용부 측에 설치된 장착부는, 개봉체의 주출 관통공과 연통하는 입구를 가지고,
    기동체는 캡과 스토퍼를 가지고, 스토퍼를 캡으로부터 분리하여 떼어냄으로써 이동 공극부를 형성하고, 캡이 개봉체를 밀봉 시트를 향하여 이동시키기 위해 개봉체를 누르도록 형성되고,
    개봉체는 밀봉 시트 측에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를 가지고, 또한 그 날부에 주출 관통공을 가지고,
    밀봉 시트는, 장착부의 개구부를 덮도록 장착부의 용기의 수용부 측면에 부착되고, 용기의 수용부와 밀접하고, 또한, 개봉체에 의해 잘려 갈라져,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과 용기의 수용부가 연통하도록 형성되고,
    개봉체는, 통형의 슬라이딩 축부와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기 위한 날부를 가지고,
    날부는, 슬라이딩 축부의 끝에서 플랜지형으로 내밀도록 슬라이딩 축부에 연결되고,
    날부는, 주출구 본체의 관통공의 주위에 설치된 단차부 또는 걸어맞춤부와 서로 접하여, 개봉체가 관통공 측으로 이동하지 않게 형성되고,
    기동체는, 캡의 내측에 개봉체를 누르기 위한 압압부(押壓部)가 돌출되게 설치되고, 또한 캡의 내측에 암나사부가 설치되고, 캡의 하단에 간헐적으로 설치된 연결부에 의해 스토퍼가 연결되고, 캡을 돌려 및/또는 주위 방향으로 스토퍼를 돌려, 캡으로부터 스토퍼를 떼어내어 이동 공극부를 형성하고, 주출구 본체의 통부의 주위 방향으로 열린 이동 공극부를 향하여 캡을 이동시켜, 압압부가 개봉체를 누르도록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
  11. 제1항, 제2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출구 본체는, 용기를 구성하는 용기 시트에 장착되는 배(舟) 형상의 장착부와, 장착부의 상부에 연결된 통부를 포함하고,
    장착부 및 통부에는 관통공을 관통하여 형성되고,
    관통공은, 장착부의 상부에 외측 개구부를 가지고, 또한 장착부의 하부에 내측 개구부를 가지고,
    외측 개구부는, 용기의 외측에 개구되고, 내측 개구부는 용기의 수용부를 향하여 개구되어 있는, 주출구 부착 용기.
  12. 제1항, 제2항, 제10항 또는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주출구 본체는, 통부의 외주면에 수나사부가 설치되고, 또한 수나사부의 아래쪽에서, 기동체를 정지시키는 위한 기동체 정지부가 통부의 외주면에 설치되고,
    기동체는, 주출구 본체의 통부에 나선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캡과, 캡의 아래쪽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된 스토퍼를 포함하고,
    스토퍼를 떼어냈을 때 형성되는 이동 공극부의 높이의 범위 내에서, 기동체의 캡이 아래쪽으로 이동하고,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도록 이동 규제부가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
  13. 제1항, 제2항, 제10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봉체는,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는 날부와 날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슬라이딩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 날부의 상부에 연결된 슬라이딩 축부는, 원기둥형 및/또는 기둥형이며,
    날부와 슬라이딩 축부에는, 주출 관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주출 관통공은, 주출구 본체의 외측 개구부에 임하는 출구와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입구를 가지고,
    슬라이딩 축부는, 주출구 본체의 통부의 관통공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넣어지고, 기동체에 눌려 아래쪽으로 이동하도록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
  14. 제1항, 제2항, 제10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개봉체는, 밀봉 시트를 잘라 가르는 날부와, 날부의 상부에 돌출된 슬라이딩 축부를 가지고,
    날부 및/또는 슬라이딩 축부에는, 회전 정지부가 형성되고,
    주출구 본체는, 용기에 장착되는 장착부와, 장착부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된 통부를 가지고,
    장착부 및/또는 통부에는, 개봉체의 회전 정지부를 걸어맞춤 또는 삽입하기 위한 개봉체의 회전을 멈추기 위한 회전 정지부가 형성된, 주출구 부착 용기.
  15. 주출구를 용기의 주출부에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통형의 주출구 본체,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수납된 개봉체, 및 개봉체를 이동시키는 기동체를 포함하는 주출구를 제조할 때,
    개봉체를 주출구 본체의 통 내에 삽입하고, 주출구 본체로부터 개봉체가 밖으로 나오지 않는 상태로 하여, 주출구 본체에서의, 수용부에 임하는 내측 개구부를 덮는 밀봉 시트를, 주출구 본체의 용기의 수용부에 임하는 영역에 있는 내측 개구부의 주변에 접착하여 주출구를 형성하고,
    상기 주출구의 장착부의 주위에, 용기를 구성하는 제1 용기 시트와 제2 용기 시트를 용착하는,
    주출구 부착 용기의 제조 방법.
KR1020167019623A 2014-10-24 2015-10-22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67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7404 2014-10-24
JP2014217404 2014-10-24
JPJP-P-2015-115552 2015-06-08
JP2015115552 2015-06-08
JPJP-P-2015-177973 2015-09-09
JP2015177973 2015-09-09
PCT/JP2015/079880 WO2016063961A1 (ja) 2014-10-24 2015-10-22 注出口付き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6617A true KR20170076617A (ko) 2017-07-04
KR101916785B1 KR101916785B1 (ko) 2018-11-08

Family

ID=5576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9623A KR101916785B1 (ko) 2014-10-24 2015-10-22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0737852B2 (ko)
EP (1) EP3222546A4 (ko)
JP (1) JP6074121B2 (ko)
KR (1) KR101916785B1 (ko)
CN (1) CN106458373B (ko)
PH (1) PH12016501566B1 (ko)
SG (1) SG11201604914RA (ko)
TW (1) TWI673210B (ko)
WO (1) WO20160639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87090B2 (ja) 2015-03-30 2019-10-09 国立大学法人名古屋大学 転削工具
WO2016198380A1 (en) * 2015-06-08 2016-12-15 Nestec S.A. Collapsible fluid dispensing package and valve fitment for dispensing fluid such as foodstuffs
WO2017002753A1 (ja) * 2015-07-01 2017-01-05 株式会社細川洋行 積層体、包装袋、口栓付包装袋および水素水入り口栓付包装袋
NL2015473B1 (en) * 2015-09-21 2017-04-19 Scholle Ipn Ip Bv A spouted pouch adapted to be filled with a flowable product.
US11324196B2 (en) * 2016-07-25 2022-05-10 Vapur, Inc. Modular interchangeable vessel system accepting a plurality of attachments
US20180134455A1 (en) * 2016-07-25 2018-05-17 David J. Czerwinski Modular interchangeable vessel system accepting a plurality of attachments
JP6874304B2 (ja) * 2016-09-09 2021-05-1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詰め替え用パウチ
WO2018136068A1 (en) * 2017-01-19 2018-07-26 Silgan White Cap LLC Mounting portion for a spout
DE102017009693A1 (de) 2017-10-13 2019-04-18 Georg Menshen Gmbh & Co. Kg Ausgießer für Beutelverpackungen
WO2019140485A1 (en) * 2018-01-18 2019-07-25 Ambrosios Kambouris A spout unit for storage
WO2020113219A1 (en) * 2018-11-30 2020-06-04 Scholle Ipn Corporation Barrier spout
WO2020121062A1 (en) 2018-12-12 2020-06-18 Anergis S.A. Methods of improving efficacy of allergy vaccines
IT201900007497A1 (it) * 2019-05-29 2020-11-29 Guala Pack Spa Chiusura per una cannuccia per imballi flessibili a pareti sottili
JP2022137846A (ja) * 2021-03-09 2022-09-22 押尾産業株式会社 注出口具
USD1004428S1 (en) * 2021-11-29 2023-11-14 Kolmar Korea Co., Ltd. Spout for packaging container
CN114558494B (zh) * 2021-12-30 2022-11-25 通标标准技术服务(天津)有限公司 铁矿石中全铁含量检测用硫磷混酸装置
KR102578778B1 (ko) * 2022-06-21 2023-09-14 한국콜마주식회사 내용물 용기
WO2024102230A1 (en) * 2022-11-08 2024-05-16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Bag closure and container system for medical liquids incorporat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9812A (en) * 1963-10-29 1967-09-05 Fmc Corp Molded container having discharge spout
US4214675A (en) * 1978-02-27 1980-07-29 Schmit Justin M Liquid pouch in a carton with a pouring spout
CH669575A5 (ko) * 1985-08-20 1989-03-31 Alfatechnic Ag
JPH0547060Y2 (ko) * 1987-07-06 1993-12-10
BE1000760A6 (fr) * 1987-07-27 1989-03-28 Lynes Holding Sa Dispositif de bouchon verseur.
JP2515198Y2 (ja) * 1990-03-23 1996-10-30 ヤマト・インダストリー株式会社 容器の注出栓
US5851608A (en) * 1990-10-16 1998-12-22 Dai Nippon Printing Co., Ltd. Paper container for liquid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FR2729924B1 (fr) * 1995-02-01 1997-04-11 Kerplas Snc Flacon de distribution de produit
US5851072A (en) * 1996-11-26 1998-12-22 Custom Packaging Systems, Inc. Spout construction for bulk box liquid liner
IT1290079B1 (it) * 1997-03-14 1998-10-19 Tetra Laval Holdings & Finance Dispositivo di apertura richiudibile per confezioni per prodotti alimentari versabili
CA2322527C (en) * 1998-02-17 2007-04-10 Elopak A.S.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packaging
JP2000016453A (ja) * 1998-06-29 2000-01-18 Toppan Printing Co Ltd 外付タイプ口栓
DE19901713C2 (de) * 1999-01-18 2002-01-31 Stolz Heinrich Verschluss für einen Behälter
US7036683B2 (en) * 2000-10-03 2006-05-02 Bericap Holding Gmbh Plastic closing device with a piercing element
DE60142021D1 (de) * 2000-12-27 2010-06-17 Toyo Seikan Kaisha Ltd Behältermundstück
JP2005516850A (ja) 2001-09-10 2005-06-09 リー、ジュンミン スパウトアセンブリ
US6571994B1 (en) * 2001-12-12 2003-06-03 Portola Packaging, Inc. Closure having rotatable spout and axially movable stem
DE50304066D1 (de) * 2002-05-31 2006-08-10 Sig Technology Ltd Selbstöffner-verschluss für verbundpackungen oder für mit folienmaterial verschlossene behälterstutzen
JP2004315067A (ja) * 2003-04-18 2004-11-11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ウチ、注出口付パウチ
EA008207B1 (ru) * 2003-07-28 2007-04-27 Сиг Текнолоджи Лтд.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колюще-режущим средством для многослойных упаковок или контейнеров и бутылок, закрываемых плёночным материалом
US8016159B2 (en) * 2003-10-27 2011-09-13 Portola Packaging, Inc. Twist open closure having inclined frangible membrane
EP1687079A4 (en) * 2003-11-10 2008-12-24 Jeong-Min Lee METHOD AND CONSTRUCTION FOR MIXING DIFFERENT MATERIALS IN A SOCKET CONTAINER
US20050167297A1 (en) * 2004-01-30 2005-08-04 Emanuel Shenkar Easy-open closure for container and method of use
US7121431B2 (en) * 2004-05-06 2006-10-17 Duke Larry R Battlefield flask
DE102005011770A1 (de) * 2005-03-11 2006-09-14 Georg Menshen Gmbh & Co. Kg Kunststoffausgiesser-Einschweissteil
JP2007161254A (ja) * 2005-12-09 2007-06-28 Dainippon Printing Co Ltd スパウト付き容器
US8075189B2 (en) * 2006-06-21 2011-12-13 Bosch Pouch Systems Ag Method for attaching a spout to a flexible film pouch
BRPI0715343A2 (pt) * 2006-07-31 2013-06-18 Liqui Box Canada Inc conjunto de encaixe de perfuraÇço
WO2008033938A2 (en) * 2006-09-12 2008-03-20 Pouch Pac Innovations, Llc Automated machine and method for mounting a fitment to a flexible pouch
US7591398B2 (en) * 2006-09-27 2009-09-22 Pouchsmart, Inc. Container closure assembly
WO2009096585A1 (ja) * 2008-01-29 2009-08-06 Hosokawa Yoko Co., Ltd. 口栓ユニット、口栓付き包装容器及びこれを製造する方法
JP2009227300A (ja) * 2008-03-21 2009-10-08 Makino Sogo Kenkyusho:Kk 水素含有飲料用ストロー・キャップ付きパウチ
JP2009280251A (ja) * 2008-05-23 2009-12-03 Makino Sogo Kenkyusho:Kk 水素含有飲料用パウチの水素漏れ止め構造
ES2366890T3 (es) * 2008-07-07 2011-10-26 Grc Pack Luxembourg S.A. Envase para productos alimenticios, y un método para envasar un producto alimenticio.
US20110108572A1 (en) * 2009-11-06 2011-05-12 Murray R Charles Flexible pouch with selectively attachable fitment assembly
CN101837863A (zh) * 2010-05-14 2010-09-22 李辉 新型包装杯
DE102012212769A1 (de) * 2012-07-20 2014-01-23 Robert Bosch Gmbh Wiederverschliessbarer Ausguss für einen Beutel aus elastischer Folie
DE202013012702U1 (de) * 2013-05-24 2018-09-10 Georg Menshen Gmbh & Co. Kg Einschweißteil mit Sperrschicht
US20170107024A1 (en) * 2014-03-25 2017-04-20 Guala Pack S.P.A. Spout for flexible pouch with obturator device
US9809370B2 (en) * 2014-08-14 2017-11-07 Scholle Ipn Corporation Barrier spout for a flexible bag and a flexible bag having a barrier spout
CH710030A2 (de) * 2014-08-27 2016-02-29 Mühlemann Ip Gmbh Dosiervorrichtung aus Kunststoff, die zur dichtenden Befestigung auf einem Flaschenhals ausgestaltet ist.
JPWO2016047758A1 (ja) * 2014-09-25 2017-07-20 株式会社シェフコ 飲料用水素含有水製品
US20170197771A1 (en) * 2016-01-08 2017-07-13 Heritage Packaging Stand-up flexible container with top and bottom hand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623109A (zh) 2016-07-01
JP6074121B2 (ja) 2017-02-01
US10737852B2 (en) 2020-08-11
KR101916785B1 (ko) 2018-11-08
PH12016501566A1 (en) 2017-02-06
EP3222546A4 (en) 2018-04-18
PH12016501566B1 (en) 2017-02-06
SG11201604914RA (en) 2016-07-28
TWI673210B (zh) 2019-10-01
JPWO2016063961A1 (ja) 2017-04-27
EP3222546A1 (en) 2017-09-27
US20170225852A1 (en) 2017-08-10
CN106458373A (zh) 2017-02-22
CN106458373B (zh) 2018-11-27
WO2016063961A1 (ja) 2016-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6785B1 (ko)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5576128B2 (ja) 材料解放スパウト
KR102395999B1 (ko) 리필 용기
KR102571002B1 (ko)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EP1623931B1 (en) Paper container for fluids having a spout plug
PT2782849T (pt) Cápsula e sistema para preparação de bebida
JP4802590B2 (ja) 開封機能付キャップ及び包装体
WO2008029585A1 (fr) rÉcipient de type bouteille
ES2641285T3 (es) Capuchón con cámara de aditivo y unidad de embalaje asociada
KR20160124805A (ko) 주변 외부 벽을 가지는 분배 디바이스
JP5110585B2 (ja) 紙容器溶着用上蓋付き注出栓
JP2014023772A (ja) 二室容器
JP2010116168A (ja) 液体食品容器のストロー開口部構造
JP7275603B2 (ja) チューブ容器
KR101648360B1 (ko) 용기 봉합체와 그의 제조방법
WO2021153227A1 (ja) パウチ容器用包装体およびパウチ容器包装物
JP2005035573A (ja) 包装容器
JP4730182B2 (ja) キャップ付き注出口
JP5071638B2 (ja) 振出口付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