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8778B1 - 내용물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8778B1
KR102578778B1 KR1020220075376A KR20220075376A KR102578778B1 KR 102578778 B1 KR102578778 B1 KR 102578778B1 KR 1020220075376 A KR1020220075376 A KR 1020220075376A KR 20220075376 A KR20220075376 A KR 20220075376A KR 102578778 B1 KR102578778 B1 KR 102578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upling
spout
stopper
outer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수
박종현
정혜진
최성무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5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778B1/ko
Priority to PCT/KR2023/004240 priority patent/WO202324921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5Spouts, pouring necks or discharging tubes fixed to or integral with the flexibl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65D15/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 B65D15/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of curved, or partially curved, cross-section, e.g. cans, drums with curved, or partially curved, walls made by winding or bending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14Linings or internal coatings
    • B65D25/18Linings or internal coatings spaced appreciably from containe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용기; 및 내측으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파우트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용기{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으로 성형된 용기에 수용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유리병 또는 플라스틱으로 된 용기는 용기의 바닥에 잔존하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파우치 용기가 제안되었다. 파우치 용기는 연질의 필름 재질로 형성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되고, 일측에 결합된 스파우트를 통해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이에 따르면 파우치 용기를 가압하여 부피를 감소시킴으로써 잔존하는 화장품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파우치 용기의 경우 연성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기립이 어렵고 외부 충격에 의해 쉽게 손상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내용물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용기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용기; 및 내측으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파우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내용기와 결합되는 제 1 결합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결합 영역의 상측에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제 2 결합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 영역이 상기 제 1 결합 영역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는 상기 제 1 결합 영역에 융착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내용기의 재질 및 상기 스파우트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계열의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용기의 재질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결합 영역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를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 간의 상하 방향 분리에 의해, 상기 접합부 중 제 1 접합부와 상기 내용기의 접합 불량으로 발생하는 상기 내용물의 누출이 제 2 접합부와 상기 내용기의 접합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 홈에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분리 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는 상기 제 2 결합 영역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용기의 재질은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결합 영역에는, 상기 스파우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용기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제 1 끼움부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결합 영역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는, 상하 관통 형성되되, 하측 단부의 강도가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증가하여, 상기 외용기가 상기 하측 단부를 통해 기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통합 결합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에 탈착되며, 상기 스파우트를 개폐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는, 상기 결합부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외용기의 상단 및 상기 마개부의 하단을 지지하는 받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파우트에 탈착되는 내마개; 및 상기 내마개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마개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용기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마개는 상기 내마개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외용기의 재질과 상기 외마개의 재질은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마개는, 상기 스파우트에 탈착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외마개와 결합하는 외벽; 및 상기 개폐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마개에 접하도록 상측 단부가 연장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마개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제 2 끼움부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상기 외벽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벽은, 상기 외마개와의 결합 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내마개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스파우트에 내용기와 외용기가 각각 결합되어 용기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용기의 재질이 재활용이 우수한 종이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재활용률 상승 및 환경 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고, 소비자의 선호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마개의 재질 또한 종이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재활용률 상승 및 환경 보호에 이바지함과 동시에 외용기와의 통일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밀폐를 위해 내용기는 융착 결합하고, 외용기가 스파우트와 끼움 결합됨에 따라, 외용기와 스파우트가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종이와 플라스틱의 분리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마개가 내마개와 끼움 결합됨에 따라, 외마개와 내마개가 서로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되어, 종이와 플라스틱의 분리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구현예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장치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 1, 제 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내용기(100), 외용기(200), 스파우트(300) 및/또는 마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내용기(100)는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액상, 겔상 또는 분말 상의 화장료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크림, 미백 에센스, 톤업크림, 자외선 차단제, 선크림, 선밀크, 비비크림, 베이스, 파운데이션, CC크림, 컨실러, 블러셔, 쉐딩,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아이크림, 프라이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제형이나 종류의 화장료, 의료용 내용물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기(100)는 연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내용기(100)가 연성 재질을 가짐에 따라, 외력의 인가 시 내용기(100)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내용기(100)의 가압 시 내용기(100)의 부피가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기(1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계열의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내용기(1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아크릴 수지, 스타이렌 수지, PCR(Post-Consumer Recycled) 수지나 PIR(Post-Industrial Recycled) 수지 등의 재활용 수지 등 다양한 재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기(100)는 파우치(Pouch) 용기일 수 있다. 이 경우 내용기(100)는 외력의 인가에 따라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되되, 개구부가 스파우트(300)에 결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내용기(1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내용기(100)는 보틀(Bottle), 병(Jar), 튜브(Tube)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외용기(200)는 내용기(10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어, 내용기(100)를 외부에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200)는 내용물 용기(1000)가 기립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200)는 내용기(100)에 비해 경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외용기(200)가 경성 재질을 가짐에 따라, 외용기(200)는 외력이 인가되더라도 형태가 변형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용기(100)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200)의 재질은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종이는 플라스틱에 비해 재활용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특히 외용기(200)가 종이 재질일 경우 외관 상으로 재활용 우수한 종이 재질임이 강조됨에 따라 소비자의 선호도가 상승할 수 있다. 다만, 외용기(2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금속,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 다양한 재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200)는 예를 들어, 원기둥, 타원기둥, 다각기둥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용기(200)는 상부가 개방되어 내측으로 수용 공간이 형성되거나, 상하 관통 형성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외용기(2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용기(200)는 보틀(Bottle(, 파우치(Pouch), 병(Jar), 튜브(Tube) 등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스파우트(300)는 내용기(100) 및 외용기(200)와 결합되며 내용물을 토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파우트(300)는 내측으로 연통로가 형성되어, 내용기(100) 내의 내용물이 유입되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외측으로, 결합부(310), 배출부(320) 및 받침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310)에는 내용기(100) 및 외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결합부(310)에는 내용기(100) 및/또는 외용기(200)와 결합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영역이 구비될 수 있다. 결합 영역은, 예를 들어 끼움 결합, 나사 결합, 걸림 결합, 접합 등에 의해 내용기(100) 및/또는 외용기(200)와 직,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100) 및 외용기(200)가 모두 결합 영역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내용기(100)가 결합 영역에 직접적으로 결합되고 외용기(200)는 결합 영역에 간접적으로 결합되는 등 다양한 결합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결합부(310)에는 제 1 결합 영역(311) 및 제 2 결합 영역(312)이 구비될 수 있다. 제 1 결합 영역(311)은 내용기(100)와 결합할 수 있고, 제 2 결합 영역(312)은 외용기(200)와 결합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1 결합 영역(311)과 제 2 결합 영역(312) 중 하나만이 구비되거나, 제 1 결합 영역(311)과 제 2 결합 영역(312)이 하나의 결합 영역으로 통합되거나, 제 1 결합 영역(311) 및 제 2 결합 영역(312) 이외에도 적어도 하나의 결합 영역이 추가로 구비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결합 영역(312)은 제 1 결합 영역(311)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 영역(312)(특히, 제 1 끼움부(312-1))이 제 1 결합 영역(311)(특히, 접합부(311-1))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측에 위치한 제 1 결합 영역(311)에 내용기(100)가 결합된 후, 상측에 위치한 제 2 결합 영역(312)에 외용기(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2 결합 영역(312)이 제 1 결합 영역(311)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용기(200)가 내용기(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고, 조립 과정에서 외용기(200)가 내용기(100)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용기(100)는 제 1 결합 영역(311)에 융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100)는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등을 통해 제 1 결합 영역(31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된 다양한 융착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1 결합 영역(311)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311-1)를 포함할 수 있다. 접합부(311-1)에 내용기(100)가 접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 1 결합 영역(311)은 접합부(311-1)를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홈(311-2)을 포함할 수 있다. 분리홈(311-2)에 의해 접합부(311-1)가 상하 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접합부(311-1) 중 일부의 접합 불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분리홈(311-2)은 스파우트(300)의 표면이 함몰되어 형성되거나, 접합부(311-1)가 돌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접합부(311-1)는 제 1 접합부와 제 1 접합부로부터 상측으로 이격하는 제 2 접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접합부와 내용기(100)의 접합 불량으로 인하여 제 1 접합부와 내용기(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더라도, 틈에 의한 내용물의 누출은 제 2 접합부와 내용기(100)의 접합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분리홈(311-2)에는 복수의 접합부(311-1)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311-3)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311-3)에 내용기(100)가 접합될 수 있다. 연결부(311-3)에 의해 각각의 분리홈(311-2)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될 수 있다. 연결부(311-3)는, 예를 들어 접합부(311-1)와 내용기(100)의 접합 불량으로 인하여 틈이 발생하고, 틈 사이로 내용물이 분리홈(311-2)으로 유입될 때, 내용물이 분리홈(311-2)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격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부(311-1)의 일 영역에서의 접합 불량이 접합부(311-1)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1-3)에 의해 분리홈(311-2)에 의한 누출 방지 효과가 유지된 상태로 접합 면적이 상승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200)는 제 2 결합 영역(3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100)가 제 1 결합 영역(311)에 융착된 상태에서, 외용기(200)를 스파우트(300)의 하단으로부터 제 2 결합 영역(312) 측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외용기(200)를 제 2 결합 영역(312)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 2 결합 영역(3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부(3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용기(20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 1 끼움부(312-1)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외용기(200)가 제 2 결합 영역(3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1 끼움부(312-1)는 스파우트(300)의 표면이 돌출 및/또는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스파우트(300)의 둘레 방향 및/또는 스파우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끼움부(312-1)는 스파우트(30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스파우트(30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끼움부(312-1)는 스파우트(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스파우트(300)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할 수 있다.
부가적/대안적으로, 제 1 끼움부(312-1)는 외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외측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대안적으로, 제 1 끼움부(312-1)는 하단에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을 통해 외용기(200)의 끼움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파우트(300)의 재질은 내용기(100)의 재질과 동일한 계열의 재질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파우트(300)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계열의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파우트(300)의 재질이 내용기(100)의 재질과 동일한 계열의 재질 중에서 선택됨으로써, 내용기(100)와 스파우트(300)의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스파우트(300)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스파우트(300)와 내용기(100)의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스파우트(300)가 경성 재질을 가짐으로써 내용기(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스파우트(300)의 재질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butylene Terephthalate, PBT) 등 다양한 재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출부(320)는 스파우트(300)로 유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부(320)는 외측으로 마개부(400)와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320)의 외주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구비되어 마개부(400)와 나사 결합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끼움 결합, 걸림 결합 등 다양한 결합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출부(320)에는 오리피스, 어플리케이터 등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받침부(330)는 결합부(3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저면이 외용기(200)를 지지하고 상면이 마개부(4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200)가 제 2 결합 영역(312)에 완전히 끼움 결합된 경우, 받침부(330)가 외용기(200)의 상단과 접하며 외용기(200)의 결합 깊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받침부(330)는 결합부(310)의 외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될 수 있다.
마개부(400)는 스파우트(300), 특히 배출부(320)에 탈착되며, 배출부(320)를 개폐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마개부(400)는 적어도 일부가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용기(200)와 재질의 통일성을 부여할 수 있고, 재활용률 상승 및 환경 보호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우선 스파우트(300)의 제 1 결합 영역(311)에 내용기(100)가 융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접합부(311-1)에 내용기(100)가 접합될 수 있다. 이때, 분리홈(311-2)에 의해 접합부(311-1)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분리되므로, 접합부(311-1) 중 하측의 제 1 접합부와 내용기(100)의 접합 불량으로 인해 틈이 발생하더라도, 내용물의 누출은 접합부(311-1) 중 상측의 제 2 접합부와 내용기(100)의 접합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311-3)에 의해 분리홈(311-2)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되므로, 접합부(311-1)와 내용기(100)의 접합 불량으로 틈이 발생하더라도, 연결부(311-3)에 의해 내용물의 분리홈(311-2) 내부에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제 2 결합 영역(312)이 제 1 결합 영역(311) 상측에 위치하므로, 내용기(100)가 스파우트(300)에 융착된 상태에서 제 2 결합 영역(312)이 내용기(100) 상측으로 노출될 수 있다.
이후 제 2 결합 영역(312)에 외용기(20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용기(200)를 스파우트(300)의 하단으로부터 제 2 결합 영역(312) 측을 향하여 가압하면, 제 1 끼움부(312-1)가 외용기(200)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외용기(200)가 제 2 결합 영역(3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 1 끼움부(312-1)는 접합부(311-1)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외용기(200)가 내용기(100)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의 결합 과정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외용기(200)는 상하 관통 형성될 수 있다. 외용기(200)가 관통 형성됨에 따라, 외용기(200)의 재료 사용을 줄이고, 제조 공정을 간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200)가 상하 관통되기 때문에, 외용기(200)가 스파우트(300)에 결합되는 과정에서, 외용기(200) 내부의 공기가 외용기(200)의 관통된 상단 또는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200)는 시트(sheet)의 양 단부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가 굴곡된 후 양 단부가 서로 접합됨으로써 상하 관통된 용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복수의 시트의 단부가 서로 접합되어 연결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시트는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종이 시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200)는 관(Tube)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이 소정 길이로 절단됨으로써 상하 관통된 용기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관이 처음부터 외용기(200)의 길이만큼 연장되도록 제작되는 등 다양한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관은 종이 재질로 이루어진 종이 관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외용기(200)는 하측 단부의 강도가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용기(200)는 하측 단부를 통해 기립될 수 있다.
도 5에 따른 외용기(2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마개부(400)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의 (b)는 마개부(400)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마개부(400)는 내마개(410) 및 외마개(420)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마개(410)는 내측으로 배출부(320)에 탈착될 수 있고, 외측으로 외마개(420)와 결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마개(410)는 경성 재질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내마개(410)가 배출부(320)에 안정적으로 탈착되며 배출부(320)를 안정적으로 개폐하고, 외마개(4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마개(410)의 재질은 금속,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등 내마개(410)를 경성 재질로 구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재질 중에서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마개(420)의 재질은 종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용기(200)와 재질의 통일성이 부여될 수 있고, 외관 상으로 재활용 우수한 종이 재질임이 강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마개(410)는 개폐부(411), 개폐부(411)의 외측에 형성되는 외벽(412), 상기 개폐부(411)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내벽(413) 및 개폐부(411)와 내벽(413)을 연결하는 저벽(414)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개폐부(411)는 배출부(320)에 탈착될 수 있다. 개폐부(411)의 내측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고, 배출부(320)의 외측에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이 형성되어, 개폐부(411)와 배출부(320)가 나사 결합에 의해 탈착될 수 있다. 다만, 개폐부(411)와 배출부(320)의 결합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탈착 가능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공지된 모든 결합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벽(412)은 외마개(420)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마개(420)가 외벽(4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마개(420)를 외벽(412)의 상단으로부터 외벽(412) 측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외마개(420)를 외벽(412)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벽(41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끼움부(412-1)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외마개(420)의 적어도 일 영역이 제 2 끼움부(412-1)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외마개(420)가 외벽(4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 2 끼움부(412-1)는 외벽(412)의 표면이 돌출 및/또는 함몰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내마개(410)의 둘레 방향 및/또는 내마개(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끼움부(412-1)는 내마개(410)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내마개(410)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제 2 끼움부(412-1)는 내마개(4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내마개(410)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격할 수 있다.
부가적/대안적으로, 제 2 끼움부(412-1)는 외측으로 단면적이 감소하면서 외측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대안적으로, 제 2 끼움부(412-1)는 상단에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을 통해 외마개(420)의 끼움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벽(412)은 내마개(410)보다 낮은 높이(예를 들어 개폐부(411) 또는 내벽(413)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벽(412)과 외마개(420)의 결합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벽(412)의 높이가 지나치게 높으면 외마개(420)와의 결합을 위해 지나친 외력이 요구될 수 있으나, 외벽(412)의 높이가 개폐부(411)보다 낮은 높이로 조절됨으로써 외마개(420)와 결합 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내벽(413)은 개폐부(411)의 상측으로 연장됨으로써 상측 단부가 외마개(420)에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벽(413)이 외마개(420)를 지지하여, 외마개(420)의 결합 깊이가 조절될 수 있으며, 내벽(413)의 연장 길이는 외마개(420)의 높이 및 결합 정도를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저벽(414)은 개폐부(411)의 하단과 내벽(413)의 하단을 연결할 수 있으며, 마개부(400)가 스파우트(300)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하단이 받침부(330)의 상단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마개(420)는 내마개(41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마개(420)는 굴곡된 종이 시트의 양 단부가 서로 접합되어 상하 관통 형성되되, 상단에 종이판이 결합되어 상단이 밀폐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외마개(420)는 상측 단부의 강도가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외마개(420)는 상측 단부를 통해 기립될 수 있다.
도 6에 따른 마개부(400)는 예비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구현예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의 (a)는 내용기(100)만이 스파우트(300)에 결합된 상태의 내용물 용기(1000)를 도시하고, 도 6의 (b)는 외용기(200)와 마개부(400)까지 스파우트(300)에 결합된 상태의 내용물 용기(1000)를 도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연질의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재질을 갖는 내용기(100)가 경질의 고밀도 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재질을 갖는 스파우트(300)에 융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내용기(100)와 스파우트(300)의 재질이 동일하게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계열의 합성 수지에서 선택됨으로써, 내용기(100)와 스파우트(300)의 융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0)는 파우치 용기의 형태로 형성되어, 외력의 인가에 따라 자유롭게 형상이 변형되되, 개구부가 스파우트(30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내용기(100)의 외측에는 외용기(200)가 내용기(100)를 감싸도록 구비되고, 스파우트(300)에는 마개부(4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외용기(200)와 마개부(400)의 외마개(420)는 모두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플라스틱 사용량을 감소시켜 재활용률 상승 및 환경 보호에 이바지할 수 있다. 특히, 외용기(200)와 마개부(400)가 종이 재질로 형성되기 때문에 내용물 용기(1000)의 외관은 전체적으로 종이 재질을 나타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소비자의 선호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외용기(200)는 스파우트(300)의 제 2 결합 영역(312)에 끼움 결합되고, 외마개(420)는 내마개(410)의 외벽(412)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외용기(200)와 스파우트, 외마개(420)와 내마개(410)가 일체로 결합되지 않기 때문에, 외용기(200)를 제 2 결합 영역(312)으로부터 분리하는 것과 외마개(420)를 외벽(412)으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종이 재질의 외용기(200)와 외마개(420)를 내용물 용기(1000)로부터 분리하여 용이하게 재활용할 수 있다.
도 7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내용물 용기(1000`)는 내용기(100), 외용기(200), 스파우트(300`) 및/또는 마개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서 도시되는 내용기(100), 외용기(200), 스파우트(300`) 및 마개부(400)는 도 1 내지 도 7에서 도시되는 내용기(100), 외용기(200), 스파우트(300) 및 마개부(400)와 마찬가지로 설명되며, 이하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스파우트(300`)의 결합부(310`)에는 통합 결합 영역(313)이 구비될 수 있다. 통합 결합 영역(313)은 내용기(100) 및 외용기(2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100)가 통합 결합 영역(313)에 직접적으로 결합된 후에, 내용기(100)의 외측에서 외용기(200)가 내용기(100)를 경유하여 통합 결합 영역(313)에 간접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내용기(100)는 접합에 의해 통합 결합 영역(313)에 결합될 수 있고, 외용기(200)는 끼움 결합에 의해 통합 결합 영역(313)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용기(100)가 통합 결합 영역(313)에 융착된 상태에서, 외용기(200)를 스파우트(300)의 하단으로부터 통합 결합 영역(313) 측을 향하여 가압함으로써 외용기(200)를 통합 결합 영역(313)에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서, 통합 결합 영역(313)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313-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313-1)에는 내용기(100)가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내용기(100)가 돌출부(313-1)에 접합된 상태에서, 외용기(200)가 내용기(100)를 경유하여 돌출부(313-1)에 밀착됨으로써, 외용기(200)가 통합 결합 영역(313)에 간접적으로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돌출부(313-1)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돌출부(313-1)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에 따라, 돌출부(313-1) 중 일부의 접합 불량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내용물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부(313-1)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하는 (하측의) 제 1 돌출부와 (상측의) 제 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 1 돌출부와 내용기(100)의 접합 불량으로 인하여 제 1 돌출부와 내용기(100) 사이에 틈이 발생하더라도, 틈에 의한 내용물의 누출은 제 2 돌출부와 내용기(100)의 접합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부가적/대안적으로, 돌출부(313-1)는 돌출 방향을 향하여 단면적이 감소하여 단부가 첨예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가적/대안적으로, 돌출부(313-1)는 하단에 소정의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사면을 통해 외용기(200)의 끼움 결합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으나, 통합 결합 영역(313)에는 복수의 돌출부(313-1)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는, 예를 들어 돌출부(313-1)와 내용기(100)의 접합 불량으로 인하여 틈이 발생하고, 틈 사이로 내용물이 유입될 때, 내용물이 복수의 돌출부(313-1) 사이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도록 하는 격벽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돌출부(313-1)의 일 영역에서의 접합 불량이 돌출부(313-1)의 다른 영역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연결부에 의해 접합 면적이 상승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따른 내용물 용기(1000`)는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용기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우선 스파우트(300`)의 통합 결합 영역(313)에 내용기(100)가 융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열 융착, 초음파 융착 등에 의해 돌출부(313-1)에 내용기(100)가 접합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313-1)가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되므로, 돌출부(313-1) 중 하측의 제 1 돌출부와 내용기(100)의 접합 불량으로 인해 틈이 발생하더라도, 내용물의 누출은 돌출부(313-1) 중 상측의 제 2 돌출부와 내용기(100)의 접합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이후 통합 결합 영역(313)에 외용기(200)를 끼움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외용기(200)를 스파우트(300`)의 하단으로부터 통합 결합 영역(313) 측을 향하여 가압하면, 돌출부(313-1)가 내용기(100)를 경유하여 외용기(200)의 내측에 밀착되면서 외용기(200)가 통합 결합 영역(3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외용기(200)에 의해 내용기(100)가 돌출부(313-1)에 더욱 밀착되므로, 내용기(100)와 돌출부(313-1)의 결합이 보조될 수 있다.
도 10에 다른 내용물 용기(1000`)의 결합 과정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내용기 200: 외용기
300, 300`: 스파우트 310, 310`: 결합부
311: 제 1 결합 영역 311-1: 접합부
311-2: 분리 홈 311-3: 연결부
312: 제 2 결합 영역 312-1: 제 1 끼움부
313: 통합 결합 영역 313-1: 돌출부
320: 배출부 330: 받침부
400: 마개부 410: 내마개
411: 개폐부 412: 외벽
412-1: 제 2 끼움부 413: 내벽
414: 저벽 420: 외마개
1000, 1000`: 내용물 용기

Claims (17)

  1. 내용물 용기로서,
    내용물을 수용하는 내용기;
    상기 내용기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용기;
    내측으로 상기 내용물이 유입 및 배출되는 연통로가 형성되고, 외측으로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는 스파우트; 및
    상기 스파우트에 탈착되는 내마개; 및 상기 내마개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외마개를 포함하는 마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마개와 상기 외마개가 일체로 상기 스파우트에 착탈하여 상기 스파우트를 개폐하고,
    상기 내마개는, 상기 스파우트에 탈착되는 개폐부; 상기 개폐부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외마개와 결합하는 외벽; 및 상기 개폐부의 상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외마개에 접하도록 상측 단부가 연장 형성되는 내벽을 포함하고,
    상기 외용기는 상기 결합부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마개는 상기 내마개에 끼움 결합되며,
    상기 외용기의 재질과 상기 외마개의 재질은 종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내용기와 결합되는 제 1 결합 영역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결합 영역의 상측에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제 2 결합 영역이 구비되는, 내용물 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영역이 상기 제 1 결합 영역에 비하여 외측으로 돌출되는, 내용물 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는 상기 제 1 결합 영역에 융착에 의해 결합되고,
    상기 내용기의 재질 및 상기 스파우트의 재질은 폴리에틸렌(PE) 계열의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기의 재질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을 포함하고, 상기 스파우트의 재질은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을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 영역은,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접합부; 및 상기 접합부를 상하 방향으로 분리하도록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분리 홈을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부 간의 상하 방향 분리에 의해, 상기 접합부 중 제 1 접합부와 상기 내용기의 접합 불량으로 발생하는 상기 내용물의 누출이 제 2 접합부와 상기 내용기의 접합에 의해 차단되는, 내용물 용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홈에는 복수의 상기 접합부를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에 의해 상기 분리 홈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리되는, 내용물 용기.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는 상기 제 2 결합 영역에 끼움 결합되고,
    상기 외용기의 재질은 종이를 포함하는, 내용물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 영역에는, 상기 스파우트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용기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제 1 끼움부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상기 제 2 결합 영역에 끼움 결합되는, 내용물 용기.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외용기는, 상하 관통 형성되되, 하측 단부의 강도가 재질 및 두께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증가하여, 상기 외용기가 상기 하측 단부를 통해 기립되는, 내용물 용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는, 상기 내용기 및 상기 외용기와 결합되는 통합 결합 영역이 구비되는, 내용물 용기.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 2 끼움부가 구비되고,
    상기 외마개의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제 2 끼움부에 의해 밀착됨으로써, 상기 외벽에 끼움 결합되는, 내용물 용기.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외벽은, 상기 외마개와의 결합 강도가 조절되도록, 상기 내마개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는, 내용물 용기.
KR1020220075376A 2022-06-21 2022-06-21 내용물 용기 KR102578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376A KR102578778B1 (ko) 2022-06-21 2022-06-21 내용물 용기
PCT/KR2023/004240 WO2023249210A1 (ko) 2022-06-21 2023-03-30 내용물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376A KR102578778B1 (ko) 2022-06-21 2022-06-21 내용물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778B1 true KR102578778B1 (ko) 2023-09-14

Family

ID=88013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376A KR102578778B1 (ko) 2022-06-21 2022-06-21 내용물 용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8778B1 (ko)
WO (1) WO2023249210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164U (ja) * 1992-03-13 1993-10-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H08231345A (ja) * 1995-02-27 1996-09-10 Kao Corp 過酸化水素含有エアゾール製品
KR20090012648A (ko) * 2007-07-31 2009-02-04 김용준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9029514A (ja) * 2007-06-26 2009-0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ウチ容器
KR20090008168U (ko) * 2008-02-11 2009-08-14 애경산업(주) 스파우트 구조체
KR20090117716A (ko) * 2007-01-04 2009-11-12 야오우 딩 진공 포장 용기
KR20110012781A (ko) * 2009-07-31 2011-02-09 (주)연우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지관용기
JP2013103724A (ja) * 2011-11-11 2013-05-30 Shiseido Co Ltd 二重容器及び外容器及び内容器
US20150210458A1 (en) * 2014-01-30 2015-07-30 Sonoco Development, Inc. Composite container with internal fitment
KR101916785B1 (ko) * 2014-10-24 2018-11-08 메로디안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5164U (ja) * 1992-03-13 1993-10-1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液体注出容器
JPH08231345A (ja) * 1995-02-27 1996-09-10 Kao Corp 過酸化水素含有エアゾール製品
KR20090117716A (ko) * 2007-01-04 2009-11-12 야오우 딩 진공 포장 용기
JP2009029514A (ja) * 2007-06-26 2009-02-12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ウチ容器
KR20090012648A (ko) * 2007-07-31 2009-02-04 김용준 스파우트를 구비하는 파우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90008168U (ko) * 2008-02-11 2009-08-14 애경산업(주) 스파우트 구조체
KR20110012781A (ko) * 2009-07-31 2011-02-09 (주)연우 내용물의 리필이 가능한 지관용기
JP2013103724A (ja) * 2011-11-11 2013-05-30 Shiseido Co Ltd 二重容器及び外容器及び内容器
US20150210458A1 (en) * 2014-01-30 2015-07-30 Sonoco Development, Inc. Composite container with internal fitment
KR101916785B1 (ko) * 2014-10-24 2018-11-08 메로디안 가부시키가이샤 주출구 부착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49210A1 (ko) 2023-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5947A1 (en) Apparatus for receiving heterogeneous materials
RU2654414C2 (ru) Термоформованный контейнер с крышкой
US10518943B2 (en) Container with valve
KR102295667B1 (ko) 용기
CN102958814A (zh) 可再关闭容器
RU2666679C2 (ru) Упаковка
US8522995B2 (en) Piercing fliptop closure
EP3251960B1 (en) Double-walled container
WO2015045025A1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US20220002045A1 (en) Recipient to dispense or receive a product for in situ mixing
KR102578778B1 (ko) 내용물 용기
CN109153479A (zh) 包括显窃启装置的容器盖
JP5827174B2 (ja) レフィル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レフィル容器製品、並びにそれを用いた二重容器製品。
US6159566A (en) Flexible thermoplastic and compressible tube made of this material
US20050051574A1 (en) Low profile cap for stand-up tube
WO2017022736A1 (ja) 容器注出口の封止構造
US20210368965A1 (en) Cosmetic squeeze stick
KR101643341B1 (ko) 누출방지용 중공부가 구비된 캡슐캡
KR102049523B1 (ko) 음료용 캔 용기의 덮개
JP6651416B2 (ja) 二重容器
KR102598783B1 (ko) 밀폐 용기
KR200466117Y1 (ko) 재활용이 가능한 캔
JP2024055986A (ja) 容器用キャップの製造方法
KR20120002119U (ko) 인서트 플립-탑 튜브용기
JP2017114522A (ja) 注出用口栓、および注出用口栓を有するフィルム製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