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8783B1 - 밀폐 용기 - Google Patents

밀폐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8783B1
KR102598783B1 KR1020230072856A KR20230072856A KR102598783B1 KR 102598783 B1 KR102598783 B1 KR 102598783B1 KR 1020230072856 A KR1020230072856 A KR 1020230072856A KR 20230072856 A KR20230072856 A KR 20230072856A KR 102598783 B1 KR102598783 B1 KR 10259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pout
lid
stopp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2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윤호
Original Assignee
(주)몰텍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몰텍코리아 filed Critical (주)몰텍코리아
Priority to KR1020230072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78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7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means for positioning the cap on the container, or for limiting the movement of the cap, or for preventing accidental loosening of the ca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40Caps or cap-like covers adapted to be secured in position by permanent deformation of the wall-engag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5/00Accessories for container 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5/0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 B65D55/022Locking devices; Means for discourag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opening or removal of closure with ratchet effect between relatively rotat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 자체에 용기 바디의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기밀홈을 마련하여 별도의 패킹 없이 밀봉할 수 있으며, 뚜껑이 의도치 않게 열리지 않아 밀봉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는,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의 외면 일 지점에서 돌출된 스토핑돌기를 구비한 용기 본체; 상기 주둥이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하되, 상면부의 내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주둥이부의 상단이 끼워지는 기밀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의 외면 일 지점에서 절취부로 연결되면서 돌출되고 상기 스토핑돌기에 걸려서 뚜껑이 개봉되지 않게 하는 잠금돌기를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밀폐 용기{SEALED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뚜껑 자체에 용기 바디의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기밀홈을 마련하여 별도의 패킹 없이 밀봉할 수 있으며, 뚜껑이 의도치 않게 열리지 않아 밀봉 상태를 안전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하는 밀폐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김치 등과 같은 발효 식품 등을 담는 용기는 용기 본체의 개구된 주둥이부에 별도의 패킹을 덮은 후 그 위를 뚜껑으로 닫아서 밀봉한다.
이때 사용되는 패킹은 고무나 실리콘 또는 발포 합성수지 등과 같이 내용물의 종류나 용기의 구조 등에 맞춰 다양한 재질을 사용한다.
따라서 일반적인 플라스틱류의 합성수지로 성형되는 용기와 패킹의 재질이 서로 다르므로, 패킹을 별도로 제작한 후 후 공정을 추가하여 패킹을 뚜껑의 내부에 고정시킨 상태로 뚜껑의 밀봉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용기 관련 제조 단가를 상승시키는 단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PE 등의 합성수지를 발포시켜 시트 형상의 패킹을 제작하면, 이러한 패킹은 용기에 담긴 내용물에 의해 오염됨은 물론, 분리수거의 불편함과 재활용의 어려움을 초래하고, 환경호르몬 등이 발생하는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실리콘이나 고무로 링 형상의 패킹을 제작하면, 너무 높은 밀폐성으로 인해 김치와 같은 발효 식품에서 발생한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여, 뚜껑의 개봉이 어렵거나 용기가 훼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일반적인 나사 결합의 뚜껑 밀봉 방식은 용기의 취급 시 뚜껑이 의도치 않게 살짝 열려서 밀폐성이 저하됨에 따라 내용물이 새거나 변질되는 등의 위험성을 갖고 있는 바, 상기한 문제점들을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패킹을 추가하여 뚜껑으로 밀봉할 필요 없이 용기 본체와 뚜껑의 단순 결합만으로 기밀성을 향상시키면서, 개봉 전 뚜껑이 의도치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밀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는,
주둥이부와, 상기 주둥이부의 외면 일 지점에서 돌출된 스토핑돌기를 구비한 용기 본체;
상기 주둥이부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용기 본체를 밀폐하되, 상면부의 내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주둥이부의 상단이 끼워지는 기밀홈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의 외면 일 지점에서 절취부로 연결되면서 돌출되고 상기 스토핑돌기에 걸려서 뚜껑이 개봉되지 않게 하는 잠금돌기를 구비한 뚜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상기 기밀홈은 상기 상면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외측 밀폐돌기와, 상기 외측 밀폐돌기와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 밀폐돌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상기 주둥이부는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감되는 첨단부를 포함하되, 상기 첨단부는 외측면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외측 경사면과 내측면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의 내측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밀폐돌기와 내측 밀폐돌기는 각각 상기 외측 경사면과 내측 경사면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에서,
상기 스토핑돌기는 기밀홈을 형성하는 받침부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돌기는 상기 기밀홈을 통과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외측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에 걸리는 탄성 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는,
뚜껑 결합 시 주둥이부의 상단이 뚜껑의 상면부 내측면에 형성된 기밀홈에 끼워지면서 기밀성을 확보함에 따라 별도의 패킹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조 단가를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잠금돌기와 스토핑돌기의 걸림 구조를 통해 뚜껑이 의도치 않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주둥이부의 상단이 외측 밀폐돌기와 내측 밀폐돌기 사이의 기밀홈으로 끼워져 내, 외부 2중의 밀봉 효과를 보장하면서,
첨단부의 외측면과 내측면, 그리고 외측 밀폐돌기와 내측 밀폐돌기의 비대칭 구조를 통해 김치 등의 발효 식품에 적합한 적정 수준의 기밀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잠금돌기가 스토핑돌기의 통과홈을 통과하여 탄성 걸림부가 통과홈의 받침부에 걸리게 하여 뚜껑의 조립을 쉽게 하면서 잠금 기능을 더욱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을 분해 상태로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변형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탈착형 스토핑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게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를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을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밀폐 용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 용기에 관한 것으로, 크게 내용물이 저장되는 용기 본체(10)와, 상기 용기 본체(10)를 밀봉하는 뚜껑(20)을 포함한다.
참고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해 내부 일부가 투영되는 형태를 함께 도시하였다.
다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주둥이부(11)와, 상기 주둥이부(11)의 외면 일 지점에서 돌출된 스토핑돌기(12)를 구비한 용기 본체(10);
상기 주둥이부(11)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용기 본체(10)를 밀폐하되, 상면부(21)의 내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주둥이부(11)의 상단이 끼워지는 기밀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23)의 외면 일 지점에서 절취부(241)로 연결되면서 돌출되고 상기 스토핑돌기(12)에 걸려서 뚜껑(20)이 개봉되지 않게 하는 잠금돌기(24)를 구비한 뚜껑(20);을 포함한다.
상기 용기 본체(10) 및 뚜껑(20)은 각종 플라스틱 재질의 합성수지가 사출 성형되어 구성된 것으로써, 그 구체적인 크기, 형상, 구조 등은 제한이 없이 저장되는 내용물의 종류나 특징 등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뚜껑(20)에 별도의 손잡이가 추가될 수도 있다.
기본적으로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단의 넥부를 지나(넥부가 없을 수도 있음)면서 그 너비가 좁아져 상기 주둥이부(11)가 연결되며,
상기 주둥이부(11)는 상면이 개구된 형태로써,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 본체(10)는 상기 주둥이부(11)의 하부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3)의 외측단 일 지점에 상기 스토핑돌기(12)가 돌출되어 구비된다.
상기 스토핑돌기(12)는 상기 플랜지부(13)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 돌출되면서 그 끝단에서 상부로 돌출하여 뚜껑(20)의 하측단 결합 높이까지 형성되어 있는 것을 그 기본으로 하며,
다만 도 3 내지 도 6과 같이 제2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고, 이와 관련해서는 후술한다.
아울러 상기 주둥이부(11)는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감되는 첨단부(111)를 포함하되, 상기 첨단부(111)는 외측면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외측 경사면(112)과 내측면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112)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의 내측 경사면(113)을 포함한다.
즉, 상기 주둥이부(11)는 주둥이부(11)의 단면이 상단으로 갈수록 좁아져 상기 첨단부(111)를 형성하되, 내측 경사면(113)의 상하 높이가 외측 경사면(112)의 상하 높이보다 더 높게 형성되어 외측 경사면(112)과 내측 경사면(113)이 서로 다른 비대칭형 구조를 갖는다.
상기 뚜껑(20)은 상면부(21)의 테두리를 따라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된 측벽부(23)가 스커트 형태로 하향 연결된 구조로써,
상기 측벽부(23)의 내주면에는 상기 주둥이부(11)에 나사 결합 가능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밀홈(22)은 상기 상면부(21)의 내측면 자체가 함몰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은 상기 상면부(21)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외측 밀폐돌기(221)와, 상기 외측 밀폐돌기(221)와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 밀폐돌기(222)를 추가하여, 내, 외측 밀폐돌기(222)(221)들 사이에 상기 기밀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외측 밀폐돌기(221) 및 내측 밀폐돌기(222)는 상기 주둥이부(11)의 단면 두께에 상응하는 너비로 이격하여 링 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외측 밀폐돌기(221)와 내측 밀폐돌기(222)는 각각 상기 외측 경사면(112)과 내측 경사면(113)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어 있다.
즉, 외측 밀폐돌기(221)의 높이(돌출된 상하 길이)가 내측 밀폐돌기(222)의 높이보다 더 낮다(짧다).
이에 상기 뚜껑(20)이 상기 주둥이부(11)에 조립될 때, 상기 내측 경사면(113)이 상기 내측 밀폐돌기(222)에 먼저 접촉하면서 내측 밀폐돌기(222)를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내측 경사면(113)과 내측 밀폐돌기(222)의 밀착으로 기밀성을 1차로 확보하고,
상기 뚜껑(20)이 상기 주둥이부(11)에 조여져 완전하게 결합될 때, 상기 외측 경사면(112)이 상기 외측 밀폐돌기(221)에 접촉하면서 외측 밀폐돌기(221)를 외측으로 탄성 변형시켜서 외측 경사면(112)과 내측 밀폐돌기(222)의 밀착으로 기밀성을 2차로 확보함과 동시에,
외측 밀폐돌기(221)와 내측 밀폐돌기(222) 사이에 주둥이부(11)의 첨단부(111)가 끼워져 구조적 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렇게 밀봉된 밀폐 용기는 상기 첨단부(111)와 외측 밀폐돌기(221) 및 내측 밀폐돌기(222)의 밀착 결합 구조를 통해 종래의 패킹에 상응하는 수준의 기밀성을 보장하며, 특히 고무나 실리콘과 달리 플라스틱 재질 간의 밀착으로 완전한 진공 밀폐가 이루어지지 않아 김치 등과 같은 발효 식품의 밀봉 포장에 더욱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잠금돌기(24)는 상기 측벽부(23)의 외면 일 지점 하측 끝단에 수평 방향으로 돌출된 것으로, 상기 스토핑돌기(12)의 위치 및 높이까지 돌출되어 있다.
상기 절취부(241)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대표적으로 측벽부(23)와 잠금돌기(24)의 연결부가 점선 형태로 일부 연결되고 나머지 일부는 파단된 형태,
또는 측벽부(23)와 잠금돌기(24)의 연결부 자체의 두께를 얇게 하는 형태 등,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상기 잠금돌기(24)가 상기 측벽부(23)에서 뜯어지지 않고 돌출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고,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였을 때만 상기 잠금돌기(24)가 상기 측벽부(23)에서 뜯어져 탈락할 수 있는 형태면 족하다.
특히 상기 잠금돌기(24)는 상기 뚜껑(20)을 상기 주둥이부(11)에 결합 완료하였을 때, 상기 스토핑돌기(12)의 좌우 양 측면 중, 상기 뚜껑(20)의 개봉 방향, 즉 시계 반대 방향에 대향하는 일면(도면 기준으로 좌측면)에 걸리게 되어 있어,
사용자가 뚜껑(20) 개봉을 위해 상기 잠금돌기(24)를 잡고 강제로 떼어내거나, 또는 뚜껑(20)을 개봉할 때의 압력으로 상기 잠금돌기(24)가 상기 스토핑돌기(12)에 걸려서 자동으로 뜯어지지 않는 이상,
상기 뚜껑(20)이 개봉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직접 개봉을 하지 않는 한 뚜껑(20)이 개봉되지 않아 밀폐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즉, 상기 스토핑돌기(12)와 잠금돌기(24)의 걸림 구조가 결합 완료된 뚜껑(20)에 대하여 일종의 잠금(LOCK)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제품의 포장 완료 후 출하 상태가 되면, 사용자가 뚜껑(20)을 직접 개봉하지 않는 이상 상기 뚜껑(20)은 개봉 방향으로 회전 자체를 할 수 없어 그대로 잠기게 되고,
이는 상기 주둥이부(11)에 대하여 상기 뚜껑(20)의 높이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함에 따라 상기 첨단부(111)와 기밀홈(22)의 밀착을 그대로 유지하게 하여, 뚜껑(20)의 미세 개봉으로 인한 기밀성 상실 등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제품의 취급 중 의도치 않게 뚜껑(20)이 조금 열리면, 그만큼 뚜껑(20)이 첨단부(111)에서 상승하여 이격됨에 따라 상기 기밀홈(22)에서 상기 주둥이부(11)의 첨단부(111)가 빠지면서 외측 밀폐돌기(221) 및 내측 밀폐돌기(222)와의 기밀성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바, 본 발명은 상기 스토핑돌기(12) 및 잠금돌기(24)의 걸림 구조를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한편 본 발명의 변형례로써,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핑돌기(12)는 통과홈(121)을 형성하는 받침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돌기(24)는 상기 통과홈(121)을 통과하는 몸체부(242)와, 상기 몸체부(242)에서 외측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122)에 걸리는 탄성 걸림부(243)를 포함한다.
상기 통과홈(121)은 스토핑돌기(12)의 상향 돌출부 내측 일부를 빈 공간으로 성형하여 형성되고,
이러한 통과홈(121)의 외측에 상기 받침부(122)가 돌출되어 있어, 상술한 기본 실시예에서의 스토핑돌기(12)의 기능을 상기 받침부(122)가 대신한다.
이때 상기 받침부(122)는 상기 뚜껑의 개봉 방향쪽 측면에 경사 안내면(12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부(242)는 상기 측벽부(23)와 평행하게 배열된 바(bar) 형태로써, 좌우 양 끝단의 내측면에 상기 절취부(241)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242)의 외측면에 상기 탄성 걸림부(243)가 쐐기 유사 형상으로 돌출되어 연결되어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242)는 상기 통과홈(1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 걸림부(243), 보다 엄밀하게는 탄성 걸림부(243)의 외측 끝단은 상기 받침부(122)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에 일반적인 방식으로 상기 뚜껑(2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둥이부(11)에 조립하면,
상기 몸체부(242)가 상기 통과홈(121)을 지날 때 상기 탄성 걸림부(243)가 경사 안내면(123)에 걸리면서 내측으로 탄성 변형이 이루어져 상기 통과홈(121)을 함께 지나게 되고,
이 상태로 뚜껑(2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탄성 걸림부(243)가 원상 복귀되면서 그 끝단이 상기 받침부(122)에 걸려서, 뚜껑(20)이 개봉 방향으로 회전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뚜껑(20)을 개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탄성 걸림부(243)가 상기 받침부(122)에 걸리면서 벌어짐에 따라, 상기 탄성 걸림부(243)가 상기 몸체부(242)를 외측으로 당겨서 절취부(241)가 끊김으로써, 뚜껑(20)을 개봉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뚜껑(20)을 플라스틱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해 상기 주둥이부(11)에 프레싱하여 억지 끼움하는 방식으로 조립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뚜껑(20)의 측벽부(23)의 플라스틱 자체의 탄성력을 이용한 억지 끼움 방식 또는 일반적인 뚜껑(20)의 나사 결합 방식을 채용하여 용기 본체(10)의 주둥이부(11)에 뚜껑(20)을 조립하였을 때, 뚜껑(20)의 최종 잠금 위치는 주둥이부(11)와 측벽부(23)에 형성된 나사산들의 맞물림 구조로 결정되는데, 이때 성형 중 가공 오차 등의 발생 이유로 상기 스토핑돌기(12)와 잠금돌기(24) 사이의 거리가 공차 이상 멀어짐에 따라 상기 뚜껑(20)이 스토핑돌기(12)의 잠금 영역 내에서 개봉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첨단부(111)와 기밀홈(22) 사이가 벌어져 기밀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스토핑돌기(12)를 구비한 탈착형 스토핑부재(12A)를 추가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한다.
먼저 상기 플랜지부(13)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착홈(131)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탈착형 스토핑부재(12A)는 상기 플랜지부(13)와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써, 외측에 상기 스토핑돌기(12)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핑돌기(12)의 내측으로 상하 이격하여 연장 연결되어 끼움홈(123)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부(124),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4)가 서로 마주보는 상하부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장착홈(131)에 끼워져 걸리는 결속돌기(125)를 포함한다.
상기 장착홈(131)들은 플랜지부(13)의 둘레 길이, 폭 너비 등을 감안하여 적정한 크기 및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탈착형 스토핑부재(12A)는 스토핑돌기(12)의 내측으로 한 쌍의 지지부(124)들이 'ㄷ'자형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123)의 높이는 상기 플랜지부(13)의 두께에 상응하게 형성된다.
이때 각 지지부(124)는 서로 마주보는 내측면에 각각 상기 결속돌기(125)가 돌출되어 있는데, 각 지지부(124)의 결속돌기(125)가 상하 동일선 상에 중첩되지 않도록 좌우로 서로 어긋나게 교차 배열되며, 각 결속돌기(125)의 돌출 높이는 상기 장착홈(131)의 깊이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각 결속돌기(125)의 선단부에 사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상기 뚜껑(20)을 결합한 후 완전하게 조인 상태에서, 상기 잠금돌기(24)의 위치를 확인 후 잠금돌기(24)의 우측에 가장 밀접하는(또는 상하 일부 겹치는) 장착홈(131)에 상기 탈착형 스토핑돌기(12)를 끼운다.
상기 탈착형 스토핑돌기(12)를 끼우면, 상기 결속돌기(125)들에 의해 상하 측 지지부(124)들이 벌어지면서 플랜지부(13)가 끼움홈(123)에 끼워진 후, 결속돌기(125)들이 상기 장착홈(131)으로 끼워져 걸려서 탈착형 스토핑부재(12A)의 장착이 완료된다.
이러한 탈착형 스토핑부재(12A)는 상기 뚜껑(20)의 잠금 위치를 감안하여 상기 스토핑돌기(12)(또는 받침부(122))가 잠금돌기(24)에 완전하게 밀착 또는 최대한 인접하게 할 수 있어, 스토핑돌기(12)와 잠금돌기(24) 사이의 이격으로 인한 뚜껑(20)의 미세 개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밀폐 용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10 : 용기 본체 11 : 주둥이부
12 : 스토핑돌기 13 : 플랜지부
20 : 뚜껑 21 : 상면부
22 : 기밀홈 23 : 측벽부
24 : 잠금돌기

Claims (4)

  1. 주둥이부(11)와, 상기 주둥이부(11)의 하부에 둘레 방향으로 형성된 플랜지부(1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플랜지부(13)의 외측단 일 지점에서 돌출된 스토핑돌기(12)를 구비한 용기 본체(10);
    상기 주둥이부(11)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용기 본체(10)를 밀폐하되, 상면부(21)의 내측면에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기 주둥이부(11)의 상단이 끼워지는 기밀홈(22)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부(23)의 외면 일 지점에서 절취부(241)로 연결되면서 돌출되고 상기 스토핑돌기(12)에 걸려서 뚜껑(20)이 개봉되지 않게 하는 잠금돌기(24)를 구비한 뚜껑(20);을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13)는 둘레 방향을 따라 상하 양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장착홈(131)들이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고,
    상기 용기 본체(10)는 상기 스토핑돌기(12)를 구비한 탈착형 스토핑부재(12A)를 포함하되,
    상기 탈착형 스토핑부재(12A)는 상기 플랜지부(13)와 분리된 별도의 부재로써, 외측에 상기 스토핑돌기(12)가 구비되고, 상기 스토핑돌기(12)의 내측으로 상하 이격하여 연장 연결되어 끼움홈(123)을 형성하는 한 쌍의 지지부(124), 상기 한 쌍의 지지부(124)가 서로 마주보는 상하부 내측면에서 각각 돌출되어 상기 장착홈(131)에 끼워져 걸리는 결속돌기(12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밀홈(22)은 상기 상면부(21)의 내측면에서 돌출된 외측 밀폐돌기(221)와, 상기 외측 밀폐돌기(221)와 소정 간격 이격된 내측 밀폐돌기(222)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둥이부(11)는 상단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감되는 첨단부(111)를 포함하되, 상기 첨단부(111)는 외측면이 내측으로 상향 경사진 외측 경사면(112)과 내측면이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되 상기 외측 경사면(112)의 높이보다 더 큰 높이의 내측 경사면(113)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 밀폐돌기(221)와 내측 밀폐돌기(222)는 각각 상기 외측 경사면(112)과 내측 경사면(113)에 대응하여 서로 다른 높이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토핑돌기(12)는 통과홈(121)을 형성하는 받침부(122)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돌기(24)는 상기 통과홈(121)을 통과하는 몸체부(242)와, 상기 몸체부(242)에서 외측 사선 방향으로 연결되어 상기 받침부(122)에 걸리는 탄성 걸림부(2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 용기.
KR1020230072856A 2023-06-07 2023-06-07 밀폐 용기 KR10259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856A KR102598783B1 (ko) 2023-06-07 2023-06-07 밀폐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2856A KR102598783B1 (ko) 2023-06-07 2023-06-07 밀폐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783B1 true KR102598783B1 (ko) 2023-11-07

Family

ID=88747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2856A KR102598783B1 (ko) 2023-06-07 2023-06-07 밀폐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7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559A (en) * 1990-02-01 1992-11-24 Owens-Illinois Closure Inc. Child resistant closure and package
US20060207960A1 (en) * 2003-07-22 2006-09-21 Barangua, S.L. Screw-on closure for a recipient
KR20120082563A (ko) * 2011-01-14 2012-07-24 최복순 밀폐뚜껑이 구비된 병
JP2014125250A (ja) * 2012-12-27 2014-07-07 Kao Corp キャップのシール構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65559A (en) * 1990-02-01 1992-11-24 Owens-Illinois Closure Inc. Child resistant closure and package
US20060207960A1 (en) * 2003-07-22 2006-09-21 Barangua, S.L. Screw-on closure for a recipient
KR20120082563A (ko) * 2011-01-14 2012-07-24 최복순 밀폐뚜껑이 구비된 병
JP2014125250A (ja) * 2012-12-27 2014-07-07 Kao Corp キャップのシール構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119015A1 (en) Container and lid with audible and tactile feedback
KR10118626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EP3055221B1 (en) Packaging article
KR101202811B1 (ko) 용기마개
US20140158687A1 (en) Moisture Retention Seal
JP6177791B2 (ja) 膜および膜を備える首部
RU2673619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крышки для контейнера
US10696456B2 (en) Cap assembly having integrated inner liner and shell
JPH0454113Y2 (ko)
KR102598783B1 (ko) 밀폐 용기
JP6932705B2 (ja) 樹脂製キャップ
JP5386398B2 (ja) 密閉容器
KR102189640B1 (ko)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KR20130001718A (ko) 밀폐용기용 뚜껑 조립체
KR102616502B1 (ko) 기밀성 및 결합성이 강화된 밀폐 용기 어셈블리
KR102181366B1 (ko) 밀폐용기
KR102620222B1 (ko) 리필이 용이한 내용물 용기
JP4494569B2 (ja) 容器と蓋の係止構造
GB2111470A (en) Containers
JP4267124B2 (ja) 樹脂製キャップ
KR200496582Y1 (ko) 용기
JP571197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及びキャップ付容器
JP7466827B2 (ja) 合成樹脂製容器蓋
KR20160002181U (ko) 포장용기 뚜껑
KR20240006793A (ko) 유아용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