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20029A -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20029A
KR20170020029A KR1020150114673A KR20150114673A KR20170020029A KR 20170020029 A KR20170020029 A KR 20170020029A KR 1020150114673 A KR1020150114673 A KR 1020150114673A KR 20150114673 A KR20150114673 A KR 20150114673A KR 20170020029 A KR20170020029 A KR 201700200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auxiliary
main
variable
ven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4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8056B1 (ko
Inventor
박해권
민병호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4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8056B1/ko
Priority to US15/205,605 priority patent/US9713996B2/en
Publication of KR201700200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00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8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8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9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ven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characterised by the inflation fluid source or means to control inflation fluid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 B60R2021/23308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compris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artments; comprising two or more bag-like members, one within the other the individual compartments defining the external shape of the b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60R21/2334Expansion control features
    • B60R21/2338Tethers
    • B60R2021/23386External tethe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Abstract

에어백 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에어백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어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부와,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하여 전개되는 에어백쿠션부를 포함하고, 에어백쿠션부는,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메인쿠션과, 메인쿠션에 연결되며, 메인쿠션의 내측으로 턱인(tuck in)되는 보조쿠션과, 설정 압력 이하에서 메인쿠션과 턱인된 보조쿠션을 연결하여 보조쿠션의 팽창을 제한하는 팽창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장치{AIRBAG APPARATUS}
본 발명은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에 장착되는 메인쿠션의 내부 압력을 조절하여 메인쿠션 등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 장치는 차량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의 일종으로,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의 팽창력을 이용하여 메인쿠션을 팽창 전개시킨다.
특히, 외장 에어백 장치의 경우, 차량이 장애물에 충돌하기 전에 차량 전방으로 메인쿠션을 전개하여 장애물과의 충돌에 의한 충격력을 흡수 및 완화시킨다.
종래의 외장 에어백 장치는 메인쿠션과 장애물 충격 시 메인쿠션 내부의 압력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메인쿠션 등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 기술은 등록특허공보 제10-1356155호(2014.01.20 등록, 발명의 명칭: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메인쿠션의 충돌 시 메인쿠션 내부 압력의 급격한 상승에 의하여 메인쿠션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며, 장애물 등과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차량에 구비되어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하여 전개되는 에어백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메인쿠션; 상기 메인쿠션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쿠션의 내측으로 턱인(tuck in)되는 보조쿠션; 및 설정 압력 이하에서 상기 메인쿠션과 턱인된 상기 보조쿠션을 연결하여 상기 보조쿠션의 팽창을 제한하는 팽창제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쿠션은, 상기 팽창제한부에 의한 팽창 제한이 해제되면,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되어, 상기 메인쿠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쿠션은,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쿠션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보조쿠션은, 상기 메인쿠션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팽창제한부는, 상기 메인쿠션 및 상기 보조쿠션에 각각 봉제 결합되는 테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팽창제한부는, 상기 메인쿠션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쿠션 또는 상기 보조쿠션과의 봉제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보조쿠션의 팽창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상기 보조쿠션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쿠션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보조쿠션에 구비되는 벤트홀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변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변홀부는, 상기 벤트홀을 덮도록 상기 보조쿠션에 결합되며, 상기 벤트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인 가변벤트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변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후순위로 결합될수록 상기 가변벤트홀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복수 개의 상기 가변홀부는, 상기 보조쿠션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보조쿠션 또는 이웃하는 상기 가변홀부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벤트홀이 개방되는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벤트홀과 상기 가변홀부는, 동심원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는 메인쿠션에 턱인된 보조쿠션이,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메인쿠션으로부터 돌출 팽창되어 메인쿠션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메인쿠션 내부의 급격한 압력 상승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 시 메인쿠션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 완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보조쿠션이 메인쿠션의 내측으로 턱인(tuck in)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서 메인쿠션이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서 메인쿠션 및 보조쿠션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전개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장착된 에어백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는 차량(10)의 범퍼(미도시) 등에 장착되어 차량(10)의 충돌 등의 비상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흡수하는 장치로써, 인플레이터부(100) 및 에어백쿠션부(200)를 포함한다.
인플레이터부(100)는 차량(10)에 구비되어 에어백쿠션부(200)의 내측으로 가스를 분사한다. 본 실시예에서 인플레이터부(100)는 차량(10)의 범퍼 등에 장착되며, 차량(10)의 충돌 등의 비상 시 제어부(미도시)에 의하여 제어되어 에어백쿠션부(200)의 내측으로 가스를 분사함으로써 에어백쿠션부(200)를 팽창, 전개한다.
에어백쿠션부(200)는 인플레이터부(100)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하여 전개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쿠션부(200)는 메인쿠션(210), 보조쿠션(230) 및 팽창제한부(250)를 포함한다.
메인쿠션(210)은 인플레이터부(100)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내측으로 유입되면 팽창 전개되며 외부의 충격에 의하여 압축 변형되면서 충격력을 흡수, 완충한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쿠션(210)의 내부는 세퍼레이터(213)에 의하여 복수 개의 챔버(211)로 구획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메인쿠션(210)은 세퍼레이터(213)에 의하여 형상 변형이 제한되므로, 충격에 의한 압축 시 메인쿠션(210)의 과도한 변형을 방지하며, 충돌 시 메인쿠션(210)에서 충격력을 흡수하는 성능을 확보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메인쿠션(210)은 세퍼레이터(213)에 홀이 형성되어 챔버(211) 상호 간에 가스의 이동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특정 챔버(211)에서의 급격한 압력 상승에 따른 파손을 방지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에서 보조쿠션이 메인쿠션의 내측으로 턱인(tuck in)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보조쿠션(230)은 메인쿠션(210)에 연결되며, 메인쿠션(210)의 내측으로 턱인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쿠션(230)은 메인쿠션(210) 내부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 이하인 경우 메인쿠션(210)의 내측으로 턱인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메인쿠션(210) 내부의 공간을 한정하여, 메인쿠션(210)의 신속한 팽창 전개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보조쿠션(230)은 메인쿠션(210)의 전개 또는, 장애물과의 충격에 의하여 메인쿠션(21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팽창되어, 메인쿠션(210)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이로써, 보조쿠션(230)은 메인쿠션(210)의 내부에 유입된 가스를 수용 및 배출하여 메인쿠션(2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쿠션(230)은 한 쌍이 구비되어 메인쿠션(210)의 양측 단부(도 2 기준 좌우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이에 따라 보조쿠션(230)은 메인쿠션(210) 내부의 압력 상승 시, 메인쿠션(210) 내부의 가스를 복수 개의 보조쿠션(230)에서 동시에 수용, 일부를 배출하여 메인쿠션(210) 내부의 압력을 신속하게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쿠션(230)은 메인쿠션(210)에 연결되며, 메인쿠션(210)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쿠션(230)은 메인쿠션(210)과 일체로서 형성되어 제작 공정 수를 줄이고, 내구도를 향상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보조쿠션(230)이 메인쿠션(210)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경우, 보조쿠션(230) 및 메인쿠션(210)을 포함하는 하나의 쿠션을 제작한 후, 해당 쿠션의 일부를 내측으로 턱인하는 간단한 공정을 통하여 메인쿠션(210) 및 보조쿠션(230)을 포함하는 에어백쿠션부(200)를 제작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서 메인쿠션이 팽창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3에서 메인쿠션 및 보조쿠션이 팽창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 팽창제한부(250)는 설정 압력 이하에서 메인쿠션(210)과 턱인된 보조쿠션(230)을 연결하여 보조쿠션(230)의 팽창을 제한한다.
본 실시예에서 팽창제한부(250)는 메인쿠션(210) 및 보조쿠션(230) 각각에 봉제 결합되어 턱인된 보조쿠션(230)의 팽창을 제한하는 테더로 예시된다.
팽창제한부(250)와 메인쿠션(210) 또는 보조쿠션(230)의 봉제 결합은 메인쿠션(210)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인 경우 해제되어 보조쿠션(1)의 팽창을 허용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장치(1)는 보조쿠션(230)에 벤트홀(233)이 형성되어, 보조쿠션(230) 내부의 가스가 배출될 수 있게 구비된다. 즉, 메인쿠션(210)에서 보조쿠션(230)으로 전달되는 가스는 보조쿠션(230)을 팽창시키고, 보조쿠션(230)을 팽창시킨 가스의 일부는 벤트홀(233)을 통하여 배출됨으로써, 보조쿠션(230) 내부의 압력을 조정하고, 보조쿠션(230)의 파손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장치(1)는 가변홀부(3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홀부(300)는 보조쿠션(230)에 결합되며, 보조쿠션(230) 내부의 압력에 따라 보조쿠션(230)에 구비되는 벤트홀(233)의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홀부(300)는 벤트홀(233)을 덮도록 보조쿠션(230)에 결합되며, 벤트홀(233)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인 가변벤트홀(310)이 관통되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장치(1)는 보조쿠션(230)의 내측 압력이 설정 압력보다 작은 경우에는 벤트홀(233)의 직경 대비 작은 직경인 가변벤트홀(310)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어, 보조쿠션(230)의 팽창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보조쿠션(23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이면, 가변홀부(300)가 팽창압에 의하여 탈거되고, 결국 벤트홀(233)을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는데, 이러한 벤트홀(233)은 가변벤트홀(310) 보다 직경이 크게 형성되므로, 보조쿠션(230) 내부의 가스를 신속하게 배출하여, 급격한 압력 상승에 따라 보조쿠션(23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홀부(300)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후순위로 결합될수록 가변벤트홀(310)의 직경이 작아지도록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 에어백 장치(1)는 보조쿠션(230)의 내부 압력 상승 정도에 따라, 후순위로 결합된 최외곽 가변홀부(300)부터 순차적으로 결합이 해제되면서 가변벤트홀(310)의 직경이 확장되므로, 복수의 압력구간에서 벤트홀(233)의 개방 정도를 달리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서 복수 개의 가변홀부(300)는 보조쿠션(230)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보조쿠션(230) 또는 이웃하는 가변홀부(300)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벤트홀(233)이 개방되는 정도를 증대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벤트홀(233)과 가변벤트홀(310)은 동심원이 되도록 구비되어, 벤트홀(233)을 통한 가스의 배출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가변홀부(300)에 작용하는 팽창력이 가변홀부(300)에 균일하게 작용하도록 하여, 가변홀부(300)가 설정 압력 이하에서 뜯기는 것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가 전개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의 전개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6 및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10)의 충돌 시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인플레이터부(100)가 메인쿠션(210) 내부로 가스를 분사한다. 메인쿠션(210) 내부로 유입되는 가스는 각각의 챔버(211)를 팽창, 전개한다.
메인쿠션(210)이 장애물 등과 충돌할 때, 특히 고속 충돌 시에는 메인쿠션(210) 내부의 압력이 급속하게 증가되며, 이러한 압력의 증가에 의한 메인쿠션(210)의 팽창은 팽창제한부(250)와 메인쿠션(210) 또는 팽창제한부(250)와 보조쿠션(230)의 봉제 결합을 해제시킨다.
보조쿠션(230)은 팽창제한부(250)에 의한 팽창제한이 해제되면, 팽창 전개되면서 메인쿠션(210) 내부의 가스를 수용, 일부를 배출하여 메인쿠션(210) 내부의 압력을 감소시킨다.
또한, 보조쿠션(230)에 형성된 벤트홀(233) 및 가변홀부(300)를 통하여 가스가 배출되면서 보조쿠션(230)과 메인쿠션(210) 내부의 압력이 조절된다.
특히, 가변홀부(300)는 보조쿠션(230) 내부의 압력에 따라 보조쿠션(230) 또는 이웃하는 가변홀부(300)에서 이탈되면서 벤트홀(233)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메인쿠션(210)의 팽창 및 충격흡수 성능을 유지함과 동시에, 메인쿠션(210) 및 보조쿠션(2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는 메인쿠션(210)에 턱인된 보조쿠션(230)이 팽창되면서 메인쿠션(210)의 내부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메인쿠션(210) 내부의 급격한 압력 상승을 방지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장치(1)는 차량(10)의 충돌 시 메인쿠션(210) 등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력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에어백 장치 10: 차량
100: 인플레이터부 200: 에어백쿠션부
210: 메인쿠션 211: 챔버
213: 세퍼레이터 230: 보조쿠션
233: 벤트홀 250: 팽창제한부
300: 가변홀부 310: 가변벤트홀

Claims (11)

  1. 차량에 구비되어 가스를 분출하는 인플레이터부; 및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하여 전개되는 에어백쿠션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쿠션부는,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가 유입되는 메인쿠션;
    상기 메인쿠션에 연결되며, 상기 메인쿠션의 내측으로 턱인(tuck in)되는 보조쿠션; 및
    설정 압력 이하에서 상기 메인쿠션과 턱인된 상기 보조쿠션을 연결하여 상기 보조쿠션의 팽창을 제한하는 팽창제한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쿠션은,
    상기 팽창제한부에 의한 팽창 제한이 해제되면, 상기 인플레이터부에서 분사되는 가스에 의하여 팽창되어, 상기 메인쿠션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쿠션은,
    한 쌍이 구비되어 상기 메인쿠션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쿠션은,
    상기 메인쿠션과 일체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제한부는,
    상기 메인쿠션 및 상기 보조쿠션에 각각 봉제 결합되는 테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제한부는,
    상기 메인쿠션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메인쿠션 또는 상기 보조쿠션과의 봉제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보조쿠션의 팽창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쿠션에 결합되며, 상기 보조쿠션 내부의 압력에 따라 상기 보조쿠션에 구비되는 벤트홀이 개방되는 정도를 조절하는 가변홀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홀부는,
    상기 벤트홀을 덮도록 상기 보조쿠션에 결합되며, 상기 벤트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인 가변벤트홀이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홀부는,
    복수 개가 구비되어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후순위로 결합될수록 상기 가변벤트홀의 직경이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가변홀부는,
    상기 보조쿠션 내부의 압력이 설정 압력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보조쿠션 또는 이웃하는 상기 가변홀부와의 결합이 해제되어 상기 벤트홀이 개방되는 정도를 증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벤트홀과 상기 가변홀부는, 동심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백 장치.















KR1020150114673A 2015-08-13 2015-08-13 에어백 장치 KR102508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673A KR102508056B1 (ko) 2015-08-13 2015-08-13 에어백 장치
US15/205,605 US9713996B2 (en) 2015-08-13 2016-07-08 Airba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4673A KR102508056B1 (ko) 2015-08-13 2015-08-13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0029A true KR20170020029A (ko) 2017-02-22
KR102508056B1 KR102508056B1 (ko) 2023-03-09

Family

ID=57994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4673A KR102508056B1 (ko) 2015-08-13 2015-08-13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713996B2 (ko)
KR (1) KR10250805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788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압 성장 메커니즘을 이용한 스마트 슬링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7445B1 (ko) * 2014-11-27 2016-08-11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차량용 에어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625A (ko) * 2004-04-19 2005-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백튜브 구조
JP2010023592A (ja) * 2008-07-16 2010-02-0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KR20120058024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쉴드 외장 에어백 장치
JP4992853B2 (ja) * 2008-08-06 2012-08-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101284312B1 (ko) * 2011-11-15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쿠션
KR20140072368A (ko) * 2012-12-03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외장에어백용 에어백쿠션의 벤트커버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101287A1 (de) * 1991-01-17 1992-07-30 Trw Repa Gmbh Aufblasbarer gassack fuer ein rueckhaltesystem in fahrzeugen
US5492363A (en) * 1994-09-07 1996-02-20 Takata, Inc. Flow regulating air bag valve
US6152481A (en) * 1998-08-03 2000-11-28 Delphi Technologies, Inc. Side restraint assembly
DE19932696C1 (de) * 1999-07-15 2000-09-07 Daimler Chrysler Ag Insassenschutzvorrichtung mit zumindest zwei mit Gas auffüllbaren Airbags
US6505853B2 (en) * 2001-03-07 2003-01-14 Trw Inc. Inflatable curtain with positioning device
US7188862B2 (en) * 2004-03-17 2007-03-13 Delphi Technologie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flatable cushion
JP2003327184A (ja) * 2002-05-15 2003-11-19 Takata Corp オートバイ用エアバッグ装置、オートバイ用エアバッグ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エアバッグ装置付オートバイ
JP4274742B2 (ja) * 2002-05-22 2009-06-1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US7121584B2 (en) * 2003-01-24 2006-10-17 Takata Corporation Airbag and airbag apparatus
DE10341368A1 (de) * 2003-09-03 2005-04-07 Takata-Petri Ag Sicherheitsein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zum Schutz von Fußgängern und Radfahrern
GB2421932A (en) * 2005-01-05 2006-07-12 Autoliv Dev An air bag vent aperture of variable size
JP4923559B2 (ja) * 2005-02-28 2012-04-25 タカタ株式会社 乗員拘束装置
DE102006011058A1 (de) * 2005-08-25 2007-03-15 Takata-Petri Ag Fahrer- oder Beifahrerairbagmodul mit einem Gassack
US7740274B2 (en) * 2006-04-05 2010-06-22 Zodiac Automotive Us Inc. Airbag vent
JP4337850B2 (ja) * 2006-08-25 2009-09-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7748738B2 (en) * 2006-09-27 2010-07-06 Autoliv Asp, Inc. Airbag cushion with adaptive diffuser for out-of-position conditions
JP4231520B2 (ja) * 2006-11-24 2009-03-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コラム付けニーエアバッグ装置
JP2009040206A (ja) * 2007-08-08 2009-02-26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KR101047561B1 (ko) * 2008-09-09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치
EP2319734B1 (en) * 2009-11-04 2014-10-22 Autoliv Development AB A Safety Arrangement
US8596673B2 (en) * 2011-01-31 2013-12-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nti-ejection inflatable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5572597B2 (ja) * 2011-06-30 2014-08-1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乗員保護装置
US8500165B2 (en) * 2011-09-23 2013-08-06 Hyundai Mobis Co., Ltd Passenger airbag apparatus
EP2599669B1 (en) * 2011-11-29 2015-07-22 Volvo Car Corporation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KR101356155B1 (ko) 2011-12-09 2014-01-2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KR20130065137A (ko) * 2011-12-09 2013-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
US8789846B2 (en) * 2012-03-07 2014-07-29 Tk Holdings Inc. Airbag device
US9120458B2 (en) * 2012-06-01 2015-09-01 Manufacturas Goma, S.L. Airbag with adjustable safety valve
US8622417B1 (en) * 2012-07-05 2014-01-07 Autoliv Asp, Inc. Airbag with low-volume structure
JP5637192B2 (ja) * 2012-08-10 2014-12-1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US9114776B2 (en) * 2013-05-09 2015-08-2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and an airbag assembly for the vehicle
US9376084B2 (en) * 2013-12-07 2016-06-28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s
JP5942969B2 (ja) * 2013-12-12 2016-06-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前席エアバッグシステム
EP2894067B1 (en) * 2013-12-17 2019-02-27 Dalphi Metal España, S.A. External airbag system
EP3428017B1 (en) * 2014-02-11 2021-07-07 Key Safety Systems, Inc. Pedestrian airbag cushion assembly with one-way check valves
DE102014003234A1 (de) * 2014-03-05 2015-03-12 Autoliv Development Ab Airbagsystem und Fahrzeugsitz mit einem solchen Airbagsystem
US9340176B2 (en) * 2014-03-13 2016-05-1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enger airbag with secondary chamber
EP3489094B1 (en) * 2014-03-31 2021-07-07 Autoliv Development AB Vehicular airbag device
US9327674B2 (en) * 2014-04-02 2016-05-0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Passive air bag vent with guide
JP6412923B2 (ja) * 2014-04-11 2018-10-2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エアバッグ装置
US9580039B2 (en) * 2014-04-22 2017-02-28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 with unidirectional vent
US9969349B2 (en) * 2014-04-24 2018-05-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Passenger airbag with extended base
US9561774B2 (en) * 2014-04-24 2017-02-0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Winged driver airbag
KR102171930B1 (ko) * 2014-05-08 2020-10-3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에어백 모듈
JP6299477B2 (ja) * 2014-06-23 2018-03-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6007213B2 (ja) * 2014-08-06 2016-10-1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車両の乗員保護装置
JP2016040155A (ja) * 2014-08-12 2016-03-24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365327B2 (ja) * 2014-08-12 2018-08-01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9555762B2 (en) * 2014-08-29 2017-01-31 Nihon Plast Co., Ltd. Airbag device for motor vehicle
JP6303935B2 (ja) * 2014-09-08 2018-04-04 豊田合成株式会社 下肢保護用エアバッグ
KR101610037B1 (ko) * 2014-10-02 2016-04-07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장치
US9272684B1 (en) * 2014-10-10 2016-03-01 Autoliv Asp, Inc. Multi-chamber airbag with pinch valve
KR101664588B1 (ko) * 2014-11-24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조수석 에어백 장치
US9187055B1 (en) * 2014-12-02 2015-11-17 Toyoda Gosei Co., Ltd. Vehicle airbag
JP6398667B2 (ja) * 2014-12-03 2018-10-03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331146B2 (ja) * 2014-12-05 2018-05-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JP6337782B2 (ja) * 2015-01-20 2018-06-06 豊田合成株式会社 助手席用エアバッグ装置
US9499118B2 (en) * 2015-04-23 2016-11-2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irbag for oblique vehicle impacts
US9533652B1 (en) * 2015-07-14 2017-01-03 Autoliv Asp, Inc. One-directional valve for multi-chamber airbags
JP6361600B2 (ja) * 2015-07-17 2018-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01625A (ko) * 2004-04-19 2005-10-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에어백튜브 구조
JP2010023592A (ja) * 2008-07-16 2010-02-04 Toyoda Gosei Co Ltd エアバッグ装置
JP4992853B2 (ja) * 2008-08-06 2012-08-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バッグ装置
KR20120058024A (ko) * 2010-11-29 2012-06-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더블쉴드 외장 에어백 장치
KR101284312B1 (ko) * 2011-11-15 2013-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백쿠션
KR20140072368A (ko) * 2012-12-03 2014-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외장에어백용 에어백쿠션의 벤트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2788A (ko) * 2019-12-26 2021-07-0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압 성장 메커니즘을 이용한 스마트 슬링 장치
US11432979B2 (en) 2019-12-26 2022-09-06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Smart sling device using pneumatically driven growth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8056B1 (ko) 2023-03-09
US9713996B2 (en) 2017-07-25
US20170043734A1 (en) 201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91276B1 (ko) 에어백 장치
KR101406409B1 (ko) 사이드에어백
CN105035016A (zh) 翼形驾驶员安全气囊
JP2000052913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090064182A (ko) 가변 인너벤트홀을 구비한 에어백쿠션 구조
US9296359B2 (en) Airbag with multiple layers of cushioning effect
KR20160035344A (ko) 차량의 에어백
KR101542851B1 (ko) 차량의 에어백
JP2010234881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170020029A (ko) 에어백 장치
KR102182901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100520755B1 (ko) 다중 챔버형 에어백
KR20150134790A (ko) 에어백 모듈
US9878685B2 (en) Airbag apparatus
KR100857353B1 (ko) 전개거동 제어식 에어백 장치
KR101905874B1 (ko)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1283695B1 (ko) 에어백 쿠션
KR102501381B1 (ko) 에어백 장치
JP2011207414A (ja) 運転席用エアバッグ装置
JP6037110B2 (ja)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KR100422536B1 (ko) 차량용 다단팽창 에어백
KR101594772B1 (ko) 에어백장치
KR102192535B1 (ko) 자동차의 운전석 에어백 장치
KR102192258B1 (ko) 동승석 에어백 장치
KR20080050778A (ko) 더미 시험용 가변 벤트 홀 타입 에어백 쿠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