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56155B1 -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56155B1
KR101356155B1 KR1020110131838A KR20110131838A KR101356155B1 KR 101356155 B1 KR101356155 B1 KR 101356155B1 KR 1020110131838 A KR1020110131838 A KR 1020110131838A KR 20110131838 A KR20110131838 A KR 20110131838A KR 101356155 B1 KR101356155 B1 KR 1013561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ide
vehicle
exterior
exterior airbag
m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5116A (ko
Inventor
김용선
이언구
이승훈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31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6155B1/ko
Priority to US13/673,746 priority patent/US8801035B2/en
Priority to DE102012110945.1A priority patent/DE102012110945B4/de
Priority to CN201210482994.6A priority patent/CN103158653B/zh
Publication of KR201300651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51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61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61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1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 B60R19/20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 B60R19/205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Means within the bumper to absorb impact containing mainly gas or liquid, e.g. inflatable inflatable in the direction of an obstacle upon impending impact, e.g. using ai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vehicle side panels, e.g.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체의 측면 하부에 실사이드패널이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실사이드패널의 일부가 커버되도록 실사이드몰딩이 설치되는 실사이드유닛; 및 상기 실사이드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장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실사이드몰딩의 외측으로 외장에어백쿠션이 전개되도록 하는 외장에어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APPARATUS FOR SPREAD AIR BAG EXTERIOR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부에 대형의 외장에어백모듈을 설치하여, 충돌시 충격력을 감소시키고, 실제 차량에 외장에어백의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백은 차량의 충돌시 충격으로부터 승객을 보호하는 장치로, 센서에 의해 충돌이 감지되면, 인플레이터를 통해 가스를 빠르게 공급하여 에어백쿠션이 순간적으로 전개됨으로써, 자동차에 탑승한 승객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같은 에어백은 승객의 전방이나 측방 위치에서 전개될 수 있도록 차실 내측으로 설치되는 것이 보통인데, 최근에는 차량의 충돌 사고에 따른 충격력 감소 효율을 더욱 배가할 수 있도록 차량 외부에서 전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외장에어백에 대한 개발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에어백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차량의 도어패널(1) 중간에 외장에어백모듈(2)이 내장되며, 상기 외장에어백모듈(2)은 차량의 충돌 직전에 이를 센싱하여 전개가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같은, 외장에어백모듈(2)에서의 외장에어백쿠션은 충돌하는 차량과 직접적으로 닿게 되는 것으로써, 중량의 차량과의 충돌에서 외장에어백이 완충작용을 하기 위해서는 실내에 사용되는 통상의 에어백보다 월등하게 높은 가스 압력과 크기를 갖추어야 한다.
즉, 기존의 실내 에어백의 전개시 공급되는 가스 압력이 200kpa 정도이고, 에어백쿠션의 전개된 부피가 60리터를 수용하는 정도의 크기라면, 외장에어백은 가스 압력이 4000kpa에 이르고, 에어백쿠션의 부피는 대략 600리터를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되어 대형화를 이루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은 외장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에 대한 구성이 미흡할 뿐만 아니라, 실제 차량에 적용시 도어패널의 내부공간이 협소하여 대형의 외장에어백모듈을 내장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외장에어백쿠션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도어패널 외측에 개폐 또는 찢어짐이 가능한 취약부의 구성이 별도로 마련되어야 하는데, 이는 도어패널 자체의 구조를 변경해야 함으로써, 차체의 내구성은 물론 디자인 측면에서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충돌 직전에 차량의 측면에 대형 크기의 외장에어백쿠션이 전개되어, 승객의 상해 위험을 감소하도록 한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부에 대형의 외장에어백모듈 설치 공간을 마련하여, 실제 양산 차량에 외장에어백의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하도록 한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체의 측면 하부에 실사이드패널이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실사이드패널의 일부가 커버되도록 실사이드몰딩이 설치되는 실사이드유닛; 및 상기 실사이드유닛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장에어백쿠션의 전개시 실사이드몰딩의 외측으로 외장에어백쿠션이 전개되도록 하는 외장에어백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외장에어백모듈은 실사이드패널과 실사이드몰딩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사이드몰딩과 마주하는 실사이드패널의 외형면 일부에 설치홈부가 마련되어, 설치홈부 내부에 외장에어백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실사이드몰딩의 내측면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가이드편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가이드편이 외장에어백모듈의 상단 및 하단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실사이드몰딩의 내측면에 취약부가 형성되어, 취약부를 통해 외장에어백쿠션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약부는 테어(tear)라인일 수 있다.
상기 실사이드패널에 고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에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실사이드몰딩에 쐐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외장에어백모듈은, 실사이드몰딩 측으로 전개될 수 있게 마련된 외장에어백쿠션; 상기 외장에어백쿠션과 연결되며, 외장에어백쿠션 내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 및 실사이드패널에 형성된 설치홈부에 고정되며, 실사이드몰딩 측으로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측에 고정링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링에 인플레이터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한 리테이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직전에 차량의 측면에 대형 크기의 외장에어백쿠션이 전개됨으로써, 외장에어백쿠션이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실사이드유닛 내부에 조성된 여유 공간에 외장에어백모듈이 장착됨으로써, 실제 차량에서 외장에어백모듈의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한 바, 차량의 안전성과 상품성을 가일층 높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외장에어백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에어백 장착장치가 설치된 차량에서의 외장에어백쿠션의 전개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에어백 장착장치의 분리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외장에어백 장착장치의 단면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실사이드패널과 실사이드몰딩의 결합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에어백모듈의 분리된 형상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에어백이 장착된 차량과 미장착된 차량의 충돌에 따른 차체 변형량 결과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외장에어백모듈이 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전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8을 통해 도시된 본 발명의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는, 차체의 측면 하부에 실사이드패널(110)이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실사이드패널(110)의 일부가 커버되도록 실사이드몰딩(120)이 설치되는 실사이드유닛(100)과, 상기 실사이드유닛(100)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장에어백쿠션(210)의 전개시 실사이드몰딩(120)의 외측으로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전개되도록 하는 외장에어백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실사이드유닛(100) 내부에 마련된 여유공간에 대형의 크기와 구조를 갖는 외장에어백모듈(200)이 설치됨으로써, 실제 양산되는 차량에 외장에어백모듈(200)의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하여, 차량의 충돌에 따른 충격력 감소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 및 도 4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외장에어백모듈(200)은 실사이드패널(110)과 실사이드몰딩(120)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사이드몰딩(120)과 마주하는 실사이드패널(110)의 외형면 일부에 설치홈부(112)가 마련되어, 설치홈부(112) 내부에 외장에어백모듈(20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사이드패널(110)은 도어패널(130)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실사이드이너패널(110a)과 실사이드아우터패널(110b)로 나뉠 수 있게 된다. 이에, 상기 실사이드이너패널(110a)은 플로어패널(140)에 고정되며, 상기 실사이드아우터패널(110b)은 실사이드이너패널(110a)의 바깥쪽에 고정되어 실사이드아우터패널(110b)의 외형면 중 실사이드몰딩(120)과 마주하는 일부면에 설치홈부(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설치홈부(112)는 실사이드이너패널(110a) 측으로 돌출되어 내측면이 함몰된 형태로 형성되며, 설치홈부(112)의 내부 공간은 적어도 외장에어백모듈(20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실사이드아우터패널(110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홈부(112)의 공간이 길게 형성됨으로써, 대형 크기의 외장에어백모듈(200)을 설치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마련될 수 있게 된다.
도 4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사이드몰딩(120)의 내측면 상부 및 하부에 지지가이드편(122)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가이드편(122)이 외장에어백모듈(200)의 상단 및 하단 부분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전개되는 경우, 초기 전개시에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실사이드몰딩(120)을 뚫고 나오게 되는데, 이때 외장에어백쿠션(210)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지지가이드편(122)이 지지됨으로써,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실사이드몰딩(120)의 전면부를 향해 전개되도록 안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평상시에는 하부에 마련된 지지가이드편(122)이 외장에어백모듈(200)을 하부에서 지지하게 됨으로써, 외장에어백쿠션(210)의 전개시에 전개작용이 설정된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설계할 수 있게 된다.
도 3과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사이드몰딩(120)의 내측면에 취약부(126)가 형성되어, 취약부(126)를 통해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전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취약부(126)의 구성은 적절하게는 테어라인일 수 있다. 예시로써, 외장에어백쿠션(210)의 전개시 테어라인 부위가 찢어지게 되면서, 그 찢어진 테어라인 부분을 통해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전개될 수 있게 된다.
도 5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사이드패널(110)에 고정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14)에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실사이드몰딩(120)에 쐐기부(124)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실사이드몰딩(120)의 취약부(126)를 뚫고 전개됨으로써, 실사이드몰딩(120)은 실사이드아우터패널(110b)에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 실사이드몰딩(120)에 마련된 쐐기부(124)가 실사이드아우터패널(110b)에 형성된 고정홀(114)에 끼워져 고정됨으로써, 실사이드몰딩(120)의 결합력을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쐐기부(124)와 고정홀(114)은 견고한 결합력 유지를 위해 각각 다수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또한 상기 쐐기부(124)는 고정클립의 형태이거나, 혹은 후크의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6과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외장에어백모듈(200)은, 상기 외장에어백모듈(200)은, 실사이드몰딩(120) 측으로 전개될 수 있게 마련된 외장에어백쿠션(210)과, 상기 외장에어백쿠션(210)과 연결되며, 외장에어백쿠션(210) 내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220)와, 실사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설치홈부(112)에 고정되며, 실사이드몰딩(120) 측이 개방 형성되고, 일부에 고정링(232)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링(232)에 인플레이터(220)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한 리테이너(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플레이터(220)는 설치홈부(112)를 따라 길게 형성되는 바, 고정링(232)이 복수 마련되어 인플레이터(220)가 리테이너(230)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리테이너(230)의 후면에는 복수의 브래킷(234)이 고정되며, 상기 브래킷(234)은 볼팅을 통해 설치홈부(112)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한 실사이드아우터패널(110b)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즉, 외장에어백쿠션(210)과 인플레이터(220)가 리테이너(230)에 결합되어 하나의 외장에어백모듈(200)로 설치되고, 상기 외장에어백모듈(200)이 볼팅방식을 통해 실사이드패널(110)에 고정 설치됨으로써, 외장에어백모듈(200)의 구조를 단순화하는 것은 물론, 외장에어백모듈(200)를 차량 내부에 간편하게 내장 설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에 설치되는 외장에어백모듈(200)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도 8과 같이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에도 본 발명의 외장에어백모듈(200)의 구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차량의 측면 충돌 직전에 외장에어백모듈(200)에 전개 신호가 주어지면, 인플레이터(220)에서 외장에어백쿠션(210) 내에 가스를 공급하여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신속하게 부풀어 오르게 된다.
이때, 외장에어백모듈(200)은 실사이드패널(110)과 실사이드몰딩(120) 사이에 설치됨으로써,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실사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취약부(126)가 찢어지게 되면서 차량의 측면 부분에 도 2와 같이 대형 크기의 외장에어백쿠션(210)을 전개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 충돌 직전에 차량의 측면에 대형 크기의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전개됨으로써,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충돌시 발생되는 충돌 에너지를 흡수하여 충격력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해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시키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실사이드유닛(100) 내부에 조성된 여유 공간에 외장에어백모듈(200)이 장착됨으로써, 실제 차량에서 외장에어백모듈(200)의 설치 및 적용이 가능하여 차량의 안전성과 상품성을 가일층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외장에어백이 장착된 차량과 외장에어백이 장착되지 않은 차량의 충돌 후 차체 변형량을 나타낸 것이다.
즉,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충돌 에너지를 상당 부분 흡수하게 됨에 따라 차체 변형 길이가 238㎜에서 113㎜로 줄어들게 되어 외장에어백이 미장착된 차량과 대비할 때 차체 변형량이 53% 감소하게 되었고, 승객 생존 공간은 105㎜에서 230㎜로 늘어나게 되어 119% 증가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승객의 상해 위험이 크게 감소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실사이드유닛 110 : 실사이드패널
110a : 실사이드이너패널 110b : 실사이드아우터패널
112 : 설치홈부 114 : 고정홀
120 : 실사이드몰딩 122 : 지지가이드편
124 : 쐐기부 126 : 취약부
200 : 외장에어백모듈 210 : 외장에어백쿠션
220 : 인플레이터 230 : 리테이너
232 : 고정링

Claims (8)

  1. 차체의 측면 하부에 실사이드패널(110)이 설치되며, 외부로 노출되는 실사이드패널(110)의 일부가 커버되도록 실사이드몰딩(120)이 설치되는 실사이드유닛(100); 및
    상기 실사이드유닛(100)의 내부에 마련되며, 외장에어백쿠션(210)의 전개시 실사이드몰딩(120)의 외측으로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전개되도록 하는 외장에어백모듈(20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외장에어백모듈(200)은 실사이드패널(110)과 실사이드몰딩(120)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실사이드몰딩(120)과 마주하는 실사이드패널(110)의 외형면 일부에 설치홈부(112)가 마련되어, 설치홈부(112) 내부에 외장에어백모듈(200)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사이드몰딩(120)의 내측면 상부 및 하부에는 지지가이드편(122)이 돌출 형성되어, 지지가이드편(122)이 외장에어백모듈(200)의 상단 및 하단 부분에 위치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사이드몰딩(120)의 내측면에 취약부(126)가 형성되어, 취약부(126)를 통해 외장에어백쿠션(210)이 전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취약부(126)는 테어(tear)라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실사이드패널(110)에 고정홀(11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홀(114)에 대응하여 체결되도록 실사이드몰딩(120)에 쐐기부(12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8.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외장에어백모듈(200)은,
    실사이드몰딩(120) 측으로 전개될 수 있게 마련된 외장에어백쿠션(210);
    상기 외장에어백쿠션(210)과 연결되며, 외장에어백쿠션(210) 내에 가스를 주입하는 인플레이터(220); 및
    실사이드패널(110)에 형성된 설치홈부(112)에 고정되며, 실사이드몰딩(120) 측으로 개방 형성되고, 개방된 측에 고정링(232)이 마련되어 상기 고정링(232)에 인플레이터(220)가 끼워져 설치되도록 한 리테이너(2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KR1020110131838A 2011-12-09 2011-12-09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KR1013561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38A KR101356155B1 (ko) 2011-12-09 2011-12-09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US13/673,746 US8801035B2 (en) 2011-12-09 2012-11-09 Mounting apparatus for an external airbag of a vehicle
DE102012110945.1A DE102012110945B4 (de) 2011-12-09 2012-11-14 Montagevorrichtung für ein Außenairbagkissen eines Fahrzeuges
CN201210482994.6A CN103158653B (zh) 2011-12-09 2012-11-23 用于车辆的外部安全气囊垫的安装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1838A KR101356155B1 (ko) 2011-12-09 2011-12-09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5116A KR20130065116A (ko) 2013-06-19
KR101356155B1 true KR101356155B1 (ko) 2014-01-29

Family

ID=48464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838A KR101356155B1 (ko) 2011-12-09 2011-12-09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01035B2 (ko)
KR (1) KR101356155B1 (ko)
CN (1) CN103158653B (ko)
DE (1) DE102012110945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3996B2 (en) 2015-08-13 2017-07-25 Hyundai Mobis Co., Ltd. Airbag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94067B1 (en) * 2013-12-17 2019-02-27 Dalphi Metal España, S.A. External airbag system
GB2515894A (en) * 2014-05-19 2015-01-07 Daimler Ag Airbag system for a vehicle
CN104859573A (zh) * 2015-05-20 2015-08-26 浙江吉利汽车研究院有限公司 一种汽车追尾保护的方法和装置
US9849852B1 (en) * 2015-09-04 2017-12-26 Waymo Llc Intelligent deployment of safety mechanisms for autonomous vehicles
US9802568B1 (en) 2015-09-04 2017-10-31 Waymo Llc Interlocking vehicle airbags
US9817397B1 (en) 2015-09-04 2017-11-14 Waymo Llc Active safety mechanisms for an autonomous vehicle
JP6740168B2 (ja) * 2016-12-08 2020-08-1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側部構造
US10434970B2 (en) 2016-12-08 2019-10-08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Vehicle side section structure
DE102018208562A1 (de) * 2018-05-30 2019-12-0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US11203318B2 (en) 2018-06-18 2021-12-21 Waymo Llc Airbag extension system
US11274791B2 (en) * 2019-09-12 2022-03-15 Michael Francis Pelc Vehicular fluid capture system
US11072307B1 (en) 2020-01-23 2021-07-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ernal side airbag
JP2023039538A (ja) * 2021-09-09 2023-03-22 株式会社Subaru 歩行者保護エアバッグ装置
JP2023077045A (ja) * 2021-11-24 2023-06-05 株式会社Subaru 衝突被害軽減装置
JP2023077038A (ja) * 2021-11-24 2023-06-05 株式会社Subaru エアバッグ装置
US11945295B2 (en) * 2022-02-18 2024-04-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lectric-vehicle battery restrai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3748A1 (en) 2001-12-06 2003-07-0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External air bag occupant protection system
EP2108547A1 (en) * 2008-04-11 2009-10-14 Tugrul Fadillioglu External airbag device disposed within impact absorbing and distributing panels in vehicle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56790A (en) * 1970-10-12 1972-04-18 William H Nienstedt Vehicle pre-loaded impact-cushioning device
US3708194A (en) * 1971-05-24 1973-01-02 A Amit Vehicle safety apparatus
US4930823A (en) * 1989-07-19 1990-06-05 David Rivera Vehicle bumper
DE4037485A1 (de) 1990-11-24 1992-05-27 Deutsche Forsch Luft Raumfahrt Sicherheitsfahrzeugzelle
JP3993253B2 (ja) * 1994-05-23 2007-10-17 オートモーティブ・テクノロジーズ・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ク. 予測センサを有する側部衝撃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US5646613A (en) * 1996-05-20 1997-07-08 Cho; Myungeun System for minimizing automobile collision damage
US6106038A (en) * 1996-09-07 2000-08-22 Dreher; Peter A. System for collision damage reduction
JP3711847B2 (ja) * 2000-07-27 2005-11-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US6497302B2 (en) * 2000-12-19 2002-12-24 Delphi Technologies, Inc. Scuttle area air bag for pedestrian protection
US6923483B2 (en) * 2001-01-11 2005-08-02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Bumper airbag and system
JP2003095044A (ja) * 2001-09-06 2003-04-03 Takata Corp 外面展開型エアバッグ装置
JP3791379B2 (ja) * 2001-10-02 2006-06-2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フードエアバッグ装置
US7073619B2 (en) * 2001-12-19 2006-07-11 Universal Propolusion Company Vehicle frontal airbag system
DE10233593A1 (de) * 2002-07-19 2004-02-19 Takata-Petri Ag Vorrichtung zum Schutz einer sich im Außenbereich eines Kraftfahrzeugs befindlichen Person
JP3975881B2 (ja) * 2002-10-18 2007-09-12 豊田合成株式会社 歩行者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US7232001B2 (en) * 2004-08-24 2007-06-19 Sam Hakki Collision air bag and flotation system
JP2006240370A (ja) * 2005-03-01 2006-09-14 Takata Corp エアバッグ及びエアバッグ装置
DE102005023490A1 (de) 2005-05-17 2006-11-23 Takata-Petri (Ulm) Gmbh Airbag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US7866250B2 (en) * 2006-02-09 2011-01-11 Foster-Miller, Inc. Vehicle protection system
EP2141064B1 (en) 2007-04-20 2011-03-09 Honda Motor Co., Ltd. Vehicle floor structure
KR101047561B1 (ko) * 2008-09-09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치
KR101033790B1 (ko) * 2008-12-04 2011-05-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 에어백 시스템
KR101119471B1 (ko) 2010-05-31 2012-02-22 주식회사 뉴파워 프라즈마 다중 분할 전극 세트를 위한 급전 장치
KR101219708B1 (ko) 2011-06-17 2013-01-2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외장 에어백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53748A1 (en) 2001-12-06 2003-07-03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External air bag occupant protection system
EP2108547A1 (en) * 2008-04-11 2009-10-14 Tugrul Fadillioglu External airbag device disposed within impact absorbing and distributing panels in vehicl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13996B2 (en) 2015-08-13 2017-07-25 Hyundai Mobis Co., Ltd. Airba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801035B2 (en) 2014-08-12
DE102012110945A1 (de) 2013-06-13
DE102012110945A8 (de) 2013-08-14
CN103158653B (zh) 2017-04-12
CN103158653A (zh) 2013-06-19
US20130147174A1 (en) 2013-06-13
DE102012110945B4 (de) 2023-11-16
KR20130065116A (ko) 2013-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6155B1 (ko) 차량용 외장에어백 장착장치
US7607685B2 (en) Automobile side airbag guide plate
KR101104204B1 (ko) 차량용 루프 에어백 장치
KR20160045489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JP5685755B2 (ja) 安全性能が改善された後方エアバッグ装置
US20100230935A1 (en) Vehicle airbag module
KR20110061196A (ko) 차량의 커튼에어백용 램프브라켓
KR20080042612A (ko) 자동차용 커튼에어백의 전개 유도장치
KR101627499B1 (ko) 차량의 에어백
KR101684988B1 (ko) 차량용 에어백 장치
JP5004966B2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
KR101360437B1 (ko) 커튼 에어백 장치용 에어백 쿠션 모듈
KR101003885B1 (ko) 커튼 에어백
KR101305870B1 (ko) 차량용 사이드 에어백 장치
KR100461067B1 (ko) 커튼에어백의 쿠션전개구조
EP4177116A1 (en) Airbag device for pedestrian
KR101430197B1 (ko) 커튼 에어백 모듈
KR100792423B1 (ko) 커튼에어백 보호쿠션의 파손방지구조
KR101251754B1 (ko) 에어백 커버 구조
KR100692777B1 (ko) 차량의 커튼에어백 모듈
KR100587407B1 (ko) 에어백 모듈의 조립구조
KR20070096355A (ko) 커튼 에어백 모듈의 장착 구조
WO2011090148A1 (ja) 頭部用エアバッグ、およびそれを用いた頭部用エアバッグ装置
KR101509808B1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장치
JP2015151096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およびカーテンエアバッグ用ブラケッ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