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5599A -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05599A
KR20170005599A KR1020150095835A KR20150095835A KR20170005599A KR 20170005599 A KR20170005599 A KR 20170005599A KR 1020150095835 A KR1020150095835 A KR 1020150095835A KR 20150095835 A KR20150095835 A KR 20150095835A KR 20170005599 A KR20170005599 A KR 20170005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t
yarn
hair
hole
moth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36154B1 (ko
Inventor
홍인표
Original Assignee
(주)하이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모 filed Critical (주)하이모
Priority to KR1020150095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36154B1/ko
Priority to US15/742,509 priority patent/US10426210B2/en
Priority to EP16821559.8A priority patent/EP3320795B1/en
Priority to PCT/KR2016/006709 priority patent/WO2017007153A1/ko
Priority to JP2018500500A priority patent/JP6799052B2/ja
Publication of KR20170005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5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361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361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5/00Hair pieces, inserts, rolls, pads, or the like; Toupé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75Methods and machines for making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66Planting hair on bases for wig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GARTIFICIAL FLOWERS; WIGS; MASKS; FEATHERS
    • A41G3/00Wigs
    • A41G3/0083Filaments for making wi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rostheses (AREA)
  • Decoration Of Textil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매듭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원사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원사에 모를 매듭하는 모 매듭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 매듭장치는, 하나 이상의 모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인출홀이 형성되는 모 삽입부재; 상기 인출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모를 잡아서 상기 원사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상기 원사와 상기 모가 연결되면서 매듭홀이 형성되는 모 인출부재; 상기 매듭홀을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여 상기 원사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 매듭부재; 상기 모 삽입부재로부터 인출된 모의 양 단부를 잡아서 상기 원사 상부를 통해 상기 모 매듭부재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모의 양 단부를 감아주는 모 감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 매듭부재는 상기 주면에 감겨진 모의 양 단부를 상기 매듭홀을 통해 하부로 잡아당겨서 상기 모를 원사에 매듭한다.

Description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KNOT SYSTEM, KNOT METHO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WI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붙임머리와 가발을 제작하기 위한 모(毛)를 자동으로 매듭하고, 매듭을 통해 가방을 제조하는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체의 유전적 영향 또는 사회의 발전에 따른 공해 등으로 인해 나이에 무관하게 탈모가 보편화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신체의 노화, 약물남용 또는 심리적인 스트레스 요인 등으로 머리카락이 빠져 탈모되면서 머리숱이 줄어들게 되므로 두피의 일정 부분이 노출되어 보기가 흉하게 된다.
이와 같은 탈모로 인해 노출된 두피 부분을 감추기 위해 통상 가발을 이용하거나 외과적인 수술에 의한 식모 등의 방법을 이용한다.
특허공개번호 제10-2009-0099416호
종래기술에 따른 가발은 사람이 수작업으로 모를 원사에 매듭해야 하며, 이에 작업 효율성과 연속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를 원사에 자동으로 매듭하여 작업 효율성과 연속성을 향상시킨 매듭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매듭시스템은 원사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원사에 모를 매듭하는 모 매듭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 매듭장치는, 하나 이상의 모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인출홀이 형성되는 모 삽입부재; 상기 인출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모를 잡아서 상기 원사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상기 원사와 상기 모가 연결되면서 매듭홀이 형성되는 모 인출부재; 상기 매듭홀을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여 상기 원사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 매듭부재; 상기 모 삽입부재로부터 인출된 모의 양 단부를 잡아서 상기 원사 상부를 통해 상기 모 매듭부재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모의 양 단부를 감아주는 모 감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 매듭부재는 상기 주면에 감겨진 모의 양 단부를 상기 매듭홀을 통해 하부로 잡아당겨서 상기 모를 원사에 매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삽입홈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홀은 상기 "U"자 형태로 형성된 삽입홈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모를 눌려주는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 인출부재는 상기 인출홀에 삽입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직선운동하며 선단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모가 걸려서 잡혀지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모 인출편과, 상기 인출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1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 매듭부재는 상기 매듭홀을 하에서 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직선운동하며 선단에 감겨진 모가 걸려서 잡혀지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모 매듭편과, 상기 모 매듭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3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 감기부재는, 상기 모 매듭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매듭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융기며 상기 삽입홀로부터 인출된 모가 통과하는 감기홀이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감기편과, 상기 감기편의 곡선부가 매듭부재를 통과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4 구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구동편에 의해 상기 감기편이 매듭부재를 통과하여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감기홀이 상기 매듭부재의 주위를 1회전하면서 상기 감기홀을 통과한 모를 상기 매듭부재에 감아서 매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사를 지난 상기 모의 양 단부를 서로 벌려서 상기 매듭홀을 확장하는 모 확장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 확장부재는 상기 원사 하부를 지나서 위치한 모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모의 양단이 각각 걸리면서 벌어지는 "M"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모 확장편과, 상기 모 확장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사의 일측에 매듭된 매듭모를 상기 원사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미듭모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매듭모 이동부재는 상기 원사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고 상기 원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원사에 매듭된 매듭모를 이동시키는 매듭모 이동편과, 상기 매듭모 이동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5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 매듭부재에 의해 매듭되지 않은 모를 잡아서 소정 장소로 이동시켜 회수하는 모 회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 회수부재는 상기 모 삽입부재의 인출홀을 향해 직선운동하고 선단에 인출홀로부터 인출된 모를 잡아서 소정 장소로 이동시키는 모 회수편과, 상기 모 회수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6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은 상기 원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급되는 원사공급장치(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을 이용한 매듭방법은 (a) 모 삽입부재의 삽입홈에 하나 이상의 모를 삽입하는 단계; (b) 모 인출부재를 상기 모 삽입부재의 인출홀에 삽입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모를 잡은 다음, 상기 원사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상기 원사와 모가 연결되면서 매듭홀을 형성하는 단계; (d) 모 매듭부재를 상기 매듭홀의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 (e) 모 감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홀로부터 인출된 모의 양 단부를 상기 원사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모 매듭부재에 감아주는 단계; 및 (f) 상기 모 매듭부재에 감겨진 모의 양 단부를 상기 매듭홀을 통해 하부로 잡아당겨서 모를 원사에 매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 상기 (b)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는 모 확장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매듭홀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g) 상기 (f) 단계 후, 모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원사의 일측에 매듭된 매듭모를 상기 원사의 타측으로 이동시켜서 배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h) 상기 (g) 단계 후, 모 회수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에 매듭되지 않고 상기 인출홀에 남아 있는 모를 소정 위치에 이동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매듭방법을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은 복수개의 매듭모가 원사에 매듭된 긴 매듭원사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작된 매듭원사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단위 매듭원사를 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작된 복수개의 단위 매듭원사를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하는 한편, 실로 엮어서 가발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원사에 매듭된 복수개의 매듭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듭모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듭장치 및 방법은 원사에 매듭되는 모를 자동화할 수 있으며, 이에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매즙시스템을 도시한 정면 사시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매즙시스템을 도시한 배면 사시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즙시스템을 도시한 평면 사시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 삽입부재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모 인출부재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7은 도 6의 부분 확대사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 확장부재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9는 도 8의 부분 확대사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 매듭부재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모 감기부재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12는 도 11의 부분 확대사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모 이동부재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모 회수부재를 도시한 사시사진.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을 이용한 매듭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16 내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매듭방법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도 16은 모 삽입단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7은 모 인출단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8은 모 확장단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19 및 도 20은 모 매듭 준비단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1은 모 매듭단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21은 모 이동단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2는 모 회수단계를 대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을 적용한 가발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24 내지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가발 제조방법의 작업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또한, 설명상 방향 표시에 있어서, 좌측 및 우측이라는 것은 도면을 보았을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은 원사에 매듭되는 모를 자동화하며, 이에 작업의 효율성과 비용을 절감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매듭시스템]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사(1)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급하는 원사공급장치(100)와, 상기 원사공급장치(100)에 의해 공급되는 원사(1)에 하나 이상의 모를 매듭하는 매급장치(200)를 포함한다.
1. 원사공급장치
원사공급장치(100)는 원사(1)가 권취된 권취편(110)과, 권취편(110)에 권취된 원사(1)를 소정 위치까지 이동시켜서 공급하는 공급편(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권취편(110)는 롤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권취편(110)과 공급편(120)이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고, 권취편(110)에 권취된 원사(1)가 공급편(12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공급편(120)의 구동시 권취편(110)에 권취된 원사(1)가 공급편(120)으로 이동하면서 공급된다.
한편, 원사공급장치(100)는 매급장치(200)에 의해 원사(1)에 모(2)가 매듭될 시 원사(1)의 이동을 정지시키는 한편, 원사(1)에 소정의 모(2)가 매듭되면 원사(1)를 이동시켜 매듭장치(200) 앞에 모(2)의 매듭이 없는 원사(1)를 위치시킨다.
2. 매듭장치
매듭장치(20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사공급장치에 의해 이동하는 원사(1)에 모(2)를 자동으로 매듭하는 장치로, 하나 이상의 모(2)가 삽입된 모 삽입부재(210), 모 삽입부재(210)에 삽입된 모(2)의 일측을 잡아서 모(2)의 일부를 원사(2)의 하부를 지나도록 인출하는 한편, 모(2)와 원사(1) 사이에 매듭홀(2a)을 형성하는 모 인출부재(220), 모 인출부재(220)에 의해 인출된 모의 양 단부를 벌려서 매듭홀(2a)를 확장시키는 모 확장부재(230), 매듭홀(2a)을 하에서 상으로 통과하는 모 매듭부재(240), 모 삽입부재(210)로부터 인출된 모(2)의 양 단부를 원사(1) 상부의 모 매듭부재(230)에 감겨주는 모 감기부재(250)를 포함하며, 모 매듭부재(240)는 모 감기부재(250)에 의해 모(2)가 감겨지면 매듭홀(2a)의 하부로 이동하면서 감겨진 모의 양단을 잡아당겨서 모(2)를 원사(1)에 매듭한다.
한편, 매듭장치(200)는 원사(1)의 일측에 매듭된 매급모(3)를 원사(1)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모 이동부재(260)와, 원사(1)에 매듭되지 않은 모(1)를 모 삽입부재(210)로부터 인출시켜서 회수하는 모 회수부재(270)를 포함한다.
여기서 매듭장치(2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원사공급장치(100)에 의해 공급되는 원사(1)를 기준으로 설치된다. 즉, 원사(1)의 좌측 하부에 모 삽입부재(210)가 구비되고, 원사(1)의 우측 하부에 모 인출부재(220)가 구비되며, 원사(1)와 모 인출부재(220) 사이에서 상부에 모 확장부재(230)가 구비되고, 원사(1)와 모 인출부재(220) 사이에서 하부에 모 매듭부재(240)가 구비되며, 모 인출부재(220)의 하부에 모 감기부재(250)가 구비되고, 원사(1)의 이송 측에 모 이동부재(260)가 구비되고, 모 삽입부재(210)의 하부에 모 회수부재(270)가 구비된다.
삽입부재
모 삽입부재(21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복수의 모를 삽입하여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모(2)가 삽입되고 삽입된 모의 일부가 인출되는 삽입편(211)과, 삽입편(211)에 삽입된 모(2)를 소정 압력으로 누르는 누름편(212)을 포함한다.
삽입편(211)은 상면에 하나 이상의 모(2)가 삽입되는 삽입홈(211a)과, 삽입홈(211a)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인출홀(2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홈(211a)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모(2)의 삽입량은 그대로 유지하는 한편, 삽입편(211)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인출홀(211b)은 "U"자 형태의 삽입홈(211a) 중앙 바닥에 형성되며, 특히 경사지게 장착된 모 인출부재(220)를 향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여기서 인출홀(211b)의 크기는 모 인출부재(220)가 걸리지 않고 삽입될 수 있는 최소의 크기를 가진다.
누름편(212)은 삽입편(211)의 상부에서 삽입홈(211a)을 향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삽입홈(211a)에 삽입된 모(2)들을 눌러서 고정하는 누름부(212a)와, 누름부(212a)를 삽입홈(211a)을 향해 이동시키는 실린더부(212b)를 포함하며, 누름부(212a)는 가이드부(212c)를 따라 수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누름편(212)은 모(2)의 유동을 방지하는 한편, 삽입편(211)에 삽입된 모(2)의 수량에 상관없이 항상 모(2)를 인출홀(211b)에 근접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인출부재
모 인출부재(220)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삽입부재(210)에 삽입된 모(2)의 중앙을 잡은 상태로 모 삽입부재(210) 밖으로 인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즉, 인출홀(211b)을 통해 삽입홈(211a)에 삽입된 모(2)를 잡아서 원사(1)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원사(1)와 모가 겹쳐져 연결되면서 부분에 매듭홀(220a)이 형성된다(도 17 참조). 즉, "U"자의 모(2)가 원사(1) 하부를 지나면서 대략 원형의 매듭홀(220a)이 형성된다.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모 인출부재(220)는 인출홀(211b)에 삽입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직선운동하며 선단에 삽입홈(211a)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모(2)를 걸려서 잡혀지는 걸림고리(221a)가 형성된 모 인출편(221)과, 인출편(221)을 직선운동시키는 제1 구동편(222)을 포함한다.
확장부재
모 확장부재(2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사(1)와 모(2) 사이에 형성된 매듭홀(220a)의 크기를 확장하기 위한 것으로, 원사(1)와 모 인출부재(220) 사이에서 상부에 설치되고 매듭홀(220)을 향해 하강하거나 또는 상승하도록 직선운동하며 선단에 모(2)의 양단이 각각 걸리면서 벌어지는 "M"자 형태의 확장부(231a)가 형성된 모 확장편(231)과, 모 확장편(231)을 직선운동시키는 제2 구동편(232)을 포함한다.
즉 모 확장편(231)은 확장부(231a)의 중앙 돌기(231a-1)가 매듭홀(220a)에 삽입됨과 동시에 중앙 돌기(231a-1)의 양측의 확장홈(231a-2)에 모(2)의 양 단부가 각각 삽입되는데, 이때 확장홈(231a-2)에 삽입된 모의 단부는 확장홈(231a-2)의 경사면을 따라 가이드되면서 벌어지게 된다.
매듭부재
모 매듭부재(240)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사에 모를 매듭하기 위한 것으로, 매듭홀(220a)의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여 원사(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직선운동하는 모 매듭편(241)과, 상기 모 매듭편(241)을 직선운동시키는 제3 구동편(242)을 포함하며, 모 매듭편(241)의 선단에는 모 감기부재(250)에 의해 감겨진 모(2)가 걸려서 잡아당길 수 있도록 갈고리 또는 낚시바늘 형태의 걸림고리(241a)가 형성된다.
감기부재
모 감기부재(25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삽입부재(210)로부터 인출된 모(2)의 양 단부를 잡아서 원사(1) 상부를 통해 모 매듭부재(240)의 모 인출편(211) 주위를 회전하면서 모(2)의 양 단부를 모 매듭부재(240)에 감아준다.
즉, 모 감기부재(250)는 모 매듭부재(240)를 향해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선단에 모 매듭부재(240)의 모 매듭편(241)을 향하는 방향으로 융기되며 인출홀(211b)로부터 인출된 모(2)가 통과하는 감기홀(251a-1)이 형성된 곡선부(251a)를 가지는 모 감기편(251)과, 모 감기편(251)의 곡선부(251a)가 모 매듭부재(240)의 모 매듭편(241)를 통과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4 구동편(252)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모 감기부재(250)는 제4 구동편(252)에 의해 모 감기편(251)이 직선 왕복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모 감기편(251)의 전진시 모 매듭편(241)의 일측에 모 감기편(251)의 곡선부(251a) 융기면이 지지되고, 모 감기편(251)의 후진시 모 매듭편(241)의 타측에 곡선부(251)의 함몰홈이 지지되며, 이에 감기홀(251a-1)이 모 매듭편(251)을 한바퀴 회전하게 되면서 감기홀(251a-1)에 위치한 모(2)가 모 매듭편(251)에 1회 감겨진다.
이동부재
모 이동부재(260)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원사(1)에 매듭된 매듭모(3)를 원사(1)의 한쪽으로 배열되게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원사(1)가 관통하는 관통홀이 형성되고 원사(1)를 따라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원사(1)의 타측에 매듭된 매듭모(3)를 이동시키는 이동편(261)과, 이동편(261)을 원사(1)의 진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5 구동편(262)를 포함한다.
즉 모 이동부재(260)는 원사(1)에 매듭된 매듭모(20)를 원사(1)의 한쪽으로 몰아서 매듭모(20)가 촘촘하게 배치시키며, 이후 매듭모(20)가 촘촘하게 배치된 원사(1)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매듭원사(10)를 제작한다.
회수부재
모 회수부재(270)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삽입부재(210)로부터 인출된 모(2) 중 원사(1)에 매듭되지 않은 모(2)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이는 남아 있는 모(2)와 다음 매듭 작업시 인출되는 모(2)가 엉키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모 회수부재(270)는 모 삽입부재(210)의 인출홀을 향해 직선운동하고 선단에 인출홀로부터 인출된 모를 잡아서 소정 장소로 이동시키는 집게부(271a)가 형성된 모 회수편(271)과, 모 회수편(271)을 직선운동시키는 제6 구동편(272)을 포함한다.
[매듭방법]
이하,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매듭시스템을 이용한 매듭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듭방법은 도 1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a) 모 삽입부재(210)의 삽입홈에 하나 이상의 모를 삽입하는 단계; (b) 모 인출부재(220)를 모 삽입부재(210)의 인출홀에 삽입하여 삽입홈에 삽입된 모를 잡은 다음, 원사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원사와 모가 연결되면서 매듭홀을 형성하는 단계; (c) 모 확장부재(230)를 이용하여 매듭홀을 확장시키는 단계; (d) 모 매듭부재(240)를 매듭홀의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 (e) 모 감기부재(250)를 이용하여 인출홀로부터 인출된 모의 양 단부를 원사의 상측에 위치한 모 매듭부재(240)에 감아주는 단계; 및 (f) 모 매듭부재(240)에 감겨진 모의 양 단부를 매듭홀을 통해 하부로 잡아당겨서 모를 원사에 매듭하는 단계; (g) 모 이동부재(260)를 이용하여 원사의 일측에 매듭된 매듭모를 원사의 타측으로 이동시켜서 배열시키는 단계; 및 (h) 모 회수부재(270)를 이용하여 원사에 매듭되지 않고 남아 있는 모를 소정 위치에 이동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듭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매듭방법을 진행하기 전에 원사공급장치(100)를 통해 원사(1)를 일단에서 타단까지 연결되게 공급한다. 즉,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권취편(110)에 권취된 원사(1)를 공급편(120)까지 공급되게 연결한다.
(a) 단계는 도 5 및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하나 이상의 모를 저장하는 한편, 모의 중앙이 안정적으로 인출될 수 있도록 "U"자 형태로 준비하는 것으로, 이때 매듭장치(200)의 모 삽입부재(210)를 이용한다. 즉, 모 삽입부재(210)에서 "U"자 형태를 가진 삽입편(221)의 삽입홈(221a)에 다수개의 모(2)를 삽입한 다음, 누름편(212)을 통해 삽입편(221)에 삽입된 모(2)를 가압한다.
(b) 단계는 도 7 및 도 17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삽입부재(210)에 삽입된 모(2)를 소정 부분 인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매듭장치(200)의 모 인출부재(220)를 이용한다.
즉, 모 삽입부재(210)의 인출홀(211b)을 통해 모 인출부재(220)의 모 인출편(221)을 삽입하여 삽입홈(211a)에 삽입된 모(2)를 잡은 다음, 원사(2)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원사(2)와 모(2)가 연결되면서 매듭홀(2a)을 형성한다.(도 17의 저면사시도 참조)
(c) 단계는 도 12 및 도 18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인출부재(220)에 의해 당겨지면서 형성된 매듭홀(2a)을 확장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때 매듭장치(200)의 모 확장부재(230)를 사용한다. 즉, 모 확장부재(230)의 모 확장편(231)이 매듭홀(2a)을 향해 이동하는데, 이때 "M"자 형태의 확장부(231a)가 매듭홀(2a)을 형성한 모(2)의 양 단부를 가압하며, 이에 모(2)의 양단이 점차 벌어지면서 매듭홀(2a)을 확장시킬 수 있다.
(d) 단계는 도 19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삽입부재(210)로부터 인출된 모(2)를 이용하여 매듭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으로, 매듭장치(200)의 모 매듭부재(240)를 이용한다. 즉, 모 매듭부재(240)의 모 매듭편(241)이 매듭홀(2a)을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며, 차후 모 감기부재(250)에 의해 모(2)의 양 단부가 감겨지면 하강하면서 모(2)를 원사(1)에 매듭한다.
(e) 단계는 도 20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매듭을 위해 모의 양 다리를 감기 위한 것으로, 모 감기부재(250)를 이용한다. 즉, 모 삽입부재(250)에 위치한 모(2)의 양 다리를 잡아서 매듭홀(2a)로부터 인출된 모 매듭부재(240)의 주면를 회전하면서 1회 이상 모(2)를 감는다. 즉, 모 매듭부재(240)의 주면에 모(2)의 양 다리가 감겨진다.
(f) 단계는 도 21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매듭부재(240)가 매듭홀(2a)의 하부로 이동하면 모 매듭편(241)의 걸림고리(241a)에 감겨진 모(2)의 양 다리가 걸리면서 잡아당겨지고, 매듭이 형성된다.
(g) 단계는 (f) 단계에 의해 원사(1)에 매듭된 매듭모(20)를 한쪽방향으로 몰아서 촘촘히 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모 이동부재(260)를 이용한다.
즉, 제7 구동편(262)에 의해 모 이동편(261)이 원사(1)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하면서 원사(1)에 매듭된 매듭모(20)를 원사(1)의 타측으로 이동시켜 배열시킨다.
(h) 단계는 도 1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모 삽입부재(210)의 인출홀(211b)에 남아 있는 모(2)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제8 구동편(272)에 의해 모 회수편(271)이 모 삽입부재(210)의 인출홀(211b)을 향해 이동한 후, 집게부(271a)가 실린더에 의해 조여지면서 모 삽입부재(210)에 남아 있는 모(2)를 물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8 구동편(272)에 의해 모 회수편(271)이 원위치로 복귀하면 모 삽입부재(210)에 남아 있는 모(2)를 잡아당겨서 제거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연속하여 수행함에 따라 원사(1)에 자동으로 모(2)를 매듭할 수 있다.
[가발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가발 제조방법은 도 23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긴 매듭원사 제작단계(A), 단위 매듭원사 제작단계(B), 단위 매듭원사 접착단계(C), 및 가발 제작단계(D)를 포함한다.
즉, (A) 단계는 도 24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전술한 매듭방법에 의해 복수의 매듭모(20)가 매듭된 긴 매듭원사(10)를 제작한다. (B) 단계는 도 25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제작된 매듭원사(10)를 소정 크기로 절단하여 단위 매듭원사(10a)를 제작한다. (C) 단위는 단위 매듭원사(10a)에 접착제(30)를 도포하여 매듭모(20)를 원사(1)에 접착시킨다. (D) 단계는 단위 매듭원사(10)를 가로 세로로 배열한 다음 실(미도시)로 엮어서 가발(40)을 제작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사에 모를 자동으로 매듭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모가 매듭된 원사를 이용하여 가발을 제작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원사 공급장치
200: 모 매듭장치
210: 모 삽입부재
211: 삽입편
211a: 삽입홈
211b: 인출홀
212: 누름편
212a: 누름부
212b: 실린더부
220: 모 인출부재
221: 모 인출편
222: 제1 구동편
230: 모 확장부재
231: 모 확장편
232: 제2 구동편
240: 모 매듭부재
241: 모 매듭편
242: 제3 구동편
250: 모 감기부재
251: 모 감기편
252: 제4 구동편
260: 매듭모 이동부재
261: 매듭모 이동편
262: 제5 구동편
270: 모 회수부재
271: 모 회수편
272: 제6 구동편

Claims (19)

  1. 원사의 이송방향을 따라 하나 이상 설치되고, 상기 원사에 모를 매듭하는 모 매듭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모 매듭장치는,
    하나 이상의 모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바닥면에 형성되는 인출홀이 형성되는 모 삽입부재;
    상기 인출홀을 통해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모를 잡아서 상기 원사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상기 원사와 상기 모가 연결되면서 매듭홀이 형성되는 모 인출부재;
    상기 매듭홀을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여 상기 원사의 상부에 위치하는 모 매듭부재;
    상기 모 삽입부재로부터 인출된 모의 양 단부를 잡아서 상기 원사 상부를 통해 상기 모 매듭부재의 주위를 회전하면서 상기 모의 양 단부를 감아주는 모 감기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모 매듭부재는 상기 주면에 감겨진 모의 양 단부를 상기 매듭홀을 통해 하부로 잡아당겨서 상기 모를 원사에 매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삽입홈은 상방향으로 개방된 "U"자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인출홀은 상기 "U"자 형태로 형성된 삽입홈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 삽입부재는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모를 눌려주는 누름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 인출부재는 상기 인출홀에 삽입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직선운동하며 선단에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하나 이상의 모가 걸려서 잡혀지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모 인출편과, 상기 인출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1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 매듭부재는 상기 매듭홀을 하에서 상으로 삽입되거나 또는 인출되도록 직선운동하며 선단에 감겨진 모가 걸려서 잡혀지는 걸림고리가 형성된 모 매듭편과, 상기 모 매듭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3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 감기부재는, 상기 모 매듭부재의 일측에 구비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의 선단에 구비되고 상기 매듭부재를 향하는 방향으로 융기며 상기 삽입홀로부터 인출된 모가 통과하는 감기홀이 형성된 곡선부를 가지는 감기편과,
    상기 감기편의 곡선부가 매듭부재를 통과하게 이동시키거나 또는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4 구동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4 구동편에 의해 상기 감기편이 매듭부재를 통과하여 이동한 후 원위치로 복귀하면, 상기 감기홀이 상기 매듭부재의 주위를 1회전하면서 상기 감기홀을 통과한 모를 상기 매듭부재에 감아서 매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사를 지난 상기 모의 양 단부를 서로 벌려서 상기 매듭홀을 확장하는 모 확장부재(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모 확장부재는 상기 원사 하부를 지나서 위치한 모의 상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하강시 모의 양단이 각각 걸리면서 벌어지는 "M"자 형태의 홈이 형성된 모 확장편과, 상기 모 확장편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2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사의 일측에 매듭된 매듭모를 상기 원사의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매듭모 이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매듭모 이동부재는 상기 원사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운동하고 상기 원사가 통과하는 관통홀이 형성되면서 상기 원사에 매듭된 매듭모를 이동시키는 매듭모 이동편과, 상기 매듭모 이동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5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 매듭부재에 의해 매듭되지 않은 모를 잡아서 소정 장소로 이동시켜 회수하는 모 회수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모 회수부재는 상기 모 삽입부재(210)의 인출홀을 향해 직선운동하고 선단에 인출홀로부터 인출된 모를 잡아서 소정 장소로 이동시키는 모 회수편과, 상기 모 회수편을 직선운동시키는 제6 구동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13.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있어서,
    상기 원사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공급되는 원사공급장치(1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시스템.
  14. (a) 모 삽입부재의 삽입홈에 하나 이상의 모를 삽입하는 단계;
    (b) 모 인출부재를 상기 모 삽입부재의 인출홀에 삽입하여 상기 삽입홈에 삽입된 모를 잡은 다음, 상기 원사의 하부를 통과하여 위치하도록 인출시키는 한편, 상기 원사와 모가 연결되면서 매듭홀을 형성하는 단계;
    (d) 모 매듭부재를 상기 매듭홀의 하에서 상으로 관통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
    (e) 모 감기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인출홀로부터 인출된 모의 양 단부를 상기 원사의 상측에 위치한 상기 모 매듭부재에 감아주는 단계; 및
    (f) 상기 모 매듭부재에 감겨진 모의 양 단부를 상기 매듭홀을 통해 하부로 잡아당겨서 모를 원사에 매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c) 상기 (b) 단계와 상기 (d) 단계 사이에는 모 확장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매듭홀을 확장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g) 상기 (f) 단계 후, 모 이동부재를 이용하여 원사의 일측에 매듭된 매듭모를 상기 원사의 타측으로 이동시켜서 배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h) 상기 (g) 단계 후, 모 회수부재를 이용하여 상기 원사에 매듭되지 않고 상기 인출홀에 남아 있는 모를 소정 위치에 이동시켜 회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듭방법.
  18. (A)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에 의해 복수개의 매듭모가 원사에 매듭된 긴 매듭원사를 제작하는 단계;
    (B) 상기 (A) 단계에서 제작된 매듭원사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단위 매듭원사를 제작하는 단계; 및
    (C) 상기 (B) 단계에서 제작된 복수개의 단위 매듭원사를 가로 또는 세로로 배열하는 한편, 실로 엮어서 가발을 제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제조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원사에 매듭된 복수개의 매듭모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매듭모를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발 제조방법.

KR1020150095835A 2015-07-06 2015-07-06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KR1017361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835A KR101736154B1 (ko) 2015-07-06 2015-07-06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US15/742,509 US10426210B2 (en) 2015-07-06 2016-06-23 Knotting system, knott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wig using same
EP16821559.8A EP3320795B1 (en) 2015-07-06 2016-06-23 Knotting system, knotting method, and method for producing wig using same
PCT/KR2016/006709 WO2017007153A1 (ko) 2015-07-06 2016-06-23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JP2018500500A JP6799052B2 (ja) 2015-07-06 2016-06-23 結び付けシステム、結び付け方法及びこれを用いたかつら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835A KR101736154B1 (ko) 2015-07-06 2015-07-06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5599A true KR20170005599A (ko) 2017-01-16
KR101736154B1 KR101736154B1 (ko) 2017-05-17

Family

ID=5768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835A KR101736154B1 (ko) 2015-07-06 2015-07-06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26210B2 (ko)
EP (1) EP3320795B1 (ko)
JP (1) JP6799052B2 (ko)
KR (1) KR101736154B1 (ko)
WO (1) WO20170071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28B1 (ko) * 2017-08-14 2018-08-14 이정웅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
KR20200066487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공급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139B1 (ko) 2017-07-06 2019-01-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및 이를 이용한 유한 길이 섬유의 결속방법
CN107455825B (zh) * 2017-10-10 2019-11-05 义乌市丝黛文化创意有限公司 一种假发生产设备及工作方法
KR101962111B1 (ko) * 2018-03-26 2019-03-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공압 방식을 가지는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JP7316913B2 (ja) * 2019-11-15 2023-07-28 Juki株式会社 毛髪供給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416A (ko) 2008-03-17 2009-09-22 (주)하이모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3903A (en) * 1973-04-09 1975-09-09 Kanegafuchi Chemical Ind Method and equipment for planting hairs in sheet-form net-like material or thread form body
US4188894A (en) * 1976-12-10 1980-02-19 Kanegafuchi Chemical Industry Co., Ltd. Hair rooting apparatus with its hooked needle moving also transversely
DE3336509A1 (de) * 1983-10-07 1985-04-25 Hacoba Textilmaschinen Gmbh & Co Kg, 5600 Wuppertal Vorrichtung zum herstellen von katzenkopfknoten
JPH0730298Y2 (ja) 1989-06-19 1995-07-12 東洋刃物株式会社 丸刃装置
JPH0756161Y2 (ja) 1989-11-16 1995-12-25 有限会社新潟鋸工業 替刃鋸
WO2001044552A1 (de) * 1999-12-13 2001-06-21 Ulrich Werner Vorrichtung zum verbinden von haaren mit einem haarteil
JP3561840B2 (ja) * 2001-09-28 2004-09-02 保 知 宏 かつら製造用自動植毛機及びかつらの製造方法
KR100700320B1 (ko) 2006-06-20 2007-03-29 이상헌 매듭을 이용한 붙힘머리 식모 방법
KR100729914B1 (ko) 2006-07-24 2007-06-18 이상헌 붙임머리용 자동 매듭 장치
WO2010090191A1 (ja) 2009-02-04 2010-08-12 株式会社アデランスホールディングス かつら
KR101516868B1 (ko) * 2013-05-07 2015-05-04 (주)하이모 이중 삽입 구조의 모발이 적용된 가발 및 제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9416A (ko) 2008-03-17 2009-09-22 (주)하이모 붙임머리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8128B1 (ko) * 2017-08-14 2018-08-14 이정웅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
WO2019035632A3 (ko) * 2017-08-14 2019-04-04 이정웅 길리 슈트 제조장치, 길리 슈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길리 슈트
US11846051B2 (en) 2017-08-14 2023-12-19 Jung Woong Lee Ghillie suit manufacturing apparatus, ghillie suit manufacturing method, and ghillie suit manufactured by using same
KR20200066487A (ko) * 2018-11-30 2020-06-10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섬유공급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유한 길이 섬유의 자동매듭 결속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26210B2 (en) 2019-10-01
WO2017007153A1 (ko) 2017-01-12
JP2018520274A (ja) 2018-07-26
EP3320795B1 (en) 2019-08-21
EP3320795A4 (en) 2018-06-06
EP3320795A1 (en) 2018-05-16
KR101736154B1 (ko) 2017-05-17
US20180199649A1 (en) 2018-07-19
JP6799052B2 (ja) 2020-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154B1 (ko) 매듭시스템, 매듭방법 및 그를 이용한 가발 제조방법
JP6533350B1 (ja) 植毛装置
KR101045497B1 (ko) 인조 속눈썹 및 그 제조장치
CN103987884B (zh) 用于纺织机的储纱设备
CN111801456B (zh) 簇绒机和操作簇绒机的方法
CN102383250B (zh) 编织物的起针方法
TW470795B (en) Knitting method for waste yarn disposal
KR20170054786A (ko) 코아 네트 직조장치
US9689093B2 (en) Knitting apparatus
KR101648748B1 (ko) 편성포의 풀림방지방법
JP2007009560A (ja) 人工芝の製造装置
JP5160897B2 (ja) 横編機の経糸切断・保持方法および装置
US20040020507A1 (en) Hair weaving and braiding apparatus
CN106976755B (zh) 丝线卷绕机、生头部件及丝线卷绕机的生头方法
JP2009299215A (ja) 自動畦取装置及び部分整経機
US2466016A (en) Method of making scraggy rugs
CN106567198B (zh) 一种家纺用包眉头拉筒
CN215366273U (zh) 一种缝纫机用上线装置
CN113854683B (zh) 一种手工假发的制造方法
KR20190027536A (ko) 뜨개질용 가이드 장치를 이용한 애완견용 장난감 제작을 위한 뜨개질 방법
JP2022182921A (ja) 有結節編網における結節形成方法、そ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046604B2 (ja) 毛髪処理器具
JP2023119057A (ja) 植毛装置
JP2609360B2 (ja) ロープ整経機における自動アゼ取り装置
JP2024021015A (ja) ネット受け機構、ネット受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