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03399A - 축전 장치 - Google Patents
축전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003399A KR20170003399A KR1020160074362A KR20160074362A KR20170003399A KR 20170003399 A KR20170003399 A KR 20170003399A KR 1020160074362 A KR1020160074362 A KR 1020160074362A KR 20160074362 A KR20160074362 A KR 20160074362A KR 20170003399 A KR20170003399 A KR 2017000339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erminal
- storage device
- power storage
- conductive member
- bus ba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146 energy storage Methods 0.000 title abstract 12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50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9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4
- 238000009825 accu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255 nonaqueous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707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34 Polyphenylene sulf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2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95 der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17 polycarbon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15 polycarbon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069 polyphenylene sulf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65 glass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 H01M2/1016—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4—Hybrid capacitors
- H01G11/06—Hybrid capacitors with one of the electrodes allowing ions to be reversibly doped thereinto, e.g. lithium ion capacitors [LIC]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08—Structural combinations, e.g. assembly or connection, of hybrid or EDL capacitors with other electric components, at least one hybrid or EDL capacitor being the main componen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10—Multiple hybrid or EDL capacitors, e.g. arrays or modu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4—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 H01G11/76—Terminals, e.g. extensions of current collectors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multiple or stacked hybrid or EDL capaci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0—Gaskets; Seal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78—Cases; Housings; Encapsulations; Mountings
- H01G11/82—Fixing or assembling a capacitive element in a housing, e.g. mounting electrodes, current collectors or terminals in containers or encapsulations
-
- H01M2/202—
-
- H01M2/26—
-
- H01M2/30—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72—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 H01M50/174—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 H01M50/176—Arrangements of electric connectors penetrating the casing adapted for the shape of the cells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9—Mechanical means for varying the arrangement of batteries or cells for different uses, e.g. for changing the number of batteries or for switching between series and parallel wir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71—Lids or covers for the racks or secondary cas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6—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erminals of battery p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98—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of battery pack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3—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interconnec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7—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omprising an arrangement of two or more busbars within a container structure, e.g. busbar modu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09—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nection, e.g. mixed connec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88—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outside the batteries, e.g. incorrect connections of terminals or busba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16—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01M50/117—Inorganic material
- H01M50/119—Met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02E60/122—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축전 소자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양극 또는 음극의 단자인 제1 단자를 가지는 제1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1)로서,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50)를 포함하고, 단자 인접 부재(50)는, 상기 제1 단자와, 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534)와, 상기 제1 단자와, 제1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3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제1 수용부(534)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535)를 가진다.
[해결 수단] 양극 또는 음극의 단자인 제1 단자를 가지는 제1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1)로서,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50)를 포함하고, 단자 인접 부재(50)는, 상기 제1 단자와, 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534)와, 상기 제1 단자와, 제1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3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제1 수용부(534)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535)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에 있어서, 종래, 인접하는 축전 소자의 전극 단자 간을 버스 바(bus bar)로 연결한 구성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
종래의 축전 장치에 있어서는, 배치되는 축전 소자의 개수가 사전에 정해져 있고, 상기 개수에 맞추어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수를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다. 즉, 종래의 축전 장치에서는, 축전 소자의 개수에 맞추어 버스 바의 배치나 상기 버스 바를 유지하는 수지 부재가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개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지 부재의 형상을 변경하는 것 등의 필요가 생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축전 소자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에 관한 축전 장치는, 양극 또는 음극의 단자인 제1 단자를 가지는 제1 축전 소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 및 상기 제2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3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축전 장치의 단자 인접 부재는,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 및 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자 및 제3 축전 소자의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제1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수용부에 제1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고, 제1 도출부에 제2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제3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가 접속되고 제2 축전 소자에 제3 축전 소자가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축전 소자를 떼어내어 제1 축전 소자에 제3 축전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축전 소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축전 소자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축전 소자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단자 인접 부재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단자 인접 부재에 형성된 제1 수용부와 제1 도출부는, 단자 인접 부재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다. 즉, 제1 수용부 및 제1 도출부를, 제2 축전 소자 및 제3 축전 소자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시킴으로써, 제1 수용부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제1 도출부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제3 축전 소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외주에 형성된 벽을 더 가지고,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수용부의 외주에 벽을 형성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제1 도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2 축전 소자의 상기 제2 단자와는 상이한 쪽의 단자인 제4 단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도출부보다 상기 제2 수용부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 부재를, 상기 제2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2 도출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단자 인접 부재는, 제3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와, 제3 축전 소자 및 제1 축전 소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제2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2 도출부를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제3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가 접속되고 제2 축전 소자에 제1 축전 소자가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축전 소자를 떼어내어 제3 축전 소자에 제1 축전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축전 소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축전 소자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축전 소자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축전 소자는, 상기 제1 축전 소자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이며, 상기 제3 축전 소자는, 상기 제1 축전 소자와 인접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이며,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제2 축전 소자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3 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도전 부재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축전 장치는, 제1 축전 소자와, 제1 축전 소자와는 인접하지 않은 제3 축전 소자가, 제2 도전 부재에 의해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통상은 인접한 축전 소자끼리 접속되지만,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인접하고 있지 않은 축전 소자 간을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축전 소자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관한 축전 장치는, 양극 또는 음극의 단자인 제1 단자를 가지는 제1 축전 소자와,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도체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상기 도체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를 가진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축전 장치에 있어서, 단자 인접 부재는,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 및 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도체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자 및 외부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도체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를 가지고 있다. 즉, 도체 수용부에 제1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고, 제1 도출부에 제2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외부 접속 단자를 접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가 접속되고 제2 축전 소자에 외부 접속 단자가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축전 소자를 떼어내어 제1 축전 소자에 외부 접속 단자를 접속함으로써, 축전 소자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축전 소자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축전 소자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도체 수용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버스 바를 상기 제1 도전 부재로서 수용할 수 있는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이며,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향하여 상기 제2 도전 부재를 도출할 수 있는 단자 접속용 개구부이며, 상기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와 상기 단자 접속용 개구부는, 상기 단자 인접 부재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체 수용부는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이며, 제1 도출부는 단자 접속용 개구부이며, 이들 2개의 개구부는, 단자 인접 부재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즉, 예를 들면, 도체 수용부를, 제2 축전 소자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시킴으로써, 도체 수용부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제1 도출부를 외부 접속 단자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시킴으로써, 제1 도출부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외부 접속 단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도체 수용부의 외주에 형성된 벽을 더 가지고,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벽에 형성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도체 수용부의 외주에 벽을 형성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제1 도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도출할 수 있는 제2 도출부를 더 포함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단자 인접 부재는, 외부 접속 단자와 제2 축전 소자의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도출할 수 있는 제2 도출부를 더 포함하고 있다. 이로써, 제2 축전 소자를 장착할 때, 용이하게 외부 접속 단자에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전 소자 수용부는, 상기 제1 축전 소자와 인접하는 위치이면서, 또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의 수용부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축전 소자 수용부에 제2 축전 소자를 수용할 때, 제2 축전 소자를 제1 축전 소자 및 외부 접속 단자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에 접속되지 않고, 서로 접속되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 및 외부 접속 단자는, 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 및 제3 단자에 접속되지 않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즉, 축전 장치에 있어서,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지 않고, 제1 축전 소자와 외부 접속 단자가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축전 장치에 의하면, 축전 소자의 개수를 수용 가능한 개수로부터 저감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전 장치로서 실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축전 장치가 포함하는, 축전 소자의 전극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축전 소자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축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축전 장치를 분해한 경우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축전 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단자 인접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단자 인접 부재와 축전 소자 및 버스 바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 인접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단자 인접 부재와 축전 소자 및 버스 바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축전 장치를 분해한 경우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축전 소자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단자 인접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단자 인접 부재와 축전 소자 및 버스 바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 인접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단자 인접 부재와 축전 소자 및 버스 바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복수의 축전 소자를 버스 바 및 도전 부재로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4는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축전 장치가 14개의 축전 소자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나타내는 수치, 형상, 재료, 구성 요소, 구성 요소의 배치 위치 및 접속 형태 등은 일례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주지(主旨)는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 관한 구성 요소 중, 최상위 개념을 나타내는 독립 청구항에 기재되어 있지 않은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임의의 구성 요소로서 설명된다. 또한, 각 도면은, 축전 장치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며, 반드시 엄밀하게 도시한 것은 아니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축전 장치(1)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한, 도 2는, 축전 장치(1)를 분해한 경우의 각 구성 요소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는,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이하에서는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하지만, 사용 태양에 따라서는 Z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지 않는 경우도 고려할 수 있기 때문에, Z축 방향이 상하 방향으로 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X축 방향이 상하 방향이 되어도 상관없다.
축전 장치(1)는, 외부로부터의 전기를 충전하고, 또한 외부로 전기를 방전할 수 있는 장치이다. 예를 들면, 축전 장치(1)는, 전력 저장 용도나 전원 용도 등에 사용되는 전지 모듈이어도 된다. 특히,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는, 거치용 전원 장치로서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전 장치(1)는, 외장체(外裝體) 본체(100)와 전벽부(前壁部)(200)와 상벽부(上壁部)(300)로 이루어지는 외장체(10)를 포함하고 있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전 장치(1)는, 외장체(10)의 안쪽에, 저면(底面) 인접 부재(20)와, 축전 소자(40)와, 단자 인접 부재(50)와, 버스 바(60)와, 배선 기판(70)과, 계측 기판(81)과, 주회로 기판(82)을 포함하고 있다.
외장체(10)는, 축전 장치(1)의 외장체를 구성하는 직사각형(상자형)의 용기(모듈 케이스)이다. 외장체(10)는 축전 소자(40)나 기판[배선 기판(70), 계측 기판(81) 및 주회로 기판(82)] 등을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고, 축전 소자(40)나 상기 기판 등을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외장체(10)는,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 등의 강성이 높은 재료로 구성되어 있다. 외장체(10)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또는 ABS 수지 등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외장체(10)는, 외장체 본체(100)와 전벽부(200)와 상벽부(300)를 가지고 있다. 외장체 본체(100)는, 외장체(10)의 본체를 구성하는 부재이며, 직사각형상의 저벽(底壁)과, 상기 저벽으로부터 세워 설치된 3개의 직사각형상의 측벽을 가지고 있다. 외장체 본체(100)는, 판형의 부재를 절곡한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또한, 전벽부(200)는, 외장체(10)의 또 하나의 측벽을 구성하는 직사각형상이면서 판형인 부재이다. 외장체 본체(100)와 전벽부(200)에 의해,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통형의 부재를 형성한다.
상벽부(300)는, 외장체(10) 상벽(커버)을 구성하는 부재이며, 외장체 본체(100) 및 전벽부(200)로 이루어지는 바닥이 있는 직사각형 통형 부재의 개구를 막는 직사각형이면서 또한 판형인 부재이다. 즉, 외장체 본체(100) 및 전벽부(200)의 안쪽에, 축전 소자(40)나 기판[배선 기판(70), 계측 기판(81) 및 주회로 기판(82]) 등이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가 상벽부(300)에 의해 폐지(閉止)된다.
저면 인접 부재(20)는, 축전 소자(40)의 저면 측에 배치되는 편평한 직사각형의 부재이며, 축전 소자(40)를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한다. 저면 인접 부재(20)는, 외장체 본체(100)의 저벽에 탑재되어 상기 저벽에 장착 고정되고, 축전 소자(40)를 외장체(10)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저면 인접 부재(20)는, 절연성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축전 소자(40)가 삽입되어, 축전 소자(40)를 외장체(10) 내에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저면 인접 부재(20)는, 축전 소자(40)가 외장체(10) 등의 도전성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고, 또한 축전 소자(40) 등을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저면 인접 부재(20)는, 어떠한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어도 상관없지만, 예를 들면, 유리 섬유에 의해 강화된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GF 강화 PBT)나, 폴리페닐렌설파이드(PPS) 등의 내열성이 높은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축전 소자(40)가 발열한 경우라도, 저면 인접 부재(20)가 손상되어 다른 축전 소자(40)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축전 소자(40)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저면 인접 부재(20)는, 절연성 재료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축전 소자(40)는, 전기를 충전하고, 또한, 전기를 방전할 수 있는 2차 전지(단전지, 單電池)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리튬이온 2차 전지 등의 비수(非水) 전해질 2차 전지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외장체(10) 내에 13개의 축전 소자(40)가 수용되어 있지만, 빈 공간에 또 하나의 축전 소자(40)를 추가하여, 14개의 축전 소자(40)가 수용된 구성이어도 된다. 상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축전 소자(40)는, 비수 전해질 2차 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비수 전해질 2차 전지 이외의 2차 전지이어도 되고, 커패시터이어도 된다. 축전 소자(4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단자 인접 부재(5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편평한 직사각형상의 부재이며, 축전 소자(40)를 위쪽으로부터 지지한다. 즉, 단자 인접 부재(50)는, 축전 소자(4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고, 저면 인접 부재(20)와 함께, 축전 소자(40)를 상하 양측(Z축 방향)으로부터 협지(挾持)함으로써, 축전 소자(40)를 외장체(10)에 대하여 소정 위치에서 지지한다.
구체적으로는, 단자 인접 부재(50)는, 절연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축전 소자(40)가 삽입되어, 축전 소자(40)를 외장체(10) 내에서 고정한다. 이와 같이 하여, 단자 인접 부재(50)는, 축전 소자(40)가 외장체(10) 등의 도전성 부재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하고, 또한 축전 소자(40) 등을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한다.
단자 인접 부재(50)에는, 버스 바(60) 및 배선 기판(70)이 탑재된다. 즉, 단자 인접 부재(50)는, 버스 바(60) 및 배선 기판(70)을 축전 소자(40)에 장착할 때의 축전 소자(40)에 대한 위치 결정의 기능도 갖는다. 단자 인접 부재(50)는, 어떠한 절연성의 재료로 형성되어도 상관없지만, 비용면 등에서, 예를 들면, PP, PE, PC 또는 ABS 수지 등의 수지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축전 소자(40)나 버스 바(60) 등의 절연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면, 단자 인접 부재(50)는, 절연성의 재료로 형성되지 않아도 된다.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버스 바(60)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위쪽에 배치되고, 복수의 축전 소자(40) 간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금속 등 도전성의 판형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60)는, 인접하는 축전 소자(40)에 있어서, 하나의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 또는 음극 단자와, 다른 축전 소자(40)의 음극 단자 또는 양극 단자를 접속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버스 바(60)는, 13개의 축전 소자(40)를 직렬로 접속한다.
배선 기판(70)은, 단자 인접 부재(50)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축전 소자(40)의 전압을 검출하기 위하여, 배선 기판(70)은, 축전 장치(1)가 포함하는 축전 소자(40) 중 적어도 하나의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든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에 일단(一端)이 접속된 배선을 가지고 있다. 또한, 배선 기판(70)은,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와 음극 단자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2매의 배선 기판(70)이 배치되어 있지만, 배선 기판(70)의 매수는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배선 기판(70) 대신에, 하니스(harness) 등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배선 기판(70)을 사용하여 전극 단자와 계측 기판(81)을 접속함으로써, 배선의 경로 설정(routing)이 용이해지고, 조립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배선 기판(70)은, 서미스터(thermister)를 실장하고, 축전 소자(40)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는 구성을 가져도 된다.
계측 기판(81) 및 주회로 기판(82)은, 축전 소자(40)와 외장체(10)의 측벽 사이에 배치되고, 또한 축전 장치(1)가 포함하는 축전 소자(40) 중 적어도 하나의 축전 소자(40)와 접속되어, 축전 소자(40) 상태를 계측 및 제어하는 기판이다. 구체적으로는, 주회로 기판(82)은, 대전류가 흐르는 주회로 부품을 실장한 기판이며, 축전 소자(40)의 용기의 짧은(短) 측면에 대향하는 외장체(10)의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다. 계측 기판(81)은, 소전류가 흐르는 주변 회로 부품을 실장한 기판이며, 축전 소자(40)의 용기의 긴(長) 측면에 대향하는 외장체(10)의 측벽의 내면에 고정된다.
다음에, 축전 소자(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축전 소자(4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전 소자(40)는 용기(410), 양극 단자(430) 및 음극 단자(440)를 포함하고, 용기(410)는 용기 커버부(42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용기(410) 안쪽에는 전극체, 양극 집전체 및 음극 집전체가 배치되고, 전해액(비수 전해질) 등의 액체가 봉입(封入)되어 있지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용기(410)는, 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통형으로 바닥을 포함하는 하우징 본체와, 상기 하우징 본체의 개구를 폐색하는 금속제의 용기 커버부(420)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410)는, 전극체 등을 내부에 수용 후, 용기 커버부(420)와 하우징 본체가 용접되는 등에 의해, 내부를 밀봉한다. 용기(410)는, 도 3의 Y축 방향 양측의 측면에 긴 측면을 가지고, X축 방향 양측의 측면에 짧은 측면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상의 용기이다. 용기(410)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테인레스강이나 알루미늄 등 용접 가능한 금속인 것이 바람직하다.
양극 단자(430)는 양극 집전체를 통하여, 전극체의 양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이며, 음극 단자(440)는 음극 집전체를 통하여, 전극체의 음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극 단자이며, 모두 용기 커버부(420)에 장착되어 있다. 양극 단자(430) 및 음극 단자(440)는, 전극체에 비축되어 있는 전기를 축전 소자(40)의 외부 공간에 도출하고, 또한, 전극체에 전기를 비축하기 위해서 축전 소자(40)의 내부 공간에 전기를 도입하기 위한 금속제의 전극 단자이다.
다음에, 단자 인접 부재(5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단자 인접 부재(50)와 축전 소자(40) 및 버스 바(60)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인접 부재(50)는, 복수의 축전 소자(40)[본 실시 형태에서는, 13개의 축전 소자(401∼413)]의 전극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부재이며, 위쪽에 복수의 버스 바(60)[본 실시 형태에서는, 11개의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4)가 배치된다. 단자 인접 부재(50)는, 도체 배치부(510∼550)를 가지고 있다.
먼저, 도체 배치부(510, 55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1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 부재(61)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도전 부재(61)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단부(端部)(X축 방향 플러스 측 및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에 접속되는 도전성 부재이다. 도전 부재(6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배치부(510)는, 도전 부재(61)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개구부 내에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의 볼트 부분이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양극 단자(430)에 도전 부재(61)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는 위쪽(Z축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벽이 형성되고, 도전 부재(61)가 다른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전 부재(61)의 타단부는, 외장체(10)의 전벽부(200)에 배치된 양극 측의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된다.
도체 배치부(55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 부재(63)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도전 부재(63)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단부(X축 방향 마이너스 측 및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13)의 음극 단자(440)에 접속되는 도전성 부재이다. 도전 부재(6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배치부(550)는, 도전 부재(63)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개구부 내에 축전 소자(413)의 음극 단자(440)의 볼트 부분이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음극 단자(440)에 도전 부재(63)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는 위쪽(Z축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벽이 형성되고, 도전 부재(63)가 다른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전 부재(63)의 타단부는, 외장체(10)의 전벽부(200)에 배치된 음극 측의 외부 접속 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에, 도체 배치부(5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20)는, 2개의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를 접속하는 버스 바(60)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버스 바(60)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인접하는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430)와 음극 단자(440)를 접속하는 도전 부재이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배치부(520)는 탑재부(521)와, 벽부(522)와, 돌기부(523)를 가지고 있고, 벽부(522)에 의해 개구부인 수용부(524)가 형성되어 있다.
탑재부(521)는, 버스 바(60)가 탑재되는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돌기부(523)는, 벽부(522)의 내면으로부터 수용부(524) 안쪽으로 돌출된 부위이며, 버스 바(60)의 위쪽에 배치된다. 돌기부(523)는, 탑재부(521)와 버스 바(60)를 협지하여, 버스 바(60)를 수용부(524) 내에서 고정시킨다.
벽부(522)는, 버스 바(60)가 탑재부(521)에 탑재된 경우에 버스 바(60)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벽이며, 위쪽(Z축 방향)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벽부(522)는, 버스 바(60)의 외주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버스 바(60)가 다른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버스 바(60)를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벽부(522)는, 위쪽(Z축 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의 2개의 코너부가 빠진 육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버스 바(60)는, 외주 형상이 상기 육각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버스 바(60)는, 외주 형상이 회전 대칭이 아닌 형상을 가지고 있고, 벽부(522)는, 상기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버스 바(60)가 잘못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용부(524)는, 벽부(522)로 둘러싸인 공간(개구부)이며, 버스 바(60)가 수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수용부(524)의 외주에 벽부(522)가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524)는, 위쪽(Z축 방향)에서 볼 때, 버스 바(60)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수용부(524)에, 인접하는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430)와 음극 단자(440)가 삽입되고, 버스 바(60)가 접속된다. 수용부(524)에 양극 단자(43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양극 단자(430)에 버스 바(60)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수용부(524)에 음극 단자(44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음극 단자(440)에 버스 바(60)의 타단부가 접속된다.
다음에, 도체 배치부(5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3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 부재(62)또는 버스 바(60)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배치부(530)에는 도전 부재(62)가 배치된다.
도전 부재(62)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X축 방향 플러스 측 및 Y축 방향 플러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06)의 음극 단자(440)와, X축 방향 마이너스 측 및 Y축 방향 플러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07)의 양극 단자(430)에 접속되는 도전성 부재이다. 즉, 도전 부재(62)는, 인접하지 않는 2개의 축전 소자(40)를 접속하는 부재이다. 도전 부재(6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도체 배치부(530)는 탑재부(531)와, 벽부(532)와, 돌기부(533)를 가지고 있고, 벽부(532)에 의해 제1 수용부(53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부(532)에는, 제1 도출부(535)가 형성되어 있다.
도체 배치부(530)는, 벽부(532)에 제1 도출부(535)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체 배치부(520)와 상이하지만, 도체 배치부(530)의 탑재부(531), 벽부(532), 돌기부(533) 및 제1 수용부(534)의 구성은, 도체 배치부(520)의 탑재부(521), 벽부(522), 돌기부(523) 및 수용부(524)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탑재부(531), 벽부(532), 돌기부(533) 및 제1 수용부(534)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탑재부(531)는, 버스 바(60)가 탑재 가능한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돌기부(533)는, 벽부(532)의 내면으로부터 제1 수용부(534)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이며, 버스 바(60)가 탑재부(531)에 탑재된 경우에, 버스 바(60)의 위쪽에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돌기부(533)는, 탑재부(531)와 버스 바(60)를 협지하여, 버스 바(60)를 제1 수용부(534) 내에서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버스 바(60)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벽부(532)는, 버스 바(60)가 탑재부(531)에 탑재된 경우에 버스 바(60)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벽이며, 위쪽(Z축 방향)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1 수용부(534)는 버스 바(60)를 수용할 수 있는, 벽부(532)로 둘러싸인 공간(개구부)이다. 즉, 제1 수용부(534)의 외주에 벽부(532)가 형성되어 있고, 제1 수용부(534) 내에 버스 바(60)를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버스 바(60)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제1 도출부(535)는, 도전 부재(62)를 제1 수용부(534)로부터 도출 가능하게 형성된 직사각형의 개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도출부(535)는, X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벽부(532)를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고, 제1 도출부(535) 내에 도전 부재(62)를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1 수용부(534)와 제1 도출부(535)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다. 제1 수용부(534)는, 도체 배치부(530)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이며, 제1 도출부(535)는, 도체 배치부(530)의 벽부(53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이다.
제1 도출부(535)는, X축 방향 플러스 측의 벽부(53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Y축 방향 플러스 측 또는 마이너스 측의 벽부(532)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도출부(535)는, 직사각형상의 절결(切欠)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의 절결이어도 되고, 절결이 아니고 직사각형상이나 원형상 등의 관통공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도체 배치부(5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4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 부재(62)또는 버스 바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배치부(540)에는, 도전 부재(62)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배치부(540)는, 탑재부(541)와 벽부(542)를 가지고 있고, 벽부(542)에 의해 제2 수용부(544)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542)에는, 제2 도출부(545)가 형성되어 있다.
탑재부(541)는, 버스 바가 탑재 가능한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벽부(542)는, 상기 버스 바가 탑재부(541)에 탑재된 경우에 상기 버스 바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벽이며, 위쪽(Z축 방향)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제2 수용부(544)는, 상기 버스 바를 수용 가능한, 벽부(542)로 둘러싸인 공간(개구부)이다. 즉, 제2 수용부(544)의 외주에 벽부(542)가 형성되어 있고, 제2 수용부(544) 내에 상기 버스 바를 배치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버스 바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제2 도출부(545)는, 도전 부재(62)를 제2 수용부(544)로부터 도출 가능하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도출부(545)는, X축 방향 플러스 측의 벽부(542)를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고, 제2 도출부(545) 내에 도전 부재(62)를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2 수용부(544)와 제2 도출부(545)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다. 즉, 제2 수용부(544)는, 도체 배치부(540)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고, 제2 도출부(545)는, 도체 배치부(540)의 벽부(54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이다.
그리고, 제2 도출부(545)는, X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벽부(54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Y축 방향 플러스 측 또는 마이너스 측의 벽부(542)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제2 도출부(545)는, 직사각형상의 절결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의 절결이어도 되고, 절결이 아니고 직사각형상이나 원형상 등의 관통공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복수의 축전 소자(40)[축전 소자(401∼413)]를,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4)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복수의 축전 소자(40)를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4)에 의해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은, 도 1에 나타낸 축전 장치(1)로부터, 상벽부(300) 및 배선 기판(70)을 떼어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복수의 축전 소자(40)를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4)에 의해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즉, 도 7은, 도 6에 나타낸 구성을 Z축 방향 플러스 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상면도이다.
외부 접속 단자(210)는, 축전 장치(1)의 외부와 접속하기 위한 단자이다. 외부 접속 단자(210)는, 양극 측 단자와 음극 측 단자를 가지고 있다. 도체 배치부(510)에 배치된 도전 부재(61)에 의해, 전벽부(200)에 설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된다. 도체 배치부(520)에 배치된 버스 바(60)에 의해, 축전 소자(401)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2)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되고, 동일하게 하여, 축전 소자(406)의 양극 단자(430)까지 접속된다.
도체 배치부(530 및 540)에 배치된 도전 부재(62)에 의하여, 축전 소자(406)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7)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된다. 도체 배치부(520)에 배치된 버스 바(60)에 의해, 축전 소자(407)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8)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되고, 동일하게 하여, 축전 소자(413)의 양극 단자(430)까지 접속된다.
도체 배치부(550)에 배치된 도전 부재(63)에 의하여, 축전 소자(413)의 음극 단자(440)와 주회로 기판(82)이 접속된다. 도전 부재(64)에 의하여, 주회로 기판(82)과, 전벽부(200)에 설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음극 측 단자가 접속된다. 도전 부재(6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13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축전 장치(1)는,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5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전 장치(1)는, 도전 부재(62) 대신에, 버스 바(60a 및 65)를 포함하고 있다. 축전 장치(1)는, 축전 소자(414)를 더하여, 14개의 축전 소자(40)[축전 소자(401∼414)]를 포함하고 있다.
버스 바(60a)는, 버스 바(60)와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고, 축전 소자(406)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60a)는 도체 배치부(530)의 탑재부(531)에 탑재되고, 돌기부(533)에 의해 제1 수용부(534) 내에서 고정된다.
제1 수용부(534)에, 인접하는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430)와 음극 단자(440)가 삽입되고, 버스 바(60a)가 접속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 수용부(534)에, 축전 소자(406)의 음극 단자(44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음극 단자(440)에 버스 바(60a)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제1 수용부(534)에,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양극 단자(430)에 버스 바(60a)의 타단부가 접속된다.
버스 바(65)는, 직사각형상의 버스 바이며,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7)의 양극 단자(430)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버스 바(65)는, 도체 배치부(540)의 탑재부(541)에 탑재되고, 제2 수용부(544) 내에서 고정된다.
도체 배치부(540)의 벽부(542)는, 버스 바(65)의 외주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버스 바(65)가 다른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버스 바(65)를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벽부(542)는, 위쪽(Z축 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버스 바(65)는, 외주 형상이 상기 직사각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2 수용부(544)는, 위쪽(Z축 방향)에서 볼 때, 버스 바(65)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상기 제2 수용부(544)에, 인접하는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430)와 음극 단자(440)가 삽입되고, 버스 바(65)가 접속된다. 제2 수용부(544)에,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음극 단자(440)에 버스 바(65)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제2 수용부(544)에, 축전 소자(407)의 양극 단자(43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양극 단자(430)에 버스 바(65)의 타단부가 접속된다.
도체 배치부(530)에 배치된 버스 바(60a)에 의해, 축전 소자(406)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된다. 또한, 도체 배치부(540)에 배치된 버스 바(65)에 의하여,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7)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축전 소자(406)(제1 축전 소자)와 축전 소자(414)(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는,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축전 소자(406)(제1 축전 소자)와 축전 소자(407)(제1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3 축전 소자)는, 인접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체 배치부(530)의 제1 수용부(534)는, 축전 소자(406)의 음극 단자(440)(제1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1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버스 바(60a)(제1 도전 부재)가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체 배치부(530)의 제1 도출부(535)는, 축전 소자(406)의 음극 단자(440)(제1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1 단자)와, 축전 소자(407)의 양극 단자(430)(제3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3 단자)를 접속하는 도전 부재(62)(제2 도전 부재)가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체 배치부(540)의 제2 수용부(544)는, 축전 소자(407)의 양극 단자(430)(제3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3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와는 상이한 쪽의 단자인 제4 단자)를 접속하는 버스 바(65)(제3 도전 부재)가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체 배치부(540)의 제2 도출부(545)는, 제1 도출부(535)보다 제2 수용부(544)의 근처에 배치근처에 배치근처에 배치2 도전 부재)가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축전 장치(1)가 13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축전 장치(1)는 축전 소자(414)(제2 축전 소자), 버스 바(60a)(제1 도전 부재) 및 버스 바(65)를 포함하지 않고, 도전 부재(62)(제2 도전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축전 장치(1)는, 도전 부재(62)(제2 도전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축전 소자(414)(제2 축전 소자), 버스 바(60a)(제1 도전 부재) 및 버스 바(65)를 포함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에 의하면, 단자 인접 부재(50)는,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 및 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534)와, 상기 제1 단자 및 제3 축전 소자의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제1 수용부(534)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535)를 가지고 있다. 즉, 제1 수용부(534)에 제1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고, 제1 도출부(535)에 제2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제3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가 접속되고 제2 축전 소자에 제3 축전 소자가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축전 소자를 떼어내어 제1 축전 소자에 제3 축전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축전 소자(40)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축전 소자(40)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변경해도 단자 인접 부재(50)이나 외장체(10) 등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축전 소자(40)의 개수가 상이한 축전 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단자 인접 부재(50)에 형성된 제1 수용부(534)와 제1 도출부(535)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다. 즉, 제1 수용부(534) 및 제1 도출부(535)를, 제2 축전 소자 및 제3 축전 소자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시킴으로써, 제1 수용부(534)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고, 제1 도출부(535)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제3 축전 소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단자 인접 부재(50)에 있어서, 제1 수용부(534)의 외주에는 벽부(532)가 형성되고, 벽부(532)에 제1 도출부(53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1 수용부(534)의 외주에 벽부(532)를 형성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제1 도출부(535)를 형성할 수 있다.
단자 인접 부재(50)는, 제3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544)와, 제3 축전 소자 및 제1 축전 소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제2 수용부(544)로부터 도출 가능한 제2 도출부(545)를 가지고 있다. 이로써, 예를 들면, 제3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가 접속되고 제2 축전 소자에 제1 축전 소자가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축전 소자를 떼어내어 제3 축전 소자에 제1 축전 소자를 접속함으로써, 축전 소자(40)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축전 소자(40)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축전 장치(1)는 제1 축전 소자와, 제1 축전 소자와는 인접하지 않는 제3 축전 소자가, 제2 도전 부재에 의해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즉, 통상은, 인접한 축전 소자(40)끼리 접속되지만,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인접하고 있지 않은 축전 소자(40) 간을 접속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축전 소자(40)의 배치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시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시켜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소자(414)를 떼어낸 경우에 축전 소자(406)와 축전 소자(407)를 접속하는 도전 부재(62)를 배치하기 위해, 도체 배치부(530)에 제1 도출부(535)가 형성되고, 도체 배치부(540)에 제2 도출부(5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제1 도출부(535) 및 제2 도출부(545) 양쪽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즉, 제1 도출부(535) 및 제2 도출부(545)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어도 된다. 분리 가능한 축전 소자는 축전 소자(414)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어느 축전 소자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 상기 분리 가능한 축전 소자에 대응하는 도체 배치부에, 도전 부재를 도출하는 도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수용부(534)와 제1 도출부(535), 및 제2 수용부(544)와 제2 도출부(545)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인 것으로 하였다. 제1 수용부(534)와 제1 도출부(535), 또는 제2 수용부(544)와 제2 도출부(545)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동일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배치부(530)의 벽부(532)에 제1 도출부(535)가 형성되고, 도체 배치부(540)의 벽부(542)에 제2 도출부(545)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제1 도출부(535)는 벽부(532) 이외의 개소(箇所)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2 도출부(545)는 벽부(542) 이외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장치(1)가 포함하는 축전 소자(40)의 개수는, 14개에서 1개 줄여 13개로 변경 가능한 구성인 것으로 하였다. 축전 장치(1)가 변경 가능한 축전 소자(4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4개에서 2개 줄여 12개로 변경 가능한 구성이거나, 그 이외의 개수로 변경 가능한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 단자 인접 부재에 제1 도출부나 제2 도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감소시키기 전의 축전 소자(40)의 개수에 대해서도, 14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소자(40)는 2열[축전 소자(401∼406) 및 축전 소자(414)와, 축전 소자(407∼413)의 2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대해서도, 3열 이상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 인접 부재(5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도 10은, 단자 인접 부재(50)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단자 인접 부재(50)와 축전 소자(40) 및 버스 바(60)와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 인접 부재(50)는, 복수의 축전 소자(40)[본 실시 형태에서는, 13개의 축전 소자(401∼413)]의 전극 단자 측에 배치되는 부재이며, 위쪽에, 복수의 버스 바(60)[본 실시 형태에서는, 12개의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3)가 배치된다. 단자 인접 부재(50)는, 도체 배치부(510)와, 도체 배치부(520)와, 12개의 도체 배치부(530)와, 도체 배치부(540)를 가지고 있다.
먼저, 도체 배치부(53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30)는, 2개의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를 접속하는 버스 바(60)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12개의 도체 배치부(530)의 각각에, 12개의 버스 바(60)의 각각이 배치되어 있다. 버스 바(60)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인접하는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430)와 음극 단자(440)를 접속하는 도전 부재이다. 도체 배치부(530)는 탑재부(531)와, 벽부(532)와, 돌기부(533)를 가지고 있고, 벽부(532)에 의해 개구부인 도체 수용부(534)가 형성되어 있다.
탑재부(531)는, 버스 바(60)가 탑재되는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돌기부(533)는, 벽부(532)의 내면으로부터 도체 수용부(534)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이며, 버스 바(60)의 위쪽에 배치된다. 돌기부(533)는, 탑재부(531)와 버스 바(60)를 협지하여, 버스 바(60)를 도체 수용부(534) 내에서 고정한다.
벽부(532)는, 버스 바(60)가 탑재부(531)에 탑재된 경우에 버스 바(60)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벽이며, 위쪽(Z축 방향)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벽부(532)는, 버스 바(60)의 외주 형상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버스 바(60)가 다른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한 버스 바(60)를 배치하기 위한 가이드의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
벽부(532)는, 위쪽(Z축 방향)에서 볼 때, 직사각형상, 또는 직사각형상의 2개의 코너부가 빠진 육각형상을 가지고 있고, 버스 바(60)는, 외주 형상이 상기 직사각형상 또는 육각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벽부(532) 및 버스 바(60)가 육각형상 등 회전 대칭이 아닌 형상을 가지는 경우에는, 벽부(532)는 버스 바(60)의 외주를 따라 형성되어 있으므로, 버스 바(60)가 잘못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체 수용부(534)는, 벽부(532)로 둘러싸인 공간(개구부)이며, 버스 바(60)가 수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체 수용부(534)의 외주에 벽부(532)가 형성되어 있다. 도체 수용부(534)는, 위쪽(Z축 방향)에서 볼 때, 버스 바(60)의 외주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있다.
이 도체 수용부(534)에, 인접하는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430)와 음극 단자(440)가 삽입되고, 버스 바(60)가 접속된다. 즉, 도체 수용부(534)에 양극 단자(43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양극 단자(430)에 버스 바(60)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또한, 도체 수용부(534)에 음극 단자(44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음극 단자(440)에 버스 바(60)의 타단부가 접속된다.
다음에, 도체 배치부(52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2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 부재(61)또는 후술하는 버스 바(60a)(도 14 및 도 15 참조)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배치부(520)에는, 도전 부재(61)가 배치된다.
도전 부재(61)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X축 방향 플러스 측 및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와, 외장체(10)의 전벽부(200)에 설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성 부재이다. 도전 부재(61)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와 외부 접속 단자(210)를 접속하는 부재이다. 도전 부재(61)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여기서, 도체 배치부(520)는 탑재부(521)와, 벽부(522)와, 돌기부(523)를 가지고 있고, 벽부(522)에 의해 도체 수용부(524)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522)에는, 제1 도출부(525)가 형성되어 있다.
도체 배치부(520)는, 벽부(522)에 제1 도출부(525)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서, 도체 배치부(530)와 상이하지만, 도체 배치부(520)의 탑재부(521), 벽부(522), 돌기부(523) 및 도체 수용부(524)의 구성은, 도체 배치부(530)의 탑재부(531), 벽부(532), 돌기부(533) 및 도체 수용부(534)의 구성과 동일하다. 이하에서, 탑재부(521), 벽부(522), 돌기부(523) 및 도체 수용부(524)의 상세한 구성에 대해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탑재부(521)는, 버스 바(60a)가 탑재 가능한 평판 형상의 부위이다. 돌기부(523)는, 벽부(522)의 내면으로부터 도체 수용부(524) 내측으로 돌출된 부위이며, 버스 바(60a)가 탑재부(521)에 탑재된 경우에, 버스 바(60a)의 위쪽에 배치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돌기부(523)는, 탑재부(521)와 버스 바(60a)를 협지하여, 버스 바(60a)를 도체 수용부(524) 내에서 고정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버스 바(60a)는 배치되어 있지 않다.
벽부(522)는, 버스 바(60a)가 탑재부(521)에 탑재된 경우에 버스 바(60a)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벽이며, 위쪽(Z축 방향)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도체 수용부(524)는, 버스 바(60a)를 수용할 수 있는, 벽부(522)로 둘러싸인 공간(개구부)이다. 즉, 도체 수용부(524)의 외주에 벽부(522)가 형성되어 있고, 도체 수용부(524)에 버스 바(60a)를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상기 버스 바(60a)는 배치되어 있지 않지만, 도체 수용부(524)에 버스 바(60a)가 배치된 경우에는, 버스 바(60a)는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와, 후술하는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도 14 및 도 15 참조)를 접속한다.
제1 도출부(525)는, 도전 부재(61)를 도체 수용부(524)로부터 도출 가능하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1 도출부(525)는,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벽부(522)를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고, 제1 도출부(525) 내에 도전 부재(61)를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체 수용부(524)와 제1 도출부(525)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다. 즉, 도체 수용부(524)는,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와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를 접속하는 버스 바(60a)를 수용할 수 있는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이며, 도체 배치부(520)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도출부(525)는,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로부터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를 향해 도전 부재(61)를 도출할 수 있는 단자 접속용 개구부이며, 도체 배치부(520)의 벽부(522)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와 단자 접속용 개구부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로 되어 있다.
제1 도출부(525)는, Y축 방향 플러스 측의 벽부(522)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X축 방향 플러스 측 또는 마이너스 측의 벽부(522)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도출부(525)는, 직사각형상의 절결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의 절결이어도 되고, 절결이 아니고 직사각형이나 원형상 등의 관통공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도체 배치부(5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1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후술하는 도전 부재(64)(도 14 및 도 15 참조)가 배치 가능하게 형성된 부위이다. 도체 배치부(510)에 도전 부재(64)가 배치되는 경우에는, 도전 부재(64)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단부(X축 방향 플러스 측 및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14)(도 14 및 도 15 참조)의 양극 단자(430)에 접속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배치부(510)에는, 도전 부재(64)는 배치되지 않지만, 이하에서는, 도체 배치부(510)에 도전 부재(64)가 배치되는 것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전 부재(64)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X축 방향 플러스 측 및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와, 외장체(10)의 전벽부(200)에 설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성 부재이다. 도전 부재(64)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와 외부 접속 단자(210)를 접속하는 부재이다. 도전 부재(64)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외부 접속 단자(210)는,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에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외부 접속 단자(210)는, 도전 부재(61)를 통하여,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며, 도전 부재(64)를 통하여,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와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체 배치부(510)는 벽부(511)를 가지고 있고, 벽부(511)에 의해 도체 수용부(51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벽부(511)에는, 제2 도출부(513)가 형성되어 있다.
벽부(511)는, 도전 부재(64)가 배치된 경우에 도전 부재(64)의 외주를 둘러싸는 환형의 벽이며, 위쪽(Z축 방향)을 향해 세워 설치되어 있다. 벽부(511)는, 도전 부재(64)가 다른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도체 수용부(512)는, 벽부(511)로 둘러싸인 공간(개구부)이며, 도전 부재(64)가 수용된다. 바꾸어 말하면, 도체 수용부(512)의 외주에 벽부(51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도체 수용부(512)에, 축전 소자(40)의 양극 단자(430)가 삽입되고, 도전 부재(61)가 접속된다. 즉, 도체 수용부(512)에 양극 단자(43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양극 단자(430)에 도전 부재(61)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제2 도출부(513)는, 도전 부재(64)를 도체 수용부(512)로부터 도출 가능하게 형성된 직사각형상의 개구이다. 구체적으로는, 제2 도출부(513)는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벽부(511)를 직사각형상으로 잘라내어 형성되어 있고, 제2 도출부(513) 내에 도전 부재(64)를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체 수용부(512)와 제2 도출부(513)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다. 즉, 도체 수용부(512)는, 도체 배치부(510)를 Z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이며, 제2 도출부(513)는, 도체 배치부(510)의 벽부(511)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개구부이다.
제2 도출부(513)는, Y축 방향 플러스 측의 벽부(511)를 Y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X축 방향 플러스 측 또는 마이너스 측의 벽부(511)를 X축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2 도출부(513)는, 직사각형상의 절결에 한정되지 않고, 반원 형상 등 어떠한 형상의 절결이어도 되고, 절결이 아니고 직사각형이나 원형상 등의 관통공이어도 상관없다.
다음에, 도체 배치부(54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40)의 구성은, 전술한 도체 배치부(510)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체 배치부(540)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에 접속되는 도전 부재(62)가 배치되는 부위이다. 도전 부재(62)는, 복수의 축전 소자(40) 중 단부(X축 방향 마이너스 측 및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에 배치된 축전 소자(413)의 음극 단자(440)에 접속되는 도전성 부재이다. 도전 부재(62)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도체 배치부(540)는, 도전 부재(62)의 일단부가 배치되는 직사각형상의 개구부[즉, 도체 배치부(510)의 도체 수용부(512) 및 제2 도출부(513)에 대응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개구부 내에 축전 소자(413)의 음극 단자(440)의 볼트 부분이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음극 단자(440)에 도전 부재(62)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는 위쪽(Z축 방향)으로 세워 설치된 벽[즉, 도체 배치부(510)의 벽부(511)에 대응하는 벽]이 형성되고, 도전 부재(62)가 다른 도전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도전 부재(62)의 타단부는, 주회로 기판(82) 및 도전 부재(63)를 통하여, 외장체(10)의 전벽부(200)에 설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음극 측 단자에 접속된다.
다음에, 복수의 축전 소자(40)[축전 소자(401∼413)]를,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3)에 의해 접속하는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는, 복수의 축전 소자(40)를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3)에 의해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에 나타낸 축전 장치(1)로부터, 상벽부(300) 및 배선 기판(70)을 떼어낸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복수의 축전 소자(40)를 버스 바(60) 및 도전 부재(61∼63)에 의해 접속한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나타낸 구성을 Z축 방향 플러스 측으로부터 본 경우의 상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체 배치부(520)에 배치된 도전 부재(61)에 의하여, 전벽부(200)에 설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된다. 도전 부재(61)는, 후술하는 축전 소자(414)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110)를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도전 부재(61)는, 축전 소자 수용부(110)에 인접하고 또한 축전 소자 수용부(110)를 협지하여 배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와 축전 소자(401)를 접속하고 있다.
축전 소자 수용부(110)는, 축전 소자(401)와 인접하는 위치, 또한 외부 접속 단자(210)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40)의 수용부이다. 즉, 축전 소자 수용부(110)는, 축전 소자(40)가 수용되는 공간 중, X축 방향 플러스 측 또한 Y축 방향 마이너스 측 단부의 공간이다.
도체 배치부(530)에 배치된 버스 바(60)에 의해, 축전 소자(401)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2)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되고, 동일하게 하여, 축전 소자(413)의 양극 단자(430)까지 접속된다. 도체 배치부(540)에 배치된 도전 부재(62)에 의하여, 축전 소자(413)의 음극 단자(440)와, 주회로 기판(82)이 접속된다.
도전 부재(63)에 의하여, 주회로 기판(82)과, 전벽부(200)에 설치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음극 측 단자가 접속된다. 도전 부재(63)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선(금속 배선)이지만, 금속제의 봉형 부재나 판형 부재 등, 어떠한 형상이어도 상관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13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 및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는, 후술하는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 및 양극 단자(430)에 접속되지 않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축전 장치(1)는, 13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부터,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하에,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1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대응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전 장치(1)는, 도전 부재(61) 대신에, 도전 부재(64) 및 버스 바(60a)를 포함하고 있다. 축전 장치(1)는, 축전 소자(414)를 더하여, 14개의 축전 소자(40)[축전 소자(401∼414)]를 포함하고 있다.
축전 소자(414)는, 축전 소자(401)와 인접하는 위치, 또한 외부 접속 단자(210)의 가장 근처(X축 방향 플러스 측 또한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다. 축전 소자(414)는, 축전 소자 수용부(110)에 수용됨으로써, 축전 장치(1) 내에 배치된다.
축전 소자(414)는,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와 접속 가능한 양극 단자(430)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와 접속 가능한 음극 단자(440)를 가지고 있다. 축전 소자(414)는, 축전 소자 수용부(110)에 수용된 상태에서,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 및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와 접속된다.
도전 부재(64)는,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를 접속한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배치부(510)의 도체 수용부(512)에,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양극 단자(430)에 도전 부재(64)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도전 부재(64)는, 제2 도출부(513)로부터 도출되어, 타단부가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에 접속된다.
버스 바(60a)는,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를 접속한다. 도체 배치부(520)에, 버스 바(60a)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도체 배치부(520)의 도체 수용부(524)에, 버스 바(60a)가 수용된다. 도체 수용부(524)에,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음극 단자(440)에 버스 바(60a)의 일단부가 접속된다. 도체 수용부(524)에,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의 볼트부가 삽입되고, 너트에 의해, 상기 양극 단자(430)에 버스 바(60a)의 타단부가 접속된다. 버스 바(60a)는, 버스 바(60)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하여, 도전 부재(64)에 의하여,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된다. 버스 바(60a)에 의해,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가 접속된다.
이상의 구성에 따르면, 축전 장치(1)에는,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접속 가능한 음극 단자(440)(제2 단자)를 가지는 축전 소자(414)(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11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 접속 단자(210)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와는 상이한 극성(역극성)의 제3 단자]에 접속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버스 바(60a)(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도체 수용부(52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제1 단자)와,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를 접속하는 도전 부재(61)(제2 도전 부재)를, 도체 수용부(524)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525)가 설치되어 있다.
축전 장치(1)가 13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전 부재(61)(제2 도전 부재)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를 접속한다.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 및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가,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 및 양극 단자(430)(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 및 제3 단자)에 접속되지 않고, 서로 접속된다.
축전 장치(1)가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도전 부재(64)(제3 도전 부재)가, 외부 접속 단자(210)의 양극 측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양극 단자(430)(제2 축전 소자의 제3 단자)를 접속한다. 또한, 버스 바(60a)(제1 도전 부재)가, 축전 소자(401)의 양극 단자(430)(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축전 소자(414)의 음극 단자(440)(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를 접속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접속 가능한 제2 단자를 가지는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110)와, 상기 제1 단자와 제2 축전 소자의 제3 단자에 접속 가능한 외부 접속 단자(210)를 포함하고 있다. 축전 소자 수용부(110)에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경우에는,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를 접속하고, 또한 제2 축전 소자의 제3 단자와 외부 접속 단자(210)를 접속한다. 축전 소자 수용부(110)에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지 않는 경우에는,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와 외부 접속 단자(210)를 접속한다. 이로써, 제2 축전 소자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변경해도 단자 인접 부재(50)나 외장체(10) 등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축전 소자(40)의 개수가 상이한 축전 장치(1)를 구성할 수 있다.
축전 장치(1)에 있어서, 14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부터, 13개의 축전 소자(4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변경하는 경우에는, 외부 접속 단자(210)와 접속되어 있던 축전 소자(414)를 떼어내게 된다. 떼어내는 대상의 축전 소자(40)를, 축전 소자(401∼412) 등 2개의 축전 소자(40) 사이의 축전 소자로 한 경우, 떼어낸 후의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 간은, 비용면 등에서 일반적으로는 버스 바가 아니고 배선에 의해 접속된다. 이 경우,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 간의 전압을 계측할 때, 배선은 버스 바보다 저항이 크기 때문에, 상기 전극 단자 간을 배선으로 연결하는 것이 버스 바로 연결하는 경우에 비해, 통전 시의 전압 드롭이 커지고, 전압 계측에 오차가 생긴다. 이런 점에서, 축전 장치(1)의 구성에 따르면,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변경해도, 2개의 축전 소자(40) 간의 접속을 버스 바채로 할 수 있으므로, 전압계 측의 정밀도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축전 장치(1)에 있어서, 단자 인접 부재(50)는,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 및 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도체 수용부(524)와, 상기 제1 단자 및 외부 접속 단자(210)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도체 수용부(524)로부터 도출 가능한 제1 도출부(525)를 가지고 있다. 도체 수용부(524)에 제1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고, 제1 도출부(525)에 제2 도전 부재를 배치하면, 제1 축전 소자에 외부 접속 단자(210)를 접속할 수 있다. 그러므로, 제1 축전 소자에 제2 축전 소자가 접속되고 제2 축전 소자에 외부 접속 단자(210)가 접속된 상태로부터, 제2 축전 소자를 떼어내어 제1 축전 소자에 외부 접속 단자(210)를 접속함으로써, 축전 소자(40)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축전 소자(40)의 장착 및 분리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으므로,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단자 인접 부재(50)에 형성된 도체 수용부(524)는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이며, 제1 도출부(525)는 단자 접속용 개구부이며, 이들 2개의 개구부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도체 수용부(524)를, 제2 축전 소자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시킴으로써, 도체 수용부(524)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제2 축전 소자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1 도출부(525)를 외부 접속 단자(210)의 방향을 향하여 개구시킴으로써, 제1 도출부(525)를 통하여 제1 축전 소자 및 외부 접속 단자(210)를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단자 인접 부재(50)에 있어서, 도체 수용부(524)의 외주에는 벽부(522)가 형성되고, 벽부(522)에 제1 도출부(525)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도체 수용부(524)의 외주에 벽부(522)를 형성한 경우라도, 용이하게 제1 도출부(525)를 형성할 수 있다.
단자 인접 부재(50)는, 외부 접속 단자(210)와 제2 축전 소자의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도출할 수 있는 제2 도출부(513)를 더 가지고 있다. 이로써, 제2 축전 소자를 장착할 때, 용이하게 외부 접속 단자(210)에 제2 축전 소자를 접속할 수 있다.
축전 소자 수용부(110)는, 제1 축전 소자와 인접하는 위치, 또한 외부 접속 단자(210)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므로, 축전 소자 수용부(110)에 제2 축전 소자를 수용할 때, 제2 축전 소자를 제1 축전 소자 및 외부 접속 단자(210)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제1 축전 소자의 제1 단자 및 외부 접속 단자(210)는, 제2 축전 소자의 제2 단자 및 제3 단자에 접속되지 않고, 서로 접속되어 있다. 즉, 축전 장치(1)에 있어서,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110)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지 않고, 제1 축전 소자와 외부 접속 단자(210)가 접속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축전 장치(1)에 의하면, 축전 소자(40)의 개수를 수용 가능한 개수로부터 저감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축전 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제시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를 임의로 조합시켜 구축되는 형태도,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배치부(520)에 제1 도출부(525)가 형성되고, 도체 배치부(510)에 제2 도출부(5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도전 부재(61 또는 64)를 도출할 수 있는 구성이면, 제1 도출부(525) 및 제2 도출부(513)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수용부(524)와 제1 도출부(525), 및 도체 수용부(512)와 제2 도출부(513)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인 것으로 하였다. 도체 수용부(524)와 제1 도출부(525), 또는 도체 수용부(512)와 제2 도출부(513)는, 단자 인접 부재(50)의 상이한 부분을 같은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도체 배치부(520)의 벽부(522)에 제1 도출부(525)가 형성되고, 도체 배치부(510)의 벽부(511)에 제2 도출부(51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제1 도출부(525)는 벽부(522) 이외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제2 도출부(513)는 벽부(511) 이외의 개소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장치(1)는, 축전 소자(414)를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구성인 것으로 하였다.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축전 소자는 축전 소자(414)에 한정되지 않고, 축전 소자(413)라도 상관없다. 장착 및 분리 가능한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는, 외부 접속 단자(210)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는 수용부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경우, 축전 소자(413)에 대응하는 도체 배치부에, 도전 부재를 도출하는 도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장치(1)가 포함하는 축전 소자(40)의 개수는, 14개에서 1개 줄여 13개로 변경 가능한 구성인 것으로 하였다. 축전 장치(1)가 변경 가능한 축전 소자(40)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14개에서 2개 줄여 12개로 변경 가능한 구성이거나, 그 이외의 개수로 변경 가능한 구성이라도 상관없다. 예를 들면, 2개 감소시키는 경우에는, 감소시키는 대상의 축전 소자(40)는, 축전 소자(414 및 401), 또는 축전 소자(414 및 413) 등이 고려된다. 이 경우, 대응하는 도체 배치부에 도전 부재를 도출하는 도출부를 형성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장치(1)는, 14개의 축전 소자(40)를 수용할 수 있는 구성인 것으로 하였으나, 수용 가능한 축전 소자(40)의 개수는, 14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개수라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소자(40)는 2열[축전 소자(401∼406) 및 축전 소자(414)와, 축전 소자(407∼413)의 2열]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대해서도, 1열 또는 3열 이상 배치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축전 소자(40)[축전 소자(401∼413) 및 축전 소자(414)]는, 예를 들면, 도 7(또는 도 9)에 있어서, 용기 커버부(421)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을 향하도록[용기(420)의 긴 측면이 XZ 평면과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 하였다. 축전 소자(40)는, 용기 커버부(421)의 길이 방향이 Y축 방향을 향하도록[용기(420)의 긴 측면이 YZ 평면에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축전 소자(40)가 수용되는 공간 중, X축 방향 플러스 측 또한 Y축 방향 마이너스 측의 단부의 공간을 축전 소자 수용부(110)로 하여, 상기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축전 소자 수용부(110)에 수용되는 축전 소자를 축전 소자(414)로 하고, 축전 소자(414)에 인접하여 축전 소자(401)가 배치되는 것으로 하고, 외부 접속 단자(210)가 축전 소자(414)와 축전 소자(401)에 접속 가능한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경우, 축전 소자 수용부(110)는, 축전 소자(401)와 인접하는 위치, 또한 외부 접속 단자(210)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의 수용부로 된다. 이 경우, 축전 소자(40)의 개수, 배치 위치나 접속 형태(직렬 접속 또는 병렬 접속)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축전 소자(40)는, 용기 커버부(421)의 길이 방향이 X축 방향 및 Y축 방향과는 상이한 방향(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부터 경사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축전 소자 수용부(110)는, 외부 접속 단자(210)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는 구성이 아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축전 장치(1)로서 실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축전 장치(1)가 포함하는, 축전 소자(40)의 전극 단자 측에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50)로서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전 소자의 개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축전 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다.
1 : 축전 장치
10 : 외장체
20 : 저면 인접 부재
40, 401∼414 : 축전 소자
50 : 단자 인접 부재
60, 60a, 65 : 버스 바
61∼64 : 도전 부재
70 : 배선 기판
81 : 계측 기판
82 : 주회로 기판
100 : 외장체 본체
200 : 전벽부
210 : 외부 접속 단자
300 : 상벽부
410 : 용기
420 : 용기 커버부
430 : 양극 단자
440 : 음극 단자
510∼550 : 도체 배치부
521, 531, 541 : 탑재부
522, 532, 542 : 벽부
523, 533 : 돌기부
524 : 수용부
534 : 제1 수용부
535 : 제1 도출부
544 : 제2 수용부
545 : 제2 도출부
10 : 외장체
20 : 저면 인접 부재
40, 401∼414 : 축전 소자
50 : 단자 인접 부재
60, 60a, 65 : 버스 바
61∼64 : 도전 부재
70 : 배선 기판
81 : 계측 기판
82 : 주회로 기판
100 : 외장체 본체
200 : 전벽부
210 : 외부 접속 단자
300 : 상벽부
410 : 용기
420 : 용기 커버부
430 : 양극 단자
440 : 음극 단자
510∼550 : 도체 배치부
521, 531, 541 : 탑재부
522, 532, 542 : 벽부
523, 533 : 돌기부
524 : 수용부
534 : 제1 수용부
535 : 제1 도출부
544 : 제2 수용부
545 : 제2 도출부
Claims (11)
- 양극 또는 음극의 단자인 제1 단자를 가지는 제1 축전 소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의 상기 제1 단자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 및 상기 제2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3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상기 제1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를 가지는,
축전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부와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단자 인접 부재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인, 축전 장치.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1 수용부의 외주에 형성된 벽을 더 가지고,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벽에 형성되어 있는, 축전 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3 단자와, 상기 제2 축전 소자의 상기 제2 단자와는 상이한 쪽의 단자인 제4 단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제2 수용부와,
상기 제1 도출부보다 상기 제2 수용부의 근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도전 부재를, 상기 제2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2 도출부를 더 가지는, 축전 장치.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전 소자는, 상기 제1 축전 소자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이며,
상기 제3 축전 소자는, 상기 제1 축전 소자와 인접하는 위치와는 상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이며,
상기 축전 장치는,
상기 제2 축전 소자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3 축전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 부재를 포함하지 않고 상기 제2 도전 부재를 포함하는, 축전 장치. - 양극 또는 음극의 단자인 제1 단자를 가지는 제1 축전 소자,
외부 접속 단자, 및
상기 제1 축전 소자의 상기 제1 단자 측에 배치되는 단자 인접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1 축전 소자와는 상이한 제2 축전 소자가 가지는 제2 단자를 접속하는 제1 도전 부재를 수용할 수 있는 도체 수용부와,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접속하는 제2 도전 부재를, 상기 도체 수용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는 제1 도출부를 가지는,
축전 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 수용부는, 상기 제1 단자와 상기 제2 단자를 접속하는 버스 바를 상기 제1 도전 부재로서 수용할 수 있는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이며,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제1 단자로부터 상기 외부 접속 단자를 향하여 상기 제2 도전 부재를 도출할 수 있는 단자 접속용 개구부이며,
상기 버스 바 배치용 개구부와 상기 단자 접속용 개구부는, 상기 단자 인접 부재의 상이한 부분을 상이한 방향으로 관통한 개구부인, 축전 장치. -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도체 수용부의 외주에 형성된 벽을 더 가지고,
상기 제1 도출부는, 상기 벽에 형성되어 있는, 축전 장치. -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인접 부재는, 상기 외부 접속 단자와 상기 제3 단자를 접속하는 제3 도전 부재를 도출할 수 있는 제2 도출부를 더 가지는, 축전 장치. -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축전 소자가 수용되는 축전 소자 수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축전 소자 수용부는, 상기 제1 축전 소자와 인접하는 위치, 또한 상기 외부 접속 단자의 가장 근처에 배치되는 축전 소자의 수용부인, 축전 장치. -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자 및 상기 외부 접속 단자는, 상기 제2 단자 및 상기 제3 단자에 접속되지 않고, 서로 접속되어 있는, 축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132240 | 2015-06-30 | ||
JP2015132240A JP6606888B2 (ja) | 2015-06-30 | 2015-06-30 | 蓄電装置 |
JP2015182300A JP6682786B2 (ja) | 2015-09-15 | 2015-09-15 | 蓄電装置及び端子側配置部材 |
JPJP-P-2015-182300 | 2015-09-15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003399A true KR20170003399A (ko) | 2017-01-09 |
Family
ID=56148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4362A KR20170003399A (ko) | 2015-06-30 | 2016-06-15 | 축전 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0615394B2 (ko) |
EP (1) | EP3113249A1 (ko) |
KR (1) | KR20170003399A (ko) |
CN (1) | CN106328877B (ko) |
TW (1) | TWI733682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80205059A1 (en) * | 2017-01-16 | 2018-07-19 | Gs Yuasa International Ltd. | Method of manufacturing energy storage apparatus, energy storage device, and energy storage apparatus |
JP6741215B2 (ja) * | 2017-01-20 | 2020-08-1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接続モジュール |
KR102169631B1 (ko) * | 2017-03-21 | 2020-10-2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배터리 모듈, 이러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이러한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자동차 |
WO2019017131A1 (ja) * | 2017-07-20 | 2019-01-24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電池パック |
JP7180407B2 (ja) * | 2019-01-24 | 2022-11-30 | Tdk株式会社 | 電池パック |
US11070941B2 (en) | 2019-07-12 | 2021-07-20 | Cisco Technology, Inc.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proximity as a service in a heterogeneous network of independent system components |
JPWO2021079937A1 (ko) * | 2019-10-23 | 2021-04-29 | ||
WO2021079935A1 (ja) * | 2019-10-23 | 2021-04-29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装置 |
US20220336908A1 (en) * | 2020-01-08 | 2022-10-20 | Lg Energy Solution, Ltd. | Battery Pack, Electronic Device and Vehicle |
CN113632301B (zh) * | 2020-05-18 | 2023-07-04 | 东莞新能安科技有限公司 | 电池箱体、电池组及电池箱 |
US11456499B1 (en) * | 2021-05-13 | 2022-09-27 | Beta Air, Llc | Systems and methods of use for a battery pack enclosur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25583A (ja) | 2009-02-24 | 2010-10-07 | Yazaki Corp | 組電池冷却構造 |
Family Cites Families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183015A (ja) | 1993-12-24 | 1995-07-21 | Rinnai Corp | 電池ケースの配設構造 |
JPH09199097A (ja) | 1996-01-23 | 1997-07-31 | Sony Corp | 電池ケース |
JPH1012204A (ja) | 1996-06-20 | 1998-01-16 | Nippon Electric Ind Co Ltd | 充電式電動工具の電池パック |
JP4374809B2 (ja) | 2001-08-07 | 2009-12-02 | 新神戸電機株式会社 | 組電池 |
JP2004031049A (ja) | 2002-06-25 | 2004-01-29 | Yazaki Corp | バッテリ接続プレート |
JP4516741B2 (ja) | 2003-12-10 | 2010-08-04 | Necインフロンティア株式会社 | 一次電池及び二次電池向け互換実装型電池ボックス |
JP4057629B1 (ja) | 2006-11-13 | 2008-03-05 | 株式会社パワーシステム | 蓄電バンク |
US8483076B2 (en) | 2008-08-18 | 2013-07-09 | Qualcomm Incorporated | A-periodic PUCCH transmission on PUSCH |
JP5537111B2 (ja) * | 2009-09-30 | 2014-07-02 | 株式会社東芝 | 二次電池装置 |
KR101223520B1 (ko) * | 2010-11-10 | 2013-01-17 |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 전지 모듈 |
JP5880930B2 (ja) | 2011-01-28 | 2016-03-09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電池接続アセンブリ |
JP2012204296A (ja) | 2011-03-28 | 2012-10-22 | Gs Yuasa Corp | 組電池、単電池、及びキャップ |
JP5077457B2 (ja) | 2011-03-28 | 2012-11-21 | 株式会社Gsユアサ | 組電池 |
JP2013020841A (ja) | 2011-07-12 | 2013-01-31 | Sharp Corp | 電池ホルダ |
JP5772524B2 (ja) | 2011-11-11 | 2015-09-02 |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 電池配線モジュール |
JP6200675B2 (ja) * | 2012-04-13 | 2017-09-20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電池ブロック及び二次電池モジュール |
JP6085140B2 (ja) | 2012-11-01 | 2017-02-22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バスバモジュールの電線配索構造 |
KR20140100098A (ko) * | 2013-02-05 | 2014-08-1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팩 |
CN104183808B (zh) * | 2013-05-21 | 2016-09-07 | 华为技术有限公司 | 电池组件及电池模块 |
JP6118178B2 (ja) * | 2013-05-30 | 2017-04-19 | 矢崎総業株式会社 |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
JP6182992B2 (ja) | 2013-06-14 | 2017-08-23 | 株式会社Gsユアサ | 蓄電モジュール |
JP6257951B2 (ja) | 2013-08-09 | 2018-01-10 | 株式会社東芝 | 電池モジュール |
JP6180848B2 (ja) | 2013-08-23 | 2017-08-16 |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 組電池のブスバおよび組電池 |
JP2014112546A (ja) | 2014-01-10 | 2014-06-19 | Gs Yuasa Corp | 組電池、単電池、及びキャップ |
-
2016
- 2016-06-15 KR KR1020160074362A patent/KR20170003399A/ko unknown
- 2016-06-21 EP EP16175367.8A patent/EP3113249A1/en active Pending
- 2016-06-23 US US15/191,338 patent/US10615394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6-29 TW TW105120395A patent/TWI733682B/zh active
- 2016-06-30 CN CN201610511100.XA patent/CN106328877B/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225583A (ja) | 2009-02-24 | 2010-10-07 | Yazaki Corp | 組電池冷却構造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10615394B2 (en) | 2020-04-07 |
US20170005314A1 (en) | 2017-01-05 |
CN106328877A (zh) | 2017-01-11 |
TW201707254A (zh) | 2017-02-16 |
TWI733682B (zh) | 2021-07-21 |
EP3113249A1 (en) | 2017-01-04 |
CN106328877B (zh) | 202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70003399A (ko) | 축전 장치 | |
JP7196950B2 (ja) | 蓄電装置 | |
CN110710025B (zh) | 带有改进的组装结构的电池组 | |
US8080332B2 (en) | Battery pack including cylindrical cells arranged in two rows and two layers | |
US7638234B2 (en) | Battery pack including ultrasonic welding surfaces | |
US10593913B2 (en) | Energy storage apparatus for suppressing adverse effects exerted on circuit boards | |
CN107104211B (zh) | 蓄电装置以及蓄电装置的制造方法 | |
CN105406141B (zh) | 蓄电装置 | |
JP2017130289A (ja) | 蓄電装置 | |
JP7014504B2 (ja) |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 |
US10084210B2 (en) | Electrochemical cell module | |
US20140295215A1 (en) | Energy storage apparatus | |
JP6682786B2 (ja) | 蓄電装置及び端子側配置部材 | |
KR20170050092A (ko) | 전지팩의 퓨즈 조립 구조 | |
JP2017059502A (ja) | 蓄電装置 | |
JP6627286B2 (ja) | 蓄電装置 | |
JP6606888B2 (ja) | 蓄電装置 | |
JP6627285B2 (ja) | 蓄電装置 | |
JP2017059503A (ja) | 蓄電装置及び蓄電装置の製造方法 | |
JP6686333B2 (ja) | 蓄電装置 | |
JP2014216151A (ja) | 蓄電装置及び蓄電素子 | |
JP6330589B2 (ja) | 蓄電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