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38432A - 플러그 커넥터 - Google Patents

플러그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38432A
KR20160138432A KR1020167026777A KR20167026777A KR20160138432A KR 20160138432 A KR20160138432 A KR 20160138432A KR 1020167026777 A KR1020167026777 A KR 1020167026777A KR 20167026777 A KR20167026777 A KR 20167026777A KR 20160138432 A KR20160138432 A KR 20160138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nap
plug
connector
contact element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위르겐 랩폰
Original Assignee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에르니 프로덕션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60138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2Resilient sockets forked sockets having two le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는 하우징(200)과 잠금 요소를 통해 상기 하우징(200) 내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 요소(100)를 수용한 적어도 하나의 챔버(201)를 포함하고,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접촉 요소에 배치된 잠금 후크이며, 상기 잠금 후크는 그것에 맞추어져 있는 개구부안의 상기 하우징안에서 잠금상태에 있을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상기 접촉 요소의 스프링 접촉들이 U자 형태로 굽어 있는 시트 금속의 다리들로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접촉 요소이고 , 상기 스냅 인 요소는 U자 형태로 굽어 있는 상기 시트 금속 상에 뚜껑 방식, 즉, 그것이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의 전방 영역에 도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러그-인 커넥터{Plug-in connector}
본 발명은 플러그 인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 부재의 안정적 삽입과 잠금 해제를 방지하기 위한 플러그 인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2차 잠금 장치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는 예를 들어 DE 20 2006 010 308 U1를 따른다.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플러그-인 커넥터의 기초 요소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를 포함하고, 맞물림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접촉 요소 안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2차 잠금 리세스가 제공되고, 2차 잠금 요소의 잠금 캠은 상기 2차 잠금 요소의 잠금 위치에 맞물리게 된다.
상기 접촉 요소는 스프링 접촉 요소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안에서의 부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 안에서 대응되는 잠금 개구부에 맞물리고, 두개의 스프링 접촉들을 연결하는 U 자 형태의 연결판 상에 배치되는 잠금 후크가 제공된다.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U자 형태의 연결판으로부터 펀치 아웃(punch out)된다.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U자 형태의 연결판으로부터 스프링과 같은 방식으로 튀어나오고, 그것의 걸림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안에서 상기 개구부에 맞물리며, 이로서 상기 하우징 안에서 상기 스프링 접촉들과 상기 U 자 형태의 연결판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한 부착은 오직 제한된 인장력 만을 허용하게 된다. 나아가, 그것은 장착 프로세스에 많은 힘을 요하게 한다. 또한, 상기 U자 형태의 연결판으로부터 펀치 아웃(punch out) 되는 후크로서 상기 잠금 후크의 제작과정은 상당한 양의 작업을 수반하게 된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플러그-인 커넥터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에 포함되는 스냅 인 요소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 사이의 상기 U자 형태의 연결판 안에 상기 스프링 접촉들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에 배치되지 않고, 대신에 스프링 접촉들 위에 배치되며, 즉, 스냅 인 요소는 U자 형태로 구부러진 시트 금속 상에 뚜껑 방식(lid-like manner)으로 배치되며, 그것은 또한 스프링 접촉의 전방 영역까지 도달하도록 한다.
그러한 형성은 더욱 쉽고 빠른 제조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스냅 인 요소를 보다 큰 사이즈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스냅 인 요소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 위로 뚜껑 방식(lid-like manner)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보다 넓게 설계될 수 있고, 이러한 사실과 상기 스프링 접촉들 위에의 그것의 배치로 인해, 또한 U자 형태의 연결판 안에 배치되는 스냅 인 요소와 비교하여 추출력(extraction force)에 대하여 상당히 강하게 저항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개량들은 종속항에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스냅 인 요소는 잠금 후크를 가지고, 잠금 후크의 벤딩 영역은 상기 스프링 접촉들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개구부들을 향해 있는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접촉 개구부들의 영역 내에 배치되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스냅 인 요소보다 넓다. 따라서, 보다 높은 벤딩 힘과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보다 나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상기 긴 후크 자체가 구부러지는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냅 인 요소는 실질적으로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비딩(beading)을 가지도록 한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은 상기 스냅 인 요소를 향해 있는 측에, 비체결 상태에 있는 잠금 후크를 위해 경사지게 위치한 지지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냅 인 요소는 그 자체로서 상기 스프링 접촉들 상에서 그 목적을 위해 제공된 상기 잠금 개구부 안으로 걸리는 지점까지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지지 표면은 상기 스냅 인 요소의 벤딩 각도를 매우 바람직하게 제한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스냅 인 요소가 오버벤딩으로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접촉들을 향해 있는 측에서, 상기 스냅 인 요소 자체는 칼날 접촉 요소를 위한 지지 표면을 가진다. 상기 칼날 접촉 요소와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칼날 접촉 요소 상에 놓여지고, 또한,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의 상기 U 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는 그것의 직육면체 형태의 외형이 "뚜껑", 즉, 상기 스냅 인 요소에 의해 닫히게 됨으로써, 상기 잠금 후크가 상기 잠금 개구부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인 커넥터는 DE 20 2006 010 308 U1에 기술된 바와 같은 2차 잠금 장치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들 상의 상기 스냅 인 요소의 배치를 통해, 상기 스냅 인 요소는 동시에 상기 2차 잠금 장치의 그 어떠한 작동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2차 잠금 장치는 매우 바람직하게 잠금 해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와 상기 스냅 인 요소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용이한 제조를 위하여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와 상기 스냅 인 요소가 단일의 펀치 부재(single punched part)로부터 형성되고 복수의 횟수로 구부러지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인 커넥터에 의하면, 하우징(200)과 잠금 요소를 통해 상기 하우징(200) 내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 요소(100)를 수용한 적어도 하나의 챔버(201)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접촉 요소(100)에 배치되어 있고 그것에 맞추어져 있는 개구부(240) 안에서 상기 하우징(200) 내에 위치 고정되어 잠길 수 있는 스냅 인 요소(140)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상기 접촉 요소의 스프링 접촉들(110, 120)이 U자 형태로 굽어 있는 시트 금속의 다리들로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접촉 요소이고,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U자 형태로 굽어 있는 상기 시트 금속 상에 뚜껑 방식(lid-like manner), 즉, 그것이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의 전방 영역에 도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잠금 후크(142)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후크(142)의 벤딩 영역(143)은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개구부를 향해 있는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벤딩 영역(143)은 상기 잠금 후크(142)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실질적으로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비딩 (beading)(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은, 상기 스냅 인 요소(140)를 향해 있는 측면상에, 비걸림 상태에 있는 상기 스냅 인 요소(140)를 위해 경사지게 위치한 지지 표면들(112, 1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을 향해 있는 측면상에 날 접촉 요소(500)를 위한 지지 표면(14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잠금 장치를 잠금해제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와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와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단일의 펀치 부재(single punched part)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관련 기술분야에서 알려진 플러그-인 커넥터와 대조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에 포함되는 스냅 인 요소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 사이의 상기 U자 형태의 연결판 안에 상기 스프링 접촉들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에 배치되지 않고, 대신에 스프링 접촉들 위에 배치되며, 즉, 스냅 인 요소는 U자 형태로 구부러진 시트 금속 상에 뚜껑 방식(lid-like manner)으로 배치되며, 그것은 또한 스프링 접촉의 전방 영역까지 도달한다
그러한 형성은 더욱 쉽고 빠른 제조를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스냅 인 요소를 보다 큰 사이즈로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 스냅 인 요소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 위로 뚜껑 방식(lid-like manner)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그 자체로서, 보다 넓게 설계될 수 있고, 이러한 사실과 상기 스프링 접촉들 위에의 그것의 배치로 인해, 또한 U자 형태의 연결판 안에 배치되는 스냅 인 요소와 비교하여 추출력(extraction force)에 대하여 상당히 강하게 저항할 수 있게 해준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개량들은 종속항에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예로서, 상기 스냅 인 요소는 잠금 후크를 가지고, 잠금 후크의 벤딩 영역은 상기 스프링 접촉들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개구부들을 향해 있는 측에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잠금 후크는 상기 접촉 개구부들의 영역 내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스냅 인 요소보다 넓다. 따라서, 보다 높은 벤딩 힘과 향상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나은 안정성을 제공하고 상기 긴 후크 자체가 구부러지는 위험성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냅 인 요소는 실질적으로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비딩(beading)을 가진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은 상기 스냅 인 요소를 향해 있는 측에, 비체결 상태에 있는 잠금 후크를 위해 경사지게 위치한 지지 표면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스냅 인 요소는 그 자체로서 상기 스프링 접촉들 상에서 그 목적을 위해 제공된 상기 잠금 개구부 안으로 걸리는 지점까지 놓여지게 된다. 이러한 지지 표면은 상기 스냅 인 요소의 벤딩 각도를 매우 바람직하게 제한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스냅 인 요소가 오버벤딩으로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접촉들을 향해 있는 측에서, 상기 스냅 인 요소 자체는 칼날 접촉 요소를 위한 지지 표면을 가진다. 상기 칼날 접촉 요소와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가 맞물린 상태에서, 상기 지지 표면은 상기 칼날 접촉 요소 상에 놓여지고, 또한,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의 상기 U 자 형태의 단면을 갖는 상기 개구부에 형성되는 그것의 직육면체 형태의 외형이 "뚜껑", 즉, 상기 스냅 인 요소에 의해 닫히게 됨으로써, 상기 잠금 후크가 상기 잠금 개구부로부터 걸림 해제되는 것을 피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인 커넥터는 DE 20 2006 010 308 U1에 기술된 바와 같은 2차 잠금 장치를 더 가질 수 있다.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들 상의 상기 스냅 인 요소의 배치를 통해, 상기 스냅 인 요소는 동시에 상기 2차 잠금 장치의 그 어떠한 작동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2차 잠금 장치는 매우 바람직하게 잠금 해제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와 상기 스냅 인 요소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용이한 제조를 위하여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와 상기 스냅 인 요소가 단일의 펀치 부재(single punched part)로부터 형성되고 복수의 횟수로 구부러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프링 접촉 요소의 등측도에 의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에 도시한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냅 인 요소의 비잠금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냅 인 요소의 잠금 상태에 대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플러그-인 커넥터의 칼날 접촉 요소와의 플러그-인 커넥션이 수행된 이후를 도시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 인 커넥터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인 커넥터의 스프링 접촉 요소, 전반적으로 100으로 참조되는 것은 도 1에 도시한 스프링 접촉들(110, 120)로 구현된 두개의 접촉 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프링 접촉들(110, 120)은 공지된 방식으로 칼날 접촉 요소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도 6 참조).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은 연결판(130)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은 상기 연결판(130)과 함께 U자 형태를 가진다. 이러한 U자 형태의 배치는 뚜껑 방식(lid-like manner)으로 스냅 인 요소(140)에 의해 덮여 있으며, 이로 인하여, 상기 뚜껑과 함께, 상기 U자 형태의 윤곽은 단면에서 정사각형 윤곽으로 형성된다.
공지된 방식으로 리츠선(litz wire)을 수용 및 크림핑(crimping)하기 위해 제공되는 크림프(crimp) 영역(160)은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에 부착된다. 상기 크림프 영역(160)에 부착된 변형 완화부(162)는 리츠선들에 의해 형성된 케이블의 단열 피복재를 수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상기 U자 형태의 윤곽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의 접촉캡들(contact caps)(111, 121)로부터 벗어난 측에 부착되고, 예를 들어, 그것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것은 편평한 금속 시트를 3번 직각으로 구부리는 펀칭 과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는데, 처음에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을 생성하기 위해, 그리고 나서, 그것들 위에 뚜껑 방식(lid-like manner)으로 배치되는 상기 스냅 인 요소(140)를 형성하기 위한 펀칭 과정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길이방향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연장된 스냅 인 요소(140)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비딩(beading)(141)을 포함한다. 상기 접촉캡들(111, 121)을 향한 선단(front end)에 있어서, 상기 스냅 인 요소(140)에 잠금 후크(142)가 형성된다. 그것의 기능에 대해서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은 그것들의 상측에 있어서, 즉, 상기 스냅 인 요소(140)를 향해 있는 에지 상에 있어서, 경사지고 상기 스냅 인 요소를 위한 지지 표면들로서 형성되는 표면들(112, 122)을 가진다. 도 2 및 도 1에서 구체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상기 잠금 후크(142)의 영역에 벤딩 영역(143)을 포함하는데, 상기 벤딩 영역(143)은 상기 스냅 인 요소(140) 자체보다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것은 상기 잠금 후크(142)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고, 결과적으로 상기 플러그-인 커넥터 하우징으로부터의 추출력(extraction force)을 향상시기 위한 목적을 위한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플러그-인 커넥터,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200) 내의 상술한 스프링 접촉 요소(100)의 배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걸림 목적으로 제공된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부(240) 내에 아직 걸리지 않은 상태의 상기 스냅 인 요소(140)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의 형태인 상기 전기적 접촉 요소는 상기 하우징(200)의 챔버(201) 내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200)은 상기 케이블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204)와 상기 플러그 측에 위치하는 개구부(202)를 갖는다. 상기 플러그 측에 위치하는 상기 개구부(202)는 공지된 방식으로 상기 칼날 접촉 요소를 플러그-인(plugging-in) 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개구부(204)는 상기 케이블(미도시)을 상기 하우징(200)으로부터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는 후측, 즉, 상기 개구부(204)로부터 상기 하우징(200) 안으로 삽입되는데, 초기에는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아직 걸려 있지 않다. 대신에, 그것은 아래방향으로 구부러지고 상기 지지 표면들(112, 122) 상에 놓여진다. 상기 방식으로 놓여짐으로써, 상기 스냅 인 요소(140)가 구부러지는 경우가 제한되고, 이로써, 과하게 구부러짐(overbending)으로 인해 상기 스냅 인 요소(140)에 야기될 수 있는 임의의 손상 또한 피하게 된다.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가 상기 하우징(200) 안으로 완전히 삽입된 이후에, 상기 스냅 인 요소(140)의 완전한 캐칭(catching)이 일어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잠금 후크(142)는 상기 목적을 위해 제공된 상기 하우징(200)의 개구부(202)와 맞물린다. 이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다.
도 6에 개념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칼날 접촉 요소(500)가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 안에 삽입된 이후, 상기 스냅 인 요소(140)가 풀리는 것, 즉, 상기 개구부(240)로부터 상기 잠금 후크(142)가 풀리는 것이 효과적이고 안전한 방법으로 피해지게 된다. 즉, 상기 스냅 인 요소(140)가, 상기 칼날 접촉 요소(500)를 향해 있는 상기 스냅 인 요소의 지지 표면(147)이 상기 칼날 접촉 요소(500)상에 있도록 놓여지게 되면, 그 결과, 상기 플러그-인 상태에서 상기 스냅 인 요소가 풀리는 것이 배제되게 된다. 도 4 내지 도 6에 더욱 도시한 바와 같이, 이러한 플러그-인 커넥터는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의 대응되는 잠금 리세스들(locking recesses)(181, 182)에 맞물리는 잠금 캠들(locking cams)(310, 320)을 포함하는 2차 잠금 장치(300)를 또한 가질 수 있다.

Claims (9)

  1. 하우징(200)과 잠금 요소를 통해 상기 하우징(200) 내에 부착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 접촉 요소(100)를 수용한 적어도 하나의 챔버(201)를 포함하는 플러그-인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잠금 요소는 상기 접촉 요소(100)에 배치되어 있고 그것에 맞추어져 있는 개구부(240) 안에서 상기 하우징(200) 내에 위치 고정되어 잠길 수 있는 스냅 인 요소(140)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접촉 요소는, 상기 접촉 요소의 스프링 접촉들(110, 120)이 U자 형태로 굽어 있는 시트 금속의 다리들로 형성되어 있는 스프링 접촉 요소이고,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U자 형태로 굽어 있는 상기 시트 금속 상에 뚜껑 방식(lid-like manner), 즉, 그것이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의 전방 영역에 도달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잠금 후크(142)를 포함하되, 상기 잠금 후크(142)의 벤딩 영역(143)은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에 있어서 상기 접촉 개구부를 향해 있는 측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벤딩 영역(143)은 상기 잠금 후크(142)보다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4.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실질적으로 그것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 비딩 (beading)(14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은, 상기 스냅 인 요소(140)를 향해 있는 측면상에, 비걸림 상태에 있는 상기 스냅 인 요소(140)를 위해 경사지게 위치한 지지 표면들(112, 12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6. 제 1항 내지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상기 스프링 접촉들(110, 120)을 향해 있는 측면상에, 칼날 접촉 요소(500)를 위한 지지 표면(14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7.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잠금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200)에 배치되어 있는 제 2 잠금 장치를 잠금해제로부터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8. 전술한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와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접촉 요소(100)와 상기 스냅 인 요소(140)는 단일의 펀치 부재(single punched part)로부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인 커넥터.
KR1020167026777A 2014-02-28 2015-02-18 플러그 커넥터 KR2016013843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2669.8 2014-02-28
DE102014002669.8A DE102014002669B4 (de) 2014-02-28 2014-02-28 Steckverbinder
PCT/DE2015/100066 WO2015127926A1 (de) 2014-02-28 2015-02-18 Steckverbin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432A true KR20160138432A (ko) 2016-12-05

Family

ID=528074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777A KR20160138432A (ko) 2014-02-28 2015-02-18 플러그 커넥터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9722343B2 (ko)
EP (1) EP3111518B1 (ko)
JP (1) JP6501418B2 (ko)
KR (1) KR20160138432A (ko)
CN (1) CN106104935B (ko)
BR (1) BR112016019760A2 (ko)
CA (1) CA2940489A1 (ko)
DE (1) DE102014002669B4 (ko)
DK (1) DK3111518T3 (ko)
ES (1) ES2851424T3 (ko)
IL (1) IL247479B (ko)
MX (1) MX371260B (ko)
TW (1) TWI650907B (ko)
WO (1) WO20151279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2669B4 (de) * 2014-02-28 2019-02-21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US10172242B1 (en) * 2018-01-12 2019-01-01 Xiamen Ghgm Industrial Trade Co., Ltd. All-metal side-inserted female connector having guide hole and elastic pieces for guiding wire
DE102021100806A1 (de) * 2021-01-15 2022-07-21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Kontaktein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52282A (ko) * 1959-06-04
GB1236184A (en) * 1969-02-27 1971-06-23 Amp Inc Socket terminals and electrical connectors
BE793445A (fr) * 1972-02-08 1973-04-16 Elco Corp Fiche femelle pour broche de contact de section carree
US3853389A (en) * 1972-06-12 1974-12-10 Bunker Ramo Electrical connector and contact
US3932013A (en) * 1974-04-08 1976-01-13 Amp Incorporated Shunt assembly
JPS6037820Y2 (ja) * 1980-10-30 1985-11-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接触子保持構造
US4379611A (en) * 1980-11-03 1983-04-12 Hughes Aircraft Company Connector with low force socket contact having an integral hood
JPS6273476U (ko) * 1985-10-29 1987-05-11
GB8812881D0 (en) * 1988-05-31 1988-07-06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JP2525928Y2 (ja) * 1990-11-28 1997-02-12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端子
JPH0517951U (ja) * 1991-08-20 1993-03-05 株式会社カンセイ 電気接続子
DE4402248A1 (de) * 1994-01-26 1995-07-27 Grote & Hartmann Kontaktelement sowie eine Niedervoltstrahler-Lampenfassung dafür
FR2741204A1 (fr) * 1995-11-14 1997-05-16 Amp France Assemblage de connecteur electrique
JP3494850B2 (ja) * 1997-06-12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用端子
JP3494857B2 (ja) * 1997-08-08 2004-02-09 矢崎総業株式会社 接続端子
JP2001143807A (ja) * 1999-11-17 2001-05-25 Sumitomo Wiring Syst Ltd 防水コネクタ用端子金具
JP3361308B2 (ja) * 1999-12-28 2003-01-07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アンプ株式会社 雌型コンタクト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4278129B2 (ja) * 2002-06-20 2009-06-10 日本圧着端子製造株式会社 ソケットコネクタ
JP2005259602A (ja) * 2004-03-12 2005-09-22 Jst Mfg Co Ltd コネクタ
US7377820B2 (en) 2004-11-19 2008-05-27 J.S.T. Corporation Terminal having a protrusion for preventing incorrect insertion
DE202006010308U1 (de) 2006-06-30 2006-11-09 Erni-Elektro-Apparate Gmbh Steckverbinder mit einer Sekundärverriegelung
DE102010024525B4 (de) 2010-06-21 2013-10-24 Fritz Stepper Gmbh & Co. Kg Elektrischer Buchsenkontakt
DE102010034789B3 (de) 2010-08-18 2011-12-29 Erni Electronics Gmbh Steckverbinder
JP5739743B2 (ja) * 2011-06-17 2015-06-24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金具
DE102014002669B4 (de) * 2014-02-28 2019-02-21 Erni Production Gmbh & Co. Kg 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501418B2 (ja) 2019-04-17
CA2940489A1 (en) 2015-09-03
BR112016019760A2 (pt) 2021-05-25
EP3111518B1 (de) 2020-11-18
DE102014002669A1 (de) 2015-09-03
MX2016011069A (es) 2017-01-12
TWI650907B (zh) 2019-02-11
IL247479B (en) 2020-05-31
WO2015127926A1 (de) 2015-09-03
US9722343B2 (en) 2017-08-01
DK3111518T3 (da) 2021-02-01
CN106104935A (zh) 2016-11-09
IL247479A0 (en) 2016-11-30
ES2851424T3 (es) 2021-09-07
DE102014002669B4 (de) 2019-02-21
US20170077637A1 (en) 2017-03-16
TW201547110A (zh) 2015-12-16
MX371260B (es) 2020-01-23
JP2017510941A (ja) 2017-04-13
CN106104935B (zh) 2019-05-17
EP3111518A1 (de)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18836B2 (en) Electric connector
KR101329952B1 (ko) 전기 커넥터
JP6249676B2 (ja) 電気コネクタ
US8974244B2 (en) Connector
KR101725375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CN104300268B (zh) 连接器
JP6369029B2 (ja) コネクタ
EP2445057A1 (en) Terminal fitting
KR20160138432A (ko) 플러그 커넥터
JP5770849B2 (ja) プラグインコネクタ
JP2009038012A (ja) レセプタクル端子
JP2010251176A (ja) 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
JP2016091970A (ja) ソケット端子構造
KR101725380B1 (ko) 커넥터 단자 및 그를 포함하는 커넥터
US20180013225A1 (en) Connectio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JP2014078507A (ja) 差し込み式接続エレメントのコンタクトチャンバ内に係止されるコンタクト並びに差し込み式接続エレメント
JP6219123B2 (ja) アウター付きメス端子
JP6081308B2 (ja) コネクタ
JP2015138719A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CN112673525B (zh) 用于直接插塞连接器的触头和直接插塞连接器
JP6371590B2 (ja) 端子金具とコネクタハウジングとの係止構造
WO2015122329A1 (ja) 雌端子
KR200480936Y1 (ko) 접지선 고정수단이 구비된 가스레인지
TW201340479A (zh) 具有插頭殼體用之卡合突件的電接點元件(一)
TW201251232A (en) Plug-type connector with lock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