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06174A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06174A
KR20160106174A KR1020167022246A KR20167022246A KR20160106174A KR 20160106174 A KR20160106174 A KR 20160106174A KR 1020167022246 A KR1020167022246 A KR 1020167022246A KR 20167022246 A KR20167022246 A KR 20167022246A KR 20160106174 A KR20160106174 A KR 201601061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upply
water
hand
laun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모나리 카와구치
카츠지 오니시
미노루 나카니시
Original Assignee
하이얼 아시아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이얼 아시아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칭다오 하이어 워싱 머신 캄파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하이얼 아시아 인터내셔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106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617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5/00Washing machines, apparatus, or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46Control of the energy or water consumptio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1/00Washing installations comprising an assembly of several washing machines or washing units, e.g. continuous flow assemblies
    • D06F33/02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02Rotary receptacles, e.g. drums
    • D06F37/12Rotary receptacles, e.g. drums adapted for rotation or oscillation about a vertical axis
    • D06F37/14Ribs or rubbing means forming part of the receptac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7Water level measuring or regulat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00Hand implements for washing purposes, e.g. sticks 
    • D06F5/02Plungers, dollies, pounders, squeezers, or the like
    • D06F5/04Plungers, dollies, pounders, squeezers, or the like adapted for removable mounting on receptacles such as wash-tub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1/00Washing receptacles
    • D06F1/02Wash-tubs; Supports therefor
    • D06F1/04Wash-tubs; Supports therefor the tub walls or bottom having corrug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18Washing liquid level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40Opening or locking status of doo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2Water supply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08Draining of washing liquid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4Changing between normal operation mode and special operation modes, e.g. service mode, component cleaning mode or stand-by mod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 D06F2105/60Audible sign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3/00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 D06F23/04Washing machines with receptacles, e.g. perforated, having a rotary movement, e.g. oscillatory movement, the receptacle serving both for washing and for centrifugally separating water from the laundry  and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세탁탈수조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전자동 세탁기(1)는 세탁물에 대한 세탁 및 탈수를 수행하는 세탁탈수조(22); 물을 상기 세탁탈수조(22) 내로 공급하는 급수 유닛; 급수 유닛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세탁탈수조(22) 내에 탈장착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면이 요철형상을 가지는 세탁보조판(100); 및 상기 세탁탈수조(22) 내에 안착된 상기 세탁보조판(100)을 사용하여 세탁물을 손세탁할 경우 조작되는 손세탁급수버튼, 을 구비한다. 또한, 제어부는 손세탁급수버튼이 조작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급수 유닛에 물을 공급한다.

Description

세탁기{WASHING MACHIN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는 예컨대 세탁물에 심한 얼룩이 졌을 경우 간혹 먼저 세탁물에 대해 손세탁을 하고, 세탁물의 얼룩을 어느 정도 제거한 후 세탁기로 상기 세탁물을 세탁한다.
또한, 분리판으로 세탁조를 상하 두개 구역으로 구획하고, 상기 상하 구역내에서 세탁물을 분리하여 세탁하는 세탁기에서는 분리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파형의 요철(concaves and convexes)이 형성되어 분리판을 세턱조로부터 적절하게 떼어내어 세탁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특허문헌 1을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실개평1-153193호 공보
사용자가 세탁물에 대해 손세탁할 경우 세탁물에 물을 공급해야하므로 욕실에 설치된 탈의처(undressing position)의 세면대 등 물을 공급할 수 있는 장치를 자주 사용하여 손세탁을 진행한다. 이럴 경우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은 버려지게 되며 추후의 세탁에 사용되지 않는다. 따라서 손세탁의 물이 낭비되는 문제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감안하여 완성된 것이며, 그 목적은 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 및 기계 세탁을 진행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주요방식에 따른 세탁기 장치는, 세탁물에 대한 세탁 및 탈수를 진행하는 세탁탈수조; 물을 상기 세탁탈수조에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부;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탈장착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면이 요철형상을 가지는 세탁보조판; 및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안착된 상기 세탁보조판을 사용하여 세탁물을 손세탁할 경우 조작되는 급수버튼을 가진다. 또한, 상기 급수제어부는 상기 급수버튼이 조작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급수부에 물을 공급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세탁보조판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경우,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물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공급되는 물과 세탁보조판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은 세탁탈수조 내로 떨어지게 되므로 물을 세탁탈수조에 적절하게 축적할 수 있기에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기계 세탁에 사용할 수 있다.
본 형식의 세탁기에서 상기 급수부는, 수도전과 연결되며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세탁보조판의 위에서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게 하는 수돗물공급부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급수버튼은 상기 수돗물공급부를 작동시키는 수돗물공급버튼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수돗물을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깨끗한 물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일 경우, 세탁기는 수돗물이 흘러 지나가는 세제수용부를 포함하는 수돗물공급부와, 상기 세제수용부에 수용된 세제는 수돗물과 혼합되어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미리 세제를 세제수용부에 넣으므로, 세제를 함유한 수돗물이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제공되게 된다. 이에 따라 더 효과적으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구성일 경우 세탁기는 검출면이 상기 세탁탈수조를 향하는 인체감지센서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급수제어부는 아래와 같은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수돗물공급부가 상기 세탁탈수조 내로 급수하기 시작한 후 상기 인체감지센서가 인체의 일부를 더이상 검출하지 못하는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수돗물공급부에 의한 급수를 정지시킨다.
이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손세탁이 종료될 경우 사용자는 손 등을 세탁탈수조로부터 꺼낼 때 세탁탈수조를 향한 수돗물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축적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세탁탈수조의 상부로부터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게 하는 순환수공급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상기 급수버튼은 상기 순환수공급부를 작동시키는 순환수공급버튼을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세탁탈수조에 축적된 물을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세탁과정에서의 세제를 함유한 물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손세탁을 진행할 경우 세탁탈수조에 축적된 물은 손세탁에 사용됨으로써 물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에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일 경우, 세탁기는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이럴 경우 상기 순환수공급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배면에 형성되는 뒷 날개(back leaves); 및 상기 세탁탈수조의 원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뒷 날개의 펌핑 작용을 통해 펌핑된 물을 상부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게 하는 순환수로부를 포함하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급수제어부는 상기 급수버튼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수량이 세탁과정에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수량보다 많아지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통해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런 구성을 사용함으로써 따로 순환 펌프를 사용하지 않고도 세탁탈수조에 축적된 물을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순환수로부의 배출구로부터 세탁과정보다 더 많은 물을 유출하기에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충분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세탁기에서 상기 급수제어부는 세탁과정후의 과정에서 상기 급수버튼이 조작된 상황에서 상기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지 않는 구조를 사용한다.
상기 구조에 따르면, 세탁과정후의 과정에서 급수버튼의 조작에 기반하는 급수를 진행하지 않음으로써, 세탁과정을 통해 세탁된 세탁물은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에 의해 더럽게 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세탁탈수조(washing and dewatering tank)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와 의의는 아래와 같은 실시형태에 대한 설명을 통해 진일보로 명확하게 된다. 그러나 아래 실시형태는 단지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일 뿐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형태에 의해 어떠한 제한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외관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른 전자동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에 따른 조작 패널의 주요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형태에 따른 제어 유닛의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보조판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른 세탁보조판이 세탁탈수조 내에 안착된 상태의 외조(outer tank) 및 세탁탈수조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른 손세탁제어처리의 메인 루틴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에 따른 손세탁급수판단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에 따른 손세탁급수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형태에 따른 손세탁순환판단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실시형태에 따른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2는 변형예 1에 따른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변형예 1에 따른 펄세이터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는 변형예 2에 따른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변형예 2에 따른 펄세이터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세탁기의 일 실시형태인 전자동 세탁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전자동 세탁기(1)의 외관의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전자동 세탁기(1)의 내부구조의 측면단면도를 나타낸다.
전자동 세탁기(1)는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10)을 가진다. 하우징(10)은 상하면이 오픈된 사각형 통상의 몸체부(11); 몸체부(11)의 상면을 덮는 상부 패널(12); 및 몸체부(11)를 지지하는 받침대(13)를 포함한다. 상부 패널(12)에는 세탁물의 투입구(14)가 형성된다. 투입구(14)는 자유로이 개폐될 수 있는 상부 커버(15)에 의해 덮힌다.
하우징(10)에서, 외조(20)는 진동방지장치를 가지는 현수봉(21)에 의해 탄성적으로 오르내리며 지지된다. 외조(20) 내에 세탁탈수조(22)가 배치된다. 세탁탈수조(22)는 원주면에 다수 개의 탈수홀(22a)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균형링(23)이 설치된다.
외조(20)의 밑부분에는 펄세이터(pulsator)(24)가 배치된다. 펄세이터(24)의 배면에는 배면중앙으로부터 방사형으로 연장된 다수 개의 뒷 날개(24a)가 형성된다. 이러한 뒷 날개(24a)는 펄세이터(24)의 배면과 세탁탈수조(22)의 저면 사이의 펌프 챔버(25)에 형성된다.
세탁탈수조(22)의 내주면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세개의 순환수로부(26)가 거의 등간격으로 원주방향에 배치된다. 각 순환수로부(26)의 하단부는 펌프 챔버(25)에 연결된다. 각 순환수로부(26)의 상부에는 슬롯 형상의 배출구(26a)가 형성된다.
외조(20)의 밑부분에는 세탁탈수조(22) 및 펄세이터(2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유닛(30)이 배치된다. 구동유닛(30)은 구동 모터(31)와 전달 기구(32)를 포함한다. 전달 기구(32)는 클러치 기구를 가지며, 상기 클러치 기구에 의해 진행되는 변환조작을 통해 세척과정 및 헹굼과정(rinsing process)에서 구동 모터(31)의 구동력을 펄세이터(24)에게만 전달하여 펄세이터(24)만 회전하게 하며, 탈수과정에서 구동 모터(31)의 구동력을 펄세이터(24)와 세탁탈수조(22)에 전달하여 펄세이터(24)와 세탁탈수조(22)가 일체로 회전하게 한다. 또한, 전달 기구(32)는 감속 기구(speed reducing mechanism)를 가진다. 세척과정 및 헹굼과정에서 펄세이터(24)는 구동 모터(31)의 회전 속도가 감속 기구의 감속으로 낮아진 회전속도에 따라 회전한다.
외조(20)의 외측 밑부분에는 세탁탈수조(22) 및 외조(20)가 배수하는 배수유닛(40)이 더 배치된다. 배수유닛(40)은 배수관(41)과 배수 밸브(42)를 가지며, 미도시된 배수 호스와 연결된다. 배수 밸브(42)를 오픈할 경우 세탁탈수조(22) 및 외조(20)에 축적된 물은 배구관(41)과 배수 호스를 통해 기계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 밸브(42)는 세척과정 및 헹굼과정에서의 배수과정과 탈수과정에서 오픈되며, 기타 과정을 진행할 경우 및 세탁 작동하지 않을 경우에는 차단된다.
외조(20)의 외측에는 순환 펌프 유닛(50)이 배치된다. 순환 펌프 유닛(50)은 순환 펌프(51), 흡수 호스(52), 및 송수 호스(53)를 포함한다. 순환 펌프(51)는 외조(20)의 외측 밑부분에 배치된다. 흡수 호스(52)의 일단은 외조(20)의 저면과 연결되고 타단은 순환 펌프(51)의 흡입구와 연결된다. 송수 호스(53)의 일단은 순환 펌프(51)의 배출구와 연결되고 타단은 주입구(54)로써 외조(20)의 상부에 배치된다. 순환 펌프(51)가 작동할 경우 외조(20)의 물은 순환 펌프(51)에 의해 흡수되며 송수 호스(53)로 배출된다. 배출된 물은 송수 호스(53)를 지나 주입구(54)로부터 세탁탈수조(22) 내로 흐른다.
상부 패널(12)의 뒤쪽에는 수돗물을 세탁탈수조(22) 내로 공급하는 급수 유닛(60)이 배치된다. 급수 유닛(60)은 급수구부(61), 세제수용부(62), 급수 밸브(63) 및 급수 호스(64)를 포함한다. 급수구부(61)의 전면은 개구되고, 세제수용부(62)는 상기 전면의 개구로부터 넣거나 인출될 수 있도록 수용된다. 세제수용부(62)의 상부 및 뒤쪽은 개구된다. 세탁 작동을 수행할 경우 사용자가 세제를 세제수용부(62)에 투입한다. 급수 밸브(63)는 수도전과 연결된다. 급수 밸브(63)가 오픈될 경우 수돗물은 급수 호스(64)를 거쳐 급수구부(61)로 도입된다. 급수구부(61)로 도입된 수돗물은 상부로부터 세제수용부(62) 내로 유입되며 세제와 혼합되어 세제수용부(62)의 뒤쪽으로부터 유출된다. 유출된 수돗물은 급수구부(61)의 저면과 세제수용부(62)의 저면 사이에 형성된 주입구(61a)로부터 세탁탈수조(22) 내로 흐른다.
상부 패널(12)의 뒤쪽의 급수 유닛(60)의 하부에 인체감지센서(71)가 더 배치된다. 인체감지센서(71)의 검출면은 세탁탈수조(22)의 내부를 향한다. 사용자가 손, 팔을 세탁탈수조(22) 내로 넣을 경우 인체감지센서(71)는 넣은 손, 팔을 검출한다. 또한 인체감지센서(71)는 적외선형태, 초음파형태 등 임의의 형태의 인체감지센서일 수 있다.
상부 패널(12)의 앞쪽에는 조작 패널(80)이 설치된다. 조작 패널(80)에는 시작버튼, 모드선택버튼 등 세탁 작동의 조작을 위한 각종 버튼이 배치된다. 또한 조작 패널(80)에는 선택된 작동 모드를 표시하는 모드표시부 등 세탁 작동과 관련된 각종 메세지를 표시하는 각종 표시부가 배치된다.
도 3은 조작 패널(80)의 주요부분의 도면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동 세탁기(1)에서 조작 패널(80)에는 인체감지버튼(81), 손세탁급수버튼(82) 및 손세탁순환버튼(83)이 배치된다. 인체감지버튼(81)은 사용자가 인체감지센서(71)의 작동 여부를 설정하는 버튼이다. 손세탁급수버튼(82)은 손세탁급수작동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이다. 손세탁순환버튼(83)은 손세탁순환작동을 진행할 경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버튼이다. 인체감지버튼(81), 손세탁급수버튼(82) 및 손세탁순환버튼(83)의 버튼명을 나타내는 문자부분은 투광성을 가지며, 이런 문자부분은 각각 인체감지표시부(84), 손세탁급수표시부(85) 및 손세탁순환표시부(86)로써 역할을 한다.
도 1와 도 2로 돌아가 보면 상부 패널(12)의 앞쪽의 조작 패널(80)의 하부에는 제어 유닛(90)이 더 배치된다.
도 4는 제어 유닛(90)의 구조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어 유닛(90)은 제어부(91), 저장부(92), 조작접수부(93), 표시출력부(94) 및 버저(buzzer)(95)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동 세탁기(1)에는 세탁탈수조(22) 내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 센서(72) 및 상부 커버(15)의 개폐를 검출하는 도어 스위치(73)가 설치된다. 인체감지센서(71), 수위 센서(72) 및 도어 스위치(73)는 제어부(91)와 연결된다.
인체감지센서(71)가 팔, 손 등 인체의 일부분을 검출할 경우 인체검출신호를 제어부(91)에 출력한다. 수위 센서(72)는 세탁탈수조(22) 내의 수위와 대응되는 수위검출신호를 제어부(91)에 출력한다. 도어 스위치(73)는 상부 커버(15)의 개폐에 따라 오픈신호(opening signal) 또는 닫김신호(closing signal)를 제어부(91)에 출력한다.
조작접수부(93)는 인체감지버튼(81), 손세탁급수버튼(82) 및 손세탁순환버튼(83)과 대응되는 인체감지용 스위치(93a), 손세탁급수용 스위치(93b) 및 손세탁순환용 스위치(93c)를 포함한다. 또한, 조작접수부(93)는 조작 패널(80)에 설치된 기타 버튼과 대응되는 스위치를 포함한다. 입력신호는 임의의 버튼이 조작될 경우 조작되는 버튼과 대응되는 스위치로부터 제어부(91)로 출력된다.
저장부(92)는 EEPROM, RAM 등을 포함한다. 저장부(92)는 각종 작동 모드의 세탁 작동을 수행하는 프로그램, 및 후술되는 손세탁제어처리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또한, 제어부(92)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각종 파라미터(parameter), 각종 제어표기(control marks)를 저장한다.
제어부(91)는 조작접수부(93), 인체감지센서(71), 수위 센서(72) 및 도어 스위치(73) 등으로부터의 각 신호에 따라, 저장부(92)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구동 모터(31), 순환 펌프(51), 급수 밸브(63), 배수 밸브(42), 표시출력부(94) 및 버저(95) 등 각 로드(loads)를 제어한다.
표시출력부(94)는 인체감지표시부(84), 손세탁급수표시부(85) 및 손세탁순환표시부(86)에 대응되는 인체감지용 LED(94a), 손세탁급수용 LED(94b) 및 손세탁순환용 LED(94c)를 포함한다. 또한 표시출력부(94)는 조작 패널(80)에 설치된, 기타 표시부와 대응되는 LED를 포함한다. 표시출력부(94)는 제어부(9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LED가 불이 켜지거나, 불이 꺼지거나 또는 깜빡거리게 한다. 이에 따라 각 표시부는 불이 켜지거나, 불이 꺼지거나 또는 깜빡거린다.
버저(95)는 제어부(91)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대응되는 소리를 출력한다. 버저(95)에서 출력되는 소리는 세탁작동이 종료되었음을 나타내는 종료음, 비정상이 발생하였음을 나타내는 비정상통지음 등 각종 소리를 포함한다.
그럼 전자동 세탁기(1)는 각종 작동 모드의 세탁 작동을 수행한다. 세탁 작동은 세탁과정, 중간탈수과정, 헹굼과정 및 최종탈수과정을 포함한다.
세탁과정 및 헹굼과정(rinsing process)에 있어서, 세탁탈수조(22) 내에 물이 축적된 상태에서 펄세이터(24)가 우측방향과 좌측방향으로 회전한다. 펄세이터(24)의 회전을 통해 세탁탈수조(22) 내에는 수류가 형성된다. 세탁과정에서는 형성된 수류와 물에 포함된 세제를 통해 세탁물을 세탁한다. 헹굼과정에서는 형성된 수류를 통해 세탁물을 헹군다. 또한, 세탁과정 및 헹굼과정에서 펄세이터(24)의 회전과 함께 뒷 날개(24a)가 펌프 챔버(25) 내에서 회전한다. 세탁탈수조(22)와 외조(20)사이의 물은 펌프 챔버(25) 내로 흡수되어 각 순환수로부(26)로 수송되며, 각 순환수로부(26)로 수송된 물은 배출구(26a)로부터 세탁탈수조(22)의 중앙을 향하여 유출된다. 이에 따라 세탁탈수조(22)의 상측의 세탁물도 충분한 물을 함유할 수 있다.
중간탈수과정 및 최종탈수과정에서 세탁탈수조(22)와 펄세이터(24)는 일체로 고속회전한다. 세탁물은 세탁탈수조(22)에서 생성된 원심력의 작용에 의해 탈수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자동 세탁기(1)는 각 작동 모드의 세탁작동외에, 손세탁급수버튼(82) 및 손세탁순환버튼(83)의 조작에 기반하여 손세탁급수작동 및 손세탁순환작동을 진행할 수 있다. 손세탁급수작동은 급수 유닛(60)을 통해 수돗물을, 세탁보조판(100)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공급한다. 손세탁순환작동은 순환 펌프 유닛(50)을 통해 세탁탈수조(22) 내에 축적된 물을, 세탁보조판(100)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손세탁되는 세탁물에 공급한다.
도 5는 세탁보조판(100)의 구조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전자동 세탁기(1)는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때 손세탁의 보조물로 되는 세탁보조판(100)을 구비한다. 세탁보조판(100)은 원판 형상의 몸체 패널(101) 및 몸체 패널(101)의 외 원주부에서 순환수로부(26)의 간격과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된 3개의 암부재(arm parts)(102)로 구성된다. 몸체 패널(101)의 상면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된 환형 돌기부(103)로 형성된 파형의 요철이 형성된다. 두개의 환형 돌기부(103)로 형성된 곡저부분(valley bottom)에는 원주방향에 따라 대략 고정된 간격으로 제1통수홀(104)과 제2통수홀(105)이 번갈아 형성된다. 제1통수홀(104)은 원형 구멍이고 제2통수홀(105)은 원주방향으로 형성된 비교적 긴 구멍이다. 또한 제2통수홀(105)은 중앙으로부터 더 가까울 수록 원주방향에서의 길이가 더 짧게 형성된다. 가장 중앙으로 위치한 곡저부분에는 제1통수홀(104)만이 형성된다. 세탁보조판(100)은 자유로이 탈장착가능하게 세탁탈수조(22) 내에 안착된다.
도 6은 세탁보조판(100)이 세탁탈수조(22) 내에 안착된 상태의 외조(20) 및 세탁탈수조(22)를 나타낸 측면단면도이다.
세탁보조판(100)을 세탁탈수조(22)에 안착시키기 위하여, 세개의 순환수로부(26)에는 각각 안착부(27)가 형성된다. 각 안착부(27)는 상측 리브(rib)(27a)와 하측 리브(27b)로 구성되는데, 상기 상측 리브(27a) 및 하측 리브(27b)는 각각 상부 및 하부로 부터 세탁보조판(100)의 암부재(102)가 끼워지도록 한다. 세탁보조판(100)을 안착시키려는 경우, 사용자는 세탁보조판(100)을 각 암부재(102)가 각 안착부(27)의 옆에 배열하되 각 안착부(27)와 같은 높이의 위치에 배치시킨다. 다음 각 암부재(102)가 횡방향으로부터 상측 리브(27a)와 하측 리브(27b)사이에 삽입되도록 세탁보조판(100)을 수평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도 6와 같이 세탁보조판(100)은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상하방향으로 움직일 수 없도록 세개의 안착부(27)에 의해 유지된다.
각 안착부(27)의 높이위치는, 세탁탈수조(22) 내에 안착된 세탁보조판(100)을 향해 급수할 경우 세탁보조판(100)상에 튀기는 물이 세탁기 밖으로 누출되지 않도록하며, 동시에 사용자의 손이 안착된 세탁보조판(100)까지 쉽게 도달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각 안착부(27)는 세탁탈수조(22)의 대략 중앙위치에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손세탁급수작동 및 손세탁순환작동을 위하여 제어부(91)을 통해 수행되는 손세탁제어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손세탁제어처리의 메인 루틴(main routine)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은 각각 손세탁제어처리의 서브 루틴이며, 즉 손세탁급수판단처리, 손세탁급수제어처리, 손세탁순환판단처리 및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자동 세탁기(1)에 대하여 통전을 진행하는 동안 메인 루틴의 각 처리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제어부(91)는 먼저 도 8과 같은 손세탁급수판단처리(S11)를 수행한다.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표기의 세팅(setting)여부를 판단한다(S101). 손세탁급수표기는 손세탁급수제어처리의 진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표기이다. 초기 상태에서 손세탁급수표기는 리셋(reset)된다. 손세탁급수표기가 리셋된 상황(S101: 아니오)에서 제어부(91)는 세탁탈수조(22) 내의 현재 수위가 수락가능한 수위보다 높은가를 판단한다(S102).
수락가능한 수위는 예컨대 표준시간의 손세탁을 진행할 경우, 급수 유닛(60)의 급수에 의해 외조(20)의 상부의 오버플로 포트(overflow port)로부터 넘쳐나지 않되 가능한 높은 수위로 설정된다. 수락가능한 수위가 이런 수위일 경우 손세탁급수작동하의 급수로 인해 세탁탈수조(22) 내의 세제를 함유한 물의 일부가 세탁기 밖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예컨대, 수락가능한 수위보다 높은 수위에서 세탁 작동을 수행할 경우 현재 수위는 수락가능한 수위보다 높다. 다른 한편, 예컨대 세탁 작동이 시작되지 않아 세탁탈수조(22) 내에 물이 없을 경우, 또는 수락가능한 수위 이하에서 세탁 작동을 수행할 경우 현재 수위는 수락가능한 수위 이하이다.
현재 수위가 수락가능한 수위보다 높을 경우(S102: 예)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표시부(85)가 꺼진 상태로 되도록 한다(S103).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세탁급수작동을 수행할 수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음,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눌렀는지를 판단한다(S104). 손세탁급수표시부(85)가 꺼진 상태인지와 상관없이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눌렀을 경우(S104: 예) 제어부(91)는 버저(95)로부터 수락 불가능함을 나타내는 수락불가음(unacceptable sounds)을 출력한 후(S105)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사용자는 수락불가음에 따라 조작이 수락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다.
다른 한편, 현재 수위가 수락가능한 수위 이하일 경우(S102: 아니오), 제어부(91)는 현재 세탁 작동을 수행하며 세탁 작동 과정에서 세탁과정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06). 세탁과정이 종료됐을 경우(S106: 예) 현재 수위가 수락가능한 수위보다 높은 경우와 동일하게 제어부(91)는 단계(S103) 내지 단계(S105)의 처리를 수행한다.
세탁 작동을 수행하거나 또는 세탁 작동 과정에서 세탁 과정이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S106: 아니오),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표시부(85)가 켜진 상태로 되도록 한다(S107).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세탁급수작동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눌렀는지를 판단한다(S108).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눌렀을 경우(S108: 예) 제어부(91)는 버저(95)로부터 수락 가능함을 나타내는 수락음을 출력한다(S109). 사용자는 수락음에 따라 조작이 수락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표시부(85)를 깜빡임 상태로 되게 한 후(S110) 손세탁급수표기를 세팅하고(S111)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사용자는 손세탁급수표시부(85)의 깜빡임으로부터 손세탁급수작동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단계(S111)에서 손세탁급수표기를 세팅한 후, 단계(S101)에서는 손세탁급수표기가 세팅되었음을 판단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하도록 처리하기에, 실질적으로 손세탁급수판단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손세탁급수판단처리에서 메인 루틴으로 복귀할 경우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표기의 세팅 여부를 판단한다(S12). 손세탁급수표기가 세팅되었을 경우(S12: 예) 제어부(91)는 도 9와 같은 손세탁급수제어처리를 수행한다(S13). 제어부(91)는 커버오픈허용표기(cover opening permission mark)를 세팅한다(S201). 커버오픈허용표기는 세탁 작동에서 상부 커버(15)를 오픈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제어표기이다. 커버오픈허용표기를 세팅할 경우 세탁 과정에서 상부 커버(15)를 오픈하는 것을 허용하며, 세탁 과정에서 상부 커버(15)가 오픈되더라도 고장처리, 예컨대 고장알림을 수행하지 않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상부 커버(15)가 세탁 과정에서 오픈될 경우 고장처리를 수행한다.
다음, 제어부(91)은 타이밍을 진행한다(S202). 제어부(91)는 내부에 타이머를 구비한다. 단계(S202)에서 매번 타이밍을 진행할 때마다 타이머의 타이밍을 업테이트한다. 제어부(91)는 타이밍이 예정된 급수시간인 30초보다 짧은지를 판단한다(S203). 타이밍이 30초보다 짧을 경우(S203: 예) 제어부(91)는 상부 커버(15)의 오픈 여부를 판단한다(S204). 상부 커버(15)가 오픈되었을 경우(S204: 예) 제어부(91)는 세탁과정에서의 급수과정의 기간인지를 판단하며(S205) 급수과정의 기간이 아닐 경우(S205: 아니오) 급수 밸브(63)를 오픈한다(S206). 따라서 급수 유닛(60)의 주입구(61a)로부터 세탁탈수조(22)에 수돗물을 공급한다.
상부 커버(15)가 닫긴 상황에서(S204: 아니오) 및 급수과정의 기간인 상황에서(S205: 예) 제어부(91)는 단계(S206)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상부 커버(15)가 닫긴 상황에서 급수 밸브(63)를 오픈하지 않는다. 급수과정의 기간인 상황에서, 수행한 기타 세탁 작동의 제어처리에 따라 급수 밸브(63)는 오픈되어 있다.
다음,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눌렀는지를 판단한다(S207).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눌렀을 경우(S207: 예) 제어부(91)는 타이머내의 타이밍을 0으로 클리어시키고(S208)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다른 한편,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누르지 않을 경우(S207: 아니오) 제어부(91)는 인체감지센서(71)가 연결되도록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09). 전자동 세탁기(1)가 공장에서 생산될 때, 인체감지센서(71)는 연결되도록 설정된다. 인체감지센서(71)가 연결되도록 설정될 경우, 인체감지표시부(84)는 켜진다. 연결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인체감지버튼(81)을 누를 경우 인체감지센서(71)는 차단되도록 설정되며, 이때 인체감지표시부(84)는 꺼진다. 차단되로록 설정된 상태에서 인체감지버튼(81)을 재차 누를 경우 인체감지센서(71)는 연결되도록 설정되며 인체감지표시부(84)는 켜진다. 이런 인체감지센서(71)의 연결/차단설정처리는 손세탁제어처리와 함께 제어부(91)에 의해 수행된다. 설정결과는 저장부(92)에 저장되며 전자동 세탁기(1)가 통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계속 저장부(92)에 저장된다.
인체감지센서(71)가 연결되도록 설정될 경우(S209: 예) 제어부(91)는 인체감지센서(71)를 통해 인체의 일부 즉 사용자의 팔, 손의 검출 여부를 판단한다(S210). 인체의 일부를 검출할 경우(S210: 예) 제어부(91)는 타이밍 시간을 25초로 세팅시키고(S211)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인체감지센서(71)가 차단되도록 설정될 경우(S209: 아니오) 및 인체의 일부를 검출하지 못하였을 경우(S210: 아니오) 제어부(91)는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인체감지센서(71)가 차단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손세탁급수버튼(82)을 그전에 누른 다음 30초동안 누르지 않을 경우, 타이밍 시간은 30초로 된다. 또한 인체감지센서(71)가 연결되도록 설정된 상태에서 타이밍 시간을 25초로 세팅한 후 인체의 일부를 검출하지 못하였고, 상기 상태에서 5초동안 유지할 경우 타이밍 시간은 30초로 된다.
타이밍 시간이 30초로 될 경우(S203: 아니오) 제어부(91)는 급수과정의 기간에 처해있는지를 판단한다(S212). 급수과정의 기간이 아닐 경우(S212: 아니오) 제어부(91)는 급수 밸브(63)를 차단한다(S213). 이에 따라 급수 유닛(60)으로부터 세탁탈수조(22)를 향한 수돗물 공급은 정지된다. 다른 한편, 급수과정의 기간에 처해있을 경우(S212: 예) 제어부(91)는 단계(S213)의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단계(S207)의 처리로 이동하며 계속하여 급수 과정에서 세탁탈수조(22)를 향한 급수를 진행한다.
단계(S213)에서 급수 밸브(63)를 차단할 경우 제어부(91)는 상부 커버(15)의 오픈 여부를 판단한다(S214). 상부 커버(15)가 닫길 경우(S214: 아니오) 제어부(91)는 손세탁급수표기(hand washing water supply mark)를 리셋한 후(S215) 타이밍 시간을 0으로 클리어시키고(S208)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다른 한편, 상부 커버(15)가 오픈될 경우(S214: 예) 제어부(91)는 단계(S207)의 처리로 이동한다.
손세탁급수제어처리가 메인 루틴으로 복귀할 경우, 제어부(91)는 도 10와 같은 손세탁순환판단처리를 수행한다(S14). 제어부(91)는 손세탁순환표기(hand washing circulation mark)의 세팅 여부를 판단한다(S301). 손세탁순환표기는 손세탁순환판단처리의 수행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표기이다. 초기 상태에서 손세탁급수표기는 리셋된다. 손세탁순환표기가 리셋된 상황(S301: 아니오)에서 제어부(91)는 세탁탈수조(22) 내의 현재 수위가 순환가능한 수위보다 낮은 지를 판단한다(S302).
순환가능한 수위는 예컨대 순환 펌프 유닛(50)을 통해 세탁탈수조(22) 내의 물이 순환될 수 있도록 하는 하한 수위(lower limit water level)로 설정된다. 예컨대, 순환가능한 수위 이상의 수위로 세탁 작동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현재 수위는 순환가능한 수위 이상이다. 다른 한편 예컨대 세탁 작동을 시작하지 않음으로써 세탁탈수조(22) 내에 물이 없는 상황, 또는 순환가능한 수위보다 낮은 수위에서 세탁 작동을 수행하는 상황에서, 현재 수위는 순환가능한 수위보다 낮다.
현재 수위가 순환가능한 수위보다 낮을 경우(S302: 예) 제어부(91)는 손세탁순환표시부(86)를 꺼진 상태로 되게 한다(S303).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세탁순환작동을 수행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다음 제어부(91)는 손세탁순환버튼(83)을 눌렀는지를 판단한다(S304). 손세탁순환표시부(86)의 꺼진 상태와 상관없이 손세탁순환버튼(83)을 눌렀을 경우(S304: 예) 제어부(91)는 버저(95)로부터 수락불가음을 출력한 후(S305)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이렇게, 세탁탈수조(22) 내의 수위가 순환가능한 수위보다 낮아서 순환 펌프 유닛(50)을 통해 물의 순환을 수행할 수 없을 경우에는 손세탁순환작동이 중지되므로 무의미하게 손세탁순환작동을 수행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다른 한편, 현재 수위가 순환가능한 수위 이상일 경우(S302: 아니오) 제어부(91)는 세탁과정의 종료 여부를 판단한다(S306). 세탁과정이 종료되었을 경우(S306: 예) 제어부(91)는 현재 수위가 순환가능한 수위보다 낮은 상황과 동일하게 단계(S303) 내지 (S305)의 처리를 수행한다.
세탁과정을 종료되지 않았을 경우(S306: 아니오) 제어부(91)는 손세탁순환표시부(86)를 켜진 상태로 되게 한다(S307).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세탁순환작동을 수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제어부(91)는 손세탁순환버튼(83)을 눌렀는지를 판단한다(S308). 손세탁순환버튼(83)을 눌렀을 경우(S308: 예) 제어부(91)는 버저(95)로부터 수락음을 출력한다(S309). 그리고 제어부(91)는 손세탁순환표시부(86)를 깜빡임 상태로 되게 한 후(S310) 손세탁순환표기를 세팅하고(S311)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손세탁순환표시부(86)의 깜빡임으로부터 사용자는 손세탁순환작동이 시작되었음을 알 수 있다.
단계(S311)에서는 손세탁순환표기를 세팅한 후 단계(S301)에서는 손세탁순환표기가 세팅되었음을 판단하고 메인 루틴으로 복귀하도록 처리하기에, 실질적으로 손세탁순환판단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손세탁순환판단처리에서 메인 루틴으로 복귀할 경우, 제어부(91)는 손세탁순환표기의 세팅 여부를 판단한다(S15). 손세탁순환표기가 세팅되었을 경우(S15: 예) 제어부(91)는 도 11와 같은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수행한다(S16). 제어부(91)는 커버오픈허용표기를 세팅한다(S401). 커버오픈허용표기를 세팅할 경우, 세탁과정에서 상부 커버(15)가 오픈되더라도 고장처리를 수행하지 않는다.
다음, 제어부(91)는 커버오픈표기의 세팅 여부를 판단한다(S402). 커버오픈표기는 상부 커버(15)가 오픈 상태인지, 아니면 닫긴 상태인지를 나타내는 제어표기이다. 커버오픈표기를 세팅하지 않을 경우(S402: 아니오) 제어부(91)는 상부 커버(15)의 오픈 여부를 판단한다(S403). 상부 커버(15)가 오픈되었을 경우(S403: 예) 제어부(91)는 커버오픈표기를 세팅하고(S404)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커버오픈표기를 세팅하였을 경우, 그후 상부 커버(15)가 닫길때까지 단계 S402에서 커버오픈표기가 세팅되었음을 판단한다.
제어부(91)가 커버오픈표기가 세팅되었음을 판단할 경우(S402: 예), 상부 커버(15)의 닫김 여부를 판단한다(S405). 상부 커버(15)가 닫기지만 않았다면 제어부(91)는 순환 펌프(51)가 작동되게 하고(S406)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이에 따라 세탁탈수조(22) 내에 축적된 물은 순환 펌프(51)로 빠지게 되며 순환 펌프(51)로부터 수송된 물은 주입구(54)로부터 세탁탈수조(22) 내로 흐르게 된다. 순환 펌프 유닛(50)을 통해 순환된 물은 세탁과정의 물로 사용되며 상기 물에는 세제가 포함된다.
순환 펌프(51)의 작동에서 상부 커버(15)가 닫길 경우, 제어부(91)는 단계(S405)에서 상부 커버(15)가 닫김을 판단한다(S405: 예). 이럴 경우 제어부(91)는 순환 펌프(51)를 정지시킨다(S407). 이에 따라 순환 펌프 유닛(50)을 기반하여 세탁탈수조(22)를 향한 급수를 정지한다. 제어부(91)는 커버오픈표기를 리셋하고(S408) 손세탁순환표기를 리셋하며(S409) 메인 루틴으로 복귀한다.
상기 설명한 손세탁제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손세탁급수작동 또는 손세탁순환작동을 수행한다.
사용자가 수돗물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경우, 세탁 작동을 진행하지 않은 상태 또는 세탁 과정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세탁탈수조(22) 내에 세탁보조판(100)을 안착하고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누른다. 손세탁급수작동을 시작하며 수돗물은 급수 유닛(60)으로부터 유출된다. 사용자는 손과 세탁물을 함께 세탁탈수조(22) 내에 넣고 세탁보조판(100)의 표면에서 세탁물을 마찰하며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한다. 이때 수돗물은 위로부터 세탁물에 공급된다.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은 세탁보조판(100)의 아래로 흐르며 세탁탈수조(22)에 축적된다. 또한 세제를 함유한 수돗물을 세탁물에 공급하려는 경우 사용자는 세제를 미리 세제수용부(62)에 넣는다.
인체감지센서(71)가 연결되도록 설정될 경우, 사용자가 세탁탈수조(22) 내에 손을 넣는 동안, 즉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세탁물에 대하여 손세탁을 진행하는 동안 계속하여 세탁탈수조(22)에 물을 공급한다. 손세탁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세탁탈수조(22)에서 손을 꺼낼 경우 5초 후 급수를 정지한다. 다른 한편 인체감지센서(71) 차단되도록 설정될 경우 30초동안 급수를 수행한다. 이 기간에 손세탁급수버튼(82)을 누르기만 하면 그 시각부터 30초동안 급수를 진행한다.
다른 한편, 사용자가 세제를 함유한 세탁과정의 물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경우, 세탁과정을 진행하는 상태에서 세탁보조판(100)을 세탁탈수조(22) 내에 안착하고 손세탁순환버튼(83)을 누른다. 손세탁순환작동을 시작하며 상부 커버(15)가 오픈된 기간동안 세제를 함유한 물은 순환 펌프 유닛(50)을 통해 순환되며 손세탁하는 세탁물에 공급된다. 손세탁이 종료된 후 사용자가 상부 커버(15)을 닫을 경우 순환 펌프 유닛(50)에 기반하는 급수가 정지된다.
또한, 세탁과정에서 손세탁급수버튼(82) 및 손세탁순환버튼(83)을 두개를 모두 누를 경우 급수 유닛(60)으로부터의 수돗물과 순환 펌프 유닛(50)으로 펌프된 세탁탈수조(22) 내의 물은 모두 세탁물에 공급되게 된다. 이럴 경우 사용자는 더 많은 물을 사용하여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사용자가 세탁보조판(100)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때, 물을 손세탁하는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공급된 물과 세탁보조판(100)을 사용하여 세탁탈수조(22) 내에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은 세탁탈수조(22)로 떨어지므로 물을 세탁탈수조(22)에 적절하게 축적할 수 있기에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기계 세탁에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탁탈수조(22)에 축적된 물을 손세탁하는 세탁물에 공급할 수 있기에 사용자는 세탁과정에서 세제를 함유한 물로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손세탁할 때 세탁탈수조(22)에 축적된 물을 손세탁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물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동시에, 손세탁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세탁과정 후의 과정에서 손세탁급수버튼(82) 및 손세탁순환버튼(83)의 조작에 기반하는 급수를 진행하지 않으므로, 세탁과정을 통해 세탁된 세탁물은 손세탁에 사용되는 물에 의해 더럽게 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손세탁이 종료되고 사용자가 손 등을 세탁탈수조(22)에서 꺼낼 때 세탁탈수조(22)에 대한 수돗물의 공급을 자동적으로 정지한다. 이에 따라 세탁탈수조(22)에 대한 불필요한 수돗물 공급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등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상기 내용외의 각종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변형예 1>
본 변형예에서는 손세탁순환작동에서 순환 펌프 유닛(50)을 사용하지 않는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손세탁순환작동에서 세탁탈수조(22)에 축적된 물은 펄세이터(24)의 뒷 날개(24a)의 펌핑 작용을 통해 펌핑되며 순환수로부(26)의 배출구(26a)로부터 배출되며 세탁탈수조(22)의 손세탁 세탁물에 공급된다.
또한, 본 변형예와 같이 손세탁순환작동에서 순환 펌프 유닛(5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전자동 세탁기(1)에 순환 펌프 유닛(50)을 설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2는 본 변형예에 따른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손세탁순환제어처리에 포함된 펄세이터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변형예에서 손세탁순환제어처리의 메인 루틴의 단계 S16에서 도 11의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대체하여 도 12의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91)는 커버오픈허용표기를 세팅한다(S501). 다음, 커버오픈표기를 세팅하지 않았다면(S502: 아니오) 상부 커버(15)을 오픈할 때 커버오픈표기를 세팅한다(S503: 예→S504). 커버오픈표기를 세팅하였고(S502: 예) 또한 상부 커버(15)을 닫지 않았다면 제어부(91)는 세탁과정의 교반과정의 기간인지를 판단한다(S506).
교반과정의 기간일 경우, 펄세이터(24)는 이미 구동되었다. 이에 따라 교반과정의 기간일 경우(S506: 예) 제어부(91)는 펄세이터(24)의 연결시간을 세탁과정용 연결시간보다 긴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인 20초로 설정하며(S507), 펄세이터(24)의 차단시간을 손세탁순환용 차단시간인 0.2초로 설정한다(S508). 이에 따라 펄세이터(24)는 손세탁순환버튼(83)을 누름으로써, 손세탁순환작동을 시작하기 전과 비교하여, 한 주기에 해당되는 회전시간이 길어진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손세탁순환작동을 시작하기전과 비교할 때 순환수로부(26)의 배출구(26a)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이 많아진다. 이외에 세탁과정에서 펄세이터의 연결시간은 예컨대 1.5초 좌우이며 차단시간은 예컨대 0.5초 좌우이다.
다른 한편, 교반과정의 기간이 아닐 경우(S506: 아니오) 제어부(91)는 도 13와 같은 펄세이터제어처리를 수행한다(S509). 제어부(91)는 내장된 타이머를 통해 펄세이터(24)을 제어하기 위한 시간을 타이밍한다(하기에서 "펄세이터시간"이라함) (S601). 다음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이 펄세이터(24)의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인 20초보다 짧은지를 판단한다(S602).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이 20초보다 짧은 기간(S602: 예)에는 펄세이터(24)를 회전시키고(S603), 펄세이터시간이 20초에 도달할 경우(S602: 아니오) 펄세이터(24)를 정지시킨다(S604).
펄세이터(24)가 정지된 후,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이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인 20초와 손세탁순환용 차단시간인 0.2초를 합한 시간인 20.2초보다 짧은 지를 판단한다(S605).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이 20.2초보다 짧은 기간(S605: 예)에는 펄세이터시간에 대한 타이밍을 계속하여 진행하며 펄세이터(24)를 정지상태로 유지한다. 펄세이터시간이 20.2초일 경우(S605: 아니오)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을 0으로 클리어하고(S606) 펄세이터방향표기(impeller direction mark)를 반전(Reverse)시킨다(S607). 펄세이터방향표기는 펄세이터(24)의 회전방향을 결정하는 제어표기이며 상기 표기가 반전될 때마다 펄세이터(24)의 회전방향은 변환된다. 펄세이터(24)의 회전방향을 변환시킴으로써, 다음 단계 S601 내지 단계 S603의 처리를 수행할 때 펄세이터(24)는 지난번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렇게 펄세이터제어처리를 수행함으로써, 단계 S506에서 교반과정의 기간으로 판단된 상황과 동일하게 펄세이터(24)는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 및 손세탁순환용 차단시간으로 구성된 연결/차단주기로 좌우방향으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세탁과정에서의 펄세이터(24) 회전때보다 더 많은 물이 순환수로부(26)의 배출구(26a)로부터 배출된다.
펄세이터(24)가 손세탁순환용 연결/차단주기로 회전하는 기간에 상부 커버(15)를 닫을 경우 제어부(91)는 단계 S505에서 상부 커버(15)가 닫김을 판단한다(S505: 예). 교반과정의 기간이 아니라면(S510: 아니오) 제어부(91)는 펄세이터(24)를 정지시킨다(S511). 다른 한편 교반과정의 기간이 라면(S510: 예) 제어부(91)는 펄세이터(24)의 연결시간을 세탁과정용 연결시간으로 설정하고(S512) 펄세이터(24)의 차단시간을 세탁과정용 차단시간으로 설정한다(S513). 이에 따라 펄세이터(24)의 회전은 세탁과정을 진행할 때의 연결/차단주기의 회전으로 회복된다. 제어부(91)는 커버오픈표기를 리셋하고(S514) 손세탁순환표기를 리셋한다(S515).
본 변형예에 따르면, 상기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세탁탈수조(22) 내에 축적된 물을 손세탁하는 세탁물에 제공할 수 있기에 사용자는 세탁과정의 세제를 함유한 물을 이용하여 세탁물에 대한 손세탁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손세탁을 진행할 때 세탁탈수조(22) 내에 축적된 물을 손세탁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효과적으로 물을 이용하는 동시에 손세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 따르면, 펄세이터(24)의 펌프 기구를 이용하여 세탁탈수조(22) 내의 물을 순환시키므로써 순환 펌프 유닛(50)을 사용하지 않고도 손세탁순환작동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르면, 손세탁순환작동에서 펄세이터(24)는 세탁과정에서의 연결시간보다 긴 연결시간으로 회전함으로써 순환수로부(26)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을 증가시켜 손세탁 세탁물에 충분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변형예 2>
상기 변형예 1에서 순환수로부(26)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펄세이터(24)의 연결시간을 세탁과정에서의 연결시간보다 길게 설정하였다. 그러나 본 변형예와 같이, 순환수로부(26)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펄세이터(24)의 회전속도를 세탁과정에서의 회전속도보다 높일 수 있다.
도 14는 본 변형예에 따른 손세탁순환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손세탁순환제어처리에 포함된 펄세이터제어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4의 흐름도에서 도 12의 흐름도의 단계 S507 및 S508의 처리는 단계 S521 내지 S523의 처리로 대체되며, 도 12의 흐름도의 단계 S514의 처리의 후단에 단계 S524의 처리를 추가한다. 또한 도 15의 흐름도에서, 도14의 단계 S602, S603 및 S605의 처리는 단계 S611 내지 S613의 처리로 대체된다. 이하 주로 변형예 1와 부동한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의 손세탁순환제어처리에서 펄세이터(24)의 연결시간을 세탁과정용 연결시간보다 긴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인 10초로 설정하며(S521) 펄세이터(24)의 차단시간을 손세탁순환용 차단시간인 0.5초로 설정한다(S522). 또한 제어부(91)는 펄세이터(24)의 회전속도를 세탁과정용 회전속도보다 높은 회전속도로 설정한다(S523). 펄세이터(24)는 손세탁순환버튼(83)을 누름으로써 손세탁순환작동을 시작하기전과 비교하여, 한 주기에 해당되는 회전시간이 길어지고 회전속도가 더 높은 상태에서 좌우로 회전한다. 이에 따라 손세탁순환작동을 시작하기전과 비교할 때 순환수로부(26)의 배출구(26a)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이 많아진다.
상부 커버(15)을 닫았을 경우, 교반과정의 기간이 라면 제어부(91)는 펄세이터(24)의 연결시간을 세탁과정용 연결시간으로 설정하고(S512) 펄세이터(24)의 차단시간을 세탁과정용 차단시간으로 설정한 후(S513), 펄세이터(24)의 회전속도를 세탁과정용 회전속도로 설정한다(S524).
다음, 도 15의 펄세이터제어처리에서 제어부(91)은 펄세이터시간이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인 10초보다 짧은지를 판단한다(S611).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이 10초보다 짧은 기간에는(S611: 예) 펄세이터(24)를 세탁과정에서 보다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게 하며(S612), 펄세이터시간이 10초로 될 경우에는(S611: 아니오) 펄세이터(24)를 정지시킨다(S604).
펄세이터(24)가 정지된 후,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이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인 10초와 손세탁순환용 차단시간인 0.5초를 합한 시간인 10.5초보다 짧은 지를 판단한다(S613). 펄세이터시간이 10.5초일 경우(S613: 아니오) 제어부(91)는 펄세이터시간을 0으로 클리어한다(S606).
본 변형예에 따르면, 손세탁순환작동에서 펄세이터(24)는 세탁과정에서의 회전속도보다 높은 회전속도로 회전하므로 순환수로부(26)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이 증가되며, 손세탁 세탁물에 충분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따르면, 펄세이터(24)는 세탁과정에서의 연결시간보다 긴 연결시간으로 회전하므로 순환수로부(26)로부터 배출되는 수량이 증가되며 손세탁 세탁물에 충분한 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 펄세이터(24)는 세탁과정에서의 연결시간과 같은 연결시간으로 회전할 수 있다.
<기타 변형예>
상기 실시형태에서 세탁보조판(100)의 상면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된 환형 돌기부(103)로 형성된 파형의 요철로 형성된다. 그러나 세탁보조판(100)의 상면은 세탁물을 마찰할 경우 얼룩을 씻어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만 있다면 임의의 형상의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일방향 직선으로 연장된 다수개의 돌출부가 상기 일방향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으며, 세탁보조판(100)의 상면에 요철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 손세탁급수판단처리에서의 수락가능한 수위를, 표준시간의 손세탁을 수행할 경우 급수 유닛(60)의 급수로 인해 오버플로 포트로부터 넘쳐나지 않되 가능한 높은 수위로 설정된다. 그러나 수락가능한 수위는, 표준시간의 손세탁을 수행할 경우, 수면이 세탁탈수조(22) 내에 안착된 세탁보조판(100)의 상면을 초과하지 않되 가능한 높은 수위일 수도 있다. 이럴 경우 세탁보조판(100)을 사용하여 손세탁을 진행할 경우 세탁물이 세탁탈수조(22)의 더러워진 물에 의하여 침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 급수시간은 30초로 설정되고 인체감지센서(71)가 인체의 일부를 검출할 경우 세팅되는 시간은 25초로 설정된다. 그러나 이런 수치는 단지 예시에 불과할 뿐, 이는 적당한 수치로 설정될 수 있다. 인체의 일부를 검출하였을 경우 세팅되는 시간을 급수시간 이하의 시간으로 설정하였으나, 상기 시간과 급수시간이 같은 상황에서 인체감지센서(71)가 인체의 일부를 검출하지 못할 경우 급수 유닛(60)으로부터의 급수를 즉시 정지한다.
마찬가지로 변형예 1에서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을 20초로 설정하고 손세탁순환용 차단시간을 0.2초로 설정한다. 그리고 변형예 2에서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을 10초로 설정하고 손세탁순환용 차단시간을 0.5초로 설정한다. 이런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 및 차단시간의 수치도 적당하게 설정될 수도 있다. 그러나 손세탁순환용 연결시간은 세탁과정에서의 연결시간보다 길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의 전자동 세탁기(1)는 건조기능을 구비하지 않지만, 본 발명은 건조기능을 가진 전자동 세탁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청구범위에서 표현한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당한 각종 변형을 수행할 수 있다.
22 세탁탈수조;
24 펄세이터;
24a 뒷 날개;
26 순환수로부;
26a 배출구;
31 구동 모터;
50 순환 펌프 유닛(순환수공급부, 급수부);
60 급수 유닛(수돗물공급부, 급수부);
62 세제수용부;
71 인체감지센서;
82 손세탁급수버튼(수돗물공급버튼, 급수버튼)
83 손세탁순환버튼(순환수공급버튼, 급수버튼)
91 제어부(급수제어부)

Claims (7)

  1. 세탁물에 대한 세탁 및 탈수를 진행하는 세탁탈수조;
    물을 상기 세탁탈수조 내로 공급하는 급수부;
    상기 급수부를 제어하는 급수제어부;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탈장착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면이 요철형상을 가지는 세탁보조판; 및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안착된 상기 세탁보조판을 사용하여 세탁물을 손세탁할 경우 조작되는 급수버튼,을 구비하며,
    상기 급수제어부는 상기 급수버튼이 조작된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급수부에 물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수도전과 연결되며 상기 수도전으로부터 공급되는 수돗물을 상기 세탁보조판의 상부로부터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게 하는 수돗물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버튼은,
    상기 수돗물공급부를 작동시키는 수돗물공급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돗물공급부는 수돗물이 흘러 지나가는 세제수용부를 포함하며,
    상기 세제수용부에 수용된 세제는 수돗물과 혼합되어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검출면이 상기 세탁탈수조를 향하는 인체감지센서를 가지며,
    상기 급수제어부는 수돗물공급부가 상기 세탁탈수조 내로 급수하기 시작한 후 상기 인체감지센서로 인체의 일부가 더이상 검출되지 않는 상황에 기반하여 상기 수돗물공급부에 의한 급수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축적된 물을 펌핑하여 상기 세탁탈수조의 상부로부터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게 하는 순환수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버튼은 상기 순환수공급부를 작동시키는 순환수공급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세탁탈수조 내에 배치되며 회전을 통해 수류를 형성하는 펄세이터; 및
    상기 펄세이터를 구동시키는 구동 모터,를 더 구비하며
    상기 순환수공급부는, 상기 펄세이터의 배면에 형성되는 뒷 날개; 및 상기 세탁탈수조의 원주면에 설치되며 상기 뒷 날개의 펌핑 작용을 통해 펌핑된 물을 상부의 배출구로부터 상기 세탁보조판으로 흐르게 하는 순환수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제어부는 상기 급수버튼의 조작에 기반하여,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수량이 세탁과정에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수량보다 많아지도록 상기 구동 모터를 통해 상기 펄세이터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제어부는 세탁과정 후의 과정에서 상기 급수버튼이 조작된 상황에서도 상기 급수부를 통해 물을 공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KR1020167022246A 2014-01-14 2014-12-31 세탁기 KR2016010617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04666 2014-01-14
JP2014004666A JP6159266B2 (ja) 2014-01-14 2014-01-14 洗濯機
PCT/CN2014/095731 WO2015106630A1 (zh) 2014-01-14 2014-12-31 洗衣机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6174A true KR20160106174A (ko) 2016-09-09

Family

ID=535423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246A KR20160106174A (ko) 2014-01-14 2014-12-31 세탁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023986B2 (ko)
EP (1) EP3095909A4 (ko)
JP (1) JP6159266B2 (ko)
KR (1) KR20160106174A (ko)
CN (1) CN105814252B (ko)
WO (1) WO201510663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50829B4 (de) * 2002-10-31 2006-11-02 Infineon Technologies Ag Nichtflüchtige Speicherzelle, Speicherzellen-Anordnung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nichtflüchtigen Speicherzelle
US9909245B2 (en) * 2015-09-10 2018-03-06 Haier Us Appliance Solutions, Inc. Methods for controlling additive deposition in washing machine appliances
US20170335501A1 (en) * 2016-05-17 2017-11-23 General Electric Company Vertical Axis Washing Machine Appliance
US11591740B2 (en) 2018-01-31 2023-02-28 Whirlpool Corporation Dispensing system for a laundry treating appliance
US11155952B2 (en) 2018-10-31 2021-10-26 Whirlpool Corporation Laundry treating appliance having a stain treating station
WO2023284565A1 (zh) * 2021-07-16 2023-01-19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一种洗衣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3193A (ja) 1987-12-11 198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アイロン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14698A (en) * 1930-06-05 1931-07-14 Marie W Huber Combination laundry tray and washboard
US3026699A (en) * 1961-01-06 1962-03-27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US3039286A (en) * 1961-06-26 1962-06-19 Gen Electric Drain overflow arrangement for built-in washing machine
US3209560A (en) * 1963-12-23 1965-10-05 Gen Electric Washing machine with means for pretreating clothes
US3490254A (en) * 1968-05-28 1970-01-20 Whirlpool Co Laundry appliance having scrubber means
JPS5727281U (ko) * 1980-07-24 1982-02-12
JPS6156970U (ko) * 1984-09-19 1986-04-16
JPS61103085U (ko) * 1984-12-12 1986-07-01
JPS6352593A (ja) 1986-08-22 1988-03-05 Hitachi Ltd ビデオプリンタ用色補正装置
JPS6352593U (ko) * 1986-09-26 1988-04-08
JPH01153193U (ko) * 1988-04-12 1989-10-23
CN1045433A (zh) * 1990-01-01 1990-09-19 荆晋宏 在洗桶内设置有人工搓洗板的洗衣机
JPH04224793A (ja) * 1990-12-26 1992-08-14 Sharp Corp 部分洗い装置付洗濯機
JP2534203Y2 (ja) * 1991-12-16 1997-04-30 株式会社イナックス 自動水栓装置
US5253493A (en) * 1992-02-18 1993-10-19 Shigeo Ohashi Washing machine having a sink
JPH0716389A (ja) 1993-07-05 1995-01-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洗濯機
KR970001664B1 (ko) 1994-08-23 1997-02-13 백규현 자성체분말과 세라믹분말을 혼합도포하여서 된 작업용 장갑
JP3125637B2 (ja) * 1995-08-18 2001-01-2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全自動洗濯機並びに全自動洗濯機の運転方法
JPH10127981A (ja) * 1996-10-30 1998-05-19 Sharp Corp 電気洗濯機
TW457137B (en) * 1999-04-28 2001-10-01 Sharp Kk Washer having a partial washing apparatus
JP3739293B2 (ja) 2001-03-15 2006-01-25 シャープ株式会社 洗濯機
CN2503097Y (zh) * 2001-08-31 2002-07-31 杭州松下家用电器有限公司 带预刷衣物洗涤盖的洗衣机
KR20030045447A (ko) 2001-12-04 2003-06-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기의 분리세탁장치
CN2612706Y (zh) * 2002-04-24 2004-04-21 海尔集团公司 双桶洗衣机
KR20040034933A (ko) * 2002-10-17 2004-04-29 퍼스트어메리칸권원보험(주)한국지점 권원보험을 이용한 중도금 보호 방법
JP2003245497A (ja) * 2003-03-24 2003-09-02 Sharp Corp 洗濯機
JP2005105681A (ja) 2003-09-30 2005-04-21 Toto Ltd 人体検出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自動水栓装置
CN2773126Y (zh) * 2004-05-20 2006-04-19 张元吉 镶嵌式塑料洗衣台
EP2309049A1 (en) * 2005-01-14 2011-04-13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Textile product treating apparatus having an ultrasonic cleaning device
CN2844179Y (zh) * 2005-07-27 2006-12-06 Tcl家用电器(惠州)有限公司 波轮式三动力全自动洗衣机
CN101929050B (zh) * 2010-09-07 2011-12-07 李守林 立体便捷手洗衣节水装置
CN102465429A (zh) * 2010-11-11 2012-05-23 南通海利特橡塑机械有限公司 一种同时具有手洗功能的洗衣机
CN202834310U (zh) * 2012-09-17 2013-03-27 吴跃刚 一种带无线控制的感应水龙头
CN203021787U (zh) * 2013-01-17 2013-06-26 惠而浦(中国)投资有限公司 带有独立控制手洗喷嘴的全自动波轮洗衣机
CN105378173B (zh) * 2014-01-29 2018-04-24 三星电子株式会社 洗衣机和洗涤水供应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3193A (ja) 1987-12-11 1989-06-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コードレスアイロ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348293A1 (en) 2016-12-01
EP3095909A4 (en) 2017-09-13
JP6159266B2 (ja) 2017-07-05
JP2015131033A (ja) 2015-07-23
EP3095909A1 (en) 2016-11-23
CN105814252B (zh) 2018-02-23
US10023986B2 (en) 2018-07-17
CN105814252A (zh) 2016-07-27
WO2015106630A1 (zh) 2015-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06174A (ko) 세탁기
JP5152239B2 (ja) 洗濯機
JP6936594B2 (ja) 洗濯機
JP2015181878A (ja) 靴洗浄ユニットおよび洗濯機
JPH09239189A (ja) 全自動洗濯機
JP5836550B2 (ja) 洗濯機
JP4667160B2 (ja) 洗濯機
JP2010207312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14054403A (ja) 洗濯機
JP2018157958A (ja) 洗濯機
JP3638018B1 (ja) 洗濯機
JP3317623B2 (ja) 洗濯機
JP7497797B2 (ja) 洗濯機
WO2021218426A1 (zh) 洗衣机
JP5699285B2 (ja) 浴槽の残り湯利用装置
WO2024083081A1 (zh) 洗衣机
JP2016112090A (ja) ドラム式洗濯機
JP2007319715A (ja) 洗濯機
JP4357390B2 (ja) 洗濯機
JP2021171504A (ja) 洗濯機
JP2018078986A (ja) 洗濯機
JP5239844B2 (ja) 洗浄装置
KR101139248B1 (ko)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JPH09276591A (ja) 洗濯機
JPH0928975A (ja) 洗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