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9485A -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Google Patents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60049485A KR20160049485A KR1020150148416A KR20150148416A KR20160049485A KR 20160049485 A KR20160049485 A KR 20160049485A KR 1020150148416 A KR1020150148416 A KR 1020150148416A KR 20150148416 A KR20150148416 A KR 20150148416A KR 20160049485 A KR20160049485 A KR 2016004948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pening
- developer
- flexible container
- frame member
- communication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4—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non-rigid containers, e.g. foldable cartridges, bag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2—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peelable sealing film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77—Arrangements for metering and dispensing developer from a developer cartridge into the development unit
- G03G15/0881—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 G03G15/0884—Sealing of developer cartridges by a sealing film to be ruptured or cut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03—Arrangements or disposition of the complete process cartridge or parts thereof
- G03G21/181—Manufacturing or assembling, recycling, reuse, transportation, packaging or storag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0987—Remanufacturing,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image form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Dry Development In Electrophotograph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개구를 구비하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용기, 및 가요성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이 제공된다. 재생산 방법은 현상제를 가요성 용기 내에 재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 형성 장치는 전자 사진 화상 형성 공정을 사용하여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 형성 장치의 예는 전자 사진 복사기, 전자 사진 프린터(예를 들어, 레이저 빔 프린터 및 발광 다이오드(LED) 프린터), 팩시밀리 장치 및 워드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현상 디바이스는 현상제, 및 화상 담지 부재로서 감광체 드럼 상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현상하는 현상제 담지 부재인 현상 롤러를 포함한다. 현상 디바이스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감광체 드럼을 갖는 감광체 드럼 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카트리지(프로세스 카트리지)는 감광체 드럼 및 현상 롤러를 일체로 포함하고, 화상 형성 장치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본 특허 제3320403호는 현상 디바이스를 갖는 카트리지, 더 구체적으로, 현상 롤러 및 현상 블레이드를 제거한 후 깔때기를 사용하여 토너를 수납하는 수납 용기에 토너를 재충전하는 카트리지의 재생산 방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가요성 용기를 갖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은 개구를 구비하며 현상제를 수납하는 가요성 용기, 가요성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고, 현상제를 프레임 용기에 재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가 특징부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이후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비-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7은 제2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제2 연통 구멍의 형상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도 9는 제1 및 제2 연통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제1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1은 제2 연통 구멍을 재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2는 밀봉 부재에 의해 재밀봉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3은 밀봉 부재에 의해 재밀봉한 후 상태를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가요성 용기로부터 밀봉 부재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a는 현상제가 재충전되기 전 현상제를 포함하지 않는 가요성 용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b는 신품의 가요성 용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가요성 용기의 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요성 용기 내에 가압 공기를 주입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깔때기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통해 현상제를 프레임 부재 내에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깔때기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통해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현상 유닛 내부의 가요성 용기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현상제가 재충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현상 유닛의 단면도.
도 24는 가요성 용기의 개구측으로부터 본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5는 현상 유닛이 개봉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은 가요성 용기의 개구측으로부터 본, 현상 유닛이 개봉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7은 가요성 용기의 개구측으로부터 본, 현상 유닛이 개봉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8은 밀봉 부재 및 개봉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9는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전개된 사시도.
도 30a 및 도 30b는 프레임 부재의 비-구동측 부분(도 29의 부분(A))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31a, 도 31b, 도 31c, 및 도 31d는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확대하는 확대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도 32는 재충전 개구를 통해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의 단면도.
도 33a 및 도 33b는 제11 실시예에 따르는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확대하는 확대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도 34a, 도 34b, 및 도 34c는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고정된 가요성 용기의 재충전 개구를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도 2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3은 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비-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5는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 6은 제1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7은 제2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8a, 도 8b, 및 도 8c는 제2 연통 구멍의 형상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도 9는 제1 및 제2 연통 구멍을 통해 카트리지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0은 제1 연통 구멍을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1은 제2 연통 구멍을 재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2는 밀봉 부재에 의해 재밀봉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3은 밀봉 부재에 의해 재밀봉한 후 상태를 도시하는 카트리지의 단면도.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가요성 용기로부터 밀봉 부재를 분리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5a는 현상제가 재충전되기 전 현상제를 포함하지 않는 가요성 용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15b는 신품의 가요성 용기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16은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17은 가요성 용기의 용적을 증가시키기 위해 가요성 용기 내에 가압 공기를 주입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8은 깔때기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통해 현상제를 프레임 부재 내에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19는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0은 깔때기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통해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1은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2는 현상 유닛 내부의 가요성 용기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3은 현상제가 재충전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현상 유닛의 단면도.
도 24는 가요성 용기의 개구측으로부터 본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5는 현상 유닛이 개봉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6은 가요성 용기의 개구측으로부터 본, 현상 유닛이 개봉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7은 가요성 용기의 개구측으로부터 본, 현상 유닛이 개봉 부재 및 가압 부재를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프레임 부재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28은 밀봉 부재 및 개봉 부재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9는 현상 유닛을 도시하는 전개된 사시도.
도 30a 및 도 30b는 프레임 부재의 비-구동측 부분(도 29의 부분(A))을 도시하는 확대도.
도 31a, 도 31b, 도 31c, 및 도 31d는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확대하는 확대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도 32는 재충전 개구를 통해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의 단면도.
도 33a 및 도 33b는 제11 실시예에 따르는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확대하는 확대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도 34a, 도 34b, 및 도 34c는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고정된 가요성 용기의 재충전 개구를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의 사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후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실시예에 설명되는 요소의 치수, 재질, 형상, 및 상대적인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르는 장치의 구성 및 기타 다양한 조건에 의존하여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앞선 실시예의 것과 동일한 후속 실시예의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가 할당되고, 앞선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참조로 통합될 것이다.
이하 상세한 설명에서, 현상제 수납 유닛은 적어도 프레임 부재 및 가요성 용기를 포함한다. 현상 장치는 적어도 현상제 담지 부재를 포함한다. 추가로, 프로세스 카트리지는 적어도 화상 담지 부재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현상제 수납 유닛은 현상 디바이스와 동일하다.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은 현상 디바이스로서 단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은 화상 형성 장치(1)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는 풀 컬러의 화상 형성을 실행하고, 장치 본체(2)를 갖는다. 장치 본체(2)의 내부에는, 4개의 카트리지(P)가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이하의 화상 형성 장치(1)의 설명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면은 우측이고, 후방면은 좌측이고, 구동측은 후방측이고, 비구동측은 전방측이다. 장치 본체(2)에 장착되는 카트리지(P)는 다음 4 개의 카트리지: 제1 카트리지(PY), 제2 카트리지(PM), 제3 카트리지(PC), 제4 카트리지(PK)이다. 이들 카트리지(P)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들 카트리지(P)는 토너 색이 상이한 것만 제외하면, 대략 유사한 구성을 갖는다. 제1 카트리지(PY)는 옐로우 현상제를 수용하고, 제2 카트리지(PM)는 마젠타 현상제를 수용하고, 제3 카트리지(PC)는 시안 현상제를 수용하고, 제4 카트리지(PK)는 블랙 현상제를 수용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기록재(S) 상에 컬러 화상 형성을 실행한다. 화상 형성 장치(1)는 카트리지(P)가 장치 본체(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컬러 화상이 기록재(S)에 형성되는 카트리지 유형의 화상 형성 장치이다.
카트리지(P) 내부의 기구는 장치 본체(2)의 구동 출력 유닛(미도시)으로부터 회전 구동력을 수신하여 구동된다. 카트리지(P)의 내부 디바이스는 장치 본체(2)로부터 바이어스 전압(대전 바이어스 전압, 현상 바이어스 전압, 등)이 공급된다.
복수의 카트리지(P)의 위에 노광 장치(200)가 배치된다. 노광 장치(200)는 레이저 스캐너 유닛이며, 장치 본체(2)의 컨트롤러(50)로부터 송신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감광체 드럼(4)을 레이저광(LS)으로 조사한다. 이 레이저광(LS)은 카트리지(P) 내부의 노광 창 부분(10)(도 2 참조)을 통과하고,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은 레이저광(LS)에 대해 노광되어 주사된다.
복수의 카트리지(P)의 아래에는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이 배치된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은 전사 벨트(12), 전사 벨트(12)를 팽팽하게 당기는 구동 롤러(13) 및 텐션 롤러(14, 15)를 포함한다. 전사 벨트(12)는 가요성 재료로 제조된다.
카트리지(P) 내부의 감광체 드럼(4)의 저부면은 전사 벨트(12)의 상부면과 접촉한다. 관련 접촉부가 1차 전사부이다. 전사 벨트(12) 내부에는, 1차 전사 롤러(16)가 각각의 감광체 드럼(4)에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전사 벨트(12)를 개재하여 텐션 롤러(14)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2차 전사 롤러(17)가 배치된다. 2차 전사 롤러(17)와 전사 벨트(12) 사이의 접촉부가 2차 전사부이다.
중간 전사 벨트 유닛(11) 아래에는 급송 유닛(18)이 배치된다. 급송 유닛(18)은 기록재(S)가 적재되는 트레이(19), 및 급송 롤러(20)를 포함한다. 카트리지(P)의 상부 좌측에는 정착 유닛(21) 및 배출 유닛(22)이 배치된다. 장치 본체(2)의 상부면에 배출 트레이(23)가 형성된다. 기록재(S)는 정착 유닛(21)에 의해 정착되고, 이후 배출 트레이(23) 상에 배출된다.
도 2는 카트리지(P)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카트리지(P)는 "현상제 수납 유닛"으로서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을 포함한다. 감광체 유닛(8)은 "화상 담지 부재"로서 감광체 드럼(4), 대전 롤러(5), 및 클리닝 부재(7)를 포함한다. 대전 롤러(5)는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클리닝 부재(7)는 감광체 드럼(4)의 표면에 현상되지만 1차 전사 롤러(16)에 전사되지 않은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블레이드이다.
현상 유닛(9)은 "현상제 담지 부재"로서 현상 롤러(6), 공급 롤러(61), 교반 부재(74)를 갖는다. 현상 롤러(6)는 토너를 사용하여 감광체 드럼(4)의 표면 상에 정전 화상을 현상한다. 공급 롤러(61)는 현상 롤러(6)에 현상제를 공급한다. 교반 부재(74)는 현상 유닛(9) 내부의 현상제를 교반한다.
상술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화상 형성 장치(1)의 동작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감광체 드럼(4)의 표면은 대전 롤러(5)에 의해 균일하게 대전되고, 이후 노광 장치(200)에 의해 광에 노광되어, 정전 화상이 감광체 드럼(4)의 표면 상에 형성된다. 정전 화상이 현상제를 사용하여 현상 유닛(9)에 의해 현상될 때, 현상제 화상이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4)의 표면 상의 현상제 화상은 감광체 드럼(4)의 회전 방향의 정방향(도 1에서 화살표(C)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전사 벨트(12) 상에 전사된다. 옐로우, 마젠타, 시안, 블랙 현상제 화상이 제1 내지 제4 카트리지(P)의 감광체 드럼(4)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전사 벨트(12) 상에 전사되고 서로 중첩된다.
한편, 트레이(19)에 적재되는 기록재(S)는 소정의 제어 타이밍에 따라서 1매씩 분리되어 급송된다. 기록재(S) 각각은 2차 전사 롤러(17)와 전사 벨트(12) 사이의 2차 전사부에 반송된다. 2차 전사부에서, 전사 벨트(12)의 표면 상의 현상제 화상이 기록재(S) 상에 2차 전사된다.
현상 유닛(9)은 현상제를 수납(보관)하는 가요성 용기(251), 및 가요성 용기(251)를 수납(보관)하는 프레임 부재(29)를 포함한다. 가요성 용기(251)에는 현상제를 배출하는 개구(251h)가 구비된다. 현상 유닛(9)은 개구(251h)를 밀봉하고 이동될 때 개구(251h)를 노출하는 밀봉 부재(253), 및 밀봉 부재(253)에 부착되며 이동될 때 개구(251h)를 개봉하는 개봉 부재(254)를 더 포함한다. 즉, 현상 유닛(9)은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적어도 가요성 용기(251),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를 포함하는 유닛을 지칭한다. 가요성 용기(251)는 현상제(T)를 수납(보관)하는 수납부(251b), 및 현상제(T)를 배출하는 개구(251h)를 포함한다.
도 3은 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P)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비-구동측에서 본 카트리지(P)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은 커버(24, 25)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감광체 유닛(8)은 감광체 드럼(4), 대전 롤러(5), 클리닝 부재(7), 클리닝 용기(26), 및 커버(24, 25)를 포함한다. 감광체 드럼(4)은 커버(24, 25)에 의해 클리닝 용기(26)에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감광체 드럼(4)의 길이 방향 일단부 측에는 감광체 드럼(4)에 구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커플링 부재(4a)가 제공된다. 커플링 부재(4a)가 장치 본체(2)의 드럼 구동 출력 유닛과 맞물릴 때, 장치 본체(2)의 구동 모터(미도시)의 구동력이 감광체 드럼(4)에 전달된다. 대전 롤러(5)는 대전 롤러(5)가 감광체 드럼(4)과 접촉해서 회전 가능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클리닝 용기(26)에 의해 지지된다. 클리닝 부재(7)는 클리닝 부재(7)가 소정의 압력에서 감광체 드럼(4)의 주연면과 접촉하도록 클리닝 용기(26)에 의해 지지된다.
클리닝 부재(7)에 의해 감광체 드럼(4)의 주연면으로부터 제거된 잔류 현상제는 클리닝 용기(26)에 수납된다. 현상 유닛(9)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구멍(24a, 25a)이 커버(24, 25)에 형성된다.
도 5는 현상 유닛(9)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가요성 용기(251)는 도 5에 도시된 현상 유닛(9)에 수납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은 현상 롤러(6), 현상 블레이드(31), 프레임 부재(29), 베어링(45, 46), 및 커버(32)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9)에는 가요성 용기(251)의 피고정 부재(251Z)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로서 돌출부(29d)가 구비된다. 돌출부(29d)는 구멍(251a)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가요성 용기(251)는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되는 구멍(251a)이 형성되는 피고정 부재(251Z), 현상제를 수납(보관)하는 수납부(251b), 및 현상제를 배출하는 개구(251h)(251h1 내지 251h6)를 포함한다.
피고정 부재(251Z)에 형성되는 구멍(251a)은 개구(251h)와는 상이한 구멍이다. 구멍(251a)이 돌출부(29d)에 걸리는 경우, 가요성 용기(251)는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된다. 구멍(251a)이 돌출부(29d)로부터 빠지는 경우, 가요성 용기(251)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된다.
카트리지(P)가 신품인 경우, 개구(251h)(251h1 내지 251h6)(도 15a 및 도 15b 참조)는 가요성 용기(251)에 대하여 분리 가능하게 용착된 밀봉 부재(253)에 의해 덮이기 때문에, 현상제는 가요성 용기(251) 내부에서 밀봉된다.
밀봉 부재(253)는 개봉 부재(254)에 결합된다. 개봉 부재(254)는 장치 본체(2)로부터 구동력을 수신하여 화살표(J)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신품의 카트리지(P)가 사용되는 경우, 카트리지(P)는 장치 본체(2)에 부착된다. 이후, 개봉 부재(254)는 장치 본체(2)로부터 구동력을 수신하여 회전한다.
이때, 밀봉 부재(253)는 가요성 용기(251)로부터 분리되고 개봉 부재(254)에 의해 권취된다. 따라서,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가 노출되고, 가요성 용기(251) 내의 현상제가 프레임 부재(29) 내로 배출 가능하게 된다.
현상 롤러(6)의 주연면 상의 현상제 층 두께를 규제하는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된다(도 5 참조). 베어링(45, 46)은 프레임 부재(29)의 길이 방향 양단부에 고정된다. 구동측 단부에 기어(70, 69, 및 68)가 배치된다. 공급 롤러(61)의 샤프트는 기어(70) 내에 끼워진다. 현상 롤러(6)의 샤프트는 기어(69) 내에 끼워진다. 교반 부재(74)(도2)의 샤프트는 기어(68) 내에 끼워진다.
기어(69)는 기어(68)가 회전할 때 회전하도록 설정된다. 베어링(45)에는 기어(68, 69, 및 70)가 설치된다. 커버(32)는 기어(68, 69, 70)의 외측에 고정된다. 단부 시일(62)이 공급 롤러(61)의 샤프트의 양단부에 배치되어 공급 롤러(61)와 프레임 부재(29) 사이를 밀봉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2)에는 원통부(32b)가 구비된다. 기어(68)의 구동 전달부(68a)는 원통부(32b) 내부의 개구(32d)를 통해 노출된다. 카트리지(P)가 장치 본체(2)에 부착될 때, 기어(68)의 구동 전달부(68a)는 장치 본체 구동 전달 부재(미도시)와 맞물려, 장치 본체(2)에 구비된 구동 모터(미도시)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장치 본체(2)로부터 기어(68)에 입력된 구동력은 기어(69)을 개재하여 현상 롤러(6)에 전달된다.
[감광체 유닛 및 현상 유닛 조립 공정]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 및 감광체 유닛(8)을 조립하는 경우, 커버(32)의 원통부(32b)의 외경부는 일 단부측에서 커버(24)의 구멍(24a)에 끼워진다. 그리고, 베어링(46)으로부터 돌출하는 돌출부(46b)가 타단부측에서 커버(25)의 구멍(25a)에 끼워진다. 따라서, 현상 유닛(9)은 감광체 유닛(8)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되도록 지지된다. 현상 유닛(9)은 커버(24)의 구멍(24a) 및 커버(25)의 구멍(25a)을 연결하는 축선 주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현상 유닛(9)의 회전 중심은 회전 중심(X)으로 지칭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은 탄성 부재로서 가압 스프링(95)에 의해 가압되고, 현상 롤러(6)는 회전 중심(X) 주위에서 감광체 드럼(4)과 접촉한다. 더 구체적으로, 가압 스프링(95)의 가압력에 의해 현상 유닛(9)은 도 2에 도시된 화살표(G)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으로 가압되어,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의 모멘트가 회전 중심(X) 주위에 작용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기어(68)는 장치 본체(2)에 구비된 장치 본체 구동 전달 부재(미도시)로부터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되는 방향(도 2 참조)의 회전 구동력을 수신한다. 기어(68)과 맞물린 기어(69)는 이에 의해 화살표(E)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현상 롤러(6)는 이에 의해 화살표(E)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한다. 현상 롤러(6)를 회전시키는데 요구되는 구동력이 기어(68)에 입력됨으로써,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의 회전 모멘트가 현상 유닛(9)에서 발생한다.
상술한 가압 스프링(95)의 가압력 및 장치 본체(2)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에 의해, 현상 유닛(9)은 회전 중심(X) 주위에서 화살표(H)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모멘트를 수신하게 된다. 이후, 현상 롤러(6)는 소정 압력에서 감광체 드럼(4)과 접촉한다. 제1 실시예에서, 감광체 드럼(4)에 대하여 현상 롤러(6)를 가압하기 위해 두 개의 힘, 즉 가압 스프링(95)에 의한 가압력 및 장치 본체(2)로부터의 회전 구동력이 사용되었으나, 관련 목적을 위해 어느 하나의 힘만 사용될 수 있다.
카트리지(P)가 장치 본체(2) 내부에 부착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은 현상 유닛(9) 내부 현상제를 소비하면서 실행된다. 현상 유닛(9) 내부의 현상제를 소비한 후, 현상제를 현상 유닛(9) 내에 재충전하는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이 이하에서 순차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유닛 분리 공정]
현상 유닛(9)의 재생산 방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카트리지(P)의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을 분리하는 유닛 분리 공정이 이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24,25)가 클리닝 용기(26)로부터 제거되는 경우, 현상 유닛(9) 및 감광체 유닛(8)이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커버(24, 25) 및 클리닝 용기(26)는 감광체 드럼(4)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때문에, 상술된 유닛 분리 공정은 감광체 드럼(4)을 감광체 유닛(8)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현상 유닛 분해 공정]
도 5를 참조하여, 현상 유닛(9) 분해 공정이 이후 설명될 것이다. 먼저, 현상 유닛(9)의 구동측 단부에 구비되는 커버(32)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커버(32)가 베어링(45) 및 프레임 부재(29)에 나사(93)로 고정되는 경우, 나사(93)가 제거되고 커버(32)가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된다.
그리고, 현상 유닛(9)의 구동측에서, 커버(32)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어(68, 69, 및70)가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한다. 기어(68)는 커버(32) 및 베어링(45)에 의해 활주 가능하게 지지되고, 기어(69)는 현상 롤러(6)의 샤프트의 단부에 끼워진다. 기어(70)는 공급 롤러(61)의 샤프트에 끼워진다. 따라서, 기어(68, 69, 및 70), 현상 롤러(6), 및 공급 롤러(61)는 현상 유닛(9)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그리고, 베어링(45, 46) 및 현상 롤러(6)가 현상 유닛(9)으로부터 분리된다. 베어링(45)이 프레임 부재(29)에 나사로 고정되는 경우, 나사가 제거되고 베어링(45)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서, 베어링(45) 및 커버(32)는 나사(93)에 의해 프레임 부재(29)에 함께 고정된다. 커버(32)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때 나사(93)는 제거되었기 때문에, 베어링(45)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베어링(46)이 프레임 부재(29)에 나사로 고정될 때, 베어링(46)은 나사가 제거된 후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현상 롤러(6)는 베어링(45, 46)에 의해 프레임 부재(29) 상에 활주 가능하게 지지된다. 따라서, 베어링(45, 46)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현상 롤러(6)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현상 롤러(6)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베어링(45, 46)의 양쪽을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이 실행되었으나,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베어링(46)만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 후, 현상 롤러(6)는 현상 롤러(6)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비구동측을 향해 인출될 수 있다.
이후,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에 나사(91, 92) 등으로 고정되는 경우, 나사(91, 92)가 제거되고,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도 14a, 도 14b, 및 도 14c는 가요성 용기(251)로부터 밀봉 부재(253)가 분리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가요성 용기(251)가 프레임 부재(29) 내부에 수용(수납)된다. 개봉 부재(254)가 회전할 때, 밀봉 부재(253)가 가요성 용기(251)의 수납부(251b)의 개구(251h1 내지 251h4) 주위의 장착 및 분리 영역으로부터 분리된다. 네 개의 개구(251h)가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되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여섯 개의 개구(251h)가 존재한다.
장착 및 분리 영역은 분리 방향에서 하류 측에 두 개의 부분: 현상 롤러(6)의 축방향에 평행한 평행부(80b) 및 분리 방향에서 하류측을 향하는 산형부를 갖는 산형부(80c)를 구비한다. 장착 및 분리 영역은 분리 방향의 상류에 현상 롤러(6)의 축방향과 평행한 분리 개시부(80a)를 추가로 포함한다. 밀봉 부재(253)는 화살표(O1)에 의해 표시된 방향 및 화살표(O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되어 도 14a, 도 14b, 및 도 14c에 도시된 상태로 순서대로 분리된다.
[제1 연통 구멍 가공 공정]
도 6은 카트리지 P의 제1 연통 구멍(101)의 가공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제1 연통 구멍(101)을 현상 유닛(9)의 프레임 부재(29) 상에 가공하는 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이 수직으로 상부측에 배치되도록 카트리지(P)를 보유 지지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29)의 수직 상부면 상에,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으로서 제1 연통 구멍(101)을 가공한다(프레임 부재가공 공정). 이에 의해 프레임 부재(29)의 내부에 고정되는 가요성 용기(251)가 제1 연통 구멍(101)을 통해 노출된다.
[제2 연통 구멍 가공 공정]
도 7은 제2 연통 구멍(102)을 가공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P)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여, 프레임 부재(29)의 내부에 고정된 가요성 용기(251) 상에 제2 연통 구멍(102)을 가공하는 공정이 설명될 것이다. 제1 연통 구멍(101)이 가공되기 때문에, 가요성 용기(251)가 노출된다. "용기 연통 구멍"으로서 제2 연통 구멍(102)이 노출된 가요성 용기(251) 상에 가공된다(용기 가공 공정). 이에 의해 카트리지(P)의 외부 및 가요성 용기(251)의 내부가 서로 연통되고, 제1 연통 구멍(101) 및 제2 연통 구멍(102)을 개재하여 가요성 용기(251)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는 제2 연통 구멍(102)의 가능한 형상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251)의 사시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연통 구멍(102)은 둥근 구멍(도 8a 참조) 및 사각형 구멍 등의 관통 구멍, 직선형 절단부, 십자형 절단부(도 8b 참조) 등의 절단부, 및 U형 절단부(도 8c 참조)일 수 있다. 추가로, 제2 연통 구멍(102)은 프레임 부재(29)의 내부와 가요성 용기(251)의 외부 사이의 연통을 가능하게 하고 깔때기(201)(후술됨)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연통 구멍(102)으로서,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 중 하나 보다 큰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9는 제1 연통 구멍(101) 및 제2 연통 구멍(102)을 개재해서 카트리지(P)의 내부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이 수직 상부측에 배치되는 상태에서 카트리지(P)의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현상제를 충전하기 위해 깔때기(201)를 도 9에 도시된 화살표(K)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삽입한다.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제1 연통 구멍(101) 및 제2 연통 구멍(102)을 개재하여 프레임 부재(29)의 외부로부터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 내에 삽입되고, 현상제가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된다(재충전 공정).
사용자는 현상제를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하기 위해 예를 들어 토너 보틀(미도시)로부터 깔때기(201)로 현상제를 투입한다. 상술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보다도 큰 개구가 제2 연통 구멍(102)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현상제가 제2 연통 구멍(102)을 통해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될 때, 개구(251h)를 통해 현상제를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하는 경우에 비해 팁부(201a)의 큰 단면적을 갖는 깔때기(201)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연통 구멍(102)의 사용은 토너의 보다 빠르고 효율적인 재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제1 연통 구멍 밀봉 공정]
도 10은 제1 연통 구멍(101)을 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P)의 단면도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연통 구멍(101)을 밀봉하기 위한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1 재밀봉 부재(103)를 제1 연통 구멍(101)에 부착한다(재밀봉 공정).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이 상부측에 배치되도록 카트리지(P)가 보유 지지되는 상태에서 제1 재밀봉 부재(103)가 부착된다. 그리고, 제1 밀봉 부재(103)는 제1 연통 구멍(101)을 덮도록 프레임 부재(29)에 부착된다.
제1 재밀봉 부재(103)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연통 구멍(101)을 덮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재밀봉 부재(103)는 양면 테이프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밀봉 부재(103)는 양면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되는 부재일 필요는 없고, 캡과 같이 제1 연통 구멍(101)으로 끼워지는 부재일 수 있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은 카트리지(P)를 분해하지 않고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2 연통 구멍 밀봉 공정](선택적)
도 11은 제2 연통 구멍(102)을 재밀봉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카트리지(P)의 단면도이다. 제1 연통 구멍(101)과 유사하게, 재밀봉 공정이 제2 연통 구멍(102)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이 공정은 가요성 용기(251)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연통 구멍(102)을 밀봉하기 위한 제2 재밀봉 부재(104)를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제2 연통 구멍(102)에 부착하기 위해 실행된다.
제2 재밀봉 부재(104) 는 현상 유닛(9)이 수직 상향으로 배향된 상태에서 부착된다. 그리고, 제2 재밀봉 부재(104)는 제2 연통 구멍(102)을 덮도록 가요성 용기(251)에 부착된다. 제2 재밀봉 부재(104)는 가요성 용기(251)로부터의 현상제의 누설을 방지하기 위해 제2 연통 구멍(102)을 덮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재밀봉 부재(104)는 양면 테이프 대신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통 구멍(102)을 밀봉하는 제2 연통 구멍 밀봉 공정을 실행한 후, 사용자는 상술된 바와 같이 제1 연통 구멍(101)을 밀봉하는 제1 연통 구멍 밀봉 공정을 실행한다.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된 현상제를 밀봉하기 위해 상술된 제1 연통 구멍(101) 및 제2 연통 구멍(102) 중 적어도 하나를 밀봉하는 것이 단지 요구된다(연통 구멍 밀봉 공정).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에 의해, 카트리지(P)로부터의 토너의 누설 가능성을 감소시키기 위해 가요성 용기(251) 내에만 토너가 재충전되는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을 달성할 수 있다.
[제2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현상제는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를 밀봉하지 않고 프레임 부재(29) 및 가요성 용기(251)를 통해 충전된다. 이와 달리, 토너 재충전 이전에, 사용자는 개구(251h)가 노출될 때까지 카트리지(P)를 분해하고,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를 밀봉하고, 이후 카트리지(P)를 재조립할 수 있다. 이들 공정 이후, 토너는 가요성 용기(251) 내에만 재충전될 수 있다.
도 12는 밀봉 부재(253)에 의해 재밀봉되기 전 상태를 도시하는 카트리지(P)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밀봉 부재(253)에 의한 재밀봉 이후 상태를 도시하는 카트리지(P)의 단면도이다.
[유닛 분리 공정] 및 [현상 유닛 분해 공정]
상술된 유닛 분해 공정에서, 사용자는 감광체 유닛(8) 및 현상 유닛(9)의 분리 공정 및 현상 유닛(9)의 분해 공정을 실행한다. 그리고, 현상 유닛(9)의 분리 공정이 완료될 때,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가 노출되고, 사용자가 현상제를 가요성 용기(251) 내부에 재충전하는 것을 허용한다. 그러나, 사용자는 이 공정에서 현상제를 재충전하지 않는다. 그리고, 사용자는 개구(251h)를 통해 현상제를 재충전하지 않고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를 밀봉한다. 이 공정은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개구 재밀봉 공정]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분리 공정에서, 밀봉 부재(253)가 분리되고 개구(251h)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도 12에 도시된 화살표(V)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밀봉 부재(253)가 액세스되고, 밀봉을 위해 한번 사용된 밀봉 부재(253)는 다시 가요성 용기(251)에 용착되고, 밀봉 부재(253)가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에 부착되어 개구(251h)를 재밀봉한다.
이에 의해 도 13에 도시된 재밀봉 상태가 된다. 이에 의해 가요성 용기(251)로부터의 토너의 누설이 방지되고, 토너는 가요성 용기(251) 내에만 재충전될 수 있다. 개구(251h)는 반드시 용착에 의해 밀봉되지 않고, 양면 테이프 사용에 의한 접착에 의해 밀봉될 수 있다. 개구 재밀봉 공정을 실행한 후, 카트리지(P)가 재조립된다.
[현상 유닛 조립 공정] 및 [유닛 결합 공정]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의 조립 공정, 및 감광체 유닛(8)과 현상 유닛(9)의 조립 공정을 실행한다.
카트리지(P)의 조립 공정의 완료 이후, 사용자는 상술된 실시예에 따르는 공정과 유사한, 제1 연통 구멍 가공 공정, 제2 연통 구멍 가공 공정, 및 토너 재충전 공정을 실행한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은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3 실시예]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15a는 현상제의 재충전 이전, 현상제를 포함하지 않는 가요성 용기(251)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b는 신품의 가요성 용기(251)의 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의 재충전 이전 가요성 용기(251)는 신품의 가요성 용기(251)의 것과 상이한 형태를 갖고, 신품의 가요성 용기(251)의 것보다 작은 용적을 갖는다. 사용자는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가 수직 상향으로 배향되도록 프레임 부재(29)를 보유 지지하고, 현상제를 재충전한다.
더 구체적으로, 재생산 이전의 가요성 용기(251)의 크기는 높이 H0, 세로 D0, 가로 W0에 의해 표현되고, 신품의 가요성 용기(251)의 크기는 높이 H1, 세로 D1, 가로 W1에 의해 표현되고, "W1 < W0, D1 < D0, 및 H1 < H0" 의 관계가 만족될 수 있다. 가요성 용기(251) 내에 더 많은 현상제를 재충전하기 위해,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신품 가요성 용기(251)의 것과 대략 동일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예를 들어, 현상제를 재충전하기 전에, 사용자는 가요성 용기(251) 내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7은 가요성 용기(251) 내에 압축 공기를 주입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용적을 증가시키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깔때기(201)의 팁부(201a)가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를 통해 가요성 용기(251) 내에 삽입된다. 가요성 용기(251)에 복수의 개구(251h)가 구비되는 경우,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개구(251h1 내지 251h6) 중 어느 하나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된 공기가 깔때기(201)로부터 화살표(A1)로 표시된 방향으로 가요성 용기(251) 내에 주입되는 경우, 압축된 공기는 깔때기(201)의 팁부(201a)로부터 화살표(A2 내지 A4)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가요성 용기(251) 내에 주입된다(공기 주입 공정). 그리고, 가요성 용기(251)는 화살표(B1 내지 B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팽창하고, 이에 따라 가요성 용기(251)의 크기(높이 H1, 세로 D1, 및 가로 W1)은 신품 가요성 용기(251)와 거의 동일한 크기까지 회복된다.
도 18은 깔때기(201)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를 통해 현상제를 프레임 부재(29) 내에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깔때기(201)를 사용하여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를 통해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를 통해 삽입된다. 사용자는 현상제를 현상제 보틀(미도시)로부터 깔때기(201) 내에 떨어뜨림으로써 가요성 용기(251)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한다. 추가로, 깔때기 형상 주 본체에 오거(auger)를 구비한 정량 공급 디바이스의 사용은 현상제의 효율적인 재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가요성 용기(251)에 복수의 개구(251h)가 구비될 때,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개구(251h1 내지 251h6) 중 어느 하나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현상 유닛 조립 공정] 및 [유닛 결합 공정]
현상제의 재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의 조립 공정, 및 감광체 유닛(8)과 현상 유닛(9)의 결합 공정을 실행한다. 상술된 공정의 완료시, 카트리지(P)의 조립 공정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은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4 실시예]
도 21은 현상 유닛(9)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에서, 제3 실시예와 유사하게, 사용자는 현상 롤러(6) 및 현상 블레이드(31)를 제거하지 않고 현상제 재충전 공정을 실행한다. 상기 설명과 유사하게,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을 단일 유닛으로 하기 위해 유닛 분리 공정 및 현상 유닛 분리 공정을 실행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29)에 대해 현상제를 재충전하기 위한 구멍으로서의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으로서 충전 포트(29r)를 가공한다(프레임 부재 가공 공정). 충전 포트(29r)는 깔때기(201)의 팁부(201a)(후술됨)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2는 현상 유닛(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29)의 충전 포트(29r) 및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를 통해 깔때기(201)의 팁부(201a)를 프레임 부재(29) 내부의 가요성 용기(251) 내에 삽입한 후, 현상제를 재충전한다.
도 23은 현상제가 재충전된 상태를 도시하는 현상 유닛(9)의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29)의 충전 포트(29r)는 구멍 밀봉 부재(300)에 의해 밀봉된다. 구멍 밀봉 부재(300)로서, 접착 테이프, 접착층을 구비한 플라스틱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후속 공정에서, 사용자는 유닛 분리 공정의 반대 순서로 유닛을 조합하여 조립 공정을 완료한다.
[제5 실시예]
[밀봉 부재 제거 공정]
도 24는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측으로부터 본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밀봉 부재(253)는 초음파 용착을 통해 개봉 부재(254)의 고정부(254b)(254b1 내지 254b6)에 고정된다. 개봉 부재(254)의 구동측에서, 기어(254a)가 개봉 부재(254)에 끼워진다. 개봉 부재(254)의 비-구동측은 프레임 부재(29)에 의해 보유 지지된다.
가요성 용기(251)가 개봉된 후, 밀봉 부재(253)는 개봉 부재(254) 주위에 권취된다. 사용자는 개봉 부재(254) 주위에 권취된 밀봉 부재(253)를 화살표(U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하고, 이후 커터를 사용하여 밀봉 부재(253)의 점선부(Y)를 절단함으로써 밀봉 부재(253)를 제거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재생산 방법은 재충전 공정 전에 밀봉 부재(253)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제거 공정을 포함한다. 사용자는 개봉 부재(254) 주위에 권취된 밀봉 부재(253)를 화살표(U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함으로써 밀봉 부재(253)를 개봉 부재(254)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밀봉 부재(253)를 제거하기 용이한 형상으로서, 예를 들어 개봉 부재(254)의 고정부(254b)의 부근의 밀봉 부재(253)의 시트 두께는 개구(251h) 부근에 용착된 부분 보다 얇게 될 수 있다. 즉, 밀봉 부재(253)에서, 개봉 부재(254)가 고정되는 부분의 필름 두께는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가 밀봉되는 부분의 두께보다 얇다. 개봉 부재(254)의 고정부(254b)로부터 밀봉 부재(253)을 분리하는 데 요구되는 힘이 가요성 용기(251)로부터 밀봉 부재(253)을 분리하는 데 요구되는 힘보다 큰 것만이 요구된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현상 유닛(9)의 분해 공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프레임 부재(29)에 구비된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가 노출되고, 현상제가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되는 것을 허용한다. 현상제 재충전 이후 조립 공정에서, 제거된 밀봉 부재(253)를 재부착할 필요는 없다.
[밀봉 부재 제거 공정의 효과]
밀봉 부재(253)의 적어도 일부를 개봉 부재(254)로부터 제거하는 것은 가요성 용기(251) 내부의 개구(251h)를 통해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재충전 공정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이어서, 사용자는 현상제 재충전 공정을 실행한다. 이 공정은 도 6 내지 도 11에 도시된 상술된 방법과 유사하다.
[현상 유닛 조립 공정] 및 [유닛 조립 공정]
현상제의 재충전이 완료되는 경우,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의 조립 공정, 및 감광체 유닛(8)과 현상 유닛(9)의 조립 공정을 실행한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카트리지(P)의 조립 공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은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6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 개봉 부재(254)는 가압 부재의 기능을 갖는다. 제6 실시예에서, 개봉 부재(254)의 기능이 가압 부재의 기능으로부터 분리된 경우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25는 현상 유닛(9)이 개봉 부재(254) 및 가압 부재(255)를 포함하는 카트리지(P)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부재(255) 및 개봉 부재(254)는 장치 본체(2)로부터 구동력을 받아서 화살표(J)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도 26은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측으로부터 본, 현상 유닛(9)이 개봉 부재(254) 및 가압 부재(255)을 포함하는 카트리지(P)의 프레임 부재(29)를 도시하는 정면도이다. 밀봉 부재(253)는 초음파 용착을 통해 개봉 부재(254)의 고정 위치(254b)(254b1 내지 254b6)에 고정된다. 개봉 부재(254)의 구동측에서, 기어(254a)가 개봉 부재(254)에 끼워진다. 개봉 부재(254)의 비-구동측은 프레임 부재(29)에 보유 지지된다.
개봉 부재(254)와 유사하게, 가압 부재(255)의 구동측에서, 가압 부재(255)의 기어(255a)가 가압 부재(255) 내에 끼워진다. 가압 부재(255)가 가요성 용기(251)을 이동시켜 현상제의 배출을 촉진한다. 재생산된 프로세스 카트리지에서, 가요성 용기(251)의 개봉 동작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후술되는 바와 같이, 밀봉 부재(253)뿐만 아니라 개봉 부재(254)도 제거될 수 있다.
[밀봉 부재 및 개봉 부재 제거 공정]
개봉 부재(254) 및 기어(254a)는 기어(254a)를 화살표(U2)로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하는 것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후,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29)에 의해 보유 지지된 개봉 부재(254)의 비-구동측을 인출한다. 이에 의해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가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봉 부재(254)를 굴곡시켜 비-구동측을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고, 이후 기어(254a)를 화살표(U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는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를 점선부(Z)에서 니퍼를 사용하여 절단한 후, 개봉 부재(254)의 비-구동측을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제거하여 개봉 부재(254) 및 기어(254a)를 분리할 수 있다.
사용자는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를 개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제5 실시예에서와 같이 화살표(U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밀봉 부재(253)를 인출함으로써 밀봉 부재(253)를 제거하고, 이후 상술한 바와 같이 개봉 부재(254)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제거한다.
대안적으로,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를 제거하기 위한 구멍(29r3)이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를 보유 지지하는 프레임 부재(29)의 비-구동측 표면 상에 형성될 수 있다.
구멍(29r3)은 밀봉 부재(253) 및 개봉 부재(254)가 이를 통해 인출될 수 있는 크기를 갖는 것만이 요구된다. 사용자는 기어(254a)를 보유 지지하면서 화살표(U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개봉 부재(254)를 인출한다. 이후, 사용자는 기어(254a)를 화살표(U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한다. 대안적으로, 개봉 부재(254)를 구멍(29r3)을 통해 보유 지지하면서, 사용자는 기어(254a)를 화살표(U2)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먼저 인출한 후, 개봉 부재(254)를 구멍(29r3)을 통해 화살표(U3)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다.
구멍(29r3) 및 기어(254a)가 인출되는 구멍을 밀봉하기 위해, 사용자는 접착 테이프, 접착 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판 등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현상제를 재충전한 후 조립 공정에서, 제거된 밀봉 부재(253), 개봉 부재(254), 및 기어(254a)를 재부착할 필요는 없다.
[제7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53)를 제거하기 위한 구멍이 밀봉 부재(253)에 가공되지 않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제7 실시예에서, 도 24에 도시된 점선부(Y)에 천공부가 형성되고 밀봉 부재(253)가 천공부를 갖는 경우가 설명된다.
[밀봉 부재 제거 공정]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밀봉 부재를 개봉 부재(254) 주위에 권취된 상태로부터 해제하기 위해 화살표(U1)로 표시된 방향으로 밀봉 부재(253)를 인출한다. 이후, 사용자는 밀봉 부재(253)를 인출하여 천공부를 절단한다. 밀봉 부재(253)는 이에 의해 절단될 수 있다.
밀봉 부재(253)의 천공부에서 밀봉 부재(253)를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은 가요성 용기(251)로부터 밀봉 부재(253)를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보다 큰 것만이 요구된다. 또한, 밀봉 부재(253)를 개봉 부재(254)의 고정부(254b)로부터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은 밀봉 부재(253)의 천공부에서 밀봉 부재(253)를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보다 큰 것만이 요구된다. 현상제 재충전 이후 조립 공정에서, 제거된 밀봉 부재(253)를 재부착할 필요는 없다.
[제8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53)가 1매의 시트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제8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53)가 고정 부재(501) 및 개구 밀봉 부재(502)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부재(501)는 개봉 부재(254)의 고정부(254b)에 고정된다. 개구 밀봉 부재(502)는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를 밀봉하는 부재이다. "고정부"로서 고정 부재(501) 및 "밀봉부"로서 개구 밀봉 부재(502)는 접착부(R)에서 서로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접착된다. 따라서, 밀봉 부재(253)는 개구(251h)를 폐쇄하는 개구 밀봉 부재(502) 및 개봉 부재(254)에 고정되는 고정 부재(501)에 의해 형성된다. 개구 밀봉 부재(502) 및 고정 부재(501)는 서로 접착된다.
[밀봉 부재 제거 공정]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개봉 부재(254) 주위에 권취된 밀봉 부재(253)를 화살표(U1)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인출하고, 이후 고정 부재(501) 및 개구 밀봉 부재(502)를 분리한다.
고정 부재(501) 및 개구 밀봉 부재(502)를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은 개구 밀봉 부재(502)를 가요성 용기(251)로부터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보다 큰 것만이 요구된다. 또한, 고정 부재(501) 및 개봉 부재(254)를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은 고정 부재(501) 및 개구 밀봉 부재(502)를 분리하는데 요구되는 힘보다 큰 것만이 요구된다. 현상제 재충전 이후 조립 공정에서, 제거된 개구 밀봉 부재(502)를 재부착할 필요는 없다.
[제9 실시예]
제5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6) 및 현상 블레이드(31)가 현상 유닛(9)의 분해 공정에서 제거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제9 실시예에서, 현상 롤러(6) 및 현상 블레이드(31)가 현상 유닛(9)의 분해 공정에서 제거되지 않는 경우가 설명된다. 먼저, 상기 상세한 설명과 유사하게, 유닛 분리 공정 이후,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을 카트리지(P)로부터 분리한다.
이 경우, 상술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29) 상에, 밀봉 부재(253)를 제거하고 현상제를 재충전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충전 포트(29r)를 형성한다. 더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프레임 부재(29) 상에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으로서 충전 포트(29r)를 형성하고, 충전 포트(29r)를 통해 적어도 밀봉 부재(253)를 제거한다. 구멍은, 밀봉 부재(253)가 제거될 수 있고 현상제가 프레임 부재(29)의 충전 포트(29r) 및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를 통해 재충전될 수 있는 한 프레임 부재(29) 상의 어느 곳이든 형성될 수 있다.
충전 포트(29r)는 밀봉 부재(253)가 이로부터 취출될 수 있는 한, 그리고 깔때기(201)의 팁부(201a)(후술됨)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밀봉 부재(253)를 제거하는 방법은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방법과 유사하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 및 충전 포트(29r)를 개재하여 깔때기(201)의 팁부(201a)를 가요성 용기(251) 내에 삽입한 후 현상제를 재충전한다.
도 23은 현상제가 재충전되는 현상 유닛(9)의 단면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구멍 밀봉 부재(300)를 사용하여 프레임 부재(29)의 충전 포트(29r)를 밀봉한다. 구멍 밀봉 부재(300)로서, 접착 테이프, 접착층을 구비한 플라스틱 판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후속 공정에서, 사용자는 유닛 분리 공정의 반대 순서로 유닛을 결합하여 조립 공정을 완료한다.
[제10 실시예]
[현상 유닛 조립 공정]
도 29는 현상 유닛(9)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이어서, 사용자는 공급 롤러(61)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한다. 도 30a 및 도 30b는 프레임 부재(29)의 비-구동측 부분(도 29에 도시된 부분(A))을 도시하는 확대도이다. 도 3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롤러(61)의 샤프트가 끼워지는 구멍(29b)이 프레임 부재(29)에 형성된다. 공급 롤러(61)의 샤프트와 프레임 부재(29) 사이의 간극이 단부 시일(62)에 의해 밀봉되는 경우, 사용자는 단부 시일(62)을 제거한 후 공급 롤러(61)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한다.
사용자는 구동측 및 비-구동측의 각각의 단부 시일(62) 모두의 제거 공정을 실행할 수 있으나, 본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비-구동측 상의 단부 시일(62)의 제거 공정만 실행한 후 공급 롤러(61)를 비-구동측을 향해 인출하여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 공급 롤러(61)의 샤프트가 프레임 부재(29)의 구멍(29b) 내에 끼워지지만, 구성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공급 롤러(61)는 공급 롤러(61)의 고정 부재(28)를 통해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될 수 있다(도 30b 참조).
이 경우, 사용자는 고정 부재(28)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한 후 공급 롤러(61)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한다. 사용자는 비-구동측 및 구동측 모두에서 또는 비-구동측 및 구동측 중 어느 하나에서 고정 부재(28)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는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비-구동측 상에서만 고정 부재(28)의 제거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 사용자는 공급 롤러(61)를 비-구동측을 향해 인출함으로써 공급 롤러(61)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현상 유닛(9)의 분해 공정이 완료되어 현상제가 재충전되게 한다.
[개구 확대 공정]
도 31a, 도 31b, 도 31c, 및 도 31d는 가요성 용기(251)의 복수의 개구(251h1 내지 251h10)을 확대하는 확대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251)의 사시도이다. 재생산 방법은 재충전 공정 전에, 개구(251h)를 확대하도록 개구(251h)를 가공하는 개구 가공 공정을 포함한다. 개구 가공 공정은 복수의 개구(251h)를 연결한다.
도 3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1 내지 251h10) 사이의 모든 연결부(L1 내지 L9)를 절단하는 방법이 있다. 도 3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방법은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1 내지 251h10) 사이의 연결부(L1 내지 L9) 중 연결부(L1) 만 절단한다.
도 3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방법은 개구(L10)을 형성하기 위해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1 내지 251h10) 사이에 연결부(L1 및 L9)를 포함한 큰 영역을 절단한다. 도 3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1c와 실질적으로 유사하게, 또 다른 방법은 개구(251h11)를 형성하기 위해 큰 영역을 절단한다. 이 경우, 개구 가공 공정은 복수의 개구(251h) 모두를 포함한 영역 보다 큰 개구(251h11)를 형성한다. 가공 이후 개구는 가공 전의 개구 보다 크게 되도록 확대되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가공 이후 개구는 재충전 개구(251F)로서 지칭된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도 32는 재충전 개구(251F)를 개재하여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프레임 부재(29)의 단면도이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경우, 프레임 부재(29)는 재충전 개구(251F)가 수직 상향으로 배향되도록 배치된다. 현상제를 재충전하는데 사용되는 깔때기(201)는 확대된 재충전 개구(251F)의 크기에 그 단면적이 끼워지는 팁부(201a)를 갖는다.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화살표(M)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재충전 개구(251F)를 개재하여 가요성 용기(251) 내에 삽입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토너 보틀(미도시)로부터 깔때기(201) 내에 현상제(T)를 투입하여, 가요성 용기(251) 내에 그리고 프레임 부재(29)의 내에 현상제(T)를 재충전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된 깔때기(201)는 재충전 개구(251F)의 크기에 따르는 팁부(201a)의 단면적을 갖지만, 재충전 개구(251f)는 깔때기(201)의 크기에 따라 확대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재충전 개구(251F)는 신품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251h1 내지 251h10) 보다 큰 개구 영역을 갖기 때문에,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큰 단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는 더 짧은 시간에 토너의 효율적인 재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개구를 확대하지 않고 현상제(T)가 재충전될 때, 사용자는 개구의 크기에 따라 팁부(201a)의 작은 단면적을 갖는 깔때기(201)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현상제가 깔때기(201)의 팁부(201a)에서 정체하여 재충전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또한, 높은 응집성을 갖는 현상제(T)를 재충전하는 경우, 깔때기(201)의 팁부(201a)가 현상제에 의해 막혀, 현상제를 재충전할 수 없을 수 있다.
개구가 매우 작은 경우,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가요성 용기(251) 내에 삽입될 수 없다. 사용자가 깔때기(201)의 팁부(201a)를 가요성 용기(251)에 삽입하지 않고 재충전 공정을 실행하는 경우, 재충전된 현상제의 대부분은 가요성 용기(251) 내에 충전되지 않고, 프레임 부재(29) 내부 및 가요성 용기(251) 외부의 의 매우 적은 용적이 충전제로 충전된다. 그 결과, 현상제 재충전은 충분히 완료될 수 없다.
[현상 유닛의 조립 공정] 및 [유닛 결합 공정]
이러한 방식으로 현상제를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한 후, 사용자는 현상제 유닛(9)의 조립 공정, 및 감광체 유닛(8)과 현상 유닛(9)의 결합 공정을 실행한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카트리지(P)의 조립 공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은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11 실시예]
(개구 확대 공정)
도 33a는 제11 실시예에 따라서 가요성 용기(251)의 개구를 확대하는 확대 공정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251)의 사시도이다. 가요성 용기(251) 상에, 절취선(k1)이 개구(251h4 및 251h5) 사이의 연결부(L4)에 미리 가공된다. 개구 확대 공정에서, 개구는 절취선(k1)을 절단함으로써 확대된다. 개구 가공 공정에서, 복수의 개구(251h) 중 적어도 하나가 가공된다. 또한, 복수의 절취선은 연결부에서 가공된다. 예를 들어, 절취선(k1)에 추가로, 절취선(k2)이 개구(251h5 및 251h6) 사이의 연결부(L5)에 가공될 수 있다.
그러나, 절취선(k1 및 k2)는 밀봉 부재(253)가 개봉 부재(254)에 의해 권취될 때 절단되지 않은 상태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밀봉 부재(253)가 권취되는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절취선(k1 및 k2)을 가공하기 보다는, 밀봉 부재(253)가 권취되는 화살표(B)의 방향에 대해 작은 각도를 형성하는 그러한 방향으로 절취선(k4)을 가공하는 것이 더 낫다. 그러나, 권취 방향 및 절취선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절취선을 절단하는데 요구되는 장력은 밀봉 부재(253)가 권취되는 동안 절취선에 인가되는 장력보다 큰 것만이 요구된다.
도 33b는 변형예에 따르는 절취선(k3)을 도시하는 가요성 용기(251)의 사시도이다. 도 3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B)에 의해 표시된 방향으로 연장하며 개구(251h5)와 연결되는 절취선(k3)은 가요성 용기(251)의 표면에서 가공될 수 있다.
가요성 용기(251) 상에 미리 가공된 절취선은 개구 확대 공정에서 절단됨으로써 개구를 확대하는 것만이 요구된다. 절취선의 개수 및 형상은 한정되지 않는다. 마찬가지로, 개구는 개구 확대 공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절취선을 절단함으로써 확대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공된 모든 절취선을 절단할 필요는 없다. 이후의 현상제 재충전 공정은 제10 실시예에 따르는 것과 유사하고,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제12 실시예]
[재충전 개구 가공 공정]
도 34a, 도 34b, 및 도 34c는 재충전 개구(251G)를 프레임 부재(29)의 내부에 고정된 가요성 용기(251)에 가공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가요성 용기(251)의 사시도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현상 유닛(9)의 분해가 완료되는 경우, 가요성 용기(251)가 노출된다. 이 경우, 재충전 개구(251G)가 노출된 가요성 용기(251) 상에 가공된다. 이는 재충전 개구(251G)를 통해 현상제가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도 3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재충전 개구(251G)는 둥근 관통 구멍(251G1), 도 3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십자형 절단부(251G2), 또는 도 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U형상 절단부(251G3)일 수 있다.
추가로, 재충전 개구(251G)는 깔때기(201)(후술됨)가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임의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사각형 구멍과 같은 관통 구멍 또는 직선 절단부와 같은 절단부일 수 있다. 재충전 개구(251G)는 가요성 용기(251)의 내부와 외부 사이의 연통을 허용하도록 가요성 용기(251) 상의 개구(251h)(251h1 내지 251h6) 중 하나의 개구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재충전 개구(251G)를 크게 형성하는 것은 더 효율적인 현상제 재충전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현상제 재충전 공정]
이어서, 사용자는 도 15,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여 상술된, 현상제 재충전 공정을 실행한다. 압축된 공기를 가요성 용기(251) 내에 주입할 때, 도 34a, 도 34b, 및 도 34c에 도시된 재충전 개구(251G) 중 임의의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4a, 도 34b, 및 도 3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201)의 팁부(201a)는 가요성 용기(251)의 재충전 개구(251G) 내에 삽입된다(도 16 참조). 사용자는 현상제를 현상제 보틀(미도시)로부터 깔때기(201) 내에 떨어뜨림으로써 가요성 용기(251) 내에 현상제를 재충전한다. 추가로, 깔때기 형상 주 본체에 오거를 구비한 정량 공급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은 현상제의 효율적인 재충전을 가능하게 한다.
[현상 유닛 조립 공정]
이후, 사용자는 현상 유닛(9)의 조립 공정, 및 감광체 유닛(8)과 현상 유닛(9)의 유닛 결합 공정을 실행한다. 상술된 절차의 완료시, 카트리지(P)의 조립 공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료된다. 상술된 카트리지(P)의 재생산 방법은 카트리지(P)의 단순한 재생산 방법의 달성을 가능하게 한다.
[제13 실시예]
제12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53)를 제거하지 않고 재충전 개구(251G)가 가요성 용기(251) 상에 형성되고, 이후 현상제가 재충전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제13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253)를 제거한 후 재충전 개구(251G)가 가요성 용기(251) 상에 형성되고, 이후 현상제가 재충전되는 경우의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밀봉 부재 제거 공정]
도 24를 참조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밀봉 부재(253)를 제거한 후 재충전 공정을 실행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재충전 공정 이전에 밀봉 부재(253)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된다(제거 공정). 밀봉 부재(253)를 제거한 후, 사용자는 가요성 용기(251) 상에 도 34a, 도 34b, 및 도 34c에 도시된 재충전 개구(251G) 중 임의의 하나를 형성하고 이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제 재충전 공정을 실행한다. 더 구체적으로, 개구(251h)와 상이한 "다른 개구"로서 재충전 개구(251G)가 재충전 공정 전에 가요성 용기(251)에 가공된다(다른 개구 공정). 추가로, 재충전 개구(251G)가 개구(251h)보다 크게 되도록 가공된다.
현상제 재충전 이후 조립 공정에서, 사용자는 제거된 밀봉 부재(253)를 재부착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밀봉 부재(253)를 제거하는 것은 더 효율적인 현상제 재충전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14 실시예]
제1 실시예에서는 현상 블레이드(31) 등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되어 가요성 용기(251)를 노출시키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다. 제14 실시예에서는, 현상 블레이드(31)만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 후 현상제가 가요성 용기(251) 내에 재충전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이 제공될 것이다.
[현상 블레이드 분해 공정]
현상 블레이드(31)만을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제10 실시예에서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된 현상 유닛(9)의 분해 공정에서 현상 블레이드(31)를 제외한 부재들은 분해하지 않고 현상 블레이드(31)만 분해한다. 현상 롤러(6) 상의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로서 현상 블레이드(31)가 프레임 부재(29)에 부착되는 현상 유닛(9)에서, 다른 개구 공정 이전에 현상 블레이드(31) 만이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분리 공정). 현상 블레이드(31)가 나사(91, 92)를 사용하여 프레임 부재(29)에 고정되는 경우, 나사(91, 92)가 제거된 후 현상 블레이드(31)는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된다.
현상 블레이드(31)를 프레임 부재(29)로부터 분리한 후, 도 34a, 도 34b, 및 도 34c에 도시된 재충전 개구(251G) 중 임의의 하나가 가요성 용기(251) 상에 형성되고, 이후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현상제 재충전 공정이 실행된다. 추가로, 밀봉 부재(253)가 현상 블레이드(31)의 분리 이후 제거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개봉 부재(254)는 밀봉 부재(253)의 제거없이 가요성 용기(251)을 노출시키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 부재(29)로부터 현상 블레이드(31) 만을 분리하는 것은 더 단순한 현상제 재충전 공정을 가능하게 한다.
제1 내지 제14 실시예의 구성에 따르면, 현상 유닛(9)의 재생산 방법은 종래 기술에 비해 단순하게 된다. 제1 내지 제14 실시예에 따르는 구성 또는 공정은 적절하게 조합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14 실시예에서, 현상 유닛(9) 및 감광체 유닛(8)을 포함하는 카트리지(P)에 대한 설명이 제공되었으나, 구성은 카트리지(P)가 현상 유닛(9)을 포함하는 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제1 내지 제14 실시예는 또한 이들이 현상 유닛(9)을 포함하는 한 현상 디바이스, 카트리지, 및 화상 형성 장치에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가요성 용기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후속하는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그러한 변형 및 균등한 구조와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28)
- 밀봉 부재에 의해 밀봉된 개구를 구비하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용기, 및 상기 가요성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이며,
상기 현상제를 상기 가요성 용기 내에 재충전하는 재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단계는 상기 현상제를 상기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부터 재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프레임 부재 가공 단계, 및
상기 가요성 용기 상에 용기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용기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충전 단계는 상기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 및 상기 용기 연통 구멍을 통해 상기 프레임 부재 내부의 상기 가요성 용기 내에 상기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용기 내에 재충전된 상기 현상제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 및 상기 용기 연통 구멍 중 적어도 한쪽을 밀봉하는 연통 구멍 밀봉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연통 구멍은 상기 개구보다 큰,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를 재밀봉하기 위해 밀봉 부재를 상기 가요성 용기의 개구에 부착하는 부착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을 가공하는 프레임 부재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충전 단계는 상기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프레임 부재 내부의 상기 가요성 용기 내에 상기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용기 내에 압축된 공기를 주입하는 주입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단계는 상기 가요성 용기의 개구를 통해 상기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상기 개구를 밀봉하고 이동될 때 상기 개구를 노출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에 부착되며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봉하도록 작동 가능한 개봉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산 방법은, 상기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천공부를 갖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구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밀봉부, 및 상기 개봉 부재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부 및 고정부는 서로 접착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개봉 부재가 고정되는 부분의 필름 두께가 상기 가요성 용기의 개구가 밀봉되는 부분의 필름 두께보다 얇은 필름 두께를 갖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이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을 통해 제거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이 상기 프레임 부재 상에 형성되고, 적어도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을 통해 제거되고, 상기 현상제는 상기 프레임 부재 연통 구멍 및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가요성 용기 내에 재충전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개구를 확대하도록 상기 개구를 가공하는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개구가 구비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개구를 확대하도록 가공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는 상기 복수의 개구를 연결하도록 가공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개구 모두를 포함하는 영역보다 큰 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개구가 가공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개구와 상이한 다른 개구를 상기 가요성 용기 상에 가공하는 가공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상기 개구를 밀봉하고 이동될 때 상기 개구를 노출하도록 구성된 밀봉 부재, 및 상기 밀봉 부재에 부착되며 이동하여 상기 개구를 개봉하도록 구성되는 개봉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생산 방법은 상기 재충전 단계 전에 상기 밀봉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하는 제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제 수납 유닛은, 현상제 담지 부재 상의 상기 현상제의 층 두께를 규제하는 규제 부재가 상기 프레임 부재에 부착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이고,
상기 재생산 방법은 상기 다른 개구를 가공하는 단계 전에 상기 규제 부재만을 상기 프레임 부재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 개구는 상기 개구보다 크게 되도록 가공되는, 기사용된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 부재, 및 제1항에 따르는 재생산 방법에 의해 재생산된 현상제 수납 유닛을 포함하는, 현상 디바이스의 재생산 방법.
- 화상 담지 부재,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 부재, 및 제1항에 따르는 재생산 방법에 의해 재생산된 현상제 수납 유닛을 포함하는, 카트리지의 재생산 방법.
- 화상 담지 부재, 상기 화상 담지 부재 상에 형성된 정전 화상을 현상하도록 구성된 현상제 담지 부재, 및 제1항에 따르는 재생산 방법에 의해 재생산된 현상제 수납 유닛을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재생산 방법.
- 개구를 구비하며 현상제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가요성 용기, 및 상기 가요성 용기를 수납하도록 구성된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이며,
상기 가요성 용기 상에 절단부 또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 상기 현상제를 재충전하는 재충전 단계를 포함하는,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218519A JP6584062B2 (ja) | 2014-10-27 | 2014-10-27 | 再生産方法 |
JPJP-P-2014-218519 | 2014-10-2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49485A true KR20160049485A (ko) | 2016-05-09 |
Family
ID=54360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8416A KR20160049485A (ko) | 2014-10-27 | 2015-10-26 | 현상제 수납 유닛의 재생산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3) | US9535372B2 (ko) |
EP (1) | EP3026498B1 (ko) |
JP (1) | JP6584062B2 (ko) |
KR (1) | KR20160049485A (ko) |
CN (1) | CN105549359B (ko) |
PH (1) | PH12015000357A1 (ko) |
PL (1) | PL3026498T3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94304B2 (ja) * | 2015-01-26 | 2019-04-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ギアユニット、現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
WO2016204199A1 (ja) * | 2015-06-16 | 2016-12-22 | 三菱化学株式会社 | トナー補給方法、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 |
WO2016204242A1 (ja) * | 2015-06-19 | 2016-12-22 | 三菱化学株式会社 | トナー補給方法、トナー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及びトナーカートリッジ |
JP6753112B2 (ja) * | 2016-03-31 | 2020-09-09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現像剤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剤収容ユニット |
CN109478033B (zh) | 2016-05-10 | 2021-12-03 | 克罗弗影像集团有限责任公司 | 再制造的调色剂盒和方法 |
US10514632B2 (en) * | 2016-05-18 | 2019-12-24 |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artridge |
US9946199B1 (en) | 2016-09-23 | 2018-04-17 |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 System and method of filling a toner container |
US10162288B2 (en) | 2016-09-23 | 2018-12-25 |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 System and method of remanufacturing a toner container |
CN108062433B (zh) * | 2017-11-26 | 2021-06-18 | 中国人民解放军陆军装甲兵学院 | 基于增材再制造点云模型的梯度曲面分层方法 |
JP7305374B2 (ja) * | 2018-03-12 | 2023-07-1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 |
KR20200012213A (ko) | 2018-07-26 | 2020-02-05 |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 토너 충전시에 현상 카트리지의 내부 압력을 해제하는 구조 |
US20200073288A1 (en) * | 2018-08-29 | 2020-03-05 | Canon Kabushiki Kaisha | Remanufacturing method |
US10928751B2 (en) | 2018-08-29 | 2021-02-23 | Canon Kabushiki Kaisha | Remanufacturing method for developing apparatus and cartridge |
JP7353850B2 (ja) * | 2018-08-29 | 2023-10-02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およびカートリッジ |
WO2020242453A1 (en) * | 2019-05-28 | 2020-12-03 |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 A development cartridge |
CN216979593U (zh) * | 2021-09-15 | 2022-07-15 | 纳思达股份有限公司 | 一种调色剂盒及调色剂接收组件 |
Family Cites Families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3599682A (en) | 1968-08-30 | 1971-08-17 | Eastman Kodak Co | Loading mechanism |
JP3127424B2 (ja) * | 1991-09-28 | 2001-01-22 | 株式会社リコー | 乾式現像装置及びその取扱方法 |
JP3397484B2 (ja) | 1994-12-16 | 2003-04-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容器及び現像剤補給容器 |
JPH08171281A (ja) * | 1994-12-16 | 1996-07-02 | Canon Inc | 画像形成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装置及び現像剤補給容器 |
DE69624610T2 (de) * | 1995-04-03 | 2003-09-18 | Canon K.K., Tokio/Tokyo | Tonerbehälter und Prozesskassette |
JPH09106156A (ja) * | 1995-10-09 | 1997-04-22 | Canon Inc | 現像剤容器、袋状シート及び現像剤充填装置 |
JPH10143050A (ja) * | 1996-09-12 | 1998-05-29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現像剤容器、残余現像剤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組立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現像剤再充填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に用いられる支持枠体及び支持枠体の組立て方法 |
JP3037194B2 (ja) | 1997-04-25 | 2000-04-24 | 新潟日本電気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へのトナーの供給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CN1205273A (zh) * | 1997-07-14 | 1999-01-20 | 欧文斯-伊利诺伊封闭物有限公司 | 具有改进的抗冲击载荷的液体容纳与分配装置 |
JPH11184227A (ja) * | 1997-12-22 | 1999-07-09 | Canon Inc |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充填方法 |
JP4157681B2 (ja) * | 2000-02-14 | 2008-10-01 | 株式会社リコー | トナー収納容器 |
JP4167807B2 (ja) | 2000-03-10 | 2008-10-22 | 株式会社リコー | 画像形成装置およびトナー収納容器 |
JP2002002832A (ja) | 2000-06-15 | 2002-01-09 | Ricoh Co Ltd | 粉体収納容器、該容器の組み立て方法、該容器への粉体充填方法、画像形成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容器の分解方法 |
JP3320403B2 (ja) | 2000-06-28 | 2002-09-03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JP2002251119A (ja) * | 2001-02-22 | 2002-09-06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JP2003057933A (ja) | 2001-08-09 | 2003-02-28 | Canon Inc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及びキャップ部材取付構造 |
JP3814506B2 (ja) * | 2001-09-28 | 2006-08-30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トナー補給容器及びトナー補給方法 |
JP3754910B2 (ja) | 2001-10-31 | 2006-03-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JP3948606B2 (ja) * | 2002-01-10 | 2007-07-25 | 株式会社リコー | トナー補給容器、トナー補給装置及び方法 |
US7542703B2 (en) | 2002-05-20 | 2009-06-02 | Ricoh Company, Ltd. | Developing device replenishing a toner or a carrier of a two-ingredient type develop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including the developing device |
JP4249994B2 (ja) | 2002-09-20 | 2009-04-08 | 株式会社リコー | 粉体収納容器及びその再生産方法、粉体補給装置並びに画像形成装置 |
CN100437373C (zh) | 2002-09-20 | 2008-11-26 | 株式会社理光 | 成像装置,墨粉供给部件,调色剂容器,墨粉容器及回收方法 |
US6980755B2 (en) | 2002-09-30 | 2005-12-27 | Canon Kabushiki Kaisha | Recycling method for developer supplying unit including the step of driving a feeding member in a direction to feed developer from a developer supply port to a developer accommodating portion |
JP2004276538A (ja) * | 2003-03-18 | 2004-10-07 | Ricoh Co Ltd | インク袋、インクカートリッジ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並びにインク充填方法、インク再充填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製造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
JP2006267679A (ja) * | 2005-03-24 | 2006-10-05 | Canon Inc | 現像剤補給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DE602006020532D1 (de) | 2005-11-09 | 2011-04-21 | Ricoh Co Ltd | Auffüllbehälter für Zwei-Komponenten-Entwickler und Füllmethode |
JP2008122825A (ja) | 2006-11-15 | 2008-05-29 | Seiko Epson Corp | トナーカートリッジ |
JP2008179383A (ja) | 2007-01-23 | 2008-08-07 | Ricoh Co Ltd | 粉体充填方法、粉体収納容器、現像剤補給装置、現像剤補給方法、画像形成装置、並びに粉体充填済み粉体収納容器の製造方法。 |
KR101079576B1 (ko) | 2007-02-13 | 2011-11-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화상형성장치 |
US20090016777A1 (en) * | 2007-07-13 | 2009-01-15 | Satoru Miyamoto | Developer container filled with develop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developer container filled with developer |
JP2009169179A (ja) * | 2008-01-17 | 2009-07-30 | Hitachi Ulsi Systems Co Ltd | 再生利用システム及び部分装置 |
JP5401829B2 (ja) | 2008-05-22 | 2014-01-29 | 株式会社リコー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カラー画像形成装置 |
US20100034545A1 (en) * | 2008-08-06 | 2010-02-11 | Kabushiki Kaisha Toshiba | Developer supply cartridge, image forming method, and image forming apparatus |
JP5197326B2 (ja) | 2008-11-27 | 2013-05-15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JP5354197B2 (ja) * | 2009-09-14 | 2013-11-27 | 株式会社リコー | インクカートリッジ、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
JP5839826B2 (ja) * | 2011-04-22 | 2016-01-0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
JP6045476B2 (ja) | 2011-07-14 | 2016-12-14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420024B2 (ja) | 2011-07-14 | 2014-02-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容器、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WO2013008955A1 (ja) * | 2011-07-14 | 2013-01-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420025B2 (ja) * | 2011-07-14 | 2014-02-1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WO2013008953A1 (ja) * | 2011-07-14 | 2013-01-1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911275B2 (ja) | 2011-11-29 | 2016-04-27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ユニット、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US8644726B2 (en) * | 2012-03-01 | 2014-02-04 | Clover Technologies Group, Llc | Heat sealed remanufactured toner cartridge |
JP5932491B2 (ja) * | 2012-05-30 | 2016-06-08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
JP5980061B2 (ja) * | 2012-09-11 | 2016-08-31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容器、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JP6120730B2 (ja) * | 2012-09-13 | 2017-04-26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ユニット、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 |
US9377714B2 (en) * | 2012-12-14 | 2016-06-28 | Canon Kabushiki Kaisha |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with frames for accommodating a developer accommodating member |
JP2015018951A (ja) * | 2013-07-11 | 2015-01-29 | 株式会社東芝 | 半導体装置 |
JP6381222B2 (ja) * | 2014-02-18 | 2018-08-29 | キヤノン株式会社 | 現像剤収納ユニ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2014
- 2014-10-27 JP JP2014218519A patent/JP6584062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10-22 PH PH12015000357A patent/PH12015000357A1/en unknown
- 2015-10-22 US US14/920,316 patent/US9535372B2/en active Active
- 2015-10-26 PL PL15191482.7T patent/PL3026498T3/pl unknown
- 2015-10-26 EP EP15191482.7A patent/EP3026498B1/en active Active
- 2015-10-26 KR KR1020150148416A patent/KR20160049485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5-10-27 CN CN201510705362.5A patent/CN105549359B/zh active Active
-
2016
- 2016-11-22 US US15/359,382 patent/US9910387B2/en active Active
-
2018
- 2018-01-18 US US15/874,741 patent/US10067444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026498A1 (en) | 2016-06-01 |
CN105549359B (zh) | 2020-11-03 |
PH12015000357B1 (en) | 2017-05-03 |
JP6584062B2 (ja) | 2019-10-02 |
EP3026498B1 (en) | 2023-05-03 |
US20170075259A1 (en) | 2017-03-16 |
US20160124347A1 (en) | 2016-05-05 |
CN105549359A (zh) | 2016-05-04 |
US9535372B2 (en) | 2017-01-03 |
US9910387B2 (en) | 2018-03-06 |
US20180143569A1 (en) | 2018-05-24 |
JP2016085372A (ja) | 2016-05-19 |
US10067444B2 (en) | 2018-09-04 |
PL3026498T3 (pl) | 2023-09-04 |
PH12015000357A1 (en) | 2017-05-0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067444B2 (en) | Re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 |
US9891583B2 (en) | Re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 |
US9678458B2 (en) | Remanufacturing method of developer accommodating unit | |
JP2003241495A (ja) | 現像剤容器、現像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サイドカバー、軸受構造および画像形成装置 | |
JP2004264821A (ja) | 現像剤カートリッジ容器、現像剤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現像剤カートリッジ容器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現像剤カートリッジのリサイクル方法、 | |
JP4596056B2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 |
JP2009229711A (ja) | 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画像形成装置及び現像剤収容器 | |
JP4706802B2 (ja) | 現像剤収容器、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 |
JP2024081984A (ja) | 現像剤収納ユニットの再生産方法、現像装置の再生産方法およ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再生産方法 | |
JP2006106536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 | |
AU2011202847B2 (en) | Developing device, process cartridge, image forming device, and developer container | |
JP2007127943A (ja) |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分解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