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188A -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 Google Patents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188A
KR20160040188A KR1020167002797A KR20167002797A KR20160040188A KR 20160040188 A KR20160040188 A KR 20160040188A KR 1020167002797 A KR1020167002797 A KR 1020167002797A KR 20167002797 A KR20167002797 A KR 20167002797A KR 20160040188 A KR20160040188 A KR 201600401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one resin
moisture
layer
base layer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7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료타 미타
히로유키 가타야마
히로카즈 마쓰다
하루카 오나
다카노리 오노
도모미 니시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1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1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 B32B27/28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synthetic resins not wholly covered by any one of the sub-groups B32B27/30 - B32B27/42 comprising polysiloxa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0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 F16J15/021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 F16J15/022Sealings between relatively-stationary surfaces with elastic packing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이형 시트는, 제 1 비투습성 기재층과,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의 두께 방향 일방면에 적층되며, 물을 함유하는 함수층을 구비한다.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을 함수층에 의해서 피복하도록 사용된다.

Description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RELEASE SHEET AND RELEASE SHEET-INCLUDING SILICONE RESIN SHEET}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상세하게는 실리콘 수지 시트를 피복하도록 사용되는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실리콘 수지 시트에 의해서 LED나 LD 등 광반도체 소자를 봉지하여 광반도체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실리콘 수지 시트는 점착성(또는 감압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그의 표면은 점착면을 형성한다.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이 공기 중의 진애와 부착되는 것, 나아가서는 타 부재와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기재로 이루어지는 박리 시트를 점착면에 피복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공개 2012-12563호 공보
그런데,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박리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과 박리 시트의 표면 사이에 계면 박리가 일어나지 않아, 실리콘 수지 시트가 응집 파괴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그 경우에는, 실리콘 수지 시트의 두께가 불균일해져, 실리콘 수지 시트의 신뢰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과 박리 시트의 표면 사이에 계면 박리가 일어나도, 그들의 박리 점착력이 높기 때문에, 박리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이형 시트를 박리할 때에, 실리콘 수지 시트의 응집 파괴를 방지하여,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과 이형 시트의 표면의 계면 박리를 일으키고, 또한 이형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실리콘 수지 시트의 신뢰성의 저하를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는 이형 시트, 및 그 이형 시트를 구비하는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제 1 비투습성 기재층과, 상기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의 두께 방향 일방면에 적층되며, 물을 함유하는 함수층을 구비하고,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을 상기 함수층에 의해서 피복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서는, 상기 함수층은 추가로 흡수(吸水)제를 함유하고, 상기 함수층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서는, 상기 이형 시트를 온도 5℃, 습도 30∼70% RH에서 1주간 보관한 후의 상기 함수층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서는, 상기 이형 시트를 온도 5℃, 습도 30∼70% RH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서는, 상기 함수층은 추가로 보습제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서는, 상기 흡수제는 젤라틴을 함유하고, 상기 함수층은 추가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함유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서는, 상기 함수층의 두께가 30μm 이상 1000μm 이하인 것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상기 함수층의 두께 방향 일방측에 적층되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적합하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는, 상기한 이형 시트와, 상기 이형 시트의 상기 함수층과 접촉하는 점착면을 갖는 실리콘 수지 시트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이형 시트는,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이형 시트를 박리할 때에, 실리콘 수지 시트의 응집 파괴를 방지하여,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과 이형 시트의 표면의 계면 박리를 일으키고, 또한 이형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리콘 수지 시트의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이형 시트에 의해서 실리콘 수지 시트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 신뢰성이 우수한 본 발명의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형 시트의 일 실시형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이형 시트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고, 이형 시트에 실리콘 수지 시트를 재치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이형 시트의 사용 방법을 나타내고,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에 의해서 이형 시트를 피복하는 공정을 나타낸다.
도 1에 있어서, 지면 상측을 상측(두께 방향 일방측, 제 1 방향 일방측), 지면 하측을 하측(두께 방향 타방측, 제 1 방향 타방측), 지면 좌측을 좌측(제 1 방향에 직교하는 제 2 방향 일방측), 지면 우측을 우측(제 2 방향 타방측), 지면 앞측을 전측(제 1 방향 및 제 2 방향에 직교하는 제 3 방향 일방측), 지면 안측을 후측(제 3 방향 타방측)으로 한다. 한편, 도 1 이외의 도면에 대해서는, 도 1의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의 이형 시트의 일 실시형태인 이형 시트(1)는, 실리콘 수지 시트(6)(도 2 참조)가 후술하는 광학 소자나 전자 소자 등의 소자를 봉지하기까지의 동안에, 실리콘 수지 시트(6)를 보호하기 위해서,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점착면(8)에 박리(이형) 가능하게 첩착되어 있다(도 3 참조). 즉, 도 3이 참조되는 바와 같이, 이형 시트(1)는, 실리콘 수지 시트(6)를 구비하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의 출하·반송·보관 시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점착면(8)을 피복하도록,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점착면(8)에 적층되고,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의 사용 직전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점착면(8)으로부터 대략 U자상으로 만곡하도록 당겨 벗겨낼 수 있는 가요성 필름이다. 즉, 이형 시트(1)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 실리콘 수지 시트(6) 및/또는 거기에 봉지되는 소자를 포함하지 않아, 즉 이형 시트(1)는 가요성 필름만으로 이루어진다.
이형 시트(1)는, 구체적으로는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과,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상면(두께 방향 일방면)에 적층되는 함수층(3)과, 함수층(3)의 상면(두께 방향 일방면)에 적층되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구비한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은 함수층(3)을 지지하는 베이스층이고, 이형 시트(1)의 외형 형상을 이루며, 구체적으로는 면 방향(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 즉 좌우 방향 및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시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은 실질적으로 투습성을 갖지 않는 비투습성 기재로 이루어진다. 비투습성 기재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터,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예를 들면 폴리아마이드 등의 유기 폴리머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터, 보다 바람직하게는 PET를 들 수 있다.
두께 100μm에 있어서의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JIS Z0208-1976에 준거한 투습성 시험의 투습량은, 예를 들면 50g/m2·24시간 이하, 바람직하게는 20g/m2·24시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g/m2·24시간 이하이고, 또한, 예를 들면 0.1g/m2·24시간 이상이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투습량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함수층(3)이 함유하는 물의 비산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상면의 JIS B0601-1994에 준거한 10점 평균 표면 거칠기 Rz는, 예를 들면 0.05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0.1μm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10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μm 이하이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10점 평균 표면 거칠기 Rz가 상기한 범위 내이면, 앵커 효과에 의해서,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과 함수층(3)의 박리 점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두께는, 예를 들면 4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μm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50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μm 이하, 더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하이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비용의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우수한 비투습성을 확보할 수 있음과 더불어, 우수한 취급성을 담보할 수 있다.
함수층(3)은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상면 전체면에 적층되어 있다.
함수층(3)은 물을 함유하는 층이고, 구체적으로는 흡수제와 물을 함유한다.
흡수제는 흡수성을 갖고, 또한 흡수에 의해서 겔을 형성할 수 있는 겔 형성제이고, 예를 들면 젤라틴, 폴리아크릴산 또는 그의 염,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알칼리 금속염, 알긴산의 알칼리 금속염, 박테리아 셀룰로스 등의 흡수성 폴리머를 들 수 있다.
젤라틴은 유도 단백질이고, 콜라겐으로부터 합성되는 흡수성 폴리머이다. 콜라겐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아교 젤라틴, 젤라이스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산은 아크릴산으로부터 합성되는 폴리머이다.
폴리아크릴산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아크릴산 나트륨, 폴리아크릴산 칼륨 등의 폴리아크릴산의 1가 금속염을 들 수 있다.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나트륨염, 카복시메틸 셀룰로스의 칼륨염 등을 들 수 있다.
알긴산의 알칼리 금속염으로서는, 예를 들면 알긴산 나트륨, 알긴산 칼륨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제는 단독 사용하거나 또는 병용할 수 있다.
흡수제로서,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및/또는 보수성의 관점에서, 젤라틴을 들 수 있다.
흡수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15000 이상, 바람직하게는 61000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250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00000 이하이다. 흡수제의 중량 평균 분자량은, GPC에 의해서, 표준 폴리스타이렌 환산값으로서 산출된다. 한편, 흡수제 이외의 중량 평균 분자량에 대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에 의해서 산출된다.
함수층(3)에 있어서의 흡수제의 배합 비율은, 함수층(3)에 있어서의 물의 배합 비율(즉 함수율)이, 예를 들면 60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이 되고, 또한, 예를 들면 9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가 되도록 조정된다. 함수층(3)에 있어서의 함수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함수층(3)의 형상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다. 한편, 함수층(3)에 있어서의 함수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흡수제가 물에 대하여 균일하게 상용될 수 있고, 더욱이 실리콘 수지 시트(6)(후술, 도 2 및 도 3 참조)의 함수층(3)에 대한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함수층(3)에 있어서의 흡수제의 배합 비율은, 예를 들면 5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질량%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40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35질량% 이하이다.
함수층(3)은, 상기 성분 외에, 추가로, 필요에 따라, 보습제 및/또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보습제는 함수층(3)에 함유되는 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약제이고, 예를 들면 폴리올, 폴리올과 지방산의 에스터, 요소 또는 그들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올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등의 2가 알코올, 예를 들면 글리세린 등의 3가 알코올, 예를 들면 폴리(다이)에틸렌 글리콜, 폴리(다이)글리세린(또는 폴리(다이)글리세롤) 등의 총 탄소수 7 이상의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폴리올의 수 평균 분자량은, 예를 들면 20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0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10000 이하이다.
지방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스테아르산, 라우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보습제는 단독 사용하거나 또는 병용할 수 있다.
보습제로서, 바람직하게는 3가 알코올,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을 들 수 있다.
보습제의 배합 비율은, 함수층(3)에 대하여, 예를 들면 1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20질량%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50질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40질량% 이하이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는 흡수제가 젤라틴인 경우에 함수층(3)에 함유된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는 함수층(3)에 있어서의 젤라틴의 가교도를 높이는(또는 가교를 촉진시키는) 효소(단백질 가교화 효소)이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가 함수층(3)에 함유되는 것에 의해서, 함수층(3)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배합 비율은, 흡수제와 물의 총량 100질량부에 대하여, 예를 들면 0.001질량부 초과, 바람직하게는 0.002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2질량부 초과이고, 또한, 예를 들면 0.02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질량부 미만이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배합 비율이 상기 하한 이하이면,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에 의한 젤라틴의 가교를 충분히 촉진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고, 그 때문에 함수층(3)을 보형할 수 없거나, 또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함수층(3)으로부터 박리할 때에, 함수층(3)이 부분적으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에 전사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한편,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배합 비율이 상기 상한을 초과하면, 후술하는 성막(도포) 시에 가교 반응이 촉진되어, 성막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는 시판품을 이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액티바 TG-S(아지노모토주식회사제) 등이 이용된다. 액티바 TG-S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1질량% 함유하고, 부재(副材)(구체적으로는 폴리인산 나트륨, 무수 피로인산 나트륨, L-아스코르브산 나트륨, 유당, 덱스트린 등)를 99질량% 함유한다.
또, 함수층(3)은, 상기 성분 이외에, 공지의 첨가제를 적절한 비율로 함유할 수도 있다.
함수층(3)의 두께는, 예를 들면 30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50μm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10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μm 이하이다. 함수층(3)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이형 시트(1)의 취급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함수층(3)을 경량화할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이형 시트(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함수층(3)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함수층(3)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고, 그 때문에 함수층(3)에 충분한 양의 물을 잔존시킬 수 있다.
함수층(3)의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에 대한 박리 점착력은 실리콘 수지 시트(6)의 함수층(3)에 대한 박리 점착력보다도 높다.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은 함수층(3)의 상면을 피복하는 커버층이고, 함수층(3)이 함유하는 물이 비산하는 것을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과 함께 방지한다.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은 함수층(3)의 상면 전체면에 적층되어 있다.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은 실질적으로 투습성을 갖지 않는 비투습성 기재로 이루어지고, 비투습성 기재는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에서 예로 든 비투습성 기재와 마찬가지의 것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레핀, 보다 바람직하게는 PP를 들 수 있다.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40μ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μm 이상이다.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함수층(3)에 대한 추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비투습성을 확실히 담보할 수 있다.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함수층(3)에 대한 박리 점착력은 상기한 함수층(3)의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에 대한 박리 점착력보다 작게 조정된다.
이형 시트(1)의 두께는, 예를 들면 50μm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μm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2000μm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μm 이하이다.
다음으로, 이 이형 시트(1)를 제작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우선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를 준비한다.
이 방법에서는, 이어서 함수층(3)을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상면에 적층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함수층(3)을 제작한다. 함수층(3)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예를 들면, 흡수제와, 물과, 필요에 따라 보습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및 첨가제를 배합하고, 흡수제가 물을 빨아들이도록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시트상으로(흡수 시트로) 성형하면서,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상면에 적층한다(성막한다). 또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배합하는 경우에는, 미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물에 용해시킨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수용액을 조제하고, 이어서 흡수제와, 물과,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수용액과, 필요에 따라 보습제 및 첨가제를 배합하고, 흡수제가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수용액을 빨아들이도록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하고, 이러한 혼합물을 시트상으로(흡수 시트로) 성형하면서,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상면에 적층한다(성막한다). 또는, 미리 시트상으로 성형한 흡수제(첨가제를 포함함)에, 물 및 필요에 따라 보습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및 첨가제의 혼합액을 함침시켜, 흡수제로 물을 빨아들이게 하고, 얻어진 흡수 시트를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의 상면에 적층한다.
그 후,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함수층(3)의 상면에 재치한다.
이에 의해서, 이형 시트(1)를 제작한다.
한편, 함수층(3)이 젤라틴을 함유하는 경우에는, 이형 시트(1)를, 함수층(3)에 있어서의 겔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 예를 들면 -5℃ 이상, 바람직하게는 0℃ 이상에서 냉장·냉동 보관한다.
이형 시트(1)를 온도 5℃, 습도 30∼70% RH(보다 구체적으로는 습도 40∼60% RH)에서 1주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2는, 예를 들면 6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9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이다. 또한, 이형 시트(1)를 온도 5℃, 습도 30∼70% RH(보다 구체적으로는 습도 40∼60% RH)에서 1주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2의, 보관 전의(제작 직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1에 대한 변화율(W2로부터 W1을 뺀 절대값의, W1에 대한 백분율. 즉, |W2-W1|/W1×100)은, 예를 들면 0%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이형 시트(1)를 온도 5℃, 습도 30∼70% RH(보다 구체적으로는 습도 40∼60% RH)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3은, 예를 들면 6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65질량%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9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하이다. 또한, 이형 시트(1)를 온도 5℃, 습도 30∼70% RH(보다 구체적으로는, 습도 40∼60% RH)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3의, 보관 전의(제작 직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1에 대한 변화율(W3으로부터 W1을 뺀 절대값의, W1에 대한 백분율. 즉,|W3-W1|/W1×100)은 0% 이상이고, 또한, 예를 들면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이하이다.
1주간 보관 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2, 1개월간 보관 후의 함수층(3)의 함수율 W3, 및/또는 상기한 함수율의 변화율(|W2-W1|/W1×100 또는|W3-W1|/W1×100)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상기한 기간 보관 후의 함수층(3)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고, 그 때문에 보관 후에 있어서도 함수층(3)에 충분한 양의 물을 잔존시킬 수 있다.
상기 기간 보관 후의 함수율은 이후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서 측정된다.
다음으로, 이형 시트(1)에 의해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피복하도록 사용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우선, 도 1의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방법에서는, 이형 시트(1)에 있어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함수층(3)으로부터 박리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좌단부를 함수층(3)의 상면에 남기도록,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우단부 및 좌우 방향 도중부를, 함수층(3)의 우단부 및 좌우 방향 도중부로부터 박리한다. 상세하게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에 있어서, 다음에 설명하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에 대응하는 부분을 함수층(3)으로부터 박리한다.
별도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준비한다.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는 실리콘 수지 시트(6)와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상면에 적층되는 기재층(7)을 구비한다.
실리콘 수지 시트(6)는, 실리콘 수지로부터, 평면시 대략 사각형의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경화성 실리콘 수지, 열가소성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경화성 실리콘 수지로서는, 2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 1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들 수 있다.
2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는 2단계의 반응 기구를 갖고 있어, 1단계째의 반응으로 B 스테이지화(반경화)되고, 2단계째의 반응으로 C 스테이지화(최종 경화)된다. 한편, 1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는 1단계의 반응 기구를 갖고 있어, 1단계째의 반응으로 완전 경화된다. 또한, B 스테이지는, 2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가, 액상인 A 스테이지와, 완전 경화된 C 스테이지 사이의 상태이고, 경화 및 겔화가 근소하게 진행되어, 압축 탄성률이 C 스테이지의 탄성률보다도 작은 상태이다.
한편, 2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10-265436호 공보 등에 기재된 열경화성 실리콘 수지용 조성물을 들 수 있다.
한편, 실리콘 수지에, 예를 들면 형광체, 충전제 등의 입자를 적절한 비율로 함유시켜, 그들을 함유하는 실리콘 수지 조성물을 조제할 수도 있다.
상기한 실리콘 수지는 물에 대한 상용성은 기름과 마찬가지의 성상이며, 구체적으로는 물과 실질적으로 상용되지 않아, 즉 발수성을 갖는다(즉, 소수성을 나타낸다).
또한, 실리콘 수지는 점착성(감압 접착성)을 갖는다. 그 때문에, 실리콘 수지 시트(6)의 표면(상면 및 하면)은 점착면(8)을 형성한다.
기재층(7)은, 평면시에 있어서, 실리콘 수지 시트(6)를 포함하는 크기의 평면시 대략 사각형의 시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재층(7)으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시트, PET 시트 등의 폴리머 시트, 예를 들면 세라믹 시트, 예를 들면 금속박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머 시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형 시트(2)의 표면에는, 불소 처리 등의 박리 처리를 실시할 수도 있다.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재층(7)을 준비한다. 별도로, 상기한 각 성분을 배합하여, 실리콘 수지 조성물을 함유하는 바니시를 조제한다.
그 후, 바니시를 기재층(7)의 표면에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다. 실리콘 수지가 2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인 경우에는, 도막을 가열 및/또는 활성 에너지선 조사한다. 이에 의해서, 2단계 경화성 실리콘 수지를 B 스테이지화(반경화)시킨다.
이에 의해서, 실리콘 수지 시트(6) 및 기재층(7)을 구비하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준비한다.
이어서, 도 2의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점착면(8)이 함수층(3)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이형 시트(1)에 재치한다.
그 후,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 박리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에 의해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피복한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좌우 방향 도중부의 하면을 기재층(7)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계속해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우단부의 하면을 함수층(3)의 하면에 접촉시킨다.
즉,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둘레 단부(전단부, 후단부, 좌단부 및 우단부)는 함수층(3)에 밀착됨과 더불어,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중앙부(전후 방향 도중부 및 좌우 방향 도중부)는 기재층(7)과 접촉한다.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는, 두께 방향에 있어서, 함수층(3) 및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에 의해서 협입되어 있고, 함수층(3) 및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이형 시트(1)와, 이형 시트(1)에 의해서 피복되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구비하는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9)를 얻는다.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9)의 둘레 단부에서는, 함수층(3) 및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가 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9)에서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가 함수층(3) 및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에 의해서 밀폐된다. 그 때문에,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에 있어서의 함수층(3)의 물의 발산을 방지한다.
그 후,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9)를, 필요에 따라, 반송 및/또는 보관한다.
그 후,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9)의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함수층(3)의 둘레 단부 및 기재층(7)으로부터 박리한다.
이어서, 이형 시트(1)를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로부터 박리한다. 구체적으로는, 함수층(3)을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점착면(8)으로부터 당겨 벗긴다.
이에 의해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는 여러 가지의 용도, 예를 들면 LED나 LD 등의 광학 소자, 예를 들면 전자 소자 등의 봉지 등에 이용된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수지 시트(6)가 함수층(3)에 대하여 경(輕)박리될 수 있고(즉,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박리될 수 있고), 그 때문에 실리콘 수지 시트(6)의 두께의 균일성이 확보되기 때문에, 실리콘 수지 시트(6)의 두께의 정확성이 고도로 요구되는 광학 소자의 봉지에 이용된다.
그리고, 이형 시트(1)는, 실리콘 수지 시트(6)로부터 이형 시트(1)를 박리할 때에,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응집 파괴를 방지하여,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점착면(8)과 이형 시트(1)의 표면의 계면 박리를 일으키고, 또한 이형 시트(1)를 실리콘 수지 시트(6)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리콘 수지 시트(6)를 형성하는 실리콘 수지가 기름상이므로, 실리콘 수지 시트(6)와 함수층(3)을 서로 겉돌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실리콘 수지 시트(6)의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함수층(3)은, 추가로 흡수제를 함유하고, 함수층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이면, 함수층(3)의 형상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즉 함수층(3)의 성막성을 향상시키면서, 흡수제가 물에 대하여 균일하게 상용될 수 있고, 더욱이 실리콘 수지 시트(6)의 함수층(3)에 대한 박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이형 시트(1)를 온도 5℃, 습도 30∼70% RH에서 1주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3)에 있어서의 함수율 W2가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이면, 함수층(3)의 형상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흡수제가 물에 대하여 균일하게 상용될 수 있다.
또한, 이형 시트(1)를 온도 5℃, 습도 30∼70% RH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3)에 있어서의 함수율 W3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이면, 함수층(3)의 형상을 확실히 확보할 수 있으면서, 흡수제가 물에 대하여 균일하게 상용될 수 있다.
함수층(3)은 추가로 보습제를 함유하면, 함수층(3)에 함유되는 물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흡수제는 젤라틴을 함유하고, 함수층(3)이 추가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함유하면,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가 함수층(3)에 있어서의 젤라틴의 가교도를 높이고, 그에 의해서 함수층(3)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함수층(3)의 두께가 30μm 이상 1000μm 이하이면, 함수층(3)을 경량화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형 시트(1)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으며, 한편 함수층(3)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량을 높일 수 있고, 그 때문에 함수층(3)에 충분한 양의 물을 잔존시킬 수 있다.
또, 이형 시트(1)가 함수층(3)의 상측에 적층되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추가로 구비하면, 함수층(3)으로부터 물이 비산하는 것을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과 함께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이 이형 시트(1)에 의해서 실리콘 수지 시트(6)를 피복하는 것에 의해, 신뢰성이 우수한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9)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척상으로 형성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이형 시트(1)에 의해서 피복하고, 그 후, 그들을 롤상으로 적층하거나, 또는 매엽(枚葉)상으로 형성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이형 시트(1)에 의해서 피복하고, 그들을 다단으로 적층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작은 공간에서, 이형 시트(1)에 의해서 피복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반송하여, 반송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변형예]
도 2의 실시형태에서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우단부 및 좌우 방향 도중부를 함수층(3)으로부터 박리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의 전부를 함수층(3)으로부터 박리할 수도 있다.
그 후,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함수층(3)의 상면에 배치하고, 그 후, 박리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5)를 피복하도록, 함수층(3)의 둘레 단부의 상면에 접촉시킨다.
또한, 도 1의 실시형태에서는, 이형 시트(1)에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설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지만,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설치하지 않고서, 제 1 비투습성 기재층(2) 및 함수층(3)으로 이형 시트(1)를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구성의 경우에는, 함수층(3)에 있어서의 함수량을 장기간 확보하는 관점에서, 함수층(3)의 두께를, 예를 들면 1000μm 이상으로 설정한다.
또한, 도 3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지만,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9)에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이 설치되지 않아, 기재층(7)이 노출되어 있다.
이 변형예에 의하면, 제 2 비투습성 기재층(4)을 설치하지 않으므로, 층 구성 및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예의 수치는 상기의 실시형태에 있어서 기재되는 수치(즉, 상한치 또는 하한치)로 대체할 수 있다.
실시예 1
[이형 시트의 제작]
두께 100μm의 PET로 이루어지는 제 1 비투습성 기재층(JIS Z0208-1976에 준거한 투습성 시험의 투습량: 7g/m2·24시간, JIS B0601-1994에 준거한 10점 평균 표면 거칠기 Rz: 0.75μm)을 준비했다.
이어서, 표 1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조제한 두께 200μm의 함수층을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의 상면에 적층했다. 한편, 함수층의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에 대한 박리 점착력은, 박리 점착력의 측정 중에 함수층이 응집 파괴를 일으켰으므로, 산출할 수 없었다.
그 후, 두께 25μm의 PP로 이루어지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JIS Z0208-1976에 준거한 투습성 시험의 투습량: 5g/m2·24시간, JIS B0601-1994에 준거한 10점 평균 표면 거칠기 Rz: 0.5μm)을 함수층의 상면에 재치했다. 한편,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의 함수층에 대한 박리 점착력은 0.01N/20mm였다.
이에 의해서, 사이즈 20mm×140mm의 평면시 사각형상이고, 두께 325μm인 이형 시트를 얻었다(도 1 참조).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제작]
일본 특허공개 2010-265436호 공보의 실시예 1에 기재된 실리콘 수지 조성물을 조제했다. 이어서, 실리콘 수지 조성물 100질량부, 실리콘 고무 입자(평균 입자경 7μm) 20질량부, 및 황색 형광체인 YAG 입자(평균 입자경 7μm) 10질량부를, 교반기를 이용하여 그들을 혼합했다. 이에 의해서, 바니시를 조제했다.
이어서, 바니시를 두께 50μm의 PET로 이루어지는 기재층의 상면에 도포하고, 계속해서 135℃의 오븐에서 15분간 가열하는 것에 의해, 두께 600μm의 실리콘 수지 시트와, 실리콘 수지 시트에 적층되는 기재층을 구비하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제작했다.
한편, 실리콘 수지 시트는 점착면을 형성했다. 또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는 사이즈 20mm×140mm의 평면시 사각형상이고, 두께 650μm였다.
이어서, 이형 시트에 있어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의 우단부 및 좌우 방향 도중부를 함수층의 우단부 및 좌우 방향 도중부로부터 박리했다(도 2 참조).
계속해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이 함수층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이형 시트에 재치했다(도 2의 화살표 참조).
그 후, 일단 박리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의 우단부 및 좌우 방향 도중부에 의해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피복했다(도 3 참조). 구체적으로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의 좌우 방향 도중부의 하면을 기재층의 상면에 접촉시키고, 계속해서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의 우단부의 하면을 함수층의 하면에 접촉시켰다.
이에 의해서,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얻었다.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의 박리]
우선,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을 함수층의 둘레 단부, 및 기재층으로부터 박리했다. 계속해서, 이형 시트를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박리했다. 구체적으로는, 함수층을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으로부터 당겨 벗겼다.
실시예 2∼5
함수층을 표 1에 기재된 처방에 따라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했다.
비교예 1
함수층을 설치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했다.
평가 1
(젤라틴의 물에 대한 용해성)
실시예 1∼5의 함수층의 조제 시에 있어서의 젤라틴의 물에 대한 용해성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기준
◎: 젤라틴이 물을 충분히 빨아들여, 서로 상용되었다.
○: 젤라틴의 대부분이 물을 빨아들였지만, 젤라틴의 일부(1질량% 이상 5질량% 미만)는 물과 상용되지 않았다.
△: 젤라틴의 대부분이 물을 빨아들였지만, 젤라틴의 일부(5질량% 이상 10질량% 미만)는 물과 상용되지 않았다.
(함수층의 성막성)
실시예 1∼5의 함수층의 성막성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기준
◎: 성막성이 양호하고, 막 강도가 높다.
○: 성막성은 양호하지만, 막 강도가 낮다.
△: 성막성이 약간 불량하며, 막 강도가 낮다.
(실리콘 수지 시트의 함수층에 대한 박리성)
함수층을 실시예 1∼5의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으로부터 당겨 벗겼을 때의 박리성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한편, 비교예 1에 대해서는,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을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으로부터 당겨 벗겼을 때의 박리성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기준
◎: 이형 시트의 상면과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의 계면 박리를 일으켜, 이형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었다.
○: 이형 시트의 상면과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의 계면 박리를 일으켜, 이형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약간의 힘으로 박리할 수 있었다.
△: 이형 시트의 상면과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의 계면 박리를 일으켜, 이형 시트를 실리콘 수지 시트로부터 근소하게 큰 힘으로 박리할 수 있었다.
×: 실리콘 수지 시트가 응집 파괴를 일으켜,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의 상면에 실리콘 수지가 부착됨과 더불어, 실리콘 수지 시트의 표면에 요철(표면 거칠음)이 확인되었다.
Figure pct00001
실시예 6∼9
함수층을 표 2에 기재된 처방 및 두께에 따라 조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이형 시트를 제작했다.
한편, 실시예 8에 대해서도,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처리한 젤라틴 용액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을 첨가하여, 함수층을 조제했다.
실시예 10
함수층을 하기와 같이 제작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해서 이형 시트를 제작했다.
즉, 액티바 TG-S(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질량%, 부재 99질량%) 0.4g을 물 39.6g에 용해시킨 수용액 40g과, 물 40g과, 젤라틴 20g을 배합하고, 그들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제했다.
그 후, 혼합물을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의 상면에 시트상으로 성형하면서 성막하여, 두께 50μm의 함수층을 성형했다.
실시예 11∼14
함수층에 있어서의 액티바 TS-G(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의 배합 비율을 표 2에 따라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0과 마찬가지로 처리하여, 이형 시트를 제작했다.
평가 2
실시예 6∼14에 관하여, (1) 제작 직후의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의 이형 시트, (2) 온도 5℃, 습도 50% RH에서 1주간 보관 후의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의 이형 시트, 및 (3) 온도 5℃, 습도 50% RH에서 1개월간 보관 후의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의 이형 시트의 각각에 대하여, 하기의 항목을 평가했다.
(함수율)
실시예 6∼14에 있어서의 상기 (1)∼(3)의 각각의 함수층의 함수율을 적외선 수분계에 의해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박리 점착력)
실시예 6∼14에 있어서의 상기 (1)∼(3)의 각각에 대하여, 실리콘 수지 시트의 함수층에 대한 박리 점착력을 하기의 방법에 의해서 측정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즉, 박리 점착력은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이형 시트에 대한 180도 박리 시험에 의해서 측정했다. 180도 박리 시험에서는, 우선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폭 20mm로 절단하고, 그 후, 절단한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를 박리 속도 300mm/min으로 이형 시트에 대하여 180도의 방향으로 박리했을 때의 저항력을 산출했다.
(함수층의 강도)
실시예 6∼14에 있어서의 상기 (1)의 함수층의 강도를, 30℃ 환경 하에 1분간 방치 후의 취급성에 의해 평가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비투습성 기재층 및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에 협지된 상태의 함수층을 30℃의 오븐에 1분간 투입하고, 이어서 그것들을 오븐으로부터 취출한 직후에,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을 함수층으로부터 당겨 벗기고, 그 때에 함수층의 취성, 및 제 2 비투습성 기재층 및 함수층의 계면 파괴에 기초하는, 함수층의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측으로의 전사의 유무에 의해,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했다.
기준
○: 30℃ 환경 하에서도, 함수층은 막으로서 보형되고,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으로의 전사가 확인되지 않았다.
△: 30℃ 환경 하에서도, 함수층은 막으로서 보형되지만,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으로의 전사가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혼합물의 성막성)
실시예 10∼14의 혼합물의 성막성을 하기의 기준에 따라 평가했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한편, 평가 기준은 이하와 같이 했다.
기준
○: 혼합물을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에 대하여 양호하게 도포할 수 있었다.
△: 혼합물을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에 대하여 도포할 수 있었지만, 혼합물에 있어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에 의한 젤라틴의 가교 반응이 촉진되는 것에 기인하는 도포 불량 개소가 부분적으로 관찰되었다.
Figure pct00002
한편, 상기 발명은 본 발명의 예시의 실시형태로서 제공했지만, 이는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분명한 본 발명의 변형예는 후기 청구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형 시트를 구비하는 기재층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는 여러 가지의 용도, 예를 들면 LED나 LD 등의 광학 소자, 예를 들면 전자 소자 등의 봉지 등에 이용된다.
1: 이형 시트
2: 제 1 비투습성 기재층
3: 함수층
4: 제 2 비투습성 기재층
6: 실리콘 수지 시트
8: 점착면
9: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Claims (9)

  1. 제 1 비투습성 기재층과,
    상기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의 두께 방향 일방면에 적층되며, 물을 함유하는 함수층
    을 구비하고,
    실리콘 수지 시트의 점착면을 상기 함수층에 의해서 피복하도록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층은 추가로 흡수제를 함유하고,
    상기 함수층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시트를 온도 5℃, 습도 30∼70% RH에서 1주간 보관한 후의 상기 함수층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시트를 온도 5℃, 습도 30∼70% RH에서 1개월간 보관한 후의 함수층에 있어서의 물의 함유 비율이 60질량% 이상 95질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층은 추가로 보습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제는 젤라틴을 함유하고,
    상기 함수층은 추가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층의 두께가 30μm 이상 1000μ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함수층의 두께 방향 일방측에 적층되는 제 2 비투습성 기재층을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9. 제 1 비투습성 기재층과, 상기 제 1 비투습성 기재층의 두께 방향 일방면에 적층되며, 물을 함유하는 함수층을 구비하는 이형 시트와,
    상기 이형 시트의 상기 함수층과 접촉하는 점착면을 갖는 실리콘 수지 시트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KR1020167002797A 2013-08-08 2014-08-01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KR201600401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65169 2013-08-08
JP2013165169 2013-08-08
JPJP-P-2014-124086 2014-06-17
JP2014124086A JP2015051626A (ja) 2013-08-08 2014-06-17 離型シートおよび離型シート付シリコーン樹脂シート
PCT/JP2014/070321 WO2015019950A1 (ja) 2013-08-08 2014-08-01 離型シートおよび離型シート付シリコーン樹脂シー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188A true KR20160040188A (ko) 2016-04-12

Family

ID=52461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797A KR20160040188A (ko) 2013-08-08 2014-08-01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60176160A1 (ko)
JP (1) JP2015051626A (ko)
KR (1) KR20160040188A (ko)
CN (2) CN104342057A (ko)
TW (2) TW201505834A (ko)
WO (1) WO20150199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85231A (zh) * 2018-08-23 2021-03-30 3M创新有限公司 增粘和填充的有机硅粘合剂组合物
JP7332125B2 (ja) * 2018-10-05 2023-08-23 青葉化成株式会社 粘弾性を有する天然高分子化合物組成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9795B2 (ja) * 1995-06-06 2001-05-28 帝人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用下引きフイルム
JP2002301790A (ja) * 2001-02-01 2002-10-15 Toray Ind Inc 離型フィルム
JP5131622B2 (ja) * 2008-04-15 2013-01-30 ナニワ化工株式会社 防眩性と自己修復性とを備えた表面基材
EP2536380A1 (en) * 2010-02-17 2012-12-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pilatory article
JP2012012563A (ja) * 2010-06-02 2012-01-19 Nitto Denko Corp 熱硬化性シリコーン樹脂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76160A1 (en) 2016-06-23
CN204211681U (zh) 2015-03-18
JP2015051626A (ja) 2015-03-19
TW201505834A (zh) 2015-02-16
WO2015019950A1 (ja) 2015-02-12
TWM494081U (zh) 2015-01-21
CN104342057A (zh) 2015-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623B1 (ko) 전자 부품 포장용 커버 테이프, 전자 부품 포장용 포장재, 및 전자 부품 포장체
KR100894208B1 (ko) 접착제 조성물, 그의 제조 방법, 이것을 사용한 접착 필름,반도체 탑재용 기판 및 반도체 장치
EP3494177B1 (en) Elastomeric compositions and their applications
JP5035491B2 (ja) 乾燥剤収容器及び接着テープ用リール
KR102331226B1 (ko) 다이싱용 점착 테이프 및 반도체 칩의 제조 방법
JP6651709B2 (ja) 試薬入りマイクロ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313165B2 (ja) 熱硬化性の封止用樹脂シート、セパレータ付き封止用シート、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CN108307636A (zh) 表面保护膜
KR20160040188A (ko) 이형 시트 및 이형 시트 부착 실리콘 수지 시트
TWI499639B (zh) A release agent composition, a release film, and a subsequent film using the same
JP6170290B2 (ja) 積層体
JP7037281B2 (ja) 帯電防止性シリコーン粘着剤組成物および保護シート
JP2017105518A (ja)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
JP2008265155A (ja) 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60895A (ja) 試薬入りマイクロプレ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026725A (ja) 基材レスシリコーン吸着シート
JP3511368B2 (ja) 電子基盤固定用シート
JP6822626B1 (ja) 電子部品包装用カバーテープおよび包装体
JP2018176544A (ja) 接着シート付き部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物品の製造方法、ならびに接着シート
JP2018177962A (ja) 接着シート、接着シート付き部材、および物品の製造方法
JP5668450B2 (ja) 積層体
JP2014529528A (ja) 電子的構成要素を梱包するためのヒートシーリング性カバーフィルム
JPH08295859A (ja) 表面保護フィルム
JP2001322205A (ja) 離型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