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40096A - 음식물 - Google Patents

음식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40096A
KR20160040096A KR1020150133944A KR20150133944A KR20160040096A KR 20160040096 A KR20160040096 A KR 20160040096A KR 1020150133944 A KR1020150133944 A KR 1020150133944A KR 20150133944 A KR20150133944 A KR 20150133944A KR 20160040096 A KR20160040096 A KR 201600400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oil
dha
epa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3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오 모리
히데노리 가츠야마
료 스미
Original Assignee
닛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켄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400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009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23L1/3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20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 A61K31/202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 carboxyl group bound to a chain of seven or more carbon atoms, e.g. stearic, palmitic, arachidic acids having three or more double bonds, e.g. linolenic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38Other non-alcoholic beverag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11/0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 A23C11/02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 A23C11/10Milk substitutes, e.g. coffee whitener compositions containing at least one non-milk component as source of fats or proteins containing or not lactose but no other milk components as source of fats, carbohydrates or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6Amino acids; 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Nucleic ac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CDAIRY PRODUCTS, e.g. MILK, BUTTER OR CHEESE; MILK OR CHEESE SUBSTITUTES; MAKING THEREOF
    • A23C9/00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 A23C9/152Milk preparations; Milk powder or milk powder preparations containing additives
    • A23C9/1528Fatty acids; Mono- or diglycerides; Petroleum jelly; Paraffine; Phospholip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04Animal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JPROTEIN COMPOSITIONS FOR FOODSTUFFS; WORKING-UP PROTEINS FOR FOODSTUFFS; PHOSPHATIDE COMPOSITIONS FOR FOODSTUFFS
    • A23J3/00Working-up of proteins for foodstuffs
    • A23J3/14Vegetable proteins
    • A23J3/16Vegetable proteins from soybean
    • A23L1/305
    • A23L1/3055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6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23L33/12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5Vegetable prote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2Alga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68Docosahex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18Lipids
    • A23V2250/186Fatty acids
    • A23V2250/187Eicosapentae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Abstract

액상, 겔상, 반고체 형상, 고체 형상 등, 어떠한 형태의 음식물에서도 어취로 대표되는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경시 변화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 억제된 음식물을 제공하고, 또한 종래의 어류 유래의 EPA 및 DHA 함유 식품과 비교하여, 특히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우수한 음식물을 제공한다.
조류 추출유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과,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Description

음식물{FOOD AND DRINK}
본 발명은 조류 추출유(algae extract oil)를 함유한 음식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불포화 지방산인 에이코사펜타엔산(EPA)이나 도코사헥사엔산(DHA)을 함유한 음식물은 수 많이 존재하였다.
EPA나 DHA는 생리활성효과로서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 혈중 중성지방 저하작용, 혈중 VLDL 및 LDL 콜레스테롤 저하작용 등을 갖고 있어, 동맥경화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것 등이 알려져있다.
이들 EPA나 DHA를 함유한 음식물로서, 예를 들어 어유(魚油) 유래의 EPA 및/또는 DHA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두유류가 존재한다. 이 두유류에 사용하는 어유는, EPA를 10% 이상 함유하는 어유, 바람직하게는 EPA와 DHA를 합계 25% 이상 함유하는 어유, 또는 EPA를 28% 이상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이와 같은 음식물로서 어유 유래의 EPA 및/또는 DHA를 함유하는 산화,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산성유가 존재한다. 이 산성유는 산을 첨가하여 pH 4.5 이하의 산성으로 함으로써, 5℃에서 15일 이상 산화·유화 안정성을 갖는 것으로 하고 있다.
(특허문헌 2)
그런데 EPA나 DHA를 함유하는 어유에는,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매우 산화되기 쉬우며 풍미의 열화가 일어나 불쾌한 냄새나 맛을 나타내게 되는 것도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두유류나 산성유는 원료로서 사용하는 어유에서 유래하는 어취 (魚臭, fish odor)를 나타내지 않으며, 맛, 향 및 식감(mousefeel) 모두 양호하고 EPA나 DHA의 보존성도 양호하게 하고 있다.
일본 특허 제4738714호 공보 일본 특허 제4202130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 2에 나타낸 두유류나 산유(酸性乳, acid milk)는, 모두 원료로서 사용하는 어유에서 유래하는 어취를 나타내지 않고 맛, 향 및 식감 모두 양호한 것으로 하고 있지만, 원료로서 어유를 사용하고 있는 한, 그 함유량이 많아지면, 어취가 나는 것은 분명하고, 따라서 EPA 및/또는 DHA를 고농도로 함유하고 있다고 해도 그 고농도 한계는 제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 2에 나타낸 것은 두유류나 산유에 한정되며, 어유를 다른 음식물에 함유시킨 경우까지 어유에서 유래하는 어취를 나타내지 않는다고 보증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고, 액상, 겔상, 반고체 형상, 고체 형상 등, 어떠한 형태의 음식물에 있어서도, 어취로 대표되는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경시변화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 억제된 음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어류 유래의 EPA나 DHA 함유 식품과 비교하여, 특히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우수한 음식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음식물은 조류 추출유와,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과,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서, 조류 추출액은 미세 조류의 라비린툴라 (Labyrinthulea)류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서,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은 유단백, 대두 단백, 콜라겐 펩티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서, 조류 추출유는 DHA를 30~50 wt%, DPA를 1~20 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서, 조류 추출유는 또한 EPA를 0.1~1 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은 액상, 겔상, 반고체 형상, 고체 형상 등, 어떠한 형태이어도 어취로 대표되는 악취를 발생시키지 않고, 또한 경시변화에 의한 악취의 발생이 억제된 것이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음식물은 종래의 어류 유래의 EPA 및 DHA 함유 식품과 비교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우수한 것이 발견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되는 조류 추출유와 시판의 어유에서의 냄새의 관능 시험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하는 조류 추출유와 시판의 어유에서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혈액응고인자: 아데노신이인산)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되는 조류 추출유와 시판의 어유에서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혈액응고인자: 아라키돈산 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하는 조류 추출유와 시판의 어유에서의 혈소판 응집 억제율(혈액응고인자: PAF)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음식물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음식물은 조류 추출액과,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과,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조류 추출유는 본 발명의 음식물 중에 1~30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조류 추출유는 DHA(도코사헥사엔산)을 30~50 wt%, DPA(도코사펜타엔산)을 1~20 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DHA를 35~45 wt%, DPA를 10~15 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조류 추출유는 DHA, DPA에 추가하여 EPA(에이코사펜타엔산)을 0.1~1 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조류 추출유로서는, 미세조류의 라비린툴라류의 오란티오키트리움 종 (Aurantiochytrium sp.), 스키조키트리움 종(Schizochytrium sp.) 등으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미세조류로부터의 추출유로 함으로써, DHA(도코사헥사엔산)이나 DPA(도코사펜타엔산)의 함유량이 많은 추출유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조류 추출유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대만의 베단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Vedan Biotechnology Corporation)의 조류 추출유(상품명: DHA rich oil)을 들 수 있다.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은, 본 발명의 음식물 중에 2~50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로서는, 유단백, 대두 단백, 콜라겐 펩티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할 수 있는 유단백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우유, 탈지유, 농축유, 탈지 농축유, 전지분유, 탈지분유, 연유, 탈지연유, 두유, 요구르트, 치즈, 버터, 버터밀크, 크림, 크림파우더, 농축 유청(whey), 유청 파우더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할 수 있는 대두 단백으로서는, 대두에 함유되는 단백질이면 좋고,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두유, 농축 대두 단백, 분리 대두 단백, 대두 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대두 단백으로서는, 보충 식품 (supplement food), 음식품용 소재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할 수 있는 콜라겐 펩티드로서는, 콜라겐이나 젤라틴을 효소나 산으로 가수분해하여 얻어진 것으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평균 분자량 100~300,000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콜라겐 펩티드로서는, 음식품용 소재 등으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분말 타입, 액체 타입 중 어느 것도 사용 가능하다.
유화제는 상기 조류 추출유에 대해서 80~300wt% 함유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상기 유화제로서는,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자당 지방산 에스테르, 소이레시틴, 요크레시틴(yolk lecithin)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음식물은 상기 조류 추출유,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 유화제 이외에, 물, 향료, 교미제(矯味劑, taste-masking agent), 조미료, 유기산, pH 조정제 등을 함유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향료로서는, 요구르트 향료, 레몬 향료, 파인애플 향료, 그레이프 후르츠 향료, 레몬라임 향료, 오렌지 향료, 애플 향료 등을 들 수 있다.
교미제로서는, 녹차, 홍차, 우롱차, 커피, 아몬드유, 페퍼민트유, 스페아민트유, 시나몬유, 멘톨 등을 들 수 있다.
조미료로서는, 소금, 설탕, 맛술, 일본주, 와인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락트산, 말산, 시트르산, 주석산(tartaric acid), 아스코르브산 등을 들 수 있다.
pH 조정제로서는, 상기 유기산이나 그의 염류, 인산 및 그 염류, 탄산 및 그 염류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음식물의 제조방법의 개략적인 내용을 설명한다.
우선, 제1 공정으로서, 조류 추출유와 유화제를 혼합한다. 이 조류 추출유와 유화제의 혼합비율은 1:0.1 ~ 1:50이다.
제2 공정으로서, 제1 공정에서 얻은 조류 추출유와 유화제의 혼합물에 물 또는 더운 물을 가하여, 유화할 때까지 교반한다. 혼합 비율은 임의이고, 물 또는 더운 물의 온도는 5~100℃이다. 교반 시간도 임의이지만, 바람직하게는 5분~24시간 사이이다.
제3 공정으로서, 제2 공정에서 얻은 유화액에,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인 유단백 및/또는 대두 단백 및/또는 콜라겐 펩티드를 가하고, 또한 혼합 교반한다. 상기 유화액과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의 혼합비율은 1:0.1 ~ 1:500이다. 교반 온도, 교반 시간, 교반 방법은 임의이다.
이와 같은 공정을 거쳐 얻은 유화 혼합액에, 비타민 C나 시트르산, 주석산 등을 가하여, pH를 1.5 ~ 5로 조제한 산성액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산성액을 우유나 두유에 가한 음료로 하거나, 상기 산성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하거나 하여 과즙 등을 가한 음료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성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레토르트 식품, 쿠키나 전병 등의 구운 과자에 배합한 식품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성액을 그대로, 또는 희석하여 증점제나 다당류를 가하여 겔상의 식품이나, 젤리상으로 반고형화 또는 고형화한 식품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음식물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음식물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의한 악취 발생의 억제평가)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하는 조류 추출유와 시판의 어유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변화에 의한 악취 발생의 억제 평가를 하기 위해, 10명의 남녀에 의해, 이하에 서술하는 모니터 테스트(기간 약 1개월)를 실시했다.
조류 추출유로서는, 베단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대만) 제의 조류 추출유(상품명: DHA가 풍부한 오일(DHA rich oil))을 사용했다. 어유로서는, 일반적으로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정제 어유를 사용했다.
10명의 남녀에게 1주마다, 4주간에 걸쳐, 상기 조류 추출유와 어유의 냄새를 맡게 하여, 다음 평가 기준에 의해 악취 발생의 정도를 점수화하고, 평균값을 구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은 3단계로 하고, 전혀 냄새가 나지 않는 경우는 「0」점으로 하고, 미묘하게 냄새가 나는 경우는 「1」점으로 하며, 약간 냄새가 나는 경우는 「2」점으로 하고, 분명하게 냄새가 나는 경우는 「3」점으로 했다.
상기 모니터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2주 후에 조류 추출유의 악취 발생의 정도는 「1」점이 되고, 어유의 악취 발생의 정도는 「2」점이 되어, 수치적으로는 악취발생의 정도는 조류추출유가 어유의 50%가 되었다. 또한, 4주후에 조류 추출유의 악취발생의 정도는 「1.7」점이 되고, 어유의 악취발생의 정도는 「3」점이 되어, 수치적으로 악취 발생의 정도는 조류 추출유가 어유의 약 57%가 되었다.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의 확인)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하는 조류 추출유의 1종과, 시판의 어유 2종을 사용한 드링크제를 조제하고, 이 드링크제를 사용하여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의 확인을 실시했다.
드링크제에 함유되는 조류 추출유는 베단 바이오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대만)제의 DHA가 풍부한 오일(DHA: 38 wt%, EPA: 0.4 wt%)를 사용하고, 드링크제에 함유되는 어유는 일반적으로 식품으로서 사용되는 정제 어유 DHA27 오일(DHA: 27 wt%, EPA: 8 wt%), 및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정제 어유 DHA46 오일(DHA: 46 wt%, EPA: 5 wt%)로 했다.
시료의 조제는 사람의 혈액을 원심 분리하여, 다혈소판 혈장((PRP)으로서 채취하고, 이 PRP를 원심 분리하여 혈소판 혈장(PPP)을 채취했다.
또한, 상기 PRP에 혈액 응고 인자(아데노신이인산, 아라키돈산염, 혈소판 활성화 인자(PAF))를 가하여 혈소판을 응집시켰다.
상기 시료에 각 DHA 오일을 첨가하고, 응집물질 첨가전의 PRP 투과율을 0%, PPP 투과율을 100%로 설정했다. 그리고 응집물질 첨가후의 PRP 투과율의 최대값을 최대 응집률(%), 즉 혈소판 응집률(%)로 했다. 그 결과, 3회 시험한 평균값을 도 2~ 도 4에 나타낸다.
상기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을 확인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본 발명의 음식물에 사용하는 조류 추출유에서는, 아데노신이인산에서는 89%, 아라키돈산 염에서는 88%, PAF에서는 89%가 되었다.
시판의 어유 2종에서는, 아데노신이인산에서는 73%, 60%, 아라키돈산 염에서는 69%, 49%, PAF에서는 67%, 60%가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의 음식물의 실시예를 드링크제, 또는 젤리상 식품으로 한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드링크제의 성분)
조류 추출유(베단 바이오테크놀로지: DHA가 풍부한 오일) 3,000㎎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유화제) 3,600㎎
수크랄로오스(50배액) 1,000㎎
시트르산 10㎎
콜라겐펩티드 5,000㎎
요구르트 향료 400㎎
바닐라 향 100㎎
정제수 86,790㎎
상기 성분의 드링크제는 앞서 설명한 제조방법에 의해 조제했다. 이 드링크제를 병에 채워 마개로 막고, 1개월간 냉장고(고내 온도: 10℃)에 보관한 후, 마개를 개방하여 냄새를 맡았지만, 요구르트 향료, 바닐라 향 이외의 냄새는 전혀 나지 않았다.
또한, 상기 드링크제는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우수한 조류 추출유 유래의 DHA 및 EPA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음용함으로써 동맥경화성 질환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실시예 2〕
(젤리상 식품의 성분)
조류 추출유(베단 바이오테크놀로지: DHA rich oil) 100㎎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유화제) 200㎎
수크랄로오스(50배액) 150㎎
시트르산 90㎎
콜라겐펩티드 400㎎
요구르트 향료 30㎎
핑크 그레이프후르츠 향료 40㎎
트레할로오스 2,000㎎
증점 다당(겔화제) 150㎎
말토덱스트린 1,700㎎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소포제) 2㎎
콜라겐 마스킹 향료 50㎎
시트르산 나트륨 60㎎
정제수 5,028㎎
상기 성분의 젤리상 식품은 앞서 설명한 제조 방법에 의해 조제했다. 이 젤리상 식품을 합성수지제 용기에 넣어 마개를 막고, 1개월간 냉장고(고내 온도: 10℃)에 보관한 후, 마개를 개방하여 냄새를 맡았지만, 요구르트 향료, 핑크 그레이프후르츠 이외의 냄새는 전혀 나지 않았다.
또한, 상기 젤리상 식품은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우수한 조류 추출유 유래의 DHA 및 EPA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장기간 식용함으로써 동맥경화성 환자의 예방 및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 되었다.

Claims (5)

  1. 조류 추출유,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 및 유화제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추출유는 미세조류의 라비린툴라(Labyrinthulea)류로부터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 또는 식물성 단백질은 유단백, 대두 단백, 콜라겐 펩티드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추출유는 DHA를 30~50 wt%, DPA를 1~20 wt%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류 추출유는 또한 EPA를 0.1~1 wt%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KR1020150133944A 2014-10-02 2015-09-22 음식물 KR2016004009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03796 2014-10-02
JP2014203796A JP2016067340A (ja) 2014-10-02 2014-10-02 飲食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0096A true KR20160040096A (ko) 2016-04-12

Family

ID=5401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3944A KR20160040096A (ko) 2014-10-02 2015-09-22 음식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60095834A1 (ko)
EP (1) EP3001916A1 (ko)
JP (1) JP2016067340A (ko)
KR (1) KR20160040096A (ko)
CN (1) CN105476015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70738B2 (ja) 2016-09-23 2020-10-21 株式会社Wadeco 高炉用表面検出装置
JP7128621B2 (ja) * 2017-12-27 2022-08-31 アサヒ飲料株式会社 経口摂取用酸性組成物、容器詰め飲料、経口摂取用酸性組成物の製造方法、および異味抑制方法
CN108541859A (zh) * 2018-02-12 2018-09-18 广州富诺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dha藻油固体饮料
JP2021145676A (ja) * 2020-03-18 2021-09-27 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 コーポレーションAmorepacific Corporation 粒子形態を有する茶加工品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3664B1 (ko) * 1993-12-20 2002-11-27 산에이겐 에후.에후. 아이. 가부시키가이샤 안정된유화조성물및그를함유하는식품
JP3414530B2 (ja) * 1993-12-20 2003-06-09 三栄源エフ・エフ・アイ株式会社 安定な乳化組成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食品
SE523211C2 (sv) * 2000-04-26 2004-04-06 Skaanemejerier Ekonomisk Foere Lipidkomposition omfattande en skyddande olja och en fleromättad fettsyra, emulsion innehållande en sådan komposition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av emulsionen
KR20080064882A (ko) 2000-11-13 2008-07-09 니폰스이산가이샤 에이코사펜타엔산(이피에이) 고농도 함유 두유류 및 그제조방법
AU2002323409A1 (en) * 2001-08-24 2003-03-10 Martek Biosciences Boulder Corporation Products contain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s for use by women and their children during stages of preconception, pregnancy and lactation/post-partum
ES2576986T3 (es) * 2005-06-07 2016-07-12 Dsm Nutritional Products Ag Microorganismos eucariotas para la producción de lípidos y antioxidantes
JP5531324B2 (ja) * 2006-08-01 2014-06-25 ディーエスエム ニュートリショナル プロダクツ アーゲー 油生産微生物およびその改変方法
GB2444896B (en) * 2006-12-18 2010-05-19 Nutraceuticals Ltd Compositions comprising polyunsaturated fatty acids
EP3622828B1 (en) * 2009-04-14 2022-11-16 Corbion Biotech, Inc. Novel microalgal food compositions
CN102132882A (zh) * 2011-03-01 2011-07-27 厦门汇盛生物有限公司 Dha乳化液及其生产方法和应用
CN102144669B (zh) * 2011-04-14 2013-06-12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含有dha藻油的调制乳及其生产方法
CN103416759A (zh) * 2012-05-24 2013-12-04 内蒙古蒙牛乳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dha乳化液,其制备方法及在uht液态奶中的应用
US9351517B2 (en) * 2013-03-15 2016-05-31 Virun, Inc. Formulations of water-soluble derivatives of vitamin E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JP6393468B2 (ja) * 2013-10-08 2018-09-19 太陽化学株式会社 多価不飽和脂肪酸含有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095834A1 (en) 2016-04-07
JP2016067340A (ja) 2016-05-09
CN105476015A (zh) 2016-04-13
EP3001916A1 (en) 2016-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atil et al. Coconut milk and coconut oil: their manufacture associated with protein functionality
CN107072231B (zh) 咸味增强油脂的制造方法
CN102469828A (zh) 富含ω-3脂肪酸的饮料
US6235331B1 (en) Modified fish oil type material containing highly unsaturated fatty acid and/or esters thereof, and a composition containing said material
KR20160040096A (ko) 음식물
WO2011112117A1 (ru) Премикс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Battula et al. Ghee, anhydrous milk fat and butteroil
JP6318114B2 (ja) 藻類由来成分含有飲食物
JP2008517598A (ja) 魚油を含有する食品サプリメント
JP2007124917A (ja) オリザノールを豊富に含んだ米油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JPH06169735A (ja) 栄養飲料組成物
CN107213039A (zh) 一种可食用乳霜及其制备方法
JP2005171116A (ja) 香味又は香気の劣化抑制剤
JP3567960B2 (ja) 無臭、安定な油及び乳化液
RU2457713C2 (ru) Премикс дл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JPH10330781A (ja) 高度不飽和脂肪酸及び/又はそのエステルを含有する組成物
TWI777036B (zh) 食品及其製造方法、以及抑制食品中產生經時異味的方法
RU2423054C2 (ru) Пищевой эмульсионный продукт
RU2694680C1 (ru) Майонезный соус
JP6652690B1 (ja) テアナフトキノン類を有効成分とする香味又は香気の劣化抑制剤
RU2531238C9 (ru) Майонез
JP2009045021A (ja) 香味又は香気改善剤
JPH11341971A (ja) 食品の光劣化防止剤
JP2006124488A (ja) 高度不飽和脂肪酸含有リン脂質の水分散液
Prapun Study on extraction, Quality and application of virgin coconut 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