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24791A -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24791A
KR20160024791A KR1020150118576A KR20150118576A KR20160024791A KR 20160024791 A KR20160024791 A KR 20160024791A KR 1020150118576 A KR1020150118576 A KR 1020150118576A KR 20150118576 A KR20150118576 A KR 20150118576A KR 20160024791 A KR20160024791 A KR 201600247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tacker
sheet
stacked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히로 무츠노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247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7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LAPPARATUS OR DEVIC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OFFICE OR OTHER COMMERCIAL PURPOSES; ADDRESSING MACHINES OR LIKE SERIES-PRINTING MACHINES
    • B41L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or webs of copy material through the apparatus or machin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 B41L21/02Devices for conveying sheets or webs of copy material through the apparatus or machines for manifolding, duplicating, or printing for conveying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65H43/06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detecting, or responding to, completion of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09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 B41J13/0036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control of the transport of the copy material in the output section of automatic paper handl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081Sheet-storing packages, e.g. for protecting the sheets against ambient influences, e.g. light, humidity, changes in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24Pile receivers multiple or compartmented, e.d. for alternate, programmed, or selective f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1/00Pile receivers
    • B65H31/32Auxiliary devices for receiving articles during removal of a completed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02Associating,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from several sources
    • B65H39/04Associating,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from several sources from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9/00Associating, collating, or gathering articles or webs
    • B65H39/10Associating articles from a single source, to form, e.g. a writing-p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3/00Use of control, checking, or safety devices, e.g. automatic devices comprising an element for sensing a vari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83/00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 B65H83/02Combinations of piling and depiling operations, e.g. performed simultaneously, of interest apart from the single operation of piling or depiling as such performed on the same pile or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220/00Function indicators
    • B65H2220/09Function indicators indicating that several of an entity are pres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2Handling piles, sets or stacks of articles
    • B65H2301/4226Delivering, advancing p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2/00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handling apparatus
    • B65H2402/10Modular constructions, e.g. using preformed elements or prof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10Cassettes, holders, bins, decks, trays, supports or magazines for sheets stacked substantially horizontally
    • B65H2405/15Large capacity supports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2Supports for sheets partially insertable - extractable, e.g. upon sliding movement, dra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30Other features of supports for sheets
    • B65H2405/33Compartmented support
    • B65H2405/331Juxtaposed compartments
    • B65H2405/3311Juxtaposed compartments for storing articles horizontally or slightly inclin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20Location in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50Occurence
    • B65H2511/51Prese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06Office-type machines, e.g. photocop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2Single-function printing machines, typically table-top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1Facilitating exception or error detection and recovery, e.g. fault, media or consumables deplet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23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use a particular technique
    • G06F3/1237Print job management
    • G06F3/1259Print job monitoring, e.g. job stat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2High volume printer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le Receiver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Paper Feeding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ling Sheets Or Webs (AREA)
  • Folding Of Thin Sheet-Like Materials, Special Discharging Devices, And Others (AREA)

Abstract

인쇄가 개시될 때 대용량 스태커에 남아 있는 인쇄된 용지 및 후속 작업에서 인쇄된 용지가 대용량 스태커에 혼합되지 않게 되는 기술이 제공된다.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용지를 수취하고 후처리를 실행하기 위해 인쇄 장치 및 후처리 장치가 연결되는 인쇄 시스템은, 인쇄 시스템의 기동시, 후처리 장치에 용지가 적재된 것을 검출할 때, 남아 있는 용지를 배출하도록 처리 장치에 지시한다.

Description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GRAM}
본 발명은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인쇄 장치, 및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용지에 대해 후처리를 실행하는 후처리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서,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대량의 인쇄물을 효율적으로 그리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는 점은 중요한 요건이다. 특히, 후처리 장치 동작의 영향 하에서 인쇄 장치의 인쇄 속도가 저하되는 상황은 회피되어야 하고, 조작자에 의한 인쇄물의 처리시 작업 실수가 발생하기 어려운 작업 공정이 구현되어야 한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9-269303호 공보에는, 인쇄 장치에 의한 인쇄 처리 도중, 후처리 장치의 일 예인 대용량 스태커(stacker) 장치에 수용된 인쇄된 용지를 취출하는 지시가 입력될 때, 인쇄 장치로부터 배출되는 용지의 배출처가 다른 장치로 변경되는 구성이 개시된다. 이에 의해, 대용량 스태커 장치로부터 인쇄된 용지를 취출할 때, 인쇄 장치에 의한 인쇄 처리를 중단하지 않고 인쇄 동작을 계속할 수 있다.
대용량 스태커 및 인쇄 장치를 포함하는 상술한 인쇄 시스템에서, 인쇄된 용지가 대용량 스태커에 존재하는 상태에서 인쇄 시스템의 전원이 오프 상태로 되는 경우가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인쇄 시스템이 다시 기동될 때 대용량 스태커에 남아 있는 인쇄된 용지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 인쇄가 개시될 때 남아 있는 인쇄된 용지 및 다음 작업에서 인쇄된 용지가 대용량 스태커에서 혼합될 것이다.
크기가 다른 인쇄된 용지의 혼합 적재를 방지하는 모드를 포함하는 인쇄 시스템이 있다. 그러나, 이 모드가 가능한 경우에도, 상술한 바와 같이 인쇄된 용지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인쇄 처리가 기동될 때, 남아 있는 용지와 동일한 용지 크기의 용지가 인쇄되는 경우 용지의 혼합 적재가 발생할 것이고, 남아 있는 용지와의 구별이 불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인쇄된 용지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인쇄 시스템이 기동할 때에도 남아 있는 용지와 새로 인쇄된 용지의 혼합 적재를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가 제공되고, 상기 인쇄 장치는 화상이 그 위에 인쇄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스태커와, 용지가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과, 인쇄 장치의 기동시 용지가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검출 유닛에 따라서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할 수 있는 소정의 위치로 스태커에 적재된 용지가 이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용지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고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스태커를 갖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용지가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인쇄 장치의 기동 시, 용지가 스태커에 용지가 적재된 것이 검출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 스태커에 적재된 용지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쇄된 용지가 남아 있는 상태에서 인쇄 시스템이 기동될 때에도 남아 있는 용지와 새로 인쇄된 용지의 혼합 적재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의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대한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f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대용량 스태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f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대용량 스태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5a 내지 도 5f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대용량 스태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의 주 제어기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르는 동작 유닛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의 주 제어기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의 주 제어기(101)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는 흐름도.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의 동작 유닛의 표시 유닛에 표시된 용지 배출 트레이에서 용지 혼합 적재의 허용/금지를 설정하는 스크린의 예를 도시하는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형태는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를 한정하도록 의도되지 않고, 실시형태에서 설명된 특징부의 모든 조합예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에 반드시 필수적인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1a에서, 인쇄 시스템(100)은 주 제어기(101), 스캐너 장치(102), 및 프린터 장치(103)를 포함한다. 주 제어기(101)는 주로 작업의 일정관리 제어를 실행한다. 스캐너 장치(102)는 원고를 판독하고, 그 원고의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출력한다. 프린터 장치(103)는 화상의 인쇄를 실행한다. 인쇄 시스템(100)의 세부 사항은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주 제어기(101)는 네트워크(106)를 통해 PC(105)와 연결된다. PC(105)는 PC(105)에 설치된 프린터 드라이버(미도시)를 사용하여 주 제어기(101)에 작업을 입력할 수 있다.
도 1b는 다른 실시형태에 따르는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고, 상술한 도 1a와 공통 부분은 동일한 번호로 도시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1b에서, PC(105)와 인쇄 시스템(100) 사이에 프린트 서버(104)가 연결된다. 프린트 서버(104)는 먼저 네트워크(106)에 연결된 PC(105)로부터 입력된 인쇄 작업을 수신하고, 화상 처리를 실행한 후, 로컬 네트워크(107)를 통해 주 제어기(101)로 작업을 입력한다. 여기서, 네트워크(106)로부터, 인쇄 시스템(100) 및 프린트 서버(104)는 하나의 인쇄 장치로서 총괄하여 보여지는 구성이 된다.
도 2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100)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인쇄 시스템(100)은 인쇄 장치, 급지 보조 장치, 후처리 장치(대용량 스태커(246 및 247)), 및 피니셔(234)를 포함한다.
참조 번호 201은 인쇄 장치 본체를 나타내고, 참조 번호 202는 화상 정착 장치를 나타낸다. 인쇄 장치 본체(201) 및 화상 정착 장치(202)에 의해, 용지(종이 용지) 상에 화상의 인쇄가 실행된다. 도 1a 및 도 1b의 인쇄 장치(103)는 인쇄 장치 본체(201) 및 화상 정착 장치(202)를 포함한다. 급지 장치로서 대용량 급지 데크(220)가 인쇄 장치 본체(201)의 우측에 연결된다. 급지 데크(220)는 인쇄 장치 본체(201)에 복수개로 연결될 수 있고, 추가로 대용량 급지 데크(221)가 도 2의 우측에 연결된다. 또한, 후처리 장치로서 대용량 스태커(246)(제1 스태커)가 화상 정착 장치(202)의 좌측에 연결된다. 대용량 스태커(246)는 또한 복수 개 연결될 수 있고, 추가로 좌측에는 대용량 스태커(247)(제2 스태커)가 연결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후처리 장치의 특징적인 제어는 대용량 스태커(246 및 247)의 제어에 관련된다. 추가로, 대용량 스태커(247)의 좌측에 피니셔(234)가 연결된다.
인쇄 장치 본체(201)에는 급지 데크(205 및 206)가 설치되고, 인쇄 장치로의 급송을 위한 표준 급지 유닛으로서 작동한다. 참조 번호(207 내지 210)는 현상 유닛이고, 컬러 화상을 형성하기 위해 Y, M, C, 및 K의 4개의 스테이션을 포함한다. 여기서 형성된 화상은 중간 전사 벨트(211)에 1차 전사되어 컬러 토너 화상을 형성한다. 중간 전사 벨트(211)는 도 2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2차 전사 위치(212)에서, 칼라 토너 화상은 용지 반송로(204)를 통해 반송된 용지에 전사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토너 화상이 전사된 용지는 인쇄 장치 본체(201)로부터 화상 정착 장치(202)로 반송되고, 화상 정착 장치(202)의 정착 디바이스(213)에 의해 가열 및 가압됨으로써, 토너 화상이 용지에 정착된다. 이후 정착 디바이스(213)를 통과한 용지는 반송로(215)를 통해 배출구(217)로 반송된다. 화상을 용지에 정착하기 위해 추가로 가열 및 가압이 요구되는 용지의 경우, 정착 디바이스(213)를 통과한 용지는 상부 반송로를 사용하여 제2 정착 디바이스(214)에 반송되고, 추가의 가열 및 가압이 인가된 후, 용지는 반송로(216)를 통해 배출구(217)에 반송된다. 또한, 화상 형성 모드가 양면 인쇄인 경우, 용지 반전 경로(218)로 용지를 반송하여 용지의 앞/뒤 반전후 양면 반송로(219)를 통해 용지의 재급송이 실행되고, 전사 위치(212)에서 제2 측면에 인쇄가 실행된다.
인쇄 장치 본체(201)의 표준 급지 유닛(205 및 206) 이외에, 대용량 급지 데크(220)의 3개의 급지 데크(222, 223 및 224)로부터 용지를 급송할 수 있다. 여기로부터 급지된 용지는 용지 반송로(225 및 226)를 통해 인쇄 장치 본체(201)에 보내지고, 인쇄가 실행된다. 또한, 두 번째 대용량 급지 데크(221)가 연결되는 경우, 3개의 급지 데크(229, 230 및 231)로부터 용지를 급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지 반송로(232)를 따라 반송된 용지는 참조 번호 233에서 첫 번째 대용량 급지 데크(220)로 통과한다. 대용량 급지 데크(220 및 221)는 다수의 용지가 중첩하여 반송되는 중복 급송(double feed)을 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용지의 중복 급송이 검지될 때, 용지 반송로는 정상 반송로(226)로부터 반송로(227)로 전환되고, 중복 급송 용지는 탈출 트레이(228)로 배출된다.
이어서, 후처리 장치인 대용량 스태커(246)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대용량 스태커(246)는 용지의 출력처로서 2개의 용지 배출처, 즉, 배지 트레이(250), 및 리프트 테이블(248)과 방출 테이블(249)이 구비된 적재 유닛을 갖는다. 화상이 정착된 용지는 화상 정착 장치(202)로부터 배출구(217)를 통해 대용량 스태커(246)의 용지 반송 유닛으로 반송된다. 용지는 용지 반송로(251)로부터 반송로(252)를 통해 진행하는 적재 유닛의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적재된다. 용지 다발이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프트 테이블(248)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위치된다. 용지 다발의 적재가 진행하면, 적재된 용지 다발에 대응하는 높이만큼 리프트 테이블(248)이 하강하고, 적재된 용지 다발의 상측 위치는 항상 특정 높이에 있도록 제어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지 다발의 적재가 완료되거나, 적재물이 가득 차게 되는 경우, 리프트 테이블(248)은 방출 테이블(249)의 위치까지 낮아진다. 여기서, 리프트 테이블(248) 및 방출 테이블(249)은 그 높이가 동일하게 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바아가 교번된 위치에 존재하도록 구성된다. 이 이유로, 리프트 테이블(248)이 낮아져 방출 테이블(249)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할 때, 리프트 테이블(248) 상의 용지 다발은 방출 테이블(249) 상에 다시 적재된다. 이 동작은 도 3a 내지 도 5f를 참조하여 이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다.
한편, 용지가 배지 트레이(250)로 배출될 때, 용지는 용지 반송로(251)로부터 반송로(253)를 통해 배지 트레이(250)에 반송된다. 추가로, 용지가 대용량 스태커(246)의 후단의 후처리 장치로 반송될 때, 용지는 용지 반송로(254)를 통해 반송되고 두번째 대용량 스태커(247) 또는 피니셔(234)로 반송된다.
반전 유닛(255)은 용지를 반전하기 위한 기구이다. 반전 유닛(255)의 제어에서, 대용량 스태커(246)로 입력되는 배출구(217)에서의 용지의 방향은 기본적으로 출력처에서의 용지 방향과 동일하게 되도록 제어된다. 용지가 적재 유닛 상에 적재될 때 반송로(252)를 따라 통과한 용지는 플립되어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적재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용지가 반전 유닛(255)에 의해 반전되지 않는 경우, 용지는 배출구(217) 및 리프트 테이블(248)에서 상하 반전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적재 유닛에 적재할 때 반전 유닛(255)에서 용지가 먼저 반전되게 함으로써 배출구(217) 및 리프트 테이블(248)에서의 용지의 상하 방향이 일치하도록 제어가 실행된다. 용지 배출 트레이(250) 또는 후속 후처리 장치로 용지를 반송할 때, 용지는 적재될 때 자세로 배출되기 때문에 용지의 상하 방향이 용지가 배출구(217)에 있을 때의 시점과 동일하게 되기 위해, 용지 반전 동작은 반전 유닛(255)에 의해 실행되지 않는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반전 유닛(255)에서의 반전 동작을 강제적으로 실행하도록 제어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탈출 유닛이 반전 유닛(255)을 넘어 설치되고, 잼이나 오류 등의 비정상 동작이 발생할 때 가능한 한 반송될 수 있는 용지를 탈출 유닛으로 반송할 수 있다. 반송될 수 있으며 반전 유닛(255)의 반송로의 우측에 유지되는 용지는 반전 유닛(255)을 넘어 탈출 유닛에 수집된다.
두번째 대용량 스태커(247)의 구성은 상술한 대용량 스태커(246)와 완전히 동일하다. 따라서, 참조 번호 256 내지 263에 의해 도시된 각각의 기구는 첫번째 대용량 스태커(246)의 참조 번호 248 내지 255에 의해 각각 도시된 바와 동일하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이어서 피니셔(234)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피니셔(234)에서,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능에 따라서 인쇄된 용지에 후처리가 적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스테이플(1개소/2개소), 펀칭(2구멍/3구멍), 새들 시티치 제본 등을 위한 기능이 있다. 피니셔(234)는 용지 배출 트레이(235 및 236)를 갖고, 용지는 용지 반송로(241)를 통해 용지 배출 트레이(235)로 배출된다. 용지 반송로(241)에서, 스테이플 등의 처리는 실행될 수 없다. 스테이플 등의 처리를 실행할 때, 용지는 용지 반송로(242)를 통해 처리 유닛(243)으로 보내지고,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기능의 마무리가 실행된 이후, 용지는 용지 배출 트레이(236)로 배출된다. 용지 배출 트레이(235 및 236)는 상하 이동할 수 있고, 용지 배출 트레이(235)를 하강시켜 마무리 처리가 처리 유닛(243)에 의해 실행된 용지를 아래의 배출구로부터 적재하도록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 용지가 사용자 지정에 의해 지정된 경우, 삽입기(238)에 설정된 삽입 용지가 용지 반송로(240)를 통해 미리 정해진 페이지에 대해 삽입되도록 할 수 있다. 새들 스티치 제본이 지정된 경우, 용지는 용지의 중앙부가 새들 스티치 처리 유닛(244)에 의해 스테이플된 이후 절첩되고, 절첩된 용지는 용지 반송로(245)를 통해 새들 스티치 제본 트레이(237)로 반송된다. 새들 스티치 제본 트레이(237)는 컨베이어-벨트 구성이 되고, 새들 스티치 제본 트레이(237)에 적재된 새들 스티치 제본 다발은 좌측으로 반송되는 구성이 된다.
이어서, 스캐너(264)(도 1a 및 도 1b의 스캐너 장치(102)에 대응) 및 문서 급지 장치를 간단히 설명할 것이다.
스캐너(264)는 주로 복사 기능으로 사용되지만, 원고가 원고판에 설정되어 원고의 판독이 실행되는 경우, 원고는 원고판에 설정되고 문서 급지 장치는 폐쇄된다. 그리고, 원고판이 폐쇄된 것을 개방/폐쇄 센서가 검출할 때, 스캐너(264)의 하우징 내의 반사식 원고 크기 검출 센서는 설정된 원고의 크기를 검출한다. 원고는 크기 검출시 광원에 의해 조사되고, CCD에 의해 원고의 화상이 판독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판독된 화상의 화상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고, 원하는 화상 처리가 실행된 이후 레이저 기록 신호(화상 데이터)로 변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는 후술하는 주 제어기(101)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원고가 문서 급지 장치에 설정되고 판독이 실행되는 경우, 원고는 문서 급지 장치의 원고 설정 유닛에 위를 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원고의 존재 유무를 검출하는 센서는 원고가 설정된 것을 검출하고, 이에 의해 원고 급송 롤러 및 컨베이어 벨트가 회전하여, 원고를 반송하고, 원고는 원고판 상의 미리 정해진 위치에 설정된다. 이후, 원고판 상에서의 판독과 유사하게 화상이 판독되고, 화상 데이터는 주 제어기(101)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어서, 대용량 스태커(246 및 247)의 특징적 동작인 방출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5f는 실시형태에 따르는 대용량 스태커의 동작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본 실시형태의 특징적인 동작은 대용량 스태커(246 및 247)의 조합 동작에 관한 것이지만, 우선 대용량 스태커 중 하나에 의한 기본 동작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3a 내지 도 3c, 도 4a 내지 도 4c, 및 도 5a 내지 도 5c는 도 2의 대용량 스태커의 좌측면에서 본 단면이고, 도 3d 내지 도 3f, 도 4d 내지 도 4f, 및 도 5d 내지 도 5f는 도 2의 대용량 스태커의 전방면으로부터 본 단면도이다. 여기서, 도 3a 및 도 3d는 대용량 스태커의 전체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b 및 도 3e는 대용량 스태커가 대기 중인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3c 및 도 3f는 용지가 대용량 스태커에 적재된 때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리프트 테이블(248)은 대용량 스태커에 용지 다발을 적재하는 테이블이다. 도 3a 및 도 3d에 2개의 테이블이 도식적으로 도시되었으나, 실제로는 하나의 테이블이다. 상부 위치의 리프트 테이블(248a)은 용지 다발이 적재되지 않은 때의 리프트 테이블(248)의 위치를 도시하고, 하부 위치의 리프트 테이블(248b)은 용지 다발(3005)이 적재될 때의 리프트 테이블(248)의 위치를 도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지 다발(3005)이 적재된 상태에서, 용지 다발이 적재되지 않은 때의 리프트 테이블(248a)의 위치와 용지 다발(3005)의 상측이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까지, 리프트 테이블(248)은 하강한다. 방출 테이블(249)은 사용자가 용지 다발을 수취할 수 있는 상태로 용지 다발을 놓도록, 용지 다발을 디바이스(대용량 스태커)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방출 테이블(249) 상에 용지가 없는 경우, 방출 테이블(249)은 대용량 스태커에 수납된 상태에 있다. 그러나, 용지 다발이 리프트 테이블(248)로부터 다시 적재되는 경우, 방출 테이블(249)의 용지 존재 유/무 센서는 용지가 적재된 것을 검출하고, 방출 테이블(249)은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돌출)된다.
순서대로 설명하면, 도 3b 및 도 3e는 대기 상태의 대용량 스태커를 도시한다. 여기에서는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용지 다발이 적재되지 않기 때문에, 리프트 테이블(248)은 적재 유닛으로 배출되는 용지 반송로의 배출구의 위치까지 최대로 상승된 위치(도 3a의 참조 번호 248a에 대응)에서 정지된다. 또한, 방출 테이블(249)은 디바이스 내에 수용된 상태이다.
도 3c 및 도 3f는 인쇄 장치의 인쇄 동작 도중, 대용량 스태커가 인쇄 장치로부터 배출된 용지를 수용하여 용지가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다. 용지 다발의 적재가 진행되면, 용지 다발의 상측이 적재 유닛의 배출구의 위치와 일치하도록 리프트 테이블(248)을 하강시키면서 인쇄 장치에 의한 인쇄 동작이 연속적으로 실행된다.
도 4a 및 도 4d는 대용량 스태커에서 리프트 테이블(248)에의 용지 적재가 완료되거나 적재물이 가득 찬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b 및 도 4e는 리프트 테이블(248)로부터 방출 테이블(249)로의 용지 다발의 재적재를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4c 및 도 4f는 방출 테이블(249)에 의해 용지 다발이 디바이스로부터 배출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d는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용지 다발의 적재가 완료된 시점 또는 적재물이 가득 찬 것이 검지될 때의 시점을 도시한다. 용지 다발의 적재가 완료된 시점은 용지 다발의 취출이 작업의 종료와 일치하도록 설정되는 경우가 되도록 상정된다. 따라서, 이는 용지 다발이 대용량 스태커에 적재될 수 있는 최대량에 도달하는 상태를 반드시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적재물이 가득 찬 것이 검지되는 시점은 적재될 수 있는 최대량에 도달하고 더 이상의 용지가 적재될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용지 다발 적재 완료 또는 적재물이 가득 차 있는지 여부가 특별히 중요하지 않은 경우, 적재 완료인 것으로 설명되는 점에 유의한다.
도 4a 및 도 4d에 도시된 상태로 진입하는 경우,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용지 적재 동작이 더 이상 계속될 수 없다는 것이 판정된다. 이후, 도 4b 및 도 4e에 도시된 용지 다발 재적재 동작으로 이행한다. 여기서, 리프트 테이블(248)은 방출 테이블(249)의 위치까지 하강하게 된다. 여기서,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프트 테이블(248)은 리프트 테이블(248) 및 방출 테이블(249)이 동일한 위치에 있을 때까지 하강하게 된다. 이 때, 테이블(248 및 249)의 바아는 교번된 위치에 있기 때문에, 서로 충돌/간섭하지 않는다. 리프트 테이블(248)이 방출 테이블(249)의 위치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면,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적재된 용지 다발이 방출 테이블(249) 상에 재적재되는 상태에 진입한다. 이 상태에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테이블(249)을 디바이스로부터 방출함으로써, 방출 테이블(249) 상에 적재된 용지 다발을 스태커의 외측으로 내놓을 수 있다.
도 5a 및 도 5d는 대용량 스태커에서, 방출 테이블(249)은 디바이스로부터 돌출하는 반면 리프트 테이블(248)은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처리의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b 및 도 5e는 리프트 테이블(248)이 최상위 위치로 복귀하고 이에 의해 용지가 적재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c 및 도 5f는 방출 테이블(249)이 디바이스로부터 토출한 상태에서 후속 용지 다발이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적재되는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 테이블(249)이 디바이스로부터 돌출한 상태로 진입하면, 리프트 테이블(248)은 도 5a 및 도 5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시 상승 동작을 행한다. 그리고, 도 5b 및 도 5e에서, 리프트 테이블(248)이 후속 용지가 적재될 수 있는 원래 위치까지 복귀되면, 인쇄 장치는 인쇄 동작을 재개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쇄 장치에 의해 인쇄된 용지에 대한 적재 동작이 진행하면, 도 5c및 도 5f에 도시된 상태로 진입한다. 도 4a 내지 도 5b에 도시된 상태로 진입하는 동안은, 용지가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적재될 수 없는 상태, 즉 대용량 스태커가 인쇄된 용지를 수용 및 적재할 수 없는 상태이며, 이 간격은 대략 수십 초 지속된다.
도 6은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100)의 주 제어기(101)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제어 모듈(601)은 주로 CPU(602), 버스 제어기(603), 및 여러 인터페이스(I/F) 회로를 포함한다. CPU(602) 및 버스 제어기(603)는 디바이스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CPU(602)는 ROM(604)으로부터 ROM I/F(605)를 통해 판독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동작을 실행한다. 또한, PC(105)로부터 수신된 PDL(페이지 기술 언어) 코드를 해석하고 래스터 화상 데이터를 추출하는 동작이 이 프로그램에 기술되고 소프트웨어에 의해 처리된다. 버스 제어기(603)는 I/F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고, 버스 경합(bus conflict) 도중의 조정, DMA 데이터 전송 등의 제어를 실행한다.
DRAM(606)은 DRAM I/F(607)에 의해 제어 모듈(601)에 연결되고, DRAM(606)은 CPU(602)가 동작하기 위한 작업 영역,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영역 등으로서 사용된다. 코덱(608)은 DRAM(606)에 저장된 래스터 화상 데이터를 MH/MR/MMR/JBIG/JPEG 등의 포맷으로 압축하고, 압축되어 래스터 화상 데이터로 저장된 코드 데이터를 역으로 압축 해제한다. SRAM(609)은 코덱(608)을 위한 일시적인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코덱(608)은 I/F(610)를 통해 제어 모듈(601)에 연결되고, DRAM(606)과의 데이터 전송은 버스 제어기(603)에 의해 제어되고 DMA에 의해 실행된다.
그래픽 프로세서(624)는 DRAM(606)에 저장된 래스터 화상 데이터에 대한 화상 회전, 화상 확대/감소, 색 공간 변환, 및 2치화 등의 처리를 실행한다. SRAM(625)은 그래픽 프로세서(624)에 대한 일시적인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그래픽 프로세서(624)는 I/F를 통해 제어 모듈(601)과 연결되고, DRAM(606)과의 데이터 전송은 버스 제어기(603)에 의해 제어되고 DMA에 의해 실행된다. 네트워크 제어기(NTC)(611)는 I/F(613)에 의해 제어 모듈(601)에 연결되고, 커넥터(612)에 의해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된다. 공통 네트워크는 이더넷(등록 상표)이다.
범용 고속 버스(615)에는, 확장 보드를 연결하기 위한 확장 커넥터(614) 및 I/O 제어기(616)가 연결된다. 공통 범용 고속 버스는 PCI 버스이다. I/O 제어기(616)에는, 스캐너 장치(102) 및 프린터 장치(103)의 CPU들과 제어 명령을 송/수신하기 위한 비동기 시리얼 통신 제어기(617)의 2 채널이 포함된다. 비동기 시리얼 통신 제어기(617)는 I/O 버스(618)를 통해 스캐너 I/F 회로(626) 및 프린터 I/F 회로(630)에 연결된다.
패널 I/F(621)는 도 7에 도시된 조작 패널(701)을 연결한다. 패널 I/F(621)는 표시 제어기(LCDC)(620)에 접속되고, 조작 패널(701)의 표시 유닛(705)(도 7)의 화면에 표시를 실행하기 위한 I/F와, 하드 키 및 터치 패널 키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키 입력 I/F를 갖는다.
실시간 시계 모듈(RTC)(622)은 인쇄 시스템(100)에 의해 관리되는 일자 및 시각을 갱신/저장하기 위한 것이고, 실시간 시계 모듈(RTC)(622)은 백업 전지(623)에 의해 백업된다. E-IDE 인터페이스(639)는 외부 기억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형태에서,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638)는 I/F(639)를 통해 연결되고,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638)는 하드 디스크(640)에 화상 데이터를 저장하고 하드 디스크(640)로부터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는 동작을 실행한다. 커넥터(627 및 632)는 각각 스캐너 장치(102) 및 프린터 장치(103)에 접속되고, 비동기 시리얼 I/F(628 및 633) 및 비디오 I/F(629 및 634)가 구비된다.
스캐너 I/F(626)는 커넥터(627)를 통해 스캐너 장치(102)에 연결되고, 스캐너 버스(641)에 의해 제어 모듈(601)과 연결된다. 스캐너 I/F(626)는 스캐너 장치(102)로부터 수신한 화상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처리를 적용하는 기능을 갖고, 또한, 스캐너 장치(102)로부터 송신된 비디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스캐너 버스(629)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스캐너 버스(629)로부터 DRAM(606)으로의 데이터 전송은 버스 제어기(603)에 의해 제어된다.
프린터 I/F(630)는 커넥터(632)를 통해 프린터 장치(103)와 연결되고, 프린터 버스(631)에 의해 제어 모듈(601)에 연결되고, 프린터 I/F(630)는 제어 모듈(601)로부터 출력된 화상 데이터에 미리 정해진 처리를 적용하여 프린터 장치(103)로 출력한다. 추가로, 프린터 I/F(630)는 프린터 장치(103)로부터 송신된 비디오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를 프린터 버스(631)로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DRAM(606)으로 추출된 래스터 화상 데이터의 프린터 장치(103)로의 전송은 버스 제어기(603)에 의해 제어되고, 전송은 프린터 버스(631) 및 비디오 I/F(634)를 통해 프린터 장치(103)로 DMA에 의해 전송된다.
SRAM(636)은 백업 전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인쇄 시스템(100)에 대한 전원 차단이 실행되는 경우에도 저장 내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SRAM(636)은 버스(635)를 통해 I/O 제어기(616)에 연결된다. 또한, EEPROM(637)도 유사하게 버스(635)를 통해 I/O 제어기(616)에 접속된다.
이어서, 다양한 설정을 실행하는 조작 패널(701)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도 7은 실시형태에 따르는 조작 패널(701)의 구성을 도시하는 상면도이다.
조작 패널(701)은 액정 표시 유닛(705), 액정 표시 유닛(705)에 부착되는 터치 패널, 및 복수의 하드 키를 포함한다. 터치 패널이나 하드 키에 의해 입력된 신호는 전술한 패널 I/F(621)를 통해 CPU(602)에 전달된다. 액정 표시 유닛(705)은 패널 I/F(621)로부터 전달된 화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액정 표시 유닛(705) 상에, 인쇄 시스템(100)의 동작을 위한 기능의 표시, 화상 데이터 등이 표시된다.
리셋 키(702)는 사용자가 설정한 설정값 등을 취소하기 위해 사용된다. 정지 키(703)는 동작 중의 작업을 정지시킬 때 사용된다. 숫자 키패드(704)는 숫자 등의 수치 입력을 실행하기 위한 키이다. 액정 표시 유닛(705)은 터치 패널 기능을 갖고, 여러 동작 화면을 표시한다. 이들 화면에는, 여러 설정을 실행하기 위한 많은 터치 패널이 존재한다. 시작 키(706)는 스캐너 장치(102)에 의해 원고를 판독하기 위한 작업 등의 작업을 시작하기 위한 키이다. 클리어 키(707)는 설정 등을 소거하기 위한 키이다. 또한, 초기 설정/등록 버튼(708), 절전을 실행하기 위한 버튼, 메인 메뉴를 표시하기 위한 버튼, 사용자 각각에 대한 맞춤 화면을 구성할 수 있는 퀵 메뉴 버튼, 및 디바이스의 상태를 표시하기 위한 상태 모니터 버튼이 하드 키로서 배열된다.
제1 실시형태
도 8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장치(100)의 주 제어기(101)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ROM(604)에 저장되고, CPU(602)에 의해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가 구현된다.
이 처리는 인쇄 시스템(100)의 전원이 온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개시되고, 우선 단계(S801)에서 CPU(602)는 기동 처리를 실행한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S802)로 진행하고, CPU(602)는 프린터 I/F(630)를 통해 대용량 스태커(246)의 상태를 획득한다. 여기서 대용량 스태커(246)의 상태의 획득은 대용량 스태커(246) 내에 용지 다발이 존재하는지 여부 및 리프트 테이블(248)과 방출 테이블(249)의 상태 등의 대용량 스태커에 관한 정보의 취득이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S803)로 진행하고, CPU(602)는 단계(S802)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용지 다발이 대용량 스태커(246)의 적재 유닛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용지 다발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종료하고, 용지 다발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정되는 경우 처리는 단계(S804)로 진행한다.
단계(S804)에서, CPU(602)는 단계(S802)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대용량 스태커(246)의 방출 테이블(249)이 대용량 스태커(246)의 외측으로 방출된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대용량 스태커(246)의 방출 테이블(249)이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된 상태인 경우, 용지 다발은 적재 유닛에 존재하고, 따라서 용지 다발이 대용량 스태커(246)의 내부(리프트 테이블(248))에도 존재한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상태가 도 5c와 같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이 이유로, 처리는 단계(S806)으로 진행하고, CPU(602)는 조작 패널(701)에 대용량 스태커(246)에 적재물이 가득 차있다는 것을 표시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804)에서, 대용량 스태커(246)의 방출 테이블(249)이 대용량 스태커(246)의 외측으로 방출되지 않았다고 판정될 때, 처리는 단계(S805)로 진행한다. 단계(S805)에서, CPU(602)는 대용량 스태커(246)의 리프트 테이블(248) 상에 용지 다발이 존재하는 상태(예를 들어, 도 3c 또는 도 4a의 상태)라고 판정한다. 그리고, CPU(602)는 프린터 IF(630)를 통해 대용량 스태커(246)가 방출 처리를 실행하도록 지시한다. 이에 의해, 도 4b 및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용량 스태커(246)는 리프트 테이블(248) 상의 용지 다발을 방출 테이블(249)로 이동하게 한 후 대용량 스태커(246)의 외측으로 용지 다발을 방출한다. 이 때는 리프트 테이블(248)에 대해 적재물이 가득 차지 않은 경우에도, 리프트 테이블(248)을 하강시킴으로써 리프트 테이블(248) 상의 용지 다발이 방출 테이블(249)로 이동되는 점에 유의한다. 그리고, 방출 테이블(249)을 디바이스로부터 방출되게 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원 공급을 온 상태로 하기 전에 대용량 스태커(246)에 남아 있는 용지를 대용량 스태커(246)의 외측으로 내놓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실시형태에 의해, 전원 공급을 온 상태로 하기 전에 대용량 스태커에 용지 다발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스태커 내의 용지 다발을 인식하지 못하고 작업을 개시할 때, 사용자의 인쇄물 및 남아 있는 인쇄물이 스태커에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대용량 스태커(246)의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대용량 스태커(247)의 경우에도 유사하게 실행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제2 실시형태
상술한 제1 실시형태에는, 인쇄 시스템 기동시 대용량 스태커에 용지 다발이 존재하는 경우의 방출 처리가 설명되었다. 이에 대해, 제2 실시형태에서는, 사용자 설정에 따라서 방출 처리가 실행되는 경우의 동작에 대해 설명될 것이다.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100)의 구성 및 주 제어기(101)의 하드웨어 구성은 상술한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고, 따라서 그 설명은 생략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100)의 주 제어기(101)에 의한 제어 처리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 흐름도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ROM(604)에 저장되고, CPU(602)에 의해 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이 흐름도에 도시된 처리가 구현된다.
처리는 인쇄 시스템(100)의 전원 공급이 온 상태로 되는 것에 의해 개시된다. 단계(S901) 및 단계(S902)의 처리는 도 8의 단계(S801) 및 단계(S802)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이어서, 처리는 단계(S903)로 진행하고, CPU(602)는 사용자 모드의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서, 획득되는 사용자 모드의 정보는 도 10에 도시된 작동 화면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용지 배출 트레이 내의 용지 혼합 적재의 허용/금지를 지시하는 정보이다.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르는 인쇄 시스템(100)의 제어 패널(701)의 표시 유닛(705)에 표시된 용지 배출 트레이 내의 용지의 혼합 적재 허용/금지를 설정하기 위한 화면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온 버튼(1001)을 선택할 때, 대용량 스태커, 후처리 장치 등에 다른 크기의 용지의 혼합 적재가 허용된다. 한편, 사용자가 오프 버튼(1002)을 선택할 때, 대용량 스태커, 후처리 장치 등에 다른 크기의 용지의 혼합 적재가 방지된다(혼합 적재 불가능). 사용자 선택 결과는 SRAM(609)에 플래그(혼합 적재가 허용될 때 온)로서 저장되는 점에 유의한다.
단계(S904)에서, CPU(602)는 단계(S903)에서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크기의 용지의 혼합 적재가 허용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즉, 도 10의 화면에서, 사용자가 온 버튼(1001)을 선택했는지 여부를, 상술한 플래그에 의해 판정한다. 여기서, 플래그가 온, 즉 다른 크기의 용지의 혼합 적재가 허용된다고 판정될 때, 처리가 종료된다.
한편, 단계(S904)에서, CPU(602)가 다른 크기의 용지의 혼합 적재가 허용되지 않는다(플래그가 오프)고 판정할 때, 처리는 단계(S905)로 진행하고, CPU(602)는 단계(S902)에서 획득한 정보에 기초하여 대용량 스태커의 적재 유닛에 용지 다발이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여기서, 단계(S905) 내지 단계(S908)의 처리는 상술한 도 8의 단계(S803) 내지 단계(S806)의 처리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실시형태에 의해, 전원 공급이 온 상태로 되기 전에 스태커에 용지 다발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사용자가 스태커 내의 용지 다발을 인식하지 않고 작업을 개시할 때, 사용자의 인쇄물 및 남아 있는 인쇄물이 스태커에서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 때, 사용자가 다른 크기의 용지의 혼합 적재를 허용하는 경우, 남아 있는 인쇄물과의 혼합 적재가 허용된 상태에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인쇄 장치에 스태커가 연결된 인쇄 시스템의 예가 설명되었으나, 물론 스태커를 갖는 인쇄 장치에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점에 유의한다.
또한, 상술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후처리 장치의 일 예로서 대용량 스태커의 예가 설명되었으나, 예를 들어 제본 디바이스 또는 절첩 디바이스 등의 후처리 장치에 이전 작업에 기초하여 인쇄된 용지가 남아 있는 경우에도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들)는, 상술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더 완전하게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도 지칭됨) 상에 기록되는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독출 및 실행하고 그리고/또는 상술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예컨대, 특정 용도 집적 회로(ASIC))를 포함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그리고 예컨대 상술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저장 매체로부터의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독출 및 실행함으로써 그리고/또는 상술된 실시형태(들) 중 하나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회로를 제어함으로써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예컨대, 중앙 처리 유닛(CPU), 마이크로 처리 유닛(MPU))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를 독출 및 실행하기 위해 개별 컴퓨터들 또는 개별의 프로세서들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실행 가능 명령어는 예컨대, 네트워크 또는 저장 매체로부터 컴퓨터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 리드 온리 메모리(ROM), 분산 컴퓨팅 시스템의 스토리지, 광학 디스크(콤팩트 디스크(CD),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VD), 또는 블루레이 디스크(BD)TM 등),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메모리 카드 등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의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을, 네트워크 또는 기억 매체를 개입하여 시스템 혹은 장치에 공급하고, 그 시스템 혹은 장치의 컴퓨터에 있어서 1개 이상의 프로세서가 프로그램을 읽어 실행하는 처리에서도 실현가능하다.
또한, 1개 이상의 기능을 실현하는 회로(예를 들어, ASIC)에 의해서도 실행가능하다.
본 발명을 예시적인 실시형태에 관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형태로 제한되지는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하기 청구범위의 범주는 모든 이러한 변형 및 등가의 구조 및 기능을 포괄하도록 가장 넓은 분석에 따라야 한다.

Claims (8)

  1. 용지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는 인쇄 장치이며,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스태커와,
    용지가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도록 구성된 검출 유닛과,
    상기 인쇄 장치의 기동시, 용지가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상기 검출 유닛에 따라서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용지가 이동되게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에서 용지의 크기 혼합 적재의 허용/금지를 설정하도록 구성된 설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설정 유닛이 상기 스태커에서의 용지의 크기 혼합 적재의 금지를 설정한 경우, 용지가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상기 검출 유닛에 따라서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용지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인쇄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태커는,
    인쇄 유닛으로부터 반송된 용지를 수취하고 수취된 용지를 적재하는 리프트 테이블, 및
    상기 리프트 테이블에 적재된 용지 다발을 수취하고 수취된 용지 다발을 적재하는 방출 테이블을 포함하는, 인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적재된 용지 다발이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방출 테이블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인쇄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트 테이블은 수직으로 이동하고,
    상기 방출 테이블은 수평으로 이동하는, 인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위치는 상기 인쇄 장치의 외측에 있는, 인쇄 장치.
  7. 용지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고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스태커를 갖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이며,
    용지가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장치의 기동시, 용지가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것이 검출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용지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8. 용지에 화상을 인쇄할 수 있고 화상이 인쇄된 용지를 적재할 수 있는 스태커를 갖는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을 컴퓨터가 실행하게 하기 위한,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상기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은,
    용지가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것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인쇄 장치의 기동시, 용지가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것이 검출됨에 따라서 사용자가 용지를 수취할 수 있는 미리 정해진 위치로 상기 스태커에 적재된 용지가 이동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150118576A 2014-08-25 2015-08-24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2016002479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70900 2014-08-25
JP2014170900A JP6399858B2 (ja) 2014-08-25 2014-08-25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791A true KR20160024791A (ko) 2016-03-07

Family

ID=55274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576A KR20160024791A (ko) 2014-08-25 2015-08-24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821583B2 (ko)
JP (1) JP6399858B2 (ko)
KR (1) KR20160024791A (ko)
CN (1) CN106183484B (ko)
DE (1) DE1020151139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0218B1 (en) * 2017-05-22 2022-05-11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system, and storage medium
JP6887876B2 (ja) 2017-05-22 2021-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413135B1 (en) 2017-05-22 2024-04-10 Canon Kabushiki Kaisha Control device for controlling an image forming system,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8192774A (ja) 2017-05-22 2018-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192772A (ja) 2017-05-22 2018-12-06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情報処理端末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10705472B2 (en) 2018-03-15 2020-07-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simplex and duplex printing
JP2020063122A (ja) * 2018-10-17 2020-04-23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7271926B2 (ja) * 2018-12-12 2023-05-12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積載装置
JP7207053B2 (ja) 2019-03-19 2023-01-18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
JP7159957B2 (ja) 2019-04-12 2022-10-2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スタッカー及び画像形成装置
JP7334451B2 (ja) * 2019-04-16 2023-08-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用紙積載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7409071B2 (ja) 2019-12-23 2024-01-0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排出方法
JP7435229B2 (ja) 2020-05-13 2024-02-2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システム、画像形成システムの制御方法、および、当該制御方法をコンピューターに実行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
JP2022069047A (ja) * 2020-10-23 2022-05-1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256A (ja) * 1994-01-17 1995-08-08 Fuji Xerox Co Ltd 用紙スタッカー装置
JPH10330032A (ja) * 1997-05-30 1998-12-15 Minolta Co Ltd 用紙処理装置
JPH11263507A (ja) * 1998-03-18 1999-09-28 Mita Ind Co Ltd 用紙処理装置
JP2010222079A (ja) * 2009-03-19 2010-10-07 Canon Inc シート積載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14109A (ja) * 2012-12-07 2014-06-26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3231B2 (ja) * 1991-12-26 2001-03-07 株式会社リコー シート仕分け装置
US6695302B1 (en) * 1999-10-29 2004-02-24 Energy Saving Products And Sal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separating a stream of spaced documents into discrete groups
SE523475C2 (sv) * 2000-09-18 2004-04-20 Straalfors Ab Anordning för stackning av ark
US7296791B2 (en) * 2002-02-14 2007-11-2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apparatus, sheet containing device, sheet inserting device, book-binding system, and sheet processing apparatus
JP4277201B2 (ja) * 2004-01-13 2009-06-10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7131440A (ja) * 2005-11-11 2007-05-31 Canon Finetech Inc シート処理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US7900904B2 (en) * 2007-04-30 2011-03-08 Xerox Corporation Modular finishing assembly with function separation
US7891661B2 (en) * 2007-11-15 2011-02-22 Canon Kabushiki Kaisha Sheet stack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5538687B2 (ja) * 2008-05-08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積載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891385B2 (ja) * 2008-12-26 2012-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シート積載装置と画像形成装置
US8366376B2 (en) * 2009-06-09 2013-02-05 Xerox Corporation Multiple articulating elevator and stacker support system
US8376361B2 (en) * 2009-06-17 2013-02-19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ed media stack management in an image production device
US8356967B2 (en) * 2010-03-15 2013-01-22 Gammtech Corporation Stacker, stacking system or assembly and method for stacking
JP5939967B2 (ja) * 2012-11-22 2016-06-29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システム、印刷装置、制御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112747B (zh) * 2013-02-26 2015-06-24 玉田县大恒印刷机械有限公司 小张印刷品堆垛收齐机构及其堆垛收齐方法、小张印刷品检品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06256A (ja) * 1994-01-17 1995-08-08 Fuji Xerox Co Ltd 用紙スタッカー装置
JPH10330032A (ja) * 1997-05-30 1998-12-15 Minolta Co Ltd 用紙処理装置
JPH11263507A (ja) * 1998-03-18 1999-09-28 Mita Ind Co Ltd 用紙処理装置
JP2010222079A (ja) * 2009-03-19 2010-10-07 Canon Inc シート積載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4114109A (ja) * 2012-12-07 2014-06-26 Canon Inc 印刷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と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43629A (ja) 2016-04-04
CN106183484B (zh) 2018-08-28
DE102015113971A1 (de) 2016-02-25
JP6399858B2 (ja) 2018-10-03
US9821583B2 (en) 2017-11-21
CN106183484A (zh) 2016-12-07
US20160052320A1 (en) 2016-0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024791A (ko) 인쇄 장치, 인쇄 장치의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US9022388B2 (en) Sheet stacking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9535387B2 (en) Printing system, print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5538687B2 (ja) シート積載装置、シート積載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89869A (ja) 画像形成装置
CN101873398B (zh) 打印系统和打印系统的控制方法
US9811041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ontrol method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for controlling image formation on a sheet
JP6478610B2 (ja) 印刷システム、印刷システムにおける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27870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9266695B2 (en) Printing system,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JP2014109746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の該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5328963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US9395942B2 (en) Print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20210124297A1 (en) Print control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0151883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10747165B2 (en) Image forming system which handles a sheet bunch including a sheet with a defect based on a number of sheets remaining under transportation in the system
JP2022133638A (ja) 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39472A (ja) 画像形成装置
US20220239788A1 (en) Image forming system having function of inspecting sheet, method of controlling same, and storage medium
JP4428429B2 (ja) 画像形成装置
JP5791667B2 (ja) 画像形成装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
JP2011073409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6349927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6575173B2 (ja) シート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
JP2010215363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