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8990A - 곡면형 천장 구조체 - Google Patents

곡면형 천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8990A
KR20160008990A KR1020150100291A KR20150100291A KR20160008990A KR 20160008990 A KR20160008990 A KR 20160008990A KR 1020150100291 A KR1020150100291 A KR 1020150100291A KR 20150100291 A KR20150100291 A KR 20150100291A KR 20160008990 A KR20160008990 A KR 201600089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ved
members
ceiling structure
screen
auditor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0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6810B1 (ko
Inventor
구본일
송병준
고해정
김민정
김영미
김옥선
박노찬
성인제
최영욱
Original Assignee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5/326,458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70275877A1/en
Priority to PCT/KR2015/007350 priority patent/WO2016010363A1/ko
Publication of KR201600089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89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6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6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3Image reproducers using image projection scree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A47C1/124Separate chairs, connectible together into a r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18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5/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 B05D5/06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to obtain special surface effects, finishes or structures to obtain multicolour or other optical effects
    • B05D5/061Special surface effect
    • B05D5/063Reflective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50Multilayers
    • B05D7/52Two layers
    • B05D7/54No clear coat specifi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19Three-dimensional framework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2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07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being stiff and curv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 E04B9/0464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mprising slabs, panels, sheets or the like having irregularities on the faces, e.g. holes, groov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06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 E04B9/061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upporting construction, e.g. cross section or material of framework members supporting construction for curved cei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9/00Ceilings; Construction of ceilings, e.g. false ceilings; Ceiling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9/18Means for suspending the supporting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8Arched girders or portal fr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3/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 E04H3/1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public or similar purposes; Institutions, e.g. infirmaries or prisons for meetings, entertainments, or sports
    • E04H3/22Theatres; Concert halls; Studios for broadcasting, cinematography, television or similar purposes
    • E04H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auditoriu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18Heads with mechanism for moving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01J1/44Electric circui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3Cine-projec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2Screens moving during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5Screens allowing free passage of sou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06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for relief projec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G03B37/04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with cameras or projectors providing touching or overlapping fields of vie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7Multi-project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83Use of a magnetic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6/00Systems for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different pieces of apparatus, e.g. for exchanging trimming information, for photo fin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pecial Chair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형 천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상영관의 관람석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곡률을 지니는 스크린과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곡률을 지니는 스크린과 디자인적 일체성을 확보하여 관람객으로 하여금 몰입감을 느끼게 하고 높은 생동감을 전달할 수 있다.

Description

곡면형 천장 구조체{Curved Ceiling Structure}
본 발명은 곡면형 천장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천장 구조체가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상영관의 관람석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곡률을 지니는 스크린과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상영관에 구비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 상영관은 수직 벽면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건축물 내 직사각형의 스크린이 구비된 구조로 관람객들로 하여금 특정 공간 내에서 영상물을 관람할 수 있는 구조로 제작된다.
다만, 직사각형 스크린의 경우 관람객들이 영상물을 관람하는데 있어 충분한 시야각을 확보하지 못하게 하고, 직육면체 건축물 형태로 인해 앉는 좌석에 따라 체감할 수 있는 음향효과가 크게 차이가 나는 구조적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법이 제시되고 있다.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스크린의 모양을 곡면으로 구현하는 방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특히 현재 운영되고 있는 아이맥스 상영관의 경우 가로축으로 일정 곡률을 가지는 곡면 스크린을 활용하여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곡면 스크린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상영관의 설계시부터 곡면 스크린의 곡면을 고려하여 상영관 건물 자체 또는 구조물 자체를 곡면 스크린이 설치 가능하도록 설계하여야 하므로 이미 사용중인 직육면체 형태의 건물 또는 직사각형 스크린에 적합하도록 설계된 관람용 구조물들에는 곡면의 스크린을 새로이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존재하며, 나아가 스크린 면에 일정한 밝기의 영상을 투사시키기가 어려워 영상의 밝기가 떨어지는 문제, 곡면 스크린에 맞는 영상 컨텐츠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문제점 등이 존재한다.
또한, 곡면 스크린과 천장 구조물이 구조적으로 연속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디자인적으로도 일체화되지 않아 관람객의 몰입감이 저하되었으며 음향효과도 곡면 스크린의 몰입감을 살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발명되었으며, 이상에서 살핀 기술적 요구를 충족시킴은 물론,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발명할 수 없는 추가적인 기술요소들을 제공하기 위해 발명되었다.
한국공개특허 2007-0103347 (2007.10.23.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곡률을 지니는 스크린과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하고, 디자인적 일체성과 음향효과의 균질화를 통하여 몰입감을 증진시키며, 하울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영관에 구비되는 천장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상영관의 관람석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되는 복수의 곡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속 부재 및/또는 보조 부재에 마감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감 부재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상호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곡선 부재의 일측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하나의 곡선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곡선 부재의 양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천장 구조체가 구비된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상영관의 관람석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상영관의 상부 구조물에 마련된 행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천장 구조체는,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되는 복수의 곡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 부재가 행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결속 부재 및/또는 보조 부재에 마감 부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상호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하나의 곡선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영관에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기 위한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은, (a)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곡선 부재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속 부재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결속 부재에 마감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영관의 상부 구조물에 행거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행거 부재에 곡선 부재를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곡선 부재의 일측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하나의 곡선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상기 곡선 부재의 양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조 부재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할 수 있다.
이때, (c) 단계는, 상기 결속 부재 및/또는 보조 부재에 마감 부재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곡면형 천장 구조체가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상영관의 관람석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어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곡률을 지니는 스크린과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직육면체의 건축물 또는 관람용 구조물의 별도 설계 변경 없이도 쉽게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더불어 가로축과 세로축으로 곡률을 지니는 스크린과 디자인적 일체성을 확보하여 관람객으로 하여금 몰입감을 느끼게 하고 높은 생동감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통하여 음향효과의 균질화를 꾀할 수 있어 청각적인 몰입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나아가, 마감 부재를 결합하되, 상기 마감 부재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어 하울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천장 구조체가 구비된 상영관을 도시한 단방향 및 장방향 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천장 구조체가 구비된 상영관을 도시한 단방향 및 장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의 시공순서를 도시한 블록도.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블록들은 가능한 구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구현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기능 블록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영관에 구비되는 천장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CS)는, 스크린(S)이 노출되도록 상영관(T)의 관람석(ST)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S)은 곡면 스크린으로서, 복수의 장축 부재 및 복수의 단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특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장축 부재 및 또 다른 특정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단축 부재를 포함하고, 장축 부재 및 단축 부재는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갖고, 한 쌍의 장축 부재 및 한 쌍의 단축 부재는 4개의 모서리를 갖도록 접합된다.
즉, 상기 천장 구조체(CS)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정 크기의 곡률을 가지는 장축 부재 및 단축 부재를 포함하는 스크린과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존의 직육면체의 건축물 또는 관람용 구조물에 곡면 스크린(S)을 설치하는 경우, 건축물 또는 관람용 구조물과 곡면 스크린(S)이 구조적으로 분리되어 시각적으로 몰입감이 저하되었으며, 생동감을 전달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상기 천장 구조체(CS)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곡면 스크린(S)과의 곡선의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별도 설계 변경 없이도 쉽게 곡면 스크린(S)과 곡면형 천장 구조체(CS)를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곡면형 천장 구조체(CS)는 스크린과 디자인적 일체성을 확보하여 관람객으로 하여금 몰입감을 느끼게 하고 높은 생동감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통하여 음향효과의 균질화를 꾀할 수 있어 청각적인 몰입감을 증진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 구조체(CS)는,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되는 복수의 곡선 부재(100); 및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 부재(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장 구조체(CS)의 곡선 부재(100)는 스크린 중심의 법선 방향과 수직되게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법선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곡선 부재(100)가 스크린 중심의 법선 방향과 수직되게 연속적으로 평행 배치되는 경우에는 스크린(S)이 노출되어야 하는바 곡선 부재(100)의 스크린측 단부가 스크린(S)의 곡률과 단절감이 생기지 않도록 연속적인 곡률을 지니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와 같이 곡선 부재(100)가 스크린 중심의 법선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도 곡선 부재(100)의 각도를 조절하거나 추가적인 마감재를 구비하여 스크린측에 구비되는 곡선 부재(100)와 스크린(S)이 구조적 연속성이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천장 구조체(CS)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S)의 상부 곡률과 대응되는 형상의 단부 부재(5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결속 부재(200)는 하나의 결속 부재(200)가 3개 이상의 곡선 부재(100)에 연속적으로 결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속 부재(200)는 곡선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곡선 부재(100) 사이에 하나의 결속 부재(200)의 양 단부가 결속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결속 부재(20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직선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 방향은 스크린 중심의 법선 방향과 그 수직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2 방향이 상호 수직으로 결속되어야 하는 것도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결속'은 독립된 부재가 맞닿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부착, 접착, 결합, 용접, 거치 등의 의미를 포괄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200)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결속 부재(200) 사이에 하나의 보조 부재(300)의 양 단부가 결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상기 보조 부재(300)는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직선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 부재(300)는 하나의 보조 부재(300)가 3개 이상의 결속 부재(200)에 연속적으로 결속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보조 부재(300)는 곡선형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제3 방향은 곡선 부재(100)가 배치되는 방향인 제1 방향과 평행한 방향일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속 부재(200) 및/또는 보조 부재(300)에 마감 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마감 부재(400)는 천장 구조체를 커버하는 패널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방향 단면에 대하여만 곡률을 지니는 일차 곡면 마감 부재와 양방향 단면에 대하여 곡률을 지니는 이차 곡면 마감 부재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천정 구조체는 위치에 따라 그 곡률을 달리할 수 있는바, 마감부재의 크기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데 곡률이 작은 지점은 넓은 간격으로 결속 부재(200) 또는 보조 부재(300)를 배치하고, 곡률이 큰 지점은 좁은 간격으로 결속 부재(200) 또는 보조 부재(300)를 배치함으로써 곡률이 없는 단순 평면형 부재를 이용하여 천정 구조체를 완성할 수 있다.
다만, 마감 부재(400)를 이차 곡면으로 제작하는 경우 제작비용이 증가하고, 특정 위치에 적합하게 설계된 특정 마감 부재만을 선택적으로 결합하여야 하는 시공상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곡면형 천장 구조체(CS)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선 부재(100)와 결속 부재(200)를 결속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보조 부재(300)를 결속함으로써 그물형 프레임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결속 부재(200) 및/또는 보조 부재(300)에 접하도록 마감 부재(400)를 결합할 수 있다.
이 경우, 마감 부재(400)로서 일차 곡면 마감 부재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성과 시공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영관의 크기에 따라서는 천장 구조체(CS)를 형성하는 결속 부재(200) 간의 이격 거리가 짧게 형성될 수 있어 별도의 보조 부재(300)를 구비함이 없이 바로 결속 부재(200)에 마감 부재(400)를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곡면형 천장 구조체(CS)는 수직 벽면으로 이루어진 직육면체 건축물의 상영관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울링(howling)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곡면형 천장 구조체(CS)와 상영관(T)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되고 음향 장치에서 출력된 음향이 이격 공간 내에서 굴절 및 반사되고 다시금 음향 장치로 입력되어 음향이 증폭 출력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에 상기 마감 부재(400)는 복수의 타공(4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401)은 천장 구조체(CS)와 상영관(T) 사이에 마련된 이격 공간에서 굴절 및 반사되는 음향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마감 부재(400)는 방염 시트지를 부착하여 상영관 내부의 방염 성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상기 방염 시트지는 심미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우드무늬와 같은 각종 심미적 요소를 부가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100)는 상호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동일한 형상의 곡선 부재(100)를 평행하게 배치하는 경우 일방향 단면에 대하여만 곡선을 지니는 터널 형상의 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영관(T)의 수직 벽면이 노출되어 상영관의 출입구와 계단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며, 마감 부재(400)를 결합함에 있어서도 일차 곡면 마감 부재를 사용하면 족한바, 시공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곡선 부재(100)의 일측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어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바닥과 맞닿는 부분의 결속 부재(200) 등을 제거함으로써 개구부(600)를 형성하여, 기능성이 확보되도록 영사기나 출입구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개구부(600)에는 영사기를 설치하기 위하여 금속 보강 구조틀을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100)는 하나의 곡선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10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양방향 단면에 대하여 곡선을 지니는 돔 형상의 쉘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 경우, 상영관(T)의 스크린(S)만이 노출될 뿐, 수직 벽면이 노출되지는 않아 별도의 출입구 등의 개구부를 형성하여야 하는바, 시공비가 다소 증가되나 상영관과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어 스크린과 구조적 연속성을 확보할 수 있고 시각적, 청각적으로 몰입감이 증진되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곡선 부재의 양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될 수 있어, 후술할 행거 부재(700)를 간소화하여 시공성을 확보하면서도 구조적 안정성을 용이하게 꾀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상영관은 직육면체의 건축물 또는 관람용 구조물에 스크린을 거치하는 형식으로 시공되었으나 본 발명의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T)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 구조체가 구비된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CS)는, 스크린(S)이 노출되도록 상영관(T)의 관람석(ST)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별도 설계 변경 없이도 상연관의 내부에 곡면형 천장 구조체(CS)를 용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천장 구조체(CS)는, 상영관(T)의 상부 구조물인 빔이나 거더에 마련된 행거 부재(700)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행거 부재(700)는 곡선 부재(100) 또는 결속 부재(200)에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행거 부재(700)는 곡선 부재(100) 또는 결속 부재(200)에 직교되게 결합된 스페이서(710)와 상기 스페이서(710)와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 행거 파이프(7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스페이서(710)와 행거 파이프(720)는 중공형 금속재 파이프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용접, 볼팅 등 다양한 주지의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행거 파이프(720)는 50×50 규격의 1.4T(mm)의 각 파이프를 사용하여 1,200mm의 간격으로 배치할 수 있으며, 상기 행거 파이프(720)의 양 측에 사선형의 브레이싱을 구비하여 진동이나 하중에 유동되지 않도록 구조적 보완을 꾀할 수 있으며, 이때 브레이싱은 30×30 규격의 1.4T(mm)의 각 파이프를 사용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은 앞서 서술한 곡면형 천장 구조체의 모든 특징을 가지는 포함하도록 구비할 수 있으며, 이와 관련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영관에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기 위한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a)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곡선 부재(100)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하는 단계와 (b)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100)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속 부재(200)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결속 부재(200)에 마감 부재(300)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a) 단계는 곡선 부재(100)를 양중하여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수평도와 수직도를 맞춘 상태에서 고정하여야 한다.
또한, 상기 (a) 단계는 상영관(T)의 상부 구조물에 행거 부재(700)를 마련하고, 상기 행거 부재(700)에 곡선 부재(100)를 고정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결속 부재(200)에 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일 실시예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100)가 상호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곡선 부재의 일측 단부(100)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곡선 부재(100)는 바닥과 앵커 볼트를 통하여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행거 부재(700)를 추가적으로 결합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100)가 하나의 곡선 부재(100)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100)를 배치할 수 있다.
이때, 인접한 곡선 부재(100)의 높이와 이격 거리는 천장 구조체(CS)의 곡률을 고려하여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곡선 부재(100)의 양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200)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조 부재(300)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c) 단계는, 상기 결속 부재(200) 및/또는 보조 부재(300)에 마감 부재(400)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 부재(400)에 복수의 타공(40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401)은 천장 구조체(CS)와 상영관(T) 사이에 마련된 이격 공간에서 굴절 및 반사되는 음향을 상쇄시키는 기능을 수행하여 하울링 현상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상영관 CS:천장 구조체
S:스크린 ST:관람석
100:곡선 부재 200:결속 부재
300:보조 부재 400:마감 부재
401:타공 500:단부 부재
600:개구부 700:행거 부재

Claims (25)

  1. 상영관에 구비되는 천장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상영관의 관람석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되는 복수의 곡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부재 및/또는 보조 부재에 마감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상호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재의 일측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하나의 곡선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부재의 양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10. 천장 구조체가 구비된 상영관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스크린이 노출되도록 상영관의 관람석을 커버하는 곡면형 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상영관의 상부 구조물에 마련된 행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는,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되어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되는 복수의 곡선 부재; 및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결속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곡선 부재가 행거 부재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보조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 부재 및/또는 보조 부재에 마감 부재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는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상호 동일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는 하나의 곡선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를 구비한 상영관.
  18. 상영관에 천장 구조체를 시공하기 위한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은,
    (a) 제1 방향을 따라 곡선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곡선 부재를 일정 간격 이격되게 평행 배치하는 단계;
    (b)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2 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속 부재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하는 단계; 및
    (c) 상기 결속 부재에 마감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영관의 상부 구조물에 행거 부재를 마련하고, 상기 행거 부재에 곡선 부재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상호 동일한 형상이며,
    상기 곡선 부재의 일측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복수의 곡선 부재가 하나의 곡선 부재를 기준으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점진적으로 높이가 낮은 곡선 부재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상기 곡선 부재의 양 단부가 바닥과 맞닿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
  23.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복수의 결속 부재가 상호 결속되도록 제3 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조 부재를 일정 간격 이격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c) 단계는,
    상기 결속 부재 및/또는 보조 부재에 마감 부재를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시공방법.
  25.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 부재에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면형 천장 구조체.
KR1020150100291A 2014-07-15 2015-07-15 곡면형 천장 구조체 KR101756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26,458 US20170275877A1 (en) 2014-07-15 2015-07-15 Curved ceiling structure
PCT/KR2015/007350 WO2016010363A1 (ko) 2014-07-15 2015-07-15 곡면형 천장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9365 2014-07-15
KR1020140089365 2014-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8990A true KR20160008990A (ko) 2016-01-25
KR101756810B1 KR101756810B1 (ko) 2017-07-12

Family

ID=55306902

Famil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91A KR101756810B1 (ko) 2014-07-15 2015-07-15 곡면형 천장 구조체
KR1020150100289A KR20160008988A (ko) 2014-07-15 2015-07-15 스크린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거치 구조
KR1020150100576A KR20160008993A (ko) 2014-07-15 2015-07-15 곡률을 갖는 스크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KR1020150100575A KR101699051B1 (ko) 2014-07-15 2015-07-15 곡률을 갖는 스크린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KR1020150100587A KR20160008994A (ko) 2014-07-15 2015-07-15 곡률을 갖는 스크린이 설치된 상영관 및 그 의자 제어 시스템
KR1020150100607A KR20160008995A (ko) 2014-07-15 2015-07-15 가변형 스크린 시스템
KR1020150100290A KR20160008989A (ko) 2014-07-15 2015-07-15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0289A KR20160008988A (ko) 2014-07-15 2015-07-15 스크린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스크린 거치 구조
KR1020150100576A KR20160008993A (ko) 2014-07-15 2015-07-15 곡률을 갖는 스크린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KR1020150100575A KR101699051B1 (ko) 2014-07-15 2015-07-15 곡률을 갖는 스크린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KR1020150100587A KR20160008994A (ko) 2014-07-15 2015-07-15 곡률을 갖는 스크린이 설치된 상영관 및 그 의자 제어 시스템
KR1020150100607A KR20160008995A (ko) 2014-07-15 2015-07-15 가변형 스크린 시스템
KR1020150100290A KR20160008989A (ko) 2014-07-15 2015-07-15 스크린 반사도 값이 상이한 둘 이상의 스크린 영역을 포함하는 스크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7) US20170205025A1 (ko)
KR (7) KR101756810B1 (ko)
CN (7) CN10648901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23372S1 (en) * 2015-07-01 2018-07-17 Cj Cgv Co., Ltd. Screen frame
KR102582176B1 (ko) * 2016-02-05 2023-09-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표시 장치
US10753528B2 (en) * 2016-09-29 2020-08-25 Shenzhen Royole Technologies Co., Ltd. Flexible screen support device and flexible screen
KR101975377B1 (ko) * 2017-01-10 2019-05-07 김장운 프로젝터용 진동스크린
US10485358B2 (en) * 2017-03-28 2019-11-26 Theatre FX, LLC Systems and methods for simultaneously controlling cinema seats
KR101887218B1 (ko) * 2017-05-10 2018-08-09 (주) 스크린솔루션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CN107044186B (zh) * 2017-06-13 2023-05-12 四川盛邦建设股份有限公司 吊顶系统及出入口结构
KR102168409B1 (ko) * 2018-07-23 2020-10-22 강신범 이동식 대형 스크린 장치
KR102332949B1 (ko) * 2018-08-29 2021-12-01 주식회사 에스지엠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KR102149351B1 (ko) * 2018-12-27 2020-08-31 주식회사 필립 수중영상 구현을 위한 수중반사체장치
CN109873902A (zh) * 2018-12-29 2019-06-11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播放效果展示方法、装置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9914671A (zh) * 2019-04-03 2019-06-21 程文正 一种穹顶吊顶系统
CN111948893A (zh) * 2019-05-15 2020-11-17 技嘉科技股份有限公司 水冷头投影模块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WO2022004394A1 (ja) * 2020-06-30 2022-01-06 ソニーグル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1948894B (zh) * 2020-08-20 2021-09-28 浙江品尚品展示用品有限公司 一种曲面投影面及曲面组合方法
CN114063326B (zh) * 2021-09-08 2024-04-02 湖北顺通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lcd及lcm自动光学检测装置
CN114698309B (zh) * 2022-06-01 2022-09-02 深圳柔显视觉文化创意科技有限公司 用于内外弧且可选弧半径的弧形屏箱、弧形屏及弧形屏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3347A1 (en) 2005-11-08 2007-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syntax element in CABAC decoder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9587A (en) * 1974-11-29 1978-05-16 Schudel Conrad R Projection screen surface and method of forming said surface
KR890001674B1 (ko) * 1983-01-18 1989-05-13 이인순 대형화면 비데오 게임장치
US4885878A (en) * 1987-09-08 1989-12-12 George Wuu Advanced state of the art movie theater
JP2612406B2 (ja) * 1993-05-21 1997-05-21 株式会社イマジカ 映像ドームを備えたイベント設備
JPH08271979A (ja) * 1995-01-30 1996-10-18 Hitachi Ltd 背面投写型マルチ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
US5724775A (en) * 1996-01-29 1998-03-10 Alternate Realities Corporation Multi-pieced, portable projection dom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CN2280931Y (zh) * 1996-03-20 1998-05-06 李育新 高亮度影视投射屏幕
US6084707A (en) * 1996-10-04 2000-07-04 Kuraray Co., Ltd. Transmission-type screen
JP3270366B2 (ja) * 1997-09-24 2002-04-02 株式会社東京現像所 曲面を有するスクリーン構造物
JP2002513170A (ja) * 1998-04-27 2002-05-08 イマ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臨場体験型映画劇場およびその方法
US6253494B1 (en) * 1998-10-19 2001-07-03 Darlene D. Shaffron Screen-to-stage and stage-to-screen seamless transition theater
JP2999764B1 (ja) * 1998-12-15 2000-01-17 達郎 西谷 映写スクリーン
KR200174687Y1 (ko) * 1999-10-29 2000-03-15 최해용 대형구면(大型球面)스크린
CN2468072Y (zh) * 2001-03-21 2001-12-26 金东国 扩展式超大弧形电影银幕
US6501599B1 (en) * 2001-08-14 2002-12-31 John William Randolph Double concave screen and method of assembly
KR20030015806A (ko) * 2001-08-17 2003-02-25 최해용 극장용 영상,음향 광학계(劇場用 映像,音響 光學係)
US6748712B2 (en) * 2002-06-14 2004-06-15 Usg Interiors, Inc. Scalable suspension system for dome shaped ceilings
KR20040090876A (ko) * 2003-04-18 2004-10-27 최해용 초점이 있는 정구면(正球面) 반사 스크린 및 그 제조방법
US7110175B2 (en) * 2004-02-27 2006-09-19 Bose Corporation Display screens
US7106411B2 (en) * 2004-05-05 2006-09-12 Imax Corporation Conversion of cinema theatre to a super cinema theatre
US7042640B2 (en) * 2004-06-08 2006-05-0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Projection screen unit with projection surfaces optimized for different ambient light levels
JP2006343475A (ja) * 2005-06-08 2006-12-21 Tadashi Yamauchi スクリーン及び画像投影システム
KR100653127B1 (ko) * 2005-11-21 2006-12-04 손창민 스크린 유닛
KR100787960B1 (ko) * 2006-04-07 2007-12-24 박수민 영상 관람 시설 구조물
KR200426756Y1 (ko) * 2006-06-26 2006-09-18 최해용 영상스크린
KR100946801B1 (ko) * 2006-08-25 2010-03-11 주식회사 비비텍 패턴이 나타나는 영사기용 전면 스크린
JP5092364B2 (ja) * 2006-11-21 2012-12-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投写型画像表示装置
JP4968007B2 (ja) * 2007-11-15 2012-07-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可動式スクリーン
JP2009175573A (ja) * 2008-01-28 2009-08-06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支持装置
GB0808325D0 (en) * 2008-05-08 2008-06-18 Musion Systems Ltd Projection screen and method of construction
US7872802B2 (en) * 2008-08-29 2011-01-18 Chris Seymour Reinforced retractable projection screen with a tab tensioning system and a border
KR100979709B1 (ko) * 2009-02-09 2010-09-15 (주) 디토스 디스플레이기기 이송장치
JP2011123233A (ja) * 2009-12-10 2011-06-23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装置
JP2011164391A (ja) * 2010-02-10 2011-08-25 Seiko Epson Corp 反射型スクリーン
KR101272163B1 (ko) * 2010-04-28 2013-06-07 (주)미래세움 영상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CN103547751B (zh) * 2010-09-10 2018-12-14 图象公司 可运输的沉浸式电影显示结构
GB201016566D0 (en) * 2010-10-01 2010-11-17 Barco Nv Curved back projection screen
JP2012150149A (ja) * 2011-01-17 2012-08-09 Mitsubishi Electric Corp マルチ画面表示装置
CN103122667B (zh) * 2011-11-18 2015-05-06 中国电建集团成都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水电站大跨度地下厂房轻型钢结构顶棚
JP5229409B2 (ja) * 2012-04-03 2013-07-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スクリーン
KR101319543B1 (ko) * 2012-05-17 2013-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FR2991063B1 (fr) * 2012-05-25 2016-12-09 Centre Scient Et Technique Du Batiment Ecran de projection courbe
WO2014077528A1 (en) * 2012-11-19 2014-05-22 Cj Cgv Co., Ltd. Multi-projection system and method comprising direction-changeable audience seats
KR101305249B1 (ko) * 2012-07-12 2013-09-06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다면 상영 시스템
EP2703932A1 (en) 2012-08-28 2014-03-05 SimpliFlow GmbH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for managing individual fitness train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03347A1 (en) 2005-11-08 2007-05-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syntax element in CABAC deco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204598A1 (en) 2017-07-20
KR20160008994A (ko) 2016-01-25
CN106536838A (zh) 2017-03-22
CN106489012A (zh) 2017-03-08
CN106537249A (zh) 2017-03-22
CN106489013A (zh) 2017-03-08
US20170205700A1 (en) 2017-07-20
CN106537251A (zh) 2017-03-22
KR20160008988A (ko) 2016-01-25
KR20160008995A (ko) 2016-01-25
KR20160008992A (ko) 2016-01-25
KR20160008993A (ko) 2016-01-25
US20170275877A1 (en) 2017-09-28
KR101756810B1 (ko) 2017-07-12
US20170205025A1 (en) 2017-07-20
CN106537250A (zh) 2017-03-22
US20170212415A1 (en) 2017-07-27
CN106662801A (zh) 2017-05-10
US20170273473A1 (en) 2017-09-28
KR20160008989A (ko) 2016-01-25
KR101699051B1 (ko) 2017-01-23
US20170226739A1 (en)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56810B1 (ko) 곡면형 천장 구조체
JP6886986B2 (ja) 建物内に配される音響バッフル
KR200475196Y1 (ko) 이동식 방음벽
CN105857640B (zh) 一种用于卫星模块的连接角片以及卫星
WO2014203396A1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2016180203A (ja) 空気膜を利用したドーム状構造物およびその骨組み
WO2016010363A1 (ko) 곡면형 천장 구조체
JP6245890B2 (ja) 建物
JP6811049B2 (ja) ユニット建物
KR102169805B1 (ko) 프레임 고정 브라켓
JP7036708B2 (ja) 建築用部材及び建築用部材の設置構造
JP3118711U (ja) 避難所における簡易間仕切り構造及びその構造に使用される間仕切り部材
JP7056828B2 (ja) ユニット建物
JP2010285797A (ja) ダブルチューブ構造架構
CN204753946U (zh) 一种二级吊顶结构
JP2004278035A (ja) 耐火面材の取付け構造
JP3172955U (ja) 屋外用投映システム、及びスクリーン装置
JP2013079545A (ja) ユニット式建物及びユニット式建物の施工方法
KR101223472B1 (ko) 유리패널 고정 브라켓
AU2018101049A4 (en) Building Panel and Structure
KR960000702Y1 (ko) 건축물 실내의 흡음판넬 설치장치
JP2010139680A (ja) スクリーン
KR20120035916A (ko) 전?후면플레이트 교체가능한 프레임을 가진 방음판
KR101663130B1 (ko) 건축용 마감블록
JP4664083B2 (ja) 軸組工法におけるファイヤーストップ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