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3127B1 - 스크린 유닛 - Google Patents

스크린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3127B1
KR100653127B1 KR1020050111108A KR20050111108A KR100653127B1 KR 100653127 B1 KR100653127 B1 KR 100653127B1 KR 1020050111108 A KR1020050111108 A KR 1020050111108A KR 20050111108 A KR20050111108 A KR 20050111108A KR 100653127 B1 KR100653127 B1 KR 1006531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layer
fixing
screen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1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창민
Original Assignee
손창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창민 filed Critical 손창민
Priority to KR1020050111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31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31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31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1Reflecting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0Projectors with built-in or built-on scree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29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scanning a light beam on the display scree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휘어진 형상 또는 평면 형상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스크린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 프로젝션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영상이 조사되는 스크린 유닛으로서, 조사되는 투사 영상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층과 눈부심 방지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눈부심 방지층을 투과한 투사 영상을 반사 및 확산시키는 반사층 및 반사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스크린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유연성 기재로 구성되는 스크린과 스크린의 수평 또는 수직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중심축 고정 장치 및 스크린의 좌우측변 또는 상하측변을 일정 거리만큼 투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를 다시 평면 상태로 복원시키는 상승/하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에 의하여 달성할 수 있다.
프로젝터용 스크린; 투사 화면

Description

스크린 유닛{SCREEN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크린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스크린 유닛의 평면도로서, (a)는 스크린을 평면으로 사용할 때의 평면도이고, (b)는 스크린을 곡면지게 상승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상승/하강 장치의 일 실시예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 하우징에 대한 정면도로서, (a)는 좌우측면이 상승되는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하면이 상승되는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을 곡면으로 사용할 때 입사광과 출사광의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을 평면으로 사용할 때 입사광과 출사광의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스크린
11: 눈부심 방지층 12: 반사층
13: 유연성 기재 18: 고정홈
19: 보조판 20: 상승/하강 장치
21: 하우징측 고정단 22: 스크린측 고정단
23: 피봇
30: 중심축 고정장치 50: 잠금장치
80: 영상광학장치 81: 입사광
82: 출사광 90: 스크린 지지판
100: 하우징
본 발명은 영상광학장치로부터 투사되는 투사영상을 반사 및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는 전면 스크린 유닛으로, 특히 스크린의 좌우 측변 또는 상하 측변을 상부 방향으로 상승시키거나 다시 평면 형상으로 형상 변경이 용이한 스크린 유닛에 관한 것이다.
입사되는 영상을 시청 공간으로 투사하는 종래의 대표적인 스크린으로는 입사된 투사광을 반사 및 확산시켜 영상을 구현하는 전방 투사형 스크린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시야각(viewing angle) 범위는 일반적으로 스크린 최상층 표면의 형태, 즉 입자의 직경, 굴절율 및 모양에 따라 조절되게 되며, 밝기(gain)는 영상광학장치로부터 입사된 투사광이 스크린에서 반사되는 광도 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이러한 전방 투사형 스크린의 대부분을 이루고 있는 매트화이트 스크린, 글라스비드 스크린 및 실버 스크린은 평면형으로서, 다른 종류의 영상기기인 PDP TV, LCD TV 및 평판형 영상 디스플레이와 후면투사 프로젝션 TV의 휘도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기 때문에 주변 빛이 밝은 주간에서는 영상이 잘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주간의 밝은 장소에서 선명한 영상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매우 밝은 고휘도 영상투사장치를 사용해야 하나 이럴 경우 가격이 매우 고가이기 때문에 보급화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최근에는 밝은 장소에서도 영상 구현을 가능하게 해주는 일부 금형 가공 곡면 수지 스크린이 출시되고 있으며 이러한 종래 금형 가공 곡면 수지 스크린은 금형으로 곡면 가공된 수지 구조물에 알루미늄을 증착시킨 형태의 곡면형 스크린으로서 밝은 주간에서는 충분히 밝은 휘도의 영상을 구현한다. 하지만 종래 금형 가공 곡면 수지 스크린은 야간의 실내 조명하에서는 시청하기에는 주변의 낮은 밝기로 인하여 눈의 피로감을 유발하는 영상이 구현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실내에 설치할 경우 곡면형에 기인하여 벽면에 밀착되게 설치하기가 곤란하므로 설치가 곤란하고 미관상 저품격의 이미지를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제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해상도, 초대형이면서 주간의 밝은 조건하에서도 볼 수 있는 고휘도 곡면 스크린을 제공함과 동시에 야간의 실내 조명 하에서는 눈부심이 없는 평면형 고휘 도 화면을 제공하는 스크린 유닛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평소 시청을 하지 않을 경우에는 평면형을 유지하도록 하고, 밝은 조도 하에서 시청 시에는 화면을 용이하게 곡면형으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설치가 간편하고, 미사용 시에는 고품격의 미적인 측면도 충족시키는 스크린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영상 프로젝션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영상이 조사되는 스크린 유닛으로서, 조사되는 투사 영상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층과 눈부심 방지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눈부심 방지층을 투과한 투사 영상을 반사 및 확산시키는 반사층 및 반사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스크린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유연성 기재로 구성되는 스크린과 스크린의 수평 또는 수직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중심축 고정 장치 및 스크린의 좌우측변 또는 상하측변을 동일한 거리만큼 투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를 다시 평면 상태로 복원시키는 상승/하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에 의해서 달성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점,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례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에 사용되는 일 실시예의 스크린의 절단면도이다. 스크린(10)은 영상광학장치로부터 입사광이 입사되는 표면에 최소한 하나 이상의 눈부심 방지층(11), 눈부심 방지층의 하면에 배치되는 반사층(12) 및 반사층의 하면에 배치되는 유연성 기재(13)을 포함하며, 눈부심 방지층, 반사층 및 유리기재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로 접착하여 일체화시킬 수 있다. 도 1에서는 한 개의 눈부심 방지층이 구비되는 실시례를 도시하였는데, 눈부심 방지층의 수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눈부심 방지층(11)은 PET(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poly ethylene), PP(poly propylene) 및 PVC(poly vinyl chloride)와 같은 투명 플라스틱 필름을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각 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코팅, 스크래치 또는 압출 공정을 하여 미세한 요철들을 형성하거나 필름재질 자체에 확산성을 부여함으로써 눈부심 방지 효과를 갖는 눈부심 방지 필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각 눈부심 방지층(11) 표면의 헤이즈(haze)는 헤이즈 측정기(haze meter)로 측정하였을 때 30% 내지 80%가 되도록 한다. 만일 눈부심 방지층(11)의 표면 헤이즈(haze)가 30% 이하가 되면 영상광학엔진으로부터의 입사광의 반사율이 높아져 눈부심 방지 효과가 떨어지며, 80% 이상이 되면 영상의 해상도와 밝기가 저하되게 된다. 또한, 눈부심 방지층(11)의 광 투과율은 50 내지 95%가 되도록 한다. 만일 눈부심 방지층(11)의 광 투과율이 50% 이하가 되면 영상의 밝기가 저하되고, 95% 이상이 되면 눈부심 방지 효과가 저하되게 된다. 눈부심 방지층(11)의 두께는 2.6 내지 500 미크론(micron, μ)이 되도록 하는데, 이는 2.6 미크론 이하 일 경우 눈부심 방지 효과가 미약하게 되고, 500 미크론 이상일 경우 영상이 다중으로 보이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눈부심 방지층(11)이 두 개층 이상으로 구성할 경우, 각 눈부심 방지층은 서로 다른 굴절율과 광택도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영상광학장치로부터의 입사광이 각 눈부심 방지층에서 반사, 투과, 재반사, 재투과 및 확산이 연속적으로 발생하게 됨으로써 보다 균일한 밝기의 고휘도 영상을 구현하게 된다. 이때, 반사층(12)으로는 선택적으로 저광택(low glossy) 또는 무광택(non-glossy)의 반사층을 사용할 경우 그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층(12)은 가시광선 반사율이 10 내지 95% 범위이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0 내지 80% 범위가 되도록 한다. 반사층(12)으로는 가시광선의 반사율이 40% 이상인 고반사층(high-reflective layer) 또는 입사되는 가시광선 중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하는 반반사층(semi-reflective layer)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반사층 및 반반사층을 덮는 보호층(protective layer, 미도시)을 포함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보호층은 투명 필름 형태 또는 코팅막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반사층(12)으로는, 1) 알루미늄, 은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고광택의 반사 특성을 갖는 금속시트(metal sheet), 또는 2) 눈부심 방지층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플라스틱 필름(plastic film)과 같은 재질의 필름 표면에 금, 은,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 등과 같은 금속이 코팅된 금속코팅 반사필름(metal coated reflective film)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유연성 기재(13)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아크릴(acrylic) 시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시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에이펫트(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 시트 등의 플라스틱 시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사용하도록 한다.
눈부심 방지층(11), 반사층(12) 및 유연성 기재(1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면에는 광흡수층을 더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선택적으로 배치되는 광흡수층(light absorbing layer)은 외부광을 흡수하며, 외부광을 흡수함으로써 영상의 명암비(contrast ratio)를 증가시켜 향상된 화질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광흡수층으로는 흑색, 회색 또는 기타 선택된 색상의 암색 계통의 투명 또는 불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시트를 사용하도록 한다. 광흡수층으로 플라스틱을 사용할 경우, 아크릴 수지(acrylic resin), 폴리카보네이트 수지판(poly carbonate) 뿐만 아니라 상기 눈부심 방지층(11)과 동일한 플라스틱의 재질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어두운 색상(암색)을 구현하기 위해서 카본 블랙과 같은 여러 가지 암색 계통의 안료를 플라스틱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기타 선택된 암색 계통의 염료로 플라스틱을 착색시키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 기재(12) 자체를 어두운 암색이 착색된 기재로 사용한다면 별도의 광흡수층은 필요 없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의 평면도로서, (a)는 스크린을 평면으로 사용할 때의 평면도이고, (b)는 스크린을 곡면지게 상승시킨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면상의 예시로는 하우징 상부 측벽이 없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부 측변을 구비하도록 하는 것도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종사자에게는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은 스크린(10)과, 평면 스크린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100)과, 스크린(10)의 수직 중심축 또는 수평 중심축을 고정하는 중심축 고정장치(30)와, 스크린의 좌우측벽 또는 상하측벽을 상승시키거나 다시 평면으로 하강시키는 상승/하강 장치(20)와, 스크린을 평면 형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잠금 장치(50)와, 스크린의 상부 외곽 테두리에 부착되며, 소정의 위치에 고정홈(18)을 구비하는 보조판(19)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00)은 내부에 적어도 스크린(10)을 수용하는 공간을 갖는 측벽을 갖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수용 공간에는 스크린(10)의 적어도 수직 중심축과 수평 중심축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스크린 지지판(90)이 구비된다. 스크린 지지판(90)은 스크린(10)을 평면 형상으로 사용할 때 하부에서 지지하여 수용공간 내로 처지거나 상부 방향으로 튀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스크린을 곡면 형상으로 사용할 때, 구부러지는 중심축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 스크린 지지판(90)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하강 장치(2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에는 설치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심축 고정장치(30)는 스크린(10)을 곡면 형상으로 구부릴 때 스크린(10)의 수직 중심축 또는 수평 중심축을 하우징에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단순한 구조로는 하우징(100)과 스크린의 상단을 클립 형태로 고정하는 대략 "ㄷ"자 형상의 금속편이 될 수도 있다. 보다 단순한 구조로는 스크린 하부의 수직 중심축 또는 수평 중 심축을 스크린 지지판(90)에 접착시키는 것이다. 스크린(10)의 중심축을 하우징(100)에 고정시키는 중심축 고정장치(30)는 다양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을 것이다.
하우징(100)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승/하강 장치(20)의 일단이 고정되며, 이 고정부분을 설명의 편의상 제 1고정이라 하기로 한다. 또한 상승/하강 장치(20)는 스크린의 좌우측변 또는 상하측변을 상승시키기거나 평면으로 복원시키는 장치로서, 스크린의 좌우측변 또는 상하측변에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을 설치하고, 평면 상태와 상승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2단 스위치 장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2단 스위치 장치라는 것은 제 1 상태(평면 상태)와 제 2 상태(상승된 상태)를 가지며, 제 1상태에서 제 2상태 또는 제 2상태에서 제 1상태로의 변경이 물리적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지며, 외부의 작용이 가해지지 않으면 어느 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스위치 장치를 포괄하여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2단 스위치 장치의 대표적인 장치의 예로는 한 번 눌렀을 때 누름 부분이 아래로 하강하여 고정되면서 볼펜심이 돌출되면서 쓰기가 가능하고, 두 번째 눌렀을 때 누름 부분이 위로 상승하여 고정되면서 볼펜심이 들어가서 쓰기가 되지 않는 볼펜의 스위치 장치를 들 수 있다. 2단 스위치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는 우리 생활 주변에서 널리 알려져 있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승/하강 장치(20)의 타단은 스크린의 하단부와 고정되며, 이 고정부분을 설명의 편의상 제 2고정이라 한다. 도 2 (a)의 원호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고정은 하나의 피봇(23)과, 이 피봇의 한쪽 끝부분이 삽입 결합되는 상승/하강 장치(20)의 결합부(21)와, 이 피봇의 나머지 끝부분이 스크린 하단면과 삽입 결합되 는 결합부(22)로 이루어진다. 도면상에서는 제 2고정이 피봇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제 1고정을 피봇 고정으로 만들 수도 있으며, 또한 제 1고정 및 제 2고정을 모두 피봇 고정으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우징(100)의 측면부에는 스크린(100)이 평면 상태로 하강되었을 때 이를 고정하는 잠금장치(50)가 부착된다. 도면상에 도시된 잠금장치(50)는 한쪽 끝단에는 압축된 스프링이 연결되고, 가운데 지레대를 지나 반대쪽 단은 뾰족한 형상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스크린 상부 외곽 테두리 영역에는 보조판(19)을 형성하고, 보조판(19)의 측면에는 고정홈(18)을 형성하여, 잠금장치(50)의 뾰족한 끝단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하였다.
주위의 조도가 낮은 상태에서 스크린을 이용한 영상을 시청하거나 또는 스크린을 보관할 때에는 도 2의 (a)와 같이 상승/하강 장치(20)를 눌러진 상태로 하여 스크린이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주위의 조도가 밝은 상태에서 스크린을 이용한 영상을 시청할 경우에는 도 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승/하강 장치(20)를 상승된 상태로 변형하여 스크린의 좌우 측변 또는 상하 측변이 상승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승/하강 장치(20)는 내부에 스프링, 관절 스토퍼, 컴퍼스, 원터치, 공압 실린더 및 유압 실린더 등과 같은 다양한 부재를 사용하여 제작할 수 있다.
도 2의 실시예에서는 스크린 하우징(100)이 필수적인 구성으로 보여질 수 있으나, 하우징(100)을 제거하고 벽면에 직접 상승/하강 장치(20) 및 중심축 고정장 치(30)를 설치하여 스크린을 고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상승/하강 장치의 일 실시예도이다. 하우징(100)과 스크린 하면(10)이 지그재그 경첩으로 연결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형상의 지그재그 경첩은 전술한 2단 스위치 장치에 비하여 다양한 높이로 스크린의 위치를 변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의 상승/하강 장치(20)는 제 1고정 및 제 2고정이 모두 피봇 고정되었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봇 고정이라 함은 스크린이 상승 또는 하강될 때, 고정된 부위의 좌우 변위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좌우 방향으로 변위가 가능한 고정 방식을 의미한다. 도 2의 상승/하강 장치에서는 제 1고정은 하우징(100)에 단단하게 고정되어 스크린이 상승 또는 하강하더라도 좌우 방향의 변위가 있을 수 없는 것인 반면, 제 2고정은 본 발명에서 정의하는 피봇 고정으로서 스크린이 상승할 때 도 2(b)의 원내에 확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봇(23)이 정확한 수직을 이루지 않고 약간 기울어져 상승/하강 장치(20)와 스크린의 결합 위치 사이에 좌우측의 변위가 일어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스크린 유닛은 스크린의 수직 중심축을 기준으로 스크린의 좌우측변이 상승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좌우측변은 평면 상태를 유지하고 상하변을 상승시키는 스크린 유닛도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 하우징에 대한 정면도로서, (a)는 좌우측면이 상승되는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것이고, (b)는 상하변이 상승되는 스크린 유닛을 도시한 것이다. 도4 (a)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좌우변이 △T만큼 휘어진 형상의 스크린 형태를 가지는 것이며, 도 4 (b)의 실시예에서는 좌측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변이 △T만큼 휘어진 형상의 스크린 형태를 가지는 것이다. 또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지지판(90)은 스크린 하면의 많은 영역을 차지하도록 배치할 수도 있는 반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지지판(90)은 스크린의 수직 중앙선과 수평 중앙선을 포함하는 일부 영역에만 대략 "+"자 형태를 지니게 할 수도 있다. 도 4(a)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승/하강 장치(20)가 스크린의 좌우측 하부에 설치되고 중심축 고정장치(30)가 스크린의 수직 중앙에 설치되는 반면, 도 4(b) 실시예의 경우에는 상승/하강 장치(20)가 스크린의 상하측 하부에 설치되고 중심축 고정장치(30)가 스크린의 수평 중앙에 설치됨을 알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을 곡면으로 사용할 때 입사광과 출사광의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을 평면으로 사용할 때 입사광과 출사광의 경로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5와 같이 곡면으로 스크린이 상승된 상태에서는 휘어진 스크린으로 인하여 입사광(81)이 출발점 부근으로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반사광(82)으로 되돌아오는 반면, 도 6과 같이 평면으로 사용할 때는 입사광(81)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의 외부로 반사되는 광량이 많아지게 되어 출사광(82)이 출발점으로 되돌아오는 광량이 상대적으로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곡면형 스크린이 평면형 스크린보다 더 밝은 영상을 구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주간의 밝은 환경 하에서는 곡면형의 스크린으로 변화시켜 영상을 즐기고, 상대적으로 조도가 낮은 어두운 환경 하에서는 평면형으로 변화시켜 눈부심 없이 영상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상 스크린 유닛은, 초대형이면서 주간의 밝은 조건하에서도 볼 수 있는 고휘도 화면을 제공하면서도 야간의 실내 조명 하에서는 눈부심이 없는 고휘도 화면을 제공하고, 평상시에는 평면형을 유지하여 벽면에 밀착시켜 설치할 수 있도록 해 줌으로써 고품격의 미적인 측면도 충족시키는 완전한 벽면형 고휘도 영상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유닛은 반사층의 배면 또는 유연성 기재의 배면에 광흡수층을 제공함으로써 영상의 명암비를 증가시킨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가 특정 용어들을 사용하여 기술되어 왔지만, 그러한 기술은 오로지 설명을 하기 위한 것이며, 다음의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고서 여러 가지 변경 및 변화가 가해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 되어져야 한다.

Claims (13)

  1. 영상 프로젝션 장치로부터 투사되는 투사 영상이 조사되는 스크린 유닛으로서,
    조사되는 투사 영상의 일부는 반사시키고, 일부는 투과시키고, 일부는 확산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눈부심 방지층;
    상기 눈부심 방지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눈부심 방지층을 투과한 투사 영상을 반사 및 확산시키는 반사층; 및
    상기 반사층의 배면에 배치되어 스크린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유연성 기재로 구성되는 스크린과
    상기 스크린의 수평 또는 수직 중심축을 고정시키는 중심축 고정 장치; 및
    상기 스크린의 좌우측변 또는 상하측변을 일정 거리만큼 투사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이를 다시 평면 상태로 복원시키는 상승/하강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이 평면 상태로 복원되었을 때, 평면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잠금 장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갖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부 공간에 배치되며, 적어도 상기 스크린의 수직 중심선 및 수평 중심선을 따라 상기 스크린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내부 공간의 테두리 영역과는 상기 상승/하강 장치를 구비할 설치 공간을 남겨두고 배치되는 스크린 지지판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하강 장치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 공간의 바닥에 제 1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제 2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고정 및 상기 제 2고정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가 피봇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상부 테두리면에는 보조판이 구비되고, 상기 보조판에는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에 잠금 장치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의 유연성 기재는 아크릴(acrylic) 시트,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시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에이펫트(amorph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A-PET) 시트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은 헤이즈(haze)가 30 내지 80%이고, 광 투과율이 50 내지 95%이며, 두께가 2.6 내지 500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가시광선 반사율이 10 내지 95%이고 가시광선 투과율은 0 내 지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알루미늄, 은 및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층은 플라스틱 필름의 표면에 금, 은, 알루미늄 및 스테인레스 스틸을 포함하는 금속이 코팅된 금속코팅 반사필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눈부심 방지층, 상기 반사층 및 상기 유연성 기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배면에 구비되어 광을 흡수하는 광흡수층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은 흑색 및 회색을 포함하는 암색의 투명/불투명한 플라스틱 필름, 플라스틱 시트 및 유리 중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유닛.
KR1020050111108A 2005-11-21 2005-11-21 스크린 유닛 KR1006531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08A KR100653127B1 (ko) 2005-11-21 2005-11-21 스크린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1108A KR100653127B1 (ko) 2005-11-21 2005-11-21 스크린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53127B1 true KR100653127B1 (ko) 2006-12-04

Family

ID=37731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1108A KR100653127B1 (ko) 2005-11-21 2005-11-21 스크린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312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370A1 (ko) * 2014-07-15 2016-01-2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가변형 스크린 시스템
CN106662801A (zh) * 2014-07-15 2017-05-10 Cj Cgv 株式会社 可变屏幕系统
CN108725326A (zh) * 2018-07-04 2018-11-02 深圳市歌美迪电子技术发展有限公司 反射镜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439A (ko) * 2002-02-28 2003-09-03 최해용 커브형 고휘도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1439A (ko) * 2002-02-28 2003-09-03 최해용 커브형 고휘도 스크린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10370A1 (ko) * 2014-07-15 2016-01-21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가변형 스크린 시스템
CN106662801A (zh) * 2014-07-15 2017-05-10 Cj Cgv 株式会社 可变屏幕系统
CN108725326A (zh) * 2018-07-04 2018-11-02 深圳市歌美迪电子技术发展有限公司 反射镜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9122B1 (ko) 방현 필름
US20090109366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out Bezel
EP1291709A4 (en) REFLECTION PROJECTION SCREEN
JP2007256307A (ja) 反射型映写スクリー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反射型映写デイスプレイ
CN109917613B (zh) 反射型屏幕和影像显示系统
JP4555777B2 (ja) 透過型スクリーン
KR100653127B1 (ko) 스크린 유닛
JP2016062031A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8191613A (ja) 遠隔会議システム
JP2013130837A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7314757B2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CN112255877A (zh) 一种反射式侧向投影屏幕及投影系统
EP1784688B1 (en) Rear projection screen
US10185215B2 (en) Reflection type screen
JP2008032777A (ja) 光制御シート
JP6957891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WO2023182411A1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JP7036247B2 (ja) 反射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KR200408421Y1 (ko) 복수의 눈부심 방지층을 구비하는 고휘도 스크린
CN211454223U (zh) 光栅式抗光投影膜
JP2012002957A (ja) インタラクティブボード用の透過型スクリーン、インタラクティブボード、インタラクティブボードシステム
JP2016200845A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システム
JP2007334161A (ja) 多目的表示装置、反射表示シート
JP2006106393A (ja) 光拡散シート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スクリーン
JP2022059308A (ja) 反射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