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2949B1 -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 Google Patents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2949B1
KR102332949B1 KR1020180101915A KR20180101915A KR102332949B1 KR 102332949 B1 KR102332949 B1 KR 102332949B1 KR 1020180101915 A KR1020180101915 A KR 1020180101915A KR 20180101915 A KR20180101915 A KR 20180101915A KR 102332949 B1 KR102332949 B1 KR 102332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urved
frame
lower frame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19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347A (ko
Inventor
이의범
김갑수
곽재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지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지엠
Priority to KR10201801019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9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26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2Screens moving during proj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단틀, 하단틀 및 상기 상단틀과 하단틀 사이를 연결하는 중단틀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곡면 스크린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제1 와이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 및 상기 제1 와이어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틀과 하단틀은 곡선 형상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곡선부에 의하여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Description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CURVED SCREEN DEVICE AND SCREEN SPORTS SYSTEM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크린을 보는 사용자에게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3차원 입체영상 및 컴퓨터 시뮬레이팅 기술을 이용하여 현장에 나가지 않고도 스포츠 경기를 즐길 수 있는 시뮬레이팅 장치들이 개발되어, 골프나 야구 등을 중심으로 한 가상의 실내 스포츠 경기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예컨대, 실내에서 이루어지는 스크린 골프의 경우에 스크린을 통하여 골프장의 영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마치 야외에서 실제의 골프 경기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면서도 야외의 필드에서 경기하는 것에 비해 시간과 비용이 세이브되어, 시간이나 경제적인 이유 등으로 야외 골프를 하기 어려운 바쁜 현대인들에게 스크린 골프는 대단한 인기가 있다.
그런데 스크린 골프 등과 같은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어필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실제로 야외에서 플레이를 하고 있다는 사실적인 감각(현장감)을 사용자에게 줄 수 있는지 여부이다. 이 현장감 여부는 결국 스포츠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의 퀄리티에 의하여 좌우된다고 볼 수 있는데, 종래의 스크린은 평면구조로 되어 있어서 단지 TV 화면으로 스포츠 경기를 관람하는 듯한 인상을 줄 뿐이어서, 현장감을 부여하는데 미흡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스크린을 곡면으로 형성함으로써 스크린을 보는 사용자에게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는 상단틀, 하단틀 및 상기 상단틀과 하단틀 사이를 연결하는 중단틀을 갖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에는 제1 와이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 및 상기 제1 와이어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상단틀과 하단틀은 곡선 형상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곡선부에 의하여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상기 곡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단틀과 하단틀은 상기 곡선부와 함께 폐곡선의 구조를 이루는 직선부 및 상기 직선부와 상기 곡선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단틀에 부착되는 복수의 다리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단틀의 직선부와 상기 하단틀의 곡선부가 설치되는 높이는 서로 다르게 될 수 있다.
상기 곡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스크린 및 상기 제1 스크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곡면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곡면 스크린은 소정의 곡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곡면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이스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는 상기 베이스 스크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곡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 각각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곡면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곡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 각각은 인접하는 다른 스크린 부재와 그 단부(端部)가 부분적으로 겹쳐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는 곡면의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액체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액체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서 분사될 액체를 상기 분사부에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곡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는 곡면의 스크린막을 형성하는 안개를 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분사된 안개를 회수하는 회수부 및 상기 분사부에 상기 안개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를 제공하는 공급부를 포함한다.
상기 곡면 스크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곡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은 상기한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사용자가 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공의 타격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따르면, 스크린을 보는 사용자에게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곡면 스크린의 다양한 곡면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곡면 스크린과 평면 스크린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 스크린 부재의 다양한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제5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제6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요소들(elements)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상기 요소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또, 어떤 요소가 다른 요소 위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요소 위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더욱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곡면 스크린의 다양한 곡면형태를 보여주는 평면도이고, 도 3은 곡면 스크린과 평면 스크린의 차이점을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곡면 스크린 장치는 곡면 스크린을 포함하며, 상기 곡면 스크린은 스크린의 소정 부분이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스크린(1)은 단일한 곡률반경(R)으로 이루어진 곡면 형태가 될 수 있다.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스크린(2)은 복수의 곡률반경(R1, R2)으로 이루어진 곡면 형태가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면 스크린(2)은 중앙의 제1 부분(2a)이 제1 곡률반경(R1)을 갖고 양측의 제2 부분(2b)이 제2 곡률반경(R2)을 갖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도 2에는 곡률반경이 서로 다른 2가지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지만, 반드시 이러한 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곡면 스크린은 곡률반경이 서로 다른 3가지 이상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또는 곡면 형상과 평면 형상이 결합되어 있는 경우, 곡률반경이 거의 연속적으로 변동하는 경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곡면 스크린은 평면 스크린에 비하여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곡면 스크린(좌측)은 평면 스크린(우측)에 비하여 화면의 왜곡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평면 스크린에서는 화면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근의 거리가 같지 않기 때문에, 눈으로 볼 때 화면이 왜곡되어 보이거나 가장자리 부분의 인지도가 낮아지게 된다. 이에 비해, 곡면 스크린에서는 화면의 중심부와 가장자리 부근의 거리가 같기 때문에, 화면의 왜곡 현상을 최소화하고 화면의 몰입감도 강하게 된다. 따라서 곡면 스크린은 평면 스크린에 비하여 사용자에게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평면 스크린은 원근감으로 인한 왜곡이 생겨 눈의 피로가 쉽게 쌓일 수 있지만, 곡면 스크린의 경우에는 눈의 피로를 상대적으로 덜 느끼게 된다.
위와 같이 곡면 스크린은 평면 스크린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을 갖는다. 하지만, 평면 스크린에 비하여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용이하게 곡면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곡면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를 형성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상단틀(10)과 하단틀(20)을 형성한다. 상단틀(10)과 하단틀(20)은 직선 및 곡선 형태의 부재를 이용하여 평면상에서 폐곡선 형태가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직선 및 곡선 형태의 부재로는 각각 직선 파이프(11, 21)와 곡선 파이프(12, 22)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직선 파이프(11, 21)와 곡선 파이프(12, 22)의 단부(端部)를 용접하여 결합함으로써 상단틀(10)과 하단틀(20)을 형성할 수 있다. 직선 파이프(11, 21)는 상하단틀(10, 20)에 있어서 직선부를 구성하고 곡선 파이프(12, 22)는 상하단틀(10, 20)에 있어서 곡선부를 구성하게 된다.
곡선 파이프(12, 22)는 제조하고자 하는 곡면 스크린의 곡면 형태에 부합되도록 형성된다. 예컨대, 제조하고자 하는 곡면 스크린이 곡률 반경이 단일한 값을 갖지 않고, 2개의 서로 다른 곡률반경을 갖는 곡면 형태라면, 곡선 파이프(12, 22)도 그러한 곡면 형태를 갖는 것으로 준비한다. 또는 곡선 파이프(12, 22)가 곡면 스크린의 곡면 형태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는, 곡선 파이프(12, 22)를 구부려서 곡면 스크린의 곡면 형태에 부합하게 만들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단틀(20)을 곡면 스크린을 설치하고자 하는 바닥이나 구조물 등에 고정시킨다. 하단틀(20)에 있어서 곡선 파이프(22)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복수의 다리(22a)를 부착하고 상기 다리(22a)를 바닥에 고정시킨다. 다리(22a)를 바닥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서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ㄴ'자 모양의 보조부재(22b)를 다리(22a)와 바닥에 부착한 후, 상기 보조부재(22b)의 구멍에 체결부재를 체결하는 방법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다리(22a)는 곡선 파이프(22)뿐만 아니라 직선 파이프(21)에도 부착될 수 있다. 여기에서 곡선 파이프(22)에 부착된 다리(22a)의 길이를 직선 파이프(21)에 부착되는 다리의 길이와 같거나 다르게 할 수 있다. 또는 다리(22a)는 직선 파이프(21)에는 부착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직선 파이프(21)는 별도의 구조물에 부착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곡선 파이프(22)에 부착된 다리(22a)의 길이를, 직선 파이프(21)가 구조물에 부착되는 높이보다 길거나 짧게 하여 곡선 파이프(22)와 직선 파이프(21)의 높이가 서로 달라지게 할 수 있고, 이 경우 하단틀(20)은 평평한 구조가 아닌 경사진 구조가 될 수 있다.
이어서, 곡선 파이프(22)와 직선 파이프(21)의 사이에 복수의 보강재(23)를 부착한다. 보강재(23)는 하단틀(20)의 곡선 파이프(22)와 직선 파이프(21)의 사이의 골격을 보완하고, 그에 따라 하단틀(20)의 강도를 강화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단틀(10)과 하단틀(20)의 사이에 중단틀(30)을 결합시켜서 상하단틀(10, 20) 및 중단틀(30)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형성한다. 프레임은 곡면 스크린을 설치하기 위한 지지대의 역할을 한다.
중단틀(30)은 직선형태의 파이프로 이루어지며, 그 양 끝부분을 상단틀(10)과 하단틀(20)에 용접함으로써 상하단틀(10, 20)에 결합될 수 있다. 중단틀(30)이 결합된 후, 상단틀(10)은 앵커볼트 등과 같은 체결부재(15)를 이용하여 천정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단틀(20)과 마찬가지로 상단틀(10)에도 복수의 보강재를 부착시킬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하단틀(20)에 보강판(24)을 부착한다. 앞에서 곡선 파이프(22)와 직선 파이프(21)의 높이를 다르게 하여 하단틀(20)을 경사지게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 경우 보강판(24)에 의하여 경사로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면 스크린을 스크린 골프장에 설치하는 경우, 스크린 골프에서는 사용자가 곡면 스크린을 향하여 타격한 공을 다시 사용자 쪽으로 회수할 필요가 있는데, 보강판(24)에 의하여 경사로가 형성되면 골프공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하단틀(20)과 마찬가지로 상단틀(10)에도 보강판(14)을 설치한다. 이후에는 곡면 스크린을 설치하고자 하는 곳의 용도에 맞추어 후속 절차를 진행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곡면 스크린을 스크린 골프장이나 스크린 야구장의 부스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부스 구조물(35)을 형성하고 여기에 상하단틀(10, 20) 및 중단틀(30)로 이루어진 프레임을 고정시켜 해당 부스를 완성시킬 수 있다. 다만, 프레임을 부스 구조물(35)에 고정시키는 단계는 반드시 현재 단계에서 수행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이전 단계(도 5 및/또는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단계 등)에서도 수행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레임에 스크린(40)을 결합하여 곡면 스크린을 형성한다. 곡선 파이프(12, 22)에 의하여 상단틀(10)과 하단틀(20)은 곡선 형상을 갖기 때문에, 프레임 또한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스크린(40)은 천과 같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고, 이러한 스크린(40)을 프레임에 설치하면 곡면 형상을 갖는 곡면 스크린이 된다.
프레임에 스크린(40)을 결합하는 방법으로서는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고, 그 중 하나로 와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와이어를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먼저 상단틀(10)에 제1 와이어(W1)를 장착시킨다. 도 10에는 상단틀(10)만 도시되어 있지만, 제1 와이어(W1)는 중단틀(30)이나 하단틀(20)에 장착될 수도 있고, 또는 상단틀(10), 하단틀(20), 중단틀(30) 중 적어도 2개 이상에 장착될 수도 있다. 제1 와이어(W1)를 장착시킬 때에 제1 와이어(W1)는 고정부재(L) 등을 이용하여 상단틀(10) 등의 프레임에 고정될 수 있다. 스크린(40)에는 그 가장자리 영역을 따라 복수의 홀(H)을 형성한다. 이어서 별도의 제2 와이어(W2)를 준비하여, 제2 와이어(W2)가 홀(H) 및 제1 와이어(W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스크린(40)이 프레임에 설치될 수 있다.
앞에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곡면 스크린은 곡면 스크린 이용자에게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화면을 제공하는 등 평면 스크린에 비하여 여러가지 장점이 있지만, 아직까지 곡면 스크린에 비하여 평면 스크린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곡면이 평면보다는 형성하기 어렵고, 또한 곡면 스크린을 형성하더라도 그 곡면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점에 기인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는, 상단틀(10), 하단틀(20), 중단틀(30)을 갖는 곡면 형상 프레임을 형성한 후, 상기 프레임의 곡면 형상을 따라 스크린을 설치함으로써 용이하게 곡면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곡면 스크린이 와이어에 의하여 프레임에 설치되기 때문에, 와이어의 텐션에 의하여 스크린의 곡면 형상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곡면 스크린(50)은 제1 스크린(50a)과 제2 스크린(50b)을 포함한다. 제1 스크린(50a)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홀(H)이 형성되어 있고, 홀(H)은 프레임 등과 같은 구조물에 제1 스크린(50a)을 설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홀(H)을 관통하게 한 후 이 와이어를 프레임 등과 같은 구조물에 결합시킴으로써, 제1 스크린(50a)을 설치할 수 있다. 홀(H)은 제1 스크린(50a)의 4개의 변에 모두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4개의 변 중 프레임과 와이어로 결합되는 일부 변에만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제2 스크린(50b)은 제1 스크린(50a)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크린(50a)의 4개의 변에 모두 홀(H)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2 스크린(50b)은 홀(H)과 겹쳐지지 않도록 제1 스크린(50a)의 홀(H)이 형성된 영역의 내측(도 11의 점선으로 도시된영역 참조)에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스크린(50b)은 제1 스크린(50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스크린(50b)은 벨크로 테이프(velcro tape) 등과 같은 착탈부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제1 스크린(50a)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 스크린(50)을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스크린(50a)과 여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별도의 제2 스크린(50b)으로 구성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스크린 골프나 스크린 야구와 같은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되는 스크린에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이나 야구공이 날아와서 빈번하게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스크린 설치 후에 일정 시간이 지나면, 스크린이 손상되어 보수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50)을 스크린 스포츠에 사용한다면, 곡면 스크린(50)을 보수해야 하는 경우에, 제1 스크린(50a)은 그대로 두고 제2 스크린(50b)만을 교체함으로써 보수작업을 완료할 수 있다. 제2 스크린(50b)은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착탈부재에 의하여 제1 스크린(50a)에 부착되어 있으므로, 제2 스크린(50b)은 비교적 간단하게 교체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스크린의 경우에는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된 스크린 전체를 해체해야 하므로, 교체 작업에 장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 및 도 14는 도 12에 있어서 스크린 부재의 다양한 배치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는 프레임(F)과 프레임(F)에 설치되는 곡면 스크린(60)을 포함한다. 프레임(F)은 곡면 스크린(6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도 12에 있어서 프레임(F)은 곡면 스크린(60)의 상단을 지지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상단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레임(F)은 곡면 스크린(60)의 상단, 중단, 하단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F)은 곡선 형태를 갖고 있고, 곡면 스크린(60)은 프레임(F)의 곡선 형태를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스크린 부재(61)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스크린 부재(61)는 전체적인 배치 형태에 있어서 곡면 형상을 나타내고 그에 따라 곡면 스크린(60)도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여기에서 스크린 부재(61)는 천과 같은 섬유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사용될 수 있다.
프레임(F)에는 제1 와이어(W1)가 장착되어 있다. 제1 와이어(W1)는 고정부재(L) 등을 통하여 프레임(F)에 고정될 수 있다. 각 스크린 부재(61)에는 홀(H)이 형성되어 있고, 별도의 제2 와이어(W2)가 홀(H) 및 제1 와이어(W1)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각 스크린 부재(61)가 프레임(F)에 설치될 수 있다.
개개의 스크린 부재(61)는 평면 형상을 갖더라도 이들이 프레임(F)의 곡선 형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전체적으로 곡면 형상을 나타낼 수 있다. 본 실시예와 같이 곡면 스크린(60)을 복수의 스크린 부재(61)를 통하여 형성하는 경우 곡면 형태를 유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곡면 형태를 유지한다는 것은 스크린이 쭈글쭈글하지 않고 탱탱한 곡면 상태로 유지된다는 것인데, 일반적으로 면적이 작아질수록 면적이 큰 경우에 비하여 탱탱하게 유지되기 쉽다. 따라서 면적이 큰 단일 스크린을 곡면으로 유지하는 것에 비하여, 본 실시예와 같이 면적이 작은 복수의 스크린 부재(61)로 곡면 스크린(60)을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으로 곡면 형태를 유지하기에 적합하다 할 수 있다.
개개의 스크린 부재(61)는 인접하는 다른 스크린 부재(61)와 그 사이의 간격이 가능한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부재(61) 사이의 간격(d)은 거의 0에 근사한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간격(d)이 크면 클수록 그 간격(d)에 해당하는 영역에서 스크린에 디스플레이되어야 하는 화면이 제대로 디스플레이될 수 없기 때문이다. 다만, 스크린 부재(61) 사이의 간격(d)을 0이 되게 하는 것이 설치상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는 스크린 부재(61)의 단부(端部)가 부분적으로 겹쳐지게 함으로써, 스크린 부재(61) 사이의 간격(d)이 마이너스가 되게 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는 프레임(F)과 프레임(F)에 설치되는 곡면 스크린(70)을 포함한다. 프레임(F)은 곡면 스크린(70)을 지지하기 위한 구조물이다. 프레임(F)은 곡선 형태를 갖고 있고, 곡면 스크린(70)은 프레임(F)의 곡선 형태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곡면 형상을 갖게 된다. 곡면 스크린(70)은 제1 스크린(70a)과 제2 스크린(70b)을 포함한다. 제1 스크린(70a)은 일종의 베이스 스크린으로서 그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홀(H)이 형성되어 있다. 홀(H)은 프레임(F)에 제1 스크린(70a)을 설치할 때 사용될 수 있다. 즉, 프레임(F)에는 고정부재(L)에 의하여 고정되는 제1 와이어(W1)가 장착되어 있는데, 제1 와이어(W1)와 홀(H)을 연결하는 제2 와이어(W2)에 의하여 제1 스크린(70a)을 프레임(F)에 설치할 수 있다.
제2 스크린(70b)은 복수의 스크린 부재(71)로 이루어져 있고, 각 스크린 부재(71)는 제1 스크린(70a)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예를 들면 스크린 부재(71)는 벨크로 테이프 등과 같은 착탈부재를 이용하여 착탈 가능하게 제1 스크린(70a)에 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면 스크린(70)을 프레임에 고정되는 제1 스크린(70a)과 여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제2 스크린(70b)으로 구성하는 경우, 곡면 스크린(70)을 보수해야 하는 경우에, 제1 스크린(70a)은 그대로 두고 제2 스크린(70b)을 구성하는 스크린 부재(71)만을 교체함으로써 보수작업을 간단하게 완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스크린 부재(71)에 의하여 곡면 형상을 나타내므로,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면 형태를 유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7은 도 16에 있어서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100)는 액체를 이용한 스크린막을 통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체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으로, 분사부(110), 회수부(120), 공급부(130)를 포함한다. 분사부(110)는 분사관에 다수의 노즐(111)이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10)의 분사관은 곡선 형태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분사관을 고압으로 통과하는 액체가 노즐(111)을 통해 기포 상태로 분사되면서 불투명한 흰색의 수막이 형성되는데, 이는 분사관의 형상을 따라 곡면 형태의 스크린막(S)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액체는 노즐(111a)에서 아래쪽으로 분사되어 아래쪽에 위치한 회수부(120)에서 회수된다. 도 16에서는 액체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분사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액체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분사되거나,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분사되거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분사되거나, 또는 이들을 적절하게 결합하여 여러 방향에서 액체가 동시에 분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회수부(120)는 일종의 물탱크나 저수조로 액체를 저장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회수부(120)에 저장되는 액체는 노즐(111)에서 분사된 후 회수된 것뿐만 아니라 별도의 외부 공급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공급된 것까지 포함할 수 있다. 회수부(120)에 저장되는 액체는 공급부(130)에 의하여 분사부(110)에 제공된다. 공급부(130)는 펌프(131) 및 공급관(132)을 포함하는데, 펌프(131)의 작용으로 회수부(120)에 저장된 액체가 공급관(132)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분사부(110)에 제공될 수 있다. 액체 스크린 장치(100)은 별도의 제어모듈을 통하여 펌프(131)의 온·오프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분사부(110)에 액체를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분사부(110)에서의 액체 분사를 컨트롤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110a)는 소정의 곡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5 실시예에서 곡면의 스크린막(S)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사부(110)의 분사관을 곡선 형태로 형성한다고 하였는데, 분사관을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작은 사이즈의 평면 형상 분사부(110a)를 복수로 구비하되 이들을 소정의 곡선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분사부(110a)가 전체적으로 곡선 형태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선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분사부(110a)에서 액체를 분사하면 분사부(110a) 전체가 나타내는 곡선 형태에 의하여 곡면의 스크린막(S)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0은 도 19에 있어서 분사부의 상세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200)는 안개를 이용한 스크린막을 통하여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안개 스크린을 구비하는 것으로, 분사부(210), 회수부(220), 공급부(230)를 포함한다. 분사부(210)는 안개를 분사하기 위한 것으로, 분사관에 다수의 토출구(211)가 형성되도록 구성되는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210)의 분사관은 곡선 형태의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분사관에서 안개가 분사되면 곡면 형태의 스크린막(S)을 형성하게 된다.
토출구(211)에는 가이드(212)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212)는 토출구(211)에서 분사되는 안개를 가이드하기 위하여, 라운딩 형상의 분사편을 토출구(211)에 삽입하거나 토출구(211)에 고정되도록 설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212)의 형상과 구조는 도 20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가이드(212)는 필수 구성은 아니며 생략될 수도 있다. 분사부(210)에서 분사된 안개는 아래쪽으로 하강하면서 스크린막(S)을 형성하고 회수부(220)에서 회수된다. 회수부(220)의 일측에는 흡입팬(221)이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안개는 흡입팬(221)에 의해 형성되는 흡입력에 의하여 회수부(220)에서 용이하게 회수된 후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급부(230)는 펌프(231) 및 공급관(232)을 포함하는데, 펌프(231)의 작용으로 안개를 형성하기 위한 액체가 외부로부터 공급관(232)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분사부(21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액체는 펌프(231)에 의하여 고압의 물로서 펌핑되어 분사부(210)에서 안개의 형태로 분사될 수 있고, 또는 공급관(232)이 별도의 히터(도면에 도시되지 않음)를 경유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히터에서 안개를 발생하여 분사부(210)에서 분사되도록 할 수도 있다.
제6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로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사부(210a)는 소정의 곡선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6 실시예에서 곡면의 스크린막(S)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사부(210)의 분사관을 곡선 형태로 형성한다고 하였는데, 분사관을 곡선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경우에는, 작은 사이즈의 평면 형상 분사부(210a)를 복수로 구비하되 이들을 소정의 곡선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다수의 분사부(210a)가 전체적으로 곡선 형태를 나타내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곡선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분사부(210a)에서 액체를 분사하면 분사부(210a) 전체가 나타내는 곡선 형태에 의하여 곡면의 스크린막(S)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5 및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분사부(110, 210)를 곡선 형태로 구성하는 것만으로도 곡면의 스크린막(S)을 형성할 수 있으므로, 곡면 스크린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앞선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의 곡면 스크린은 섬유재질의 스크린을 프레임에 설치하여 곡면을 형성하는 방식이었고, 여기에서는 와이어 등을 통하여 적정한 텐션 등을 가하면서 스크린의 곡면 형상을 유지하였는데, 액체 또는 안개 스크린에서는 텐션 등을 가하지 않더라도 곡면을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와 같은 곡면 스크린 장치의 사용예로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스크린 골프 시스템(300)은 타격 플레이트(310), 감지기(320), 제어기(330), 영상출력기(340), 곡면 스크린 장치(35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310)는 타격용 골프공이 놓여있는 타격존에 해당하며, 타격 플레이트(310)에는 타격 매트(311)가 구비된다. 타격 매트(311)에는 상하 이동가능한 구조의 오토 티(312)가 구비되어 있고, 오토 티(312)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타격용 골프공이 제공된다.
감지기(320)는 사용자가 타격한 골프공의 움직임 등을 감지하여,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타격 플레이트(310) 근방에 설치된다. 감지기(320)로서는 골프공의 움직임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는 물론이고, 골프공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면 감지센서 등 어떠한 감지수단이든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나 감지센서 등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함께 사용될 수 있고, 또한 1대만 사용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여러 대가 사용될 수도 있다.
제어기(330)는 스크린 골프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과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등을 담당하는데, 예컨대 사용자가 골프공을 타격하면 감지기(320)로부터 타격된 골프공에 관한 전반적인 상태 정보를 수신한 후, 이에 의거하여 골프공의 궤적을 시뮬레이션하여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출력기(340)는 가상의 골프코스와 가상의 골프공 등의 영상을 곡면 스크린 장치(350)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것으로, 빔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곡면 스크린 장치(350)는 영상출력기(340)에서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스크린 장치(350)에 대하여 영상출력기(340)와 타격 플레이트(310)가 동일한 쪽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출력기(340)에서 투사되고 곡면 스크린 장치(350)에서 반사된 영상을 보게 되며, 이는 '반사형'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제1 내지 제4 실시예의 곡면 스크린 장치가 반사형으로서 여기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야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을 참조하면, 스크린 야구 시스템(400)은 타격 플레이트(410), 감지기(420), 제어기(430), 영상출력기(440), 곡면 스크린 장치(450), 볼 피칭부(460)를 포함한다.
타격 플레이트(410)는 곡면 스크린 장치(45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어 있다. 실제 야구에서 투수와 포수 사이의 거리는 18.44m인데, 스크린 야구에서 타격 플레이트(410)와 곡면 스크린 장치(450) 사이의 거리는 18.44m와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또는 실내 공간이 부족한 경우 상기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감지기(420)는 사용자가 타격한 야구공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타격된 야구공의 전반적인 물리적 상태를 파악한다. 상기 파악된 정보는 제어기(430)에 전달된다. 제어기(430)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40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연산과 각 구성요소들의 제어 등을 담당한다. 특히, 제어기(430)는 감지기(420)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를 수신한 후, 이 정보에 근거하여 야구공의 타격결과(땅볼, 플라이, 안타, 홈런 등)를 산출하는 역할을 한다. 영상출력기(440)는 피칭하는 투수의 모습 등 야구관련 영상을 곡면 스크린 장치(450)에 투사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빔 프로젝터와 같은 영상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곡면 스크린 장치(460)는 영상출력기(440)에서 투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준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 스크린 장치(450)에 대하여 영상출력기(440)와 타격 플레이트(410)가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경우, 사용자는 영상출력기(440)에서 투사되어 곡면 스크린 장치(450)를 투과된 영상을 보게 되며, 이는 '투과형'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제5 및 제6 실시예의 곡면 스크린 장치가 투과형으로서 여기에 사용될 수 있다.
곡면 스크린 장치(450)에 근접하여 볼 피칭부(460)가 배치된다. 볼 피칭부(460)는 타격 플레이트(410)에 위치한 사용자가 타격할 수 있도록 야구공을 발사하여 피칭한다. 볼 피칭부(460)에서 피칭된 야구공은 곡면 스크린 장치(450)를 통과하여 지나가는데, 이를 위해 곡면 스크린 장치(450)에는 피칭홀(45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300)과 스크린 야구 시스템(400)에 있어서 곡면 스크린 장치(350, 450)로는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고, 곡면 스크린에 의하여 스크린 골프나 스크린 야구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보다 입체적이고 사실적인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살펴보았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200: 곡면 스크린 장치
300: 스크린 골프 시스템
400: 스크린 야구 시스템

Claims (13)

  1. 삭제
  2. 상단틀, 하단틀 및 상기 상단틀과 하단틀 사이를 연결하는 중단틀을 갖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을;
    포함하고,
    상기 상단틀과 하단틀은 곡선 형상의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은 상기 곡선부에 의하여 곡면 형상을 갖게 되며,
    상기 하단틀은 상기 곡선부와 함께 폐곡선의 구조를 이루는 직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단틀의 직선부와 상기 하단틀의 곡선부가 설치되는 높이는 서로 다르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단틀에 부착되는 복수의 다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단틀의 상기 곡선부에 부착되는 다리의 길이와 상기 하단틀의 상기 직선부에 부착되는 다리의 길이가 서로 다른
    곡면 스크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부와 상기 곡선부 사이에 복수의 연결부가 연결되어 있는 곡면 스크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크린은 곡면 형상을 갖는 곡면 스크린이고,
    상기 곡면 스크린은 복수의 스크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 각각은 평면이며,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를 소정의 곡선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 전체에 의하여 상기 곡면 스크린은 곡면으로 형성되는
    곡면 스크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베이스 스크린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는 상기 베이스 스크린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는 곡면 스크린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 각각에는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홀과 상기 프레임을 연결하는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곡면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곡면 스크린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스크린 부재 각각은 인접하는 다른 스크린 부재와 그 단부(端部)가 부분적으로 겹쳐 있는 곡면 스크린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제1 와이어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스크린에는 다수의 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홀 및 상기 제1 와이어에 결합되는 제2 와이어에 의하여 상기 스크린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곡면 스크린 장치.
  9. 제2항에 따른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사용자가 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공의 물리적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공의 타격결과를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80101915A 2018-08-29 2018-08-29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KR102332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15A KR102332949B1 (ko) 2018-08-29 2018-08-29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1915A KR102332949B1 (ko) 2018-08-29 2018-08-29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347A KR20200026347A (ko) 2020-03-11
KR102332949B1 true KR102332949B1 (ko) 2021-12-01

Family

ID=69810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1915A KR102332949B1 (ko) 2018-08-29 2018-08-29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94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6756Y1 (ko) * 2006-06-26 2006-09-18 최해용 영상스크린
JP2007079271A (ja) * 2005-09-15 2007-03-29 Victor Co Of Japan Ltd 表示スクリーン装置
JP2018025620A (ja) * 2016-08-09 2018-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7740B1 (ko) * 2006-04-12 2008-02-2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안개 스크린장치
KR200448572Y1 (ko) * 2008-01-18 2010-04-26 희 봉 김 골프용 스크린
KR101217295B1 (ko) * 2011-06-17 2012-12-31 (주)디스트릭트홀딩스 영사용 원형 스크린
KR101262789B1 (ko) * 2011-07-06 2013-05-09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KR101328449B1 (ko) * 2011-12-15 2013-11-14 강석원 공기정화기능을 갖는 워터 스크린 장치
US20170205025A1 (en) * 2014-07-15 2017-07-20 Cj Cgv Co., Ltd. Screen-holding structure to prevent sagging screen phenomenon
KR101751107B1 (ko) * 2015-04-29 2017-06-26 강맹석 골프시뮬레이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79271A (ja) * 2005-09-15 2007-03-29 Victor Co Of Japan Ltd 表示スクリーン装置
KR200426756Y1 (ko) * 2006-06-26 2006-09-18 최해용 영상스크린
JP2018025620A (ja) * 2016-08-09 2018-02-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透過型スクリーン、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347A (ko) 202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76217B2 (ja) 野球のピッチングシステム
CN102630179B (zh) 一种高尔夫模拟装置
US4657250A (en) Baseball pitching practice apparatus
US20040198524A1 (en) Simulation system for golf practice
US20090280916A1 (en) Mobile holographic simulator of bowling pins and virtual objects
US20200206597A1 (en) Virtual sports simulation device
KR102332949B1 (ko)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KR20010008367A (ko) 투구연습장치와 이를 이용한 투수의 투구분석방법 및오프라인의 투구연습장치의 투구정보를 온라인과 연계하여야구게임을 수행하는 방법
WO2011094846A1 (en) Collapsible enclosure for playing games on computers and gaming consoles
KR102270222B1 (ko) 일체형 폴더구조의 스마트 골프보드
US20150290511A1 (en) 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JP2008086524A (ja) 野球のピッチングシステム
KR101940717B1 (ko)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102234942B1 (ko)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CN211158512U (zh) 篮球训练场上的运球高度检测装置
KR101386785B1 (ko) 실내골프연습장용 바닥구조물
KR102569453B1 (ko) 모듈 이동설치식 텐트형 스크린 골프용 부스
CN208922667U (zh) 裸眼led数码馆
KR101982392B1 (ko) 곡면 스크린,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가상 스포츠 시스템
KR102650665B1 (ko) 스크린 골프장용 부스
KR101992021B1 (ko)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555792B1 (ko) 모듈 조립식 자석부착형 스크린 골프용 부스
KR102234947B1 (ko)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555791B1 (ko) 모듈 이동설치식 텐트형 스크린 골프용 부스
KR102502774B1 (ko) 가상 골프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