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789B1 -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 Google Patents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789B1
KR101262789B1 KR1020110066859A KR20110066859A KR101262789B1 KR 101262789 B1 KR101262789 B1 KR 101262789B1 KR 1020110066859 A KR1020110066859 A KR 1020110066859A KR 20110066859 A KR20110066859 A KR 20110066859A KR 101262789 B1 KR101262789 B1 KR 1012627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screen element
element members
frame
gol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68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460A (ko
Inventor
이정훈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KR10201100668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789B1/ko
Priority to JP2014518828A priority patent/JP5788594B2/ja
Priority to TW101124481A priority patent/TWI458527B/zh
Priority to US14/130,933 priority patent/US20140155186A1/en
Priority to PCT/KR2012/005365 priority patent/WO2013006007A2/ko
Priority to CN201280032881.4A priority patent/CN103648595B/zh
Priority to AU2012278443A priority patent/AU2012278443B2/en
Publication of KR20130005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789B1/ko
Priority to US14/748,238 priority patent/US20150290511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3/00Targets or goals for ball games
    • A63B63/06Revolving targets ; Moving targets, e.g. moving or revolving on impac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5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7Out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a large display in a public venue, e.g. in a movie theatre, stadium or game aren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55Controlling game characters or game objects based on the game progress
    • A63F13/57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 A63F13/573Simulating properties, behaviour or motion of objects in the game world, e.g. computing tyre load in a car race game using trajectories of game objects, e.g. of a golf ball according to the point of impac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3Repetitive work cycles; Sequence of movements
    • G09B19/0038Spo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38Displaying moving images of recorded environment, e.g. virtual environ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74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with powered illuminating means, e.g. ligh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 A63F13/211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sensors, purposes or types using inertial sensors, e.g. accelerometers or gyroscop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8Trick photography
    • G03B15/10Trick photography using back-projection, i.e. blending artificial background with real foregroun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이 스크린을 투과하도록 하여 타격된 골프공이 골퍼의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골프 라운딩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고, 타격한 골프공이 시야에서 사라지면서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골프공이 날아가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가상 골프의 리얼리티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골프공의 반복적인 투과에도 불구하고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스크린 요소부재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은,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로서,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소정 부분 겹쳐져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 상에 투영되는 가상의 골프 영상을 통해 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한 이른바 스크린 골프에서 사용되는 투과형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골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에서도 실제로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즐기는 것과 같은 리얼리티를 제공하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라고 불리우는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골퍼가 실제로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진행하는 것과 같은 리얼리티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 골프장과 동일한 영상을 가상현실로써 제공하고,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른 골프공의 이동 영상도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즉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스크린에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투영되고, 골퍼는 골프공을 스크린을 향해 타격하면서 동시에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골프 영상을 보면서 스크린 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골퍼에 의해 타격된 골프공이 스크린에 충돌한 후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설치된 부스(Booth)의 바닥면에 지저분하게 널려 있게 됨으로써 라운딩 환경의 쾌적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따라서 골프공을 타격한 후 골프공이 시야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설치된 부스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 라운딩 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타격한 골프공이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가상 골프의 리얼리티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이 스크린을 투과하도록 하여 타격된 골프공이 골퍼의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골프 라운딩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고, 타격한 골프공이 시야에서 사라지면서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골프공이 날아가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가상 골프의 리얼리티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골프공의 반복적인 투과에도 불구하고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스크린 요소부재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은,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로서,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소정 부분 겹쳐져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난연 처리된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의 빛의 방향이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겹쳐진 부분의 측면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를 갖는 지지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경사진 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와 다른 경사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후면 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지지가이드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지지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와 제2 지지가이드부가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경사진 앞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경사면부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일 측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단턱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경사진 후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 경사면부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다른 측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 단턱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프레임은, 전체 스크린 요소부재들 중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이 복수개 결합됨으로써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제1 서브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와 대응되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후면 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지지하는 제2 서브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지지가이드부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지지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와 제2 서브 프레임부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와 제2 지지가이드부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지지가이드부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지지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와 제2 서브 프레임부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와 제2 지지가이드부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제1 서브 프레임의 단부와 다른 서브 프레임의 제2 서브 프레임의 단부가 스크린 요소부재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은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이 스크린을 투과하도록 하여 타격된 골프공이 골퍼의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골프 라운딩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고, 타격한 골프공이 시야에서 사라지면서 시뮬레이션 영상에서 골프공이 날아가는 영상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가상 골프의 리얼리티를 더욱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특히 골프공의 반복적인 투과에도 불구하고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는 스크린 요소부재 사이가 벌어지지 않도록 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의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바람직하게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배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가이드부를 통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에 대한 I-I 단면에서 바라본 모습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을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전면부와 측면벽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스크린 골프 부스(1)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골프 부스(1)의 전면부에 투과형 스크린(S)이 장착되고, 골프 시뮬레이터(200)에 의해 작동하는 프로젝터(210)가 골프장 및 그 배경, 그리고 골프공의 이동 영상 등의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영상을 상기 투과형 스크린(S)에 투영하도록 구비된다.
골퍼가 부스(1)의 바닥에 마련된 타석(100)에 들어서서 골프매트(110) 위에 놓인 골프공을 골프클럽으로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은 투과형 스크린(S)을 향해 날아가는데, 이때 골프공은 투과형 스크린(S)을 투과한다. 타격된 골프공의 움직임은 센서(220)가 감지하여 골프 시뮬레이터(200)가 이를 소정의 영상으로 구현하여 상기 프로젝터(210)를 통해 투과형 스크린(S)으로 투영시킨다.
여기서 상기 투과형 스크린(S)은 기본적으로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되며 타격된 골프공은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 사이로 통과됨으로써 구현되는 것이다.
투과형 스크린(S)의 후면 쪽에는 완충수단이 구비되어 있어 투과된 골프공이 완충되어 바닥으로 낙하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바닥으로 낙하한 골프공은 스크린 골프 부스(1) 바닥에 내장되어 장착된 볼 이송장치(미도시)에 의해 타석(100)으로 다시 회송되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투과형 스크린(S)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도 2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S)은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단과 하단에는 각각 프레임(20)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 전체를 지지하는 하나의 일체화된 프레임으로서 구비될 수도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21, 22, 23 등) 단위로 분할하여 구비될 수도 있다.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21, 22, 23 등) 단위로 분할하여 각각의 서브 프레임(21)이 전체 스크린 요소부재들 중 일부 스크린 요소부재들을 지지하도록 구성하면(이때 서브 프레임과 상기 서브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일부 스크린 요소부재들을 '서브 투과 스크린'이라 하기로 한다), 전체 투과형 스크린은 복수개의 서브 투과 스크린을 나란히 배치하도록 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고, 투과형 스크린에서 부분적으로 문제가 발생하거나 세탁이 필요할 경우 해당 부분에 대한 서브 투과 스크린만 분리하여 교체할 수 있어 작업이 간편하다는 특장점이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종래에는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슬랫을 나란히 배치하여 슬랫과 슬랫 사이에 투과할 수 있는 틈이 형성되도록 하였는데, 이와 같이 슬랫과 슬랫 사이를 골프공이 반복적으로 투과함에 따라 그 틈이 점점 크게 벌어져서 외관상 상당히 좋지 않은 인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며 영상을 투영하였을 때 그 벌어진 틈으로 말미암아 영상이 제대로 투영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S)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요소부재(10)를 나란히 배치하되 서로 소정 부분 겹쳐져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크린 요소부재(10-1)의 일부와 다른 스크린 요소부재(10-2)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고 다른 스크린 요소부재(10-2)의 다른 일부와 또 다른 스크린 요소부재(10-3)의 일부가 서로 겹쳐지는 방식으로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10)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되며, 이때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10)는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가 된다.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10)의 서로 겹쳐진 부분은 하나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절반을 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스크린 요소부재의 절반 보다 작은 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투과형 스크린의 I-I 단면 방향으로 바라본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프레임 부분은 생략되어 있음).
이와 같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방향으로 설치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빛의 방향을 고려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210)가 측면 쪽에서 비스듬히 영상을 투영한다고 가정할 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빛은 투과형 스크린을 향해 비스듬히 진행한다.
이때 만약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프로젝터의 빛이 오는 방향을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면 프로젝터의 빛에 의해 그림자(D)가 생기게 되어 전체적으로 투과형 스크린에 줄무늬가 매우 굵게 나타나서 외관상 시뮬레이션 영상이 매끄럽게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빛의 방향이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겹쳐진 부분의 측면 쪽을 향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프로젝터의 빛에 의해 그림자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젝터의 빛의 방향을 고려하여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겹쳐지도록 설치함으로써 줄무늬가 매우 가늘게 보이도록 할 수 있고 각각의 줄무늬가 일정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외관상 불편함을 느끼도록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설치된 투과형 스크린에 대해 골프공이 타격되면, 타격된 골프공은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겹쳐진 상태를 해제하면서 투과되고, 벌어진 스크린 요소부재는 곧바로 원상복귀하는데, 이때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 자체가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탄력적으로 복귀할 수 있으며 반복적인 투과에도 불구하고 그 원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기 용이하게 될 수 있다.
종래에는 투과형 스크린을 구성하기 위한 복수개의 서로 나란히 배치된 슬랫을 탄성이 없는 천으로 제조하고 그 단부에 각각 탄성을 부여하는 여러 가지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각각의 슬랫에 탄성이 부여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슬랫 자체가 탄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오랫동안 반복된 투과에 따라 슬랫과 슬랫 사이가 쉽게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없었으며 천으로 이루어진 부분과 탄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분리될 수 있는 우려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투과형 스크린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을 그 자체가 스판덱스 재질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도록 하였으며, 스판덱스 자체에 난연 처리, 즉 불에 잘 타지 않도록 하는 처리를 함으로써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즉 스판덱스 원사에 대해 난연 처리를 한 후, 난연 처리된 실리콘과 난연 처리된 스판덱스 원사를 이용하여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제조하도록 하거나 하나의 큰 스크린을 제조하여 스크린 요소부재를 재단하여 제조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골프공이 반복적으로 투과를 하면서 서로 겹쳐진 상태가 계속 유지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어느 한 스크린 요소부재의 뒷쪽으로 겹쳐진 다른 스크린 요소부재의 일부가 골프공이 오랫동안 투과를 반복함으로써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앞쪽으로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봤을 때 부분적으로 어긋나 보이도록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경사지도록 형성된 상태가 계속적으로 유지되도록 그 형태를 잡아주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도 5 내지 도 8에서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하는 프레임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5는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가이드부를 통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에 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21, 22, 23)에 대한 I-I 단면에서 바라본 모습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21, 22, 23)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서브 프레임에 대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에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가이드부(31, 32)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가이드부(31, 32)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상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가이드하게 된다.
즉 골프공이 스크린 요소부재 사이를 투과하면서 스크린 요소부재가 원래의 상태로 빠르게 복귀할 수 있도록 지지력을 제공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20)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20-1)와, 상기 제1 프레임부(20-1)와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의 후면 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20-1)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부(2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부(20-1) 및 제2 프레임부가(20-2) 각각 전체 스크린 요소부재들을 지지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프레임(20)이 구성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프레임부(20-1)에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지지가이드부(31)가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프레임부(20-2)에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지지가이드부(32)가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제1 프레임부(20-1)와 제2 프레임부(20-2)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31)와 제2 지지가이드부(32)가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서는 프레임(20)이 복수개의 서브 프레임(21, 22, 23)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는데,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 프레임(21, 22, 23)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제1 서브 프레임부(21-1, 22-1, 23-1)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21-1, 22-1, 23-1)와 대응되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의 후면 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21-1, 22-1, 23-1)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를 지지하는 제2 서브 프레임부(21-2, 22-2, 23-2)를 포함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서브 프레임(21)의 제1 서브 프레임(21-1)의 단부(X)와 다른 서브 프레임(22)의 제2 서브 프레임(22-2)의 단부(Y)가 스크린 요소부재(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런 방식으로 다른 서브 프레임(22)의 제1 서브 프레임(22-1)의 단부(X)와 또 다른 서브 프레임(23)의 제2 서브 프레임(23-2)의 단부(Y)가 스크린 요소부재(10)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각 서브 프레임(21 등)의 조립을 간단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각 서브 프레임 사이에 불연속되는 부분 없이 연속적으로 스크린 요소부재(10)를 지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제1 서브 프레임부(21-1, 22-1, 23-1)에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지지가이드부(31)가 형성되고, 각각의 제2 서브 프레임부(21-2, 22-2, 23-2)에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지지가이드부(32)를 구비하여, 제1 서브 프레임부(21-1, 22-1, 23-1)와 제2 서브 프레임부(21-2, 22-2, 23-2)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31)와 제2 지지가이드부(32)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31)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의 경사진 전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경사면부(31a)와, 상기 제1 경사면부(31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일 측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단턱부(31b)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 지지가이드부(32)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의 경사진 후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 경사면부(32a)와, 상기 제2 경사면부(32a)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다른 측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 단턱부(32b)를 포함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31)의 제1 경사면부(31a) 및 제1 단턱부(31b)로 이루어진 구조와 상기 제2 지지가이드부(32)의 제2 경사면부(32a) 및 제2 단턱부(32b)로 이루어진 구조가 서로 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형성된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한편, 도 9에서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가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그 후면에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10)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지지부재(40)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 배치되어 설치된 상태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40)는 스판덱스 재질이나 고무 재질 등 탄성이 높은 재질로서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그 양쪽 단부는 각각 벽면에 고정되거나 별도의 구조물을 구비하여 상기 각각의 지지부재(40)가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40)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지지하여 골프공이 스크린 요소부재들 사이를 투과하더라도 그 형상이 원래대로 복원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S:투과형 스크린, 10:스크린 요소부재
20:프레임, 21, 22, 23:서브 프레임
21-1, 22-1, 23-1:제1 서브프레임부
21-2, 22-2, 23-2:제2 서브프레임부
31, 32:지지가이드부

Claims (13)

  1.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로서,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소정 부분 겹쳐져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지지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난연 처리된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영상을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의 빛의 방향이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겹쳐진 부분의 측면 쪽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경사진 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경사면부와,
    상기 경사면부와 다른 경사면부 사이에 형성되는 단턱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7.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로서,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소정 부분 겹쳐져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제1 프레임부와,
    상기 제1 프레임부와 대응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후면 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프레임부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지지하는 제2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지지가이드부와, 상기 제2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지지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프레임부와 제2 프레임부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와 제2 지지가이드부가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경사진 전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경사면부와, 상기 제1 경사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일 측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1 단턱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가이드부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경사진 후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 경사면부와, 상기 제2 경사면부의 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다른 측면이 안착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제2 단턱부를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10.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로서,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스판덱스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가 서로 소정 부분 겹쳐져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도록 설치되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지도록 나란히 배치되는 상태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전체 스크린 요소부재들 중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 서브 프레임이 복수개 결합됨으로써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서브 프레임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전면 쪽에 설치되는 제1 서브 프레임부와,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와 대응되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후면 쪽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와 결합됨으로써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지지하는 제2 서브 프레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1 지지가이드부와, 상기 제2 서브 프레임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 각각이 서로 겹쳐져서 소정 각도 경사진 상태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제2 지지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서브 프레임부와 제2 서브 프레임부가 서로 결합함으로써 상기 제1 지지가이드부와 제2 지지가이드부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설치된 상태를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프레임의 제1 서브 프레임의 단부와 다른 서브 프레임의 제2 서브 프레임의 단부가 스크린 요소부재의 전면과 후면에 각각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KR1020110066859A 2011-07-06 2011-07-06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KR101262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859A KR101262789B1 (ko) 2011-07-06 2011-07-06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JP2014518828A JP5788594B2 (ja) 2011-07-06 2012-07-06 スクリーンゴルフ用の透過型スクリーン
TW101124481A TWI458527B (zh) 2011-07-06 2012-07-06 用於螢幕高爾夫之穿透型螢幕
US14/130,933 US20140155186A1 (en) 2011-07-06 2012-07-06 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PCT/KR2012/005365 WO2013006007A2 (ko) 2011-07-06 2012-07-06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CN201280032881.4A CN103648595B (zh) 2011-07-06 2012-07-06 用于屏幕高尔夫的穿透型屏幕
AU2012278443A AU2012278443B2 (en) 2011-07-06 2012-07-06 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US14/748,238 US20150290511A1 (en) 2011-07-06 2015-06-24 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6859A KR101262789B1 (ko) 2011-07-06 2011-07-06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460A KR20130005460A (ko) 2013-01-16
KR101262789B1 true KR101262789B1 (ko) 2013-05-09

Family

ID=47437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6859A KR101262789B1 (ko) 2011-07-06 2011-07-06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20140155186A1 (ko)
JP (1) JP5788594B2 (ko)
KR (1) KR101262789B1 (ko)
CN (1) CN103648595B (ko)
AU (1) AU2012278443B2 (ko)
TW (1) TWI458527B (ko)
WO (1) WO2013006007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4195B (zh) * 2017-04-10 2023-10-03 安可合伙人公司 高尔夫系统
KR102332949B1 (ko) * 2018-08-29 2021-12-01 주식회사 에스지엠 곡면 스크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스포츠 시스템
KR102234942B1 (ko) * 2019-05-27 2021-04-02 주식회사 에스지엠 투과형 스크린을 이용하는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2234947B1 (ko) * 2021-03-02 2021-04-02 주식회사 에스지엠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72Y1 (ko) 2008-01-18 2010-04-26 희 봉 김 골프용 스크린
KR100972822B1 (ko) 2009-11-30 2010-07-28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0994751B1 (ko) * 2010-06-28 2010-11-17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US20110070961A1 (en) * 2009-09-21 2011-03-24 Full Swing Golf Apparatus for golf siml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72410A (en) * 1960-09-09 1963-01-08 Reflectone Electronics Inc Golf game apparatus
US3420524A (en) * 1966-04-07 1969-01-07 Brunswick Corp Strand type target having realigning means
US3655203A (en) * 1970-10-30 1972-04-11 Brunswick Corp Penetrable target screen
US4132462A (en) * 1977-09-12 1979-01-02 Acushnet Company Filamentary projection system
US4617122A (en) * 1984-08-01 1986-10-14 Donaldson Company, Inc. Crimp seal pleated filter assembly
JPH04193188A (ja) * 1990-11-27 1992-07-13 Nishi Shoji Kk ゴルフ練習場の標的
US5918614A (en) * 1994-01-18 1999-07-06 Lynch; James P. Configurable shade structure including a kit and method therefor
GB9503804D0 (en) * 1995-02-24 1995-04-12 Lai Colin T C Golf driving target
US5639069A (en) * 1996-04-16 1997-06-17 Mcclure; Jack A. Fence construction assembly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911636A (en) * 1998-01-16 1999-06-15 Southeast Golf, Inc. Golf club fitting method and system
GB0127810D0 (en) * 2001-11-21 2002-01-09 Tilting Tees Ltd Golf simulator
JP2003299872A (ja) * 2002-04-12 2003-10-21 Konami Co Ltd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方法
CN2789809Y (zh) * 2005-05-23 2006-06-21 珠海优特电力科技股份有限公司 投影用组合式幕帘
JP2008197202A (ja) * 2007-02-09 2008-08-28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及びプロジェクタシステム
JP2008307091A (ja) * 2007-06-12 2008-12-25 Akira Tomono 実物体干渉表示装置
JP2010175949A (ja) * 2009-01-30 2010-08-12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100947769B1 (ko) * 2009-05-21 2010-03-18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090007891U (ko) * 2009-07-15 2009-08-04 성상경 천공용 골프스크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572Y1 (ko) 2008-01-18 2010-04-26 희 봉 김 골프용 스크린
US20110070961A1 (en) * 2009-09-21 2011-03-24 Full Swing Golf Apparatus for golf simlulation
KR100972822B1 (ko) 2009-11-30 2010-07-28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0994751B1 (ko) * 2010-06-28 2010-11-17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311316A (zh) 2013-03-16
AU2012278443A1 (en) 2014-01-23
AU2012278443B2 (en) 2016-02-18
CN103648595B (zh) 2016-05-25
US20140155186A1 (en) 2014-06-05
KR20130005460A (ko) 2013-01-16
JP2014529306A (ja) 2014-11-06
TWI458527B (zh) 2014-11-01
JP5788594B2 (ja) 2015-10-07
CN103648595A (zh) 2014-03-19
WO2013006007A3 (ko) 2013-04-04
US20150290511A1 (en) 2015-10-15
WO2013006007A2 (ko) 2013-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789B1 (ko)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KR100972822B1 (ko)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0994751B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KR20120085771A (ko)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KR101220597B1 (ko) 게임 기능을 구비한 영상물 상영 시설
KR200446059Y1 (ko) 모의 골프시스템의 구조물
KR101264004B1 (ko)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US9852650B2 (en) Simulation device
CN201673360U (zh) 一种球幕电影装置
KR20120119721A (ko) 소음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스크린 골프용 탄성체 스크린
KR101643943B1 (ko)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AU2016219682A1 (en) Trampolines and trampoline parks
JP3219115U (ja) 運動施設
KR100947769B1 (ko)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1765510B1 (ko) 스크린 야구 시스템
KR20090012444U (ko) 멀티 스크린 골프 연습 장치
KR101344109B1 (ko) 골프 시뮬레이터용 스크린
KR20190030629A (ko) 다중 디스플레이 방식을 적용한 스크린 야구 시스템
JP2010125048A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ー装置、及び該ゴルフシミュレーター装置を備える飲食店舗
CN105268188A (zh) 一种多屏影视跳楼机
KR20210032362A (ko) 그리너리 상영환경을 제공하는 상영관 및 이를 위한 상영관 시스템
RU107244U1 (ru) Бицилиндрический виртуальный аттракцион
ES2345230B1 (es) Sistema simulador de efectos ambientales reales dentro de un recinto.
KR20190121667A (ko) 가상현실체험시스템.
DE202015006536U1 (de) Anordnung mit Bewegtbilddarstellung von Objekten oder Körperteilen, deren Bewegungen eine Grundplatte bzw. den Fussboden in Schwingung versetz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