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943B1 -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943B1
KR101643943B1 KR1020150080151A KR20150080151A KR101643943B1 KR 101643943 B1 KR101643943 B1 KR 101643943B1 KR 1020150080151 A KR1020150080151 A KR 1020150080151A KR 20150080151 A KR20150080151 A KR 20150080151A KR 101643943 B1 KR101643943 B1 KR 1016439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rface portion
mist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0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귀
이석훈
조성연
김기원
쓰가코 아키야마
권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리얼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리얼,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리얼
Priority to KR1020150080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943B1/ko
Priority to PCT/KR2016/005573 priority patent/WO2016195319A1/ko
Priority to US15/579,794 priority patent/US10397562B2/en
Priority to CN201680040937.9A priority patent/CN107836108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9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9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224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related to virtual studio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25/00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cinema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H04N13/0402
    • H04N13/0456
    • H04N13/049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8Mobile studio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2005/001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enhancing the performance by involving senses complementary to sight or hearing
    • A63J2005/005Climat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5/00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 A63J2005/001Auxiliaries for producing special effects on stages, or in circuses or arenas enhancing the performance by involving senses complementary to sight or hearing
    • A63J2005/005Climate
    • A63J2005/007Humid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1Constructional or mechanic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Toy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TV 모니터와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지니고,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체감효과를 제공하는 체감효과 실행부가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4D FLATFORM FOR DOMESTIC USE AND 4D SYSTEM FOR DOMESTIC USE}
본 발명은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TV 모니터와 손쉽게 연결할 수 있는 컴팩트한 구조를 지니고,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체감효과를 제공하는 체감효과 실행부가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서는 영화를 촬영할 때 입체촬영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2차원 영상뿐만 아니라 동일한 내용이지만 현실감을 보다 증가시킨 3차원 입체영화가 동시에 개봉되고 있고 이의 상영을 위한 전문 입체영상관도 생겨나고 있으며, 극장의 의자에 진동장치를 달아 영화 속의 중저음 사운드와 연동하여 자동제어로 진동하도록 함으로써 보다 깊은 느낌의 음향 체험을 할 수 있는 4D 의자를 채택하는 영화관도 생겨나고 있다. 또한, 제한적이긴 하지만 관객들이 현실감을 좀 더 느끼도록 하기 위하여 영상신호에 여러 특수효과 신호를 내장한 후 영상신호에 따라 특수효과가 발생되도록 하여 관객들의 후각을 자극함으로써 보다 영화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방법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눈으로 보이는 것은 주로 3차원의 입체영상이지만 카메라나 캠코더 등을 이용하여 촬영한 영상이 TV, 모니터, 극장의 스크린을 통해서 보일 경우 평면 2차원이기 때문에 그 입체감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극장이나 놀이공원의 대형 이벤트 홀, 입체영화관 등의 의자에 앉아 영화를 감상할 경우 영상 속의 여러 가지 상황을 간접적으로나마 체험할 수 있도록 특수효과장치를 구비한 특수효과 체감형 의자도 제시되고 있다.
보통 영화관의 경우 일반영화를 상영하는 개봉관, 테마파크 등 유희를 목적으로 하는 장소에서의 특수영상관, 박물관/홍보관/기업전시관에서 교육 및 홍보를 목적으로 하는 전시영상관 등으로 크게 나뉠 수 있다.
그리고, 극영화, 다큐멘터리 영화를 포함하며 대부분의 영화관에서 상영되는 영화의 영화적 재미나 가치는 그 영화의 완성도 즉, 작가의 사상이 표현된 시나리오 및 기획의 수준, 배우의 연기력, 적절한 세트 및 화면구성 등에 의해서 평가받게 되는데, 대부분의 경우 인간의 오감 중 시각과 청각만을 활용해 내용을 관객들에게 전달함으로써 관객들이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되어 좀더 영화에 몰입하고 영화에 참여하고 반응하며 상호작용할 수 있는 기회가 극히 제한되어 있다.
한편, 근래에 들어와서는 신호의 쌍방향 교신이 가능한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과 영화산업의 중흥을 계기로 새로운 형태의 영화시장에 대한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대두되고 있다.
영화를 촬영할 때 입체촬영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이차원 영상뿐만 아니라 동일한 내용이지만 현실감을 보다 증강시킨 삼차원 입체영화가 동시에 개봉되기도 하고, 이의 상영을 위한 전문 입체영상관도 생겨나고 있으며, 극장의 의자에 진동장치를 달아 영화 속의 중저음 사운드와 연동하여 자동 진동토록 함으로써 보다 깊은 느낌의 음향 체험을 할 수 있는 체감형 의자를 채택하는 영화관도 생겨나고 있다.
또한, 박물관 및 기업홍보관 등에서 방영하는 전시 및 홍보영상의 경우에도 다큐멘터리 형태의 사실전달 위주의 나열식 내용구성보다는 시나리오를 통한 입체 또는 그래픽 특수 시각효과 등을 적절히 활용한 극을 구성하여 관객들이 영상에 몰입토록 함으로써 영상 관람 후 자연스레 지식이 습득될 수 있도록 영상시스템을 구성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주로 시각에만 의존하는 기존의 방식과는 다른 독특하고 다양한 체험을 원하는 현대인의 심리를 반영하여 인간의 오감 중 촉감 즉, 기분 나쁘지 않을 정도의 간단한 신체자극을 통해 관객들을 깜짝 놀라게 하거나 영상내용과 유사한 환경효과를 연출함으로써 더욱 재미있게 영상물을 관람하고 영화에 몰입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어 왔으며, 영상물이 가지고 있는 메시지를 관객들에게 효과적으로 전달코자 하는 노력도 다각도로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체감형 영상시스템은 극장이나 박물관 등에 대규모로 설치되므로 관객들은 4D 체험을 하기 위해서 극장이나 박물관 등에 직접 가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그에 따라 일각에서는 일반 가정에서도 4D 체감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특허문헌 1) KR10-1005320 B1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면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분사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물을 미스트분사함으로써 4D 체감효과를 증대시키는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분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조명부를 통하여 빛을 후상방의 대각선 방향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4D 체감효과를 증대시키는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조명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블로워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전방으로 바람을 제공함으로써 4D 체감효과를 배가시키는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후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구성된 외관부를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하여 각각의 파트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한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은 외관부; 상기 외관부의 내부에 배치되는 체감효과 실행부; 상기 외관부의 내측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체감효과 실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감효과 실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체감효과 실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감효과 실행부는, 상기 외관부의 전면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블로워부; 영상물의 각 장면에 맞추어 상기 외관부의 전면으로 물을 미스트분사하는 분사부; 상기 외관부의 후면으로 빛을 점멸하는 조명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외관부는, 트랙 형상의 전면부, 상기 전면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트랙 형상의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좌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우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의 일면을 둘러싸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하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는 물이 미스트분사되는 미스트분사홀이 다수로 형성되고, 상기 미스트분사홀과 인접한 상기 상면부의 하부에는 바람이 통과하는 송풍홀이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킨 후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케이스홀로 송풍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홀로 송풍된 바람이 상기 송풍홀을 통하여 외부로 송풍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전면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사박스 및 상기 전면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박스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미스트분사홀과 대응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상기 미스트분사홀을 향하여 상기 물을 미스트분사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및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분사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며, 상기 경사면과 상기 하면부는 예각을 이룬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상면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빛을 조사한다.
한편,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시스템은 빛, 미스트분사, 및 바람을 제공하는 가정용 4D 플랫폼; 영상물이 상영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가정용 4D 플랫폼과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체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정용 4D 플랫폼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영되는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빛, 미스트분사 및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을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부의 내측에 장착되는 분사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물을 미스트분사함으로써 사용자가 영화 속의 주인공이 된 것과 같은 현실감 있는 4D 체감효과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분사부의 양측에 배치되는 조명부를 통하여 빛을 후상방의 대각선 방향으로 점멸시킴으로써 사용자에게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른 4D 체감효과를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부의 후방에 배치되는 블로워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전방으로 바람을 제공함으로써 현실감을 보다 배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전면부, 후면부, 좌측면부, 후측면부, 상면부 및 하면부로 구성된 외관부를 컴팩트한 구조로 설계하여 각각의 파트로 분해 및 조립이 가능하고, 가정 내에서 손쉽게 설치하여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을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상면부만 분해한 상태에서 가정용 4D 플랫폼의 내부에 배치되는 체감효과 실행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의 체감효과를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상면부를 제외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우측면부를 제외한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시스템을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을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상면부만 분해한 상태에서 가정용 4D 플랫폼의 내부에 배치되는 체감효과 실행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100)은 외관부(110), 외관부(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체감효과 실행부(120), 외관부(110)의 내측 하면에 고정되어 체감효과 실행부(120)를 지지하는 지지부(130), 및 체감효과 실행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체감효과 실행부(12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외관부(110)는 트랙 형상의 전면부(111), 전면부(111)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트랙 형상의 후면부(112),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면부(111)와 후면부(112)를 연결하는 좌측면부(113), 좌측면부(113)에 대향하도록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전면부(111)와 후면부(112)를 연결하는 우측면부(114), 좌측면부(113)와 우측면부(114)의 일면을 둘러싸는 상면부(115), 및 상면부(115)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하면부(116)를 포함한다.
전면부(111)는 트랙 형상의 판부재로서, 그 재질은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가벼우면서도 일정 수준 이상의 강성을 지닌 아크릴계열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전면부(111)는 미스트분사홀(111a) 및 송풍홀(111b)을 포함한다.
미스트분사홀(111a)은 전면부(111)의 중앙부에 물이 미스트분사되도록 다수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미스트분사홀(111a)는 상하 대칭의 호형상으로 이루어지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111)의 중앙부 좌측과 우측에 각각 형성된다.
송풍홀(111b)은 미스트분사홀(111a)과 인접한 전면부(111)의 하부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전면부(111)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전술한 미스트분사홀(111a)과 송풍홀(111b)은 후술되는 체험부(300)에 착석한 사용자에게 4D 체험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에게 미스트분사되는 물과 바람을 제공할 위치에 따라 미스트분사홀(111a)과 송풍홀(111b)의 각도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전면부(111)에 인접한 하면부(116)에 별도의 액츄에이터(미도시)를 설치하여 높낮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효과의 위치를 변경할 수도 있다.
후면부(112)는 전면부(111)와 평행하도록 배치되는 트랙 형상이고, 전술한 전면부(111)와 형상은 동일하나 전면부(111)와 같은 별도의 미스트분사홀(111a)과 송풍홀(111b)이 형성되지 않는다.
좌측면부(113)는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의 일측에 형성되어 전면부(111)와 후면부(112)를 연결하는 'U'자 형상의 판부재이다.
우측면부(114)는 좌측면부(113)에 대향하도록 전면부(111)와 후면부(1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전면부(111)와 후면부(112)를 연결하는 'U'자 형상의 판부재이고, 전술한 좌측면부(113)과 동일한 형상을 지닌다.
상면부(115)는 후면부(111), 좌측면부(113), 및 우측면부(114)의 상부로 탈착 가능한 직사각형상의 판부재이고, 상면부(115)의 양측부는 좌측면부(113)와 우측면부(114)의 상면을 둘러싸면서 결합된다.
하면부(116)는 상면부(111)와 대향하도록 위치하여 후면부(112), 좌측면부(113), 및 우측면부(114)의 하부를 지지하는 직사각형상의 판부재이다.
전술한 외관부(1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100)이 가정용이라는 점을 감안하여 휴대성을 향상시키고, 분해 및 조립이 용이하도록 설계하며, 그에 따른 재질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플랫폼의 체감효과를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상면부를 제외한 평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우측면부를 제외한 우측면도이다.
체감효과 실행부(120)는 영상물의 각 장면에 맞추어 외관부(110)의 전면으로 물을 미스트분사하는 것, 외관부(110)의 후면으로 빛을 점멸하는 것, 외관부(110)의 전면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실행시키며, 이러한 체감효과 실행부(120)는 블로워부(121), 분사부(122) 및 조명부(123)를 포함한다.
블로워부(121)는 외관부(110)의 전면으로 바람을 송풍하며, 이러한 블로워부(121)는 케이스(121a, 121d, 121f), 케이스(121a, 121d, 121f)의 내부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송풍팬(미도시), 및 송풍팬과 연결되는 모터(121c, 121h)를 포함한다.
블로워부(121)는 제 1 케이스(121a), 제 1 케이스홀(121b), 제 1 모터(121c), 제 2 케이스(121d), 제 2 케이스홀(121e), 제 3 케이스(121f), 제 3 케이스홀(121g), 제 2 모터(121h)를 포함한다.
케이스(121a, 121d, 121f)는 각각 제 1 케이스(121a), 제 2 케이스(121d), 및 제 3 케이스(121f)로서, 모터(121c, 121h)와 연결된 송풍팬(미도시)이 회전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된다.
모터(121c, 121h)는 각각 제 1 모터(121c)와 제 2 모터(121h)로서,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킨 후 케이스(121a, 121d, 121f)에 형성되는 케이스홀(121b, 121e, 121g)로 송풍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모터(121c)는 제 1 케이스(121a)와 제 2 케이스(121d) 내에 위치한 송풍팬과 연결됨에 따라 제 1 케이스(121a)와 제 2 케이스(121d)에서 바람을 발생시킨다.
한편, 제 2 모터(121h)는 제 3 케이스(121f) 내에 위치한 송풍팬에만 연결됨에 따라 제 3 케이스(121f)에서 바람을 발생시킨다.
이때의 케이스홀(121b, 121e, 121g)은 각각 제 1 케이스(121a)에 형성되는 제 1 케이스홀(121b), 제 2 케이스(121d)에 형성되는 제 2 케이스홀(121e), 제 3 케이스(121f)에 형성되는 제 3 케이스홀(121g)이다.
전술한 제 1 모터(121c)와 제 2 모터(121h)의 회전에 따라 케이스홀(121b, 121e, 121g)로 송풍된 바람이 송풍홀(111b)을 통하여 외부로 송풍된다.
분사부(122)는 영상물의 각 장면에 맞추어 외관부(110)의 전면으로 물을 미스트분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분사부(122)는 전면부(111)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사박스(122a) 및 전면부(111)의 전방을 향하도록 분사박스(122a)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22b)로 이루어진다.
분사박스(122a)는 전면부(111)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육면체 형상이고, 그 내부에는 분사노즐(122b)가 수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분사박스(122a)의 내부에는 분사노즐(122b)와 연통하여 미스트분사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제어밸브(미도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공급되는 물은 본 발명에서 도시되진 않았으나, 별도의 물탱크(미도시)가 구비되어 물을 분사노즐(122b)로 공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122b)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나, 분사노즐(122b)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이러한 분사노즐(122b)은 미스트분사홀(111a)과 대응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미스트분사홀(111a)을 향하여 물을 미스트분사한다.
조명부(123)는 외관부(110)의 후면으로 빛을 점멸하며, 이러한 조명부(123)는 상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하우징(123a), 및 경사면에 배치되는 조명부재(123b)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부(123)는 분사박스(122a)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면부(115)와 후면부(112)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며, 이러한 조명부(123)는 하우징(123a) 및 조명부재(123b)를 포함한다.
하우징(123a)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삼각기둥 형상이고, 경사면은 상면부(115)와 후면부(112) 사이를 향하도록 배치된다.
조명부재(123b)는 경사면에 배치되며, 상면부(115)를 향하여 경사지게 빛을 조사한다. 이때, 경사면과 하면부(116)는 예각을 이루는데, 이는 사용자가 위치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빛을 조사함에 따라 사용자의 눈부심을 방지하고, 백라이트 효과를 통하여 보다 극적인 체감효과를 내기 위함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명부재(123b)는 상면부(115)와 후면부(112) 사이로 빛을 조사한다.
지지부(130)는 제 1 지지부재(131) 및 제 2 지지부재(132)를 포함한다.
제 1 지지부재(131)는 전면부(111)와 인접한 하면부(116)의 상부에 고정되어 분사부(122)와 한 쌍의 조명부(123)를 지지하는 판부재이다.
제 2 지지부재(132)는 후면부(112)와 인접한 하면부(116)의 상부에 고정되어 블로워부(121)와 제어부(140)를 지지하는 판부재이다.
제어부(140)는 체감효과 실행부(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체감효과 실행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40)는 제 1 모터(121c)와 제 2 모터(121h)의 온/오프와 회전속도를 조절하고, 조명부재(123b)의 온/오프와 빛의 세기를 조절하며, 분사노즐(122b)로 주입되는 물의 분사량을 조절한다.
즉, 제어부(140)는 영상물의 상영 중 체감효과를 극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각각의 장면에서 제 1 모터(121c), 제 2 모터(121h), 분사노즐(122b) 및 조명부재(123b) 중 하나 이상의 동작을 제어함에 따라 사용자에게 다양한 체감효과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갑자기 화면이 전환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물리적인 충격을 받는 장면이 생성되는 경우 등에 제어부(140)의 제어가 시작된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시스템(500)을 설명하되, 가정용 4D 플랫폼(100)은 전술한 바를 참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시스템을 나타낸 일방향에서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시스템(500)은 빛, 미스트분사, 및 바람을 제공하는 가정용 4D 플랫폼(100), 영상물이 상영되는 디스플레이부(200), 및 가정용 4D 플랫폼과 이격되어 위치하여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체감부(300)를 포함한다.
가정용 4D 플랫폼(100)은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상영되는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빛, 미스트분사 및 바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제공한다.
디스플레이부(200)는 TV에서 상영되는 영상물이나 CD, DVD 등에 의해 재생되는 영상물이 표시되는 장치로서, 일반적인 TV 모니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체감부(300)는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제공되는 영상물을 상영하기 위해 디스플레이부(200)에 이격되어 배치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체험의자이다.
체험의자는 사용자가 착석된 상태에서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하로의 움직임이 가능하며, 이러한 체험의자의 체험효과는 디스플레이부(200)에서 제공되는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움직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가정용 4D 시스템(500)은 조작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영상물을 시청하면서 체감효과를 체험하는 것 뿐만 아니라 게임을 실행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이때의 조작부는 게임을 실행시켰을 경우, 사용자가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컨트롤러에 해당한다.
즉, 게임을 실행시켰을 경우,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가정용 4D 플랫폼(100) 및 체감부(300)의 체험효과를 체험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4D 플랫폼 110 : 외관부
111 : 전면부 111a : 미스트분사홀
111b : 송풍홀 112 : 후면부
113 : 좌측면부 114 : 우측면부
115 : 상면부 116 : 하면부
120 : 체감효과 실행부 121 : 블로워부
121a : 제 1 케이스 121b : 제 1 케이스홀
121c : 제 1 모터 121d : 제 2 케이스
121e : 제 2 케이스홀 121f : 제 3 케이스
121g : 제 3 케이스홀 121h : 제 2 모터
122 : 분사부 122a : 분사박스
122b : 분사노즐 123 : 조명부
123a : 하우징 123b : 조명부재
130 : 지지부 131 : 제 1 지지부재
132 : 제 2 지지부재 140 : 제어부
200 : 디스플레이부 300 : 체감부
500 : 4D 시스템

Claims (7)

  1. 트랙 형상의 전면부, 상기 전면부에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트랙 형상의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좌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에 대향하도록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는 우측면부, 상기 좌측면부와 상기 우측면부의 일면을 둘러싸는 상면부, 및 상기 상면부와 대향하도록 위치하는 하면부를 포함하는 외관부;
    물이 미스트분사되도록 상기 전면부의 중앙부에 다수개 형성되는 미스트분사홀;
    상기 미스트분사홀과 인접한 상기 전면부의 하부에 바람이 통과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송풍홀;
    상기 외관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송풍홀로 바람을 송풍하는 블로워부와, 영상물의 각 장면에 맞추어 상기 미스트분사홀로 물을 미스트분사하는 분사부와, 상기 외관부의 후면으로 빛을 점멸하는 조명부를 포함하는 체감효과 실행부;
    상기 외관부의 내측 하면에 고정되어 상기 체감효과 실행부를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체감효과 실행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체감효과 실행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4D 플랫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로워부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된 소정의 공간에서 회전 가능한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과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회전하면서 바람을 발생시킨 후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케이스홀로 송풍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케이스홀로 송풍된 바람이 상기 송풍홀을 통하여 외부로 송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4D 플랫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전면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분사박스 및 상기 전면부의 전방을 향하도록 상기 분사박스 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분사노즐로 이루어진 분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미스트분사홀과 대응하도록 위치함에 따라 상기 미스트분사홀을 향하여 물을 미스트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4D 플랫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는, 상면이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하우징, 및 상기 경사면에 배치되는 조명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분사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상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향하여 빛을 조사하며,
    상기 경사면과 상기 하면부는 예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4D 플랫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부재는 상기 상면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빛을 조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4D 플랫폼.
  7. 빛, 미스트분사, 및 바람을 제공하는 청구항 제1항의 가정용 4D 플랫폼;
    영상물이 상영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가정용 4D 플랫폼과 이격되어 위치하여 상기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위치가 변화하는 체감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정용 4D 플랫폼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상영되는 영상물의 각 장면에 따라 빛, 미스트분사 및 바람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정용 4D 시스템.
KR1020150080151A 2015-06-05 2015-06-05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KR1016439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51A KR101643943B1 (ko) 2015-06-05 2015-06-05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PCT/KR2016/005573 WO2016195319A1 (ko) 2015-06-05 2016-05-26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US15/579,794 US10397562B2 (en) 2015-06-05 2016-05-26 4D platform for home use and 4D system for home use
CN201680040937.9A CN107836108B (zh) 2015-06-05 2016-05-26 家庭用4d平台及家庭用4d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0151A KR101643943B1 (ko) 2015-06-05 2015-06-05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943B1 true KR101643943B1 (ko) 2016-08-01

Family

ID=56706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0151A KR101643943B1 (ko) 2015-06-05 2015-06-05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397562B2 (ko)
KR (1) KR101643943B1 (ko)
CN (1) CN107836108B (ko)
WO (1) WO20161953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011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포리얼 가정용 4d 영상물체험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767014C1 (ru) * 2021-08-23 2022-03-16 Юрий Анатольевич Римша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синхронизации аудиовизуальной информации и аромата
CN117555256A (zh) * 2023-10-20 2024-02-13 广州力天文化创意产业集团有限公司 飞行影院观影控制方法及飞行影院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89A (ja) * 2002-10-16 2004-05-13 Toshiba Eng Co Ltd 体感演出システム
KR20100114858A (ko) * 2009-04-16 201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KR20120105788A (ko) * 2011-03-16 2012-09-26 주식회사 레드로버 4d관람요소 제어시스템
JP2014092673A (ja) * 2012-11-02 2014-05-19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嗅覚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れに用いる香源カートリッ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9614A (ko) 2010-06-23 2011-12-29 씨제이포디플렉스 주식회사 특수 효과 설비를 포함하는 영상물 상영 시설
KR101443427B1 (ko) 2011-11-14 2014-09-29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홈 미디어용 4d 이펙트 구현 시스템 및 방법
CN203620256U (zh) * 2013-12-02 2014-06-04 蔡荔星 3.5d仿真电影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35789A (ja) * 2002-10-16 2004-05-13 Toshiba Eng Co Ltd 体感演出システム
KR20100114858A (ko) * 2009-04-16 2010-10-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실감 기기 성능 메타데이터를 이용한 실감 효과 표현 방법 및 장치
KR20120105788A (ko) * 2011-03-16 2012-09-26 주식회사 레드로버 4d관람요소 제어시스템
JP2014092673A (ja) * 2012-11-02 2014-05-19 National Institute Of 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嗅覚ディスプレイおよびそれに用いる香源カートリッ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6011A (ko) * 2019-01-08 2020-07-16 주식회사 포리얼 가정용 4d 영상물체험 시스템
KR102238272B1 (ko) * 2019-01-08 2021-04-09 주식회사 포리얼 가정용 4d 영상물체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5354A1 (en) 2018-10-11
WO2016195319A1 (ko) 2016-12-08
CN107836108A (zh) 2018-03-23
CN107836108B (zh) 2020-08-04
US10397562B2 (en) 2019-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6152A (en) Enhanced cinema system
KR101457911B1 (ko) 다면 상영을 위한 부가 효과 시스템 및 방법
US7868847B2 (en) Immersive environments with multiple points of view
Recuber Immersion cinema: The rationalization and reenchantment of cinematic space
US20150105167A1 (en) Special effect apparatus
KR101220597B1 (ko) 게임 기능을 구비한 영상물 상영 시설
KR20110139614A (ko) 특수 효과 설비를 포함하는 영상물 상영 시설
KR101643943B1 (ko) 가정용 4d 플랫폼 및 가정용 4d 시스템
CN109246404B (zh) 包括方向可变的观众坐位的多投影系统和方法
KR20170089862A (ko) 소셜 미디어 링크형 대형 극장 설계
KR102163601B1 (ko) 4d 상영관 시스템
Nedelcu Expanded image spaces. from panoramic image to virtual reality, through cinema
JP2002300613A (ja) 展示映像システム
Park et al. The making of Kyongju VR theatre
KR101379258B1 (ko) 공중 원형 데크를 이용한 원형 영상관
CN210186423U (zh) 一种5d沉浸式电影主题公园
US10419733B2 (en) Systems for creating and displaying real-time interactive virtual stage imagery using three dimensional stereoscopic projections
JPH07129789A (ja) 映像シミュレーション装置
Seel Digital TV in 3D: a passing fad or the next step in the evolution of digital television?
JP2005315994A (ja) 講演装置
KR101457904B1 (ko) 다면 상영을 위한 부가 효과 시스템 및 방법
KR101774936B1 (ko) 소음저감을 위한 흡배기장치
Lantz Large-scale immersive displays in entertainment and education
JP2018531561A6 (ja) ステージセクションを有するライブイベントで使用するためのリアルタイムの3次元立体投影を生成して表示するためのシステム
US20200314406A1 (en) Device for generating at least one hologram, in particular by means of dro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