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751B1 -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751B1
KR100994751B1 KR1020100061207A KR20100061207A KR100994751B1 KR 100994751 B1 KR100994751 B1 KR 100994751B1 KR 1020100061207 A KR1020100061207 A KR 1020100061207A KR 20100061207 A KR20100061207 A KR 20100061207A KR 100994751 B1 KR100994751 B1 KR 100994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golf
screen element
transmission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12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찬
옥재윤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주) 골프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골프존 filed Critical (주) 골프존
Priority to KR10201000612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4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for small-room or indoor sporting gam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이 스크린을 투과하도록 하여 타격된 골프공이 골퍼의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가상 골프 라운딩 또는 골프 연습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고 가상 골프의 현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는, 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포함하는 투과 스크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웨이트부재; 및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를 상기 웨이트부재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SCREEN DEVICE FOR SCREEN GOLF}
본 발명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가상의 골프 영상을 통해 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골프 시뮬레이션, 소위 스크린 골프에서 사용되는 투과형 스크린을 기반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사람들의 골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실내에서도 실제로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즐기는 것과 같은 리얼리티를 제공하는 이른바 "스크린 골프"라고 불리우는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등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가상의 골프 시뮬레이션 시스템은 골퍼가 실제로 골프장에서 골프경기를 진행하는 것과 같은 리얼리티를 제공하기 위해 실제 골프장과 동일한 영상을 가상현실로써 제공하고 골프공을 타격함에 따른 골프공의 이동 영상도 실제와 동일하게 구현되도록 제공하고 있다.
즉 소정 크기의 공간을 형성하는 스크린 골프용 부스의 전면부에 마련되는 스크린에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에서 제공되는 영상이 투영되고, 골퍼는 골프공을 상기 스크린을 향해 타격하면서 동시에 스크린상에 투영되는 골프 영상을 보면서 스크린 골프를 즐길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서 골프를 즐기는 경우 타격된 골프공이 스크린에 충돌한 후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설치된 부스(Booth) 바닥면에 지저분하게 널려 있게 되기 때문에 라운딩 환경의 쾌적함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었다.
따라서 골프공을 타격한 후 골프공이 시야에서 보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스크린 골프 시스템이 설치된 부스를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골프 라운딩 환경을 쾌적하게 하고, 나아가 골프공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골퍼의 편의를 도모하도록 하는 스크린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이 스크린을 투과하도록 하여 타격된 골프공이 골퍼의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가상 골프 라운딩 또는 골프 연습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고 가상 골프의 현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는, 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포함하는 투과 스크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웨이트부재; 및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를 상기 웨이트부재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는,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할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분할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포함하는 분할 투과 스크린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되는 투과 스크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웨이트부재; 및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를 상기 웨이트부재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기 프레임 쪽 단부 및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기 웨이트부재 쪽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섬유 또는 고무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웨이트부재가 삽입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그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이트부재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바닥면에 대해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웨이트부재가 크게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이트부재를 구속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을 바닥면에 고정시켜 상기 웨이트부재가 크게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요소부재의 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복수개의 투과슬릿이 마련되는 후방 투과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개의 투과슬릿은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에 대해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후방 스크린요소부재가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각각의 후방 스크린요소부재 사이가 상기 투과슬릿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의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마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은, 그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보다 후방에 소정 거리 떨어져서 구비되어 상기 투과 스크린 및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을 투과한 볼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는 상기 각각의 분할 투과 스크린마다 서로 다른 너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기 각각의 분할 투과 스크린마다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는,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스크린 요소부재와, 상기 각 제1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1 스크린 요소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분할 투과 스크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스크린 요소부재와, 상기 각 제2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2 스크린 요소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분할 투과 스크린; 및 상기 제1 분할 투과 스크린 및 제2 분할 투과 스크린에 대해 중력방향의 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웨이트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스크린 요소부재는 상기 제1 스크린 요소부재 보다 더 큰 너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웨이트부재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는 골퍼가 타격한 골프공이 스크린을 투과하도록 하여 타격된 골프공이 골퍼의 시야에서 사라지도록 함으로써 가상 골프 라운딩 또는 골프 연습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하고 가상 골프의 현실감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가 적용된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의 일 예를 다른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의 측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의 하부 구조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다양한 실시예를 각각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에 관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를 구비한 스크린 골프 시스템에 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골프 시스템은 전면부와 측면벽(SW)에 의해 형성되는 소정 크기의 공간을 갖는 스크린 골프 부스(B)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골프 부스(B)의 전면부에 스크린(S)이 장착되고, 골프 시뮬레이터(C)에 의해 작동하는 영상표시장치(P)가 골프장 및 그 배경, 그리고 골프공의 이동영상 등을 상기 스크린(S)에 투영하도록 구비된다.
골퍼가 타석(SP)에서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타격하면, 타격된 골프공은 스크린(S)을 향해 날아가는데, 이때 골프공은 스크린(S)을 투과한다. 타격된 골프공의 움직임은 센서가 감지하여 골프 시뮬레이터(C)가 이를 소정의 영상으로 구현하여 상기 영상표시장치(P)를 통해 스크린(S)으로 투영시킨다.
여기서 상기 스크린(S)은 기본적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스크린요소부재가 나란히 배치되고 타격된 골프공은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들 사이로 통과되도록 하는 투과 스크린으로서 구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투과 스크린을 구비한 스크린 장치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내용은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 장치는 기본적으로 프레임(10), 투과 스크린(20), 웨이트부재(51)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전면부의 상단부에 고정되어 구비되며 상기 투과 스크린(20)을 스크린 골프 시스템의 전면부에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투과 스크린(20)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21)가 상기 프레임(10)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21)는 골프공(1)이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21) 사이를 용이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면서 가상 골프 시뮬레이션 영상이 자연스럽게 투영되어 보일 수 있고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적절한 너비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일반적인 골프공의 지름을 기준으로 하여 스크린 요소부재의 너비를 결정할 수 있는데, 골프공의 지름 보다 좀 더 큰 너비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고 골프공의 지름 보다 더 작은 너비로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스크린 요소부재의 너비가 작으면 작을수록 골프공의 투과가 더욱 용이하게 될 수 있지만 투과 스크린의 설치가 어렵고 스크린 요소부재 사이가 명확하게 보일 수 있어 영상 투영시 부자연스러울 수 있다. 스크린 요소부재의 너비가 크면 클수록 상기한 바와 반대 차원의 장단점을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여러 가지 사항들을 고려하여 가장 합리적인 너비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채택함이 바람직하며, 여러 가지 너비를 갖는 스크린 요소부재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투과 스크린(20)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21) 각각의 하단에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어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21)를 탄성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22)는 스판덱스(Spandex)와 같은 탄성 섬유를 기초로 만들어질 수도 있고 고무 재질로 만들어질 수도 있으며, 그 외에 탄성이 높은 특정 재질로 만들어진 모든 탄성 지지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탄성부재(22)는 소정 하중을 갖는 웨이트부재(51)를 지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부재(51)는 각각의 탄성부재(22)에 대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키고 상기 각각의 탄성부재(22)는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21)를 탄성적으로 긴장시킴으로써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21)가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한다.
상기 웨이트부재(51)의 아래쪽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바닥면(G)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부재(54)에 의해 지지부재(52)가 고정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웨이트부재(51)와 상기 지지부재(52)는 연결부재(53)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웨이트부재(51)를 지지부재(52)에 대해 약간의 움직임도 허용하지 않을 정도로 고정시키기 보다는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그러나 크게 유동하지는 않도록) 웨이트부재(51)와 지지부재(52)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한 상태에서 연결부재(53)로 상기 웨이트부재(51)를 구속시킴이 바람직하다.
웨이트부재(51)가 어느 정도 유동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부재(53)에 의해 구속됨으로써 골프공(1)이 투과 스크린(20)을 투과할 때의 충격에 의해 웨이트부재(51)가 크게 움직이지 않으면서도 골프공(1)이 스크린 요소부재(21)를 맞고 다시 튀어나오는 경우 반력을 감쇄시킬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웨이트부재(51), 지지부재(52), 연결부재(53) 등의 구성에 관한 좀 더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는 복수개의 분할 투과 스크린(30, 40)이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전체가 하나의 투과 스크린을 형성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각각의 분할 투과 스크린(30, 40)은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31 또는 41)가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되며 각각의 분할 투과 스크린(30, 40)은 각각의 분할 프레임(11, 12)에 고정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투과 스크린에 대해 부분적으로 보수를 하거나 부분적으로 교체를 하는 경우 분할 투과 스크린 단위로 보수나 교체를 할 수 있어 설치나 보수 작업 등이 매우 용이한 특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투과 스크린은 둘 이상의 분할 투과 스크린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각각의 분할 투과 스크린의 스크린 요소부재는 서로 다른 너비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투과 스크린에 대해 골프공을 타격할 때 골프공이 전체 투과 스크린에 골고루 날아가기보다는 투과 스크린의 일 부분에 집중적으로 날아가는 현상이 자주 발생한다.
예컨대 오른손잡이 골퍼가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 슬라이스 성 타구가 자주 발생할 수 있어 투과 스크린의 오른쪽 부분으로 골프공이 집중적으로 날아가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와 같은 경우 복수개의 분할 투과 스크린 중 오른쪽의 분할 투과 스크린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너비를 좁게 하여 골프공의 투과가 용이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투과 스크린의 골프공 투과 성능을 효율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에서는 두 개의 분할 투과 스크린으로써 투과 스크린을 구성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분할 프레임(11)에 복수개의 제1 스크린 요소부재(31)를 고정시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제1 분할 투과 스크린(30)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2 분할 프레임(12)에 복수개의 제2 스크린 요소부재(41)를 고정시켜 나란히 배치함으로써 제2 분할 투과 스크린(4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만약 제1 분할 투과 스크린(30) 쪽보다 제2 분할 투과 스크린(40) 쪽으로 골프공(1)이 날아갈 확률이 더 높다면 제2 스크린 요소부재(41)의 너비는 제1 스크린 요소부재(31)의 너비보다 더 좁게 되도록 하여 골프공(1)의 투과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분할 투과 스크린(30)의 복수개의 제1 스크린 요소부재(31) 각각의 하단에는 제1 탄성부재(32)가 구비되어 각각의 제1 스크린 요소부재(31)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분할 투과 스크린(40)의 복수개의 제2 스크린 요소부재(41) 각각의 하단에는 제2 탄성부재(42)가 구비되어 각각의 제2 스크린 요소부재(41)를 탄성적으로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탄성부재(32) 및 제2 탄성부재(42)는 도 2에 도시된 탄성부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제2 탄성부재(42)는 제2 스크린 요소부재(41)의 너비에 대응하여 제1 탄성부재(32)의 너비보다 더 좁게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탄성부재(32) 및 복수개의 제2 탄성부재(42)는 소정 하중을 갖는 웨이트부재(51)를 지지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부재(51)는 제1 탄성부재(32) 및 제2 탄성부재(42)에 대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키고 상기 각각의 제1 탄성부재(32) 및 제2 탄성부재(42)는 각각의 제1 스크린 요소부재(31) 및 제2 스크린 요소부재(41)를 탄성적으로 긴장시킴으로써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한다.
상기 웨이트부재(51)의 아래쪽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바닥면(G)에 대해 고정되는 고정부재(54)에 의해 지지부재(52)가 고정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웨이트부재(51)와 상기 지지부재(52)는 연결부재(53)에 의해 서로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웨이트부재(51), 지지부재(52), 연결부재(53) 및 고정부재(54)에 관한 사항들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상부 및 하부의 세부 구성에 관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의 측단면 구조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는 2중 구조의 스크린으로 구성되며 전방 쪽에 투과 스크린(20)이 구비되고 상기 투과 스크린(20)과 소정 간격 떨어진 위치에 후방 투과 스크린(60)이 구비된다.
투과 스크린(20)의 상단은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프레임(10)은 천정(C)에 고정된다.
그리고 투과 스크린(20)의 하단은 바닥면(G)과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웨이트부재(51)와 지지부재(52)에 의해 지지 되는 구조로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상단도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며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하단은 아무런 고정 구조 없이 자유단으로 구성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후방 소정 거리 떨어진 위치에는 상기 투과 스크린(20)과 후방 투과 스크린(60)을 투과한 골프공을 완충시키도록 하는 완충부재(R)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완충부재(R)는 그물망 등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 상단은 고정틀(15)에 의해 고정되고 하단은 자유단이 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도 5는 도 4의 A 부분,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의 상단부 구조를 좀 더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C)에 고정구(P)에 의해 고정되는 프레임은 제1 프레임(10a)과 제2 프레임(10b)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a)은 투과 스크린(20)을 고정시키고 제2 프레임(10b)은 후방 투과 스크린(60)을 고정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투과 스크린(20) 및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고정은 제1 프레임(10a) 및 제2 프레임(10b)에 각각 소정의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켜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고 소정의 고정 나사나 고정 피스 등으로 각각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6은 도 4의 B 부분,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의 하단부 구조의 일 예를 좀 더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G)에 대해 고정부재(54)가 소정의 고정 피스(T)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54)에 의해 지지부재(52)가 고정이 된다.
즉 고정부재(54)는 지지부재(52)를 감싸면서 바닥면(G)에 대해 고정 피스(T)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지지부재(52)를 고정시킨다.
투과 스크린(20)의 하단에는 탄성부재(22)가 구비되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과 스크린(20)의 하단(좀 더 구체적으로는 투과 스크린(20)을 구성하는 각각의 스크린 요소부재의 하단)에 탄성부재(22)가 홀(24)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홀(24)에 웨이트부재(51)가 삽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부재(22)는 투과 스크린(20)의 각 스크린 요소부재의 하단에 고정부(23)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23)는 스크린 요소부재에 탄성부재(22)를 소정의 고정수단에 의해 고정시키는 요소로서 재봉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의 고정요소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웨이트부재(51)는 탄성부재(22)의 홀(24)에 삽입되어 구비됨이 바람직한데, 상기 웨이트부재(51)가 크게 유동하지 않도록 상기 웨이트부재(51)와 지지부재(52)를 연결부재(53)로 서로 연결해 놓는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웨이트부재(51)와 지지부재(52)는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부재(53)가 웨이트부재(51)와 지지부재(52)를 서로 구속하도록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웨이트부재(51)는 자체의 하중과 연결부재(53)의 장력에 의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킬 수 있고 투과 스크린(20)이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웨이트부재(51)가 약간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지지부재(52)와 이격되어 있어 골프공이 투과 스크린(20)의 스크린 요소부재에 정확하게 부딪혀서 되튀는 경우 반력을 경감시킬 수 있어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의 하단부 구조의 다른 일 예를 좀 더 확대하여 구체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탄성부재(22)와 고정부(23)와 홀(24), 그리고 웨이트부재(51)에 관한 사항은 상기 도 6에 도시된 예와 동일하며, 상기 웨이트부재(51)를 고정시키는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며 상기 도 6에 도시된 예와 비교하여 차이가 있는 부분에 관하여 집중적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7에 도시된 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예에서의 지지부재와 고정부재를 대체하여 바닥면(G)에 고정된 고정편(55)에 연결부재(53)가 연결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내고 있다.
즉 웨이트부재(51)와 바닥면(G)에 고정된 고정편(55)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어 있고 연결부재(53)는 상기 웨이트부재(51)와 고정편(55)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웨이트부재(53)를 구속시키도록 하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고정편(55)에 고정된 연결부재(53)가 웨이트부재(51)를 구속하므로 웨이트부재(51)는 골프공이 투과될 때 크게 유동하지 않으면서 약간의 유동이 허용되므로 골프공이 되튀는 경우의 반력을 경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8 및 도 9에서는 도 4에 도시된 후방 투과 스크린의 다양한 형태에 관한 각각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방 투과 스크린(60)이 세로 방향의 투과슬릿(61)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고,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후방 투과 스크린(60)이 가로 방향의 투과슬릿(63)이 형성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세로 방향 투과슬릿(61)은 하나의 스크린에서 복수개의 투과슬릿(61)이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독립된 후방 스크린요소부재(62)가 옆으로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각각의 후방 스크린요소부재(62) 사이가 투과슬릿(61)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는 고정되고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구성되도록 할 수도 있지만 상단부와 하단부를 모두 고정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며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상단부 및 하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소정의 탄성지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후방 투과 스크린(60)이 상기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 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도 9에 도시된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가로 방향 투과슬릿(63)도 하나의 스크린에서 복수개의 투과슬릿(63)이 절개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독립된 가로 방향 후방 스크린요소부재(64)가 위아래로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각각의 후방 스크린요소부재(64) 사이가 가로 방향의 투과슬릿(63)을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투과 스크린(60)은 양 측단에 후방 프레임(71, 72)를 각각 설치하고 상기 후방 프레임(71, 72)에 가로 방향의 후방 투과 스크린(60)을 설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가로 방향의 후방 투과 스크린(60)의 일 측단 및 타 측단 중 적어도 하나에 소정의 탄성지지부재(미도시)가 구비되도록 하여 후방 투과 스크린(60)이 상기 탄성지지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스크린 장치는 기본적으로 스크린 요소부재(81, 91)의 상단에 탄성부재(82, 92)가 구비되어 상기 탄성부재(82, 92)가 프레임(11, 12)에 고정되며, 스크린 요소부재(81, 91)의 하단에는 웨이트부재(83)를 지지하는 지지부(83, 93)가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83, 93)는 상기 탄성부재(82, 92)와 동일한 재질 또는 상기 탄성부재(82, 92)의 탄성력과 비슷하거나 그보다 더 높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81, 91)와 동일한 재질 또는 상기 탄성부재(82, 92)의 탄성력 보다 낮은 탄성력을 갖는 재질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다.
즉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2, 도 3, 도 8 및 도 9에 각각 도시된 실시예에 따른 스크린 장치의 투과 스크린에서 탄성부재가 투과 스크린의 하단뿐만 아니라 상단에도 구비되도록 하거나 탄성부재가 투과 스크린의 상단에만 구비되도록 하는 경우에 관하여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사항 이외의 사항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적용되는 사항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10:프레임, 11:제1 분할 프레임
12:제2 분할 프레임, 20:투과 스크린
21:스크린 요소부재, 22:탄성부재
30:제1 분할 투과 스크린, 31:제1 스크린 요소부재
32:제1 탄성부재, 40:제2 분할 투과 스크린
41:제2 스크린 요소부재, 42:제2 탄성부재

Claims (20)

  1. 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포함하는 투과 스크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웨이트부재; 및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를 상기 웨이트부재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2.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분할프레임을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분할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를 포함하는 분할 투과 스크린 복수개가 나란히 배치되어 형성되는 투과 스크린;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 요소부재에 대해 하방으로 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웨이트부재; 및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를 상기 웨이트부재에 대해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기 프레임 쪽 단부 및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기 웨이트부재 쪽 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탄성섬유 또는 고무재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의 하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웨이트부재가 삽입되도록 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그 일단부가 상기 각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단부에 고정되며, 그 타단부가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바닥면에 대해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웨이트부재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웨이트부재가 크게 유동하지 않도록 구속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를 구속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을 바닥면에 고정시켜 상기 웨이트부재가 크게 유동하지 않도록 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스크린요소부재의 후방에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복수개의 투과슬릿이 마련되는 후방 투과 스크린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투과슬릿은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에 대해 절개됨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후방 스크린요소부재가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각각의 후방 스크린요소부재 사이가 상기 투과슬릿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후방 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의 하단부는 자유단으로 마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은,
    그 일단부 및 타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해 구비되어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수개의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보다 후방에 소정 거리 떨어져서 구비되어 상기 투과 스크린 및 상기 후방 투과 스크린을 투과한 볼을 완충시키는 완충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 요소부재는 상기 각각의 분할 투과 스크린마다 서로 다른 너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는,
    상기 각각의 분할 투과 스크린마다 별도로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8. 제1 프레임과, 상기 제1 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1 스크린 요소부재와, 상기 각 제1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1 스크린 요소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1 분할 투과 스크린;
    제2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을 따라 나란히 배치되는 복수개의 제2 스크린 요소부재와, 상기 각 제2 스크린 요소부재의 상단 및 하단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어 상기 각 제2 스크린 요소부재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제2 분할 투과 스크린; 및
    상기 제1 분할 투과 스크린 및 제2 분할 투과 스크린에 대해 중력방향의 힘을 작용시켜 팽팽하게 긴장되도록 하는 웨이트부재;
    를 포함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스크린 요소부재는 상기 제1 스크린 요소부재 보다 더 큰 너비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부재가 바닥면에 대해 소정 거리 떨어진 상태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KR1020100061207A 2010-06-28 2010-06-28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KR100994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207A KR100994751B1 (ko) 2010-06-28 2010-06-28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1207A KR100994751B1 (ko) 2010-06-28 2010-06-28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751B1 true KR100994751B1 (ko) 2010-11-17

Family

ID=43409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1207A KR100994751B1 (ko) 2010-06-28 2010-06-28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7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006007A2 (ko) * 2011-07-06 2013-01-10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KR101264004B1 (ko) * 2011-03-07 2013-05-13 박현용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KR101337711B1 (ko) * 2012-07-04 2013-12-06 곽상준 골프스크린 구조
KR101739548B1 (ko) * 2012-04-20 2017-05-24 조셉 요섭 이 골프공을 잡는 장치 및 방법
KR102508714B1 (ko) * 2022-03-07 2023-03-16 홍콩 상하이 이코노믹 센터 스크린 거동형 차량용 스크린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13Y1 (ko) 2002-02-09 2002-05-04 최대용 골프 연습용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연습용영상시스템
KR100947746B1 (ko) 2003-04-29 2010-03-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72822B1 (ko) 2009-11-30 2010-07-28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4513Y1 (ko) 2002-02-09 2002-05-04 최대용 골프 연습용 스크린 및 이를 이용한 골프 연습용영상시스템
KR100947746B1 (ko) 2003-04-29 2010-03-17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972822B1 (ko) 2009-11-30 2010-07-28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004B1 (ko) * 2011-03-07 2013-05-13 박현용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WO2013006007A2 (ko) * 2011-07-06 2013-01-10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WO2013006007A3 (ko) * 2011-07-06 2013-04-04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KR101262789B1 (ko) * 2011-07-06 2013-05-09 (주) 골프존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CN103648595A (zh) * 2011-07-06 2014-03-19 高夫准株式会社 用于屏幕高尔夫的穿透型屏幕
US20140155186A1 (en) * 2011-07-06 2014-06-05 Golfzon Co., Ltd. Penetration type screen for screen golf
KR101739548B1 (ko) * 2012-04-20 2017-05-24 조셉 요섭 이 골프공을 잡는 장치 및 방법
KR101337711B1 (ko) * 2012-07-04 2013-12-06 곽상준 골프스크린 구조
KR102508714B1 (ko) * 2022-03-07 2023-03-16 홍콩 상하이 이코노믹 센터 스크린 거동형 차량용 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4751B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장치
KR100972822B1 (ko)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120085771A (ko) 골프 시뮬레이션 장치
US11911675B2 (en) Sports training device
KR101262789B1 (ko)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KR101383920B1 (ko) 골프공의 회전력과 반발력 제어가 가능한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및 스크린 설치방법
KR101264004B1 (ko) 스크린 골프 연습장치
KR100970676B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KR200475042Y1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고정구조
KR102011219B1 (ko) 커브드 스크린 실내 스크린 골프
KR20130006624U (ko) 스크린 골프용 스크린 및 고정장치
KR20120119721A (ko) 소음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스크린 골프용 탄성체 스크린
KR100947769B1 (ko) 스크린 골프용 투과형 스크린 및 이를 구비하는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102058716B1 (ko) 속도 연계형 디스플레이 장치
WO2009138547A1 (es) Metodo para la simulacion de ambientes reales o virtuales en la practica de actividades deportivas en aparatos estaticos y aparato en el que se realiza dicha simulacion
JP2010125047A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ションシステム及びゴルフ練習システム用筐体構造
CN205549605U (zh) 一种显示的体验装置
JP2010125048A (ja) ゴルフシミュレーター装置、及び該ゴルフシミュレーター装置を備える飲食店舗
KR20090012444U (ko) 멀티 스크린 골프 연습 장치
JP6465450B1 (ja) Vrアミューズメント用ボール配置装置
KR101344109B1 (ko) 골프 시뮬레이터용 스크린
JP2013005900A (ja) ゴルフ練習装置
KR101708750B1 (ko) 스크린 골프 시스템
KR20110011483U (ko) 골프 연습용 스크린 부스
RU160756U1 (ru) Бросковый тренаже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