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218B1 -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 Google Patents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218B1
KR101887218B1 KR1020170058151A KR20170058151A KR101887218B1 KR 101887218 B1 KR101887218 B1 KR 101887218B1 KR 1020170058151 A KR1020170058151 A KR 1020170058151A KR 20170058151 A KR20170058151 A KR 20170058151A KR 101887218 B1 KR101887218 B1 KR 1018872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curved
operating
curtain
rop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광현
홍종운
박정수
김윤한
Original Assignee
(주) 스크린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스크린솔루션 filed Critical (주) 스크린솔루션
Priority to KR1020170058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2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JDEVICES FOR THEATRES, CIRCUSES, OR THE LIKE; CONJURING APPLIANCES OR THE LIKE
    • A63J1/00Stage arrangements
    • A63J1/0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 A63J2001/022Scenery; Curtains; Other decorations; Means for moving same wound up when not in use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커브드 스크린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커브드 스크린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커브드 고정 프레임과,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며 커브드 스크린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가리도록 승강 이동 가능한 스크린 장막과, 스크린 장막의 하부에 이격되게 각각 연결되며 커브드 고정 프레임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는 장막 지지봉과, 스크린 장막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연결고리에 연결되며 스크린 장막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작동로프와, 복수의 작동로프 중에서 일측에 위치된 복수의 작동로프가 연결되는 제1작동와이어와, 제1작동와이어에 연결되고 남은 나머지 작동로프들이 연결되는 제2작동와이어 및, 제1 및 제2작동와이어를 동시에 당기거나 풀려지도록 하여 복수의 작동로프가 동시에 당겨지거나 풀려져서 스크린 장막이 승강이 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A CURVED TOP MASKING APPARATUS}
본 발명은 극장용 탑 마스킹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극장의 커브드 스크린을 효과적으로 가릴 수 있는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극장의 스크린은 고정된 크기의 설비로 제작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다만 상영관별로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는 있다.
이에 반하여, 상영되는 영화의 화면은 가로 : 세로 비율이 1. 85 : 1, 2.39 : 1 등의 다양한 비율을 갖는다. 따라서 화면 비율에 맞게 스크린의 일부를 가려주는 마스킹(masking) 설비가 필요하다
종래의 탑 마스킹에 사용되는 탑 마스크는 그 구동 방식에 따라 방사형 와이어 방식과 복수 와이어 방식으로 구분된다.
방사형 와이어 방식의 탑 마스크는 암막을 구동하기 위해서 암막에 다수의 와이어를 연결하고, 다수의 와이어를 하나의 리턴 풀리를 통하여 구동모터에 연결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사형 와이어 방식의 탑 마스크는 암막에 연결된 여러 개의 와이어가 하나의 리턴 풀리로 집중되게 때문에 상기 리턴 풀리 부분에서 와이어들이 꼬이거나 탈선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암막의 가장자리 부분에 연결된 와이어와 암막의 중앙 부분에 연결되나. 와이어의 길이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장력의 차이 때문에 암막이 수평을 이루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화면 상부가 수평을 이루지 못하고 화면의 일부가 잘려나갈 수 있다.
이러한 방사형 와이어 방식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복수 와이어 방식의 탑 마스크가 개발되었으나, 이러한 복수 와이어 방식의 경우에는 방사형 와이어 방식의 단점인 암막의 수평 유지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여전히 리턴 풀리에 여러 개의 와이어가 집중되어 와이어의 꼬임 및 탈선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또한, 최근에는 상영되는 영상의 몰입도와 현실감을 높일 수 있도록 커브드 스크린의 적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커브드 스크린을 종래의 평면형의 탑 마스크를 이용하여 마스킹 할 경우, 스크린의 좌우 길이 방향으로 커브를 따라서 마스크와 스크린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스크린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4-0000206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0270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커브드 스크린을 전체적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는, 커브드 스크린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브드 스크린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커브드 고정 프레임;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커브드 스크린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가리도록 승강 이동 가능한 스크린 장막; 상기 스크린 장막의 하부에 이격되게 각각 연결되며,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 또는 스크린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는 장막 지지봉; 상기 스크린 장막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연결고리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 장막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작동로프; 상기 복수의 작동로프 중에서 일측에 위치된 복수의 작동로프가 연결되는 제1작동와이어; 상기 제1작동와이어에 연결되고 남은 나머지 작동로프들이 연결되는 제2작동와이어; 및 상기 제1 및 제2작동와이어를 동시에 당기거나 풀려지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작동로프가 동시에 당겨지거나 풀려져서 상기 스크린 장막이 승강이 동되도록 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써, 커브드 스크린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스크린 장막을 이용하여 스크린을 일정한 간격으로 하여 효율적으로 마스킹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 또는 스크린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프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풀리; 및 상기 승강 가이드풀리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프와 상기 작동로프에 연결되는 작동와이어의 방향전환이동을 가이드 하는 방향전환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커브드 스크린에 대응되는 곡률로 가이드장막의 자세를 취하도록 한 상태로 자연스럽게 승강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동와이어의 꼬임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작동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1개별 가이드풀리;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작동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2개별 가이드풀리; 및 상기 제1 및 제2개별 가이드풀리를 경유한 제1 및 제2작동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한 당김 및 풀림동작을 가이드하는 공용 가이드풀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로써, 복수의 작동로프를 2개의 작동와이어를 이용하여 동시에 당기거나 풀리도록 하여 스크린 장막을 승강시킬 수 있으며, 작동와이어의 꼬임이나 고장 등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에 따르면, 커브드 스크린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스크린 장막을 자세 유지시키면서, 상하로 이동시켜서 스크린을 마스킹할 수 있다.
즉, 스크린과 스크린 암막의 커브율이 일치함으로써 영상 빛에 의한 스크린의 상부의 그림자가 사라지고, 암막의 하단부에 스크린과 동일한 커브율의 지지봉을 설치함으로써 암막의 수평 및 커브 유지가 가능하여 영화 관람시 시야 방해가 없어지고 몰입감이 상승된다.
특히, 스크린 장막을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와이어를 한 쌍을 설치하여 하나의 구동부를 이용하여 당김 및 풀림 동작되도록 함으로써, 종래와 같이 복수의 작동와이어를 이용할 때 발생하는 꼬임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작동와이어만을 사용하면 되므로, 작동이 용이하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방향 전환 가이드롤러를 나타내 보인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100)는, 커브드 스크린(10)의 전면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선택적으로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린(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커브드 고정 프레임(110), 상기 스크린(10)을 차단하는 스크린 장막(120), 장막(12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110)에 대응되는 장막 지지봉(130), 상기 스크린 장막(120)에 일정 간격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 작동로프(140)와, 상기 각 수직 작동로프(140) 중에서 일부에 연결되는 제1작동와이어(150)와, 제1작동와이어(150)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수직 작동로프(140)에 연결되는 제2작동와이어(160), 구동부(170), 복수의 승강 가이드풀리(180), 복수의 방향전환 가이드롤러(190)를 구비한다.
상기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은 스크린(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스크린(10)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은 보강 지지프레임(113)에 연결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기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의 하부에는 스크린 장막(120)이 상하 방향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설치된다. 스크린 장막(120)은 스크린(10)의 상부 영역을 일부분 가릴 수 있도록 일정 면적을 가지며, 펼쳐지는 높이를 조절하여 스크린(10)의 상부 영역의 가림 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린 장막(120)의 하부에는 복수의 장막 지지봉(130)이 상하로 이격되게 연결된다. 장막 지지봉(130)은 스크린 장막(120)에 하중을 주어 스크린 장막(120)이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은 물론, 특히 커브드된 상태로 스크린 장막(120)이 자세 유지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를 위해 장막 지지봉(120)은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110)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 장막(120)에는 복수의 작동로프(140)가 상하로 연결된다. 복수의 작동로프(140)는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며, 하단은 상기 장막 지지봉(130)에 연결되며, 상단은 상기 제1 및 제2와이어(150)(160)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작동로프(140) 중에서 좌측의 복수의 작동로프(141)는 제1작동와이어(150)에 연결되고, 오른 쪽에 배치된 복수의 작동로프(143)는 제2작동와이어(160)에 연결된다. 또한, 각 작동로프(141,143)는 스크린 장막(120)에 상하로 일정 간격으로 연결된 커튼 고리(123)에 연결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작동로프(141,143)가 상부로 당겨지면, 스크린 장막(120)이 상부로 끌어올려지면서 스크린(10)을 가리는 부분이 감소하고, 작동로프(141,143)가 풀려져서 하강되면 스크린 장막(120)이 펼쳐지면서 스크린(10)을 가리는 부분이 넓어진다.
또한, 스크린 장막(120)에는 상기 커튼고리(123)들을 수평 방향으로 연결하는 수평 연결로프(145)가 복수 설치된다.
상기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에는 상기 작동로프(141,143)의 승강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풀리(180)가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다. 승강 가이드풀리(180)는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에 고정 설치되는 풀리 지지브라켓(181)과, 풀리 지지브라켓(18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풀리 몸체(183)를 구비한다.
상기 승강 가이드풀리(180) 각각에 인접하여 방향전환 가이드롤러(190)가 설치된다. 상기 방향전환 가이드롤러(190)는 롤러몸체(191)가 수직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및 제2와이어(150.16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가이드고리(193)가 연결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방향전환 가이드롤러(190)는 최외측 승강 가이드풀리(180)에는 하나가 인접하여 설치되며, 나머지 승강 가이드풀리(180)에는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제1 및 제2와이어(150)(160)와 작동로프(141,143)의 이동시 방향전환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가이드한다. 즉, 가로 방향으로는 제1 및 제2작동와이어(150)(160)가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의 곡률반경이 대응하여 이동하게 되므로, 이러한 제1 및 2작동와이어(150)(160)가 자연스럽게 이동될 수 있도록 각 승강 가이드풀리(180)에 인접한 위치마다 방향전환 가이드롤러(190)가 설치되어 제1 및 제2작동와이어(150)(160)의 이동을 가이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승강 가이드풀리(180)은 커브드 스크린(1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작동와이어(150,160) 각각에는 상기 작동로프(141,143)가 클램퍼(147)에 의해 결합되어 연결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작동와이어(150,16)를 당기거나 풀게 되면, 각각의 와이어(150,160)에 연결된 작동로프(141,143)가 동시에 이동 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작동와이어(150,160)는 상기 구동부(170)에 의해 동시에 감겨서 당겨지거나 풀려진다. 상기 구동부(170)는 정방향 및 역방향 구동 가능한 구동모터(171)과, 구동모터(171)에 의해 회전되는 와이어 구동풀리(173)를 구비한다.
상기 제1작동와이어(150)는 제1개별 가이드풀리(151)와 공용 가이드풀리(175)에 가이드되어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다. 제1개별 가이드풀리(151)는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에 설치되어 제1작동와이어(150)의 방향전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2작동와이어(160)는 제2개별 가이드풀리(161)와 공용 가이드풀리(175)에 가이드되어 안정되게 이동될 수 있다. 제2개별 가이드풀리(161)는 제2작동와이어(160)를 방향전환 되도록 가이드하도록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에 설치된다.
상기 공용 가이드풀리(175)는 보강 지지프레임(113)에 설치되어 제1 및 제2작동와이어(150,160)를 동시에 방향 전환시켜 가이드한다. 즉, 제1 및 제2작동와이어(150,160)는 공용 가이드풀리(175)를 기준으로 하여 동시에 당겨지거나 풀려나가게 된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브드 탑 마스킹장치(100)에 의하면, 커브드 스크린(10)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스크린 장막(120)을 지지한 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스크린 장막(120)을 승강시키기 위해서 복수의 작동로프(141,143)를 2개의 작동와이어(150,160)에 각각 연결하고, 각 작동와이어(150,160)를 하나의 구동부(170)를 이용하여 동시에 당기거나 풀어주는 방식으로 구동함으로써, 스크린 장막(120)을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특히, 작동와이어(150,160)를 2개만 사용하면 되므로, 종래와 같이 다수의 작동와이어를 이용할 때 와이어들이 꼬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브드 고정프레임(1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승강 가이드풀리(180)에 이웃하여 방향 가이드풀리들(190)을 각각 배치하여 작동와이어(150,160)와 작동로프(141,143)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방향전환을 가이드 한다. 이로써, 작동와이어(150,160)와 작동로프(141,143)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동되게 가이드하고,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스크린 장막(120)을 승강 동작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고장이나 오동작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커브드 스크린(10)에 대응하여 스크린 장막(120)을 커브드된 자세로 안정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의 탑 마스킹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영화 상영시 관객의 몰입도를 높이고 상영되는 영화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커브드 탐 마스킹장치 110..커브드 고정 프레임
120..스크린 장막 130..장막 지지봉
141,143..작동로프 150..제1작동와이어
160..제2작동와이어 170..구동부
180..승강 가이드풀리 190,,방향전환 가이드롤러

Claims (3)

  1. 커브드 스크린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커브드 스크린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는 커브드 고정 프레임;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커브드 스크린에 대해 전체적으로 일정간격으로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커브드 스크린의 상부를 선택적으로 가리도록 승강 이동 가능한 스크린 장막;
    상기 스크린 장막의 하부에 이격되게 각각 연결되며,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 또는 상기 커브드 스크린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로 형성되는 장막 지지봉;
    상기 스크린 장막에 상하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연결고리에 연결되며, 상기 스크린 장막의 가로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작동로프;
    상기 복수의 작동로프 중에서 일측에 위치된 복수의 작동로프가 연결되는 제1작동와이어;
    상기 제1작동와이어에 연결되고 남은 나머지 작동로프들이 연결되는 제2작동와이어;
    상기 제1 및 제2작동와이어를 동시에 당기거나 풀려지도록 하여 상기 복수의 작동로프가 동시에 당겨지거나 풀려져서 상기 스크린 장막이 승강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부;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프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하는 승강 가이드풀리;
    상기 승강 가이드풀리에 이웃하게 설치되어 상기 작동로프와 상기 작동로프에 연결되는 작동와이어의 방향전환이동을 가이드하는 방향전환 가이드롤러;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1작동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1개별 가이드풀리;
    상기 커브드 고정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제2작동와이어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2개별 가이드풀리; 및
    상기 제1 및 제2개별 가이드풀리를 경유한 제1 및 제2작동와이어의 이동을 가이드하여 상기 구동부에 의한 당김 및 풀림동작을 가이드하는 공용 가이드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커브드 스크린에 대응하여 상기 스크린 장막을 상기 커브드 스크린의 커브율과 일치하도록 한 자세로 안정적으로 승강 이동시켜서 영상 및 빛에 의한 스크린의 상부의 그림자가 사라지고 스크린 장막의 하단부에서도 시야 방해가 없어지고 몰입감을 상승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70058151A 2017-05-10 2017-05-10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KR101887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151A KR101887218B1 (ko) 2017-05-10 2017-05-10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151A KR101887218B1 (ko) 2017-05-10 2017-05-10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218B1 true KR101887218B1 (ko) 2018-08-09

Family

ID=63251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151A KR101887218B1 (ko) 2017-05-10 2017-05-10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2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79Y1 (ko) * 2022-05-24 2023-02-07 이승범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702Y1 (ko) 2005-07-25 2005-12-06 차지헌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KR101243062B1 (ko) * 2012-12-13 2013-03-13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20130120302A (ko) * 2012-04-25 2013-11-04 (주) 스크린솔루션 탑 마스크
KR20140000206U (ko) 2012-07-02 2014-01-10 (주)경성프라텍 전동식 롤스크린
KR101699051B1 (ko) * 2014-07-15 2017-01-23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곡률을 갖는 스크린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2702Y1 (ko) 2005-07-25 2005-12-06 차지헌 프로젝터 스크린 장치
KR20130120302A (ko) * 2012-04-25 2013-11-04 (주) 스크린솔루션 탑 마스크
KR20140000206U (ko) 2012-07-02 2014-01-10 (주)경성프라텍 전동식 롤스크린
KR101243062B1 (ko) * 2012-12-13 2013-03-13 이세일 구획형 스크린 셔터장치
KR101699051B1 (ko) * 2014-07-15 2017-01-23 씨제이씨지브이 주식회사 곡률을 갖는 스크린 지지대 및 이를 포함하는 상영관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6479Y1 (ko) * 2022-05-24 2023-02-07 이승범 무대의 머리막 커튼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71479B (zh) 用于建筑开口的遮阳帘
KR101793521B1 (ko) 조명승강장치
KR101887218B1 (ko)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KR200469501Y1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JP6089328B1 (ja) 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及び該ネット体又はシート体の吊り張り方法
KR20150127399A (ko) 경사진 창문용 롤블라인드장치
US5316066A (en) Cord-lock mechanism
EP0550619B1 (en) Curtain arrangement
KR101714482B1 (ko) 공연장의 무대 분수 시스템
KR101678032B1 (ko) 세트 틸트 배튼
JP4453109B1 (ja) 巻取式ウインチを用いたワイヤロープ等の紐状体の移動システム及び移動装置
JPH07189069A (ja) ドビーの改良
TW201621143A (zh) 横型百葉窗
KR20180001137U (ko) 지퍼를 이용한 원단 안내 및 이탈 방지 장치가 적용된 된 전동식 롤 드랍 어닝
JP4631990B1 (ja) ネット又はシート等の吊張体の吊張/収納システム
KR20130120302A (ko) 탑 마스크
JP2010116265A (ja) ウインチ及び該ウインチを用いた移動システム
KR100799726B1 (ko) 현수막 게시대
KR102473166B1 (ko) 수문제어용 권취드럼의 와이어로프 이탈방지 구조
KR102408881B1 (ko) 무접점 방식의 스피커 승하강 장치
JP2006149717A (ja) 舞台幕折上げ昇降装置
ES1053489U (es) Toldo vertical con dispositivo automatico de fijacion tensada en posicion parcial o totalmente extendida.
CN109424307B (zh) 百褶帘
JP3695700B2 (ja) 日射遮蔽装置の遮蔽材昇降装置
EP2440734A1 (en) A shad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