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206U - 전동식 롤스크린 - Google Patents

전동식 롤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206U
KR20140000206U KR2020120005725U KR20120005725U KR20140000206U KR 20140000206 U KR20140000206 U KR 20140000206U KR 2020120005725 U KR2020120005725 U KR 2020120005725U KR 20120005725 U KR20120005725 U KR 20120005725U KR 20140000206 U KR20140000206 U KR 2014000020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
gear
screen
drive gea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72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덕규
Original Assignee
(주)경성프라텍
최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경성프라텍, 최덕규 filed Critical (주)경성프라텍
Priority to KR202012000572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206U/ko
Publication of KR2014000020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20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2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 E06B2009/725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inside the roller with epicyclic or planetary gear t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4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adapted for selective electrical or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78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direct manual operation, e.g. by tassels, by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에 스크린을 감고 풀어서 창문에 스크린을 치거나 걷는 전동식 롤스크린으로서, 권취롤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식 롤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롤스크린(1)은,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 설치되는 권취롤(20); 상기 권취롤(2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롤(20)과 일체로 회전하는 수평 회전축의 피동기어(30); 상기 피동기어(30)에 맞물리는 수직 회전축의 제1 구동기어(40); 상기 제1 구동기어(40)에 그 상단이 연결되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아래로 길게 신장되어 상기 제1 구동기어(40)와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로드(50); 상기 연결로드(50)의 하단에 그 회전축(61)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50)를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 상기 구동모터(60)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70); 및 상기 권취롤(20)에 대해 감기고 풀리는 스크린(80); 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식 롤스크린{Electric Roll Screen}
본 고안은 롤스크린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권취롤에 스크린을 감고 풀어서 창문에 스크린을 치거나 걷는 전동식 롤스크린으로서, 권취롤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가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식 롤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창문에는 필요에 따라 햇빛이나 외부 시선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양을 하게 되는 바, 롤스크린(롤 블라인드)은 커튼과 함께 가장 널리 사용되는 차양 장치의 하나이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롤스크린은 창문 상단에 설치된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권취롤에 스크린을 감거나 풀어서 스크린으로 창을 치거나 닫는 차양 장치로서, 권취롤의 구동방식에 따라 크게 인력을 이용하는 수동식과 구동모터를 이용하는 전동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구동모터를 사용한 종래의 전동식 롤스크린으로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6027호(2002. 02. 15. 등록)의 '전동식 롤 스크린',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02948호(2003. 01. 20. 등록)의 '롤 스크린의 권취자동 조정장치',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롤스크린들은 구동모터를 권취롤의 내부 또는 권취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하우징에 장착하였다.
도5는 예시적인 종래 전동식 롤스크린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전동식 롤스크린(100)의 경우, 하우징(110)에 회전가능 하게 장착된 권취롤(120) 속에 구동모터(130)를 삽입 장착하고, 그 전원 공급과 스크린(140)의 개폐 조작은 전선(150)으로 연결된 아래의 조작반(160)을 통해 실행한다.
이런 종래의 전동식 롤스크린(100)에서는, 구동모터(130)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롤스크린을 설치장소(예, 창문)로부터 이탈시켜 하우징(110)을 분해하여야 하였으며, 이런 이유로 수시로 배터리를 충전 또는 교체를 필요로 하는 직류모터를 구동모터로 적용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려워 교류모터만을 사용하여 왔으며, 구동모터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 그 정비에도 어려움이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롤스크린에 관련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권취롤을 회전시키는 동력원으로서의 구동모터를 롤스크린의 권취롤이나 하우징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로서 교류모터가 아닌 수시로 배터리의 충전이나 교환을 필요로 하는 직류모터를 적용할 수 있게 하는 한편, 구동모터에 관련된 정비를 보다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에 따라, 전동식 롤스크린이 제공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은, 하우징, 권취롤, 피동기어, 제1 구동기어, 연결로드, 구동모터, 제어패널 및 스크린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한다.
상기 권취롤은, 상기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 설치된다.
상기 피동기어는, 상기 권취롤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롤과 일체로 수평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제1 구동기어는, 상기 피동기어에 맞물리어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연결로드는, 상기 제1 구동기어에 그 상단이 연결되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아래로 길게 신장되어 상기 제1 구동기어와 일체로 회전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연결로드의 하단에 그 회전축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정역 회전 가능한 모터이다.
상기 제어패널은, 상기 구동모터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제어한다.
상기 스크린은, 상기 권취롤에 감기고 풀린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로드는 금속 와이어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동모터는 정역 회전 가능한 직류모터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패널에 의한 상기 구동모터의 제어는 원격제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은, 상기 구동모터의 상기 회전축에 설치된 제2 구동기어, 상기 제2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핸들기어, 및 상기 핸들기어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구동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로드를 회전시키는 핸들을 포함하는 수동권취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은, 권취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롤스크린의 권취롤이나 하우징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제어패널과 함께 설치함으로써, 구동모터로서 수시로 배터리의 충전이나 교환을 필요로 하는 직류모터를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동모터에 관련된 정비를 보다 편리하게 실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은, 정전에 의한 교류전원의 차단, 배터리의 방전과 같은 비상상태의 경우에도, 상기 수동권취장치의 핸들을 돌림으로써 수동으로 상기 스크린을 개폐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1은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전동식 롤스크린의 개략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예시적인 전동식 롤스크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예시적인 전동식 롤스크린의 부분 분해 사시도,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에 적용된 수동권취장치의 상세도,
도5는 예시적인 종래 전동식 롤스크린의 개략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고안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1)은, 하우징(10), 권취롤(20), 피동기어(30), 제1 구동기어(40), 연결로드(50), 구동모터(60), 제어패널(70) 및 스크린(80)을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수동권취장치(9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0)은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1)의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부재로서, 창문의 상단 벽이나 천장에 본 고안의 전동식 롤스크린(1)을 견고하게 고정하는 한편, 스크린(80)을 감고 풀기 위한 권취롤(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권취롤(20)의 회전 가능한 설치를 위해 하우징(10)의 양측에는 스크린(80)의 폭에 해당하는 거리를 두고 서로 마주보는 한쌍의 좌우 지지부(11)를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10)은 도1 이외에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예시된 도면의 형상과 구조로 제한되지 아니한다.
상기 권취롤(20)은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여기에 스크린(80)이 감기고 풀림으로써 본 고안의 전동식 롤스크린(1)이 장착된 창문 등을 가리거나 개방한다.
상기 피동기어(30)는 권취롤(20)의 일단에 예를 들어 결합돌부(31)를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권취롤(20)과 일체로 회전하는 수평 회전축의 기어이고, 상기 제1 구동기어(40)는 피동기어(30)에 맞물려 회전하는 수직 회전축의 기어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의 전동식 롤스크린(1)은, 권취롤(20)의 회전방향과 같은 방향인 횡방향 회전축의 피동기어(30)에 종방향 회전축의 제1 구동기어(40)가 맞물려 90도로 축방향을 바꾸어 제1 구동기어(40)가 피동기어(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피동기어(30)와 제1 구동기어(40)로는, 회전축 방향(각도)을 바꿀 수 있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베벨기어나,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웜기어를 본 고안에 맞게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롤스크린(1)에 베벨기어를 적용할 경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기어(40)로 소기어를 적용하고 피동기어(30)로 대기어를 적용하면, 권취롤(20)의 회전속도를 적당한 속도로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롤스크린(1)에 웜기어를 적용할 경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구동기어(40)로 웜을 적용하고 피동기어(30)로 웜휠을 적용하면 권취롤(2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킬 수 있으며, 특히 웜기어를 사용할 경우에 권취롤(20)의 의도하지 않은 회전을 차단할 수 있어 바람직할 수 있다.
본 고안의 롤스크린(1)에 있어서 피동기어(30)와 제1 구동기어(40)의 회전 가능한 설치는, 지지부(11)를 포함한 하우징(10)의 대응하는 적당한 위치에 이들 기어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게 축받이를 적절히 형성함으로써 회전 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연결로드(50)는, 하측에 있는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을 상측에 있는 제1 구동기어(40)에 전달하는 상하로 길게 신장된 동력전달 로드로서, 그 상단은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하우징(10)의 높이에 있는 제1 구동기어(40)에 연결되고, 그 하단은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위치에 있는 제어패널(70)의 구동모터(60)에 연결된다.
연결로드(50)로서는 상하로 상당히 이격되어 있는 구동모터(60)의 회전력을 제1 구동기어(40)에 전달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를 들어 다소의 유연성을 가지는 금속 와이어를 적용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강봉을 적용할 수도 있다.
연결로드(50)의 제1 구동기어(40) 및 구동모터(60)와의 연결에는, 예를 들어 연결로드(50)에 형성한 돌기(51a)를 제1 구동기어(40) 또는 구동모터(60)의 회전축(61)에 형성한 대응하는 형상의 홀(51b)에 끼워맞춤 결합하는 연결소켓(51)을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연결소켓(51)은 그 돌기(51a)를 제1 구동기어(40) 또는 구동모터(60)의 회전축(61)에 형성하고 그 홀(51b)을 연결로드(50)에 형성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연결로드(50)는 그대로 외부로 노출시켜도 상관없지만, 투명 플라스틱 튜브(도시 생략)와 같은 가이드에 삽입하여 장착할 수도 있다.
상기 구동모터(60)는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1)에서 권취롤(20)을 회전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로서, 정역 회전 가능한 직류 또는 교류 모터를 적용하며, 바람직하게 정역 회전 가능하면서 스크린(80)의 개폐 속도에 맞게 권취롤(20)의 회전속도를 적당하게 유지할 수 있는 감속 직류모터를 적용할 수 있다.
구동모터(60)로 직류모터를 적용하는 경우, 배터리(충전지나 건전지)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음에 따라, 교류전원을 사용할 때 적용할 수밖에 없는 실내 미관을 해칠 수 있는 전선 배선을 배제할 수 있고, 또한 정전 시에도 작동할 수 있으며, 구동모터(60)가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제어패널(70)의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이나 교체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상기 제어패널(70)은 구동모터(60)를 제1 구동기어(40)의 하방에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구동모터(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조작패널로서, 구동모터(60)의 온/오프,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예, 스크린을 개방하는 정방향 및 스크린을 폐쇄하는 역방향) 등을 조작할 수 있는 작동회로를 구비한다.
부가하여 제어패널(70)에는 본 고안에 따른 롤스크린(1)의 작동상태, 배터리의 잔량, 스크린(80)의 개폐상태 등을 시각적으로 보여줄 수 있는 디스플레이(예, LCD: 71), 및/또는 롤스크린(1)의 조작을 원격에서 무선으로 작동하기 위한 리모트컨트롤 회로(72), 및/또는 배터리의 교체 또는 충전 시기를 경고하는 알람회로(도시생략) 등을 부가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창문에 다수의 롤스크린을 연설한 경우에, 여러 개의 스크린(80)들의 개폐를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하거나, 전체를 동일하게 작동하거나, 또는 프로그램 또는 저장된 정해진 패턴으로 작동(예, 하나의 스크린은 개방, 다른 하나는 절반 개방, 또 다른 하나는 폐쇄 등)하는 것 등을 저장 또는 프로그램 할 수 있도록 상기 제어패널(70)의 회로를 구축할 수도 있다.
제어패널(70)의 회로 자체는 본 고안의 직접적인 특징이 아니고, 해당 기술분야의 기술을 본 고안의 특성에 맞게 적용하여 실현할 수 있음으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스크린(또는 블라인드: 80)은 전술한 바와 같이 권취롤(20)에 대해 감기고 풀림으로써 창문 등을 개폐하는 장막으로서, 권취롤(20)에 대해 감고 풀어서 개폐할 수 있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1)의 사용 환경에서는, 예를 들어 교류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정전이나 직류를 적용하였을 경우의 배터리 방전과 같이, 구동모터(60)를 작동할 수 없는 비상상태가 발생할 수 있는 바, 이런 비상상태를 대비하기 위해 본 고안에는 수동권취장치(90)를 더 포함시킬 수 있다.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동권취장치(90)는, 제2 구동기어(91), 핸들기어(92), 및 핸들(93)을 포함한다.
제2 구동기어(91)는 구동모터(60)의 회전축(61) 또는 그 연장부에 설치됨으로써 연결로드(50)와 일체로 회전하는 기어이다.
핸들기어(92)는 제2 구동기어(91)에 맞물리며, 핸들기어(92)를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제2 구동기어(91)도 회전한다.
제2 구동기어(91)와 핸들기어(92)로는,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축의 방향을 90도 변환하는 적당한 회전 비율의 베벨기어를 적용할 수 있다.
핸들(93)은 손으로 돌림으로써 핸들기어(92)를 회전시키는 손잡이이다.
이와 같은 수동권취장치(90)를 적용할 경우, 핸들(93)을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핸들기어(92)와 제2 구동기어(91)의 회전을 통해 연결로드(50)가 회전됨에 따라 권취롤(20)이 회전하여 스크린(80)을 개폐할 수 있게 됨으로, 전술한 비상상태에서도 롤스크린을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핸들(93)은 핸들기어(92)에 고정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지만, 도2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분리하여 보관할 수 있는 탈착 구조가 바람직하며, 핸들(93)의 탈착 구조로는 예를 들어 홀(92a)과 돌기(93a)를 적용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전동식 롤스크린(1)은, 피동기어(30)와 제1 구동기어(40)가 설치된 하우징(10)의 지지부(11)를 수동식의 지지부로 교체하면 수동식 롤스크린으로 전환할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수동식 롤스크린도 그 지지부를 본 고안에 맞는 지지부(11)로 교체하고, 피동기어(30), 제1 구동기어(40), 연결로드(50), 구동모터(60) 및 제어패널(70)을 장착하면 전동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
1: 본 고안의 전동식 롤스크린 10: 하우징
20: 권취롤 30: 피동기어
40: 제1 구동기어 50: 연결로드
51: 연결소켓 60: 구동모터
70: 제어패널 71: 디스플레이
72: 리모트컨트롤 회로 80: 스크린
90: 수동권취장치 91: 제2 구동기어
92: 핸들기어 93: 핸들

Claims (3)

  1. 전체적인 골격을 형성하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 설치되는 권취롤(20);
    상기 권취롤(20)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롤(20)과 일체로 회전하는 수평 회전축의 피동기어(30);
    상기 피동기어(30)에 맞물리는 수직 회전축의 제1 구동기어(40);
    상기 제1 구동기어(40)에 그 상단이 연결되고 사용자가 접근하기 용이한 높이까지 아래로 길게 신장되어 상기 제1 구동기어(40)와 일체로 회전하는 연결로드(50);
    상기 연결로드(50)의 하단에 그 회전축(61)이 연결되어 상기 연결로드(50)를 선택적으로 정역 회전시키는 구동모터(60);
    상기 구동모터(60)가 고정되고 상기 구동모터(6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패널(70); 및
    상기 권취롤(20)에 대해 감기고 풀리는 스크린(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롤스크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로드(50)는 금속 와이어이고, 상기 구동모터(60)는 정역 회전 가능한 직류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롤스크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60)의 상기 회전축(61)에 설치된 제2 구동기어(91), 상기 제2 구동기어(91)에 맞물리는 핸들기어(92), 및 상기 핸들기어(92)를 정역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2 구동기어(91)를 회전시켜 상기 연결로드(50)를 회전시키는 핸들(93)을 포함하는 수동권취장치(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롤스크린.
KR2020120005725U 2012-07-02 2012-07-02 전동식 롤스크린 KR2014000020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725U KR20140000206U (ko) 2012-07-02 2012-07-02 전동식 롤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725U KR20140000206U (ko) 2012-07-02 2012-07-02 전동식 롤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206U true KR20140000206U (ko) 2014-01-10

Family

ID=52441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725U KR20140000206U (ko) 2012-07-02 2012-07-02 전동식 롤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206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60B1 (ko) * 2014-07-18 2015-04-16 주식회사 바우텍 루버 구동장치
KR101887218B1 (ko) 2017-05-10 2018-08-09 (주) 스크린솔루션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KR101982035B1 (ko) * 2018-10-24 2019-05-24 김종인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102036146B1 (ko) * 2019-03-28 2019-10-24 김은정 루버 개폐장치
CN110685582A (zh) * 2019-08-21 2020-01-14 北京兰天方圆铝塑门窗有限公司 一种新型内开防蚊窗户
KR20200005483A (ko) * 2018-07-06 2020-01-15 임기용 방풍창호
KR102191058B1 (ko) * 2020-02-26 2020-12-16 (주)아이세이프 췰드런 코리아 스틱 슬라이드 구조의 롤 블라인드 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2460B1 (ko) * 2014-07-18 2015-04-16 주식회사 바우텍 루버 구동장치
KR101887218B1 (ko) 2017-05-10 2018-08-09 (주) 스크린솔루션 커브드 탑 마스킹 장치
KR20200005483A (ko) * 2018-07-06 2020-01-15 임기용 방풍창호
KR101982035B1 (ko) * 2018-10-24 2019-05-24 김종인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102036146B1 (ko) * 2019-03-28 2019-10-24 김은정 루버 개폐장치
CN110685582A (zh) * 2019-08-21 2020-01-14 北京兰天方圆铝塑门窗有限公司 一种新型内开防蚊窗户
KR102191058B1 (ko) * 2020-02-26 2020-12-16 (주)아이세이프 췰드런 코리아 스틱 슬라이드 구조의 롤 블라인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0206U (ko) 전동식 롤스크린
JP3201528U (ja) 電動ロールスクリーン省エネ補助装置
US10227822B2 (en) Home-automation equipment for closure or solar protection and method for recharging a battery for such equipment
CA3047310C (en) Coupling mechanism for use with a roller tube of a window treatment and a motorized window treatment
US11261659B2 (en) Cordless blind device
KR100859269B1 (ko) 브라인더형 커텐장치
JP6423057B1 (ja) シェード構造体への着脱が自在な電動昇降装置
KR200469122Y1 (ko) 전동 차양 장치용 장력 조절 장치
CN215292282U (zh) 一种多轨道窗帘装置、日夜帘装置和电动窗帘
JP2009240506A (ja) 外付けカーテン開閉装置
CN103590742A (zh) 一类中空玻璃内置磁控窗帘
KR200482821Y1 (ko) 텐션장치가 구비된 전동식 차양막
JP3180953U (ja) オーニング装置
CN112610145A (zh) 一种涡轮蜗杆自动锁式电动卷帘门电机
CN109707298B (zh) 一种遮光窗
CN102182391A (zh) 一种内置遮阳帘的中空玻璃及中空玻璃系统
JP7040751B2 (ja) 開閉装置
CN204457380U (zh) 一种轨道运行的电动铝合金卷帘产品
KR101804511B1 (ko) 블라인드 시스템
JP6766304B2 (ja) 手動式シェード構造体用の後付電動昇降装置
KR20130084888A (ko) 투명창 차광 장치
CN101280664B (zh) 一种电动百叶窗帘
CN215369575U (zh) 一种基于风、光、雨控制系统的智能窗帘
CN219774025U (zh) 一种透光可调节式窗户
CN201981983U (zh) 内置遮阳帘的中空玻璃及中空玻璃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