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6146B1 - 루버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루버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6146B1
KR102036146B1 KR1020190035751A KR20190035751A KR102036146B1 KR 102036146 B1 KR102036146 B1 KR 102036146B1 KR 1020190035751 A KR1020190035751 A KR 1020190035751A KR 20190035751 A KR20190035751 A KR 20190035751A KR 102036146 B1 KR102036146 B1 KR 1020361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gear part
louver
driving
sh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5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정
Original Assignee
김은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정 filed Critical 김은정
Priority to KR1020190035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614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6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6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7/08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 E06B7/084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 E06B7/086Louvre doors, windows or grilles with rotatable lamellae interconnected for concurrent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루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루버의 셔터가 전동구동부에 의한 자동 개폐 및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개폐 모두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동구동부의 고장,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더라도 수동 조작에 의해 루버의 셔터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루버 개폐장치{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LOUVER}
본 발명은 루버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기창은 건물이나 공장 등과 같이 내부의 혼탁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고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로 자연스럽게 인입되게 하여 실내의 공기를 환기시킬 목적으로 사용한다.
이러한 환기창은 일반적으로 강제로 실내의 혼탁한 공기를 흡입하여 환기창을 구성하는 셔터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게 되는데, 셔터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하단에 길게 늘어진 줄을 잡아당겨 사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환기창은 셔터가 오픈됨과 동시에 팬이 작동되게 되는데 장기간의 사용으로 줄이 자주 끊어지는 문제가 있었고 또 늘어진 줄은 미관을 해치는 경우도 있어 실내에서 사용하기가 부적합하였다.
상기와 같이 환기창의 개폐를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는, 국내의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3267호“건물의 환기구용 셔터”가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33267호“건물의 환기구용 셔터”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수의 회전블레이드를 링크로 개폐손잡이에 연결하여 개폐손잡이를 상.하로 회전시키면 그 개폐손잡이의 회전각도에 따라 셔터를 통한 환기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환기구용 셔터의 경우, 환기가 필요할 때 사람이 손으로 개폐손잡이를 회전시켜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고 사용자가 환기구용 셔터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는 경우, 환기구용 셔터가 설치된 위치까지 직접 이동하여 개폐손잡이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루버의 셔터가 전동구동부에 의한 자동 개폐 및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개폐 모두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동구동부의 고장,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더라도 수동 조작에 의해 루버의 셔터를 개폐할 수 있는 루버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프레임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셔터가 다단으로 구비된 루버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으로 연장된 셔터회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동기어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에서 상기 피동기어부와 마주하게 구비된 제1구동기어부와, 상기 제1구동기어부에서 상기 셔터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되며 수동에 의해 상기 제1구동기어부가 회전되게 하는 회동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수동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에 설치된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동기어부 및 상기 제1구동기어부와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는 연결기어부와, 상기 연결기어부에 연결되어 연결기어부의 직선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되는 조작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전환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개폐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루버의 셔터가 전동구동부에 의한 자동 개폐 및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개폐 모두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동구동부의 고장,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더라도 수동 조작에 의해 루버의 셔터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버 개폐장치(A 부분 내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셔터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버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루버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루버 개폐장치에서 가이드축과 연결기어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버 개폐장치(A 부분 내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셔터의 작동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버 개폐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루버 개폐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3의 루버 개폐장치에서 가이드축과 연결기어부의 일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101)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셔터(103)가 다단으로 구비된 루버(100)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셔터(103) 중 어느 하나(103a)의 측면에서 프레임(101)의 내측 공간(S) 안으로 연장된 셔터회동축(301)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동기어부(303); 프레임(101)의 내측 공간(S) 안에서 피동기어부(303)와 마주하게 구비되는 제1구동기어부(305)와, 제1구동기어부(305)에서 셔터(103)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프레임(101)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되며 수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부(305)가 회전되게 하는 회동손잡이부(307)를 포함하는 수동구동부(309); 및 프레임(101)의 내측 공간(S) 안에 설치된 가이드축(311)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동기어부(303) 및 제1구동기어부(305)와 동시에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는 연결기어부(313)와, 연결기어부(313)에 연결되어 연결기어부(313)의 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프레임(101)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되는 조작손잡이부(315)를 포함하는 전환구동부(3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다단으로 구비된 복수의 셔터(103)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메커니즘은, 2009년 8월 18일에 공개된 한국공개특허 제10-2009-0087634호에 기재되어 있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포함된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피동기어부(303)는 셔터회동축(301)의 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피동기어부(303)는 일예로, 교차축기어인 베벨기어로 형성된다.
셔터회동축(301)은, 복수의 셔터(103) 중 어느 하나(103a)의 측면에서 프레임(101)의 내측 공간(S) 안으로 연장된다.
한편, 프레임(101)은, 수평프레임(101a)과 수직프레임(101b)으로 형성되고, 셔터회동축(301)은 수직프레임(101b)의 내측 공간(S) 안으로 연장된다.
이어서, 수동구동부(309)는 제1구동기어부(305)와 회동손잡이부(307)를 포함한다.
제1구동기어부(305)는 프레임(101)(좀 더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1b))의 내측 공간(S) 안에서 피동기어부(303)와 마주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제1구동기어부(305)는 일예로, 교차축기어인 베벨기어로 형성된다.
회동손잡이부(307)는, 제1구동기어부(305)에서 셔터(103)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프레임(101)(좀 더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1b))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된다.
이러한 회동손잡이부(307)는 일예로, 제1구동기어부(305)에서 셔터(103)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수직프레임(101b)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제1회동손잡이부(307a)와, 제1회동손잡이부(307a)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연장된 제2회동손잡이부(307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회동손잡이부(307b)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구 형상의 파지부(307c)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회동손잡이부(307)는, 수동에 의해 제1구동기어부(305)가 회전되게 한다.
즉, 사용자가 회동손잡이부(307)를 회전시킴에 따라, 그 회전력이 제1구동기어부(305)로 전달된다.
이어서, 전환구동부(317)는 연결기어부(313)와 조작손잡이부(315)를 포함한다.
연결기어부(313)는, 프레임(101)(좀 더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1b))의 내측 공간(S) 안에 설치된 가이드축(311)을 따라 이동하면서 피동기어부(303) 및 제1구동기어부(305)와 치합 또는 치합해제된다.
즉, 후술할 전동장치(321)가 고장 등으로 작동이 되지 않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가이드축(311)을 따라 이동한 연결기어부(313)가 피동기어부(303) 및 제1구동기어부(305)와 치합하게 되면, 사용자는 회동손잡이부(307)의 조작을 통해 수동으로 셔터(103)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연결기어부(313)는 일예로, 교차축기어인 베벨기어로 형성된다.
일예로, 상술한 가이드축(311)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에 원주방향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슬릿홈(501)이 형성되고, 가이드축(311)이 관통되도록 연결기어부(313)에 형성된 홀(503)의 벽면에, 슬릿홈(501)에 대응되는 가이드돌기(505)가 형성되어서, 연결기어부(313)가 가이드축(311)을 따라 직선이동 가능해진다.
물론, 앞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슬릿홈(501)이 연결기어부(313)에 형성되고, 가이드돌기(505)가 가이드축(311)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슬릿홈(501)과 가이드돌기(505) 구조는 후술할 지지부(403)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조작손잡이부(315)는, 연결기어부(313)에 연결되어 연결기어부(313)의 직선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작손잡이부(315)는, 프레임(101)(좀 더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1b))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조작손잡이부(315)는 일예로, 연결기어부(313)에 연결되고 셔터(103)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수직프레임(101b)을 관통하여 외측으로 연장된 제1조작손잡이부(315a)와, 제1조작손잡이부(315a)의 단부에서 절곡되며 연장된 제2조작손잡이부(315b)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2조작손잡이부(315b)의 단부에는, 사용자의 조작 편의성을 위해, 절곡된 바 형상의 파지부(315c)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전환구동부(317)는, 프레임(101)(좀 더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1b))의 내측 공간(S) 안에 설치되고, 가이드축(311)의 단부에 결합된 베어링부재(401)를 매개로 결합되어, 가이드축(311)을 고정시키는 서포트베이스부(319);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서포트베이스부(319)는, 수직프레임(101b)의 벽면 내측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전환구동부(317)는, 가이드축(311)이 관통결합되어 가이드축(311)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연결기어부(313)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403); 및 지지부(403)가 베어링부재(405)를 매개로 내삽되어 고정되고, 외주면에 조작손잡이부(315)가 결합되는 케이싱부(407);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403)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가이드축(311)은 지지부(403)의 중공을 관통한다.
이러한 지지부(403)는 연결기어부(313)의 일측면(도 3을 기준으로 연결기어부(313)의 하면)에서 연장형성되어, 연결기어부(313)와 함께 회전한다.
물론, 지지부(403)는 가이드축(311)을 따라 직선이동한다.
케이싱부(407)는 외주면에 조작손잡이부(315)가 결합되는데, 지지부(403)는 베어링부재(405)를 매개로 케이싱부(407)에 내삽되어 고정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루버 개폐장치는, 프레임(101)의 내측 공간(S) 안에 설치되며, 전동장치(321)에 연결된 제2구동축(323) 단부에 피동기어부(303)와 치합되는 제2구동기어부(325)가 구비된 전동구동부(327);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동구동부(327)는 프레임(101)(좀 더 구체적으로 수직프레임(101b))의 내측 공간(S) 안에 설치된다.
전동장치(321)는 일예로, 전기모터로 제공될 수 있는데, 전동장치(321)에 연결된 제2구동축(323)의 단부에는 제2구동기어부(325)가 결합된다.
여기서, 제2구동기어부(325)는 일예로, 교차축기어인 베벨기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구동기어부(325)는 피동기어부(303)와 치합된다.
제2구동기어부(325)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면서 피동기어부(303)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즉, 제2구동기어부(325)와 피동기어부(303)는, 교차축기어인 베벨기어로 형성되어서, 직교 상태로 놓인 제2구동축(323)과 셔터회동축(301) 사이에 전동장치(321)의 회전력을 피동기어부(303)로 전달하여, 결국 셔터회동축(301)에 결합된 셔터(103a)가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루버의 셔터가 전동구동부에 의한 자동 개폐 및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한 개폐 모두 가능하게 됨으로써, 전동구동부의 고장, 작동오류 등이 발생하더라도 수동 조작에 의해 루버의 셔터를 개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루버 101 : 프레임
101a : 수평프레임 101b : 수직프레임
103 : 셔터
301 : 셔터회동축 303 : 피동기어부
305 : 제1구동기어부 307 : 회동손잡이부
307a : 제1회동손잡이부 307b : 제2회동손잡이부
307c : 파지부 309 : 수동구동부
311 : 가이드축 313 : 연결기어부
315 : 조작손잡이부 315a : 제1조작손잡이부
315b : 제2조작손잡이부 315c : 파지부
317 : 전환구동부 319 : 서포트베이스부
321 : 전동장치 323 : 제2구동축
325 : 제2구동기어부 327 : 전동구동부
401 : 베어링부재 403 : 지지부
405 : 베어링부재 407 : 케이싱부
501 : 슬릿홈 503 : 홀
505 : 가이드돌기

Claims (4)

  1. 프레임에 소정 각도 범위에서 서로 연동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셔터가 다단으로 구비된 루버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셔터 중 어느 하나의 측면에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으로 연장된 셔터회동축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동기어부;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에서 상기 피동기어부와 마주하게 구비된 제1구동기어부와, 상기 제1구동기어부에서 상기 셔터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방향을 향해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되며 수동에 의해 상기 제1구동기어부가 회전되게 하는 회동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수동구동부; 및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에 설치된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피동기어부 및 상기 제1구동기어부와 치합 또는 치합해제되는 연결기어부와, 상기 연결기어부에 연결되어 연결기어부의 직선이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며 상기 프레임의 외측으로 연장돌출되는 조작손잡이부를 포함하는 전환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전환구동부는,
    상기 가이드축이 관통결합되어 가이드축을 따라 직선이동하고, 상기 연결기어부의 일측면에서 연장형성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가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내삽되어 고정되고, 외주면에 상기 조작손잡이부가 결합되는 케이싱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에 설치되며, 전동장치에 연결된 제2구동축 단부에 상기 피동기어부와 치합되는 제2구동기어부가 구비된 전동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개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구동부는,
    상기 프레임의 내측 공간 안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축의 단부에 결합된 베어링부재를 매개로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축을 고정지지하는 서포트베이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루버 개폐장치.
  4. 삭제
KR1020190035751A 2019-03-28 2019-03-28 루버 개폐장치 KR102036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51A KR102036146B1 (ko) 2019-03-28 2019-03-28 루버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5751A KR102036146B1 (ko) 2019-03-28 2019-03-28 루버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6146B1 true KR102036146B1 (ko) 2019-10-24

Family

ID=68423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5751A KR102036146B1 (ko) 2019-03-28 2019-03-28 루버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61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7036U (ko) * 1974-06-12 1975-12-25
JPH0564391U (ja) * 1992-02-07 1993-08-27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ジャロジー窓
KR20140000206U (ko) * 2012-07-02 2014-01-10 (주)경성프라텍 전동식 롤스크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57036U (ko) * 1974-06-12 1975-12-25
JPH0564391U (ja) * 1992-02-07 1993-08-27 ミサワホーム株式会社 ジャロジー窓
KR20140000206U (ko) * 2012-07-02 2014-01-10 (주)경성프라텍 전동식 롤스크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1508159A (zh) 用於建築開口之遮蓋件
CA2590862A1 (en) Automated shutter control
KR102261315B1 (ko) 수동 및 자동 개폐가 가능한 루버장치
US20120042570A1 (en) Shutter with removable louvres
EP3262266B1 (en) Actuating device for moving a barrier
CN208685875U (zh) 一种电动遮阳幕墙
KR20100078637A (ko) 창문 자동 개폐장치
KR101665047B1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102036146B1 (ko) 루버 개폐장치
KR101982035B1 (ko) 루버 자동 개폐장치
JP5255608B2 (ja) 遠心力を用いた送風ファン用シャッタ開閉構造
CN101082257A (zh) 百叶窗板叶片组摆转角度的电动控制方法与装置
KR102094102B1 (ko) 루버 개폐장치
KR100685291B1 (ko) 돔형 자동셔터를 갖는 환풍장치
CN209782833U (zh) 空调器
KR102003444B1 (ko) 전동식 루버 개폐장치
KR200216904Y1 (ko) 창문 개폐장치
KR200445839Y1 (ko) 미세조절이 가능한 비닐하우스 환기창 개폐장치
KR20200095663A (ko) 창문 자동개폐장치
KR200371706Y1 (ko) 전동 개폐식 환기창
KR102063916B1 (ko) 루버 자동 개폐시스템 및 루버 자동 개폐장치
KR20050021671A (ko) 전동식 루버개폐장치
KR20120127375A (ko) 자동창문개폐장치
KR100608231B1 (ko) 전동 개폐식 환기창 및 그 제어방법
KR101446523B1 (ko) 창호용 자연환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