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39722A -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39722A
KR20150139722A KR1020140067878A KR20140067878A KR20150139722A KR 20150139722 A KR20150139722 A KR 20150139722A KR 1020140067878 A KR1020140067878 A KR 1020140067878A KR 20140067878 A KR20140067878 A KR 20140067878A KR 20150139722 A KR20150139722 A KR 201501397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tch
base
push rod
inclined surfac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7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37652B1 (ko
Inventor
권호경
이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67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37652B1/ko
Priority to US14/525,094 priority patent/US9784020B2/en
Priority to CN201410646148.2A priority patent/CN105275285B/zh
Publication of KR2015013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9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3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376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24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B62D25/12Parts or details thereo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37Push button ope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2/00Closure fasteners
    • Y10S292/42Trunk latch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48Swinging

Abstract

차량 후드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차량 전방에 형성된 푸시버튼;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만입된 제1결합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단에 후크 형상의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에 결합되되 제1경사면이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래치; 바 형상으로써, 상기 푸시버튼의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푸시버튼의 동작에 의해 제1래치의 제1경사면이 가압되도록 하는 푸시로드;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되 제1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베이스와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결합홈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2래치; 및 상기 베이스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은 제2회전축에 의해 관통결합되며, 타측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을 포함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ENGINE ROOM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엔진룸을 개방 및 폐쇄하기 위한 후드와 차체에 형성된 스트라이커와 래치에 관련된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룸이나 트렁크 룸에는 이들을 외부로부터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도록 후드가 설치된다. 이러한 후드는 차체의 일부분에 힌지결합되어 힌지를 중심으로 상측으로 회동하여 개폐되도록 구성된다. 그 중에서도 특히 엔진룸을 개폐하기 위한 프론트 후드는 차량의 운전석에서 조작 스위치 등을 통해 1차 개방되고, 이후 차량의 전방의 후드 판넬과 라디에이터 그릴의 갭 사이에 손을 넣어 레버를 작동하여 2차 개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후드 패널 측의 스트라이커와 차체 측의 래치에 의해 로킹 또는 언로킹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후드 패널과 라디에이터 사이의 갭 사이에 직접 손을 넣어 개방을 하던 종래의 방식에서는 사용자가 손에 상해를 입거나 레버를 찾기 어려운 등의 불편함이 있었으며 또한, 레버 간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필요한 등의 단점이 있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998-018829 U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의 신체가 오염되거나 상해를 입거나 혹은 레버를 찾지 못하는 등의 불편함을 해소하고, 설계 시 후드의 레버 간섭을 피하기 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등의 단점을 제거하기 위한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는 차량 후드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차량 전방에 형성된 푸시버튼;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만입된 제1결합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단에 후크 형상의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에 결합되되 제1경사면이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래치; 바 형상으로써, 상기 푸시버튼의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푸시버튼의 동작에 의해 제1래치의 제1경사면이 가압되도록 하는 푸시로드;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되 제1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베이스와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결합홈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2래치; 및 상기 베이스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은 제2회전축에 의해 관통결합되며, 타측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을 포함한다.
상기 푸시로드의 외측에는 푸시로드의 외측을 감싸되 후단부는 개방된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가이드의 내측에서 푸시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에는 푸시로드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의 전단부 외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후단부에도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가 형성되되 가이드의 돌출돌기와 푸시로드의 돌출돌기가 제1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푸시버튼의 동작 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래치는 상기 베이스와 슬릿홀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핀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1래치의 측면에는 일단은 상기 제1래치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가 형성되어 푸시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릿홀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다.
상기 제2래치의 결합부에는 일측은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래치에 결합된 제3탄성부재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폴에는 일단은 폴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에 결합되는 제4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폴이 탄성적으로 회전 후 원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에 따르면 후드 패널의 레버를 삭제하여 레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삭제가 가능하여 후드 패널의 하향 및 쿨링 영역의 확보해 인해 후드 패널과 FEM(Front End Module) 간의 공간확보가 어려웠던 점을 개선하여 후드 패널과 FEM 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식 레버 타입의 레버 간섭 방지를 위해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드 패널의 단면적을 줄여 설계하여야 했으나, 여유공간을 삭제할 수 있어 단면적을 줄이지 않아도 되므로 강성이 증대되고 충돌 시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안전한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레버 타입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회전부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누적되어 부품이 고착 또는 부식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후드 패널과 라디에이터 그릴의 갭 사이로 직접 손을 넣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손 상해나 손 오염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키고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장점이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후방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후면도.
도 4는 도 1의 1차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푸시버튼의 가압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1의 2차 최종 개방(가압) 상태를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후방측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후면도이다. 또한, 동작에 따른 도면을 살펴보면, 도 4는 도 1의 1차 개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1의 푸시버튼의 가압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도 1의 2차 최종 개방(가압)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는 차량 후드 패널(미도시)에 형성된 스트라이커(100); 차량 전방에 형성된 푸시버튼(200);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만입된 제1결합홈(310)이 형성된 베이스(300); 상단에 후크 형상의 걸림고리(4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00)의 전방측에 결합되되 제1경사면(430)이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래치(400); 바 형상으로써, 상기 푸시버튼(200)의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430)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경사면(510)이 형성되어 푸시버튼(200)의 동작에 의해 제1래치(400)의 제1경사면(430)이 가압되도록 하는 푸시로드(500); 상기 베이스(300)의 후방에 위치하되 제1결합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홈(610)이 형성되며 베이스(300)와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지플레이트(600); 상기 베이스(300)와 지지플레이트(600) 사이에 마련되며, 제1회전축(710)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100)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결합홈(730)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결합부(750)가 형성된 제2래치(700); 및 상기 베이스(300)와 지지플레이트(600)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은 제2회전축(810)에 의해 관통결합되며, 타측은 제2회전축(810)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래치(700)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800);을 포함한다.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는 사용자가 엔진룸의 후드 패널의 개방을 위해서 차량의 실내에서 스위치(미도시) 등을 통해 1차로 로킹 해제한 후 차량의 외부에서 레버를 통해 2차 로킹해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는 1차로 로킹 해제되는 구조와 2차로 로킹 해제 되는 구조로 형성되는데, 우선 1차로 로킹 해제되는 구성과 동작에 대해 서술하도록 한다.
차체에 결합된 플레이트 형상의 베이스(300)가 마련되되 베이스(300)에는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만입된 제1결합홈(310)이 형성되고, 차량의 내측으로 소정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간에는 폴(800)과 제2래치(700)가 서로 맞닿도록 형성된다. 각 구성의 배치는 설계나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2래치(700)가 우측에 위치하고, 폴(800)이 좌측에 결합되어 위치하는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한다.
상기 제2래치(70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제1회전축(710)에 의해 베이스(300)에 결합되며 일측에는 제1결합홈(310)측으로 개구된 제3결합홈(730)이 형성된다. 상기 제2래치(700)의 타측 즉 본 실시예에서는 우측하단부에는 결합부(750)가 형성되는데, 결합부는 돌출된 결합돌기(790)와 제3탄성부재(770)로 구성된다. 상기 제3탄성부재(770)는 일측은 베이스(300)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래치(700)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3탄성부재(770)에 의해 제2래치(700)는 항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 된다.
상기 제2래치(700)의 좌측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의 폴(800)이 마련된다. 상기 폴(800)에는 제2래치(700)와 맞닿는 측에 걸림홈(850)이 형성된다. 상기 폴(800)의 일측은 제2회전축(810)은 베이스(300)에 회전가능하도록 관통 결합되고, 타측은 제2회전축(810)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폴(800)의 타측에는 실내 스위치와 연결되는 고정부(870)와 일단은 폴(800)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300)에 결합되는 제4탄성부재(830)가 결합되어 폴(800)이 탄성적으로 회전 후에 원복 가능하며 항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갖게된다. 따라서, 폴(800)의 걸림홈(850)에 제2래치(700)의 단부가 걸림으로써 제2래치(700)의 평상 시에는 제2래치(70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실내에서 후드 패널을 개방하는 스위치를 누르면, 상기 폴(800)의 고정부(870)에 연결된 와이어(미도시)가 좌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폴(800)이 제4탄성부재(830)의 힘을 이기고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폴(800)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폴(800)의 걸림홈(850)에서 제2래치(700)가 이탈하게 되고, 제2래치(700)는 제3탄성부재(770)의 탄성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스트라이커(100)를 제2래치(700)의 제3결합홈(730)에서 이탈시키게 된다. 그러나, 사용자가 스위치를 눌러 와이어를 당기는 것은 1회성의 힘이므로, 제2래치(700)에서의 스트라이커(100)의 이탈 후에는 폴(800)은 제4탄성부재(830)의 탄성력에 의해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원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그러나, 제2래치(700)는 걸림홈(850)을 이탈한 채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300), 폴(800) 및 제2래치(700)의 후방측에는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상기 베이스(300)의 제1결합홈(310)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홈(610)이 형성된 지지플레이트(600)가 마련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0)는 베이스(300)와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0)는 폴(800)과 제2래치(700)의 동작 시 베이스(300)에서 폴(800)과 제2래치(70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폴(800)과 제2래치(700)의 오버 슬램(Over Slam)을 방지하고, 폴(800)의 회전 각도 기준을 설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600)는 양측으로 제1회전축(710)과 제2회전축(810)이 관통되어 베이스(300)에 결합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1차 로킹 해제 후에는 제2래치(700)에서는 스트라이커(100)가 이탈되긴 하였지만, 완전히 이탈된 것이 아니므로, 사용자가 차량의 외측에서 엔진룸의 후드 패널을 개방시켜야 한다. 종래에는 레버 등이 사용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직접 손을 후드 패널과 라디에이터 사이에 넣지 않더라도 별도로 형성된 푸시버튼(200)을 가압함으로써, 후드 패널의 개방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아래에서는 1차 로킹 해제 후 엔진룸의 후드 패널이 완전히 개방되는 것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푸시버튼(200)의 가압 중인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써, 상기 베이스(300)의 전방측에는 상단에 후크 형상의 걸림고리(410)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30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제1래치(40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래치(400)에는 제1경사면(430)이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제1래치(400)는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면(410)은 좌측에서 우측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래치(400)와 제2래치(700)는 동일한 방향으로 개구되어 스트라이커(100)가 개구된 걸림고리(410)와 제3결합홈(730)에 걸릴 수 있다.
상기 베이스(300)의 하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홀(330)이 형성되고, 상기 제1래치(400)는 상기 베이스(300)와 슬릿홀(300)을 관통하는 핀(350)에 의해 핀결합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핀(350)이 슬릿홀(330) 내를 슬라이딩함으로써, 제1래치(400)가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래치(400)의 측면에는 일단은 상기 제1래치(400)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300)와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450)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푸시버튼(200)이 가압되면 푸시로드(500)의 제2경사면(510)이 제1래치(400)의 제1경사면(430)을 가압하게 되고, 제1래치(400)가 슬릿홀(33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의 보다 안정적인 동작을 위하여 상기 슬릿홀(330)과 상기 제2탄성부재(450)는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푸시버튼(200)은 차량의 전방에 형성되며, 별도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차량의 엠블럼을 푸시버튼(200)으로 이용한 것을 예를 들어 도시하였다.
상기 푸시버튼(200)에는 바 형상으로써, 푸시버튼(200)의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430)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경사면(510)이 형성된 푸시로드(500)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로드(500)는 푸시버튼(200)의 동작에 의해 제1래치(400)의 제1경사면(410)이 가압되게 된다.
또한, 상기 푸시로드(500)의 단부와 제1래치(400)는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푸시버튼(200)의 가압 시 푸시버튼(200)과 푸시로드(500)가 차량의 후방으로 전진하게 되고, 푸시로드(500)의 제2경사면(510)과 제1래치(400)의 제1경사면(410)이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푸시버튼(200)을 더 가압하게 되면 제2경사면(510)이 제1경사면(410)을 가압하는 힘에 의해 미끄러져 제1래치(400)는 제1경사면(410)의 형상에 따라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어, 제1래치(400)의 걸림고리(410)가 스트라이커(100)로부터 완전 이탈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푸시로드(500)의 외측에는 푸시로드(500)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의 가이드(530)가 형성된다. 상기 푸시로드(500)는 가이드(530)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되, 가이드(530)의 후단부는 개방되어 푸시로드(500)가 가이드(530)를 이탈하여 제1래치(400)를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530)의 일측면에는 푸시로드(500)의 길이방향으로 가이드홈(550)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530)의 전단부 외측에는 돌출된 돌출돌기(531)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로드(500)의 후단부에도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570)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의 돌출돌기(531)와 푸시로드의 돌출돌기(570)는 제1탄성부재(590)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푸시버튼(200)의 동작 시 푸시로드(500)가 가이드(530) 내에서 차량의 후방측으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되고(도 6), 푸시버튼(200)의 가압 해제 시 제1탄성부재(590)에 의해 푸시버튼(200)이 원래의 자리로 복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는 후드 패널의 레버를 삭제하여 레버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공간 삭제가 가능하여 후드 패널의 하향 및 쿨링 영역의 확보해 인해 후드 패널과 FEM(Front End Module) 간의 공간확보가 어려웠던 점을 개선하여 후드 패널과 FEM 간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회전식 레버 타입의 레버 간섭 방지를 위해 여유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드 패널의 단면적을 줄여 설계하여야 했으나, 여유공간을 삭제할 수 있어 단면적을 줄이지 않아도 되므로 강성이 증대되고 충돌 시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보다 안전한 차량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레버 타입의 고질적인 문제였던 회전부에 먼지 등의 불순물이 누적되어 부품이 고착 또는 부식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후드 패널과 라디에이터 그릴의 갭 사이로 직접 손을 넣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자의 손 상해나 손 오염 등으로부터 사용자를 보호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켜 사용자의 만족감을 증대시키고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장점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스트라이커 200 : 푸시버튼
300 : 베이스 310 : 제1결합홈
330 : 슬릿홀 350 : 핀
400 : 제1래치 410 : 걸림고리
430 : 제1경사면 450 : 제2탄성부재
500 : 푸시로드 510 : 제2경사면
530 : 가이드 531 : 돌출돌기
550 : 가이드홈 570 : 돌출돌기
590 : 제1탄성부재 600 : 지지플레이트
610 : 제2결합홈 700 : 제2래치
710 : 제1회전축 730 : 제3결합홈
750 : 결합부 770 : 제3탄성부재
790 : 결합돌기 800 : 폴
810 : 제2회전축 830 : 제4탄성부재
850 : 걸림홈 870 : 고정부
890 : 결합부

Claims (8)

  1. 차량 후드에 형성된 스트라이커;
    차량 전방에 형성된 푸시버튼;
    플레이트 형상으로써, 상단부에서 하방으로 만입된 제1결합홈이 형성된 베이스;
    상단에 후크 형상의 걸림고리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의 전방측에 결합되되 제1경사면이 전방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1래치;
    바 형상으로써, 상기 푸시버튼의 후방측으로 연장형성되되, 후단부에는 상기 제1경사면에 대응되는 지점에 제2경사면이 형성되어 푸시버튼의 동작에 의해 제1래치의 제1경사면이 가압되도록 하는 푸시로드;
    상기 베이스의 후방에 위치하되 제1결합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2결합홈이 형성되며 베이스와는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된 지지플레이트;
    상기 베이스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제1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되, 일측에는 상기 스트라이커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제3결합홈이 마련되며 타측에는 결합부가 형성된 제2래치; 및
    상기 베이스와 지지플레이트 사이에 마련되며, 일측은 제2회전축에 의해 관통결합되며, 타측은 제2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제2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된 폴;을 포함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의 외측에는 푸시로드의 외측을 감싸되 후단부는 개방된 형상의 가이드가 형성되어 가이드의 내측에서 푸시로드가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일측면에는 푸시로드의 길이방향으로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전단부 외측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푸시로드의 후단부에도 외측으로 돌출된 돌출돌기가 형성되되 가이드의 돌출돌기와 푸시로드의 돌출돌기가 제1탄성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푸시버튼의 동작 시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하단에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1래치는 상기 베이스와 슬릿홀을 관통하는 핀에 의해 핀결합되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래치의 측면에는 일단은 상기 제1래치와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베이스와 결합되는 제2탄성부재가 형성되어 푸시버튼의 동작에 의해 상기 슬릿홀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래치의 결합부에는 일측은 베이스에 결합되고, 타측은 제2래치에 결합된 제3탄성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에는 일단은 폴에 결합되고 타단은 베이스에 결합되는 제4탄성부재가 결합되어 폴이 탄성적으로 회전 후 원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KR1020140067878A 2014-06-03 2014-06-03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KR10163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78A KR101637652B1 (ko) 2014-06-03 2014-06-03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US14/525,094 US9784020B2 (en) 2014-06-03 2014-10-27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engine room for vehicle
CN201410646148.2A CN105275285B (zh) 2014-06-03 2014-11-14 用于车辆的发动机舱的打开和关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7878A KR101637652B1 (ko) 2014-06-03 2014-06-03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9722A true KR20150139722A (ko) 2015-12-14
KR101637652B1 KR101637652B1 (ko) 2016-07-08

Family

ID=54701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7878A KR101637652B1 (ko) 2014-06-03 2014-06-03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784020B2 (ko)
KR (1) KR101637652B1 (ko)
CN (1) CN10527528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941592B2 (en) * 2015-05-21 2021-03-09 Magna Closures Inc. Latch with double actuation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170138098A1 (en) * 2015-11-13 2017-05-1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ood release system for a motor vehicle that automatically raises the hood
US10221621B2 (en) * 2016-01-15 2019-03-05 Crestron Electronics, Inc. Roller shade latching apparatus
DE112017001914T5 (de) * 2016-04-08 2018-12-13 John Phillip Chevalier Verriegelungssysteme zum Verriegeln beweglicher Verkleidungen
KR101836620B1 (ko) * 2016-04-21 2018-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씬칭래치 조립체
US10584521B2 (en) * 2016-09-07 2020-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chanism to open hood
KR101956990B1 (ko) * 2016-11-24 2019-03-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후드래치 어셈블리
JP6988412B2 (ja) * 2017-12-01 2022-01-0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装置
CN108915428B (zh) * 2018-09-03 2023-05-09 江西五十铃汽车有限公司 一种狭窄空间汽车发动机盖开启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829A (ko) 1996-08-21 1998-06-05 이노쿠마 다카히코 서보모터 제어방법(servomotor control method)
KR20060004177A (ko) * 2004-07-08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래치
KR100836983B1 (ko) * 2007-07-06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드 오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257998A (en) * 1917-10-11 1918-03-05 Archibald B Gruber Push-button latch.
US1556864A (en) * 1924-06-13 1925-10-13 James H Mendenhall Securing and latching mechanism for automobile hood lids
US4875724A (en) * 1986-10-29 1989-10-24 Magna International Inc. Hood latch mechanism
DE3903274A1 (de) * 1988-02-03 1989-08-17 Magna Int Inc Verriegelungsmechanismus, insbesondere fuer die motorhaube eines kraftfahrzeugs
US5348355A (en) * 1991-12-11 1994-09-20 Mazda Motor Corporation Automotive engine hood latch mechanism
US5445421A (en) * 1993-10-01 1995-08-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Dual throat latch assembly
KR960032597U (ko) * 1995-03-31 1996-10-24 테이프레코더의 예약녹화기능 개폐장치
US5618069A (en) * 1995-07-21 1997-04-08 General Motors Corporation Hood and decklid latch assemblies
KR19980018829U (ko) 1996-09-30 1998-07-06 양재신 자동차 후드의 2차 잠금장치
US5853060A (en) * 1996-10-04 1998-12-29 Chao; Yi Jen Automotive vehicle hood latch release system
US5738393A (en) * 1996-11-08 1998-04-1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Automotive hood latch having remote actuator
KR200173207Y1 (ko) 1997-12-03 2000-05-01 정몽규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US6422616B1 (en) * 1999-03-01 2002-07-23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Adjustable hood latch assembly
US6280592B1 (en) * 1999-07-02 2001-08-28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Resin-bonded solid-film-lubricant coated hood latch mechanism and method of making
KR20010055336A (ko) * 1999-12-10 2001-07-04 이계안 차량의 테일 게이트 글래스 릴리이즈 버턴 어셈블리
US6666483B2 (en) * 2000-01-14 2003-12-23 Atoma International Corp Hood latch with self-retracting secondary latch release arm
US6547291B1 (en) * 2001-01-26 2003-04-15 Midway Products Group, Inc. Latch assembly for vehicle hood
JP2004036221A (ja) 2002-07-03 2004-02-05 Antokuretsu Yugenkoshi アルミ戸又は窓用の暗号式ロック装置
CN1751164A (zh) * 2003-02-21 2006-03-22 麦格纳覆盖件有限公司 发动机罩闩锁组件
JP4456339B2 (ja) * 2003-06-09 2010-04-2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車両用フードラッチ装置
KR100655997B1 (ko) * 2005-10-04 2006-12-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드 래치 어셈블리
KR100978746B1 (ko) 2008-10-31 2010-08-3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후드래치의 2차구속해제 버튼장치.
KR101091518B1 (ko) 2009-07-31 2011-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후드 래치 구조
KR101154299B1 (ko) * 2010-09-28 2012-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액티브 후드 래치 시스템
JP5849680B2 (ja) * 2011-12-16 2016-02-03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フードのロック機構
KR101372022B1 (ko) * 2012-08-24 2014-03-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2단 가이드 후드 래치 장치
KR101382913B1 (ko) * 2012-09-05 2014-04-0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2단 링크 후드 래치 장치
US9091102B2 (en) * 2012-11-13 2015-07-28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hood latch assembly
CN103726728B (zh) * 2013-11-29 2016-03-30 天津博信汽车零部件有限公司 用于车辆的发动机罩锁及具有其的车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8829A (ko) 1996-08-21 1998-06-05 이노쿠마 다카히코 서보모터 제어방법(servomotor control method)
KR20060004177A (ko) * 2004-07-08 2006-01-12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드래치
KR100836983B1 (ko) * 2007-07-06 2008-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드 오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784020B2 (en) 2017-10-10
CN105275285A (zh) 2016-01-27
CN105275285B (zh) 2019-06-07
KR101637652B1 (ko) 2016-07-08
US20150345187A1 (en) 2015-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652B1 (ko) 차량용 엔진룸 개폐장치
US10132108B2 (en) Lock device for opening/closing device
JP6031523B2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183647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US11377884B2 (en) Lock device
JP2014505617A (ja) 座席の折り畳み式背もたれ用ロック装置
JP2014527938A (ja) 車両座席用のロック可能な固定装置及び車両座席
US20180051497A1 (en) Pivot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ith easy-to-install and safer pivot bearing
JP2004262334A (ja) 収納ボックスの取付け構造
JP6984101B2 (ja) シートロック装置
KR101519247B1 (ko) 슬라이드 도어 장치
US10612276B2 (en) Vehicle door latch device
KR100836983B1 (ko) 차량 후드 오픈장치
JP2010521370A (ja) 車両用ローディングフラップ
JP2007301342A5 (ko)
JP2014108701A (ja) 車両用物品収容ケース
US9810002B2 (en) Rotary cable latch
KR20070031493A (ko) 더블 폴딩 시트용 폴딩 위치 제한장치
JP5806597B2 (ja) 収納型接続装置
JP4797825B2 (ja) 円形状部品の車体への取付け構造
JP2007261390A (ja) 収納ボックスのロック装置
KR20120041015A (ko) 자동차 트레이용 이중 걸림 장치
KR101748118B1 (ko) 글로브박스
JP2018167810A (ja) 充電ポート用カバー及び充電ポート用カバーの取付方法
JP5335119B2 (ja) リッド開閉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