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3207Y1 -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3207Y1
KR200173207Y1 KR2019970035517U KR19970035517U KR200173207Y1 KR 200173207 Y1 KR200173207 Y1 KR 200173207Y1 KR 2019970035517 U KR2019970035517 U KR 2019970035517U KR 19970035517 U KR19970035517 U KR 19970035517U KR 200173207 Y1 KR200173207 Y1 KR 2001732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top mark
hook
safety hook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5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23186U (ko
Inventor
홍영표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70035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3207Y1/ko
Publication of KR1999002318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318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32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32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버튼이나 레버를 이용하여 일단계로 후드래치의 로킹이 해제된 후드를 최종적으로 로킹해제시켜 오픈시켜 주기위한 후드의 안전후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의 상면에 고정되는 톱 마크에 안전후크의 구조를 결합 부가시켜 톱 마크를 조작함으로써 안전후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후드래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안전후크의 작동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어서 후드의 오픈을 신속,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손의 오염이나 손상의 방지를 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본 고안은 자동차 실내의 버튼이나 레버를 이용하여 일단계로 후드래치의 로킹이 해제된 후드를 최종적으로 로킹해제시켜 오픈시켜 주기위한 후드의 안전후크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후드의 상면에 고정되는 톱 마크에 안전후크의 구조를 결합 부가시켜 톱 마크를 조작함으로써 안전후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후드래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안전후크의 작동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어서 후드의 오픈을 신속,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손의 오염이나 손상의 방지를 기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후드를 오픈시키는 경우 안전조치의 일환으로써 자동차 실내의 버튼이나 레버를 이용하여 일단계로 후드래치의 로킹을 해제시킨 다음 안전후크를 이용하여 후드를 최종적으로 완전한 로킹해제가 되도록 하는 것이바,
이와같이 후드의 오픈을 안전하게 도모하기 위하여 적용되는 안전후크의 기존구성은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후드(H)의 선부측 저면에 걸림편(20)을 용착시키고, 일차 로킹수단인 후드래치(HR)에는 토션스프링(21)에 의해 일방향의 회동력이 부여되는 안전후크(22)가 축설되며 안전후크(22)의 반대측에는 작동레버(23)를 일체로 구비시킨 구성으로써 이는 후드(H)의 오픈시 일단계로 로킹해제된 후드래치(HR)에 의해 살짝 들려진 후드(H)의 틈새로 손을 집어넣어 안전후크(22)가 걸림편(20)에서 이탈되도록 작동레버(23)를 당겨 주어야하는 구조인바,
이와같은 구조는 작동레버(23)가 관찰이 불가능하게 후드(H)의 내부에 은폐되는 상태로 위치되는 것이므로 후드(H)를 오픈시키기 위해서는 후드(H)의 밑으로 손을 넣어 작동레버(23)를 당겨야 하는 것이므로 손이 먼지나 기름때 등의 이물질에 오염되는 것이며,
작동레버(23)의 위치를 손으로 더듬어 찾아야 하는 것이므로 취급에 불편한을 유발하는 것이며,
손이 후드(H)에 의해 눌려지거나 타 부품을 잘못건드려 손상되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안전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 보완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후드의 상면에 고정되는 톱 마크에 안전후크의 구조를 결합 부가시켜 톱 마크를 조작함으로써 안전후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후드래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안전후크의 작동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어서 후드의 오픈을 신속,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손의 오염이나 손상의 방지를 기할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적용부위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과 작용상태를 보이는 도면
도 3은 기존의 후드 오픈 구조를 보이는 구성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고정후크 2:브라켓
3:후드 톱 마크 4:로드
5:걸림턱 6:후크
7:스프링 8:스톱퍼
본 고안의 구성은 도 2에서와 같이 결합 구성되는 것으로,
후드래치(HR)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후크(1)와;
후드(H)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2)과;
저면의 지지부(3')가 상기 브라켓(2)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태로 후드(H)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후드 톱 마크(3)와;
상기 후드 톱 마크(3)의 지지부(3')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4)의 측부와 하단에 각각 일체로 구성되는 걸림턱(5)및 후크(6)와;
양단이 상기 후드 톱 마크(3)와 브라켓(2)에 각각 고정되며 후드 톱 마크(3)과 후크(6)에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7)과;
상기 브라켓(2)의 저면에 고정되며 후드 톱 마크(3)의 회동시 로드(4)의 걸림턱(5)과 접촉되어 회동각도를 한정시켜 주기위한 스톱퍼(8)를 각각 결합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평상시의 본 고안의 후드 톱 마크(3)의 로드(4)의 후크(6)는 고정후크(1)와 교차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호 걸려질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며,
로드(4)의 걸림턱(5)은 스톱퍼(8)의 반대측에 위치되는 상태이다.
한편 자동차 실내의 버튼이나 레버를 이용하여 일단계로 후드래치(HR)의 로킹을 해제시키면 후드(H)가 살짝 들려지면서 도 2에서의 실선 상태와 같이 후드 톱 마크(3)의 로드(4)의 후크(6)가 상승되면서 고정후크(1)에 걸려진 상태가 된다.
이상태에서 후드(H)를 오픈시킬 경우에는 걸림턱(5)이 스톱퍼(8)에 닿아 회동이 정지되는 상태까지 후드 톱 마크(3)를 회동시켜 로드(4)의 후크(6)가 고정후크(1)에서 벗어나도록 한 상태에서 후드(H)의 선단을 들어올려 주면 되는 것이다.
한편 후드 톱 마크(3)에서 손을 떼면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후드 톱 마크(3)가 원위치로 회동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은 톱 마크를 조작함으로써 안전후크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후드래치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는 것이며, 안전후크의 작동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이어서 후드의 오픈을 신속,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 손을 후드패널의 내부로 집어넣을 필요가 없어 손의 오염이나 손상의 방지를 기할 수 있는 것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후드래치(HR)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고정후크(1)와;
    후드(H)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브라켓(2)과;
    저면의 지지부(3')가 상기 브라켓(2)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상태로 후드(H)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후드 톱 마크(3)와;
    상기 후드 톱 마크(3)의 지지부(3')저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로드(4)의 측부와 하단에 각각 일체로 구성되는 걸림턱(5)및 후크(6)와;
    양단이 상기 후드 톱 마크(3)와 브라켓(2)에 각각 고정되며 후드 톱 마크(3)과 후크(6)에 탄성 복귀력을 부여하기 위한 스프링(7)과;
    상기 브라켓(2)의 저면에 고정되며 후드 톱 마크(3)의 회동시 로드(4)의 걸림턱(5)과 접촉되어 회동각도를 한정시켜 주기위한 스톱퍼(8)를 각각 결합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KR2019970035517U 1997-12-03 1997-12-03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KR2001732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517U KR200173207Y1 (ko) 1997-12-03 1997-12-03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5517U KR200173207Y1 (ko) 1997-12-03 1997-12-03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86U KR19990023186U (ko) 1999-07-05
KR200173207Y1 true KR200173207Y1 (ko) 2000-05-01

Family

ID=1951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5517U KR200173207Y1 (ko) 1997-12-03 1997-12-03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732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27B1 (ko) * 2007-04-16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9784020B2 (en) 2014-06-03 2017-10-10 Hyundai Motor Company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engine room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927B1 (ko) * 2007-04-16 2014-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버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US9784020B2 (en) 2014-06-03 2017-10-10 Hyundai Motor Company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of engine room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3186U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58582B2 (ja) フードラッチアセンブリのセーフティレバー作動構造
US20040222649A1 (en) Door handle device for vehicles
KR200173207Y1 (ko) 자동차의 후드 톱 마크를 이용하는 후드의 안전후크구조
US5066055A (en) Locking device for hood
KR102009312B1 (ko)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JPS5840201Y2 (ja) 開閉扉のロック装置
KR200175572Y1 (ko) 궤적형 도어아웃사이드핸들
JPS6116378Y2 (ko)
KR960005577Y1 (ko) 자동차의 트렁크잠금장치용 스트라이커
JPS6024270B2 (ja) 自動車用ドアアウトサイドハンドル
KR200150745Y1 (ko) 버스 선반의 도어잠금장치
KR200212755Y1 (ko) 맨홀뚜껑의 잠금장치
KR100288515B1 (ko) 레버회전이 가능한 후드 래치 구조
KR100507226B1 (ko) 슬라이딩도어의 2단 오픈 록 장치
JPH043097Y2 (ko)
JPH048206Y2 (ko)
JPH0248260Y2 (ko)
KR200144198Y1 (ko) 차량의 도어록크용 노브 함몰방지 장치
JPH0128208Y2 (ko)
KR970069793A (ko) 자동차의 엔진후드 개폐장치
KR0135385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
KR950007732Y1 (ko) 후드의 록크장치
KR200146850Y1 (ko) 도어핸들 일체형 도어 인사이드 핸들 조립체
JPS6139640Y2 (ko)
JPH0625017U (ja) バックドア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