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18518A - 유도 구성품 - Google Patents

유도 구성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18518A
KR20150118518A KR1020140162339A KR20140162339A KR20150118518A KR 20150118518 A KR20150118518 A KR 20150118518A KR 1020140162339 A KR1020140162339 A KR 1020140162339A KR 20140162339 A KR20140162339 A KR 20140162339A KR 20150118518 A KR20150118518 A KR 201501185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er element
coil
housing
connection
winding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2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4991B1 (ko
Inventor
클라우스 마이어호퍼
크리슈티안 알로이
Original Assignee
뷔르트 엘렉트로닉 이베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뷔르트 엘렉트로닉 이베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뷔르트 엘렉트로닉 이베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18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8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01F17/045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with core of cylindric geometry and coil wound along its longitudinal axis, i.e. rod or drum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4Leading of conductors or axles through casings, e.g. for tap-chang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7/00Fixed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17/0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 H01F17/04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with magnetic co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2Casings
    • H01F27/027Casings specially adapted for combination of signal type inductors or transformers with electronic circuits, e.g. 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47Sheets; Stri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7/292Surface mounted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6Mounting, supporting or suspend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not being of the signal type
    • H01F2027/065Mounting on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H01F2027/297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with pin-like terminal to be inserted in hole of printed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Structures For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On Printed Circuit Boards (AREA)
  • Housings And Mounting Of Transformer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유도 구성품은 페라이트 재료의 하우징, 코일 및 그 코일의 캐리어 엘리먼트를 포함한다. 코일에 대한 캐리어 엘리먼트는 그에 대한 홀더를 형성한다. 코일은 캐리어 엘리먼트에 연결되고 코일의 권취 단부들은 캐리어 엘리먼트의 연결 실현물들에 솔더링된다. 캐리어 엘리먼트는 하우징 내에 코일과 함께 삽입되고, 캐리어 엘리먼트 상에 존재하는 연결 콘텍트들은 유도 구성품들을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도록 기능한다.

Description

유도 구성품{INDUCTION COMPONENT}
본 발명은 유도 구성품, 특히 고전류 인덕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타입들의 구성품들은 하우징에 코일을 포함하고, 그 코일의 권취 단부들은 인쇄 회로 기판의 솔더 패드들에 연결되어야 한다. 가장 단순한 경우, 주석-도금된 권취 단부들은 SMD 솔더 면들로서 실현된다.
그러나, 느슨한 와이어 단부들의 경우, 이들은 SMD 어셈블리에 필요한 하나의 평면에서 항상 정밀하게 연장되지는 않는다는 문제가 있다.
권취부들의 단부들이 하나의 평면에 놓여서 연결 콘텍트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하우징의 저부 (bottom) 주위의 플랫 와이어로부터 형성되는 코일의 권취 단부들을 구부리는 것은 이미 알려져 있다 (US 6,922,130 B2).
또한, 하우징의 저부 상에 콘텍트 엘리먼트들을 부착시키고, 포지티브 록킹 (positive locking) 방식으로, 플랫 와이어로부터 형성되는 코일의 권취 단부들을 상기 콘텍트 엘리먼트들에 연결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이 권취 단부들에는 각각의 경우 홀이 제공된다 (US 2013/0194061 A1).
또한,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는 단부 면들 상의 경사진 콘텍트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플레이트를, 2개의 부분들로 이루어진 하우징에 배열시키고 상기 플레이트의 컨덕터 경로들을 통해 코일 단부들을 경사진 콘텍트 엘리먼트들에 연결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JP 07-320961 A).
본 발명의 근본적인 목적은, 자동 어셈블리에 특히 적합한 유도 구성품을 생성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청구항 1 에서 지칭된 피처들 (features) 을 갖는 유도 구성품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추가 전개들은 종속항들의 대상이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유도 구성품은, 페라이트 재료로부터 또는 가압된 기질 분말로부터 특히 제조되고, 적어도 하나의 코일이 배열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코일은, 하우징에 또한 배열되는 캐리어 엘리먼트에 의해 운반된다. 캐리어 엘리먼트는, 기계적 그리고 동작적 방식으로 유도 구성품을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일측에 연결 콘텍트들을 포함하고, 코일의 권취 단부들이 부착되고 이들이 결합되는 연결 실현물들 (connection realizations) 을 다른 측에 포함한다.
그에 따라, 복수의 연결 콘텍트들은 코일의 권취 단부들의 형태 및 속성에 더 이상 의존하지 않으며, 코일의 권취 단부들은 신뢰성있게 그리고 프로세스-세이프 (process-safe) 방식으로 연결 실현물들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 실현물들은, 권취 단부들이 솔더링되는 솔더 플레이트들로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 전개에서, 캐리어 엘리먼트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연결 콘텍트들은 플라스틱 재료 내에 주입되거나 가압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제조를 단순화시킨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추가 전개에서, 각각의 권취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실현물은, 각각 연관된 연결 콘텍트와 일체로 실현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연결 콘텍트들을 형성하거나 포함하는 금속 부분들과 권취 단부들 사이에 어떤 부가적인 연결들도 필요하지 않다. 상기 금속 부분들은, 개별적인 경우의 요건들에 따라, 연결 콘텍트를 형성한 측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연결 실현물들 및 연결 콘텍트들은 그 후에 캐리어 부분의 플라스틱 재료 내의 부분들에 주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추가 전개에서, 캐리어 엘리먼트가 변위불가능한 방식으로 하우징에 고정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것은 캐리어 엘리먼트와 하우징 사이의 포지티브 록킹의 결과로서 바람직하게 행해질 수 있고, 적용가능하다면 부가적으로 본딩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전개에서, 캐리어 엘리먼트가 하우징에서 하우징에 의해 센터링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은 원통형 코일 코어를 포함하고, 캐리어 엘리먼트는 관형 부분에 의해 그 코일 코어 상에서 센터링된다.
또한, 캐리어 엘리먼트는 코어에 대한 센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터링 수단은, 캐리어 엘리먼트가 유도 구성품을 어셈블링할 때 어셈블리를 위한 어셈블리 보조의 역할을 동시에 할 수 있게 한다. 이로운 방식으로, 코일에 대한 센터링 수단은 캐리어 엘리먼트의 관형 부분으로서 실현된다. 코일은 관형 부분의 외측 원주에 의해 센터링되고, 캐리어 엘리먼트는 관형 부분의 내측 원주에 의해 하우징 상에 센터링된다.
추가 전개에서, 하우징은 레벨 저부 표면과, 상기 저부 표면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레벨 상부 표면을 포함하지만, 짧은 단부 측들 상의 단부 면들은 레벨 면들로서 실현될 수 있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저부 표면은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될 때 인쇄 회로 기판에 대향하게 놓인 하우징의 저부 측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추가 전개에서,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유도 구성품들의 코일은 플랫 와이어로부터 권취될 수 있고, 그 플랫 측은 코일 축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체결의 안정성 및 어셈블리를 더욱 개선시키기 위해, 캐리어 엘리먼트는 콘텍트 면으로서 구성되는 제 3 면을 포함할 수 있어서, 그 제 3 면은 연결 콘텍트들이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되는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 3 연결 면은 코일에 전도성있게 연결되지 않음에 따라 어떠한 콘텍트도 형성하지 않는다. 제 3 면 대신에, 인쇄 회로 기판 상의 안정된 체결을 보장하기 위해 몇몇 면들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 3 면 또는 추가 면들은 또한, 예를 들어, 그 후에 인쇄 회로 기판에 가압되거나 핫-스테이킹되는 (hot-staked) 플라스틱 재료 핀 또는 플라스틱 재료 스터드의 단부에서,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솔루션은 무엇보다 먼저 단지 하나의 코일을 갖는 유도 구성품에 적용한다.
캐리어 엘리먼트는 또한 코일을 센터링하고 홀딩하도록 기능한다는 것이 이미 언급되었다. 이 목적을 위해, 캐리어 엘리먼트는, 하우징에 대해 캐리어 엘리먼트를 센터링하도록 그리고 코일에 대해 캐리어 엘리먼트를 또는 그 반대의 경우를 센터링하도록 하는 양쪽 모두를 위해 기능하는 중심 링 부분 또는 관형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심 링 부분은 플레이트 형상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고, 이 중심 링 부분은 실질적으로 하나의 평면에 놓여 있다. 이것의 외측 에지와 내측 에지 양쪽 모두는 하우징에 대한 센터링 목적으로 기능할 수 있다.
코일을 센터링하기 위해, 링 부분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개별 핑거들은, 링 부분의 내측 에지 상에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중심 링 부분은 또한 원통형일 수 있다. 링 부분의 원통 형상은 캐리어 엘리먼트를 고정하도록 그리고 코일을 센터링하도록 하는 양쪽 모두를 위해 기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전개에서, 캐리어 엘리먼트는 유도 구성품의 하우징의 저부 표면까지 도달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할 수 있고, 풋 (foot) 이 제공된다. 풋의 저부 표면은 대략 하우징의 저부 표면의 평면에 놓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 콘텍트는 풋의 저부 표면에서 발생될 수 있고 이 연결 콘텍트는 그 후에 또한 하나의 평면에 놓여서 인쇄 회로 기판과의 SMD 접촉에 특히 적합하다.
추가 전개에서, 코일의 권취 단부들을 연결하기 위해 면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엘리먼트의 풋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연결 실현물이 직각으로 돌출되는 것이 제공될 수 있다. 그 결과, 면은 권취 단부들과 연결 실현물 사이의 조인트에 이용가능하고, 그 면은 어셈블리를 위해 그리고 조인트의 생성을 위해, 예를 들어, 솔더링된 조인트를 위해 자유로운 액세스 (free access) 를 가능하게 한다. 연결 실현물은 또한, 예를 들어, U 형상화 방식으로 구부러진 금속 시트를 포함할 수 있고, 권취 단부는 금속 시트의 레그들 사이에 푸시되고 그 후에 그 레그들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피처들, 상세들 및 선호도들은 특허청구범위 및 요약으로부터 발생되고, 그 양쪽 모두의 단어선택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그리고 도면에 의해, 설명의 내용을 참조한 결과로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이한 실시형태들의 개별 피처들은 본 발명의 테두리를 초과하는 일 없이 이 경우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 구성품의 상측에서 비스듬하게 본 등축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는 도 1 의 유도 구성품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 는 도 1 및 도 2 의 유도 구성품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하측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구성품의 어셈블링의 몇몇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 구성품의 어셈블링의 몇몇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에 따른 유도 구성품의 하나의 하우징 절반부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도 6 의 하우징 절반부의 상측으로부터 본 상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구성품에 대한 코일의 상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 는 도 8 로부터의 코일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 은 도 6 에 따른 2개의 하우징 절반부들 및 도 8 에 따른 코일을 갖는 끝마친 유도 구성품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은 90°만큼의 방향 오프셋으로부터의 도 10 의 유도 구성품의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는 도 10 의 유도 구성품의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 은 도 10 의 유도 구성품의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4 는 도 10 의 유도 구성품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5 는 도 14 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6 은 도 14 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7 은 도 14 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8 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형태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9 는 도 18 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상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0 은 도 18 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측면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1 은 도 18 의 캐리어 엘리먼트의 정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2 는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유도 구성품의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구성품의 상측으로부터 비스듬하게 본 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유도 구성품은, 서로 동일하게 실현되는 저부 하우징 절반부 (bottom housing half; 1a) 및 상부 하우징 절반부 (1b) 를 포함한다. 코일 (7) 은 하우징 내측에 배열된다. 코일은 플랫 재료로부터 권취되고, 코일의 실제 권취부에 관련하여 직각으로 구부러진 권취 단부들 (8, 9) 을 포함한다. 권취 단부들 (8, 9) 은, 각각의 경우 U 형상화되는 연결 실현물들 (connection realizations; 31) 내측에 배열되고, 상기 연결 실현물들 (31) 과 솔더링된다. 연결 실현물들은, 아래에 또 다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코일 (7) 을 또한 유지하는 캐리어 부분 (32) 상에 배열된다.
도 2 의 도면은 도 1 의 유도 구성품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권취 단부들 (8, 9) 을 갖는 코일 (7) 은 캐리어 부분 (32) 상에 배치되고, 링 구성품 (16) 의 중심 홀의 원주 상에 배열되고 홀의 만곡을 따르는 3개의 웨브들 (26) 에 의해 캐리어 부분 (32) 의 링 부분 (16) 상에 홀딩된다. 그 결과, 웨브들 (26) 은, 코일 (7) 의 내측 직경에 매칭되고, 그 결과, 캐리어 부분 (32) 상에서 코일 (7) 을 센터링하는 원통형 표면의 부분들을 규정한다. 이 확대도에서 연결 부분들 (31) 의 U 형상화된 실현물이 도시될 수 있고, 권취 단부들 (8, 9) 은 U 형상화된 연결 부분들 (31) 의 각각의 내부 내에 푸시된다. 권취 단부들 (8, 9) 은 그 후에 연결 부분들 (31) 에 솔더링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코일 (7) 이 캐리어 엘리먼트 (32) 에 연결되는 경우, 캐리어 엘리먼트 (32) 는 그 후에 저부 하우징 절반부 (1a) 내에 삽입된다. 상부 하우징 절반부 (1b) 는 그 후에 또한 포지션 배치될 수 있고, 2개의 하우징 절반부들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딩될 수 있다.
전기적으로 전도되도록 연결 실현물들 (31) 에 연결되는 연결 콘텍트들 (33) 은, 캐리어 엘리먼트의 저부 표면 상에 제공되고, 특히, 하나의 연결 면 (33) 및 하나의 연결 실현물 (31) 은 각각의 경우 일체의 구부러진 금속 시트로 이루어진다. 플라스틱 재료로부터의 캐리어 부분 (32) 의 제조 동안, 상기 구부러진 금속 시트들은 상기 캐리어 부분 내에 주입된다. 이것은 연결 콘텍트들 (33) 이 하나의 공통 평면에 놓이는 것을 보장한다. 그 결과, 연결 콘텍트들 (33) 에 의해 인쇄 회로 기판 (35) 상의 솔더 패드들 (34) 에 유도 구성품을 쉽게 연결할 수 있다.
도 2 의 도면에서, 인쇄 회로 기판 (35) 은 제 3 솔더 패드 (36) 를 포함한다. 상기 솔더 패드 (36) 는 캐리어 엘리먼트 (32) 의 레그 (37) 의 저부 표면에, 연결될 목적으로, 예를 들어, 솔더링될 목적으로 제공된다 (도 3 참조). 이러한 방법으로, 유도 구성품은 3개의 포인트들에서 인쇄 회로 기판 (35) 에 신뢰성있게 솔더링될 수 있다. 그러나, 솔더 패드 (36) 는 전기적 관점에서 절연되어 비-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엘리먼트 (32) 가 제조될 때 레그 (37) 가 또한 주입되고 그의 저부 표면 상에, 예를 들어, 주입된 금속 면을 포함함에 따라, 캐리어 엘리먼트 (32) 가 제조될 때 레그 (37) 의 저부 표면과 연결 콘텍트들 (33) 이 하나의 평면에 정밀하게 놓여서,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구성품이 그 결과 인쇄 회로 기판 (35) 에 신뢰성있게 솔더링될 수 있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3 의 도면은 캐리어 엘리먼트 (32) 의 하측으로부터 본 도면을 도시한 것이다.
도 4 의 도면은 추가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구성품을 어셈블링할 때의 몇몇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캐리어 (15) 가 도 4 의 좌측에 도시되고, 상기 캐리어는 도 14 내지 도 17 에 의해 또 다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상기 캐리어 (15) 는 저부 하우징 절반부 (1a) 내에 삽입된다. 다음 단계에서, 코일 (7) 은 캐리어 엘리먼트 (15) 상에 배치되고, 코일 단부들 (8, 9) 은 캐리어 엘리먼트 (15) 상의 연결 실현물들에 솔더링된다. 마지막 단계에서, 상부 하우징 절반부 (1b) 는 저부 하우징 절반부 (1a) 상에 배치되고, 2개의 하우징 절반부들은 함께 연결된다, 예를 들어, 본딩된다. 도 4 에 도시된 단계들로부터 벗어난다면, 코일 (7) 이 우선 캐리어 엘리먼트 (15) 에 연결될 수 있고, 캐리어 엘리먼트 (15) 및 코일 (7) 에 의해 생성된 유닛은 그 후에 저부 하우징 절반부 (1a) 내에 삽입된다.
도 5 의 도면은 추가 실시형태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구성품을 어셈블링할 때의 다양한 단계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캐리어 엘리먼트 (32) 는 캐리어 엘리먼트 (15) 와는 상이하게 전개되고 도 18 내지 도 21 에 의해 아래에 또 다시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그러나, 그 외에는, 어셈블리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행해지고, 다시 한번 더, 코일 (7) 이 우선 캐리어 엘리먼트 (32) 에 연결된 후에 단지 저부 하우징 절반부 (1a) 내에 삽입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된 유도 구성품의 하우징의 하나의 절반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절반부는 저부 절반부로서 도시된다. 상부 절반부는 동일하지만, 정밀하게 역으로 되는 방식으로 배열되고 도시된 저부 절반부 상에 배치된다. 하우징 절반부는 좌측과 우측에 도시된 2개의 윙들 (1) 을 포함하고 각각의 경우 레벨 외측 경계 면 (2) 을 포함한다. 원형의 원통형 형상을 포함하는 중심 코어 (3) 는 하우징 절반부의 중심에 도시된다. 2개의 윙들 (1) 사이에 저부 부분들 (4) 이 도시될 수 있다. 상기 저부 부분들 (4) 은 각각의 경우, 코어 (3) 와 윙들 (1) 사이에 놓이고 도 2 에 더욱 명확히 도시될 수 있는 레벨 지지 표면 (5) 을 형성한다. 지지 표면들 (5) 은, 도 6 에 도시되지 않은 코일에 제공된다.
2개의 하우징 절반부들은, 이 경우, 반드시 동일한 방식으로 실현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하나의 하우징 절반부는 플레이트의 형상으로 실현될 수 있고, 다른 하우징 절반부는 대략 E 형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도 2 에 도시될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윙들 (1) 의, 서로 대면하는 경계 면들 (6) 은, 코어 (3) 에 대해 동심원 방식으로 실현되고, 각각의 경우 원형의 원통형 외측 표면 상에 놓인다. 그 결과, 저부 부분들 (4) 의 지지 표면들 (5) 에 의해 하향으로 규정되는 링 채널은 저부 부분들 (4) 상에 형성되지만, 이 링 채널은 코어 (3) 의 외측 표면 또는 2개의 윙들 (1) 의 각각의 벽 부분들 (6) 에 의해 외측 및 내측이 규정된다.
위에서 봤을 때, 상부 또는 저부에서 도 7 을 보면, 하우징 절반부에는 압입들 (indentations) 이 제공되어, 지지 표면들 (5) 이 그에 따라 코어 (3) 의 전체 범위에 걸쳐 연장되지 않지만 각각의 경우 양측에 대해 대략 90°커버하도록 한다.
이미 언급된 링 채널은 도 8 및 도 9 에 도시된 코일 (7) 을 수용하도록 기능한다. 코일 (7) 은 다층 코일이며, 그의 개별 권취부들은 중심 원형 개구부 주위로 권취된다. 코일 (7) 은, 도 8 의 도면에서, 개별 권취부의 각각의 평면에 정적으로 놓인 2개의 권취 단부들 (8, 9) 을 포함한다. 권취부의 절연물 (10) 은 권취 단부들 (8, 9) 양쪽에서 제거된다. 상부 권취 단부 (9) 는 저부 권취 단부 (8) 보다 다소 더 멀리 돌출된다. 2개의 권취 단부들은 도 8 의 드로잉 평면에 대해 대략 라인 A 에서 직각으로 하향으로 구부러져서, 도 9 의 도면에서 이들은 정면으로 도시될 수 있다. 상부 권취 단부 (9) 의 결과가 저부 권취 단부 (8) 보다 다소 더 길기 때문에, 2개의 권취 단부들은 동일한 평면에서 도 9 에서의 구부러진 상태로 끝난다.
코일 (7) 은 이제 설명될 캐리어 엘리먼트에 의해 저부 하우징 절반부의 면들 (6) 과 코어 (3) 사이의 링 채널 내에 삽입되고, 제 2 하우징 절반부는,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저부 절반부 상에 역 포지션으로 배치된다. 그 결과 도 10 내지 도 13 에 도시된 하우징의 형상이 생성된다.
하우징의 저부 표면 (11) 이 하나의 평면에 놓인 것이 도 6 으로부터 이미 도시되었다. 동일한 방향으로부터 도시된 도 10 의 측면도로부터, 하우징의 상부 표면 (12) 이 또한 하우징의 저부 표면 (11) 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하나의 평면에 놓인 것이 도시될 수 있다. 도 11 은 도 10 의 좌측으로부터의 방향으로부터의 하우징을 도시한 것이다. 이로부터, 하우징의 이면측 (13) 과 정면측 (14) 각각은, 도 7 에 도시된 인덴트들 (indents) 을 제외하고는, 또한 하나의 평면에 동일하게 놓이고, 상기 평면들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도시될 수 있다. 하우징은 그에 따라, 인덴트들을 제외하고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한다. 코일 권취부들은 하우징의 이면측 (13) 과 정면측 (14) 에 대해 약간 돌출된다.
도 12 는 하측으로부터의 유도 구성품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 은 상측으로부터의 유도 구성품을 도시한 것이다. 도 12 및 도 13 에 도시된 다른 상세들이 아래에 또 다시 상세히 설명된다. 유도 구성품의 투시도가 도 22 에 도시된다.
이미 언급된 캐리어 엘리먼트는 제 1 실시형태에 따라 도 14 내지 도 17 에 도시된다. 캐리어 엘리먼트 (15) 는, 중심 원형 홀 (17) 을 둘러싸는 링 부분 (16) 을 포함한다. 상기 홀 (17) 의 직경은 하우징의 코어 (3) 의 외측 직경에 대응한다. 링 부분 (16) 의 외측 윤곽은 또한 원의 대부분의 원주에 걸쳐 대응하고, 그 직경은 하우징의 윙들 (1) 의 내측 면들 (6) 사이의 공간에 대응한다. 캐리어 엘리먼트를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캐리어 엘리먼트 (15) 는, 서로 대향하게 위치되는, 링 부분 (16) 의 2개의 평평한 측들 상의 디바이스들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측면으로부터의 캐리어 엘리먼트 (15) 를 도시한 도 16 을 이하 참조한다. 링 부분 (16) 은,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 플레이트의 형태를 포함한다. 하우징의 정면 측 (14) 과 연관되는, 링 부분 (16) 의 일측에, 캐리어 엘리먼트는, 링 엘리먼트 (16) 의 평면에 대해 직각으로 하향으로 경사진 레그 (18) 를 포함한다. 그 끝에서, 레그 (18) 는 풋 (foot; 19) 을 포함하고, 그의 저부 표면 (20) 은 링 엘리먼트 (16) 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에 놓인다.
하우징의 이면측 (13) 과 연관되는, 링 부분 (16) 의 대향하게 위치된 측에, 캐리어 엘리먼트 (15) 는 또한 레그 (21) 를 포함하고, 그의 저부 표면 (22) 은 풋 (19) 의 저부 표면 (20) 과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풋 (19) 의 저부 표면 (20) 에 대해 약간 돌출되고 각각의 경우 연결 콘텍트 (23) 를 형성하는, 2개의 경사진 금속 엘리먼트들 (30) 의 수평 저부 림들 (limbs) 은,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일체로 분무되는 캐리어 엘리먼트 (15) 의 풋 (19) 내에 주입된다. 상기 연결 콘텍트들 (23) 은 도 14 에 도시되고, 또한 하측으로부터의 하우징을 도시하는 도 12 에 도시될 수 있다.
경사진 엘리먼트들 (30) 의 제 2 의 상향으로 지향되는 림들은, 풋 (19) 의 상부 표면에 대해 직각으로 상향으로 돌출되고, 각각의 경우 코일 (7) 의 하나의 권취 단부 (8, 9) 에 대해 연결 실현물 (24) 을 형성한다.
그러나, 권취 단부에 대해 어떤 연결 실현물도 형성하지 않는 금속 레벨 엘리먼트 (25) 는, 또한 이면 레그 (21) 의 저부 표면 내에 주입되거나 가압된다. 유도 구성품이 인쇄 회로 기판의 솔더 패드들에 솔더링되어야 함에 따라, 금속 엘리먼트 (25) 가 또한 이 포인트에서 비동작 솔더 패드와 솔더링될 수 있기 때문에 이면 레그 (21) 는 정렬 보조뿐만 아니라 체결 가능성의 역할을 한다.
홀 (17) 의 에지의 만곡을 따르는 3개의 핑거들 (26) 은, 홀 (17) 의 에지 상에 직접적으로, 링 엘리먼트 (16) 의 상부 표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15 참조). 캐리어 엘리먼트 (15) 는 그 캐리어 엘리먼트가 하우징 내에 삽입되기 전에 코일 (7) 을 장착하고 체결하도록 기능한다. 코일 (7) 의 경사진 권취 단부 (8, 9) 가 연결 실현물들 (24) 에 직접적으로 접촉하고 상기 연결 실현물들에 솔더링될 수 있도록 3개의 핑거들 (26) 이 코일 (7) 을 홀딩한다. 코일 (7) 및 캐리어 엘리먼트 (15) 로부터의 결과로서 형성된 유닛은 그 후에 하우징 내에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에 본딩될 수 있다. 코일은 본딩 없이도 하우징에서 캐리어 엘리먼트 (15) 와 포지티브 록킹 (positive locking) 방식으로 배열된다. 캐리어 엘리먼트 (15) 의 풋들 (19, 21) 의 저부 표면 상의 연결 콘텍트들 (23) 은 그 후에 인쇄 회로 플레이트의 솔더 패드들에 대한 연결을 위해 기능한다. 도 14 내지 도 17 에 도시된 캐리어 엘리먼트 (15) 의 실시형태의 경우, 3개의 핑거들 (26) 은 센터링 목적으로 기능하고 링 엘리먼트 (16) 는 코일 (7) 을 지지할 목적으로 기능한다.
다음의 도 18 내지 도 21 은 캐리어 엘리먼트 (27) 의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27) 는 다시 한번 더, 이하 짧은 관형 슬리브로서 실현되는 중심 링 엘리먼트 (28) 를 포함한다. 링 엘리먼트 (28) 의 내측 직경은 코어 (3) 의 외측 직경에 대응한다. 이전 실시형태의 경우 풋 (19) 과 동일한 방식으로 실현되는 풋 (19) 내에 병합되는 레그 (18) 는 다시 한번 더, 링 엘리먼트 (28) 의 저부 표면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도 20 참조). 연결 실현물 (24) 은 풋 (19) 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상향으로 돌출되고, 연결 콘텍트 (23) 는 풋 (19) 의 저부 표면 상에서 발생된다.
상기 실시형태의 경우 앵글 브래킷으로서 실현되고 그의 저부 표면 상에 금속 면 (25) 을 포함하는 제 2 레그 (21) 는, 도 20 의 좌측에, 캐리어 엘리먼트 (27) 의 이면측 상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금속 면 (25) 은 이전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한 기능을 가져서, 그에 따라 인쇄 회로 기판 상에서 체결하도록 기능한다.
링 엘리먼트 (18) 는 코일 (7) 을 센터링하도록 기능하고, 그 내측 직경은 하우징의 코어 (3) 의 외측 직경보다 약간 더 커서 링 부분 (28) 상으로 푸시될 수 있도록 한다. 링 부분 (28) 의 저부 표면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방사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되는 웨브 (29) 는, 축 방향으로 코일 (7) 의 포지션을 고정하도록 기능한다. 코일 (7) 은 이 웨브 (29) 상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도 구성품을 어셈블링하기 위해, 코어 (7) 및 캐리어 엘리먼트 (15 또는 27) 가 우선 제조된다. 코일의 권취 단부들 (8, 9) 에는 이들의 절연물이 스트립되고 도 9 에 도시된 방식으로 경사진다. 코일 (7) 은 그 후에 캐리어 엘리먼트 (15 또는 27) 상에 배치되고 권취 단부들 (8, 9) 은 연결 실현물들 (24) 에 솔더링된다. 그 후에, 코일 및 캐리어 엘리먼트 (15 또는 27) 의 각각의 경우에 형성된 유닛은, 상기 유닛이 포지티브 록킹 방식으로 고정되는 저부 하우징 절반부 내에 삽입된다. 제 2 의 상부 하우징 절반부는 그 후에 저부 하우징 절반부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저부 하우징 절반부에 연결될 수 있다. SMT 기술을 사용하여 인쇄 회로 기판에의 연결에 적합한 유도 구성품이 그 결과 생성된다. 연결 콘텍트들 (23) 및 금속 엘리먼트 (25) 는, 캐리어 엘리먼트가 제조될 때 규정되는 규정된 평면에 놓인다.
그 결과는, 즉, 끝마친 유도 부분은, 도 17 의 투시도에 다시 한번 더 도시된다.
도시된 예에서, 코일 (7) 의 권취 단부들 (8, 9) 은 연결 실현물들 (24) 의 정면들에 솔더링된다. 또한, 이들이 연결 실현물들의 이면들에 솔더링되는 것도 고려가능하다. 또한, 권취 단부들 (8, 9) 이 U 의 2개의 림들 사이에서 받쳐지도록 U 형상화된 방식으로 연결 실현물들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 참조).

Claims (14)

  1. 유도 구성품, 특히 고전류 인덕터로서,
    - 상기 유도 구성품의 코어를 형성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코일 (7),
    - 상기 하우징에 배열되는, 상기 코일 (7) 에 대한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32)
    를 갖고,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32) 는,
    - 상기 코일 (7) 을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한 연결 콘텍트들 (23) 및
    - 상기 코일 (7) 의 권취 단부들 (8, 9) 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실현물들 (connection realizations; 24)
    을 포함하고,
    - 상기 연결 실현물들 (24) 에는 상기 권취 단부들이 결합되는, 특히 솔더링되는, 유도 구성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콘텍트들 (23) 은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32) 의 저부 (bottom) 측 상의 적어도 부분들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구성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콘텍트들은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32) 의 상기 저부 측에 대해 작은 범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구성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부분들에서의 상기 연결 콘텍트들 (23) 은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32) 의 일측으로부터 액세스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구성품.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는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 콘텍트들 (23) 은 상기 플라스틱 재료 내에 주입되거나 가압되는, 유도 구성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단부들 (8, 9) 각각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 실현물 (24) 은 각각의 연결 콘텍트 (23) 와 일체로 실현되는, 유도 구성품.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는 상기 하우징에서 변위불가능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는 포지티브 록킹 (positive locking) 의 결과로서 고정되는, 유도 구성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는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하우징에 의해 센터링되거나 및/또는 상기 코일 (7) 에 대한 센터링 수단을 포함하는, 유도 구성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7) 은 플랫 와이어로부터 권취되고, 그 플랫 측은 코일 축에 수직으로 연장되는, 유도 구성품.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는,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 연결하기 위한 제 3 콘텍트 면 (25) 을 포함하는, 유도 구성품.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및/또는 상기 코일 (7) 에 대한 그 캐리어 엘리먼트의 센터링을 위해 중심 링 부분 (16, 28) 을 포함하는, 유도 구성품.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엘리먼트 (15, 27) 는, 상기 유도 구성품의 상기 하우징의 저부 표면까지 도달하고 풋 (foot; 19) 이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 (18, 21) 를 포함하는, 유도 구성품.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풋 (19) 은, 대략 상기 하우징의 상기 저부 표면 (11) 의 평면에 놓이고 상기 연결 콘텍트 (23) 가 발생되는 레벨 저부 표면 (20) 을 포함하는, 유도 구성품.
  1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 단부들 (8, 9) 을 연결하기 위한 상기 연결 실현물 (24) 은 표면으로부터 직각으로 돌출되는, 유도 구성품.
KR1020140162339A 2014-04-14 2014-11-20 유도 구성품 KR1016549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7140.2 2014-04-14
DE102014207140.2A DE102014207140A1 (de) 2014-04-14 2014-04-14 Induktionsbau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8518A true KR20150118518A (ko) 2015-10-22
KR101654991B1 KR101654991B1 (ko) 2016-09-06

Family

ID=51730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2339A KR101654991B1 (ko) 2014-04-14 2014-11-20 유도 구성품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20150294777A1 (ko)
EP (1) EP2933804B1 (ko)
JP (2) JP2015204455A (ko)
KR (1) KR101654991B1 (ko)
CN (1) CN104979074B (ko)
BR (1) BR102014029950B1 (ko)
DE (1) DE102014207140A1 (ko)
DK (1) DK2933804T3 (ko)
ES (1) ES2710698T3 (ko)
HK (1) HK1211382A1 (ko)
HU (1) HUE042714T2 (ko)
MX (1) MX344877B (ko)
PL (1) PL2933804T3 (ko)
PT (1) PT2933804T (ko)
TR (1) TR201820884T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0074B1 (en) 2013-06-10 2021-12-15 Schneider Electric Solar Inverters Usa Inc ELECTRONIC SYSTEM AND ITS TRAINING PROCESS
DE102019219726A1 (de) * 2019-12-16 2021-06-17 Robert Bosch Gmbh Induktive Baugrupp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r induktiven Baugruppe
DE102021211521A1 (de) * 2021-10-13 2023-04-1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Verfahren zum Ausrichten von Kontaktflächen eines elektrischen und/oder elektronischen Bauelements, insbesondere eines magnetischen Bauelemen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3529A (ja) * 2003-10-20 2005-05-12 Tokyo Coil Engineering Kk 薄型トランス
JP2009152398A (ja) * 2007-12-20 2009-07-09 Toshiba Corp 巻線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2010219473A (ja) * 2009-03-19 2010-09-30 Fdk Corp チョークコイル
JP2011159957A (ja) * 2010-01-07 2011-08-18 Sumida Corporation コイルボビン及びこのコイルボビンを用いたトランス

Family Cites Families (5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5779Y2 (ko) * 1979-09-25 1986-02-21
US4511872A (en) * 1982-11-05 1985-04-16 Spang Industries Inc. Inductance tuning means and methods of manufacture
JPH03204486A (ja) * 1989-12-29 1991-09-06 Aisin Aw Co Ltd 電磁弁のコイル装置
JPH0655228U (ja) * 1991-02-20 1994-07-26 コーセル株式会社 チョークコイル
JP3197606B2 (ja) * 1992-05-07 2001-08-13 ティーディーケイ株式会社 インダクタンス可変型コイル装置
US5289144A (en) * 1992-08-21 1994-02-22 Potter & Brumfield, Inc. Electromagnetic relay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5516166A (en) * 1992-11-24 1996-05-14 Harrow Products, Inc. Electromagnetic lock
JP2601406Y2 (ja) * 1993-01-26 1999-11-22 株式会社トーキン コイル
JPH07320961A (ja) 1994-05-24 1995-12-08 Tdk Corp 表面実装型トランス
ES2139274T3 (es) * 1995-10-20 2000-02-01 Mannesmann Vdo Ag Disposicion de bobina y procedimiento para su conexion sobre un cuerpo de soporte.
JP3346188B2 (ja) * 1995-11-24 2002-11-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チョークコイル
JPH10125545A (ja) * 1996-10-24 1998-05-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ョークコイル
WO1998018143A1 (fr) * 1996-10-24 1998-04-30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obine d'arret
US5814986A (en) * 1997-03-18 1998-09-29 Eaton Corporation Coil retainer/positioner for inductive proximity sensor
US5952907A (en) * 1997-04-07 1999-09-14 Pulse Engineering, Inc. Blind hole pot core transformer device
JPH11176664A (ja) * 1997-12-16 1999-07-02 Tokin Corp 巻線部品用端子台、および表面実装型巻線部品
JP2000173833A (ja) * 1998-12-09 2000-06-23 Tokin Corp チョ―クコイルおよびコイル部品
TW488116B (en) * 2000-03-31 2002-05-2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Receptacle for coaxial plug connector
JP3489553B2 (ja) * 2000-09-19 2004-01-1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薄形トランス
JP2002289442A (ja) * 2001-03-23 2002-10-04 Mosutetsuku:Kk ダミー端子付き電子部品、及びダミー端子付き接着シート
JP4783516B2 (ja) * 2001-04-26 2011-09-2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バータトランス
TW479831U (en) * 2001-04-30 2002-03-11 Delta Electronics Inc High-efficiency filtering inductor
US6522233B1 (en) * 2001-10-09 2003-02-18 Tdk Corporation Coil apparatus
US7002074B2 (en) * 2002-03-27 2006-02-2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Self-leaded surface mount component holder
JP2003324017A (ja) * 2002-04-30 2003-11-14 Koito Mfg Co Ltd トランス
JP2003347129A (ja) 2002-05-24 2003-12-05 Minebea Co Ltd 表面実装型コイル
US6847280B2 (en) * 2002-06-04 2005-01-25 Bi Technologies Corporation Shielded inductors
JP3844068B2 (ja) * 2002-06-21 2006-11-08 オムロン株式会社 検知コイル周辺部材の位置決め精度を高めた近接センサ
JP2004140006A (ja) * 2002-10-15 2004-05-13 Minebea Co Ltd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及びラインフィルタ
JP2004186628A (ja) * 2002-12-06 2004-07-02 Koito Mfg Co Ltd トランス
JP4513805B2 (ja) * 2004-03-09 2010-07-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トランス
JP4187693B2 (ja) * 2004-07-14 2008-11-26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7130197B2 (en) * 2004-09-09 2006-10-31 Artesyn Technologies, Inc. Heat spreader
JP4676822B2 (ja) * 2005-06-21 2011-04-27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コイル部品
US7262595B2 (en) * 2005-07-27 2007-08-28 Simmonds Precision Products, Inc. Segmented core for an inductive proximity sensor
US7439839B2 (en) * 2006-01-30 2008-10-21 Nemic-Lambda Ltd. High-current electrical coil, and transformer construction including same
JP4783183B2 (ja) * 2006-03-16 2011-09-28 スミダ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インダクタ
US8164406B2 (en) * 2006-05-26 2012-04-24 Delta Electronics, Inc. Transformer
US7920041B2 (en) * 2006-05-29 2011-04-05 Sumida Corporation Coil device for antenna and antenna system for rear window of vehicle
JP2008235459A (ja) * 2007-03-19 2008-10-02 Tokyo Coil Engineering Kk 小型昇圧トランス
JP4420073B2 (ja) * 2007-07-11 2010-02-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コイル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TW200917292A (en) * 2007-10-05 2009-04-16 Acbel Polytech Inc Transformer and composition structure thereof
CN201112050Y (zh) * 2007-10-06 2008-09-10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一种电感器的基座
US7498917B1 (en) * 2007-12-08 2009-03-03 Kevin Yang Encapsulated transformer
JP2010073778A (ja) * 2008-09-17 2010-04-02 Sumida Corporation 面実装型コイル部品
TWI401706B (zh) * 2009-07-31 2013-07-11 Delta Electronics Inc 電感元件及其基座
JP4888844B2 (ja) * 2009-08-28 2012-02-29 Tdk株式会社 コイル部品
CN102136352B (zh) * 2010-01-07 2013-01-16 胜美达集团株式会社 线圈骨架和使用该线圈骨架的变压器
JP2011146649A (ja) * 2010-01-18 2011-07-28 Sumida Corporation トランス
TWI389149B (zh) * 2010-08-26 2013-03-11 Acbel Polytech Inc Symmetrical leakage inductance adjustable flat transformer
US8766756B2 (en) * 2011-03-02 2014-07-01 Power Integrations, Inc. Transverse shroud and bobbin assembly
TWI423277B (zh) * 2011-03-22 2014-01-11 Delta Electronics Inc 組合式變壓器
JP5273192B2 (ja) * 2011-04-08 2013-08-28 Tdk株式会社 コイル用ボビン、コイル部品、及び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TWI436380B (zh) 2012-02-01 2014-05-01 Delta Electronics Inc 磁性組件及其基座
DE102013200696A1 (de) * 2013-01-17 2014-07-17 Würth Elektronik eiSos Gmbh & Co. KG Induktionsbauteil
JP6075126B2 (ja) * 2013-03-06 2017-02-08 Fdk株式会社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3529A (ja) * 2003-10-20 2005-05-12 Tokyo Coil Engineering Kk 薄型トランス
JP2009152398A (ja) * 2007-12-20 2009-07-09 Toshiba Corp 巻線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2010219473A (ja) * 2009-03-19 2010-09-30 Fdk Corp チョークコイル
JP2011159957A (ja) * 2010-01-07 2011-08-18 Sumida Corporation コイルボビン及びこのコイルボビンを用いたトラン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UE042714T2 (hu) 2019-07-29
US20150294777A1 (en) 2015-10-15
MX344877B (es) 2017-01-11
PT2933804T (pt) 2019-03-14
MX2014014129A (es) 2015-10-13
CN104979074B (zh) 2017-08-29
HK1211382A1 (en) 2016-05-20
EP2933804B1 (de) 2018-11-28
PL2933804T3 (pl) 2019-06-28
BR102014029950B1 (pt) 2021-09-08
DE102014207140A1 (de) 2015-10-15
ES2710698T3 (es) 2019-04-26
EP2933804A1 (de) 2015-10-21
JP2017055142A (ja) 2017-03-16
TR201820884T4 (tr) 2019-01-21
DK2933804T3 (en) 2019-03-18
BR102014029950A2 (pt) 2015-12-08
JP6396979B2 (ja) 2018-09-26
CN104979074A (zh) 2015-10-14
JP2015204455A (ja) 2015-11-16
KR101654991B1 (ko) 201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81007A1 (en) Coil componen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9074935B (zh) 分裂式变压器组件
US6927660B2 (en) Coil device with edgewise winding
US20100265029A1 (en) Winding structure for a transformer and winding
US10141649B2 (en) Antenna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antenna device
TW201036011A (en) Surface mount magnetic device, the winding thereof, and the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1654991B1 (ko) 유도 구성품
JPH08264338A (ja) 電磁装置
JPH07245217A (ja) インダクタンス素子及び該素子用コイル
JP6423269B2 (ja) コモンモードチョークコイル
US20210212192A1 (en) Circuit device
JP7264144B2 (ja) コイル部品
JP2009123827A (ja) コイル装置
JP6015019B2 (ja) 巻線部品
TWI821810B (zh) 線圈及其製造方法及關於其之配置
TWI569697B (zh) The electronic components of the ring structure
JP2007317445A (ja) コネクタ
JP2001155932A (ja) インダクタ
US20190006090A1 (en) Coil component
JP2005285901A (ja) 電子部品および電子部品の製造方法
JP2013058594A (ja) 面実装チョークコイル
JP3255621B2 (ja) 表面実装チョークコイル
JP2019165219A (ja) コイル部品
JP2003332143A (ja) 誘導電子部品の組立体用の絶縁材素子
CN110517868B (zh) 电感骨架、电感装置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