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0644A -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 - Google Patents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0644A
KR20150100644A KR1020157013751A KR20157013751A KR20150100644A KR 20150100644 A KR20150100644 A KR 20150100644A KR 1020157013751 A KR1020157013751 A KR 1020157013751A KR 20157013751 A KR20157013751 A KR 20157013751A KR 20150100644 A KR20150100644 A KR 201501006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ide
cation
bis
film
trifluoromethanesulfo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3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노리 오모토
안나 히라노
사토시 무라카미
마나부 기쿠타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00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644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4Forming conductive coatings; Forming coatings having anti-static properties
    • C09D7/1216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4/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based o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polymerisable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 ;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onomer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f groups C09D183/00 - C09D183/16
    • C09D7/12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7Particle size smaller than 100 n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6Additives characterised by particle size
    • C09D7/68Particle size between 100-1000 nm
    • G02B1/105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8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18Oxygen-contain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 C08K3/20Oxides; Hydroxides
    • C08K3/22Oxides; Hydroxides of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28Nitrogen-containing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ano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B) 중합성 화합물 및 (C) 이온 액체를 함유하고, 추가로 (D) 분산제를 함유해도 된다. (A) 성분으로는,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졸 또는 금속 또는 반금속 질화물의 미립자 졸을 들 수 있고, (B) 성분으로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으며, (C) 성분으로는, 함질소 오늄염, 함황 오늄염 및 함인 오늄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온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FILM-FORMING COATING AGENT AND CURED PRODUCT THEREOF}
본 발명은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대전 방지성 및 광학 특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코팅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하드 코트 필름은 LCD (액정 표시체), CRT (음극선관, 브라운관), PDP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OELD (유기 EL 표시체) 등의 각종 화상 표시 장치, 혹은 광디스크 등의 표면 (기록면) 을 보호할 목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금속 산화물 입자용 표면 처리제와, 이 표면 처리제에 의해 표면 처리된 금속 산화물 미립자를 함유하는 하드 코트층 형성용 코팅제와, 이 코팅제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하드 코트층을 갖는 하드 코트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반사 방지층의 최표면에, 이온 액체 (이온성 액체) 를 함유하는 저굴절률층이 형성되는 반사 방지 필름이 개시되어 있으며, 이 반사 방지 필름은, 저굴절률층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하드 코트층이 형성되어도 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하드 코트층은,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를 함유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27548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233371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하드 코트 필름은, 일반적으로, 제조된 후에 롤상으로 감겨 보존되거나 운반되거나 하는데, 이 때, 하드 코트 필름의 권취 또는 박리 등에 수반하여 대전이 발생한다. 이 대전의 발생은, 하드 코트 필름을 파손시키거나 하드 코트 필름의 표면에 진애가 부착되거나 하는 등의 문제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한편,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반사 방지 필름은, 단일한 저굴절률층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습도 의존성이 없는 안정된 대전 방지 특성을 발휘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반사 방지 필름은,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저굴절률층을 형성하는 것이 전제이기 때문에,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기술은, 저굴절률층이 필수는 아닌 하드 코트 필름에 그대로 적용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특별한 층을 형성하거나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거나 하지 않고, 광학 특성 및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코팅층을 얻을 수 있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대상이 되는 표면을 보호하는 필름 또는 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와 (B) 중합성 화합물과 (C)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구성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A) 무기 화합물 미립자가 양호하게 분산되어 있으며, 또한 (C)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가 얻어진다. 이로써, 당해 코팅제를 사용하여 형성되는 필름 또는 코팅층은, 특별한 층을 형성하거나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거나 하지 않고, 우수한 광학 특성 및 대전 방지성을 갖는 것이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우수한 품질의 필름 또는 코팅층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있어서는,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A-1)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졸 또는 (A-2) 금속 또는 반금속 질화물의 미립자 졸이 사용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구성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있어서는, 상기 (B) 중합성 화합물이,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구성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있어서는, 상기 (C) 이온 액체가, 함질소 오늄염, 함황 오늄염 및 함인 오늄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온성 화합물인 구성이어도 된다.
또, 상기 구성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있어서는, 추가로, 다음에 나타내는 일반식 (1) 의 (D) 분산제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중, R0 은 탄소수 1 내지 24 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내지 4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 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로서 5 내지 30 의 범위 내이며, X 는 탄소 원자, 수소 원자 및/또는 산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를 함유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본 발명에는, 상기 구성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의 참조 하에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구성에 의해, 특별한 층을 형성하거나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거나 하지 않고, 광학 특성 및 대전 방지성이 우수한 필름 또는 코팅층을 얻을 수 있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을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대상이 되는 표면을 보호하는 필름 또는 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와 (B) 중합성 화합물과 (C)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중합성 무기 화합물 미립자 함유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상기 (A) ∼ (C) 성분에 더하여, 추가로 (D) 분산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또 (E) 용매 혹은 (F)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본 발명에 있어서 「A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는, 표면을 보호하는 필름 등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공지된 무기 화합물 미립자이면 되는데, 특히 바람직하게는, (A-1)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졸 또는 (A-2) 금속 또는 반금속 질화물의 미립자 졸, 혹은 그 양방이다.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중에서 (A-1)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졸의 구체적인 종류는 한정되지 않아, 1 종류의 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단산화물 미립자 졸이어도 되고, 복합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산화물 미립자 졸이어도 되며, 그 양방이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A-2) 금속 또는 반금속 질화물의 미립자 졸의 구체적인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1 종류 이상의 금속 또는 반금속의 질화물의 미립자 졸이면 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반금속이란, 붕소 (B), 규소 (Si), 게르마늄 (Ge), 비소 (As), 안티몬 (Sb), 텔루륨 (Te) 의 6 원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자 졸을 형성하는 금속 또는 반금속의 구체적인 종류는, 상기한 바와 같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한 일례로서, 주기표 제 4 족, 제 13 족 및 제 14 족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속하는 금속 원소 또는 반금속 원소를 들 수 있다. 주기표 제 4 족의 금속 원소로는, 티탄 (Ti), 지르코늄 (Zr) 및 하프늄 (Hf) 을 들 수 있고, 주기표 제 13 족의 금속 또는 반금속 원소로는, 붕소 (B), 알루미늄 (Al), 갈륨 (Ga) 및 인듐 (In) 을 들 수 있으며, 주기표 제 14 족의 금속 또는 반금속 원소로는, 규소 (Si), 게르마늄 (Ge), 주석 (Sn) 및 납 (Pb) 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자 졸을 형성하는 금속에는, 주기표 제 4 족, 제 13 족 및 제 14 족 이외의 금속 또는 반금속 원소가 포함되어도 된다. 대표적으로는, 바륨 (Ba), 스트론튬 (Sr), 칼슘 (Ca), 마그네슘 (Mg) 등의 제 2 족의 금속 원소, 혹은 칼륨 (K), 리튬 (Li) 등의 제 1 족의 금속 원소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미립자 졸로서 구체적으로 사용되는 무기 화합물은, 졸화할 수 있는 금속 또는 반금속의 산화물 또는 질화물이면, 그 구체적인 종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화합물의 예로는, 산화티탄 (티타니아), 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산화지르코늄 (지르코니아), 산화마그네슘 (마그네시아), 산화규소 (실리카) 등의 단산화물 ; 티탄산칼륨, 티탄산바륨, 티탄산스트론튬, 티탄산칼슘, 티탄산마그네슘, 티탄산납, 티탄산알루미늄, 티탄산리튬, 티탄산지르콘산납 (PZT), 산화인듐주석 (ITO) 등의 복합 산화물 ; 질화붕소, 질화알루미늄, 질화규소, 질화갈륨, 질화티탄, 질화리튬 등의 질화물 ;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무기 화합물은, 산화물 또는 질화물에 한정되지 않고, 미립자 졸로서 1 종류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되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무기 화합물의 군 중에서도, 예를 들어, 산화티탄, 산화알루미늄, 산화지르코늄, 티탄산바륨, 티탄산지르콘산아연, 산화인듐주석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지는 군 중 적어도 1 종의 금속 또는 반금속 산화물로 이루어지는 미립자 졸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의 사용 대상, 사용 조건, 제조 조건 등에 따라 여러 종류의 무기 화합물을 미립자 졸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여기에서,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의 미립자 졸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는, 1 ㎛ 미만의 미립자이면 되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평균 입경이 1 ∼ 500 ㎚ 의 범위 내이면 바람직하고, 1 ∼ 100 ㎚ 의 범위 내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 ∼ 50 ㎚ 의 범위 내가 보다 더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평균 입경이란, 마이크로트랙식 입도 분포 측정법에 의해 측정된 입경에 있어서, 소경측으로부터 누적 50 % 의 입경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또,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의 미립자 졸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진구상 입자, 형상 제어한 비진구상 입자, 내부 구조를 제어한 다공질 입자 및 중공 입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의 미립자 졸의 제조 방법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공지된 습식 합성법 (혹은 건식 합성법) 으로 제조한 금속 또는 반금속의 미립자를, 공지된 용매 (편의상 「졸용 용매」라고 한다) 등을 사용하여 현탁액을 조제하여 졸화하는 등의 공지된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판되는 미립자 졸을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B) 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 「B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B) 중합성 화합물은, 중합성을 가지며, 소정의 조건에 의해 중합되어 경화되는 공지된 화합물로서, 경화시켜 필름 또는 코팅층으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B) 중합성 화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화합물로는, 분자 중에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 (에틸렌계 화합물), 말단에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에폭시계 화합물),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 카르복실기 또는 그 유도기를 갖는 화합물, 수산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은, 분자 중에 함유되는, 중합성에 기여하는 관능기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하고 있는데, 하나의 화합물의 구조 중에 복수 종류의 관능기가 함유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에틸렌계 화합물이 에틸렌성 불포화기 이외에 아미노기 또는 카르복실기 등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또, 하나의 화합물 중에 동일 종류의 관능기가 1 개만 (단관능) 이어도 되고, 2 개 이상 (다관능) 이어도 된다. 또한, 이들 화합물은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복수 종류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B) 중합성 화합물이 중합됨으로써 얻어지는 중합체 (수지) 의 종류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의 사용 대상 (예를 들어, 화상 표시 장치의 종류 또는 화면 상태 등), 사용 조건, 제조 조건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필름 또는 코팅층의 형성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조성물이기 때문에, 필름상 또는 층상으로 경화시킨 후에, 양호한 광학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중합체이면 된다.
또, (B)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 조건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B) 중합성 화합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가열에 의한 중합, 방사선 등의 조사에 의한 중합, 경화제를 사용한 중합 (경화) 등을 들 수 있다. 마찬가지로, 중합체의 분자량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상기와 동일한 여러 가지 조건에 따라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시되는 대표적인 (B) 중합성 화합물로는,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례로는, 에틸렌성 불포화기로서 (메트)아크릴기를 가짐과 함께, 카르복실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표면을 보호하는 필름 또는 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것으로, 보호 대상으로서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면 혹은 광디스크 등의 기록면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B) 중합성 화합물로는, 광학 특성이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으며, 광학계 용도에 널리 사용되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의 다른 예로는, 폴리카르복실산 또는 그 산무수물과, 수산기 및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에스테르화함으로써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사용할 수 있는 폴리카르복실산으로는, 예를 들어,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숙신산, 옥살산, 트리멜리트산, 시트르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사용할 수 있는 산무수물로는, 예를 들어, 무수 말레산, 무수 프탈산, 무수 숙신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B) 중합성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모노 ∼ 헥사)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아크릴레이트, 그리고 이들 아크릴레이트 화합물에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화합물 (예를 들어, 상품명 : KAYARAD DPEA-12 또는 상품명 : KAYARAD RP-1040 (모두 닛폰 가야쿠 주식회사 제조, KAYARAD는 등록 상표)),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B) 중합성 화합물로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때문에, 예를 들어, 상기와 같은,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만을 (B) 중합성 화합물로서 사용해도 되고,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과,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고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을 (B) 중합성 화합물로서 병용할 수도 있다.
[(C) 이온 액체]
본 발명에 있어서 「C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C) 이온 액체 (이온성 액체) 는, 융점이 100 ℃ 이하인 염 (이온만으로 구성되는 화합물) 으로, 그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적인 (C) 이온 액체로는, 함질소 오늄염, 함황 오늄염 또는 함인 오늄염을 들 수 있다. 이들 오늄염 중에서도, 하기 일반식 (2) ∼ (5) 로 나타내는 유기 카티온을 함유하는 것이면,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대해 특히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음과 함께, 얻어지는 필름 또는 코팅층의 광학 특성 등을 실질적으로 저해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화학식 2]
Figure pct00002
또한, 상기 일반식 (2) 중의 R11 은, 탄소수 4 내지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탄화수소기에는 헤테로 원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헤테로 원자로는, 대표적으로는 산소 원자 (O), 황 원자 (S), 질소 원자 (N), 인 원자 (P)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이외의 원자이어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일반식 (2) 중의 R12 및 R1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요컨대, R12 및 R13 은 동일한 관능기이어도 되고, 상이한 관능기이어도 된다), 탄화수소기의 경우에는 R11 과 마찬가지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단, 일반식 (2) 의 질소 원자가 2 중 결합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R13 은 존재하지 않는다.
또, 상기 일반식 (3) 중의 R21 은, 탄소수 2 내지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탄화수소기에는 헤테로 원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일반식 (3) 중의 R22, R23 및 R2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들이 수소가 아니라 탄화수소기인 경우에는, R21 과 마찬가지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또, 상기 일반식 (4) 중의 R31 은, 상기 R21 과 마찬가지로, 탄소수 2 내지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며, 이 탄화수소기에는 헤테로 원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일반식 (4) 중의 R32, R33 및 R3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6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들이 수소가 아니라 탄화수소기인 경우에는, R31 과 마찬가지로 헤테로 원자를 포함해도 된다.
또, 상기 일반식 (5) 중의 Z 는, 질소 원자 (N), 황 원자 (S) 또는 인 원자 (P) 를 나타낸다. 또, 일반식 (5) 중의 R41, R42, R43 및 R44 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20 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이 탄화수소기에는 헤테로 원자가 포함되어도 된다. 단, Z 가 황 원자 (S) 이면 R44 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기 일반식 (2) 로 나타내는 카티온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에틸피리디늄 카티온, 1-부틸피리디늄 카티온, 1-헥실피리디늄 카티온, 1-도데실피리디늄 카티온, 1-부틸-3-메틸피리디늄 카티온, 1-부틸-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1-헥실-3-메틸피리디늄 카티온, 1-에틸-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4-메틸-1-프로필피리디늄 카티온, 1-헥실-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4-메틸-1-옥틸피리디늄 카티온, 1-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1-알릴-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1-부틸-3,4-디메틸피리디늄 카티온 등의 피리디늄 카티온 ; 1,1-디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에틸-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 카티온, 1-헥실-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메틸-1-옥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헥사데실-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알릴-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등의 피페리디늄 카티온 ; 1,1-디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에틸-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 카티온, 1-헥실-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메틸-1-옥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헥사데실-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알릴-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등의 피롤리디늄 카티온 ; 2-메틸-1-피롤린 카티온 등의 피롤린 골격을 갖는 카티온 ; 1-에틸-2-페닐인돌 카티온, 1,2-디메틸인돌 카티온, 1-에틸카르바졸 카티온 등의 피롤 골격을 갖는 카티온 ;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도데실피리디늄 카티온, 1-에틸-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4-메틸-1-프로필피리디늄 카티온, 1-헥실-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4-메틸-1-옥틸피리디늄 카티온, 1-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1-알릴-4-메틸피리디늄 카티온, 1,1-디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에틸-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 카티온, 1-헥실-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메틸-1-옥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헥사데실-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알릴-1-메틸피페리디늄 카티온, 1-에틸-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 카티온, 1-헥실-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메틸-1-옥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헥사데실-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 1-알릴-1-메틸피롤리디늄 카티온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일반식 (3) 으로 나타내는 카티온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3-디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3-디에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데실-3-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도데실-3-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테트라데실-3-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3-에틸-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 카티온, 3-헥실-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카티온, 3-헥사데실-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3-알릴-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2-디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 카티온, 1-에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부틸-2,3-디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헥실-2,3-디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등의 이미다졸륨 카티온 ; 1,3-디메틸-1,4,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2,3-트리메틸-1,4,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2,3,4-테트라메틸-1,4,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2,3,5-테트라메틸-1,4,5,6-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등의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 1,3-디메틸-1,4-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3-디메틸-1,6-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2,3-트리메틸-1,4-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2,3-트리메틸-1,6-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2,3,4-테트라메틸-1,4-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1,2,3,4-테트라메틸-1,6-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등의 디하이드로피리미디늄 카티온 ;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3-에틸-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 카티온, 3-헥실-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 카티온, 3-헥사데실-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 3-알릴-1-메틸이미다졸륨 카티온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일반식 (4) 로 나타내는 카티온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틸피라졸륨 카티온, 3-메틸피라졸륨 카티온 등의 피라졸륨 카티온 ; 1-에틸-2-메틸피라졸륨 카티온 등의 피라졸륨 카티온 ;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상기 일반식 (5) 로 나타내는 카티온으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암모늄 카티온, 테트라에틸암모늄 카티온, 테트라부틸암모늄 카티온, 테트라헥실암모늄 카티온, 트리메틸헵틸암모늄 카티온, 트리메틸데실암모늄 카티온, 트리에틸메틸암모늄 카티온, 트리에틸프로필암모늄 카티온, 트리에틸펜틸암모늄 카티온, 트리에틸헵틸암모늄 카티온, 트리부틸에틸암모늄 카티온, 트리옥틸메틸암모늄 카티온,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디알릴디메틸암모늄 카티온,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N-디프로필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N-디헥실암모늄 카티온, N,N-디프로필-N,N-디헥실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에틸-N-프로필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에틸-N-부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에틸-N-펜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에틸-N-헥실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에틸-N-헵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에틸-N-노닐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프로필-N-부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프로필-N-펜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프로필-N-헥실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프로필-N-헵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부틸-N-헥실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부틸-N-헵틸암모늄 카티온, N,N-디메틸-N-펜틸-N-헥실암모늄 카티온, N,N-디에틸-N-메틸-N-프로필암모늄 카티온, N,N-디에틸-N-메틸-N-펜틸암모늄 카티온, N,N-디에틸-N-메틸-N-헵틸암모늄 카티온, N,N-디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 카티온, N,N-디프로필-N-메틸-N-에틸암모늄 카티온, N,N-디프로필-N-메틸-N-메틸-N-펜틸암모늄 카티온, N,N-디프로필-N-부틸-N-헥실암모늄 카티온, N,N-디부틸-N-메틸-N-펜틸암모늄 카티온, N,N-디부틸-N-메틸-N-헥실암모늄 카티온, N-메틸-N-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 카티온, N-부틸-N,N,N-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N,N,N-트리메틸-N-옥틸암모늄 카티온, N-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N-도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알릴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디알릴디메틸암모늄 카티온 등의 테트라알킬(알케닐)암모늄 카티온 ; 트리메틸술포늄 카티온, 트리에틸술포늄 카티온, 트리부틸술포늄 카티온, 트리헥실술포늄 카티온, 디에틸메틸술포늄 카티온, 디부틸에틸술포늄 카티온, 디메틸데실술포늄 카티온 등의 트리알킬술포늄 카티온 ; 테트라메틸포스포늄 카티온, 테트라에틸포스포늄 카티온, 테트라부틸포스포늄 카티온, 테트라헥실포스포늄 카티온, 트리에틸메틸포스포늄 카티온, 트리부틸에틸포스포늄 카티온, 트리메틸데실포스포늄 카티온 등의 테트라알킬포스포늄 카티온 ; 상기 알킬기의 일부가 알케닐기나 알콕시기, 나아가서는 에폭시기로 치환된 것 ;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N-부틸-N,N,N-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N,N,N-트리메틸-N-옥틸암모늄 카티온, N-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N-도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테트라부틸암모늄 카티온,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알릴트리메틸암모늄 카티온, 디알릴디메틸암모늄 카티온을 들 수 있다.
한편, 상기 유기 카티온에 대한 아니온으로는, 상기 유기 카티온과 조합함으로써 (C) 이온 액체가 되는 이온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Cl-, Br-, I-, AlCl4 -, Al2Cl7 -, BF4 -, PF6 -, ClO4 -, NO3 -, CH3COO-, CF3COO-, CH3SO3 -, CF3SO3 -, (FSO2)2N-, (CF3SO2)2N-, (CF3SO2)3C-, AsF6 -, SbF6 -, NbF6 -, TaF6 -, F(HF)n -, (CN)2N-, C4F9SO3 -, (C2F5SO2)2N-, C3F7COO-, (CF3SO2)(CF3CO)N-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아니온 중에서도, 불소 원자 (F) 를 함유하는 것은, 저융점의 (C) 이온 액체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C) 이온 액체의 구체예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상기 유기 카티온과 상기 아니온을 적절히 선택하여 조합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부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피리디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부틸-3-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도데실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4-메틸-1-프로필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실-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4-메틸-1-옥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알릴-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부틸-3-메틸피리디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도데실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에틸-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4-메틸-1-프로필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실-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4-메틸-1-옥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알릴-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실피리디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메틸-1-피롤린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2-페닐인돌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2-디메틸인돌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카르바졸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피리디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1-부틸-3-메틸피리디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등의 상기 일반식 (2) 에 대응하는 화합물 (함질소 오늄염) ; 1,1-디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헵타플루오로부틸레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디시안아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에틸-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헥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헥사데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알릴-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에틸-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3-헥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3-헥사데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3-알릴-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아세테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헵타플루오로부틸레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퍼플루오로부탄술포네이트, 1-부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브로마이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클로라이드,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옥틸-3-메틸이미다졸륨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헥실-2,3-디메틸이미다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1,2-디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등의 상기 일반식 (3) 에 대응하는 화합물 (함질소 오늄염) ; 1-메틸피라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3-메틸피라졸륨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등의 상기 일반식 (4) 에 대응하는 화합물 (함질소 오늄염) ; 테트라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부틸-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N-트리메틸-N-옥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도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알릴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부틸-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N,N-트리메틸-N-옥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도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테트라부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알릴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디알릴디메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2-메톡시에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비스(펜타플루오로에탄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글리시딜트리메틸암모늄(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N,N-디메틸-N-에틸-N-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에틸-N-노닐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N-디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N-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프로필-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부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부틸-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펜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메틸-N,N-디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메틸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메틸-N-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프로필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에틸헵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메틸-N-에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부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프로필-N,N-디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부틸-N-메틸-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디부틸-N-메틸-N-헥실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트리옥틸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메틸-N-에틸-N-프로필-N-펜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등의 상기 일반식 (5) 에 대응하는 화합물 (Z 가 질소 원자이면 함질소 오늄염, Z 가 황 원자이면 함황 오늄염, Z 가 인 원자이면 함인 오늄염) ;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으로는, 예를 들어, 1-도데실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4-메틸-1-프로필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실-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4-메틸-1-옥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알릴-4-메틸피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1-디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페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롤리디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에틸-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헥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헥사데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3-알릴-1-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부틸-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N,N-트리메틸-N-옥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N-도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테트라부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알릴트리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1-도데실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에틸-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4-메틸-1-프로필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실-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4-메틸-1-옥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알릴-4-메틸피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1-디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에틸-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1-옥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헥사데실-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알릴-1-메틸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3-에틸-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3-프로필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3-헥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1-메틸-3-옥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3-헥사데실-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3-알릴-1-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부틸-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N,N-트리메틸-N-옥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N-도데실-N,N,N-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테트라부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2-(아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알릴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디알릴디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들 수 있다.
이들 (C) 이온 액체는 시판되는 것을 사용해도 되고, 공지된 방법에 의해 합성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C) 이온 액체의 합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이온성 액체-개발의 최전선과 미래』(감수 : 오노 히로유키, (주)CMC 출판, 2003년 발행) 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 예를 들어 할로겐화물법, 수산화물법, 산에스테르법, 착형성법 (錯形成法) 또는 중화법 등을 들 수 있다. 혹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011365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D) 분산제]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전술한 (A) ∼ (C) 의 각 성분을 적어도 함유하는 조성물이면 되는데, 추가로 「D 성분」으로서 (D) 분산제를 함유해도 된다. (D) 분산제를 함유함으로써, 필름 형성용 코팅제 중에 있어서의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의 분산성 및 분산 상태의 안정성을 더욱더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D) 분산제는, 조성물 중에 첨가함으로써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등의 입자 성분을 분산시킬 수 있는 공지된 화합물이면 되어, (D) 분산제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D) 분산제로는, 다음에 나타내는 일반식 (1) 로 나타내는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pct00003
또한, 일반식 (1) 중, R0 은, 탄소수 1 내지 24 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낸다. 또, 일반식 (1) 중, AO 는 탄소수 2 내지 4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 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로서 5 내지 30 의 범위 내이다. 또, X 는 탄소 원자, 수소 원자 및/또는 산소 원자를 함유하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상기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R0 은, 「분산매 친화성 부위」의 일부를 구성하는 소수기이다. 「분산매」란,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함유되는 액체 성분을 의미하고, 이 「분산매」에 친화성을 갖는 부위로서, 소수기 R0 과 옥시알킬렌기 AO 가 산소 원자에 의해 연결된 구조 (알킬렌옥사이드 사슬을 포함하는 구조) 가 「분산매 친화성 부위」이다.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소수기 R0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알코올 유래 탄화수소기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탄소수 1 내지 24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24 의 알케닐기, 혹은 그 양방이면 된다. 소수기 R0 이 되는 원료 알코올은, 동일한 탄소수의 알코올만 (혹은 단일종의 알코올만) 이 사용되어도 되고, 상이한 탄소수의 알코올의 혼합물이 사용되어도 된다. 또, 원료 알코올은 유기 합성된 것이어도 되고 천연에서 유래된 것이어도 된다. 또, 탄소수가 동일한 알코올에는, 그 화학 구조가 동일한 경우도, 복수의 이성체로 이루어지는 혼합물인 경우도 포함된다.
소수기 R0 이 되는 원료 알코올의 구체적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공지된 것이 사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합성 유래의 것으로는, 부탄올, 이소부탄올, 펜탄올 및/또는 그 이성체, 헥산올 및/또는 그 이성체, 헵탄올 및/또는 그 이성체, 옥탄올 및/또는 그 이성체, 3,5,5-트리메틸-1-헥산올 ; 프로필렌 또는 부텐, 혹은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유도되는 고급 올레핀을 거쳐 옥소법에 의해 제조되는 이소노난올, 이소데칸올, 이소운데칸올, 이소도데칸올 및/또는 이소트리데칸올 ; 쉘 케미컬즈사 (Shell Chemical Company/쉘 케미컬즈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네오돌 (Neodol) 23, 네오돌 25 또는 네오돌 45, 사솔사 (SASOL Inc.) 제조의 상품명 : 사폴 (SAFOL) 23, 엑슨 모빌사 (Exxon Mobil Corporation) 제조의 상품명 : 엑살 (EXXAL) 7, 엑살 8N, 엑살 9, 엑살 10, 엑살 11 또는 엑살 13 ; 2-에틸-1-헥산올, 2-프로필-1-헥산올, 2-부틸-1-헥산올, 2-에틸-1-헵탄올, 2-프로필-1-헵탄올, 2-에틸-1-옥탄올, 2-헥실-1-데칸올, 2-헵틸-1-운데칸올, 2-옥틸-1-도데칸올, 2-데실-1-테트라데칸올, 분기 알코올로부터 유도되는 이소스테아릴알코올, 2-알킬-1-알칸올형의 화학 구조를 갖는 게르베알코올 (Guerbet Alcohol, 직사슬 지방족 알코올을 탈수 축합하여 얻어지는 분기 제 1 급 알코올) 류의 단일 조성 또는 그 혼합물 ; 등을 들 수 있다. 또, 천연 유래의 것으로는, 옥틸알코올, 데실알코올, 라우릴알코올 (1-도데칸올), 미리스틸알코올 (1-테트라데칸올), 세틸알코올 (1-헥사데칸올), 스테아릴알코올 (1-옥타데칸올), 올레일알코올 (cis-9-옥타데센-1-올)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알코올은 1 종류만을 원료 알코올로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원료 알코올로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소수기 R0 은, 전술한 바와 같이, 탄소수 1 내지 24 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이면 되는데, 탄소수 8 내지 18 의 알킬기 또는 알케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소수가 1 ∼ 24 의 범위 내이면, (D) 분산제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배합함으로써 양호한 분산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각 성분의 종류 또는 조합에서 유래하여 필름 형성용 코팅제의 안정성이 저하되어 용이하게 침강물이 생기거나, 시간 경과적 안정성이 저하되거나 할 우려가 있지만, 소수기 R 의 탄소수가 8 ∼ 18 의 범위 내이면, (D) 분산제는, 이들 현상의 발생을 유효하게 억제 또는 회피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필름 형성용 코팅제의 부가 가치, 생산성 또는 가공 특성 등이 저하되거나 품질이 열화되거나 할 우려를 유효하게 억제 또는 회피할 수 있다.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옥시알킬렌기 AO 는, 탄소수 2 내지 4 의 알킬렌옥사이드 구조이면 된다. 옥시알킬렌기 AO 가 될 수 있는 알킬렌옥사이드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에틸렌옥사이드 (탄소수 2), 프로필렌옥사이드 (탄소수 3),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탄소수 4), 부틸렌옥사이드 (탄소수 4) 등을 들 수 있다. 부틸렌옥사이드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2-부틸렌옥사이드 또는 2,3-부틸렌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일반식 (1) 에 있어서는, 옥시알킬렌기 AO 는, 복수가 결합된 사슬형 구조, 즉 「옥시알킬렌 사슬」(-(AO)n-) 을 형성하고 있다. 이 옥시알킬렌 사슬의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A) ∼ (C) 의 각 성분의 종류 또는 조합에 맞춰, (D) 분산제의 「분산매 친화성」을 조정할 목적으로 다양한 구조를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단일종의 알킬렌옥사이드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단독 중합 사슬, 2 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랜덤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랜덤 중합 사슬, 2 종 이상의 알킬렌옥사이드를 블록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블록 중합 사슬, 이들 중합 사슬의 조합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옥시알킬렌 사슬의 평균 부가 몰수 n 은, 5 내지 30 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 (1) 에 있어서, 소수기 R0 과 옥시알킬렌 사슬 -(AO)n- 은 산소 원자 (O) 에 의해 연결됨으로써, 일반식 (1) 의 「분산매 친화성 부위」가 구성된다. 한편, 일반식 (1) 의 카르복실기 (-COOH) 는, 「분산매 친화성 부위」에 대해 「분산질 친화성 부위」가 되는데, 이들 「분산매 친화성 부위」와 「분산질 친화성 부위」는, 연결기 X 에 의해 연결된다.
연결기 X 는, 계면 활성제 분야에서 공지된 연결 구조, 즉 탄소 원자, 수소 원자 및/또는 산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공지된 구조라면 되고, 그 구체적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기 X 로서 바람직한 연결 구조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포화 탄화수소기, 불포화 탄화수소기, 에테르기, 카르보닐기, 에스테르기를 들 수 있다.
이들 연결 구조에는, 지환 구조 및/또는 방향 고리 구조가 포함되어도 되고, 반복 단위가 포함되어도 된다. 또, 연결기 X 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탄소수 1 내지 15 이면 바람직하고, 탄소수 1 내지 8 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D) 분산제가, 상기 일반식 (1) 의 구조를 갖는 계면 활성제이면,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ⅰ) 알코올, 아민, 티올에 공지된 방법으로 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한 일반적인 비이온 계면 활성제 화합물을 원료로 하여, 모노할로겐화 저급 카르복실산 또는 그 염을 사용하여, 염기 존재하에서 알킬렌옥사이드 말단의 수산기와 반응시키는 방법, 또는 (ⅱ) 산무수물을 사용하여 알킬렌옥사이드 말단의 수산기와의 개환 반응에 의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원 출원인의 선행 기술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07144호의 실시예에 개시된 제조예도, 일반식 (1) 의 (D) 분산제를 제조하는 방법의 일례로서 들 수 있다.
[(E) 용매 및 (F) 그 밖의 성분]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B) 중합성 화합물, (C) 이온 액체, 그리고 (D) 분산제에 더하여, 추가로 「E 성분」으로서 (E)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 (E) 용매로는, (A) ∼ (D) 의 각 성분의 종류, 물성, 사용 조건 등에 따라 공지된 용매를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E) 용매로서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대표적으로는, 탄화수소, 에스테르, 케톤 및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의 유기 용매를 들 수 있다. 이들 유기 용매는 1 종류만을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적절히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어, 글리콜에스테르의 1 종인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MA/PGMAc) 를 (E) 용매로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B) ∼ (D) 성분의 종류에 따라서는, (E) 용매로서 물을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 (E)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물과 혼화 가능한 극성 유기 용매를 병용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A) ∼ (E) 의 성분 이외에, (F)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F) 그 밖의 성분으로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안정제, 대전 방지제, 레벨링제, 소포제 등 공지된 여러 가지 첨가제를 들 수 있다.
[제조 방법 및 얻어지는 필름 등]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전술한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B) 중합성 화합물 및 (C) 이온 액체, 그리고 필요에 따라 (D) 분산제, (E) 용매, (F) 그 밖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이며, 적어도 (A) ∼ (C) 의 각 성분의 배합비 (함유량) 에 대해서는, 각 성분의 종류, 물성, 필름 형성용 코팅제의 사용 대상, 사용 조건 등의 제조건에 따라 적절히 바람직한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필름 형성용 코팅제의 대표적인 조성으로는,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및 (B)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중량을 100 중량% 로 했을 때, (A) 무기 화합물 미립자가, 고형분 환산으로 10 ∼ 90 중량% 의 범위 내이면 되고, 20 ∼ 85 중량% 의 범위 내이면 바람직하며, 30 ∼ 85 중량% 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B) 중합성 화합물은 10 ∼ 90 중량% 의 범위 내이면 되고, 15 ∼ 80 중량% 의 범위 내이면 바람직하며, 15 ∼ 70 중량% 의 범위 내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 (C) 이온 액체는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및 (B) 중합성 화합물의 합계 중량 (100 중량%) 에 대해 0.001 ∼ 4.0 배 (0.1 ∼ 400 중량%) 의 범위 내에서 배합하면 되고, 0.1 ∼ 3.0 배 (10 ∼ 300 중량%) 의 범위 내가 바람직하다. 또한,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D) 분산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A) 성분의 중량 (100 중량%) 에 대해 0.1 ∼ 300 중량% 이고, 0.5 ∼ 20 중량% 가 바람직하고, 1 ∼ 15 중량% 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E) 용매 또는 (F) 그 밖의 성분은, 당해 성분의 첨가에 의해 원하는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첨가하면 된다.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E) 용매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는, (A) ∼ (C) 성분의 합계 중량 (100 중량%) 에 대해 1 ∼ 10000 중량%, 바람직하게는 5 ∼ 2000 중량% 의 범위 내에서 (E) 용매를 첨가하면 되는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의 제조 방법 (조제 방법) 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A) ∼ (C) 의 각 성분, 그리고 필요에 따라 (D) ∼ (F) 의 각 성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상기 범위 내의 조성이 되도록 배합하고, (C) 이온 액체 (추가로 (E) 용매를 병용하는 경우에는, (C) 및 (E) 의 혼합 액체) 중에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및 (B) 중합성 화합물이 충분히 분산될 때까지 교반하면 된다.
여기에서,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미립자 졸을 사용하는 경우, 당해 미립자 졸에 「졸용 용매」((E) 용매는 아님) 가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이 졸용 용매를 제거해도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가 (E) 용매를 함유하는 경우, (E) 용매의 비점 (혹은 증발점) 과 졸용 용매의 비점 (혹은 증발점) 을 비교하여 졸용 용매만이 증발하는 온도 조건을 설정하고, 각 성분을 혼합하면서 가열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A) ∼ (C) 성분을 소정 중량으로 배합하여 교반하는 것만으로, 「분산질」인 (A) 무기 화합물 미립자가 「분산매」인 (B) 중합성 화합물 및 (C) 이온 액체에 대해 양호하면서 안정적으로 분산되게 된다. 그러므로, 경화 전의 코팅제에 있어서도 경화 후의 필름 또는 코팅층에 있어서도 (C) 이온 액체를 함유하고, 또한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를 양호하게 분산시킨 상태를 실현시킬 수 있다.
(C) 이온 액체의 이온 강도는 매우 높은 한편,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은, 통상적으로 전기적인 반발력에서 유래한다. 그 때문에,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에 (C) 이온 액체를 혼재시키면, (C) 이온 액체가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의 분산 안정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A) ∼ (C) 성분을 배합해도,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는 「분산매」중에서 양호하게 분산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얻어지는 필름 또는 코팅층은 우수한 광학 특성을 발휘할 수 있고, 또한 (C) 이온 액체를 함유함으로써, 얻어지는 필름 또는 코팅층에 대전 방지성을 부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A) ∼ (C) 성분을 배합하는 것만으로, 특별한 처리를 실시하거나 특별한 층을 형성하지 않더라도, 필름 또는 코팅층에 대해 양호한 광학 특성 및 대전 방지성을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어지는 필름 또는 코팅층은, 전술한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것이면 되며, 그 구체적인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은,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의해서만 제조되는 단층 구조이어도 되고, 다른 기능층에 적층된 다층 구조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의 제조 방법 또는 코팅층의 형성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아, 각종 필름의 제조 분야, 다층 필름 등의 제조 분야, 표면 보호층의 형성 분야 등에서 공지된 여러 가지 수법을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지된 중합 개시제 (열, 광, 산화 환원 반응 등에 의한 개시제, 이온 개시제 등) 를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첨가하여, 필름 제조용 기재 표면 (혹은 보호 대상 그 자체) 에 공지된 방법으로 도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단일층의 하드 코트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 중합 개시제를 첨가한 후, 대상이 되는 필름의 표면에 공지된 방법으로 도포 (예를 들어, 바 코터, 스핀 코터, 스프레이 코터 등을 사용하여 도포) 하여 경화킴으로써, 공지된 필름 상에 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또는 코팅층은, 양호한 대전 방지성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대전의 발생에 의한 필름의 파손 또는 표면으로의 진애의 부착 등의 문제를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또는 코팅층은, 양호한 대전 방지성에 더하여 양호한 광학 특성 (양호한 투명성, 양호한 굴절성 등) 을 가지고 있다.
그 때문에,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보호, 광디스크 등의 광학 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보호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지된 광학 기기 또는 광학 부재의 표면 보호, 기타 전기 부품 또는 전자 부품 (특히 투명성이 중요해지는 부품) 등에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게다가,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또는 코팅층은, (A) 무기 화합물 미립자가 양호하게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보호 대상의 종류 또는 사용 조건 등에 따라서는 보호 대상의 방열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실시예
본 발명에 대하여, 실시예에 기초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여러 가지의 변경, 수정 및 개변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에 있어서 얻어진 피막 (코팅층) 의 평가는, 다음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실시하였다.
(피막의 평가 방법)
[표면 저항값]
주식회사 아드반테스트 제조의 표면 저항 측정 장치 (상품명 : R8340A) 를 사용하여, 20 ℃, 65 %RH 의 분위기하에서, 얻어진 피막 (코팅층) 의 표면 저항값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헤이즈]
스가 시험기 주식회사 제조의 헤이즈 컴퓨터 (형식 : HGM-2DP) 를 사용하고, JIS K 7136 에 준거하여, 얻어진 피막 (코팅층) 의 헤이즈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굴절률]
메트리콘사 (Metricon Corporation) 제조의 굴절률 측정 장치 (제품명 : 프리즘 커플러) 를 사용하여, 얻어진 피막 (코팅층) 의 파장 589 ㎚ 에 있어서의 굴절률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연필 경도]
JIS K 5600 에 준거하여, 부하 하중을 750 g 으로 하여 얻어진 피막 (코팅층) 의 연필 경도를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제조예 1 : (D) 분산제의 합성예 1)
톨루엔 용매 중에, 분기 C11 ∼ 14 의 알킬알코올 (제품명 : EXXAL13, 엑슨 모빌사 제조) 에틸렌옥사이드 10 몰 부가물 640 g (1 몰) 및 모노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152 g (1.3 몰) 을 반응기에 넣고, 균일해지도록 교반하였다. 그 후, 반응계의 온도가 60 ℃ 인 조건에서 수산화나트륨 52 g 을 첨가하였다. 이어서, 반응계의 온도를 80 ℃ 로 승온시켜, 3 시간 숙성시켰다. 숙성 후, 반응계가 50 ℃ 인 조건에서 98 % 황산 117 g (1.2 몰) 을 적하함으로써, 백색 현탁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이 백색 현탁 용액을 증류수로 세정하고,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함으로써, (D) 분산제로서의 「계면 활성제 D1」을 얻었다. 이 계면 활성제 D1 은,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소수기 R0 이 분기 C11 ∼ 14 의 알킬기이고, 옥시알킬렌기 AO 가 에틸렌옥사이드이고, 옥시알킬렌 사슬의 평균 부가 몰수 n = 10 이며, 연결기 X 가 -CH2- 인 구조가 된다.
(제조예 2 : (D) 분산제의 합성예 2)
분기 C11 ∼ 14 의 알킬알코올 (제품명 : EXXAL13, 엑슨 모빌사 제조) 에틸렌옥사이드 10 몰 부가물 640 g (1 몰) 및 숙신산 무수물 100 g (1 몰) 을 120 ℃ 에서 2 시간 반응시킨 것 이외에는, 상기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D) 분산제로서의 「계면 활성제 D2」를 얻었다. 이 계면 활성제 D2 는 일반식 (1) 에 있어서의 소수기 R0 이 분기 C11 ∼ 14 의 알킬기이고, 옥시알킬렌기 AO 가 에틸렌옥사이드이고, 옥시알킬렌 사슬의 평균 부가 몰수 n = 10 이며, 연결기 X 가 -O-(C=O)-CH2 -CH2- 인 구조가 된다.
(제조예 3 : (B) 중합성 화합물의 합성예)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HMDI) 의 3 량체 504 g (1 몰) 과,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상품명 : 뉴프론티아 PET-3,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 894 g (3 몰) 과, 하이드로퀴논모노메틸에테르 0.8 g 을 첨가하고, 70 ℃ ∼ 80 ℃ 에서 잔존 이소시아네이트 농도가 0.1 중량% 이하가 될 때까지 반응시킴으로써, (B) 중합성 화합물로서의 「우레탄아크릴레이트 B1」을 얻었다.
(실시예 1)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사카이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산화지르코늄 졸 (상품명 : SZR-M, 1 차 입자 직경 3 ㎚, 30 중량% 의 메탄올 (졸용 용매) 을 함유하는 분산체) 을 사용하고, (B) 중합성 화합물로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닛폰 가야쿠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KAYARAD DPHA),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뉴프론티아 PE-600), 및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아크릴레이트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아로닉스 M-5300) 를 사용하고, (C) 이온 액체로서, 함질소 오늄염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엘렉셀 AS-804) 을 사용하고, (E) 용매로서, 프로필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아세테이트 (PGM-AC, 주식회사 쿠라레제조) 를 사용하였다.
상기 산화지르코늄 졸을 100 중량부, 상기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를 7 중량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를 3 중량부, 상기 ω-카르복시-폴리카프로락톤모노아크릴레이트를 3 중량부, 상기 이온 액체를 1 중량부, 상기 PGM-AC 를 43 중량부 각각 배합하여 혼합하고, 로터리 이배퍼레이터를 사용하여 졸용 용매 (메탄올) 를 감압 제거하여, 실시예 1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코팅제의 분산 안정성에 대하여 육안으로 평가 (양호한 경우 「○」, 유동성이 저하되거나 백탁되거나 한 경우에는 「×」) 하였다.
또한, 본 실시예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에서는,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및 (B) 중합성 화합물 중의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의 배합비가 약 70 중량% 가 되고, (A) 무기 화합물 미립자 및 (B) 중합성 화합물에 대한 (C) 이온 액체의 배합비가 약 2.3 중량% 가 된다.
얻어진 코팅제 200 중량부에 대해, 광중합 개시제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등록 상표) : 이르가큐어 (Irgacure) 184) 를 3 중량부 첨가한 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토레이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루미러 #100 T60) 의 표면 상에, 40 ㎛ 의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그 후, 80 ℃ × 1 분의 조건에서 용매를 휘발시키고, 고압 수은등으로 적산 300 mJ/㎠ (산소 농도 0.3 % 이하) 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코팅제를 경화시켰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경화물 (코팅층) 로서, 실시예 1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B) 중합성 화합물로서, 상기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우레탄아크릴레이트 B1 을 8.5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상품명 : 뉴프론티아 PE-600) 를 3.5 중량부 사용함과 함께, (D) 분산제로서,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계면 활성제 D1 을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2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B) 중합성 화합물로서, 카르복실산 함유 다관능 아크릴레이트 (토아 합성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M-510) 를 8.5 중량부,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상품명 : 뉴프론티아 PE-600) 를 3.5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3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3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C) 이온 액체로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4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4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5)
(C) 이온 액체로서, 1-메틸-1-프로필피롤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5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5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C) 이온 액체로서, 1-메틸-1-프로필피페리디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6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6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7)
(C) 이온 액체로서, 도데실트리메틸암모늄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7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7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8)
(C) 이온 액체로서, 리튬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LiFSI) 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8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8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9)
(C) 이온 액체로서, 리튬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LiTFSI) 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9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9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C) 이온 액체로서, 칼륨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 (KFSI) 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0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10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1)
(C) 이온 액체로서,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비스(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이미드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1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11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2)
(D) 분산제로서, 상기 제조예 2 에서 얻어진 계면 활성제 D2 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2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12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닛산 화학 공업 주식회사 제조의 산화규소 졸 (상품명 : MEK-ST, 30 중량% 의 메틸에틸케톤 (졸용 용매) 을 함유하는 분산체) 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3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실시예 13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4)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상기 실시예 1 에서 사용한 산화지르코늄 졸을 72 중량부 사용하고, (B) 중합성 화합물로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뉴프론티아 PET-3) 를 12.3 중량부, 그리고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를 3.7 중량부 사용하고, (C) 이온 액체로서, 함질소 오늄염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엘렉셀 AS-804) 을 1 중량부 사용하고, (D) 분산제로서, 상기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계면 활성제 D1 을 2.1 중량부 사용하여, 이들을 각각 배합하여 혼합하고,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14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코팅제 100 중량부에 대해, 광중합 개시제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등록 상표) : 이르가큐어 (Irgacure) 184) 를 3 중량부 첨가한 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토레이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루미러 #100 T60) 의 표면 상에, 10 ㎛ 의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그 후, 고압 수은등으로 적산 300 mJ/㎠ (산소 농도 0.3 % 이하) 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코팅제를 경화시켰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경화물 (코팅층) 로서, 실시예 14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 15)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닛키 촉매 화성 주식회사 제조의 중공 실리카 졸 입자 (상품명 : 스루리아 4320, 20 중량%, 메틸이소부틸케톤 (졸용 용매) 을 함유하는 분산체) 를 사용하고, (B) 중합성 화합물로서,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뉴프론티아 PET-3),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뉴프론티아 PE-600) 를 사용하고, (C) 이온 액체로서, 함질소 오늄염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엘렉셀 AS-804) 을 사용하였다.
상기 중공 실리카 졸을 150 중량부, 상기 펜타에리트리톨트리아크릴레이트를 14 중량부, 상기 폴리에틸렌글리콜 600 디아크릴레이트를 6 중량부, 상기 이온 액체 1 중량부를 충분히 혼합시킴으로써 실시예 15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였다.
얻어진 코팅제 170 중량부에 대해, 광중합 개시제 (BASF 재팬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등록 상표) : 이르가큐어 (Irgacure) 184) 를 1.5 중량부 첨가한 후에,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필름 (토레이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루미러 #100 T60) 의 표면 상에, 4 ㎛ 의 바 코터를 사용하여 도포하였다. 그 후, 80 ℃ × 1 분의 조건에서 용매를 휘발시키고, 고압 수은등으로 적산 300 mJ/㎠ (산소 농도 0.3 % 이하) 의 광을 조사함으로써 코팅제를 경화시켰다. 이로써, 본 발명에 관련된 경화물 (코팅층) 로서, 실시예 15 의 피막 (막 두께 1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D) 분산제로서, 알킬폴리에테르아민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아미라진 C1802) 을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였지만, 분산질인 미립자가 응집되어 분산액이 백탁되었기 때문에, 피막을 형성하여 평가할 수 없었다.
(비교예 2)
(D) 분산제로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형 논이온 계면 활성제 (다이이치 공업 제약 주식회사 제조의 상품명 : 소르겐 40) 를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2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였지만, 분산질인 미립자가 응집되어 분산액이 백탁되었기 때문에, 피막을 형성하여 평가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D) 분산제로서, 실란 커플링제인 아크릴산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 (토쿄 화성 공업 주식회사 제조) 을 1 중량부 사용한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3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였지만, 유동성이 없는 겔상 물질이 되었기 때문에, 피막을 형성하여 평가할 수 없었다.
(비교예 4)
이온 액체를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4 의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조제하여 육안으로 평가함과 함께, 비교예 4 의 피막 (막 두께 10 ㎛) 을 형성하였다. 얻어진 피막에 대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4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는, 우수한 광학 특성과 우수한 대전 방지성을 양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련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사용한 필름 또는 코팅층은, 대전에서 유래하는 파손 또는 진애의 부착 등과 같은 문제를 유효하게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간소한 구성으로 양호한 품질을 실현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의 기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여, 상이한 실시형태나 복수의 변형예에 각각 개시된 기술적 수단을 적절히 조합하여 얻어지는 실시형태에 대해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또, 상기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의 많은 개량이나 다른 실시형태가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설명은 예시로서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을 실행하는 최선의 양태를 당업자에게 교시할 목적으로 제공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고, 그 구조 및/또는 기능의 상세를 실질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화상 표시 장치의 표시 화면의 보호, 광학 기록 매체의 기록면의 보호 등, 하드 코트 분야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광학 기기 또는 광학 부재 등의 분야에 있어서도 널리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6)

  1. 대상이 되는 표면을 보호하는 필름 또는 코팅층의 형성에 사용되고,
    (A) 무기 화합물 미립자와, (B) 중합성 화합물과, (C) 이온 액체를 함유하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
  2. 제 1 항에 있어서,
    (A) 무기 화합물 미립자로서, (A-1) 금속 산화물의 미립자 졸 또는 (A-2) 금속 또는 반금속 질화물의 미립자 졸이 사용되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B) 중합성 화합물이 분자 중에 카르복실기와 에틸렌성 불포화기를 갖는 화합물인 필름 형성용 코팅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C) 이온 액체가 함질소 오늄염, 함황 오늄염 및 함인 오늄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온성 화합물인 필름 형성용 코팅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다음에 나타내는 일반식 (1) 의 (D) 분산제
    [화학식 4]
    Figure pct00005

    (식 중, R0 은 탄소수 1 내지 24 의 알킬기 및/또는 알케닐기를 나타내고, AO 는 탄소수 2 내지 4 의 옥시알킬렌기를 나타내고, n 은 알킬렌옥사이드의 평균 부가 몰수로서 5 내지 30 의 범위 내이며, X 는 탄소 원자, 수소 원자 및/또는 산소 원자로 이루어지는 연결기를 나타낸다)
    를 함유하는 필름 형성용 코팅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름 형성용 코팅제를 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경화물.
KR1020157013751A 2012-12-28 2013-10-31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 KR2015010064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88894 2012-12-28
JP2012288894 2012-12-28
JPJP-P-2013-072770 2013-03-29
JP2013072770A JP6467122B2 (ja) 2012-12-28 2013-03-29 フィルム形成用コーティング剤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硬化物の製造方法
PCT/JP2013/006467 WO2014103127A1 (ja) 2012-12-28 2013-10-31 フィルム形成用コーティング剤およびその硬化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644A true KR20150100644A (ko) 2015-09-02

Family

ID=510202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3751A KR20150100644A (ko) 2012-12-28 2013-10-31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467122B2 (ko)
KR (1) KR20150100644A (ko)
CN (1) CN104884555A (ko)
TW (1) TWI572705B (ko)
WO (1) WO201410312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104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에이엠솔루션 대전방지성 중합체 블렌드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74886B2 (en) * 2015-07-31 2019-01-08 Sharp Kabushiki Kaisha Wavelength conversion member and light emitting device
CN109153567B (zh) 2016-05-25 2021-11-09 富士胶片株式会社 表面修饰无机氮化物及制造法、组合物、导热材料、器件
JP2019019232A (ja) * 2017-07-18 2019-02-07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酸化ジルコニウム粒子分散体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62883A (ja) * 1999-03-19 2000-09-26 Kao Corp 無機粉末用油中分散剤
JP2008233371A (ja) * 2007-03-19 2008-10-02 Hitachi Maxell Ltd 反射防止フィルム
JP2009013198A (ja) * 2007-06-29 2009-01-22 Sanyo Chem Ind Ltd 帯電防止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
JP2010037460A (ja) * 2008-08-06 2010-02-18 Canon Inc 水性インク、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インクカートリッジ、記録ユニット、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5326994B2 (ja) * 2009-01-20 2013-10-3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その硬化皮膜を有する物品
JP5260570B2 (ja) * 2009-02-13 2013-08-14 三洋化成工業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帯電防止性樹脂組成物
JP2011012145A (ja) * 2009-07-01 2011-01-20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非帯電性ハードコート用樹脂組成物
JP5456460B2 (ja) * 2009-12-25 2014-03-26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エネルギー線硬化型塗料
JP2011169987A (ja) * 2010-02-16 2011-09-01 Sony Corp 防眩性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紫外線硬化型樹脂組成物、ならびに表示装置
JP5643155B2 (ja) * 2011-06-06 2014-12-17 第一工業製薬株式会社 ハードコート用分散体組成物、ハードコート用コーティング組成物およびハードコート被覆物
JPWO2012176570A1 (ja) * 2011-06-24 2015-02-23 Dic株式会社 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活性エネルギー線硬化型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塗料、塗膜、及び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9104A (ko) * 2018-12-06 2020-06-16 주식회사 에이엠솔루션 대전방지성 중합체 블렌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103127A1 (ja) 2014-07-03
JP2014142575A (ja) 2014-08-07
JP6467122B2 (ja) 2019-02-06
CN104884555A (zh) 2015-09-02
TWI572705B (zh) 2017-03-01
TW201425560A (zh) 2014-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7342B (zh) Adhesive sheet and surface protection film
JP5962934B2 (ja) 粘着剤組成物
TWI447190B (zh) 具有塑化劑之丙烯酸系壓感性黏著組成物
KR101509856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1236076B1 (ko) 편광판 및 액정표시장치
KR101541578B1 (ko) 점착제 조성물
KR20150100644A (ko) 필름 형성용 코팅제 및 그 경화물
US20140011022A1 (en)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and use thereof
JP5999270B2 (ja) 粘着剤組成物
KR101816966B1 (ko) 점착제 조성물
JP5468525B2 (ja) 半導電性樹脂組成物
TWI740821B (zh) 偏光膜用黏著劑組合物、偏光膜用黏著劑層、附黏著劑層之偏光膜、及圖像顯示裝置
JP6521896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帯電防止表面保護フィルム
TWI760326B (zh) 黏著劑組合物及抗靜電表面保護膜
JP5041518B2 (ja) 帯電防止用組成物およ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形成物
CN109937239A (zh) 涂料组合物
KR101606303B1 (ko) 광학재료용 수지 조성물
JP6684324B2 (ja) 粘着剤組成物及び表面保護フィルム
JP2019019232A (ja) 酸化ジルコニウム粒子分散体組成物およびその硬化物
KR101661838B1 (ko) 무기 화합물 미립자 분산 조성물 및 무기 화합물 미립자 분산 경화물
JP2008156430A (ja) 帯電防止用組成物および帯電防止ハードコート形成物
KR102031801B1 (ko) 하드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표시장치
TW201313871A (zh) 表面保護膜
KR102063057B1 (ko) 점착제 조성물
KR102056592B1 (ko) 점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100222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904

Effective date: 202110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