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7332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7332A
KR20150077332A KR1020140186349A KR20140186349A KR20150077332A KR 20150077332 A KR20150077332 A KR 20150077332A KR 1020140186349 A KR1020140186349 A KR 1020140186349A KR 20140186349 A KR20140186349 A KR 20140186349A KR 20150077332 A KR20150077332 A KR 201500773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onnector
receptacle
electrical connector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63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53062B1 (ko
Inventor
고스케 오제키
Original Assignee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이치 세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773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73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01R12/7017Snap means
    • H01R12/7029Snap means not integral with the coupl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쪽의 하우징에 다른쪽의 하우징을 끼워맞추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지지 부재를 삽입 가능하며, 또한 끼워맞춤 상태를 해제할 때에, 삽입된 걸림지지 부재를 발취 가능한 관통 구멍이 다른쪽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다. 피걸림지지부(45)는, 커넥터끼리 끼워맞추었을 때에 다른쪽의 하우징과 대향하는 한쪽의 하우징의 내벽의, 관통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에 삽입된 걸림지지 부재와 걸림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접속부는 피걸림지지부(45)를 개재하도록 대향하며 피걸림지지부(45)의 양단에 장착된 한쌍의 부재이며, 한쪽의 하우징의 일부를 피걸림지지부(45)와 함께 피복한 상태에서, 다른쪽의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끼워맞춤 가능하게 구성된 2개의 커넥터가 끼워맞추어짐으로써, 한쪽의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과 다른쪽의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 커넥터에 마련된 플러그 보강 금구(fitting)와 리셉터클 커넥터에 마련된 리셉터클 보강 금구를 구비한다. 작업자는, 양 커넥터를 끼워맞추게 하여, 플러그 보강 금구의 결합 돌기를 리셉터클 보강 금구의 결합 구멍에 결합시키는 것에 의해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로크 상태로 한다(끼워맞춤이 유지된 상태로 한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때, 작업자는, 우선 가위 형상의 지그의 선단을 플러그 커넥터가 실장된 기판의 해제 구멍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지그의 선단을 리셉터클 보강 금구에 마련된 지그 삽입 구멍에 삽입한다. 또한, 작업자는, 지그를 조작하여, 플러그 보강 금구를 탄성 변형시켜, 플러그 보강 금구의 결합 돌기를 리셉터클 보강 금구의 결합 구멍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결합 돌기와 결합 구멍의 결합을 해제한다. 이 상태를 유지한 다음,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떼어 놓음으로써,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해제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결합 돌기와 결합 구멍의 결합이, 예를 들면 작업자의 예기치 못한 동작에 의해서, 실수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 2011-65861 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서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끼워맞춤을 해제할 때, 작업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위 형상의 지그의 선단을 기판의 해제 구멍에 삽입하고, 리셉터클 보강 금구의 지그 삽입 구멍에 삽입하고, 또한 지그를 조작하여, 플러그 보강 금구를 탄성 변형시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따라서, 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번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한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는,
절연성의 벽면에서 내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 및 내부 영역의 벽면으로부터 제 1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도전성의 부재인 제 1 컨택트(contact)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제 1 하우징의 내부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절연성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하우징, 및 제 2 하우징의 벽면으로부터 제 2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도전성의 부재인 제 2 컨택트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며,
제 1 하우징과 제 2 하우징을 끼워맞추게 함으로써, 제 1 컨택트와 제 2 컨택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이며,
한쪽의 하우징에 다른쪽의 하우징을 끼워맞추고,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지지 부재를 삽입 가능하며, 또한 끼워맞춤 상태를 해제할 때에, 삽입된 걸림지지 부재를 발취 가능한 관통 구멍이, 다른쪽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커넥터끼리 끼워맞추었을 때에 다른쪽의 하우징과 대향하는 한쪽의 하우징의 내벽의, 관통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관통 구멍에 삽입된 걸림지지 부재와 걸림지지 가능하게 구성된 피걸림지지부와,
피걸림지지부를 개재하도록 대향하며 피걸림지지부의 양단에 장착된 한쌍의 부재이며, 한쪽의 하우징의 일부를 피걸림지지부와 함께 피복한 상태에서, 다른쪽의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한다.
또한, 다른쪽의 하우징에는, 커넥터끼리 끼워맞추었을 때에 피걸림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제 1 컨택트는 제 1 하우징의 양단에 배열되며,
제 2 컨택트는 제 1 컨택트의 배열에 대응한 제 2 하우징의 양단에 배열되어 있으며,
피걸림지지부와 접속부는, 한쪽의 하우징의 일단에 배열된 컨택트와 한쪽의 하우징 타단에 배열된 컨택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걸림지지 부재는 나사이며,
피걸림지지부에는, 나사를 걸림지지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다.
또한, 피걸림지지부와 접속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한쪽의 커넥터는, 일체 성형된 피걸림지지부와 접속부를, 대향하는 위치에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는 것이어도 좋다.
하우징끼리 끼워맞추게 할 때, 작업자는, 걸림지지 부재를 관통 구멍에 삽입하고, 그 걸림지지 부재와, 기판에 접속된 접속부에 장착되어 있는 피걸림지지부를 걸림지지시키면 된다. 한편, 하우징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해제할 때, 작업자는, 걸림지지 부재와 피걸림지지부의 걸림지지를 해제하고, 그 걸림지지 부재를 관통 구멍으로부터 발취하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에 의하면,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2는 전기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3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나사 고정되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 단체(單體)의 사시도이다.
도 6은 기판에 실장된 상태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리셉터클 커넥터 단체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로크 부재 단체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9는 로크 부재 단체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0은 플러그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었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플러그 커넥터가 리셉터클 커넥터에 끼워맞추었을 때의, 일부를 편의적으로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나사 고정되었을 때의, 일부를 편의적으로 절결한 사시도이다.
도 13은 로크 부재를 1개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의 제 1 사시도이다.
도 14는 로크 부재를 1개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가 기판에 실장되었을 때의 제 2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가 구비하는 로크 부재 단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 커넥터(10)를 설명한다. 전기 커넥터(10)는 도 1 및 도 2(도 1에 있어서, 리셉터클 커넥터(40) 측으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0)를 본 도면)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와, 플러그 커넥터(20)에 끼워맞추어지는 리셉터클 커넥터(40)를 구비한다.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는 각각 기판에 실장되어 있다.
전기 커넥터(10)를 조립할 때,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40)에 끼워맞추게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3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범용 나사(G)를 이용하여, 플러그 커넥터(20)를 리셉터클 커넥터(40)에 나사 고정함으로써, 조립을 완료한다.
플러그 커넥터(20)는, 도 4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내부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이며, 절연성의 벽면(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벽면 등)으로 이루어지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을 구비한다. 플러그용 하우징(21)은 xy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내벽면으로부터 플러그용 하우징(21)의 외벽면을 타고, 플러그용 하우징(21)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도전성의 부재(예를 들면, 구리 합금의 평판재 등)인 플러그용 컨택트(22)를 갖는다. 플러그용 컨택트(22)는, 예를 들면 유연성이 높은 플렉시블 기판(A)의 전극에 납땜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는,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성형된, 한쌍의 걸림지지 부재(23)를 구비한다. 한쌍의 걸림지지 부재(23)는, 각각, 플러그용 하우징(21)의 길이 방향(플러그용 컨택트(22)가 배열되어 있는 피치 방향)에 위치하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걸림지지 부재(23)는, -z 방향으로 돌출된,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인 돌출부(23a)를 구비한다. 또한, 한쌍의 걸림지지 부재(23)는, -z 방향으로 돌출된, 각각의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의 돌출부(23b, 23c)를 구비한다. 또한, 한쌍의 걸림지지 부재(23)는, 플러그용 컨택트(22)가 배열되어 있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된 평판(23d)을 구비한다. 돌출부(23a 내지 23c)의 일단은, 각각, 평판(23d)의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돌출부(23a)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플러그용 컨택트(22)가 배열되어 있지 않은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돌출부(23b)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측 방향에 위치하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 중 한쪽의 단부(플러그용 컨택트(22)가 배열되어 있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 중 한쪽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23c)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측 방향에 위치하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플러그용 컨택트(22)가 배열되어 있는 플러그용 하우징(21)의 단부 중 다른쪽의 단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돌출부(23b, 23c)는, 각각, 플러그용 하우징(21)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부분이, 플렉시블 기판(A)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된다.
또한, 돌출부(23a 내지 23c)에 접속된 평판(23d)은, 도 5의 사시도(도 1에 있어서, 플렉시블 기판(A)의 위치보다 높은 z축 상의 위치로부터 플러그 커넥터(20) 단체를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용 하우징(2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부분이 플렉시블 기판(A)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된다.
플러그용 하우징(21)에는, 도 4 및 도 5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사각형 형상의 구멍을 형성하는 한쌍의 수용부(24)가 마련되어 있다. 한쌍의 수용부(24)는 벽면이 도려내어지는 것에 의해서 마련된다. 한쌍의 수용부(24)는, 각각, 플러그용 컨택트(22)가 배열되어 있는 단부끼리의 사이이며, 또한 걸림지지 부재(23)가 배치되어 있는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수용부(24)는, 커넥터끼리가 끼워맞추어진 때에, 후술하는 피걸림지지부(45)(범용 나사(G)와 걸림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수용부(24)는 범용 나사(G)를 삽입 가능하며, 또한 삽입된 범용 나사(G)를 발취할 수 있는 관통 구멍도 형성한다. 여기서, 범용 나사(G)는, 한쪽의 하우징에 다른쪽의 하우징을 끼워맞추어,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A)에는, 도 4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를 실장했을 경우의 수용부(24)에 대응하는 위치에(예를 들면, 수용부(24)의 중심에), 범용 나사(G)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A1)(축심이 z축을 따른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40)는, 도 6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용 하우징(21)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영역을 절연성의 벽면(예를 들면, 플라스틱제의 벽면 등)으로 형성하는, 대략 직사각형 형상의 프레임인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을 구비한다.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은 xy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은, 외측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공간에, 일체 성형된 대략 직방체 형상의 블록부(42)를 구비한다. 블록부(42)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에서 형성된 내부 영역에, 플러그용 하우징(21)이 수용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40)는, 블록부(42)의 벽면으로부터,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벽면을 타고,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도전성의 부재(예를 들면, 구리 합금의 평판재 등)인 리셉터클용 컨택트(43)를 구비한다. 리셉터클용 컨택트(43)는 플러그용 컨택트(22)의 배열에 대응한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양단부에 배열되어 있다. 리셉터클용 컨택트(43)는, 예를 들면 유연성이 낮은 회로 기판(B)의 전극에 납땜된다.
또한, 리셉터클 커넥터(40)는, 예를 들면 금속판으로 일체 성형되어 있는 한쌍의 로크 부재(44)를 구비한다. 한쌍의 로크 부재(44)는, 리셉터클용 컨택트(43)가 배열되어 있는 블록부(42)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한쌍의 로크 부재(44)는, 각각, 도 6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범용 나사(G)와 걸림지지 가능하게 구성된 피걸림지지부(45)를 구비한다. 또한, 한쌍의 로크 부재(44)는, 각각, 피걸림지지부(45)를 사이에 두고 대향해서 피걸림지지부(45)의 양단에 장착된 한쌍의 부재(제 1 접속부(46a) 및 제 2 접속부(46b))로 이루어지는 접속부(46)를 구비한다.
각 피걸림지지부(45)는,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내벽, 상세하게는 블록부(42) 상부 벽면(xy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각 피걸림지지부(45)는, 버링 가공이 실시되는 것에 의해, 내부에 원통을 형성한다.
이 원통을 형성하는 각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은, 도 7의 사시도(도 2에 있어서, 회로 기판(B)의 위치보다 낮은 z축 상의 위치로부터 리셉터클 커넥터(40) 단체를 본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록부(42)에 미리 마련된 관통 구멍(42a)(축심이 z축을 따른 구멍)에 끼워진다. 이것에 의해, 각 피걸림지지부(45)는 범용 나사(G)를 삽입하기 위한 개구를 형성한다.
또한, 각 피걸림지지부(45)는, 리셉터클 커넥터(40)와 플러그 커넥터(20)를 끼워맞추었을 때에, 플렉시블 기판(A)의 구멍(A1) 및 수용부(24)에 대응하는 위치에 개구가 존재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각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에는, 도 8 및 도 9(도 8에 있어서, -z의 위치로부터 로크 부재(44)를 본 도면)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범용 나사(G)와의 맞물림(걸림지지)을 실현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어 있다.
각 접속부(46)의 제 1 접속부(46a)는, 도 6 내지 도 8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일단이, 각각, 각 피걸림지지부(45)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는 판 형상의 부재이다. 제 1 접속부(46a)는 블록부(42)의 yz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접속부(46a)는, 도 7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블록부(42)에 미리 마련되어 있는 관통 홈(42b)에 관통삽입되어 있다.
여기서, 관통 홈(42b)은, 리셉터클용 컨택트(43)가 배열되어 있는 블록부(42)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각 제 1 접속부(46a)를 관통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z축 방향으로 연장된 한쌍의 홈이다.
제 1 접속부(46a)에는, 도 8 및 도 9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46a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부(46a1)는 관통 홈(42b) 내에서 블록부(42)에 압입된다. 따라서, 제 1 접속부(46a)는 블록부(42)에 강고하게 고착된다.
또한, 제 1 접속부(46a)의 타단(피걸림지지부(45)의 일단에 접속되어 있지 않은 쪽의 단부)은, 도 7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제 1 접속부(46a)의 타단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B)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된다(접속된다).
각 접속부(46)의 제 2 접속부(46b)는, 도 6 내지 도 8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지지부(45)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된 부재이다. 제 2 접속부(46b)는, 도 8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지지부(45)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고, 또한 블록부(42)의 yz 평면 상의 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입판부(46c)와, 그 입판부(46c)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며, 또한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내벽의 xy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판 형상의 토대부(46d)를 구비한다.
또한, 제 2 접속부(46b)는, 토대부(46d)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며, 또한 +z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46e)와, 돌출부(46e)의 타단에 일단이 접속되며, 또한 회로 기판(B)의 xy 평면 상에 배치되어 있는 기판 접속부(46f)를 구비한다.
입판부(46c)에는, 도 8 및 도 9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y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46c1)가 마련되어 있다. 이 돌기부(46c1)는, 도 6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각이, 블록부(42)의 네개 코너에 배치되며, ±x 방향으로 돌출된 입판부(42c)에 압입된다. 따라서, 입판부(46c)는 블록부(42)에 강고하게 고착된다.
또한, 돌출부(46e)는 단면이 대략 U자 형상이며, 도 6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길이 방향(리셉터클용 컨택트(43)가 배열되어 있는 피치 방향)에 위치하는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단부를 덮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기판 접속부(46f)가, 도 6 및 도 7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노출된다.
이 기판 접속부(46f)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제 1 접속부(46a)의 타단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회로 기판(B)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된다(접속된다). 따라서, 로크 부재(44)는 회로 기판(B)에 강고하게 접속된다.
또한, 제 1 접속부(46a)와 제 2 접속부(46b)는, 즉 접속부(46)는, 도 6 및 도 7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일부를 피걸림지지부(45)와 함께 피복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B)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된다. 따라서, 접속부(46)는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을 회로 기판(B)에 강고하게 고정한다.
또한, 로크 부재(44), 즉 피걸림지지부(45)와 접속부(46)는 플러그용 컨택트(43)가 배열되어 있는 블록부(42)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속부(46)와 피걸림지지부(45)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와 비교하여, 전기 커넥터(1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회로 기판(B)에는, 블록부(42)의 관통 구멍(42a)에 대응하는 위치에, 도 2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지지부(45)와 걸림지지한 범용 나사(G)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B1)(축심이 z축을 따른 구멍)이 마련되어 있다.
상술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를 끼워맞추게 하는 경우, 작업자는, 도 1 및 도 2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플렉시블 기판(A)에 실장된 플러그 커넥터(20)를, 예를 들면 회로 기판(B)에 실장된 리셉터클 커넥터(40)에 정대(正對)시킨다.
그리고, 작업자는, 도 10 및 도 11(도 10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10) 등의 일부를 편의적으로 절결하고 있음)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용 하우징(21)을 리셉터클용 하우징(41)에 끼워맞추게 한다.
그 후, 작업자는, 범용 나사(G)를 플렉시블 기판(A)에 마련되어 있는 구멍(A1) 및 수용부(24)에 삽입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범용 나사(G)의 선단을 피걸림지지부(45)의 개구 부분에 접촉시켜, 범용 나사(G)를 드라이버로 돌린다.
이것에 의해, 도 3 및 도 12(도 3에 도시하는 전기 커넥터(10) 등의 일부를 편의적으로 절결하고 있음)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범용 나사(G)와 피걸림지지부(45)가 걸림지지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가 범용 나사(G)에 의해서 유지된다. 또한, 범용 나사(G)의 선단은 구멍(B1)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 때, 피걸림지지부(45)는, 도 12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부(24)에 수용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가 유지된 전기 커넥터(10)를 저배화(低背化:높이가 낮음)할 수 있다(전기 커넥터(10)의 z 방향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를 끼워맞추면, 플러그용 컨택트(22)와 리셉터클용 컨택트(43)가 접촉한다. 따라서, 플러그용 컨택트(22)와 리셉터클용 컨택트(43)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플렉시블 기판(A)과 회로 기판(B)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그 후,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20)의 교환을 위해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피걸림지지부(45)에 걸림지지되어 있는 범용 나사(G)를,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걸림지지하는 경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돌린다.
그렇게 하면, 범용 나사(G)와 피걸림지지부(45)의 걸림지지가 해제된다. 그 후, 작업자는, 범용 나사(G)를 수용부(24) 및 구멍(A1)으로부터 발취한다. 이것에 의해,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전기 커넥터(10)는 도 10에 도시하는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는,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를 떼어 놓고, 예를 들면 플러그 커넥터(20)를 교환하거나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를 끼워맞추게 할 때, 작업자는, 수용부(24) 및 구멍(A1)에 범용 나사(G)를 삽입하고, 그 범용 나사(G)와, 제 1 접속부(46a) 및 제 2 접속부(46b)를 거쳐서 회로 기판(B)에 접속되어 있는 피걸림지지부(45)를 걸림지지시키면 된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범용 나사(G)를 드라이버로 돌려, 범용 나사(G)와 피걸림지지부(45)의 걸림지지를 해제하고, 그 범용 나사(G)를 수용부(24) 및 구멍(A1)으로부터 발취하면 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는,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가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일 때, 피걸림지지부(45)를 수용부(24)에 수용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 의하면,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시에 있어서의 z 방향의 높이를 억제할 수 있다(저배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서는, 한쌍의 로크 부재(44)는 플러그용 컨택트(43)가 배열되어 있는 블록부(42)의 단부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 의하면, 한쌍의 로크 부재(44)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배치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와 비교하여, 전기 커넥터(10)의 소형화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서는, 한쌍의 로크 부재(44)는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을 균형있고 강고하게 회로 기판(B)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서는, 피걸림지지부(45)를 사이에 두고 대향해서 배치된, 제 1 접속부(46a)의 타단과 제 2 접속부(46b)의 기판 접속부(46f)의 양쪽이, 회로 기판(B)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된다.
따라서, 범용 나사(G)의 회전시에 피걸림지지부(45)에 가해지는 힘을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특정의 한 개소에 집중시키는 일이 없이 분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범용 나사(G)와 피걸림지지부(45)의 걸림지지 및 걸림지지 해제의 회수가 누적 증가하고, 범용 나사(G)로부터 피걸림지지부(45)에 힘이 가해진 회수가 누적 증가하여도, 제 1 접속부(46a)의 타단과 기판 접속부(46f)가 회로 기판(B)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피걸림지지부(45)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서는, 플러그 커넥터(20)에 수용부(24)가 마련되며, 리셉터클 커넥터(40)에 로크 부재(44)(피걸림지지부(45) 및 접속부(46))가 마련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20)에 로크 부재(44)(피걸림지지부(45) 및 접속부(46))가 마련되며, 리셉터클 커넥터(40)에 수용부(24)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에서도,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범용 나사(G)를 드라이버로 돌려, 범용 나사(G)와 피걸림지지부(45)의 걸림지지를 해제하고, 그 범용 나사(G)를 수용부(24) 및 구멍(B1)으로부터 발취하면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에서는,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에는, 범용 나사(G)와의 맞물림(걸림지지)을 실현하기 위한 홈이 미리 형성되어 있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에 미리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좋다. 이 구성의 경우, 범용 나사(G)를 작업자가 최초로 피걸림지지부(45)에 비틀어 넣을 때에, 범용 나사(G)가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을 절삭하는 것에 의해,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에 홈이 형성된다.
또한,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에 미리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 다음과 같은 구성이어도 좋다. 즉, 피걸림지지부(45)는 축심을 향하여 돌출된 볼록부를 내주벽에 구비한다. 또한, 범용 나사(G)를 대신하여, 범용 나사(G)와 마찬가지로, 헤드부와 축부는 걸림지지 부재이며, 또한 축부에, 내부를 향하여 오목한 오목부가 형성된 것을 이용한다.
이 구성의 경우, 피걸림지지부(45)의 개구 부분에 걸림지지 부재가 삽입되면,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에 형성된 볼록부와 걸림지지 부재의 축부에 형성된 오목부가 맞물린다. 이 때문에,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는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피걸림지지부(45)에 걸림지지되어 있는 걸림지지 부재를, 예를 들면 손으로 인발한다. 이것에 의해, 걸림지지 부재와 피걸림지지부(45)의 끼워맞춤이 해제되며,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구성의 걸림지지 부재와 피걸림지지부(45)를 이용하여도,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전기 커넥터(10)는 한쌍의 로크 부재(44)(피걸림지지부(45) 및 접속부(46))를 구비하고 있었다. 환언하면, 전기 커넥터(10)는 로크 부재(44)를 2개 구비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커넥터(10)는 로크 부재(44)(피걸림지지부(45) 및 접속부(46))를, 예를 들면 3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전기 커넥터(10)는 로크 부재(44)를 1개 구비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로크 부재를 1개 구비하는 경우의 전기 커넥터(10)를 도 13 및 도 14의 사시도에 도시한다. 이 구성의 전기 커넥터(10)는 로크 부재(50)를 구비한다. 이 구성의 경우, 플렉시블 기판(A)의 예를 들면 중앙 부분에 구멍(A1)이 마련된다.
또한, 블록부(42)의 예를 들면 중앙 부분에 로크 부재(50)가 배치된다. 상세하게는, 블록부(42)의 예를 들면 중앙 부분에 관통 구멍(42a)이 마련되며, 그 관통 구멍(42a)에 피걸림지지부(45)의 내주벽이 끼워진다. 또한, 회로 기판(B)에는, 관통 구멍(42a)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B1)이 마련된다.
그리고, 도 14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러그용 하우징(21)의 예를 들면 중앙 부분에 수용부(24)가 마련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A)에는, 피걸림지지부(45)의 개구 부분에 대응하는 위치에 구멍(A1)이 마련된다.
로크 부재(50)는, 도 15의 사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걸림지지부(45)를 개재하도록 대향하는 피걸림지지부(45)의 양단에, 한쌍의 제 1 접속부(46a)를 구비한다. 한쪽의 제 1 접속부(46a)의 일단이 피걸림지지부(45)의 한쪽단에 접속되며, 다른쪽의 제 1 접속부(46a)의 일단이 피걸림지지부(45)의 다른쪽단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및 다른쪽의 제 1 접속부(46a)의 타단은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외부에 노출되며, 회로 기판(B)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되어 있다. 즉, 한쌍의 제 1 접속부(46a)는, 리셉터클용 하우징(41)의 일부를 피걸림지지부(45)와 함께 피복한 상태에서, 회로 기판(B)의 금속층(예를 들면, 도전로 등)에 납땜되어 있다.
상술한 로크 부재(50)를 구비하는 전기 커넥터(10)도,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 상태(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경우, 작업자는 범용 나사(G)를 드라이버로 돌려, 범용 나사(G)와 피걸림지지부(45)의 걸림지지를 해제하고, 그 범용 나사(G)를 수용부(24) 및 구멍(B1)으로부터 발취하면 된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와 리셉터클 커넥터(40)의 끼워맞춤의 해제가 용이하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광의(廣義)의 정신과 범위를 일탈하는 일이 없이, 여러 가지 실시형태 및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형태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 내 및 그것과 동등한 발명의 의의의 범위 내에서 실시되는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 내라고 간주된다.
10 : 전기 커넥터 20 : 플러그 커넥터
21 : 플러그용 하우징 22 : 플러그용 컨택트
23 : 걸림지지 부재 23a 내지 23c : 돌출부
23d : 평판 24 : 수용부
40 : 리셉터클 커넥터 41 : 리셉터클용 하우징
42 : 블록부 42a : 관통 구멍
42b : 관통 홈 42c : 돌출부
43 : 리셉터클용 컨택트 44, 50 : 로크 부재
45 : 피걸림지지부 46 : 접속부
46a : 제 1 접속부 46a1, 46c1 : 돌기부
46b : 제 2 접속부 46c : 입판부
46d : 토대부 46e : 돌출부
46f : 기판 접속부 A : 플렉시블 기판
B : 회로 기판 A1, B1 : 구멍
G : 범용 나사

Claims (5)

  1. 절연성의 벽면에서 내부 영역을 형성하는 제 1 하우징, 및 상기 내부 영역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제 1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도전성의 부재인 제 1 컨택트를 갖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제 1 하우징의 내부 영역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절연성의 벽면으로 이루어지는 제 2 하우징, 및 상기 제 2 하우징의 벽면으로부터 상기 제 2 하우징의 외부를 향하여 연장된 도전성의 부재인 제 2 컨택트를 갖는 제 2 커넥터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하우징과 상기 제 2 하우징을 끼워맞추게 함으로써, 상기 제 1 컨택트와 상기 제 2 컨택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한쪽의 하우징에 다른쪽의 하우징을 끼워맞추고, 상기 커넥터끼리의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걸림지지 부재를 삽입 가능하며, 또한 상기 끼워맞춤 상태를 해제할 때에 상기 삽입된 상기 걸림지지 부재를 발취 가능한 관통 구멍이 상기 다른쪽의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커넥터끼리를 끼워맞추었을 때에 상기 다른쪽의 하우징과 대향하는 상기 한쪽의 하우징의 내벽의, 상기 관통 구멍에 대응한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 구멍에 삽입된 상기 걸림지지 부재와 걸림지지 가능하게 구성된 피걸림지지부와,
    상기 피걸림지지부를 사이에 두고 대향해서 상기 피걸림지지부의 양단에 장착된 한쌍의 부재이며, 상기 한쪽의 하우징의 일부를 상기 피걸림지지부와 함께 피복한 상태에서, 상기 한쪽의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기판에 접속되는 접속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른쪽의 하우징에는, 상기 커넥터끼리 끼워맞추었을 때에 상기 피걸림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형성하는 수용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컨택트는 상기 제 1 하우징의 양단에 배열되며,
    상기 제 2 컨택트는 상기 제 1 컨택트의 배열에 대응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양단에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피걸림지지부와 상기 접속부는 상기 한쪽의 하우징의 일단에 배열된 컨택트와 상기 한쪽의 하우징 타단에 배열된 컨택트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지지 부재는 나사이며,
    상기 피걸림지지부에는, 상기 나사를 걸림지지 가능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걸림지지부와 상기 접속부는 일체 성형되어 있으며,
    상기 한쪽의 커넥터는, 상기 일체 성형된 상기 피걸림지지부와 상기 접속부를 대향하는 위치에 적어도 2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140186349A 2013-12-27 2014-12-22 전기 커넥터 KR1016530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71672A JP5794292B2 (ja) 2013-12-27 2013-12-27 電気コネクタ
JPJP-P-2013-271672 2013-12-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7332A true KR20150077332A (ko) 2015-07-07
KR101653062B1 KR101653062B1 (ko) 2016-08-31

Family

ID=534829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6349A KR101653062B1 (ko) 2013-12-27 2014-12-22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3831B2 (ko)
JP (1) JP5794292B2 (ko)
KR (1) KR101653062B1 (ko)
CN (1) CN104752896B (ko)
TW (1) TWI5055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39376B2 (ja) * 2014-10-23 2018-12-19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6906906B2 (ja) * 2016-06-30 2021-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回路基板及び画像形成装置
DE102016118630B3 (de) * 2016-09-30 2018-02-22 Fujitsu Limited Computersystem
JP7458224B2 (ja) * 2020-03-27 2024-03-2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対基板コネク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194B2 (ja) * 1989-06-12 1994-04-13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コネクタ
JPH0789576B2 (ja) * 1984-06-14 1995-09-27 アドバンスト・マイクロ・デバイ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ヒートシンク機能を有する集積回路用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0150034A (ja) * 1998-11-13 2000-05-30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11065861A (ja) 2009-09-17 2011-03-31 Molex Inc 電気コネクタおよび係合解除治具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29185A (en) * 1989-04-03 1990-05-29 Nrc Corporatio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JPH06314580A (ja) * 1992-08-05 1994-11-08 Amp Japan Ltd 二基板接続用同軸コネクタ
US5836773A (en) * 1996-07-29 1998-11-17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Board-to-board connector
US6609914B2 (en) * 1999-07-15 2003-08-26 Incep Technologies, Inc. High speed and density circular connector for board-to-board interconnection systems
CN2410761Y (zh) * 2000-03-10 2000-12-13 创星科技股份有限公司 易组型连接器
JP2006012545A (ja) * 2004-06-24 2006-01-12 Keihin Corp コネクタの保持構造
JP2006085947A (ja) * 2004-09-14 2006-03-30 Toshiba Corp コネクタ装置、コネクタ装置の保持方法およびコネクタ装置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7053071A (ja) * 2005-07-20 2007-03-01 Alps Electric Co Ltd 接続素子および前記接続素子を使用した回路接続装置
JP4789576B2 (ja) 2005-10-13 2011-10-12 株式会社アイペックス 電気コネクタ
JP4723528B2 (ja) 2007-03-29 2011-07-13 ケル株式会社 ツーピースコネクタ
JP4849145B2 (ja) * 2009-03-24 2012-01-11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ソケットとヘッダの嵌合状態を保持するロック機構を備えた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590991B2 (ja) * 2010-06-30 2014-09-17 京セラコネクタプロダクツ株式会社 コネクタ
JP5881333B2 (ja) * 2010-09-08 2016-03-09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基板対基板コネクタ
JP5890117B2 (ja) * 2011-07-07 2016-03-2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935040B2 (ja) * 2011-08-31 2016-06-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ソケットならびに当該ソケットを用いたコネクタ
JP2013125624A (ja) 2011-12-14 2013-06-24 Kyocera Connector Products Corp コネクタ
KR101489117B1 (ko) * 2013-02-27 2015-02-02 파나소닉 주식회사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에 이용되는 헤더 및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89576B2 (ja) * 1984-06-14 1995-09-27 アドバンスト・マイクロ・デバイシ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ヒートシンク機能を有する集積回路用パッケージ及びその製造方法
JPH0628194B2 (ja) * 1989-06-12 1994-04-13 トーマス アンド ベッツ コーポレーション 電気コネクタ
JP2000150034A (ja) * 1998-11-13 2000-05-30 D D K Ltd 電気コネクタ
JP2011065861A (ja) 2009-09-17 2011-03-31 Molex Inc 電気コネクタおよび係合解除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752896A (zh) 2015-07-01
CN104752896B (zh) 2017-04-19
KR101653062B1 (ko) 2016-08-31
TWI505573B (zh) 2015-10-21
US9343831B2 (en) 2016-05-17
JP5794292B2 (ja) 2015-10-14
US20150188255A1 (en) 2015-07-02
TW201526411A (zh) 2015-07-01
JP2015125967A (ja) 2015-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43707B2 (en) Connector case and shell securement
EP3392983B1 (en) Connector
US20150222046A1 (en) Electrical Connector
JP2007184231A (ja) コネクタプラグ
JP2007180008A (ja) コネクタプラグ
CN107925183B (zh) 插拔连接器
KR101653062B1 (ko) 전기 커넥터
JP2015041449A (ja) 電気コネクタ
JP5682997B2 (ja) 電気コネクタ
US9997881B2 (en) Electric connector
JP2010165624A (ja) 1対の誤嵌合防止キー及び該キー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KR20150017759A (ko) 단자 금구 기판의 접속 구조
JP5303348B2 (ja) ロック構造及び該ロック構造を用いた電気コネクタ
JP2011204580A (ja) ホルダの取付構造
JP2014054005A (ja) 電気接続箱
JP5312175B2 (ja) コネクタ
JP2006004896A (ja) コネクタ
WO2017209204A1 (ja) 基板ユニット
JP2017016934A (ja) 配線ユニット
JP4536120B2 (ja) コネクタ及び雌雄同体コネクタ
JP2009170323A (ja) コネクタ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WO2014125542A1 (ja) Usbコンセント
JP6451232B2 (ja) 電気コネクタ
JP5888801B1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