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299A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299A
KR20150046299A KR1020157007745A KR20157007745A KR20150046299A KR 20150046299 A KR20150046299 A KR 20150046299A KR 1020157007745 A KR1020157007745 A KR 1020157007745A KR 20157007745 A KR20157007745 A KR 20157007745A KR 20150046299 A KR20150046299 A KR 2015004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panel
wiring
floating electrode
wirings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077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3049B1 (ko
Inventor
가즈토시 기다
쇼고 하야시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03Details of a display termina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 H05K2201/052Branch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9Shape and layout
    • H05K2201/09209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 H05K2201/09654Shape and layout details of conductors covering at least two types of conductors provided for in H05K2201/09218 - H05K2201/095
    • H05K2201/09781Dummy conductors, i.e. not used for normal transport of current; Dummy electrodes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패널에 있어서 일부 배선끼리의 간격이 큰 구성이라도 차동 방식에 의해 배선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구성을 얻는다. 터치 패널(2)은, 터치 패널 기판(22)과,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형성된 복수의 Y 방향 전극(23)과, 복수의 Y 방향 전극(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24, 34)과, 복수의 배선(24, 34)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를, 상기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에 전반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다른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배치되는 플로팅 전극(61)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발명은 조작면 상에서의 터치 위치를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조작면 상에서 펜이나 손가락 등이 터치한 위치, 즉 터치 위치를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3850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2종류의 전극을 가지며, 한쪽 전극이 다른 쪽 전극을 걸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한쪽 전극은 다른 쪽 전극을 걸치는 제1 부분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3850호 공보에는, 한쪽 전극의 제1 부분과 동일 층에 형성된 실드용 도전막이 개시되어 있다. 이 도전막은 평면에서 보아 상기 2개의 전극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도전막을 예를 들어 기준 전위의 배선과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도전막에 소정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터치 패널과 중첩하여 배치되는 액정 표시 패널에 의해 상기 터치 패널에 발생하는 노이즈를 저감할 수 있다.
그런데, 터치 패널에는, 터치 전극의 외측에, 상기 터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인출 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인출 배선은, 상술한 일본 특허 공개 제2012-123850호 공보의 구성과 같이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2종류의 전극을 갖는 경우, 각 전극에 접속되기 때문에 배선수가 많아진다. 일반적으로, 터치 패널은 접속 배선을 통하여 외부의 제어 기판 등에 접속되기 때문에, 인출 배선은 터치 패널의 기판 상의 1군데에 모인다. 그러면, 인출 배선이 모이는 부분에 모든 인출 배선을 배치하기 위한 공간이 필요해지기 때문에,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전극 주위에 형성되는 프레임 영역이 커진다. 따라서, 그만큼 터치 패널의 사이즈가 커진다.
이에 반하여, 터치 패널의 기판 상에서 인출 배선을 복수 군데로 나누어 모으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기판 상에서 인출 배선이 모이는 부분에서, 상기 인출 배선을 배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이 작아지기 때문에 터치 패널의 프레임 영역을 작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출 배선이 모이는 부분을 복수 군데로 나눈 경우, 일부 인출 배선끼리의 간격은 넓어진다.
그런데, 터치 패널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는, 외부의 영향에 의해 노이즈가 포함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서, 예를 들어 인접하는 인출 배선의 신호차를 구함으로써, 인출 배선의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차동 방식의 노이즈 제거 방법의 경우, 인출 배선에 발생하는 노이즈의 레벨을 균일화시키기 위하여, 인출 배선과 인접한 인출 배선과의 간격을 일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 배선의 간격이 부분적으로 커지면, 그 부분에서는 상술한 차동 방식에 의해 노이즈를 충분히 제거할 수 없게 된다.
그로 인해, 본 발명에서는 터치 패널에 있어서 일부 배선끼리의 간격이 큰 구성이라도, 차동 방식에 의해 배선에 전달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 가능한 구성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배선과,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의 차분을 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를 상기 다른 배선에 전반(傳搬)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다른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배선과는 전기적으로 독립된 플로팅 전극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에서는, 일부 배선끼리의 간격이 큰 구성이라도 차동 방식에 의해 배선에 전달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한 터치 패널 구비 액정 표시 장치의 전체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터치 패널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터치 패널 제어부의 개략 구성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FPC와 Y 방향 터치 패널의 접속 부분의 구성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배치 관계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실시 형태 2에 따른 터치 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 제어부, FPC 및 Y 방향 터치 패널의 접속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터치 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 제어부, FPC 및 Y 방향 터치 패널의 개략 구조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 3에 따른 터치 패널에 있어서, 터치 패널 제어부, FPC 및 Y 방향 터치 패널의 접속 부분의 구조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실시 형태 4에 따른 터치 패널에 있어서, FPC와 Y 방향 터치 패널의 접속 부분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실시 형태 4에 따른 터치 패널에 있어서, 별도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 9의 상당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배선과,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의 차분을 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를 상기 다른 배선에 전반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다른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배선과는 전기적으로 독립된 플로팅 전극을 구비한다(제1 구성).
상기 구성에 의해, 터치 패널의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끼리의 간격이 큰 경우라도, 배선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플로팅 전극을 통하여 인접하는 배선에 노이즈를 전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배선의 출력 신호의 차를 이용하여, 그들 배선에 전달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플로팅 전극이란, 배선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음과 함께, 어떠한 신호도 입력되지 않은 상태의 전극을 의미한다. 또한, 소정 거리의 범위란,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서 노이즈의 전반이 가능한 범위를 의미한다.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터치 패널은, 상기 기판과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한다.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은,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판측 배선과, 상기 접속부에 설치된 접속 배선과, 상기 제어부에 설치된 제어 배선을 갖는다. 상기 기판측 배선, 상기 접속 배선 및 상기 제어 배선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상기 플로팅 전극은, 상기 기판측 배선, 상기 접속 배선 및 상기 제어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한다(제2 구성).
이에 의해, 플로팅 전극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배선에 발생한 신호의 노이즈를 플로팅 전극을 통하여 인접한 배선에 전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동 방식에서의 노이즈 제거가 가능해진다.
상기 제1 또는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은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제3 구성). 이에 의해, 플로팅 전극에 의해, 인접하는 배선의 사이에서 신호의 노이즈를 보다 확실하게 전반할 수 있다.
상기 제3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은, 상기 기판,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어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제4 구성). 이에 의해, 기판, 접속부 및 제어부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선간에서 신호의 노이즈를 전반할 수 있다. 따라서, 차동 방식에 의해 신호의 노이즈를 보다 확실하게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은, 상기 기판측 배선, 상기 접속 배선 및 상기 제어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위치한다(제5 구성).
이에 의해, 배선과 플로팅 전극을 동일한 평면 상에 형성하는 경우에 비하여,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 용량 커플링에 의해 형성되는 기생 용량이 커진다. 따라서, 플로팅 전극을 통하여 인접 배선에 노이즈를 보다 효율적으로 전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다른 배선과 폭이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구성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과 상기 플로팅 전극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의 최소 간격과, 상기 플로팅 전극과 상기 플로팅 전극에 대하여 인접하는 상기 다른 배선과의 최소 간격이 동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구성에 의해, 노이즈가 발생한 배선부터 플로팅 전극까지의 노이즈의 전반 특성과, 상기 플로팅 전극부터 인접한 배선까지의 노이즈의 전반 특성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2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접속 배선은, 상기 기판과의 접속 부분에서 적어도 2개의 배선군으로 나누어지도록 배치되어 있어, 상기 플로팅 전극은, 배선군의 분기 위치로부터 각 배선군을 각각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접속 배선의 배선군의 분기 위치로부터 각 배선군을 따라 플로팅 전극을 설치함으로써, 하나의 배선군에서 발생한 신호의 노이즈를 플로팅 전극을 통하여 다른 배선군에 전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인접하는 접속 배선이, 상이한 배선군에 속함으로써 이격하여 배치되는 경우에도, 한쪽 접속 배선에서 발생한 신호의 노이즈를 플로팅 전극을 통하여 다른 쪽 접속 배선에 전반할 수 있다.
이하, 터치 패널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 중의 구성 부재의 치수는, 실제 구성 부재의 치수 및 각 구성 부재의 치수 비율 등을 충실하게 나타낸 것은 아니다.
<실시 형태 1>
도 1에 실시 형태 1에 따른 터치 패널(2)을 구비한 터치 패널 구비 액정 표시 장치(1)(터치 패널 구비 표시 장치)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구비 액정 표시 장치(1)에서는, 터치 위치를 검출 가능한 터치 패널(2)의 패널 본체(2a)가 화상을 표시 가능한 액정 패널(3)에 중첩된다. 또한, 도 1에 있어서, 도면 부호 4는 터치 패널(2)의 액정 패널(3)과는 반대측(조작면측, 시인측)에 배치되는 커버 유리이다. 또한, 도면 부호 5는 터치 패널(2)의 일부를 구성하며, 패널 본체(2a)의 구동을 제어하는 터치 패널 제어부(제어부)이다. 도 1에 있어서, 액정 패널(3)에 적층되는 백라이트 등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한다.
액정 패널(3)은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다수의 화소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과,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대향 기판과,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과 대향 기판의 사이에 배치되는 액정층을 구비한다. 액정 패널(3)의 구성은, 종래의 액정 패널과 마찬가지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터치 패널(2)의 패널 본체(2a)는 두께 방향으로 적층된 2매의 패널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 본체(2a)는 X 방향으로 연장되는 X 방향 전극(13)을 복수 갖는 X 방향 터치 패널(11)과, Y 방향으로 연장되는 Y 방향 전극(23)을 복수 갖는 Y 방향 터치 패널(21)을 갖는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들 패널은 본 실시 형태에서는 X 방향 터치 패널(11) 및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순서대로 밑에서부터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터치 패널(2)에서는, X 방향 터치 패널(11)과 Y 방향 터치 패널(12)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X 방향 전극(13)과 Y 방향 전극(23)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차하여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X 방향 전극(12)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있다. 이에 의해, 터치 패널(2)의 패널 본체(2a)에 조작자의 손가락 등이 접촉하면, 그 접촉 위치에서 X 방향 전극(13)과 Y 방향 전극(23)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한다. 상세하게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정전 용량의 변화를 Y 방향 전극(23)의 신호로서 터치 패널 제어부(5)에 출력함으로써, 상기 터치 패널 제어부(5)에서는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2)의 패널 본체(2a)를 2매의 패널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구성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1매의 패널 내에 X 방향 전극의 층 및 Y 방향 전극의 층을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형성하여도 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X 방향 터치 패널(11)은, 수지제 터치 패널 기판(12)과, 상기 터치 패널 기판(12) 상에 X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X 방향 전극(13)(도 2에 파선으로 나타냄)을 구비한다. 터치 패널 기판(12)은 X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X 방향 전극(13)은 터치 패널 기판(12) 상에 Y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즉, X 방향 전극(13)은 터치 패널 기판(12)의 긴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X 방향 터치 패널(11)은 터치 패널 기판(12) 상에 설치되어, X 방향 전극(1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인출 배선(14)(배선)을 갖는다. 이들 인출 배선(14)은, 한쪽 단부가 X 방향 전극(13)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인출 배선(14)은, 다른 쪽 단부가 터치 패널 기판(12)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1군데에 모이도록 터치 패널 기판(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기판(12) 상에 형성된 인출 배선(14)의 다른 쪽 단부, 즉 터치 패널 기판(12)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기판(31)(이하, 간단히 FPC라고 함)이 접속되어 있다. FPC(31)에서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지제 플렉시블 기판 상에 인출 배선(14)에 대응하여 복수의 배선이 형성되어 있다. FPC(31)는, 후술하는 터치 패널 제어부(5)에도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 터치 패널(21)은, 수지제 터치 패널 기판(22)(기판)과, 상기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Y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대략 직사각 형상의 Y 방향 전극(23)을 구비한다. 터치 패널 기판(22)은, X 방향 터치 패널(11)의 터치 패널 기판(12)과 마찬가지로 X 방향으로 긴 대략 직사각 형상이다. Y 방향 전극(23)은,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X 방향에 평행하게 배열하여 복수 설치되어 있다. 즉, Y 방향 전극(23)은, 터치 패널 기판(22)의 한쪽 긴 변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Y 방향 터치 패널(21)은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설치되어, Y 방향 전극(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인출 배선(24)(기판측 배선, 배선)을 갖는다. 이들 인출 배선(24)은, 한쪽 단부가 Y 방향 전극(23)의 길이 방향의 한쪽 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인출 배선(24)은, 다른 쪽 단부가 터치 패널 기판(22)의 한쪽 긴 변측에 2군데에 나누어 모이도록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터치 패널 기판(22)의 Y 방향 전극(23)에 접속되는 인출 배선(24)의 다른 쪽 단부를 2군데에 나누어 모음으로써, 1군데에 모으는 경우에 비하여 인출 배선(24)을 배치하기 위하여 필요한 공간이 작아진다. 즉, 복수의 인출 배선(24)을 1군데에 모으려고 하면, 복수의 인출 배선(24)을 터치 패널 기판(22)의 한쪽 긴 변측에 평행하게 배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터치 패널 기판(22)의 짧은 변의 길이가 커진다. 그러면, 터치 패널 기판(22)에 있어서, Y 방향 전극(23)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영역(프레임 영역)이 커지기 때문에, 기판 전체의 사이즈가 커진다.
이에 반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 배선(24)을 2군데에 나누어 모음으로써, 1군데에 모으는 경우에 비하여 터치 패널 기판(22)의 한쪽 긴 변측에 평행하게 배열하는 인출 배선(24)의 수가 적어진다. 따라서, 터치 패널 기판(22)의 짧은 변의 길이를 작게 할 수 있어, Y 방향 터치 패널(21) 전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인출 배선(24)을 2군데에 나누어 모음으로써,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인출 배선(24a, 24b)의 간격이 커진다. 인출 배선(24a, 24b)의 간격이 커지면,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의 변동이 커진다. 이 점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형성된 인출 배선(24)의 다른 쪽 단부, 즉 터치 패널 기판(22)의 한쪽 긴 변측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32)가 접속되어 있다. FPC(32)는 수지제 플렉시블 기판(33)과, 인출 배선(24)에 대응하여 상기 플렉시블 기판(33)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 배선(34)을 갖는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32)는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2군데에 나누어 모인 인출 배선(24)의 다른 쪽 단부에 대하여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한쪽 단부가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한쪽 단부가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FPC(32)에는 복수의 접속 배선(34)이 2개의 배선군(35, 36)으로 나누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FPC(32)는 다른 쪽 단부가 후술하는 터치 패널 제어부(5)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FPC(32)에 있어서, 터치 패널 제어부(5)에 접속되는 다른 쪽 단부는 두 갈래로 나누어지지 않고, 대략 직사각형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FPC(32)의 두 갈래 형상으로 형성된 한쪽 단부에서는, 다른 쪽 단부에서 인접하는 2개의 접속 배선(34a, 34b)이 크게 이격하여 배치된다(도 4 참조). 터치 패널 기판(22) 상의 인출 배선(24) 및 FPC(32)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는 후술한다.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치 패널 제어부(5)에는 FPC(31, 32)가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터치 패널 제어부(5)에는, 터치 패널(2)의 X 방향 터치 패널(11) 및 Y 방향 터치 패널(21)이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인출 배선(24) 및 접속 배선(34)에 의해 전극에 접속되는 배선(6)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터치 패널 제어부(5)는 X 방향 터치 패널(11)에 대하여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는 한편, Y 방향 터치 패널(21)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검출한다. 즉, 터치 패널 제어부(5)는, 조작자의 손가락 등이 터치 패널(2)의 패널 본체(2a)에 터치되었을 때의 X 방향 전극(13)과 Y 방향 전극(23) 사이의 정전 용량의 변화를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출력 신호로서 검출한다. 이에 의해, 터치 패널 제어부(5)는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출력 신호에 기초하여 패널 본체(2a)에서의 터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널 제어부(5)는 Y 방향 터치 패널(21)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기 위하여, 차동 방식의 노이즈 제거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차동 방식의 노이즈 제거란, 하나의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다른 전극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의 차분을 구함으로써,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이다. 터치 패널 제어부(5)는, 인접하는 Y 방향 전극(23)의 출력 신호의 차분을 구함으로써, 상기 출력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한다.
상세하게는, 터치 패널 제어부(5)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인접하는 Y 방향 전극(2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의 차분을 구하는 감산부(51)와, 상기 감산부(51)의 계산 결과에 기초하여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부(52)를 구비한다.
감산부(51)는, 인접하는 Y 방향 전극(23)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끼리를 감산하여, 양자의 차분을 구한다. 이에 의해, Y 방향 전극(23)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터치 위치에서의 정전 용량의 증가를 Y 방향 전극(23)끼리의 차분으로서 구할 수 있다.
위치 검출부(52)는, 감산부(51)에서 구한 차분에 기초하여, 상기 차분이 급격하게 커지는 위치가 터치 위치라고 검출한다. 또한, 위치 검출부(52)는, 터치 위치를 검출하면, 그 터치 위치를 위치 신호(검출 신호)로서 출력한다.
(터치 패널 기판과 FPC의 접속 구조)
상술한 바와 같이 차동 방식의 노이즈 캔슬은, 신호의 차분을 구하는 2개의 배선에 전달되는 신호가 동일한 레벨의 노이즈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에 유효하다. 즉, 2개의 배선에 전달되는 신호에 동일한 레벨의 노이즈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신호의 차분을 구하여도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Y 방향 전극(23)에 접속되는 인출 배선(24)이 2군데에 나누어 모여 있기 때문에, 인출 배선(24)의 일부가 크게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Y 방향 전극(23)에 접속되는 인출 배선(24a, 24b) 중, 한쪽 인출 배선(24a)이 일측에 모이고, 인접의 인출 배선(24b)이 타측에 모여 있는 경우, 그들 인출 배선(24a, 24b)의 간격은 커진다.
인접하는 인출 배선(24)의 간격이 작은 경우에는, 그 부분에서 노이즈가 발생하여도 서로 신호의 노이즈를 전반하기 때문에 2개의 배선을 전달하는 신호에 동일 정도의 노이즈가 포함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인출 배선(24a, 24b)끼리의 간격이 커지면, 그들 인출 배선(24a, 24b)끼리의 사이에서 노이즈가 전반되기 어려워진다. 그러면, 인접하는 인출 배선(24a, 24b)의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의 변동이 커지기 때문에, 상술한 차동 방식에서는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없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Y 방향 전극(23)에 접속되는 인출 배선(24)에 대하여 FPC(32)가 접속되는 부분에, 루프 형상의 플로팅 전극(61)을 설치한다. 이 플로팅 전극(61)은 인출 배선(24)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음과 함께, FPC(32)의 접속 배선(34)에 대해서도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플로팅 전극(61)은 전압이 인가되어 있지 않고, 또한 접지도 되어 있지 않다.
플로팅 전극(61)은, FPC(32)의 플렉시블 기판(33) 상에 형성된 FPC 플로팅 전극(62)과, Y 방향 터치 패널(21)의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형성된 패널 플로팅 전극(63)을 구비한다. FPC 플로팅 전극(62)은, 플렉시블 기판(33)의 두 갈래 형상으로 나누어진 부분에, 분기한 기판을 따르도록 상기 플렉시블 기판(33)의 폭 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즉, FPC 플로팅 전극(62)은 접속 배선(34a, 34b)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 부여된다. 패널 플로팅 전극(63)은, 인출 배선(24a, 24b)의 사이이며, 또한 상기 인출 배선(24a, 24b)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함과 함께, FPC(32)를 Y 방향 터치 패널(21)에 접속한 상태로 FPC 플로팅 전극(6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팅 전극(61)은 FPC(32)를 Y 방향 터치 패널(21)에 접속한 상태로 대략 오각형 형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소정 거리의 범위는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서 노이즈의 전반이 가능한 범위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소정 거리는 배선(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속 배선(34a, 34b), 인출 배선(24a, 24b))끼리의 간격(피치)의 2배보다도 작은 거리가 바람직하며, 상기 간격과 동일한 거리가 보다 바람직하다.
이러한 플로팅 전극(61)을 설치함으로써, 인출 배선(24a, 24b) 중 한쪽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를 플로팅 전극(61)을 통하여 다른 쪽 배선에 전달할 수 있다. 즉, 도 5에 파선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한쪽 배선(인출 배선(24a))에 발생한 노이즈는 유전 작용에 의해 플로팅 전극(61)에 전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로팅 전극(61)은 다른 배선(인출 배선(24a, 24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된 상태이기 때문에, 플로팅 전극(61)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상기 다른 쪽 배선(인출 배선(24b))에 유전 작용에 의해 노이즈가 전반된다.
따라서, 플로팅 전극(61)을 통하여 이격하여 배치된 인출 배선(24a, 24b)에 전달되는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동일 레벨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차동 방식에 의해, 효과적으로 신호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플로팅 전극(61)을 설치함으로써, FPC(32)의 접속 배선(34a, 34b)의 한쪽에서 발생한 노이즈도, 인출 배선(24a, 24b)과 마찬가지로 플로팅 전극(61)을 통하여 다른 쪽 배선에 전달된다. 따라서, 이미 설명한 차동 방식에 의해 FPC(32)에 발생한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플로팅 전극(61)은 전체 둘레에 걸쳐 폭이 거의 균일하다. 또한, 플로팅 전극(61)은 인출 배선(24a, 24b)의 선 폭과 동등한 폭을 갖는다. 또한, 플로팅 전극(61)의 FPC 플로팅 전극(62)은, 도 4에 있어서 FPC(32)의 분기 부분부터 접속 배선(34a, 34b)이 대략 평행해지는 부분까지의 길이(도면 중 기울기 부분의 길이)가 좌우에서 동등하다. 또한, 플로팅 전극(61)과 인출 배선(24a, 24b) 및 접속 배선(34a, 34b)과의 각각의 최단 거리는 동등하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상기 분기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플로팅 전극(61)의 좌우에서 신호의 노이즈의 전반 특성이 동등해진다. 따라서, 플로팅 전극(61)에 의해, 인출 배선(24a, 24b)간 및 접속 배선(34a, 34b)간에서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의 레벨을 보다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플로팅 전극(61)은 부분적으로 폭이 상이하여도 되고, FPC(32)의 분기 부분부터 인출 배선(24a, 24b)까지의 각각의 길이가 상이하여도 된다. 또한, 플로팅 전극(61)과 인출 배선(24a, 24b) 및 접속 배선(34a, 34b)과의 각각의 최단 거리가 상이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1의 효과)
이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이격하여 배치되는 인출 배선(24a, 24b)의 사이에, 그들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인출 배선(24a, 24b)에 대하여 전기적으로 독립된 플로팅 전극(61)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플로팅 전극(61)을 통하여 한쪽 인출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를 다른 쪽 인출 배선에 전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팅 전극(61)을 FPC(32)의 두 갈래 형상으로 나누어진 한쪽 단부에, 이격하여 배치된 접속 배선(34a, 34b)의 사이이며, 또한 그들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의해, 한쪽 접속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를 플로팅 전극(61)을 통하여 다른 쪽 접속 배선에 전반할 수 있다.
나아가, 플로팅 전극(61)은 Y 방향 터치 패널(21) 및 FPC(32)에 걸쳐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 상의 인출 배선(24a, 24b) 및 FPC(32)의 접속 배선(34a, 34b) 중 어느 하나에서 발생한 신호의 노이즈를 플로팅 전극(61)에 의해 다른 배선에 전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차동 방식에 의해, 신호에 포함되는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 형태 2>
도 6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따른 터치 패널(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Y 방향 터치 패널(21)에 대하여 터치 패널 제어부(103)를 2개의 FPC(101, 10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1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 1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 형태 1과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제어부(103)는, 수지제 제어 기판(131)과, 상기 제어 기판(131)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어 배선(132)(배선)과, 상기 제어 기판(131) 상에 실장된 제어 부품(133)을 구비한다. 제어 부품(133)은 복수의 제어 배선(132)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어 부품(133)은 터치 패널(1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로서 기능한다. 복수의 제어 배선(132)은,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인출 배선(24)과 마찬가지로, 한쪽 단부가 2군데에 나누어 모이도록 제어 기판(131) 상에 형성되어 있다. 터치 패널 제어부(103)의 제어 기판(131)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제어 배선(132)은, 2개의 FPC(101, 102)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 상에 형성된 복수의 인출 배선(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FPC(101, 102)는 각각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FPC(101, 102)도 실시 형태 1의 FPC(32)와 마찬가지로 수지제 플렉시블 기판(111, 112)과, 상기 플렉시블 기판(111, 112)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접속 배선(113, 114)(배선)을 구비한다. 접속 배선(113, 114)은, 대략 직사각 형상의 플렉시블 기판(111, 112)에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속 배선(113, 114)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인출 배선(24)과 터치 패널 제어부(103)의 제어 배선(132)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101, 102)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따라서, FPC(101)의 접속 배선(113a)과 FPC(102)의 접속 배선(114a)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된다. 그로 인해, 한쪽 접속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가 다른 쪽 접속 배선에 전반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인접하는 배선에서 신호의 노이즈 레벨이 상이하기 때문에, 차동 방식에 의해 신호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Y 방향 터치 패널(21), FPC(101, 102) 및 터치 패널 제어부(103)에 걸쳐 대략 직사각 형상의 플로팅 전극(141)이 설치되어 있다. 즉, 플로팅 전극(141)은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플로팅 전극(141)은 터치 패널 제어부(103)에 설치된 제어부 플로팅 전극(142)과, FPC(101, 102)에 설치된 FPC 플로팅 전극(143)과, Y 방향 터치 패널(21)에 설치된 패널 플로팅 전극(144)을 구비한다.
제어부 플로팅 전극(142)은, 제어 기판(131) 상에 제어 배선(132a, 132b)의 사이이며, 또한, 상기 제어 배선(132a, 132b)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FPC 플로팅 전극(143)은, FPC(101, 102)에 의해 터치 패널 제어부(103)와 Y 방향 터치 패널(21)을 접속한 상태로 접속 배선(113a, 114a)의 사이이며, 또한 상기 접속 배선(113a, 114a)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플렉시블 기판(111, 112)에 설치된다. 패널 플로팅 전극(144)은,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인출 배선(24a, 24b)의 사이이며, 또한 상기 인출 배선(24a, 24b)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소정 거리는 실시 형태 1에서의 정의와 마찬가지이다.
제어부 플로팅 전극(142), FPC 플로팅 전극(143) 및 패널부 플로팅 전극(144)은, FPC(101, 102)에 의해 터치 패널 제어부(103)와 Y 방향 터치 패널(21)을 접속한 상태로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제어부 플로팅 전극(142), FPC 플로팅 전극(143) 및 패널부 플로팅 전극(144)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루프 형상의 플로팅 전극(141)이 형성된다.
이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 FPC(101, 102) 및 터치 패널 제어부(103)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선 중 한쪽 배선에서 발생한 노이즈를 플로팅 전극(141)에 의해 다른 쪽 배선에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Y 방향 터치 패널(21), FPC(101, 102) 및 터치 패널 제어부(103)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선에서 노이즈의 레벨을 보다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차동 방식에 의해 신호의 노이즈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의 효과)
이 실시 형태에서는 Y 방향 터치 패널(21)과 터치 패널 제어부(103)를 대략 직사각 형상의 2개의 FPC(101, 10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그리고, Y 방향 터치 패널(21), FPC(101, 102) 및 터치 패널 제어부(103)에 걸쳐 인접하는 배선의 사이이며, 또한 그들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대략 직사각 형상의 플로팅 전극(141)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 FPC(101, 102) 및 터치 패널 제어부(103)에 있어서, 인접하는 배선 신호의 노이즈를 동등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차동 판독 방식에 의해 신호의 노이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나아가, Y 방향 터치 패널(21), FPC(101, 102) 및 터치 패널 제어부(103)에 걸쳐 플로팅 전극(141)을 설치함으로써, Y 방향 터치 패널(21), FPC(101, 102) 및 터치 패널 제어부(103)의 어느 것에 노이즈가 발생한 경우에도 플로팅 전극(141)에 의해 인접하는 배선의 노이즈 레벨을 동등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터치 패널(100)의 배선에서 발생한 노이즈에 대하여, 차동 방식에 의한 노이즈 제거가 가능해진다.
또한, 본 실시 형태와 같이 2개의 FPC(101, 102)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과 터치 패널 제어부(103)를 접속함으로써, 실시 형태 1과 같이 FPC를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단순한 형상의 FPC를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7 및 도 8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따른 터치 패널(2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FPC(202, 203)의 접속 배선(224, 234) 및 터치 패널 제어부(201)의 제어 배선(213)에 대하여, 각각 플렉시블 기판(221, 222, 231, 232) 및 제어 기판(211, 212)의 두께 방향으로 플로팅 전극(204)을 설치하는 점에서 실시 형태 1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실시 형태 1, 2와 마찬가지의 구성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실시 형태 1, 2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실시 형태도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Y 방향 터치 패널(21)과 터치 패널 제어부(201)가 2개의 FPC(202, 203)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Y 방향 터치 패널(21)에는, 실시 형태 2와 마찬가지로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인출 배선(24a, 24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패널 플로팅 전극(144)이 형성되어 있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치 패널 제어부(201)는 2매의 제어 기판(211, 212)을 두께 방향으로 중첩함으로써 형성된다. 2매의 제어 기판(211, 212) 중 상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211)에는, 상면에 제어 배선(213)(배선)이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제어 부품(214)이 실장되어 있다(도 7 및 도 8 참조).
또한, 제어 기판(211)에는 FPC(202, 203)가 접속되는 부분에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는, 제어 배선(213)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의 내측이며, 또한 상기 제어 배선(213)의 근방에 설치된다. 또한,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는, 2매의 제어 기판(211, 212)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212) 상에 설치된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에 스루홀(도 8에 가는 파선으로 모식적으로 나타냄)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즉,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는 FPC(202, 203)와 제어 기판(212)을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2매의 제어 기판(211, 212) 중 하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212)에는, 상면에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이 설치되어 있다. 이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은, 2매의 제어 기판(211, 212)을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 상태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어 기판(211)에 설치된 제어 배선(213)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즉, 이 실시 형태에서는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은, 제어 배선(213)에 대하여 제어 기판(211, 212)의 두께 방향으로 위치한다.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기판(211, 212)의 두께 방향으로부터 보아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7 중의 굵은 파선 참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은, 상술한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에 스루 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루홀 접속부(216a)를 갖는다. 스루홀 접속부(216a)는, 2매의 제어 기판(211, 212)을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 상태로, 일부가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와 겹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어 기판(212)은, 제어 배선(213)과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의 거리가 소정 거리의 범위 내가 되는 두께를 갖는다. 이 소정 거리의 범위란, 실시 형태 1, 2와 마찬가지로 배선과 전극의 사이에서 노이즈를 전반 가능한 범위이다.
FPC(202, 203)도 터치 패널 제어부(201)와 마찬가지로 각각 2매의 플렉시블 기판을 두께 방향으로 겹침으로써 형성된다. FPC(202, 203)는 좌우 대칭인 것 외에 마찬가지의 구성을 갖기 때문에, 이하에서는 FPC(202)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FPC(202)는 수지제 2매의 플렉시블 기판(221, 222)을 두께 방향으로 적층함으로써 구성된다. 2매의 플렉시블 기판(221, 222) 중 상측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기판(221)에는, 하면에 FPC 플로팅 전극(223)이 설치되어 있다. 이 FPC 플로팅 전극(223)은, FPC(202)의 길이 방향(Y 방향 터치 패널(21)과 터치 패널 제어부(201)를 접속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대략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FPC 플로팅 전극(223)은, 2매의 플렉시블 기판(221, 222) 중 하측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기판(222)에 설치된 후술하는 플로팅 전극 접속부(225)에 대하여, 스루 홀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스루홀 접속부(223a)를 갖는다. 이 스루홀 접속부(223a)는, FPC(202)가 Y 방향 터치 패널(21) 및 터치 패널 제어부(201)와 접속되는 위치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2매의 플렉시블 기판(221, 222) 중 하측에 위치하는 플렉시블 기판(222)에는, 하면에 대략 직선 형상의 접속 배선(224)(배선)이 설치되어 있다. 접속 배선(224)은 2매의 플렉시블 기판(221, 222)을 두께 방향으로 중첩한 상태로, FPC 플로팅 전극(223)과 겹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속 배선(224)은, FPC(202)를 Y 방향 터치 패널(21) 및 터치 패널 제어부(201)에 접속한 상태로, FPC(202)의 제어 배선(213) 및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인출 배선(24)에 접촉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7 참조).
또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기판(222)에는, 하면에 플로팅 전극 접속부(225)가 설치되어 있다. 플로팅 전극 접속부(225)는, 플렉시블 기판(222)의 상기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플로팅 전극 접속부(225)는, 각각 스루홀을 통하여 플렉시블 기판(221)의 스루홀 접속부(22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한쪽 플로팅 전극 접속부(225)는, FPC(202)를 터치 패널 제어부(201)에 접속한 상태로, 상기 터치 패널 제어부(201)의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에 접촉한다. 다른 쪽 플로팅 전극 접속부(225)는, FPC(202)를 Y 방향 터치 패널(21)에 접속한 상태로, 상기 Y 방향 터치 패널(21)의 플로팅 전극(144)에 접촉한다.
또한, 플렉시블 기판(222)은 접속 배선(224)과 FPC 플로팅 전극(223)의 거리가 소정 거리의 범위 내가 되는 두께를 갖는다. 이 소정 거리의 범위도 제어 기판(212)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배선과 전극의 사이에서 노이즈를 전반 가능한 범위이다.
이상과 같이 FPC(202)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과 터치 패널 제어부(201)를 접속함으로써, FPC(202)의 접속 배선(224)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인출 배선(24)과 터치 패널 제어부(201)의 제어 배선(213)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FPC(202)의 플로팅 전극 접속부(225) 및 FPC 플로팅 전극(223), 터치 패널 제어부(201)의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에 의해, Y 방향 터치 패널(21)의 플로팅 전극(144)과 터치 패널 제어부(201)의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있어서, 도면 부호 231, 232는 각각 FPC(203)를 구성하는 2매의 플렉시블 기판이다. 또한, 도면 부호 233은 FPC 플로팅 전극이고, 도면 부호 233a는 스루홀 접속부이고, 도면 부호 235는 플로팅 전극 접속부이고, 도면 부호 234는 접속 배선이다.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 플로팅 전극 접속부(215), FPC 플로팅 전극(223, 233) 및 패널 플로팅 전극(144)에 의해 플로팅 전극(204)이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 제어부(201) 및 FPC(202, 203)를 2층 구조로 하고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Y 방향 터치 패널(21)도 2층 구조로 하여 플로팅 전극(144)을 인출 배선(24)에 대하여 터치 패널 기판(22)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하여도 된다.
(실시 형태 3의 효과)
이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 제어부(201) 및 FPC(202, 203)에 있어서, 제어 배선(213) 및 접속 배선(224)에 대하여, 제어 기판(211, 212) 및 플렉시블 기판(221, 222, 231, 232)의 두께 방향으로 제어부 플로팅 전극(216) 및 FPC 플로팅 전극(223, 233)을 설치한다. 이에 의해, 각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 용량성 커플링에 의해 형성되는 기생 용량은, 배선과 플로팅 전극이 평면 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형성되는 기생 용량에 비하여 커진다. 즉, 본 실시 형태와 같이 배선에 대하여 플로팅 전극을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배치한 경우,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평판 형상의 영역에서 용량성 커플링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용량은, 평면 상에서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 형성되는 기생 용량보다도 커진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서는 각 배선과 플로팅 전극의 사이에서 신호의 노이즈를 효율적으로 전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인접하는 배선에서 신호의 노이즈를 보다 동등한 레벨로 할 수 있다.
<실시 형태 4>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따른 터치 패널(3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FPC(32)와 Y 방향 터치 패널(21)로 플로팅 전극(301)이 분단되어 있는 점에서 실시 형태 1의 구성과는 상이하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FPC(32)와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접속 부분에는 플로팅 전극(30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플로팅 전극(301)은,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로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인출 배선(24a, 24b)의 사이, 및 FPC(32)의 접속 배선(34a, 34b)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FPC(32) 및 Y 방향 터치 패널(21)에 걸쳐 설치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플로팅 전극(301)은, FPC(32)측에 설치된 FPC 플로팅 전극(302)과, Y 방향 터치 패널(21)측에 설치된 패널 플로팅 전극(303)을 구비한다. FPC 플로팅 전극(302)은, FPC(32)의 플렉시블 기판(33) 상에 접속 배선(34a, 34b)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서 상기 접속 배선(34a, 34b)을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즉, FPC 플로팅 전극(302)은, FPC(32)의 두 갈래 형상으로 분기된 부분에, 분기된 플렉시블 기판(33)을 따르도록 상기 플렉시블 기판(33)의 폭 방향 내측에 설치되어 있다.
패널 플로팅 전극(303)은, 터치 패널 기판(22) 상에 인출 배선(24a, 24b)의 사이이며, 또한 그들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패널 플로팅 전극(303)은, 대략 C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FPC 플로팅 전극(302)과 패널 플로팅 전극(303)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다. 즉, FPC 플로팅 전극(302) 및 패널 플로팅 전극(303)은 각각 전기적으로 독립되어 있다.
또한, FPC 플로팅 전극 및 패널 플로팅 전극은, 도 9에 도시하는 구성 이외에도,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즉, FPC(32)에는 두 갈래로 분기되는 부분에만 2방향으로 연장되는 FPC 플로팅 전극(312)을 설치하는 한편, Y 방향 터치 패널(21)에는 터치 패널 기판(22)의 외주 단부까지 연장되도록 대략 C자 형상의 패널 플로팅 전극(313)을 설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FPC 플로팅 전극(312) 및 패널 플로팅 전극(313)을 갖는 플로팅 전극(311)에 의해서도, 상술한 도 9의 구성과 마찬가지의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실시 형태 4의 효과)
이 실시 형태에서는 플로팅 전극(301)은 FPC(32)측과 Y 방향 터치 패널(21)측으로 분단된 구조를 갖는다. 이에 의해, FPC(32) 및 Y 방향 터치 패널(21)로 각각 플로팅 전극을 형성할 수 있음과 함께, FPC(32)와 Y 방향 터치 패널(21)을 접속할 때 전기적으로 접속된 루프 형상의 플로팅 전극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플로팅 전극을 갖는 터치 패널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FPC(32)에서의 Y 방향 터치 패널(21)과의 접속 부분(도 9 및 도 10에 있어서 두 갈래로 분기된 직선 부분)의 길이를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FPC(32)를 소형화할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 형태)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예시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상술한 실시 형태를 적절히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FPC(32)와 Y 방향 터치 패널(21)에 걸치도록, 또는 터치 패널 제어부(103, 210)와 FPC(101, 102, 202, 203)와 Y 방향 터치 패널(21)에 걸치도록 플로팅 전극(61, 141, 204, 301, 311)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터치 패널 제어부, FPC 및 Y 방향 터치 패널 중 적어도 하나에 플로팅 전극을 설치하여도 된다. 플로팅 전극을 설치한 부분에 노이즈가 입력된 경우에는, 플로팅 전극에 의해 인접하는 배선에 노이즈를 전반하여 노이즈의 레벨을 동등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Y 방향 터치 패널(21)의 인출 배선(24)을 2군데에 모은 구성에 있어서, 플로팅 전극을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출력 신호의 차분을 구하는 배선을 2군데 이상에 모으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에 플로팅 전극을 설치하여도 된다. 예를 들어, X 방향 터치 패널의 인출 배선의 출력 신호의 차분을 구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출 배선을 2군데 이상에 모음과 함께, 이와 같은 구성에 대하여 플로팅 전극을 설치하여도 된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터치 패널(2)의 패널 본체(2a)의 X 방향 전극(13) 및 Y 방향 전극(23)을 각각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X 방향 전극 및 Y 방향 전극은 마름모 형상 등 다른 형상이어도 된다.
상기 실시 형태 1 내지 3에서는 터치 패널 제어부(103, 210), FPC(32, 101, 102, 202, 203) 및 Y 방향 터치 패널(21)에, 각각 연속된 플로팅 전극(61, 141, 204)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플로팅 전극을 도중에 분단하여도 되고, 섬 형상으로 형성하여도 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에 접속되는 복수의 배선을 구비한 터치 패널에 이용 가능하다.

Claims (5)

  1. 터치 패널로서,
    기판과,
    상기 기판 상에 형성된 복수의 전극과,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배선과,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의 차분을 구하는 제어부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에 발생한 노이즈를 상기 다른 배선에 전반(傳搬) 가능하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다른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복수의 배선과는 전기적으로 독립된 플로팅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제어부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배선의 각각은, 상기 기판 상에 설치되어 상기 복수의 전극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기판측 배선과, 상기 접속부에 설치된 접속 배선과, 상기 제어부에 설치된 제어 배선을 가지며,
    상기 기판측 배선, 상기 접속 배선 및 상기 제어 배선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플로팅 전극은, 상기 기판측 배선, 상기 접속 배선 및 상기 제어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으로부터 소정 거리의 범위 내에 위치하는, 터치 패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은 루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터치 패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은, 상기 기판, 상기 접속부 및 상기 제어부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터치 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로팅 전극은, 상기 기판측 배선, 상기 접속 배선 및 상기 제어 배선 중 적어도 하나의 배선, 및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인접하는 다른 배선에 대하여, 적어도 일부가 상기 기판의 두께 방향으로 겹치도록 위치하는, 터치 패널.
KR1020157007745A 2012-09-27 2013-05-17 터치 패널 KR101613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214307 2012-09-27
JP2012214307 2012-09-27
PCT/JP2013/063812 WO2014050202A1 (ja) 2012-09-27 2013-05-17 タッチパネ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299A true KR20150046299A (ko) 2015-04-29
KR101613049B1 KR101613049B1 (ko) 2016-04-15

Family

ID=50387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07745A KR101613049B1 (ko) 2012-09-27 2013-05-17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690439B2 (ko)
EP (1) EP2891960A4 (ko)
JP (1) JP5819003B2 (ko)
KR (1) KR101613049B1 (ko)
CN (1) CN104685454B (ko)
SG (1) SG11201502396SA (ko)
WO (1) WO20140502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537801B (zh) * 2014-03-20 2016-06-1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具雜訊抵銷功能的電容式觸控顯示裝置
WO2016112727A1 (zh) 2015-01-13 2016-07-21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摸屏和指纹识别实现装置及终端设备
CN106201126B (zh) * 2015-01-13 2019-08-30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触摸屏和指纹识别实现装置及终端设备
JP6541418B2 (ja) * 2015-05-13 2019-07-10 三菱電機株式会社 タッチスクリー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11073958B2 (en) * 2016-01-29 2021-07-27 Sharp Kabushiki Kaisha Antenna device
US10725576B2 (en) * 2016-03-31 2020-07-28 Japan Display Inc. Detect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detection method
JP6903476B2 (ja) * 2017-04-20 2021-07-1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16540891A (zh) * 2017-08-01 2023-08-04 株式会社和冠 用于检测笔发送出的笔信号的传感器
CN108617075B (zh) * 2018-04-04 2020-07-0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柔性电路板组件
JP7142755B1 (ja) * 2021-08-27 2022-09-27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及びセンサ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752A (ja) * 1993-05-28 1994-12-06 Pentel Kk 座標検出装置
JP3624596B2 (ja) * 1996-12-09 2005-03-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01102755A (ja) * 1999-09-29 2001-04-13 Mitsubishi Electric Corp 多層配線基板
JP2001356708A (ja) * 2000-06-14 2001-12-26 Fujitsu Hitachi Plasma Display Ltd 表示パネルの電極構造及びその電極形成方法
TW200715176A (en) * 2005-10-07 2007-04-16 Elan Microelectronics Corp Method for compensating sensitivity of sensor of touch panel
JP2009098834A (ja) 2007-10-16 2009-05-07 Epson Imaging Devices Corp 静電容量型入力装置、入力機能付き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89533B1 (ko) * 2008-03-13 2009-03-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장치
JP5154316B2 (ja) * 2008-06-30 2013-02-27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タッチパネル
JP5366681B2 (ja) * 2009-06-29 2013-12-11 株式会社ワコム 位置検出装置
JP5251794B2 (ja) * 2009-09-01 2013-07-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センシング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295090B2 (ja) * 2009-12-18 2013-09-18 株式会社ワコム 指示体検出装置
TWI436244B (zh) * 2010-08-13 2014-05-01 Raydium Semiconductor Corp 觸控輸入裝置及其掃描方法
JP5715393B2 (ja) 2010-12-06 2015-05-0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装置、及び車載機器
JP4955116B1 (ja) * 2010-12-28 2012-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システムおよび電子機器
US8711570B2 (en) * 2011-06-21 2014-04-29 Apple Inc. Flexible circuit routing
JP5231668B2 (ja) 2012-03-29 2013-07-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静電容量結合方式の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050202A1 (ja) 2014-04-03
CN104685454A (zh) 2015-06-03
SG11201502396SA (en) 2015-05-28
CN104685454B (zh) 2017-08-08
EP2891960A1 (en) 2015-07-08
KR101613049B1 (ko) 2016-04-15
JP5819003B2 (ja) 2015-11-18
EP2891960A4 (en) 2015-09-02
JPWO2014050202A1 (ja) 2016-08-22
US9690439B2 (en) 2017-06-27
US20150242027A1 (en)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3049B1 (ko) 터치 패널
US10620733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US9083344B2 (en) Touch sensor with integrated signal bus extensions
JP5501985B2 (ja) 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装置
US8994668B2 (en) Electrooptic device having input function
US8704796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CN108780368B (zh) 触摸屏、触摸面板、显示装置及电子设备
JP6042382B2 (ja) タッチパネル
JP6143587B2 (ja) タッチパネル、タッチパネル付き表示装置
JP2010211348A5 (ja) タッチパネル
KR20090111783A (ko) 터치 패널을 갖는 표시 장치
US10133399B2 (en) Transparent conductive laminate,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KR20150033299A (ko) 터치 스크린 패널
JP2013105275A (ja) タッチパネル
KR20140099797A (ko) 터치 스크린 패널
CN113391728A (zh) 触控显示模组及其制作方法、以及显示装置
KR101506512B1 (ko) 정전 용량성 터치 센서 패널
KR101926622B1 (ko) 터치윈도우
JP2019095841A (ja) 回路基板
JP2013156725A (ja) 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US20150116262A1 (en) Touch scre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equipped therewith
WO2014054418A1 (ja) 表示装置
KR20140025040A (ko) 터치 패널
CN109992168B (zh) 具有双层电极结构的互容式触控面板
JP2014096089A (ja) 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