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799A -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 Google Patents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799A
KR20150026799A KR20140090212A KR20140090212A KR20150026799A KR 20150026799 A KR20150026799 A KR 20150026799A KR 20140090212 A KR20140090212 A KR 20140090212A KR 20140090212 A KR20140090212 A KR 20140090212A KR 20150026799 A KR20150026799 A KR 20150026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ventilator
main arm
arm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90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7849B1 (ko
Inventor
다쿠야 가츠
야스오 노즈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7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7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08Ventilation; Air-conditioning of h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9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통풍통은, 통상의 통풍통 본체 (15) 와, 통풍통 본체 (15) 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 (16) 와, 덮개부 (16) 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 (17) 를 구비하고, 개폐 장치 (17) 는, 덮개부 (16) 의 중앙부 (C) 에 장착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통풍통 본체 (15) 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주아암 (21) 과, 주아암 (21) 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중앙부 (C) 보다 바깥측의 덮개부 (16) 에 장착되고, 주아암 (21) 과 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아암 (22) 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통풍통 본체 (15) 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주아암 (21) 과 부아암 (22) 을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 (42) 를 갖는 지지부 (23) 와, 주아암 (21) 을 지지부 (23) 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 (24)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VENTILATION DAMPER, SHIP, AND, OPENING AND CLOSING METHOD OF VENTILATION DAMPER}
본 발명은 선창을 환기하기 위한 통풍통, 통풍통을 구비한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3년 8월 29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3-178129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자동차 운반선 등의 선박에는 화물을 수용하기 위한 선창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단 형성되어 있다. 이들 선창에는 각각 화물이 실린다. 각 선창으로의 화물의 반입이나, 각 선창으로부터의 화물의 반출에는 내연 기관의 구동력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이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는 선창 내로 배출된다. 그 때문에, 상기 선박에 있어서는, 일반적으로, 각 선창 내를 환기하는 환기 장치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 장치는, 선창과 외부를 덕트 및 통풍통에 의해 연통시켜, 팬에 의해 송풍함으로써 선창 내를 환기한다. 이 환기 장치는, 한 척의 선박에 대해 다수 (예를 들어, 60 대 정도) 형성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들 환기 장치의 통풍통은, 상갑판측에 개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나의 선창에는 외기 도입용 통풍통과, 배기용 통풍통 중 적어도 2 개 이상의 통풍통이 덕트를 개재하여 접속되어 있다. 외기 도입용 또는 배기용 중 적어도 일방의 통풍통에는 팬이 배치되어 있다. 통풍통의 상부 개구부는, 물보라나 비바람이 선창 내에 침입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 덮개부에 의해 밀폐 가능한 구조로 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특허문헌 1 에는, 선창 내를 환기하기 위한 통풍통에 대하여, 상부 개구부를 폐색 가능한 덮개부가 힌지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 덮개부에는, 그 외측 자장자리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스토퍼 힌지가 형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 힌지의 단부는, 나사상의 스핀들의 상단부에 연계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 의 통풍통에 의하면, 핸들 조작에 의해 스핀들을 회전시킴으로써, 스핀들의 상단부의 위치가 상하로 변화되고, 이 스핀들의 상단부의 변위에 따라 덮개부의 요동 각도가 변화한다. 요컨대, 이 통풍통에서는, 핸들의 회전 운동 조작에 의해 덮개부를 개폐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1 에는, 통풍통에 대하여, 스핀들과 스토퍼 힌지를 연계하는 핀을 뽑아낼 수 있는 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이 통풍통은, 비상시 등에 상기 핀을 뽑아내어 스핀들과 스토퍼 힌지의 연계를 해제할 수 있다. 이들 스핀들과 스토퍼 힌지의 연계가 해제되면, 덮개부가 그 자중에 의해 폐색 방향으로 요동한다. 그 결과, 핸들 조작을 실시하지 않고 상부 개구부를 폐색할 수 있다.
특허문헌 2 에는, 특허문헌 1 과 마찬가지로, 덮개부가 힌지를 개재하여 지지되는 통풍통이 기재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통풍통은, 하우징 내에 매달린 도르래를 개재하여 배색 (配索) 된 와이어를 핸드 윈치에 의해 권취 및 권출함으로써 덮개부를 개폐한다. 특허문헌 2 에는, 통풍통의 상부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를 폐지하고, 하우징의 개구부를 루버에 의해 개폐함으로써, 간접적으로 통풍통의 개폐를 실시하는 기구도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제4987937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3-096291호
그러나,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루버를 사용하여 간접적으로 통풍통을 개폐하는 기구의 경우, 통풍통의 상부 개구부를 덮개부에 의해 밀폐 가능한 구조는 아니다. 그 때문에, 통풍통을 통하여 물보라나 비바람이 선창 내에 침입할 가능성이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되어 있는 와이어를 통하여 덮개부를 개폐 조작하는 통풍통의 경우, 상부 개구부를 밀폐할 수 있지만, 통풍통을 설치할 때 도르래의 위치 조정에 시간이 걸린다. 그 때문에, 설치 작업에 다대한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과제가 있다. 특허문헌 2 에서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윈치를 조작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다수 있는 통풍통을 모두 폐색시키기까지 다대한 노력과 시간이 걸린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스핀들을 통하여 덮개부를 개폐하는 통풍통의 경우도, 상기 서술한 와이어를 통하여 덮개부를 개폐 조작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통상시에 통풍통을 폐색시킬 때 작업자가 수동으로 핸들 조작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다수 있는 통풍통을 모두 폐색시키기까지 다대한 노력과 시간이 걸린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상시에 핀을 뽑아냄으로써 덮개부를 폐색시키는 기구를 갖고 있는 경우, 액추에이터에 의해 핀을 뽑아내는 기구로 함으로써, 다수 있는 통풍통의 덮개부를 적은 노력으로 또한 단시간에 폐색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 비상시에 핀을 뽑아내는 기구는, 비상시에 사용하는 것이다. 그 때문에, 다시 덮개부를 개방할 때에는, 핀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려야 하여, 공정 수가 증가하여 작업자의 부담이 증가한다.
덮개부가 힌지를 개재하여 개구부 둘레 가장자리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는, 힌지측에 있어서 개구부와 덮개부가 근접하고 있다. 그 때문에, 통풍통으로의 공기의 출입이 방해를 받아 유로 저항이 증가한다.
본 발명은 덮개부의 개폐에 걸리는 노력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함께, 유로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통풍통은, 상하로 연장되는 통상의 통풍통 본체와, 상기 통풍통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덮개부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통풍통 본체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주아암과, 상기 주아암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중앙부보다 바깥측의 상기 덮개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아암과 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아암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통풍통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주아암과 상기 부아암을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주아암을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통풍통은, 제 1 양태에 있어서의 상기 지지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지지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통풍통 본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방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방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주아암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의 거리를 감소 및 증가시키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통풍통은, 제 2 양태에 있어서의 주아암이, 1 쌍의 주아암 본체와, 상기 주아암 본체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가, 상기 상방 지지부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통풍통은, 제 3 양태에 있어서의 주아암이, 상기 덮개부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주아암 본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덮개부를 향하여 오목상이 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통풍통은, 제 1 양태 내지 제 3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의 부아암이, 상기 덮개부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 운동 방향에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2 개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Z 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통풍통은, 제 1 양태 내지 제 5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의 통풍통 본체가, 상기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패킹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제 2 양태에 기재된 통풍통을 구비한 선박으로서, 상기 통풍통을 덮어, 횡풍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는 경사면이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방 지지부가,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의하면, 개폐 방법은, 제 1 양태 내지 제 6 양태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있어서의 통풍통의 개폐 방법으로서, 미리 기억된 복수의 환기 모드 중에서 특정한 환기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공정에 의해 선택된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풍통을 개폐하는 개폐 공정을 구비한다.
상기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에 의하면, 덮개부의 개폐에 걸리는 노력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함께, 통풍통의 유로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통풍통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도 1 에 있어서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은 개방 상태의 상기 통풍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 는 상기 통풍통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는 폐색 상태의 상기 통풍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폐색 상태의 상기 통풍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 은 상기 통풍통의 부아암 본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폐색 상태의 상기 통풍통을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9 는 상기 통풍통의 구동부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상기 통풍통을 덮는 하우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풍통의 개폐 제어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은 이 실시형태에 관련된 선박 (1) 의 통풍통 (10) 의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 (1) 은 자동차를 운반하는 자동차 운반선이다. 이 선박 (1) 은 적하인 자동차를 반입, 및 반출할 때, 선창 (2) (도 2 참조) 내를 자동차가 자주 (自走) 한다. 그 때문에, 자동차의 내연 기관으로부터 배출되는 배기 가스를 선창 (2) 밖으로 배출할 필요가 있다. 각 선창 (2) 에는 각각 환기 장치 (3) (도 3 참조) 가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 에는 자동차 운반선의 상하에 겹쳐 쌓이도록 복수의 선창 (2)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환기 장치 (3) 는, 주로 덕트 (9) 와 통풍통 (10) 과 팬 (11) 을 구비하고 있다.
덕트 (9) 는 선박 (1) 의 내부에 배삭 (配索) 되어 있다. 덕트 (9) 는 선창 (2) 의 내부 공간과 선박 (1) 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통풍통 (10) 은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갑판 (4) 상에 복수 배치되고, 선박 (1) 의 상갑판 (4) 의 각 측부 가장자리 (5) 를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하나의 통풍통 (10) 에는, 통상적으로 하나의 덕트 (9) 가 접속되어 있다.
선박 (1) 의 상갑판 (4) 에는 복수의 통풍통 (10) 을 덮는 하우징 (12) 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하우징 (12) 은 소정 수의 통풍통 (10) 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 (12) 은 선박 (1) 의 진행 방향을 향하여 단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통풍통 (10) 보다 선박 (1) 의 폭 방향에 있어서의 내측에는, 통풍통 (10) 이 설치되는 상갑판 (4) 과 동 계층에 거주구 (居住區) (6) 그리고 선창 (2a) 이 배치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 (12) 은 , 통풍통 (10) 의 덮개부 (16) 를 넓게 개방하기 위해 최대한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갑판 (4) 에서의 바람 저항 증가를 억제하기 위해, 통풍통 (10) 과 동 계층에 있는 거주구 (6) 나 선창 (2a) 의 높이와 거의 동일하거나, 혹은 그 이하의 높이를 갖고 있다. 하우징 (12) 은, 그 폭 방향 외측의 상부에, 측방으로부터의 공기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경사면 (13) 이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풍통 (10) 은, 통풍통 본체 (15) 와 덮개부 (16) 와 개폐 장치 (17) 를 구비하고 있다.
통풍통 본체 (15) 는, 상부에 개구부 (18) 를 구비한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통풍통 본체 (15) 의 하단에는, 팬 (11) 을 개재하여 상기 서술한 덕트 (9) 가 접속되어 있다. 또, 통풍통 본체 (15) 의 상단부인 개구부 (18) 의 둘레 가장자리에는, 링상의 패킹 (19) (도 5 참조) 이 장착되어 있다. 덮개부 (16) 는 통풍통 본체 (15) 의 개구부 (18) 를 폐색한다. 덮개부 (16) 는 상기 개구부 (18) 의 외형보다 약간 큰 원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덮개부 (16) 에 의해 통풍통 본체 (15) 의 개구부 (18) 를 폐색함으로써, 통풍통 본체 (15) 의 상단부와 덮개부 (16) 의 하면 사이에 패킹 (19) 이 끼워진다. 그 결과, 물보라나 빗물 등이 통풍통 (10) 의 개구부 (18) 로부터 덕트 (9) 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덮개부 (16)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약간 통풍통 본체 (15) 의 외주측으로 돌아 들어가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로써 추가적인 물의 침입 방지가 도모되고 있다. 이와 같이 덮개부 (16) 에 패킹을 형성하지 않는 구조로 했기 때문에, 덮개부 (16) 의 구조는 간소해져, 덮개부 (16) 를 경량화할 수 있게 된다. 그 결과, 후술하는 덮개부 (16) 의 개폐 장치 (17) 의 구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개폐 장치 (17) 는 덮개부 (16) 를 개폐하는 장치이다. 이 개폐 장치 (17) 는, 주로, 주아암 (21) 과 부아암 (22) 과 지지부 (23) 와 구동부 (24) 를 구비하고 있다.
주아암 (21) 은, 덮개부 (16) 를, 개구부 (18) 가 개방되는 개방 위치 (도 3 참조) 와, 개구부 (18) 가 폐색되는 폐색 위치 (도 4, 도 5 참조)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주아암 (21) 은 1 쌍의 주아암 본체 (26) 와, 접속 부재 (27) (도 4 참조) 를 구비하고 있다. 접속 부재 (27) 는 1 쌍의 주아암 본체 (26) 의 선단부 (26a) 끼리를 접속한다.
주아암 본체 (26) 의 선단부 (26a) 는, 덮개부 (16) 의 중앙부 (C) 에 대해, 선박 (1) 의 소정 방향 (본 실시형태에서는 선박 (1) 의 전후 방향, 이후, 전후 방향으로 기재) 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1 쌍의 주아암 본체 (26)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폐색 위치에 있는 덮개부 (16) 의 중앙부 (C) 로부터 통풍통 본체 (15) 의 바깥쪽 (바꿔 말하면, 선체의 현측이 되는 폭 방향 외측) 으로 평행하게 연장되어 있다. 이들 1 쌍의 주아암 본체 (26) 는, 그 기단부 (26b) 가 지지부 (23) 에 대해, 선박 (1)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덮개부 (16) 의 중앙부 (C) 란, 도 6 의 지지부 (23) 와 덮개부 (16) 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덮개부 (16) 의 중심 부근의 부위를 가리키고 있다.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아암 본체 (26)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폐색 상태의 덮개부 (16) 측을 향하여 오목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아암 본체 (26) 는, 직선상의 기단측 아암부 (28) 와, 직선상의 선단측 아암부 (29)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기단측 아암부 (28) 는, 덮개부 (16) 가 폐색 위치에 있을 때, 그 기단부 (26b) 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덮개부 (16) 의 가장자리부 (16a) 의 상방 위치에 이르고 있다.
선단측 아암부 (29) 는, 기단측 아암부 (28) 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덮개부 (16) 의 중앙부 (C) 에 이르고 있다. 이들 선단측 아암부 (29) 는, 기단측 아암부 (28) 보다 충분히 길게 형성되어 있다.
선단측 아암부 (29) 와 기단측 아암부 (28) 가 이루는 각은, 둔각으로 되어 있다. 이들 선단측 아암부 (29) 와 기단측 아암부 (28) 가 이루는 각은, 하우징 (12) 의 측면 (14) 과 경사면 (13) (모두 도 3 참조) 이 이루는 각에 따른 각도로 되어 있다. 요컨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주아암 본체 (26) 는, 선단측 아암부 (29) 와 기단측 아암부 (28) 에 의해 굴곡된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이로써 주아암 본체 (26) 는, 덮개부 (16) 측을 향하여 오목상으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아암 본체 (26) 가 오목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됨으로써,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16) 를 개방했을 때, 오목상으로 형성된 공간 부분에 덮개부 (16) 의 가장자리부 (16a) 가 들어가, 주아암 본체 (26) 와 덮개부 (16) 의 접촉이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아암 (22) 은, 덮개부 (16) 를 개폐할 때 덮개부 (16) 의 흔들림을 억제한다. 부아암 (22) 은 1 쌍의 부아암 본체 (31) 를 갖고 있다. 부아암 본체 (31) 의 선단부 (31a) 는, 주아암 본체 (26) 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서술한 덮개부 (16) 의 중앙부 (C) 보다 바깥측의 위치에서 덮개부 (16)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다. 요컨대, 부아암 본체 (31) 의 선단부 (31a) 는, 주아암 본체 (26) 의 선단부 (26a) 와 기단부 (26b) 사이의 위치에서 덮개부 (16) 에 장착되어 있다. 각 부아암 본체 (31) 의 기단부 (31b) 는, 각 부아암 본체 (31) 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배치된 지지부 (23) 에 대해 선박 (1) 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선 둘레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상기 부아암 본체 (31) 는,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2 개의 굴곡부 (32, 33) 를 구비한 Z 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아암 본체 (31) 는, 제 1 직선부 (34) 와 제 2 직선부 (35) 와 제 3 직선부 (36)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직선부 (34) 는, 덮개부 (16) 가 폐색된 상태에서, 그 기단부 (31b) 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을 향한다. 제 2 직선부 (35) 는, 제 1 직선부 (34) 의 상단부로부터 비스듬한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 3 직선부 (36) 는, 제 2 직선부 (35) 의 하단부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부아암 본체 (31) 에는,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직선부 (34) 와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부 (35) 사이에, 둔각이 되는 제 1 굴곡부 (32) 가 형성되어 있다. 부아암 본체 (31) 에는, 비스듬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직선부 (35) 와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3 직선부 (36) 사이에, 제 1 굴곡부 (32) 보다 협각 (예를 들어, 직각) 이 되는 제 2 굴곡부 (33)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제 1 굴곡부 (32) 와 제 2 굴곡부 (33) 는, 각각의 굴곡되는 방향이 회전 운동 방향인 상하 방향에서 서로 반대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부아암 본체 (31)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Z 상을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도 4,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아암 본체 (26) 의 선단부 (26a) 와 부아암 본체 (31) 의 선단부 (31a) 는, 덮개부 (16) 상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베어링부 (37) 와 제 2 베어링부 (38) 에 각각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들 제 1 베어링부 (37) 와 제 2 베어링부 (38) 는, 덮개부 (16) 의 상면에 평행하게 형성된 보강 리브 (39) 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3 내지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부 (23) 는, 상기 서술한 주아암 본체 (26) 의 기단부 (26b) 및 부아암 본체 (31) 의 기단부 (31b) 를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지지부 (23) 는 구동부 (24) 를 상하로 요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부 (23) 는 1 쌍의 베이스부 (41) 와 1 쌍의 지지 본체부 (42) 와 상방 지지부 (43) 를 구비하고 있다.
1 쌍의 베이스부 (41) 는 통풍통 본체 (15) 의 측면 (15a) 에 용접이나 볼트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들 베이스부 (41) 는, 상기 서술한 주아암 본체 (26) 가 연장되는 방향과 동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1 쌍의 베이스부 (41) 는, 서로 통풍통 본체 (15) 의 둘레 방향으로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1 쌍의 베이스부 (41) 는, 그 외측의 단부에, 지지 본체부 (42) 의 하단부가 접속되어 있다.
1 쌍의 지지 본체부 (42) 는, 상기 서술한 주아암 본체 (26) 가 연장되는 방향에서, 통풍통 본체 (15) 로부터 소정 거리 (L1) (도 5 참조) 만큼 이간되어 배치되어 있다. 이들 지지 본체부 (42) 는, 베이스부 (41) 의 단부로부터 연직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지지 본체부 (42) 는, 하우징 (12) 의 선체 폭 방향의 외측의 측면 (14) 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 본체부 (42) 는, 상기 서술한 주아암 (21) 을 지지하는 주아암 지지부 (44) 와, 부아암 (22) 을 지지하는 부아암 지지부 (45) 를 각각 구비하고 있다. 요컨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본체부 (42)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통풍통 본체 (15) 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주아암 (21) 과 부아암 (22) 을 지지하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지지 본체부 (42) 의 주아암 지지부 (44) 와 부아암 지지부 (45) 는, 상하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하측에 주아암 지지부 (44) 가 배치되고, 상측에 부아암 지지부 (45) 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주아암 지지부 (44) 와 부아암 지지부 (45) 는, 각각 지지 본체부 (42) 의 길이 방향의 중심보다 약간 상방 (바꿔 말하면, 통풍통 본체 (15) 의 상단부보다 충분히 상방의 위치) 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주아암 지지부 (44) 와 부아암 지지부 (45) 를 개별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아암 지지부 (44) 와 부아암 지지부 (45) 는, 주아암 본체 (26) 의 기단부 (26b) 와 부아암 본체 (31) 의 기단부 (31b) 를 동일 축선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도록 동일 위치에 배치해도 된다.
상방 지지부 (43) 는, 지지 본체부 (42) 의 상부로부터 통풍통 본체 (15) 측 (바꿔 말하면, 통풍통 본체 (15) 의 직경 방향 내측) 의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여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방 지지부 (43) 의 경사 각도 (θ1) (도 4 참조) 는, 하우징 (12) 의 경사면 (13) 의 경사 각도 (θ2) (도 3 참조) 와 동등 정도 혹은 조금 작게 되어 있다. 이로써 상방 지지부 (43) 는, 경사면 (13) 을 따르도록 하우징 (12)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6,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 지지부 (43) 의 상단 중앙부 (43a) 에는, 구동부 (24) 가 지지되는 구동부 지지부 (46) 가 형성되어 있다.
구동부 (24) 는, 주아암 (21) 을 지지부 (23) 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동부 (24) 는, 작동 유체로서 공기를 사용하는 에어 실린더이다. 구동부 (24) 는, 지지부 (23) 의 상방 지지부 (43) 와 덮개부 (16) 의 거리를 감소 및 증가시킨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구동부 (24) 는, 실린더 튜브 (48) 와 피스톤 로드 (49) 를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 (49) 는, 실린더 튜브 (48) 내에 피스톤 (50) (도 9 참조) 을 구비하고 있다. 피스톤 로드 (49) 는, 그 선단부가, 상기 서술한 주아암 (21) 의 접속 부재 (27) 의 길이 방향 중앙부 (27a)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실린더 튜브 (48) 는, 상기 서술한 지지부 (23) 의 상방 지지부 (43) 의 구동부 지지부 (46) 에 자유롭게 회전 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요컨대,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동부 (24) 는, 주아암 (21) 의 접속 부재 (27) 와 지지부 (23) 사이에 걸치도록 장착되어 있다. 여기서, 피스톤 로드 (49) 를 접속 부재 (27) 에 장착하고, 실린더 튜브 (48) 를 상방 지지부 (43) 에 장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실린더 튜브 (48) 를 접속 부재 (27) 에 장착하고, 피스톤 로드 (49) 를 상방 지지부 (43) 에 장착해도 된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부 (24) 는, 실린더 튜브 (48) 내의 공기의 급배를 제어하는 공기 급배 제어 상자 (51) 에 접속되어 있다. 공기 급배 제어 상자 (51) 는, 체크 밸브 (52), 솔레노이드 밸브 (53), 및 스피드 컨트롤러 (54) 를 구비하고 있다. 체크 밸브 (52) 는, 에어 컴프레서 등으로부터 공기 급배 제어 상자 (51) 에 공급된 압축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고, 덮개부 (16) 의 개도를 유지한다. 솔레노이드 밸브 (53) 는,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로부터의 전기 신호에 기초하여, 실린더 튜브 (48) 내의 공기실 (56) 로부터 배기하는 배기 위치와, 실린더 튜브 (48) 내의 공기실 (56) 에 급기하는 급기 위치 사이에서 변위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밸브 (53) 는, 실린더 튜브 (48) 의 스트로크 엔드에 의해 덮개부 (16) 의 개방 상태를 결정하고 있다. 도 9 에 있어서는, 솔레노이드 밸브 (53) 가 배기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스피드 컨트롤러 (54) 는, 구동부 (24) 와 솔레노이드 밸브 (53) 사이의 공기의 유속을 조정한다. 스피드 컨트롤러 (54) 는, 2 개 직렬로 접속되어, 구동부 (24) 로의 급기 스피드의 조정과, 구동부 (24) 로부터의 배기 스피드의 조정의 각 역할을 분담하여 실시한다.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는, 선박 (1) 의 조타실 등에 배치된 조작부 (58) 에 접속되어 있다.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는, 조작부 (58) 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밸브 (53) 를 제어한다. 구동부 (24) 및 솔레노이드 밸브 (53) 에는, 각각 배기음을 소음 (消音) 시키는 사일렌서 (57) 가 장착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11) 은, 통풍통 (10) 으로의 흡기 또는 통풍통 (10) 으로부터의 배기를 실시한다. 이 팬 (11) 은 통풍통 본체 (15) 의 하부 또는 통풍통 본체 (15) 부근의 덕트 (9)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이 팬 (11) 은, 리미트 스위치를 통하여 덮개부 (16) 의 개폐 상태에 연동하여 구동된다. 예를 들어, 팬 (11) 이 장착되어 있는 통풍통 (10) 의 덮개부 (16) 가 완전히 열린 후에 시동되고, 팬 (11) 이 장착되어 있는 통풍통 (10) 이 폐색되어 있을 때에는 시동될 수 없다. 도 3 중, 부호 11a 는 팬 (11) 이 구비하는 팬 날개부를 나타내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 (12) 에는, 경사면 (13) 과는 반대측의 측면 (60) 에 개구부 (61)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부 (61) 는 공기 취입구로서 기능한다. 이 개구부 (61) 는, 그 높이 치수 (L2) 가, 통풍통 본체 (15) 의 높이 치수 (L3) 보다 낮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통풍통 본체 (15) 내로의 빗물의 침입을 억제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풍통 (10) 은, 상기 서술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풍통 (10) 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동작의 설명에 있어서는, 덮개부 (16) 가 폐색 상태로부터 개방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조타실 등 통풍통 (10) 에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조작부 (58) 를 폐색으로부터 개방으로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조작부 (58) 로부터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에, 덮개부 (16) 를 개방하는 제어 신호가 입력된다. 이 제어 신호가 입력된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는, 솔레노이드 밸브 (53) 에 대해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이로써, 솔레노이드 밸브 (53) 가 급기 위치로 변위된다.
솔레노이드 밸브 (53) 가 급기 위치로 변위되면, 구동부 (24) 에 압축 공기가 공급된다. 이로써, 피스톤 로드 (49) 가 실린더 튜브 (48) 내에 몰입되는 방향으로 스트로크된다. 그렇게 하면, 주아암 본체 (26) 가 요동되어, 상방 지지부 (43) 에 대해 주아암 (21) 의 접속 부재 (27) 가 근접하는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 변위에 의해, 주아암 본체 (26) 의 선단부 (26a) 에 장착된 덮개부 (16) 가 상방으로 들어올려져, 통풍통 본체 (15) 의 개구부 (18) 가 개방된다. 피스톤 로드 (49) 가 스트로크 엔드까지 이동하면, 그 위치에서 덮개부 (16) 의 개방 상태가 유지되는 개방 유지 상태가 된다.
여기서, 개방 유지 상태까지 덮개부 (16) 를 변위시킬 때, 부아암 (22) 에 의해, 제 2 베어링부 (38) 와 부아암 지지부 (45) 의 거리가, 제 1 베어링부 (37) 와 주아암 지지부 (44) 의 거리보다 충분히 짧은 일정한 거리로 유지된다. 덮개부 (16) 의 지지부 (23) 측의 가장자리부 (16a) 는, 부아암 지지부 (45) 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 운동된다. 이로써, 덮개부 (16) 가 지지부 (23) 측으로부터 비스듬한 상방을 향하는 경사 상태로 유지된다.
또, 덮개부 (16) 의 지지부 (23) 측의 가장자리부 (16a) 는, 부아암 지지부 (45) 의 높이 위치에 따른 높이 위치까지 들어올려져, 통풍통 본체 (15) 의 개구부 (18) 로부터 충분히 이간된다 (도 3 중, 이간 거리를 화살표로 나타내고 있다). 도 3 은, 피스톤 로드 (49) 가 스트로크 엔드까지 이동한 개방 유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통풍통 (10) 의 개구부 (18) 를 폐색하는 경우, 작업자에 의해 폐색 조작이 이루어지지만, 개폐 장치 (17) 의 동작으로는, 상기 개방 조작의 경우와 반대 동작이 될 뿐이다. 그 때문에, 통풍통 (10) 의 개구부 (18) 를 폐색하는 경우에 대해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풍통 (10) 에 의하면, 구동부 (24) 의 구동력에 의해 주아암 (21) 을 회전 운동시킨 경우에, 덮개부 (16) 의 중앙부 (C) 를 작용점으로 하여 덮개부 (16) 를 들어올릴 수 있다. 또, 주아암 (21) 에 의해 덮개부 (16) 를 들어올릴 때, 부아암 (22) 에 의해 덮개부 (16) 의 자세가 불안정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아암 (21) 및 부아암 (22) 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통풍통 본체 (15) 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개방시에 덮개부 (16) 전체를 개구부 (18) 로부터 이간시킬 수 있다 (통풍통 본체 (15) 의 둘레 전체가 열린 상태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공기의 유로를 통풍통 본체 (15) 의 둘레 전체에 확보할 수 있어, 통풍통 (10) 의 유로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상방 지지부 (43) 가, 지지 본체부 (42) 의 상부로부터 통풍통 본체 (15) 측을 향하여 비스듬한 상방으로 연장되고, 이 상방 지지부 (43) 와 덮개부 (16) 에 장착된 주아암 (21) 사이에 구동부 (24) 로서의 구동부 (24) 가 배치됨으로써, 보다 작은 힘으로 덮개부 (16) 를 개방할 수 있다. 그 결과, 구동부 (24) 의 소형화를 도모함과 함께, 덮개부 (16) 의 개폐에 드는 소비 에너지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1 쌍의 주아암 본체 (26) 를 형성함으로써, 덮개부 (16) 의 2 개 지점에 구동부 (24) 의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 접속 부재 (27) 에 의해 주아암 본체 (26) 끼리를 접속하고 있기 때문에, 1 쌍의 주아암 본체 (26) 의 서로의 회전 운동 위치 어긋남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보다 안정적인 자세로 덮개부 (16) 를 개방할 수 있다.
또, 덮개부 (16) 를 개방하면 주아암 (21) 에 대해 덮개부 (16) 가 회전 운동되지만, 주아암 본체 (26)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폐색 상태의 덮개부 (16) 측을 향하여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덮개부 (16) 가 주아암 (21) 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아암 본체 (31) 가 Z 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덮개부 (16) 를 개방했을 때, 부아암 본체 (31) 가 덮개부 (16) 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덮개부 (16) 를 개방했을 때, 측면에서 보았을 때 부아암 본체 (31) 가 주아암 본체 (26) 나 제 2 베어링부 (38) 와 겹쳐지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주위로 돌출되지 않고, 그 만큼 개폐 장치 (17) 를 하우징 (12) 에 근접 배치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하우징 (12) 내의 스페이스를 더욱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다.
또, 경사면 (13) 을 상부에 구비하는 하우징 (12) 의 내부 공간의 형상에 맞춰, 지지부 (23) 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 (12) 을 대형화하지 않고, 통풍통 (10) 의 배치가 가능해진다.
또한, 통풍통 본체 (15) 의 개구부 (18) 의 둘레 가장자리에 패킹 (19) 이 장착되어 있음으로써, 덮개부 (16) 측에 패킹을 장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덮개부 (16) 의 중량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덮개부 (16) 를 개방하는 구동력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통풍통 본체 (15) 에 패킹 (19) 을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메인터넌스나 패킹 (19) 의 설치시 등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 (1) 에 의하면, 경사면 (13) 을 상부에 구비하는 하우징 (12) 의 내부 공간의 형상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횡풍 등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면서, 통풍통 (10) 의 유로 저항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통풍통 (10) 을 폐색하고 있을 때에는, 선창 내로의 침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제 2 실시형태는,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와 통풍통의 개폐 제어가 상이할 뿐이기 때문에, 통풍통 및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 1, 도 3, 도 9 를 원용하고,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11 은,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 밸브 (53) 의 제어 블록도이다.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풍통 (10) 및 선박 (1) 은, 제어계를 제외하고,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의 도 1, 도 3 과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 밸브 (53) 의 제어계는, 제 1 실시형태의 구성에 추가하여, 환기 모드 기억부 (70) 와 환기 모드 선택부 (71) 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58) 는, 예를 들어, 조타실이나 소방 관리실 등에 배치되고, 복수의 환기 모드 중에서 하나의 환기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환기 모드 기억부 (70) 는, 미리 복수의 환기 모드가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복수의 환기 모드로는, 예를 들어, 항행 중에 실시하는 환기 모드, 하역 작업 중에 실시하는 환기 모드, 및 포소화 (泡消火) 시스템 사용시의 환기 모드 등이 있다. 항행 중에 실시하는 환기 모드로는, 예를 들어, 소정의 단위 시간당 3 회 환기를 실시하는 모드나 10 회 환기를 실시하는 모드 등이 있다. 하역 작업 중에 실시하는 환기 모드로는, 항행 중보다 횟수가 많은, 예를 들어, 소정의 단위 시간당 20 회 환기를 실시하는 모드 등이 있다. 포소화 시스템 사용시의 환기 모드는, 포소화 시스템용 통풍통 (10) 만을 개방하는 모드이다.
환기 모드 선택부 (71) 는, 조작부 (58) 에 의한 선택 결과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 기억부 (70) 에 기억되어 있는 복수의 환기 모드 중에서 하나의 환기 모드를 호출한다. 그리고, 환기 모드 선택부 (71) 는, 호출한 환기 모드의 정보에 기초하여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에 대해 제어 지령을 출력한다.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는, 환기 모드 선택부 (71) 로부터의 제어 지령에 따라 솔레노이드 밸브 (53) (도 9 참조) 의 밸브 위치를 변위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통풍통 (10) 의 개폐 방법에 대하여 도 12 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모든 통풍통 (10) 이 폐색 상태에서, 조작부 (58) 에 의한 환기 모드의 선택 조작이 입력된 경우, 이 입력 결과의 정보에 기초하여 환기 모드 기억부 (70) 에 기억된 복수의 환기 모드 중에서, 특정한 환기 모드의 정보를 검색 (선택) 하여 호출한다 (단계 S01 ; 선택 공정).
이어서, 선택된 환기 모드의 정보에 따라, 솔레노이드 제어부 (55) 에 제어 지령을 출력하고, 복수의 통풍통 (10) 을 동시에 개폐한다 (단계 S02 ; 개폐 공정).
그 후, 조작부 (58) 에 대해 환기 모드의 재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나, 통풍통 (10) 을 전개 (全開) 또는 전폐 (全閉) 하는 조작 등이 이루어질 때까지, 동일 환기 모드에 의한 환기를 계속한다. 조작부 (58) 에 대해 환기 모드의 재선택 조작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그 환기 모드로 통풍통 (10) 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도록, 재선택된 환기 모드에 의한 상기 각 제어 처리를 반복한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통풍통 (10) 의 개폐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환기 모드 중에서 작업자가 원하는 환기 모드를 선택 조작하는 것만으로, 환기 모드에 따라 자동적으로 통풍통 (10) 의 개폐를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복수의 통풍통 (10) 을 1 개씩 작업원이 개폐하여 환기 모드의 변경을 실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환기 모드의 변경을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여러 가지 변경을 추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를 든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지지부 (23) 의 베이스부 (41) 가 통풍통 본체 (15) 에 지지되는 일례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갑판 (4) 이나 하우징 (12) 에 지지되도록 해도 된다. 또, 통풍통 본체 (15) 가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통풍통 본체 (15) 는 상하로 연장되어 있으면 되고,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상하로 연장된다란, 통풍통 본체 (15) 의 축선의 방향이 상하 방향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통풍통 본체 (15) 가 비스듬하게 경사져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주아암 (21) 과 상방 지지부 (43) 사이에 걸치도록 구동부 (24) 를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구동부 (24) 에 의해 주아암 (21) 이 회전 운동 가능하면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구동부 (24) 를, 주아암 (21) 의 접속 부재 (27) 가 아니라 덮개부 (16) 에 직접 장착하도록 해도 된다. 또 이 때, 주아암 (21) 의 접속 부재 (27) 를 생략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직선상으로 형성된 기단측 아암부 (28) 와 선단측 아암부 (29) 의 조합에 의해, 주아암 본체 (26) 를, 덮개부 (16) 측을 향하는 오목상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주아암 본체 (26) 는, 덮개부 (16) 측을 향하는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주아암 본체 (26) 를 곡선상으로 형성하여 덮개부 (16) 측을 향하는 오목상으로 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부아암 본체 (31) 를 제 1 직선부 내지 제 3 직선부의 조합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만곡 형성된 부재의 조합에 의해 부아암 본체 (31) 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부 (24) 로서 에어 실린더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작동 유체로서 오일을 사용하는 유압 실린더여도 된다. 또한, 구동부 (24) 는, 유체압 실린더에 한정되지 않고, 볼나사 등의 직동 기구를 사용하여 로드를 출몰시키는 액추에이터 등을 사용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덮개부 (16) 의 개폐를 일괄하여 조작하는 경우를 일례로 설명했지만, 각 통풍통 (10) 에 대응한 개별 조작 스위치를 갖는 조작부 (58) 를 형성하여, 각 통풍통 (10) 에 있어서의 덮개부 (16) 의 개폐를 개별적으로 실시하도록 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항행시, 하역시 등에 따른 환기 모드를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예를 들어, 적하의 양에 따라 개폐하는 통풍통 (10) 의 수량을 조정하는 환기 모드를 구비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조작부 (58) 에 있어서 적하량을 입력하고, 이 적하량에 따른 환기 모드를 선택한다.
또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하우징 (12) 이 경사면 (13) 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경사면 (13) 을 구비하고 있지 않은 하우징 (12) 에 덮여진 통풍통 (10) 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선창을 환기하기 위한 통풍통, 통풍통을 구비한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에 의하면, 덮개부의 개폐에 걸리는 노력 및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과 함께, 통풍통의 유로 저항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1 : 선박
2 : 선창
3 : 환기 장치
4 : 상갑판
5 : 측부 가장자리
6 : 거주구
9 : 덕트
10 : 통풍통
11 : 팬
11a : 팬 날개부
12 : 하우징
13 : 경사면
14 : 측면
15 : 통풍통 본체
15a : 측면
16 : 덮개부
16a : 가장자리부
17 : 개폐 장치
18 : 개구부
19 : 패킹
21 : 주아암
22 : 부아암
23 : 지지부
24 : 구동부
26 : 주아암 본체
26a : 선단부
26b : 기단부
27 : 접속 부재
28 : 기단측 아암부
29 : 선단측 아암부
31 : 부아암 본체
31a : 선단부
31b : 기단부
32 : 굴곡부
33 : 굴곡부
34 : 제 1 직선부
35 : 제 2 직선부
36 : 제 3 직선부
37 : 제 1 베어링부
38 : 제 2 베어링부
39 : 보강 리브
41 : 베이스부
42 : 지지 본체부
43 : 상방 지지부
43a : 상단 중앙부
44 : 주아암 지지부
45 : 부아암 지지부
46 : 구동부 지지부
48 : 실린더 튜브
49 : 피스톤 로드
50 : 피스톤
51 : 공기 급배 제어 상자
52 : 체크 밸브
53 : 솔레노이드 밸브
54 : 스피드 컨트롤러
55 : 솔레노이드 제어부
56 : 공기실
57 : 사일렌서
58 : 조작부
60 : 측면
70 : 환기 모드 기억부
71 : 환기 모드 선택부
C : 중앙부

Claims (8)

  1. 상하로 연장되는 통상의 통풍통 본체와,
    상기 통풍통 본체의 개구부를 폐색하는 덮개부와,
    상기 덮개부를 개폐하는 개폐 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장치는,
    상기 덮개부의 중앙부에 장착되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통풍통 본체의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주아암과,
    상기 주아암이 연장되는 방향에서 상기 중앙부보다 바깥측의 상기 덮개부에 장착되고, 상기 주아암과 동 방향으로 연장되는 부아암과,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통풍통 본체로부터 바깥쪽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주아암과 상기 부아암을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 본체부를 갖는 지지부와,
    상기 주아암을 상기 지지부에 대해 회전 운동시키는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통.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지지 본체부의 상부로부터 상기 통풍통 본체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방 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방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 또는 상기 주아암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지지부와 상기 덮개부의 거리를 감소 및 증가시키는 통풍통.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아암은,
    1 쌍의 주아암 본체와,
    상기 주아암 본체의 단부끼리를 접속하는 접속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상방 지지부와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걸쳐 장착되어 있는 통풍통.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아암은,
    상기 덮개부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주아암 본체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덮개부측을 향하여 오목상이 되도록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는 통풍통.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아암은,
    상기 덮개부에 대해 회전 운동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회전 운동 방향에서 서로 상이한 방향으로 구부러지는 2 개의 굴곡부를 구비하는 Z 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통풍통.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통 본체는, 상기 개구부의 둘레 가장자리에 패킹을 구비하는 통풍통.
  7. 제 2 항에 기재된 통풍통을 구비한 선박으로서,
    상기 통풍통을 덮어, 횡풍에 의한 영향을 억제하는 경사면이 상부에 형성된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의 상방 지지부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풍통의 개폐 방법으로서,
    미리 기억된 복수의 환기 모드 중에서 특정한 환기 모드를 선택하는 선택 공정과,
    상기 선택 공정에 의해 선택된 환기 모드에 기초하여, 복수의 통풍통을 개폐하는 개폐 공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풍통의 개폐 방법.
KR1020140090212A 2013-08-29 2014-07-17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KR101667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78129 2013-08-29
JP2013178129A JP5951567B2 (ja) 2013-08-29 2013-08-29 通風筒、船舶、および、通風筒の開閉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99A true KR20150026799A (ko) 2015-03-11
KR101667849B1 KR101667849B1 (ko) 2016-10-19

Family

ID=5267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0212A KR101667849B1 (ko) 2013-08-29 2014-07-17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5951567B2 (ko)
KR (1) KR101667849B1 (ko)
CN (1) CN1044177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7106790U (zh) * 2017-08-16 2018-03-1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风机连接工装及舱室抽风装置
CN109747794A (zh) * 2018-12-28 2019-05-14 珠海市汉图达科技有限公司 一种新型渔业柴油机无人艇自动启闭式排气道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291A (ja) 1989-09-08 1991-04-22 Hitachi Chem Co Ltd 高周波回路用基板
JP2001191993A (ja) * 2000-01-06 2001-07-17 Coc:Kk 船舶における荒天通風弁の開閉駆動装置
KR100609820B1 (ko) * 2004-07-29 2006-08-08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풍압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한 선박
KR100917556B1 (ko) * 2009-04-14 2009-09-16 주식회사 진보기업 선박용 벤티레이터
JP4987937B2 (ja) 2009-10-06 2012-08-0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自動車運搬船の通風機用ダンパー開閉装置
KR20130001798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선박의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107015C (ko) * 1955-11-29
GB1564896A (en) * 1975-07-22 1980-04-16 Mac Gregor International Sa Ventilator
JP3414693B2 (ja) * 2000-03-31 2003-06-09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車両運搬船用高膨張泡消火設備
JP3079370U (ja) * 2001-02-02 2001-08-17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通風筒の落下式ダンパー
CN201834206U (zh) * 2010-09-30 2011-05-18 江苏新扬子造船有限公司 集装箱船货舱通风用通风帽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6291A (ja) 1989-09-08 1991-04-22 Hitachi Chem Co Ltd 高周波回路用基板
JP2001191993A (ja) * 2000-01-06 2001-07-17 Coc:Kk 船舶における荒天通風弁の開閉駆動装置
KR100609820B1 (ko) * 2004-07-29 2006-08-08 가부시키가이샤 쇼센 미츠이 풍압저항을 경감시키기 위한 선박
KR100917556B1 (ko) * 2009-04-14 2009-09-16 주식회사 진보기업 선박용 벤티레이터
JP4987937B2 (ja) 2009-10-06 2012-08-01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自動車運搬船の通風機用ダンパー開閉装置
KR20130001798A (ko) * 2011-06-28 2013-01-0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및 선박의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17742B (zh) 2017-11-14
JP2015044539A (ja) 2015-03-12
KR101667849B1 (ko) 2016-10-19
CN104417742A (zh) 2015-03-18
JP5951567B2 (ja)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7849B1 (ko)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KR20140011457A (ko) 선박의 외기 유입 개폐장치
KR20140139151A (ko) 잠수함의 밸러스트 웨이트 배출 장치
CN107719619A (zh) 船舶货舱通风方法及通风系统
KR20130001798A (ko) 선박 및 선박의 제어 방법
KR101854751B1 (ko) 선박의 증발 가스 안전 배출장치
TWI590982B (zh) 船艙用閥裝置
JP2018090023A (ja) 船舶のベント管設置構造
KR20080005218U (ko) 선박용 머쉬룸 벤트
KR101595477B1 (ko)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KR101792707B1 (ko) 벤트 장치
FI112053B (fi) Mekanismi rahtilaivan lastiluukun saranoimiseksi laivan runkorakenteeseen
KR20150091649A (ko) Flng 선박의 기계실 헐덕트 및 이를 이용한 송풍 장치
KR101964194B1 (ko) 선박
JP2007320439A (ja) 船体格納式荷役運搬装置
JP5296936B2 (ja) 船倉用弁装置
KR101600773B1 (ko) 화물 적재 선박 및 적재 방법
KR20150127938A (ko) 스러스터 홀 저항 저감장치
KR20160017676A (ko) 주기관 점검용 기관실 개폐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자동차운반선
KR20170035580A (ko) 모듈형 펀넬 구조
KR20220063567A (ko) 컨테이너선의 공기저항 저감장치 및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선
KR20140075510A (ko) 선박의 공기 순환장치
KR20190042267A (ko) 통풍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3138160U (ja) 車輌甲板通風ダクト
KR20140030957A (ko) 선박용 팬하우스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