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92660A - 해치 커버 - Google Patents

해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92660A
KR20150092660A KR1020140013296A KR20140013296A KR20150092660A KR 20150092660 A KR20150092660 A KR 20150092660A KR 1020140013296 A KR1020140013296 A KR 1020140013296A KR 20140013296 A KR20140013296 A KR 20140013296A KR 20150092660 A KR20150092660 A KR 201500926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sub
hatch
deck
cov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32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27663B1 (ko
Inventor
이명건
이동현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132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663B1/ko
Publication of KR201500926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26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6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6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1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 E06B5/12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protection against air-raid or other war-like action; for other protective purposes against air pressure, explosion, or g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해치 커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는, 선박의 갑판에 형성된 해치의 개폐를 위해 갑판 상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로서, 갑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기구가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환기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보조 패널; 및 보조 패널이 개방되는 경우, 보조 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보조 패널을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지지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해치 커버{HATCH COVER}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해양 구조물의 갑판에는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사람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해치(hatch)가 형성된다.
즉, 해치는 갑판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해치의 크기는 사용 목적에 따라 결정되는데, 선체의 강도 및 안전상 최소한의 크기로 형성되지만, 해치를 통해 이동시킬 화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5미터 이상의 폭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해치가 외부로 노출된 갑판에 형성된 경우에는, 안전상의 이유 등으로 해치를 개폐 가능한 해치 커버를 설치한다.
한편, 선박 내의 공간에는 고압 가스와 같은 폭발 위험이 존재하는 화물이 저장되거나, 고압 가스가 유동하는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유 시추 선박이나 구조물의 경우, 시추 관련 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터렛 구역(turret compartment)에는 고압의 가스가 지나가는 라이저(riser) 및 각종 배관이 위치되어 있다.
이 때, 전술한 고압 가스에 의한 폭발 위험이 있는 공간에는 ERP(explosion relief panel)와 같은, 폭발 시에 공간 내의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별도의 압력 배출 설비가 설치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선박 내부의 일정 공간에서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선박 자체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압력 배출 설비는 폭발 위험 공간의 상부 갑판에 설치되는데, 갑판 상에는 설치 공간이 협소한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압력 배출 수단이 포함된 해치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해치 하부 공간에서 폭발 발생 시에 환기구가 개방되는 해치 커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선박의 갑판에 형성된 해치의 개폐를 위해 상기 갑판 상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로서, 상기 갑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기구가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환기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보조 패널; 및 상기 보조 패널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보조 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지지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해치 커버가 제공된다.
이 때, 상기 환기구가 격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환기구에는 복수 개의 막대 부재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일측이 상기 보조 패널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막대 부재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은 상기 힌지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보조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막대 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환기구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패널이 닫혀 있는 경우 상기 환기구가 보조 패널에 의해 수밀되도록 상기 보조 패널의 가장자리 및 상기 환기구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 곳에 실링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해치를 둘러싸도록 상기 갑판 상에 돌출 형성된 코밍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코밍 부재의 상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갑판의 상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치 커버에 압력 배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해치 하부 공간에서 폭발 발생 시에 압력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치 하부 공간에서 폭발 발생 시에 해치 커버에 설치된 환기구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압력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치 커버에 압력 배출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비용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가 포함된 선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가 포함된 선박(1)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1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해치 커버(100)를 다소 과장되게 도시하였으며, 도면의 일부를 단면도로 나타내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는, 선박(1)의 갑판(10) 상에 형성된 해치(15)를 개폐할 수 있는 장치이다.
이 때, 선박(1)은 일반적인 화물선, 운송선 등의 선박뿐 만 아니라, 갑판(10)이 형성되는 해양 구조물까지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 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갑판(10)은 외부에 노출된 상부 갑판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갑판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방향을 가리키는 '상부' 및 '하부'는, 도 1 및 도 3을 기준으로 상부 및 하부 방향을 의미하며, 또는, 중력 방향을 하부, 중력 반대 방향을 상부라고 지칭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갑판(10) 상에는 해치(15)를 둘러싸도록 해치(15)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코밍 부재(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코밍 부재(30)는 해치(15)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해치(15)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사각형 형태의 해치(15)인 경우, 코밍 부재(30)도 이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해치(15)의 가장자리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 커버(100)는 코밍 부재(3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해치(15)를 통해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해치 커버(100)를 통해 해치(15)를 효과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이 때, 해치 커버(100)는 해치(15)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코밍 부재(3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해치 커버(100)는 체결 부재(128, 도 2 내지 도 5 참조)를 통해 코밍 부재(30)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뒤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따라, 해치(15)를 통해 화물이나 사람이 이동해야 하는 경우에는 해치 커버(100)를 개방할 수 있고, 해치(15)를 이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안전을 위하여 해치 커버(100)를 닫을 수 있다.
한편, 도 1을 참조하면, 해치(15)가 형성된 갑판(10)의 하부 공간(20)에는 고압 가스 배관(25)이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명세서에서 고압 가스 배관(25)은, 고압 가스가 유동하는 파이프(pipe), 고압 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저장 공간, 고압 가스가 사용되는 장비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어, 원유 시추 선박의 경우, 하부 공간(20)은 시추를 위한 각종 파이프 등이 설치되는 터렛 공간(turret compartment)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고압 가스가 존재할 수 있는 선박(1) 내의 모든 공간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공간(20)은 선박(1) 내에서 고압 가스에 의한 폭발의 위험이 존재하는 공간이라면 모두 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는, 하부 공간(20)에서 폭발 발생 시에 압력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수단이 구비되는데, 이하, 해치 커버(100)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서 Ⅱ-Ⅱ' 방향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가 개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가 개방된 상태로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는, 커버 플레이트(120), 보조 패널(140) 및 지지 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 플레이트(120)는, 해치 커버(100)의 몸체를 이루는 부재로서, 해치(15)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갑판(1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플레이트(120)는 전술하였듯이, 체결 부재(128)에 의하여 갑판(10) 상에, 예를 들어, 코밍 부재(30)의 상단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 부재(128)는 복수 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커버 플레이트(120)의 가장자리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체결 부재(128)는 복수 개의 볼트 및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체결 부재(128)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커버 플레이트(120)를 착탈이 가능하도록 갑판(10) 측에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부재로 구성될 수 있으며, 힌지(hinge), 슬라이드(slide) 구동 장치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커버 플레이트(120)에는 환기구(125, 도 2 및 도 5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환기구(125)는 커버 플레이트(120)를 관통하는 개구로서, 하부 공간(20)과 그 외부를 연통시키는 통로이며, 커버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환기구(125)는 커버 플레이트(12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직사각형 형태일 수 있다.
그러나, 환기구(125)의 위치 및 형태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위치에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가 해치(15)를 닫고 있는 경우에도, 해치(15)가 형성된 갑판(10)의 하부 공간(20)에서 발생된 고압 가스가 환기구(125)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구(125)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환기구(125)에는 복수 개의 막대 부재(122)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환기구(125)에는 그레이팅(grating)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기구(125)를 개폐할 수 있는 후술할 보조 패널(140) 및 지지 부재(160)가 커버 플레이트(120)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해당 부분에서 다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고, 이하, 보조 패널(140)및 지지 부재(160)를 설명한다.
보조 패널(140)은 전술한 환기구(125)를 개폐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패널(140)은 환기구(125)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패널(140)은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조 패널(140)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면서, 효과적으로 환기구(125)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패널(140)의 가장자리 측에는 실링 부재(145)가 설치될 수 있다.
또는, 실링 부재(145)는 보조 패널(140)이 아닌 환기구(125)의 가장자리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또는, 실링 부재(145)는 보조 패널(140)의 가장자리 측과 환기구(125)의 가장자리 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보조 패널(140)이 환기구(125)를 닫고 있는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보조 패널(14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플레이트(120)의 일측에 힌지(130)를 통하여 힌지축(13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보조 패널(140)이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경우, 한 쌍의 보조 패널(140)이 회전하는 힌지축(135)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때,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보조 패널(14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개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패널(140)은 상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공간(20)에서 폭발이 발생한 경우, 보조 패널(140)이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으며, 환기구(125)를 통해 고압 가스가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밀폐된 하부 공간(20)에서 폭발이 발생한 경우, 폭발로 발생된 고압 가스가 외부와 연통된 환기구(125)를 닫고 있던 보조 패널(140)을 상부로 밀어낼 수 있다.
즉, 별도의 고정 장치 없이 보조 패널(140) 자체의 자중에 의해 환기구(125)를 닫고 있던 보조 패널(140)은, 힌지(130)에 의해 자유롭게 회전 구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하부 공간(20)에서 발생된 고압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저절로 열리게 된다.
이에 따라, 보조 패널(140)이 환기구(125)를 개방시키게 되어, 고압 가스는 환기구(125)를 통해 상부로 배출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는, 하부 공간(20)에서 폭발이 발생하더라도 고압 가스가 환기구(125)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폭발에 의한 순간적인 압력 상승으로 인하여 선박(1)의 외벽, 선체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폭발에 의한 압력에 의해 개방된 환기구(125)를 통하여, 폭발 시에 발생하는 위험한 유독 가스 성분을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하부 공간(20) 내부로 들어오도록 하여 하부 공간(20)을 환기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130)는 보조 패널(140)이 90도 이하의 범위 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부 공간(20)에서의 폭발로 인한 순간적인 고압 가스가 발생하더라도, 보조 패널(140)이 개방되어 180도 회전되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고, 보조 패널(140)이 최대한 개방되더라도 90도 까지만 회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힌지(130)에 보조 패널(14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는 수단, 예를 들어, 스톱퍼(stopper)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하부 공간(20)에서 배출되는 고압 가스의 압력이 점차 작아지면, 90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회전된 보조 패널(140)은 그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다시 환기구(125)를 닫게 되는데, 폭발로 인한 유독 가스를 배출시켜서 하부 공간(20)을 효과적으로 환기시키기 위해서는, 환기구(125)가 닫히지 않도록 일정 시간 동안은 보조 패널(1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후술할 지지 부재(160)에 의하여 보조 패널(1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즉, 지지 부재(160)는 보조 패널(140)이 개방되는 경우, 보조 패널(140)을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시킬 수 있는 구성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60)는 보조 패널(140)의 내측에 결합되어, 보조 패널(140)을 커버 플레이트(120)에 지지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0)는 일측은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보조 패널(14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0)는 보조 패널(140)이 회전하는 회전 반경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부재(160)의 길이는 후술할 끼움부(164)가 막대 부재(122)에 의해 정확히 지지될 수 있도록 적절한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지지 부재(160)의 타측에는 지지 부재(160)가 환기구(125)에 설치된 막대 부재(122)에 지지될 수 있도록 끼움부(164)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지지 부재(160)의 일측은, 보조 패널(140)을 회전시키는 힌지(130)의 힌지축(135)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162)을 통하여, 보조 패널(140)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60)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부(164)는, 환기구(125)에 설치된 막대 부재(122)가 끼워질 수 있는 형상, 예를 들어, 끼움 홈이 형성되거나 'U' 또는 'V'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지지 부재(160)의 길이와 끼움부(164)의 형상은, 보조 패널(140)이 닫히는 경우에 끼움부(164)가 막대 부재(122)에 정확히 끼워져서 보조 패널(140)이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실험에 의하여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부재(160)에 의하여 보조 패널(140)이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과정을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는, 해치(15)가 형성되어 있는 갑판(10)의 하부 공간(20)에서 폭발이 발생하면, 폭발로 인한 고압 가스로 인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치 커버(100)에 형성된 환기구(125, 도 2 및 도 5 참조)를 닫고 있던 보조 패널(140)이 힌지축(1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어, 환기구(125)가 저절로 개방된다.
이 때, 힌지(130)는 보조 패널(140)이 90도 이하의 각도 범위에서만 가동하도록 하여, 보조 패널(140)은 최대 90도 까지만 개방된 상태이다.
이후, 폭발로 인한 압력이 감소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패널(140)은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개방되는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힌지축(135)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보조 패널(140)의 내측에 결합되어 있는 지지 부재(160)의 일측은, 지지 부재(160)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힌지축(135)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며, 지지 부재(160)는 항상 수직한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 때, 지지 부재(160)는 보조 패널(140)이 회전하는 회전 반경보다 작은 길이로 형성된다.
이 때, 보조 패널(140)이 환기구(125)를 닫기 전에, 지지 부재(160)의 타측에 형성된 끼움부(164)에 환기구(125)에 설치된 막대 부재(122)가 끼워진다.
이에 따라, 도 5를 참조하면, 보조 패널(140)은 환기구(125)를 닫지 않고 개방한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개방된 상태의 환기구(125)를 통하여, 폭발에 의한 유독 가스를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하부 공간(20)을 환기시킬 수 있다.
이 때, 보조 패널(140)이 개방되어 있는 각도는 지지 부재(160)의 길이에 의해 달라질 수 있는데, 지지 부재(160)의 길이가 길수록 보조 패널(140)이 개방되어 있는 각도는 커진다.
이후, 유독 가스가 모두 배출되어 하부 공간(20)이 완전히 환기된 경우에, 보조 패널(140)을 이용하여 환기구(125)를 닫음으로써, 해치 커버(100)를 폭발이 일어나기 전의 상태로 되돌릴 수 있다.
이 때, 막대 부재(122)에 끼워져 있던 지지 부재(160)는, 수동으로 막대 부재(122)로부터 이격시키고 회전축(162)을 중심으로 회전시킴으로써, 보조 패널(140)의 내측으로 접은 상태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는, 커버 플레이트(120)에 압력 배출 수단인 환기구(125)를 구비함으로써, 해치(15)가 형성된 갑판(10)의 하부 공간(20)에서 폭발 발생 시에 고압 가스를 용이하게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부 공간(20)의 폭발에 의한 압력에 의해 환기구(125)를 닫고 있는 보조 패널(140)이 힌지(130)에 의하여 회전함으로써, 환기구(125)를 자동으로 개방시킬 수 있으므로 선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해치 커버(100)는, 폭발의 위험이 존재하는 하부 공간(20)의 갑판(10) 상에 설치되어, 환기구(125) 및 환기구(125)를 개폐하는 보조 패널(140)을 포함함으로써, 별도의 압력 배출 수단을 구비하기 위한 비용 및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선박 10 갑판
15 해치 20 하부 공간
25 고압 가스 배관 30 코밍 부재
100 해치 커버 120 커버 플레이트
122 막대 부재 125 환기구
128 체결 부재 130 힌지
135 힌지축 140 보조 패널
145 실링 부재 160 지지 부재
162 회전축 164 끼움부

Claims (7)

  1. 선박의 갑판에 형성된 해치의 개폐를 위해 상기 갑판 상에 설치되는 해치 커버로서,
    상기 갑판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며 환기구가 형성된 커버 플레이트;
    상기 환기구가 개폐될 수 있도록 상기 커버 플레이트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보조 패널; 및
    상기 보조 패널이 개방되는 경우, 상기 보조 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조 패널을 상기 커버 플레이트에 지지시키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는, 해치 커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구가 격자 형태를 형성하도록 상기 환기구에는 복수 개의 막대 부재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일측이 상기 보조 패널의 내측에 결합되고,
    상기 보조 패널이 개방된 상태에서 타측이 상기 막대 부재 상에서 지지될 수 있는, 해치 커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은 상기 힌지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에 의하여 상기 보조 패널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지지 부재의 타측에는 상기 막대 부재가 끼워질 수 있는 끼움부가 형성되는, 해치 커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환기구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며,
    상기 보조 패널이 닫혀 있는 경우 상기 환기구가 보조 패널에 의해 수밀되도록 상기 보조 패널의 가장자리 및 상기 환기구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한 곳에 실링 부재가 설치되는, 해치 커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해치를 둘러싸도록 상기 갑판 상에 돌출 형성된 코밍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해치 커버.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플레이트는,
    상기 코밍 부재의 상단부에 복수 개의 체결 부재에 의하여 결합되는, 해치 커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널은 상기 갑판의 상부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해치 커버.
KR1020140013296A 2014-02-05 2014-02-05 해치 커버 KR1016276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96A KR101627663B1 (ko) 2014-02-05 2014-02-05 해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3296A KR101627663B1 (ko) 2014-02-05 2014-02-05 해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2660A true KR20150092660A (ko) 2015-08-13
KR101627663B1 KR101627663B1 (ko) 2016-06-07

Family

ID=54056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3296A KR101627663B1 (ko) 2014-02-05 2014-02-05 해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6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33U (ko) 2016-01-21 2017-07-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갑판 해치용 휴대용 물막이 장치
CN109094734A (zh) * 2018-09-28 2018-12-28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铰链式格栅盖
KR20190033002A (ko) * 2017-09-20 2019-03-28 엠티코리아(주) 선박의 해치 구조
CN111173423A (zh) * 2018-11-09 2020-05-19 长沙新金龙人防工程股份有限公司 双向悬板式防爆波活门
KR102195553B1 (ko) * 2019-06-28 2020-12-28 (주)월드비텍 증발억제수단이 구비된 우수저장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1564A (ko) 2022-09-23 2024-04-0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 커버 어셈블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602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KR100655858B1 (ko) * 2006-08-11 2006-12-08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비상대피를 위한 다층건물의 창문구조
KR20100054933A (ko) * 2008-11-17 2010-05-26 마용규 선박용 엑세스 해치
KR20120049743A (ko) * 2010-11-09 2012-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커버구조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49602A (ko) * 1996-12-20 1998-09-15 김영귀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KR100655858B1 (ko) * 2006-08-11 2006-12-08 (주)일신설계종합건축사사무소 비상대피를 위한 다층건물의 창문구조
KR20100054933A (ko) * 2008-11-17 2010-05-26 마용규 선박용 엑세스 해치
KR20120049743A (ko) * 2010-11-09 2012-05-1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커버구조체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733U (ko) 2016-01-21 2017-07-3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잠수함의 갑판 해치용 휴대용 물막이 장치
KR20190033002A (ko) * 2017-09-20 2019-03-28 엠티코리아(주) 선박의 해치 구조
CN109094734A (zh) * 2018-09-28 2018-12-28 中船黄埔文冲船舶有限公司 一种铰链式格栅盖
CN111173423A (zh) * 2018-11-09 2020-05-19 长沙新金龙人防工程股份有限公司 双向悬板式防爆波活门
KR102195553B1 (ko) * 2019-06-28 2020-12-28 (주)월드비텍 증발억제수단이 구비된 우수저장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663B1 (ko) 2016-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63B1 (ko) 해치 커버
TWI443043B (zh) 具有通風裝置之船隻
WO2019092936A1 (ja) 船積み用雨除け装置
NO321484B1 (no) Fartoy for flytende produksjon, lagring og lossing, med intern dreieskiveforankring med et system for eksplosjonsforhindring
TWI649236B (zh) 具有可一體移動的船尾艙門的船艇
KR20140042213A (ko) 선박용 맨홀 커버
KR20140015982A (ko) 밸러스트 탱크의 공기 배출구용 도어
JP6815795B2 (ja) 消火設備
KR101444911B1 (ko) 대피공간 전용 창호
TW201335022A (zh) 船艙用閥裝置
RU195016U1 (ru) Съёмный кузов для перевозки сыпучих грузов
KR101378965B1 (ko) 월 해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125537A (ko) 흘수 조절 장치
KR20130004698U (ko) 선박의 씨 체스트 그리드 장치
KR101323834B1 (ko) 월 해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40002542U (ko) 전력변환장치의 비상 냉각용 도어 장치
KR101195756B1 (ko) 안티 힐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112591007A (zh) 船舶用舱口组件
KR20180096012A (ko) 선박
KR20160000780U (ko) 양?향 출입 가능한 맨홀 커버 체결구조 및 이를 가지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KR101711561B1 (ko) 블래스트월
KR101516559B1 (ko) 선박의 해치 구조
KR20130060493A (ko) 선박용 해치커버 개폐구조
KR20120128424A (ko) 통행가능한 선박용 통풍장치
NO336999B1 (no) Sikkerhetsanordning for mannhu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