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559B1 - 선박의 해치 구조 - Google Patents

선박의 해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559B1
KR101516559B1 KR1020140004363A KR20140004363A KR101516559B1 KR 101516559 B1 KR101516559 B1 KR 101516559B1 KR 1020140004363 A KR1020140004363 A KR 1020140004363A KR 20140004363 A KR20140004363 A KR 20140004363A KR 101516559 B1 KR101516559 B1 KR 101516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tch
opening
cable
cove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43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3109A (ko
Inventor
박용하
최규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043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5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13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3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559B1/ko

Links

Images

Abstract

선박의 해치 구조가 개시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해치구조는 갑판의 일측에 개구된 해치(hatch) 개구부와, 해치 개구부 주위를 둘러 싸도록 갑판에서 돌출되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과, 해치 코밍의 상부에 설치되어 해치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 커버(hatch cover)와, 해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해치 개구부 내측으로 케이블의 인입을 위하여 해치 코밍의 둘레 일측에서 관통 형성된 홀로 이루어진 케이블 유입구와, 케이블 유입구에서 연장되는 구즈넥(gooseneck) 형태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파이프의 입구는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해치 개구부 내측으로 빗물 또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함으로써 기상 조건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물창 내에서 안정적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선박의 해치 구조{HATCH STRUCTURE OF SHIP}
본 발명은 해치를 통해 케이블이 인입되는 경우 외부환경(비, 해수등)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는 선박의 해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화물을 운송하는 화물선에는 화물을 싣고 내리기 위해 갑판에 개구된 출입수단인 해치(hatch)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해치 구조는 해치 개구부를 덮는 해치 커버(hatch cover)를 구비하고, 해치 개구부 주위에는 상갑판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해수의 침투를 막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이 마련된다.
한편, 해치 커버에 의해 열리거나 닫히는 화물창 내부에서 각종 작업을 위한 장비를 구동하는 경우에는 해치 개구부를 통해 장비와 연결된 케이블이 화물창 내부로 들어와야 하므로 해치 개구부는 개방된 상태에 있게 된다.
이때, 선박이 운항되는 외부조건이 좋지 않은 경우에는 비바람 및 파도에 의하여 갑판 상으로 밀려오는 해수가 해치 개구부를 통하여 화물창 내부로 침입할 수 있게 되므로 화물창 내에 적재된 화물의 손상을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화물창 내로 유입된 해수에 의하여 선박의 안정성에 영향을 줄 수 있게 된다.
비바람 및 파도에 의하여 화물창(cargo hold) 내부에 물 등이 침입하는 경우 화물창 내에 적재된 화물의 손상을 가져오게 된다.
본 실시 예는 해치 커버에 의해 개폐되는 화물창 내부에서 작업시 외부 기상환경이 좋지 않은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선박의 해치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의 해치구조는 갑판의 일측에 개구된 해치(hatch) 개구부와, 상기 해치 개구부 주위를 둘러 싸도록 상기 갑판에서 돌출되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과, 상기 해치 코밍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치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 커버(hatch cover)와, 상기 해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해치 개구부 내측으로 케이블의 인입을 위하여 상기 해치 코밍의 둘레 일측에서 관통 형성된 홀로 이루어진 케이블 유입구와, 상기 케이블 유입구에서 연장되는 구즈넥(gooseneck) 형태의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파이프의 입구는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해치 개구부 내측으로 빗물 또는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는 선박의 해치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파이프의 입구를 개폐하는 케이블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커버는 절개된 슬릿을 갖는 탄성재질의 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선박의 해치구조는 해치 커버를 열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물창 내부로 케이블을 인입시킬 수 있게 되므로 화물창 내에서 작업시 비바람 및 해수의 침투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해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해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해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커버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해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해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선박의 해치(hatch)는 사람의 출입이나 화물의 반입/반출을 위한 것으로서, 갑판의 개구부나 선박 내부의 선실 사이의 통로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해치 구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갑판(10)의 해치 개구부(11) 둘레에 설치되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20)과, 해치 코밍(2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해치 개구부(11)를 개폐하는 해치 커버(hatch cover,30)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해치구조는 선박에 설치되는 스몰 해치(small hatch)구조를 도시하였으나, 이는 일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사람이 출입하기 위하여 갑판에 열려 있는 구멍을 개폐하는 해치 커버와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한 해치 코밍을 갖는 것이라면 모두 적용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해치 개구부(11) 하부에는 화물을 적재하기 위한 화물창(40)이 마련되고, 화물창(40) 내부로 작업자가 출입하기 위한 사다리(50)가 해치 개구부(11)측으로 부터 수직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해치 커버(30)는 해치 코밍(20)의 상단 일측에 마련된 힌지부(21)에 결합되어 상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에는 해치 커버(30)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60)가 구비될 수 있다.
고정장치(60)는 해치 코밍(2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브래킷(61)에 힌지 결합되는 고정볼트(62)와, 고정볼트(62)에 체결되는 윙너트(63)와, 해치 커버(30) 둘레를 따라 브래킷(61)과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볼트삽입공(64)이 마련된 고정리브(65)를 포함한다.
고정볼트(62)는 고정리브(65)의 볼트삽입공(64)에 삽입되고, 고정볼트(62)에 체결된 윙너크(63)를 조임에 따라 윙너트(63)가 고정리브(65)를 압박하여 해치 커버(30)를 닫게 된다.
또한, 해치 커버(30)의 내면 둘레에는 고정장치(60)에 의해 고정되는 경우 틈새를 밀봉하기 위한 패킹(35)이 구비되고, 해치 커버(30)의 상면에는 사용자가 해치 커버(30)를 들어 올리기 위한 파지부(37)가 마련될 수 있다.
해치 코밍(20)은 해치 개구부(11)의 둘레에서 상부로 소정거리 연장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해치 코밍(20)은 선박의 운항 중 갑판(10)으로 밀려오는 해수가 해치 개구부(11)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해치 코밍(20)의 둘레 일측에는 개구된 케이블 유입구(70)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유입구(70)는 해치 코밍(20) 내,외부를 연통하도록 관통 형성된 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케이블 유입구(7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화물창(40) 내부에서 각종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용접, Grinding 등)에 사용되는 장비(90)와 연결되는 케이블(80)이 통과하는 경로를 이룬다.
케이블(80)은 화물창(40) 내부에서 운용하는 장비(90)에 전원 및 각종 신호를 전송하기 위한 전선 또는 용접 작업시 필요한 가스 공급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케이블 유입구(70)는 이러한 케이블(80)이 통과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을 가지도록 마련되고, 선박의 전진방향과 반대편 위치의 해치 코밍(20)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선박의 전진시 선체의 선수부에 부딪혀 상갑판으로 넘어오는 해수의 유입을 줄이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블 유입구(70)에는 구즈넥(gooseneck) 형태의 파이프(71)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파이프(71)는 케이블 유입구(70)에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져 그 입구(72)가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파이프(71)의 입구(72)에는 힌지축(73)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케이블 커버(74)가 마련되어 입구(7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커버(74)는 고정장치(60)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 커버 고정장치(75)를 통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케이블 커버(74) 내측 둘레에는 기밀을 위한 커버패킹(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해치 코밍(20)에는 케이블 커버(74)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케이블 커버(74)가 걸려 지지되는 스토퍼(77)가 마련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선박 운항 중 기상 조건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도 화물창(40) 내에 배치되는 장비(90)와 연결되는 케이블(80)은 해치 코밍(20)에 형성된 케이블 유입구(70)를 통해 화물창(40) 내로 진입될 수 있어 해치 커버(30)를 개방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이로 인한 빗물 또는 해수의 유입은 줄어들게 된다.
즉, 기존의 해치구조에서는 해치 커버(30)에 의해서만 화물창(40)이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게 됨에 따라 화물창(40) 내에서 긴급 작업이 필요한 경우 해치 커버(30)를 개방한 상태에서 케이블(80)은 화물창(40) 내부로 들어오게 된다.
따라서, 기상 조건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는 선박 운항 중 해치 커버(30)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빗물이나 선체에 부딪혀 상갑판으로 넘어오는 해수가 침투할 가능성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해치 코밍(20)에 별도의 케이블 유입구(70)가 구비됨에 따라 해치 커버(30)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그 틈새로 인하여 화물창(40) 내부로 빗물 또는 해수가 침투하는 현상은 방지되게 된다.
또한, 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마련된 구즈넥 형태의 파이프(71)를 구비한 경우에는 빗물 또는 해수의 유입은 더욱더 현저히 줄어들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케이블 커버(74)가 구즈넥 형태의 파이프(71)의 입구(72)를 개폐하도록 하였으나,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치 코밍(20)에 형성된 케이블 유입구(70)를 직접 개폐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블 유입구(70)를 통해 인입되는 케이블(80)은 케이블 커버(74)에 의해 그 상부가 커버됨에 따라 빗물 또는 해수의 유입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이러한 구조의 경우에는 케이블 유입구(70)는 선박의 전진방향과 반대편 위치의 해치 코밍(20)에 형성되는 것이 선호된다.
또한, 케이블 커버(74)는 케이블 유입구(70)를 개폐하도록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었으나, 이와 달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된 슬릿을 갖는 탄성재질의 막(78)으로 형성되어 케이블 유입구(70)를 덮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 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갑판, 11: 해치 개구부,
20: 해치 코밍, 30: 해치 커버,
40: 화물창, 50: 사다리,
60: 고정장치, 70: 케이블 유입구,
71: 구즈넥 파이프, 74: 케이블 커버,
80: 케이블, 90: 장비.

Claims (4)

  1. 갑판의 일측에 개구된 해치(hatch) 개구부;
    상기 해치 개구부 주위를 둘러 싸도록 상기 갑판에서 돌출되는 해치 코밍(hatch coaming);
    상기 해치 코밍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해치 개구부를 개폐하는 해치 커버(hatch cover);
    상기 해치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해치 개구부 내측으로 케이블의 인입을 위하여 상기 해치 코밍의 둘레 일측에서 관통 형성된 홀로 이루어진 케이블 유입구;
    상기 케이블 유입구에서 상기 해치 코밍의 둘레 외측으로 돌출되어 하향 절곡된 형태로 마련되어 그 입구가 하측을 향하도록 연장되는 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 유입구는 선박의 전진방향 반대편 위치의 상기 해치 코밍에 마련되는 선박의 해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의 입구를 개폐하는 케이블 커버를 더 포함하는 선박의 해치 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커버는 절개된 슬릿을 갖는 탄성재질의 막을 포함하는 선박의 해치 구조.
  4. 삭제
KR1020140004363A 2014-01-14 2014-01-14 선박의 해치 구조 KR101516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63A KR101516559B1 (ko) 2014-01-14 2014-01-14 선박의 해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4363A KR101516559B1 (ko) 2014-01-14 2014-01-14 선박의 해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2621A Division KR20130056954A (ko) 2011-11-23 2011-11-23 선박의 해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09A KR20140013109A (ko) 2014-02-04
KR101516559B1 true KR101516559B1 (ko) 2015-05-04

Family

ID=50263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4363A KR101516559B1 (ko) 2014-01-14 2014-01-14 선박의 해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55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425Y1 (ko) * 1997-02-27 1999-11-15 류정열 자동차 중간기둥 및 도어용 배선구멍커버
JP2005074103A (ja) * 2003-09-02 2005-03-24 Jms Co Ltd 医療用容器及び医療用ゴム栓
WO2011134888A1 (de) * 2010-04-30 2011-11-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ffsluk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425Y1 (ko) * 1997-02-27 1999-11-15 류정열 자동차 중간기둥 및 도어용 배선구멍커버
JP2005074103A (ja) * 2003-09-02 2005-03-24 Jms Co Ltd 医療用容器及び医療用ゴム栓
WO2011134888A1 (de) * 2010-04-30 2011-11-03 Siemens Aktiengesellschaft Schiffslu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3109A (ko) 2014-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663B1 (ko) 해치 커버
RU2695929C1 (ru) Обогревательный короб для судового оборудования
TWI649236B (zh) 具有可一體移動的船尾艙門的船艇
KR101516559B1 (ko) 선박의 해치 구조
KR20130056954A (ko) 선박의 해치 구조
KR20160000554U (ko) 앵커 수납 장치
KR102334439B1 (ko) 선체로부터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앵커의 인입 및 인출 방법
KR101540324B1 (ko) 선박용 맨홀 커버
KR20130007083U (ko) 환기구 개폐시스템
KR101682277B1 (ko) 협소한 공간에 적용이 가능한 문풀 해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130057642A (ko) 갑판 사다리 적재함을 구비한 선박
KR101487943B1 (ko) 쓰러스터 보호 장치
KR101391364B1 (ko) 해상구조물의 해치 잠금 장치
KR101524203B1 (ko) 커버장치
KR20150001180U (ko) 선박의 무어링 로프용 쵸크 개폐 장치
KR102205022B1 (ko) 선박용 해치 어셈블리
KR20130060493A (ko) 선박용 해치커버 개폐구조
KR101178261B1 (ko) 탈착식 핸들을 구비한 선박용 해치
KR20140003320U (ko) 선박용 스틸도어 휠 커버
KR20160002011U (ko) 벤틸레이터 기능을 갖는 계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200467422Y1 (ko) 선박용 도어의 잠금 장치
KR20170001616U (ko) 문풀의 접이식 가이드 어레이
KR20140003208U (ko) 와이어 로프 관통구멍의 수밀구조
KR20150002650U (ko) 안전사고의 방지를 위한 선박용 맨홀
KR200488331Y1 (ko) 세미리그의 도어 수밀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