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24203B1 - 커버장치 - Google Patents

커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24203B1
KR101524203B1 KR1020130099164A KR20130099164A KR101524203B1 KR 101524203 B1 KR101524203 B1 KR 101524203B1 KR 1020130099164 A KR1020130099164 A KR 1020130099164A KR 20130099164 A KR20130099164 A KR 20130099164A KR 101524203 B1 KR101524203 B1 KR 1015242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shaft
hole
cover
fixing
fix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9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053A (ko
Inventor
김재우
서영학
김재민
박성오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9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24203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2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2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9/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ports, doors, windows, port-holes, or other openings or covers
    • B63B19/12Hatches; Hatchways
    • B63B19/14Hatch cov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Underground Structures, Protecting, Testing And Restoring Foundations (AREA)

Abstract

커버를 일정 각도로 개방한 채 고정 가능한 커버 장치가 제공된다. 커버 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물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부, 개구부와 인접하여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에 힌지축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고정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지지부에 대응되며, 일측에 힌지축과 고정홀이 동시에 수용되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 및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커버장치{Cove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커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 각도로 개방한 채 고정 가능한 커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는 화물을 싣고 내리거나, 사람의 출입을 위한 다수개의 해치(hatch)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해치에는 침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커버가 설치되어 있다.
해치 커버는 일반적으로 힌지 구조로 결합이 되어 여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며, 해수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의 수밀 구조로 형성된다. 해치가 통상 데크(deck)에 형성되며, 해치 커버는 해치에 닫히게 되면 통상 데크와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해치 커버는 닫힌 상태에서 데크의 일부분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해치 커버는 충분한 강성을 유지하기 위해 통상 두꺼운 철판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해치 커버는 쉽게 개방되고, 개방된 상태에서 쉽게 고정되어 부주의에 의해 닫히지 않을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해치 커버는 개방된 상태에서 안전을 위하여 별도의 고정 장치(예를 들어 와이어 등)를 이용하여 고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해치 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들은 사용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고정구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07-0066681호, (2007.06.27)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일정한 각도로 개방한 채 고정 가능한 커버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버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물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여 상기 구조물로부터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커버장치는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물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커버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여 상기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에 힌지축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고정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며, 일측에 상기 힌지축과 상기 고정홀이 동시에 수용되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 및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가 개방되면, 상기 힌지축은 상기 장공의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고정홀은 타측단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힌지축의 직경과 상기 고정홀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장공은 상기 힌지축 및 상기 고정홀의 직경과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장공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어 보관되는 고정핀 보관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종 구조물의 개구부를 덮는 커버장치가 쉽게 개방되어 안전하게 고정되어, 외력에 의하여 갑작스럽게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조가 간단하여 각종 구조물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지며, 안전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버장치를 개방하여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커버장치가 개구부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버장치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커버장치가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과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은 더 효과적인 설명이 될 수 있도록 약간 과장된 상태로 도시 되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커버장치를 개방하여 A-A' 선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커버장치(1)는 구조물(A)에 힌지 결합되며,구조물(A)에 형성된 개구부(B)로부터 일정 각도 개방되어 쉽게 고정될 수 있어, 외력에 의해 갑자기 닫히는 것을 방지 할 수 있다.
커버 장치(1)는 커버부(10), 지지부(20), 연결브라켓(30) 및 고정핀(40)을 포함한다. 커버부(10)는 구조물(A)의 개구부(B)를 덮어 개구부(B)를 통하여 빗물이나 해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커버부(10)는 개구부(B)를 덮고 구조물(A)고 평행을 이룰 수 있는 평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0)와 개구부(B) 사이에는 패킹 등이 개재되어 커버부(10)와 개구부(B) 사이의 수밀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구조물(A)에는 개구부(B)를 따라 돌기가 형성되고 커버부(10)에는 홈이 형성될 수 있어, 외부로부터 빗물이나 해수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지지부(20)는 커버부(10)와 구조물(A)이 힌지결합되어 연결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부분으로서, 구조물(A)로부터 두께 이상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10)는 일측에 연결브라켓(30)이 형성된다. 연결브라켓(30)은 지지부(20)와 힌지결합하여, 커버부(10)가 개구부(B)를 여닫을 수 있도록 한다. 연결브라켓(30)은 일단부가 커버부(10)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지지부(20)와 결합한다. 연결브라켓(30)은 지지부(20)와 힌지축(100)에 의해 결합되며, 커버부(10)는 힌지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닫히거나 열리게 된다.
한편, 연결브라켓(30)에는 힌지축(100)이 결합되는 장공(300)이 형성되어 있다. 장공(300)은 열결브라켓(30)이 관통되며 커버부(10)의 법선방향(개구부의 면과 수직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홀이다. 장공(300)은 힌지축(100)의 이동 경로가 된다.
힌지축(100)은 일단부가 지지부(20)에 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연결브라켓(30)의 장공(300) 내부에 위치한다. 커버부(10)가 초기 개방시 수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면, 장공(300)의 일측에 접하였던 힌지축(100)은 장공(300)을 따라 이동하여 타측에 접할 수 있다.
이때, 커버부(10)가 개방된 상태에서 고정핀(40)을 이용하여 고정하게 된다. 고정핀(40)은 장공(300)을 관통하여 지지부(20)에 형성된 고정홀(200)에 삽입된다. 여기서, 고정홀(200)은 지지부(20)에 형성되어 커버부(10)가 특정 각도록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커버부(10)가 여러가지 각도로 고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 고정홀은(200)은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20) 또는 연결브라켓(30) 중 어느 하나에 고정핀(40)을 보관할 수 있는 고정핀 보관홀(40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핀 보관홀(400)은 연결브라켓(3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부(10)가 개구부(B)를 덮고 있는 경우, 고정핀(40)은 고정핀 보관홀(400)에 삽입되어 보관된다. 그리고, 연결브라켓(30)과 지지부(2)는 각각 커버부(10)와 구조물(A)에 용접되거나 볼트 등으로 고정될 수 있다.
고정핀(40)은 장공(300)을 관통하여 고정홀(200)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러한 고정핀(40)은 일반적인 평행핀이 사용될 수 있으나, 특수한 핀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결브라켓(30)이 지지부(20)와 쉽게 분리 또는 연결브라켓(30)이 지지부에 탄탄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핀의 말단부가 어느 한쪽방향으로 굽혀지는 토글핀(Toggle pin)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고정핀(40)은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며, 고정핀 보관홀(400)에 보관이 가능한 평행핀, 분할핀, 스프링 핀 등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다양한 종류의 핀이 사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고정핀(40)은 장공(300)의 타측 단부와 고정홀(200)이 중첩되었을 때, 장공(300)의 타측 단부를 관통하여 고정홀(200)에 삽입되어 연결브라켓(30)을 일정한 각도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커버장치가 개구부를 덮은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커버부(10)는 개구부(B)에 중첩되어 구조물(A)에 놓여진 상태이며, 이때 힌지축(100)은 장공(300)의 상측(도 3에 도시된 상태에서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커버부(10)는 하중의 대부분이 분산되어 구조물(A)에 지지된다. 이때, 고정핀(40)은 고정핀 보관홀(400)에 삽입되어 보관된다.
도 4는 도 2의 커버장치가 개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커버부(10)는 구조물(A)로부터 이탈되어 개방되는 초기에 전체적으로 장공(300)의 길이만큼 수직방향으로 평행이동한다. 통상, 커버부(10)와 구조물(A) 사이에는 수밀력을 높이기 위하여 돌기와 홈을 이용한 수밀구조를 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돌기가 홈을 빠져나올 수 있도록 일정 거리만큼 수직방향으로 평행이동할 필요가 있다.
커버부(10)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 연결브라켓(30)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면서, 힌지축(100)은 장공(300)의 하측(도 4에 도시된 상태에서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커버장치가 개방되어 고정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커버부(10)는 도 4의 상태에서 더 이상 수직방향으로 평행이동하지 못하고, 힌지축(100)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된다. 커버부(10)가 개방되면서 장공(300)은 일측에 힌지축(100)이 위치하게 되며, 타측은 점차 회전하여 고정홀(200)과 중첩될 수 있다. 이때, 고정핀 보관홀(400)에 삽입되어 있던 고정핀(40)을 뽑아 장공(300)과 중첩되어 있는 고정홀(200)에 삽입하여, 커버부(10)를 고정할 수 있다.
커버부(10)는 구조물(A)과 일정한 각도를 이루며 열린 채로 고정된다. 이때, 커버부(10)는 별도의 고정장치 없이 간단한 방법으로 개방된 채로 고정되며, 외력에 의해서 커버부(10)가 강제로 닫히지 않는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도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 커버장치 10: 커버부
20: 지지부 30: 연결브라켓
40: 고정핀 100: 힌지축
200: 고정홀 300: 장공
400: 고정핀 보관홀 A: 구조물
B: 개구부

Claims (4)

  1.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구조물의 상기 개구부를 덮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리거나 닫히는 커버부;
    상기 개구부와 인접하여 상기 구조물로부터 돌출되며, 일측에 상기 힌지축이 결합되고 상기 힌지축과 이격된 고정홀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지지부에 대응되며, 일측에 상기 커버부의 법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힌지축의 이동경로가 되고, 상기 힌지축과 상기 고정홀이 동시에 수용되는 장공이 형성된 연결브라켓; 및
    상기 장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핀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부가 상기 장공의 길이만큼 수직방향으로 평행 이동하여 상기 장공의 일 측에 상기 힌지축이 위치하고,
    상기 장공의 타 측은 회전하여 상기 고정홀과 중첩되도록 상기 커버부가 상기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개방되는 커버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의 직경과 상기 고정홀의 직경은 서로 동일하며, 상기 장공은 상기 힌지축 및 상기 고정홀의 직경과 동일한 폭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커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브라켓은 상기 장공에 인접하여 형성되며 상기 고정핀이 삽입되어 보관되는 고정핀 보관홀을 더 포함하는 커버장치.
KR1020130099164A 2013-08-21 2013-08-21 커버장치 KR1015242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64A KR101524203B1 (ko) 2013-08-21 2013-08-21 커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9164A KR101524203B1 (ko) 2013-08-21 2013-08-21 커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53A KR20150022053A (ko) 2015-03-04
KR101524203B1 true KR101524203B1 (ko) 2015-06-01

Family

ID=53020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9164A KR101524203B1 (ko) 2013-08-21 2013-08-21 커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242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721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커버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64B1 (ko) * 2015-06-04 2017-02-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107U (ko) * 1989-08-28 1991-04-12
JP3038107B2 (ja) * 1993-10-26 2000-05-08 株式会社ケーヒン はんだ付け検査方法
JP2001336335A (ja) * 2000-05-30 2001-12-07 Nifco Inc 蓋体開閉支持機構
KR101013096B1 (ko) * 2008-02-25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선박용 스몰 해치
KR101194378B1 (ko) * 2010-07-15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통풍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38107U (ko) * 1989-08-28 1991-04-12
JP3038107B2 (ja) * 1993-10-26 2000-05-08 株式会社ケーヒン はんだ付け検査方法
JP2001336335A (ja) * 2000-05-30 2001-12-07 Nifco Inc 蓋体開閉支持機構
KR101013096B1 (ko) * 2008-02-25 2011-02-14 (주)대성마린텍 선박용 스몰 해치
KR101194378B1 (ko) * 2010-07-15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통풍 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721A (ko) * 2020-12-31 2022-07-07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커버 구조
KR102474725B1 (ko) 2020-12-31 2022-12-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커버 구조
KR20220166224A (ko) * 2020-12-31 2022-12-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커버 구조
KR20220166229A (ko) * 2020-12-31 2022-12-1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커버 구조
KR102517861B1 (ko) 2020-12-31 2023-04-04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커버 구조
KR102585941B1 (ko) 2020-12-31 2023-10-06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커넥터 커버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053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147210B2 (ja) 管状体のロック機構
KR101524203B1 (ko) 커버장치
KR20120125719A (ko) 선박용 앵커링시스템의 체인록커에 구비되는 케이블 클렌치 구조물
KR101177850B1 (ko) 컨테이너 화물창의 해치 커버
KR200473446Y1 (ko) 선박용 루버장치
KR20140042213A (ko) 선박용 맨홀 커버
KR20120005955U (ko) 수밀형 해치를 갖춘 맨홀 커버의 구조
KR20120002682A (ko) 선체의 외판 내측에 계류윈치가 설치된 선박
KR102205022B1 (ko) 선박용 해치 어셈블리
FI126723B (en) Cargo hatch on ships and cargo hatch set using the same
KR20130056954A (ko) 선박의 해치 구조
KR102400054B1 (ko) 스프레드 무어링 설비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 부유 구조물
KR101378965B1 (ko) 월 해치 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JP6413112B2 (ja) キャビネット構造
KR20150000588U (ko)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KR200483075Y1 (ko) 케이블 트레이
US938593A (en) Water-tight hatch or manhole cover.
KR102400003B1 (ko) 문풀 가이드 어레이의 감파기구
KR101391364B1 (ko) 해상구조물의 해치 잠금 장치
KR101417378B1 (ko) 개방 각도가 제어되는 힌지 도어
KR101915116B1 (ko) 선박 건조용 반목 장치
KR101178261B1 (ko) 탈착식 핸들을 구비한 선박용 해치
KR20190001586U (ko) 선박의 초크 차수판
KR200469258Y1 (ko) 갑판 배수구 캡
KR101083996B1 (ko) 선박용 도어의 도그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