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0588U -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 Google Patents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0588U
KR20150000588U KR2020130006299U KR20130006299U KR20150000588U KR 20150000588 U KR20150000588 U KR 20150000588U KR 2020130006299 U KR2020130006299 U KR 2020130006299U KR 20130006299 U KR20130006299 U KR 20130006299U KR 20150000588 U KR20150000588 U KR 2015000058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y
crossover
hatch
escap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62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범
장진열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62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0588U/ko
Publication of KR2015000058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058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02Ram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1/00Stairways, ramps, or like structures; Balustrades; Handrails
    • E04F11/02Stairways; Layouts thereof
    • E04F11/04Movable stairways, e.g. of loft ladders which may or may not be concealable or exten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7/00Temporary arrangements for giving access from one level to another for men or vehicles, e.g. steps, ra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에스케이프 웨이의 경로상에 조작이 필요한 조작장비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크로스 오버웨이를 설치하고, 그 크로스 오버웨이에 열고 닫을 수 있는 해치를 설치함으로써 에스케이프 웨이 경로수정 또는 조작장치 설치 위치 변경을 하지 않고서 해치가 달린 크로스 오버웨이를 에스케이프 웨이로서 설치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Cross over way for escpe way on deck of ship}
본 고안은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에스케이프웨이(Escpe Way)의 간섭을 피하여 장비 메터리얼 핸들링이 가능하도록 크로스 오버 웨이에 해치를 설치한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에서는 작업자의 이동 또는 지게차나 대차 등 이동체의 이동을 위한 에스케이프 웨이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해치나, 펌프 및 기타 장비들이 노출 설치된 경우 및 이웃하는 탱크간의 오염차단을 위하여 코밍이 설치된다. 이러한 돌출물들이 있는 경우 에스케이프 웨이는, 돌출물들을 덮고서 이동로를 형성하는 크로스 웨이로 설치된다.
그런데, 드레인 플러그나, 로즈 박스(ROSE BOX)등 장비들이 설치된 경우 이를 타고 넘는 크로스 오버웨이를 설치해야 하는데, 크로스 오버웨이는 단순히 덮개 형태로 설치되기 때문에 하부의 드레인 플러그 조작이 불편하여 메터리얼 핸들링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10-2011-0007656호(2011.01.25)
본 고안은 종래의 크로스 오버웨이의 단점을 개선하고자 크로스 오버웨이에 힌지 타입 해치를 설치하여 열고 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크로스 오버 웨이의 아래에 설치된 장비들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는,
선박의 오일 코밍부재 또는 드레인 플러그와 로즈 박스와 같은 조작 장비들의 위를 넘도록 양측의 경사 플레이트 및 두 경사플레이트 사이의 수평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에스케이프 웨이(ESCPEWAY)로서 설치되는 크로스 오버웨이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플러그와 로즈 박스와 같은 장비의 상부를 덮어 통과하는 크로스 오버웨이에 개폐가 가능한 해치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오버웨이의 해치는, 크로스 오버웨이 수평 플레이트에 힌지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오버웨이의 해치는, 크레스 오버웨이의 경사 플레이트와 수평 플레이트에 각기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의 데크 상에 장비들이 설치되는 경우, 에스케이프 웨이로서 상기 장비들의 위를 타고 넘는 크로스 오버웨이가 설치되고, 크로스 오버웨이 상에 열고 받을 수 있는 해치가 설치되므로, 해치를 열고 장비들을 수동 조작할 수 있어서, 에스케이프 웨이 경로상에도 수동 조작이 필요한 장비들도 설치가 가능하므로 효율적으로 공간 활용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 오버웨이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 오버웨이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 오버웨이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크로스 오버웨이 평면도이고, 도 2는 측면도, 도 3은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의 오일 코밍부재(1) 또는 드레인 플러그와 로즈 박스와 같은 조작 장비(50)들의 위를 넘도록 양측의 경사 플레이트(10)(20) 및 두 경사플레이트(10)(20) 사이의 수평플레이트(30)로 이루어져 에스케이프 웨이(ESCPEWAY)로서 설치되는 크로스 오버웨이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플러그와 로즈 박스와 같은 조작장비(50)의 상부를 덮어 통과하는 크로스 오버웨이에 개폐가 가능한 해치(1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오버웨이의 해치(100)는, 크로스 오버웨이 수평 플레이트(30)에 힌지(12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크로스 오버웨이의 해치(100)는, 크레스 오버웨이의 양측의 경사 플레이트(10)(20)중 어느 한쪽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30)에 각기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의 데크 상에는 에스케이프웨이(탈출로)가 확보되어야 한다. 또한 선박 종류에 따라서는 데크상에 오일코밍(1)이 돌출 설치되거나, 데크 상에 배관의 드레인 플러그나 로즈 박스와 같은 조작 장비들이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하여 오일 코밍부재나 장비들이 설치된 위치는 오일코밍 부재 및 장비들의 위를 넘는 크로스 오버웨이가 설치된다.
그런데, 크로스 오버웨이가 설치된 하부에 조작장치, 예를들어 드레인 플러그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드레인 플레그에 외부 장비를 연결하는 조작작업이 필요하게 되나, 크로스 오버웨리로 인하여 조작이 용이하지 못하다. 그러므로 종래에는 에스케이프 웨이의 경로를 상기한 장비들이 설치된 위치를 비켜가도록 형성하거나, 에스케이프 웨이 경로 변경이 어려운 경우 장비 설치 위치를 변경해야 한다. 그러므로 공간적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에스케이프 웨이로서 크로스 오버웨이를 설치한 경우, 크로스 오버웨이의 하부에 설치되는 조작 장비(50)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크로스 오버웨이 상에 열고 닫을 수 있는 해치(100)를 설치한 것이다.
크로스 오버웨이(100)는, 양측의 경사 플레이트(10)(20)와 두 경사 플레이트(10)(20)를 이어주는 수평 플레이트(30)로 구성되며, 일측의 경사 플레이트(10) 발판 플레이트(11)의 중간 하부에 지지용 러그(41)가 설치되고, 상단 하부에는 앵클 지지부(42)가 설치되어 경사지게 설치되며, 다른쪽의 경사 플레이트(20)는 중간 하부에는 러그가 설치되고, 상단 하부에는 오일코밍(1)의 상단에 고정부재를 통해 고정설치된다. 수평 플레이트(30)는 상기 양측의 경사 플레이트(10)(20)의 상단면에 맞대어져 결합되는데, 앵클 지지부(42) 오일코밍부재(1)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수평 플레이트(30)의 양단 하면에 지지되어 고정설치된다.
상기 경사 플레이트(10)(20)의 상면에는 다수의 미끄럼 방지턱(14)이 형성되고, 양측면 상하부에는 지지 플레이트(12)(13)가 설치되며, 하부 지지플레이트(13)를 수평으로 지지하는 지지바(13a)가 하면에 형성된다. 마찬가지로 수평플레이트(30)에도 발판 플레이트(31)의 양측 상하단에 지지플레이트(32)(33)가 형성된다. 여기서, 도 1에는 일측면에만 측면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된 구성을 보이고, 도 2에는 상하면에 측면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보이며, 도 3에는 상면에만 측면 지지플레이트가 설치된 것을 보이고 있으나, 이는 설치환경이나 위치상 선택적 사항으로 본 고안에서는 어느 하나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일반적인 크로스 오버웨이 구조를 채용하고, 상면에 열고 닫을 수 있는 해치를 설치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해치(10)는, 수평 플레이트(100)의 일측부에 소정 크기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개구부를 막는 도어(110)가 힌지(120) 결합으로 설치되어 열고 닫을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편, 상기 해치(100)는 수평 플레이트(30) 상에 설치한 것을 예시 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경사 플레이트(10)(20) 중 어느 한쪽에 설치하거나, 경사플레이트(10)(20)와 수평플레이트(30)에 모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한 해치(100)를 열고 닫을 수 있는 도어(110)로 설치함으로써, 그 하부에 설치되는 드레인 플러그와 같은 조작 장비(50)들을 도어(110)를 열고 조작할 수 있게 된다. 즉, 평상시 에스케이프 웨이로서 통로를 확보하고, 장비 조작이 필요할때 해치를 열어 장비를 조작할 수 있으므로, 에스케이프 웨이 경로를 위하여 조작장비의 설치 위치를 변경할 필요가 없으며, 설계상 가장 효과적인 데크 위치에 조작장비들을 설치할 수 있고, 이러한 조작장비들이 설치된 위치에는 에스케이프 웨이를 본 고안의 해치가 달린 크로스 오버웨이를 설치함으로써 공간 활용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20 : 경사 플레이트 11, 31 : 발판 플레이트
12, 13, 32, 33 : 지지 플레이트 14 : 미끄럼 방지턱
30 : 스평 플레이트 41 : 러그
42 : 앵글 지지부 100 : 해치
110 : 도어 120 : 힌지

Claims (3)

  1. 선박의 오일 코밍부재(1) 또는 드레인 플러그와 로즈 박스와 같은 조작 장비(50)들의 위를 넘도록 양측의 경사 플레이트(10)(20) 및 두 경사플레이트(10)(20) 사이의 수평플레이트(30)로 이루어져 에스케이프 웨이(ESCPEWAY)로서 설치되는 크로스 오버웨이에 있어서,
    상기 드레인 플러그와 로즈 박스와 같은 조작장비(50)의 상부를 덮어 통과하는 크로스 오버웨이에 개폐가 가능한 해치(10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오버웨이의 해치(100)는,
    크로스 오버웨이 수평 플레이트(30)에 힌지(120)에 의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 오버웨이의 해치(100)는,
    크레스 오버웨이의 양측의 경사 플레이트(10)(20)중 어느 한쪽과 상기 수평 플레이트(30)에 각기 개폐 가능한 도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KR2020130006299U 2013-07-29 2013-07-29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KR2015000058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99U KR20150000588U (ko) 2013-07-29 2013-07-29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6299U KR20150000588U (ko) 2013-07-29 2013-07-29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0588U true KR20150000588U (ko) 2015-02-06

Family

ID=525712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6299U KR20150000588U (ko) 2013-07-29 2013-07-29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058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445A (ko) * 2015-03-20 2016-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코밍 어셈블리
CN111996898A (zh) * 2020-09-04 2020-11-27 中启胶建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用支撑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13445A (ko) * 2015-03-20 2016-09-29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코밍 어셈블리
CN111996898A (zh) * 2020-09-04 2020-11-27 中启胶建集团有限公司 一种工程用支撑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Z776896A (en) Insulating container
WO2017110470A1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プロテクタ
JP2016525861A (ja) 電気設備のための封止体
KR20150000588U (ko) 선박 데크 상의 에스케이프 웨이를 위한 크로스 오버웨이
KR200473446Y1 (ko) 선박용 루버장치
US20140111075A1 (en) Electrical Housing with Laterally-Pivoting Hood
JP6872955B2 (ja) 船舶
KR101614059B1 (ko) 선박용 파일럿 도어장치
KR101540324B1 (ko) 선박용 맨홀 커버
KR20120126270A (ko) 컨테이너 선박
US11338830B2 (en) Underfloor duct
KR101682277B1 (ko) 협소한 공간에 적용이 가능한 문풀 해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US10110992B2 (en) Terminal device
KR101524203B1 (ko) 커버장치
JP5703400B2 (ja) ハッチカバー及びハッチカバー装着アセンブリ
KR20140062234A (ko) 선박의 폐쇄형 브리지윙 구조
CN204806808U (zh) 门体自锁装置及冰箱
KR20180000891U (ko) 선폭방향으로 해치커버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KR20140029642A (ko) 선박의 매입형 해치 장치
KR101417378B1 (ko) 개방 각도가 제어되는 힌지 도어
KR20140056605A (ko) 선박용 해치커버 패킹구조
KR101391364B1 (ko) 해상구조물의 해치 잠금 장치
KR20120128424A (ko) 통행가능한 선박용 통풍장치
KR20200031390A (ko)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배수 시스템
JP6372063B2 (ja) ド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