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26270A - 컨테이너 선박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26270A
KR20120126270A KR1020110043933A KR20110043933A KR20120126270A KR 20120126270 A KR20120126270 A KR 20120126270A KR 1020110043933 A KR1020110043933 A KR 1020110043933A KR 20110043933 A KR20110043933 A KR 20110043933A KR 20120126270 A KR20120126270 A KR 201201262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ace
container ship
ship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3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은엽
양현용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43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126270A/ko
Publication of KR201201262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62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킨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양수단을 설치하여 거주구의 하부를 화물창으로 사용하므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주구 하부의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하할 수 있는 인양수단이 설치된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선박{container ship}
본 발명은 공간의 활용도를 향상시킨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양수단을 설치하여 거주구의 하부를 화물창으로 사용하므로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선박은 엔진케이싱과 거주구가 별도로 설치될 경우 공간활용도를 높이기 위하여 거주구를 포함한 갑판실은 선수부에 배치되고 엔진케이싱는 선미에 배치되도록 건조되고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 선박의 거주구 하부는 주로 선박의 운항에 사용되는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유탱크(Fuel Oil Tank)가 설치된다.
하지만 거주구 하부의 공간에 연료유탱크가 설치되므로 선박의 공간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선박의 거주구 하부의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하역할 수 있는 인양수단을 설치하므로 거주구의 하부를 화물창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양수단으로 접이식 크레인을 구비하므로 컨테이너를 거주구 하부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접이식 크레인이 거주구 하부의 외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빔이 형성되므로 컨테이너를 용이하고 충격 없이 거주구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된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상기 빔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이동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된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거주구 하부의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하할 수 있는 인양수단이 설치된 컨테이너 선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거주구 하부에 설치된 접이식 크레인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거주구 하부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크레인의 이동 가능거리를 늘려주도록 형성된 빔이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빔은 상기 거주구 하부의 테두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선박의 거주구 하부의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재하고 하역할 수 있는 인양수단을 설치하므로 거주구의 하부를 화물창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인양수단으로 접이식 크레인을 구비하므로 컨테이너를 거주구 하부의 공간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접이식 크레인이 거주구 하부의 외부까지 이동할 수 있도록 된 빔이 형성되므로 컨테이너를 용이하고 충격 없이 거주구 하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상기 빔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크레인의 이동시 간섭을 받지 않는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선박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의 일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을 절개한 전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B-B선을 절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주구(10)가 선수에 위치해 있고 엔진케이싱(40)이 선미에 위치하고 있으며 화물창(20) 상부의 해치커버(22) 상부에도 컨테이너(C)가 적재된다.
상기 선수에 위치하고 있는 거주구(10)는 양측에 해치커버(22)가 설치된다. 상기 해치커버(22)는 화물창(20)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며 컨테이너(C)를 화물창(20) 내부에 적재하기 위하여 개방이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해치커버(22)는 해치커버(22)의 상부에 다시 컨테이너(C)를 적재해야 하므로 충분한 강도를 갖는 강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화물창(20)에는 상기 거주구(10) 하부로 컨테이너(C)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인양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인양수단(30)은 상기 거주구(10) 하부의 화물창(20)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접이식 크레인(34)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접이식 크레인(34)은 상기 거주구(10) 하부의 화물창(20) 천장을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인양수단(30)은 상기 거주구(10) 하부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되는 빔(32)이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빔(32)에는 상기 접이식 크레인(34)이 이동하면서 거주구(10) 하부의 테두리를 벗어나 외측까지 연장되어 컨테이너(C)의 이동이 편리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빔(32)은 컨테이너의 적재시 콘테이너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상기 거주구(10) 하부의 테두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종래에 거주구(10) 하부에 해당하는 공간에 설치되어 있던 연료유탱크는 선수의 보이드 스페이스에 옮겨 형성하므로 거주구(10) 하부의 공간을 컨테이너(C) 적재공간으로 활용하고 빈 상태인 보이드 스페이스를 연료유탱크로 사용하므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보이드 스페이스에 연료탱크를 별도로 설치하였지만 선박별 특성에 따라 연료유탱크의 배치를 변동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는 선박에 고정된 연료유탱크를 예시하고 있지만 필요에 따라 연료유공급라인에 컨테이너형식의 연료유탱크를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연료유탱크를 컨테이너 형식으로 구비하면 연료유탱크의 위치를 구속받지 않기 때문에 선박의 레이아웃에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선박을 이용한 컨테이너의 적재작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부두에 설치되어 있는 대형크레인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선박의 화물창(20) 바닥부터 적재한다. 이 때 해치커버(22)는 개방된 상태이고 아울러 인양수단(30)의 빔(32)은 들어올리거나 내려져 컨테이너의 이동경로를 방해하지 않도록 구비된다.
상기 화물창(20)의 내부에 컨테이너(C)가 만재되면 접이식 크레인(34)을 이용하여 컨테이너(C)를 거주구(10)의 하부로 이동시킨다. 이 때 접이식 크레인(34)의 이동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빔(32)을 회동시키고 상기 빔(32)을 따라 접이식 크레인(34)이 거주구(10) 하부 테두리의 외부까지 이동하여 컨테이너(C)를 거주구(10)의 하부로 용이하게 충격이 없이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거주구(10)의 하부에 컨테이너(C)가 만재되면 빔(32)을 다시 일측으로 회동시켜 컨테이너(C)의 이동경로가 방해받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컨테이너(C)를 다시 화물창(20)에 적재한다. 화물창(20)의 내부가 컨테이너(C)로 만재되면 해치커버(22)를 덮고 해치커버(22) 위에 다시 컨테이너(C)를 적재한다.
따라서 상기 거주구(10) 하부의 공간도 화물창(20)의 일부로 활용하므로 공간활용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10 : 거주구 20 : 화물창
30 : 인양수단 40 : 엔진케이싱
C : 컨테이너

Claims (4)

  1. 거주구 하부의 공간에 컨테이너를 적하할 수 있는 인양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양수단은 상기 거주구 하부에 설치된 접이식 크레인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거주구 하부의 테두리에서 외측으로 연장형성되어 상기 접이식 크레인의 이동 가능거리를 늘려주도록 형성된 빔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빔은 상기 거주구 하부의 테두리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선박.
KR1020110043933A 2011-05-11 2011-05-11 컨테이너 선박 KR201201262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33A KR20120126270A (ko) 2011-05-11 2011-05-11 컨테이너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3933A KR20120126270A (ko) 2011-05-11 2011-05-11 컨테이너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6270A true KR20120126270A (ko) 2012-11-21

Family

ID=47511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3933A KR20120126270A (ko) 2011-05-11 2011-05-11 컨테이너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12627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04A1 (ko) * 2015-03-03 2016-09-09 한국가스공사 Lng 탱크 컨테이너 운송선박 및 이를 이용한 운송방법
KR20160003657U (ko) 2015-04-13 2016-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70009079A (ko) 2015-07-15 2017-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
KR20190042411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속비대선형 컨테이너 운반선
KR20220021299A (ko) 2020-08-13 2022-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40404A1 (ko) * 2015-03-03 2016-09-09 한국가스공사 Lng 탱크 컨테이너 운송선박 및 이를 이용한 운송방법
RU2668778C1 (ru) * 2015-03-03 2018-10-02 Корея Гэс Корпорейшн Судн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контейнеров-цистерн для спг и способ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данного судна
US10308326B2 (en) 2015-03-03 2019-06-04 Korea Gas Corporation LNG tank container transport ship, and transport method using same
KR20160003657U (ko) 2015-04-13 2016-10-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KR20170009079A (ko) 2015-07-15 2017-01-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 선
KR20190042411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속비대선형 컨테이너 운반선
KR20190042414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속비대선형 컨테이너 운반선
KR20190042417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속비대선형 컨테이너 운반선
KR20190042418A (ko) * 2017-10-16 2019-04-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저속비대선형 컨테이너 운반선
KR20220021299A (ko) 2020-08-13 2022-02-2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26270A (ko) 컨테이너 선박
KR101162981B1 (ko) 문풀의 저항 저감장치
CN104379490B (zh) 包括起重机和位于起重机的主体中且用于保持和堆叠舱口盖的底座的在港口操作中装载和卸载的系统
KR20180053270A (ko) 컨테이너선, 및 컨테이너의 하역방법
JP5982523B1 (ja) 二種類の荷役装置による同時荷役貨物船
NO770052L (no) Forbedret skrog for lasteskip.
US9340268B2 (en) Floor device capable of up-down movement for vessels
KR101429611B1 (ko)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선박 및 공기탱크를 이용하여 선박의 부력 및 흘수를 조절하는 방법
KR101267995B1 (ko) 데크 하우스 구조가 개선된 컨테이너선
KR20180000891U (ko) 선폭방향으로 해치커버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KR20230069027A (ko) 컨테이너 적재 보조장치, 이를 구비한 컨테이너 운반선 및 컨테이너 하역방법
KR101110728B1 (ko) 선박의 해치커버 탑재 구조
EP2907738B1 (en) Cargo loading ship and method of performing the same
KR101642391B1 (ko) 화물 적재 선박
KR101595477B1 (ko)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JP2012153334A (ja) 船舶
KR20110000590U (ko) 개방형 횡격벽 구조를 갖는 화물 운반선
KR20140040953A (ko) 선박
KR20090126782A (ko) 컨테이너 선박
KR20120122061A (ko) 선박용 컨테이너 지지블럭
KR20180000929U (ko) 선폭방향으로 화물창 바닥 플레이트가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선
KR20110094385A (ko) 다층 갑판을 갖춘 선박의 선미 구조
FI122226B (fi) Vesialus
KR101358151B1 (ko) 선박 및 이를 도킹시키는 방법
JP6174087B2 (ja) 2層甲板船のポンツーンハッチカバー格納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