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9602A -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9602A
KR19980049602A KR1019960068332A KR19960068332A KR19980049602A KR 19980049602 A KR19980049602 A KR 19980049602A KR 1019960068332 A KR1019960068332 A KR 1019960068332A KR 19960068332 A KR19960068332 A KR 19960068332A KR 19980049602 A KR19980049602 A KR 19980049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net stay
fixing
bonnet
stay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8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승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60068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9602A/ko
Publication of KR19980049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602A/ko

Links

Landscapes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룸 뚜껑인 보닛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보닛 스테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는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닛 스테이(2)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 룸의 측벽을 이루는 사이드 패널(6)에 중앙부가 이격되게 부착되는 평판형의 브래킷(7)과, 상기 브래킷(7)의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핀(8)과, 상기 고정핀(8)에 끼워지는 고정공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보닛 스테이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환형의 고정단(2a)과, 상기 고정핀(8)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보닛 스테이(2)의 고정단(2a)이 상기 고정핀(8)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너트(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닛 스테이 설치시, 보닛 스테이에 대한 조립공수를 낮출 수 있으며, 엔진 룸이 단순화되어 외관미도 향상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본 발명은 자동차의 엔진 룸 뚜껑인 보닛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 수 있는 보닛 스테이를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 특히 승용차의 차체 앞부분에는 엔진, 트랜스미션, 냉각장치, 발전기등과 같은 자동차의 동력 생성원이 되는 주요 장치가 설치되는 엔진 룸이 배치된다. 그리고 엔진 룸 위에는 보닛이 설치되어 상기의 장치들을 보호하는 뚜껑으로서 기능을 한다.
상기한 보닛은 엔진 룸내의 장치들의 보수 정비를 위해서, 또는 소모품의 교환이나 보충을 위해서 용이하게 개폐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보닛은 평판 구조물로 차체에 힌지되어 개폐가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보닛은 운전석에서 레버나 노브로 로크를 해제하고 손가락으로 후크를 벗긴 후 열도록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한편, 일반적으로 승용차의 보닛의 개폐 형식은 프런트 엔진의 자동차의 경우, 힌지가 뒤에 있어 보닛 앞에서 위쪽으로 올려 열도록 되어 있는 전개(前開)방식과, 역으로 뒤에서 여는 후개(後開)방식의 두가지 형식이있다. 최근의 자동차는 대개 전자의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의 힌지는 두가지 형식 공히 단순한 링크식으로 하고 있다.
이렇게 힌지 형식으로 설치되어 위로 들어올려 여닫게 되는 보닛에는 첨부된 도면의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룸의 보수 작업시에 작업자의 편의를 위해 보닛(1)을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한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2)가 추가로 구비된다.
보닛 스테이(2)는 긴 봉재로, 종래에는 첨부한 도면의 도 1 의 확대도인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 룸의 전방벽을 이루는 슈라우드 업 패널(1)의 상면에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에 의하여 슈라우드 업 패널상에 고정되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보닛(2)이 위로 들어 올려져 있는 상태에서 슈라우드 업 패널(3)에 뉘여져 있는 보닛 스테이(2)를 세워 그 상단부의 스테이 홀더(미도시)를 보닛(2) 끝단의 삽입홈(미도시)에 끼워, 보닛 스테이(2)가 세워진 상태에서 보닛을 지지하게 하므로써, 보닛(3)이 열린 상태로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래킷(4)을 적어도 2 개의 볼트로 체결하여 보닛 스테이(2)를 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이 필요하여 조립공수를 증가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뿐만 아니라,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브래킷(4)과 보닛 스테이(2) 사이의 마찰음을 없애기 위하여,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흡수재인 스페이서(5)가 추가로 설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제조원가도 높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가 가진 문제점이 해소된 것으로, 보닛 스테이를 사이드 패널상에서 전후로 회전되게 하면서 하나의 너트 체결로만 고정시킬 수 있어서, 보닛 스테이에 대한 조립공수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에 의하여 고정된 보닛 스테이의 사용상태도.
도 2 는 종래의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3 은 종래의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에 사용되는 보닛 스테이 끝단의 확대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에 의하여 고정된 보닛 스테이의 사용상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의 구조를 보인 도 5 의 A-A 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보닛 스테이, 2a : 고정단, 6 : 사이드 패널, 7 : 브래킷, 8 : 고정핀, 9 : 너트, 10 : 완충 러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는,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닛 스테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 룸의 측벽을 이루는 사이드 패널에 중앙부가 이격되게 부착되는 평판형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끼워지는 고정공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보닛 스테이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환형의 고정단과, 상기 고정핀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보닛 스테이의 고정단이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는, 상기 고정단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단의 양측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흡수하는 원환형의 완충러버를 포함하면, 고정단 마찰부분의 마찰음 및 진동을 흡수할 수 있으며, 상기 브래킷과 상기 고정핀은 각각 사이드 패널에 용접·부착되거나 상기 브래킷에 리벳팅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서두에서 설명된 종래의 기술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며, 명료성을 위하여 가능한 종래와 중복되지 않게 개선된 부분만을 주로하여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에 의하여 고정된 보닛 스테이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의 구조를 보인 도 5 의 A-A 선 단면도이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보닛 스테이(2)는 엔진 룸의 측벽을 이루는 사이드 패널(6)의 측면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닛 스테이(2)가 이러한 전후 회전구조를 갖게 고정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 기구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이드 패널(6)에 부착되는 브래킷(7)과, 이 브래킷(7)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핀(8)과, 상기 고정핀(8)에 끼워지는 보닛 스테이(2) 하단부에 설치된 원환형의 고정단(2a), 상기 고정단(2a)이 끼워진 상태에서 고정단(2a)에 체결되는 너트(9), 그리고, 상기 고정단(2a)의 양측에 삽입되는 완충러버(1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브래킷(7)은 중앙이 불룩한 평판으로, 그 양단이 사이드 패널(6)에 용접·부착된다.
상기 고정핀(8)은 끝단에 나사부가 형성된 것으로, 상기 브래킷(7)에 리벳팅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기 고정단(2a)은 보닛 스테이(2)의 하단부에 일체형으로 설치된 것으로, 양단에 마찰흡수재인 완충 러버(10)를 구비한 채로 상기 고정핀(8)에 끼워져 보닛 스테이(2)를 회전가능하게 힌지고정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각 구성에 의한 보닛 스테이(2)의 고정작업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 고정된다.
먼저, 브래킷(7)을 사이드 패널(6)에 용접부착하고, 이 브래킷(7)에 고정핀(8)이 리벳팅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고정핀(8)에 보닛 스테이(2)의 고정단(2a)을 양측에 완충 러버를 개재한 채로 끼운 후, 고정핀(8)의 끝단에 너트(9)를 체결하면, 보닛 스테이(2)가 고정핀(8)에 너트에 의하여 이탈되지 않게 힌지 고정되어 보닛 스테이(2)에 대한 고정작업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에 의하면, 보닛 스테이를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어서 보닛 스테이에 대한 조립공수를 낮출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보닛 스테이가 사이드 패널의 내벽에 감춰지게 되어 외관미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4)

  1.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보닛 스테이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엔진룸의 측벽을 이루는 사이드 패널에 중앙부가 이겨되게 부착되는 평판형의 브래킷과, 상기 브래킷의 중앙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고정핀과, 상기 고정핀에 끼워지는 고정공을 가지는 것으로, 상기 보닛 스테이의 하단에 설치되는 원환형의 고정단과, 상기 고정핀의 끝단에 체결되어 상기 보닛 스테이의 고정단이 상기 고정핀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단의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정단의 양측에서 발생되는 마찰을 흡수하는원환형의 완충러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사이드 패널에 용접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상기 브래킷에 리벳팅으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KR1019960068332A 1996-12-20 1996-12-20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KR19980049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32A KR19980049602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8332A KR19980049602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602A true KR19980049602A (ko) 1998-09-15

Family

ID=66444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8332A KR19980049602A (ko) 1996-12-20 1996-12-20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960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660A (ko) * 2014-02-05 2015-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 커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2660A (ko) * 2014-02-05 2015-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해치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7621A (en) Multiposition hinge
JP2001277849A (ja) 自動車用ドア構造
EP1621383B1 (en) Door
KR19980049602A (ko)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JP2592723Y2 (ja) 可動屋根パネル駆動装置の取付構造
KR0135382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의 취부구조
KR200146728Y1 (ko) 자동차의 글로브박스 힌지구조
KR200161587Y1 (ko) 승합차용 보닛 힌지(Bonnet hinge for a van)
JPH08142676A (ja) 車両用ドア構造
KR0135391Y1 (ko)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JP3105731B2 (ja) テールゲートディフレクタの取付構造
KR100262052B1 (ko) 자동차의 윈도우 레귤레이터 모터 고정구조
KR100803827B1 (ko) 차량용 도어의 아웃사이드핸들 어셈블리
KR0133906Y1 (ko) 사이드 도어용 가니쉬
KR100201459B1 (ko) 자동차 후문의 힌지부 보강구조
KR0134408B1 (ko) 차량의 와이퍼 모터 고정브라켓
KR19980027885U (ko)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KR19980021818U (ko)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JP3642960B2 (ja) 自動車用ドアクロージャ装置の駆動ユニット
KR19980062820A (ko) 화물차량의 본네트 힌지장치
KR0125305Y1 (ko) 자동차도어용 힌지의 체결구조
KR0112906Y1 (ko) 승합차량의 뒷좌석 쿨라(Cooler) 장착구조
KR0128841Y1 (ko) 자동차 트렁크 리드 힌지의 체결구조
JPH0519252Y2 (ko)
JPH0891120A (ja) 自動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