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391Y1 -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391Y1
KR0135391Y1 KR2019960019259U KR19960019259U KR0135391Y1 KR 0135391 Y1 KR0135391 Y1 KR 0135391Y1 KR 2019960019259 U KR2019960019259 U KR 2019960019259U KR 19960019259 U KR19960019259 U KR 19960019259U KR 0135391 Y1 KR0135391 Y1 KR 01353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panel
hinge
vehicle body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2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589U (ko
Inventor
최규선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600192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391Y1/ko
Publication of KR9800025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5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3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3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2Hinges with pins with one pi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7/00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 E05C17/0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 E05C17/04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 E05C17/12Devices for holding wings open; Devices for limiting opening of wings or for holding wings open by a movable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Braking devices, stops or buffers, combined therewith by mechanical means with a movable bar or equivalent member extending between frame and wing consisting of a single ro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60Mounting or coupling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600/626Plates or bracke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엔진룸의 일상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후드 개폐장치는 카울 패널(4)과 쉬라우드 패널(8)의 사이에 후드(2)를 설치하고, 이 후드를 개폐 가능하게 구성한다. 상기 후드의 양측 임의의 위치에는 힌지 브라켓(16)의 일단이 고정된다. 이 힌지 브라켓의 타단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보강 사이드 레일(18)에 힌지(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는 힌지 브라켓과 서브 브라켓이 결합된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차체의 상방향으로 개방된다. 또, 상기 쉬라우드 패널에는 상기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지지하는 스테이(24)가 설치된다.

Description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소형 승합차의 프론트 차체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후드 개폐장치를 갖는 소형 승합차의 프론트 차체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후드 개폐장치를 갖는 소형 승합차의 프론트 차체 구조를 보인 평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를 보인 일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후드 4 : 카울 패널
4a : 어퍼 카울 패널 4b : 로어 카울 패널
5 : 윈드 실드 글라스 6 : 프론트 범퍼
8 : 쉬라우드 패널 10 : 어퍼 대시 패널
12 : 대시 크로스 멤버 14 : 로어 대시 패널
16 : 힌지 브라켓 16a : 서브 브라켓
18 : 보강 사이드 레일 20 : 힌지
22 : 펜더 24 : 스테이
26 : 흘
[고안의 기술분야]
본 고안은 소형 승합차의 후드(hood 혹은 bonnet)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룸의 일상점검을 위해, 차체의 프론트 패널을 개폐 가능하게 한 후드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소형 승합차 예를 들어, 베스타나 봉고와 같은 벤 차종에서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하부에 차량의 구동에 관련된 각종 장치를 포함하는 엔진룸이 설치된다.
이러한 엔진룸은 차체의 하부 프레임에 지지된다. 엔진룸의 상측에는 시트와 사이드 브레이크 멤버가 배치되며, 엔진룸의 개방시 분리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엔진룸의 전면에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의 최전방 구조로서의 프론트 패널(1)이 설치되며, 이 프론트 패널(1)은 차체를 횡방향으로 가로지르는 상부 크로스 멤버(3)와 도시되지 않은 하부 크로스 멤버에 지지된다.
상기 상, 하 크로스 멤버의 사이에는 도시되지 않은 대쉬 패널(dash panel)이 부착되어, 엔진룸을 커버한다. 상기 프론트 패널(1)의 상측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한 윈드 실드 글라스(5)가 설치된다.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술한 소형 승합차의 엔진룸 구조에 있어서, 종래에는 차상 정비를 위해 엔진룸을 개방하고자 할 때, 운전석 및 조수석측의 시트와 사이드 브레이크 멤버 등을 분리해야만 하는 작업의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엔진룸의 구조에 기인되어, 종래에는 에어크리너, 점화 플러그, 연료 필터, 점화시기, 및 밸브 간극 조정 등의 점검과 같은 일상점검시에도, 시트와 사이드 브레이크 멤버를 분리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은 엔진룸의 일상점검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고안의 구성 및 작용]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는 프론트 윈드 실드 글라스의 아래에 설치된 카울(cowl) 패널과, 프론트 범퍼의 상측에 설치된 쉬라우드 패널(shroud panel)의 사이에 후드가 설치되고, 이 후드가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후드의 양측에는 힌지 브라켓의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차실내쪽 상측으로 연장되어 훅상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또, 힌지 브라켓의 타단은 차체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보강 사이드 레일에 일단이 고정된 서브 브라켓의 타단에 힌지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후드는 힌지 브라켓과 서브 브라켓이 결합된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차체의 상방향으로 개방된다.
또, 상기 쉬라우드 패널에는 스테이의 일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된다.
이 스테이의 타단은 개방된 후드의 홀에 삽입되어, 그 개방상태를 지지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을 실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후드 개폐장치를 갖는 소형 승합차의 프론트 차체 구조를 보인 종단면도이고, 제3도는 제2도의 평단면도이다. 제4도는 본 실시예에 관련된 후드 개폐장치를 보인 일부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도면에서의 설명 부호(2)는 본 실시예에 의해 개방 가능하게 설치된 차체의 프론트 패널로써의 후드를 지칭한다.
이 후드(2)는 프론트 윈드 실드 글라스(5)의 아래에 설치된 카울 패널(4)과, 프론트 범퍼(6)의 상측에 설치된 쉬라우드 패널(8)의 사이에 설치된다.
카울 패널(4)은 어퍼 카울 패널(4a)과 로어 카울 패널(4b)로 구성되며, 차체의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된 어퍼 대시 패널(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또, 쉬라우드 패널(8)은 차체의 횡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설치된 대시 크로스 멤버(12)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다. 어퍼 대시 패널(10)과 대시 크로스 멤버(12)의 사이에는 엔진룸과의 사이 공간을 구획하는 로어 대시 패널(14)이 설치된다.
상기 후드(2)의 양측 임의의 위치에는 힌지 브라켓(16)의 일단이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 힌지 브라켓(16)의 타단은 차실내쪽 상측으로 훅상으로 연장되어, 차체에 길이 방향으로 부착된 보강 사이드 레일(18)에 힌지(20)에 의해 결합된다.
보강 사이드 레일(18)은 일측 단부가 로어 대시 패널(14)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차체의 사이드 패널로써의 펜더(22)에 볼트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힌지 브라켓(16)은 다른 예로서,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사이드 레일(18)에 일단이 고정된 서브 브라켓(16a)을 개재하여, 그 서브 브라켓(16a)의 타단에 힌지(20)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후드(2)는 차체에 힌지(20)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힌지 브라켓(16)에 의해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차체의 상방향으로 개방된다.
이러한 후드(2)는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스테이(24)에 의해 지지된다. 이 스테이(24)는 일단이 쉬라우드 패널(8)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단이 개방된 상태의 후드(2) 내면에 형성된 홀(26)에 삽입되어, 그 개방상태를 지지한다.
상술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따라, 차체의 프론트 패널로써의 후드(2)는 힌지 포인트를 기준으로 차체의 상방향으로 회동되며, 스테이(24)에 의해 개방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작업자는 로어 대시 패널(12)을 통해 엔진룸의 일상점검을 행하게 된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고안에 의한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운전석 및 조수석측의 시트와 사이드 브레이크 멤버를 제거하는 번거로움이 없이, 단순히 후드를 개방함으로써, 에어크리너, 점화 플러그, 연료 필터, 점화시기, 및 밸브 간극 조정 등의 간단한 일상점검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러한 효과에 따라, 본 고안에 의한 소형 승합차는 정비성 및 상품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실용신안등록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7)

  1. 카울 패널과 쉬라우드 패널의 사이에 설치되며, 차체의 프론트 패널을 구성하는 후드와; 이 후드의 양측에 일단이 고정되며, 타단이 차실내쪽 상측으로 연장되어 차체의 보강 사이드 레일에 힌지에 의해 결합되는 힌지 브라켓과; 상기 쉬라우드 패널에 일단이 힌지에 의해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후드의 개방된 상태를 지지하는 스테이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 패널은 어퍼 카울 패널과 로어 카울 패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퍼 카울 패널과 로어 카울 패널은 어퍼 대시 패널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쉬라우드 패널은 대시 크로스 멤버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타단은 차체의 보강 사이드 레일에 일단이 고정된 서브 브라켓의 타단에 힌지에 의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브라켓의 타단은 훅상으로 구부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에는 스테이의 타단이 끼워지는 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KR2019960019259U 1996-06-29 1996-06-29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KR01353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59U KR0135391Y1 (ko) 1996-06-29 1996-06-29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259U KR0135391Y1 (ko) 1996-06-29 1996-06-29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89U KR980002589U (ko) 1998-03-30
KR0135391Y1 true KR0135391Y1 (ko) 1999-03-20

Family

ID=194604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259U KR0135391Y1 (ko) 1996-06-29 1996-06-29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3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589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391Y1 (ko) 소형 승합차의 후드 개폐장치
US2322630A (en) Motor vehicle construction
JP2003335265A (ja) 車両の前部車体構造
JP4689071B2 (ja) トラクタのボンネット構造
JPH1120738A (ja) 自動車ブレーキ用オイルタンクの注入管配設部構造
KR0173357B1 (ko) 차량의 후드 개방레버 장착 브라켓
KR0134408B1 (ko) 차량의 와이퍼 모터 고정브라켓
KR0135382Y1 (ko) 자동차용 본네트 스테이의 취부구조
JPH0674576U (ja) 自動車の前部構造
JPH057095Y2 (ko)
KR200142560Y1 (ko) 자동차용 후드 힌지 어셈블리
KR0159471B1 (ko) 차량의 후드 장착구조
KR0115704Y1 (ko) 자동차 엔진 후드 지지대의 고정구조
KR0136329B1 (ko) 대형버스의 지붕 환기장치
JPH0431884Y2 (ko)
KR200142559Y1 (ko) 자동차의 후드 힌지
KR19980062776A (ko) 화물차량의 본네트 힌지장치
KR200149113Y1 (ko) 화물차량의 와이퍼 모터 고정구조
KR950002839Y1 (ko) 자동차의 운전석 흡기장치
KR200161587Y1 (ko) 승합차용 보닛 힌지(Bonnet hinge for a van)
JPH06227264A (ja) 幌型車両の車体構造
KR19980049602A (ko) 자동차용 보닛 스테이 고정기구
JPH056214Y2 (ko)
KR0127553Y1 (ko) 카울 상단패널의 보강구조
JPH04113284U (ja)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