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17556B1 - 선박용 벤티레이터 - Google Patents

선박용 벤티레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17556B1
KR100917556B1 KR1020090032119A KR20090032119A KR100917556B1 KR 100917556 B1 KR100917556 B1 KR 100917556B1 KR 1020090032119 A KR1020090032119 A KR 1020090032119A KR 20090032119 A KR20090032119 A KR 20090032119A KR 100917556 B1 KR100917556 B1 KR 100917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cover
support frame
ventilator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21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진보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진보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진보기업
Priority to KR10200900321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175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7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7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2/00Arrangements of ventilation, heating, cooling, or air-conditioning
    • B63J2/02Ventilation; Air-conditioning
    • B63J2/10Ventilating-shafts; Air-scoo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는 상부에 개구를 갖는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선박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관과; 환풍관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와;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커버와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접철하며 커버를 승강하는 다이아몬드형 링크부재와; 링크부재가 접철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커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주요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며,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선박, 벤티레이터

Description

선박용 벤티레이터{Ventilator for vessel}
본 발명은 선박용 벤티레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버의 개폐 작동 구조를 개선한 선박용 벤티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용 벤티레이터(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개구를 갖는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선박(미도시)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관(110)과, 환풍관(110)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120)와, 커버(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130)과, 커버(120)를 지지프레임(130)에 대하여 승강시키는 승강부재(140)를 포함한다.
여기서, 승강부재(140)는 커버(120)에 마련되는 너트부에 나사 결합 및 결합해제하며 지지프레임(120)에 대하여 커버(120)를 승강시키는 볼트로 마련된다. 승강부재(140)의 상단영역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한 파지부(150)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선박용 벤티레이터(100)는 사용자가 파지부(150)를 회전시켜 승강부재(140)에 회전력을 전달하며, 승강부재(140)의 회전에 따라 커버(120)가 승강하는데, 커버(120)의 하중에 대응하는 사용자의 회전력이 요구되므로 커버(120) 를 개폐하는데 많은 힘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커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주요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며,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선박용 벤티레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선박에 설치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를 갖는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선박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관과; 상기 환풍관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접철하며 상기 커버를 승강하는 다이아몬드형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가 접철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상부링크 및 제2상부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제2상부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부링크 및 제2하부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환풍관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외벽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바아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상기 제2상부링크가 결합되는 수평바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상기 제2상부링크와 상기 제2하부링크의 결합영역에는 가로방향으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부는, 일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하부링크의 결합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너트부를 통과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타단에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수직바아에 마련되어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하여 상기 연결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직바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베벨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동력부는 볼트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링크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버의 하부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바아와; 상기 가이드바아가 통과하며 상기 커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을 가지고 상기 환풍관의 내벽에 지지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쉬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중심으로 양분되는 제1메쉬부 및 제2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주요 부품의 교체가 가능하며,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는 선박용 벤티레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1)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1)의 커버(20)의 폐쇄상태(A)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1)의 커버(20)의 개방상태(B)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1)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절취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1)는 상부 개구(11)를 갖는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되어 선박(미도시)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관(10)과, 환풍관(10)의 상부 개구(11)를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20)와, 커버(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30)과, 커버(20)와 지지프레임(30) 사이에 배치되어 접철하며 커버(20)를 승강하는 다이아몬드형 링크부재(40)와, 링크부재(40)가 접철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환풍관(10)은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된다고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삼각통, 오각형 이상의 다각통,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환풍관(10)은 선박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하도록 선박의 내부공간의 상벽에 장착된다. 환풍관(10)은 상부 개구(11)를 갖는 사각통 형상으로 마련된다. 환풍관(10)의 상부 개구(11)는 커버(20)에 의하여 개폐된다.
커버(20)는 환풍관(10)의 상부 개구(11)에 대응하는 사각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후술하는 동력부(50)의 작동에 의하여 환풍관(10)의 상부 개구(11)를 개폐한다. 커버(20)는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며 폐쇄위치(A)와 개방위치 사이를 왕복 이동한다. 여기서, 폐쇄위치(A)는 커버(20)가 하강하여 환풍관(10)의 상부영역에 접촉하며 상부 개구(11)를 폐쇄하고 있는 위치이며, 개방위치(B)는 커버(20)가 상승하여 환풍관(10)으로부터 이격되며 상부 개구(11)를 개방하고 있는 위치이다.
커버(20)의 하부 판면에는 가스킷(21)이 마련되어 있다. 가스킷(21)은 상부 개구를 따라 사각링 형상으로 마련되며, 커버(20)의 폐쇄위치(A)에서 환풍관(10)과의 틈새로 공기 또는 가스가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지지프레임(30)은 환풍관(10)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외벽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바아(31)와, 한 쌍의 수직바아(31)를 상호 연결하는 수평바아(33)를 포함한다.
수직바아(31)는 환풍관(10)의 네 벽면 중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외벽에 수직방향으로 고정된다. 수직바아(31)는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상단부가 커버(20)의 상부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직바아(31)는 환풍관(10)의 외벽의 가로방향 중앙에 기립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바아(33)는 한 쌍의 수직바아(31)의 상단부를 연결한다. 즉, 한 쌍의 수직바아(31) 및 수평바아(33)는 '역U'자 형상을 이루며, 환풍관(10)의 외벽에 고정된다. 한편, 수평바아(33)와 커버(20) 사이에는 링크부재(40)가 배치되어 있다.
링크부재(40)는 접철하며 커버(20)를 승강시킨다. 링크부재(40)는 복수의 링크들(41a, 41b, 42a, 42b)로 마련된다. 링크부재(40)는 제1상부링크(41a), 제2상부링크(42a), 제1하부링크(41b) 및 제2하부링크(42b)를 갖는다. 여기서, 제1상부링크(41a), 제2상부링크(42a), 제1하부링크(41b) 및 제2하부링크(42b)는 다이아몬드 형상을 이루도록 상호 결합되어 있다.
제1상부링크(41a)는 일단이 지지프레임(30)의 수평바아(33)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제1하부링크(41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상부링크(42a)는 일단이 지지프레임(30)의 수평바아(33)의 하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제2하부링크(42b)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상부링크(41a)와 제2상부링크(42a)는 일단이 동일 축을 가지고 지지프레임(30)의 수평바아(33)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러 나, 제1상부링크(41a)와 제2상부링크(42a)는 일단이 상호 다른 축을 가질 수도 있다. 제1상부링크(41a)와 제2상부링크(42a)는 타단이 상호 이격되는 방향으로 벌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하부링크(41b)는 일단이 제1상부링크(41a)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커버(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제2하부링크(42b)는 일단이 제2상부링크(42a)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타단이 커버(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하부링크(41b)와 제2하부링크(42b)는 타단이 동일 축을 가지고 커버(20)에 대하여 회동하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제1하부링크(41b)와 제2하부링크(42b)는 타단이 상호 다른 축을 가질 수도 있다.
제2상부링크(42a)와 제2하부링크(42b)의 결합영역에는 수평방향으로 관통된 너트부(4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너트부(45)에는 후술하는 볼트부(60)가 나사 결합되어 있다.
동력부(50)는 볼트부(60)와, 연결링크(70)와, 구동부(80)를 포함한다.
볼트부(60)는 외주면에 전술한 너트부(45)와 나사 결합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볼트부(60)는 제1상부링크(41a)와 제1하부링크(41b)의 결합영역으로부터 연장되어 제1상부링크(41a)와 제1하부링크(41b)의 결합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너트부(45)에 나사 결합된다.
볼트부(60)의 일단은 제1상부링크(41a)와 제1하부링크(41b)의 결합영역에 길이방향을 축선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너트부(45)를 통과하여 연장되어 있다.
한편, 동력부(50)는 볼트부(60)의 외주면을 감싸는 주름관(6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주름관(65)은 링크부재(40)의 내측 즉, 볼트부(60)의 일단으로부터 너트부(45)까지 볼트부(60)의 영역의 외주면을 감싼다. 주름관(65)은 커버(20)의 폐쇄위치(A)에서 길이 축소되며, 커버(20)의 개방위치(B)에서 길이 연장된다.
연결링크(70)는 볼트부(60)의 타단에 제1유니버셜 조인트(71)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연결링크(70)는 볼트부(60)를 길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길이 배치된다. 여기서, 링크부재(40)의 접철 작동에 따라 볼트부(60)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하게 되는데, 제1유니버셜 조인트(71)에 의하여 연결링크(70)가 상하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연결링크(70)의 회동력을 볼트부(60)에 전달하여 링크부재(40)를 접철할 수 있게 된다.
연결링크(7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신축 가능하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링크(70)는 복수의 관으로 마련되며, 복수의 관이 삽입 및 인출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신축하게 된다. 여기서, 링크부재(40)의 접철 작동에 따라 연결링크(70)가 신축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부(80)는 수직바아(31)에 마련되어 제2유니버셜 조인트(72)에 의하여 연결링크(70)와 결합되며, 연결링크(70)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구동부(80)는 구동모터(미도시)로 마련되어 자동으로 링크부재(40)를 접철하여 커버(20)를 승강시킬 수 있다. 여기서, 구동모터의 구동축은 제2유니버셜 조인트(72)에 의하여 연결링크(70)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구동부(80)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조작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구동부(80)는 수직바아(31)에 마련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81, 82)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베벨기어(81, 82)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85)를 포함한다.
베벨기어(81, 82)는 수직바아(31)에 마련되며, 제2유니버셜 조인트(72)에 의하여 링크부재(40)와 결합되어 있는 수평베벨기어(81)와, 수평베벨기어(81)와 맞물림 결합되는 수직베벨기어(82)를 포함한다. 수평베벨기어(81)와 수직베벨기어(82)는 기어박스(83)에 수용되어 수직바아(31)에 결합되어 있다. 수평베벨기어(81) 및 수직베벨기어(82)의 기어축에는 회전을 원활하게 하는 베어링(84)이 결합될 수 있다. 수직베벨기어(82)에는 파지부(85)가 결합되어 있다.
파지부(85)는 수직베벨기어(82)의 기어축으로부터 상향 연장되는 바아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단영역에는 사용자의 파지가 가능하도록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파지바아(미도시) 또는 파지링(87)이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베벨기어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파지부가 결합된다고 설명하고 도시하였으나, 베벨기어에 자동으로 동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동모터(미도시)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1)는 커버(20)의 하부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바아(23)와, 복수의 관통공(95)을 가지고 환풍관(10)의 내벽에 지지되는 메쉬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바아(23)는 커버(20)의 하부판면의 중앙영역으로부터 막대 형상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이드바아(23)는 메쉬부(90)의 가이드홀(93)에 삽입 결합된다.
메쉬부(90)는 판면이 환풍관(10)의 내벽에 가로방향으로 배치되며, 복수의 관통공(95)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메쉬부(90)는 격자무늬의 철망으로 마련된다. 메쉬부(90)에는 가이드바아(23)가 통과하며 커버(20)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홀(93)이 형성되어 있다.
메쉬부(90)는 가이드홀(93)을 중심으로 양분되는 제1메쉬부(90a) 및 제2메쉬부(90b)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메쉬부(90)는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제1메쉬부(90a) 및 제2메쉬부(90b)로 마련되는 것이다. 여기서, 제1메쉬부(90a)와 제2메쉬부(90b)가 각각 반원 형상의 홈을 가지며, 이러한 홈이 상호 결합하여 가이드홀(93)을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쉬부(190)이 일체로 마련되어 승강부재(140)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환풍관(110)으로부터 메쉬부(190)을 분리하는 것이 불가능 하였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메쉬부(90)가 상호 분리 가능하도록 제1메쉬부(90a) 및 제2메쉬부(90b)로 구성되므로 커버(20)에 가이드바아(23)가 마련되어 있더라도 메쉬부(90)를 환풍관(1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3a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1)의 작동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폐쇄위치(A)의 커버(20)를 개방위치(B)로 이동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파지부(85)를 파지하고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수직베벨기어(82)가 회전하게 된다.
수직베벨기어(82)의 회전에 따라 수평베벨기어(81)가 회전하게 되며, 수평베벨기어(81)의 회전력은 연결링크(70)의 회전력으로 전달된다.
연결링크(70)가 회전함에 따라 너트부(45)에 대하여 볼트부(60)가 회전하게 된다. 볼트부(60)가 회전하면, 링크부재(40)의 내부로 볼트부(60)가 삽입되면서 볼트부(60)의 일단과 너트부(45) 사이의 거리가 멀어진다. 이에, 링크부재(40)가 접철되면서 커버(2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링크부재(40)의 접철에 따라 볼트부(60)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때 연결링크(70)는 제1유니버셜 조인트(71) 및 제2유니버셜 조인트(72)에 의하여 상하방향으로 절곡되며 유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링크부재(40)의 접철에 따라 연결링크(70)는 길이가 축소된다.
여기서, 가이드바아(23)는 가이드홀(93)로부터 슬라이드 이동하며 커버(20)의 상승을 안내한다.
한편, 사용자가 파지부(85)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링크부재(40)의 접철이 해제되며 커버(20)가 폐쇄위치(A)로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링크부재(40)의 접철이 해제됨에 따라 연결링크(70)의 길이가 신장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적은 힘으로 신속하게 커버(20)를 개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부품을 상호 착탈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각 부품의 마모 또는 고 장시, 수리 또는 교체를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제품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도 1은 종래 선박용 벤티레이터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의 커버의 폐쇄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의 커버의 개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선박용 벤티레이터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기 위한 절취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선박용 벤티레이터 10 : 환풍관
20 : 커버 30 : 지지프레임
40 : 링크부재 50 :동력부
60 : 볼트부 65 : 주름관
70 : 연결링크 80 : 구동부
81 : 수평베벨기어 82 : 수직베벨기어
85 : 파지부 90 : 메쉬부
A : 폐쇄위치 B : 개방위치

Claims (10)

  1. 선박용 벤티레이터에 있어서,
    상부에 개구를 갖는 통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선박의 내부공간과 외부를 연통시키는 환풍관과;
    상기 환풍관의 상부 개구를 커버하는 판상의 커버와;
    상기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커버와 상기 지지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접철하며 상기 커버를 승강하는 다이아몬드형 링크부재와;
    상기 링크부재가 접철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일단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상부링크 및 제2상부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제2상부링크의 타단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커버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부링크 및 제2하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환풍관의 상호 대향하는 한 쌍의 외벽에 고정되어 상향 연장되는 한 쌍의 수직바아와;
    상기 한 쌍의 수직바아를 상호 연결하며, 상기 제1상부링크 및 상기 제2상부링크가 결합되는 수평바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링크와 상기 제2하부링크의 결합영역에는 가로방향으로 너트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동력부는,
    일단이 상기 제1상부링크와 상기 제1하부링크의 결합영역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기 너트부를 통과하는 볼트부와;
    상기 볼트부의 타단에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해 연결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수직바아에 마련되어 유니버셜 조인트에 의하여 상기 연결링크와 결합되며,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수직바아에 마련되는 한 쌍의 베벨기어와;
    사용자가 파지하여 상기 베벨기어에 회전력을 제공하도록 마련되는 파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볼트부의 외주면을 감싸는 주름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길이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하부판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가이드바아와;
    상기 가이드바아가 통과하며 상기 커버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을 가지고, 상기 환풍관의 내벽에 지지되며, 복수의 관통공을 갖는 메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부는 상기 가이드홀을 중심으로 양분되는 제1메쉬부 및 제2메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벤티레이터.
KR1020090032119A 2009-04-14 2009-04-14 선박용 벤티레이터 KR1009175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19A KR100917556B1 (ko) 2009-04-14 2009-04-14 선박용 벤티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2119A KR100917556B1 (ko) 2009-04-14 2009-04-14 선박용 벤티레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17556B1 true KR100917556B1 (ko) 2009-09-16

Family

ID=41355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2119A KR100917556B1 (ko) 2009-04-14 2009-04-14 선박용 벤티레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1755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84B1 (ko) 2010-07-15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덕트의 댐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선박
KR20150026799A (ko) * 2013-08-29 2015-03-1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KR101671965B1 (ko) * 2016-03-30 2016-11-03 주식회사 상림 머쉬룸 환풍기
KR101708811B1 (ko) * 2016-03-30 2017-02-21 주식회사 상림 머쉬룸 환풍기
KR102039860B1 (ko) * 2019-04-29 2019-11-01 김병우 선박용 환기장치
CN117657419A (zh) * 2024-01-31 2024-03-08 江苏丰源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稳定型的通风筒及其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898U (ja) 1983-04-06 1984-10-22 日本鋼管株式会社 水密蓋付通風筒
JPH0310000U (ko) * 1989-06-19 1991-01-30
KR200337779Y1 (ko) 2003-10-15 2004-01-07 이보건 열 프레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56898U (ja) 1983-04-06 1984-10-22 日本鋼管株式会社 水密蓋付通風筒
JPH0310000U (ko) * 1989-06-19 1991-01-30
KR200337779Y1 (ko) 2003-10-15 2004-01-07 이보건 열 프레스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384B1 (ko) 2010-07-15 2012-10-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덕트의 댐퍼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선박
KR20150026799A (ko) * 2013-08-29 2015-03-1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KR101667849B1 (ko) * 2013-08-29 2016-10-19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통풍통, 선박, 및 통풍통의 개폐 방법
KR101671965B1 (ko) * 2016-03-30 2016-11-03 주식회사 상림 머쉬룸 환풍기
KR101708811B1 (ko) * 2016-03-30 2017-02-21 주식회사 상림 머쉬룸 환풍기
KR102039860B1 (ko) * 2019-04-29 2019-11-01 김병우 선박용 환기장치
CN117657419A (zh) * 2024-01-31 2024-03-08 江苏丰源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稳定型的通风筒及其操作方法
CN117657419B (zh) * 2024-01-31 2024-04-30 江苏丰源船舶工程有限公司 一种船用稳定型的通风筒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7556B1 (ko) 선박용 벤티레이터
CA2487218C (en) Top drive assembly
JP6703023B2 (ja) リリーフユニットおよびロボット
JP2009291192A5 (ko)
JP6450400B2 (ja) 多関節ロボット
CN102490177A (zh) 四自由度并联机器人
CN101535639A (zh) 具有底盘和保护罩的工作机械
EP0885834B1 (en) Lightweight jack
CN111648165B (zh) 一种捞浆湿胚成型装置
CN108622770A (zh) 一种小宅楼轿箱用旋冒式升降装置
CN202865646U (zh) 摆出式晾衣架升降滑轮装置
CN1803570A (zh) 舱内作业升降机
JP4939295B2 (ja) 省力グラブ作業船
JP3714938B2 (ja) 既設管交換設備
CN102146579A (zh) 电镀槽用联动式风门
CN207706875U (zh) 一种大棚保温被收卷装置
CN207671006U (zh) 一种包装箱
CN206462278U (zh) 一种高效的油炸装置
CN204852297U (zh) 小操作行程的拖拉机换挡机构及具有其的拖拉机
JP5324970B2 (ja) 旋回台付き作業車の油圧ホース接続構造
CN219712268U (zh) 一种磨煤机减速机
CN213828956U (zh) 一种机械臂
US20130199315A1 (en) Lever control mechanism of a drain valve of a toilet tank
CN214430017U (zh) 水稻种子发芽育苗装置
CN215635305U (zh) 一种带有提拉杆的地沟阀门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