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26752A - 마이크로폰 장치 - Google Patents

마이크로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26752A
KR20150026752A KR20140021826A KR20140021826A KR20150026752A KR 20150026752 A KR20150026752 A KR 20150026752A KR 20140021826 A KR20140021826 A KR 20140021826A KR 20140021826 A KR20140021826 A KR 20140021826A KR 20150026752 A KR20150026752 A KR 20150026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microphone
camera
holder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21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4620B1 (ko
Inventor
아쓰시 마쓰모토
노리오 마쓰우라
Original Assignee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티아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26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4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4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04R1/028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associated with devices performing functions other than acoustics, e.g. electric cand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6Accessory clips, holders, shoes to attach accessories to camer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1/00Associated working of cameras or projectors with sound-recording or sound-repro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8Mouthpieces; Microphones; Attachments therefor
    • H04R1/083Special constructions of mouthpie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covered by H04R1/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1/02Details casings, cabinets or mounting therein for transducers covered by H04R1/02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99/00Aspects covered by H04R or H04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eir subgroups
    • H04R2499/10General applications
    • H04R2499/11Transducers incorporated or for use in hand-held devices, e.g. mobile phones, PDA's,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tudio Devices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Abstract

소형의 진동 흡수 기구를 갖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한다. 마이크로폰 장치(2)는, 마이크로폰 유닛(3)과, 부착장치(4)를 갖는다. 부착장치(4)는, 카메라 슈(27)에 장착되는 카메라 슈 장착부(43)와, 이것에 고정된 댐퍼 수납통(44)을 갖는다. 마이크로폰 유닛(3)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38)의 내부 통(38a)의 하단에, 홀더(46)가 고정되어 있다. 내부 통(38a)의 하단은, 홀더(46)를 개재하여, 댐퍼 수납통(44) 내부의 제2댐퍼(42)에 의해 피벗 지지되어 있다. 돌출부(38)의 중간은, 댐퍼 수납통(44) 내부의 제1댐퍼(4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폰 장치{MICROPHONE APPARATUS}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마이크로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정지 화상 이외에 장시간의 동화상도 촬영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가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본체의 전방면에 고정 또는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되는 렌즈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촬상장치, 화상 처리장치, 화상 기록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렌즈장치로서는, 일안 타입, 미러리스 타입의 고급 카메라의 경우에는, 착탈이 자유로운 줌 렌즈가 사용되는 일이 많다. 이 줌 렌즈에서는, 초점 조절시에는 포커스 렌즈가, 주밍시에는 변배 렌즈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또한, 줌 렌즈에서는, 손떨림 보정장치를 구비한 것이 많다. 이 손떨림 보정장치는, 카메라의 이동에 추종하여, 역방향으로 보정 렌즈 또는 이미지 센서를 이동함으로써, 상의 떨림을 억제하는 것이다. 주밍, 초점 조절, 손떨림 보정에서는, 각각 개별의 모터로 행해진다. 이들 모터는, 카메라 본체나 렌즈장치 내에 수납되어 있다.
동화상 촬영이 가능한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카메라 본체에 사이즈가 작은 집음 구멍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이들 집음 구멍의 배후에, 예를 들면 압전 타입의 간단한 내장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있다. 음성 기록이 지시되면, 내장 마이크로폰에서 음성을 음성신호로 변환하고, 동화상의 화상 데이터와 함께 음성신호를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매체에 기록한다.
동화상의 촬영 중에는, 포커스용 모터, 줌용 모터, 손떨림 보정용 모터가 구동하고 있기 때문에, 카메라 본체 내에서 발생한 작동음이 내장 마이크로폰에서 취해지게 된다. 또한, 줌 모터 등의 작동에 근거한 미세한 진동이 내장 마이크로폰에 전해지기 때문에, 내장 마이크로폰의 진동음도 발생한다. 이 결과, 예를 들면, 「우웅」이라고 하는 연속적인 노이즈 소리도 기록되므로, 고음질의 녹음을 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렌즈장치의 작동에 근거한 음질 열화를 회피하기 위해, 카메라 본체의 외측에 배치하는 동시에, 방진구조로 한 마이크로폰 장치도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기재의 마이크로폰 장치에서는, 금속 케이스 내에 마이크로폰을 수납하고, 후단부에 기판이 고정된 마이크로폰 유닛(마이크로폰 어셈블리)과, 이 마이크로폰 유닛의 외측에 배치된 주름호스 형상의 탄성부재를 구비하고, 탄성부재를 디지털 카메라(카메라 일체형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본체)의 카메라 본체에 형성한 개구 내에 삽입하고나서, 카메라 본체의 고정벽도 링을 개재하여 부착하고 있다. 이 주름호스 형상의 탄성부재에 의해, 렌즈장치의 작동음이 마이크로폰 유닛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실용신안등록 제2530604호
특허문헌 1에서는, 마이크로폰 유닛의 요동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주름호스 형상의 탄성부재로 마이크로폰 유닛을 2점 이상으로 지지하거나, 어느 정도 긴 범위에서 지지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장치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마이크로폰 유닛의 케이스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부착축을 설치하고, 이 부착축의 외주를 댐퍼로 지지하는 것이 생각되지만, 이 경우, 평면 방향의 진동은 댐퍼로 흡수할 수 있지만, 상하 방향의 진동은 댐퍼로 전부 흡수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특허문헌 1에서는, 마이크로폰 장치는, 카메라 본체에 분리 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이기 때문에, 음성을 갖는 동화상 촬영을 하지 않을 때에는 방해가 된다고 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진동 전달을 소형의 기구로 방지하는 동시에, 카메라 본체에 착탈가능한 마이크로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마이크로폰 장치는, 적어도 1개의 마이크로폰과, 마이크로폰을 부착한 케이스와, 케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출부와, 돌출부의 주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기를 갖는 마이크로폰 유닛과,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에 설치된 카메라 슈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카메라 슈 장착부와, 카메라 슈 장착부에 부착된 댐퍼 수납통과, 돌출부의 하부에 부착된 밥공기 타입의 홀더와, 돌출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댐퍼 수납통 내에 부착되고, 또한 돌기와 홀더 사이에 끼워져, 돌출부의 중간을 지지하는 제1댐퍼와, 댐퍼 수납통 내에서, 홀더의 하부를 피벗 지지하는 제2댐퍼를 구비한다.
또한, 제1댐퍼는, 돌출부가 삽입되는 내부 링과, 내부 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링과, 내부 링과 외부 링을 접속하는 복수의 리브와, 내부 링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돌출부의 회전 방지를 하는 위치결정 볼록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구나, 제2댐퍼는, 홀더에 끼워맞추는 통부와, 카메라 슈 장착부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링과, 통부와 링을 연결되어 있는 접시 형상의 댐퍼 본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는, 하부에 나사 구멍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나사 구멍에 나사를 나사결합함으로써, 홀더가 돌출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이크로폰 유닛의 케이스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출부에 부착되는 홀더와, 돌출부의 주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기 사이에 끼워진 제1댐퍼로, 마이크로폰 유닛에 수평 방향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고, 제2댐퍼로 홀더의 하부를 피벗 지지하여, 마이크로폰 유닛에 상하 방향의 진동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소형의 기구로 진동 전달을 방지하여, 고품질의 녹음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카메라 슈에 착탈이 자유롭기 때문에, 음성을 갖는 동화상 촬영을 하지 않을 때에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분리할 수 있으므로, 휴대나 보관에 편리하다.
도 1은 마이크로폰 장치를 디지털 카메라에 부착한 상태의 사시도다.
도 2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3은 분해한 마이크로폰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다.
도 4는 마이크로폰 유닛의 돌출부와 댐퍼 수납통을 나타낸 사시도다.
도 5는 마이크로폰 장치를 나타낸 A1-A1 단면도다.
도 6은 분해한 마이크로폰 장치를 나타낸 A1-A1 단면도다.
도 7은 분해한 카메라 슈 장착부를 나타낸 A2-A2 단면도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마이크로폰 장치(2)는, 마이크로폰 유닛(3)과, 부착장치(4)로 구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3)은, 케이스(5)와, 이 케이스(5)에 부착된 좌측 마이크로폰(6) 및 우측 마이크로폰(7)을 구비한다. 마이크로폰 장치(2)는, 카메라 슈(27)를 개재하여 디지털 카메라(8)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된다. 케이스(5)에는, 디지털 카메라(8)에 마이크로폰 6, 7로부터의 음성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접속 코드(9)가 부착되어 있다. 이 접속 코드(9)의 선단에는, 핀 잭(10)이 부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일안 리플렉스 카메라를 나타내고 있지만, 콤팩트 카메라이어도 되고, 또한 마이크로폰은 1개이어도 된다.
좌우 마이크로폰(6, 7)은, 원통형의 트랜스듀서 실(13)과, 이 트랜스듀서 실(13) 내부에 수납되고, 소리를 음성신호(전기신호)로 변환하는 트랜스듀서(14)로 구성되어 있다. 트랜스듀서 실(13)에는, 주위의 소리를 트랜스듀서(14)에 도달시키기 위한 집음 구멍(13a)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5) 내부에는, 마이크로폰 유닛(3)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 기판(16)이 배치되어 있고, 좌우 마이크로폰(6, 7)의 각 트랜스듀서(14), 접속 코드(9)는, 제어 기판(16)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 기판(16)의 아래쪽으로는, 판형의 추(17)(도 6 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이 추(17)에 의해, 좌우 마이크로폰(6, 7)이 배치된 전방측 부분과, 후방측 부분의 중량 밸런스를 취하고, 더구나, 공진점을 낮은 주파수로 하고 있다.
디지털 카메라(8)는, 카메라 본체(8a)와, 그것의 전방면에 착탈이 자유롭게 부착한 렌즈장치(20)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8a)에는, 주지와 같이,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화상 처리장치, 화상·음성 기록장치 등이 설치되어 있다. 렌즈장치(20)는, 렌즈 경통(21)과, 이 내부에 배치한 줌 렌즈계(22)를 갖는다. 또한, 렌즈 경통(21) 내부에는, 주밍하기 위한 줌 모터, 초점조절하기 위한 포커스 모터, 손떨림 보정을 하기 위한 손떨림 보정용 모터가 수납되어 있다. 이때, 이들 모터의 일부는, 카메라 본체(8a)에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카메라 본체(8a)의 윗면에는, 릴리즈 버튼(25), 모드 설정 다이얼(26), 카메라 슈(27) 등이 설치되어 있다. 모드 설정 다이얼(26)은, 정지 화상 촬영 모드, 동화상 촬영 모드, 음성을 갖는 동화상 촬영 모드, 분리 가능한 메모리 카드에 보존한 화상이나 음성을 재생하는 재생 모드 등을 선택한다. 카메라 슈(27)는, 마이크로폰 장치(2)의 다리부(51)를 유지하는 한 쌍의 절곡편(27a)과, 카메라 슈(27)에 플래쉬 장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을 때에, 플래쉬 트리거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접점(27b)을 갖는다.
카메라 본체(8a) 전방측에는, 복수의 집음 구멍(3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집음 구멍(31)의 배후에는, 간단한 내장 마이크로폰이 배치되어, 동화상 촬영시의 음성의 기록이나, 음성만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내장 마이크로폰에는, 줌 모터 등의 작동음과, 줌 모터 등으로부터의 진동이 내장 마이크로폰에 전해져, 내장 마이크로폰이 진동함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 음이 들어가기 때문에, 고음질의 녹음이 불가능하다.
카메라 본체(8a)의 측면에는, 커넥터(3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커넥터(32)에는, 접속 코드(9)의 핀 잭(10)이 삽입된다. 마이크로폰 장치(2)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접속 코드(9)를 통해, 카메라 본체(8a) 내부의 화상·음성 기록장치에 보내진다. 이때, 커넥터(32)에 외부 기록장치를 접속하고, 이 외부 기록장치의 입력 단자에 핀 잭(10)을 삽입하여, 접속하도록 하여도 된다. 이 경우, 마이크로폰 장치(2)로부터의 음성신호는, 접속 코드(9)를 통해, 외부 기록장치로 보내진다. 또한, 외부 기록장치를 거쳐 카메라 본체(8a) 내부의 화상·음성 기록장치에 보내도록 하여도 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마이크로폰 장치(2)를 도시한 도면 3∼도 6에 있어서, 케이스(5)에는, 밑면으로부터 돌출한 돌출부(38)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돌출부(38)는, 내부 통(38a)과, 이 내부통(38a)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통(38b)으로 이루어진다. 내부 통(38a)의 하단에는, 나사 구멍(38c)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통(38b)에는, 슬릿(38d)이 180°피치로 2개 형성되어 있다. 외부 통(38b)은, 일부가 절결된 D 컷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5)에는, 돌출부(38)의 주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돌출부(38)보다도 짧은 돌기(39)가 설치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3)은, 부착장치(4)를 개재하여 카메라 슈(27)에 부착된다. 부착장치(4)는, 탄성 재료, 예를 들면, 고무제의 제1댐퍼(41) 및 제2댐퍼(42)와, 카메라 슈(27)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카메라 슈 장착부(43)와, 이 카메라 슈 장착부(43)에 부착되고, 제1, 제2댐퍼(41, 42)를 수납하는 수지제의 댐퍼 수납통(44)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부착장치(4)는, 댐퍼 수납통(44) 내부에 배치되는 수지제의 홀더(46)와, 제1댐퍼(41) 위에 재치되는 누름 링(47)을 구비하고 있다.
제1댐퍼(41)는, 돌출부(38)의 중간을 지지하고, 제2댐퍼(42)는, 홀더(46)를 개재하여 내부 통(38a)의 하단을 피벗 지지한다. 이들 제1 및 제2댐퍼(41, 42)에 의해 돌출부(38)를 2점 지지함으로써, 카메라 본체(8a)로부터의 3차원의 진동이, 마이크로폰 유닛(3)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마이크로폰(6, 7)의 진동이 억제되므로, 그 진동에 의한 노이즈 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카메라 슈 장착부(43)는, 카메라 슈(27)에 장착되는 다리부(51)와, 이 다리부(51)와의 사이에서 카메라 슈(27)를 끼워 지지하는 끼움 링(52)과, 다리부(51) 및 댐퍼 수납통(44)에 부착되는 부착대(53)로 이루어진다.
다리부(51)는, 카메라 슈(27)의 절곡편(27a)에 삽입되는 판부(51a)와, 상부의 외주에 숫나사가 형성된 통부(51b)로 이루어진다. 판부(51a)에는, 나사 삽통공(51c)이 180°피치로 2개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통부(51b)에는, 나사 삽통공(51c)에 연통하는 2개의 삽입 구멍(51d)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 링(52)은, 내주면에 통부(51b)의 숫나사가 나사결합하는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끼움 링(52)의 외주면에는, 끼움 링(52)을 손가락으로 회전 조작할 때의 걸리는 부분이 되는 너얼링이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부착대(53)는, 본체부(53a)와, 이 본체부(53a)의 중앙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하고, 통부(51b)에 삽입되는 원통부(53b)와, 이 원통부(53b)의 외주에 형성되고, 삽입 구멍(51d)에 삽입되는 2개의 부착 보스(53c)로 이루어진다. 2개의 부착 보스(53c)에는, 나사 구멍(53d)이 형성되어 있다(도 7 참조).
본체부(53a)에는, 제2댐퍼(42)의 직경 방향을 위치결정하는 위치결정 리브(53e)와, 보스(53f)가 형성되어 있다. 보스(53f)는 180°피치로 2개 형성되고, 각각 나사 삽통공(53g)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53a)의 밑면에는, 통부(51b)의 선단이 삽입되는 오목부(53h)가 형성되어 있다. 원통부(53b)는, 통부(51b) 내부에 삽입되고, 부착 보스(53c)는, 삽입 구멍(51d)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나사(61)가 판부(51a)의 나사 삽통공(51c)을 통해 부착 보스(53c)의 나사 구멍(53d)에 나사고정되어(도 7 참조), 다리부(51)가 부착대(53)에 고정된다.
제1댐퍼(41)는, 내부 링(41a)과, 이 내부 링(41a)의 외측에 배치된 외부 링(41b)을 구비하고, 이들 각 링 41a, 41b는, 복수의 리브(41c)로 접속되어 있다.
내부 링(41a)의 내주면에는, 돌출부(38)의 슬릿(38d)에 삽입되어, 돌출부(38)의 회전 방지를 하는 볼록부(41d)가 2개 형성되어 있다. 이 볼록부(41d)와 원주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된 리브(41c)의 외주측 단부는 반원호 형상으로 부풀어 있어, 위치결정 구멍(41e)이 형성되어 있다.
외부 링(41b)의 내주면에는, 볼록부(41d)로부터 90°어긋난 2개소에 볼록부(41f)가 형성되고, 이 볼록부(41f)에는 절결부(41g)가 형성되어 있다. 볼록부(41f)가 형성된 위치에는, 리브(41c)는 형성되어 있지 않다. 외부 링(41b)의 윗면에는, 누름 링(47)을 받는 수용 리브(41h)가 형성되어 있다.
제2댐퍼(42)는, 위쪽으로부터 각각 직경이 다른 통부(42a), 댐퍼 본체(42b), 링(42c)으로 이루어진 3단이 형성되고, 아래쪽을 향함에 따라 직경이 커진다. 제2댐퍼(42)의 중심부에는, 상하로 관통하는 부착 구멍(42d)이 형성되어 있다. 링(42c)의 외주면에는, 부착대(53)의 보스(53f)가 삽입되는 절결부(42e)가 2개 형성되어 있다. 링(42c)의 윗면 및 밑면은, 외주부에 리브(42f)가 형성되어 있고, 이 리브(42f)가 부착대(53)의 본체부(53a)에 당접하여, 리브(42f)가 형성되어 잇지 않은 내측의 부분은 본체부(53a)로부터 들뜬 상태로 되어 있다.
누름 링(47)은, 제1댐퍼(41)를 위에서 누르는 것이며, 4개의 절결부(47a)가 90°피치로 형성되어 있다.
댐퍼 수납통(44)은, 제1댐퍼(41)의 원주 방향을 위치결정하는 직경이 작은 위치결정용 보스(44a)와, 제1댐퍼(41)를 고정하는 직경이 큰 )고정용 보스(44b)가 180°피치로 2개씩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보스(44b)는, 위치결정용 보스(44a)로부터 90° 어긋난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용 보스(44b)에는, 나사 구멍(44c)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보스(44a)의 밑면에는, 카메라 슈 장착부(43)의 부착대(53)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44d)이 형성되어 있다.
댐퍼 수납통(44)의 외주면에는, 볼록부(44e)가 180°피치로 2개 형성되고, 이들 볼록부(44e)에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 접속 코드(9)를 둘러 감은 상태에서 끼워넣어 고정하기 위한 절결부(44f)가 형성되어 있다. 위치결정용 보스(44a)의 선단은, 제1댐퍼(41)의 위치결정 구멍(41e), 누름 링(47)의 절결부(47a)에 삽입된다. 또한, 고정용 보스(44b)는, 절결부(41g)에 삽입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나사(62)가 절결부(47a)를 통해 나사 구멍(44c)에 나사고정되고, 제2댐퍼(42) 및 누름 링(47)이 댐퍼 수납통(44)에 고정된다. 이때, 누름 링(47)을 사용하지 않고, 나사(62)를 나사 구멍(44c)에 직접 나사고정해도 된다.
홀더(46)는, 돌출부(38)가 삽입되는 밥공기 타입의 본체부(46a)와, 이 본체부(46a)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본체부(46a)보다도 작은 직경의 소직경부(46b)로 이루어진다. 본체부(46a)는, 윗면에 제1댐퍼(41)의 내부 링(41a)을 받아들이는 어깨부(46c)가, 저면에 제2댐퍼(42)의 통부(42a)가 삽입되는 홈(46d)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소직경부(46b)에는, 나사 삽통공(46e)이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46a)의 내주면에는, 홀더(46)가 회전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외부 통(38b)의 D 컷트 부분에 삽입되는 볼록부(46f)가 형성되어 있다.
마이크로폰 유닛(3)은, 내부 통(38a)이 내부 링(41a)을 삽입통과하여, 외부 통(38b)의 슬릿(38d)에 볼록부(41d)가 삽입되어 있다.
홀더(46)는, 댐퍼 수납통(44)의 내부에 배치되고, 어깨부(46c) 내부에 제1댐퍼(41)의 내부 링(41a)이 들어가 있다. 또한, 홀더(46)는, 제2댐퍼(42)의 통부(42a)가 홈(46d)에 삽입되고, 소직경부(46b)가 제2댐퍼(42)의 부착 구멍(42d)에 삽입되어 제2댐퍼(42)에 의해 피벗 지지되어 있다. 더구나, 볼록부(46f)가, 제1댐퍼(41)를 삽입통과한 외부 통(38b)의 D 컷트 부분에 삽입되어, 홀더(46)는 회전 방지 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나사(63)가 나사 삽통공(46e)을 통해 마이크로폰 유닛(3)의 내부 통(38a)에 형성된 나사 구멍(38c)에 나사고정되어, 홀더(46) 및 제2댐퍼(42)가 고정된다. 마이크로폰 유닛(3)의 돌기(39)는, 내부 링(41a)의 윗면을 누르고 있고, 제1댐퍼(41)는, 돌기(39)와 홀더(46)의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부착대(53)는, 본체부(53a)의 오목부에 제2댐퍼(42)의 링(42c)이 끼워넣어져 있다. 제2댐퍼(42)는, 절결부(42e)에 보스(53f)가 삽입되어 원주 방향이 위치결정되고, 통부(42a)의 외측에 있는 위치결정 리브(53e)에 의해, 직경 방향이 위치결정되고 있다. 이 상태에서, 나사(64)가 나사 삽통공(53g)을 통해 댐퍼 수납통(44)의 나사 구멍(44d)에 나사고정되어, 부착대(53)가 댐퍼 수납통(44)에 고정된다. 제2댐퍼(42)는, 부착대(53)와 홀더(46) 사이에 끼워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마이크로폰 장치(2)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디지털 카메라(8)로 음성을 갖는 동화상 촬영을 행할 때에는, 마이크로폰 장치(2)를, 카메라 슈(27)에 부착한다. 이 때에는, 카메라 슈 장착부(43)의 판부(51a)를 카메라 슈(27)에 삽입한 후, 끼움 링(52)을 회전시켜 아래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 5에 나타낸 것과 같이, 끼움 링(52)과 판부(51a) 사이에서 절곡편(27a)을 끼워 지지한다.
마이크로폰 장치(2)의 장착후에, 접속 코드(9)의 핀 잭(10)을, 디지털 카메라(8)의 커넥터(32)에 접속한다. 마이크로폰 유닛(3)이 접속되어 있는 경우, 카메라 본체(8a) 내부의 내장 마이크로폰은 OFF 상태가 되고, 마이크로폰 유닛(3)에 의한 녹음이 행해진다. 마이크로폰 유닛(3)은, 내장 전지(미도시)로 구동된다. 이때, 디지털 카메라(8)로부터의 전력공급을 받아도 된다.
모드 설정 다이얼(26)을 조작해서 디지털 카메라(8)를 음성을 갖는 동화상 촬영 모드로 전환하고나서, 릴리즈 버튼(25)을 1회 눌러 조작해서 동화상 촬영을 개시한다. 동화상 촬영이 개시되면, 렌즈장치(20)를 통과한 촬영광은, 카메라 본체(8a) 내부의 이미지 센서에 입사한다. 이 이미지 센서에 의해, 주지와 같이 동화상이 촬영되고, 그것의 화상 데이터가 메모리 카드에 기록된다.
동화상 촬영과 동시에 씬의 음성은, 마이크로폰 6, 7에 들어가, 그것의 트랜스듀서(14)로 음성신호로 변환된다. 이 음성신호는, 제어 기판(16)에서 디지털 변환되고나서, 접속 코드(9)를 거쳐 카메라 본체(8a)에 송신된다. 이 음성 데이터는, 동화상의 화상 데이터와 대응되어, 메모리 카드 또는 외부 기록장치의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음성을 갖는 동화상 촬영중에, 주밍, 포커싱, 손떨림 보정이 연속적으로 행해진다. 이때, 복수의 모터가 작동하기 때문에, 작동음이나 진동이 발생한다. 모터의 진동은, 카메라 본체(8a)를 거쳐, 마이크로폰 장치(2)에 전해지려고 하지만, 탄성을 갖는 제1댐퍼(41) 및 제2댐퍼(42)에 의해, 피벗 지지 방식으로 또한 2점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댐퍼(41, 42)로 흡수된다. 예를 들면, 수평 방향의 진동에 의한 마이크로폰 유닛(3)의 요동은, 2개의 댐퍼(41, 42)에 의해 억제되고, 상하 방향의 진동은, 주로 제1댐퍼(41)에 의해 억제된다.
또한, 모터의 작동음은, 마이크로폰 6, 7이 카메라 본체(8a)로부터 떨어져 있으므로, 이것을 집음하는 일은 없다. 이 결과, 고품질의 녹음을 행할 수 있다.
더구나, 마이크로폰 유닛(3)에 돌출부(38)를 설치하고, 이 돌출부(38)를 제2댐퍼(42) 및 제1댐퍼(41)를 개재하여 지지함으로써, 마이크로폰 유닛(3)에의 진동을 흡수하고 있으므로, 마이크로폰 유닛(3)의 외주에 댐퍼를 설치하는 것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제2댐퍼(42)는, 홀더(46)의 소직경부(46b)를 피벗 지지하고 있으므로, 주름호스 형상의 고무로 홀더의 외주를 지지하는 것에 비해, 소형화할 수 있다.
음성을 갖는 동화상 촬영을 종료한 경우, 또는, 디지털 카메라(8)를 보관하는 경우에는, 끼움 링(52)을 풀고나서, 다리부(51)를 카메라 슈(27)로부터 떼어내면, 마이크로폰 장치(2)를 디지털 카메라(8)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마이크로폰 장치의 카메라 슈 장착부를, 카메라 슈의 1개인 핫슈에 장착하고 있지만, 전기적인 접속을 행하지 않는 악세서리 슈에 장착해도 된다.
또한, 동화상 촬영을 행하지 않고, 마이크로폰 장치를 사용해서 녹음만을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녹음 데이터만이 디지털 카메라 내의 메모리 카드 또는 외부 기록장치의 기록매체에 기록된다.
2 마이크로폰 장치
3 마이크로폰 유닛
4 부착장치
5 케이스
6, 7 좌우 마이크로폰
8 디지털 카메라
8a 카메라 본체
27 카메라 슈
38 돌출부
41 제1댐퍼
42 제2댐퍼
43 카메라 슈 장착부
44 댐퍼 수납통
46 홀더

Claims (4)

  1. 적어도 1개의 마이크로폰과, 상기 마이크로폰을 부착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출부와, 상기 돌출부의 주위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돌기를 갖는 마이크로폰 유닛과,
    디지털 카메라의 본체에 설치된 카메라 슈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카메라 슈 장착부와,
    상기 카메라 슈 장착부에 부착된 댐퍼 수납통과,
    상기돌출부의 하부에 부착된 밥공기 타입의 홀더와,
    상기 돌출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댐퍼 수납통 내에 부착되고, 또한 상기 돌기와 상기 홀더 사이에 끼워져, 상기 돌출부의 중간을 지지하는 제1댐퍼와,
    상기 댐퍼 수납통 내에서, 상기 홀더의 하부를 피벗 지지하는 제2댐퍼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댐퍼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는 내부 링과,
    상기 내부 링의 외측에 배치되는 외부 링과,
    상기 내부 링과 외부 링을 접속하는 복수의 리브와,
    상기 내부 링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회전 방지를 하는 위치결정 볼록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댐퍼는,
    상기 홀더에 끼워맞추는 통부와,
    상기 카메라 슈 장착부의 내측에 끼워넣어진 링과,
    상기 통부와 상기 링을 연결하고 있는 접시 형상의 댐퍼 본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하부에 나사 구멍을 갖는 원통형을 이루고 있고, 상기 나사 구멍에 나사를 나사결합함으로써, 상기 홀더가 상기 돌출부의 하부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폰 장치.
KR1020140021826A 2013-09-03 2014-02-25 마이크로폰 장치 KR1015246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81960 2013-09-03
JP2013181960A JP6164415B2 (ja) 2013-09-03 2013-09-03 マイクロフォン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752A true KR20150026752A (ko) 2015-03-11
KR101524620B1 KR101524620B1 (ko) 2015-06-01

Family

ID=500689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826A KR101524620B1 (ko) 2013-09-03 2014-02-25 마이크로폰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065990B2 (ko)
EP (1) EP2843968B1 (ko)
JP (1) JP6164415B2 (ko)
KR (1) KR101524620B1 (ko)
CN (1) CN104427451B (ko)
TW (1) TWI5219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42028B2 (ja) * 2016-01-20 2020-02-05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ケーブルホルダ
CN106375889A (zh) * 2016-11-16 2017-02-01 深圳市长丰影像器材有限公司 一体式手提支架麦克风
JP6919242B2 (ja) * 2017-03-16 2021-08-18 株式会社リコー 音声取得装置
JP6820061B2 (ja) * 2017-04-12 2021-01-27 株式会社ザクティ 全天球カメラ装置
CN110785799A (zh) * 2017-06-14 2020-02-11 学之光教育 国际学生交流与参与度平台
CN108683834B (zh) * 2018-07-27 2021-07-20 浙江大华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球形摄像机
JP7451246B2 (ja) 2020-03-16 2024-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装置
JP2022138364A (ja) * 2021-03-10 2022-09-26 ティアック株式会社 音声レコーダ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27496C2 (de) * 1977-06-18 1983-06-3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Tonfilmkamera mit ausziehbarem Mikrofon
AT360341B (de) * 1977-06-18 1980-01-12 Braun Ag Tonfilmkamera
JPS57171372U (ko) * 1981-04-23 1982-10-28
JPS59180585U (ja) * 1983-05-19 1984-12-03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
JP2530604Y2 (ja) * 1989-04-18 1997-03-26 三洋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アッセンブリの取付装置
JPH073750Y2 (ja) * 1989-10-16 1995-01-30 ホシデン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用マイクロホン
US5031872A (en) * 1990-08-01 1991-07-16 Primo Microphones, Inc. Microphone noise frequency and vibration absorbing mount
JP2999899B2 (ja) * 1993-02-24 2000-01-17 三洋電機株式会社 ビデオカメラ
JP3736022B2 (ja) * 1997-04-17 2006-01-18 ソニー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機構
JP2004153429A (ja) * 2002-10-29 2004-05-2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4186907B2 (ja) * 2004-10-14 2008-11-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6295272A (ja) * 2005-04-06 2006-10-26 Sony Corp 撮像装置
DE102007021395A1 (de) * 2007-05-04 2008-11-06 Sennheiser Electronic Gmbh & Co. Kg Mikrofoneinheit
JP4678432B2 (ja) * 2008-10-31 2011-04-27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6142410B2 (ja) * 2011-08-29 2017-06-07 カン−ムン ヨム 低音特性と音圧を向上させた超薄型スピーカーユニット及びスピーカーユニットが組み立てられたボード
US9129659B2 (en) * 2011-10-25 2015-09-08 Apple Inc. Buckling shock mounting
JP3187195U (ja) * 2013-09-03 2013-11-14 ティアック株式会社 カメラシュー延長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427451B (zh) 2018-01-12
US20150062425A1 (en) 2015-03-05
TWI521975B (zh) 2016-02-11
EP2843968A1 (en) 2015-03-04
US9065990B2 (en) 2015-06-23
JP2015050681A (ja) 2015-03-16
CN104427451A (zh) 2015-03-18
JP6164415B2 (ja) 2017-07-19
KR101524620B1 (ko) 2015-06-01
EP2843968B1 (en) 2016-05-25
TW201511575A (zh) 2015-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620B1 (ko) 마이크로폰 장치
US8704905B2 (e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KR200482153Y1 (ko) 카메라 슈 연장장치
JP2010224306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09198629A (ja) カメラシステムおよびカメラ本体
JP2011193185A (ja)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交換レンズ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56480A (ja) 回転操作ユニット及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JP2009141867A (ja) レンズ交換式カメラシステム
JP7309432B2 (ja) 振動デバイスを有する光学機器
US11297235B2 (en) Optical apparatus having vibration device
JP2006166006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523178B2 (ja) 記録装置
JP7187230B2 (ja) 振動デバイスを有する電子機器
US20230179848A1 (en) Electronic apparatus
JP2004080180A (ja) デジタルカメラ載置用クレードル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
JP2023120667A (ja) 撮像装置
JP2013137463A (ja) 撮像装置及びレンズフード
JP2023083878A (ja) 撮像装置
JP2006303571A (ja) 撮像装置
JP2011128346A (ja) 撮像装置、交換レンズ、カメラシステム
JP2010224307A (ja) レンズ鏡筒及び撮像装置
JP2010134189A (ja) アダプタ及び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