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718A - 반사재 - Google Patents

반사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718A
KR20150005718A KR1020147035136A KR20147035136A KR20150005718A KR 20150005718 A KR20150005718 A KR 20150005718A KR 1020147035136 A KR1020147035136 A KR 1020147035136A KR 20147035136 A KR20147035136 A KR 20147035136A KR 20150005718 A KR20150005718 A KR 201500057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resin layer
layer
olefin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3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97482B1 (ko
Inventor
다이키 노자와
사오리 스기에
다카유키 와타나베
마사히코 가와노
준 다카기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06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14860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006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13148605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5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74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74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4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 F21V7/28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characterised by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1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at the element's surface, e.g. by means of surface roughening or microprismatic struc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68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fabrication or manufacturing metho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7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 G02B5/0284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zed by the use used in refle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5Direct backlight including specially adapted refle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Abstract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으로서, 높은 광 확산성을 갖는 확산 반사면을 구비함으로써, 휘도 불균일의 방지에 유효한 새로운 반사재를 제공한다.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으로서,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8.0 이상인 확산 반사면을 구비한 수지층 (A)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를 제안한다. 또,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지층 (A) 가,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의 차의 절대값이 0.3 ∼ 3.0 (㎈/㎤)0.5 인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해 구성되는 반사재를 제안한다.

Description

반사재{REFLECTOR}
본 발명은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구성 부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반사재에 관한 것이다.
액정 디스플레이를 비롯하여,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 많은 분야에서 반사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액정 디스플레이 분야에 있어서, 장치의 대형화 및 표시 성능의 고도화가 진행되어, 조금이라도 많은 광을 액정에 공급하여 백라이트 유닛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되게 되었고, 반사재에 관해서도, 보다 한층 우수한 광 반사성 (간단히 「반사성」 이라고도 한다) 이 요구되게 되었다.
반사재에 관해서는, 예를 들어,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주원료로 하는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반사 필름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참조).
그러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를 사용하여 반사 필름을 제조한 경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분자 사슬 중에 포함되는 방향 고리가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 등의 광원으로부터 발해지는 자외선에 의해 반사 필름이 열화, 황변되어, 반사 필름의 광 반사성이 저하된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폴리프로필렌 수지에 충전제를 첨가하여 형성된 필름을 연신함으로써, 필름 내에 미세한 공극을 형성시켜, 광 산란 반사를 발생시킨 반사재 (특허문헌 2 참조) 나, 올레핀계 수지와 필러를 함유하는 기재 층과, 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하는 층으로 구성된 적층 구성의 올레핀계 수지 광 반사체도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3 참조).
이와 같은 올레핀계 수지를 사용한 반사재는, 자외선에 의한 열화나 황변의 문제가 적다는 특징을 갖는다.
또한, 무기 분말을 다량으로는 포함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반사 시트로서,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그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비상용성 수지 중 적어도 1 종 이상을 포함하는, 열 수축률이 저감된 2 축 연신 반사 시트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4 참조).
이 반사 시트는, 무기 분말을 다량으로 포함하지 않아도, 평량, 밀도가 동일한 정도의 종래의 반사 시트에 비해 보다 높은 반사율을 나타낸다는 특징을 구비한다.
한편, 종래의 반사 시트는, 일반적으로 표면이 비교적 평활하고, 정반사성이 강하기 때문에, 액정 디스플레이에 장착하여 광원을 점등시키면, 화면의 밝기에 불균일이 생기는 (이른바 휘도 불균일) 문제가 일어나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이 화면의 휘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표면에 유기 미립자 등을 코팅하여 요철을 형성시킴으로써, 높은 광 확산성을 부여한 반사 시트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5 참조).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4-2395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742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03165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8-15813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0-085843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반사재를 액정 디스플레이에 장착하여 사용했을 때의 휘도 불균일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 수법이 제안되어 왔지만, 여전히 고휘도이고 휘도 불균일이 적은 백라이트를 얻기 위한 반사재가 요구되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광 확산성을 발현한 경우에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새로운 반사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는,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의 표면 상태에 대해 상세하게 검토한 결과, 높이 프로파일에 의해 산출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원하는 값에 있는 확산 반사면을 구비한 수지층 (A) 를 갖는 반사재에 의해, 휘도 불균일 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해결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으로서, 높이 프로파일에 의해 산출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8.0 이상인 확산 반사면을 구비한 수지층 (A)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를 제안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제안하는 반사재는,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으로서, 특정한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구비한 수지층 (A) 를 갖고 있기 때문에, 이 수지층 (A) 가 높은 광 확산성을 발현함으로써,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이 반사재는, 액정 디스플레이, 조명 기구, 혹은 조명 간판 등의 반사재로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 은,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발생 기구의 일례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로서의 반사재 (「본 반사재」 라고 칭한다) 에 대하여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이 이 본 반사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반사재>
본 반사재는,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으로서, 소정의 확산 반사면을 구비한 수지층 (A) 를 구비한 반사재이다.
본 반사재는, 당해 수지층 (A) 와 함께, 내부에 공극을 갖는 수지층 (B) 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이하, 수지층 (A) 및 (B) 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서술한다.
<수지층 (A)>
수지층 (A) 는,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에 위치하는 층이며, 그 표면, 즉 확산 반사면은, 높이 프로파일에 의해 산출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8.0 이상인 것이 특징이다.
(높이 프로파일)
높이 프로파일이란, 측정 에리어면의 임의의 선분에 있어서의 단면 (斷面) 높이를 이산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위치 (Xn, Yn) 에 대해, 기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Zn 으로 했을 경우에 (Xn, Yn, Zn) 의 집합으로서 나타낸다. (Xn, Yn) 은 하기 식을 충족한다.
dx = Xn+1 - Xn = 일정값, dy = Yn+1 - Yn = 일정값
(면 각도의 표준 편차)
면 각도 δ (n) 란, 높이 프로파일에 의해 산출된 값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하기의 식에 의해 구해진다. 얻어진 면 각도 δ (n) 의 표준 편차 (σ,δ (n)) 를 산출하고, 통계값으로서 이용하였다.
δ (n) = arctan (Z'(n)) * 180/π
Z' (n) = (Zn+1 - Zn) / (dx2 + dy2)0.5 단, dx2 + dy2 ≠ 0
수지층 (A)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특정한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구비한 표면 상태 (확산 반사면) 를 갖고,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층이다.
또한, 상기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되는 한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 열 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지층 (A) 의 표면은, 휘도 불균일 방지의 관점에서, 높이 프로파일에 의해 산출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8.0 이상인 것이 중요하다.
이와 같은 면 각도의 표준 편차를 갖는, 요철 구조에 의한 확산 반사면을 수지층 (A) 에 형성함으로써, 수지층 (A) 가 높은 확산 반사성을 가져, 휘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지층 (A) 의 표면에 있어서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는 8.0 이상인 것이 중요하고, 9.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반사광은 정반사 방향으로 가장 강도가 강하고, 표면의 형상에 따라, 정반사 방향 이외의 확산 반사 성분을 겸비한다. 한편, 미소 영역에 있어서, 확산 반사 성분의 반사각은 면 각도가 클수록 커지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면 각도의 편차가 클수록 광 확산성이 양호해져,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광 확산성과 좋은 상관을 나타내는 것이 상정된다.
원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갖는 수지층 (A) 의 형성 방법으로는, 후술하는 3 종류의 방법, 즉 (1) 엠보스 가공에 의한 방법, (2) 프레스 전사에 의한 방법 및 (3)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3) 의 방법에 의해 수지층 (A) 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표면 조도)
또, 수지층 (A) 는,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구상 (球狀) 미립자에 의해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갖는 도포층이 아니라, 3 차원 표면 조도의 면 평균 조도 (Sa) 가 0.90 ㎛ 이상인 표면을 구비한 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구상 미립자에 의해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갖는 도포층」 이란, 구상 미립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바인더의 도막면으로부터 노출함으로써 형성되는 요철 구조를 갖는 층을 말한다.
이와 같이, 수지층 (A) 가,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에 위치하는 것이고,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구상 미립자에 의해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갖는 도포층이 아니라,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면 평균 조도 (Sa) 가 0.9 ㎛ 이상이 되는 요철 구조를 가짐으로써,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면 평균 조도 (Sa) 가 되는 한에 있어서, 수지층 (A) 의 구성 재료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각종 열 가소성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반사재의 수지층 (A) 를 3 차원 표면 조도의 면 평균 조도 (Sa) 가 0.90 ㎛ 이상인 표면을 구비한 층으로서 형성하는 목적과 그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반사 시트의 표면이 평활한 것에서 유래하는 문제로서, 도광판이 하중이나 열에 의해 변형되었을 때에 반사 시트와 조밀하게 접촉하는 지점이 발생하고, 그 부분이 과잉 휘도를 나타내어, 선상 또는 반상 (斑狀) 의 휘도 불균일이 되어 나타나는 사상 (事象) 을 들 수 있다 (백반 (白斑) 등으로 일반적으로 불리는 경우가 있다. 이하, 본 명세서 중에서는, 이와 같은 현상을 간략화하여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 이라고도 칭한다.).
이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은, 특히, 반사 시트 뒤의 금속 백 섀시가 요철 구조를 갖고 있는 경우에, 요철과 반사재의 접촉 부분에서 강한 밀착이 일어나기 때문에, 발생하기 쉬워지는 것으로 상정된다. 도 1 에,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발생 기구의 개념도를 도시하였다.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대처법으로는, 반사재의 표면에 미립자 도포 (코트) 층을 실시하여, 요철을 형성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도포층을 형성함으로써, 압력, 열 등, 도광판 압착을 향하는 외력이 발생했을 때, 요철 구조를 형성하는 미립자가 부서지지 않고, 도광판과 반사재의 강한 밀착을 방해하기 때문에,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 방지에 유효해지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이 때, 미립자의 경도가 높을수록 잘 부서지지 않아,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방지에 유효하기는 하지만, 경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진동으로 반사재와 도광판 사이에서 마찰이 발생했을 때에, 도광판의 도트가 미립자에 의해 깎여 버리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반사재에 미립자 코트층을 실시하는 것은 공정 수의 증가, 코스트의 증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코트 등의 특별한 공정 없이 표면에 요철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으면, 큰 메리트가 된다.
그래서,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에, 반사재에 미립자 코트층을 형성하지 않고, 특정한 표면 조도 (면 평균 조도 Sa) 를 갖는 수지층 (A) 를 형성함으로써, 미립자 코트층을 형성한 경우와 마찬가지로, 이 수지층 (A) 가 도광판과의 밀착을 방지하기 때문에, 도광판의 밀착에 의한 휘도 불균일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이, 본 반사재의 수지층 (A) 를 3 차원 표면 조도의 면 평균 조도 (Sa) 가 0.90 ㎛ 이상인 표면을 구비한 층으로서 형성하는 목적과 그 효과이다.
이와 같이,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 방지의 관점에서, 수지층 (A) 의 표면은, 3 차원 표면 조도의 면 평균 조도 (Sa) 가 0.9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1.2 ㎛ 이상이면, 보다 양호하게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3 차원 표면 조도의 면 평균 조도 (Sa) 는 하술하는 실시예의 기재에 준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상기 면 평균 조도 (Sa) 를 갖는, 요철 구조를 구비한 수지층 (A) 의 형성 방법으로는, 후술하는 3 종류의 방법, 즉 (1) 엠보스 가공에 의한 방법, (2) 프레스 전사에 의한 방법 및 (3)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한 방법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3) 의 방법에 의해 수지층 (A) 를 형성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엠보스 가공에 의한 방법)
(1) 엠보스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방이 엠보스 눈을 형성한 롤, 타방이 표면에 탄성체를 형성한 롤로 이루어지는 1 쌍의 가압 롤에, 가열 용융한 수지를 T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엠보스 눈을 갖는 필름을 제막 (製膜) 하는 방법, 열 프레스반과 엠보스 부형형 사이에서 필름을 가압함으로써 필름에 엠보스 눈을 부여하는 방법, 일방이 엠보스 눈을 형성한 롤, 타방이 가열 롤로 이루어지는 1 쌍의 가열 가압 롤에 필름을 가열 가압하면서 통과시킴으로써 필름에 엠보스 눈을 부여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엠보스 가공의 경우, 엠보스 형상의 면 각도의 설계에 따라, 임의의 면 각도를 갖는 표면을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유리하다. 단, 이들에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프레스 전사에 의한 방법)
(2) 프레스 전사에 의한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롤상으로 감긴 시트 재료의 표면에 미세 요철 형상을 간헐적으로 프레스 성형함으로써, 그 시트 재료의 표면에 미세 형상 패턴을 전사하여 부형시켜 가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단, 금형의 미세 형상 패턴의 설계에 따라 임의의 면 각도를 부형할 수 있기는 하지만, 대사이즈나 큰 폭의 시트 가공의 경우, 가열·냉각에 다대한 시간을 필요로 하여, 1 사이클 타임이 현저하게 길어져, 생산성이 나빠지는 것이 염려된다.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한 방법)
(3)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해, 원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갖는 수지층 (A) 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열 가소성 수지 (I) 및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로서, 혼합되는 2 종의 수지의 용해도 파라미터 (이하 「SP 값」 이라고 표기한다) 또는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 혹은 이들 양방에 주목한다.
SP 값에 대해서는,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0.3 ∼ 3.0 (㎈/㎤)0.5,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 1.5 (㎈/㎤)0.5 가 되는 조합을 선택하면 된다.
또한, 3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를 혼합하는 경우에는, 2 종류의 열 가소성 수지 사이의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의 차의 절대값의 최대값이 된다.
이와 같이, 혼합하는 수지의 SP 값의 차의 절대값을 상기 범위로 조정함으로써, 혼합하는 2 종의 수지의 분산성이 적당히 조정되어, 형성되는 수지층 (A) 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를 상기의 값으로 할 수 있다. 혼합되는 수지의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0.5 (㎈/㎤)0.5 이상이면, 수지층 (A) 중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의 분산상이 형성되어, 수지층 (A) 의 표면의 면 각도가 조정되고, 높은 확산성을 발현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한편, 혼합되는 수지의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3.0 (㎈/㎤)0.5 이하이면, 수지층 (A) 중의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의 분산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어, 수지층 (B) 의 제막성도 안정되므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한 방법에 의하면, 유기계 또는 무기계의 구상 미립자에 의해 형성된 요철 구조를 갖는 도포층에 의해 수지층 (A) 가 형성된 경우와 비교하여, 공정 수의 증가, 코스트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외관 점도 (η) 에 대해서는, 압출 가공 온도에서의 용융 점도 (전단 속도:100 (1/sec) 에서의 값) 의 차의 절대값이 1000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선택한 2 종의 열 가소성 수지 사이의 SP 값의 차가 작을수록 외관 점도의 차는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관 점도 (η) 를 일정 이하로 조정함으로써, 비상용 수지의 분산 직경이 미세화되어, 형성되는 수지층 (A) 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8.0 이상으로 할 수 있으며, 또, 형성되는 수지층 (A) 의 면 평균 조도 (Sa) 를 0.9 이하로 할 수 있다.
(비상용 수지의 SP 값 차를 이용한 기술)
여기서, 용해도 파라미터 (SP 값) 의 차의 절대값이 일정 범위인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해, 원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갖는 수지층 (A) 를 형성하고, 동시에, 원하는 면 평균 조도 (Sa) 를 가진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방의 열 가소성 수지 (I) 의 SP 값이 5.0 ∼ 15.0 (㎈/㎤)0.5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7.0 (㎈/㎤)0.5 이상 혹은 12.0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타방의 열 가소성 수지 (II) 의 SP 값은 5.3 ∼ 14.7 (㎈/㎤)0.5 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7.3 (㎈/㎤)0.5 이상 혹은 11.7 (㎈/㎤)0.5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기술 사상으로부터, SP 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열 가소성 수지 (I) 을 후보 수지 1 로 하여 스크리닝하고, 나아가서는 SP 값이 상기 범위에 있는 열 가소성 수지 (I) 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를 후보 수지 2 로 하여 스크리닝 하여, 이들 후보 수지 1 및 2 의 조합에 의해 형성되는 수지층 중에서,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8.0 이상이 되는 것, 혹은, 3 차원 표면 조도에 있어서의 면 평균 조도 (Sa) 가 0.5 이상이 되는 것을 선택함으로써, 수지층 (A) 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P 값은, 열 가소성 수지 (I) 혹은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를 구성하는 원자 및 원자단의 증발 에너지 (Δei) 와 몰 체적 (Δvi) 을 하기의 Fedors 의 식에 대입하여 구할 수 있다.
SP 값 (㎈/㎤)0.5 = (ΣΔei/ΣΔvi)0.5
여기서, Δei 및 Δvi 에는, Fedors 가 제안한 상수를 사용하였다 (표 1 참조). 표 1 은, Fedors 에 의한 원자 및 원자단의 증발 에너지와 몰 체적의 발췌이다.
Figure pat00001
또한, 수지층 (A) 에 있어서, 열 가소성 수지 (I)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는, 각각 1 종류의 수지여도 되고, 2 종류 이상의 수지여도 된다. 예를 들어, 1 종류의 열 가소성 수지 (I-1) 과 ,이것에 비상용인 2 종류의 열 가소성 수지 (II-1) (II-2) 가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또, 열 가소성 수지 (I-1)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1) 이 포함되어 있는 것 외에, 열 가소성 수지 (I-2) 와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2) 와 같이 2 종류 이상의 조합이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열 가소성 수지 (I-1)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1) 에 의해 형성된 해(海)-도(島)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도상 (島相) 또는 복수의 해상 (海相) 이 존재하는 경우, 이들 해상과 도상의 최대 SP 값끼리의 차의 절대값을 구하면 된다.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I-1), 열 가소성 수지 (I-2), 열 가소성 수지 (II-1) 의 SP 값이 (I-1) < (II-1) < (II-2) 인 경우, 최대차가 되는 열 가소성 수지 (II-2) 와 열 가소성 수지 (I-1) 사이의 SP 값의 차의 절대값을 구하면 된다.
또, 수지층 (A) 의 표면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원하는 값으로 하는 효과의 관점, 혹은, 수지층 (A) 의 표면의 면 평균 조도 (Sa) 를 0.5 ㎛ 이상으로 하는 효과의 관점에서, 열 가소성 수지 (I)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바꾸어 말하면,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0.3 ∼ 3.0 (㎈/㎤)0.5 가 되는 조합이 되는 혼합 수지의 수지량이, 수지층 (A) 를 구성하는 전체 수지의 7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80 질량% 이상, 그 중에서도 9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열 가소성 수지 (I)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의 함유 비율 (질량 비율) 은, 60:40 ∼ 90:10, 또는, 40:60 ∼ 10:90 인 것, 그 중에서도 70:30 ∼ 80:20, 또는, 30:70 ∼ 20:80 인 것이, 분산상이 안정적으로 형성되고, 수지층 (A) 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효과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단, 열 가소성 수지 (I) 및 열 가소성 수지 (II) 중 어느 것이 많아져도, 어느 것이 모상 (母相) 혹은 분산상이 되는지의 차이이기 때문에, 수지층 (A) 의 표면을 조면화하는 효과의 점에서는 동일하다.
즉, 열 가소성 수지 (I) 및 열 가소성 수지 (II) 중 어느 것이 베이스 수지여도 된다. 내열성을 부여하는 의미에 있어서는, 수지층 (A) 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가 85 ∼ 150 ℃ 인 비정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비상용 수지의 용융 점도차를 이용한 기술)
다음으로,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에 의한 방법에 있어서, 압출 가공 온도에서의 외관 점도 (전단 속도:100 (1/sec)) 의 차의 절대값을 일정 범위로 함으로써, 원하는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가진 요철 구조를 형성하고, 동시에, 원하는 면 평균 조도 (Sa) 를 가진 요철 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열 가소성 수지 (I)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 의 혼합계에서는, 수지 사이의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분산 직경이 미분산화하기 때문에, 이것이 표면 형상에 영향을 주어, 면 각도, 및, 그 불균일의 증대로 이어지는 것으로 추측된다.
따라서,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은, 전술한 SP 값의 차의 절대값과 함께, 혼합계에 있어서의, 면 각도, 및, 그 불균일의 증대에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 때문에, 사용하는 수지 사이의 SP 값의 차에 따라, 외관 점도를 조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수지 사이의 SP 값의 차가 클수록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은 커도 되고, 사용하는 수지 사이의 SP 값의 차가 작을수록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을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확인되고 있는 바와 같이, COP (SP 값:7.4) 와 PP (SP 값:8.0) 의 조합 (SP 값 차:0.6) 과 같이,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0.6 이상 1.4 미만인 경우에는, 형성되는 해-도 구조에 있어서, 압출 가공 온도 (230 ℃) 에서의, 해상과 도상의 외관 점도 (η) (전단 속도:100 (1/sec) 에서의 값) 의 차의 절대값이 1200 (㎩·s)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s)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열 가소성 수지 (열 가소성 수지 (I-1) 과 이것에 비상용인 열 가소성 수지 (II-1) 에 의해 형성된 해-도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도상 또는 복수의 해상이 존재하는 경우, 복수의 해상과 도상의 각각의 차의 절대값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적인 특성의 부여)
수지층 (A) 를 구성하는 수지의 1 종, 바람직하게는 베이스 수지의 1 종,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I) 또는 (II) 의 유리 전이 온도 (JIS K-7121, Tg) 가 85 ∼ 150 ℃ 인 비정성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본 반사재에 내열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또한, 수지층 (A) 의 베이스 수지란, 수지층 (A) 전체의 질량에 대해, 50 질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을 차지하는 수지의 의미이다.
여기서 말하는 비정성 수지란, 결정화에 수반하는 발열 피크가 관찰되지 않거나, 또는 관찰되었다고 해도 결정 융해 열량이 10 J/g 이하가 되는 결정화도가 매우 낮은 수지를 나타낸다.
비정성 수지는, 환경 온도가 변화해도 유리 전이점 이하에서는 안정된 특성을 나타내고, 유리 전이점 부근의 온도까지는 수축율이 작고 치수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성질로부터, 반사재에 높은 내열성을 부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지층 (A) 의 베이스 수지,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I) 의 유리 전이 온도 (Tg) 가 85 ∼ 150 ℃ 이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구성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라도 내열성이 충분하여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수지층 (A) 의 베이스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는 9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100 ℃ 이상, 150 ℃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이 종류의 비정성 수지로서,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계 수지, 비정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이미드, 열 가소성 폴리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연신성, 유리 전이 온도의 범위, 투명성을 고려한 경우,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스티렌, 폴리카보네이트 수지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시클로올레핀계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여기서, 수지층 (A) 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 호모폴리머, 시클로올레핀 코폴리머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란, 주사슬이 탄소-탄소 결합으로 이루어지고, 주사슬의 적어도 일부에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를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이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는, 노르보르넨이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으로 대표되는, 고리형 탄화수소 구조 중에 적어도 하나의 올레핀성 이중 결합을 갖는 화합물 (시클로올레핀) 을 단량체로서 사용함으로써 도입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는, 시클로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부가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시클로올레핀의 개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로 분류되며, 모두 본 반사재에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구체예로는, 시클로펜텐, 시클로헥센, 시클로옥텐;시클로펜타디엔, 1,3-시클로헥사디엔 등의 1 고리의 시클로올레핀;비시클로[2.2.1]헵타-2-엔 (관용명:노르보르넨), 5-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5-디메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부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에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옥타데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메틸리덴-비시클로[2.2.1]헵타-2-엔, 5-비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프로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 등의 2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트리시클로[4.3.0.12,5]데카-3,7-디엔 (관용명:디시클로펜타디엔), 트리시클로[4.3.0.12,5]데카-3-엔;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7-디엔 혹은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8-디엔 또는 이들의 부분 수소 첨가물 (또는 시클로펜타디엔과 시클로헥센의 부가물) 인 트리시클로[4.4.0.12,5]운데카-3-엔;5-시클로펜틸-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타-2-엔, 5-시클로헥세닐비시클로[2.2.1]헵타-2-엔, 5-페닐-비시클로[2.2.1]헵타-2-엔과 같은 3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간단히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이라고도 한다), 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메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에틸리덴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비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프로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과 같은 4 고리의 시클로올레핀;
8-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시클로헥세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 8-페닐-시클로펜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도데카-3-엔;테트라시클로[7.4.13,6.01,9.02,7]테트라데카-4,9,11,13-테트라엔(1,4-메타노-1,4,4a,9a-테트라하이드로플루오렌이라고도 한다), 테트라시클로[8.4.14,7.01,10.03,8]펜타데카-5,10,12,14-테트라엔(1,4-메타노1,4,4a,5,10,10a-헥사하이드로안트라센이라고도 한다);펜타시클로[6.6.1.13,6.02,7.09,14]-4-헥사데센, 펜타시클로[6.5.1.13,6.02,7.09,13]-4-펜타데센, 펜타시클로[7.4.0.02,7.13,6.110,13]-4-펜타데센;헵타시클로[8.7.0.12,9.14,7.111,17.03,8.012,16]-5-에이코센, 헵타시클로[8.7.0.12, 9.03,8.14,7.012,17.113,16]-14-에이코센;시클로펜타디엔의 4 량체 등의 다고리의 시클로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시클로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과 공중합 가능한 α-올레핀의 구체예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1-펜텐, 1-헥센, 3-메틸-1-부텐, 3-메틸-1-펜텐, 3-에틸-1-펜텐, 4-메틸-1-펜텐, 4-메틸1-헥센, 4,4-디메틸-1-헥센, 4,4-디메틸-1-펜텐, 4-에틸-1-헥센, 3-에틸-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1-테트라데센, 1-헥사데센, 1-옥타데센, 1-에이코센 등의 탄소수 2 ∼ 20,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2 ∼ 8 의 에틸렌 또는 α-올레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α-올레핀은 각각 단독으로 혹은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시클로올레핀 또는 시클로올레핀과, α-올레핀의 중합 방법 및 얻어진 중합체의 수소 첨가 방법에 각별한 제한은 없고, 공지된 방법에 따라 실시할 수 있다.
이상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중에서도, 내열성의 관점에서, 유리 전이 온도 (Tg) 가 70 ∼ 170 ℃, 특히 80 ℃ 이상, 160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85 ℃ 이상, 150 ℃ 이하인 시클로올레핀 수지가 바람직하다.
이 때, 2 종류 이상의 시클로올레핀 수지를 조합하여 혼합하고, 혼합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를 상기 범위로 조정하도록 해도 된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로서 시판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닛폰 제온사 제조의 「제오노아 (등록상표)」 (화학명;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미츠이 화학사 제조의 「아펠 (등록상표)」 (에틸렌과 테트라시클로도데센의 부가 공중합체) 이나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TOPAS (등록상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에서도, 닛폰 제온사 제조의 「제오노아 (등록상표)」 (화학명;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및/또는, 폴리플라스틱스사 제조의 「TOPAS (등록상표)」 (에틸렌과 노르보르넨의 부가 공중합체) 를 사용하면, 높은 반사 성능을 갖는 반사재가 얻어지므로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시클로올레핀으로서, 올레핀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를 사용하는 경우, 노르보르넨의 함유량은 60 ∼ 90 wt%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65 wt% 이상, 80 wt%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비정성 수지 (2 성분 이상의 비정성 수지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 는, 수지층 (A) 전체의 질량에 대해 5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100 % 는 제외한다) 이다.
상기와 같이, 수지층 (A) 의 베이스 수지,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I) 로서, 유리 전이 온도가 85 ∼ 150 ℃ 인 비정성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내절곡성을 높이는 관점을 가미하면, 그 열 가소성 수지 (I) 이외의 수지로서, 예를 들어 열 가소성 수지 (II) 로서, 올레핀계 수지나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배합하여 수지층 (A) 를 형성함으로써,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는 얻어지지 않은 내절곡성과, 올레핀계 수지 단독으로 얻어지지 않은 내열성을 함께 확보할 수 있다.
이 때,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이라고 칭한다) 는, 0.1 g/10 min 이상, 혹은 20 g/10 min 이하 (JIS K-7210, 230 ℃, 하중 21.18 N)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5 g/10 min 이상, 혹은 10 g/10 min 이하인 것이 보다 한층 바람직하다.
또,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MFR 도 상기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양자의 MFR 을 조정하면,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중에 배향하여, 반사재로서의 기계 특성을 극단적으로 악화시켜 버릴 우려가 없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이외의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계 수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수지 (PE) 나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폴리에틸렌 수지에 비해 융점이 높아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바람직하다.
또, 압출 성형성의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중에서도, MFR (230 ℃, 21.18 N) 이 0.1 g/10 min ∼ 20 g/10 min, 특히 0.2 g/10 min 이상 혹은 10 g/10 min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0.5 g/10 min 이상 혹은 5 g/10 min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가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로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스티렌계 엘라스토머,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폴리에스테르계 엘라스토머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중의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올레핀계 수지, 특히 폴리프로필렌 수지와 상용하기 때문에,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과 부타디엔 혹은 이소프렌 등의 공액 디엔의 공중합체, 및/또는, 그 수소 첨가물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는, 스티렌을 하드 세그먼트, 공액 디엔을 소프트 세그먼트로 한 블록 공중합체이며, 가황 공정이 불필요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 수소 첨가를 한 것은 열 안정성이 높아, 더욱 바람직하다.
스티렌계 엘라스토머의 바람직한 예로는, 예를 들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수소 첨가에 의해 공액 디엔 성분의 이중 결합을 없앤,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프로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수소 첨가된 스티렌계 엘라스토머라고도 한다) 가 바람직하다.
(미분상 (微粉狀) 충전제)
수지층 (A) 는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해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의 종류, 입경 및 표면 처리 방법에 관해서는, 하술하는 수지층 (B) 에서 설명하는 내용과 동일하고, 바람직한 예도 동일하다.
(수지층 (A) 의 형태)
수지층 (A) 는,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또,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 혹은 도포 등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는 일 없이) 박막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시트체는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1 축 혹은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며,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특히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수지층 (A) 는,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활제 및 광 확산재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상용화제 및 분산제 등도 소량이면 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지층 (B)>
수지층 (B) 는, 내부에 공극을 갖는 층이고, 본 반사재에 높은 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본 반사재의 내절곡성을 높일 수 있는 층이다.
(수지층 (B) 의 공극률)
수지층 (B) 의 공극률, 즉 공극이 당해 층에 차지하는 체적 비율은, 반사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10 ∼ 9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범위의 공극을 형성함으로써, 반사재의 백화가 충분히 진행되므로 높은 반사성을 얻을 수 있고, 또, 반사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파단되는 경우가 없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지층 (B) 의 공극률은, 상기 범위 중에서도, 특히 20 % 이상 혹은 80 % 이하, 그 중에서도 25 % 이상 혹은 75 %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30 % 이상 혹은 7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에 공극을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화학 발포법, 물리 발포법, 초임계 발포법, 연신법, 추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본 반사재에 있어서는, 제막성이나 연속 생산성이나 안정 생산성 등의 면에서 연신법이 바람직하다.
연신 방법의 구체예로는, 예를 들어 롤 연신법, 압연법, 텐터 연신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본 발명에 있어서는 롤 연신법 및 텐터 연신법이 연신 조건의 선택폭이 넓기 때문에, 이들을 단독으로 혹은 조합하여 적어도 1 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 적합하다.
그 연신으로서, 예를 들어, 롤 연신법 등에 의해 세로 방향 (MD) 으로 연신하는 1 축 연신법, 세로 방향으로의 1 축 연신 후 계속해서 텐터 연신법 등에 의해 가로 방향 (TD) 으로 연신하는 축차 2 축 연신법, 또는 텐터 연신법을 이용하여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는 동시 2 축 연신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반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는, 2 축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베이스 수지)
수지층 (B) 의 주성분을 이루는 수지 (베이스 수지) 로는, 예를 들어,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디엔계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의 1 종이어도 되고 또는 2 종 이상의 조합이어도 된다. 그 중에서도, 반사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다.
올레핀계 수지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 수지나,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등의 폴리에틸렌 수지나, 에틸렌-고리형 올레핀 공중합체 등의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상기 서술한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포함한다) 에서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폴리올레핀 수지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기계적 성질, 유연성 등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나 폴리에틸렌 수지 (PE) 가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특히, PE 에 비해 융점이 높고 내열성이 우수하며, 또, 탄성률 등의 기계 특성이 높다는 관점에서,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바람직하다.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중에서도, 압출 성형성의 관점에서, MFR (230 ℃ 21.18 N) 이 0.1 ∼ 20 g/10 min, 특히 0.2 g/10 min 이상 혹은 10 g/10 min 이하, 그 중에서도 특히 0.5 g/10 min 이상 혹은 5 g/10 min 이하인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가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수지층 (B) 중에 함유되는 베이스 수지는, 수지층 (B) 전체의 질량에 대해 30 질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0 질량% 이상 (100 % 포함한다) 이다.
(미분상 충전제)
수지층 (B) 는, 우수한 반사성을 얻기 위해서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함으로써,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 차에 의한 굴절 산란 외에, 미분상 충전제의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 (空洞) 과의 굴절률 차에 의한 굴절 산란, 또한 미분상 충전제의 주위에 형성되는 공동과 미분상 충전제의 굴절률 차에 의한 굴절 산란 등으로부터도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로는, 무기질 미분체, 유기질 미분체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무기질 미분체로는,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칼슘, 산화티탄, 산화아연, 알루미나, 수산화알루미늄,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 실리카, 마이카, 탤크, 카올린, 클레이, 유리 분말, 아스베스토 분말, 제올라이트, 규산 백토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시트를 구성하는 수지와의 굴절률 차를 고려하면, 굴절률이 큰 것이 바람직하며, 굴절률이 1.6 이상인, 탄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또는 산화아연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산화티탄은, 다른 무기 충전제에 비해 굴절률이 현저하게 높고, 베이스 수지와의 굴절률 차를 현저하게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충전제를 사용했을 경우보다 적은 배합량으로 우수한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티탄을 사용함으로써, 반사재의 두께를 얇게 해도 높은 반사성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산화티탄을 포함하는 충전제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이 경우, 산화티탄의 양은, 무기 충전제의 합계 질량의 30 % 이상, 또는 유기 충전제와 무기 충전제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합계 질량의 30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무기질 미분체의 수지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미분상 충전제의 표면에, 실리콘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등으로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을 사용해도 된다.
한편, 유기질 미분체로는, 폴리머 비드, 폴리머 중공 입자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은 어느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무기질 미분체와 유기질 미분체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미분상 충전제는, 입경이 0.05 ㎛ 이상 15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입경이 0.1 ㎛ 이상 혹은 10 ㎛ 이하이다. 충전제의 입경이 0.05 ㎛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로의 분산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균질인 시트가 얻어진다. 또 입경이 15 ㎛ 이하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치밀하게 형성되어, 고반사성의 반사재가 얻어진다.
또,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으로는, 반사재의 반사성, 기계적 강도, 생산성 등을 고려하면, 수지층 (B) 전체의 질량에 대해 10 ∼ 80 질량% 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질량% 이상 혹은 70 질량%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10 질량% 이상이면,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고, 반사재에 고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량이 80 질량% 이하이면, 반사재에 필요한 기계적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수지층 (B) 에 있어서, 베이스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함유 비율 (질량 비율) 로는, 광 반사성, 기계적 강도 및 생산성 등의 관점에서, 베이스 수지:미분상 충전제 = 80:20 ∼ 30:70, 특히 80:20 ∼ 60:40 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수지층 (B) 는 상기 서술한 이외의 다른 수지를 함유해도 된다. 또, 산화 방지제, 광 안정제, 열 안정제, 분산제, 자외선 흡수제, 형광 증백제, 상용화제, 활제 및 그 밖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수지층 (B) 의 형태)
수지층 (B) 는,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되고, 또,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 혹은 도포 등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는 일 없이) 박막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이어도 된다.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시트체는 미연신 필름이어도 되고, 1 축 혹은 2 축 연신 필름이어도 되며,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1.1 배 이상 연신하여 얻어지는 연신 필름, 특히 2 축 연신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 구성>
본 반사재는, 최외층으로서 수지층 (A) 를 구비하고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A) 와 수지층 (B) 를 형성한 적층 구성을 예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각 층에 각각 다른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지층 (B) 에 반사성을 부여하면서, 내절곡성 등의 가공성을 유지시키는 한편, 수지층 (A) 에 대전 방지성이나 높은 광 확산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반사재는, 수지층 (A) 및 (B) 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승 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매우 우수한 반사성을 발휘할 수 있다.
또, 수지층 (A) 의 수지를 선택함으로써, 내열성을 부여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보다 높은 반사성을 발휘하면서, 내열성 및 가공성을 부여시킬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은 적층 구성에 있어서는, 광이 조사되는 측 (반사 사용면측) 의 최외층에 수지층 (A) 가 위치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함으로써, 반사재에 높은 반사성을 부여할 수 있다.
그 밖의 적층 구성으로는, 예를 들어, 수지층 (B) 의 양면에 수지층 (A) 를 형성한 3 층의 적층 구성을 들 수 있다. 또한,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이외에 다른 층을 구비해도 되고, 수지층 (A) 및 수지층 (B) 의 각 층 사이에 다른 층이 개재해도 된다. 예를 들어, 수지층 (A), 수지층 (B) 사이에 접착층이 개재해도 된다.
<두께>
본 반사재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30 ㎛ ∼ 150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실용면에 있어서의 취급성을 고려하면, 50 ㎛ 이상 혹은 1000 ㎛ 이하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50 ㎛ ∼ 700 ㎛ 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조명 기구, 조명 간판 용도의 반사재로는, 두께가 100 ㎛ ∼ 100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A) 는 얇아도 반사재 전체의 내열성을 높일 수 있는 한편, 수지층 (A) 가 지나치게 두꺼우면, 내절곡성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각 층 합계 두께비 (예를 들어 수지층 (B) 가 2 층 있는 경우에는 2 층의 합계 두께의 비율) 는 1:3 ∼ 1:15 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1:3 ∼ 1:10 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평균 반사율>
본 반사재는, 적어도 편면의 평균 반사율이 파장 420 ㎚ ∼ 700 ㎚ 의 광에 대해 97 %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반사성을 갖는 것이면, 반사재로서 양호한 반사 특성을 나타내고, 이 반사재를 장착한 액정 디스플레이 등은 그 화면이 충분한 밝기를 실현할 수 있다.
<공극률>
본 반사재는, 반사성을 높이기 위해서, 공극을 갖는 수지층 (B) 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층 (B) 의 공극률, 즉 연신에 의해 공극을 형성하는 경우의 공극률은, 수지층 (B) 를 구성하는 필름을 대상으로 하여 다음 식에 의해 구할 수 있다.
공극률 (%) =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연신 후의 필름의 밀도) / 연신 전의 필름의 밀도} × 100
<제조 방법>
본 반사재의 제조 방법으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이 아니고, 공지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에, 적층 구성을 구비한 반사재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일례를 들어 설명한다. 단, 하기 제조 방법에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등의 비정성 수지에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그 외 첨가제를 필요에 따라 배합한 수지 조성물 A 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그 외 산화 방지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셸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구성하는 (분상, 액상 첨가제 이외의) 모든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구체적으로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의 모든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220 ℃ ∼ 280 ℃) 에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 등을 다른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A 를 얻을 수 있다.
또,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와 그 밖의 산화 방지제 등을 미리 고농도로 배합한 소위 마스터 배치를 만들어 두고, 이 마스터 배치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및/또는 열 가소성 엘라스토머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 A 로 할 수도 있다.
한편, 올레핀계 수지 등에,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필요에 따라 배합한 수지 조성물 B 를 제조한다. 구체적으로는, 주성분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에 미분상 충전제 등을 필요에 따라 첨가하여 리본 블렌더, 텀블러, 헨셸 믹서 등으로 혼합한 후, 밴버리 믹서, 1 축 또는 2 축 압출기 등을 사용하여, 미분상 충전제, 그 외 분상·액상 첨가제 이외의) 주성분으로 하는 올레핀계 수지의 융점 이상의 온도 (예를 들어, 190 ℃ ∼ 270 ℃) 로 혼련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B 를 얻을 수 있다.
또는, 올레핀계 수지, 미분상 충전제 등을 각각의 피더 등에 의해 소정량을 첨가함으로써 수지 조성물 B 를 얻을 수 있다.
또, 미분상 충전제, 그 밖의 첨가제 등을 미리 올레핀계 수지에 고농도로 배합한, 소위 마스터 배치를 만들어 두고, 이 마스터 배치와 올레핀계 수지를 혼합하여 원하는 농도의 수지 조성물 B 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수지 조성물 A 및 B 를 건조시킨 후, 각각 다른 압출기에 공급하고, 각각 소정의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여 용융시킨다.
압출 온도 등의 조건은 분해에 의해 분자량이 저하되는 것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예를 들어, 수지 조성물 A 의 압출 온도는 220 ℃ ∼ 280 ℃, 수지 조성물 B 의 압출 온도는 190 ℃ ∼ 2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용융한 수지 조성물 A 및 수지 조성물 B 를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키고, T 다이의 슬릿상의 토출구로부터 적층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롤에 밀착 고화시켜 캐스트 시트를 형성한다.
얻어진 캐스트 시트는 적어도 1 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B)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이 박리되어 공극이 형성되고, 시트의 백화가 진행되어, 필름의 광 반사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캐스트 시트는 2 축 방향으로 연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1 축 연신을 한 것만으로는, 형성되는 공극은 일방향으로 신장된 섬유상 형태로밖에 되지 않지만, 2 축 연신함으로써, 그 공극은 종횡 양방향으로 신장된 것이 되어 원반상 형태가 된다.
즉, 2 축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B) 내부의 올레핀계 수지와 미분상 충전제의 계면의 박리 면적이 증대하고, 시트의 백화가 더욱 진행되어, 그 결과, 필름의 광 반사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2 축 연신하면 필름의 수축 방향의 이방성이 적어지므로, 필름에 내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필름의 기계적 강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캐스트 시트를 연신할 때의 연신 온도는, 수지층 (A) 의 비정성 수지의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 (Tg +50 ℃) 이하의 범위 내의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 온도가 유리 전이 온도 (Tg) 이상이면, 연신시에 필름이 파단되는 일 없이 안정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연신 온도가 (Tg +50) ℃ 이하의 온도이면, 연신 배향이 높아져, 그 결과, 공극률이 커지므로, 고반사성의 필름이 얻어지기 쉽다.
2 축 연신의 연신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동시 2 축 연신이어도 축차 연신이어도 상관없다. 연신 설비를 사용하여, 용융 제막한 후, 롤 연신에 의해 필름의 인취 방향 (MD) 으로 연신한 후, 텐터 연신에 의해, MD 의 직교 방향 (TD) 으로 연신해도 되고, 튜블러 연신 등에 의해 2 축 연신을 실시해도 된다.
2 축 연신의 경우의 연신 배율은, 면적 배율로서 6 배 이상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면적 배율을 6 배 이상 연신함으로써, 수지층 (A) 및 수지층 (B) 로 구성되는 반사 필름 전체의 공극률이 40 %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연신 후에는, 반사 필름에 치수 안정성 (공극의 형태 안정성) 을 부여하기 위해서 열 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름을 열 고정시키기 위한 처리 온도는 110 ℃ ∼ 170 ℃ 인 것이 바람직하다. 열 고정에 필요로 하는 처리 시간은 바람직하게 1 초 ∼ 3 분이다. 또, 연신 설비 등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연신 후에 열 고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는 텐터 연신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용도>
본 반사재는, 그대로 반사재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본 반사재를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적층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판으로서 유용하다.
이 때,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금속판으로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판이나 스테인리스판, 아연 도금 강판 등을 들 수 있다.
금속판 또는 수지판에 본 반사재를 적층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 융착하는 방법, 접착성 시트를 개재하여 접착하는 방법, 압출 코팅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단, 이들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판 또는 수지판 (정리하여 「금속판 등」 이라고 한다) 의 반사재를 첩합 (貼合) 하는 측의 면에,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에폭시계 등의 접착제를 도포하고, 반사재를 첩합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리버스 롤 코터, 키스 롤 코터 등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코팅 설비를 사용하여, 반사재를 첩합하는 금속판 등의 표면에, 건조 후의 접착제 막 두께가 2 ㎛ ∼ 4 ㎛ 정도가 되도록 접착제를 도포한다.
이어서, 적외선 히터 및 열풍 가열로에 의해 도포면의 건조 및 가열을 실시하고, 금속판 등의 표면을 소정의 온도로 유지하면서, 즉시 롤 라미네이터를 사용하여 반사재를 피복, 냉각시킴으로써, 반사판을 얻을 수 있다.
본 반사재의 용도로는, 액정 디스플레이 등의 액정 표시 장치, 조명 기구, 조명 간판 등에 사용되는 반사 부재로서 유용하다.
일반적으로 액정 디스플레이는, 액정 패널, 편광 반사 시트, 확산 시트, 도광판, 반사 시트, 광원, 광원 리플렉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반사재는,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패널이나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하는 반사재로서 사용할 수도 있고, 에지부에 배치된 광원으로부터의 조사 광을 집광하여 도광판에 입사시키는 역할을 갖는 광원 리플렉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용어의 설명>
일반적으로 「필름」 이란, 길이 및 폭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최대 두께가 임의로 한정되어 있는 얇고 평평한 제품으로, 통상적으로 롤의 형태로 공급되는 것을 말하며 (일본 공업 규격 JISK6900), 일반적으로 「시트」 란, JIS 에 있어서의 정의상, 얇고, 일반적으로 그 두께가 길이와 폭에 비해서는 작고 평평한 제품을 말한다. 그러나, 시트와 필름의 경계는 분명하지 않고, 본 발명에 있어서 문언상 양자를 구별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 이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시트」 를 포함하는 것으로 하고, 「시트」 라고 칭하는 경우라도 「필름」 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 본 명세서에 있어서 「주성분」 이라고 표현한 경우, 특별히 기재하지 않는 한, 당해 주성분의 기능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성분을 함유하는 것을 허용하는 뜻을 포함한다. 이 때, 당해 주성분의 함유 비율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주성분 (2 성분 이상이 주성분인 경우에는, 이들의 합계량) 은 조성물 중의 50 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70 질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질량% 이상 (100 % 포함한다) 을 차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X ∼ Y」 (X, Y 는 임의의 숫자) 라고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X 이상 Y 이하」 의 뜻과 함께,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 및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 의 뜻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X 이상」 (X 는 임의의 숫자) 이라고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X 보다 크다」 의 뜻을 포함하며, 「Y 이하」 (Y 는 임의의 숫자) 라고 표현한 경우,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Y 보다 작다」 의 뜻을 포함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응용이 가능하다.
<측정 및 평가 방법>
다음으로, 실시예 1-1 ∼ 1-3 및 비교예 1-1 ∼ 1-2 에서 얻은 샘플의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필름의 인취 (흐름) 방향을 MD, 그 직교 방향을 TD 라고 표시한다.
(외관 점도)
하기의 장치 및 조건에 따라, 반사재 (샘플) 의 외관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고화식 플로우 테스터 (CFT-500C/시마즈 제작소)
측정 조건:노즐 φ1 × L10 ㎜
온도:230 (℃)
전단 속도:100 (1/sec)
(반사광 확산성)
하기의 장치 및 조건에 따라, 반사재 (샘플) 의 반사광 강도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대입하여, 정반사 성분과 확산 반사 성분의 강도비를 계산하였다.
반사 성분 강도비 α = Σ (-5 도 ∼ 5 도의 반사광 강도) / Σ (25 도 ∼ 35 도의 반사광 강도)
반사 성분 강도비 β = Σ (55 도 ∼ 65 도의 반사광 강도) / Σ (25 도 ∼ 35 도의 반사광 강도)
장치:자동 변각 광도계 「GP-1R형」 (무라카미 색채 기술 연구소사 제조)
광원:할로겐 램프
광속 조리개 직경:10.5 ㎜
수광 조리개 직경:4.5 ㎜
광 입사 방향:필름의 TD
광 입사각:-30 도
반사광의 수광 측정 범위:-30 도 ∼ 90 도
측정 간격:1 도
상기 반사 성분 강도비 α 및 β 를 하기 평가 기준에 비추어, 광 확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단, 기호 「○」 및 「△」 는 실용 레벨 이상이다.
= 평가 기준 =
「○」:반사 성분 강도비 α 및 β 가 함께 0.5 이상
「△」:반사 성분 강도비 α 혹은 β 중 어느 것이 0.5 이상
「×」:반사 성분 강도비 α 및 β 가 함께 0.5 미만
(면 각도의 표준 편차)
하기의 장치, 조건에 따라, 반사재 (샘플) 의 표면 (수지층 A) 을 관찰하고, 얻어진 높이 프로파일에 대해 해석을 실시하여, 면 각도 (δ (n)) 를 산출하고, 그 표준 편차 (σ,δ (n)) 를 통계값으로서 이용하였다.
장치:전자선 3 차원 조도 해석 장치 「ERA-4000」 (엘리오닉스사 제조)
증착 조건:10 ㎃ × 100 sec, Pt-Pd 증착
가속 전압:10 ㎸
관찰 배율:250 배
해석 에리어:360 (㎛) × 480 (㎛)
<실시예 1-1>
(수지층 (A)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밀도 (ISO1183):1.01 g/㎤, MFR (230 ℃, 21.18 N, JISK7210:1.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K7121):127 ℃, SP 값:7.4)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1060R」,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밀도 (ISO1183):1.01 g/㎤, MFR (230 ℃, 21.18 N, JISK7210):1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K7121):100 ℃, SP 값:7.4)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밀도 (JISK7112):0.9 g/㎤, MFR (230 ℃, 21.18 N, JISK-7210):0.5 g/10 min, SP 값:8.0) 의 펠릿을, 50:25: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조하였다.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조)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K7112):0.9 g/㎤, MFR (230 ℃, 21.18 N, JISK-7210):2.4 g/10 min)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O2 함유량 96.0 %, 제조법:염소법) 을, 50:5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조하였다.
(반사재의 제조)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를 각각, 230 ℃, 200 ℃ 로 가열된 압출기 A 및 B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에 있어서, 230 ℃ 및 20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하여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5 ℃ 에서 MD 로 2.5 배로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50 ℃ 에서 TD 로 2.5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25 ㎛ (수지층 (A):185 ㎛, 수지층 (B):20 ㎛ 적층비 A:B = 4.6:1)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광 확산성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2>
실시예 1-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1060R」)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의 펠릿의 질량 비율을 70:10:20 으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1-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1-3>
실시예 1-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C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제조, 상품명 「TOPAS 8007F」, 밀도 (ISO1183):1.01 g/㎤, MVR (260 ℃, 2.16 ㎏, ISO1133):32 ㎖/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DSC, ISO11375-1,2,3):78 ℃, SP 값 8.8) 의 펠릿을, 60:20:2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1-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1>
실시예 1-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의 펠릿을 60:4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1-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1-2>
실시예 1-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의 펠릿을 70:3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1-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2 에 실시예 1-1 ∼ 1-3 및 비교예 1-1 ∼ 1-2 의 배합표를 나타내었다. 또한, 해상의 COP 상에 대해, 2 품종의 블렌드에 의해 외관 점도를 조정하고, 외관 점도의 차이가 면 각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표 3 에, 실시예 1-1 ∼ 1-3 및 비교예 1-1 ∼ 1-2 에 대해,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계에 있어서의 SP 값과 그 차의 절대값을 나타내었다.
표 4 에, 실시예 1-1 ∼ 1-3 및 비교예 1-1 ∼ 1-2 에 대해,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계에 있어서의 외관 점도와 그 차의 절대값을 나타내었다.
표 5 에, 실시예 1-1 ∼ 1-3 및 비교예 1-1 ∼ 1-2 에 대해, 면 각도와, 반사광 확산성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표 2 ∼ 표 5 로부터 다음의 것이 분명해졌다.
(1) 수지층 (A) 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클수록 광 확산성을 발현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의 값을 8.0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한 광 확산성을 발현할 수 있다.
(2) 해상 (실시예에서는, COP 상) 과 도상의 SP 값의 차가 클수록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크게 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해상과 도상의 최대 SP 값의 차를 1.4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층 (A) 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8.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3) 해상과 도상의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도상의 최대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0.8 일 때에는, 해-도 구조의 해상 (실시예에서는, COP 상) 과 도상의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η(㎩·s)|가 1000 (㎩·s) 이하임으로써, 수지층 (A) 의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8.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4) 실시예 1-2 를 검토한 결과, 도상의 배합량이 적을수록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를 크게 할 수 있고, 광 확산성을 증대할 수 있다.
<측정 및 평가 방법>
다음으로, 실시예 2-1 ∼ 2-3, 비교예 2-1 및 참고예 2-1 ∼ 2-2 에서 얻은 샘플의 각종 물성값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필름의 인취 (흐름) 방향을 MD, 그 직교 방향을 TD 라고 표시한다.
(3 차원 표면 조도)
하기의 장치, 조건에 따라, 반사재 (샘플) 의 표면 (수지층 A) 을 관찰하고, 얻어진 화상에 대해 해석을 실시하여, 면 평균 조도 (이하 「Sa」 라고 표기한다), 및 최대 높이 (이하 「Sz」 라고 표기한다) 를 산출하였다. 또한, 계산할 때에는, JIS B0601:2001 에 준거하였다.
장치:전자선 3 차원 조도 해석 장치 「ERA-4000」 (엘리오닉스사 제조)
증착 조건:10 ㎃ × 100 sec, Pt-Pd 증착
가속 전압:10 ㎸
관찰 배율:250 배
해석 에리어:360 (㎛) × 480 (㎛)
(굴곡 강성)
JIS P-8125 에 준하여, 이하의 조건에 따라 굴곡 강성 (g·㎝) 을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마찰 견뢰도 시험 장치 (타이에이 과학 정기 제작소)
굴곡 각도:15 도
(외관 점도)
하기의 장치 및 조건에 따라, 반사재 (샘플) 의 외관 점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장치:고화식 플로우 테스터 (CFT-500C/시마즈 제작소)
측정 조건:노즐 φ1 × L10 ㎜
온도:230 (℃)
전단 속도:100 (1/sec)
(도광판 밀착 불균일)
하기 디스플레이의 디폴트의 반사재로부터, 실시예에서 제조한 반사재로 순차 교체하고, 다음에 나타내는 방법에 따라, 도광판 밀착 불균일을 측정하였다.
디스플레이를 수평인 측정대에 두고, 디스플레이의 네 모퉁이에 무게:500 g 의 추를 합계 4 개 두고, 일정한 하중을 가한 상태로, 광원을 점등시켰다. 휘도 불균일계 (CA2000, KONIKA MINOLTA 사 제조) 에 의해, 디스플레이 휘도의 도트 데이터로부터, 표준 편차, 및, 휘도의 (최대값)/(평균값) 의 값을 산출하고, 휘도 불균일의 지표로 하였다.
《사용한 디스플레이》
기종명:LCD-8000V (CENTURY)
광원:LED (장변 × 1 열 배치)
사이즈:8 인치
<실시예 2-1>
(수지층 (A)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밀도 (ISO1183):1.01 g/㎤, MFR (230 ℃, 21.18 N, JISK7210:1.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K7121):127 ℃, SP 값:7.4)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1060R」, 고리형 올레핀의 개환 중합체의 수소 첨가물, 밀도 (ISO1183):1.01 g/㎤, MFR (230 ℃, 21.18 N, JISK7210):12 g/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JISK7121):100 ℃, SP 값:7.4)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밀도 (JISK7112):0.9 g/㎤, MFR (230 ℃, 21.18 N, JISK-7210):0.5 g/10 min, SP 값:8.0) 의 펠릿을, 50:25:25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30 ℃ 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A 를 제조하였다.
(수지층 (B) 의 수지 조성물 B 의 제조)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FY6HA」, 밀도 (JISK7112):0.9 g/㎤, MFR (230 ℃, 21.18 N, JISK-7210):2.4 g/10 min) 의 펠릿과, 산화티탄 (KRONOS 사 제조, 상품명 「KRONOS2230」, 밀도 4.2 g/㎤, 루틸형 산화티탄, Al, Si 표면 처리, TiO2 함유량 96.0 %, 제조법:염소법) 을, 50:5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후, 270 ℃ 에서 가열된 2 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펠릿화하여, 수지 조성물 B 를 제조하였다.
(반사재의 제조)
상기 수지 조성물 A, B 를 각각, 230 ℃, 200 ℃ 로 가열된 압출기 A 및 B 에 공급하고, 각 압출기에 있어서, 230 ℃ 및 200 ℃ 에서 용융 혼련한 후, 2 종 3 층용의 T 다이에 합류시켜, 수지층 (A)/수지층 (B)/수지층 (A) 의 3 층 구성이 되도록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냉각 고화하여 적층 시트를 형성하였다.
얻어진 적층 시트를, 온도 135 ℃ 에서 MD 로 2.5 배로 롤 연신한 후, 추가로 140 ℃ 에서 TD 로 2.5 배 텐터 연신함으로써 2 축 연신을 실시하여, 두께 225 ㎛ (수지층 (A):185 ㎛, 수지층 (B):20 ㎛ 적층비 A:B = 4.6:1)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3 차원 표면 조도 (면 평균 조도:Sa, 최대 높이:Sz),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2>
실시예 2-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C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제조, 상품명 「TOPAS 8007F」, 밀도 (ISO1183):1.01 g/㎤, MVR (260 ℃, 2.16 ㎏, ISO1133):32 ㎖/10 min, 유리 전이 온도 Tg (DSC, ISO11375-1,2,3):78 ℃, SP 값 8.8) 의 펠릿의 질량 비율을, 70:15:15 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2-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실시예 2-3>
실시예 2-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C (「TOPAS 8007F」)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의 펠릿을 60:20:2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2-1 과 동일한 평가와 아울러 굴곡 강성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비교예 2-1>
실시예 2-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A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15」) 의 펠릿과, 폴리프로필렌 수지 (닛폰 폴리프로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노바텍 PP EA9」) 의 펠릿을 60:40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2-1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고예 2-1>
실시예 2-3 의 반사재의 제조에 있어서, 시트의 두께를 300 ㎛ (수지층 (A):185 ㎛, 수지층 (B):20 ㎛ 적층비 A:B = 4.6:1) 로 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3 과 동일하게 하여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실시예 2-3 과 동일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참고예 2-2>
실시예 2-1 의 수지 조성물 A 의 제조에 있어서,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C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RCY50」, SP 값:7.4) 의 펠릿과, 비정성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B (닛폰 제온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제오노아 1060R」, SP 값:7.4) 의 펠릿을, 67:33 의 질량 비율로 혼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2-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225 ㎛ 의 반사재 (샘플) 를 얻었다. 얻어진 반사재에 대해 3 차원 표면 조도의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6 에, 실시예 2-1 ∼ 2-3 및 비교예 2-1 의 배합을 나타내었다. 또한, 해상 성분의 COP 에 대해, 2 품종의 블렌드에 의해 외관 점도를 조정하고, 외관 점도의 차이가 3 차원 표면 조도에 주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표 7 에, 실시예 2-1 ∼ 2-3 및 비교예 2-1 에 대해,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계에 있어서의 SP 값과 그 차의 절대값을 나타내었다.
표 8 에, 실시예 2-1 ∼ 2-3 및 비교예 2-1 에 대해,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계에 있어서의 외관 점도와 그 차의 절대값을 나타내었다.
표 9 에, 실시예 2-1 ∼ 2-3, 비교예 2-1 및 참고예 2-1 ∼ 2-2 에 대해, 표면 조도와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의 가부 판단으로서, 휘도의 (최대값)/(평균값) 의 값이 2.0 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를 가 (可) 로 하였다. 또한, 휘도의 표준 편차에 대해서는, 작을수록 휘도 불균일이 없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또, 참고예 2-2 는, 2 종 이상의 열 가소성 수지의 혼합계가 아닌,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0 인 예이다.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표 6 ∼ 표 9 로부터 다음의 것이 분명해졌다.
(1) 면 평균 조도가 높을수록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으며, 수지층 (A) 의 면 평균 조도 (Sa) 의 값을 0.90 이상으로 함으로써, 충분히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2) 해상 (실시예 2-1 ∼ 2-3 에서는, COP 상) 과 도상의 SP 값의 차가 클수록 면 평균 조도 (Sa) 를 크게 할 수 있으며, 그 중에서도, 해상과 도상의 최대 SP 값의 차를 1.4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층 (A) 의 면 평균 조도 (Sa) 를 0.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3) 해상과 도상의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이 작을수록 면 평균 조도 (Sa) 를 크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상-도상의 최대 SP 값의 차의 절대값이 0.8 일 때에는, 해-도 구조의 해상 (실시예 2-1 ∼ 2-3 에서는, COP 상) 과 도상의 외관 점도의 차의 절대값:|η(㎩·s)|가 1000 (㎩·s) 이하임으로써, 수지층 (A) 의 면 평균 조도 (Sa) 를 0.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4) 실시예 2-3 과 참고예 2-1 의 비교로부터, 동일한 재질이더라도, 굴곡 강성 (시트 자체의 강성) 이 높을수록 도광판 밀착 휘도 불균일을 보다 잘 억제할 수 있다.
(5) 시트 자체의 강성이 높을수록 도광판의 변형에 추종한 반사재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아, 밀착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17)

  1. 반사 사용면을 구비한 최외층으로서, 높이 프로파일로부터 산출된 면 각도의 표준 편차 (σ,δ (n)) 가 8.0 이상인 확산 반사면을 구비한 수지층 (A), 및 내부에 공극을 갖고, 미분상 충전제를 함유하는 수지층 (B) 를 갖는 반사재로서,
    상기 미분상 충전제는, 적어도 30 질량% 이상이 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사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상 충전제는, 무기질 미분체와 유기질 미분체를 갖는 반사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상 충전제는, 2 종 이상의 무기질 미분체를 갖는 반사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분상 충전제는, 표면에 실리콘계 화합물, 다가 알코올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지방산, 지방산 에스테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의해 표면 처리를 실시한 것인 반사재.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A) 는, 시트체로 이루어지는 층, 또는 용융 수지 조성물을 압출 혹은 도포에 의해 박막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층인 반사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B) 는,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디엔계 수지 중 어느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서 함유하는 반사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B) 는, 올레핀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불소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디엔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어느 2 종 이상의 수지를 함유하는 반사재.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B) 가 적어도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반사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로서, 폴리프로필렌, 프로필렌-에틸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 종을 함유하는 반사재.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로서, 유리 전이 온도 (Tg) 가 70 ~ 170 ℃ 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반사재.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로서, 올레핀과 노르보르넨의 공중합체이고, 노르보르넨의 함유량이 60 ~ 90 wt% 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반사재.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수지로서, 멜트 플로우 레이트 (「MFR」) 가 0.1 g/10 min 이상, 20 g/10 min 이하 (JIS K-7210, 230 ℃, 하중 21.18 N) 인 시클로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하는 반사재.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층 (B) 의 공극률이 20 % 이상 70 % 이하인 반사재.
  14. 제 1 항에 있어서,
    수지층 (A) 와 수지층 (B) 의 각 층 합계 두께비가 (A):(B) = 1:3 ∼ 1:15 인 반사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재를 사용한 액정 디스플레이.
  16.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재를 사용한 조명 기구.
  17.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반사재를 사용한 조명 간판.
KR1020147035136A 2012-01-17 2012-12-27 반사재 KR1015974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2006790A JP2013148607A (ja) 2012-01-17 2012-01-17 反射材
JPJP-P-2012-006787 2012-01-17
JP2012006787A JP2013148605A (ja) 2012-01-17 2012-01-17 反射材
JPJP-P-2012-006790 2012-01-17
PCT/JP2012/083903 WO2013108563A1 (ja) 2012-01-17 2012-12-27 反射材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905A Division KR101974237B1 (ko) 2012-01-17 2012-12-27 반사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718A true KR20150005718A (ko) 2015-01-14
KR101597482B1 KR101597482B1 (ko) 2016-02-24

Family

ID=487989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35136A KR101597482B1 (ko) 2012-01-17 2012-12-27 반사재
KR1020147012905A KR101974237B1 (ko) 2012-01-17 2012-12-27 반사재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905A KR101974237B1 (ko) 2012-01-17 2012-12-27 반사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2) KR101597482B1 (ko)
CN (2) CN104635282B (ko)
TW (2) TWI548917B (ko)
WO (1) WO2013108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96330B (zh) * 2018-01-02 2020-05-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反射片及背光模组、显示装置
WO2019230097A1 (ja) * 2018-05-31 2019-12-05 東洋紡株式会社 積層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
TWI740515B (zh) 2019-12-23 2021-09-21 長春人造樹脂廠股份有限公司 液晶高分子膜及包含其之積層板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9540A (ja) 1991-01-22 1992-08-27 Toray Ind Inc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1174213A (ja) 1997-12-10 1999-07-02 Mitsui Chem Inc 光反射体
JP2001154006A (ja) * 1999-11-29 2001-06-08 Nitto Denko Corp 防眩層及び光学部材
JP2003215574A (ja) * 2002-01-24 2003-07-30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5031653A (ja) 2003-06-19 2005-02-03 Yupo Corp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8158134A (ja) 2006-12-22 2008-07-10 Asahi Kasei Corp 反射シート
JP2009204837A (ja) * 2008-02-27 2009-09-10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085843A (ja) 2008-10-01 2010-04-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2011221197A (ja) * 2010-04-08 2011-11-04 Suntechopt Co Ltd アンチグレア拡散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914A (ja) * 1997-06-02 1998-12-18 Asahi Glass Co Ltd 半透過反射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表示装置
JPH11231111A (ja) * 1998-02-09 1999-08-27 Nitto Denko Corp 光拡散反射シート
JP2002182013A (ja) * 2000-12-12 2002-06-26 Toray Ind Inc 積層光拡散性フィルム
JP2003050304A (ja) * 2001-08-07 2003-02-21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半透過反射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製造方法
JP3861657B2 (ja) * 2001-10-31 2006-12-20 東レ株式会社 微細気泡含有フィルム
JP2004061767A (ja) * 2002-07-26 2004-02-26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及びその製造方法と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4133250A (ja) * 2002-10-11 2004-04-30 Alps Electric Co Ltd 反射体及び液晶表示装置
JP2008081563A (ja) * 2006-09-26 2008-04-10 Asahi Kasei Corp 光拡散反射シート
US7727705B2 (en) * 2007-02-23 2010-06-01 Fujifilm Electronic Materials, U.S.A., Inc. High etch resistant underlayer compositions for multilayer lithographic processes
CN101324677A (zh) * 2007-03-14 2008-12-17 索尼株式会社 防眩光膜的制造方法
JP2009096868A (ja) * 2007-10-16 2009-05-07 Nippon Shokubai Co Ltd 光拡散フィルム用樹脂微粒子、樹脂組成物および光拡散フィルム
JP5333261B2 (ja) * 2009-03-11 2013-11-06 Jsr株式会社 偏光性回折素子
CN102073080B (zh) * 2009-11-18 2013-08-14 惠和株式会社 光学薄片以及使用它的背光单元
CN101793979B (zh) * 2010-02-10 2012-01-04 东南大学 一维漫反射随机折射率梯度覆层及其应用
JP2012178279A (ja) * 2011-02-25 2012-09-13 Asahi Kasei Corp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9540A (ja) 1991-01-22 1992-08-27 Toray Ind Inc 液晶ディスプレイ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H11174213A (ja) 1997-12-10 1999-07-02 Mitsui Chem Inc 光反射体
JP2001154006A (ja) * 1999-11-29 2001-06-08 Nitto Denko Corp 防眩層及び光学部材
JP2003215574A (ja) * 2002-01-24 2003-07-30 Fujitsu Display Technologies Corp 反射型液晶表示装置
JP2005031653A (ja) 2003-06-19 2005-02-03 Yupo Corp 光反射体およびそれを用いた面光源装置
JP2008158134A (ja) 2006-12-22 2008-07-10 Asahi Kasei Corp 反射シート
JP2009204837A (ja) * 2008-02-27 2009-09-10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フィルム、防眩性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2010085843A (ja) 2008-10-01 2010-04-15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液晶表示装置用反射フィルム
JP2011221197A (ja) * 2010-04-08 2011-11-04 Suntechopt Co Ltd アンチグレア拡散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35282A (zh) 2015-05-20
KR101974237B1 (ko) 2019-04-30
TW201516542A (zh) 2015-05-01
CN104040383B (zh) 2016-08-24
TWI551922B (zh) 2016-10-01
TWI548917B (zh) 2016-09-11
KR20140111644A (ko) 2014-09-19
KR101597482B1 (ko) 2016-02-24
CN104635282B (zh) 2017-08-11
CN104040383A (zh) 2014-09-10
WO2013108563A1 (ja) 2013-07-25
TW201335680A (zh) 2013-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7703B1 (ko) 반사재
KR101455542B1 (ko) 반사재
JP6072754B2 (ja) 反射材
KR101597482B1 (ko) 반사재
WO2016167149A1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TWI463187B (zh) 光擴散膜及具備彼等之裝置
WO2013108562A1 (ja) 反射材
JP6459951B2 (ja) 反射フィルム、及びこれを備えてなる液晶表示装置、照明装置、装飾用物品
JP2020166260A (ja) 反射材
JP2017128096A (ja) 白色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フィルム
JP2012189678A (ja) 光反射体
JP2013148607A (ja) 反射材
JP2013148605A (ja) 反射材
JP2024054898A (ja) 反射フィルム
WO2020196760A1 (ja) 反射材
JP2020060671A (ja) 反射材
JP2020011430A (ja) 反射材
CN113631967A (zh) 反射材料
JP2021149061A (ja) 反射材
JP2021149062A (ja) 反射材
JP2021149060A (ja) 反射材
JP2019117225A (ja) 反射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